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4837B1 - 시추선의 비상발전시스템 - Google Patents

시추선의 비상발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4837B1
KR101334837B1 KR1020070069021A KR20070069021A KR101334837B1 KR 101334837 B1 KR101334837 B1 KR 101334837B1 KR 1020070069021 A KR1020070069021 A KR 1020070069021A KR 20070069021 A KR20070069021 A KR 20070069021A KR 101334837 B1 KR101334837 B1 KR 1013348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emergency
emergency power
high voltage
switch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9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5738A (ko
Inventor
권용락
이학재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69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4837B1/ko
Publication of KR20090005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57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4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48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02J9/067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using multi-primary transformers, e.g. transformer having one primary for each AC energy source and a secondary for the load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tand-By Power Supply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추선(Drillship)의 비상발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 개로 구획된 엔진룸이 형성된 시추선의 비상발전시스템에 있어서, 복수 개의 엔진룸 상에 장착된 복수 개의 메인발전기에서 발생된 고압전력을 저압전력으로 변압시켜, 비상전원운전 시 비상전력으로 이용하는 비상발전스위치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추선의 비상발전시스템을 제공한다.
시추선(Drillship), 엔진룸, 메인발전기, 고압스위치보드, 비상발전스위치보드

Description

시추선의 비상발전시스템{Emergency generating system in drillship}
본 발명은 선박의 메인발전기를 이용한 비상발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에는 메인발전기의 고장 시 선박 운항의 안정성 유지 및 데드쉽 리커버리(Deadship Recovery)를 위하여 별도의 비상발전시스템이 장착되어 있다.
도 1에는 종래 시추선의 비상발전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는데, 각각의 엔진룸에는 복수개씩 장착된 메인발전기(1a, 1b, 1c)와, 상기 메인발전기(1a, 1b, 1c)로부터 생성된 고압전력을 인가 받는 고압스위치보드(3, 5, 7)와, 상기 고압스위치보드(3, 5, 7)로부터 송전된 고압전력을 상용전력으로 변환시키는 변압기(10)와, 변압된 상용전력을 인가 받아 선수측으로 배전하는 선수스위치보드(30) 및 변압된 상용전력을 인가 받아 선미측으로 배전하는 저압스위치보드(21, 23, 25)를 포함한다. 이때, 비상운전 시 비상전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비상발전기(50)와 비상발전스위치보드(40)는 별도로 구비되어 있다.
엔진룸은 격벽에 의해 3개로 구획되는데, 좌측에 위치하는 것을 포트측 엔진룸이라 하며, 중앙에 위치하는 것을 센터측 엔진룸이라 하고, 우측에 위치하는 것을 스타보드측 엔진룸이라 한다. 한편, 각각의 엔진룸에 장착된 메인발전기(1a, 1b, 1c)는 포트 메인발전기(1a), 센터 메인발전기(1b) 및 스타보드 메인발전기(1c)와 같이 구분된 명칭을 가질 수 있는데, 각각의 메인발전기(1a, 1b, 1c)로부터 연결된 고압스위치보드(3, 5, 7)는 각각 포트 고압스위치보드(3), 센터 고압스위치보드(5) 및 스타보드 고압스위치보드(7)라는 명칭을 가진다. 또한, 각각의 고압스위치보드(3, 5, 7)로부터 연결된 저압스위치보드(21, 23, 25)는 각각 포트 저압스위치보드(21), 센터 저압스위치보드(23), 스타보드 저압스위치보드(25)라는 명칭을 가진다.
만일 상기 운전중인 포트 메인발전기(1a)나 상기 센터 메인발전기(1b)나 상기 스타보드 메인발전기(1c) 중 임의의 어느 것이 정상 작동되지 못하는 경우, 스탠바이(STANDBY)로 선택되어진 정상 작동되지 못하는 메인발전기를 제외한 나머지 메인발전기가 자동 가동하여 부족분의 전력을 발생하거나 비상발전기(50)를 자동 가동시켜 전력을 발생시킨 후 이를 비상발전스위치보드(40)에 인가하고, 이러한 비상전력을 이용하여 메인 발전기를 가동시킴으로써 선박에서 요구하는 전기를 모든 장비로 배전시킬 수 있다.
정전상태의 회복 및 비상전원운전을 위한 비상전력 소모량은 선주의 요구, 선박 적용 룰(Rule)에 따라 크게 차이가 날 수 있는데, 시추선(Drillship)이나 부유식 원유생산저장 설비(FPSO)와 같은 오프쇼어(Offshore) 프로젝트에 있어서 더 많은 양의 비상전력이 요구된다. 예를 들면, 동결(Winterization)적용 및 이에 따른 선주의 요구에 의해 비상전력 소모량이 증가될 수 있으며, 발라스트 펌프 조건 및 조도의 증가 조건에 따라서도 증가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드릴선이나 부유식 원유생산저장 설비 등과 같은 선박에서는 대용량의 비상발전기를 사용하여야 하는데, 그에 따른 막대한 추가 비용 문제 및 배치 문제가 유발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별도의 비상발전기를 장착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일부 메인 발전기의 고장 시 비상전력을 선박 내로 배전시킬 수 있는 시추선의 비상발전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삼는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 개로 구획된 엔진룸이 형성된 시추선의 비상발전시스템에 있어서, 복수 개의 엔진룸 상에 장착된 복수 개의 메인발전기에서 발생된 고압전력을 저압전력으로 변압시켜, 비상전원운전 시 비상전력으로 이용하는 비상발전스위치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추선의 비상발전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메인발전기로부터 발생된 고압전력을 인가 받는 복수 개의 고압스위치보드; 및 상기 고압스위치보드에 인가된 고압전력을 저압전력으로 변압시키는 복수 개의 변압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비상발전스위치보드는 상기 변압기에서 변압된 저압전력을 인가 받아 비상전원운전 시 비상전력으로 이용한다.
또한, 상기 메인발전기로부터 발생된 고압전력을 인가 받는 복수 개의 고압스위치보드; 상기 고압스위치보드에 인가된 고압전력을 통합하여 인가 받는 고압비 상스위치보드; 및 상기 고압비상스위치보드에 인가된 고압전력을 저압전력으로 변압시키는 통합변압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비상발전스위치보드는 상기 통합변압기에서 변압된 저압전력을 인가 받아 비상전원운전 시 비상전력으로 이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추선의 비상발전시스템에 의하면, 별도의 비상발전기를 장착 사용하지 않고서도 메인발전기로부터 발생된 전력을 비상전원운전 시 비상전력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대용량의 비상발전기가 요구되었던 시추선의 제작 원가를 절감할 수 있어 제품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인 시추선의 비상발전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면에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추선의 비상발전시스템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추선의 비상발전시스템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제 1 실시예]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인 시추선의 비상발전시스템의 제 1 실시예를 설명하면, 먼저, 선박의 엔진룸은 격벽에 의해서 포트측 엔진룸과 센터측 엔진룸과 스 타보드측 엔진룸으로 구획될 수 있다. 이러한 엔진룸의 형태는 드릴쉽(Drillship)이나 부유식 원유생산저장 설비(FPSO)와 같은 오프쇼어에서 작업가능한 선박에서 쉽게 찾을 수 있다. 포트측 엔진룸에는 고압전력을 발생시키는 복수 개의 포트 메인발전기(1a)와, 상기 포트 메인발전기(1a)와 연결된 포트 고압스위치보드(3)와, 상기 포트 고압스위치보드(3)와 연결된 포트 저압스위치보드(21)가 장착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센터측 엔진룸에는 고압전력을 발생시키는 복수 개의 센터 메인발전기(1b)와, 상기 센터 메인발전기(1b)와 연결된 센터 고압스위치보드(5)와, 상기 센터 고압스위치보드(5)와 연결된 센터 저압스위치보드(23)가 장착되고, 스타보드측 엔진룸에는 고압전력을 발생시키는 복수 개의 스타보드 메인발전기(1c)와, 상기 스타보드 메인발전기(1c)와 연결된 스타보드 고압스위치보드(7)와, 상기 스타보드 고압스위치보드(7)와 연결된 스타보드 저압스위치보드(25)가 장착된다.
이때, 각각의 포트 고압스위치보드(3), 센터 고압스위치보드(5) 및 스타보드 고압스위치보드(7)와 각각의 포트 저압스위치보드(21), 센터 저압스위치보드(23) 및 스타보드 저압스위치보드(25)의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변압기(10)가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변압기는 각각의 메인발전기(1a, 1b, 1c)에서 발생된 고압전력을 저압전력으로 변압해주는 장치이다.
상기 포트 저압스위치보드(21)에 인가된 저압전력은 비상발전스위치보드(40)까지 연결된 제 1 전력라인(101)에 의해 송전되고, 상기 센터 저압스위치보드(23)에 인가된 저압전력은 상기 비상발전스위치보드(40)까지 연결된 제 2 전력라인(103)에 의해 송전되며, 상기 스타보드 저압스위치보드(25)에 인가된 저압전력은 상기 비상발전스위치보드(40)까지 연결된 제 3 전력라인(105)에 의해 송전된다.
즉, 이러한 제 1 전력라인(101), 제 2 전력라인(103) 및 제 3 전력라인(105)에 의해 상기 비상발전스위치보드(40)는 비상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하여, 도 1에 도시되었던 별도의 비상발전기(50)를 장착 사용하지 않아도, 비상전력을 배전하는 상기 비상발전스위치보드(40)에 상기 메인발전기(1a, 1b, 1c)에서 발생시킨 잉여분의 전력을 비상전력으로 공급하여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제 2 실시예]
도 3를 참조하여 본 발명인 선박의 메인발전기를 이용한 비상발전시스템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하면, 포트측 엔진룸에는 고압전력을 발생시키는 하나 이상의 포트 메인발전기(1a)와, 상기 포트 메인발전기(1a)와 연결된 포트 고압스위치보드(3)가 장착되고, 센터측 엔진룸에는 고압전력을 발생시키는 하나 이상의 센터 메인발전기(1b)와, 상기 센터 메인발전기(1b)와 연결된 센터 고압스위치보드(5)가 장착되고, 스타보드측 엔진룸에는 고압전력을 발생시키는 하나 이상의 스타보드 메인발전기(1c)와, 상기 스타보드 메인발전기(1c)와 연결된 스타보드 고압스위치보드(7)가 장착된다. 이러한 제 2 실시예는 도 2에서 설명하였던 제 1 실시예에서 각각의 저압스위치보드(21, 23, 25)를 모두 제외시킨 형태이다.
상기 포트 고압스위치보드(3)에 인가된 고압전력은 포트 고전압전력라 인(114)을 따라, 상기 센터 고압스위치보드(5)에 인가된 고압전력은 센터 고전압전력라인(116)을 따라, 상기 스타보드 고압스위치보드(7)에 인가된 고압전력은 스타보드 고전압전력라인(118)을 따라 고압비상스위치보드(110)로 모두 송전되도록 되어 있다.
고압비상스위치보드(110)에 인가된 고압전력은 통합전력라인(120)을 따라 상기 비상발전스위치보드(40)로 송전된다. 이때, 상기 통합전력라인(120) 상에는 고압전력을 저압전력으로 변압시키는 통합변압기(112)가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포트 고전압전력라인(114), 상기 센터 고전압전력라인(116) 및 상기 스타보드 고전압전력라인(118)을 따라 송전된 고압전력은 고압비상스위치보드(110)에서 통합되고, 이후 상기 통합전력라인(120)을 따라 송전되는 과정 중 저압전력으로 변압되어 상기 비상발전스위치보드(40)로 인가된다.
이로 인하여, 도 1에 도시되었던 별도의 비상발전기(50)를 장착 사용하지 않고서도, 상기 비상발전스위치보드(40)에서는 비상시 비상전력을 배전하여 송전해 줄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시추선의 비상발전시스템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 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시추선의 비상발전시스템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추선의 비상발전시스템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추선의 비상발전시스템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제 1 전력라인 103 : 제 2 전력라인
105 : 제 3 전력라인 110 : 고압비상스위치보드
112 : 통합변압기 114 : 포트 고전압전력라인
116 : 센터 고전압전력라인 118 : 스타보드 고전압전력라인
120 : 통합전력라인

Claims (3)

  1. 복수 개로 구획된 엔진룸이 형성된 시추선의 비상발전시스템에 있어서,
    복수 개의 엔진룸 상에 장착된 복수 개의 메인발전기에서 발생된 고압전력을 저압전력으로 변압시켜, 비상전원운전 시 비상전력으로 이용하는 비상발전스위치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추선의 비상발전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발전기로부터 발생된 고압전력을 인가 받는 복수 개의 고압스위치보드; 및
    상기 고압스위치보드에 인가된 고압전력을 저압전력으로 변압시키는 복수 개의 변압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비상발전스위치보드는 상기 변압기에서 변압된 저압전력을 인가 받아 비상전원운전 시 비상전력으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추선의 비상발전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발전기로부터 발생된 고압전력을 인가 받는 복수 개의 고압스위치보드;
    상기 고압스위치보드에 인가된 고압전력을 통합하여 인가 받는 고압비상스위치보드; 및
    상기 고압비상스위치보드에 인가된 고압전력을 저압전력으로 변압시키는 통합변압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비상발전스위치보드는 상기 통합변압기에서 변압된 저압전력을 인가 받아 비상전원운전 시 비상전력으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추선의 비상발전시스템.
KR1020070069021A 2007-07-10 2007-07-10 시추선의 비상발전시스템 KR101334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9021A KR101334837B1 (ko) 2007-07-10 2007-07-10 시추선의 비상발전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9021A KR101334837B1 (ko) 2007-07-10 2007-07-10 시추선의 비상발전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5738A KR20090005738A (ko) 2009-01-14
KR101334837B1 true KR101334837B1 (ko) 2013-12-02

Family

ID=40487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9021A KR101334837B1 (ko) 2007-07-10 2007-07-10 시추선의 비상발전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48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5036A (ko) * 2013-07-04 2015-01-1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증발가스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523912B1 (ko) * 2013-10-31 2015-05-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전력 공급 시스템
KR20200011081A (ko) 2018-07-24 2020-02-03 주식회사 신성 조립성이 우수한 전기 플러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4208A (ko) * 2001-01-15 2002-11-04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전원 시스템 및 전원 시스템에 의해 구동되는 장치
KR20030074757A (ko) * 2001-02-01 2003-09-19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선박용 전기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4208A (ko) * 2001-01-15 2002-11-04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전원 시스템 및 전원 시스템에 의해 구동되는 장치
KR20030074757A (ko) * 2001-02-01 2003-09-19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선박용 전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5738A (ko) 2009-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818093T3 (es) Sistema de suministro de energía de una embarcación flotante
US20190359307A1 (en) Power distribution system for a marine vessel
KR101334837B1 (ko) 시추선의 비상발전시스템
US20240113523A1 (en) Energy storage system and power supply system for marine vessels
KR20120002216A (ko)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전기 설비 배치구조
EP2963769A1 (en) Power system for offshore vessels
JP2008178228A (ja) 陸上から船舶への給電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KR102562066B1 (ko) 중복 전원 공급 시스템
CN107914857A (zh) 一种多功能电力推进潜水及rov支持船
CN103744400A (zh) 基于dp3钻井船助益快速以太网系统冗余支持方法
CN206180597U (zh) 一种交流船舶岸电系统
KR20140140751A (ko) 유조선 및 셔틀탱커 겸용 일점계류 시스템
EP3552948B1 (en) Navigation method for ship, and ship
KR102055469B1 (ko) 드릴십
KR102055468B1 (ko) 드릴십
KR102055470B1 (ko) 드릴십
KR101357667B1 (ko)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전력 공급 시스템
KR20150038821A (ko) 트윈 아일랜드 구조를 갖는 대형 컨테이너선의 배전시스템
CN115663798A (zh) 一种穿梭油轮电力系统及其设计方法
KR102044267B1 (ko) 컨테이너선의 배전시스템
KR20120000209U (ko) 고전압배전반이 분리 설치된 lng fpso 선박
Carter et al. Conversion of the Ocean Clipper to DPS-3 classification
KR102069921B1 (ko) 드릴십
KR102069920B1 (ko) 드릴십
Cheater et al. Low Loss Concept Comparison Stu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