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935U - 해양 구조물의 소방 펌프 시스템 - Google Patents

해양 구조물의 소방 펌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935U
KR20180001935U KR2020160007381U KR20160007381U KR20180001935U KR 20180001935 U KR20180001935 U KR 20180001935U KR 2020160007381 U KR2020160007381 U KR 2020160007381U KR 20160007381 U KR20160007381 U KR 20160007381U KR 20180001935 U KR20180001935 U KR 2018000193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generator
pump
power
fire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73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덕기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600073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1935U/ko
Publication of KR201800019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93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5/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5/0077Safety measur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7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 A62C3/1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in sh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5/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5/0027Varying behaviour or the very pump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방 펌프용 발전기 일부를 선내 전원 공급용 발전기와 같은 공간에 설치하고 전원 배전반을 통합하여 비상 모드시 소방 펌프용 발전기를 비상 부하용으로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해양 구조물의 소방 펌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각각 독립된 공간에 설치되어 소방 펌프에 전원을 공급하는 복수의 제1소방 펌프용 발전기; 선내 전원 공급용 발전기와 같은 공간에 설치되어 소방 펌프에 전원을 공급하는 복수의 제2소방 펌프용 발전기; 상기 복수의 제2소방 펌프용 발전기에 의해 생성된 전원을 선내에 공급하는 복수의 스위치; 및 비상 모드시 상기 제2소방 펌프용 발전기 중에서 운전 모드로 설정된 제2소방 펌프용 발전기를 구동시키고, 상기 구동된 제2소방 펌프용 발전기에 의해 생성된 전원이 선내에 공급되도록 상기 스위치의 개폐를 제어하는 전원 제어 관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소방 펌프용 발전기 일부를 선내 전원 공급용 발전기와 같은 공간에 설치하고 전원 배전반을 통합하여 비상 모드시 소방 펌프용 발전기를 비상 부하용으로 구동시킬 수 있게 됨에 따라, 비상 모드시 선내 필요 전기 부하에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되고, 소방 펌프용 발전기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해양 구조물의 소방 펌프 시스템{FIRE WATER PUMP SYSTEM OF OFFSHORE STRUCTURE}
본 고안은 해양 구조물의 소방 펌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소방 펌프용 발전기 일부를 선내 전원 공급용 발전기와 같은 공간에 설치하고 전원 배전반을 통합하여 비상 모드시 소방 펌프용 발전기를 비상 부하용으로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해양 구조물의 소방 펌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 FLNG(Floating Liquid Natural Gas Plant),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Offloading) 등과 같은 해양 구조물에는 화재 발생시 신속한 화재 진압을 위한 소방 설비가 구비되어야 한다.
해양 구조물에 설치되는 소방 펌프 설비는 열식 또는 연식 화재 감지 장치, 소방 장치 등으로 이루어지며, 소방 장치로는 해수를 이용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해수 소방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해수 소방 장치는 해수를 펌핑하는 소방 펌프(Fire Water Pump)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소방 펌프는 소방 펌프용 발전기에 의해 구동된다.
소방 펌프용 발전기는 화재 발생 시의 소방 구역 면적을 고려하여 용량이 결정되며, 선내 전원 공급에 문제가 발생한 비상 시에도 전력을 생산할 수 있도록 독립적으로 운전되어야 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소방 펌프용 발전기를 독립적으로 운전하게 되는 경우에는, 각각의 소방 펌프용 발전기가 설치될 독립적인 공간이 필요하게 되고, 각각의 소방 펌프용 발전기가 설치된 공간에 각종 감지 센서를 각각 설치해야 하며, 독립된 공간에 각각 설치된 소방 펌프용 발전기에 대한 안정성 및 안전 기능을 각각 수행해야 하는 등 소방 펌프용 발전기를 독립적으로 운전하게 되는 경우에는 설치 공간 및 비용적인 면에서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소방 펌프용 발전기를 독립적으로 운전하게 되는 경우에는, 대용량의 소방 펌프용 발전기를 화재 발생시 외에는 사용하지 않으므로, 활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49416호(공개일 2014.04.25.)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소방 펌프용 발전기 일부를 선내 전원 공급용 발전기와 같은 공간에 설치하고 전원 배전반을 통합하여 비상 모드시 소방 펌프용 발전기를 비상 부하용으로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해양 구조물의 소방 펌프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의 소방 펌프 시스템은, 각각 독립된 공간에 설치되어 소방 펌프에 전원을 공급하는 복수의 제1소방 펌프용 발전기; 선내 전원 공급용 발전기와 같은 공간에 설치되어 소방 펌프에 전원을 공급하는 복수의 제2소방 펌프용 발전기; 상기 복수의 제2소방 펌프용 발전기에 의해 생성된 전원을 선내에 공급하는 복수의 스위치; 및 비상 모드시 상기 제2소방 펌프용 발전기 중에서 운전 모드로 설정된 제2소방 펌프용 발전기를 구동시키고, 상기 구동된 제2소방 펌프용 발전기에 의해 생성된 전원이 선내에 공급되도록 상기 스위치의 개폐를 제어하는 전원 제어 관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의 소방 펌프 시스템에서, 상기 전원 제어 관리부는, 비상 모드시 상기 제2소방 펌프용 발전기 중에서 운전 모드로 설정된 제2소방 펌프용 발전기에 고장이 발생하면, 대기 모드로 설정된 제2소방 펌프용 발전기를 운전 모드로 전환하여 구동시키고, 운전 모드로 전환된 제2소방 펌프용 발전기에 의해 생성된 전원이 선내에 공급되도록 상기 스위치의 개폐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해양 구조물의 소방 펌프 시스템에 따르면, 소방 펌프용 발전기 일부를 선내 전원 공급용 발전기와 같은 공간에 설치하고 전원 배전반을 통합하여 비상 모드시 소방 펌프용 발전기를 비상 부하용으로 구동시킬 수 있게 됨에 따라, 비상 모드시 선내 필요 전기 부하에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소방 펌프용 발전기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소방 펌프용 발전기 일부를 선내 전원 공급용 발전기와 같은 공간에 설치함으로써, 별도의 소방 펌프용 독립된 구역이 필요 없으며, 소방 펌프 시스템 설치 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되고, 소방 펌프 시스템 설치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의 소방 펌프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의 소방 펌프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의 소방 펌프 시스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양 구조물의 소방 펌프 시스템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시스템 안정성 등을 고려하여 4대의 소방 펌프용 발전기로 구축된 소방 펌프 시스템을 예로 들어 설명을 진행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의 소방 펌프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1에서, 소방 펌프(10-1, 10-2, 10-3, 10-4)는 소방 펌프용 발전기(20-1, 20-2, 20-3, 20-4)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어 해수를 공급한다.
제1소방 펌프용 발전기(20-1, 20-2)는 각각 독립된 공간에 설치되며, 전원 제어 관리부(50)의 제어하에 구동되어 소방 펌프(10-1, 10-2)에 각각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서, 제1소방 펌프용 발전기(20-1)는 독립된 구역인 제4발전기 룸에 설치되고, 제1소방 펌프용 발전기(20-2)는 독립된 구역인 제1발전기 룸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소방 펌프용 발전기(20-1)가 운전 모드로 설정되면, 나머지 제1소방 펌프용 발전기(20-2)는 대기 모드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소방 펌프용 발전기(20-3, 20-4)는 선내 전원 공급용 발전기(30-1, 30-2, 30-3)가 설치되어 있는 공간에 설치되며, 전원 제어 관리부(50)의 제어하에 구동되어 소방 펌프(10-3, 10-4)에 각각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서, 제2소방 펌프용 발전기(20-3)는 선내 전원 공급용 발전기(30-1, 30-3)가 설치되어 있는 제3발전기 룸에 설치되고, 제2소방 펌프용 발전기(20-4)는 선내 전원 공급용 발전기(30-2)가 설치되어 있는 제2발전기 룸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소방 펌프용 발전기(20-3)가 운전 모드로 설정되면, 나머지 제2소방 펌프용 발전기(20-4)는 대기 모드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위치(40-1, 40-2, 40-3, 40-4, 40-5)는 전원 제어 관리부(50)의 제어하에 개폐되어 제2소방 펌프용 발전기(20-3 또는 20-4)에 의해 생성된 전원을 선내에 공급한다.
전원 제어 관리부(50)는 선내에 전원 공급이 정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정상 모드시 운전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제2소방 펌프용 발전기(20-3)에 의해 생성된 전원이 소방 펌프(10-3)로만 공급되도록 스위치(40-1, 40-2, 40-3, 40-4, 40-5)의 개폐를 제어한다.
그리고 정상 모드시 운전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제2소방 펌프용 발전기(20-3)에 고장이 발생하면, 운전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제2소방 펌프용 발전기(20-3)를 대기 모드로 전환하고, 대기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제2소방 펌프용 발전기(20-4)를 운전 모드로 전환하고, 제2소방 펌프용 발전기(20-4)에 의해 생성된 전원이 소방 펌프(10-4)로만 공급되도록 스위치(40-1, 40-2, 40-3, 40-4, 40-5)의 개폐를 제어한다.
또한, 전원 제어 관리부(50)는 선내 전원 공급에 문제가 발생한 비상 모드시 제2소방 펌프용 발전기(20-3, 20-4) 중에서 운전 모드로 설정된 제2소방 펌프용 발전기(20-3)를 구동시키고, 제2소방 펌프용 발전기(20-3)가 구동됨에 따라 생성된 전원이 선내에 공급되도록 스위치(40-1, 40-2, 40-3, 40-4, 40-5)의 개폐를 제어한다.
또한, 전원 제어 관리부(50)는 비상 모드시 운전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제2소방 펌프용 발전기(20-3)에 고장이 발생하면, 대기 모드로 설정된 제2소방 펌프용 발전기(20-4)를 운전 모드로 전환한 후, 제2소방 펌프용 발전기(20-4)를 구동시키고, 운전 모드로 전환된 제2소방 펌프용 발전기(20-4)에 의해 생성된 전원이 선내에 공급되도록 스위치(40-1, 40-2, 40-3, 40-4, 40-5)의 개폐를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의 소방 펌프 시스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제1소방 펌프용 발전기(20-1)와 제1소방 펌프용 발전기(20-2)는 독립된 구역인 제4발전기 룸과 제1발전기 룸에 각각 설치되고, 제2소방 펌프용 발전기(20-3)는 선내 전원 공급용 발전기(30-1, 30-3)가 설치되어 있는 제3발전기 룸에 설치되며, 제2소방 펌프용 발전기(20-4)는 선내 전원 공급용 발전기(30-2)가 설치되어 있는 제2발전기 룸에 설치된다.
여기서, 제1소방 펌프용 발전기(20-1)와 제2소방 펌프용 발전기(20-3)는 운전 모드로 설정되어 있고, 제1소방 펌프용 발전기(20-2)와 제2소방 펌프용 발전기(20-4)는 대기 모드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제3발전기 룸에 설치되어 있는 선내 전원 공급용 발전기(30-1, 30-3)와 제2발전기 룸에 설치되어 있는 선내 전원 공급용 발전기(30-2)는 정상적으로 구동되어 각 전원 배전반을 통해 선내에 전원을 공급한다.
선내에 전원 공급이 정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정상 모드 시에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위치(40-1, 40-2, 40-3, 40-4, 40-5)는 전원 제어 관리부(50)의 제어하에 모두 개방되어 있다.
이러한 정상 모드에서 운전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제2소방 펌프용 발전기(20-3)에 고장이 발생하면, 전원 제어 관리부(50)는 운전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제2소방 펌프용 발전기(20-3)를 대기 모드로 전환하고, 대기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제2소방 펌프용 발전기(20-4)를 운전 모드로 전환한다.
여기서, 스위치(40-1, 40-2, 40-3, 40-4, 40-5)는 전원 제어 관리부(50)의 제어하에 모두 개방되어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운전 모드로 설정된 제1소방 펌프용 발전기(20-1)와 제2소방 펌프용 발전기(20-3)가 정상 모드에서 정상 운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선내 전원 공급에 문제가 발생하게 되면, 즉 비상 모드 시에, 전원 제어 관리부(50)는 운전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제2소방 펌프용 발전기(20-3)를 구동시키고, 스위치(40-1, 40-2, 40-3, 40-4, 40-5)의 개폐를 제어하여 제2소방 펌프용 발전기(20-3)에 의해 발생되는 전원이 비상 부하용으로 선내에 공급되도록 한다.
여기서, 제2소방 펌프용 발전기(20-3)에 의해 발생된 전원이 선내에 공급되도록 전원 제어 관리부(50)는 스위치(40-5)는 개방시키고, 스위치(40-1, 40-2, 40-3, 40-4)는 폐쇄시킨다.
이러한 비상 모드에서 운전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제2소방 펌프용 발전기(20-3)에 고장이 발생하면, 전원 제어 관리부(50)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운전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제2소방 펌프용 발전기(20-3)를 대기 모드로 전환하고, 대기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제2소방 펌프용 발전기(20-4)를 운전 모드로 전환한 후, 운전 모드로 전환된 제2소방 펌프용 발전기(20-4)를 구동시킨다.
그리고 스위치(40-1, 40-2, 40-3, 40-4, 40-5)의 개폐를 제어하여 제2소방 펌프용 발전기(20-4)에 의해 발생되는 전원이 비상 부하용으로 선내에 공급되도록 한다.
여기서, 제2소방 펌프용 발전기(20-4)에 의해 발생된 전원이 선내에 공급되도록 전원 제어 관리부(50)는 스위치(40-1)는 개방시키고, 스위치(40-2, 40-3, 40-4, 40-5)는 폐쇄시킨다.
본 고안의 해양 구조물의 소방 펌프 시스템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1, 10-2, 10-3, 10-4. 소방 펌프,
20-1, 20-2, 20-3, 20-4. 소방 펌프용 발전기,
30-1, 30-2, 30-3. 선내 전원 공급용 발전기,
40-1, 40-2, 40-3, 40-4, 40-5. 스위치,
50. 전원 제어 관리부

Claims (4)

  1. 각각 독립된 공간에 설치되어 소방 펌프에 전원을 공급하는 복수의 제1소방 펌프용 발전기;
    선내 전원 공급용 발전기와 같은 공간에 설치되어 소방 펌프에 전원을 공급하는 복수의 제2소방 펌프용 발전기;
    상기 복수의 제2소방 펌프용 발전기에 의해 생성된 전원을 선내에 공급하는 복수의 스위치; 및
    비상 모드시 상기 제2소방 펌프용 발전기 중에서 운전 모드로 설정된 제2소방 펌프용 발전기를 구동시키고, 상기 구동된 제2소방 펌프용 발전기에 의해 생성된 전원이 선내에 공급되도록 상기 스위치의 개폐를 제어하는 전원 제어 관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해양 구조물의 소방 펌프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제어 관리부는,
    비상 모드시 상기 제2소방 펌프용 발전기 중에서 운전 모드로 설정된 제2소방 펌프용 발전기에 고장이 발생하면, 대기 모드로 설정된 제2소방 펌프용 발전기를 운전 모드로 전환하여 구동시키고, 운전 모드로 전환된 제2소방 펌프용 발전기에 의해 생성된 전원이 선내에 공급되도록 상기 스위치의 개폐를 제어하는 해양 구조물의 소방 펌프 시스템.
  3. 상기 전원 제어 관리부는,
    정상 모드시 상기 제2소방 펌프용 발전기 중에서 운전 모드로 설정된 제2소방 펌프용 발전기에 의해 생성되는 전원이 소방 펌프로만 공급되도록 상기 스위치의 개폐를 제어하는 해양 구조물의 소방 펌프 시스템.
  4. 상기 전원 제어 관리부는,
    정상 모드시 상기 제2소방 펌프용 발전기 중에서 운전 모드로 설정된 제2소방 펌프용 발전기에 고장이 발생하면, 대기 모드로 설정된 제2소방 펌프용 발전기를 운전 모드로 전환하고, 운전 모드로 전환된 제2소방 펌프용 발전기에 의해 생성되는 전원이 소방 펌프로만 공급되도록 상기 스위치의 개폐를 제어하는 해양 구조물의 소방 펌프 시스템.
KR2020160007381U 2016-12-20 2016-12-20 해양 구조물의 소방 펌프 시스템 KR2018000193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7381U KR20180001935U (ko) 2016-12-20 2016-12-20 해양 구조물의 소방 펌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7381U KR20180001935U (ko) 2016-12-20 2016-12-20 해양 구조물의 소방 펌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935U true KR20180001935U (ko) 2018-06-28

Family

ID=62749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7381U KR20180001935U (ko) 2016-12-20 2016-12-20 해양 구조물의 소방 펌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1935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9416A (ko) 2012-10-17 2014-04-2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소방 펌프 가동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9416A (ko) 2012-10-17 2014-04-2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소방 펌프 가동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348050U (zh) 消防泵控制系统及消防泵控制器
EP2243700B1 (en) Redundant thruster system
KR20120002216A (ko)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전기 설비 배치구조
KR20180001935U (ko) 해양 구조물의 소방 펌프 시스템
KR102251638B1 (ko) 선박의 스프링클러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선박
JP6569141B2 (ja) 船舶の航行方法、及び船舶
KR20210022294A (ko) 액화가스 추진선박의 배전시스템
KR20120133690A (ko) 드릴쉽용 연료유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드릴쉽
KR20130127752A (ko) 발전기 엔진 시동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54586B1 (ko) 엔진 정지 방법
CN103656927B (zh) 集装箱船应急消防泵系统
CN203620122U (zh) 集装箱船应急消防泵系统
KR102213007B1 (ko) 반잠수식 리그
KR20180044670A (ko) 선박의 동적 위치 제어 시스템
KR20130042153A (ko) 소화주관 압력을 이용한 선박의 비상 통풍장치
KR101623121B1 (ko) 디젤 엔진의 과속현상 방지시스템 및 방법
JP2006019036A (ja) 非常用燃料電池発電装置の管理方法
KR20120053734A (ko) 해양구조물의 전력계통 안정화 장치
CN220152003U (zh) 一种冗余式压载阀门控制系统
JP7256697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
KR20160074913A (ko)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위치 제어 시스템
KR20120043338A (ko) Dps-3 선박에서의 주 발전기 시동 공기 시스템 및 dps-3 선박에서의 주 발전기 시동 공기 시스템의 작동 방법
CN115180112B (zh) 一种船舶上的空调控制系统
KR20140125505A (ko) 선박용 통합 환기시스템
JP6716005B1 (ja) 個別停電検出装置及び個別停電検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