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3588A - 육종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육종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3588A
KR20170013588A KR1020150106434A KR20150106434A KR20170013588A KR 20170013588 A KR20170013588 A KR 20170013588A KR 1020150106434 A KR1020150106434 A KR 1020150106434A KR 20150106434 A KR20150106434 A KR 20150106434A KR 20170013588 A KR20170013588 A KR 201700135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skin
breeding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6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훈
양원태
배기득
Original Assignee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06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13588A/ko
Publication of KR20170013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35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4Orobanchaceae (Broom-rape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6Ointments; Bases therefor; Other semi-solid forms, e.g. creams, sticks, 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육종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육종용 추출물은 DPPH(1,1-Diphenyl-2-picryl hydrazyl) 라디칼 소거 활성이 우수하며,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콜라게나아제(collagenase), 엘라스타아제(elastase) 및 히알루로니다아제(hyaluronidase)의 활성을 저해하는 효과를 지님으로써,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 외용 약학 조성물에 매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육종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and anti-wrinkle comprising Cistanche deserticola extract as effective component}
본 발명은 육종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 외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외부 자극으로부터 우리 몸을 보호해주는 인체 최전방의 방어 장기이며, 미적인 부분에서도 그 관심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기능성 화장품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주름개선 및 미백 기능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양한 기능성 화장품으로 시판되고 있다.
피부 노화는 그 원인에 따라 크게 내적 노화 및 외적 노화로 구분되는데, 내적 노화(intrinsic aging)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생체의 생리적인 기능이 저하되어 자연적으로 유발되는 노화 현상(aging process)이고, 외적 노화 (extrinsic aging)는 자외선(UV), 건조한 공기(dry air), 활성 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및 스트레스 등의 외적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노화 현상이다. 이런 요인들에 의해 피부 노화가 진행되면, 피부 표면에 주름이 생성된다.
주름의 생성 원인으로는 여러 가지가 보고되고 있는데, 우선 피부가 과다한 자외선에 노출되면 피부를 구성하는 콜라겐(collagen) 및 엘라스틴(elastin) 분해가 촉진되어 피부가 탄력을 잃고 주름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피부가 과도한 온도 변화, 습도저하, 바람 등에 의해 지나치게 건조해지면 외부에 대한 방어벽으로서의 피부 기능이 저하되어 주름이 생기기도 한다. 그리고, 피부가 활성 산소종이나 자유 라디칼에 노출되면 산화 작용에 의해 과산화 지질이 생성되고 그로 인해 콜라겐, 엘라스틴 등의 피부 구성 단백질이 변형되어 주름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피부가 자외선에 노출되면 피부 중 멜라노사이트(melanocyte)가 활성화되어 티로시나제(tyrosinase), TRP1(tyrosinase related protein 1) 및 TRP2(tyrosinase related protein 2)의 작용에 의해 멜라닌 생성이 촉진된다. 생성된 멜라닌은 피부 중에 침착되어 "검버섯", "주근깨"로 발전하는데,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화장품 조성물이 함유된 미백 화장품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자외선은 피지, 세포막 등의 산화를 촉진하여 각종 피부장애를 일으키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으며, 특히 최근 오존층 파괴에 따른 자외선의 증가로 보다 효과적인 피부 산화 방지책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종래 알려진 미백 효과를 나타내는 성분은 아스코르브산, 인산에스테르염, 하이드로퀴논 유도체, 태반 추출물, 코지산, 엘라그산 등이 있으며, 이들 성분을 배합한 화장품 조성물이 일반적이다. 특히, 근래에는 태반 추출물을 이용한 미백 화장품이 각광받고 있으나, 이런 태반 추출물은 그 공급량이 한정적이고 윤리적인 문제와 결합하여 그 사용이 제한적이다. 따라서, 신규하고 효과적인 미백 성분의 개발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한편, 육종용은 열당과(Orobanchaceae)에 속한 다년생 육질의 기생초본인 육종용(Cistanche deserticola) 또는 기타 동속 근연식물의 육질경으로 맛은 달고 시고 짜며 독이 없다. 육종용은 중국 서부의 사막지대에서 자라며, 오리나무(Alnus japonica) 뿌리에 기생한다. 육종용은 다년생 기생 초본 식물로서 중요한 약리작용으로는 항염작용 및 진정작용 등이 보고되어 있고, 이러한 약리적 가치로 인해 사막의 인삼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육종용은 1980년대부터 현재까지 일본과 중국의 연구자들로부터 많은 관심을 받아왔으며, 17개의 PheGs(phenylethanoid glycosides) 화합물이 분리되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5-0037107호에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개시되어 있으며, 한국등록특허 제1525877호에는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노화 방지를 위한 조성물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육종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에 대해 언급된 바가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육종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육종용 추출물은 피부 미백 및 피부노화 관련 효소인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콜라게나아제(collagenase), 엘라스타아제(elastase) 및 히알루로니다아제(hyaluronidase)의 활성을 저해하는 효과를 나타내어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에 이용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육종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육종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용 피부 외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육종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육종용 추출물은 DPPH(1,1-Diphenyl-2-picryl hydrazyl) 라디칼 소거 활성이 우수하며,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콜라게나아제(collagenase), 엘라스타아제(elastase) 및 히알루로니다아제(hyaluronidase)의 활성을 저해하는 효과를 지님으로써,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 외용 약학 조성물에 매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종용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하였을 때, B16F10 멜라노마 세포(melanoma cell)의 세포 생존율(cell viability)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종용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하였을 때, B16F10 멜라노마 세포(melanoma cell)로부터 RNA를 추출하여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콜라게나아제(collagenase) 및 엘라스타아제(elastase)의 발현 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β-Actin은 로딩 컨트롤(loading control)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종용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을 나타낸 것이다. 비타민 C(vitamin C)는 양성 대조군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종용 추출물의 티로시나아제(tyrosinase)의 저해 활성을 나타낸 것이다. (A)는 물 추출물에 대한 그래프; (B)는 메탄올 추출물에 대한 그래프이며, 비타민 C(vitamin C)는 양성 대조군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종용 추출물의 콜라게나아제(collagenase)의 저해 활성을 나타낸 것이다. (A)는 물 추출물에 대한 그래프; (B)는 메탄올 추출물에 대한 그래프이며, 비타민 C(vitamin C)는 양성 대조군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종용 추출물의 엘라스타아제(elastase)의 저해 활성을 나타낸 것이다. (A)는 물 추출물에 대한 그래프; (B)는 메탄올 추출물에 대한 그래프이며, 비타민 C(vitamin C)는 양성 대조군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종용 추출물의 히알루로니다아제(hyaluronidase)의 저해 활성을 나타낸 것이다. (A)는 물 추출물에 대한 그래프; (B)는 메탄올 추출물에 대한 그래프이며, 비타민 C(vitamin C)는 양성 대조군이다.
본 발명은 육종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육종용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메탄올을 이용하여 환류 냉각 추출한 것이다. 상기 환류 추출은 1) 육종용 건조분말 120~170g에 대하여 메탄올 0.8~1.2ℓ를 첨가하는 단계; 2) 35~45℃에서 20~30시간 동안 환류 냉각 추출하는 단계; 3) 상기 환류 냉각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를 거쳐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육종용 추출물은 추출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추출액, 추출액의 희석액 또는 농축액,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또는 조정제물 또는 정제물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육종용 추출물의 바람직한 농도는 0.5~4 mg/ml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콜라게나아제(collagenase), 엘라스타아제(elastase) 및 히알루로니다아제(hyaluronidase)의 활성을 저해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 활성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구현에 따른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외용 연고, 크림,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팩, 에센스, 헤어토닉, 샴푸, 린스, 헤어 컨디셔너, 헤어 트리트먼트, 젤,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마사지 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 크림, 파운데이션, 영양에센스, 선스크린,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 로션 및 바디 클렌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각 제형으로 이루어진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의 제제화에 필요하고 적절한 각종의 기제와 첨가물을 함유할 수 있으며, 이들 성분의 종류와 양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성분 이외에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 활성 성분을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 활성 성분으로는 코지산 및 이의 유도체, 알부틴, 아스코르브산 및 이의 유도체, 하이드로퀴논 및 이의 유도체, 레조르시놀, 사이클로알카논, 메틸렌디옥시페닐 알칸올, 2,7-디니트로인다졸 또는 덩굴귤 추출물, 쌀 추출물, 감초 추출물과 같은 식물 추출물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가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형광물질, 살진균제, 굴수성 유발물질, 보습체, 방향제, 방향제 담체, 단백질, 용해화제, 당 유도체, 일광차단제, 비타민, 식물 추출물 등을 포함하는 부형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육종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용 피부 외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육종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외용 약학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육종용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은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또는 카타플라스마제의 피부 외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올리고당,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본 발명의 육종용 추출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추출물은 1일 0.0001 내지 100㎎/㎏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다.
실시예 1. 육종용 추출물의 제조
육종용 분말 150g에 메탄올 1L을 첨가한 다음, 환류추출법을 이용하여 40℃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여 3회 추출하였고, 여과지(Whatman No.2)로 여과하여, 여과액을 감압농축하여 건조하였다.
실시예 2. 육종용 추출물의 MTT 분석에 의한 세포 생존율 측정
B16F10 멜라노마 세포(melanoma cell,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Manassas, VA)를 이용하여 MTT(3-(4,5-dimethyltha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분석을 수행하였다. 먼저, 10% FBS(fetal bovine serum), 페니실린(100U/㎖) 및 스트렙토마이신(100㎍/㎖)이 첨가된 DMEM(Dulvecco's Modified Eagle Medium, Gibco-BRL, Rockville, MD)에 5% CO2 및 37℃의 조건으로 B16F10 멜라노마 세포를 배양하였다. 배양된 B16F10 멜라노마 세포를 6-웰에 1X103 세포/웰로 분주하였으며, 24시간 동안 배양하여 세포단층을 얻고, 새로운 배지로 세척하여 육종용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하였다. 24시간 배양 후 PBS 버퍼를 이용하여 세척하고 100㎕의 MTT 용액(5mg/㎖)을 각 웰에 첨가하였다. 37℃ 배양기에서 4시간 정치하고 MTT 용액을 조심스럽게 제거하였다. 100㎕의 DMSO(dimethyl sulfoxide)를 첨가하여 세포 내에 형성된 포마잔(fomazan) 결정체를 용해하여 570nm에서 ELISA 플레이트 리더(Bio-rad, Hercules, CA)를 이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육종용 추출물(0, 2, 4, 6, 8 및 10mg/㎖)을 처리하였을 때, 6, 8 및 10mg/㎖에서 세포 독성이 있었으며, 2 및 4mg/㎖에서는 세포 독성이 없으므로 이를 하기 실시예의 시료 농도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3. 피부 미백 및 피부 노화 관련 유전자 발현 검정
육종용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한 B16F10 멜라노마 세포(melanoma cell)를 트리졸 시약(Trizol reagent, Sigma사)을 이용하여 총 RNA를 추출하였다. 총 RNA 1㎍을 Tetro cDNA synthesis kit(BioLine)를 이용하여 cDNA를 합성하였고, 2㎕의 10X 버퍼, 1.6㎕의 10mM dNTP, 1.6㎕의 25mM MgCl2, 0.2㎕의 500U Ex Taq polymerase, 각각 1㎕의 콜라게나아제(collagenase),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엘라스타아제(elastase) 및 β-Actin을 이용한 RT-PCR(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분석을 통하여 유전자 발현을 검정하였다. 그 결과, 도 2에 개시된 바와 같이 육종용 추출물(0, 2 및 4mg/㎖)을 처리하였을 때, 농도-의존적으로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콜라게나아제(collagenase) 및 엘라스타아제(elastase)의 발현 정도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사용된 프라이머
프라이머
이름
염기서열
정방향(서열번호) 역방향(서열번호)
콜라게나아제 CTCGAGGTGGACACCACCCT(서열번호 1) CAGCTGGATGGCCACATCGG(서열번호 2)
티로시나아제 CATTTTTGATTTGAGTGTCT(서열번호 3) TGTGGTAGTCGTCTTTGTCC(서열번호 4)
엘라스타아제 TGCTGATGACATACGTGGCA(서열번호 5) AGGATTTGGCAAGCGTTGG(서열번호 6)
β-Actin ACCGTGAAAAGATGACCCAG(서열번호 7) TACGGATGTCAACGTCACAC(서열번호 8)
실시예 4.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측정
DPPH(1,1-Diphenyl-2-picryl hydrazyl) 용액을 메탄올에 녹여 0.2mM로 준비하였다. 육종용 추출물과 DPPH 용액을 1:4 비율로 혼합하여 37℃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ELISA 플레이트 리더를 이용하여 52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개시된 바와 같이 육종용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보였으며, 양성 대조군인 비타민 C(vitamin C, 0.1mg/㎖)을 처리하였을 때와 비슷한 수준의 항산화 활성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5. 티로시나아제( tyrosinase ) 저해 활성 측정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저해 활성은 도파 산화효소(DOPA oxidase) 활성 측정을 통하여 확인하였으며, 도파 산화효소 활성은 L-DOPA를 기질로 하여 티로시나아제에 의하여 생성되는 반응산물인 도파크롬(dopachrome)을 흡광도 492nm에서 측정하였다. 반응구는 67mM의 포스페이트 버퍼(pH6.8)에 녹인 120㎕의 L-DOPA(8.3mM)와 40㎕의 육종용 추출물을 96-웰 플레이트에 분주하였으며, 40㎕의 티로시나아제(125U)를 넣어 혼합하였다. 37℃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ELISA 플레이트 리더를 이용하여 492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저해율(IC50)을 구하였다. 육종용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티로시나아제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도 4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전반적으로 육종용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비례적으로 티로시나아제 저해 활성이 증가하였고, 물 추출물(A) 및 메탄올 추출물(B)의 각 4mg/㎖에서 78%의 티로시나아제 저해 활성을 보였다. 또한, 양성 대조군인 비타민 C(vitamin C, 0.1mg/㎖)는 59%의 티로시나아제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이와 비교해 볼 때, 육종용 추출물은 다소 높은 티로시나아제 저해 활성을 가지므로 육종용 추출물에서 미백효과를 가지는 미용 소재로서의 활용 가치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실시예 6. 콜라게나아제 ( collagenase ) 저해 활성 측정
광노화의 원인인 UV에 의해 콜라게나아제(collagenase)와 같은 MMP(Matrix Metalloproteinase) 발현으로 인하여 콜라겐(collagen)의 분해가 증가되어 주름이 생기므로, 육종용 추출물의 콜라게나아제 저해 활성을 실험하여 피부 노화 저해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콜라게나아제 저해 활성 측정은 1M의 Tris-HCl 버퍼(pH7.5)에 4mM의 CaCl2를 첨가하여, 4-페닐아조벤질옥시카보닐-Pro-Leu-Gly-Pro-Agr(4-phenylazovenzyloxycarbonyl-Pro-Leu-Gly-Pro-Arg, 0.3mg/㎖)를 녹인 250㎕의 기질액 및 100㎕의 육종용 추출물의 혼합액에 150㎕의 콜라게나아제(0.2mg/㎖)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20분간 배양한 후 6% 시트르산(citric acid) 500㎕를 넣어 반응을 정지시켰다. 그런 다음, 1.5㎖의 에틸아세테이트를 첨가한 후 상등액을 취하고, 32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콜라게나아제의 저해 활성을 산출하였다. 육종용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콜라게나아제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도 5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전반적으로 육종용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비례적으로 콜라게나아제 저해 활성이 증가하였고, 물 추출물(A) 및 메탄올 추출물(B)의 각 4mg/㎖에서 82%의 저해 활성을 보였다. 또한, 양성 대조군인 비타민 C(vitamin C, 0.1mg/㎖)는 63%의 콜라게나아제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이와 비교해 볼 때, 육종용 추출물은 다소 높은 콜라게나아제 저해 활성을 가지므로 육종용 추출물에서 항노화 효과를 가지는 미용 소재로서의 활용 가치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실시예 7. 엘라스타아제( elastase ) 저해 활성 측정
피부 주름 개선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PE(porcine pancreas elastase) 저해 활성의 측정은 50mM Tris-HCl 버퍼(pH8.6)에 녹인 엘라스타아제(elastase), 췌장용액(pancreatic solution), 타입 : 포사인 팬크리어스(Type : From Porcine Pancreas, 0.6 unit/㎖) 용액 50㎕을 가한 후 기질로 50mM Tris-HCl 버퍼(pH8.6)에 녹인 AAAPVN(N-succinyl-(L-Ala)3-p-nitoanilide, 1mg/㎖)을 100㎕ 첨가하여 37℃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ELISA 플레이트 리더를 이용하여 41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다양한 농도의 육종용 추출물의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도 6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전반적으로 육종용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비례적으로 저해 활성이 증가하였고, 물 추출물(A) 및 메탄올 추출물(B)의 각 4mg/㎖에서 78%의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을 보였다. 또한, 양성 대조군인 비타민 C(vitamin C, 0.1mg/㎖)는 63%의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이와 비교해 볼 때 육종용 추출물은 다소 높은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을 가지므로 육종용 추출물에서 주름개선 효과를 가지는 미용 소재로서의 활용 가치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실시예 8. 히알루로니다아제 ( hyaluronidase ) 저해 활성 측정
히알루로니다아제(hyaluronidase, HAase)는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HA)를 분해하는 효소로서 피부에서 세포의 보호, 보습, 탄력을 유지시키는 기능을 가지고있다. 따라서, 히알루론산 함량이 감소하면 피부가 건조해지고 거칠어진다. 히알루로니다아제(HAase) 저해 활성 측정은 HA(sodium-hyaluronic acid)로부터 형성된 N-아세틸글루코사민(N-acetylglucosamine)을 글루코사조라인(glucoxazoline) 유도체로 변형시킨 후 DMAB(p-dimethylaminobenzaldehyde)로 발색시켜 흡광도를 측정하여 효소 활성을 측정하였다. 0.1M 아세테이트 버퍼(acetate buffer, pH3.5)에 녹인 50㎕의 HAase(7,900U/㎖)와 100㎕의 육종용 추출물을 혼합하여 37℃에서 20분간 배양하였다. 기질은 0.1M 아세테이트 버퍼(pH3.5)에 녹인 HA(12mg/㎖)를 첨가하여 다시 40분간 배양하여 0.4N 포타슘 테트라보레이트(potassium tetraborate) 100㎕와 0.4N NaOH 용액 100㎕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여 끓는 물에서 3분 동안 가열하고 상온에서 완전히 냉각시킨다. 냉각시킨 반응물에 발색제로 DMAB(p-dimethylaminobenzealdehyde) 시약 3㎖을 가하여 37℃에서 20분간 배양한 다음 58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히알루로니다아제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다양한 농도의 육종용 추출물의 히알루로니다아제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도 7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전반적으로 육종용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비례적으로 저해 활성이 증가하였고, 물 추출물(A) 및 메탄올 추출물(B)의 2 및 4mg/㎖에서 70%의 히알루로니다아제 저해 활성을 보였다. 또한, 양성 대조군인 비타민 C(vitamin C, 0.1mg/㎖)는 59%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이와 비교해 볼 때 육종용 추출물은 다소 높은 히알루로니다아제 저해 활성을 가지므로 육종용 추출물에서 항염증 효과를 가지는 미용 소재로서의 활용 가치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110> Dong-A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For Industry-Academy Cooperation <120>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and anti-wrinkle comprising Cistanche deserticola extract as effective component <130> PN15204 <160> 8 <170> KopatentIn 2.0 <210> 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1 ctcgaggtgg acaccaccct 20 <210> 2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2 cagctggatg gccacatcgg 20 <210> 3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3 catttttgat ttgagtgtct 20 <210> 4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4 tgtggtagtc gtctttgtcc 20 <210> 5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5 tgctgatgac atacgtggca 20 <210> 6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6 aggatttggc aagcgttgg 19 <210> 7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7 accgtgaaaa gatgacccag 20 <210> 8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8 tacggatgtc aacgtcacac 20

Claims (8)

  1. 육종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콜라게나아제(collagenase), 엘라스타아제(elastase) 및 히알루로니다아제(hyaluronidase)의 활성을 저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항산화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육종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용 피부 외용 약학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육종용 추출물 이외에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 약학 조성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크림,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및 카타플라스마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 약학 조성물.
KR1020150106434A 2015-07-28 2015-07-28 육종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KR201700135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6434A KR20170013588A (ko) 2015-07-28 2015-07-28 육종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6434A KR20170013588A (ko) 2015-07-28 2015-07-28 육종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3588A true KR20170013588A (ko) 2017-02-07

Family

ID=58108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6434A KR20170013588A (ko) 2015-07-28 2015-07-28 육종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1358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4535B1 (ko) * 2022-07-19 2023-03-27 주식회사 크로스 미백 화장품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4535B1 (ko) * 2022-07-19 2023-03-27 주식회사 크로스 미백 화장품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0532560A (ja) 鉄皮石斛(デンドロビウム・カンディダム)花の抽出物を含む化粧料組成物
KR101393007B1 (ko) 람부탄 및 리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용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WO2008147022A1 (en) Anti-wrinkle composition for external applications to the skin containing biflavonoid derivatives
KR101824770B1 (ko) 적하수오 부정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1525873B1 (ko) 산삼 배양근, 단너삼, 고삼 및 사삼을 포함하는 2단 발효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6437342B2 (ja) 特定の波長域を有する光を照射して栽培したエキナセアの抽出物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や内用剤。
JP6437297B2 (ja) 特定の波長域を有する光を照射して栽培したセージの抽出物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や内用剤
JP2015199713A (ja) 特定の波長域を有する光を照射して栽培したナスタチウムの抽出物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や内用剤
KR101700105B1 (ko) 낭아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미백 및 주름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101430636B1 (ko) 진세노사이드 Rh2 및 진세노사이드 Rg3를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0789632B1 (ko)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미백용 화장료
KR20180128773A (ko) 연교 또는 작약 오일을 함유하는 항산화, 미백 및 주름 개선을 위한 조성물
JP6586691B2 (ja) 特定の波長域を有する光を照射して栽培したチャービルの抽出物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や内用剤
KR101427027B1 (ko) 모과 캘러스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외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744947B1 (ko) 천궁 추출물 및 프로테아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134589A (ko) 분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JP5689552B1 (ja) 特定の波長域を有する光を照射して栽培したカモミールの抽出物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や内用剤。
KR20170013588A (ko) 육종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1317433B1 (ko) 지구자, 길경, 밀싹 및 세이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용 조성물
JP2017132694A (ja) 月下美人のカルス作出方法及び、その抽出物を有効成分とする皮膚外用剤や内用剤など
JP2015221791A (ja) 特定の波長域を有する光を照射して栽培したクウシンサイの抽出物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や内用剤。
KR101695781B1 (ko) 층꽃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미백 및 주름 개선을 위한 조성물
JP6595195B2 (ja) 特定の波長域を有する光を照射して栽培したチコリの抽出物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や内用剤
KR20200046674A (ko) 흑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미백 및 주름 개선을 위한 조성물
JP2020002053A (ja) 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mmp阻害剤、メラニン生成抑制剤、細胞増殖促進剤、抗酸化剤、シワ改善剤、医薬品又は食品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