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6752B1 - 이중 코일 스프링에 의하여 3개의 플런저가 독립적으로 슬라이드 동작하는 테스트 소켓에 있어서, 레일을 통하여 콘택 특성이 개선되는 데스트 핀 - Google Patents

이중 코일 스프링에 의하여 3개의 플런저가 독립적으로 슬라이드 동작하는 테스트 소켓에 있어서, 레일을 통하여 콘택 특성이 개선되는 데스트 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6752B1
KR102126752B1 KR1020180165297A KR20180165297A KR102126752B1 KR 102126752 B1 KR102126752 B1 KR 102126752B1 KR 1020180165297 A KR1020180165297 A KR 1020180165297A KR 20180165297 A KR20180165297 A KR 20180165297A KR 102126752 B1 KR102126752 B1 KR 1021267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spring
plunger
ball
inner coil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5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진국
차상훈
정창모
임청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킨스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킨스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킨스전자
Priority to KR1020180165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67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6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67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11Probe needles; Cantilever beams; "Bump" contacts; Replaceable probe pins
    • G01R1/06733Geometry asp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01R1/0433Sockets for IC's or transistors
    • G01R1/0483Sockets for un-leaded IC's having matrix type contact fields, e.g. BGA or PGA devices; Sockets for unpackaged, naked chi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11Probe needles; Cantilever beams; "Bump" contacts; Replaceable probe pins
    • G01R1/06716Elastic
    • G01R1/06722Spring-load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11Probe needles; Cantilever beams; "Bump" contacts; Replaceable probe pins
    • G01R1/06733Geometry aspects
    • G01R1/06738Geometry aspects related to tip por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86Features relating to contacting the IC under test, e.g. probe heads; chuck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ing Leads Or Pro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테스트 핀은, 반도체 기기와 테스트 장치 사이에서 전기적 검사를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반도체 기기의 도전 볼과 상기 테스트 장치의 콘택 패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테스트 소켓의 테스트 핀에 있어서, 상기 도전 볼과 양측에서 개별적으로 접촉하는 제1 및 제2볼 플런저, 상기 콘택 패드와 접촉하고, 한 쌍의 볼 플런저 사이에서 독립적으로 슬라이드 되는 패드 플런저, 상기 제1 및 제2볼 플런저, 그리고 상기 패드 플런저를 동축으로 탄성 지지하나 직경이 상이한 한 쌍의 이너 및 아우터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패드 플런저와 맞닿는 상기 제1 및 제2볼 플런저의 대향면에는 접촉 면적을 확장하기 위한 요철이 제공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항상적인 전기적 접속이 구현된다.

Description

이중 코일 스프링에 의하여 3개의 플런저가 독립적으로 슬라이드 동작하는 테스트 소켓에 있어서, 레일을 통하여 콘택 특성이 개선되는 데스트 핀 {device for test pin in which three plungers slide independently by a double coil spring, and the contact characteristics are improved through the rail}
본 발명은,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각 플런저 상호간에 레일을 통하여 콘택 특성이 개선되는 테스트 소켓용 테스트 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한 쌍의 볼 플런저들 사이에 방향을 바꾸어 패드 플런저가 배치되고, 이중 코일 스프링에 의하여 3개의 플런저가 일체로 탄성 결합됨으로써, 각 플런저가 상호 독립적으로 슬라이드 되며, 레일을 통하여 반도체 기기의 도전 볼과 테스트 장치의 콘택 패드가 확실한 전기적 접속을 실현하는 테스트 소켓의 테스트 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BGA(ball grid array) 타입의 반도체 기기는 최종적으로 검사 장치에 의해 각종 전기 시험을 통한 특성 측정 또는 불량 검사를 받게 된다. 이때, 검사 장치에 설치된 검사용 인쇄회로기판의 회로 패턴과 BGA 타입 반도체 기기의 콘택 볼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테스트 소켓이 사용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러한 테스트 소켓의 접속핀(2)은, 3개의 플런저(가령, 제1플런저(10), 제2플런저(20) 및 제3플런저(30))로 구성되고, 3개 플런저는 이중 코일 스프링, 즉, 내측 코일 스프링(40)과 외측 코일 스프링(50)에 의하여 일체로 결합되어 사용된다.
제1플런저(10)는 내측 코일 스프링(40)에 의하여 지지되는 부분이 제2플런저(20)보다 하부에 위치하고, 제2플런저(20)는 외측 코일 스프링(50)에 의하여 지지되는 부분이 제1플런저(10)보다 상부에 위치하는 점을 제외하면 양 플런저는 대체로 합동이다. 제1플런저(10)의 접촉팁과 제2플런저(20)의 접촉팁은 같은 방향이 되도록 대향 배치되고, 제3플런저(30)의 접촉팁은 제1플런저(10)의 접촉팁 및 제2플런저(20)의 접촉팁과 반대 방향이 되며, 제3플런저(30)는 제1 및 제2플런저(10, 20) 사이에 배치된다.
특히, 내측 코일 스프링(40)은 제1플런저(10) 및 제2플런저(20)가 대향하는 각 결합부의 외측 둘레에 탄성 배치됨으로써, 제1플런저(10) 및 제2플런저(20)가 제3플런저(30)와 밀착 상태에서 서로 독립적으로 슬라이드 동작되며, 내경을 통하여 내측 코일 스프링(40)은 제1 내지 제3플런저(10, 20, 30)를 각각 측면에서 지지한다.
그런데, 전술한 종래 기술의 접속핀(2)은 아래와 같은 문제점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좌우 한 쌍의 제1 및 제2플런저(10, 20)가 내측 코일 스프링(40)의 내경에 의하여 일체로 결합하여 동작하다 보니, 플런저(10, 20, 30) 상호간의 접촉이 일정하지 않고, 간극(G)에 의하여 분리 동작하는 문제점이 있다. 접촉 불량의 원인이 된다.
또한, 각 플런저(10, 20, 30)의 단부가 내측 코일 스프링(40)의 내경으로 삽입되고, 삽입 후에는 임의로 분리되지 않아야 하며, 스프링이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그러나, 단부가 라운드(round) 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단순 확장되어 있기 때문에, 스프링의 내경이 단부를 통과하기 매우 곤란하고, 통과 후에는 스프링이 임의로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어, 실질적으로 코일 스프링이 탄성 기능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게 된다.
JP 특개 2012-181096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3개의 플런저가 접촉 상태를 유지하면서 슬라이드 되도록 하여 도전 볼과 콘택 패드가 확실한 전기적 접속을 실현하는 테스트 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플런저를 내측 코일 스프링에 탑재함에 있어서, 스프링의 일정한 내경에도 불구하고 삽입은 용이하고 분리는 곤란하게 하는 테스트 핀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의 테스트 핀은, 반도체 기기와 테스트 장치 사이에서 전기적 검사를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반도체 기기의 도전 볼과 상기 테스트 장치의 콘택 패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테스트 소켓의 테스트 핀에 있어서, 상기 도전 볼과 양측에서 개별적으로 접촉하는 제1 및 제2볼 플런저, 상기 콘택 패드와 접촉하고, 한 쌍의 볼 플런저 사이에서 독립적으로 슬라이드 되는 패드 플런저, 상기 제1 및 제2볼 플런저, 그리고 상기 패드 플런저를 동축으로 탄성 지지하나 직경이 상이한 한 쌍의 이너 및 아우터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패드 플런저와 맞닿는 상기 제1 및 제2볼 플런저의 대향면에는 접촉 면적을 확장하기 위한 요철이 제공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3개의 플런저가 2개의 코일 스프링에 의하여 동작하기 때문에, 전기적 경로가 플런저를 통하기 보다 스프링을 통하여 형성되기 쉽고, 플런저 상호간의 동작을 직접 강제하기 곤란하기 때문에, 전기 저항이 증가하거나 혹은 접촉 불량으로 인하여 오프되는 경향이 있지만, 레일을 통하게 되면, 레일의 3면을 통하여 플런저가 어느 쪽으로 편심되어 동작하든 적어도 1면 이상에서 전기적 접속이 항상적으로 유지되기 때문에, 접촉 불량이 방지되고, 전기 저항이 감소하는 효과가 기대된다.
둘째, 내측 코일 스프링에 의하여 3개의 플런저가 외측에서 지지되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코일 스프링의 내경이 일정하고, 일정한 내경을 통하여 각 플런저가 삽입되기 때문에, 조립 공정이 복잡하고 수율이 저하되나, 각 플런저의 확장편에 절개부를 구비하면 삽입은 용이하여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분리가 억제되어 내구성이 증진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테스트 소켓용 테스트 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테스트 핀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테스트 소켓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테스트 핀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테스트 핀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단면도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테스트 핀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테스트 핀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단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 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 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개략도인 평면도 및 단면도를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고,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테스트 소켓용 테스트 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테스트 핀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최종(final) 테스트 소켓에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하겠지만,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번인(burn-in) 테스트 소켓에도 사용될 수 있다.
테스트 소켓(Test socket)은, 패키지 IC, MCM 등의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 집적 회로가 형성된 웨이퍼 등의 반도체 기기의 전기적 검사에서, 검사 대상인 반도체 기기의 접속 단자(가령, 도전 볼)와, 테스트 장치의 접속 단자(가령, 콘택 패드)를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하여, 반도체 기기와 테스트 장치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테스트 소켓의 테스트 핀(100)은, 외부 기기 가령, 반도체 기기의 도전 볼(B)과 테스트 장치의 콘택 패드(P)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반도체 기기와 테스트 장치 사이에서 전기적 검사를 수행한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테스트 핀(100)은, 도전 볼(B)과 양측에서 개별적으로 접촉하는 제1 및 제2볼 플런저(110, 120), 콘택 패드(P)와 접촉하고, 한 쌍의 볼 플런저(110, 120) 사이에서 독립적으로 슬라이드 되는 패드 플런저(130), 제1 및 제2볼 플런저(110, 120) 그리고 패드 플런저(130)를 동축으로 탄성 지지하나 직경이 상이한 한 쌍의 이너 및 아우터 코일 스프링(140, 150)을 포함한다.
아우터 코일 스프링(150)은 이너 코일 스프링(140)보다 직경이 크고, 이중 코일 스프링(140, 150)은 직접 상호 접촉하거나 상호 작용하지 않고 각각 독립적으로 동작한다. 따라서, 이중 코일 스프링(140, 150)에 의하여 동작하는 제1, 제2볼 플런저, 및 패드 플런저(110, 120, 130)가 상호 독립적으로 슬라이드 될 수 있다.
가령, 이너 코일 스프링(140)은, 상측에서는 제1볼 플런저(110) 및 패드 플런저(130)에 각각 지지되고, 하측에서는 제1 및 제2볼 플런저 그리고 패드 플런저(110, 120, 130)에 각각 지지된다. 아우터 코일 스프링(150)은, 상측에서는 제2볼 플런저(120)에 지지되고, 하측에서는 패드 플런저(130)에 지지된다.
이너 코일 스프링(140)과 아우터 코일 스프링(150)의 탄성 정도가 상이할 수 있다. 이너 코일 스프링(140)의 탄성력이 약하면, 도전 볼(B)과의 접촉 시, 저 탄성의 이너 코일 스프링(140)이 먼저 압축될 수 있다. 반대로 이너 코일 스프링(140)의 탄성 정도가 강하면, 도전 볼(B)과의 접촉 시, 탄성 정도가 약한 아우터 코일 스프링(150)이 먼저 압축될 수 있다.
가령, 도전 볼(B)의 형상이 일정하지 않거나 접촉팁이 도전 볼(B)의 정중앙에 정렬되어 있지 않아, 일방 볼 플런저(110)가 도전 볼(B)과 일측으로 편심되어 어긋나게 접촉하더라도 타방 볼 플런저(120)가 이에 구속되지 않고 개별적으로 접촉하기 때문에, 양측에서 전기적 접속이 가능하다.
패드 플런저(130)와 제1 및 제2볼 플런저(110, 120)는 판재의 스트립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술한 스트립은 소정 넓이와 소정 두께를 가지는 판재 형태로 성형하기 때문에, MEMS 공정을 이용하여 제작 가능하다.
제1볼 플런저(110)는, 상측의 제1접속팁(112), 이너 코일 스프링(140)의 상단이 지지되는 제1스토퍼(114), 이너 코일 스프링(140)이 그 둘레에 탑재되는 제1연장부(116), 및 이너 코일 스프링(140)이 통과하거나 지지되는 제1확장부(118)를 포함한다.
제2볼 플런저(120)는, 상측의 제2접속팁(122), 아우터 코일 스프링(150)의 상단이 지지되고, 제1스토퍼(144)의 폭보다 크고, 제1스토퍼(144) 보다 상측에 가까운 제2스토퍼(124), 아우터 코일 스프링(150)이 탑재되고, 제1연장부(116)보다 긴 제2연장부(126), 및 이너 코일 스프링(140)이 통과하거나 지지되는 제2확장부(128)를 포함한다.
이때, 제1 및 제2확장부(118, 128)에는 이너 코일 스프링(140)의 장착 시 이너 코일 스프링(140)의 상단에 의하여 내측으로 가압될 수 있도록 중앙 일측에 스트립의 일부가 제거된 절개부(118a, 128a)가 더 구비된다. 제1 및 제2확장부(118, 128)는 이너 코일 스프링(140)의 상단이 지지되도록 충분한 폭으로 제공되기 때문에, 이너 코일 스프링(140)의 상단이 통과할 수 있어야 하는 상반된 조건을 충족하기 위하여 절개부(118a, 128a)가 필요하다.
가령, 제1 및 제2확장부(118, 128)는 이너 코일 스프링(140)의 상단이 지지되도록 충분하고, 또한 이너 코일 스프링(140)의 상단이 통과할 수 없는 폭으로 제공되나, 제1 및 제2확장부(118, 128)의 중앙 일측에 스트립의 일부가 제거된 절개부(118a, 128a)를 더 포함함으로써, 이너 코일 스프링(140)의 장착 시 이너 코일 스프링(140)의 상단에 의하여 내측으로 가압되고, 비로소 이너 코일 스프링(140)이 제1 및 제2확장부(118, 128)를 통과할 수 있다.
패드 플런저(130)는, 하측의 제3접속팁(132), 이너 코일 스프링(140)의 하단이 지지되는 제3스토퍼(134), 이너 코일 스프링(140)이 탑재되는 제3연장부(136), 및 이너 코일 스프링(140)이 통과하거나 지지되는 제3확장부(138)를 포함한다.
한편, 한 쌍의 볼 플런저(110, 120)와 패드 플런저(130)가 이중 코일 스프링(140, 150)의 탄성에 의하여 상호 독립적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수직으로 작용하는 힘에 비하여 수평에서 작용하는 힘이 부족하다.
가령, 이너 코일 스프링(140)이 3개의 플런저(110, 120, 130)를 측면에서 일체로 지지하기는 하지만, 만약 지나치게 강하게 압박하면 플런저의 수직 이동이 방해될 수 있다. 반대로 지나치게 부족하면 수평 방향에서 분리 동작할 수 있다. 3개의 플런저(110, 120, 130)가 수평 방향에서 분리 동작하게 되면, 전기적 접속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패드 플런저(130)와 맞닿는 제1 및 제2볼 플런저(110, 120)의 대향면에는 접촉 면적을 확장시키기 위한 요철(凹凸)이 제공된다. 패드 플런저(130)의 제3연장부(136)의 양면에는 레일(136a)이 돌출되고, 제1 및 제2볼 플런저(110, 120)의 일면 및 타면에는 각각 레일과 대응되는 레일 홈(116a, 126a)이 제공된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한 쌍의 제1 및 제2볼 플런저(110, 120) 사이에 패드 플런저(130)가 수직 방향에서 자유로운 이동과 함께 수평 방향에서 접촉 면적을 확장하여, 접촉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레일(136a)은 사각 기둥으로 3면이 외부에 노출되기 때문에, 레일 홈(116a, 126a)을 통하여 3면에서 접촉하기 때문에, 별도의 레일이 없는 경우와 대비하여 접촉 면적이 3배 이상 넓어질 수 있다.
특히, 각 플런저(110, 120, 130)가 일측으로 편심되어 슬라이드 되더라도, 3면 중 적어도 어느 일면과 항상적인 접촉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접촉 불량은 원천적으로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3개의 플런저(110, 120, 130)가 이중 코일 스프링(140, 150)에 의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한 쌍의 볼 플런저(110, 120)가 그 사이에 개재된 패드 블런저(130)의 이동을 직접 강제하지 못한다. 한편에서 제1볼 플런저(110)가 도전 볼(B)에 의하여 하부 방향으로 가압되면 이너 코일 스프링(140)이 하부 방향으로 압축되고 패드 플런저(130) 역시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다른 한편에서 제2볼 플런저(120)가 도전 볼(B)에 의하여 하부 방향으로 가압되면 아우터 코일 스프링(150)이 하부 방향으로 압축되어 패드 플런저(130)가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이너 코일 스프링(140)과 아우터 코일 스프링(150)에 의하여 간접적으로 이동이 강제된다. 따라서, 이너 코일 스프링(140)과 아우터 코일 스프링(150)의 탄성력이 장기간 사용에 의하여 저감되면 한 쌍의 볼 플런저(110, 120)의 이동에도 불구하고, 패드 플런저(130)의 이동이 충분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레일 홈(116a, 126a)의 길이를 일정하게 제한하게 되면 레일(136a)이 레일 홈(116a, 126a)에서 가변할 수 있는 범위가 제한되고, 그 범위를 벗어나면 레일 홈(116a, 126a)의 단부에 레일(136a)의 단부가 걸리면서 패드 플런저(130)의 이동을 레일에 의하여 강제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절개부(118a, 128a, 138a)의 양측으로 확장편이 제공되고, 특히 제1 및 제2확장편에는 절곡되어, 접촉력을 강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대향하는 한 쌍의 볼 플런저 사이에 패드 플런저를 반대 방향으로 배치하고, 여기세 2개의 코일 스프링을 내측 및 외측에 설치하여 각 볼 플런저를 독립적으로 동작하고, 도전 볼의 형상이나 위치에 구애되지 않고 접속팁이 양측에서 접소하도록 하는 테스트 핀에 있어서, 각 볼 플런저가 개별적으로 동작하다 보니, 플런저 간의 측면 접속력이 일정하지 않아 접촉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패드 플런저 양측에 레일을 제공하고, 이와 면접하는 각 볼 플런저에 레일 홈을 각각 제공하여, 항상적이고 완전한 전기적 접속을 구현하는 구성을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0: 테스트 핀 110: 제1볼 플런저
120: 제2볼 플런저 130: 패드 플런저
140: 이너 코일 스프링 150: 아우터 코일 스프링

Claims (9)

  1. 반도체 기기와 테스트 장치 사이에서 전기적 검사를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반도체 기기의 도전 볼과 상기 테스트 장치의 콘택 패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테스트 소켓의 테스트 핀에 있어서,
    상기 도전 볼과 양측에서 개별적으로 접촉하는 제1 및 제2볼 플런저;
    상기 콘택 패드와 접촉하고, 한 쌍의 볼 플런저 사이에서 독립적으로 슬라이드 되는 패드 플런저;
    상기 제1 및 제2볼 플런저, 그리고 상기 패드 플런저를 동축으로 탄성 지지하나 직경이 상이한 한 쌍의 이너 및 아우터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패드 플런저와 맞닿는 상기 제1 및 제2볼 플런저의 대향면에는 접촉 면적을 확장하기 위한 요철이 제공되고,
    상기 패드 플런저의 양면에는 레일이 돌출되고, 상기 제1볼 플런저의 일면과 제2볼 플런저의 타면에는 각각 상기 레일과 대응되는 레일 홈이 제공되고,
    상기 제1볼 플런저는,
    상측의 제1접속팁;
    상기 이너 코일 스프링의 상단이 지지되는 제1스토퍼;
    상기 이너 코일 스프링이 탑재되고, 일면에 상기 레일 홈이 제공되는 제1연장부; 및
    상기 이너 코일 스프링이 통과하거나 지지되는 제1확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볼 플런저는,
    상측의 제2접속팁;
    상기 아우터 코일 스프링의 상단이 지지되고, 상기 제1스토퍼보다 상측에 가까운 제2스토퍼;
    상기 아우터 코일 스프링이 탑재되고, 상기 제1연장부보다 길고, 타면에 상기 레일 홈이 제공되는 제2연장부; 및
    상기 이너 코일 스프링이 통과하거나 지지되는 제2확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패드 플런저는,
    하측의 제3접속팁;
    상기 이너 코일 스프링의 하단이 지지되는 제3스토퍼;
    상기 이너 코일 스프링이 탑재되고, 양면에 상기 레일이 제공되는 제3연장부; 및
    상기 이너 코일 스프링이 통과하거나 지지되는 제3확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확장부는 상기 이너 코일 스프링의 상단이 지지되도록, 또한 상기 이너 코일 스프링의 상단이 통과할 수 없는 폭으로 제공되나,
    상기 이너 코일 스프링의 장착 시 상기 이너 코일 스프링의 상단에 의하여 내측으로 가압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내지 제3확장부의 중앙 일측이 제거된 절개부가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의 양측으로 확장편이 제공되고, 상기 확장편은 상기 제3확장부측으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핀.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3면이 노출되는 사각 기둥의 형상이고, 상기 레일 홈은 상기 사각 기둥과 대응되는 사각 홈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핀.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홈의 길이는 상기 레일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핀.
KR1020180165297A 2018-12-19 2018-12-19 이중 코일 스프링에 의하여 3개의 플런저가 독립적으로 슬라이드 동작하는 테스트 소켓에 있어서, 레일을 통하여 콘택 특성이 개선되는 데스트 핀 KR1021267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5297A KR102126752B1 (ko) 2018-12-19 2018-12-19 이중 코일 스프링에 의하여 3개의 플런저가 독립적으로 슬라이드 동작하는 테스트 소켓에 있어서, 레일을 통하여 콘택 특성이 개선되는 데스트 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5297A KR102126752B1 (ko) 2018-12-19 2018-12-19 이중 코일 스프링에 의하여 3개의 플런저가 독립적으로 슬라이드 동작하는 테스트 소켓에 있어서, 레일을 통하여 콘택 특성이 개선되는 데스트 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6752B1 true KR102126752B1 (ko) 2020-06-25

Family

ID=71400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5297A KR102126752B1 (ko) 2018-12-19 2018-12-19 이중 코일 스프링에 의하여 3개의 플런저가 독립적으로 슬라이드 동작하는 테스트 소켓에 있어서, 레일을 통하여 콘택 특성이 개선되는 데스트 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6752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81096A (ja) 2011-03-01 2012-09-20 Micronics Japan Co Ltd 接触子及び電気的接続装置
JP2014092539A (ja) * 2012-10-31 2014-05-19 Ucm Co Ltd コンタクトプローブ
KR101396377B1 (ko) * 2014-02-03 2014-05-20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반도체 검사용 소켓의 판형 검사용 콘택터
KR101455174B1 (ko) * 2013-04-23 2014-10-28 (주)마이크로컨텍솔루션 포고 핀 및 그 제조방법
KR101492242B1 (ko) * 2014-07-17 2015-02-13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검사용 접촉장치 및 전기적 검사소켓
JP2015040734A (ja) * 2013-08-21 2015-03-02 オムロン株式会社 プローブピン、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デバイス
KR101629866B1 (ko) * 2010-04-08 2016-06-13 (주)아이윈 인너 브릿지 타입의 스프링 프로브 핀
KR101833970B1 (ko) * 2015-11-25 2018-03-02 가부시키가이샤 니혼 마이크로닉스 전기적 접촉자 및 전기적 접속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9866B1 (ko) * 2010-04-08 2016-06-13 (주)아이윈 인너 브릿지 타입의 스프링 프로브 핀
JP2012181096A (ja) 2011-03-01 2012-09-20 Micronics Japan Co Ltd 接触子及び電気的接続装置
JP2014092539A (ja) * 2012-10-31 2014-05-19 Ucm Co Ltd コンタクトプローブ
KR101455174B1 (ko) * 2013-04-23 2014-10-28 (주)마이크로컨텍솔루션 포고 핀 및 그 제조방법
JP2015040734A (ja) * 2013-08-21 2015-03-02 オムロン株式会社 プローブピン、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デバイス
KR101396377B1 (ko) * 2014-02-03 2014-05-20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반도체 검사용 소켓의 판형 검사용 콘택터
KR101492242B1 (ko) * 2014-07-17 2015-02-13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검사용 접촉장치 및 전기적 검사소켓
KR101833970B1 (ko) * 2015-11-25 2018-03-02 가부시키가이샤 니혼 마이크로닉스 전기적 접촉자 및 전기적 접속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6677B1 (ko) 멤스 포고 핀 및 이를 이용한 검사 방법
KR102047264B1 (ko) 검사장치
KR101715750B1 (ko) 반도체 디바이스를 검사하기 위한 프로브 및 그를 사용하는 테스트 소켓
KR101769355B1 (ko) 수직형 프로브핀 및 이를 구비한 프로브핀 조립체
KR101073400B1 (ko) 검사용 탐침 장치
KR20080056978A (ko) 반도체 테스트 장치용 포고핀
KR101932509B1 (ko) 다 접점 에지 접촉으로 접촉 특성이 개선되는 fosp 핀, 및 이를 포함하는 테스트 소켓
KR20200063675A (ko) 반도체 테스트 소켓용 핀
KR101953104B1 (ko) 코일 스프링의 쐐기 작용에 의하여 틸트 가능한 핀셋 타입 플런저, 그리고 이를 이용하여 테스트 소켓에서 코일 스프링의 간섭이 최소화되는 pion 핀
KR102080592B1 (ko) S-타입 탄성편을 이용하여 3개의 플런저 상호 간의 콘택 특성이 개선되는 데스트 핀
KR102126753B1 (ko) 단일 코일 스프링에 의하여 3개의 플런저가 독립적으로 슬라이드 동작하는 테스트 소켓에 있어서, 레일을 통하여 상기 슬라이드 동작이 제어되는 데스트 핀
KR20180131312A (ko) 수직형 프로브핀 및 이를 구비한 프로브핀 조립체
KR102473943B1 (ko) 테스트 소켓용 핀 및 이를 포함하는 테스트 소켓
KR102121754B1 (ko) 상하 2개의 영역으로 구분되는 단일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테스트 소켓
KR101331525B1 (ko) 프로브 장치
KR102126752B1 (ko) 이중 코일 스프링에 의하여 3개의 플런저가 독립적으로 슬라이드 동작하는 테스트 소켓에 있어서, 레일을 통하여 콘택 특성이 개선되는 데스트 핀
KR101865375B1 (ko) 트위스트 타입 pion 핀 및 그 조립 방법
KR102183498B1 (ko) 스프링을 이용한 도전성 핀과, 이를 이용한 테스트 소켓 및 인터포저
KR102170384B1 (ko) 멤스 플런저를 이용하여 콘택 공차 범위가 확장되는 포고 핀
KR101446146B1 (ko) 검사장치
KR101957717B1 (ko) 사다리꼴 형태로 접촉 수율이 개선되는 pion 핀, 및 이를 포함하는 테스트 소켓
KR101852864B1 (ko) 반도체 검사용 디바이스
KR102092006B1 (ko) 판 스프링 타입의 연결핀
KR101865367B1 (ko) 레일 타입 pion 핀
TWI797109B (zh) 接觸探針及具備該接觸探針的檢查套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