KR200404674Y1 - 취사량 가변이 가능한 취사용기 - Google Patents

취사량 가변이 가능한 취사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4674Y1
KR200404674Y1 KR20-2005-0027980U KR20050027980U KR200404674Y1 KR 200404674 Y1 KR200404674 Y1 KR 200404674Y1 KR 20050027980 U KR20050027980 U KR 20050027980U KR 200404674 Y1 KR200404674 Y1 KR 2004046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mounting
hook
cook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79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훈
Original Assignee
조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훈 filed Critical 조훈
Priority to KR20-2005-00279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46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46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467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4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adjustable volume; Tier pressure-coo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7/05Tier steam-cookers, i.e. with steam-tight joints between cooking-vessels stacked while in u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2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inserts for cooking different foods separately at the same time; Inser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2Multiple-unit cooking vessels
    • A47J27/13Tie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027/043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이 고안은 취사량을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가변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보관시에는 최소한의 부피로서 보관 가능하도록 개선되고 찜용기를 선택적으로 설치하여 사용 가능하도록 개선된 취사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가 개구되고 상단주연부에 가이드홈부(51)와 연장되고 걸림턱부(53)를 양측에 가진 길다란 형태의 훅크홈부(52)가 등간격으로 다수 형성된 용기결합수단(50)이 있는 본체용기(10)와; 상기 본체용기(10)의 가이드홈부(51)를 통해 훅크홈부(52)에 결합되는 길다란 형태의 훅크돌기부(55)를 하단주연부에 등간격으로 다수 구비하고, 상단주연부에는 가이드홈부(51)와 연장되고 걸림턱부(53)를 양측에 가진 길다란 형태의 훅크홈부(52)가 등간격으로 다수 형성된 용기결합수단(50)을 가지며 중앙이 관통되게 형성된 제1탑재용기(20)와; 상기 제1탑재용기(20)의 상단부 가이드홈부(51)를 통해 훅크홈부(52)에 결합되는 길다란 형태의 훅크돌기부(55)를 하단주연부에 등간격으로 다수 형성되는 용기결합수단(50)을 구비하고 중앙이 관통되게 형성된 제2탑재용기(30)와; 상기 본체용기(10)의 상단부가 끼워지는 대직경홈부(41) 내측으로 제1탑재용기(20)의 상단부가 끼워지는 중직경홈부(42)를 구비하고 상기 중직경홈부(42) 내측으로는 제2탑재용기(30)의 상단부가 끼워지는 소직경홈부(43)를 가진 뚜껑(4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탑재용기(20)와 제2탑재용기(30) 내주면에는 각각의 찜용기(60)를 걸 수 있는 찜용기걸림턱부(21,31)를 구비하여 찜요리도 동시적으로 가능하게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취사량 가변이 가능한 취사용기{Cooking receptacle in which the amount of cooking variable is possible}
본 고안은 밥이나 전골 또는 찌개, 국, 찜 등의 음식을 조리하는 취사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종류 및 양에 맞게 취사용량을 가변시켜 음식을 조리할 수 있도록 개선된 취사량 가변이 가능한 취사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용기는 조리되는 음식과 양에 따라 적절한 크기의 조리용기를 선택하여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크기가 각기 다른 여러 개의 조리용기를 구입하게 되고, 음식조리에 따라 용기를 선택적으로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이렇게 구입된 여러 개의 조리용기들 중에는 많은 양의 음식조리에 사용되는 부피가 큰 조리용기들이 있으며, 이 조리용기들은 집들이와 같은 많은 양의 음식을 조리할 때 주로 사용되게 된다.
즉, 사용 빈도는 낮지만 가끔은 사용하게 되므로 음식조리를 위해서는 다양한 크기의 취사용기를 구입해야 하기 때문에 매우 비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큰 부피로 인해 보관 역시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52899호와 같이 전골냄비 또는 찜솥, 프라이펜 등으로 변경 사용할 수 있는 조리용기가 개시된바 있으나, 이는 일정량만이 조리가 가능하며 많은 양의 음식조리는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한국 실용공개번호 1995-0026576호와 같이 증기를 이용해 찜이나 데침요리가 가능하게 한 것이 있으나, 이는 조리용기 뚜껑에 별도의 찜통이 얹혀져서 사용하여야 하는 등 복잡한 구조를 갖기 때문에 제조원가 높아지는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고 보관 부피가 큰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취사량을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가변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보관시에는 최소한의 부피로서 보관 가능하도록 개선된 취사용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취사시에 발생되는 증기를 이용하여 증숙 조리도 가능하게 하려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부가 개구되고 상단주연부에 가이드홈부와 연장되고 걸림턱부를 양측에 가진 길다란 형태의 훅크홈부가 등간격으로 다수 형성된 용기결합수단이 있는 본체용기와; 상기 본체용기의 가이드홈부를 통해 훅크홈부에 결합되는 길다란 형태의 훅크돌기부를 하단주연부에 등간격으로 다수 구비하고, 상단주연부에는 가이드홈부와 연장되고 걸림턱부를 양측에 가진 길다란 형태의 훅크홈부가 등간격으로 다수 형성된 용기결합수단을 가지며 중앙이 관통되게 형성된 제1탑재용기와; 상기 제1탑재용기의 상단부 가이드홈부를 통해 훅크홈부에 결합되는 길다란 형태의 훅크돌기부를 하단주연부에 등간격으로 다수 형성되는 용기결합수단을 구비하고 중앙이 관통되게 형성된 제2탑재용기와; 상기 본체용기의 상단부가 끼워지는 대직경홈부 내측으로 제1탑재용기의 상단부가 끼워지는 중직경홈부를 구비하고 상기 중직경홈부 내측으로는 제2탑재용기의 상단부가 끼워지는 소직경홈부를 가진 뚜껑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용기는 자연석부재 상단주연부에 형성시킨 돌륜부가 방수부재가 게재된 금속하우징의 요홈부에 삽입되어 걸림턱이 받침턱에 걸림되고 다수의 체결나사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한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탑재용기와 제2탑재용기 내주면에는 각각의 찜용기를 걸 수 있는 찜용기걸림턱부를 구비하도록 구성된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을 첨부된 바람직한 실시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이 실시된 전체 조립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 분리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고안은 화염(화력)이 접촉되어 열에너지를 전달받는 본체용기(10)와, 상기 본체용기(10) 위쪽으로 탑재되는 제1탑재용기(20) 및 제2탑재용기(30). 그리고 덮개 역할을 하는 뚜껑(40)을 구비한다.
본체용기(10)는 자연석부재(11) 상측으로 금속하우징(12)이 고정되게 설치되어 구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자연석부재(11)는 윗면이 개방되는 용기형태로 곱돌(각섬석)을 가공하여 형성하되 상측 주연부에는 걸림턱(11b)을 가진 돌륜부(11a)가 형성되게 가공된다.
또한, 금속하우징(12) 하단부에는 받침턱(12b)을 가진 요홈부(12a)가 형성되게 하고, 이 요홈부(12a)에는 돌륜부(11a)가 강제적으로 끼워지게 결합됨으로써 걸림턱(11b)이 받침턱(12b)에 걸림되도록 결합된 후 다수개의 체결나사(13)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금속하우징(12) 상단부에는 용기결합수단(50)의 가이드홈부(51)와 연장된 훅크홈부(52)가 형성된다. 부호 14는 손잡이를 나타내고 15는 방수부재를 나타낸다.
제1탑재용기(20)와 제2탑재용기(30)는 중앙이 뚫린 형태의 금속 용기로 형성되고, 이들의 상,하단부 또는 상단부에는 용기결합수단(50)의 가이드홈부(51)와 연장된 훅크홈부(52) 및 훅크돌기부(55)를 각각 등간격적으로 다수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용기결합수단(50)은 본체용기(10) 위쪽에 제1탑재용기(20)가 결합되게 하고, 제1탑재용기(20) 위쪽으로는 제2탑재용기(30)다 견고하게 결합되게 하는 수단이며, 이러한 용기결합수단(50)에 대해서는 이후에 다시 상세히 설명된다.
한편, 제1탑재용기(20) 및 제2탑재용기(30) 내주면에는 찜용기걸림턱부(21,31)를 각각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부호 22,32는 절첩되는 손잡이를 나타낸다.
뚜껑(40)은 내주면에 본체용기(10)와 제1 및 제2탑재용기(20,30)의 상단 주연부가 각각 끼워지는 대직경홈부(41)와 중직경홈부(42) 및 소직경홈부(43)를 각각 구비하고, 상부에는 내부를 투시할 수 있게 하기 위한 투명창(44)을 갖도록 구성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용기결합수단(50)은 길다란 가이드홈부(51)를 구비하고 이 가이드홈부(51)와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훅크홈부(52)를 구비한다.
따라서, 훅크홈부(52)에는 걸림턱부(53)를 가지게 되는 한편, 하측에는 소돌기(54)가 돌출되게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홈부(51)에는 결합시키려는 용기의 하단부에 돌출된 훅크돌기부(55)가 삽입되거나 또는 이탈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훅크돌기부(55)의 위쪽에는 걸림턱부(56)를, 그리고 하측에는 걸림홈(57)을 구비하고 훅크돌기부(55)를 가진 용기의 하단부에는 패킹부재(58)가 장착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패킹부재(58)는 내열성이 있고 인체에 무해한 실리콘 재질로 형성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한 용기결합수단(50)에 있어 가이드홈부(51)와 훅크홈부(52)는 본체용기(10)의 상단부 및 제1탑재용기(20)의 상단부에 등간격적으로 형성되는 것이고, 훅크돌기부(55)는 제1탑재용기(20) 및 제2탑재용기(30)의 하단부에 각각 등간격적으로 형성되게 구성되는 것이다.
도 6 및 도 7a 내지 도 7d를 참조하여 용기결합수단(5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용기의 결합시 도 6에서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훅크돌기부(55)를 가이드홈부(51)에 삽입되도록 끼운 다음 훅크돌기부(55)를 시계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그 훅크돌기부(55)는 훅크홈부(52) 쪽으로 이동되어 끼워지게 됨으로써 이들은 도 7a와 같이 완전히 결합 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훅크돌기부(55)의 걸림턱부(56)가 훅크홈부(52)의 걸림턱부(53)에 걸리게 됨에 따라 이들은 상호 이탈되지 않고 견고한 결합 상태를 갖게 되는 것일 뿐만 아니라 패킹부재(58)가 있기 때문에 음식조리물(s)들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게 된다.
또한, 소돌기(54)가 걸림홈(57)에 끼워짐으로써 훅크돌기부(55)를 강제적으로 회전시켜서 분리 시키지 않는 한 훅크돌기부(55)가 저절로 빠지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소돌기(54)가 걸림홈(57)에 끼워지는 순간 "달각" 하는 소리와 진동을 느끼게 되어 훅크돌기부(55)가 훅크홈부(52)에 완전히 결합된 것을 취급자가 알게 된다.
결합이 완료된 후 가이드홈부(51) 위쪽은 패킹부재(58)에 의해 밀폐되고 가이드홈부(51)와 훅크홈부(52)가 없는 결합부위에서는 도 7c와 같이 패킹부재(58)에 의해서 밀폐됨으로써 음식조리시 발생 되는 증기나 음식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차단되게 된다.
한편, 분리시에는 훅크돌기부(55)를 강재적으로 돌아가게 하여 그 훅크돌기부(52)가 도 6의 가상선 도시와 같이 가이드홈부(51)에 이동되게 한다.
다음, 훅크돌기부(55)가 가이드홈부(52)로부터 이탈되게 빼내게 되면 도 7d와 완전히 분리되게 된다.
도 8을 참조하면, 뚜껑(40)의 내측에는 본체용기(10)의 상단부가 끼워지는 대직경홈부(41)를, 그리고 제1탑재용기(20)의 상단부가 끼워지는 중직경홈부(42)를 구비하고, 그 내측으로는 제2탑재용기(30)의 상단부가 끼워지는 소직경홈부(43)를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하나의 뚜껑으로 본체용기(10)와 제1 및 제2탑재용기(20,30)를 각각 덮을 수 있게 한 것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1사용상태를 보인 것으로서, 이때는 본체용기(10)에 뚜껑(40)만 덮어서 취사되게 하는 것이며 적은량의 음식조리물(s)을 취사할 때 적합하다.
그리고 본체용기(10)는 곱돌(각섬석)과 같은 자연석부재(11)로 형성된 것이기 때문에 그 자체에서 원적외선 등이 다량 방출되어 음식조리물(s)을 더욱 신속하게 조리되게 할 뿐만 아니라 인체에 유익하다.
그리고 더욱 많은 음식조리물(s)의 취사가 필요로 될 때에는 도 10과 같이 본체용기(10) 위쪽에 제1탑재용기(20)를 결합시켜 탑재되게 하거나 또는 도 11과 같이 본체용기(10) 위쪽에 제1탑재용기(20)를, 그리고 제1탑재용기(20) 위쪽으로는 제2탑재용기(30)를 결합시켜 사용하면 된다.
또한, 도 12와 같이 찜용기걸림턱부(31)에 구멍이 무수히 뚫리거나 스크린으로 된 찜용기(60)를 걸어 놓고 취사와 동시에 찜 요리도 동시적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밥을 하면서 찜용기(60)에 고구마나 감자 등을 올려 놓고 증기에 의해서 증숙되도록 할 수도 있고, 또는 갈비탕을 끓이면서 그 발생 된 증기에 의해서 찜용기(60)에서 양념 된 갈비가 증숙되게 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취사용기를 보관할 시에는 도 13과 같이 제1탑재용기(20)와 제2탑재용기(30)가 뒤집어진 상태로 한 다음, 도 14와 같이 본체용기(10) 내부에 뒤집어진 제1탑재용기(20)를 삽입킨 후 그 제1탑재용기(20) 내부에 뒤집어진 제2탑재용기(30)를 삽입시키고 뚜껑(40)을 덮으면 먼지나 이물질이 유입됨이 없이 최소한의 부피로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 따르면, 본 고안은 취사량을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가변하여 사용할 수 있고 보관시에는 최소한의 부피로서 보관 가능한 취사용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는 동시에 취사시에 발생되는 증기를 이용하여 찜요리도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이 실시된 조리용기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전체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전체 분리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용기결합수단의 분리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용기결합수단의 분리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용기결합수단 일부분의 평면 구성도,
도 7a는 도 6의 A-A'선 확대 단면도,
도 7b는 도 6의 B-B'선 확대 단면도,
도 7c는 도 6의 C-C'선 확대 단면도,
도 7d는 도 4의 D-D'선 확대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뚜껑과 용기의 결합부분을 설명하는 분리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제1사용상태 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제2사용상태 단면도,
도 11은 본 고안의 제3사용상태 단면도,
도 12는 본 고안의 제4사용상태 단면도,
도 13은 본 고안의 보관 상태의 단면 분리도,
도 14는 본 고안의 보관 상태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본체용기 11 : 자연석부재
12 : 금속하우징 20 : 제1탑재용기
21,31 : 찜용기걸림턱부 30 : 제2탑재용기
40 : 뚜껑 41 : 대직경홈부
42 : 중직경홈부 43 : 소직경홈부
50 : 용기결합수단 51 : 가이드홈부
52 : 훅크홈부 53 : 걸림턱부
54 : 소돌기 55 : 훅크돌기부
56 : 걸림턱부 57 : 걸림홈
58 : 패킹부재 60 : 찜용기

Claims (3)

  1. 상부가 개구되고 상단주연부에 가이드홈부(51)와 연장되고 걸림턱부(53)를 양측에 가진 길다란 형태의 훅크홈부(52)가 등간격으로 다수 형성된 용기결합수단(50)이 있는 본체용기(10)와;
    상기 본체용기(10)의 가이드홈부(51)를 통해 훅크홈부(52)에 결합되는 길다란 형태의 훅크돌기부(55)를 하단주연부에 등간격으로 다수 구비하고, 상단주연부에는 가이드홈부(51)와 연장되고 걸림턱부(53)를 양측에 가진 길다란 형태의 훅크홈부(52)가 등간격으로 다수 형성된 용기결합수단(50)을 가지며 중앙이 관통되게 형성된 제1탑재용기(20)와;
    상기 제1탑재용기(20)의 상단부 가이드홈부(51)를 통해 훅크홈부(52)에 결합되는 길다란 형태의 훅크돌기부(55)를 하단주연부에 등간격으로 다수 형성되는 용기결합수단(50)을 구비하고 중앙이 관통되게 형성된 제2탑재용기(30)와;
    상기 본체용기(10)의 상단부가 끼워지는 대직경홈부(41) 내측으로 제1탑재용기(20)의 상단부가 끼워지는 중직경홈부(42)를 구비하고 상기 중직경홈부(42) 내측으로는 제2탑재용기(30)의 상단부가 끼워지는 소직경홈부(43)를 가진 뚜껑(4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취사량 가변이 가능한 취사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용기(10)는 자연석부재(11) 상단주연부에 형성시킨 돌륜부(11a)가 방수부재(15)가 게재된 금속하우징(12)의 요홈부(12a)에 삽입되어 걸림턱(11b)이 받침턱(12b)에 걸림되고 다수의 체결나사(13)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사량 가변이 가능한 취사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탑재용기(20)와 제2탑재용기(30) 내주면에는 각각의 찜용기(60)를 걸 수 있는 찜용기걸림턱부(21,31)를 구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사량 가변이 가능한 취사용기.
KR20-2005-0027980U 2005-09-29 2005-09-29 취사량 가변이 가능한 취사용기 KR2004046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7980U KR200404674Y1 (ko) 2005-09-29 2005-09-29 취사량 가변이 가능한 취사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7980U KR200404674Y1 (ko) 2005-09-29 2005-09-29 취사량 가변이 가능한 취사용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1334A Division KR100663088B1 (ko) 2005-09-29 2005-09-29 취사량 가변이 가능한 취사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4674Y1 true KR200404674Y1 (ko) 2005-12-27

Family

ID=49297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7980U KR200404674Y1 (ko) 2005-09-29 2005-09-29 취사량 가변이 가능한 취사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467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46742A1 (en) * 2019-01-10 2020-07-16 Meyer Intellectual Properties Ltd. Cookware vessel and fabrication method
JP2021194460A (ja) * 2020-06-18 2021-12-27 株式会社 鋳物屋 圧力鍋、圧力鍋の容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46742A1 (en) * 2019-01-10 2020-07-16 Meyer Intellectual Properties Ltd. Cookware vessel and fabrication method
JP2021194460A (ja) * 2020-06-18 2021-12-27 株式会社 鋳物屋 圧力鍋、圧力鍋の容器
JP7249658B2 (ja) 2020-06-18 2023-03-31 株式会社 鋳物屋 圧力鍋、圧力鍋の容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5203049B2 (en) Multifunctional Cookware
EP0780078B1 (en) Food steamer
JP5202507B2 (ja) マイクロ波蒸気調理容器システム
US5552577A (en) Multi-purpose cooker for steaming, drying or boiling foodstuffs
EP2084084B1 (en) Culinary steamer
US20210000296A1 (en) Combined air fryer and slow cooker lid
KR100663088B1 (ko) 취사량 가변이 가능한 취사용기
KR200471229Y1 (ko) 찜겸용 구이팬 직화용기
CA3085519A1 (en) Combined air fryer and slow cooker lid
US6263787B1 (en) Thermal cooker
KR200475450Y1 (ko) 찜 용 조리 용기
KR200404674Y1 (ko) 취사량 가변이 가능한 취사용기
JP4727481B2 (ja) 調理器具
US20080072768A1 (en) Food steamer
JP2588141B2 (ja) 組合せ調理鍋
KR200393644Y1 (ko) 찜 및 직화구이 겸용냄비
KR200479981Y1 (ko) 다목적 조리 기구
KR20110000512U (ko) 직화형 후라이팬
JP3547126B2 (ja) 殻付き貝用蒸し鍋
US11617467B2 (en) Combined air fryer and slow cooker lid
KR200490334Y1 (ko) 간접 가열식 석쇠조리기구
KR200332974Y1 (ko) 조리용기 덮개의 결합구조
KR200266915Y1 (ko) 전기레인지용 쿠커
JP3075968U (ja) 多機能鍋
KR20090002163U (ko) 취사량 가변이 가능한 취사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05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