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4702B1 - 내백화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 Google Patents

내백화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4702B1
KR102124702B1 KR1020180139836A KR20180139836A KR102124702B1 KR 102124702 B1 KR102124702 B1 KR 102124702B1 KR 1020180139836 A KR1020180139836 A KR 1020180139836A KR 20180139836 A KR20180139836 A KR 20180139836A KR 102124702 B1 KR102124702 B1 KR 1021247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thylene
propylene
resin composition
polypropylene resin
block co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9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6523A (ko
Inventor
김봉석
임승훈
전용성
Original Assignee
한화토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토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토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39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4702B1/ko
Priority to JP2019191630A priority patent/JP6910407B6/ja
Priority to CN201911103017.9A priority patent/CN111187482B/zh
Publication of KR20200056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65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4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47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01Processes of polymerisation characterised by special features of the polymerisation apparatus us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02Polymerisation in bulk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0/00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210/02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0/00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210/04Monomers containing three or four carbon atoms
    • C08F210/06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ation on to a macromolecule having groups capable of inducing the formation of new polymer chains bound exclusively at one or both ends of the starting macromolecule
    • C08F293/005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ation on to a macromolecule having groups capable of inducing the formation of new polymer chains bound exclusively at one or both ends of the starting macromolecule using free radical "living" or "controlled" polymerisation, e.g. using a complexing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successively polymerising different monomer systems using a catalyst of the ionic or coordination type without deactivating the intermediate polymer
    • C08F297/0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successively polymerising different monomer systems using a catalyst of the ionic or coordination type without deactivating the intermediate polymer using a catalyst of the coordination type
    • C08F297/0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successively polymerising different monomer systems using a catalyst of the ionic or coordination type without deactivating the intermediate polymer using a catalyst of the coordination type polymerising mono-olefins
    • C08F297/08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successively polymerising different monomer systems using a catalyst of the ionic or coordination type without deactivating the intermediate polymer using a catalyst of the coordination type polymerising mono-olefins the monomers being ethylene or propyl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4/00Polymerisation catalysts
    • C08F4/42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 C08F4/44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selected from light metals, zinc, cadmium, mercury, copper, silver, gold, boron, gallium, indium, thallium, rare earths or actinides
    • C08F4/60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selected from light metals, zinc, cadmium, mercury, copper, silver, gold, boron, gallium, indium, thallium, rare earths or actinides together with refractory metals, iron group metals, platinum group metals, manganese, rhenium technetium or compounds thereof
    • C08F4/62Refractory metals or compounds thereof
    • C08F4/64Titanium, zirconium, hafnium or compounds thereof
    • C08F4/642Component covered by group C08F4/64 with an organo-aluminium compound
    • C08F4/6423Component of C08F4/64 containing at least two different metals
    • C08F4/6425Component of C08F4/64 containing at least two different metals containing magnes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5Stabilisers against oxidation, heat, light,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08K5/098Metal salts of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4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5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6Applications used for fil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14/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way of preparation
    • C08L2314/02Ziegler natta catalyst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를 포함하며, 내백화성, 투명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접혔을 때 외관이 불량해 보일 수 있는 식품 포장용 파우치의 열접착층 필름 또는 후가공 시 변형에 따른 백화가 발생할 수 있는 전지의 포장용 필름 등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내백화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with excellent stress-whitening resistance,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and article molded therefrom}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를 포함하며, 내백화성, 투명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접혔을 때 외관이 불량해 보일 수 있는 식품 포장용 파우치의 열접착층 필름 또는 후가공 시 변형에 따른 백화가 발생할 수 있는 전지의 포장용 필름 등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가전 제품, 자동차용 복합 소재, 일반 포장 재료로 폭 넓게 사용되고 있는 고분자 재료이다.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고분자의 구조에 따라서 강성, 투명성, 내충격성 등에 차이가 있다.
이중에서,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는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공중합체를 포함하기 때문에, 호모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에 비해 내충격 특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는 내충격성이 요구되는 자동차용 복합 소재나 일반 잡화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반면에,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는 이러한 고무 성분으로 인해 투명성이 낮아서 투명성이 요구되는 필름 등의 용도에는 사용되기 어렵다. 따라서, 알루미늄과 합지되는 레토르트 식품 포장 필름과 같이 투명성이 특별히 요구되지 않는 용도에만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는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matrix)와 고무상 사이에 계면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로부터 제조된 필름이 접혔을 때 접힌 부위가 하얗게 변하는 백화(stress-whitening) 현상으로 인해 외관이 수려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 제1298417호는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와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공중합체가 단계적으로 중합된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를 개시하고 있다. 이 수지는 투명성과 내충격성이 향상되었지만, 용융 온도가 낮아 후가공에서 내열성을 요구하는 경우에는 적용에 한계가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 제1598715호는 호모 폴리프로필렌을 매트릭스로 사용한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를 개시하고 있다. 이 수지는 내충격성이 우수하며 내열성이 높아 고온 살균 이후에도 외관이 우수하지만, 투명성과 내백화성은 고려되지 않았다.
대한민국 특허 제1298417호 대한민국 특허 제1598715호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은 내백화성, 투명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위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위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성형품, 구체적으로는 식품 포장용 파우치의 열접착층 필름 또는 전지의 포장용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라서, 반응기에서 단계적으로 중합된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를 포함하되,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가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및 탄소 수 2~4개의 α-올레핀이 공중합된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폴리프로필렌계 매트릭스 70~88 중량%와 용제 추출물 함량으로 측정되는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공중합체 12~30 중량%를 포함하고,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중의 에틸렌 함량이 4~10 중량%이며,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의 결정화 온도가 110~130℃와 67~77℃ 온도 범위에서 2개 존재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중의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공중합체의 함량(중량%))/(에틸렌 함량(중량%))의 비가 2.5~3.5이다.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는 ASTM D1238에 의거하여 2.16 kg의 하중으로 230℃에서 측정 시 용융지수가 1.0~10 g/10분일 수 있다.
또한,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는 용융온도가 160~17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산화방지제, 중화제, 슬립제, 블로킹방지제, 보강재, 충진재, 내후안정제, 대전방지제, 활제, 핵제, 난연제, 안료 및 염료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이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산화방지제 0.01~0.2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산화방지제가 테트라키스(메틸렌(3,5-디-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실릴네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키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1,3,5-트리메틸-트리스(3,5-디-t-부틸-4-히드록시벤젠) 및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이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이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중화제 0.01~0.2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중화제가 하이드로탈사이트 및 칼슘 스테아레이트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라서, 2개 이상의 연속되는 반응기에서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및 탄소 수 2~4개의 α-올레핀이 공중합된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폴리프로필렌계 매트릭스를 중합하는 제1 중합단계 및 중합된 폴리프로필렌계 매트릭스의 존재 하에 에틸렌과 프로필렌을 투입하여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공중합체 성분을 공중합함으로써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를 얻는 제2 중합단계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위 제조방법에 있어서, 각각의 중합단계는 지글러-나타(Ziegler-Natta) 촉매의 존재 하에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지글러-나타 촉매는 염화 마그네슘(MgCl2) 담체에 TiCl3와 TiCl4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염화 티타늄을 담지시켜 합성될 수 있다.
또한, 지글러-나타 촉매의 공촉매로서 트리에틸 알루미늄, 디에틸클로로 알루미늄, 트리부틸 알루미늄, 트리스이소부틸 알루미늄 및 트리옥틸 알루미늄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알킬 알루미늄 화합물이 사용되고; 외부 전자공여체로서 디페닐디메톡시실란, 페닐트리메톡시실란, 페닐에틸디메톡시실란, 페닐메틸디메톡시실란, 메톡시트리메틸실란, 이소부틸트리메톡시실란, 디이소부틸디메톡시실란, 디이소프로필디메톡시실란, 디-t-부틸디메톡시실란, 디시클로펜틸디메톡시실란, 시클로헥실메틸디메톡시실란 및 디시클로헥실디메톡시실란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기 실란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중합단계가 2개 이상의 벌크 중합 반응기에서 지글러-나타 촉매의 존재 하에 폴리프로필렌계 매트릭스를 중합하는 단계이고, 제2 중합단계가 기상 중합 반응기에서 제1 중합단계에서 중합된 폴리프로필렌계 매트릭스와 지글러-나타 촉매의 존재 하에 에틸렌과 프로필렌을 공급하여 고무 성분의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를 공중합함으로써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를 얻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 따라서, 위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제조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성형품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 성형품은 식품 포장용 파우치의 열접착층 필름 또는 전지의 포장용 필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내백화성, 투명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하여, 접혔을 때 외관이 불량해 보일 수 있는 식품 포장용 파우치의 열접착층 필름 또는 후가공 시 변형에 따른 백화가 발생할 수 있는 전지의 포장용 필름 등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a와 도 1b는 각각 실시예 1과 비교예 2에서 제조된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의 시차 주사 열량계(DSC) 결정화 곡선이다.
도 2a와 도 2b는 각각 실시예 1과 비교예 2에서 제조된 필름의 백화 현상을 평가한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반응기에서 단계적으로 중합된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를 포함하되,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가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및 탄소 수 2~4개의 α-올레핀이 공중합된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폴리프로필렌계 매트릭스 70~88 중량%와 용제 추출물 함량으로 측정되는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공중합체 12~30 중량%를 포함하고,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중의 에틸렌 함량이 4~10 중량%이며,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의 결정화 온도가 110~130℃와 67~77℃ 온도 범위에서 2개 존재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를 포함한다. 여기서,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는 반응기에서 단계적으로 중합된 것이다.
예를 들어, 먼저 폴리프로필렌계 매트릭스(matrix)가 중합되고, 이어서 이 폴리프로필렌계 매트릭스에 에틸렌-프로필렌 고무가 블록 공중합되어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가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폴리프로필렌계 매트릭스는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또는 탄소 수 2~4개의 α-올레핀이 공중합된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계 매트릭스가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일 수 있다.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중의 폴리프로필렌계 매트릭스의 함량은 70~88 중량%이다. 폴리프로필렌계 매트릭스의 함량이 70 중량% 미만이면,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의 중합 시에 생산성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반면, 폴리프로필렌계 매트릭스의 함량이 88 중량%를 초과하면,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이 저하될 수 있다.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중의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공중합체의 함량은 12~30 중량%이다.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공중합체의 함량이 12 중량% 미만이면,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이 저하될 수 있다. 반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공중합체의 함량이 30 중량%를 초과할 경우,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의 중합 시에 생산성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여기서,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공중합체의 함량은 용제 추출물의 함량으로 측정될 수 있으며, 용제로는 자일렌(xylene)이 바람직하다.
한편,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중의 에틸렌 함량은 4~10 중량%이다. 에틸렌 함량이 4 중량% 미만이면,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이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에틸렌 함량이 10 중량%를 초과하면, 수지 조성물의 투명성이 낮아지고 내백화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에 있어서,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공중합체의 함량(중량%))/(에틸렌 함량(중량%))의 비가 2.5~3.5일 수 있다. 이 비율이 2.5 미만인 경우, 수지 조성물의 투명성과 내백화성이 저하될 수 있다. 반면, 이 비율이 3.5를 초과할 경우, 반응기에서 에틸렌과 프로필렌의 공중합 제어가 어렵다. 그 결과, 고무 공중합체가 아닌 랜덤 공중합체가 중합되어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의 중합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는 시차 주사 열량계(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로 측정되는 결정화 온도(crystallization temperature; Tc)가 110~130℃와 67~77℃ 온도 범위에서 2개 존재한다. 110~130℃의 온도 범위에 존재하는 강한 피크는 폴리프로필렌계 매트릭스의 결정화에 의한 것이다. 이 결정화 피크가 110℃ 미만의 온도에서 나타나면, 수지 조성물의 내열성이 부족하다. 반면, 이 결정화 피크가 130℃ 초과의 온도에서 나타나면, 수지의 결정화 속도가 너무 빨라서 무연신 필름 제막 시 냉각 롤과의 접촉이 균일하지 못하여 필름 품질이 저하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67~77℃의 온도 범위에 존재하는 약한 피크는 폴리프로필렌계 매트릭스에 분산된 에틸렌-프로필렌 고무상 내에 존재하는 나노-한정된 공간(nano-confined geometry)상에서의 폴리프로필렌의 균질(homogenous) 핵 형성에 의한 것으로 이해된다. 이 결정화 피크가 67℃ 미만의 온도에서 나타나면, 폴리프로필렌이 수 나노(nanometer) 크기로 분산되어야 하기 때문에, 상업적으로 중합이 불가능하다. 반면, 이 결정화 피크가 77℃ 초과의 온도에서 나타나면, 폴리프로필렌이 아닌 폴리에틸렌의 불균질(heterogenous) 결정화 피크이어서, 에틸렌-프로필렌 고무상의 형태에 영향을 주어 수지 조성물의 투명성 및 내백화성이 저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는 ASTM D1238에 의거하여 2.16 kg의 하중으로 230℃에서 측정 시 용융지수가 1.0~10 g/10분일 수 있다. 용융지수가 1.0 g/10분 미만이면, 압출 시 부하가 상승하여 생산성이 저하된다. 반면, 용융지수가 10 g/10분을 초과하면, 압출 시 처짐이 발생하여 두께 균일도가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는 용융온도가 160~170℃일 수 있다. 용융온도가 160℃보다 낮으면, 내열성이 충분하지 않아 고온의 후가공 시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용융온도가 170℃를 초과하는 폴리프로필렌은 상업적으로 중합이 불가능하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본 발명의 목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통상적인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산화방지제, 중화제, 슬립제, 블로킹방지제, 보강재, 충진재, 내후안정제, 대전방지제, 활제, 핵제, 난연제, 안료 및 염료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그 내열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산화방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산화방지제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0.2 중량%, 바람직하게는 0.05~0.15 중량%의 함량으로 추가될 수 있다. 산화방지제의 함량이 0.01 중량% 미만이면, 장기 내열안정성을 확보하기 어렵다. 한편, 산화방지제의 함량이 0.2 중량%를 초과하면, 산화방지제가 용출되거나 제품의 경제성이 저하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산화방지제로는 페놀계 산화방지제, 포스파이트계 산화방지제 등이 이용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테트라키스(메틸렌(3,5-디-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실릴네이트), 펜타에리쓰리톨 테트라키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1,3,5-트리메틸-트리스(3,5-디-t-부틸-4-히드록시벤젠) 및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나,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촉매 잔사를 제거하기 위한 중화제로서 하이드로탈사이트, 칼슘 스테아레이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중화제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0.2 중량%, 바람직하게는 0.02~0.10 중량%의 함량으로 추가될 수 있다. 중화제의 함량이 0.01 중량% 미만이면, 수지의 촉매 잔사를 제거하는 효과를 확보하기 어렵고, 0.2 중량%를 초과하면, 촉매 잔사 제거 효과의 증가가 미미하며 수지 조성물의 가격 경제성이 저하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2개 이상의 연속되는 반응기에서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및 탄소 수 2~4개의 α-올레핀이 공중합된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폴리프로필렌계 매트릭스를 중합하는 제1 중합단계 및 중합된 폴리프로필렌계 매트릭스의 존재 하에 에틸렌과 프로필렌을 투입하여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공중합체 성분을 공중합함으로써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를 얻는 제2 중합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각각의 중합은 슬러리법, 벌크법, 기상법 등과 같이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알려진 방법 및 반응 조건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위 각각의 중합은 지글러-나타(Ziegler-Natta) 촉매의 존재 하에 수행될 수 있다. 지글러-나타 촉매는 당업계에 공지된 촉매를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나, 구체적으로 염화 마그네슘(MgCl2) 담체에 염화 티타늄(TiCl3 또는 TiCl4)와 같은 티타늄 화합물을 담지시켜 얻을 수 있다. 여기에 공촉매와 외부 전자공여체를 함께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촉매로는 알킬 알루미늄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알킬 알루미늄 화합물의 예로는 트리에틸 알루미늄, 디에틸클로로 알루미늄, 트리부틸 알루미늄, 트리이소부틸 알루미늄, 트리옥틸 알루미늄 등을 들 수 있으나,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외부 전자공여체로는 유기 실란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유기 실란 화합물의 예로는 디페닐디메톡시실란, 페닐트리메톡시실란, 페닐에틸디메톡시실란, 페닐메틸디메톡시실란, 메톡시트리메틸실란, 이소부틸트리메톡시실란, 디이소부틸디메톡시실란, 디이소프로필디메톡시실란, 디-t-부틸디메톡시실란, 디시클로펜틸디메톡시실란, 시클로헥실메틸디메톡시실란, 디시클로헥실디메톡시실란 등을 들 수 있으나,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위 제1 중합단계와 제2 중합단계가 동일한 중합 반응기 또는 상이한 중합 반응기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중합단계가 2개 이상의 벌크 중합 반응기에서 지글러-나타 촉매의 존재 하에 폴리프로필렌계 매트릭스를 중합하는 단계이고, 제2 중합단계가 기상 중합 반응기에서 제1 중합단계에서 중합된 폴리프로필렌계 매트릭스와 지글러-나타 촉매의 존재 하에 에틸렌과 프로필렌을 공급하여 고무 성분의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를 공중합함으로써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를 얻는 단계이다. 각각의 중합 반응기에서 생성되는 중합체의 용융지수는 각 중합 반응기에 투입되는 수소의 함량으로 조절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중합단계에서 얻어진 폴리프로필렌계 매트릭스를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이 실시되는 기상 반응기로 이송시키고, 에틸렌과 프로필렌을 동시에 투입함으로써 고체 상태의 폴리프로필렌계 매트릭스와 새로 투입된 에틸렌 및 프로필렌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공중합체 성분으로서 계속적으로 공중합되어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얻어진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는 본 발명의 목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통상적인 첨가제와 혼합될 수 있다. 구체적인 첨가제의 종류 및 함량은 위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대한 내용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때,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와 첨가제를 혼합하는 방법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공지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그대로 또는 적절히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와 첨가제를 소정의 양만큼 니더(kneader), 롤(roll), 밴버리 믹서(Banbury mixer) 등의 혼련기 또는 1축/2축 압출기 등에 투입한 후 이들 기기들을 사용하여 투입된 원료들을 블렌딩하는 방법에 의해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 따라서,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제조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성형품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로부터 성형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공지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사출성형, 압출성형, 캐스팅성형 등의 통상적인 방법으로 성형하여 폴리프로필렌 수지 성형품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 성형품은 내백화성, 투명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위 성형품은 식품 포장용 파우치의 열접착층 필름 또는 전지의 포장용 필름일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3 및 비교예 1~4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의 중합
2기의 벌크 반응기와 2기의 기상 반응기가 직렬로 연결되어 연속으로 중합할 수 있는 미츠이(Mitsui)사 하이폴 공정(Hypol process)를 이용하였다. 이때, 지글러-나타(Ziegler-Natta) 촉매를 사용하였는데, 염화 마그네슘(MgCl2) 담체에 염화 티타늄(TiCl4)를 담지시키고, 프탈레이트 계열의 내부 전자공여체(internal donor)를 사용하였다. 공촉매로는 트리에틸알루미늄을 사용하였고, 외부 전자공여체(external donor)로 디시클로펜틸디메톡시실란을 사용하였다.
1, 2단의 벌크 반응기에서 운전 온도와 압력은 각각 68~75℃, 30~40 kg/㎠과 68~75℃, 25~35 kg/㎠이었다. 3, 4단의 기상 반응기에서 운전 온도와 압력은 각각 75~82℃, 15~20 kg/㎠과 68~75℃, 10~17 kg/㎠이었다. 1 내지 3단 반응기에서는 프로필렌을 단독 주입하여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를 생성하였다. 생성된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를 이어지는 4단의 반응기로 이송하고, 위 지글러-나타 촉매의 존재 하에 에틸렌과 프로필렌을 투입하여 에틸렌-프로필렌 고무를 공중합함으로써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를 얻었다. 이때, 각각의 반응기에서 생성되는 중합체의 용융지수는 각 반응기에 투입되는 수소의 함량으로 조절하였다. 이러한 방법으로 아래 표 1과 같이 에틸렌 함량, 용제추출물 함량을 조절하여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를 얻었다.
얻어진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의 조성 및 물성을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아래 표 1에 기재하였다.
(1) 용융지수(melt index; g/10분)
ASTM D1238에 의거하여 2.16 kg 하중으로 230℃에서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의 용융지수를 측정하였다.
(2) 에틸렌 함량(중량%)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을 사용하여 720 ㎝- 1와 730 ㎝-1의 특성 피크를 이용하여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중의 에틸렌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3)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공중합체(용제 추출물)의 함량(중량%)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를 자일렌(xylene)에 1 중량%의 농도로 140℃에서 1시간 녹인 후, 상온에서 2시간 경과 후 추출된 중량을 측정하였다. 얻어진 중량을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의 중량에 대한 백분율로 표시하였다.
(4) 용융온도 및 결정화 온도(Tm, Tc)
시차 주사 열량계(DSC)를 이용하여 시료를 200℃에서 10분간 등온으로 유지하여 열이력을 제거한 후, 200℃로부터 30℃까지 분당 10℃씩 냉각하며 결정화시켜 결정화 온도(crystallization temperature; Tc)를 구하였다. 이와 같은 냉각으로 동일한 열이력을 갖도록 한 후, 30℃에서 10분간 등온으로 유지하였다. 이어서, 다시 분당 10℃씩 재승온시키며 피크 용융 온도로부터 용융 온도(melting temperature; Tm)를 구하였다. 실시예 1과 비교예 2의 결정화 곡선을 도 1에 나타내었다.
시편의 제조
위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각각의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에 0.1 중량% 함량의 산화방지제(펜타에리쓰리톨 테트라키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와 0.04 중량% 함량의 중화제(하이드로탈사이트)를 추가하여 혼련하고, 이축 압출기에서 압출 가공하여 펠렛으로 제조하였다. 얻어진 수지 조성물을 통상의 캐스트 필름 압출 설비를 사용하여 두께 0.4 mm의 필름으로 성형하였다. 필름 성형 시 압출기 온도는 230℃이었으며, 필름 성형을 위한 냉각 롤의 온도는 30℃이었다. 또한, 사출 성형품의 물성 평가를 위해, 통상의 사출 설비를 사용하여 ASTM 규격의 시편을 제조하였다. 사출기 온도는 220℃이었고, 금형 온도는 60℃이었다. 필름과 사출 시편의 물성을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고, 평가 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5) 흐림도(haze)
ASTM D1003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6) 낙구 충격 강도(falling dart impact; FDI)
ASTM D4226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7) 내백화성(stress-whitening resistance)
필름에 흠집을 준 다음 양쪽으로 잡아당겨서 도 2와 같이 찢어진 부위의 백화 발생 정도를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8) 굴곡탄성율(flexural modulus, FM)
ASTM D790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9) 아이조드(Izod) 충격강도
ASTM D256에 의거하여 상온에서 측정하였다.
(10) 열변형 온도(heat distortion temperature; HDT)
ASTM D648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실시예 비교예
1 2 3 1 2 3 4
수지
특성
용융지수(g/10) 5.0 3.5 2.0 5.0 5.0 3.5 5.0
Tm(℃) 164 162 162 162 163 162 162
Tc(고온; ℃)
Tc(저온; ℃)
121
71
116
72
116
73
120
-
122
99
120
95
119
94
매트릭스 함량(중량%)
용제 추출물 함량(중량%)
에틸렌 함량(중량%)
용제 추출물/에틸렌
83.0
17.0
5.3
3.2
80.0
20.0
6.5
3.1
77.0
23.0
8.5
2.7
89.0
11.0
5.0
2.2
88.5
11.5
8.0
1.4
88.4
11.6
9.0
1.3
80.0
20.0
9.5
2.1
필름
물성
흐림도(%)
낙구충격강도(g)
내백화성
16
1400
18
1500
19
1700
38
600
×
63
1000
×
55
1200
×
10
1500
사출물성 굴곡탄성율(kg/㎠)
Izod(상온; kg cm/cm)
열변형 온도(℃)
10500
25
106
9500
35
105
9000
65
104
14500
9
109
14000
10
108
14000
10
108
9500
30
105
표 1로부터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실시예 1~3의 경우, 필름의 흐림도가 낮고 낙구충격강도가 높아서, 투명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하였다.
반면,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지 않는 비교예 1~3의 경우, 용제 추출물 함량이 낮아 내충격성이 좋지 않았고, Tc가 120~121℃, 95~99℃이었고, 용제 추출물과 에틸렌의 비가 낮아서 필름의 투명성과 내백화성이 좋지 않았다. 비교예 4는 투명성과 내충격강도는 양호하였지만, Tc가 119℃, 94℃이었고, 용제 추출물과 에틸렌의 비율이 낮아서, 필름의 내백화성이 충분하지 않았다.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실시예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내백화성, 투명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성형품, 구체적으로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식품 포장용 파우치의 열접착층 필름 또는 전지의 포장용 필름의 제조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5)

  1. 반응기에서 단계적으로 중합된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를 포함하되,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가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및 탄소 수 2~4개의 α-올레핀이 공중합된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폴리프로필렌계 매트릭스 70~88 중량%와 용제 추출물 함량으로 측정되는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공중합체 12~30 중량%를 포함하고,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중의 에틸렌 함량이 4~10 중량%이며,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공중합체의 함량(중량%))/(에틸렌 함량(중량%))의 비가 2.5~3.5이고,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의 결정화 온도가 110~130℃와 67~77℃ 온도 범위에서 2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의 ASTM D1238에 의거하여 2.16 kg의 하중으로 230℃에서 측정 시 용융지수가 1.0~10 g/10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의 용융온도가 160~17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산화방지제, 중화제, 슬립제, 블로킹방지제, 보강재, 충진재, 내후안정제, 대전방지제, 활제, 핵제, 난연제, 안료 및 염료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산화방지제 0.01~0.2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산화방지제가 테트라키스(메틸렌(3,5-디-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실릴네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키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1,3,5-트리메틸-트리스(3,5-디-t-부틸-4-히드록시벤젠) 및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8. 제5항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중화제 0.01~0.2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9. 제6항에 있어서, 중화제가 하이드로탈사이트 및 칼슘 스테아레이트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10. 2개 이상의 연속되는 반응기에서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및 탄소 수 2~4개의 α-올레핀이 공중합된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폴리프로필렌계 매트릭스를 중합하는 제1 중합단계 및 중합된 폴리프로필렌계 매트릭스의 존재 하에 에틸렌과 프로필렌을 투입하여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공중합체 성분을 공중합함으로써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를 얻는 제2 중합단계를 포함하되,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가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및 탄소 수 2~4개의 α-올레핀이 공중합된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폴리프로필렌계 매트릭스 70~88 중량%와 용제 추출물 함량으로 측정되는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공중합체 12~30 중량%를 포함하고,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중의 에틸렌 함량이 4~10 중량%이며,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공중합체의 함량(중량%))/(에틸렌 함량(중량%))의 비가 2.5~3.5이고,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의 결정화 온도가 110~130℃와 67~77℃ 온도 범위에서 2개 존재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각각의 중합단계가 염화 마그네슘(MgCl2) 담체에 TiCl3와 TiCl4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염화 티타늄을 담지시켜 합성되는 지글러-나타(Ziegler-Natta) 촉매의 존재 하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지글러-나타 촉매의 공촉매로서 트리에틸 알루미늄, 디에틸클로로 알루미늄, 트리부틸 알루미늄, 트리스이소부틸 알루미늄 및 트리옥틸 알루미늄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알킬 알루미늄 화합물이 사용되고; 외부 전자공여체로서 디페닐디메톡시실란, 페닐트리메톡시실란, 페닐에틸디메톡시실란, 페닐메틸디메톡시실란, 메톡시트리메틸실란, 이소부틸트리메톡시실란, 디이소부틸디메톡시실란, 디이소프로필디메톡시실란, 디-t-부틸디메톡시실란, 디시클로펜틸디메톡시실란, 시클로헥실메틸디메톡시실란 및 디시클로헥실디메톡시실란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기 실란 화합물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제1 중합단계가 2개 이상의 벌크 중합 반응기에서 지글러-나타 촉매의 존재 하에 폴리프로필렌계 매트릭스를 중합하는 단계이고, 제2 중합단계가 기상 중합 반응기에서 제1 중합단계에서 중합된 폴리프로필렌계 매트릭스와 지글러-나타 촉매의 존재 하에 에틸렌과 프로필렌을 공급하여 고무 성분의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를 공중합함으로써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를 얻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14.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제조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성형품.
  15. 제14항에 있어서, 식품 포장용 파우치의 열접착층 필름 또는 전지의 포장용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성형품.
KR1020180139836A 2018-11-14 2018-11-14 내백화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2124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9836A KR102124702B1 (ko) 2018-11-14 2018-11-14 내백화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JP2019191630A JP6910407B6 (ja) 2018-11-14 2019-10-21 耐白化性に優れた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その調製方法およびそれにより製造された成形品
CN201911103017.9A CN111187482B (zh) 2018-11-14 2019-11-12 耐白化性优异的聚丙烯树脂组合物及其制备方法、以及由其模制的成型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9836A KR102124702B1 (ko) 2018-11-14 2018-11-14 내백화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6523A KR20200056523A (ko) 2020-05-25
KR102124702B1 true KR102124702B1 (ko) 2020-06-19

Family

ID=70705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9836A KR102124702B1 (ko) 2018-11-14 2018-11-14 내백화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910407B6 (ko)
KR (1) KR102124702B1 (ko)
CN (1) CN11118748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4537B1 (ko) * 2020-12-03 2023-02-06 에쓰대시오일 주식회사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유변물성 측정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04729A (ja) * 1995-06-26 1997-04-22 Showa Denko Kk プロピレンブロック共重合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
JP3479163B2 (ja) * 1995-06-26 2003-12-15 昭和電工株式会社 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およびシート
MY136845A (en) * 2000-01-26 2008-11-28 Showa Denko Plastic Prod Co Propylene polymer composition, film thereof, and multilayer laminate
JP2001288330A (ja) * 2000-04-06 2001-10-16 Idemitsu Petrochem Co Ltd 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レトルト食品包装用フィルム
US6844078B2 (en) * 2002-02-06 2005-01-18 Toray Plastics (America) Inc. Polyolefin oil resistant film using high isotactic content polypropylene
JP4571790B2 (ja) * 2003-09-11 2010-10-27 株式会社プライムポリマー 長繊維強化樹脂ペレット及びその成形体
WO2008059746A1 (fr) * 2006-11-17 2008-05-22 Mitsui Chemicals, Inc. Composition de résine de propylène, procédé de fabrication d'une composition de résine de propylène, composition de polymère de propylène, corps moulé fait à partir de la composition de résine de propylène et fil électrique
KR101298417B1 (ko) 2011-05-16 2013-08-20 삼성토탈 주식회사 내백화성, 내충격성 및 투명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및 이의 필름
CN103145902B (zh) * 2013-02-28 2015-06-24 浙江大学 一种高乙丙橡胶含量的多相聚丙烯共聚物及其制备方法
KR101501835B1 (ko) * 2013-08-13 2015-03-12 삼성토탈 주식회사 내백화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CN104558816B (zh) * 2013-10-12 2018-01-23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聚丙烯组合物及其制备方法
WO2015108634A1 (en) * 2014-01-15 2015-07-23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Propylene-based impact copolymers
KR20150145016A (ko) * 2014-06-18 2015-12-29 한화토탈 주식회사 이축연신 필름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KR20160039406A (ko) * 2014-10-01 2016-04-11 한화토탈 주식회사 고충격 고강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성형품
KR101598715B1 (ko) 2014-11-12 2016-02-29 한화토탈 주식회사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것으로 제조된 필름
KR101862917B1 (ko) * 2016-01-04 2018-05-30 한화토탈 주식회사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것으로 제조된 성형품
CN108329590A (zh) * 2018-02-08 2018-07-27 贵州省材料产业技术研究院 一种双峰结晶聚丙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187482B (zh) 2022-12-20
JP6910407B6 (ja) 2021-08-25
JP2020084176A (ja) 2020-06-04
JP6910407B2 (ja) 2021-07-28
KR20200056523A (ko) 2020-05-25
CN111187482A (zh) 2020-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84223B1 (en) Polyolefin compositions
EP2501756B1 (en) Soft polyolefin compositions with improved processability
EP2108679A1 (en) Low emission polymer composition
KR101770487B1 (ko) 타이거 스트라이프가 완화 또는 제거되고 우수한 기계적 특성이 유지된 pp 화합물
KR102097217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2124702B1 (ko) 내백화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1834078B1 (ko) 수축률 및 외관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CN111479873A (zh) 热塑性硫化橡胶及其组合物
KR102209154B1 (ko) 내백화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JP2012229303A (ja) 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及びその射出成形体
KR102223243B1 (ko) 내백화성과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20160091068A (ko) 저광택 및 플로우마크 외관 불량이 억제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US20220112324A1 (en) Propylene Resin Composition With Excellent Melt Flowability And Impact Resistance
KR102356502B1 (ko) 투명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20220048537A (ko) 투명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JP4532084B2 (ja) 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KR102592487B1 (ko) 용융 흐름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한 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2299708B1 (ko) 우수한 연질 특성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0814986B1 (ko) 투명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2093566B1 (ko) 열수축성 블로운 필름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열수축성 블로운 필름
KR102587753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US20240158624A1 (en)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With Excellent Low-Temperature Impact Resistance And Article Molded Therefrom
KR102427613B1 (ko) 등방향 수축성 및 고충격성을 갖는 3d 프린터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성형품
CN118048009A (zh) 具有优异的低温抗冲击性的聚丙烯树脂组合物及由其制成的成型品
KR101934652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