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3007B1 - 반잠수식 리그 - Google Patents

반잠수식 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3007B1
KR102213007B1 KR1020160106279A KR20160106279A KR102213007B1 KR 102213007 B1 KR102213007 B1 KR 102213007B1 KR 1020160106279 A KR1020160106279 A KR 1020160106279A KR 20160106279 A KR20160106279 A KR 20160106279A KR 102213007 B1 KR102213007 B1 KR 1022130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boards
booth
pairs
thrusters
ti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6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1556A (ko
Inventor
임정규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6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3007B1/ko
Publication of KR20180021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15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3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30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12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motor-driven
    • B63H21/17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motor-driven by electric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35/4413Floating drilling platform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42Steering or dynamic anchoring by propulsive elements; Steering or dynamic anchoring by propellers used therefor only; Steering or dynamic anchoring by rudders carrying prope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5/07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 B63H5/125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movably mounted with respect to hull, e.g. adjustable in direction, e.g. podded azimuthing thru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3/00Driving of auxiliaries
    • B63J3/04Driving of auxiliaries from power plant other than propulsion power pl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2Spar-type semi-submersible structures, i.e. shaped as single slender, e.g. substantially cylindrical or trussed vertical bodies
    • B63B2755/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3/00Driving of auxiliaries
    • B63J2003/001Driving of auxiliaries characterised by type of power supply, or power transmission, e.g. by using electric power or steam
    • B63J2003/002Driving of auxiliaries characterised by type of power supply, or power transmission, e.g. by using electric power or steam by using electric pow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잠수식 리그선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의 쓰러스터; 데크 상의 선미측에 일렬로 마련되는 제1 내지 제4 엔진룸; 상기 제1 내지 제4 엔진룸 각각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쓰러스터에 전력을공급하는 복수의 발전기; 상기 데크 상의 선미측에서, 상기 제1 내지 제4 엔진룸의 일측에 적층 구조로 마련되는 제1,3측 스위치보드롬과, 상기 제1 내지 제4 엔진룸의 일측에 적층 구조로 마련되는 제2,4 스위치보드룸; 상기 제1 내지 제4 스위치보드룸 각각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쓰러스터 사이에서 전력을 단속하는 제1 내지 제4 스위치보드; 및 상기 제1 내지 제4 스위치보드 각각의 사이에 마련되어 부스-타이 컨트롤을 통해 환경 상황에 맞게 전환되면서 다양한 스플릿 모드를 수행하는 폐쇄 루프 부스-타이(Closed Loop Bus-Tie)의 컨트롤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제1 내지 제4 부스-타이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반잠수식 리그{Semi-submersible Rig}
본 발명은 반잠수식 리그선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건조되는 드릴쉽이나 반잠수식 리그선은 역동적인 환경속에서도 드릴링(Drilling) 작업을 잘 수행하기 위해 최고 수준의 동적위치제어(Dynamic Positioning keeping)기술이 필수적이다. 즉 DP-3 Class 디자인이 요구되는데, 선급(Class)은 발전(Power Generation), 배전(Power Distribution), 쓰러스터 테크놀로지(Thruster Technology), 최적통합제어시스템(Advanced Integrated Control System)의 기술발전 산물을 적용하여, 기존 딘포스 노테이션(DYNPOS Notation)과 병합하여 쓸 수 있는 딘포스-이알 노테이션(DYNPOS-ER Notation)을 새롭게 적용(Issue)하였다.
딘포스-이알(DYNPOS-ER)은 싱글 부스 오퍼레이션(Single bus Operation)을 위해 추가된 룰(Rule)로 발전기 보호(Generator Protection)(DGMS 등) 장비 설치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기존의 러닝 머시너리 리던던시(Running Machinery Redundancy)가 아닌 스텐-바이 스타트/체인지-오버(Stand-by Start/Change-over)에 의한 리던던시를 기반으로 페일 모드(Fail Mode)에 중점을 둠에 따라 하드웨어(Hardware)를 이용한 방법보다는 세련된 소프트웨어(Software)가 필요하다.
반잠수식 리그선은 드릴쉽과 구조적으로 다르기 때문에, 위치제어를 위해 8쌍의 발전기-쓰러스터 세트(Generator-Thruster Set) 및 네 구역의 스위치보드(SWBD)가 필요하며, DP-3 Class 만족을 위해 구조적으로 분리된 케이블 루트 세그리게이션(Cable Route Segregation)이 필요하다. 발전기에서 생산된 전력은 전력 관리 시스템(Power Management System)의 부하분석(Load Analysis)에 따라 메인 스위치보드(Main SWBD)를 통해 각 쓰러스터로 동력을 전달한다.
그런데 기존의 전력 관리 시스템은, 부스-타이(Bus-Tie)의 컨트롤이 개방 루프(Open Loop)이므로, 네 구역의 스위치보드가 서로 독립적(Open loop)이기 때문에 위치제어를 위해 각 구역별로 최소 한 개 이상의 발전기가 구동 되어야 하므로, 전체적으로는 최소 네 개 이상의 발전기가 동작해야 한다. 이로써, 기존의 전력 관리 시스템은, 선박 위치제어를 유연하고 안정하게 할 수 있는데 한계가 있고, 연료 사용 측면에서 경제적이지 못하였고, 환경적으로 영향을 많이 받을 수 밖에 없으며, 원활한 전력공급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폐쇄 루프 부스-타이(Closed Loop Bus-Tie)의 컨트롤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네 구역의 스위치보드가 서로 연결(Closed Loop)되어 있으므로 싱글 부스-타이 컨트롤(Single Bus-Tie Control)이 가능하여 복수의 쓰러스터의 부하가 별로 없을 때는 각 구역에 상관 없이 복수의 발전기 중에서 최소 한 개 또는 두 개의 발전기를 구동하여 동적위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반잠수식 리그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반잠수식 리그선은, 복수의 쓰러스터; 데크 상의 선미측에 일렬로 마련되는 제1 내지 제4 엔진룸; 상기 제1 내지 제4 엔진룸 각각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쓰러스터에 전력을공급하는 복수의 발전기; 상기 데크 상의 선미측에서, 상기 제1 내지 제4 엔진룸의 일측에 적층 구조로 마련되는 제1,3측 스위치보드롬과, 상기 제1 내지 제4 엔진룸의 일측에 적층 구조로 마련되는 제2,4 스위치보드룸; 상기 제1 내지 제4 스위치보드룸 각각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쓰러스터 사이에서 전력을 단속하는 제1 내지 제4 스위치보드; 및상기 제1 내지 제4 스위치보드 각각의 사이에 마련되어 부스-타이 컨트롤을 통해 환경 상황에 맞게 전환되면서 다양한 스플릿 모드를 수행하는 폐쇄 루프 부스-타이(Closed Loop Bus-Tie)의 컨트롤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제1 내지 제4 부스-타이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의 쓰러스터는, 좌우현측 폰툰의 전후방 각각에 한 쌍씩 네 쌍이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발전기는, 상기 네 쌍의 쓰러스터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네 쌍이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스위치보드는, 상기 네 쌍의 스러스터 중 각각의 쌍과 상기 네 쌍의 발전기 중 각각의 쌍에 연결되는 상기 제1 내지 제4 스위치보드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부스-타이 스위치는, 상기 복수의 부스-타이 스위치는, 상기 제1 스위치보드와 상기 제4 스위치보드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제2 부스-타이 스위치는, 상기 제1 스위치보드와 상기 제2 스위치보드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제3 부스-타이 스위치는, 상기 제2 스위치보드와 상기 제3 스위치보드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제4 부스-타이 스위치는, 상기 제3 스위치보드와 상기 제4 스위치보드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내지 제4 부스-타이 스위치 각각은, 부스-타이 컨트롤을 통해 전환되면서 노-스플릿 모드, 원-스플릿 모드, 투-스플릿 모드, 쓰리-스플릿 모드 또는 올-스플릿 모드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노-스플릿 모드는, 상기 제1 내지 제4 스위치보드가 직렬로 연결되도록, 상기 제1 내지 제4 부스-타이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여 폐쇄 루프를 이루고, 상기 제1 내지 제4 스위치보드가 하나의 그룹으로 상호 공조를 이루어 작동되어, 상기 제1 내지 제4 스위치보드에 연결되는 상기 네 쌍의 발전기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 개의 발전기의 구동으로 상기 제1 내지 제4 스위치보드에 연결되는 상기 네 쌍의 쓰러스터가 작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원-스플릿 모드는, 상기 제1 내지 제4 스위치보드 중에서 세 개의 스위치보드가 직렬로 연결되고, 나머지 한 개의 스위치보드가 분리되도록, 상기 제1 내지 제4 부스-타이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여 부분 폐쇄 루프를 이루고, 상기 세 개의 스위치보드가 하나의 그룹으로 상호 공조를 이루어 작동되어, 상기 세 개의 스위치보드에 연결되는 세 쌍의 발전기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 개의 발전기의 구동으로 상기 세 개의 스위치보드에 연결되는 세 쌍의 쓰러스터가 작동되고, 상기 나머지 한 개의 스위치보드가 독립적으로 작동되어, 상기 나머지 한 개의 스위치보드에 연결되는 나머지 한 쌍의 발전기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 개의 발전기의 구동으로 상기 나머지 한 개의 스위치보드에 연결되는 나머지 한 쌍의 쓰러스터가 작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투-스플릿 모드는, 상기 제1 내지 제4 스위치보드 중에서 두 개의 스위치보드가 직렬로 연결되고, 나머지 두 개의 스위치보드가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두 개의 스위치보드와 상기 나머지 두 개의 스위치보드가 분리되도록, 상기 제1 내지 제4 부스-타이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여 부분 폐쇄 루프를 이루고, 상기 두 개의 스위치보드가 하나의 그룹으로 상호 공조를 이루어 작동되어, 상기 두 개의 스위치보드에 연결되는 두 쌍의 발전기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 개의 발전기의 구동으로 상기 두 개의 스위치보드에 연결되는 두 쌍의 쓰러스터가 작동되고, 상기 나머지 두 개의 스위치보드가 또 하나의 그룹으로 상호 공조를 이루어 작동되어, 상기 나머지 두 개의 스위치보드에 연결되는 나머지 두 쌍의 발전기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 개의 발전기의 구동으로 상기 나머지 두 개의 스위치보드에 연결되는 나머지 두 쌍의 쓰러스터가 작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쓰리-스플릿 모드는, 상기 제1 내지 제4 스위치보드 중에서 두 개의 스위치보드가 직렬로 연결되고, 나머지 한 개의 스위치보드가 분리되고, 다른 나머지 한 개의 스위치보드가 분리되도록, 상기 제1 내지 제4 부스-타이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여 부분 폐쇄 루프를 이루고, 상기 두 개의 스위치보드가 하나의 그룹으로 상호 공조를 이루어 작동되어, 상기 두 개의 스위치보드에 연결되는 두 쌍의 발전기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 개의 발전기의 구동으로 상기 두 개의 스위치보드에 연결되는 두 쌍의 쓰러스터가 작동되고, 상기 나머지 한 개의 스위치보드가 독립적으로 작동되어, 상기 나머지 한 개의 스위치보드에 연결되는 나머지 한 쌍의 발전기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 개의 발전기의 구동으로 상기 나머지 한 개의 스위치보드에 연결되는 나머지 한 쌍의 쓰러스터가 작동되고, 상기 다른 나머지 한 개의 스위치보드가 독립적으로 작동되어, 상기 다른 나머지 한 개의 스위치보드에 연결되는 다른 나머지 한 쌍의 발전기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 개의 발전기의 구동으로 상기 다른 나머지 한 개의 스위치보드에 연결되는 다른 나머지 한 쌍의 쓰러스터가 작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올-스플릿 모드는, 상기 제1 내지 제4 스위치보드가 모두 분리되도록, 상기 제1 내지 제4 부스-타이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여 개방 루프를 이루고, 상기 제1 내지 제4 스위치보드 각각이 독립적으로 작동되어, 상기 제1 내지 제4 스위치보드 각각에 연결되는 상기 네 쌍의 발전기 각각에서 적어도 어느 한 개의 발전기의 구동으로 상기 제1 내지 제4 스위치보드 각각에 연결되는 상기 네 쌍의 쓰러스터가 작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반잠수식 리그선은, 폐쇄 루프 부스-타이(Closed Loop Bus-Tie)의 컨트롤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네 구역의 스위치보드가 서로 연결(Closed Loop)되어 있으므로 싱글 부스-타이 컨트롤(Single Bus-Tie Control)이 가능하여 복수의 쓰러스터의 부하가 별로 없을 때는 각 구역에 상관 없이 복수의 발전기 중에서 최소 한 개 또는 두 개의 발전기를 구동하여 동적위치를 제어할 수 있고, 상황에 따라 5가지의 스플릿 모드(Split Mode)로 컨트롤 할 수 있어, 반잠수식 리그선(1)의 동적위치제어를 유연하고 안정하게 할 수 있고, 연료 사용 측면에서 경제적이면서, 환경적으로 영향을 줄일 수 있고, 전력공급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잠수식 리그선의 전력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계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관리 시스템이 적용되는 반잠수식 리그선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전력 관리 시스템이 부스-타이 컨트롤에 통해 원-스플릿 모드로 작동할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전력 관리 시스템이 부스-타이 컨트롤에 통해 투-스플릿 모드로 작동할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전력 관리 시스템이 부스-타이 컨트롤에 통해 쓰리-스플릿 모드로 작동할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전력 관리 시스템이 부스-타이 컨트롤에 통해 올-스플릿 모드로 작동할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잠수식 리그선의 전력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계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관리 시스템이 적용되는 반잠수식 리그선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전력 관리 시스템이 부스-타이 컨트롤에 통해 원-스플릿 모드로 작동할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전력 관리 시스템이 부스-타이 컨트롤에 통해 투-스플릿 모드로 작동할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전력 관리 시스템이 부스-타이 컨트롤에 통해 쓰리-스플릿 모드로 작동할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전력 관리 시스템이 부스-타이 컨트롤에 통해 올-스플릿 모드로 작동할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잠수식 리그선(1)은, 데릭, 크레인, 각종 시추설비, 계류설비 등을 탑재한 데크(10)와, 데크(10) 상의 선미측에 설치되는 제1 내지 제4 엔진 룸(51, 52, 53, 54) 및 제1 내지 제4 스위치보드 룸(41, 42, 43, 44)과, 데크(10)의 하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데크(10)를 지지하는 복수의 칼럼(20)과, 칼럼(20)의 하단에 결합되어 부유상태의 유지를 위한 부력을 제공하는 복수의 폰툰(31, 3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반잠수식 리그선(1)은, 추력 및 동적위치제어를 위해 복수의 발전기, 복수의 쓰러스터 및 복수의 스위치보드를 필요로 한다. 이하에서 설명될 본 실시예에서는 발전기, 쓰러스터 및 스위치보드 각각의 개수를 여덟 개, 여덟 개, 네 개로 예시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특정한 것일 뿐으로서, 더 적거나 더 많은 개수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잠수식 리그선(1)의 전력 관리 시스템(100)은, 제1 내지 제8 발전기(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로부터 전력을 인가 받아 발전기(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와 상응하는 개수로 구비되는 제1 내지 제8 쓰러스터(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에 대한 전력공급을 단속하는 제1 내지 제4 스위치보드(131, 132, 133, 134) 및 제1 내지 제4 부스-타이 스위치(141, 142, 143, 144)를 포함한다.
제1 내지 제8 발전기(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는, 후술할 제1 내지 제4 스위치보드(131, 132, 133, 134)를 통해 후술할 제1 내지 제8 쓰러스터(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전력을 생산할 수 있으며, 데크(10) 상의 선미측에 마련되는 제1 내지 제4 엔진 룸(51, 52, 53, 54) 설치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8 발전기(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중에서, 한 쌍의 제1 및 제2 발전기(111, 112)는 제4 엔진 룸(54)에 설치되어 제4 스위치보드(134)와 연결될 수 있고, 한 쌍의 제3 및 제4 발전기(113, 114)는 제3 엔진 룸(53)에 설치되어 제3 스위치보드(133)와 연결될 수 있고, 한 쌍의 제5 및 제6 발전기(115, 116)는 제2 엔진 룸(52)에 설치되어 제2 스위치보드(132)와 연결될 수 있고, 한 쌍의 제7 및 제8 발전기(117, 118)는 제1 엔진 룸(51)에 설치되어 제1 스위치보드(131)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8 쓰러스터(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는, 제1 내지 제8 발전기(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후술할 제1 내지 제4 스위치보드(131, 132, 133, 134)를 통해 공급 받아 작동할 수 있으며, 반잠수식 리그선(1)의 이동 또는 동적위치제어를 위해 복수의 폰툰(31, 32) 설치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8 쓰러스터(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중에서, 제1 및 제3 쓰러스터(121, 123)는 우현측 폰툰(31)의 전방에 설치될 수 있고, 제2 및 제4 쓰러스터(122, 124)는 좌현측 폰툰(32)의 전방에 설치될 수 있고, 제5 및 제7 쓰러스터(125, 127)는 우현측 폰툰(31)의 후방에 설치될 수 있고, 제6 및 제8 쓰러스터(126, 128)는 좌현측 폰툰(32)의 후방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제1 및 제2 쓰러스터(121, 122)는 제4 스위치보드(134)에 연결될 수 있고, 한 쌍의 제3 및 제4 쓰러스터(123, 124)는 제3 스위치보드(133)에 연결될 수 있고, 한 쌍의 제7 및 제8 쓰러스터(127, 128)는 제2 스위치보드(132)에 연결될 수 있고, 한 쌍의 제5 및 제6 쓰러스터(125, 126)는 제1 스위치보드(131)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에서, 반잠수식 리그선(1)의 이동 또는 동적위치제어를 위해 제1 내지 제8 발전기(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각각과 제1 내지 제8 쓰러스터(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각각은 8쌍의 발전기-쓰러스터 세트(Generator-Thruster Set)로 구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제1 발전기(111)와 제2 쓰러스터(122), 제2 발전기(112)와 제1 쓰러스터(121), 제3 발전기(113)와 제4 쓰러스터(124), 제4 발전기(114)와 제3 쓰러스터(123), 제5 발전기(115)와 제8 쓰러스터(128), 제6 발전기(116)와 제7 쓰러스터(127), 제7 발전기(117)와 제6 쓰러스터(126), 제8 발전기(118)와 제5 쓰러스터(125) 각각이 하나의 세트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발전기(111)와 제2 쓰러스터(122) 및 제2 발전기(112)와 제1 쓰러스터(121)는 후술할 제4 스위치보드(134)에 대응될 수 있고, 제3 발전기(113)와 제4 쓰러스터(124) 및 제4 발전기(114)와 제3 쓰러스터(123)는 후술할 제3 스위치보드(133)에 대응될 수 있고, 제5 발전기(115)와 제8 쓰러스터(128) 및 제6 발전기(116)와 제7 쓰러스터(127)는 후술할 제2 스위치보드(132)에 대응될 수 있고, 제7 발전기(117)와 제6 쓰러스터(126) 및 제8 발전기(118)와 제5 쓰러스터(125)는 후술할 제1 스위치보드(131)에 대응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스위치보드(131, 132, 133, 134)는, 제1 내지 제8 발전기(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단속하여 제1 내지 제8 쓰러스터(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가 작동되도록 할 수 있으며, 반잠수식 리그선(1)의 데크(10) 상의 선미측에 마련되는 제1 내지 제4 스위치보드 룸(41, 42, 43, 44)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스위치보드(131)는, 제1 스위치보드 룸(41)에 설치될 수 있으며, 기본적으로 제7 및 제8 발전기(117, 118)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단속하여 제5 및 제6 쓰러스터(125, 126)가 작동될 수 있도록 한다.
제2 스위치보드(132)는, 제2 스위치보드 룸(42)에 설치될 수 있으며, 기본적으로 제5 및 제6 발전기(115, 116)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단속하여 제7 및 제8 쓰러스터(127, 128)가 작동될 수 있도록 한다.
제3 스위치보드(133)는, 제3 스위치보드 룸(43)에 설치될 수 있으며, 기본적으로 제3 및 제4 발전기(113, 114)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단속하여 제3 및 제4 쓰러스터(123, 124)가 작동될 수 있도록 한다.
제4 스위치보드(134)는, 제4 스위치보드 룸(44)에 설치될 수 있으며, 기본적으로 제1 및 제2 발전기(111, 112)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단속하여 제1 및 제2 쓰러스터(121, 122)가 작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제1 내지 제4 스위치보드(131, 132, 133, 134) 각각은, 제1 내지 제4 스위치보드 룸(41, 42, 43, 44)에 의해 네 구역으로 나누어져 설치될 수 있으며, 후술할 제1 내지 제4 부스-타이 스위치(141, 142, 143, 144)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상호 연결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스위치보드(131, 132, 133, 134) 중에서 상호 연결되는 두 개 이상으로부터 네 개 이하의 스위치보드들은 상호 공조를 이루어 네 개 이상으로부터 여덟 개 이하의 해당 발전기들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단속하여 네 개 이상으로부터 여덟 개 이하의 해당 쓰러스터들이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함에 이해될 것이다. 또한, 개별적으로 분리되는 어느 하나의 스위치보드는 두 개의 해당 발전기들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단속하여 두 개의 해당 쓰러스터들이 작동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다.
제1 내지 제4 부스-타이 스위치(141, 142, 143, 144)는, 제1 내지 제4 스위치보드(131, 132, 133, 134)를 상호 연결 또는 분리시킬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부스-타이 스위치(141)는, 제1 스위치보드(131)와 제4 스위치보드(134)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부스-타이 스위치(142)는, 제1 스위치보드(131)와 제2 스위치보드(132)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제3 부스-타이 스위치(143)는, 제2 스위치보드(132)와 제3 스위치보드(133)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제4 부스-타이 스위치(144)는, 제3 스위치보드(133)와 제4 스위치보드(134)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한 제1 내지 제4 부스-타이 스위치(141, 142, 143, 144) 각각은, 부스-타이 컨트롤을 통해 환경 상황에 맞게 전환되면서 전력 관리 시스템(100)이 다양한 동작모드, 예를 들어 노-스플릿 모드(No-Split Mode), 원-스플릿 모드(One-Split Mode), 투-스플릿 모드(Two-Split Mode), 쓰리-스플릿 모드(Three-Split Mode) 또는 올-스플릿 모드(All-Split Mode)를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노-스플릿 모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4 부스-타이 스위치(141, 142, 143, 144) 모두를 스위칭 온 시켜, 제1 내지 제4 스위치보드(131, 132, 133, 134)가 직렬로 상호 연결되는 상태가 된다. 이로 인해, 제1 내지 제4 스위치보드(131, 132, 133, 134)는 전체 폐쇄 루프 구성을 갖게 된다.
즉, 노-스플릿 모드는, 제1 내지 제4 스위치보드(131, 132, 133, 134) 모두가 하나의 그룹을 이루어 작동되도록, 부스-타이 컨트롤에 통해 제1 내지 제4 부스-타이 스위치(141, 142, 143, 144)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다.
이러한 노-스플릿 모드는, 반잠수식 리그선(1)의 이동 시에 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노-스플릿 모드일 때, 전력 관리 시스템(100)은 전체 시스템을 한 개의 유닛으로 판단하고, 이때 제1 내지 제8 발전기(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는 등시성(Isochronous)으로 동작하게 된다.
노-스플릿 모드에서는, 제1 내지 제4 스위치보드(131, 132, 133, 134)가 직렬로 연결되어 하나의 그룹으로 상호 공조를 이루어 작동하므로, 환경 상황에 따라 제1 내지 제8 발전기(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중에서 최소 한 개 또는 두 개의 발전기를 구동하더라도 제1 내지 제8 쓰러스터(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를 작동시킬 수 있어, 반잠수식 리그선(1)의 동적위치제어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원-스플릿 모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4 부스-타이 스위치(141, 142, 143, 144) 중에서 제2 및 제3 부스-타이 스위치(142, 143)를 스위칭 온 시키고, 제1 및 제4 부스-타이 스위치(141, 144)를 스위칭 오프 시켜, 제1 내지 제4 스위치보드(131, 132, 133, 134) 중에서 제1, 제2 및 제3 스위치보드(131, 132, 133)가 직렬로 상호 연결되고, 제4 스위치보드(134)가 별도로 분리된 상태가 된다. 이로 인해, 제1 내지 제4 스위치보드(131, 132, 133, 134)는 부분 폐쇄 루프 구성을 갖게 된다.
즉, 원-스플릿 모드는, 제1 내지 제4 스위치보드(131, 132, 133, 134) 중에서 세 개의 스위치보드가 직렬로 연결되어 하나의 그룹을 이루어 작동되고, 나머지 한 개의 스위치보드가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작동되도록, 부스-타이 컨트롤에 통해 제1 내지 제4 부스-타이 스위치(141, 142, 143, 144)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것 이외에 제2, 제3 및 제4 스위치보드(132, 133, 134)가 하나의 그룹을 이루어 작동되고, 제1 스위치보드(131)가 독립적으로 작동되거나, 제3, 제4 및 제1 스위치보드(133, 134, 131)가 하나의 그룹을 이루어 작동되고, 제2 스위치보드(132)가 독립적으로 작동되거나, 또는 제4, 제1 및 제2 스위치보드(134, 131, 132)가 하나의 그룹을 이루어 작동되고, 제3 스위치보드(133)가 독립적으로 작동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원-스플릿 모드는, 환경 상황에 맞게 반잠수식 리그선(1)의 동적위치제어 혹은 드릴링 오퍼레이션(Drilling Operation)에 사용하여, 하나의 발전기가 기능을 상실하였으나 올-스플릿 모드가 불가능할 때 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원-스플릿 모드일 때, 전력 관리 시스템(100)은 전체 시스템을 두 개의 유닛으로 판단한다.
원-스플릿 모드에서는, 직렬로 상호 연결된 세 개의 스위치보드가 하나의 그룹을 이루어 작동되고, 분리된 한 개의 스위치보드가 독립적으로 작동되는데, 일례로 제1, 제2 및 제3 스위치보드(131, 132, 133)가 상호 공조를 이루어 작동하므로, 환경 상황에 따라 제3 내지 제8 발전기(113, 114, 115, 116, 117, 118) 중에서 최소 한 개 또는 두 개의 발전기를 구동하더라도 제3 내지 제8 쓰러스터(123, 124, 125, 126, 127, 128)를 작동시킬 수 있고, 또한 제4 스위치보드(134)가 독립적으로 작동하므로, 제1 및 제2 발전기(111, 112)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발전기를 구동하여 제1 및 제2 쓰러스터(121, 122)를 작동시킬 수 있어, 반잠수식 리그선(1)의 동적위치제어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투-스플릿 모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4 부스-타이 스위치(141, 142, 143, 144) 중에서 제1 및 제3 부스-타이 스위치(141, 143)를 스위칭 온 시키고, 제2 및 제4 부스-타이 스위치(142, 144)를 스위칭 오프 시켜, 제1 내지 제4 스위치보드(131, 132, 133, 134) 중에서 제1 및 제4 스위치보드(131, 134)가 직렬로 상호 연결되고, 제2 및 제3 스위치보드(132, 133)가 직렬로 상호 연결된 상태가 된다. 이때, 제1 및 제4 스위치보드(131, 134)와 제2 및 제3 스위치보드(132, 133)는 분리된 상태가 된다. 이로 인해, 제1 내지 제4 스위치보드(131, 132, 133, 134)는 부분 폐쇄 루프 구성을 갖게 된다.
즉, 투-스플릿 모드는, 제1 내지 제4 스위치보드(131, 132, 133, 134) 중에서 두 개의 스위치보드가 직렬로 연결되어 하나의 그룹으로 상호 공조를 이루어 작동되고, 나머지 두 개의 스위치보드가 직렬로 연결되어 또 하나의 그룹으로 상호 공조를 이루어 작동되도록, 부스-타이 컨트롤에 통해 제1 내지 제4 부스-타이 스위치(141, 142, 143, 144)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것 이외에 제1 및 제2 스위치보드(131, 132)가 하나의 그룹을 이루어 작동되고, 나머지 제3 및 제4 스위치보드(133, 134)가 또 하나의 그룹을 이루어 작동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투-스플릿 모드는, 환경 상황에 맞게 반잠수식 리그선(1)의 동적위치제어 혹은 드릴링 오퍼레이션(Drilling Operation)에 사용하여, 하나의 발전기가 기능을 상실하였으나 올-스플릿 모드가 불가능할 때 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투-스플릿 모드일 때, 전력 관리 시스템(100)은 전체 시스템을 두 개의 유닛으로 판단한다.
투-스플릿 모드에서는, 직렬로 상호 연결된 두 개의 스위치보드가 하나의 그룹을 이루어 작동되고, 직렬로 상호 연결된 나머지 두 개의 스위치보드가 또 하나의 그룹을 이루어 작동되는데, 일례로 제1 및 제4 스위치보드(131, 134)가 상호 공조를 이루어 작동하므로, 환경 상황에 따라 제1, 제2, 제7, 제8 발전기(111, 112, 117, 118) 중에서 최소 한 개 또는 두 개의 발전기를 구동하더라도 제1, 제2, 제5, 제6 쓰러스터(121, 122, 125, 126)를 작동시킬 수 있고, 또한 제2 및 제3 스위치보드(132, 133)가 상호 공조를 이루어 작동하므로, 환경 상황에 따라 제3, 제4, 제5, 제6 발전기(113, 114, 115, 116) 중에서 최소 한 개 또는 두 개의 발전기를 구동하더라도 제3, 제4, 제7, 제8 쓰러스터(123, 124, 127, 128)를 작동시킬 수 있어, 반잠수식 리그선(1)의 동적위치제어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쓰리-스플릿 모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4 부스-타이 스위치(141, 142, 143, 144) 중에서 제1 부스-타이 스위치(141)를 스위칭 온 시키고, 제2, 제3 및 제4 부스-타이 스위치(142, 143, 144)를 스위칭 오프 시켜, 제1 내지 제4 스위치보드(131, 132, 133, 134) 중에서 제1 및 제4 스위치보드(131, 134)가 직렬로 상호 연결되고, 제2 스위치보드(132)가 별도로 분리되고, 제3 스위치보드(133)가 별도로 분리된 상태가 된다. 이로 인해, 제1 내지 제4 스위치보드(131, 132, 133, 134)는 부분 폐쇄 루프 구성을 갖게 된다.
즉, 쓰리-스플릿 모드는, 제1 내지 제4 스위치보드(131, 132, 133, 134) 중에서 두 개의 스위치보드가 직렬로 연결되어 하나의 그룹으로 상호 공조를 이루어 작동되고, 나머지 두 개의 스위치보드 각각이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작동되도록, 부스-타이 컨트롤에 통해 제1 내지 제4 부스-타이 스위치(141, 142, 143, 144)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도 5에 도시된 것 이외에 제1 및 제2 스위치보드(131, 132)가 하나의 그룹을 이루어 작동되고, 나머지 두 개의 제3 및 제4 스위치보드(133, 134) 각각이 독립적으로 작동되거나, 제2 및 제3 스위치보드(132, 133)가 하나의 그룹을 이루어 작동되고, 나머지 두 개의 제1 및 제4 스위치보드(131, 134) 각각이 독립적으로 작동되거나, 제3 및 제4 스위치보드(133, 134)가 하나의 그룹을 이루어 작동되고, 나머지 두 개의 제1 및 제2 스위치보드(131, 132) 각각이 독립적으로 작동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쓰리-스플릿 모드는, 환경 상황에 맞게 반잠수식 리그선(1)의 동적위치제어 혹은 드릴링 오퍼레이션(Drilling Operation)에 사용하여, 하나의 발전기가 기능을 상실하였으나 올-스플릿 모드가 불가능할 때 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쓰리-스플릿 모드일 때, 전력 관리 시스템(100)은 전체 시스템을 세 개의 유닛으로 판단한다.
쓰리-스플릿 모드에서는, 직렬로 상호 연결된 두 개의 스위치보드가 하나의 그룹을 이루어 작동되고, 분리된 나머지 두 개의 스위치보드 각각이 독립적으로 작동되는데, 일례로 제1 및 제4 스위치보드(131, 134)가 상호 공조를 이루어 작동되므로, 환경 상황에 따라 제1, 제2, 제7 및 제8 발전기(111, 112, 117, 118) 중에서 최소 한 개 또는 두 개의 발전기를 구동하더라도 제1, 제2, 제5 및 제6 쓰러스터(121, 122, 125, 126)를 작동시킬 수 있고, 또한 제2 스위치보드(132)가 독립적으로 작동하므로, 환경 상황에 따라 제5 및 제6 발전기(115, 116)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발전기를 구동하여 제7 및 제8 쓰러스터(127, 128)를 작동시킬 수 있고, 또한 제3 스위치보드(133)가 독립적으로 작동하므로, 환경 상황에 따라 제3 및 제4 발전기(113, 114)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발전기를 구동하여 제3 및 제4 쓰러스터(123, 124)를 작동시킬 수 있어, 반잠수식 리그선(1)의 동적위치제어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올-스플릿 모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4 부스-타이 스위치(141, 142, 143, 144) 모두를 스위칭 오프 시켜, 제1 내지 제4 스위치보드(131, 132, 133, 134) 모두가 별도로 분리된 상태가 된다. 이로 인해, 제1 내지 제4 스위치보드(131, 132, 133, 134)는 전체 개방 루프 구성을 갖게 된다.
즉, 올-스플릿 모드는, 제1 내지 제4 스위치보드(131, 132, 133, 134) 모두가 독립적으로 작동되도록, 부스-타이 컨트롤에 통해 제1 내지 제4 부스-타이 스위치(141, 142, 143, 144)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다.
이러한 올-스플릿 모드는, 블랙아웃 리커버리(Blackout Recovery) 또는 비상(Emergency) 모드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올-스플릿 모드일 때, 전력 관리 시스템(100)은 전체 시스템을 네 개의 유닛으로 판단한다.
올-스플릿 모드에서는, 분리된 제1 내지 제4 스위치보드(131, 132, 133, 134) 각각이 독립적으로 작동되므로, 환경 상황에 따라 제1 스위치보드(131)에 연결된 제7 및 제8 발전기(117, 118)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가 구동하여 제5 및 제6 쓰러스터(125, 126)를 작동시키고, 제2 스위치보드(132)에 연결된 제5 및 제6 발전기(115, 116)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가 구동하여 제7 및 제8 쓰러스터(127, 128)를 작동시키고, 제3 스위치보드(133)에 연결된 제3 및 제4 발전기(113, 114)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가 구동하여 제3 및 제4 쓰러스터(123, 124)를 작동시키고, 제4 스위치보드(134)에 연결된 제1 및 제2 발전기(111, 112)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가 구동하여 제1 및 제2 쓰러스터(121, 122)를 작동시킬 수 있어, 반잠수식 리그선(1)의 동적위치제어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폐쇄 루프 부스-타이(Closed Loop Bus-Tie)의 컨트롤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네 구역의 스위치보드(131, 132, 133, 134)가 서로 연결(Closed Loop)되어 있으므로 싱글 부스-타이 컨트롤(Single Bus-Tie Control)이 가능하여 복수의 쓰러스터(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의 부하가 별로 없을 때는 각 구역에 상관 없이 복수의 발전기(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중에서 최소 한 개 또는 두 개의 발전기를 구동하여 동적위치를 제어할 수 있고, 상황에 따라 5가지의 스플릿 모드(Split Mode)로 컨트롤 할 수 있어, 반잠수식 리그선(1)의 동적위치제어를 유연하고 안정하게 할 수 있고, 연료 사용 측면에서 경제적이면서, 환경적으로 영향을 줄일 수 있고, 전력공급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기술내용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실시예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조합 또는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로부터 용이하게 도출 가능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기술내용들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반잠수식 리그선 10: 데크
20: 칼럼 31: 우현측 폰툰
32: 좌현측 폰툰
41, 42, 43, 44: 제1 내지 제4 스위치보드 룸
51, 52, 53, 54: 제1 내지 제4 엔진 룸
100: 전력 관리 시스템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제1 내지 제8 발전기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제1 내지 제8 쓰러스터
131, 132, 133, 134: 제1 내지 제4 스위치보드
141, 142, 143, 144: 제1 내지 제4 부스-타이 스위치

Claims (9)

  1. 복수의 쓰러스터;
    데크 상의 선미측에 일렬로 마련되는 제1 내지 제4 엔진룸;
    상기 제1 내지 제4 엔진룸 각각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쓰러스터에 전력을공급하는 복수의 발전기;
    상기 데크 상의 선미측에서, 상기 제1 내지 제4 엔진룸의 일측에 적층 구조로 마련되는 제1,3측 스위치보드롬과, 상기 제1 내지 제4 엔진룸의 일측에 적층 구조로 마련되는 제2,4 스위치보드룸;
    상기 제1 내지 제4 스위치보드룸 각각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쓰러스터 사이에서 전력을 단속하는 제1 내지 제4 스위치보드; 및
    상기 제1 내지 제4 스위치보드 각각의 사이에 마련되어 부스-타이 컨트롤을 통해 환경 상황에 맞게 전환되면서 다양한 스플릿 모드를 수행하는 폐쇄 루프 부스-타이(Closed Loop Bus-Tie)의 컨트롤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제1 내지 제4 부스-타이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잠수식 리그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쓰러스터는, 좌우현측 폰툰의 전후방 각각에 한 쌍씩 네 쌍이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발전기는, 상기 네 쌍의 쓰러스터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네 쌍이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스위치보드는, 상기 네 쌍의 스러스터 중 각각의 쌍과 상기 네 쌍의 발전기 중 각각의 쌍에 연결되는 상기 제1 내지 제4 스위치보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잠수식 리그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스-타이 스위치는, 상기 제1 스위치보드와 상기 제4 스위치보드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제2 부스-타이 스위치는, 상기 제1 스위치보드와 상기 제2 스위치보드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제3 부스-타이 스위치는, 상기 제2 스위치보드와 상기 제3 스위치보드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제4 부스-타이 스위치는, 상기 제3 스위치보드와 상기 제4 스위치보드 사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잠수식 리그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부스-타이 스위치 각각은,
    부스-타이 컨트롤을 통해 전환되면서 노-스플릿 모드, 원-스플릿 모드, 투-스플릿 모드, 쓰리-스플릿 모드 또는 올-스플릿 모드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잠수식 리그선.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노-스플릿 모드는,
    상기 제1 내지 제4 스위치보드가 직렬로 연결되도록, 상기 제1 내지 제4 부스-타이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여 폐쇄 루프를 이루고,
    상기 제1 내지 제4 스위치보드가 하나의 그룹으로 상호 공조를 이루어 작동되어, 상기 제1 내지 제4 스위치보드에 연결되는 상기 네 쌍의 발전기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 개의 발전기의 구동으로 상기 제1 내지 제4 스위치보드에 연결되는 상기 네 쌍의 쓰러스터가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잠수식 리그선.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원-스플릿 모드는,
    상기 제1 내지 제4 스위치보드 중에서 세 개의 스위치보드가 직렬로 연결되고, 나머지 한 개의 스위치보드가 분리되도록, 상기 제1 내지 제4 부스-타이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여 부분 폐쇄 루프를 이루고,
    상기 세 개의 스위치보드가 하나의 그룹으로 상호 공조를 이루어 작동되어, 상기 세 개의 스위치보드에 연결되는 세 쌍의 발전기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 개의 발전기의 구동으로 상기 세 개의 스위치보드에 연결되는 세 쌍의 쓰러스터가 작동되고,
    상기 나머지 한 개의 스위치보드가 독립적으로 작동되어, 상기 나머지 한 개의 스위치보드에 연결되는 나머지 한 쌍의 발전기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 개의 발전기의 구동으로 상기 나머지 한 개의 스위치보드에 연결되는 나머지 한 쌍의 쓰러스터가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잠수식 리그선.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투-스플릿 모드는,
    상기 제1 내지 제4 스위치보드 중에서 두 개의 스위치보드가 직렬로 연결되고, 나머지 두 개의 스위치보드가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두 개의 스위치보드와 상기 나머지 두 개의 스위치보드가 분리되도록, 상기 제1 내지 제4 부스-타이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여 부분 폐쇄 루프를 이루고,
    상기 두 개의 스위치보드가 하나의 그룹으로 상호 공조를 이루어 작동되어, 상기 두 개의 스위치보드에 연결되는 두 쌍의 발전기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 개의 발전기의 구동으로 상기 두 개의 스위치보드에 연결되는 두 쌍의 쓰러스터가 작동되고,
    상기 나머지 두 개의 스위치보드가 또 하나의 그룹으로 상호 공조를 이루어 작동되어, 상기 나머지 두 개의 스위치보드에 연결되는 나머지 두 쌍의 발전기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 개의 발전기의 구동으로 상기 나머지 두 개의 스위치보드에 연결되는 나머지 두 쌍의 쓰러스터가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잠수식 리그선.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쓰리-스플릿 모드는,
    상기 제1 내지 제4 스위치보드 중에서 두 개의 스위치보드가 직렬로 연결되고, 나머지 한 개의 스위치보드가 분리되고, 다른 나머지 한 개의 스위치보드가 분리되도록, 상기 제1 내지 제4 부스-타이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여 부분 폐쇄 루프를 이루고,
    상기 두 개의 스위치보드가 하나의 그룹으로 상호 공조를 이루어 작동되어, 상기 두 개의 스위치보드에 연결되는 두 쌍의 발전기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 개의 발전기의 구동으로 상기 두 개의 스위치보드에 연결되는 두 쌍의 쓰러스터가 작동되고,
    상기 나머지 한 개의 스위치보드가 독립적으로 작동되어, 상기 나머지 한 개의 스위치보드에 연결되는 나머지 한 쌍의 발전기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 개의 발전기의 구동으로 상기 나머지 한 개의 스위치보드에 연결되는 나머지 한 쌍의 쓰러스터가 작동되고,
    상기 다른 나머지 한 개의 스위치보드가 독립적으로 작동되어, 상기 다른 나머지 한 개의 스위치보드에 연결되는 다른 나머지 한 쌍의 발전기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 개의 발전기의 구동으로 상기 다른 나머지 한 개의 스위치보드에 연결되는 다른 나머지 한 쌍의 쓰러스터가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잠수식 리그선.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올-스플릿 모드는,
    상기 제1 내지 제4 스위치보드가 모두 분리되도록, 상기 제1 내지 제4 부스-타이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여 개방 루프를 이루고,
    상기 제1 내지 제4 스위치보드 각각이 독립적으로 작동되어, 상기 제1 내지 제4 스위치보드 각각에 연결되는 상기 네 쌍의 발전기 각각에서 적어도 어느 한 개의 발전기의 구동으로 상기 제1 내지 제4 스위치보드 각각에 연결되는 상기 네 쌍의 쓰러스터가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잠수식 리그선.
KR1020160106279A 2016-08-22 2016-08-22 반잠수식 리그 KR1022130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6279A KR102213007B1 (ko) 2016-08-22 2016-08-22 반잠수식 리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6279A KR102213007B1 (ko) 2016-08-22 2016-08-22 반잠수식 리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1556A KR20180021556A (ko) 2018-03-05
KR102213007B1 true KR102213007B1 (ko) 2021-02-04

Family

ID=61726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6279A KR102213007B1 (ko) 2016-08-22 2016-08-22 반잠수식 리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30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6033B1 (ko) * 2018-05-03 2019-08-29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동적 위치 제어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6134A (ko) * 2014-09-24 2016-04-0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시추선 전력 분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1556A (ko) 2018-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1160B1 (ko) 선박의 전기식 추진 시스템
EP3209556B1 (en) Power system of a floating vessel
KR102213007B1 (ko) 반잠수식 리그
KR20090032618A (ko) 선박용 스러스터 모터의 수리를 위한 선박 구조
KR101236745B1 (ko) 선박의 동적 위치 제어 시스템의 배전 구조 및 배전 방법
KR101985451B1 (ko) 선박의 거주구 구조
Herdzik Possibilities of improving safety and reliability of ship propulsion system during dp operations
KR102016033B1 (ko) 동적 위치 제어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
JP4664094B2 (ja) 船舶用電気推進装置
WO2018105160A1 (ja) 船舶の航行方法、及び船舶
KR101714679B1 (ko) 반잠수식 해양구조물
KR101334837B1 (ko) 시추선의 비상발전시스템
KR101940575B1 (ko) 양방향 운항 선박
KR20160036134A (ko) 시추선 전력 분배 장치
KR20120076441A (ko) 위치제어 단축 전기추진 선박의 최적화를 위한 전기공급 및 추진장치
KR101128781B1 (ko) 시추선 장치
KR20160074913A (ko)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위치 제어 시스템
US20070290634A1 (en) Electric drive system
KR20130020215A (ko) 동적위치유지 선박용 전력 분배 장치
KR20100114564A (ko) 부유식 구조물의 전력 공급 장치 및 관리 시스템
KR101357667B1 (ko)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전력 공급 시스템
KR102055470B1 (ko) 드릴십
KR102055468B1 (ko) 드릴십
KR102055469B1 (ko) 드릴십
JP2014129048A (ja) 電気推進式船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