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3970B1 - 전기적 접촉자 및 전기적 접속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적 접촉자 및 전기적 접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3970B1
KR101833970B1 KR1020160117751A KR20160117751A KR101833970B1 KR 101833970 B1 KR101833970 B1 KR 101833970B1 KR 1020160117751 A KR1020160117751 A KR 1020160117751A KR 20160117751 A KR20160117751 A KR 20160117751A KR 101833970 B1 KR101833970 B1 KR 1018339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nger
contact
electrical
plungers
electrical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7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1058A (ko
Inventor
켄이찌 시부타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혼 마이크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혼 마이크로닉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혼 마이크로닉스
Publication of KR20170061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10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3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39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86Features relating to contacting the IC under test, e.g. probe heads; chucks
    • G01R31/2889Interfaces, e.g. between probe and tes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11Probe needles; Cantilever beams; "Bump" contacts; Replaceable probe pins
    • G01R1/06716Elastic
    • G01R1/06722Spring-load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ing Leads Or Probes (AREA)
  • Connecting Device With Hol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비용으로 전극에 대한 전기적 접촉성을 개선함과 동시에, 전기적인 접촉불량을 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기적 접촉자는, 한쪽 부재에 대하여 접촉하는 것으로서, 복수의 산 형상의 선단부를 갖는 제1 플런저와, 다른쪽 부재에 대하여 접촉하는 것으로서, 제1 플런저의 일부와 서로 겹쳐진 상태로 제1 플런저와 접촉하고, 제1 플런저와 협동하여 한쪽 부재와 다른쪽 부재 사이를 전기적으로 도통하는 제2 플런저와, 제1 플런저의 선단부와 제2 플런저의 선단부를 서로 반대방향인 상태로 결합하는 것으로서, 제1 플런저와 제2 플런저와의 결합부의 외주를 덮고, 제1 플런저 및 제2 플런저의 각각의 받음부에 접하여, 제1 플런저 및 제2 플런저를 상대적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스프링부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적 접촉자 및 전기적 접속장치{Electrical Contactor and Electrical Connec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전기적 접촉자 및 전기적 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어 배선기판이나 반도체 집적회로 등에 갖추어진 전극에 접촉하는 전기적 접촉자나, 복수의 전기적 접촉자를 갖는 전기적 접속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마주보고 배설된 배선기판의 전기회로 등을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전기적 접촉자는 잘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전기적 접촉자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이 있다.
도 23(A)는 종래의 전기적 접속장치의 전기적 접촉자(90)의 장착부분을 나타낸 확대 정면 단면도이고, 도 23(B)는 도 23(A)의 전기적 접촉자(90)의 장착부분을 나타낸 확대 측면 단면도이다.
도 23(A) 및 도 23(B)에서는, 전기적 접속장치의 하우징(17)에 전기적 접촉자(90)가 설치되어 있고, 그 전기적 접촉자(90)가 피검사체의 전극(13) 및 배선기판(15)의 콘택트 패드(22)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전기적 접촉자(90)는 예를 들어, 2개의 제1 플런저(91), 제2 플런저(92), 압축 코일스프링(93)을 갖는다. 2개의 제1 플런저(91)는 각각, 피검사체의 전극(13)에 접촉하는 판상의 플런저이다. 제2 플런저(92)는 배선기판(15)의 윗면에 설치되어 있는 콘택트 패드(22)에 접촉하는 판상의 플런저이다.
각 제1 플런저(91)는 압축 코일스프링(93) 내에 삽입되어 있다. 압축 코일스프링(93) 내에 각 제1 플런저(91)가 삽입된 역방향에서, 제2 플런저(92)가 압축 코일스프링(93) 내에 삽입되어 있다.
2개의 제1 플런저(91)는, 제2 플런저(92)를 끼우고 서로 겹쳐 있다. 즉, 2개의 제1 플런저(91)가 제2 플런저(92)를 끼운 상태로, 2개의 제1 플런저(91) 및 제2 플런저(92)가 서로 겹쳐져 있는 결합부분이, 압축 코일스프링(93) 내에 삽입되어 있다. 각 제1 플런저(91)의 스프링 받음부(911) 및 제2 플런저(92)의 스프링 받음부(921)는 압축 코일스프링(93)과 접하고 있다.
전기적 접속장치의 하우징(17)에 전기적 접촉자(90)가 장착되어, 전기적 접속장치가 사용될 때, 압축 코일스프링(93)이 외력을 받아, 압축 코일스프링(93)이 상하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함으로써, 각 제1 플런저(91)의 선단부(91A)가 전극(13)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제2 플런저(92)의 단부가 콘택트 패드(22)에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특허문헌 1: 일본 특개2015-40734호 공보
그러나, 상술한 전기적 접촉자를 하우징한 전기적 접속장치를 사용할 때, 하기와 같은 과제가 생길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제1 플런저(91)가 전극(13)에 접촉할 때, 도 24와 같이, 각각의 제1 플런저(91)는 2곳에서 전극(13)에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그러나, 제1 플런저(91)는 판상이기 때문에, 2개의 제1 플런저(91)를 전극(13)에 접촉시킬 때에 예를 들어, 도 25와 같이, 한쪽 제1 플런저(91)가 벗어나 버릴 수 있다. 그러면, 전극(13)에 접촉해 있는 제1 플런저(91)의 선단부(91A)에만 부하가 걸리고, 전극(13)과의 사이의 마모 등에 의해, 선단부(91A)의 선단 형상이 변형하거나 파손된다. 이 영향으로, 선단부(91A)가 바르게 전극(13)과 접촉할 수 없어, 접촉저항이 악화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제1 플런저(91)는 판상이기 때문에, 제1 플런저(91)의 강도를 확보할 수 없고, 전극(13) 및 전기적 접촉자(90)의 사이즈 축소화에 의해, 2개의 제1 플런저(91) 사이가 협(狹)피치가 되기 때문에, 제1 플런저(91)의 벗어남을 고치는 것이 곤란하다.
또, 예를 들어 2개의 제1 플런저(91)의 선단부(91A)가 볼 형상의 전극(13)에 접촉할 때, 제1 플런저(91)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 선단부(91A)가 볼 형상의 전극(13)의 표면을 따라 미끄러져, 도 2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플런저(91)가 바깥쪽으로 벌어질 수 있다. 그러면, 제1 플런저(91)는 도 27(A)의 접촉 전 상태에서 도 27(B)의 접촉 후 상태가 되고, 판상의 제1 플런저(91)의 모서리(E)가 하우징(17)에 간섭하여, 제1 플런저(91)의 모서리(E)가 깎이고, 그 깎인 부스러기가 접촉불량을 일으킬 가능성이 생길 수 있다. 도 28(A) 및 도 28(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전기적 접촉자(90)를 장착하는 하우징(17)의 구멍형상을 긴 구멍으로 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그러나, 구멍형상을 긴 구멍으로 하기 위해 비용이 드는 문제가 있다.
게다가, 전기적 접속장치가 저온환경 하에서 사용될 경우, 결로가 발생할 수도 있어, 접촉불량 대책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도 27(A)와 같이, 하우징(17)과 제1 플런저(91)와의 사이에는 간극(Op)이 생기고, 이것이 상기 간극(Op)을 결로로 발생한 물방울의 유로가 되게 하여 불량을 일으키는 경우도 생길 수 있다.
도 28(A) 및 도 28(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전기적 접촉자(90)를 장착하는 하우징(17)의 구멍형상을 긴 구멍 형상으로 함으로써, 제1 플런저(91)의 모서리(E)의 하우징(17)에 대한 간섭을 억제할 수 있고, 하우징(17)과 제1 플런저(91) 사이에는 간극(Op)도 차단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긴 구멍 형상으로 하기 위해 비용이 드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저비용으로, 전극에 대하여 물리적인 접촉성을 개선함과 동시에, 전기적인 접촉불량을 피할 수 있는 전기적 접촉자 및 전기적 접속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전기적 접촉자는, (1) 한쪽 부재에 대하여 접촉하는 것으로서, 복수의 산 형상의 선단부를 갖는 제1 플런저와, (2) 다른쪽 부재에 대하여 접촉하는 것으로서, 제1 플런저의 일부와 서로 겹친 상태로 제1 플런저와 접촉하고, 제1 플런저와 협동하여 한쪽 부재와 다른쪽 부재 사이를 전기적으로 통하는 제2 플런저와, (3) 제1 플런저의 선단부와 제2 플런저의 선단부를 서로 반대방향인 상태로 결합하는 것으로서, 제1 플런저와 제2 플런저와의 결합부의 외주를 덮고, 제1 플런저 및 제2 플런저의 각각의 받음부에 접하여, 제1 플런저 및 제2 플런저를 상대적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스프링부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 본 발명의 전기적 접속장치는, 피검사체의 전극에 접촉하여 시험하는 전기적 접속장치에 있어서, 피검사체의 각 전극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설되어 그 각 전극에 접촉하여 통전하는 복수의 전기적 접촉자를 갖추고, 전기적 접촉자로서 청구항 1∼8의 어느 한 기재의 전기적 접촉자를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저비용으로 전극에 대하여 물리적인 접촉성을 개선함과 동시에, 전기적인 접촉불량을 피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적 접속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적 접속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적 접속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1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위쪽 하우징 및 아래쪽 하우징에 지지되어 있는 전기적 접촉자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위쪽 하우징 및 아래쪽 하우징에 지지되어 있는 전기적 접촉자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제1 플런저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제1 플런저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제1 플런저의 선단 형상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제1 플런저의 선단부와 제2 지지구멍과의 관계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제2 플런저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제2 플런저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2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스프링부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3은 제1 실시형태의 변형 실시형태의 전기적 접촉자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제1 실시형태의 변형 실시형태의 제2 플런저의 측면도이다.
도 15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적 접촉자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제1 플런저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7은 제2 실시형태의 변형 실시형태의 전기적 접촉자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제2 실시형태의 변형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적 접촉자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9는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적 접촉자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제1 플런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제2 플런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는 제3 실시형태의 변형 실시형태의 전기적 접촉자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은 종래의 전기적 접속장치의 전기적 접촉자의 장착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는 종래의 전기적 접촉자의 전극에의 전기적 접촉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는 종래의 전기적 접촉자의 플런저가 벗어난 때의 전극에의 전기적 접촉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은 종래의 전극에 접촉할 때에 플런저의 벗어남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27은 종래의 하우징되는 지지구멍과 플런저와의 관계를 설명하는 제1 설명도이다.
도 28은 종래의 하우징되는 지지구멍과 플런저와의 관계를 설명하는 제2 설명도이다.
(A) 제1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적 접촉자 및 전기적 접속장치의 제1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A-1) 전기적 접속장치의 상세한 구성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적 접속장치(11)의 평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적 접속장치(11)의 단면도이고,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적 접속장치(11)의 단면도이고, 도 1의 B-B선 단면도이다.
우선, 제1 실시형태의 전기적 접촉자를 이용하는 전기적 접속장치(11)를 포함하는 검사장치의 상세한 구성을, 도 1∼도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검사장치는, 피검사체(12)(도 2 참조)의 통전시험 등을 하는 전기적 접속장치를 갖춘 것이고, 검사장치는 프로버라고도 불린다.
피검사체(12)는, 예를 들어 집적회로 등의 반도체 디바이스이고, 피검사체(12)의 아래쪽 면에 복수의 전극(13)(도 2 참조)이 설치되어 있다. 전극(13)의 표면은 예를 들어 구면형상인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전극(13)은 피검사체(12)의 아래쪽 면에 일렬, 복수 열, 매트릭스상 등과 같이 배열되어 있다.
도 3에 있어서, 전기적 접속장치(11)는 주로 배선기판(15), 아래쪽 하우징(16), 위쪽 하우징(17), 프레임(18), 가이드 판(19)을 갖춘다.
배선기판(15)은, 전기적 접촉자(20)에 연결되는 신호선 등의 배선을 배설함과 동시에, 아래쪽 하우징(16), 위쪽 하우징(17) 등을 지지한다. 배선기판(15)은, 검사장치쪽 전극을 구성하는 부재이고, 배선기판(15)의 배선은, 검사장치에 의한 시험 등을 하기 때문에, 검사장치의 배선에 접속되어 있다. 배선기판(15)의 윗면에는, 콘택트 패드(22)(도 4 참조)가 배설되어 있고, 전기적 접촉자(20)의 하단부가 콘택트 패드(22)에 접촉하고, 전기적 접촉자(20)를 통하여 피검사체(12)와의 사이에서 전기적으로 통한다.
아래쪽 하우징(16) 및 위쪽 하우징(17)은, 다수의 전기적 접촉자(20)를 지지하는 전기적 접촉자 지지부재이다.
아래쪽 하우징(16)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다수의 전기적 접촉자(20)의 하단부를 삽입하는 다수의 제1 지지구멍(16A)(도 4 참조)이 설치되어 있다. 각 전기적 접촉자(20)가 제1 지지구멍(16A)에 삽입됨으로써, 아래쪽 하우징(16)은 다수의 전기적 접촉자(20)를 지지한다.
제1 지지구멍(16A)의 수는, 피검사체(12)에 설치된 전극(13)의 수에 따라 설정된다. 또, 각 제1 지지구멍(16A)의 형상은 예를 들어, 원형 형상으로 설정되어 있다.
아래쪽 하우징(16)은 배선기판(15)의 위쪽에 겹쳐져 배치되고, 다수의 제1 지지구멍(16A)의 아래에, 배선기판(15)의 위쪽 면의 콘택트 패드(22)가 있다. 그 때문에, 각 제1 지지구멍(16A)에 삽입되어 있는 각 전기적 접촉자(20)가 아래쪽으로 눌림으로써, 각 전기적 접촉자(20)가 콘택트 패드(22)에 전기적으로 접촉한다.
또, 아래쪽 하우징(16)은, 가이드 핀(37)의 두부(頭部)(39)와 결합하는 핀 두부 결합구멍(23)을 갖는다. 핀 두부 결합구멍(23)의 내경은 가이드 핀(37)의 두부(39)가 놀지 않도록 하기 위해, 가이드 핀(37)의 두부(39)의 외경과 거의 같은 치수이다(도 2 참조).
위쪽 하우징(17)은, 아래쪽 하우징(16)의 위쪽에 위치하고, 위쪽 하우징(17)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다수의 전기적 접촉자(20)의 상부를 삽입하는 다수의 제2 지지구멍(17A)(도 4 참조)이 설치되어 있다.
다수의 제2 지지구멍(17A)은, 아래쪽 하우징(16)의 다수의 제1 지지구멍(16A)의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즉, 제1 지지구멍(16A) 및 제2 지지구멍(17A)에 전기적 접촉자(20)가 삽입됨으로써, 전기적 접촉자(20)는 지지된다. 또 제2 지지구멍(17A)은 제1 지지구멍(16A)의 위쪽 개구와 같은 내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위쪽 하우징(17) 및 아래쪽 하우징(16) 사이에서, 전기적 접촉자(20)를 상하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다. 환언하면, 제1 지지구멍(16A) 및 제2 지지구멍(17A)에 삽입되어 있는 전기적 접촉자(20)는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다.
또, 위쪽 하우징(17)에는 핀 축부 결합구멍(28)(도 2 참조)이 설치되어 있다. 이 핀 축부 결합구멍(28)은 가이드 핀(37)의 축부(軸部)(40)를 끼우기 위한 구멍이다. 핀 축부 결합구멍(28)의 내경은 가이드 핀(37)의 축부(40)가 놀지 않도록 하기 위해, 가이드 핀(37)의 축부(40)의 외경과 거의 같은 치수이다.
프레임(18)은 배선기판(15), 아래쪽 하우징(16) 및 위쪽 하우징(17)을 일체로 고정하고, 이들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하방향으로 가동하는 가이드 판(19)을 지지한다.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18)은 외틀부(31), 고정용 플랜지부(32), 상하이동 지지용 플랜지부(33)를 갖는다.
외틀부(31)는, 아래쪽 하우징(16), 위쪽 하우징(17) 및 가이드판(19)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도록 사각형의 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외틀부(31)의 아래쪽 면에는, 위치결정용 핀 또는 위치결정용 구멍(모두 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고, 배선기판(15)의 위쪽 면에는, 외틀부(31)쪽 위치결정용 핀 또는 위치결정용 구멍에 대응하여, 위치결정용 구멍 또는 위치결정용 핀(모두 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외틀부(31)의 아래쪽 면의 위치결정용 핀 또는 위치결정용 구멍이, 배선기판(15)의 위쪽 면의 위치결정용 구멍 또는 위치결정용 핀에 결합하여, 외틀부(31)와 배선기판(15)이 정확하게 위치 결정되어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틀부(31)의 네 모서리에는 고정나사(35)가 설치되어 있다. 이 고정나사(35)는 외틀부(31)의 네 모서리의 관통구멍(도시하지 않음)을 통하여 배선기판(15)의 나사구멍(도시하지 않음)에 끼워 넣어져, 이들 외틀부(31)와 배선기판(15)을 고정하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고정용 플랜지부(32)는 사각형의 외틀부(31)의 개구부의 마주보는 변(틀)의 안쪽 면에, 서로 마주보고 2개 설치되어 있다. 각 고정용 플랜지부(32)는 서로 안쪽으로 수평하게 연장한 거의 반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고정용 플랜지부(32)의 아랫면의 높이(배선기판(15)으로부터의 높이)는, 아래쪽 하우징(16) 및 위쪽 하우징(17)을 겹친 높이와 거의 같은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배선기판(15) 위에 겹쳐진 아래쪽 하우징(16) 및 위쪽 하우징(17)을, 각 고정용 플랜지부(32)와 배선기판(15)으로 끼워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고정용 플랜지부(32)의 아래에 위쪽 하우징(17)과 아래쪽 하우징(16)을 넣었을 때에, 아래쪽 하우징(16)의 아랫면이 외틀부(31)의 아랫면과 같아진다.
2개의 고정용 플랜지부(32)의 중앙에는, 가이드 핀(37)이 결합하는 핀 구멍(38)이 형성되어 있다. 핀 구멍(38)의 내경은 가이드 핀(37)의 축부(40)의 외경과 거의 같은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여기에서, 가이드 핀(37)(도 2 참조)은 두부(頭部)(39)와 축부(軸部)(40)로 구성되어 있다. 두부(39)는, 아래쪽 하우징(16)의 핀 두부 결합구멍(23)의 내경과 거의 같은 외경의 원반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축부(40)는, 위쪽 하우징(17)의 핀 축부 결합구멍(28) 및 고정용 플랜지부(32)의 핀 구멍(38)의 내경과 거의 같은 외경의 원형 봉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아래쪽 하우징(16)의 핀 두부 결합구멍(23)과, 위쪽 하우징(17)의 핀 축부 결합구멍(28)과, 각 고정용 플랜지부(32)의 핀 구멍(38)은, 이들에 가이드 핀(37)이 지남으로써 동일 축심 상에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가이드 핀(37)의 두부(39)가 아래쪽 하우징(16)의 핀 두부 결합구멍(23)에 결합하고, 축부(40)가 위쪽 하우징(17)의 핀 축부 결합구멍(28) 및 고정용 플랜지부(32)의 핀 구멍(38)에 결합하여, 이들 아래쪽 하우징(16), 위쪽 하우징(17) 및 프레임(18)의 위치 결정을 하고 있다. 게다가, 아래쪽 하우징(16) 및 위쪽 하우징(17)을, 프레임(18)의 각 고정용 플랜지부(32)의 아랫면과 배선기판(15)으로 상하에서 끼워 프레임(18)의 개구 내에 지지함으로써, 이들 배선기판(15), 아래쪽 하우징(16), 위쪽 하우징(17) 및 프레임(18)이 서로 정확하게 위치 결정되어 일체로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상하이동 지지용 플랜지부(33)(도 3 참조)는 가이드 판(19)을 상하이동 가능하게 프레임(18)의 개구 내에 지지하기 위한 부분이다. 상하이동 지지용 플랜지부(33)는 사각형의 틀 형상의 프레임(18)의 개구부의 네 모서리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상하이동 지지용 플랜지부(33)는 판부(板部)(42), 가이드 나사구멍(43), 스프링 구멍(44)을 갖는다.
도 3에 있어서, 판부(42)는 프레임(18)의 외틀부(31)의 네 모서리에 비스듬히 걸쳐진 판재이다. 판부(42)의 아래쪽 면의 높이는 고정용 플랜지부(32)의 아래쪽 면과 같은 높이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판부(42)의 위쪽 면의 높이는, 이 판부(42)의 위쪽 면과 가이드 판(19)의 플랜지부(54)의 아래쪽 면이 서로 접함으로써, 피검사체(12)의 전극(13)과 전기적 접촉자(20)의 상단부가 최적으로 접촉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피검사체(12)의 전극(13)과 전기적 접촉자(20)의 상단부가 접촉하여, 전기적 접촉자(20)가 눌려 오그라지는 상태가 되도록, 판부(42)의 위쪽 면의 높이가 설정되어 있다.
판부(42)(도 3 참조)에는, 가이드 나사구멍(43)과 스프링 구멍(44)이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나사구멍(43)은, 가이드 나사(46)를 조여넣기 위한 나사구멍이다. 상기 가이드 나사구멍(43)은 각 판부(42)의 중앙(도 3 참조)에 1개 설치되어 있다. 스프링 구멍(44)은 스프링(47)을 지지하기 위한 구멍이다. 이 스프링 구멍(44)은 각 가이드 나사구멍(43)의 양쪽에 2개씩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나사(46)는 가이드 판(19)의 프레임(18)의 개구 내에서의 위치 결정을 하고, 그리고 가이드 판(19)의 상하이동을 허용하기 위한 나사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 나사(46)는 두부(48), 가이드부(49), 나사봉부(50)를 갖는다.
두부(48)는 가이드 판(19)을 눌러 누락을 방지하는 부분이다. 두부(48)의 위쪽 면에는 마이너스 드라이버가 결합하는 마이너스 홈(51)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부(49)는 가이드 판(19)의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부분이다. 가이드부(49)는, 두부(48)와 나사봉부(50) 사이에 설치되고, 가이드 판(19)의 가이드 구멍(59)에 결합하여, 가이드 판(19)의 상하이동을 안내한다. 가이드부(49)의 길이(높이)는, 상기 두부(48)의 아랫면이 가이드 판(19)과 접촉하여 지지된 상태(가이드 판(19)이 스프링(47)으로 밀어 올려진 상태)로 전기적 접촉자(20)의 상단부가 가이드 판(19)의 축소부(57)에 받아들여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나사봉부(50)는 판부(42)에 가이드 나사(46)를 고정하기 위한 부분이다. 나사봉부(50)는 판부(42)의 가이드 나사구멍(43)에 끼워 넣어져, 가이드 나사(46)를 판부(42)에 고정하고 있다.
스프링(47)은, 가이드 판(19)을 탄성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부재이다. 스프링(47)은 판부(42)의 스프링 구멍(44)에 장착되어, 가이드 판(19)의 플랜지부(54)의 이면에 접하고 있다. 이에 의해, 합계 8개의 스프링(47)이 4개의 가이드 나사(46)의 가이드부(49)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가이드 판(19)을 아래쪽에서 힘을 가하고 있다. 따라서, 가이드 판(19)의 플랜지부(54)가 가이드 나사(46)의 두부(48)의 아랫면에 접촉할 때까지 위쪽으로 밀어 올려져, 콘택트 전의 대기상태로 되어 있다.
가이드 판(19)은, 피검사체(12)를 전기적 접속장치(11)에 장착할 때, 이 피검사체(12)를 위치 결정하여 지지함과 동시에, 피검사체(12)의 각 전극(13)과 각 전기적 접촉자(20)를 맞추기 위한 부재이다. 가이드 판(19)은 수입(受入) 오목부(凹部)(53)와 플랜지부(54)로 구성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수입 오목부(53)는 피검사체(12)를 받아 지지하는 부분이다. 수입 오목부(53)는 거의 사각형의 접시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수입 오목부(53)의 안쪽 저부(底部)는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그 치수는 피검사체(12)보다 약간 크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피검사체(12)가 사각형이기 때문에, 수입 오목부(53)의 안쪽 저부도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피검사체(12)가 다른 형상인 경우는 수입 오목부(53)의 안쪽 저부도 피검사체(12)에 맞춘 형상이 된다. 이에 의해, 피검사체(12)가 수입 오목부(53)의 안쪽 저부에 장착된 상태로 피검사체(12)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도 3에 있어서, 수입 오목부(53)의 바닥판부(55)에는, 다수의 가이드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각 가이드 구멍은, 피검사체(12)의 각 전극(13)을 안내하여 받기 위한 개구이다. 각 가이드 구멍은 전극(13)보다도 약간 크게 형성되어, 전극(13)을 용이하게 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피검사체(12)가 수입 오목부(53)에 받아짐으로써, 피검사체(12)의 각 전극(13)이 각 가이드 구멍의 위쪽부터 용이하게 끼워넣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구멍의 하단부에는 전극(13)을 통과시키지 않고 전기적 접촉자(20)의 상단부를 받는 축소부(5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축소부(57)는 전기적 접촉자(20)의 상단부를 받음과 동시에 관통하는 것을 허락하여, 전기적 접촉자(20)가 전극(13)과 접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입 오목부(53)의 위쪽 개구(53A)의 아래쪽에는, 경사면(53B)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사면(53B)은 피검사체(12)를 안내하여 수입 오목부(53)의 저부로 유도하기 위한 면이다.
플랜지부(54)는 수입 오목부(53)의 4 모서리의, 프레임(18)의 상하이동 지지용 플랜지부(33)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각 플랜지부(54)에는, 가이드 나사(46)의 두부(48)가 접하는 이중기리부(5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이중기리부(58)에는, 가이드 나사(46)의 가이드부(49)에 상하이동이 가능하게 결합하는 가이드 구멍(59)이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플랜지부(54)의 가이드 구멍(59)이 가이드 나사(46)의 가이드부(49)에 결합하여 상하이동이 가능하게 되고, 스프링(47)으로 가이드 판(19)이 위쪽으로 힘이 가해져 있다. 이 상태로, 피검사체(12)를 수입 오목부(53)에 장착하여 아래쪽으로 누름으로써, 가이드 판(19)이 눌려 내려가, 피검사체(12)의 전극(13)과, 전기적 접촉자(20)의 상단부가 접촉하여 검사가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A-2) 전기적 접촉자의 상세한 설명
도 4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위쪽 하우징(17) 및 아래쪽 하우징(16)에 지지되어 있는 전기적 접촉자(20)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위쪽 하우징(17) 및 아래쪽 하우징(16)에 지지되어 있는 전기적 접촉자(20)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전기적 접촉자(20)는 2개의 제1 플런저(210), 제2 플런저(220), 스프링부(230)를 갖는다. 2개의 제1 플런저(210), 제2 플런저(220) 및 스프링부(230)는 모두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 있어서, 전기적 접촉자(20)의 상단이 피검사체(12)의 전극(13)에 전기적으로 접촉하고, 전기적 접촉자(20)의 하단이 배선기판(15)의 콘택트 패드(22)에 전기적으로 접촉한다.
전기적 접촉자(20)는, 2개의 제1 플런저(210)의 하부가 스프링부(230)에 삽입되고, 각 제1 플런저(210)가 삽입된 쪽과 반대쪽부터 제2 플런저(220)의 상부가 스프링부(230)에 삽입된다.
전기적 접촉자(20)는 2개의 제1 플런저(210)의 하부가 제2 플런저(220)의 상부를 끼워 겹쳐진 상태로 되어 있다. 2개의 제1 플런저(210)가 제2 플런저(220)와 겹쳐 있기 때문에, 전기적인 도통(導通)이 가능해진다.
스프링부(230)는, 각 제1 플런저(210) 및 제2 플런저(220)의 결합부분의 외주를 덮고, 각 제1 플런저(210) 및 제2 플런저(22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스프링부(230)가 각 제1 플런저(210) 및 제2 플런저(220)와 전기적으로 접촉하고 있다. 그 때문에, 스프링부(230)는 각 제1 플런저(210) 및 제2 플런저(220) 사이를 전기적으로 도통한다.
전기적 접촉자(20)의 외경은, 위쪽 하우징(17)의 제2 지지구멍(17A) 및 아래쪽 하우징(16)의 제1 지지구멍(16A)의 내경보다도 작다. 그 때문에, 전기적 접촉자(20)가 피검사체(12)의 전극(13)에 전기적으로 접촉할 때, 전기적 접촉자(20)는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다.
도 6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제1 플런저(210)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제1 플런저(210)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제1 플런저(210)의 선단(先端) 형상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의 제1 플런저(210)의 구성의 상세한 설명에 대해서는, 필요에 따라, 도 4 및 도 5도 참조하면서 한다.
도 6에 있어서, 각 제1 플런저(210)는 거의 반원주(半圓柱) 형상을 갖는다. 각 제1 플런저(210)는 예를 들어, 원주형상의 플런저를 중심축을 따라 절단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반원주 형상의 각 제1 플런저(210)의 평면부분이 마주보도록 하여, 2개의 제1 플런저(210)가 설치된다.
반원주 형상의 2개의 제1 플런저(210)의 각각이 전극(13)의 표면을 양 사이드에서 접촉하게 되기 때문에, 제1 플런저(210)는 전극(13)에 대한 전기적 접촉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또, 제1 플런저(210)의 형상을 거의 반원주 형상으로 함으로써, 제1 플런저(210)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플런저(210)의 전극(13)에의 접촉을 안정하게 할 수 있다. 또, 전극(13) 및 전기적 접촉자(20)의 사이즈의 축소화에도 대응할 수 있고, 제1 플런저(210) 사이의 협(狹)피치화에도 대응할 수 있다.
게다가, 제1 플런저(210)가 전극(13)에 대한 전기적 접촉을 확실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비용을 억제한 재질(금속)로 제1 플런저(210)를 제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전성을 좋게 하기 위해, 종래의 제1 플런저는 고가의 금속에 의한 도금 가공을 하고 있지만, 상기 도금 가공이 불필요하다. 물론, 도전성을 보다 좋게 하기 위해, 제1 플런저(210)에 고가의 금속에 의한 도금 가공을 실시해도 좋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플런저(210)는 선단부(211), 상부(212), 볼록부(凸部)(213), 결합부(214), 탈락 방지부(215)를 갖는다.
선단부(211)는 피검사체(12)의 전극(13)(도 4 참조)과 접촉하는 부분이다. 상부(12)에서 선단을 향해, 선단부(211)는 외경이 작아지도록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선단이 복수의 산 형상으로 되어 있다.
선단부(211)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플런저(210)의 측면에서 본 경우, 복수의 산 형상이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단부(211)를 위에서 본 경우, 2개의 제1 플런저(210)가 맞추어진 때의 중심에서 산 형상의 정점을 향해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선단부(211)의 복수의 산 형상의 각각은 대략 삼각기둥을 갖고 있고, 선단부(211)는 각 삼각기둥이 인접하는 삼각기둥과 이어진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부(212)는 대략 반원주 형상이다. 그 때문에, 2개의 제1 플런저(210)의 평면부분이 마주보고 설치되면, 전기적 접촉자(20)가 전극(13)(도 4 참조)에 전기적 접촉을 할 때, 하우징되어 있는 전기적 접촉자(20)는 제1 지지구멍(16A) 및 제2 지지구멍(17A)(도 4 참조)에서 안정한 상태가 된다. 즉, 제1 플런저(210)의 선단부(211)가 전극(13)에 접촉할 때, 전극(13)의 표면을 따라 선단부(211)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제1 플런저(210)가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령, 한쪽 제1 플런저(210)가 벗어나도, 그 한쪽 제1 플런저(210)의 자세를 바르게 보정할 수 있다.
선단부(211)가 복수의 산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전극(13)(도 4 참조)에 대한 접촉점을 많게 할 수 있다. 제1 플런저(210)가 전극(13)에 접촉할 때, 가령 한쪽 제1 플런저(210)가 벗어난 경우라도, 다른쪽 제1 플런저(210)의 선단부(211)의 복수의 산 형상이 전극(13)에 전기적으로 접촉하기 때문에, 전기적으로 도통할 수 있다. 즉, 접촉불량을 피할 수 있다.
또, 2개의 제1 플런저(210)의 선단부(211)가 전극(13)(도 4 참조)을 감싸도록 전기적으로 접촉하고, 각 선단부(211)의 복수의 산 형상이 전극(13)에 확실하게 접촉한다. 그 때문에, 전극(13)에 접촉하는 선단부(211)의 복수의 접촉점(산 형상의 접촉점)의 각각에 걸리는 부하를 분산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선단부(211)가 전극(13)에 접촉할 때에 생길 수 있는, 선단부(211)의 산 형상의 변형이나 파손 등을 감소할 수 있다.
게다가, 제1 플런저(210)가 반원주 형상으로 함으로써, 선단부(211)의 산의 수를 늘릴 수 있다. 선단부(211)의 산의 수를 늘림으로써, 전극(13)과의 접촉점을 늘릴 수 있다. 따라서, 제1 플런저(210)의 전극(13)에의 전기적 접촉을 보다 확실하게 할 수 있어, 안정한 전기적 도통이 가능하다.
도 9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제1 플런저(210)의 선단부(211)와 제2 지지구멍(17A)과의 관계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9(A)는 제1 플런저(210)의 선단부(211)의 평면도이다. 도 9(B)는 제1 플런저(210)의 선단부(211)의 사시도이다.
도 9(A) 및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플런저(210)의 상부(212)가 위쪽 하우징(17)의 제2 지지구멍(17A)으로부터 돌출해 있다.
상부(212)는 거의 반원주 형상이기 때문에, 제1 플런저(210)와 제2 지지구멍(17A) 사이의 가장자리의 간극을 막을 수 있다. 그 때문에 전기적 접속장치(11)가 저온환경에서 사용될 때에, 결로에 의해 발생한 물방울이 떨어지는 물방울 유로(간극)를 차단할 수 있다.
또, 제1 플런저(210)의 상부(212)는 거의 반원주 형상이기 때문에, 종래의 판상의 플런저와 같이 모서리와 제2 지지구멍과의 간섭을 억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모서리와 제2 지지구멍 사이의 간섭에 의해 생길 수 있는 깎인 부스러기의 발생이 없어져, 접촉불량을 피할 수 있다. 또, 위쪽 하우징(17)의 제2 지지구멍(17A) 및 아래쪽 하우징(16)의 제1 지지구멍(16A)의 형상을 긴 구멍 형상으로 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도 6에 있어서, 볼록부(213)는 반원주 형상을 갖는다. 볼록부(213)의 외경은 상부(212)의 외경보다도 크다. 볼록부(213)는 볼록부(213)의 아래에 이어지는 결합부(214)와의 사이에 받음부(216)를 갖는다.
받음부(216)는 스프링부(230)(도 4 참조)의 단부를 받는 것이다. 받음부(216)는 결합부(214)에서 볼록부(213)를 향해, 외경을 크게 하는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받음부(216)가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경우를 예시했지만, 받음부(216)는 스프링부(230)의 단부를 받을 수 있으면, 단차(段差) 등이어도 좋다.
결합부(214)는 반원주 형상을 갖는다. 결합부(214)는 반원주 형상의 평면부분에서 제2 플런저(220)의 상부에 갖는 결합부(222)(도 10 참조)와 접촉한다. 결합부(214)의 외경은 상부(212)의 외경보다도 작다. 이것은 제2 플런저(220)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결합부(214)가 스프링부(230)(도 4 참조)에 삽입되었을 때에, 스프링부(230)의 탄성력을 받아, 제1 플런저(210) 및 제2 플런저(220)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탈락 방지부(215)는, 스프링부(230)에 삽입되어 있는 제1 플런저(210)의 누락을 방지한다. 탈락 방지부(215)는 결합부(214)의 외경보다도 큰 반원주 형상의 볼록 형상이다. 또, 탈락 방지부(215)는 결합부(214)가 스프링부(230)(도 4 참조)에 삽입될 때에, 결합부(214)의 삽입을 안내하기 위해, 탈락 방지부(215)의 표면은 만곡한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도 10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제2 플런저(220)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제2 플런저(220)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의 제2 플런저(220)의 구성의 상세한 설명은 필요에 따라, 도 4∼도 7도 참조하면서 한다.
제2 플런저(220)는, 제2 플런저(220)의 하단부가 배선기판(15) 위의 콘택트 패드(22)(도 4 참조)에 전기적으로 접촉하고, 상기 제2 플런저(220)의 상부가 2개의 제1 플런저(210)(도 4 참조)에 끼워진 상태로, 각 제1 플런저(210)와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전기적인 도통을 행한다.
제2 플런저(220)는 도전성 재료를 절삭가공, 프레스가공, 포토리소 기술을 이용한 도금가공 등을 실시하여 제작된다.
도 10 및 도 11에 있어서, 제2 플런저(220)는 선단부(221), 결합부(222), 하부(223), 하단부(224)를 갖는다.
결합부(222) 및 선단부(221)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결합부(222) 및 선단부(221)는 2개의 제1 플런저(210)의 결합부(214)의 평면부분과 서로 겹쳐, 결합부(214)와 전기적으로 접촉한다.
선단부(221)는 결합부(222)가 스프링부(230)(도 4 참조)에 삽입될 때, 결합부(222)의 삽입을 안내하는 부분이다. 선단부(221)는 결합부(222)가 스프링부(230)에 삽입될 때에 삽입의 장해가 되지 않도록, 만곡한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결합부(222)의 폭 길이(치수)는 제1 플런저(210)의 결합부(214)(도 7 참조)의 평면부분의 폭 길이와 같은 정도여도 좋고, 결합부(214)의 평면부분의 폭 길이보다도 약간 짧게 해도 좋다. 이에 의해, 제2 플런저(220)의 결합부(222)와 제1 플런저(210)의 결합부(214)와의 전기적인 접촉 면적을 넓게 할 수 있어, 전기적인 도통이 양호해진다.
하부(223)는 원주형상을 갖는다. 하부(223)의 외경은 제1 플런저(210)의 볼록부(213)(도 6, 도 7 참조)의 외경과 거의 같다고 할 수 있다. 하부(223)는 결합부(222)와의 사이에 스프링부(230)(도 4 참조)의 단부를 받는 받음부(225)를 갖는다.
받음부(225)는 스프링부(230)를 받을 수 있으면, 받음부(225)의 중심축을 지나는 직경이 결합부(222)의 폭 길이보다도 커도 좋다.
하부(223)의 하단부(224)는 배선기판(15)의 콘택트 패드(22)(도 4 참조)와 전기적으로 접촉한다. 하단부(224)의 외경은 하부(223)의 외경과 같은 크기여도 좋고, 또는 하부(223)의 외경보다도 작다.
도 12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스프링부(230)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하의 스프링부(230)의 구성의 상세한 설명은 필요에 따라, 도 4∼도 7, 도 10, 도 11도 참조하면서 한다.
스프링부(230)는 도전성 재료로 형성된 압축 코일스프링이다. 스프링부(230)는 2개의 제1 플런저(210)의 결합부(214)(도 4, 도 6 참조)가 제2 플런저(220)의 결합부(222)(도 4, 도 10 참조)를 끼운 상태로, 결합부(214) 및 결합부(222)의 외주를 덮고, 2개의 제1 플런저(210)의 받음부(216) 및 제2 플런저(220)의 받음부(225)에 접촉하여 각 제1 플런저(210) 및 제2 플런저(220)를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스프링부(230)는, 각 제1 플런저(210) 및 제2 플런저(220)와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스프링부(230) 자체도 전기적 도통이 행해진다. 또, 스프링부(230)는 각 제1 플런저(210)의 결합부(214)와 제2 플런저(220)의 결합부(222)가 겹치도록 결합하고 있는 부분을 덮으면서, 각 제1 플런저(210) 및 제2 플런저(220)가 상하방향으로 상대이동(슬라이드) 가능하도록 탄성 지지한다.
스프링부(230)는 수 미크론 정도의 선직경의 선재로, 상하방향의 탄성력을 기능시키기 위해, 예를 들어 10∼20 정도의 권수로 한 코일스프링이다.
스프링부(230)의 상단부(231) 및 하단부(232)는, 각 제1 플런저(210)의 받음부(216) 및 제2 플런저(220)의 받음부(225)에 접촉(당접)하는 부분이다.
스프링부(230)의 중간부(233)의 외경은, 제1 플런저(210) 및 제2 플런저(220)의 최대폭 치수와 거의 같은 정도 또는 약간 크게 설정되어 있다. 환언하면, 중간부(233)의 외경은, 제1 플런저(210)의 볼록부(213)의 외경, 제2 플런저(220)의 하부(223)의 외경과 같은 정도 또는 약간 크게 설정되어 있다. 이는 제1 플런저(210), 제2 플런저(220)의 상하방향의 슬라이드를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
이에 대하여, 스프링부(230)의 상단부(231) 및 하단부(232)의 내경은, 각 제1 플런저(210)의 결합부(214) 및 제2 플런저(220)의 결합부(222)와의 중첩부분을 지지하기 위해, 예를 들어 2∼3권 정도의 선재가 밀착하여 형성되어 있고, 중간부(233)의 내경보다도 작게 형성되어 있다.
즉, 상단부(231) 및 하단부(232)의 내경이 제2 플런저(220)의 결합부(222)를 끼우고 있는 2개의 제1 플런저(210)의 결합부(214)의 단면형상에 외접하는 외접원의 직경보다도 약간 작게 설정되어 있다. 환언하면, 스프링부(230)의 상단부(231) 및 하단부(232)는 밀착 소경부로서 기능하고 있다.
(A-3) 제1 실시형태의 변형 실시형태
(A-3-1) 제2 플런저의 변형 실시형태
도 13(A)는 제1 실시형태의 변형 실시형태의 전기적 접촉자(20A)의 정면도이고, 도 13(B)는 제1 실시형태의 변형 실시형태의 전기적 접촉자(20A)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제1 실시형태의 변형 실시형태의 제2 플런저(220A)의 측면도이다.
상술한 제1 실시형태에서는, 전기적 접촉자(20)의 제2 플런저(220)가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나 있듯이, 하부(223) 및 하단부(224)가 원주형상이고, 결합부(222)가 판상인 플런저를 예시하였다.
그러나, 전기적 접촉자(20)는 제2 플런저(220) 대신에, 판상으로 형성된 제2 플런저(220A)를 가져도 좋다.
도 13(A), 도 13(B) 및 도 14에 나타나 있듯이, 제2 플런저(220A)는 판상의 플런저이다. 제2 플런저(220A)는 1매의 판상의 도전성 재료를 프레스가공, 절삭가공, 도금가공 등을 실시하여 제작할 수 있다.
제1 실시형태의 제2 플런저(220) 대신에, 판상의 제2 플런저(220A)로 함으로써, 보다 저비용의 전기적 접촉자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변형 실시형태의 전기적 접촉자(20A)는, 제1 실시형태의 2개의 제1 플런저(210)를 갖는 것이다. 그 때문에,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전기적 접촉자(20A)는 피검사체(12)의 전극(13)(도 4 참조)에 대하여 보다 확실하게 전기적인 접촉을 할 수 있고, 전기적 접촉자(20A)가 하우징인 제2 지지구멍(17A)(도 4 참조)에 대한 간섭을 억제할 수 있고, 게다가 전기적 접촉자(20A)는 제2 지지구멍(17A)과의 사이의 물방울 유로를 차단할 수 있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플런저(220A)는 선단부(221), 결합부(222), 하부(223A), 하단부(224A)를 갖는다.
선단부(221) 및 결합부(222)는 제1 실시형태의 제2 플런저(220)와 동일 또는 대응하는 구성이다.
하부(223A)는 판상의 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하부(223A)는, 결합부(222)의 기단쪽(아래쪽)에 이어서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하부(223A)의 폭 길이(폭 치수)는 아래쪽 하우징(16)의 제1 지지구멍(16A) 및 위쪽 하우징(17)의 제2 지지구멍(17A)(도 4 참조)의 내경보다도 작다. 또, 하부(223A)는 결합부(222)와의 경계에, 스프링부(230)의 단부를 받는 받음부(225)가 형성되어 있다.
하단부(224A)는, 배선기판(15)의 콘택트 패드(22)(도 4 참조)에 전기적으로 접촉한다. 하단부(224A)는 하부(223A)에 이어서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하단부(224A)의 폭 길이(폭 치수)는 사각형 형상의 하부(223A)의 폭 길이(폭 치수)보다도 작다. 또, 콘택트 패드(22)에 대하여 안정하고 확실하게 전기적 접촉하기 위해, 하단부(224A)의 하단은 만곡하여 형성되어 있다.
하부(223A)와 하단부(224A)와의 경계에는 아래쪽 지지 견부(226)가 형성되어 있다. 이는, 아래쪽 하우징(16)에 걸려, 하부(223A)가 제1 지지구멍(16A)(도 4 참조)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제1 실시형태의 제2 플런저(220) 대신에, 도 14의 제2 플런저(220A)를 이용하여 전기적 접촉자(20A)를 제작하도록 해도 좋다.
(A-3-2) 상술한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6∼도 8의 제1 플런저(210)의 선단부(211)에는 복수의 산 형상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를 예시하였다.
선단부(211)에 형성하는 산 형상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선단부(211)의 산 형상이 피검사체(12)의 전극(13)에 대하여 다점(多点) 접촉하여 전기적 접촉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는, 산 형상이 많은 쪽이 바람직하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선단부(211)의 산 형상의 수가 5개인 경우를 예시하였다. 그러나, 선단부(211)의 산 형상의 수는, 예를 들어 3개, 4개여도 좋고, 6개 이상이어도 좋다.
선단부(211)의 산 형상의 수에 따라, 선단부(211)의 외주면에서의 산 형상의 정점(頂点) 각도는 바뀌지만, 산 형상의 정점 각도는 수도∼수십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산 형상이 전극(13)에 전기적으로 접촉할 때에, 산 형상에 생기는 부하에 의해, 산 형상이 변형하거나 마모하는 것을 고려하여, 산 형상의 정점 각도는 45도∼50도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선단 산의 직경(한쪽 제1 플런저(210)의 산 형상과, 이와 마주보는 다른쪽 제1 플런저(210)의 산 형상과의 간격)은, 전극(13)의 치수에 따라서도 다른데, 예를 들어 수백 ㎛∼수 mm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선단부(211)의 산 형상의 높이방향의 길이는 수십 ㎛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1 플런저(210)가 볼 형상의 전극(13)을 확실하게 전기적으로 접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A-4) 제1 실시형태의 효과
이상과 같이, 제1 실시형태에 의하면, 반원주 형상의 2개의 제1 플런저의 각각이 전극의 표면을 양 사이드에서 전기적으로 접촉하기 때문에, 전기적 접촉자의 제조비용을 억제하면서, 제1 플런저(210)는 전극(13)에 대한 전기적 접촉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또, 제1 플런저의 형상을 반원주 형상으로 함으로써, 전극에 접촉하는 제1 플런저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전기적 접촉자의 사이즈의 축소화에도 대응할 수 있고, 제1 플런저 사이의 협피치화에도 대응할 수 있다.
게다가, 제1 플런저의 선단부가 복수의 산 형상을 갖기 때문에, 1개의 제1 플런저가 전극에 대하여 다점 접촉하므로, 제1 플런저가 벗어난 경우에도 전극에 대하여 안정하게 전기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또, 제1 플런저가 반원주 형상이기 때문에, 전기적 접촉자를 하우징하는 제2 지지구멍에 대한 제1 플런저의 간섭을 억제할 수 있고, 간섭으로 생길 수 있는 깎인 부스러기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제1 플런저가 반원주 형상이기 때문에, 전기적 접촉자와 제1 지지구멍 및 제2 지지구멍과의 사이의 물방울 유로를 차단할 수 있다. 그 결과, 접촉불량을 피할 수 있다.
(B) 제2 실시형태
계속해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적 접촉자 및 전기적 접속장치의 제2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 실시형태는, 전기적 접촉자의 구성이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전기적 접촉자와 다르다.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적 접속장치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도 1∼3의 전기적 접속장치(11)와 동일 또는 대응하는 것을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실시형태에서는, 전기적 접촉자의 상세한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전기적 접속장치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B-1) 전기적 접촉자의 상세한 설명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적 접촉자(20B)의 구성의 상세한 설명을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서 한다.
도 15(A)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적 접촉자(20B)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5(B)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적 접촉자(20B)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6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제1 플런저(210B)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또한, 제1 실시형태의 전기적 접촉자(20)(또는 20A)는 피검사체(12)의 전극(13)에 접촉하는 제1 플런저가 2개이고, 배선기판(15)의 콘택트 패드(22)에 접촉하는 제2 플런저가 1개인 경우를 예시하였다.
이에 대하여, 제2 실시형태의 전기적 접촉자(20B)는, 전극(13)에 접촉하는 제1 플런저가 1개이고, 배선기판(15)의 콘택트 패드(22)에 접촉하는 제2 플런저가 1개인 경우를 예시한다.
전기적 접촉자(20B)는 제1 플런저(210B), 제2 플런저(220), 스프링부(230)를 갖는다.
제2 플런저(220) 및 스프링부(230)는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을 적용할 수 있다. 또, 제1 플런저(210B)는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어 있다.
전기적 접촉자(20B)는, 1개의 제1 플런저(210B)의 하부가 슬릿을 갖고 있다. 전기적 접촉자(20B)는 제1 플런저(210B)의 하부가 스프링부(230)에 삽입되고, 제1 플런저(210B)가 삽입된 반대쪽에서 제2 플런저(220)의 상부가 스프링부(230)에 삽입된다. 제2 플런저(220)의 상부가 제1 플런저(210B)의 하부의 슬릿 내에 들어가 있고, 제2 플런저(220)의 상부가 제1 플런저(210B)의 하부와 전기적으로 접촉하기 때문에, 전기적인 도통이 가능해진다.
전기적 접촉자(20B)의 외경은, 위쪽 하우징(17)의 제2 지지구멍(17A) 및 아래쪽 하우징(16)의 제1 지지구멍(16A)의 내경보다도 작다. 그 때문에, 전기적 접촉자(20B)가 피검사체(12)의 전극(13)에 전기적으로 접촉할 때, 전기적 접촉자(20B)는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다.
도 16에 있어서, 제1 플런저(210B)는 선단부(211B), 상부(212B), 볼록부(213B), 하부(214B), 하단부(215B), 스프링 걸림부(216B), 슬릿부(217)를 갖는다.
제1 플런저(210B)는 원주형상을 갖는다. 또, 제1 플런저(210B)의 형상이 원주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제1 플런저(210B)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제1 플런저(210B)의 전극(13)(도 15 참조)에의 접촉을 안정하게 할 수 있다. 또, 전극(13) 및 전기적 접촉자(20B)의 사이즈의 축소화에도 대응할 수 있다.
게다가, 제1 플런저(210B)가 전극(13)(도 15 참조)에 대한 전기적 접촉을 확실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비용을 억제한 재질(금속)로 제1 플런저(210B)를 제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전성을 좋게 하기 위해, 종래의 제1 플런저는 고가의 금속에 의한 도금가공을 하고 있다. 그러나, 제1 플런저(210B)의 선단부(211B)가 산 형상으로 되어 있어, 선단부(211B)가 확실하게 전극(13)과 전기적 접촉을 하기 때문에, 제1 플런저(210B)의 제작 시의 도금가공이 불필요하다. 물론, 도전성을 보다 좋게 하기 위해, 제1 플런저(210B)에 고가의 금속에 의한 도금가공을 실시해도 좋다.
선단부(211B)는 중앙이 패여 있고, 선단부(211B)의 중심에서 산 형상의 정점을 향해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선단부(211B)의 복수의 산 형상의 각각은 대략 삼각기둥을 갖고 있고, 선단부(211B)는 각 삼각기둥이 인접하는 삼각기둥과 이어진 형상으로 되어 있다.
선단부(211B)는 중앙이 패여 있고, 선단부(211B)의 외주가 정점이 되는 복수의 산 형상(삼각기둥 형상의 산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제1 플런저(210B)가 전극(13)(도 15 참조)과 감싸도록 전기적으로 접촉을 확실히 할 수 있어, 협피치화에도 대응할 수 있다.
또, 선단부(211B)가 복수의 산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복수의 산 형상이 전극(13)(도 15 참조)에 대하여 접촉하기 위해, 선단부(211B)의 전극(13)에 대한 접촉점을 많게 만들 수 있다. 즉, 제1 플런저가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전극(13)에 대하여 다점 접촉이 가능하기 때문에, 전기적인 도통이 가능하다. 즉, 접촉불량을 피할 수 있다.
또, 선단부(211B)의 복수의 산 형상이 전극(13)(도 15 참조)에 확실하게 접촉하기 때문에, 전극(13)에 접촉하는 선단부(211B)의 복수의 접촉점(산 형상의 접촉점)의 각각에 걸리는 부하를 분산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선단부(211B)가 전극(13)에 접촉할 때에 생길 수 있는, 선단부(211B)의 산 형상의 변형이나 파손 등을 감소할 수 있다.
상부(212B)는 원주형상을 갖고 있다. 따라서, 제2 지지구멍(17A) 및 제1 지지구멍(16A)(도 15 참조)에, 전기적 접촉자(20B)가 하우징되면, 하우징되어 있는 전기적 접촉자(20B)는 제1 지지구멍(16A) 및 제2 지지구멍(17A)에서 안정한 상태가 된다.
또, 상부(212B)가 원주형상이기 때문에, 제1 플런저(210B)와 제2 지지구멍(17A) 사이의 가장자리의 간극을 막을 수 있다. 즉, 전기적 접속장치(11)가 저온환경에서 사용될 때에, 결로에 의해 발생한 물방울이 떨어지는 물방울 유로(간극)를 차단할 수 있다.
게다가, 상부(212B)는 원주형상이기 때문에, 종래의 판상의 플런저와 같이 모서리와 제2 지지구멍과의 간섭을 억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모서리와 제2 지지구멍과의 사이의 간섭에 의해 생길 수 있는 깎인 부스러기의 발생이 없어져, 접촉불량을 피할 수 있다. 또, 위쪽 하우징(17)의 제2 지지구멍(17A) 및 아래쪽 하우징(16)의 제1 지지구멍(16A)의 형상을 긴 구멍 형상으로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슬릿부(217)는, 제1 플런저(210B)의 중심축을 따라, 하단부(215B)에서 윗방향을 향해 상부(212B)의 도중 위치까지 설치되어 있다. 슬릿부(217)는, 제2 플런저(220)의 상부(선단부(221) 및 결합부(222); 도 10 참조)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부분임과 동시에, 제2 플런저(220)의 상부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하는 부분이다. 즉, 슬릿부(217)에 제2 플런저(220)의 결합부(222)(도 10, 도 15 참조)가 삽입되면, 슬릿부(217)의 내면이 제2 플런저(220)의 결합부(222)의 표면과 전기적으로 접촉하여 전기적인 도통이 행해진다. 또, 제2 플런저(220)의 결합부(222)는 슬릿부(217)의 안쪽을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할 수 있다. 따라서, 슬릿부(217)는 제2 플런저(220)와의 사이의 접점 접촉부로서 기능한다.
슬릿부(217)는, 원주형상의 플런저에 대하여, 하단부(215B)에서 윗방향을 향해, 예를 들어 절삭가공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슬릿부(217)의 상하방향의 길이는 제2 플런저(220)의 결합부(222)(도 10 참조)의 길이방향의 길이에 따라 설정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수 mm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슬릿부(217)의 두께에 대해서, 제2 플런저(220)의 결합부(222)(도 10 참조)가 상하방향의 슬라이드와, 슬릿부(217)의 내면과 결합부(222)와의 전기적인 접촉을 고려할 필요가 있어, 슬릿부(217)의 두께는 제2 플런저(220)의 결합부(222)의 두께보다 약간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프링 걸림부(216B)는, 볼록부(213B)와 하부(214B)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고, 스프링부(230)의 상단부(231)인 밀착 소경부(도 12 참조)를 받는 부분이다. 스프링 걸림부(216B)의 외경은 하부(214B)의 외경보다도 작게 형성되어 있어, 스프링부(230)의 상단부(231)인 밀착 소경부를 받아, 스프링부(230)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하단부(215B)는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제1 플런저(210B)의 스프링부(230)에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B-2) 제2 실시형태의 변형 실시형태
(B-2-1) 제2 플런저의 변형 실시형태
도 17(A)는 제2 실시형태의 변형 실시형태의 전기적 접촉자(20C)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7(B)는 제2 실시형태의 변형 실시형태의 전기적 접촉자(20C)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상술한 제2 실시형태에서는, 전기적 접촉자(20B)의 제2 플런저(220)가 제1 실시형태의 도 10 및 도 11에서 설명한 것인 경우를 예시하였다.
그러나, 전기적 접촉자(20B)는 제2 플런저(220) 대신에, 도 14에 예시한 판상의 제2 플런저(220A)를 이용해도 좋다.
도 17(A), 도 17(B) 및 도 1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2 플런저(220) 대신에, 판상의 제2 플런저(220A)로 함으로써, 보다 저비용의 전기적 접촉자를 제공할 수 있다.
(B-2-2) 제2 플런저가 슬릿부를 갖는 변형 실시형태
도 18(A)는 제2 실시형태의 변형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적 접촉자(20D)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8(B)는 제2 실시형태의 변형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적 접촉자(20D)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상술한 제2 실시형태에서는, 전극(13)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제1 플런저(210B)가 슬릿부(217)를 갖는 경우를 예시하였다.
그러나, 도 18에 예시한 바와 같이, 배선기판(15) 위의 콘택트 패드(22)에 접촉하는 제2 플런저(220D)가 슬릿부를 갖도록 해도 좋다.
도 18(A) 및 도 1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기적 접촉자(20D)는 제1 플런저(210E), 제2 플런저(220D), 스프링부(230)를 갖는다.
제2 플런저(220D)는 원주형상이고, 중심축을 따라, 상부에서 하부의 도중까지 슬릿부를 갖고 있고, 이 슬릿부가 제1 플런저(210E)와의 사이의 접점 접촉부로서 기능한다.
또, 제1 플런저(210E)는 후술하는 제3 실시형태의 도 20에 예시하는 구성이다. 제1 플런저(210E)는 복수의 산 형상을 갖는 선단부와, 이에 연속하는 원주형상의 상부와, 판상의 결합부를 갖고 있다.
상기 제1 플런저(210E)의 결합부가 제2 플런저(220D)의 슬릿부에 삽입되고, 슬릿부의 내면이 상기 결합부의 표면과 전기적으로 접촉하여 전기적인 도통이 행해진다. 또, 제1 플런저(210E)의 결합부는 슬릿부의 안쪽을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할 수 있다. 도 18(A) 및 도 18(B)에 예시한 전기적 접촉자(20D)도 제2 실시형태의 전기적 접촉자(20B)와 동일한 효과를 갖는다.
(B-3) 제2 실시형태의 효과
이상과 같이, 제2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1 실시형태의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갖는다.
또, 제2 실시형태에 의하면, 피검사체의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제1 플런저를 1개로 함으로써, 제1 플런저가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촉할 때에, 제1 플런저가 벗어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플런저는 확실하게 전극에 대하여 전기적인 접촉을 할 수 있다.
(C) 제3 실시형태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적 접촉자 및 전기적 접속장치의 제3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3 실시형태는, 전기적 접촉자의 구성이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전기적 접촉자와 다르다.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적 접속장치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도 1∼3의 전기적 접속장치(11)와 동일 또는 대응하는 것을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제3 실시형태에서는 전기적 접촉자의 상세한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전기적 접속장치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C-1) 전기적 접촉자의 상세한 설명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적 접촉자(20E)의 구성을, 도 19∼도 21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9(A)는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적 접촉자(20E)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9(B)는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적 접촉자(20E)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0(A)는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제1 플런저(210E)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0(B)는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제1 플런저(210E)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1은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제2 플런저(220E)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제1 실시형태의 전기적 접촉자(20)(또는 20A)는, 피검사체(12)의 전극(13)에 접촉하는 제1 플런저가 2개이고, 배선기판(15)의 콘택트 패드(22)에 접촉하는 제2 플런저가 1개인 경우를 예시하였다.
이에 대하여, 제3 실시형태의 전기적 접촉자(20E)는 전극(13)에 접촉하는 제1 플런저가 1개이고, 배선기판(15)의 콘택트 패드(22)에 접촉하는 제2 플런저가 2개인 경우를 예시한다.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기적 접촉자(20E)는 제1 플런저(210E), 제2 플런저(220E), 스프링부(230)를 갖는다.
전기적 접촉자(20E)는, 1개의 제1 플런저(210E)의 하부가 2개의 제2 플런저(220E)의 상부에 의해 끼워져 겹쳐진 상태로 되어 있고, 그 결합부분이 스프링부(230)에 의해 덮여져 있다.
전기적 접촉자(20E)의 외경은, 위쪽 하우징(17)의 제2 지지구멍(17A) 및 아래쪽 하우징(16)의 제1 지지구멍(16A)의 내경보다도 작다. 그 때문에, 전기적 접촉자(20E)가 피검사체(12)의 전극(13)에 전기적으로 접촉할 때, 전기적 접촉자(20E)는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다.
도 20(A)는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제1 플런저(210E)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0(B)는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제1 플런저(210E)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0(A) 및 도 20(B)에 있어서, 제1 플런저(210E)는 선단부(211E), 상부(212E), 볼록부(213E), 결합부(218), 하단부(219)를 갖는다.
선단부(211E)는, 제2 실시형태의 제1 플런저(210B)의 선단부(211B)(도 16 참조)와 마찬가지로, 대개 원주형상을 갖고 있고, 중앙이 패여 있고, 선단부(211E)의 중심에서 산 형상의 정점을 향해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선단부(211E)의 복수의 산 형상의 각각은 삼각기둥을 갖고 있고, 선단부(211E)는 각 삼각기둥이 인접하는 삼각기둥과 이어진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부(212E)는, 제2 실시형태의 제1 플런저(210B)의 선단부(211B)(도 16 참조)와 마찬가지로, 원주형상을 갖고 있다. 그 때문에, 제2 지지구멍(17A) 및 제1 지지구멍(16A)(도 19 참조)에 전기적 접촉자(20E)가 하우징되면, 하우징되어 있는 전기적 접촉자(20E)는 제1 지지구멍(16A) 및 제2 지지구멍(17A)에서 안정한 상태가 된다. 또, 상부(212E)가 원주형상이기 때문에, 제1 플런저(210E)와 제2 지지구멍(17A)과의 사이의 가장자리의 간극을 막을 수 있고, 결로에 의해 발생한 물방울이 떨어지는 물방울 유로(간극)를 차단할 수 있다. 게다가, 상부(212E)는 원주형상이기 때문에, 제2 지지구멍과의 사이의 간섭에 의해 생길 수 있는 깎인 부스러기의 발생이 없어져, 접촉불량을 피할 수 있다.
결합부(218) 및 하단부(219)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결합부(218) 및 하단부(219)는 도 21에 예시한 2개의 제2 플런저(220E)의 평면부분과 서로 겹쳐, 결합부(218) 및 하단부(219)가 2개의 제2 플런저(220E)의 상부(222E)와 전기적으로 접촉한다.
하단부(219)는 결합부(218)가 스프링부(230)에 삽입될 때, 결합부(218)의 삽입을 안내하는 부분이고, 만곡한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결합부(218)의 폭 길이(치수)는 도 21의 각 제2 플런저(220E)의 평면부분의 폭 길이와 같은 정도여도 좋고, 제2 플런저(220E)의 평면부분의 폭 길이보다도 약간 짧게 해도 좋다. 이에 의해, 제1 플런저(210E)의 하단부(219) 및 결합부(218)와, 제2 플런저(220E)의 평면부분과의 전기적인 접촉면적을 넓게 할 수 있어, 전기적 도통이 양호해진다.
도 21에 나타나듯이, 2개의 제2 플런저(220E)는 각각, 반원주 형상을 갖는다. 각 제2 플런저(220E)는 예를 들어, 원주형상의 플런저를 중심축을 따라 절단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반원주 형상의 각 제2 플런저(220E)의 평면부분이 마주보도록 하여 설치된다.
각 제2 플런저(220E)의 형상이 반원주 형상이기 때문에, 제2 플런저(220E)의 하단은 콘택트 패드(22)(도 19 참조)에 대하여 안정하여 전기적인 접촉을 할 수 있다. 또, 제2 플런저(220E)가 콘택트 패드(22)에 대하여 확실하게 전기적인 접촉이 가능하기 때문에, 비용을 억제한 재질(금속)로 제2 플런저(220E)를 제작할 수 있다.
제2 플런저(220E)는 선단부(221E), 상부(222E), 하부(223E), 하단부(224E), 스프링 걸림부(227)를 갖는다.
상부(222E)는 반원주 형상을 갖고 있다. 2개의 제2 플런저(220E)의 평면부분이 마주보고 설치되고, 제1 플런저(210E)의 결합부(218)(도 20 참조)를 끼워 겹쳐짐으로써, 제1 플런저(210E)와 제2 플런저(220E)가 전기적인 접촉을 하여, 전기적인 도통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부(222E)의 외경은, 스프링부(230)(도 19 참조)에 의해 외주가 덮이도록 하기 때문에, 하부(223E)의 외경보다도 작다.
스프링 걸림부(227)는, 상부(222E)와 하부(223E) 사이에 설치되어 있고, 스프링부(230)의 하단부(232)인 밀착 소경부를 받는 부분이다. 스프링 걸림부(227)의 외경은, 상부(222E)의 외경보다도 작게 형성되어 있어, 스프링부(230)의 하단부(232)인 밀착 소경부(도 12 참조)를 받아, 스프링부(230)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하부(223E)는 반원주 형상이다. 또, 하단부(224E)는 반원주 형상이고, 하부(223E)의 외경보다도 작게 형성되어 있다.
(C-2) 제3 실시형태의 변형 실시형태
도 22(A)는 제3 실시형태의 변형 실시형태의 전기적 접촉자(20F)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2(B)는 제3 실시형태의 변형 실시형태의 전기적 접촉자(20F)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상술한 제3 실시형태에서는, 전기적 접촉자(20E)의 2개의 제2 플런저(220E)의 각각이 반원주 형상의 것인 경우를 예시하였다.
그러나, 전기적 접촉자(20F)는 제2 플런저(220E) 대신에, 판상의 2개의 제2 플런저(220F)를 이용해도 좋다.
도 22(A), 도 2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원주 형상의 제2 플런저(220E) 대신에, 판상의 제2 플런저(220F)로 함으로써, 보다 저비용의 전기적 접촉자를 제공할 수 있다.
(C-3) 제3 실시형태의 효과
이상과 같이, 제3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1 실시형태의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갖는다.
또, 제3 실시형태에 의하면, 피검사체의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제1 플런저를 1개로 하고, 콘택트 패드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제2 플런저를 2개로 함으로써, 제1 플런저가 벗어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플런저는 확실하게 전극에 대하여 전기적인 접촉을 할 수 있고, 콘택트 패드에의 전기적 접촉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D) 다른 실시형태
상술한 제1∼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플런저의 선단부에는 복수의 산 형상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를 예시하였다.
선단부에 형성하는 산 형상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선단부의 산 형상이 피검사체의 전극에 대하여 다점 접촉하여 전기적인 접촉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는, 산 형상이 많은 쪽이 바람직하다. 제1∼제3 실시형태에서는, 선단부의 산 형상의 수가 5개인 경우를 예시하였다. 그러나, 선단부의 산 형상의 수는 예를 들어, 3개, 4개이어도 좋고, 6개 이상이어도 좋다.
선단부의 산 형상의 수에 따라, 선단부의 외주면에서의 산 형상의 정점 각도는 변하는데, 산 형상의 정점 각도는 수도∼수십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산 형상이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촉할 때, 산 형상에 생기는 부하에 의해, 산 형상이 변형하거나 마모하는 것을 고려하여, 산 형상의 정점 각도는 45도∼50도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선단 산의 직경(한 산의 정점에서 이와 마주보는 산의 정점까지의 길이)은, 전극의 치수에 따라서도 다르지만, 예를 들어 수백 ㎛∼수 mm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선단부(211)의 산 형상의 높이방향의 길이는 수십 ㎛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1 플런저(210)가 볼 형상의 전극을 확실하게 전기적으로 접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전기적 접촉자는, 배선기판이나 반도체 집적회로 등에 갖추어진 전극에 접촉되는 장치 전반에 이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전기적 접속장치는, 본 발명의 전기적 접촉자를 이용할 수 있는 모든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11: 전기적 접속장치 12: 피검사체
13: 전극 15: 배선기판
16: 아래쪽 하우징 16A: 제1 지지구멍
16B: 아래쪽 받음부 17: 위쪽 하우징
17A: 제2 지지구멍 17B: 위쪽 받음부
18: 프레임 19: 가이드 판
22: 콘택트 패드
20, 20A, 20B, 20C, 20D, 20E, 20F: 전기적 접촉자
210, 210A, 210B, 210C, 210D, 210E, 210F: 제1 플런저
211: 선단부
220, 220A, 220B, 220C, 220D, 220E, 220F: 제2 플런저
230: 스프링부

Claims (8)

  1. 한쪽 부재에 대하여 접촉하는 것으로서, 복수의 산 형상의 선단부를 갖는 제1 플런저;
    다른쪽 부재에 대하여 접촉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플런저의 일부와 서로 겹쳐진 상태로 상기 제1 플런저와 접촉하고, 상기 제1 플런저와 협동하여 상기 한쪽 부재와 상기 다른쪽 부재 사이를 전기적으로 도통하는 제2 플런저; 및
    상기 제1 플런저의 선단부와 상기 제2 플런저의 선단부를 서로 반대방향인 상태로 결합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플런저와 상기 제2 플런저와의 결합부의 외주를 덮고, 상기 제1 플런저 및 상기 제2 플런저의 각각의 받음부에 접하여, 상기 제1 플런저 및 상기 제2 플런저를 상대적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스프링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런저가 반원주 형상의 2개의 플런저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2개의 플런저 중의 한 플런저의 평면부분과, 상기 2개의 플런저 중의 다른 플런저의 평면부분이 마주보도록 설치되고,
    상기 2개의 플런저 중의 한 플런저의 선단부와, 상기 2개의 플런저 중의 다른 플런저의 선단부가 상기 한쪽 부재의 표면에 대하여 다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접촉자.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런저가 반원주 형상의 2개의 플런저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플런저가 적어도 상기 제1 플런저와 서로 겹쳐지는 판상의 결합부를 갖고,
    상기 2개의 플런저 중의 한 플런저의 평면부분과, 상기 2개의 플런저 중의 다른 플런저의 평면부분이, 상기 제2 플런저의 상기 결합부를 끼운 상태로 상기 결합부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접촉자.
  4. 한쪽 부재에 대하여 접촉하는 것으로서, 복수의 산 형상의 선단부를 갖는 제1 플런저;
    다른쪽 부재에 대하여 접촉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플런저의 일부와 서로 겹쳐진 상태로 상기 제1 플런저와 접촉하고, 상기 제1 플런저와 협동하여 상기 한쪽 부재와 상기 다른쪽 부재 사이를 전기적으로 도통하는 제2 플런저; 및
    상기 제1 플런저의 선단부와 상기 제2 플런저의 선단부를 서로 반대방향인 상태로 결합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플런저와 상기 제2 플런저와의 결합부의 외주를 덮고, 상기 제1 플런저 및 상기 제2 플런저의 각각의 받음부에 접하여, 상기 제1 플런저 및 상기 제2 플런저를 상대적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스프링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런저가 원주형상으로서, 하단에서 선단부에 걸쳐 슬릿부를 갖고, 하부에서 볼록부를 향해 외경을 크게 한 테이퍼 형상의 스프링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플런저가, 적어도 상기 제1 플런저와 서로 겹치는 판상의 결합부를 갖고,
    상기 제2 플런저의 결합부가, 상기 제1 플런저의 슬릿부에 삽입되어, 상기 슬릿부의 내면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접촉자.
  5. 한쪽 부재에 대하여 접촉하는 것으로서, 복수의 산 형상의 선단부를 갖는 제1 플런저;
    다른쪽 부재에 대하여 접촉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플런저의 일부와 서로 겹쳐진 상태로 상기 제1 플런저와 접촉하고, 상기 제1 플런저와 협동하여 상기 한쪽 부재와 상기 다른쪽 부재 사이를 전기적으로 도통하는 제2 플런저; 및
    상기 제1 플런저의 선단부와 상기 제2 플런저의 선단부를 서로 반대방향인 상태로 결합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플런저와 상기 제2 플런저와의 결합부의 외주를 덮고, 상기 제1 플런저 및 상기 제2 플런저의 각각의 받음부에 접하여, 상기 제1 플런저 및 상기 제2 플런저를 상대적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스프링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런저가, 적어도 상기 제2 플런저와 서로 겹치는 판상의 결합부를 갖고, 결합부에서 볼록부를 향해 외경을 크게 한 테이퍼 형상의 받음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플런저가 원주형상으로서, 상단부터 하단에 걸쳐 슬릿부를 갖고,
    상기 제1 플런저의 결합부가 상기 제2 플런저의 슬릿부에 삽입되어, 상기 슬릿부의 내면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접촉자.
  6. 한쪽 부재에 대하여 접촉하는 것으로서, 복수의 산 형상의 선단부를 갖는 제1 플런저;
    다른쪽 부재에 대하여 접촉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플런저의 일부와 서로 겹쳐진 상태로 상기 제1 플런저와 접촉하고, 상기 제1 플런저와 협동하여 상기 한쪽 부재와 상기 다른쪽 부재 사이를 전기적으로 도통하는 제2 플런저; 및
    상기 제1 플런저의 선단부와 상기 제2 플런저의 선단부를 서로 반대방향인 상태로 결합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플런저와 상기 제2 플런저와의 결합부의 외주를 덮고, 상기 제1 플런저 및 상기 제2 플런저의 각각의 받음부에 접하여, 상기 제1 플런저 및 상기 제2 플런저를 상대적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스프링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런저가, 적어도 상기 제2 플런저와 서로 겹치는 판상의 결합부를 갖고,
    상기 제2 플런저가 2개의 플런저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2개의 플런저 중의 한 플런저의 평면부분과, 상기 2개의 플런저 중의 다른 플런저의 평면부분이, 제1 플런저의 결합부를 끼운 상태로 결합부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접촉자.
  7.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6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런저의 선단부가, 선단부의 외주에 정점을 갖는 복수의 삼각기둥이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선단부의 원주형상의 중앙부가 패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접촉자.
  8. 피검사체의 전극에 접촉하여 시험을 하는 전기적 접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검사체의 각 전극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설되어 그 각 전극에 접촉하여 통전하는 복수의 전기적 접촉자를 갖추고,
    상기 전기적 접촉자로서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6항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기적 접촉자를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접속장치.
KR1020160117751A 2015-11-25 2016-09-13 전기적 접촉자 및 전기적 접속장치 KR1018339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229513 2015-11-25
JP2015229513A JP6637742B2 (ja) 2015-11-25 2015-11-25 電気的接触子及び電気的接続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1058A KR20170061058A (ko) 2017-06-02
KR101833970B1 true KR101833970B1 (ko) 2018-03-02

Family

ID=58719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7751A KR101833970B1 (ko) 2015-11-25 2016-09-13 전기적 접촉자 및 전기적 접속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018669B2 (ko)
JP (1) JP6637742B2 (ko)
KR (1) KR101833970B1 (ko)
TW (1) TWI639277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8549B1 (ko) * 2018-12-19 2020-02-19 주식회사 오킨스전자 동축에서 직렬로 탑재되는 듀얼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테스트 소켓용 테스트 핀
KR102121754B1 (ko) * 2018-12-19 2020-06-11 주식회사 오킨스전자 상하 2개의 영역으로 구분되는 단일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테스트 소켓
KR102126752B1 (ko) * 2018-12-19 2020-06-25 주식회사 오킨스전자 이중 코일 스프링에 의하여 3개의 플런저가 독립적으로 슬라이드 동작하는 테스트 소켓에 있어서, 레일을 통하여 콘택 특성이 개선되는 데스트 핀
KR102126753B1 (ko) * 2018-12-19 2020-06-25 주식회사 오킨스전자 단일 코일 스프링에 의하여 3개의 플런저가 독립적으로 슬라이드 동작하는 테스트 소켓에 있어서, 레일을 통하여 상기 슬라이드 동작이 제어되는 데스트 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11201903814UA (en) * 2016-11-30 2019-05-30 Nidec Read Corp Contact terminal, inspection jig, and inspection device
KR102356584B1 (ko) 2017-05-17 2022-01-28 주식회사 만도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28906A1 (en) 2004-02-04 2007-06-07 Nhk Spring Co., Ltd. Needle-like member, conductive contact, and conductive contact unit
US20090075529A1 (en) 2007-09-18 2009-03-19 Johnston Charles J Spring contact assembly
JP2012181096A (ja) * 2011-03-01 2012-09-20 Micronics Japan Co Ltd 接触子及び電気的接続装置
KR101328581B1 (ko) * 2012-06-13 2013-11-13 리노공업주식회사 검사용 프로브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2972U (ja) * 1982-09-14 1984-03-21 日本電気株式会社 スル−ホ−ル導通抵抗測定端子
TWM260995U (en) 2004-03-31 2005-04-01 Chupond Prec Co Ltd Central processor socket
KR100584225B1 (ko) 2004-10-06 2006-05-29 황동원 전자장치용 콘택트
JP5361518B2 (ja) * 2009-04-27 2013-12-04 株式会社ヨコオ コンタクトプローブ及びソケット
JP5750535B2 (ja) * 2009-09-28 2015-07-22 株式会社日本マイクロニクス 接触子及び電気的接続装置
JPWO2011096067A1 (ja) * 2010-02-05 2013-06-10 株式会社日本マイクロニクス 接触子及び電気的接続装置
US8373430B1 (en) * 2012-05-06 2013-02-12 Jerzy Roman Sochor Low inductance contact probe with conductively coupled plungers
JP6041565B2 (ja) * 2012-07-26 2016-12-07 株式会社ヨコオ 検査治具
JP6168911B2 (ja) 2013-08-20 2017-07-26 日立造船株式会社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の製造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28906A1 (en) 2004-02-04 2007-06-07 Nhk Spring Co., Ltd. Needle-like member, conductive contact, and conductive contact unit
US20090075529A1 (en) 2007-09-18 2009-03-19 Johnston Charles J Spring contact assembly
JP2012181096A (ja) * 2011-03-01 2012-09-20 Micronics Japan Co Ltd 接触子及び電気的接続装置
KR101328581B1 (ko) * 2012-06-13 2013-11-13 리노공업주식회사 검사용 프로브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8549B1 (ko) * 2018-12-19 2020-02-19 주식회사 오킨스전자 동축에서 직렬로 탑재되는 듀얼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테스트 소켓용 테스트 핀
KR102121754B1 (ko) * 2018-12-19 2020-06-11 주식회사 오킨스전자 상하 2개의 영역으로 구분되는 단일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테스트 소켓
KR102126752B1 (ko) * 2018-12-19 2020-06-25 주식회사 오킨스전자 이중 코일 스프링에 의하여 3개의 플런저가 독립적으로 슬라이드 동작하는 테스트 소켓에 있어서, 레일을 통하여 콘택 특성이 개선되는 데스트 핀
KR102126753B1 (ko) * 2018-12-19 2020-06-25 주식회사 오킨스전자 단일 코일 스프링에 의하여 3개의 플런저가 독립적으로 슬라이드 동작하는 테스트 소켓에 있어서, 레일을 통하여 상기 슬라이드 동작이 제어되는 데스트 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639277B (zh) 2018-10-21
KR20170061058A (ko) 2017-06-02
JP2017096787A (ja) 2017-06-01
US10018669B2 (en) 2018-07-10
TW201724662A (zh) 2017-07-01
JP6637742B2 (ja) 2020-01-29
US20170146593A1 (en) 2017-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3970B1 (ko) 전기적 접촉자 및 전기적 접속장치
JP5629611B2 (ja) 接触子及び電気的接続装置
KR101310672B1 (ko) 접촉자 및 전기적 접속장치
KR101307365B1 (ko) 접촉자 및 전기적 접속장치
KR101958351B1 (ko) 검사프로브 및 이를 사용한 검사장치
KR101422566B1 (ko) 프로브 및 프로브 카드
EP1179734A1 (en) Testing head having vertical probes
KR101769355B1 (ko) 수직형 프로브핀 및 이를 구비한 프로브핀 조립체
US7474111B2 (en) Electrical probe assembly with guard members for the probes
US10641793B2 (en) Contact pin and test base having contact pins
KR20150146383A (ko) 전기적 접촉자 및 전기적 접속장치
US7737711B2 (en) Test apparatus having pogo probes for chip scale package
KR20180131312A (ko) 수직형 프로브핀 및 이를 구비한 프로브핀 조립체
CN111751583A (zh) 探针头及探针卡
JP5750535B2 (ja) 接触子及び電気的接続装置
KR20140059896A (ko) 탐침 구조물 및 이를 갖는 프로브 카드
KR20160002475U (ko) 검사용 탐침부재
GB2566612A (en) Socket
KR100692179B1 (ko) 평판디스플레이 검사를 위한 프로브 조립체
KR102283282B1 (ko) 정렬효율이 향상된 수직형 프로브 카드
KR100555713B1 (ko) 포고핀 및 이를 이용한 테스트장치
JP5568563B2 (ja) 接触子及び電気的接続装置
KR20170009443A (ko) 반도체 디바이스 검사용 마이크로 컨택 어레이 구조체
KR101524471B1 (ko) 포고핀용 탐침부재의 플런저 고정 방법 및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포고핀 구조체
US20080272796A1 (en) Probe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