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6761B1 - 공중합체, 및 조성물 - Google Patents
공중합체, 및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26761B1 KR102126761B1 KR1020187034461A KR20187034461A KR102126761B1 KR 102126761 B1 KR102126761 B1 KR 102126761B1 KR 1020187034461 A KR1020187034461 A KR 1020187034461A KR 20187034461 A KR20187034461 A KR 20187034461A KR 102126761 B1 KR102126761 B1 KR 10212676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oup
- copolymer
- general formula
- functional film
- film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1/02—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only carbon atom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e.g. polyxylylenes
- C08G61/04—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only carbon atom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e.g. polyxylylenes only aliphatic carbon atoms
- C08G61/06—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only carbon atom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e.g. polyxylylenes only aliphatic carbon atoms prepared by ring-opening of carbocyclic compounds
- C08G61/08—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only carbon atom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e.g. polyxylylenes only aliphatic carbon atoms prepared by ring-opening of carbocyclic compounds of carbocyclic compounds containing one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in the r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22—Esters containing halogen
- C08F220/24—Esters containing halogen containing perhaloalkyl radical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3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containing phosphorus, selenium, tellurium or a metal
- C08F230/04—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containing phosphorus, selenium, tellurium or a metal containing a metal
- C08F230/06—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containing phosphorus, selenium, tellurium or a metal containing a metal containing bor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3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containing phosphorus, selenium, tellurium or a metal
- C08F230/04—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containing phosphorus, selenium, tellurium or a metal containing a metal
- C08F230/06—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containing phosphorus, selenium, tellurium or a metal containing a metal containing boron
- C08F230/065—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containing phosphorus, selenium, tellurium or a metal containing a metal containing boron the monomer being a polymerisable borane, e.g. dimethyl(vinyl)borane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1/02—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only carbon atom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e.g. polyxylylenes
- C08G61/04—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only carbon atom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e.g. polyxylylenes only aliphatic carbon atom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halogen, nitrogen, sulfur, or oxygen atoms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08L33/1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containing halogen atom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4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containing boron, silicon, phosphorus, selenium, tellurium or a metal;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5/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halogen, nitrogen, sulfur or oxygen atoms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4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containing boron, silicon, phosphorus, selenium, tellurium, or a metal;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halogen, nitrogen, sulfur or oxygen atoms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4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containing boron, silicon, phosphorus, selenium, tellurium, or a metal;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4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containing boron, silicon, phosphorus, selenium, tellurium, or a metal;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43/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onomers containing phosphoru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22—Esters containing halogen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10—Definition of the polymer structure
- C08G2261/12—Copolym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10—Definition of the polymer structure
- C08G2261/13—Morphological aspects
- C08G2261/135—Cross-linked structur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10—Definition of the polymer structure
- C08G2261/14—Side-groups
- C08G2261/142—Side-chains containing oxygen
- C08G2261/1424—Side-chains containing oxygen containing ether groups, including alkoxy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10—Definition of the polymer structure
- C08G2261/14—Side-groups
- C08G2261/142—Side-chains containing oxygen
- C08G2261/1426—Side-chains containing oxygen containing carboxy groups (COOH) and/or -C(=O)O-moieti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10—Definition of the polymer structure
- C08G2261/14—Side-groups
- C08G2261/143—Side-chains containing nitrogen
- C08G2261/1432—Side-chains containing nitrogen containing amide group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10—Definition of the polymer structure
- C08G2261/14—Side-groups
- C08G2261/144—Side-chains containing silic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10—Definition of the polymer structure
- C08G2261/14—Side-groups
- C08G2261/146—Side-chains containing haloge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10—Definition of the polymer structure
- C08G2261/14—Side-groups
- C08G2261/148—Side-chains having aromatic uni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10—Definition of the polymer structure
- C08G2261/16—End groups
- C08G2261/164—End groups comprising organic end groups
- C08G2261/1644—End groups comprising organic end groups comprising other functional groups, e.g. OH groups, NH groups, COOH groups or boronic acid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40—Polymerisation processes
- C08G2261/41—Organometallic coupling reactions
- C08G2261/418—Ring opening metathesis polymerisation [ROMP]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70—Post-treatment
- C08G2261/72—Derivatisation
- C08G2261/724—Hydrogena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90—Applications
- C08G2261/95—Use in organic luminescent diod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여, 명세서에 기재된 일반식 (I)로 나타나는 반복 단위와, 일반식 (Ⅱ)로 나타나는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및 상기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중합체, 및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기능성막의 1종인 광학 필름은 편광판에 이용되고 있다.
편광판은 액정 표시 장치(LCD)나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유기 EL) 디스플레이(OLED) 등의 부재로서 이용되고, 그 표시 성능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일반적인 편광판은, 폴리바이닐알코올(PVA)계 수지에 아이오딘 착체 등의 2색성 색소를 흡착 배향시킨 편광자의 편면, 혹은 양면에 광학 필름을 첩합시킨 구성을 갖는다.
최근, 표시 장치의 대형화, 박형화, 플렉시블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편광판도 지금까지와는 다른 기능이나, 박형화가 요구된다.
편광판을 박형화하기 위해서는 편광판을 구성하는 광학 필름의 박형화가 필요하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가지지체 상에 도포막을 마련하고, 그 도포막에 편광자를 첩합한 후, 도포막으로부터 가지지체를 박리함으로써 막두께 10μm 미만의 도포막이 첩합된 편광판을 제작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또, 기능성막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 중에, 레벨링제로서, 함불소 공중합체 또는 실록세인 결합을 갖는 공중합체를 첨가하는 경우가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주로 사이클로올레핀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도포막이 기재되어 있고, 본 발명자들의 검토에 의하면, 가지지체와의 박리성이 우수하고, 또한 낮은 복굴절성을 갖는 도포막이지만, 한편, 이 도포막은, 편광자와의 접착성이 불충분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필름의 특장이 되는 기능은 일반적으로 필름의 주재료에 의한 것이 크지만, 그 주재료는 반드시 다른 층, 막, 또는 다른 물품과의 접착에 적합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접착에 불리한 경우가 많다.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본 발명의 목적, 즉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기능성막을 다른 층, 막, 또는 다른 물품과 충분히 접착시킬 수 있는 공중합체, 및 상기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공중합체의 하기 작용에 의하여 상술한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발견했다.
즉, 본 발명의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기능성막과, 다른 층, 막, 또는 다른 물품을 접착시키는 경우, 기능성막에 함유되는 본 발명의 공중합체는, 일반식 (I)로 나타나는 반복 단위의 작용에 의하여, 기능성막의 표면에 편재될 수 있다. 그리고, 공중합체 중의 일반식 (Ⅱ)로 나타나는 반복 단위가, 다른 층, 막, 또는 다른 물품과의 사이에 가교 반응물을 형성하기 때문에, 기능성막과, 다른 층, 막, 또는 다른 물품과의 접착성을 높일 수 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 수단인 본 발명은 이하와 같다.
<1>
하기 일반식 (I)로 나타나는 반복 단위와, 하기 일반식 (Ⅱ)로 나타나는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화학식 1]
일반식 (I) 중, R1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20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2는 적어도 하나의 불소 원자를 치환기로서 갖는 탄소수 1~20의 알킬기, 또는 -Si(Ra3)(Ra4)O-를 포함하는 기를 나타내며, L은 -O-, -(C=O)O-, -O(C=O)-, 2가의 지방족 쇄상기, 및 2가의 지방족 환상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는 2가의 연결기를 나타낸다. Ra3 및 Ra4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탄소수 1~12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화학식 2]
일반식 (II) 중, R10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20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11 및 R1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치환 혹은 무치환의 지방족 탄화 수소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아릴기, 또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헤테로아릴기를 나타내며, R11과 R12는 연결되어 있어도 된다. X1은, 2가의 연결기를 나타낸다.
<2>
상기 일반식 (I)로 나타나는 반복 단위의 R2가, 적어도 하나의 불소 원자를 치환기로서 갖는 탄소수 1~20의 알킬기를 나타내는, <1>에 기재된 공중합체.
<3>
상기 일반식 (I)로 나타나는 반복 단위가, 하기 일반식 (Ⅲ)으로 나타나는 반복 단위인, <1> 또는 <2>에 기재된 공중합체.
[화학식 3]
일반식 (III) 중, R1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20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ma 및 na는 각각 독립적으로 1~20의 정수를 나타내며, X는 수소 원자 또는 불소 원자를 나타낸다.
<4>
상기 일반식 (Ⅱ)로 나타나는 반복 단위의 X1이 -(C=O)O-, -O(C=O)-, -(C=O)NH-, -O-, -CO-, -NH-, -O(C=O)-NH-, -O(C=O)-O-, 및 -CH2-로부터 선택되는 연결기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고, 또한 탄소수가 7 이상인,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공중합체.
<5>
상기 일반식 (Ⅱ)로 나타나는 반복 단위가, 하기 일반식 (Ⅴ)로 나타나는 반복 단위인,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공중합체.
[화학식 4]
일반식 (V) 중, R10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20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11 및 R1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치환 혹은 무치환의 지방족 탄화 수소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아릴기, 또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헤테로아릴기를 나타내며, R11과 R12는 연결되어 있어도 된다. X11은, -(C=O)O-, -O(C=O)-, -(C=O)NH-, -O-, -CO-, 및 -CH2-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는 2가의 연결기를 나타낸다. X12는, -(C=O)O-, -O(C=O)-, -(C=O)NH-, -O-, -CO-, -NH-, -O(C=O)-NH-, -O(C=O)-O-, 및 -CH2-로부터 선택되는 연결기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고, 또한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환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2가의 연결기를 나타낸다. 단, 상기 X11과 상기 X12의 합계 탄소수는 7 이상이다.
<6>
상기 일반식 (II) 또는 (V)로 나타나는 반복 단위의 R11 및 R12가 수소 원자를 나타내는,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공중합체.
<7>
열가교성기를 더 갖는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공중합체.
<8>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조성물.
본 발명에 의하여, 기능성막을 다른 층, 막, 또는 다른 물품과 충분히 접착시킬 수 있는 공중합체, 및 상기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란 그 전후에 기재되는 수치를 하한값 및 상한값으로서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메트)아크릴기"는, "아크릴기 및 메타아크릴기 중 어느 한쪽 또는 쌍방"의 의미로 사용된다. "(메트)아크릴산", "(메트)아크릴아마이드", "(메트)아크릴로일기" 등도 동일하다.
[공중합체 (a)]
본 발명의 공중합체(이하, "공중합체 (a)"라고도 부름)는, 하기 일반식 (I)로 나타나는 반복 단위와, 하기 일반식 (Ⅱ)로 나타나는 반복 단위를 포함한다.
[화학식 5]
일반식 (I) 중, R1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20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2는 적어도 하나의 불소 원자를 치환기로서 갖는 탄소수 1~20의 알킬기, 또는 -Si(Ra3)(Ra4)O-를 포함하는 기를 나타내며, L은 -O-, -(C=O)O-, -O(C=O)-, 2가의 지방족 쇄상기, 및 2가의 지방족 환상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는 2가의 연결기를 나타낸다. Ra3 및 Ra4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탄소수 1~12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화학식 6]
일반식 (II) 중, R10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20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11 및 R1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치환 혹은 무치환의 지방족 탄화 수소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아릴기, 또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헤테로아릴기를 나타내며, R11과 R12는 연결되어 있어도 된다. X1은, 2가의 연결기를 나타낸다.
일반식 (I) 중의 R1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20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10의 알킬기가 바람직하며,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4의 알킬기가 보다 바람직하고,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가 더 바람직하다.
일반식 (I) 중의 R2는 적어도 하나의 불소 원자를 치환기로서 갖는 탄소수 1~20의 알킬기(플루오로알킬기)가 바람직하고, 탄소수 1~18의 플루오로알킬기인 것이 바람직하며, 탄소수 2~15의 플루오로알킬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플루오로알킬기 중의 불소 원자수는, 1~25인 것이 바람직하고, 3~21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5~21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일반식 (I) 중의 L은 -O-, -(C=O)O-, -O(C=O)-, 2가의 지방족 쇄상기, 및 2가의 지방족 환상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는 2가의 연결기를 나타낸다. 또한, -(C=O)O-는, R1 측의 탄소 원자와 C=O가 결합하여, R2와 O가 결합하는 것을 나타내고, -O(C=O)-는, R1 측의 탄소 원자와 O가 결합하여, R2와 C=O가 결합하는 것을 나타낸다.
L이 나타내는 2가의 지방족 쇄상기로서는, 탄소수 1~20의 알킬렌기가 바람직하고, 탄소수 1~10의 알킬렌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L이 나타내는 2가의 지방족 환상기로서는, 탄소수 3~20의 사이클로알킬렌기가 바람직하고, 탄소수 3~15의 사이클로알킬렌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L로서는, -(C=O)O-, 또는 -O(C=O)-가 바람직하고, -(C=O)O-가 보다 바람직하다.
접착성에 유리한 표면 편재성의 관점 및 라디칼 중합성의 관점에서, 일반식 (I)로 나타나는 반복 단위는, 하기 일반식 (Ⅲ)으로 나타나는 반복 단위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화학식 7]
일반식 (III) 중, R1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20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ma 및 na는 각각 독립적으로 1~20의 정수를 나타내며, X는 수소 원자 또는 불소 원자를 나타낸다.
일반식 (III) 중의 R1은 일반식 (I) 중의 R1과 동의이며, 바람직한 범위도 동일하다.
일반식 (III) 중의 ma 및 na는 1~20의 정수를 나타낸다.
접착성에 유리한 표면 편재의 관점 및 원료 입수 및 제조의 용이함의 관점에서, 일반식 (III) 중의 ma는 1~8의 정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의 정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na는 1~15의 정수인 것이 바람직하고, 1~12의 정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10의 정수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5~7의 정수가 가장 바람직하다.
일반식 (III) 중의 X는 수소 원자 또는 불소 원자를 나타내고, 불소 원자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식 (I) 또는 (III)으로 나타나는 반복 단위는, 단량체의 중합에 의하여 얻을 수 있고, 바람직한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면 2,2,2-트라이플루오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2,3,3,3-펜타플루오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2-(퍼플루오로뷰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퍼플루오로헥실)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퍼플루오로옥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퍼플루오로데실)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퍼플루오로-3-메틸뷰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퍼플루오로-5-메틸헥실)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퍼플루오로-7-메틸옥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1H,1H,3H-테트라플루오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1H,1H,5H-옥타플루오로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1H,1H,7H-도데카플루오로헵틸(메트)아크릴레이트, 1H,1H,9H-헥사데카플루오로노닐(메트)아크릴레이트, 1H-1-(트라이플루오로메틸)트라이플루오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1H,1H,3H-헥사플루오로뷰틸(메트)아크릴레이트, 3-퍼플루오로뷰틸-2-하이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3-퍼플루오로헥실-2-하이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3-퍼플루오로옥틸-2-하이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3-(퍼플루오로-3-메틸뷰틸)-2-하이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3-(퍼플루오로-5-메틸헥실)-2-하이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3-(퍼플루오로-7-메틸옥틸)-2-하이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식 (I) 중의 R2는 적어도 하나의 불소 원자를 치환기로서 갖는 탄소수 1~20의 알킬기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것과는 다른 양태로서, 일반식 (I) 중의 R2가, -Si(Ra3)(Ra4)O-로 나타나는 실록세인 결합을 포함하는 반복 단위(폴리실록세인 구조)를 갖는 양태도 있다. 이 경우, 공중합체 (a)로서는, 폴리실록세인 구조가 측쇄에 도입된 그래프트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그래프트 공중합체를 얻기 위한 실록세인 결합을 갖는 화합물은, 하기 일반식 (Ⅳ)로 나타나는 화합물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화학식 8]
Ra3 및 Ra4는, 각각 독립적으로 알킬기, 할로알킬기, 또는 아릴기를 나타낸다. 알킬기로서는, 탄소수 1~10의 알킬기가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메틸기, 에틸기, 헥실기를 들 수 있다. 할로알킬기로서는, 탄소수 1~10의 불소화 알킬기가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트라이플루오로메틸기, 펜타플루오로에틸기를 들 수 있다. 아릴기로서는, 탄소수 6~20의 아릴기가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페닐기, 나프틸기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Ra3 및 Ra4는, 메틸기, 트라이플루오로메틸기, 또는 페닐기가 바람직하고, 메틸기가 특히 바람직하다.
Ra1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20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Ra5는, 탄소수 1~12의 알킬기가 바람직하고, 탄소수 1~4의 알킬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nn은, 10~1000이 바람직하고, 20~500이 보다 바람직하며, 30~200이 더 바람직하다.
일반식 (IV) 중의 nn개의 Ra3은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되며, nn개의 Ra4는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된다.
그래프트 공중합용의 실록세인 결합을 갖는 화합물로서는, 편말단 (메트)아크릴로일기 함유 폴리실록세인 마크로머(예를 들면, 사일라플레인 0721, 동 0725(이상, 상품명, JNC(주)제), AK-5, AK-30, AK-32(이상, 상품명, 도아 고세이(주)제), KF-100T, X-22-169AS, KF-102, X-22-3701IE, X-22-164B, X-22-164C, X-22-5002, X-22-173B, X-22-174D, X-22-167B, X-22-161AS(이상, 상품명, 신에쓰 가가쿠 고교(주)제) 등을 들 수 있다.
다음으로, 일반식 (II)에 대하여 설명한다.
공중합체 (a)는, 일반식 (Ⅱ)로 나타나는 반복 단위도 갖는다. 일반식 (Ⅱ)로 나타나는 반복 단위는, 수산기에 대하여 강한 상호 작용을 갖는다. 즉, 기재(기재 필름) 상에 상기 공중합체 (a)를 포함하는 조성물(기능성막 형성용 조성물)의 도포액을 도포한 후에, 도포액 표면에 수산기를 갖는 접착제층을 마련하면, 일반식 (Ⅱ)로 나타나는 반복 단위의 일부 또는 전부가 수산기와 상호 작용함으로써, 공중합체 (a)는 수산기를 갖는 접착제층 계면 및 접착제층의 내부로 확산되어 흡착된다.
따라서, 기능성막과 접착제층이 접한 후에는, 도포액 중에 첨가된 일반식 (Ⅱ)로 나타나는 반복 단위를 갖는 공중합체 (a)는, 기능성막, 접착제층, 및 양자의 계면에, 일반식 (II) 그대로의 화학 구조를 갖는 공중합체, 혹은 일반식 (Ⅱ)로 나타나는 반복 단위가 접착제층의 수산기와 반응한 구조를 갖는 유도체(가교 반응물)로서 존재한 상태를 취한다.
이와 같이, 일반식 (Ⅱ)로 나타나는 반복 단위를 갖는 공중합체 (a)가 접착제층과 상호 작용하기 때문에, 접착제층 및/또는 기능성막 중에 존재하는 공중합체 (a)의 비율에 상관없이, 공중합체 (a)를 포함하는 기능성막과 접착제층의 접착성을 높일 수 있다.
[화학식 9]
일반식 (II) 중, R10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20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11 및 R1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치환 혹은 무치환의 지방족 탄화 수소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아릴기, 또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헤테로아릴기를 나타내며, R11과 R12는 연결되어 있어도 된다. X1은, 2가의 연결기를 나타낸다.
일반식 (II) 중, R10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20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10의 알킬기가 바람직하며,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4의 알킬기가 보다 바람직하고,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가 가장 바람직하다.
일반식 (II) 중, R11 및 R12로 각각 나타나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지방족 탄화 수소기로서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알킬기, 알켄일기 및 알카인일기가 포함된다. 상기 알킬기의 구체예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뷰틸기, 펜틸기, 헥실기, 헵틸기, 옥틸기, 노닐기, 데실기, 운데실기, 도데실기, 트라이데실기, 헥사데실기, 옥타데실기, 에이코실기, 아이소프로필기, 아이소뷰틸기, sec-뷰틸기, tert-뷰틸기, 아이소펜틸기, 네오펜틸기, 1-메틸뷰틸기, 아이소헥실기, 2-메틸헥실기, 사이클로펜틸기, 사이클로헥실기, 1-아다만틸기, 2-노보닐기 등의 직쇄상, 분기상, 또는 환상의 알킬기를 들 수 있다.
상기 알켄일기의 구체예로서는, 바이닐기, 1-프로펜일기, 1-뷰텐일기, 1-메틸-1-프로펜일기, 1-사이클로펜텐일기, 1-사이클로헥센일기 등의 직쇄상, 분기상, 또는 환상의 알켄일기를 들 수 있다.
상기 알카인일기의 구체예로서는, 에타인일기, 1-프로파인일기, 1-뷰틴일기, 1-옥틴일기 등을 들 수 있다.
R11 및 R12가 각각 나타내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아릴기의 구체예로서는, 페닐기를 들 수 있다. 또, 2개 내지 4개의 벤젠환이 축합환을 형성한 것, 벤젠환과 불포화 5원환이 축합환을 형성한 것을 들 수 있고, 구체예로서는 나프틸기, 안트릴기, 페난트릴기, 인덴일기, 아세나프텐일기, 플루오렌일기, 피렌일기 등을 들 수 있다.
또, R11 및 R12가 각각 나타내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헤테로아릴기의 예로서는, 질소 원자, 산소 원자 및 황 원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헤테로 원자를 1개 이상 포함하는 복소 방향환상의 수소 원자를 1개 제거하여, 헤테로아릴기로 한 것이 포함된다. 질소 원자, 산소 원자 및 황 원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헤테로 원자를 1개 이상 포함하는 복소 방향환의 구체예로서는, 피롤, 퓨란, 싸이오펜, 피라졸, 이미다졸, 트라이아졸, 옥사졸, 아이소옥사졸, 옥사다이아졸, 싸이아졸, 싸이아다이아졸, 인돌, 카바졸, 벤조퓨란, 다이벤조퓨란, 싸이아나프텐, 다이벤조싸이오펜, 인다졸벤즈이미다졸, 안트라닐, 벤즈아이소옥사졸, 벤즈옥사졸, 벤조싸이아졸, 퓨린, 피리딘, 피리다진, 피리미딘, 피라진, 트라이아진, 퀴놀린, 아크리딘, 아이소퀴놀린, 프탈라진, 퀴나졸린, 퀴나잘린, 나프티리딘, 페난트롤린, 프테리딘 등을 들 수 있다.
R11과 R12는 연결되어 있어도 되고, 이 경우에는, R11 및 R12가 각각 독립적으로, 알킬기 또는 아릴기이며, 이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R11 및 R12가 알킬기이며, 이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X1로 나타나는 2가의 연결기로서는, -(C=O)O-, -O(C=O)-, -(C=O)NH-, -O-, -CO-, -NH-, -O(C=O)-NH-, -O(C=O)-O-, 및 -CH2-로부터 선택되는 연결기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고, 또한 탄소수가 7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R11, R12 및 X1은, 가능한 경우는 1개 이상의 치환 기에 의하여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치환기로서는 수소 원자를 제외한 1가의 비금속 원자단을 들 수 있고, 예를 들면 이하의 치환기군 Y로부터 선택된다.
치환기군 Y:
할로젠 원자(-F, -Br, -Cl, -I), 하이드록실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머캅토기, 알킬싸이오기, 아릴싸이오기, 알킬다이싸이오기, 아릴다이싸이오기, 아미노기, N-알킬아미노기, N,N-다이알킬아미노기, N-아릴아미노기, N,N-다이아릴아미노기, N-알킬-N-아릴아미노기, 아실옥시기, 카바모일옥시기, N-알킬카바모일옥시기, N-아릴카바모일옥시기, N,N-다이알킬카바모일옥시기, N,N-다이아릴카바모일옥시기, N-알킬-N-아릴카바모일옥시기, 알킬설폭시기, 아릴설폭시기, 아실싸이오기, 아실아미노기, N-알킬아실아미노기, N-아릴아실아미노기, 유레이도기, N'-알킬유레이도기, N',N'-다이알킬유레이도기, N'-아릴유레이도기, N',N'-다이아릴유레이도기, N'-알킬-N'-아릴유레이도기, N-알킬유레이도기, N-아릴유레이도기, N'-알킬-N-알킬유레이도기, N'-알킬-N-아릴유레이도기, N',N'-다이알킬-N-알킬유레이도기, N',N'-다이알킬-N-아릴유레이도기, N'-아릴-N-알킬유레이도기, N'-아릴-N-아릴유레이도기, N',N'-다이아릴-N-알킬유레이도기, N',N'-다이아릴-N-아릴유레이도기, N'-알킬-N'-아릴-N-알킬유레이도기, N'-알킬-N'-아릴-N-아릴유레이도기, 알콕시카보닐아미노기, 아릴옥시카보닐아미노기, N-알킬-N-알콕시카보닐아미노기, N-알킬-N-아릴옥시카보닐아미노기, N-아릴-N-알콕시카보닐아미노기, N-아릴-N-아릴옥시카보닐아미노기, 폼일기, 아실기, 카복실기 및 그 공액 염기기, 알콕시카보닐기, 아릴옥시카보닐기, 카바모일기, N-알킬카바모일기, N,N-다이알킬카바모일기, N-아릴카바모일기, N,N-다이아릴카바모일기, N-알킬-N-아릴카바모일기, 알킬설핀일기, 아릴설핀일기, 알킬설폰일기, 아릴설폰일기, 설포기(-SO3H) 및 그 공액 염기기, 알콕시설폰일기, 아릴옥시설폰일기, 설피나모일기, N-알킬설피나모일기, N,N-다이알킬설피나모일기, N-아릴설피나모일기, N,N-다이아릴설피나모일기, N-알킬-N-아릴설피나모일기, 설파모일기, N-알킬설파모일기, N,N-다이알킬설파모일기, N-아릴설파모일기, N,N-다이아릴설파모일기, N-알킬-N-아릴설파모일기, N-아실설파모일기 및 그 공액 염기기, N-알킬설폰일설파모일기(-SO2NHSO2(alkyl)) 및 그 공액 염기기, N-아릴설폰일설파모일기(-SO2NHSO2(aryl)) 및 그 공액 염기기, N-알킬설폰일카바모일기(-CONHSO2(alkyl)) 및 그 공액 염기기, N-아릴설폰일카바모일기(-CONHSO2(aryl)) 및 그 공액 염기기, 알콕시실릴기(-Si(Oalkyl)3), 아릴옥시실릴기(-Si(Oaryl)3), 하이드록시실릴기(-Si(OH)3) 및 그 공액 염기기, 포스포노기(-PO3H2) 및 그 공액 염기기, 다이알킬포스포노기(-PO3(alkyl)2), 다이아릴포스포노기(-PO3(aryl)2), 알킬아릴포스포노기(-PO3(alkyl)(aryl)), 모노알킬포스포노기(-PO3H(alkyl)) 및 그 공액 염기기, 모노아릴포스포노기(-PO3H(aryl)) 및 그 공액 염기기, 포스포노옥시기(-OPO3H2) 및 그 공액 염기기, 다이알킬포스포노옥시기(-OPO3(alkyl)2), 다이아릴포스포노옥시기(-OPO3(aryl)2), 알킬아릴포스포노옥시기(-OPO3(alkyl)(aryl)), 모노알킬포스포노옥시기(-OPO3H(alkyl)) 및 그 공액 염기기, 모노아릴포스포노옥시기(-OPO3H(aryl)) 및 그 공액 염기기, 사이아노기, 나이트로기, 아릴기, 알켄일기 및 알카인일기.
또, 이들 치환기는, 가능하다면 치환기끼리, 또는 치환되어 있는 탄화 수소기와 결합하여 환을 형성해도 된다.
일반식 (II) 중의 R11 및 R1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혹은 알킬기를 나타내거나, 또는 모두 알킬기이며 서로 결합하여 환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R11 및 R12는 모두 수소 원자이거나, 또는 모두 알킬기이며 서로 결합하여 환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접착성의 관점에서, 일반식 (Ⅱ)로 나타나는 반복 단위는, 하기 일반식 (Ⅴ)로 나타나는 반복 단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식 (Ⅴ)로 나타나는 반복 단위에 의한 접착성의 향상은, 수산기를 갖는 접착제층과 극성을 가깝게 하는 효과에 의한 것이라고 추정된다.
[화학식 10]
일반식 (V) 중, R10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20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11 및 R1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치환 혹은 무치환의 지방족 탄화 수소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아릴기, 또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헤테로아릴기를 나타내며, R11과 R12는 연결되어 있어도 된다. X11은 -(C=O)O-, -O(C=O)-, -(C=O)NH-, -O-, -CO-, 및 -CH2-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는 2가의 연결기를 나타낸다. X12는, -(C=O)O-, -O(C=O)-, -(C=O)NH-, -O-, -CO-, -NH-, -O(C=O)-NH-, -O(C=O)-O-, 및 -CH2-로부터 선택되는 연결기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고, 또한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환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2가의 연결기를 나타낸다. 단, 상기 X11과 X12의 합계 탄소수가 7 이상이다.
일반식 (V) 중의 X11로서는, -(C=O)O-, -O(C=O)-, -(C=O)NH-가 바람직하고, -(C=O)O-가 가장 바람직하다.
X12는, 방향환을 1~5개 함유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2~4개의 방향환을 갖는 것이 더 바람직하며, 2~3개의 방향환을 갖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일반식 (V) 중의 R10, R11 및 R12의 바람직한 범위는 각각, 일반식 (II) 중의 R10, R11 및 R12와 동일하다.
일반식 (II) 또는 (V)로 나타나는 반복 단위는, 하기 일반식 (VI)으로 나타나는 반복 단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화학식 11]
일반식 (VI) 중, X21은 -(C=O)O-, 또는 -(C=O)NH-를 나타낸다. X22는-(C=O)O-, -O(C=O)-, -(C=O)NH-, -O-, -CO-, -NH-, -O(C=O)-NH-, -O(C=O)-O-, -CH2-로부터 선택되는 연결기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2가의 연결기이며, X22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환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일반식 (VI) 중의 R10, R11 및 R12의 바람직한 범위는 각각, 일반식 (II) 중의 R10, R11 및 R12와 동일하다.
일반식 (II), (V) 또는 (VI)으로 나타나는 반복 단위는 단량체의 중합에 의하여 얻을 수 있다. 일반식 (II), (V) 또는 (VI)으로 나타나는 반복 단위를 부여하는 바람직한 단량체의 구체예를 나타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화학식 12]
[화학식 13]
[화학식 14]
[화학식 15]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공중합체 (a)는, 필요에 따라 일반식 (I)로 나타나는 반복 단위 및 일반식 (Ⅱ)로 나타나는 반복 단위 이외의 반복 단위(그 외의 반복 단위)를 갖고 있어도 된다.
그 외의 반복 단위를 부여하는 다른 종류의 모노머로서는, PolymerHandbook 2nd ed., J. Brandrup, Wiley Interscience(1975) Chapter 2 Page 1~483에 기재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아크릴산 에스터류, 메타크릴산 에스터류, 아크릴아마이드류, 메타크릴아마이드류, 알릴 화합물, 바이닐에터류, 바이닐에스터류, 이타콘산 다이알킬류, 푸마르산의 다이알킬에스터류 또는 모노알킬에스터류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부가 중합성 불포화 결합을 1개 갖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그 외의 반복 단위를 부여하는 단량체로서 구체적으로는, 이하의 단량체를 들 수 있다.
아크릴산 에스터류:
아크릴산 메틸, 아크릴산 에틸, 아크릴산 프로필, 클로로에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모노아크릴레이트, 벤질아크릴레이트, 메톡시벤질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 퓨퓨릴아크릴레이트, 테트라하이드로퓨퓨릴아크릴레이트, 2-아크릴로일옥시에틸석시네이트, 아크릴산 2-카복시에틸 등,
메타크릴산 에스터류:
메타크릴산 메틸, 메타크릴산 에틸, 메타크릴산 프로필, 클로로에틸메타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모노메타크릴레이트, 벤질메타크릴레이트, 메톡시벤질메타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퓨퓨릴메타크릴레이트, 테트라하이드로퓨퓨릴메타크릴레이트, 에틸렌글라이콜모노아세트아세테이트모노메타크릴레이트,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프탈산,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석시네이트,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헥사하이드로프탈산, 메타크릴산 2-카복시에틸 등,
아크릴아마이드류:
아크릴아마이드, N-알킬아크릴아마이드(알킬기로서는 탄소수 1~3인 것, 예를 들면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N,N-다이알킬아크릴아마이드(알킬기로서는 탄소수 1~6인 것), N-하이드록시에틸-N-메틸아크릴아마이드, N-2-아세트아마이드에틸-N-아세틸아크릴아마이드 등.
메타크릴아마이드류:
메타크릴아마이드, N-알킬메타크릴아마이드(알킬기로서는 탄소수 1~3인 것, 예를 들면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N,N-다이알킬메타크릴아마이드(알킬기로서는 탄소수 1~6인 것), N-하이드록시에틸-N-메틸메타크릴아마이드, N-2-아세트아마이드에틸-N-아세틸메타크릴아마이드 등.
알릴 화합물:
알릴에스터류(예를 들면 아세트산 알릴, 카프로산 알릴, 카프릴산 알릴, 라우르산 알릴, 팔미트산 알릴, 스테아르산 알릴, 벤조산 알릴, 아세토아세트산 알릴, 락트산 알릴 등), 알릴옥시에탄올 등
바이닐에터류:
알킬바이닐에터(예를 들면 헥실바이닐에터, 옥틸바이닐에터, 데실바이닐에터, 에틸헥실바이닐에터, 메톡시에틸바이닐에터, 에톡시에틸바이닐에터, 클로로에틸바이닐에터, 1-메틸-2,2-다이메틸프로필바이닐에터, 2-에틸뷰틸바이닐에터, 하이드록시에틸바이닐에터, 다이에틸렌글라이콜바이닐에터, 다이메틸아미노에틸바이닐에터, 다이에틸아미노에틸바이닐에터, 뷰틸아미노에틸바이닐에터, 벤질바이닐에터, 테트라하이드로퓨퓨릴바이닐에터 등),
바이닐에스터류:
바이닐아세테이트, 바이닐뷰틸레이트, 바이닐아이소뷰틸레이트, 바이닐트라이메틸아세테이트, 바이닐다이에틸아세테이트, 바이닐발레이트, 바이닐카프로에이트, 바이닐클로로아세테이트, 바이닐다이클로로아세테이트, 바이닐메톡시아세테이트, 바이닐뷰톡시아세테이트, 바이닐락테이트, 바이닐-β-페닐뷰틸레이트, 바이닐사이클로헥실카복실레이트 등.
이타콘산 다이알킬류:
이타콘산 다이메틸, 이타콘산 다이에틸, 이타콘산 다이뷰틸 등.
푸마르산의 다이알킬에스터류 또는 모노알킬에스터류: 다이뷰틸푸말레이트 등.
그 외의 반복 단위를 부여하는 단량체로서는, 크로톤산, 이타콘산, 아크릴로나이트릴, 메타크릴로나이트릴, 말레오나이트릴, 스타이렌, 4-바이닐벤조산, 스타이렌마크로머(도아 고세이사제 AS-6S), 메틸메타크릴레이트마크로머(도아 고세이사제 AA-6) 등도 들 수 있다. 또, 중합 후의 폴리머를 고분자 반응에서 구조를 변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공중합체 (a)는, 열가교성기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가교성기란, 가열에 의하여 가교 반응을 일으켜 가교하는 기이며, 그 구체예로서는 카복실기, 옥사졸린기, 하이드록실기, 아이소사이아네이트기, 말레이미드기, 아세트아세톡시기, 에폭시기, 아미노기 등을 들 수 있다. 공중합체 (a)는, 열가교성기를 갖는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공중합체 (a)가 기능성막 중에 함유되는 경우는, 기능성막 중에 포함되는 다른 화합물, 특히 스타이렌계 수지와 열가교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공중합체 (a) 및 스타이렌계 수지가 각각 서로 반응성을 나타내는 열가교성기를 가짐으로써, 공중합체 (a)를 기능성막의 표면에 고정화할 수 있어, 기능성막과, 다른 층, 막, 또는 다른 물품과의, 보다 높은 접착성을 발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공중합체 (a) 중의, 일반식 (I)로 나타나는 반복 단위의 함유량은, 공중합체 (a) 전체 질량에 대하여, 5~95질량%가 바람직하고, 8~9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며, 10~85질량%가 더 바람직하다.
공중합체 (a) 중의, 일반식 (Ⅱ)로 나타나는 반복 단위의 함유량은, 공중합체 (a) 전체 질량에 대하여, 0.5~80질량%가 바람직하고, 1~7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며, 2~60질량%가 더 바람직하다.
공중합체 (a) 중의, 열가교성기를 갖는 반복 단위의 함유량은, 공중합체 (a) 전체 질량에 대하여, 0.5~60질량%가 바람직하고, 1~5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며, 2~40질량%가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1000~200000이 바람직하고, 1800~150000이 보다 바람직하며, 2000~150000이 더 바람직하고, 2500~140000이 특히 바람직하며, 20000~120000이 매우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공중합체의 수평균 분자량(Mn)은, 500~160000이 바람직하고, 600~120000이 보다 바람직하며, 600~100000이 더 바람직하고, 1000~80000이 특히 바람직하며, 2000~60000이 매우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공중합체의 분산도(Mw/Mn)는, 1.00~18.00이 바람직하고, 1.00~16.00이 보다 바람직하며, 1.00~14.00이 더 바람직하고, 1.00~12.00이 특히 바람직하며, 1.00~10.00이 매우 바람직하다.
또한, 중량 평균 분자량 및 수평균 분자량은, 젤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하여 하기의 조건으로 측정된 값이다.
[용리액] N-메틸-2-피롤리돈(NMP)
[장치명] EcoSEC HLC-8320GPC(도소 가부시키가이샤제)
[칼럼] TSKgel SuperAWM-H(도소 가부시키가이샤제)
[칼럼 온도] 40℃
[유속] 0.50ml/min
공중합체 (a)는, 공지의 방법으로 합성할 수 있다.
공중합체 (a)의 구체예를 이하에 나타내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화학식 16]
[화학식 17]
[화학식 18]
[화학식 19]
상기 공중합체 (a)는, 기능성막 중에 함유되는 경우는, 기능성막의 기능을 저해시키지 않고, 접착제와의 접착을 강화하는 관점에서, 기능성막의 전체 고형분(용제를 제외한 전체 성분)을 100질량%로 한 경우에, 0.0001~40질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0.001~2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며, 0.005~10질량%가 더 바람직하다.
<조성물>
본 발명은 공중합체 (a)를 함유하는 조성물("조성물 (a)"라고도 부름)에도 관한 것이다. 조성물 (a) 중에는, 공중합체 (a) 외에, 분자 내에 반응성기를 갖는 화합물(모노머), 후술하는 폴리머 수지 등이 함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능성막>
이하, 본 발명의 공중합체 (a)를 함유하는 기능성막에 대하여 설명한다. 공중합체 (a)를 함유하는 기능성막은, 공중합체 (a)를 함유하는 조성물 (a)(기능성막 형성용 조성물)로 형성된 기능성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재 상에 기능성막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여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능성막 중에서 공중합체 (a)는 가교 반응물로 이루어져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기능성막이란, 투명막, 불투명막, 착색막 중 어느 것이어도 되지만, 투명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투명막은 투과율이 80% 이상, 헤이즈값이 5% 이하이면 된다. 또, 기능성막은 위상차를 갖는 막이어도 된다.
기능성막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편광자 보호막(편광판 보호 필름), 저투습성막, 광학 이방성막, 광학 등방성막을 들 수 있다.
기능성막은, 수산기를 갖는 수지와의 접착성이 특히 우수하기 때문에, 기능성막에 직접적으로 접하는 다른 층, 막, 또는 다른 물품은 수산기를 갖는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수산기를 갖는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바이닐알코올계 수지, 폴리바이닐뷰티랄 수지,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를 들 수 있다.
(기능성막의 구성)
기능성막은, 단막이어도 되고, 2층 이상의 적층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된다.
(막두께)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한 기능성막의 막두께는, 0.1~30μm이고, 0.2~20μm가 보다 바람직하며, 0.4~10μm가 더 바람직하다. 막두께를 0.1μm 이상으로 하면 편광자에 첩합한 경우의 가공 적성이나, 내구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30μm 이하로 하면 편광판을 박층화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 액정 표시 장치에 실장한 경우에 환경 변화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광불균일을 저감시키는 효과나, 온습도 변화에 따른 액정 패널의 휨을 작게 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평형 흡습률)
기능성막의 평형 흡습률은, 편광자에 첩합한 경우의 내구성의 관점에서, 막두께의 여하에 관계없이, 25℃, 상대 습도 80%의 조건에 있어서, 2.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평형 흡습률이 2.0질량% 이하이면, 편광자의 내구성을 악화시키는 친수성 성분의 혼입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기능성막의 평형 흡습률은, 필요에 따라 막두께를 두껍게 한 시료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시료를 24시간 이상 조습시킨 후에, 수분 측정기, 시료 건조 장치 "CA-03" 및 "VA-05"{모두 미쓰비시 가가쿠(주)제}로 칼 피셔법으로 측정하고, 수분량(g)을 시료 질량(g)으로 나누어 산출할 수 있다.
(기능성막을 구성하는 그 외의 재료)
본 발명의 기능성막을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상기 공중합체 (a) 외에, 분자 내에 반응성기를 갖는 화합물(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경화물 및/또는 폴리머 수지 등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분자 내에 반응성기를 갖는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경화물)
기능성막은, 분자 내에 반응성기를 갖는 화합물(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경화물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자 내에 반응성기를 갖는 화합물을 화합물 (b)라고도 부른다. 화합물 (b)는, 공중합체 (a)와 3차원적으로 얽혀 고정화할 수 있는 관점에서, 분자 내에 갖는 반응성기의 수는 2개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개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 상기 반응성기는, 특히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능성막과 기재의 박리성을 제어한다는 관점에서는, 화합물 (b)로서는,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기와 환상 지방족 탄화 수소기를 갖는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기와 환상 지방족 탄화 수소기를 갖는 화합물>>
환상 지방족 탄화 수소기로서는,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7 이상의 지환식 화합물로부터 유도되는 기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0 이상의 지환식 화합물로부터 유도되는 기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2 이상의 지환식 화합물로부터 유도되는 기이다.
환상 지방족 탄화 수소기로서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2환식, 3환식 등의, 다환식 화합물로부터 유도되는 기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215096호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화합물의 중심 골격,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010999호에 기재된 화합물의 중심 골격, 혹은 아다만테인 유도체의 골격 등을 들 수 있다.
환상 지방족 탄화 수소기로서는 구체적으로는, 노보네인기, 트라이사이클로데케인기, 테트라사이클로도데케인기, 펜타사이클로펜타데케인기, 아다만테인기, 다이아만테인기 등을 들 수 있다.
환상 지방족 탄화 수소기(연결기 포함함)로서는, 하기 일반식 (A)~(E) 중 어느 하나로 나타나는 기가 바람직하고, 하기 일반식 (A), (B), 또는 (D)로 나타나는 기가 보다 바람직하며, 하기 일반식 (A)로 나타나는 기가 더 바람직하다.
[화학식 20]
일반식 (A) 중, L10 및 L11은, 각각 독립적으로, 단결합 또는 2가 이상의 연결기를 나타낸다. n은 1~3의 정수를 나타낸다.
L10 및 L11을 통하여, 상기 환상 지방족 탄화 수소기와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기가 결합되어 있다.
[화학식 21]
일반식 (B) 중, L20 및 L21은, 각각 독립적으로, 단결합 또는 2가 이상의 연결기를 나타낸다. n은 1 또는 2를 나타낸다.
L20 및 L21을 통하여, 상기 환상 지방족 탄화 수소기와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기가 결합되어 있다.
[화학식 22]
일반식 (C) 중, L30 및 L31은, 각각 독립적으로, 단결합 또는 2가 이상의 연결기를 나타낸다. n은 1 또는 2를 나타낸다.
L30 및 L31을 통하여, 상기 환상 지방족 탄화 수소기와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기가 결합되어 있다.
[화학식 23]
일반식 (D) 중, L40 및 L41은, 각각 독립적으로, 단결합 또는 2가 이상의 연결기를 나타낸다. L42는 수소 원자, 단결합 또는 2가 이상의 연결기를 나타낸다.
L40 및 L41을 통하여, 상기 환상 지방족 탄화 수소기와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기가 결합되어 있다. L42가 단결합 또는 2가 이상의 연결기를 나타내는 경우, L42를 통하여, 상기 환상 지방족 탄화 수소기와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기가 결합되어 있다.
[화학식 24]
일반식 (E) 중, L50 및 L51은, 각각 독립적으로, 단결합 또는 2가 이상의 연결기를 나타낸다.
L50 및 L51을 통하여, 상기 환상 지방족 탄화 수소기와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기가 결합되어 있다.
일반식 (A)~(E)에 있어서, L10, L11, L20, L21, L30, L31, L40, L41, L42, L50, 및 L51로 나타나는 2가 이상의 연결기로서는, 탄소수 1~6의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알킬렌기, N위가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아마이드기, N위가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카바모일기, 에스터기, 옥시카보닐기, 에터기 등, 및 이들의 2개 이상을 조합하여 얻어지는 기를 들 수 있다.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기로서는, (메트)아크릴로일기, 바이닐기, 스타이릴기, 알릴기 등의 중합성 관능기를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메트)아크릴로일기 및 -C(O)OCH=CH2가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하기의 1분자 내에 2개 이상의 (메트)아크릴로일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하기의 1분자 내에 3개 이상의 (메트)아크릴로일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환상 지방족 탄화 수소기를 갖고, 또한 분자 내에 2개 이상의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화합물은, 상기의 환상 지방족 탄화 수소기와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기가 연결기를 통하여 결합함으로써 구성된다.
이들 화합물은, 예를 들면 상기 환상 지방족 탄화 수소기를 갖는 다이올, 트라이올 등의 폴리올과, (메트)아크릴로일기, 바이닐기, 스타이릴기, 알릴기 등을 갖는 화합물의 카복실산, 카복실산 유도체, 에폭시 유도체, 아이소사이아네이트 유도체 등과의 1단계 혹은 2단계의 반응에 의하여 용이하게 합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메트)아크릴산, (메트)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 (메트)아크릴산 무수물, (메트)아크릴산 글리시딜 등의 화합물이나, WO2012/00316A호에 기재된 화합물(예를 들면, 1,1-비스(아크릴로일옥시메틸)에틸아이소사이아네이트)을 이용하여, 상기 환상 지방족 탄화 수소기를 갖는 폴리올과 반응시킴으로써 합성할 수 있다.
이하,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기와 환상 지방족 탄화 수소기를 갖는 화합물의 바람직한 구체예를 나타내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화학식 25]
[화학식 26]
기능성막이 화합물 (b) 또는 그 경화물을 함유하는 경우, 화합물 (b) 또는 그 경화물의 함유량은, 기능성막의 전체 고형분(용제를 제외한 전체 성분)을 100질량%로 하여, 5~99.9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10~90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중합 개시제)
조성물 (a)(기능성막 형성용 조성물)가, 분자 내에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기와 환상 지방족 탄화 수소기를 갖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인 경우에는, 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 개시제로서는 광중합 개시제가 바람직하다.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아세토페논류, 벤조인류, 벤조페논류, 포스핀옥사이드류, 케탈류, 안트라퀴논류, 싸이오잔톤류, 아조 화합물, 과산화물류, 2,3-다이알킬다이온 화합물류, 다이설파이드 화합물류, 플루오로아민 화합물류, 방향족 설포늄류, 로핀다이머류, 오늄염류, 보레이트염류, 활성 에스터류, 활성 할로젠류, 무기 착체, 쿠마린류 등을 들 수 있다. 광중합 개시제의 구체예, 및 바람직한 양태, 시판품 등은,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098658호의 단락 [0133]~[0151]에 기재되어 있고, 본 발명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최신 UV 경화 기술"{(주)기주쓰 조호 교카이}(1991년), p. 159, 및 "자외선 경화 시스템 "가토 기요미 저(헤이세이 원년, 소고 기주쓰 센터 발행), p. 65~148에도 다양한 예가 기재되어 있고 본 발명에 유용하다.
시판 중인 광개열형의 광라디칼 중합 개시제로서는, BASF사제(구 치바·스페셜티·케미컬즈(주)제)의 "이르가큐어 651", "이르가큐어 184", "이르가큐어 819", "이르가큐어 907", "이르가큐어 1870"(CGI-403/이르가큐어 184=7/3 혼합 개시제), "이르가큐어 500", "이르가큐어 369", "이르가큐어 1173", "이르가큐어 2959", "이르가큐어 4265", "이르가큐어 4263", "이르가큐어 127", "OXE01" 등; 닛폰 가야쿠(주)제의 "카야큐어-DETX-S", "카야큐어-BP-100", "카야큐어-BDMK", "카야큐어-CTX", "카야큐어-BMS", "카야큐어-2-EAQ", "카야큐어-ABQ", "카야큐어-CPTX", "카야큐어-EPD", "카야큐어-ITX", "카야큐어-QTX", "카야큐어-BTC", "카야큐어-MCA" 등; 사토머사제의 "Esacure(KIP100F, KB1, EB3, BP, X33, KTO46, KT37, KIP150, TZT)" 등, 및 이들의 조합을 바람직한 예로서 들 수 있다.
조성물 (a)(기능성막 형성용 조성물)가, 분자 내에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기와 환상 지방족 탄화 수소기를 갖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인 경우, 상기 조성물 중의 광중합 개시제의 함유량은, 조성물 (a)에 포함되는 중합 가능한 화합물을 중합시키고, 또한 개시점이 너무 증가하지 않게 설정된다는 이유에서, 조성물 (a) 중의 전체 고형분에 대하여, 0.5~8질량%가 바람직하고, 1~5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머 수지)
기능성막은, 공중합체 (a), 및/또는 거기에서 유래하는 가교 반응물 외에, 폴리머 수지(이하, "수지 (d)"라고도 부름)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취성(脆性) 및 탄성률 개량의 관점에서 폴리머 분자 간의 상호 작용을 강하게 하는, 예를 들면 극성 구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예로서, 바이닐 방향족계 수지(바람직하게는 스타이렌계 수지), 셀룰로스계 수지(셀룰로스아실레이트 수지, 셀룰로스에터 수지 등), 환상 올레핀계 수지, 폴리에스터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바이닐 방향족계 수지 이외의 바이닐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아릴레이트계 수지 등을 들 수 있고, 바이닐 방향족계 수지, 환상 올레핀 수지가 흡습성, 및 투습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바이닐 방향족계 수지란, 적어도 방향환을 포함하는 바이닐계 수지이며, 스타이렌계 수지, 다이바이닐벤젠계 수지, 1,1-다이페닐스타이렌계 수지, 바이닐나프탈렌계 수지, 바이닐안트라센계 수지, N,N-다이에틸-p-아미노에틸스타이렌계 수지, 바이닐피리딘계 수지 등을 들 수 있고, 공중합 성분으로서, 적절히 바이닐피리딘 유닛, 바이닐피롤리돈 유닛, 무수 말레산 유닛 등이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바이닐 방향족계 수지 중에서도, 광탄성 계수 및 흡습성의 제어의 관점에서, 기능성막은 스타이렌계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 (d)는 1종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스타이렌계 수지>>
스타이렌계 수지의 예로서는, 스타이렌계 단량체에서 유래하는 반복 단위를 50질량% 이상 포함하는 수지를 말한다. 여기에서, 스타이렌계 단량체란, 그 구조 중에 스타이렌 골격을 갖는 단량체를 말한다.
스타이렌계 단량체의 구체예로서는, 스타이렌 또는 그 유도체를 들 수 있다. 여기에서, 스타이렌 유도체란, 스타이렌에 다른 기가 결합된 화합물로서, 예를 들면 o-메틸스타이렌, m-메틸스타이렌, p-메틸스타이렌, 2,4-다이메틸스타이렌, o-에틸스타이렌, p-에틸스타이렌과 같은 알킬스타이렌, 하이드록시스타이렌, tert-뷰톡시스타이렌, 바이닐벤조산, o-클로로스타이렌, p-클로로스타이렌과 같은, 스타이렌의 벤젠핵에 수산기, 알콕시기, 카복실기, 할로젠 등이 도입된 치환 스타이렌 등을 들 수 있다.
스타이렌계 수지는, 스타이렌 또는 그 유도체의 단독 중합체여도 되고, 이 밖에 스타이렌계 단량체 성분에 다른 단량체 성분을 공중합한 것도 포함된다.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로서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사이클로헥실메타크릴레이트, 메틸페닐메타크릴레이트, 및 아이소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알킬메타크릴레이트와,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뷰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및 사이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 등의 알킬아크릴레이트 등의 불포화 카복실산 알킬에스터 단량체
메타크릴산, 아크릴산, 이타콘산, 말레산, 푸마르산, 신남산 등의 불포화 카복실산 단량체
말레산, 이타콘산, 에틸말레산, 메틸이타콘산, 클로로말레산 등의 무수물인 불포화 다이카복실산 무수물 단량체
아크릴로나이트릴, 메타크릴로나이트릴 등의 불포화 나이트릴 단량체
1,3-뷰타다이엔, 2-메틸-1,3-뷰타다이엔(아이소프렌), 2,3-다이메틸-1,3-뷰타다이엔, 1,3-펜타다이엔, 1,3-헥사다이엔 등의 공액 다이엔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2종 이상을 공중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스타이렌계 수지는, 스타이렌 또는 스타이렌 유도체와, 아크릴로나이트릴, 무수 말레산,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및 1,3-뷰타다이엔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모노머와의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스타이렌계 수지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스타이렌의 단독 중합체인 범용 폴리스타이렌(GPPS) 등의 스타이렌계 단량체의 단독 중합체; 2종 이상의 스타이렌계 단량체만을 단량체 성분으로서 구성되는 공중합체; 스타이렌-다이엔계 공중합체; 스타이렌-중합성 불포화 카복실산 에스터계 공중합체 등의 공중합체; 폴리스타이렌과 합성 고무(예를 들면, 폴리뷰타다이엔이나 폴리아이소프렌 등)의 혼합물, 합성 고무에 스타이렌을 그래프트 중합시킨 폴리스타이렌 등의 내충격성 폴리스타이렌(HIPS); 스타이렌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중합체(예를 들면, 스타이렌계 단량체와 (메트)아크릴산 에스터계 단량체와의 공중합체)의 연속상 중에 고무 형상 탄성체를 분산시키고, 고무 형상 탄성체에 상기 공중합체를 그래프트 중합시킨 폴리스타이렌(그래프트 타입 내충격성 폴리스타이렌 "그래프트 HIPS"라고 함); 스타이렌계 엘라스토머 등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폴리스타이렌계 수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수소 첨가되어 있어도 된다. 즉, 상기 폴리스타이렌계 수지는, 수소 첨가된 폴리스타이렌계 수지(수소 첨가 폴리스타이렌계 수지)여도 된다. 상기 수소 첨가 폴리스타이렌계 수지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SBS나 SIS에 수소를 첨가한 수지인 수소 첨가 스타이렌-뷰타다이엔-스타이렌 블록 공중합체(SEBS)나 수소 첨가 스타이렌-아이소프렌-스타이렌 블록 공중합체(SEPS) 등의 수소 첨가된 스타이렌-다이엔계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상기 수소 첨가 폴리스타이렌계 수지는, 1종만을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사용해도 된다.
또, 상기 폴리스타이렌계 수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극성기가 도입되어 있어도 된다. 즉, 상기 폴리스타이렌계 수지는, 극성기가 도입된 폴리스타이렌계 수지(변성 폴리스타이렌계 수지)여도 된다. 또한, 상기 변성 폴리스타이렌계 수지에는, 극성기가 도입된 수소 첨가 폴리스타이렌계 수지가 포함된다.
상기 변성 폴리스타이렌계 수지는, 폴리스타이렌계 수지를 주쇄 골격으로서, 극성기가 도입된 폴리스타이렌계 수지이다. 상기 극성기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산무수물기, 카복실산기, 카복실산 에스터기, 카복실산 염화물기, 카복실산 아마이드기, 카복실산 염기, 설폰산기, 설폰산 에스터기, 설폰산 염화물기, 설폰산 아마이드기, 설폰산 염기, 아이소사이아네이트기, 에폭시기, 아미노기, 이미드기, 옥사졸린기, 수산기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산무수물기, 카복실산기, 카복실산 에스터기, 에폭시기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무수 말레산기, 에폭시기이다. 상기 극성기는, 1종만을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사용해도 된다. 상기 변성 폴리스타이렌계 수지는, 폴리에스터계 수지와 친화성이 높거나 또는 반응 가능한 극성기를 갖고, 또한 폴리스타이렌계 수지와 상용 가능함에 따라, 폴리에스터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층(예를 들면, 표면층이나 B층 등)이나 폴리스타이렌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층(예를 들면, 다른 A층 등)의 상온에서의 접착성이 높아진다. 상기 극성기는, 1종만을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사용해도 된다.
상기 변성 폴리스타이렌계 수지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수소 첨가 스타이렌-뷰타다이엔-스타이렌 블록 공중합체(SEBS)의 변성체, 수소 첨가 스타이렌-프로필렌-스타이렌 블록 공중합체(SEPS)의 변성체가 바람직하다. 즉, 상기 변성 폴리스타이렌계 수지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산무수물 변성 SEBS, 산무수물 변성 SEPS, 에폭시 변성 SEBS, 에폭시 변성 SEPS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무수 말레산 변성 SEBS, 무수 말레산 변성 SEPS, 에폭시 변성 SEBS, 에폭시 변성 SEPS이다. 상기 변성 폴리스타이렌계 수지는, 1종만을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에서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는 스타이렌계 수지는, 내열성이 높다는 이유에서, 폴리스타이렌, 스타이렌/아크릴로나이트릴 공중합체, 스타이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스타이렌/무수 말레산 공중합체이다.
또, 스타이렌/아크릴로나이트릴 공중합체, 스타이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스타이렌/무수 말레산 공중합체는, 아크릴계 수지와의 상용성이 높기 때문에, 투명성이 높고, 사용 중에 상분리를 일으켜 투명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없는 필름이 얻어지는 점에서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는, 특히, 아크릴계 수지로서 메타크릴산 메틸을 단량체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중합체를 이용하는 경우에 바람직하다.
스타이렌-아크릴로나이트릴 공중합체의 경우, 공중합체 중의 아크릴로나이트릴의 공중합체 비율은 1~4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한 범위는 1~30질량%이며, 특히 바람직한 범위는 1~25질량%이다. 공중합체 중의 아크릴로나이트릴의 공중합체 비율이 1~40질량%인 경우, 투명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스타이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의 경우, 공중합체 중의 메타크릴산의 공중합체 비율은 0.1~5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한 범위는 0.1~40질량%이며, 더 바람직한 범위는 0.1~30질량%이다. 공중합체 중의 메타크릴산의 공중합체 비율이 0.1질량% 이상이면 내열성이 우수하고, 50질량% 이하의 범위이면 투명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스타이렌-무수 말레산 공중합체의 경우, 공중합체 중의 무수 말레산의 공중합체 비율은 0.1~5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한 범위는 0.1~40질량%이며, 더 바람직한 범위는 0.1질량%~30질량%이다. 공중합체 중의 무수 말레산 함량이 0.1질량% 이상이면 내열성이 우수하고, 50질량% 이하의 범위이면 투명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들 중에서도, 내열성의 관점에서, 폴리스타이렌, 스타이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스타이렌-무수 말레산 공중합체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 기능성막과, 다른 층, 막, 또는 다른 물품과의 접착성의 관점에서, 가장 적합하게 이용되는 스타이렌계 수지는, 열가교성기를 갖는 스타이렌계 수지이며, 스타이렌계 수지가 열가교성기를 갖는 반복 단위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가교성기에 대해서는, 상술한 공중합체 (a)에 있어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스타이렌계 수지가 열가교성기를 갖고 있고, 또한 공중합체 (a)가 열가교성기를 갖고 있으면, 공중합체 (a)를 기능성막의 표면에 고정화할 수 있어, 보다 높은 접착성을 발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 가열에 의하여 열가교성기를 반응시킴으로써 공중합체 (a)를 기능성막의 표면에 고정화할 수 있기 때문에, 상술한 분자 내에 반응성기를 갖는 화합물(모노머)을 함유시키고, 또한 이 모노머를 자외선 등의 전리 방사선 조사에 의하여 경화시킴으로써 공중합체 (a)를 기능성막의 표면에 고정화하는 프로세스가 불필요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하에, 열가교성기를 갖는 스타이렌계 수지의 구체예를 들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화학식 27]
[화학식 28]
스타이렌계 수지는 1종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스타이렌계 수지로서, 반복 단위의 조성, 분자량 등이 다른 복수 종류의 것을 병용할 수도 있다.
스타이렌계 수지는, 공지의 음이온, 덩어리 형상, 현탁, 유화 또는 용액 중합 방법에 의하여 얻을 수 있다. 또, 스타이렌계 수지에 있어서는, 공액 다이엔이나 스타이렌계 단량체의 벤젠환의 불포화 이중 결합이 수소 첨가되어 있어도 된다. 수소 첨가율은 핵자기 공명 장치(NMR)에 의하여 측정할 수 있다.
<<환상 올레핀계 수지>>
기능성막을 구성하는 재료로서 환상 올레핀계 수지를 이용하는 경우의 예로서는, 예를 들면 노보넨이나 다환 노보넨계 모노머와 같은 환상 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모노머의 유닛을 갖는 열가소성의 수지이며, 열가소성 환상 올레핀계 수지라고도 불린다. 이 환상 올레핀계 수지는, 상기 환상 올레핀의 개환 중합체나 2종 이상의 환상 올레핀을 이용한 개환 공중합체의 수소 첨가물이어도 되고, 환상 올레핀과, 쇄상 올레핀이나, 바이닐기와 같은 중합성 이중 결합을 갖는 방향족 화합물 등과의 부가 중합체여도 된다. 환상 올레핀계 수지에는, 극성기가 도입되어 있어도 된다.
환상 올레핀과, 쇄상 올레핀 및/또는 바이닐기를 갖는 방향족 화합물과의 공중합체를 기능성막의 재료로 하는 경우, 쇄상 올레핀으로서는, 에틸렌이나 프로필렌 등이 이용되고, 또 바이닐기를 갖는 방향족 화합물로서는, 스타이렌, α-메틸스타이렌, 핵 알킬 치환 스타이렌 등이 이용된다. 이와 같은 공중합체에 있어서는, 환상 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모노머의 유닛이 50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50몰% 정도가 된다. 특히, 환상 올레핀과 쇄상 올레핀과 바이닐기를 갖는 방향족 화합물과의 삼원 공중합체를 기능성막의 재료로 하는 경우, 환상 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모노머의 유닛은, 상술한 바와 같이 비교적 적은 양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삼원 공중합체에 있어서, 쇄상 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모노머의 유닛은, 통상 5~80몰%, 바이닐기를 갖는 방향족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모노머의 유닛은, 통상 5~80몰%이다.
환상 올레핀계 수지는, 적절한 시판품을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독일의 TOPAS ADVANCED POLYMERS GmbH에서 생산되고, 일본에서는 폴리플라스틱(주)로부터 판매되고 있는 "TOPAS", JSR(주)로부터 판매되고 있는 "아톤", 닛폰 제온(주)로부터 판매되고 있는 "제오노아"(ZEONOR) 및 "제오넥스"(ZEONEX), 미쓰이 가가쿠(주)로부터 판매되고 있는 "아펠"(이상, 모두 상품명) 등을 들 수 있다.
<<셀룰로스아실레이트 수지>>
기능성막을 구성하는 재료로서 셀룰로스아실레이트 수지를 이용하는 경우의 예로서는, 셀룰로스아세테이트, 셀룰로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 셀룰로스프로피오네이트, 셀룰로스아세테이트뷰틸레이트, 셀룰로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뷰틸레이트, 셀룰로스아세테이트벤조에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셀룰로스아세테이트, 셀룰로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가 바람직하다.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기능성막을 구성하는 재료로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를 이용하는 경우의 예로서는, 폴리카보네이트, 비스페놀 A가 플루오렌 변성된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 비스페놀 A가 1,3-사이클로헥실리덴 변성된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바이닐 방향족계 수지 이외의 바이닐계 수지>>
기능성막을 구성하는 재료로서 바이닐 방향족계 수지 이외의 바이닐계 수지를 이용하는 경우의 예로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 바이닐리덴, 폴리바이닐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수지 (d)의 중량 평균 분자량)
수지 (d)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5,000~800,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000~600,0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20,000~400,000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수지 (d)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이하의 조건으로 표준 폴리스타이렌 환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Mw) 및 분자량 분포(Mw/Mn)를 측정했다. 또한, Mn은 표준 폴리스타이렌 환산의 수평균 분자량이다.
GPC: 젤 침투 크로마토그래피 장치(도소(주)제 HLC-8220GPC, 칼럼; 도소(주)제 가드 칼럼 HXL-H, TSK gel G7000HXL, TSK gel GMHXL 2개, TSK gel G2000HXL을 순차 연결, 용리액;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유속; 1mL/min, 샘플 농도; 0.7~0.8질량%, 샘플 주입량; 70μL, 측정 온도; 40℃, 검출기; 시차 굴절(RI)계(40℃), 표준 물질; 도소(주)제 TSK 스탠다드 폴리스타이렌)
기능성막이 수지 (d)를 함유하는 경우, 수지 (d)는, 1종류여도 되고, 2종류 이상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 기능성막이 다층으로 형성되는 경우, 각 층에 포함되는 수지 (d)는 달라도 된다.
(기능성막 중의 수지 (d)의 함유율)
기능성막에 있어서, 수지 (d)의 함유율은, 기능성막의 전체 고형분(용제를 제외한 전체 성분)을 100질량%로 하여, 5~99.99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10~99.9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용제)
기능성막 형성용 조성물은, 용제를 함유할 수 있다. 기능성막을 형성하기 위한 재료를 용해 또는 분산 가능한 것, 도포 공정, 건조 공정에 있어서 균일한 면 형상이 되기 쉬운 것, 액보존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 적당한 포화 증기압을 갖는 것 등의 관점에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유기 용제로서는, 예를 들면 다이뷰틸에터, 다이메톡시에테인, 다이에톡시에테인, 프로필렌옥사이드, 1,4-다이옥세인, 1,3-다이옥솔레인, 1,3,5-트라이옥세인,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아니솔, 페네톨, 탄산 다이메틸, 탄산 메틸에틸, 탄산 다이에틸, 아세톤, 메틸에틸케톤(MEK), 다이에틸케톤, 다이프로필케톤, 다이아이소뷰틸케톤, 사이클로펜탄온, 사이클로헥산온, 메틸사이클로헥산온, 폼산 에틸, 폼산 프로필, 폼산 펜틸, 아세트산 메틸, 아세트산 에틸, 아세트산 프로필, 프로피온산 메틸, 프로피온산 에틸, γ-뷰티로락톤, 2-메톡시아세트산 메틸, 2-에톡시아세트산 메틸, 2-에톡시아세트산 에틸, 2-에톡시프로피온산 에틸, 2-메톡시에탄올, 2-프로폭시에탄올, 2-뷰톡시에탄올, 1,2-다이아세톡시아세톤, 아세틸아세톤, 다이아세톤알코올, 아세토아세트산 메틸, 아세토아세트산 에틸, 메틸알코올, 에틸알코올, 아이소프로필알코올, n-뷰틸알코올, 사이클로헥실알코올, 아세트산 아이소뷰틸, 메틸아이소뷰틸케톤(MIBK), 2-옥탄온, 2-펜탄온, 2-헥산온, 에틸렌글라이콜에틸에터, 에틸렌글라이콜아이소프로필에터, 에틸렌글라이콜뷰틸에터, 프로필렌글라이콜메틸에터, 에틸카비톨, 뷰틸카비톨, 헥세인, 헵테인, 옥테인, 사이클로헥세인, 메틸사이클로헥세인, 에틸사이클로헥세인, 벤젠, 톨루엔, 자일렌 등을 들 수 있고, 1종 단독으로 혹은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의 용제 중, 탄산 다이메틸, 아세트산 메틸, 아세트산 에틸, 메틸에틸케톤, 아세틸아세톤, 아세톤 중 적어도 1종류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탄산 다이메틸, 아세트산 메틸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아세트산 메틸을 이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기능성막 형성용 조성물의 고형분의 농도는 5~80질량%의 범위가 되도록 용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75질량%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15~70질량%이다.
(첨가제)
기능성막에는, 공지의 첨가제를 적절히 혼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능성막을 편광판 보호 필름으로서 이용하는 경우에는, 공지의 첨가제로서, 저분자 가소제, 레벨링제, 올리고머계 첨가제, 폴리에스터계 첨가제, 리타데이션 조정제, 매트제, 자외선 흡수제, 열화 방지제, 박리 촉진제, 적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필러, 상용화제(相溶化劑)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에스터계 첨가제>
기능성막이 폴리에스터계 첨가제를 포함함으로써, 기능성막을 폴리에스터 수지를 포함하는 기재 상에 도공하여 형성하는 경우에, 기능성막과 기재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이유의 상세는 명확하게는 되어 있지 않지만, 폴리에스터계 첨가제가 기재에 포함되는 폴리에스터 수지와, 친소수성 및 분자 구조가 유사하기 때문에, 상호 작용이 발생하여 밀착성이 향상된다고 생각할 수 있다. 또, 기능성막이 상술한 수지 (d)를 포함하는 경우, 수지 (d)와도, 친소수성 및 구조를 가까이 함으로써, 수지 (d)와 상용하여, 기능성막의 투명성을 유지할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능성막에 포함되는 수지 (d)가 폴리스타이렌계 수지인 경우, 폴리에스터계 첨가제의 구조는, 에스터 구조가 기재 중의 폴리에스터 수지와 상호 작용을 일으키고, 방향환을 갖고 있는 점에서 폴리스타이렌계 수지와의 상용성을 확보하고 있으며, 그 결과, 기능성막과 기재 필름의 밀착성이 향상된다고 생각할 수 있다.
폴리에스터계 첨가제는, 다가 염기산과 다가 알코올의 탈수 축합 반응, 또는 다가 알코올에 대한 무수 이염기산의 부가 및 탈수 축합 반응 등의 공지의 방법으로 얻을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이염기산과 다이올로 형성되는 중축합 에스터이다.
폴리에스터계 첨가제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500~50,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750~400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000~30000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터계 첨가제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0 이상이면, 취성, 습열 내구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고, 50,000 이하이면, 수지와의 상용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터계 첨가제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상술한 수지 (d)와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폴리에스터계 첨가제를 구성하는 이염기산으로서는, 다이카복실산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다이카복실산으로서는, 지방족 다이카복실산, 방향족 다이카복실산 등을 들 수 있고, 방향족 다이카복실산, 또는 방향족 다이카복실산과 지방족 다이카복실산의 혼합물을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방향족 다이카복실산 중에서도, 탄소수 8~20의 방향족 다이카복실산이 바람직하고, 탄소수 8~14의 방향족 다이카복실산이 보다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는, 프탈산, 아이소프탈산, 및 테레프탈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 바람직하다.
지방족 다이카복실산 중에서도, 탄소수 3~8의 지방족 다이카복실산이 바람직하고, 탄소수 4~6의 지방족 다이카복실산이 보다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는, 석신산, 말레산, 아디프산, 및 글루타르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 바람직하고, 석신산 및 아디프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폴리에스터계 첨가제를 구성하는 다이올로서는, 지방족 다이올, 방향족 다이올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지방족 다이올이 바람직하다.
지방족 다이올 중에서도, 탄소수 2~4의 지방족 다이올이 바람직하고, 탄소수 2~3의 지방족 다이올이 보다 바람직하다.
지방족 다이올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글라이콜, 다이에틸렌글라이콜, 1,2-프로필렌글라이콜, 1,3-프로필렌글라이콜, 1,3-뷰틸렌글라이콜, 1,4-뷰틸렌글라이콜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을 단독 또는 2종류 이상을 병용하여 이용할 수 있다.
폴리에스터계 첨가제는, 특히, 프탈산, 아이소프탈산, 및 테레프탈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과 지방족 다이올을 축합하여 얻어지는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터계 첨가제의 말단은 모노카복실산과 반응시켜 밀봉해도 된다. 밀봉에 이용하는 모노카복실산으로서는 지방족 모노카복실산이 바람직하고,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뷰탄산, 벤조산 및 그 유도체가 바람직하며, 아세트산 또는 프로피온산이 보다 바람직하고, 아세트산이 가장 바람직하다.
시판 중인 폴리에스터계 화합물로서는, 닛폰 고세이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에스터계 수지 폴리에스터(예를 들면, LP050, TP290, LP035, LP033, TP217, TP220),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제 에스터계 수지 바이론(예를 들면, 바이론 245, 바이론 GK890, 바이론 103, 바이론 200, 바이론 550. GK880) 등을 들 수 있다.
기능성막 중의 폴리에스터계 첨가제의 함유량은, 기능성막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0.1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5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질량%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 기능성막의 폴리에스터계 첨가제의 함유량은, 기능성막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25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5질량%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적당한 밀착성을 얻는 관점에서 상기 범위가 바람직하다.
(매트제)
기능성막 표면에는, 슬라이딩성 부여나 블로킹 방지를 위하여 미립자를 첨가해도 된다. 이 미립자로서는, 소수기로 표면이 피복되어, 2차 입자의 양태를 취하고 있는 실리카(이산화 규소, SiO2)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또한, 미립자에는, 실리카와 함께, 혹은 실리카 대신에, 이산화 타이타늄, 산화 알루미늄, 산화 지르코늄, 탄산 칼슘, 탤크, 클레이, 소성 카올린, 소성 규산 칼슘, 수화 규산 칼슘, 규산 알루미늄, 규산 마그네슘, 인산 칼슘 등의 미립자를 이용해도 된다. 시판 중인 상품으로서는, 미립자는 상품명 R972, 또는 NX90S(모두 닛폰 에어로질 가부시키가이샤제) 등을 들 수 있다.
이 미립자는 이른바 매트제로서 기능하여, 미립자 첨가에 의하여 필름 표면에 미소(微小)한 요철이 형성되고 이 요철에 의하여 필름끼리가 중첩되어도 서로 첩부되지 않아, 필름끼리의 슬라이딩성이 확보된다. 이때의 필름 표면으로부터의 미립자가 돌출된 돌기에 의한 미소 요철은 높이 30nm 이상의 돌기가 1mm2당 104개/mm2 이상인 경우에 특별히 슬라이딩성, 블로킹성의 개선 효과가 크다.
<기능성막의 제작>
기능성막은, 기재 필름 상에 공지의 코팅법으로 코팅층을 형성하는 방법, 혹은 용액 제막법으로 제작할 수 있지만, 특히 코팅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능성막은, 기재 필름 상에, 이하의 코팅법에 의하여 형성할 수 있지만, 이 방법에 제한되지 않는다. 딥 코트법, 에어 나이프 코트법, 커튼 코트법, 롤러 코트법, 와이어 바 코트법, 그라비어 코트법, 슬라이드 코트법이나 익스트루젼 코트법(다이 코트법)(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164788호 참조), 마이크로 그라비어 코트법 등의 공지의 방법이 이용되고, 그 중에서도 마이크로 그라비어 코트법, 다이 코트법이 바람직하다. 코팅법에 의하여 기능성막을 형성하는 경우, 용제를 휘발시키는 건조 공정, 열가교성기를 가교시키는 열가교 공정, 전리 방사선 조사 등에 의한 경화 공정을 적절히 이용할 수 있다.
기능성막 형성용의 조성물 중에, 상술한 분자 내에 반응성기를 갖는 화합물 (b)를 포함하는 경우는, 전리 방사선 조사에 의한 경화 공정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능성막 형성용의 조성물 중에, 상술한 분자 내에 반응성기를 갖는 화합물 (b)를 포함하지 않고, 공중합체 (a) 및 수지 (d)가 열가교성기를 갖는 경우에는, 열가교 공정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능성막의 건조, 경화 방법에 관하여, 바람직한 예를 이하에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전리 방사선에 의한 조사와, 조사 전, 조사와 동시 또는 조사 후의 열처리를 조합함으로써, 기능성막을 경화하는 것이 유효하다.
이하에, 몇 가지의 제조 공정의 시계열 패턴을 나타내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은 열처리를 행하고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조사 전→조사와 동시→조사 후
(1) 열처리→전리 방사선 경화→ -
(2) 열처리→전리 방사선 경화→열처리
(3) - →전리 방사선 경화→열처리
그 외에, 전리 방사선 경화 시에 동시에 열처리를 행하는 공정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이, 전리 방사선에 의한 조사와 조합하여 열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처리는, 기능성막을 저해시키는 것이 아니면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바람직하게는 40~150℃, 더 바람직하게는 40~110℃이다.
열처리에 필요로 하는 시간은, 사용 성분의 분자량, 그 외 성분과의 상호 작용, 점도 등에 따라 다르지만, 15초~1시간, 바람직하게는 20초~30분, 가장 바람직하게는 30초~5분이다.
전리 방사선의 종류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X선, 전자선, 자외선, 가시광, 적외선 등을 들 수 있지만, 자외선이 널리 이용된다. 예를 들면 기능성막이 자외선 경화성 성분을 포함하는 경우, 자외선 램프에 의하여 10mJ/cm2~1000mJ/cm2의 조사량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제층과 기능성막의 접착성의 관점에서, 전체적인 조사량으로서는, 50mJ/cm2~1000mJ/cm2가 보다 바람직하다.
용액 제막법은, 기능성막의 재료를 유기 용매 또는 물에 용해한 용액을 조제하여, 농축 공정이나 여과 공정 등을 적절히 실시한 후에, 지지체 상에 균일하게 유연한다. 다음으로, 덜 마른 막을 지지체로부터 박리하고, 적절히 웨브의 양단을 클립 등으로 파지하여 건조 존에서 용매를 건조시킨다. 전리 방사선 조사 등에 의한 경화 공정도 적절히 이용할 수 있다. 또, 필름의 건조 중이나 건조, 경화가 종료된 후에 별도 연신을 실시할 수도 있다.
열가교 공정은, 열가교성기의 반응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가온하는 공정이며, 기능성막의 성질을 저해시키는 것이 아니면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바람직하게는 40~200℃, 더 바람직하게는 50~130℃이다. 반응을 보다 진행시키기 쉽게 하는 관점에서 50℃ 이상이 바람직하고, 또 기재에 이용하는 수지의 변형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13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온에 필요로 하는 시간은, 사용하는 열가교성기의 종류, 및 양에 따라 다르지만, 바람직하게는 5초~1시간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초~30분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15초~5분이다. 반응을 보다 진행시키기 쉽게 하는 관점에서 15초 이상이 바람직하고, 생산성을 높게 하는 관점에서 5분 이하가 바람직하다.
(기재 필름)
기능성막을, 코팅법으로 형성시키기 위하여 이용되는 기재 필름은, 막두께가 5~100μm인 것이 바람직하고, 10~75μm가 보다 바람직하며, 15~55μm가 더 바람직하다. 막두께가 5μm 이상이면, 충분한 기계 강도를 확보하기 쉬워, 컬, 주름, 좌굴 등의 고장이 발생하기 어렵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 막두께가 100μm 이하이면, 본 발명의 기능성막과 기재 필름과의 복층 필름을, 예를 들면 길이가 긴 롤 형태로 보관하는 경우에, 복층 필름에 가하는 면압을 적정한 범위로 조정하기 쉬워, 접착의 고장이 발생하기 어렵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기재 필름의 표면 에너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기능성막의 재료나 코팅 용액의 표면 에너지와, 기재 필름의 기능성막을 형성시키는 측의 표면의 표면 에너지와의 관계성을 조정함으로써, 기능성막과 기재 필름의 사이의 접착력을 조정할 수 있다. 표면 에너지 차를 작게 하면, 접착력이 상승하는 경향이 있고, 표면 에너지 차를 크게 하면, 접착력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어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물 및 아이오딘화 메틸렌의 접촉각값으로부터 Owens의 방법을 이용하여, 기재 필름의 표면 에너지를 계산할 수 있다. 접촉각의 측정에는, 예를 들면 DM901(교와 가이멘 가가쿠(주)제, 접촉각계)을 이용할 수 있다.
기재 필름의 기능성막을 형성하는 측의 표면 에너지는, 41.0~48.0mN/m인 것이 바람직하고, 42.0~48.0mN/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표면 에너지가 41.0mN/m 이상이면, 기능성막의 두께의 균일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고, 48.0mN/m 이하이면, 기능성막을 기재 필름과의 박리력을 적절한 범위로 제어하기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 기재 필름의 표면 요철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기능성막 표면의 표면 에너지, 경도, 표면 요철과 기재 필름의 기능성막을 형성시키는 측과는 반대 측의 표면의 표면 에너지, 경도와의 관계성에 따라,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기능성막과 기재 필름을 길이가 긴 롤 형태로 보관하는 경우의 접착 고장을 방지할 목적으로, 기재 필름의 표면 요철을 조정할 수 있다. 표면 요철을 크게 하면, 접착 고장을 억제하는 경향이 있고, 표면 요철을 작게 하면, 기능성막의 표면 요철이 감소하여, 기능성막의 헤이즈가 작아지는 경향이 있어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재 필름으로서는, 공지의 소재나 필름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인 재료로서, 폴리에스터계 폴리머, 올레핀계 폴리머, 사이클로올레핀계 폴리머,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셀룰로스계 폴리머, 폴리아마이드계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폴리에스터계 폴리머, 올레핀계 폴리머가 기재 필름의 재료로서 바람직하고, 폴리에스터계 폴리머가 보다 바람직하며, 폴리에스터계 폴리머 중에서도 특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가 바람직하다.
또, 기재 필름의 표면성을 조정할 목적으로, 적절히 표면 처리를 행할 수 있다. 표면 에너지를 저하시키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코로나 처리, 상온 플라즈마 처리, 비누화 처리 등을 행할 수 있고, 표면 에너지를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실리콘 처리, 불소 처리, 올레핀 처리 등을 행할 수 있다.
기재 표면에는, 기능성막과의 접착성을 제어하기 위하여, 적절히 이형제 등을 미리 도포해 두어도 된다. 기능성막은, 후공정에서 접착제나 점착제를 통하여 편광자와 첩합시킨 후, 기재 필름을 박리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기재 필름에 기능성막이 적층된 상태에서, 적절히 기재 필름마다 연신하여, 광학 특성이나 역학 물성을 조정할 수 있다.
<적층체>
기능성막이 도공된 기재는, 적어도 기재와 기능성막으로 구성되어, 일체화한 것으로서 적층체라고 호칭한다.
적층체는, 기능성막과, 다른 층, 막, 필름 또는 다른 물품을 접착할 수 있고, 특히 접착제층을 통하여 기능성막과 편광자를 접착할 수 있으며, 얻어진 편광판으로서는 기재를 기능성막으로부터 박리할 수도 있고, 혹은 박리하지 않고 편광판의 일부로서 그대로 이용할 수도 있지만, 편광판의 박형화의 관점에서는, 기능성막으로부터 기재를 박리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능성막과 기재 필름의 박리력)
편광판에 이용되는 기능성막을, 코팅법으로 형성시키는 경우, 기능성막과 기재 필름의 사이의 박리력은, 상기 기능성막의 재료, 기재 필름의 재료, 기능성막의 내부 변형 등을 조정하여 제어할 수 있다. 이 박리력은, 예를 들면 기재 필름을 90° 방향으로 박리하는 시험으로 측정할 수 있고, 300mm/분의 속도로 측정했을 때의 박리력이, 0.001~5N/25mm가 바람직하고, 0.01~3N/25mm가 보다 바람직하며, 0.05~1N/25mm가 더 바람직하다. 0.001N/25mm 이상이면, 기재 필름의 박리 공정 이외에서의 박리를 방지할 수 있고, 5N/25mm 이하이면, 박리 공정에 있어서의 박리 불량(예를 들면, 지핑이나, 기능성막의 균열)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필요에 따라 열처리 공정, 과열 수증기 접촉 공정, 유기 용매 접촉 공정 등을 실시할 수 있다.
[편광판]
상기 기능성막을 이용하여, 편광자, 접착제층, 및 상기 기능성막을 이 순으로 갖는 편광판을 제작할 수 있다.
(편광자)
편광자에는, 아이오딘계 편광자, 2색성 염료를 이용하는 염료계 편광자나 폴리엔계 편광자가 있다. 아이오딘계 편광자 및 염료계 편광자는, 일반적으로 폴리바이닐알코올계 필름을 이용하여 제조한다. 본 발명에는, 어느 편광자를 이용해도 된다. 예를 들면 편광자는 폴리바이닐알코올(PVA)과 2색성 분자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바이닐알코올(PVA)과 2색성 분자로 구성되는 편광자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237376호의 기재를 참조할 수 있다. 편광자의 막두께는 1~50μm이면 되고, 2~30μm가 바람직하며, 3~20μm가 보다 바람직하다.
(접착제층)
접착제층은 접착제로 형성된 것이면 된다. 접착제로서는, 수산기를 갖는 수지를 포함하는 접착제가 바람직하고, 폴리바이닐알코올계 접착제 외에, 에폭시계의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245925호에 나타나는, 분자 내에 방향환을 포함하지 않는 에폭시 화합물을 함유하고, 가열 또는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하여 경화하는 접착제,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174667호에 기재된 (메트)아크릴계 화합물의 합계량 100질량부 중에 (a1) 분자 중에 (메트)아크릴로일기를 2 이상 갖는 (메트)아크릴계 화합물과, (b1) 분자 중에 수산기를 갖고, 중합성 이중 결합을 다만 1개 갖는 (메트)아크릴계 화합물과, (c1) 페놀에틸렌옥사이드 변성 아크릴레이트 또는 노닐페놀에틸렌옥사이드 변성 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폴리바이닐알코올계 접착제가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바이닐알코올계 접착제는 변성 또는 미변성 폴리바이닐알코올을 포함하는 접착제이다. 폴리바이닐알코올계 접착제는, 변성 또는 미변성 폴리바이닐알코올 외에, 가교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접착제의 구체예로서는, 폴리바이닐알코올 또는 폴리바이닐아세탈(예를 들면, 폴리바이닐뷰티랄)의 수용액이나, 바이닐계 폴리머(예를 들면, 폴리염화 바이닐, 폴리아세트산 바이닐, 폴리뷰틸아크릴레이트)의 라텍스를 들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접착제는, 폴리바이닐알코올의 수용액이다. 이때, 폴리바이닐알코올은 완전 비누화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 에폭시계의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는,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하여 에폭시기가 개환되어, 수산기를 일으키기 때문에 공중합체 (a)와 가교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는 에폭시계의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도 수산기 함유 접착제로서 포함하여, 적절히 이용할 수 있다.
[표시 장치]
상기 편광판은, 표시 장치에 이용할 수 있다. 표시 장치에 대하여 특별히 제한은 없고, 액정 셀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여도 되며, 유기 EL층을 포함하는 유기 EL 화상 표시 장치여도 되고, 또 플라즈마 화상 표시 장치여도 된다. 상기 본 발명의 편광판은, 예를 들면 표시면 측에 배치할 수 있다. 표시 장치의 구성에 대해서는, 공지의 표시 장치 중 어느 구성도 채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 나타내는 재료, 사용량, 비율, 처리 내용, 처리 순서 등은,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에 나타내는 구체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합성예 1>
(함불소 공중합체 (A-1-1)의 합성)
교반기, 온도계, 환류 냉각관, 및 질소 가스 도입관을 구비한 200밀리리터 3구 플라스크에, 사이클로헥산온 10.0g을 도입하고, 84℃까지 승온시켰다. 이어서, 2-(퍼플루오로헥실)에틸아크릴레이트 9.00g(21.5밀리몰), 4-(4-아크릴로일옥시뷰톡시)벤조일옥시페닐보론산 11.00g(28.6밀리몰), 사이클로헥산온 60.0g 및 "V-601"(와코 준야쿠(주)제) 1.60g으로 이루어지는 혼합 용액을, 180분에 적하가 완료되도록 등속으로 적하했다. 적하 완료 후, 추가로 3시간 교반을 계속한 후, 95℃까지 승온시키고, 추가로 2시간 교반을 계속하여, 함불소 공중합체 (A-1-1)의 사이클로헥산온 용액 91.0g을 얻었다. 이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3,600(젤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EcoSEC HLC-8320GPC(도소 가부시키가이샤제))에 의하여 용리액 NMP, 유속 0.50ml/min, 온도 40℃의 측정 조건에서 폴리스타이렌 환산으로 산출, 사용 칼럼은 TSKgel SuperAWM-H×3개(도소 가부시키가이샤제))였다. 또, 얻어진 공중합체의 1H-NMR 스펙트럼으로 구조를 동정하여, 조성비를 결정했다. 1H-NMR(CDCl3) δ: 3.8~4.5(2H,4H,2-(퍼플루오로헥실)에틸아크릴레이트의 메틸렌기 유래 및 화합물 II-1로 나타나는 반복 단위의 메틸렌기 유래), 6.8~7.3과 7.6~8.2(8H, 화합물 II-1로 나타나는 반복 단위의 방향환 유래).
함불소 공중합체 (A-1-1)
[화학식 29]
함불소 공중합체 (A-1-1)은, 상기 구조식으로 나타나는 반복 단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2-(퍼플루오로헥실)에틸아크릴레이트에서 유래하는 반복 단위를 공중합체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45질량%, 4-(4-아크릴로일옥시뷰톡시)벤조일옥시페닐보론산에서 유래하는 반복 단위를 공중합체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55질량% 함유한다.
<합성예 2~21>
합성예 1에서 이용한 모노머의 종류 및 양을 변경하고, 또 중합 개시제의 양을 하기 표 1에 기재한 양으로 변경하며, 얻어지는 공중합체 중의 반복 단위의 종류 및 조성비가, 하기 표 1에 나타낸 것이 되도록 한 것 이외에는, 상기 함불소 공중합체 (A-1-1)의 합성과 동일하게 하여, 함불소 공중합체 (A-2)~(A-18), (A-1-2), (A-1-3), 및 (A-33)을 합성했다. 또한, (A-1-1)과, (A-1-2)와, (A-1-3)은, 포함되는 반복 단위의 종류는 동일하고, 조성비 및 분자량이 상이한 것이다. 또, (A-14)~(A-17)에 대해서는, 추가로 표 1에 나타내는 제3 반복 단위를 도입했다.
<합성예 22>
(함불소 공중합체 (A-19-1)의 합성예)
교반기, 온도계, 환류 냉각관, 및 질소 가스 도입관을 구비한 500밀리리터 3구 플라스크에, 사이클로헥산온 23.3g를 도입하고, 78℃까지 승온시켰다. 이어서, 2-(퍼플루오로헥실)에틸아크릴레이트 69.00g(165.0밀리몰), 4-(4-아크릴로일옥시뷰톡시)벤조일옥시페닐보론산 16.00g(41.7밀리몰), 아크릴산 15.00g(208.2밀리몰), 1,3-프로페인다이올(45.8밀리몰), 사이클로헥산온 157.7g, 아이소프로판올 52.5g 및 "V-601"(와코 준야쿠(주)제) 5.73g으로 이루어지는 혼합 용액을, 180분에 적하가 완료되도록 등속으로 적하했다. 적하 완료 후, 추가로 1시간 교반을 계속한 후, V-601을 1.00g 첨가하여, 90℃까지 승온시키고, 추가로 3시간 교반을 계속하여, 본 발명의 함불소 공중합체 (A-19-1)의 사이클로헥산온 용액 330.0g을 얻었다. 이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5,700(젤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EcoSEC HLC-8320GPC(도소 가부시키가이샤제))에 의하여 용리액 NMP, 유속 0.50ml/min, 온도 40℃의 측정 조건에서 폴리스타이렌 환산으로 산출, 사용 칼럼은 TSKgel SuperAWM-H×3개(도소 가부시키가이샤제))였다. 또, 얻어진 중합체의 1H-NMR 스펙트럼으로 구조를 동정하여, 조성비를 결정했다.
1H-NMR(CDCl3) δ: 3.8~4.5(2H,4H,2-(퍼플루오로헥실)에틸아크릴레이트의 메틸렌기 유래 화합물 II-12로 나타나는 반복 단위의 메틸렌기 유래, 화합물 II-12로 나타나는 반복 단위의 붕소에 인접하는 메틸렌기 유래), 6.8~7.3과 7.6~8.2(8H, 화합물 II-12로 나타나는 반복 단위의 방향환 유래).
함불소 공중합체 (A-19-1)
[화학식 30]
<합성예 23~31>
합성예 22에서 이용한 모노머의 종류 및 양을 변경하고, 또 중합 개시제의 양을 하기 표 1에 기재한 양으로 변경하며, 얻어지는 공중합체 중의 반복 단위의 종류 및 조성비가, 하기 표 1에 나타낸 것이 되도록 한 것 이외에는, 상기 함불소 공중합체 (A-19-1)의 합성과 동일하게 하여, 함불소 공중합체 (A-19-2), (A-25-1), (A-25-2), (A-23-1), (A-23-2), (A-20), (A-28), (A-29), 및 (A-19-3)을 합성했다. 또한, (A-19-1)과 (A-19-2)와 (A-19-3)은, 반복 단위의 종류 및 조성비는 동일하고, 분자량이 상이한 것이다. (A-23-1)과 (A-23-2)는, 반복 단위의 종류 및 조성비는 동일하고, 분자량이 상이한 것이다. (A-25-1)과 (A-25-2)는, 반복 단위의 종류 및 조성비는 동일하고, 분자량이 상이한 것이다.
표 1에는, 얻어진 각 함불소 공중합체의 분자량(Mw, Mn), 분산도(Mw/Mn)를 아울러 나타낸다. 또, 표 1 중의 중합 개시제의 양은, 도입 모노머 전체량에 대한 중합 개시제의 양을 "mol%"로 나타낸 것이다.
[표 1]
또한, 표 1 중의 생략 기호는 이하의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반복 단위를 의미한다.
C6FHA: 1H,1H,7H-도데카플루오로헵틸아크릴레이트
C6FA: 2-(퍼플루오로헥실)에틸아크릴레이트
C8FA: 2-(퍼플루오로옥틸)에틸아크릴레이트
St: 스타이렌
PhOEA: 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
AA: 아크릴산
AS-6S: 폴리스타이렌 그래프트형 아크릴레이트(도아 고세이사제)
FM-0725: 사일라플레인 FM-0725(JNC 가부시키가이샤제)
V-601: 아조 개시제(와코 준야쿠사제)
SA: 2-아크릴로일옥시에틸석시네이트
PhA: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프탈산
BEA: 2-아크릴산 보록시에틸
IPOz: 아이소프로펜일옥사졸린
M-100: 사이클로머 M-100(가부시키가이샤 다이셀제)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248116호의 단락 번호 [0044],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102727호의 단락 번호 [0159]에 따라, 하기 비교예 화합물 (H-1) 및 (H-2)를 얻었다.
<비교예 화합물>
(H-1)(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248116호의 실시예 1 화합물)
[화학식 31]
(H-2)(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102727호의 실시예 1 화합물)
[화학식 32]
(H-3)
F-552: 시판 불소계 표면 개질제(DIC(주)제, 제품명: 메가팍 F-552)
[기능성막용 폴리스타이렌계 수지]
<합성예 1P>
교반기, 온도계, 환류 냉각관, 및 질소 가스 도입관을 구비한 300밀리리터 3구 플라스크에, 메틸에틸케톤 20.0g을 도입하고, 80℃까지 승온시켰다. 이어서, 스타이렌 32.0g, 사이클로머 M-100(다이셀사제) 8.0g, 메틸에틸케톤 20.0g, 및 "V-601"(와코 준야쿠(주)제) 0.04g으로 이루어지는 혼합 용액을, 3시간에 적하가 완료되도록 등속으로 적하했다. 적하 완료 후, 1시간 교반 후, (1) "V-601" 0.01g, 메틸에틸케톤 1.0g으로 이루어지는 용액을 첨가하고, 2시간 교반을 행했다. 계속해서, (1)의 공정을 2회 반복하고, 추가로 2시간 교반을 계속한 후, 1.5리터의 n-헥세인에 부어 건조하여, 스타이렌사이클로머 M 공중합체 (B-4) 39.5g을 얻었다. 이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156200(젤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하여 폴리스타이렌 환산으로 산출, 사용 칼럼은 TSKgel SuperHZM-H, TSKgel SuperHZ4000, TSKgel SuperHZ200(도소 가부시키가이샤제))이었다.
[화학식 33]
<기능성막 형성용의 도포액의 조제>
표 2~6에 나타내는 조성으로, 기능성막 형성용의 도포액 1~45를 조제했다. 표 2~6에 있어서, "%란, "질량%"를 나타내고, 용제에 있어서의 수치는, 도포액 전체량에 포함되는 각 용제의 함유율을 나타내며, 그 외의 성분에 있어서의 수치는, 도포액 중의 용제를 제외한 성분 중의 함유율을 나타낸다.
[표 2]
[표 3]
[표 4]
[표 5]
[표 6]
표 2~6에 기재된 화합물을 이하에 나타낸다.
(a) 성분
·상기한 함불소 공중합체, 또는 비교예 화합물
(b) 성분
·ADCP: 트라이사이클로데케인다이메탄올다이아크릴레이트(신나카무라 가가쿠 고교제)
(c) 성분
·Irgacure(이르가큐어) 127: 아실포스핀옥사이드계 광중합 개시제(BASF제)
(d) 성분
·SGP-10: 폴리스타이렌(PS 재팬제)
·아톤 RX4500: 환상 올레핀계 수지(JSR제)
·화합물 C: 셀룰로스계 수지
·에포크로스 RPS-1005: 스타이렌옥사졸린 공중합체(닛폰 쇼쿠바이제)
·SMA-3840: SMA 에스터 레진(가와하라 유카제)
·B-4: 스타이렌사이클로머 M 공중합체(상기 합성예 1P에 있어서의 합성 화합물)
(e) 성분
·바이론 550: 폴리에스터계 첨가제(도요보세키제)
용매
·아세트산 에틸
·톨루엔
·다이클로로메테인
상기의 화합물 C는, 치환도가 2.86인 셀룰로스아세테이트의 분체를 이용했다. 화합물 C의 점도 평균 중합도는 300, 6위의 아세틸기 치환도는 0.89, 아세톤 추출분은 7질량%, 질량 평균 분자량/수평균 분자량비는 2.3, 함수율은 0.2질량%, 6질량% 다이클로로메테인 용액 중의 점도는 305mPa·s, 잔존 아세트산 양은 0.1질량% 이하, Ca 함유량은 65ppm(parts per million), Mg 함유량은 26ppm, 철 함유량은 0.8ppm, 황산 이온 함유량은 18ppm, 옐로 인덱스는 1.9, 유리 아세트산 양은 47ppm이었다. 분체의 평균 입자 사이즈는 1.5mm, 표준 편차는 0.5mm였다.
<기능성막의 도설(塗設)>
시판 중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루미러(R) S105(막두께 38μm, 도레이 가부시키가이샤제)를 기재로서 이용하고, 도포액 1~45를 사용하여, 각각 기능성막 1~45를 작성했다. 구체적으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122889호 실시예 1에 기재된 슬롯 다이를 이용한 다이 코트법으로, 기재 상에, 반송 속도 60m/분의 조건으로 각 도포액을 도포하고, 100℃에서 60초 건조시켰다. 도포액 1~24, 27, 및 43~45에 대해서는, 추가로 질소 퍼지하 산소 농도 약 0.01체적%이고 160W/cm의 공랭 메탈할라이드 램프(아이 그래픽스(주)제)를 이용하여, 조도 200mW/cm2, 조사량 100mJ/cm2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기능성막을 경화시켰다. 그 후, 권취했다. 이와 같이 하여, 기능성막 1~45를 제작했다.
제작한 기능성막 1~45의 막두께, 접촉각, 및 평형 흡습률을 하기 방법으로 평가했다.
<막두께>
기능성막의 막두께는, 접촉식의 막후계를 이용하여 제작한 적층체의 막두께를 측정하고, 그것으로부터 동일하게 측정한 기재 두께를 빼서 산출했다. 기능성막 1~45의 막두께는 모두 5.0μm였다.
<물의 접촉각>
접촉각계["CA-X"형 접촉각계, 교와 가이멘 가가쿠(주)제]를 이용하여, 건조 상태(20℃, 상대 습도 65%)에서, 액체로서 순수를 사용하여 3μL의 액적을 바늘 끝에 만들고, 이것을 기능성막의 표면에 접촉시켜 기능성막 상에 액적을 만들었다. 적하 후 10초 동안의 기능성막과 액체가 접하는 점에 있어서의, 액체 표면에 대한 접선과 기능성막 표면이 이루는 각으로, 액체를 포함하는 측의 각도를 측정하여, 접촉각으로 했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했다.
A: 접촉각이 90° 초과
B: 접촉각이 70° 초과 90° 이하
C: 접촉각이 70° 이하
기능성막(10)만 C이고, 나머지는 모두 A였다. 이 결과로부터, 기능성막(10) 이외에는, 상기 (a) 성분이, 기능성막의 기재와 접하는 면과는 반대의 표면에 편재되어 있다고 생각된다.
<평형 흡습률>
상술한 방법으로 측정하고,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했다.
A: 1.0질량% 이하
B: 1.0질량% 초과 2.0질량% 이하
C: 2.0질량% 초과
<편광판의 제작>
(필름의 표면 처리)
셀룰로스아세테이트 필름(후지필름제, 후지탁 TD40UC)을 37℃로 조온한 1.5mol/L의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비누화액)에 1분간 침지시킨 후, 필름을 수세하고, 그 후, 0.05mol/L의 황산 수용액에 30초 침지시킨 후, 추가로 수세욕을 통과시켰다. 그리고, 에어 나이프에 의한 탈수를 3회 반복하여, 물을 떨어뜨린 후에 70℃의 건조 존에 15초간 체류시키고 건조시켜, 비누화 처리한 셀룰로스아세테이트 필름을 제작했다.
(편광자의 제작)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141926호의 실시예 1에 따라, 2쌍의 닙 롤 간에 주속 차를 부여하고, 길이 방향으로 연신하여, 두께 12μm의 편광자를 제작했다.
(첩합)
이와 같이 하여 얻은 편광자와, 상기 기능성막, 및 상기 비누화 처리한 셀룰로스아세테이트 필름을 롤 상태로 3개월간 보관한 재료를 이용하여, 이들로 상술한 편광자를 사이에 둔 후, 표 7에 기재된 하기 접착제를 이용하여, 편광자의 흡수축과 필름의 길이 방향이 평행이 되도록 롤 투 롤로 적층시켰다. 여기에서, 편광자의 한쪽의 면은, 상기 기능성막 1~45 중 어느 하나의 도포면이 편광자 측이 되도록 하고, 편광자의 다른 쪽의 면은, 상기 셀룰로스아세테이트 필름으로 했다.
·접착제 1:
폴리바이닐알코올(가부시키가이샤 구라레제, PVA-117H) 3% 수용액을 접착제로서 이용했다.
접착제 1을 이용한 경우, 적층 후 70℃ 20분간의 건조에 의하여 경화시켰다.
·접착제 2:
이하에 나타내는 조성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제작했다.
셀록사이드 2021P 25질량부
아론옥세테인 OXT-221 50질량부
리카레진 DME-100 25질량부
광산발생제 1 5질량부
·셀록사이드 2021P: 3,4-에폭시사이클로헥실메틸-3,4'-에폭시사이클로헥세인카복실산[다이셀(주)제]
·아론옥세테인 OXT-221: 3-에틸-3-[(3-에틸옥세탄-3-일)메톡시메틸]옥세테인[도아 고세이(주)제]
·리카레진 DME-100: 1,4-사이클로헥세인다이메탄올다이글리시딜에터[신니혼 리카(주)제]
·광산발생제 1: CPI100P[산아프로(주)제]
접착제 2를 이용한 경우, 30℃의 조건에서, 160W/cm의 공랭 메탈할라이드 램프(아이 그래픽스(주)제)를 이용하여, 조도 200mW/cm2, 조사량 160mJ/cm2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켰다.
상기 첩합에 이어서, 기재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세퍼레이터의 박리 장치와 동일한 장치를 이용하여 연속 박리하여, 편광판을 제작했다.
<기능성막과 편광자의 접착성 평가>
기능성막과 편광자 간의 접착성은, 이하의 방법으로 평가했다. 편광판의 기능성막을 첩합한 측의 면을, 아크릴계 점착제 시트를 통하여 유리 기재에 첩합하여 고정한 후에, 기능성막과 편광자의 사이에 커터로 칼집을 내고, 인장 시험기((주)에이·앤드·디제 RTF-1210)를 이용하여, 시험편의 길이 방향 일단(폭 25mm의 한 변)의 편광자, 및 셀룰로스아세테이트 필름 측을 그립하며, 온도 23℃, 상대 습도 60%의 분위기하, 크로스 헤드 스피드(그립 이동 속도) 300mm/분으로, 90° 박리 시험(JISK6854-1: 1999 "접착제-박리 접착 강도 시험 방법-제1부: 90도는 박리"에 준거함)으로 기능성막과 박리하는 평가를 실시하고, 박리에 가해진 응력에 대하여, 하기 기준으로 평가했다.
A: 박리 불가(편광판이 파열되거나, 혹은 아크릴계 점착제와 기능성막의 계면에서 박리됨)
B: 5.0N/25mm 이상
C: 2.0N/25mm 이상 5.0N/25mm 미만
D: 0.5N/25mm 이상 2.0N/25mm 미만
E: 0.5N/25mm 미만
실용상 문제가 없는 것은 A, B, C의 기준이다. A, B의 기준인 것이 바람직하고, A의 기준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한 실장 전의 편광판의 펀칭 검사>
상기 편광판을 40mm×40mm의 톰슨 블레이드로 100매 펀칭, 단면의 박리나 균열의 모습을 관찰하고,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했다.
A: 100매 모두 박리도 균열도 발생하지 않음
B: 1매 이상으로 약간 박리나 균열이 발생함
C: 5매 이상으로 박리나 균열이 발생함
실용상 문제가 없는 것은 A, B의 기준이다. A의 기준인 것이 바람직하다.
표 7에 평가 결과를 나타낸다.
[표 7]
상기 표 7로부터, 본 발명의 편광판은, 편광자와 기능성막의 접착성이 높고, 펀칭 등의 가공 적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의하여, 기능성막을 다른 층, 막, 또는 다른 물품과 충분히 접착시킬 수 있는 공중합체, 및 상기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또 특정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경이나 수정을 추가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 분명하다.
본 출원은, 2016년 6월 27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특원 2016-126440), 2016년 9월 30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특원 2016-193814), 및 2017년 1월 27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특원 2017-013698)에 근거하는 것이며, 그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서 원용된다.
Claims (8)
- 하기 일반식 (I)로 나타나는 반복 단위와, 하기 일반식 (Ⅱ)로 나타나는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화학식 1]
일반식 (I) 중, R1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20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2는 적어도 하나의 불소 원자를 치환기로서 갖는 탄소수 1~20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L은 -O-, -(C=O)O-, -O(C=O)-, 2가의 지방족 쇄상기, 및 2가의 지방족 환상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는 2가의 연결기를 나타낸다.
[화학식 2]
일반식 (II) 중, R10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20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11 및 R1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치환 혹은 무치환의 지방족 탄화 수소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아릴기, 또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헤테로아릴기를 나타내며, R11과 R12는 연결되어 있어도 된다. X1은, -(C=O)O-, -O(C=O)-, -(C=O)NH-, -O-, -CO-, -NH-, -O(C=O)-NH-, -O(C=O)-O-, 및 -CH2-로부터 선택되는 연결기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고, 또한 탄소수가 7 이상인, 2가의 연결기를 나타낸다. - 삭제
- 삭제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 (Ⅱ)로 나타나는 반복 단위가, 하기 일반식 (Ⅴ)로 나타나는 반복 단위인, 공중합체.
[화학식 4]
일반식 (V) 중, R10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20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11 및 R1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치환 혹은 무치환의 지방족 탄화 수소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아릴기, 또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헤테로아릴기를 나타내며, R11과 R12는 연결되어 있어도 된다. X11은, -(C=O)O-, -O(C=O)-, -(C=O)NH-, -O-, -CO-, 및 -CH2-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는 2가의 연결기를 나타낸다. X12는, -(C=O)O-, -O(C=O)-, -(C=O)NH-, -O-, -CO-, -NH-, -O(C=O)-NH-, -O(C=O)-O-, 및 -CH2-로부터 선택되는 연결기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고, 또한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환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2가의 연결기를 나타낸다. 단, 상기 X11과 상기 X12의 합계 탄소수는 7 이상이다.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 (II)로 나타나는 반복 단위의 R11 및 R12가 수소 원자를 나타내는, 공중합체.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열가교성기를 더 갖는, 공중합체.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기재된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6126440 | 2016-06-27 | ||
JPJP-P-2016-126440 | 2016-06-27 | ||
JPJP-P-2016-193814 | 2016-09-30 | ||
JP2016193814 | 2016-09-30 | ||
JP2017013698A JP6740144B2 (ja) | 2016-06-27 | 2017-01-27 | 共重合体、及び組成物 |
JPJP-P-2017-013698 | 2017-01-27 | ||
PCT/JP2017/023078 WO2018003662A1 (ja) | 2016-06-27 | 2017-06-22 | 共重合体、及び組成物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03653A KR20190003653A (ko) | 2019-01-09 |
KR102126761B1 true KR102126761B1 (ko) | 2020-06-26 |
Family
ID=61909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7034461A KR102126761B1 (ko) | 2016-06-27 | 2017-06-22 | 공중합체, 및 조성물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10920012B2 (ko) |
JP (1) | JP6740144B2 (ko) |
KR (1) | KR102126761B1 (ko) |
CN (1) | CN109415465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062077A1 (ja) * | 2016-09-30 | 2018-04-05 |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 高分子化合物 |
KR102214909B1 (ko) | 2017-06-30 | 2021-02-10 |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 조성물, 광학 필름, 편광판, 표시 장치, 및 조성물의 제조 방법 |
KR20220047717A (ko) | 2019-08-21 | 2022-04-19 |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 점착제층 부착 투명 도전성 시트, 터치 센서 및 화상 표시 장치 |
JP7369777B2 (ja) * | 2019-08-29 | 2023-10-26 | 日東電工株式会社 | 偏光子保護用樹脂組成物および該組成物から形成された保護層を備える偏光板 |
CN114044860B (zh) * | 2021-12-15 | 2023-08-29 | 科之杰新材料集团有限公司 | 一种降粘型醚类聚羧酸减水剂及其制备方法 |
CN114106261B (zh) * | 2021-12-15 | 2023-08-29 | 科之杰新材料集团有限公司 | 一种低水化热酯类聚羧酸减水剂及其制备方法 |
US11712873B1 (en) | 2022-06-30 | 2023-08-01 | CreateMe Technologies LLC | Boronate adhesives for apparel products |
US11732159B1 (en) * | 2022-06-30 | 2023-08-22 | CreateMe Technologies LLC | Methods of disassembling apparel products having boronate adhesives |
US11634616B1 (en) | 2022-06-30 | 2023-04-25 | CreateMe Technologies LLC | Methods of assembling apparel products having boronate adhesives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070022A (ja) * | 2009-09-25 | 2011-04-07 | Fuji Xerox Co Ltd | 電気泳動粒子分散液、表示媒体、表示装置、及び電気泳動粒子 |
Family Cites Families (2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025274A (en) * | 1957-09-06 | 1962-03-13 | American Cyanamid Co | Polymers of a vinylphenyl boronic compound |
JP3427447B2 (ja) * | 1993-11-05 | 2003-07-14 | 日本油脂株式会社 | フッ素化フェニルボロン酸基含有重合体 |
FR2839723B1 (fr) * | 2002-05-14 | 2004-07-23 | Rhodia Chimie Sa | Polymere obtenu par polymerisation radicalaire controlee comprenant au moins une fonction boronate, association avec un compose ligand et utilisations |
FR2843314B1 (fr) * | 2002-08-06 | 2004-09-24 | Rhodia Chimie Sa | Synthese de microgels statistiques par polymerisation radicalaire controlee |
JP4139673B2 (ja) * | 2002-11-12 | 2008-08-27 |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 反射防止膜およびディスプレイ装置 |
JP4721747B2 (ja) * | 2004-09-30 | 2011-07-13 |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 高分子膜、液晶配向膜、位相差板及び液晶表示装置 |
FR2896505B1 (fr) * | 2006-01-26 | 2008-03-07 | Rhodia Recherches & Tech | Procede de preparation par polymerisation par transfert d'iode d'un copolymere a architecture controlee de type telomere ou de copolymere a bloc issu de monomeres vinyl phosphonate |
JP2008225281A (ja) * | 2007-03-15 | 2008-09-25 | Fujifilm Corp | 光学フィルム、及び偏光板 |
US8534031B2 (en) | 2008-12-30 | 2013-09-17 | Bausch & Lomb Incorporated | Packaging solutions |
US8410190B2 (en) * | 2009-09-22 | 2013-04-02 | Coopervision International Holding Company, Lp | Wettable hydrogel materials for use in ophthalmic applications and methods |
JP6047088B2 (ja) * | 2011-02-21 | 2016-12-21 | 旭化成株式会社 | 有機無機複合体を含むコーティング材、有機無機複合膜及び反射防止部材 |
US9121998B2 (en) * | 2011-02-28 | 2015-09-01 | Coopervision International Holding Company, Lp | Silicone hydrogel contact lenses |
JP2013054201A (ja) | 2011-09-02 | 2013-03-21 | Fujifilm Corp | 光学補償シート、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
US20130222884A1 (en) * | 2012-02-27 | 2013-08-29 | Fujifilm Corporation | Electrophoretic particle, particle dispersion liquid for display, display medium and display device |
US9095141B2 (en) * | 2012-07-31 | 2015-08-04 |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 Antifouling compositions including dioxaborinanes and uses thereof |
JP6069176B2 (ja) * | 2013-03-14 | 2017-02-01 |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 光学補償フィルムの製造方法、光学補償フィルム、偏光板、液晶表示装置 |
CN105378517B (zh) | 2013-06-06 | 2019-04-05 | 富士胶片株式会社 | 光学片部件及使用该光学片部件的图像显示装置 |
WO2014199934A1 (ja) | 2013-06-10 | 2014-12-18 |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 偏光板および偏光板の製造方法ならびに偏光板の製造のための転写材料および転写材料 |
TW201520043A (zh) | 2013-10-09 | 2015-06-01 | 富士軟片股份有限公司 | 偏光板、影像顯示裝置 |
WO2015147287A1 (ja) * | 2014-03-28 | 2015-10-01 |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 液晶パネル、液晶表示装置、偏光板、および偏光板保護フィルム |
JP6159351B2 (ja) * | 2014-05-19 | 2017-07-05 |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 波長変換部材、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および液晶表示装置、ならびに波長変換部材の製造方法 |
JP6149078B2 (ja) * | 2014-08-29 | 2017-06-14 |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 位相差フィルム、位相差フィルムの製造方法、積層体、組成物、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
JP2016169297A (ja) * | 2015-03-12 | 2016-09-23 | 日東電工株式会社 | 架橋剤および硬化性樹脂組成物、偏光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ならびに画像表示装置 |
-
2017
- 2017-01-27 JP JP2017013698A patent/JP6740144B2/ja active Active
- 2017-06-22 CN CN201780039159.6A patent/CN109415465B/zh active Active
- 2017-06-22 KR KR1020187034461A patent/KR102126761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8
- 2018-11-28 US US16/202,784 patent/US10920012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070022A (ja) * | 2009-09-25 | 2011-04-07 | Fuji Xerox Co Ltd | 電気泳動粒子分散液、表示媒体、表示装置、及び電気泳動粒子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10920012B2 (en) | 2021-02-16 |
JP2018059037A (ja) | 2018-04-12 |
KR20190003653A (ko) | 2019-01-09 |
CN109415465B (zh) | 2021-01-15 |
JP6740144B2 (ja) | 2020-08-12 |
US20190092899A1 (en) | 2019-03-28 |
CN109415465A (zh) | 2019-03-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26761B1 (ko) | 공중합체, 및 조성물 | |
KR102235346B1 (ko) | 기능성막, 편광판, 및 표시 장치 | |
CN114456724B (zh) | 层叠体 | |
KR102214909B1 (ko) | 조성물, 광학 필름, 편광판, 표시 장치, 및 조성물의 제조 방법 | |
KR102204760B1 (ko) | 액정 조성물, 광학 필름,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 |
TWI541298B (zh) | 偏光板及包含該偏光板的影像顯示設備 | |
KR101687873B1 (ko) | 라디칼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광학 부재 | |
JP2008132746A (ja) | 積層フィルム、反射防止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 |
TW201447399A (zh) | 光學薄膜、偏光板、畫像顯示裝置及光學薄膜之製造方法 | |
WO2018003662A1 (ja) | 共重合体、及び組成物 | |
JP6999690B2 (ja) | 偏光板の製造方法及び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 |
JP5560527B2 (ja) | アクリル樹脂フィルム | |
JP2009227905A (ja) | 二軸配向アクリル樹脂フィル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