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4311B1 - 선박의 항행 방법, 및 선박 - Google Patents

선박의 항행 방법, 및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4311B1
KR102124311B1 KR1020197000905A KR20197000905A KR102124311B1 KR 102124311 B1 KR102124311 B1 KR 102124311B1 KR 1020197000905 A KR1020197000905 A KR 1020197000905A KR 20197000905 A KR20197000905 A KR 20197000905A KR 102124311 B1 KR102124311 B1 KR 1021243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emergency
generator
ship
navig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0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7942A (ko
Inventor
유스케 구치키
신겐 다케다
히로시 다무라
마사히코 미노
다츠아키 가나가
유시 아시자와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조우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조우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조우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17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79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4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43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3/00Driving of auxiliaries
    • B63J3/04Driving of auxiliaries from power plant other than propulsion power pl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5/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12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motor-driven
    • B63H21/17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motor-driven by electric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3/00Driving of auxiliaries
    • B63J3/02Driving of auxiliaries from propulsion power pl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B63B2755/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2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powered by combinations of different types of propulsion units
    • B63H2021/202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powered by combinations of different types of propulsion units of hybrid electric type
    • B63H2021/205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powered by combinations of different types of propulsion units of hybrid electric type the second power unit being of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type, or the like, e.g. a Diesel eng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2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powered by combinations of different types of propulsion units
    • B63H2021/202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powered by combinations of different types of propulsion units of hybrid electric type
    • B63H2021/207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powered by combinations of different types of propulsion units of hybrid electric type the second power unit being a gas turb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3/00Driving of auxiliaries
    • B63J2003/001Driving of auxiliaries characterised by type of power supply, or power transmission, e.g. by using electric power or steam
    • B63J2003/002Driving of auxiliaries characterised by type of power supply, or power transmission, e.g. by using electric power or steam by using electric pow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50Measures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related to the propulsion system
    • Y02T70/5218Less carbon-intensive fuels, e.g. natural gas, biofuels
    • Y02T70/5236Renewable or hybrid-electric solu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tand-By Power Supply Arrangement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통상 항행 시에 이용하는 항행용 기기 및 선체(2) 내에 마련된 거주용 기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복수의 주발전기(20A, 20B)와, 화재 또는 침수가 발생했을 때에 비상용 기기(103)에 전력을 공급하는 비상용 발전기(30)를 구비한 선박(1A)에 있어서의 항행 방법이다. 이 항행 방법은, 화재 또는 침수에 의하여 복수의 주발전기(20A, 20B) 중 적어도 일부가 사용 불능일 때에, 비상용 발전기(30)로부터 비상용 기기(103)에 전력을 공급하는 비상 시 전력 공급 공정과, 화재 또는 침수가 진정된 후, 주발전기(20A, 20B)와 비상용 발전기(30)로부터, 귀항을 위한 항행에 필요한 귀항용 기기(104)에 전력을 공급하는 귀항 시 전력 공급 공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박의 항행 방법, 및 선박
이 발명은, 선박의 항행 방법, 및 선박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6년 12월 7일에, 일본에 출원된 특원 2016-237284호에 근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여객선은, 2009년 SOLAS 조약 개정에 의하여, 선박이 손상되어 침수하거나 화재가 발생한 경우여도, 자력으로 항구까지 항행하는 것이 요구된다.
선박의 선체 내에는, 선박의 추진력을 얻는 데에 필요한 주기(主機)나 발전기 등이 수용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들 주기나 발전기는, 기관실 내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선박에 있어서는, 항장성의 확보 등을 위하여 기관실을 복수 구비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기관실에서 화재나 침수가 발생한 경우, 기관실과는 별도로 독립적으로 마련된 비상용 발전기에 의하여, 소화 펌프나 배수 펌프, 비상용 조명 등의 비상용 기기에 전력을 공급하여, 화재나 침수를 진정시킨다. 화재나 침수가 진정된 후에는, 비상용 발전기에 의한 비상용 기기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정지시킴과 함께, 화재나 침수가 발생하지 않은 기관실의 발전기(주발전기)를 작동시킴으로써, 항구까지 귀항하기 위하여 필요한 귀항용 기기에 전력을 공급하여, 자력 항행을 가능하게 한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137168호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기관실을 구비하는 구성에 있어서는, 복수의 기관실 중 한 곳에서 화재나 침수 등이 발생한 경우, 화재나 침수가 발생하지 않은 기관실의 발전기만으로는, 귀항용 기기에 공급하는 전력이 부족한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각 기관실에 복수 대의 발전기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 그 중 한 대 이상의 발전기를 사용할 수 없다면, 공급하는 전력이 부족한 경우가 있다.
이에 대하여, 각 기관실에 구비하는 발전기를 대용량화하거나, 발전기의 설치 대수를 증가시킴으로써, 전력의 공급 능력을 확보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발전기의 대용량화나 설치 대수의 증가는, 기기 비용의 상승, 중량의 증가, 선내 공간의 협소화 등으로 이어진다.
이 발명은, 기기 비용 상승 및 중량 증가를 억제하면서, 화재 또는 침수 발생 후에 자력 항행에 의하여 귀항할 때에 전력 공급량이 부족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선박의 항행 방법, 및 선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발명의 제1 양태에 의하면, 선박의 항행 방법은, 복수의 주발전기와, 비상용 발전기를 구비하는 선박의 항행 방법이다. 복수의 주발전기는, 통상 항행 시에 이용하는 항행용 기기 및 선체 내에 마련된 거주용 기기에 전력을 공급한다. 비상용 발전기는, 화재 또는 침수가 발생했을 때에 비상용 기기에 전력을 공급한다. 상기 항행 방법은, 화재 또는 침수에 의하여 복수의 상기 주발전기 중 적어도 일부가 사용 불능일 때에, 상기 비상용 발전기에 의하여 상기 비상용 기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비상 시 전력 공급 공정을 포함한다. 상기 항행 방법은, 화재 또는 침수가 진정된 후, 상기 주발전기와 상기 비상용 발전기에서, 귀항을 위한 항행에 필요한 귀항용 기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귀항 시 전력 공급 공정을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이, 화재 또는 침수가 진정된 후, 주발전기뿐만 아니라, 주발전기와 비상용 발전기에서, 귀항을 위한 항행에 필요한 귀항용 기기에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귀항용 기기에 공급할 수 있는 전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화재 또는 침수가 진정된 후의 귀항 시에 필요한 귀항용 기기에 공급하는 전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주발전기의 대용량화나 설치 대수의 증가를 도모할 필요가 없어진다.
이 발명의 제2 양태에 의하면, 제1 양태에 관한 귀항 시 전력 공급 공정에 있어서, 상기 비상용 발전기는, 상기 거주용 기기의 적어도 일부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화재 또는 침수가 진정된 후의 귀항 시에, 선체 내에 있어서의 거주에 필요한 적어도 최저한의 기기에 대하여, 비상용 발전기에 의하여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 발명의 제3 양태에 의하면, 제2 양태에 관한 귀항 시 전력 공급 공정에 있어서, 상기 주발전기는, 상기 항행용 기기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거주용 기기의 다른 일부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화재 또는 침수가 진정된 후의 귀항 시에 필요한 적어도 최저한의 항행용 기기에, 주발전기에 의하여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화재 또는 침수가 진정된 후의 귀항 시에, 선체 내에 있어서의 거주에 필요한 기기에 대하여, 주발전기와 비상용 발전기에 의하여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 발명의 제4 양태에 의하면, 제1 양태 내지 제3 양태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관한 귀항 시 전력 공급 공정에 있어서, 상기 주발전기보다 설비 용량이 작은 상기 비상용 발전기에서 공급하는 전력을 고정하고, 상기 주발전기에서 공급하는 전력을 필요에 따라 변동시키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필요로 하는 전력이 변동했을 때에, 비상용 발전기보다 설비 용량이 큰 주발전기에서 공급하는 전력을 변동시킴으로써, 설비 용량이 작은 비상용 발전기에서 공급하는 전력을 변동시키는 경우보다, 큰 부하 변동에 대응할 수 있다. 이로써, 필요로 하는 전력의 변동에 대하여, 공급 전력을 보다 유연하게 대응시킬 수 있다.
이 발명의 제5 양태에 의하면, 선박은, 선체와, 상기 선체 내에 마련된 복수의 주발전기와, 상기 선체 내에 마련된 비상용 발전기를 구비한다. 선박은, 제1 전력 공급 라인과, 제2 전력 공급 라인과, 제3 전력 공급 라인을 구비한다. 제1 전력 공급 라인은, 통상 항행 시에 이용되는 항행용 기기 및 상기 선체 내에 마련된 거주용 기기와 복수의 상기 주발전기를 접속한다. 제2 전력 공급 라인은, 화재 또는 침수가 발생했을 때에 이용되는 비상용 기기와 상기 비상용 발전기를 접속한다. 제3 전력 공급 라인은, 화재 또는 침수가 정지된 상태에서 선박을 귀항시키기 위한 항행 시에 이용되는 귀항용 기기와 상기 비상용 발전기를 접속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통상 항행 시에는, 제1 전력 공급 라인을 통하여 복수의 주발전기로부터 항행용 기기 및 거주용 기기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화재 또는 침수 등이 발생했을 때에는, 제2 전력 공급 라인을 통하여, 비상용 발전기로부터 비상용 기기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화재 또는 침수가 정지된 상태에서 선박을 귀항시킬 때에는, 제3 전력 공급 라인을 통하여, 비상용 발전기로부터 귀항용 기기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 발명의 제6 양태에 의하면, 선박은, 제5 양태에 있어서, 상기 주발전기는 상기 선체 내의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비상용 발전기는, 상기 선체의 상부 갑판 위 부위에 마련되어 있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주발전기가 마련된 기관실에서 화재나 침수가 발생해도, 그 영향을 받는 것을 억제하면서 비상용 발전기를 작동시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로써, 화재나 침수의 진정화, 및 화재나 침수가 진정된 후의 선박의 귀항을 확실하게 실행할 수 있다.
이 발명의 제7 양태에 의하면, 제5 양태 또는 제6 양태에 관한 귀항용 기기는, 상기 제1 전력 공급 라인과 상기 제3 전력 공급 라인에 접속되고, 전원 전환이 가능하게 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귀항용 기기를 통상 항행 시에도 항행용 기기 또는 거주용 기기로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선박의 항행 방법, 및 선박에 의하면, 기기 비용 상승 및 중량 증가를 억제하면서, 화재 또는 침수 발생 후에 자력 항행에 의하여 귀항할 때에 전력 공급량이 부족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이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선박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이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선박에 있어서의, 주발전기와 비상용 발전기로부터의 급전 계통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이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선박에 마련된 각종 기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이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선박의 항행 시에 있어서, 기관실에 화재 또는 침수가 발생한 경우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이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선박의 통상 항행 시에 있어서의 전력 공급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이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선박에서 화재 또는 침수가 발생했을 때의 전력 공급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이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선박에서 화재 또는 침수가 진정된 후에 자력 항행에 의하여 귀항할 때의 전력 공급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은 이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선박에 있어서의, 주발전기와 비상용 발전기로부터의 급전 계통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9는 이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선박의 통상 항행 시에 있어서의 전력 공급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은 이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선박에서 화재 또는 침수가 발생했을 때의 전력 공급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1은 이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선박에서 화재 또는 침수가 진정된 후에 자력 항행에 의하여 귀항할 때의 전력 공급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이하, 이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선박의 항행 방법, 및 선박을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은, 이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선박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의 선박(1A)은, 선체(2)와, 주발전기(20A, 20B)와, 비상용 발전기(30)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선박(1A)은, 여객선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 발명을 적용 가능한 선박의 선박 종은 특정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페리, RORO선(Roll-on/Roll-off선), PCTC(Pure Car & Truck Carrier) 등, 다양한 선박 종을 채용할 수 있다.
선체(2)는, 선박 폭 방향 양측에 마련된 한 쌍의 현측(舷側)(2s)과, 선저(船底)(2b)를 갖는다. 선체(2)는, 그 내부에, 건현 갑판(3)과, 하부 갑판(4)과, 상부 갑판(5)을 구비하고 있다. 건현 갑판(3)은, 선체(2)의 선저(2b)의 상방에 간격을 두고 마련되어 있다. 하부 갑판(4)은, 선저(2b)와 건현 갑판(3)의 사이에 마련되어 선체(2)의 하부에 이중 바닥을 형성한다. 상부 갑판(5)은, 건현 갑판(3)의 상방에 간격을 두고 마련되어 있다. 이 상부 갑판(5) 상에는, 상하 방향으로 복수 층을 갖는 상부 구조(6)가 마련되어 있다.
선체(2)는, 선미부(2A)의 선저(2b)의 하방에 스크루(7)를 구비하고 있다. 이 스크루(7)는, 선체(2) 내에 마련된 추진 모터(11)에 의하여 회전 구동된다.
주발전기(20A, 20B)는, 선체(2) 내의 하부에 마련된 기관실(8A, 8B) 내에 마련되어 있다. 기관실(8A, 8B)은, 선체(2) 내의 하부 갑판(4)과 건현 갑판(3)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기관실(8A, 8B)은, 각각, 선미부(2A)와 선수부(2F)를 연결하는 선수미(船首尾) 방향(FA)으로 간격을 두고 마련된 가로 격벽(9)에 의하여, 서로 분리되어 있다.
주발전기(20A)는, 기관실(8A) 내에, 복수 대가 설치되어 있다. 주발전기(20B)는, 기관실(8B) 내에, 복수 대가 설치되어 있다.
주발전기(20A, 20B)는, 예를 들면, 가스 터빈이나 디젤 엔진 등의 내연 기관부(도시하지 않음)와, 발전기부(도시하지 않음)를 주로 구비한다. 주발전기(20A, 20B)는, 연료를 내연 기관부에서 연소시켜 발전기부를 구동함으로써 전력을 발생시킨다.
도 2는, 이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선박에 있어서의, 주발전기와 비상용 발전기로부터의 급전 계통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상기 선박에 마련된 각종 기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발전기(20A, 20B)는, 각각, 통상 항행 시에 이용하는 통상 기기(100)에 전력을 공급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통상 기기(100)에는, 항행용 기기(101)와, 거주용 기기(102)가 있다. 항행용 기기(101)로서는, 예를 들면, 추진 모터(11), 조타 시스템(12) 등이 있다. 거주용 기기(102)로서는, 선박(1A) 내에 마련된, 공조 기기(21), 냉장·냉동 시스템(22), 음료수 설비(23), 화장실 배수 설비(24), 거주 구역에 마련된 각종 기기인 거주 구역 설비(25), 조리 설비(26), 일반 조명(27) 등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상용 발전기(30)는, 상부 구조(6)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비상용 발전기(30)는, 선미부(2A) 측의 상부 구조(6)의 최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 비상용 발전기(30)는, 적어도 기관실(8A) 또는 기관실(8B)에 있어서 화재 또는 침수가 발생했을 때에 비상용 기기(103)에 전력을 공급 가능하게 되어 있다. 비상용 발전기(30)는, 정박 시나, 선박(1A)의 전체 전원이 나간 데드십 상태에서 복구할 때 등에, 선박(1A) 내의 소정의 각부에 전력을 공급할 수도 있다. 이 비상용 발전기(30)는, 주발전기(20A, 20B)보다 설비 용량(또는, 정격 출력)이 작다. 이 실시형태에서 예시하고 있는 비상용 발전기(30)는, 주발전기(20A, 20B)의 정격 전압(예를 들면, 수천 볼트)보다 낮은 정격 전압(수백 볼트)으로 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상용 기기(103)로서는, 선체(2) 내에 침입한 물을 선박 밖으로 배출하는 배수 펌프(31), 선체(2)의 선수미 방향(FA) 또는 선박 폭 방향의 경사를 개선하는 밸러스트 펌프(32), 소화 펌프(33), 비상용 조명(34) 등이 있다.
선박(1A)에 있어서는, 기관실(8A) 또는 기관실(8B)에서 화재 또는 침수가 발생했을 때, 비상용 발전기(30)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하여 비상용 기기(103)를 작동시킴으로써, 발생한 화재 또는 침수를 진정시킨다.
선박(1A)은, 기관실(8A) 또는 기관실(8B)에서 발생한 화재 또는 침수가 진정된 후, 주발전기(20A) 또는 주발전기(20B)와, 비상용 발전기(30)를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항구까지 자력 항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하, 선박(1A)을 자력 항행시키기 위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박(1A)은, 제1 전력 공급 라인(L1)과, 제2 전력 공급 라인(L2)과, 제3 전력 공급 라인(L3)을 구비한다.
제1 전력 공급 라인(L1)은, 통상 기기(100)(항행용 기기(101) 및 거주용 기기(102))와 복수의 주발전기(20A, 20B)를 접속한다. 각각 복수 대가 마련된 주발전기(20A, 20B)는, 발전기 측 스위치 보드(81, 81)를 통하여, 복수의 제1 전력 공급 라인(L1)에 접속되어 있다.
각 제1 전력 공급 라인(L1)은, 각종의 통상 기기(100)가 접속되는 기기 측 스위치 보드(82)에 접속되어 있다. 이때, 각 기기 측 스위치 보드(82)에 있어서는, 주발전기(20A) 또는 주발전기(20B)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이, 제1 전력 공급 라인(L1)에 마련된 트랜스(83)에 의하여 소정의 전압(예를 들면, 수백 볼트)까지 강압된다. 주발전기(20A, 20B)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는 복수의 기기 측 스위치 보드(82)의 전압값은, 다른 복수의 전압값을 포함한다. 각종의 통상 기기(100)는, 당해 통상 기기(100)의 정격 전압에 따른 전압값의 기기 측 스위치 보드(82)에 접속된다.
제2 전력 공급 라인(L2)은, 비상용 기기(103)와 비상용 발전기(30)를 접속한다. 비상용 발전기(30)는, 발전기 측 스위치 보드(91)를 통하여, 제2 전력 공급 라인(L2)에 접속되어 있다.
제2 전력 공급 라인(L2)은, 각종 비상용 기기(103)가 접속되는 기기 측 스위치 보드(92)에 접속되어 있다. 여기에서, 각 기기 측 스위치 보드(92)는, 비상용 발전기(30)로부터 출력되는 전력이, 제2 전력 공급 라인(L2)에 마련된 트랜스(93)에 의하여, 비상용 기기(103)의 정격 전압에 따른 소정의 전압으로 강압(또는 승압)되어 공급된다.
제3 전력 공급 라인(L3)은, 화재 또는 침수가 정지된 상태에서 선박(1A)을 귀항시키기 위한 항행 시에 이용되는 귀항용 기기(104)와 비상용 발전기(30)를 접속한다.
여기에서, 귀항용 기기(104)란, 예를 들면, 상술한 공조 기기(21), 냉장·냉동 시스템(22), 음료수 설비(23), 화장실 배수 설비(24), 거주 구역 설비(25), 조리 설비(26), 일반 조명(27) 등으로 이루어진 거주용 기기(102)이다. 단, 귀항용 기기(104)는, 거주용 기기(102)의 전부일 필요는 없으며, 예를 들면, 공조 기기(21), 냉장·냉동 시스템(22), 음료수 설비(23), 화장실 배수 설비(24), 거주 구역 설비(25), 조리 설비(26), 일반 조명(27) 중 일부여도 된다.
제3 전력 공급 라인(L3)은, 제2 전력 공급 라인(L2)에 마련된 기기 측 스위치 보드(92)에, 개폐기(96) 및 기기 측 스위치 보드(97)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제3 전력 공급 라인(L3)이 접속된 귀항용 기기(104)는, 통상 기기(100)를 겸하고 있어도 된다. 이 귀항용 기기(104)에는, 제1 전력 공급 라인(L1)과 제3 전력 공급 라인(L3)이 각각 접속되고, 전원 전환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로써, 예를 들면 통상 항행 시에는, 제1 전력 공급 라인(L1)을 통하여 귀항용 기기(104)에 전원 공급하고, 화재 또는 침수가 정지된 상태에서 선박(1A)을 귀항시키기 위한 항행 시에는, 제3 전력 공급 라인(L3)을 통하여 귀항용 기기(104)에 전원 공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선박(1A)의 항행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이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선박의 항행 시에 있어서, 기관실에 화재 또는 침수가 발생한 경우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이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선박의 통상 항행 시에 있어서의 전력 공급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이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선박에서 화재 또는 침수가 발생했을 때의 전력 공급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이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선박에서 화재 또는 침수가 진정된 후에 자력 항행에 의하여 귀항할 때의 전력 공급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선박(1A)이 통상 항행하고 있을 때(도 4의 스텝 S1), 비상용 발전기(30)는 정지되어 있으며, 기관실(8A, 8B)에 마련된 주발전기(20A, 20B)로부터만 전력을 공급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5에 굵은 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발전기(20A, 20B)로부터 출력되는 전력은, 발전기 측 스위치 보드(81), 제1 전력 공급 라인(L1), 트랜스(83), 기기 측 스위치 보드(82)를 통하여, 각 통상 기기(100)(항행용 기기(101) 및 거주용 기기(102))에 공급된다. 이로써, 항행용 기기(101)를 구성하는 추진 모터(11), 조타 시스템(12) 등을 작동시켜 선박(1A)을 항행시킴과 함께, 선박(1A) 내의 각부의 거주용 기기(102)가 사용 가능한 상태가 된다.
기관실(8A) 또는 기관실(8B)에서 화재 또는 침수가 발생한 경우(도 4의 스텝 S2에서 “Yes”), 주발전기(20A, 20B)로부터의 전력 공급을 정지함과 함께, 비상용 발전기(30)로부터 비상용 기기(103)에 전력을 공급하는 비상 시 전력 공급 공정으로 이행한다(스텝 S3). 구체적으로는, 도 6에 굵은 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상용 발전기(30)로부터 출력되는 전력은, 발전기 측 스위치 보드(91), 제2 전력 공급 라인(L2), 트랜스(93), 기기 측 스위치 보드(92)를 통하여, 비상용 기기(103)에 공급된다. 이때, 제3 전력 공급 라인(L3)의 개폐기(96)는 개방 상태가 되고, 제2 전력 공급 라인(L2)의 기기 측 스위치 보드(92)와 제3 전력 공급 라인(L3)의 기기 측 스위치 보드(97)는, 전기적으로 차단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비상용 발전기(30)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하여, 배수 펌프(31), 밸러스트 펌프(32), 소화 펌프(33)를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작동시켜, 선체(2) 내에 침입한 물의 배수, 선체(2)의 기울어짐의 개선, 화재의 소화를 행한다. 또한, 비상용 조명(34)에 의하여, 선박(1A) 내의 필요 최소한의 조명을 행한다. 또한, 비상용 발전기(3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하여 적어도 조타 시스템(12)을 작동시킴으로써, 선박(1A)의 표류 등을 방지한다.
기관실(8A) 또는 기관실(8B)에 있어서의 화재 또는 침수가 진정된 경우(도 4의 스텝 S4에서 “Yes”), 비상용 기기(103)의 배수 펌프(31), 밸러스트 펌프(32), 소화 펌프(33), 비상용 조명(34)의 작동을 정지시킴과 함께, 선박(1A)의 자력 항행 공정을 행하기 위한 귀항 시 전력 공급 공정으로 이행한다(스텝 S5).
여기에는, 도 7에 굵은 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기(96)를 폐쇄 상태로 하고, 제2 전력 공급 라인(L2)의 기기 측 스위치 보드(92)와 제3 전력 공급 라인(L3)의 기기 측 스위치 보드(97)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이로써, 비상용 발전기(30)로부터 공급된 전력은, 발전기 측 스위치 보드(91), 제2 전력 공급 라인(L2), 기기 측 스위치 보드(92), 개폐기(96), 기기 측 스위치 보드(97), 제3 전력 공급 라인(L3)을 통하여, 귀항용 기기(104)에 대한 공급이 가능해 진다. 이로써, 예를 들면, 공조 기기(21), 냉장·냉동 시스템(22), 음료수 설비(23), 화장실 배수 설비(24), 거주 구역 설비(25), 조리 설비(26), 일반 조명(27) 중, 미리 설정된 적어도 일부의 것을 작동시킬 수 있다.
귀항 시 전력 공급 공정에서는, 기관실(8A) 및 기관실(8B) 중 한쪽은, 화재 또는 침수에 의하여 사용이 불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때, 기관실(8A) 및 기관실(8B)의 다른 쪽, 즉 화재 또는 침수가 발생하지 않은 쪽에 마련된 주발전기(20A 또는 20B)(도 7의 예에서는, 기관실(8B)의 주발전기(20B))를 작동시켜, 자력 항행으로 귀항하는 데에 적어도 필요한 기기, 예를 들면 항행용 기기(101)에, 전력을 공급한다. 이로써 항행용 기기(101)를 구성하는 추진 모터(11), 조타 시스템(12) 등을 작동시켜, 선박(1A)을 자력 항행시킬 수 있다.
주발전기(20A, 20B)는, 귀항 시 전력 공급 공정에 있어서, 항행용 기기(101)의 적어도 일부, 예를 들면 추진 모터(11)에만 전력을 공급하고, 조타 시스템(12)에 대해서는, 비상용 발전기(30)로부터 전력을 공급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귀항 시 전력 공급 공정에 있어서, 비상용 발전기(30)에서는, 귀항용 기기(104)로서, 거주용 기기(102)의 일부에만 전력을 공급하고, 주발전기(20A, 20B)는, 거주용 기기(102)의 다른 일부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제1 실시형태의 선박의 항행 방법, 및 선박에 의하면, 화재 또는 침수가 진정된 후, 주발전기(20A, 20B)와 비상용 발전기(30)에서, 귀항을 위한 항행에 필요한 귀항용 기기(104)에 전력을 공급하는 귀항 시 전력 공급 공정으로 이행한다. 이와 같이 하여, 화재 또는 침수가 진정된 후, 비상용 발전기(30)에서, 귀항을 위한 항행에 필요한 귀항용 기기(104)에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귀항용 기기(104)를 움직이기 위하여 필요한 전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귀항 시 전력 공급 공정에서 작동시켜야 할 주발전기(20A) 또는 주발전기(20B) 중 일부가, 고장이나 메인터넌스 등에 의하여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여도, 귀항용 기기(104)의 일부를 비상용 발전기(30)로부터 공급하는 전력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이로써, 귀항을 위한 항행에 필요한 전력이 부족해지는 것을 억제하고, 주발전기(20A) 또는 주발전기(20B) 중 일부가, 고장이나 메인터넌스 등에 의하여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여도, 선박(1A)을 자력 항행에 의하여 귀항시킬 수 있다.
따라서, 화재 또는 침수가 진정된 후의 귀항 시에 필요한 귀항용 기기(104)에 공급하는 전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주발전기(20A, 20B)의 대용량화나 설치 대수의 증가가 불필요해 진다. 그 결과, 기기 비용 상승 및 중량 증가를 억제하면서, 화재 또는 침수 발생 후에 자력 항행에 의하여 귀항할 때에 전력 공급량이 부족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귀항 시 전력 공급 공정에 있어서, 비상용 발전기(30)는, 거주용 기기(102)의 적어도 일부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했다. 이로써, 화재 또는 침수가 진정된 후의 귀항 시에, 선체(2) 내에 있어서의 거주에 필요한 일부의 기기에 대하여, 비상용 발전기(30)에 의하여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귀항 시 전력 공급 공정에 있어서, 주발전기(20A, 20B)는, 항행용 기기(101)의 적어도 일부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하면, 귀항 시에 필요한 적어도 최저한의 항행용 기기(101)에, 주발전기(20A, 20B)에 의하여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주발전기(20A, 20B)는, 거주용 기기(102)에 있어서, 비상용 발전기(30)로부터 전력을 공급하는 거주용 기기(102)의 일부 이외의 다른 일부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면, 화재 또는 침수가 진정된 후의 귀항 시에, 선체(2) 내에 있어서의 거주에 필요한 기기에 대하여, 주발전기(20A, 20B)와 비상용 발전기(30)에 의하여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통상 항행 시에는, 제1 전력 공급 라인(L1)을 통하여 복수의 주발전기(20A, 20B)로부터 항행용 기기(101) 및 거주용 기기(102)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화재 또는 침수 등이 발생했을 때에는, 제2 전력 공급 라인(L2)을 통하여, 비상용 발전기(30)로부터 비상용 기기(103)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화재 또는 침수가 정지된 상태에서 선박(1A)을 귀항시킬 때에는, 제3 전력 공급 라인(L3)을 통하여, 비상용 발전기(30)로부터 귀항용 기기(104)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주발전기(20A, 20B)는, 선체(2) 내의 하부에 마련되어 있으며, 비상용 발전기(30)는, 선체(2)의 상부 갑판(5) 위인 상부 구조(6)에 마련되어 있다. 이로써, 주발전기(20A, 20B)가 마련된 기관실(8A, 8B)에서 화재나 침수가 발생해도, 그 영향을 받는 것을 억제하면서 비상용 발전기(30)를 작동시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화재나 침수의 진정화, 및 화재나 침수가 진정된 후의 선박(1A)의 귀항을 보다 확실하게 실행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다음으로, 이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선박의 항행 방법, 및 선박을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실시형태와, 귀항 시 전력 공급 공정에 있어서의 전력의 공급 형태만 다르므로, 제1 실시형태와 동일 부분에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함과 함께,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은, 이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선박에 있어서의, 주발전기와 비상용 발전기로부터의 급전 계통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9는, 이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선박의 통상 항행 시에 있어서의 전력 공급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은, 이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선박에서 화재 또는 침수가 발생했을 때의 전력 공급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1은, 이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선박에서 화재 또는 침수가 진정된 후에 자력 항행에 의하여 귀항할 때의 전력 공급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선박(1B)은, 제1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구성에 대하여, 제3 전력 공급 라인(L3), 개폐기(96), 기기 측 스위치 보드(97)를 구비하고 있지 않다.
선박(1B)에는, 비상용 발전기(30)에 접속된 발전기 측 스위치 보드(91)와, 일부의 기기 측 스위치 보드(82)를 접속하는 제3 전력 공급 라인(L4)이 마련되어 있다. 이 제3 전력 공급 라인(L4)에는, 개폐기(99)가 마련되어 있다. 발전기 측 스위치 보드(91)와 기기 측 스위치 보드(82)는, 이 개폐기(99)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접속 및 절단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선박(1B)에 있어서, 통상 항행 시에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의 선박(1A)과 동일하게, 기관실(8A, 8B)에 마련된 주발전기(20A, 20B)로부터 전력을 공급한다. 이때, 제3 전력 공급 라인(L4)의 개폐기(99)는 개방 상태가 되어, 발전기 측 스위치 보드(91)와 기기 측 스위치 보드(82)와는 전기적으로 차단되어 있다.
이로써, 주발전기(20A, 20B)로부터 출력되는 전력은, 발전기 측 스위치 보드(81), 제1 전력 공급 라인(L1), 트랜스(83), 기기 측 스위치 보드(82)를 통하여, 각 통상 기기(100)(항행용 기기(101) 및 거주용 기기(102))에 공급된다. 이로써, 항행용 기기(101)를 구성하는 추진 모터(11), 조타 시스템(12) 등을 작동시켜, 선박(1B)을 항행시킴과 함께, 선박(1B) 내의 각부의 거주용 기기(102)에 급전한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관실(8A) 또는 기관실(8B)에서 화재 또는 침수가 발생한 경우(도 4의 스텝 S2 참조), 주발전기(20A, 20B)로부터의 전력 공급을 정지함과 함께, 비상용 발전기(30)로부터 비상용 기기(103)에 전력을 공급하는 비상 시 전력 공급 공정으로 이행한다(도 4의 스텝 S3 참조). 이로써, 비상용 발전기(30)로부터 출력되는 전력은, 발전기 측 스위치 보드(91), 제2 전력 공급 라인(L2), 트랜스(93), 기기 측 스위치 보드(92)를 통하여, 비상용 기기(103)에 공급된다.
이와 같이 하여 비상용 발전기(30)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하여, 필요에 따라, 배수 펌프(31), 밸러스트 펌프(32), 소화 펌프(33)를 선택적으로 작동시켜, 선체(2) 내에 침입한 물의 배수, 선체(2)의 기울어짐의 개선, 화재의 소화를 행한다. 또한, 비상용 조명(34)에 의하여, 선박(1B) 내의 필요 최소한의 조명을 행한다. 또한, 비상용 발전기(3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하여 적어도 조타 시스템(12)을 작동시킴으로써, 선박(1B)의 표류 등을 방지한다.
기관실(8A) 또는 기관실(8B)에 있어서의 화재 또는 침수가 진정된 경우(도 4의 스텝 S4 참조), 비상용 기기(103)의 배수 펌프(31), 밸러스트 펌프(32), 소화 펌프(33), 비상용 조명(34)의 작동을 정지시킴과 함께, 선박(1B)의 자력 항행 공정을 행하기 위한 귀항 시 전력 공급 공정으로 이행한다(도 4의 스텝 S5 참조).
이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귀항 시 전력 공급 공정에서는, 주발전기(20A) 또는 주발전기(20B)로부터의 전력 공급과, 비상용 발전기(30)로부터의 전력 공급을 연동시킨다. 여기에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3 전력 공급 라인(L4)의 개폐기(99)를 폐쇄 상태로 하고, 제3 전력 공급 라인(L4)을 통하여 발전기 측 스위치 보드(91)와 기기 측 스위치 보드(82)를 접속한다. 이로써, 비상용 발전기(30)로부터 공급된 전력은, 발전기 측 스위치 보드(91), 제3 전력 공급 라인(L4), 기기 측 스위치 보드(82)를 통하여, 귀항용 기기(104)를 구성하는 통상 기기(100)에 공급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비상용 발전기(30)는, 귀항용 기기(104) 중, 부하 변동이 적은 것, 예를 들면, 거주용 기기(102)와, 항행용 기기(101) 중의 조타 시스템(12)에, 전력을 공급한다.
또, 기관실(8A, 8B) 중, 화재 또는 침수가 발생하지 않은 쪽에 마련된 주발전기(20A) 또는 주발전기(20B)는, 귀항용 기기(104)로서, 항행용 기기(101)를 구성하는 추진 모터(11)에 전력을 공급한다.
비상용 발전기(30)는, 주발전기(20A, 20B)보다 설비 용량(또는, 정격 출력)이 낮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선박(1B)에서는, 귀항 시 전력 공급 공정에 있어서, 비상용 발전기(30)에 의하여 공급하는 전력을 고정하고, 주발전기(20A, 20B)에 의하여 공급하는 전력을, 추진 모터(11)의 부하 변동 등에 따라 변동시킨다.
따라서, 상술한 제2 실시형태의 선박의 항행 방법, 및 선박에 의하면, 추진 모터(11)의 부하 변동 등에 따라, 필요로 하는 전력이 변동했을 때에, 비상용 발전기(30)보다 설비 용량(또는, 정격 출력)이 큰 주발전기(20A, 20B)에서 공급하는 전력을 변동시키도록 했다. 이로써, 설비 용량(또는, 정격 출력)이 작은 비상용 발전기(30)에서 공급하는 전력을 변동시키는 경우보다, 큰 부하 변동에 대응할 수 있다. 이로써, 필요로 하는 전력의 변동에 대하여, 공급 전력을, 보다 유연하게 대응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화재 또는 침수가 진정된 후, 주발전기(20A, 20B)뿐만 아니라, 주발전기(20A, 20B)와 비상용 발전기(30)로부터, 귀항을 위한 항행에 필요한 귀항용 기기(104)에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귀항용 기기(104)에 공급할 수 있는 전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 귀항 시 전력 공급 공정에서 작동시켜야 할 주발전기(20A 또는 20B) 중 일부가, 고장이나 메인터넌스 등에 의하여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여도, 귀항용 기기(104)의 일부를 비상용 발전기(30)로부터 공급하는 전력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이로써, 귀항을 위한 항행에 필요한 전력이 부족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화재 또는 침수가 진정된 후의 귀항 시에 필요한 귀항용 기기(104)에 공급하는 전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주발전기(20A, 20B)의 대용량화나 설치 대수의 증가가 불필요해 진다.
그 결과, 기기 비용 상승 및 중량 증가를 억제하면서, 화재 또는 침수 발생 후에 자력 항행에 의하여 귀항할 때에 전력 공급량이 부족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외의 변형 예)
이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상술한 실시형태에 다양한 변경을 추가한 것을 포함한다. 즉, 실시형태에서 언급한 구체적인 형상이나 구성 등은 일례에 지나지 않으며, 적절히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귀항 시 전력 공급에 있어서, 비상용 발전기(30), 주발전기(20A, 20B)로부터의 전력 공급처를 예시했으나, 그 전력 공급처는,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1A, 1B 선박
2 선체
2A 선미부
2F 선수부
2b 선저
2s 현측
3 건현 갑판
4 하부 갑판
5 상부 갑판
6 상부 구조
7 스크루
8A, 8B 기관실
9 가로 격벽
11 추진 모터
12 조타 시스템
20A, 20B 주발전기
21 공조 기기
22 냉장·냉동 시스템
23 음료수 설비
24 화장실 배수 설비
25 거주 구역 설비
26 조리 설비
27 일반 조명
30 비상용 발전기
31 배수 펌프
32 밸러스트 펌프
33 소화 펌프
34 비상용 조명
81, 91 발전기 측 스위치 보드
82, 92, 97 기기 측 스위치 보드
83, 93 트랜스
96, 99 개폐기
100 통상 기기
101 항행용 기기
102 거주용 기기
103 비상용 기기
104 귀항용 기기
FA 선수미 방향
L1 제1 전력 공급 라인
L2 제2 전력 공급 라인
L3, L4 제3 전력 공급 라인

Claims (7)

  1. 통상 항행 시에 이용하는 항행용 기기 및 선체 내에 마련된 거주용 기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복수의 주발전기와, 화재 또는 침수가 발생했을 때에 비상용 기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비상용 발전기를 구비한 선박의 항행 방법으로서,
    화재 또는 침수에 의하여 복수의 상기 주발전기 중 적어도 일부가 사용 불능일 때에, 상기 비상용 발전기에 의하여 상기 비상용 기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비상 시 전력 공급 공정과,
    화재 또는 침수가 진정된 후, 상기 주발전기와 상기 비상용 발전기에서, 귀항을 위한 항행에 필요한 귀항용 기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귀항 시 전력 공급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귀항 시 전력 공급 공정에 있어서, 상기 주발전기보다 설비 용량이 작은 상기 비상용 발전기에서 공급하는 전력을 고정하고, 상기 주발전기에서 공급하는 전력을 필요에 따라 변동시키는 선박의 항행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귀항 시 전력 공급 공정에 있어서, 상기 비상용 발전기는, 상기 거주용 기기의 적어도 일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선박의 항행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귀항 시 전력 공급 공정에 있어서, 상기 주발전기는, 상기 항행용 기기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거주용 기기의 다른 일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선박의 항행 방법.
  4. 삭제
  5. 선체와,
    상기 선체 내에 마련된 복수의 주발전기와,
    상기 선체 내에 마련된 비상용 발전기와,
    통상 항행 시에 이용되는 항행용 기기 및 상기 선체 내에 마련된 거주용 기기와 복수의 상기 주발전기를 접속하는 제1 전력 공급 라인과,
    화재 또는 침수가 발생했을 때에 이용되는 비상용 기기와 상기 비상용 발전기를 접속하는 제2 전력 공급 라인과,
    화재 또는 침수가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거주용 기기 중 일부이며 선박을 귀항시키기 위한 항행 시에 이용되는 귀항용 기기와 상기 비상용 발전기를 접속하는 제3 전력 공급 라인을 구비하고,
    상기 귀항용 기기는,
    상기 제 1 전력 공급 라인에 추가로 접속되고, 상기 제 1 전력 공급 라인에 의한 전력 공급과, 상기 제 3 전력 공급 라인에 의한 전력 공급을 전환 가능하게 되어 있는 선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주발전기는 상기 선체 내의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비상용 발전기는, 상기 선체의 상부 갑판 위 부위에 마련되어 있는, 선박.
  7. 삭제
KR1020197000905A 2016-12-07 2017-07-03 선박의 항행 방법, 및 선박 KR1021243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237284A JP6569141B2 (ja) 2016-12-07 2016-12-07 船舶の航行方法、及び船舶
JPJP-P-2016-237284 2016-12-07
PCT/JP2017/024364 WO2018105160A1 (ja) 2016-12-07 2017-07-03 船舶の航行方法、及び船舶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7942A KR20190017942A (ko) 2019-02-20
KR102124311B1 true KR102124311B1 (ko) 2020-06-18

Family

ID=62492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0905A KR102124311B1 (ko) 2016-12-07 2017-07-03 선박의 항행 방법, 및 선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027815B2 (ko)
EP (1) EP3552948B1 (ko)
JP (1) JP6569141B2 (ko)
KR (1) KR102124311B1 (ko)
CN (1) CN109476367B (ko)
WO (1) WO20181051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72002B2 (ja) 2020-11-20 2024-04-22 三菱造船株式会社 船舶、船舶へのユニットキャビンの設置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0987A (ja) * 1999-03-30 2000-10-10 Shin Kurushima Dockyard Co Ltd 船舶用独立型非常発電装置
JP2002315195A (ja) 2001-04-13 2002-10-25 Toyofuji Kaiun Kk 船舶用太陽光発電利用給電設備
JP2004359112A (ja) 2003-06-04 2004-12-24 Higaki Shipbuilding Co Ltd 船舶推進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8126776A (ja) 2006-11-17 2008-06-05 Tsuji Sangyo Kk 制御装置
JP2013076409A (ja) 2013-01-17 2013-04-25 Man Diesel & Turbo Filial Af Man Diesel & Turbo Se Tyskland 船舶用推進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24855B2 (ja) * 1998-03-16 2008-07-23 東芝三菱電機産業システム株式会社 船舶用電源装置
EP1246754B1 (de) * 2000-01-14 2005-10-26 Siemens Aktiengesellschaft Schiffsantriebssystem mit in der dynamik angepasster regelung
JP2003137168A (ja) 2001-10-31 2003-05-14 Ihi Marine United Inc 旅客船兼自動車航送船の機関区域構造
KR20080110561A (ko) * 2008-10-14 2008-12-18 이원강 일반부하 제어 형 소방겸용 자가발전기
US8479673B1 (en) 2011-04-18 2013-07-09 Ledder High Risk Capital Ventures, Lp Vessel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of offshore renewable energy resources
DE102011076073B4 (de) * 2011-05-18 2013-01-03 Mtu Friedrichshafen Gmbh Verfahren zur Steuerung und Regelung eines Brennkraftmaschinen-Generator-Systems, Einrichtung zur Steuerung und Regelung sowie Brennkraftmaschinen-Generator-System und Land- oder Wasserfahrzeug oder stationäre Anlage zur Erzeugung elektrischer Energie
WO2014155520A1 (ja) * 2013-03-26 2014-10-02 京浜ドック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タグボートの電池室
JP2016078478A (ja) 2014-10-09 2016-05-1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船舶の電力制御方法及び船舶
ES2708177T3 (es) * 2015-01-15 2019-04-09 Siemens Ag Distribución de potencia en una embarcación
CN205574217U (zh) * 2016-04-22 2016-09-14 佛山市派能机电有限公司 电力推进内河运输船
EP3498584B1 (en) * 2016-09-15 2021-03-24 Mitsubishi Shipbuilding Co., Ltd. Ship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0987A (ja) * 1999-03-30 2000-10-10 Shin Kurushima Dockyard Co Ltd 船舶用独立型非常発電装置
JP2002315195A (ja) 2001-04-13 2002-10-25 Toyofuji Kaiun Kk 船舶用太陽光発電利用給電設備
JP2004359112A (ja) 2003-06-04 2004-12-24 Higaki Shipbuilding Co Ltd 船舶推進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8126776A (ja) 2006-11-17 2008-06-05 Tsuji Sangyo Kk 制御装置
JP2013076409A (ja) 2013-01-17 2013-04-25 Man Diesel & Turbo Filial Af Man Diesel & Turbo Se Tyskland 船舶用推進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52948A1 (en) 2019-10-16
JP2018090182A (ja) 2018-06-14
CN109476367B (zh) 2020-12-22
WO2018105160A1 (ja) 2018-06-14
EP3552948A4 (en) 2020-08-19
EP3552948C0 (en) 2023-08-30
CN109476367A (zh) 2019-03-15
US11027815B2 (en) 2021-06-08
EP3552948B1 (en) 2023-08-30
KR20190017942A (ko) 2019-02-20
JP6569141B2 (ja) 2019-09-04
US20190291841A1 (en) 2019-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66849T3 (es) Sistema de equipamiento de buques tipo marinos (militares) para la propulsion electrica de buques marinos (militares) de diferentes tamaños y potencias de propulsion.
CN109562818B (zh) 具有多个燃料管路的船舶
KR102150167B1 (ko) 저압 배전이 적용된 선박
ES2818093T3 (es) Sistema de suministro de energía de una embarcación flotante
ES2426776T3 (es) Sistema de propulsor redundante
KR20120002216A (ko)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전기 설비 배치구조
KR20160027899A (ko) 부체식(浮體式) 해상설비, 및 부체식 해상설비의 전력공급방법
KR20190051077A (ko) 상이한 보호 구역들로 분리된 dc 전력 시스템
KR102124311B1 (ko) 선박의 항행 방법, 및 선박
US6240867B1 (en) Distributed machinery structure for ships
KR102562066B1 (ko) 중복 전원 공급 시스템
CN209096993U (zh) 一种船舶的燃油系统
KR20120007737A (ko) 발전 장치를 갖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
CN112564270A (zh) 一种船舶的配电板电路和船舶配电系统
JP2002220091A (ja) コンテナ船
JP2021109476A (ja) 船舶
KR102055469B1 (ko) 드릴십
KR102055470B1 (ko) 드릴십
JP7176891B2 (ja) 船舶
Roa Abs rules for integrated power systems (ips)
KR102069920B1 (ko) 드릴십
KR20150019075A (ko) 컨테이너선의 배전시스템
KR20180001935U (ko) 해양 구조물의 소방 펌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