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6469B1 - 철피석곡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철피석곡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6469B1
KR102126469B1 KR1020170112585A KR20170112585A KR102126469B1 KR 102126469 B1 KR102126469 B1 KR 102126469B1 KR 1020170112585 A KR1020170112585 A KR 1020170112585A KR 20170112585 A KR20170112585 A KR 20170112585A KR 102126469 B1 KR102126469 B1 KR 1021264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extract
present
moisturizing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2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6175A (ko
Inventor
김병현
안세연
이소영
진무현
황승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70112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6469B1/ko
Priority to US16/644,101 priority patent/US20210059927A1/en
Priority to JP2020512863A priority patent/JP7076534B2/ja
Priority to PCT/KR2018/007832 priority patent/WO2019045259A2/ko
Priority to CN201880057146.6A priority patent/CN111093621A/zh
Publication of KR20190026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61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6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64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8Orchidaceae (Orchid family)
    • A61K36/8984Dendrobiu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92Oral administ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rd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피석곡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주름 개선, 피부 미백, 피부 트러블 개선, 또는 피부 보습 등의 우수한 피부 개선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철피석곡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의약외품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철피석곡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주름 개선, 피부 미백, 피부 트러블 개선, 또는 피부 보습 효능이 우수하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 멜라닌 생성 저해 효과, 항염증 효과, 및 보습 효과가 우수하여 주름 개선, 피부 미백, 피부 트러블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로서의 활용도가 높다. 또한 본 발명의 철피석곡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의약외품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철피석곡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s comprising extract of Dendrobium candidum flower extract}
본 발명은 철피석곡(Dendrobium candidum)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주름 개선, 피부 미백, 피부 트러블 개선, 또는 피부 보습 등의 우수한 피부 개선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철피석곡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의약외품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콜라겐은 피부의 섬유아세포(Fibroblast)에서 생성되는 주요 기질 단백질로서 세포 외 간질에 존재하고, 중요한 기능으로는 피부의 기계적 견고성, 결합조직의 저항력과 조직의 결합력, 세포접착의 지탱, 세포 분할과 분화(유기체의 성장 혹은 상처 치유 시)의 유도 등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콜라겐은 연령 및 자외선 조사에 의한 광 노화에 의해 감소하며, 콜라겐을 분해하는 콜라게나제 효소 활성으로 콜라겐 감소가 촉진된다. 이는 피부의 주름 형성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현재, 피부 탄력 증진 및 주름 개선 화장료로는 레티노이드, 아데노신, 동물 태반유래 단백질, 클로렐라 추출물 등이 알려져 있다. 가장 잘 알려져 있는 레티놀은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고 엘라스타제 효소를 저해하는 물질이지만, 피부 적용 시 자극, 발적 등의 안전성 문제로 사용량의 제한이 있고, 클로렐라 추출물 등은 효과가 미미하여 실질적으로 피부 탄력 증진 및 주름 개선 효과를 기대하기가 어렵다고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미백 성분으로서, 코지산(Kojic acid) 또는 알부틴(Arbutin) 등과 같은 티로시나제 효소활성을 억제하는 물질,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 비타민 C(L-Ascorbic acid) 또는 이들의 유도체와 각종 식물 추출물이 있다. 이들은 멜라닌 색소의 합성을 저해함으로써, 피부 톤을 밝게 하여 피부 미백을 실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외선, 호르몬 또는 유전에 기인한 기미나 주근깨 등의 피부 과색소 침착증의 개선이 가능하다. 그러나 피부 적용 시, 자극과 발적 등의 안전성의 문제로 사용량의 제한이 있거나, 효과가 미미하여 실질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화장품은 피부를 보호하고 피부의 미화 및 청결을 위해 사용되는 제품이지만, 그 조성으로는 피부 보호 목적과는 상이한 성분들이 제품 형성을 위해 불가피하게 포함된다. 이러한 성분들로는 계면활성제, 방부제, 향료, 자외선 차단제, 색소뿐 아니라, 그 밖의 효능 및 효과를 부여하기 위한 여러 가지 성분들이 여기에 포함된다. 이들 성분은 일반적으로 피부에 염증이나 뾰루지, 부종 등 각종 트러블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Maibach. H. I., Contact Dermatitis, 6. 369-404, 1980). 또한, 체내로부터 배출되는 피지 및 땀, 화장품 성분 중의 지방산, 고급 알코올, 단백질 성분 등이 피부상에 존재하는 피부 상재균에 의해 독성이 강한 물질로 분해되어 이들에 의해 피부 염증이 유발될 수도 있으며, 태양으로부터 나오는 자외선에 의해서도 피부 염증이 유발된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염증 반응은 붉어짐(feeling of redness), 따끔거림(pricking feeling), 화끈거림(burning hotness), 팽윤(swelling), 조직의 변화와 같은 5가지 현상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해로운 주위 환경, 즉 세균과 같은 외부 물질의 침입과 기계적 손상으로부터 생체를 보호하려는 생리적인 반응이다. 이러한 염증현상은 여러 종류의 다형핵 백혈구(PMNs)와 면역 물질의 많은 증가를 초래하며, 이처럼 증가된 세포들은 염증성 세포 산물인 다양한 종류의 단백질 분해 효소와 사이토카인 등을 분비함으로써 치료 및 방어를 할 수 있게 해준다. 그러나, 이러한 작용은 인접해 있는 조직 세포와 비세포 성분들에 해로운 손상을 일으키기도 한다. 따라서, 적절한 조건하에서는 염증 초기 상태가 지난 후 정상 기능을 되찾게 되지만, 염증을 자극하는 자극제가 없어지지 않거나 계속해서 만들어질 경우에는 결과적으로 만성 염증이 일어나게 되어 더욱더 심각한 조직의 손상을 가져온다.
일반적으로 피부에 사용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은 사람의 모발이나 피부 등에 수분을 일정량 유지함으로써 부드럽고 생기있게 보이게 하며, 갈라짐, 건조함 등의 손상을 방지해주는 기능을 한다. 즉,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나 모발에 일정량 이상의 수분을 공급하거나 수분이 유지되게 함으로써 피부나 모발을 미화하고, 건강하게 유지하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피부가 수분 조절에 약 65-70%를 담당하므로 화장품 분야에서는 수분의 공급, 유지, 즉 보습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며, 최근에는 천연물 등으로부터 얻은 생리 활성 물질을 화장료에 도입하여 피부 자체의 고유 방어 기능을 유지시킴으로써 보습력을 증가시키는 화장품의 개발이 활발해지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2-0044266호에서는 복합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다만, 생약 추출물 단독, 자체의 피부 보호 효과에 대해서는 개시하지 않았다.
이러한 배경하에, 본 발명자들은 천연에 존재하는 천연 자원들로부터 주름 개선, 피부 미백, 피부 트러블 개선, 및 피부 보습 효과가 우수한 물질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이에 철피석곡 꽃 추출물이 다른 종류의 석곡 및 철피석곡의 다른 부위 추출물에 비하여 우수한 콜라겐 합성 촉진, 멜라닌 생성 저해, 항염증 효과, 및 보습 효과를 나타냄을 규명하고, 이를 활용한 화장료 조성물, 의약외품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철피석곡(Dendrobium candidum)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철피석곡(Dendrobium candidum)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철피석곡(Dendrobium candidum)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철피석곡(Dendrobium candidum)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철피석곡(Dendrobium candidum)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철피석곡(Dendrobium candidum)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철피석곡(Dendrobium candidum)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철피석곡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철피석곡(Dendrobium candidum)"은 전통의약식물로 널리 알려진 난초과(Orchidaceae)식물 중 하나이다. 중국의 중남부지역에 많이 분포하고 있고, 예로부터 약용으로 많이 활용되어 왔다. 원기둥 모양으로 길이 15~50 cm, 지름 0.15~0.3 cm, 마디 사이가 1~4 cm이고, 바깥 면은 노란색이고 아랫부분의 일부에는 광택이 나며 세로주름이 있다. 마디 위에는 꽃차례자루 자국 및 남아있는 엽초가 있고 엽초의 입구는 벌어져 있는 모양이다. 본 발명의 철피석곡은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하거나, 자연에서 채취 또는 재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철피석곡, 금채석곡, 환초석곡, 마편석곡, 및 황초석곡의 전초 추출물을 각각 제조하고, 제조한 추출물의 주름 개선 효과, 피부 미백 효과, 피부 트러블 개선 효과, 및 피부 보습 효과를 각각 비교하였다. 그 결과, 석곡(Dendrobii Caulis)류에 속하는 다른 식물에 비하여, 철피석곡을 사용할 때 상기 피부 개선 효과가 가장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표 1 내지 표 4).
본 발명에 있어서, 철피석곡은 식물체 부위 중에서도 구체적으로 꽃 부위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철피석곡 전초 추출물, 뿌리 추출물, 줄기 추출물, 잎 추출물 및 꽃 추출물을 각각 제조하고, 제조한 추출물의 주름 개선 효과, 피부 미백 효과, 피부 트러블 개선 효과, 및 피부 보습 효과를 각각 비교하였다. 각 실험 결과를 통해, 철피석곡의 꽃 부위에서 유래한 추출물을 사용할 때 다른 부위 추출물 사용과 비교하여 상기 피부 개선 효과가 가장 우수하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표 1 내지 표 4). 따라서, 본 발명은 철피석곡 중에서도 꽃 부위 추출물을 사용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추출물"은 상기 철피석곡의 추출처리에 의하여 얻어지는 추출액, 상기 추출액의 희석액이나 농축액, 상기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상기 추출액의 조정제물이나 정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추출액 자체 및 추출액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추출물은, 철피석곡의 천연, 잡종 또는 변종 식물로부터 추출될 수 있고, 식물 조직 배양물로부터도 추출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상기 철피석곡의 추출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을 추출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추출 방법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열수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여과법, 환류 추출법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수행되거나 2종 이상의 방법을 병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철피석곡을 추출하는데 사용되는 추출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 용매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물(또는 증류수); 메탄올, 에탄올, 프로필알코올, 부틸알코올 등의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다가 알코올; 및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벤젠, 헥산,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등의 탄화수소계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물(또는 증류수), 저급알코올, 1,3-부틸렌글리콜, 에틸아세테이트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물(또는 증류수)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용매를 사용하여 철피석곡을 1회 이상 추출하여 용매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고, 상기 용매 추출물을 감압 증류한 후 동결건조 또는 분무 건조하여 얻은 건조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물(또는 증류수)을 사용하여 철피석곡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제조예 1 내지 9).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으로, 철피석곡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주름 개선"이란 피부에 주름이 생성되는 것을 억제 또는 저해하거나, 이미 생성된 주름을 완화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철피석곡 꽃 추출물을 인간 유래 섬유아세포의 배양액에 첨가하여 세포수준에서 제1형 콜라겐 합성율을 측정한 결과, 다른 종류의 석곡, 및 철피석곡의 다른 부위 추출물에 비하여 콜라겐 합성율이 가장 우수하게 나타나고, 양성 대조군(TGF-β)보다 동등 이상의 콜라겐 합성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표 1). 본 발명의 철피석곡 꽃 추출물은 콜라겐 합성을 촉진함으로써, 주름 개선 용도에 유용히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으로, 철피석곡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피부 미백"이란 멜라닌 색소의 합성을 저해함으로써 피부 톤을 밝게 할 뿐만 아니라, 자외선, 호르몬 또는 유전에 기인한 기미나 주근깨 등의 피부 과색소 침착을 개선하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철피석곡 꽃 추출물을 쥐의 멜라노마 세포(B-16) 배양엑에 첨가하여 멜라닌 총량을 측정한 결과, 다른 종류의 석곡, 및 철피석곡의 다른 부위 추출물에 비하여 멜라닌 생성 저해율이 가장 우수하게 나타나고, 양성 대조군(Albutin)보다 동등 이상의 멜라닌 생성 저해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표 2). 본 발명의 철피석곡 꽃 추출물은 멜라닌 생성을 저해함으로써, 피부 미백 용도에 유용히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으로, 철피석곡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피부 트러블"이란 대식세포에서의 과도한 일산화질소 생성으로 인하여 유발된 염증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피부질환을 의미한다. 상기 피부 트러블은 염증과 관련된 피부질환이면 그 종류에 관계없이 모두 포함되며, 상 기 염증과 관련된 피부질환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아토피 피부염, 건선, 방사선, 화학물질, 화상 등에 의해 촉발되는 홍반성 질환, 산 화상, 수포성 피부병, 태선 모양 종류 질환, 알레르기에 기한 가려움증, 지루성 습진, 장미 여드름, 심상성 천포창, 다형 삼출성 홍반, 결절 홍반, 귀두염, 음문염, 원형 탈모증과 같은 염증성 모발 손실, 피부 T-세포 림프종 등이 있으며, 구체적으로, 피부발진, 여드름, 뾰루지, 주사(빨간 코)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트러블 개선"이란 피부에 트러블이 생성되는 것을 억제 또는 저해하거나, 이미 생성된 트러블을 완화시키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항염증"이란 염증을 억제하는 것을 말하며, 상기 염증은 어떤 자극에 대한 생체조직의 방어반응의 하나로, 조직 변질, 순환 장애와 삼출, 조직 증식의 세가지를 병발하는 복잡한 병변을 말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염증은 선천성 면역의 일부이며 다른 동물에서처럼 인간의 선천성 면역은 병원체에 특이적으로 존재하는 세포 표면의 패턴을 인식한다. 식세포는 그런 표면을 가진 세포를 비자기로 인식하고 병원체를 공격한다. 만일 병원균이 신체의 물리적 장벽을 깨고 들어온다면 염증반응이 일어난다. 염증반응은 상처부위에 침입한 미생물들에 대한 적대 환경을 만드는 비특이적인 방어작용이다. 염증반응에서, 상처가 나거나 외부 감염체가 체내로 들어왔을 때, 초기단계 면역반응을 맡고 있는 백혈구들이 몰려들어 사이토카인을 발현한다. 따라서 세포 내 사이토카인의 발현량이 염증반응 활성화의 지표가 된다. 본 발명의 항염증은 피부에서 발병된 염증을 억제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철피석곡 꽃 추출물의 나이트릭 옥사이드(nitric oxide; NO)저해 효과를 측정한 결과, 다른 종류의 석곡, 및 철피석곡의 다른 부위 추출물에 비하여 NO 생성 저해율이 가장 우수하게 나타나고, 양성 대조군(L-NMMA)보다 동등 이상의 NO 생성 저해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표 3). 본 발명의 철피석곡 꽃 추출물은 NO 생성을 저해함으로써, 피부 트러블 개선 용도에 유용히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으로, 철피석곡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피부 보습"이란 피부에 수분감을 증가시켜주고, 촉촉한 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피부 보습 효과는 피부의 주름개선, 탄력도 증가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철피석곡 꽃 추출물의 보습 관련 유전자 발현 효과를 측정한 결과, 다른 종류의 석곡, 및 철피석곡의 다른 부위 추출물에 비하여 보습 유전자 발현 촉진이 가장 향상됨을 확인하였다(표 4). 본 발명의 철피석곡 꽃 추출물은 보습 유전자 발현을 촉진시킴으로써, 피부 보습 용도에 유용히 사용될 수 있다.
종합하면, 본 발명의 철피석곡은 다른 종류의 석곡과 비교하여 주름 개선 효과, 피부 미백 효과, 피부 트러블 개선 효과, 및 피부 보습 효과가 가장 뛰어남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철피석곡의 식물체 부위 중에서도 특히 꽃 부위를 사용할 때, 다른 부위를 사용한 것과 비교하여 상기 주름 개선 효과, 피부 미백 효과, 피부 트러블 개선 효과, 및 피부 보습 효과가 가장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외용연고, 크림, 폼, 영양화장수, 유연화장수, 팩, 유연수, 유액, 메이크업베이스, 에센스, 비누, 액체 세정료, 입욕제, 선 스크린크림, 선오일,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패취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 피부 화장료에 배합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의 성분으로 예를 들면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 알콜,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향료 등을 적절히 배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제형에 따라 다양하다.
본 발명의 제형이 연고,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 유, 식물성 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아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사이드, 칼슘 실케이트, 폴리아미드 파우더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며,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콜,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이 이용될 수 있으며, 특히, 목화씨 오일, 땅콩 오일, 옥수수 배종 오일, 올리브오일, 피마자 오일 및 참깨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콜,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비누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산의 알칼리 금속 염, 지방산 헤미에스테르 염, 지방산 단백질 히드롤리제이트, 이세티오네이트, 라놀린 유도체, 지방족 알콜, 식물성 유, 글리세롤, 당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로서, 철피석곡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철피석곡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피부 미백용, 피부 트러블 개선용, 또는 피부 보습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철피석곡 꽃 추출물, 주름 개선, 피부 미백, 피부 트러블 개선, 피부 보습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의약외품 조성물에는 상기 성분 외에 필요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는 본 발명의 효과를 해하지 않는 한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윤활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의 대표적인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스, 슈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말티톨, 전분, 젤라틴, 글리세린,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칼슘포스페이트, 칼슘카보네이트, 칼슘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즈,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광물유,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식물성 오일, 주사가능한 에스테르, 위텝솔, 마크로골, 트윈 61, 카카오지, 라우리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철피석곡 꽃 추출물을 의약외품으로 사용하는 경우,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예컨대, 공지의 주름 개선, 피부 미백, 피부 트러블 개선, 피부 보습 성분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추가적인 주름 개선, 피부 미백, 피부 트러블 개선, 피부 보습 성분을 포함하게 되면 본 발명의 조성물의 주름 개선, 피부 미백, 피부 트러블 개선, 피부 보습 효과는 더욱 증가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성분 추가 시에는 복합 사용에 따른 피부 안전성, 제형화의 용이성, 유효성분들의 안정성을 고려할 수 있다.
상기 의약외품 조성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당업계에 공지된 피부 탄력, 주름 개선 또는 보습 성분으로서, 레티노산, TGF, 동물 태반 유래의 단백질, 베툴린산 및 클로렐라 추출물; 당업계에 공지된 항염증 성분으로서, 비스테로이드계로 플루페남산, 이부프로펜, 벤지다민, 인도메타신, 프레드니솔론, 덱사메타손, 알란토인, 아즈엔, 하이드로코티손; 및 이들의 유도체와 각종 식물 추출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추가 성분은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0.0001 중량%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을 것이며, 상기 함량 범위는 피부 안전성, 본 발명의 철피석곡 꽃 추출물의 제형화 시의 용이성 등의 요건에 따라 조절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의약외품 조성물은 소독 청결제, 샤워폼, 연고액, 물티슈, 코팅제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의약외품의 제제화 방법, 용량, 이용방법, 구성성분 등은 기술분야에 공지된 통상의 기술로부터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로서, 철피석곡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철피석곡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피부 미백용, 피부 트러블 개선용, 또는 피부 보습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철피석곡 꽃 추출물, 주름 개선, 피부 미백, 피부 트러블 개선, 피부 보습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 포함된 철피석곡 꽃 추출물은 본 발명의 철피석곡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동식물, 이의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의 가공물의 형태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유효성분 이외에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식품보조첨가제"란 식품에 보조적으로 첨가될 수 있는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각 제형의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하는데 첨가되는 것으로서 당업자가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식품보조첨가제의 예로는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충진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이 포함되지만, 상기 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식품보조첨가제의 종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는 건강기능식품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건강기능식품"이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및 환 등의 형태로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말한다. 여기서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 가능하며, 상기 제조시에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첨가하는 원료 및 성분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강기능식품의 제형 또한 건강기능식품으로 인정되는 제형이면 제한 없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고, 휴대성이 뛰어나,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주름 개선, 피부 미백, 피부 트러블 개선, 피부 보습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한 보조제로 섭취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이 취할 수 있는 형태에는 제한이 없으며, 통상적인 의미의 식품을 모두 포함할 수 있고, 기능성 식품 등 당업계에 알려진 용어와 혼용 가능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당업자의 선택에 따라 식품에 포함될 수 있는 적절한 기타 보조성분과 공지의 첨가제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여 제조한 즙, 차, 젤리 및 주스 등에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동물을 위한 사료로 이용되는 식품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철피석곡 꽃 추출물은 개체의 피부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름 개선, 피부 미백, 피부 트러블 개선, 또는 피부 보습 방법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개체는 쥐, 가축, 인간 등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을 제한 없이 포함한다.
본 발명의 철피석곡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주름 개선, 피부 미백, 피부 트러블 개선, 또는 피부 보습 효능이 우수하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 멜라닌 생성 저해 효과, 항염증 효과, 및 보습 효과가 우수하여 주름 개선, 피부 미백, 피부 트러블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로서의 활용도가 높다. 또한 본 발명의 철피석곡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의약외품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내지 5: 석곡 5종의 전초 추출물 제조
< 제조예 1> 철피석곡 전초 추출물 제조
철피석곡(Dendrobium candidum)의 전초(꽃, 잎, 줄기, 뿌리)를 건조한 후 건조 중량 100g에 200g의 증류수를 가하여 80 ℃에서 3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수득한 추출물을 0.2 ㎛의 기공 크기를 가진 필터로 여과하여 철피석곡 전초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 제조예 2> 금채석곡 전초 추출물 제조
철피석곡을 금채석곡(Dendrobium nobile)으로 대체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 제조예 3> 환초석곡 전초 추출물 제조
철피석곡을 환초석곡(Dendrobium loddigesii)으로 대체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 제조예 4> 마편석곡 전초 추출물 제조
철피석곡을 마편석곡(Dendrobium fimbriatum)으로 대체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 제조예 5> 황초석곡 전초 추출물 제조
철피석곡을 황초석곡(Dendrobium chrysanthum)으로 대체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제조예 6 내지 9: 철피석곡의 부위별 추출물 제조
< 제조예 6> 철피석곡 뿌리 추출물 제조
철피석곡 전초를 철피석곡 뿌리로 대체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 제조예 7> 철피석곡 줄기 추출물 제조
철피석곡 전초를 철피석곡 줄기로 대체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 제조예 8> 철피석곡 잎 추출물 제조
철피석곡 전초를 철피석곡 잎으로 대체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 제조예 9> 철피석곡 꽃 추출물 제조
철피석곡 전초를 철피석곡 꽃으로 대체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인간 유래 섬유아세포에서 제1형 콜라겐(type Ⅰ collagen) 합성 촉진 효과 분석
제조예 1 내지 9에서 제조된 각각의 추출물의 제1형 콜라겐 합성 촉진을 통한 주름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제조예 1 내지 9에서 수득한 시료를 인간 유래 섬유아세포의 배양액에 첨가하여 콜라겐 합성율을 측정하였다. 합성된 콜라겐의 측정은 PICP EIA kit (Procollagen Type I C-Peptide Enzyme ImmunoAssay KIT)를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시료를 최종 농도 0.1 %가 되도록 하여 섬유아세포의 배양배지(DMEM 배지)에 첨가하여 48시간 배양한 후, 배양액을 취하여 PICP EIA 키트로 각 농도에서 제1형 콜라겐 합성 정도를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450 nm에서 측정하였다.
효과의 비교를 위하여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섬유아세포의 배양배지(음성대조군)와 TGF-β를 최종 농도 10 ng/ml이 되도록 첨가한 시료(양성대조군)에 대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콜라겐 합성 정도를 측정하였다.
콜라겐 합성률(%)은 음성 대조군에 대한 상대적인 콜라겐 생성량의 비율로 계산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7085633186-pat00001
시료 흡광도(abs) 콜라겐 합성률 (%)
음성대조군 1.585 0
TGF-β (10 ng/ml) 1.826 15.21
제조예 1 (0.1%) 1.763 11.23
제조예 2 (0.1%) 1.653 4.29
제조예 3 (0.1%) 1.692 6.75
제조예 4 (0.1%) 1.617 2.02
제조예 5 (0.1%) 1.628 2.71
제조예 6 (0.1%) 1.601 1.01
제조예 7 (0.1%) 1.723 8.71
제조예 8 (0.1%) 1.701 7.32
제조예 9 (0.1%) 1.892 19.37
(반복수 = 4)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철피석곡 추출물(제조예 1)을 처리한 경우, 금채석곡, 환초석곡, 마편석곡, 또는 황초석곡 추출물(제조예 2 내지 5)을 각각 처리한 경우와 비교하여 콜라겐 합성률이 가장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철피석곡의 꽃에서 유래한 추출물(제조예 9)을 처리한 경우, 철피석곡의 뿌리, 줄기 또는 잎 추출물(제조예 6 내지 8)을 처리하는 것과 비교하여 콜라겐 합성률이 가장 뛰어나고, 이는 철피석곡의 전초 추출물(제조예 1) 처리와 비교하여도 더욱 우수한 것임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철피석곡 꽃 추출물(제조예 9)은 일반적으로 콜라겐 합성을 유도하는 것으로 잘 알려진 TGF-β를 적용한 경우(양성 대조군)보다 동등 이상의 우수한 콜라겐 합성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철피석곡 꽃 추출물은 다른 종류의 석곡, 및 철피석곡의 다른 부위 추출물에 비하여 콜라겐 합성을 효과적으로 촉진시키고, 이를 이용하여 피부 주름 개선 용도로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세포 수준에서의 멜라닌 생성 저해 효과 분석
제조예 1 내지 9에서 제조된 각각의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저해를 통한 미백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제조예 1 내지 9에서 수득한 시료를 쥐의 멜라노마 세포(B-16 mouse melanoma cell)의 배양액에 추출물을 첨가하여 멜라닌 총량을 측정하였다(Lotan R. 외, Cancer Res. 40:3345-3350, 1980). 멜라닌 총량 측정에 앞서, 먼저 쥐의 멜라노마 세포에 대하여 독성을 평가하여 독성이 없는 농도에서 미백 평가를 수행하였다.
제조예 1 내지 9의 시료를 최종 농도 0.1 %가 되도록 배지에 첨가하고, 시료 무처리 배지(음성 대조군), 및 알부틴(albutin) 100 ppm이 되도록 배지에 첨가(양성 대조군)하여 각각 B-16 멜라노마 세포를 3일간 배양하였다.
이후, 세포들을 트립신(trypsin) 처리하여 배양 용기로부터 떼어내어 원심분리한 후, 멜라닌을 추출하였다. 떼어낸 세포는 수산화나트륨 용액(1N 농도) 1 ml를 가하여 10분간 끓여 멜라닌을 녹이고, 분광 광도계를 이용하여 4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생성된 멜라닌의 양을 측정하였다.
상기 멜라닌 양은 단위 세포수당(1×106 cell)의 흡광도로 나타내는 방법으로 측정하였고, 멜라닌 생성 저해율(%)은 음성대조군에 대한 상대적인 멜라닌 총량으로 계산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7085633186-pat00002
시료 흡광도(abs) 멜라닌 생성 저해율 (%)
음성대조군 0.652 0
알부틴 (100ppm) 0.436 33.13
제조예 1 (0.1%) 0.523 19.79
제조예 2 (0.1%) 0.615 5.67
제조예 3 (0.1%) 0.623 4.45
제조예 4 (0.1%) 0.596 8.59
제조예 5 (0.1%) 0.633 2.91
제조예 6 (0.1%) 0.614 5.83
제조예 7 (0.1%) 0.571 12.42
제조예 8 (0.1%) 0.581 10.89
제조예 9 (0.1%) 0.413 36.66
(반복수 = 4)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철피석곡 추출물(제조예 1)을 처리한 경우, 금채석곡, 환초석곡, 마편석곡, 또는 황초석곡 추출물(제조예 2 내지 5)을 각각 처리한 경우와 비교하여 멜라닌 생성 저해율이 가장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철피석곡의 꽃에서 유래한 추출물(제조예 9)을 처리한 경우, 철피석곡의 뿌리, 줄기 또는 잎 추출물(제조예 6 내지 8)을 처리하는 것과 비교하여 멜라닌 생성 저해율이 가장 뛰어나고, 이는 철피석곡의 전초 추출물(제조예 1) 처리와 비교하여도 더욱 우수한 것임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철피석곡 꽃 추출물(제조예 9)은 일반적으로 멜라닌 생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알려진 알부틴 처리(양성 대조군)와 비교하여도, 동등 이상의 멜라닌 저해 효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철피석곡 꽃 추출물은 다른 종류의 석곡, 및 철피석곡의 다른 부위 추출물에 비하여 효과적으로 멜라닌 생성을 저해하고, 이를 이용하여 피부 미백 용도로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나이트릭 옥사이드(nitric oxide; NO) 생성 저해 효과 분석
제조예 1 내지 9에서 제조된 각각의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 및 피부 트러블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RAW264.7 세포주 (ATCC number: CRL-2278)를 이용한 GRIESS 법으로 NO 생성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생쥐의 대식세포인 RAW264.7 세포를 수차례 계대 배양하고, 웰 하나에 3×105개씩 들어가도록 24-웰 프레이트에 넣은 후,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어서, 최종 농도 0.1 %의 농도로 시료를 함유한 세포 배지로 교체하고, 음성대조군으로 무처리 배지, 양성대조군은 NO-생성 억제물질인 L-NMMA(L-NG-Monomethylarginine) 20ppm을 처리 배지를 사용하였다. 자극원으로 LPS(Lipopolysaccharide)를 1ppm씩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상층액을 100㎕씩 취해 96-웰 프레이트에 옮기고, GRIESS 용액을 100㎕씩 가해 상온에서 10분간 반응시키고, 540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NO 억제 효과를 판단하였다.
NO 생성 저해율(%)은 LPS 단독 처리군 대비 감소된 NO의 양을 상대적 비율로 계산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7085633186-pat00003
시료 흡광도(abs) NO 생성 저해율 (%)
음성대조군 0.043 -
LPS처리군 0.232 0
L-NMMA (20ppm) 0.134 51.85
제조예 1 (0.1%) 0.173 31.22
제조예 2 (0.1%) 0.213 10.05
제조예 3 (0.1%) 0.224 4.23
제조예 4 (0.1%) 0.199 17.46
제조예 5 (0.1%) 0.217 7.94
제조예 6 (0.1%) 0.219 6.88
제조예 7 (0.1%) 0.181 26.98
제조예 8 (0.1%) 0.195 19.58
제조예 9 (0.1%) 0.131 53.44
(반복수 = 4)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철피석곡 추출물(제조예 1)을 처리한 경우, 금채석곡, 환초석곡, 마편석곡, 또는 황초석곡 추출물(제조예 2 내지 5)을 각각 처리한 경우와 비교하여 NO 생성 저해율이 가장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철피석곡의 꽃에서 유래한 추출물(제조예 9)을 처리한 경우, 철피석곡의 뿌리, 줄기 또는 잎 추출물(제조예 6 내지 8)을 처리하는 것과 비교하여 NO 생성 저해율이 가장 뛰어나고, 이는 철피석곡의 전초 추출물(제조예 1) 처리와 비교하여도 더욱 우수한 것임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철피석곡 꽃 추출물(제조예 9)은 대표적 항염 성분인 L-NMMA를 처리한 경우와 비교하여도, 동등 이상의 NO 생성 저해 효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철피석곡 꽃 추출물은 다른 종류의 석곡, 및 철피석곡의 다른 부위 추출물에 비하여 효과적으로 NO 생성을 저해하여 항염증 효과가 뛰어나고, 이를 이용하여 피부 트러블 개선 용도로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4: 보습 관련 유전자 발현 효과 분석
제조예 1 내지 9에서 제조된 각각의 추출물의 피부 보습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배양된 세포를 이용하여 보습 관련 유전자 발현을 측정하였다.
인간의 각질형성세포(HaCaT)를 6공 세포배양 플레이트에 각 2x105씩 넣은 후, 24시간 동안 우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FBS)과 항생제가 포함된 DMEM 배지(Gibco사,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DMEM)를 사용해 배양하였다.
세포를 배양한 후 DMEM, High Glucose, no Glutamine, no calcium (Gibco, USA)로 교체한 후 제조예 1 내지 9에서 수득한 시료를 0.1%의 농도로 24시간 처리하였다. 세포를 회수하여 인산 완충 용액(PBS)으로 세척한 후, RNA 추출 kit(RNeasy mini kit, Qiagen, Germany)를 이용하여 전체 RNA를 추출하였다.
RNA 2.5 ㎍을 정량하여 cDNA 합성 Kit(PhileKorea, Korea)를 이용하여 역전사(reverse transcription)하였다. 역전사 반응은 Veriti 96 well Thermal Cycler(Applied Biosystems, USA)를 이용하여 수행하였으며 합성된 cDNA는 반응당 100ng을 사용하였고, TaqMan® Universal Master Mix II를 사용하였다. AQP3, FLG, HAS2, HAS3 프라이머(TaqMan® Gene Expression Assays, Thermo Fisher, USA)는 StepOnePlus® Real-time PCR System (Applied Biosystems, USA)를 이용하여 실시간 중합 효소 연쇄 반응(quantitative real time PCR; qRT-PCR)을 수행하였다.
qRT-PCR을 통해 얻은 실험 결과는 하우스키핑 유전자(housekeeping gene) Glyceraldehyde-3-phosphate dehydrogenase (GAPDH)를 기준으로 ΔΔCt 방법(Livak KJ, Schmittgen TD: Analysis of relative gene expression data using real-time quantitative PCR and the 2(-Delta Delta C(T)) Method, Methods, 25, 402-408(2001))으로 계산하여 나타내었다. 효과 비교를 위하여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음성대조군과 EGF 10ng/ml 및 Ca2 + 3mM를 각각 처리한 양성대조군에 대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보습 유전자 발현을 측정하였다.
무처리군인 음성 대조군의 mRNA 발현량을 1.00으로 기준하여 처리 실험군의 mRNA 발현량을 수치화한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시료 아쿠아포린 3(Aquaporin 3)(fold) 히아루론산 합성 효소 2(Hyaluronic acid synthase 2)
(fold)
히아루론산 합성 효소 3(Hyaluronic acid synthase 3)
(fold)
음성대조군 1.00 1.00 1.00
EGF (10ng/ml) 3.27 - -
Ca2 + (3mM) - 2.01 3.60
제조예 1 (0.1%) 1.51 1.73 1.82
제조예 2 (0.1%) 1.12 1.23 1.18
제조예 3 (0.1%) 1.09 1.11 1.04
제조예 4 (0.1%) 1.15 1.13 1.09
제조예 5 (0.1%) 1.21 1.28 1.26
제조예 6 (0.1%) 1.05 1.09 1.10
제조예 7 (0.1%) 1.51 1.64 1.69
제조예 8 (0.1%) 1.42 1.53 1.56
제조예 9 (0.1%) 2.75 2.93 2.96
(반복수 = 4)
상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철피석곡 추출물(제조예 1)을 처리한 경우, 금채석곡, 환초석곡, 마편석곡, 또는 황초석곡 추출물(제조예 2 내지 5)을 각각 처리한 경우와 비교하여 실험에 사용된 모든 피부 보습 관련 유전자의 발현이 가장 우수하게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철피석곡의 꽃에서 유래한 추출물(제조예 9)을 처리한 경우, 철피석곡의 뿌리, 줄기 또는 잎 추출물(제조예 6 내지 8)을 처리하는 것과 비교하여 피부 보습 관련 유전자의 발현이 가장 뛰어나고, 이는 철피석곡의 전초 추출물(제조예 1) 처리와 비교하여도 더욱 우수한 것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철피석곡 꽃 추출물은 다른 종류의 석곡, 및 철피석곡의 다른 부위 추출물에 비하여 우수한 피부 보습 효과를 나타내고, 이를 이용하여 피부 보습 용도로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상기 실험예 1 내지 4의 결과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철피석곡 추출물은 금채석곡, 환초석곡, 마편석곡, 및 황초석곡 추출물에 비하여 피부 개선 효과(주름 개선, 피부 미백, 피부 트러블 개선, 피부 보습)가 뛰어나고, 또한 철피석곡 중에서도 꽃 부위에서 얻은 추출물을 사용하였을 때 그 효과가 가장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철피석곡 꽃 추출물은, 주름 개선용, 피부 미백용, 피부 트러블 개선용,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철피석곡(Dendrobium candidum)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피부 미백용, 피부 트러블 개선용, 또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콜라겐 합성 촉진, 멜라닌 생성 저해, 항염증 효과, 또는 보습 효과를 가지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7. 철피석곡(Dendrobium candidum)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피부 미백용, 피부 트러블 개선용, 또는 피부 보습용 의약외품 조성물.
  8. 삭제
  9. 철피석곡(Dendrobium candidum)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피부 미백용, 피부 트러블 개선용, 또는 피부 보습용 식품 조성물.
  10. 삭제
KR1020170112585A 2017-09-04 2017-09-04 철피석곡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264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2585A KR102126469B1 (ko) 2017-09-04 2017-09-04 철피석곡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US16/644,101 US20210059927A1 (en) 2017-09-04 2018-07-11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dendrobium candidum flower extract
JP2020512863A JP7076534B2 (ja) 2017-09-04 2018-07-11 鉄皮石斛(デンドロビウム・カンディダム)花の抽出物を含む化粧料組成物
PCT/KR2018/007832 WO2019045259A2 (ko) 2017-09-04 2018-07-11 철피석곡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201880057146.6A CN111093621A (zh) 2017-09-04 2018-07-11 包含铁皮石斛花提取物的化妆料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2585A KR102126469B1 (ko) 2017-09-04 2017-09-04 철피석곡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6175A KR20190026175A (ko) 2019-03-13
KR102126469B1 true KR102126469B1 (ko) 2020-06-24

Family

ID=65525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2585A KR102126469B1 (ko) 2017-09-04 2017-09-04 철피석곡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10059927A1 (ko)
JP (1) JP7076534B2 (ko)
KR (1) KR102126469B1 (ko)
CN (1) CN111093621A (ko)
WO (1) WO201904525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28197A (zh) * 2020-04-01 2020-06-05 广州今盛美精细化工有限公司 一种铁皮石斛提取物及其在制备化妆品中的应用
CN112438913A (zh) * 2020-12-02 2021-03-05 周顺桂 一种延缓衰老的长白山灵芝孢子粉润肤油及其制作方法
FR3117870B1 (fr) * 2020-12-18 2023-12-29 Lvmh Rech Extrait deDendrobium fimbriatum et composition cosmétique non rincée en comprenant
KR102362106B1 (ko) * 2021-03-19 2022-02-14 주식회사 현대바이오랜드 철피석곡 꽃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3425663A (zh) * 2021-08-18 2021-09-24 皖西学院 一种石斛花大豆美肤面膜的制备方法
KR102606728B1 (ko) 2021-08-18 2023-11-24 주식회사 현대바이오랜드 철피석곡 꽃으로부터 분리된 바실러스 시아멘시스 hdb8077 균주 및 이의 철피석곡 꽃 배양물을 함유하는 헤어케어 화장료 조성물
CN113893216A (zh) * 2021-10-14 2022-01-07 安徽中美生谷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美白功效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5300580A (zh) * 2022-04-25 2022-11-08 捷通国际有限公司 用于抑制晚期糖化终产物的组合物和方法
CN114796073A (zh) * 2022-05-05 2022-07-29 浙江工业大学 一种抗衰除皱的铁皮石斛精华液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4886813B (zh) * 2022-05-27 2023-04-18 广州环亚化妆品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抗衰老的植物提取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5607486A (zh) * 2022-07-29 2023-01-17 无限极(中国)有限公司 一种具有保湿修复美白功能的组合物及其应用
CN115251377A (zh) * 2022-08-08 2022-11-01 江西省农业科学院农产品加工研究所 一种铁皮石斛速溶食品及其制备方法
CN115634187B (zh) * 2022-12-26 2023-03-31 云南英格生物技术有限公司 铁皮石斛花提取物及制备方法和应用、铁皮石斛花提取液及应用、舒缓面霜及制备方法
CN116509777B (zh) * 2023-02-14 2024-01-12 太和康美(北京)中医研究院有限公司 保湿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92692A (zh) * 2015-08-21 2017-05-24 中国科学院昆明植物研究所 一种铁皮石斛提取物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4113A (ja) * 1998-11-18 2000-06-06 Ichimaru Pharcos Co Ltd 保湿性植物抽出物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KR20020044266A (ko) * 2000-12-05 2002-06-15 양봉철 복합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CN103168841B (zh) * 2013-03-05 2014-11-26 蚌埠市福淋乳业有限公司 一种薰衣草保健酸奶
KR101570847B1 (ko) * 2013-08-13 2015-11-20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조직배양한 덴드로비움 칸디둠 다신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3734383A (zh) * 2013-12-18 2014-04-23 广西健宝石斛有限责任公司 一种铁皮石斛花养颜茶
CN104286272A (zh) * 2014-10-28 2015-01-21 王春红 铁皮石斛花的用途及其茶叶制品
CN105219558A (zh) * 2015-10-19 2016-01-06 西林县大银子铁皮石斛种销农民专业合作社 一种铁皮石斛美容皂及其制作方法
CN105640870B (zh) * 2016-03-02 2018-12-07 名臣健康用品股份有限公司 一种含酵母提取物的皮肤护理组合物及皮肤护理产品
CN105534831B (zh) 2016-03-17 2019-04-05 易智彪 一种具有保湿功效的铁皮石斛叶提取物及其在制备护肤品中的应用
CN105919897A (zh) * 2016-06-21 2016-09-07 陆锦满 一种铁皮石斛提取液制备的爽身液
CN107519103A (zh) * 2016-08-09 2017-12-29 浙江铁枫堂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铁皮石斛为主要原料生产的化妆品新配方
CN106306260A (zh) * 2016-08-30 2017-01-11 广西壮族自治区农业科学院花卉研究所 一种铁皮石斛花分类干燥方法
CN106359607A (zh) * 2016-08-31 2017-02-01 福建永耕农业开发有限公司 一种铁皮石斛养生饮料及其制备方法
CN106727148A (zh) * 2016-12-30 2017-05-31 广东国方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铁皮石斛补水修复面膜及其制备方法
CN107029115A (zh) * 2017-03-30 2017-08-11 温岭市锦华铁皮石斛有限公司 一种天然防脱育发石斛花油
CN107158240A (zh) * 2017-04-18 2017-09-15 温岭市锦华铁皮石斛有限公司 一种具有美白功效的铁皮石斛花提取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92692A (zh) * 2015-08-21 2017-05-24 中国科学院昆明植物研究所 一种铁皮石斛提取物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076534B2 (ja) 2022-05-27
US20210059927A1 (en) 2021-03-04
JP2020532560A (ja) 2020-11-12
WO2019045259A3 (ko) 2019-04-18
CN111093621A (zh) 2020-05-01
WO2019045259A2 (ko) 2019-03-07
KR20190026175A (ko) 2019-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6469B1 (ko) 철피석곡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26470B1 (ko) 용안육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19727B1 (ko) 포제를 이용한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1393007B1 (ko) 람부탄 및 리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용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119550A (ko) 침향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24770B1 (ko) 적하수오 부정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2243982B1 (ko) 모르티에렐라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트러블 개선용 조성물
CN110072516B (zh) 包含作为有效成分的中药材提取物的化妆料组合物
KR102425559B1 (ko) 분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922089B1 (ko) 용안육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08485B1 (ko) 침향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05672B1 (ko) 용안육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24446B1 (ko) 포제를 이용한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2054132B1 (ko) 민물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057376B1 (ko) 홍해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1926179B1 (ko) 해녀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76524B1 (ko)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12386B1 (ko) 진귤 종자 가공물을 이용한 화장품 조성물
KR102557358B1 (ko) 아네모시스 켈리포니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탄력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2326086B1 (ko) 닥나무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주름개선, 보습, 및 피부장벽 강화용 조성물
KR20100001167A (ko) 쿼시트린 및/또는 미리시트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KR101117561B1 (ko)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JP5449703B2 (ja) 美白用皮膚外用剤
KR102644107B1 (ko) 보미신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013588A (ko) 육종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