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8784B1 - 조성물 및 단층 도포형 수평 배향 필름 - Google Patents

조성물 및 단층 도포형 수평 배향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8784B1
KR102128784B1 KR1020157028175A KR20157028175A KR102128784B1 KR 102128784 B1 KR102128784 B1 KR 102128784B1 KR 1020157028175 A KR1020157028175 A KR 1020157028175A KR 20157028175 A KR20157028175 A KR 20157028175A KR 102128784 B1 KR102128784 B1 KR 1021287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polymer
formula
methyl
represen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8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1129A (ko
Inventor
다니엘 안토니오 사하데
Original Assignee
닛산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산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산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31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11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8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87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halogen, nitrogen, sulfur, or oxygen atoms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26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08F220/30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aromatic rings in the alcohol moiet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26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08F220/30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aromatic rings in the alcohol moiety
    • C08F220/303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aromatic rings in the alcohol moiety and one or more carboxylic moieties in the cha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oxy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4/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oxyge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Treatments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A)식[1a], [1b] 및 [1c]으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함유하는 중합체A, (B)식[6]으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함유하는 중합체B 및 (C)유기 용매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식[1a], [1b], [1c] 중, X 및 Y는 각각 독립으로 식[2] 또는 [3]으로 표시되는 기이며, M1은 식[4]으로 표시되는 기이며, M2는 식[5]으로 표시되는 기이며, A는 직쇄상 또는 분기상의 알킬기이며, m, n 및 p는 0<m<1, 0<n<1, 0≤p≤0.5, 또한 m+n+p≤1을 만족하는 수이며, q 및 r은 각각 독립으로 2~9의 정수이다.](식[6] 중, R4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며, R5는 메틸기, 에틸기 또는 프로필기이다.)
Figure 112015097550220-pct00029
Figure 112015097550220-pct00030

Figure 112015097550220-pct00031

Description

조성물 및 단층 도포형 수평 배향 필름{COMPOSITION AND SINGLE-COAT TYPE FILM WITH HORIZONTAL ALIGNMENT}
본 발명은 조성물 및 단층 도포형 수평 배향 필름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표시 장치나 기록 재료 등의 용도에 적합한 광학 특성을 가지는 재료, 특히 액정 디스플레이용의 편광판 및 위상차판 등의 광학 보상 필름용으로서 적합한 액정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단층 도포형 수평 배향 필름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의 표시 품위의 향상이나 경량화 등의 요구로부터, 편광판이나 위상차판 등의 광학 보상 필름으로서, 내부의 분자 배향 구조가 제어된 고분자 필름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이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가지는 광학 이방성을 이용한 필름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중합성기와 액정 구조 부위(스페이서부와 메소겐부를 가지는 구조 부위)를 가지는 액정 화합물이며, 이 중합성기로서 아크릴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자외선 등의 방사선을 조사하여 중합하는 방법으로 중합체(필름)가 된다. 예를 들면, 아크릴기를 가지는 특정의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지지체간에 담지하고, 이 화합물을 액정 상태로 유지하면서 방사선을 조사하여 중합체를 얻는 방법(특허문헌 1)이나, 아크릴기를 가지는 2종류의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혼합물 또는 이 혼합물에 카이랄 액정을 혼합한 조성물에 광중합 개시제를 첨가하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중합체를 얻는 방법(특허문헌 2)이 알려져 있다.
또, 액정 배향막을 필요로 하지 않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나 중합체를 사용한 배향 필름(특허문헌 3, 4), 광 가교 부위를 함유한 중합체를 사용한 배향 필름(특허문헌 5, 6) 등, 다양한 단층 도포형 배향 필름이 보고되어 왔다. 그러나, 상기 필름 제작 프로세스에 의해 얻어진 필름의 배향 방향에는 기판의 표면의 영향에 따른 어긋남이 보인다는 문제가 있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었다.
일본 특개 소62-70407호 공보 일본 특개 평9-208957호 공보 유럽 특허 출원 공개 제1090325호 명세서 국제 공개 제2008/031243호 일본 특개 2008-164925호 공보 일본 특개 평11-189665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간단한 프로세스에 의한 단층 도포형 수평 배향 필름 제작이 가능하며, 배향 방향의 어긋남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가능한 조성물 및 이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단층 도포형 수평 배향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γ-뷰티로락톤 골격을 주쇄에 함유함과 아울러, 락톤환의 γ위로부터 연장되는 측쇄 상에 신남산에스터 구조를 가지는 중합체를 사용함으로써, 편광 자외선 노광 후에 안정된 네트워크 구조가 형성되기 때문인지, 액정 배향막을 사용하지 않고, 높은 굴절률 이방성(Δn)을 가지는 단층 도포형 수평 배향 필름이 얻어지는 것, 또한 당해 중합체에 알킬쇄를 도입함으로써 유기 용매에 대한 용해성이 향상되고, 보다 높은 Δn을 가지는 단층 도포형 수평 배향 필름을 저온 조건하에서 제작 가능하게 되는 것을 알아냈다. 또한, 본 발명자는 상기 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폴리(메타)아크릴산에스터를 첨가제로서 가함으로써, 보다 배향 방향의 컨트롤이 우수하고, 높은 광학 이방성을 나타내는 단층 도포형 수평 배향 필름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했다.
즉, 본 발명은 하기 조성물 및 단층 도포형 수평 배향 필름을 제공한다.
1. (A)하기 식[1a], [1b] 및 [1c]으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함유하는 중합체A,
(B)하기 식[6]으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함유하는 중합체B 및
(C)유기 용매
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Figure 112015097550220-pct00001
[식 중, X 및 Y는 각각 독립으로 하기 식[2] 또는 [3]으로 표시되는 기이며,
Figure 112015097550220-pct00002
(식[3] 중, R1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다. 파선은 결합손이다.)
M1은 하기 식[4]으로 표시되는 기이며, M2는 하기 식[5]으로 표시되는 기이며,
Figure 112015097550220-pct00003
(식[4] 및 [5] 중, s1, s2, s3 및 s4는 각각 독립으로 1 또는 2이며, G1 및 G2는 각각 독립으로 단결합, -COO- 또는 -OCO-이며, R2 및 R3은 각각 독립으로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사이아노기, 탄소수 1~10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10의 알콕시기이다. 파선은 결합손이다.)
A는 탄소수 2~15의 직쇄상 또는 분기상의 알킬기이며,
m, n 및 p는 각각 0<m<1, 0<n<1, 0≤p≤0.5, 또한 m+n+p≤1을 만족하는 수이며,
q 및 r은 각각 독립으로 2~9의 정수이다.]
Figure 112015097550220-pct00004
(식[6] 중, R4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며, R5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아이소프로필기 또는 사이클로프로필기이다.)
2. 1의 조성물을 기판에 도포하고, 이어서 편광을 조사하고 경화시킴으로써 얻어지는 단층 도포형 수평 배향 필름.
3. 상기 편광이 직선 편광 자외선인 2의 단층 도포형 수평 배향 필름.
4. 2 또는 3의 단층 도포형 수평 배향 필름을 구비하는 광학 부재.
본 발명의 중합체는 γ-뷰티로락톤 골격을 주쇄에 함유한다. 그 때문에, 이 중합체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도포하고, 실온에서 직선 편광을 조사하고, 포스트베이크를 행하는 프로세스에 의해, 높은 Δn을 나타내는 단층 도포형 수평 배향 필름을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알킬기 측쇄를 가지는 단위를 포함하는 중합체로 함으로써, 용매에 대한 용해성의 향상이 얻어진다.
또, 신남산에스터 구조를 가지는 액정성의 베이스 폴리머의 용액에 액정성을 나타내지 않는 폴리(메타)아크릴산에스터를 첨가함으로써, 얻어지는 배향 필름의 배향 각도(수평 방향)의 어긋남이 저감된 단층 도포형 수평 배향 필름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에서 얻어진 필름의 패턴의 파장 550nm에 있어서의 리타데이션값 각도 의존성(α각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비교예 1에서 얻어진 필름의 패턴의 파장 550nm에 있어서의 리타데이션값 각도 의존성(α각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A)중합체A]
본 발명의 조성물의 (A)성분인 중합체(이하, 중합체A)는 하기 식[1a] 및 [1b]으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함유하고, 필요에 따라 또한 하기 식[1c]으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함유하는 것이다.
Figure 112015097550220-pct00005
식[1a] 및 [1c] 중, X 및 Y는 각각 독립으로 하기 식[2] 또는 [3]으로 표시되는 기이다.
Figure 112015097550220-pct00006
(식[3] 중, R1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다. 파선은 결합손이다(이하 동일).)
이들 중, X, Y 모두 식[3]으로 표시되는 기가 바람직하다.
식[1a] 중, M1은 하기 식[4]으로 표시되는 기이며, 식[1b] 중, M2는 하기 식[5]으로 표시되는 기이다.
Figure 112015097550220-pct00007
(식[4] 및 [5] 중, s1, s2, s3 및 s4는 각각 독립으로 1 또는 2이며, G1 및 G2는 각각 독립으로 단결합, -COO- 또는 -OCO-이며, R2 및 R3은 각각 독립으로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사이아노기, 탄소수 1~10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10의 알콕시기이다.)
여기서, 상기 할로겐 원자로서는 불소, 염소, 브롬, 요오드 원자를 들 수 있는데, 본 발명에 있어서는 불소 원자가 바람직하다.
상기 알킬기로서는 직쇄상, 분기상, 환상의 어느 것이어도 되고, 또 그 탄소수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닌데, 본 발명에 있어서는 직쇄의 탄소수 1~10의 알킬기가 바람직하다. 상기 알킬기의 구체예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아이소프로필기, 사이클로프로필기, n-뷰틸기, 아이소뷰틸기, s-뷰틸기, t-뷰틸기, 사이클로뷰틸기, n-펜틸기, 사이클로펜틸기, n-헥실기, 사이클로헥실기, n-헵틸기, n-옥틸기, n-노닐기, n-데실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탄소수 1~3의 알킬기가 더욱 바람직하고, 특히 메틸기, 에틸기 등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콕시기로서는 직쇄상, 분기상, 환상의 어느 것이어도 되고, 또 그 탄소수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닌데, 본 발명에 있어서는 직쇄의 탄소수 1~10의 알콕시기가 바람직하다. 상기 알콕시기의 구체예로서는 메톡시기, 에톡시기, n-프로폭시기, 아이소프로폭시기, n-뷰톡시기, 아이소뷰톡시기, s-뷰톡시기, t-뷰톡시기, n-펜톡시기, n-헥실옥시기, n-헵틸옥시기, n-옥틸옥시기, n-노닐옥시기, n-데실옥시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탄소수 1~3의 알콕시기가 더욱 바람직하고, 특히 메톡시기, 에톡시기 등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알킬기, 알콕시기에 있어서, 그 수소 원자의 일부 또는 전부가 불소 원자 등의 할로겐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R2 또는 R3으로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수소 원자, 불소 원자, 사이아노기, 메틸기, 메톡시기 등이다.
상기 G1로서는 -COO- 또는 -OCO-가 바람직하고, G2로서는 단결합이 바람직하다.
식[1c] 중, A는 직쇄상 또는 분기상의 탄소수 2~15의 알킬기이다. 상기 알킬기로서 구체적으로는 에틸기, n-프로필기, 아이소프로필기, n-뷰틸기, 아이소뷰틸기, s-뷰틸기, t-뷰틸기, n-펜틸기, 1-메틸-n-뷰틸기, 2-메틸-n-뷰틸기, 3-메틸-n-뷰틸기, 1,1-다이메틸-n-프로필기, 1,2-다이메틸-n-프로필기, 2,2-다이메틸-n-프로필기, 1-에틸-n-프로필기, n-헥실기, 1-메틸-n-펜틸기, 2-메틸-n-펜틸기, 3-메틸-n-펜틸기, 4-메틸-n-펜틸기, 1,1-다이메틸-n-뷰틸기, 1,2-다이메틸-n-뷰틸기, 1,3-다이메틸-n-뷰틸기, 2,2-다이메틸-n-뷰틸기, 2,3-다이메틸-n-뷰틸기, 3,3-다이메틸-n-뷰틸기, 1-에틸-n-뷰틸기, 2-에틸-n-뷰틸기, 1,1,2-트라이메틸-n-프로필기, 1,2,2-트라이메틸-n-프로필기, 1-에틸-1-메틸-n-프로필기, 1-에틸-2-메틸-n-프로필기, n-헵틸기, 1-메틸-n-헥실기, 2-메틸-n-헥실기, 3-메틸-n-헥실기, 1,1-다이메틸-n-펜틸기, 1,2-다이메틸-n-펜틸기, 1,3-다이메틸-n-펜틸기, 2,2-다이메틸-n-펜틸기, 2,3-다이메틸-n-펜틸기, 3,3-다이메틸-n-펜틸기, 1-에틸-n-펜틸기, 2-에틸-n-펜틸기, 3-에틸-n-펜틸기, 1-메틸-1-에틸-n-뷰틸기, 1-메틸-2-에틸-n-뷰틸기, 1-에틸-2-메틸-n-뷰틸기, 2-메틸-2-에틸-n-뷰틸기, 2-에틸-3-메틸-n-뷰틸기, n-옥틸기, 1-메틸-n-헵틸기, 2-메틸-n-헵틸기, 3-메틸-n-헵틸기, 1,1-다이메틸-n-헥실기, 1,2-다이메틸-n-헥실기, 1,3-다이메틸-n-헥실기, 2,2-다이메틸-n-헥실기, 2,3-다이메틸-n-헥실기, 3,3-다이메틸-n-헥실기, 1-에틸-n-헥실기, 2-에틸-n-헥실기, 3-에틸-n-헥실기, 1-메틸-1-에틸-n-펜틸기, 1-메틸-2-에틸-n-펜틸기, 1-메틸-3-에틸-n-펜틸기, 2-메틸-2-에틸-n-펜틸기, 2-메틸-3-에틸-n-펜틸기, 3-메틸-3-에틸-n-펜틸기, n-노닐기, n-데실기, n-운데실기, n-도데실기, n-트라이데실기, n-테트라데실 기, n-펜타데실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얻어지는 중합체의 유기 용매에 대한 용해성 등을 고려하면, 탄소수 4~15, 특히 4~12의 알킬기가 바람직하고, n-뷰틸기, 2-에틸-n-헥실기, n-도데실기 등이 보다 바람직하다.
식[1a]~ [1c] 중, m, n 및 p는 각각 0<m<1, 0<n<1, 0≤p≤0.5, 또한 m+n+p≤1을 만족하는 수이다. Δn의 향상이나 중합체의 용해성의 향상 등의 점에서, m, n 및 p는 각각 0.2≤m≤0.9, 0.1≤n≤0.8, 0≤p≤0.4를 만족하는 수인 것이 바람직하고, 0.2≤m≤0.8, 0.1≤n≤0.5, 0.1≤p≤0.3을 만족하는 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식[1a] 및 [1b] 중, q 및 r은 각각 독립으로 2~9의 정수인데, 3~6이 바람직하고, 특히 q로서는 5 또는 6이 보다 바람직하다.
중합체A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3,000~200,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4,000~150,0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00~100,00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중량 평균 분자량이 200,000을 넘으면 용매에 대한 용해성이 저하되고 핸들링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고, 중량 평균 분자량이 3,000 미만이면 열경화시에 경화 부족이 되고 용매내성 및 내열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중량 평균 분자량은 겔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한 폴리스티렌 환산 측정값이다.
또, 중합체A는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한, 식[1a]~ [1c] 이외의 다른 반복 단위를 포함해도 된다. 상기 그 밖의 반복 단위를 부여하는 중합성 화합물로서는 아크릴산에스터 화합물, 메타크릴산에스터 화합물, 말레이미드 화합물, 아크릴아마이드 화합물, 아크릴로나이트릴, 말레산 무수물, 스티렌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그 밖의 반복 단위의 함유율은 전체 반복 단위 100몰% 중, 0~10몰%가 바람직하다. 상기 그 밖의 반복 단위의 함유율이 지나치게 크면, 중합체A의 특성, 예를 들면 액정성 등의 특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중합체A는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중합성 화합물의 합성]
중합체A의 원료가 되는 중합성 화합물은 하기 식[7], [8] 또는 [9]으로 표시된다.
Figure 112015097550220-pct00008
[식 중, R2, R3, G1, G2, A, q, r 및 s1~s4는 상기와 동일하다.
X' 및 Y'는 각각 독립으로 하기 식[10] 또는 [11]으로 표시되는 중합성기이다.
Figure 112015097550220-pct00009
(식 중, R1은 상기와 동일하다.)]
상기 식[7]으로 표시되는 중합성 화합물은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하여 제조된다.
G1이 -COO-의 경우, 하기 스킴으로 표시되는 바와 같이, 식[12]으로 표시되는 벤조산 유도체와 페놀 유도체를 용매 중 축합제의 존재하에서 축합시킴으로써 제조된다.
Figure 112015097550220-pct00010
(식 중, R2, X', q, s1 및 s2는 상기와 동일하다. DCC는 N,N'-다이사이클로헥실카보다이이미드, DMAP는 4-다이메틸아미노파이리딘을 나타낸다.)
G1이 -OCO-의 경우, 하기 스킴으로 표시되는 바와 같이, 식[13]으로 표시되는 페놀 유도체와 벤조산 유도체를 용매 중 축합제의 존재하에서 축합시킴으로써 제조된다.
Figure 112015097550220-pct00011
(식 중, R2, X', q, s1 및 s2는 상기와 동일하다.)
상기 식[12] 및 [1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X'가 식[10]으로 표시되는 기의 경우는, SYNTHON Chemicals사 또는 미도리카가쿠(주)에서 시판품으로서 입수 가능하다.
또, 상기 식[12] 및 [1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X'가 식[11]으로 표시되는 기의 경우는, 예를 들면, Talaga 등(P. Talaga, M. Schaeffer, C. Benezra and J. L. Stampf, Synthesis, 530(1990))이 제안하는 수법을 사용하여 합성할 수 있다. 이 수법은 하기 합성 스킴(A1)으로 표시되는 바와 같이, SnCl2를 사용하여 2-(브로모메틸)아크릴산과, 알데하이드 또는 케톤을 반응시키는 방법이다. 또한, 2-(브로모메틸)아크릴산은 Ramarajan 등이 제안하는 방법으로 얻을 수 있다(K. Ramarajan, K. Kamalingam, D. J. O'Donnell and K. D. Berlin, Organic Synthesis, vol. 61, pp. 56-59(1983)).
Figure 112015097550220-pct00012
(식 중, R'는 1가의 유기기를 나타내고, Amberlyst(등록상표) 15는 롬앤드하스사제 이온 교환 수지이다. THF는 테트라하이드로퓨란을 나타낸다. Et는 에틸기를 나타낸다.)
또, SnCl2를 사용한 2-(브로모메틸)아크릴산의 반응에서는 알데하이드 또는 케톤 대신에 대응하는 아세탈 또는 케탈과의 반응에 의해, α-메틸렌-γ-뷰티로락톤 구조를 얻을 수도 있다.
아세탈 또는 케탈로서는 다이메틸아세탈기, 다이에틸아세탈기, 1,3-다이옥세인기, 1,3-다이옥솔레인기 등을 가지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하기 합성 스킴(A2)에 아세탈 또는 케탈을 사용한 경우의 합성법 및 보호기를 나타낸다.
Figure 112015097550220-pct00013
(식 중, R'는 상기와 동일하다.)
상기 합성 스킴(A1) 또는 (A2)의 수법을 응용한 하기 합성 스킴(B) 또는 (C)의 수법에 의해, 식[12] 또는 [1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합성할 수 있다.
Figure 112015097550220-pct00014
(식 중, q 및 s1은 상기와 동일하다. Me은 메틸기를 나타낸다. PCC는 파이리디늄클로로크로메이트를 나타낸다.)
Figure 112015097550220-pct00015
(식 중, q 및 s1은 상기와 동일하다.)
식[8]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예를 들면 하기 스킴으로 표시되는 바와 같이 식[14]으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신남산 화합물을 용매 중 축합제의 존재하에서 축합시킴으로써 제조된다.
Figure 112015097550220-pct00016
(식 중, R3, G2, r, s3 및 s4는 상기와 동일하다.)
식[14]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예를 들면 하기 합성 스킴(D)에 표시되는 방법에 의해 얻어진다.
Figure 112015097550220-pct00017
(식 중, G2, r, s3 및 s4는 상기와 동일하다.)
식[9]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Y'가 식[10]으로 표시되는 기인 경우는 시판품으로서 입수 가능하다.
또, 식[9]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Y'가 식[11]으로 표시되는 기인 경우는, 하기 합성 스킴(E)에 나타내는 방법에 의해 합성할 수도 있다.
Figure 112015097550220-pct00018
(식 중, A는 상기와 동일하다.)
[(B)중합체B]
(B)성분의 중합체(이하, 중합체B)는 하기 식[6]으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함유하는 것이다.
Figure 112015097550220-pct00019
식[6] 중, R4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며, R5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아이소프로필기 또는 사이클로프로필기이다. R4로서는 메틸기가 바람직하다. 또, R5로서는 메틸기가 바람직하다.
중합체B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3,000~1,000,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5,000~600,0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00~100,00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00을 넘으면 용매에 대한 용해성이 저하되고 핸들링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중합체B는 반복 단위 1종으로 이루어지는 단독 중합체여도 복수의 반복 단위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여도 된다. 중합체B가 공중합체인 경우는, 모든 반복 단위가 식[6]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중합체B는 단독 중합체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중합체B의 첨가량은 중합체A 100질량부에 대하여 1~15질량부가 바람직하고, 2~10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다.
중합체B는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중합체의 합성]
중합체A 및 B를 합성하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래디컬 중합, 아니온 중합, 카티온 중합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이들 중, 특히 래디컬 중합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용매 중 상기 반복 단위를 부여할 수 있는 중합성 화합물을 중합 개시제의 존재하에서 가열하고 중합시키면 된다.
상기 중합 개시제로서는 종래 공지의 것으로부터 적당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과산화벤조일, 큐멘하이드로퍼옥사이드, t-뷰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 등의 과산화물; 과황산나트륨, 과황산칼륨, 과황산암모늄 등의 과황산염; 아조비스아이소뷰티로나이트릴(AIBN), 아조비스메틸뷰티로나이트릴, 아조비스아이소발레로나이트릴 등의 아조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은 중합성 화합물 1mol에 대하여 0.01~0.05mol정도가 바람직하다.
반응 온도는 0℃로부터 사용하는 용매의 비점까지에서 적당히 설정하면 되는데, 20~100℃정도가 바람직하다. 반응 시간은 0.1~30시간정도가 바람직하다.
중합 반응에 사용되는 용매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중합 반응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각종 용매로부터 적당히 선택하여 사용하면 된다. 구체적으로는 물; 메탄올, 에탄올, 1-프로판올, 2-프로판올, 1-뷰탄올, 2-뷰탄올, 아이소뷰탄올, t-뷰탄올, 1-펜탄올, 2-펜탄올, 3-펜탄올, 아이소펜탄올, t-펜탄올, 1-헥산올, 1-헵탄올, 2-헵탄올, 3-헵탄올, 2-옥탄올, 2-에틸-1-헥산올, 벤질알코올, 사이클로헥산올 등의 알코올류; 다이에틸에터, 다이아이소프로필에터, 다이뷰틸에터, 사이클로펜틸메틸에터, 테트라하이드로퓨란, 1,4-다이옥세인 등의 에터류; 클로로폼, 다이클로로메테인, 다이클로로에테인, 사염화탄소 등의 할로겐화탄화수소류; 메틸셀로솔브, 에틸셀로솔브, 아이소프로필셀로솔브, 뷰틸셀로솔브, 다이에틸렌글라이콜모노뷰틸에터 등의 에터알코올류;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아이소뷰틸케톤, 사이클로헥산온 등의 케톤류;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뷰틸, 프로피온산에틸, 셀로솔브아세테이트 등의 에스터류; n-펜테인, n-헥세인, n-헵테인, n-옥테인, n-노네인, n-데케인, 사이클로펜테인, 메틸사이클로펜테인, 사이클로헥세인, 메틸사이클로헥세인, 벤젠, 톨루엔, 자일렌, 에틸벤젠, 아니솔 등의 지방족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류; 메틸알, 다이에틸아세탈 등의 아세탈류; 폼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등의 지방산류; 나이트로프로페인, 나이트로벤젠, 다이메틸아민, 모노에탄올아민, 파이리딘, N-메틸-2-파이롤리돈(NMP), N,N-다이메틸폼아마이드, 다이메틸설폭사이드, 아세토나이트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중합체A 및 B가 상기 그 밖의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경우, 그 합성 방법으로서는 상기 중합시에 상기 그 밖의 반복 단위를 부여하는 중합성 화합물을 공존시켜 중합하면 된다.
또한, 중합체A 및 B는 랜덤 공중합체, 교호 공중합체, 블록 공중합체의 어느 것이어도 된다.
[(C)유기 용매]
(C)성분의 유기 용매로서는 예를 들면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다이옥세인 등의 에터류; 벤젠, 톨루엔, 자일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N,N-다이메틸폼아마이드, N-메틸-2-파이롤리돈 등의 극성 용매;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뷰틸, 락트산에틸 등의 에스터류; 3-메톡시프로피온산메틸, 2-메톡시프로피온산메틸, 3-메톡시프로피온산에틸, 2-메톡시프로피온산에틸, 3-에톡시프로피온산에틸, 2-에톡시프로피온산에틸 등의 알콕시에스터류; 에틸렌글라이콜다이메틸에터, 프로필렌글라이콜다이메틸에터 등의 글라이콜다이알킬에터류; 다이에틸렌글라이콜다이메틸에터, 다이에틸렌글라이콜다이에틸에터, 다이에틸렌글라이콜메틸에틸에터,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다이메틸에터 등의 다이글라이콜다이알킬에터류; 에틸렌글라이콜모노메틸에터, 에틸렌글라이콜모노에틸에터, 프로필렌글라이콜모노메틸에터, 프로필렌글라이콜모노에틸에터 등의 글라이콜모노알킬에터류; 다이에틸렌글라이콜모노메틸에터, 다이에틸렌글라이콜모노에틸에터,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모노메틸에터,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모노에틸에터 등의 다이글라이콜모노알킬에터류; 프로필렌글라이콜모노메틸에터아세테이트, 카비톨아세테이트, 에틸셀로솔브아세테이트 등의 글라이콜모노알킬에터에스터류; 사이클로헥산온, 메틸에틸케톤, 메틸아이소뷰틸케톤, 2-헵탄온 등의 케톤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유기 용매는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프로필렌글라이콜모노메틸에터, 프로필렌글라이콜모노메틸에터아세테이트, 락트산에틸, 사이클로헥산온, 톨루엔과 사이클로헥산온의 혼합 용매 등이 바람직하다.
유기 용매의 사용량은 조성물 중 60~95질량%정도로 하는 것이 적합하다.
[그 밖의 성분]
또,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기판과의 친화성을 향상시킬 목적에서 계면활성제를 첨가해도 된다. 계면활성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불소계 계면활성제, 실리콘계 계면활성제, 노니온계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는데, 기판과의 친화성 개선 효과가 높은 불소계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다.
불소계 계면활성제의 구체예로서는 (이하, 상품명), 에프탑 EF301, EF303, EF352((주)토켐프로덕츠제), 메가팍 F171, F173, R-30(DIC(주)제), 플루오라드 FC430, FC431(스미토모스리엠(주)제), 아사히가드 AG710, 서플론 S-382, SC101, SC102, SC103, SC104, SC105, SC106(아사히글래스(주)제)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계면활성제는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그 첨가량은 중합체A 및 B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하여 5질량부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기판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목적에서 밀착 촉진제를 첨가해도 된다. 밀착 촉진제로서는 트라이메틸클로로실레인, 다이메틸비닐클로로실레인, 메틸다이페닐클로로실레인, 클로로메틸다이메틸클로로실레인 등의 클로로실레인류; 트라이메틸메톡시실레인, 다이메틸다이에톡시실레인, 메틸다이메톡시실레인, 다이메틸비닐에톡시실레인, 다이페닐다이메톡시실레인, 페닐트라이에톡시실레인 등의 알콕시실레인류; 헥사메틸다이살라잔, N,N'-비스(트라이메틸실릴)유레아, 다이메틸트라이메틸실릴아민, 트라이메틸실릴이미다졸 등의 실라잔류; 비닐트라이클로로실레인, γ-클로로프로필트라이메톡시실레인, γ-아미노프로필트라이에톡시실레인, γ-메타크릴록시프로필트라이메톡시실레인,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라이메톡시실레인, γ-(N-피페리디닐)프로필트라이메톡시실레인 등의 실레인류; 벤조트라이아졸, 벤즈이미다졸, 인다졸, 이미다졸, 2-머캅토벤즈이미다졸, 2-머캅토벤조티아졸, 2-머캅토벤조옥사졸, 유라졸, 유라실, 머캅토이미다졸, 머캅토파이리미딘 등의 복소환상 화합물; 1,1-다이메틸유레아, 1,3-다이메틸유레아 등의 요소 화합물; 티오요소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밀착 촉진제는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그 첨가량은 중합체A 및 B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하여 1질량부 이하가 바람직하다.
[조성물]
본 발명의 조성물은 (A) 적어도 1종의 중합체A, (B) 적어도 1종의 중합체B, (C)유기 용매 및 필요에 따라 그 밖의 성분을 혼합함으로써 얻어진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조제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기 용매에 중합체A, 중합체B 및 그 밖의 성분을 동시에 또는 임의의 순서로 첨가하고 혼합하면 된다.
[단층 도포형 수평 배향 필름]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조성물을 기판(예를 들면, 실리콘/이산화실리콘 피복 기판, 실리콘나이트라이드 기판, 금속, 예를 들면, 알루미늄, 몰리브덴, 크롬 등이 피복된 기판, 유리 기판, 석영 기판, ITO 기판 등)이나 필름(예를 들면, 트라이아세틸셀룰로오스(TAC) 필름, 사이클로올레핀 폴리머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아크릴 필름 등의 수지 필름) 등 상에, 바 코트, 스핀 코트, 플로우 코트, 롤 코트, 슬릿 코트, 슬릿 코트에 이은 스핀 코트, 잉크젯법, 인쇄법 등의 방법에 의해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하고, 그 후, 핫플레이트 또는 오븐 등에서 가열 건조함으로써 막을 형성할 수 있다.
가열 건조의 조건으로서는 예를 들면 온도 50~100℃, 시간 0.1~60분간의 범위 중에서 적당히 선택된 가열 온도 및 가열 시간이 채용된다. 상기 가열 온도 및 가열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50~80℃, 0.1~2분간이다.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막에 직선 편광 조사를 행하고, 포스트베이크를 행함으로써, 단층 도포형 수평 배향 필름이 얻어진다.
직선 편광의 조사 방법으로서는 통상 150~450nm의 파장의 자외선~가시광선이 사용되며, 실온 또는 가열한 상태에서 직선 편광을 조사함으로써 행해진다.
또, 포스트베이크는 핫플레이트 또는 오븐 등에서 가열하면 되고, 그 온도 및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90~150℃, 2~20분간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95~120℃, 5~20분간이다.
본 발명의 단층 도포형 수평 배향 필름의 막두께는 사용하는 기판의 단차나 광학적, 전기적 성질을 고려하여 적당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면 0.1~3μm가 적합하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본 발명의 단층 도포형 수평 배향 필름은 표시 장치나 기록 재료 등의 용도에 적합한 광학 특성을 가지는 재료이며, 특히 액정 디스플레이용의 편광판 및 위상차판 등의 광학 보상 필름으로서 적합하다.
실시예
이하, 합성예,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각 물성의 측정 방법 및 측정 조건은 이하와 같다.
[1] NMR
화합물을 중수소화클로로폼(CDCl3)에 용해하고, 핵자기 공명 장치(300MHz, 디올사제)를 사용하여 1H-NMR을 측정했다.
[2] 평균 분자량 측정
쇼와덴코(주)제 Shodex GPC-101(용매:테트라하이드로퓨란, 검량선:표준 폴리스티렌)을 사용하여, 수 평균 분자량(Mn), 중량 평균 분자량(Mw)을 측정했다.
[3] 필름의 리타데이션값
리타데이션 측정 장치(RETS-100, 오츠카덴시(주)제)를 사용하여 파장 550nm의 리타데이션값의 α각도 의존성을 측정했다.
[4] 편광 현미경 관찰
(주)니콘제의 편광 현미경 E600-Pol을 사용하여 관찰을 행했다.
[합성예 1] 중합성 화합물(M1)의 합성
Figure 112015097550220-pct00020
4-(6-아크릴로일옥시-1-헥실옥시)벤조산(SYNTHON Chemicals사제) 29.2g(100mmol), 4-하이드록시바이페닐 17.0g(100mmol), DMAP 0.6g 및 소량의 다이뷰틸하이드록시톨루엔(BHT)을 실온에서 교반하, 염화메틸렌 200mL에 현탁시키고, 그것에 염화메틸렌 100mL에 DCC 24.0g(116mmol)을 용해시킨 용액을 가하여 밤새 교반했다. 석출한 DCC 유레아를 여별하고, 그 여액을 0.5mol/L 염산 150mL,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150mL, 포화 식염수 150mL로 순차적으로 2회씩 세정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후, 용매를 증류제거하고, 에탄올에 의한 재결정으로 정제하여, 원하는 중합성 화합물(M1) 39.6g을 얻었다(수율 89%). NMR의 측정 결과를 이하에 나타낸다.
1H-NMR(CDCl3)δ:1.57(m,4H), 1.70(m,2H), 1.86(m,2H), 4.00(m,2H), 4.19(m,2H), 5.82(m,1H), 6.12(m,1H), 6.39(m,1H), 6.97(d,2H), 7.29(m,2H), 7.36(m,1H), 7.47(m,2H), 7.62(m,4H), 8.18(m,2H)
[합성예 2] 중합성 화합물(M2)의 합성
(1) 중간체 화합물(P2)의 합성
Figure 112015097550220-pct00021
냉각관 부착 500mL 가지형 플라스크에 바이페놀 18.6g(100mmol), 2-(4-브로모-1-뷰틸)-1,3-다이옥솔레인 10.0g(48mmol), 탄산칼륨 13.8g(100mmol) 및 아세톤 200mL를 가하여 혼합물로 하고, 온도 64℃에서 24시간 교반하면서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액을 순수 500mL에 부어 백색의 고체를 얻었다. 이 고체를 메탄올과 혼합하여, 여과를 행하고, 용매를 증류제거했더니 백색의 고체를 얻었다. 다음에, 이 고체를 클로로폼과 혼합하여, 여과를 행하고, 용매를 증류제거하여 백색의 고체 7.2g을 얻었다. 이 고체를 NMR로 측정한 결과를 이하에 나타낸다. 이 결과로부터 이 백색 고체가 중간체 화합물(P2)인 것이 확인되었다.(수율 48%)
1H-NMR(CDCl3)δ:1.62(m,2H), 1.76(m,2H), 1.87(m,2H), 3.85(m,2H), 4.00(m,4H), 4.90(m,1H), 6.87(m,4H), 7.42(m,4H)
(2) 중간체 화합물(Z2)의 합성
Figure 112015097550220-pct00022
다음에, 냉각관 부착 300mL 가지형 플라스크에 상기에서 얻어진 중간체 화합물(P2) 7.2g(23mmol), 2-(브로모메틸)아크릴산 4.1g(25mmol), THF 60mL, 염화주석(II) 4.7g(25mmol) 및 10질량% HCl 수용액 19mL를 가하여 혼합물로 하고, 온도 70℃에서 5시간 교반하여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액을 순수 200mL에 부어 백색 고체 6.1g을 얻었다. 이 고체를 NMR로 측정한 결과를 이하에 나타낸다. 이 결과로부터 이 백색 고체가 중간체 화합물(Z2)인 것이 확인되었다.(수율 78%)
1H-NMR(CDCl3)δ:1.60-1.95(m,6H), 2.64(m,1H), 3.11(s,1H), 4.02(t,2H), 4.60(m,1H), 4.82(s,1H), 5.64(s,1H), 6.24(s,1H), 6.88(d,2H), 6.94(d,2H), 7.44(m,4H)
(3) 중합성 화합물(M2)의 합성
Figure 112015097550220-pct00023
중간체 화합물(Z2) 3.4g(10mmol), 4-메톡시신남산 1.8g(10mmol), DMAP 0.08g 및 소량의 BHT를 실온에서 교반하, 염화메틸렌 30mL에 현탁시키고, 그것에 염화메틸렌 15mL에 DCC 2.6g(13mmol)을 용해시킨 용액을 가하여 밤새 교반했다. 석출한 DCC 유레아를 여별하고, 그 여액을 0.5mol/L 염산 50mL,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50mL, 포화 식염수 50mL로 순차적으로 2회씩 세정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후, 용매를 증류제거하고, 에탄올에 의한 재결정으로 정제하여, 원하는 중합성 화합물(M2) 4.3g을 얻었다(수율 86%). NMR의 측정 결과를 이하에 나타낸다.
1H-NMR(CDCl3)δ:1.60-1.90(m,6H), 2.63(m,1H), 3.09(m,1H), 3.87(s,3H), 4.03(m,2H), 4.57(m,1H), 5.64(m,1H), 6.24(d,1H), 6.54(d,1H), 6.95(m,4H), 7.26(m,2H), 7.44(m,2H), 7.57(m,4H), 7.86(d,1H)
[합성예 3] 중합체(1)의 합성
Figure 112015097550220-pct00024
냉각관을 구비한 플라스크에 합성예 1에서 얻어진 중합성 화합물(M1) 0.44g(1.0mmol), 합성예 2에서 얻어진 중합성 화합물(M2) 0.30g(0.6mmol), n-도데실아크릴레이트 0.10g(0.4mmol), NMP 8.0g, AIBN 17mg을 도입하고, 플라스크 내를 질소 치환한 후, 온도 60℃에서 20시간 교반하여 반응시켰다. 얻어진 반응 용액을 200mL의 메탄올에 투입하고, 백색 분말을 침전시켰다. 이 백색 분말을 여과한 후, 실온에서 진공 건조를 행하여 중합체(1)를 0.60g 얻었다(수율 71%).
얻어진 중합체의 Mn은 10,828, Mw는 23,822였다(Mw/Mn=2.2).
[합성예 4] 폴리메타크릴산메틸(PMMA)의 합성
냉각관을 구비한 플라스크에 메틸메타크릴레이트 10.0g(100mmol), 톨루엔 100mL, AIBN 160mg을 도입하고, 플라스크 내를 질소 치환한 후, 온도 60℃에서 20시간 교반하여 반응시켰다. 얻어진 반응 용액을 600mL의 헥세인에 투입하고, 백색 분말을 침전시켰다. 이 백색 분말을 여과한 후, 실온에서 진공 건조를 행하여 PMMA를 8.1g 얻었다(수율 81%).
얻어진 중합체의 Mn은 9,045, Mw는 19,899였다(Mw/Mn=2.2).
[합성예 5] 폴리아크릴산도데실(PDA)의 합성
냉각관을 구비한 플라스크에 n-도데실아크릴레이트 12.0g(50mmol), 1,4-다이옥세인 100g, AIBN 80mg을 도입하고, 플라스크 내를 질소 치환한 후, 온도 60℃에서 20시간 교반하여 반응시킨 후, 얻어진 반응 용액을 2,000mL의 물/메탄올(1/1)에 투입했다. 얻어진 생성물이 점성 액체였기 때문에, 생성물을 디캔테이션에 의해 분리하고 건조시킴으로써 PDA를 7.4g 얻었다(수율 62%).
얻어진 중합체의 Mn은 14,120, Mw는 38,124였다(Mw/Mn=2.7).
[실시예, 비교예] 조성물의 조제 및 필름의 제작·평가
합성예에서 얻어진 중합체를 사용하여 조성물을 조제하여, 필름을 제작하고, 그 특성을 검토했다.
[실시예 1]
중합체(1) 300mg, PMMA(ALDRICH사제, Mw=120,000) 15mg 및 계면활성제인 R-30(DIC(주)제) 0.6mg을 톨루엔/사이클로헥산온(75/25, w/w) 1.700g에 용해하여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2]
중합체(1) 300mg, 합성예 4에서 합성한 PMMA 15mg 및 계면활성제인 R-30(DIC(주)제) 0.6mg을 톨루엔/사이클로헥산온(75/25, w/w) 1.700g에 용해하여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3]
중합체(1) 300mg, 합성예 4에서 합성한 PMMA 30mg 및 계면활성제인 R-30(DIC(주)제) 0.6mg을 톨루엔/사이클로헥산온(75/25, w/w) 1.700g에 용해하여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4]
중합체(1) 300mg, 폴리메타크릴산에틸(PEMA)(ALDRICH사제, Mw=515,000) 15mg 및 계면활성제인 R-30(DIC(주)제) 0.6mg을 톨루엔/사이클로헥산온(75/25, w/w) 1.700g에 용해하여 조성물을 얻었다.
[비교예 1]
중합체(1) 300mg 및 계면활성제인 R-30(DIC(주)제) 0.6mg을 톨루엔/사이클로헥산온(75/25, w/w) 1.700g에 용해하여 조성물을 얻었다.
[비교예 2]
중합체(1) 300mg, 폴리메타크릴산뷰틸(PBMA)(ALDRICH사제, Mw=337,000) 15mg 및 계면활성제인 R-30(DIC(주)제) 0.6mg을 톨루엔/사이클로헥산온(75/25, w/w) 1.700g에 용해하여 조성물을 얻었다.
[비교예 3]
중합체(1) 300mg, 폴리메타크릴산t-뷰틸(PtBMA)(ALDRICH사제, Mw=170,000) 15mg 및 계면활성제인 R-30(DIC(주)제) 0.6mg을 톨루엔/사이클로헥산온(75/25, w/w) 1.700g에 용해하여 조성물을 얻었다.
[비교예 4]
중합체(1) 300mg, 합성예 5에서 합성한 PDA 15mg 및 계면활성제인 R-30(DIC(주)제) 0.6mg을 톨루엔/사이클로헥산온(75/25, w/w) 1.700g에 용해하여 조성물을 얻었다.
[배향 필름의 제작]
각 조성물을 TAC 필름 상에 바 코트(바#5)에 의해 도포하고, 핫플레이트를 사용하여 60℃에서 2분간 프리베이크한 후, 실온까지 방랭했다. 이 때, 필름 상에 얻어진 막은 투명했다.
다음에, 10×10cm의 TAC 필름에 형성된 도막을 하기 프로세스에 의해 노광한 후, 오븐을 사용하여 110℃에서 15분간 포스트베이크했다. 얻어진 필름의 막두께는 1μm정도이며, 편광 현미경으로 그것을 관찰했더니 필름이 기판면에 대하여 수평 배향하고 있는 것을 확인했다.
[노광 방법(패턴화 프로세스)]
·패턴 1:마스크없이 직선 편광 자외선 20mJ/cm2 조사를 행했다.
·패턴 2:패턴 1에 의한 노광 후, 필름의 절반을 마스크하고, 또한 수직 방향(각도 90°)으로부터 직선 편광 자외선 60mJ/cm2 조사를 행했다. 이 방법에 의해, 배향 방향 90°의 차를 나타내는 패턴화 필름을 얻었다. 또한, 노광시, TAC 필름의 연신 방향을 정하여 조사를 행하고, 패턴 1과 패턴 2가 연신 방향을 축으로 좌우대칭이 되도록 조사를 행했다.
얻어진 필름의 리타데이션값(Δnd) 및 Δα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Δα는 배향 각도(90°)로부터의 각도의 어긋남을 나타낸다.
중합체 B 노광 조건 Δnd (nm) Δα

실시예 1

PMMA
패턴 1 151
1°미만
패턴 2 149

실시예 2

PMMA
패턴 1 157
1°미만
패턴 2 152

실시예 3

PMMA
패턴 1 144
1°미만
패턴 2 139

실시예 4

PEMA
패턴 1 160
패턴 2 157

비교예 1

없음
패턴 1 156
패턴 2 155

비교예 2

PBMA
패턴 1 151
패턴 2 141

비교예 3

PtBMA
패턴 1 163
패턴 2 150

비교예 4

PDA
패턴 1 151
패턴 2 145
표 1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PMMA나 PEMA를 첨가함으로써, TAC 필름 상에서 제작한 패턴화 필름의 배향 방향의 각도의 어긋남을 저감시킬 수 있었다.
또, 도 1 및 2에 실시예 1 및 비교예 1 필름의 리타데이션값의 α각도 의존성을 나타낸다. 실시예 1(도 1)과 비교예 1(도 2)을 비교하면, 실시예 1에서는 α각도 45°일 때에 양쪽의 패턴의 리타데이션값이 0nm정도인 것에 대해, 비교예 1에서는 각 패턴의 리타데이션값의 어긋남이 보였다.

Claims (4)

  1. (A)하기 식[1a], [1b] 및 [1c]으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함유하는 중합체A,
    (B)하기 식[6]으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만으로 이루어지는 중합체B 및
    (C)유기 용매
    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Figure 112020025794362-pct00025

    [식 중, X 및 Y는 각각 독립으로 하기 식[2] 또는 [3]으로 표시되는 기이며,
    Figure 112020025794362-pct00026

    (식[3] 중, R1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다. 파선은 결합손이다.)
    M1은 하기 식[4]으로 표시되는 기이며, M2는 하기 식[5]으로 표시되는 기이며,
    Figure 112020025794362-pct00027

    (식[4] 및 [5] 중, s1, s2, s3 및 s4는 각각 독립으로 1 또는 2이며, G1 및 G2는 각각 독립으로 단결합, -COO- 또는 -OCO-이며, R2 및 R3은 각각 독립으로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사이아노기, 탄소수 1~10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10의 알콕시기이다. 파선은 결합손이다.)
    A는 탄소수 2~15의 직쇄상 또는 분기상의 알킬기이며,
    m, n 및 p는 각각 0<m<1, 0<n<1, 0≤p≤0.5, 또한 m+n+p≤1을 만족하는 수이며,
    q 및 r은 각각 독립으로 2~9의 정수이다.]
    Figure 112020025794362-pct00028

    (식[6] 중, R4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며, R5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아이소프로필기 또는 사이클로프로필기이다.)
  2. 제 1 항에 기재된 조성물을 기판에 도포하고, 이어서 편광을 조사하고 경화시킴으로써 얻어지는 단층 도포형 수평 배향 필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이 직선 편광 자외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층 도포형 수평 배향 필름.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기재된 단층 도포형 수평 배향 필름을 구비하는 광학 부재.
KR1020157028175A 2013-03-15 2014-03-11 조성물 및 단층 도포형 수평 배향 필름 KR1021287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52597 2013-03-15
JPJP-P-2013-052597 2013-03-15
PCT/JP2014/056275 WO2014142103A1 (ja) 2013-03-15 2014-03-11 組成物及び単層塗布型水平配向フィル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1129A KR20150131129A (ko) 2015-11-24
KR102128784B1 true KR102128784B1 (ko) 2020-07-01

Family

ID=51536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8175A KR102128784B1 (ko) 2013-03-15 2014-03-11 조성물 및 단층 도포형 수평 배향 필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2) JP6319292B2 (ko)
KR (1) KR102128784B1 (ko)
CN (1) CN105051104B (ko)
TW (1) TWI610949B (ko)
WO (1) WO20141421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79219B2 (ja) * 2016-02-10 2021-06-02 日産化学株式会社 液晶組成物、及び単層塗布型水平配向フィルム
KR20190042065A (ko) * 2016-08-31 2019-04-23 닛산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수증기 배리어성을 갖는 위상차막 및 그 제조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72652A1 (ja) 2006-12-15 2008-06-19 Nissan Chemical Industries, Ltd. 重合性液晶化合物および重合性液晶組成物並びに配向フィルム
WO2010044384A1 (ja) 2008-10-14 2010-04-22 日産化学工業株式会社 重合性液晶化合物および重合性液晶組成物並びに配向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70407A (ja) 1985-09-25 1987-03-31 Fuji Photo Film Co Ltd 配向膜の作成方法
JPH09208957A (ja) 1996-01-31 1997-08-12 Teijin Ltd 光学異方体の製造方法
JP3945790B2 (ja) 1997-12-25 2007-07-18 林テレンプ株式会社 複屈折フィルムとその製造方法
JP5062419B2 (ja) * 2005-04-20 2012-10-31 日産化学工業株式会社 重合性液晶化合物及びそれを含有する重合性液晶組成物並びにそれらを用いて得られる重合体
US8123977B2 (en) * 2005-11-07 2012-02-28 Lg Chem, Ltd. Copolymer for liquid crystal alignment, liquid crystal aligning layer including copolymer for liquid crystal alignment,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liquid crystal aligning layer
JP5462628B2 (ja) 2006-09-13 2014-04-02 ロリク アーゲー ボリューム光アラインされたリターダ
KR101424563B1 (ko) * 2006-10-05 2014-08-01 닛산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 가이샤 이관능성 중합성 화합물, 중합성 액정 조성물 및 배향 필름
JP2008164925A (ja) 2006-12-28 2008-07-17 Hayashi Telempu Co Ltd 位相差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955594B2 (ja) * 2008-03-17 2012-06-2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光軸方向および位相差量がパターニングされた光学材料
KR101090325B1 (ko) 2009-03-18 2011-12-07 동방에프티엘(주) 고순도 올메사탄 메독소밀의 제조방법
EP2479170B1 (en) * 2009-09-16 2018-01-03 Nissan Chemical Industries, Ltd.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sition, and oriented film
WO2012077600A1 (ja) * 2010-12-07 2012-06-14 日産化学工業株式会社 重合性化合物、重合性液晶組成物、重合体及び配向フィルム
KR101988338B1 (ko) * 2011-02-25 2019-06-12 닛산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중합성 액정 화합물, 중합성 액정 조성물 및 배향 필름
KR101988377B1 (ko) * 2012-03-09 2019-06-12 닛산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중합체, 이 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단층 도포형 수평 배향 필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72652A1 (ja) 2006-12-15 2008-06-19 Nissan Chemical Industries, Ltd. 重合性液晶化合物および重合性液晶組成物並びに配向フィルム
WO2010044384A1 (ja) 2008-10-14 2010-04-22 日産化学工業株式会社 重合性液晶化合物および重合性液晶組成物並びに配向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439130A (zh) 2014-10-16
KR20150131129A (ko) 2015-11-24
WO2014142103A1 (ja) 2014-09-18
JP2018119149A (ja) 2018-08-02
JPWO2014142103A1 (ja) 2017-02-16
JP6319292B2 (ja) 2018-05-09
JP6516028B2 (ja) 2019-05-22
CN105051104B (zh) 2017-04-05
TWI610949B (zh) 2018-01-11
CN105051104A (zh) 2015-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03977B2 (ja) 重合体、該重合体を含む組成物、及び単層塗布型水平配向フィルム
KR101768515B1 (ko) 중합성 액정 화합물, 중합성 액정 조성물 및 배향 필름
KR101819061B1 (ko) 중합성 화합물, 중합성 액정 조성물, 중합체 및 배향 필름
KR102448661B1 (ko) 횡전계 구동형 액정 표시 소자용 액정 배향막 제조용 조성물, 그 조성물을 사용한 액정 배향막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액정 배향막을 갖는 액정 표시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CN113557265A (zh) 聚合物组合物及单层相位差材料
CN113614181A (zh) 聚合物组合物和单层相位差材料
JP6516028B2 (ja) 組成物及び単層塗布型水平配向フィルム
KR101988338B1 (ko) 중합성 액정 화합물, 중합성 액정 조성물 및 배향 필름
KR20140062483A (ko) 중합성 액정 조성물 및 배향 필름
KR102372695B1 (ko) 액정 배향제, 액정 배향막, 액정 표시 소자 및 신규 모노머
CN108884391B (zh) 液晶组合物和单层涂布型水平取向膜
KR102248600B1 (ko) 중합성 액정 화합물, 액정성 중합체, 액정성 조성물 및 단층 도포형 수평 배향 필름
KR102234841B1 (ko) 막 형성용 조성물 및 단층 도포형 수평 배향 필름
TW202104307A (zh) 聚合物組成物及單層相位差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