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2650B1 - 고로 보수용 데크장치 - Google Patents

고로 보수용 데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2650B1
KR102122650B1 KR1020180100380A KR20180100380A KR102122650B1 KR 102122650 B1 KR102122650 B1 KR 102122650B1 KR 1020180100380 A KR1020180100380 A KR 1020180100380A KR 20180100380 A KR20180100380 A KR 20180100380A KR 102122650 B1 KR102122650 B1 KR 1021226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blast furnace
body portion
deck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0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3895A (ko
Inventor
김정회
조한진
온훈
박재상
심종준
이정화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00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2650B1/ko
Publication of KR20200023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38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2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26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04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 B66C13/08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for depositing loads in desired attitudes or posi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4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or for buildings of particular shape, e.g. chimney stacks or pyl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00Casings; Linings; Walls; Roofs
    • F27D1/16Making or repairing linings increasing the durability of linings or breaking away li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last Furna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로 보수용 데크장치에 관한 것으로, 발판이 형성된 본체부와, 본체부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이동 위치에 따라 본체부와 함께 이루는 길이가 가변되는 연장부와, 본체부에 결합되고, 고로의 상측에 설치된 기어조립체의 회전축부에 조립되는 회전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로 보수용 데크장치{DECK APPARATUS FOR CONSERVATION OF BLAST FURNACE}
본 발명은 고로 보수용 데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로의 내벽을 보수하기 위한 고로 보수용 데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로의 경년(經年)이 증가할수록 내화물의 손상 및 마모가 진행되며, 이러한 조업 불안 요인을 해결하기 위해 노벽 보수를 정기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노벽을 보수하는 방법으로는 고로에 구멍을 뚫고 압입재를 노내로 투입하는 방법과, 스프레이 장치를 노내로 진입시켜 노벽에 보수재를 분사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696655호(2017.01.10 등록, 발명의 명칭: 고로 노벽 보수를 위한 앵커고정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작업자가 고로 내부에서 노벽 보수작업을 직접 시공가능하게 하는 고로 보수용 데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로 보수용 데크장치는, 발판이 형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이동 위치에 따라 상기 본체부와 함께 이루는 길이가 가변되는 연장부; 및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고, 고로의 상측에 설치된 기어조립체의 회전축부에 조립되는 회전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부는, 상기 발판이 설치되는 고정지지대; 및 상기 고정지지대 상에 상기 발판과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연장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장부는, 상기 본체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지지대; 상기 이동지지대에 설치되는 연장발판;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부의 연장방향을 따라 상기 이동지지대를 이동시키는 이동장치; 및 상기 이동지지대의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이동지지대 측으로 접혀지거나 수평을 이루게 펼쳐지는 폴딩데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연결부는,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부에 끼워지는 홀부가 형성되는 축커플러; 및 상기 축커플러의 가장자리부에 형성되고, 상기 축커플러의 유동이 구속되게 상기 기어조립체에 형성된 스토퍼에 걸리는 스토퍼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본체부와 상기 연장부 중 적어도 일측에 난간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안전펜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리프팅수단에 매달려 상기 고로 내부로 인입되고 설정 각도로 기울어질 수 있게 상기 본체부 중 상기 리프팅수단과의 접촉부에 형성되는 리프팅컨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프팅컨택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리프팅수단에 의해 받쳐지는 받침부; 및 상기 본체부의 타측부에 함몰 또는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가 상기 리프팅수단에 의해 받쳐진 상태에서 상기 리프팅수단에 형성된 걸림부에 걸리는 슬립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로 보수용 데크장치는, 회전연결부를 고로 상측의 기어조립체에 조립함으로써 본체부를 고로의 내부의 정위치에 안정되게 배치할 수 있고, 작업자가 본체부와 연장부에 탑승한 상태에서 고로 내벽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노벽 보수작업을 직접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부의 내외부로 연장부를 이동시키면서 작업 공간의 범위와 상하방향 위치를 조정할 수 있고, 회전축부의 회전 방향에 따라 수평방향 위치를 조정할 수 있어, 노벽 상의 작업 위치에 따라 작업자의 이동위치를 수직방향, 수평방향으로 다양하게 가변시키면서 효율적으로 노벽 보수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로 보수용 데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로 보수용 데크장치가 리프팅수단에 매달린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로 보수용 데크장치를 리프팅수단에 매달아 고로의 내부로 인입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로 보수용 데크장치를 고로 상측의 기어조립체에 연결하고 리프팅수단을 분리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로 보수용 데크장치를 전개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로 보수용 데크장치를 이용해 작업자가 노벽 보수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로 보수용 데크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로 보수용 데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로 보수용 데크장치가 리프팅수단에 매달린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로 보수용 데크장치(1)는 본체부(10), 연장부(20), 회전연결부(30), 안전펜스부(40), 리프팅컨택부(50)를 포함한다.
본체부(10)는 작업자가 발로 밟고 내려가거나 올라갈 수 있는 계단의 형상을 가진다. 연장부(20)는 본체부(10)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이동 위치에 따라 본체부(10)와 함께 이루는 길이가 가변된다. 연장부(20)가 본체부(10)의 외부로 인출되게 이동될수록 본체부(10)와 연장부(20)가 함께 이루는 길이가 길어지고, 연장부(20)가 본체부(10)의 내부로 인입되게 이동될수록 본체부(10)와 연장부(20)가 함께 이루는 길이가 짧아진다.
회전연결부(30)는 본체부(10)와 연장부(20)를 고로(2)의 상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본체부(10)의 단부에 결합되고, 고로(2)의 상측에 설치된 기어조립체(3)의 회전축부(3a)에 조립된다. 여기서, 기어조립체(3)는 고로(2)의 내부에 원료를 투입하기 위한 분배 슈트(distribution chute)(미도시)를 틸딩시킨 상태로 회전시키기 위해 고로(2)의 상측에 기설치되어 있던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고로 보수용 데크장치(1)는 이를 활용하여 고로(2) 상부의 정위치에 배치된다.
안전펜스부(40)는 작업자가 본체부(10)와 연장부(20)의 외부로 이탈되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즉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본체부(10)와 연장부(20)에 난간을 이루도록 설치된다. 회전연결부(30)를 회전축부(3a)에 조립하는 과정을 거쳐 본체부(10)가 고로(2) 내부의 정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본체부(10)에 탑승하여 안전펜스부(40)를 본체부(10)에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연장부(20)의 전개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연장부(20)에도 안전펜스부(40)를 설치할 수 있다.
리프팅컨택부(50)는 리프팅수단(4)에 매달려 고로(2) 내부로 인입되고 설정 각도로 기울어질 수 있게, 본체부(10) 중 리프팅수단(4)과의 접촉부에 형성된다. 리프팅수단(4)으로는 분배 슈트를 고로(2)의 내외부로 이동시키기 위해 이용되고 있는 크레인 장비를 활용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에는 크레인 장비에 데크설치용 지그를 연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로 보수용 데크장치를 리프팅 및 이동시키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로 보수용 데크장치를 리프팅수단에 매달아 고로의 내부로 인입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로 보수용 데크장치를 고로 상측의 기어조립체에 연결하고 리프팅수단을 분리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로 보수용 데크장치를 전개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로 보수용 데크장치를 이용해 작업자가 노벽 보수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구성, 작용을 설명함에 있어서는, 편의 상 도 1, 도 2에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그 방향과 상대 위치를 설정하기로 한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0)는 고정지지대(11), 발판(12), 레일(13)을 포함한다.
고정지지대(11)는 한 쌍의 측면지지대가 대향되게 배치된 채 상호 연결된 구조를 가진다. 고정지지대(11)의 사이에는 복수개의 발판(12)이 배치된다. 발판(12)은 고정지지대(11)에 양단부가 결합됨으로써 고정지지대(11) 상의 설정위치에 설정각도로 고정된다. 복수개의 발판(12)은 본체부(10)가 도 1,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벽 상부에 대응되는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계단의 형태를 이루게 된다.
레일(13)은 연장부(2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장치부로, 고정지지대(11)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다. 연장부(20)는 레일(13)을 따라 이동되면서 본체부(10)로부터 전개되거나 본체부(10)측으로 접혀진다. 또한, 레일(13)은 고정지지대(11) 상에 발판(12)과 이격되게 배치된다.
레일(13)은 발판(12)과 간섭되지 않게 고정지지대(11)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발판(12)은 고정지지대(11)의 중간부를 따라 복수개가 연속하여 배치되고, 레일(13)은 그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발판(12)을 밟은 상태에서, 즉 본체부(10)에 탑승한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연장부(20)의 인출 길이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부(20)는 이동지지대(21), 연장발판(22), 이동장치(23), 바퀴(24), 폴딩데크(25)를 포함한다.
이동지지대(21)는 발판(12)과의 간섭없이 고정지지대(11)의 내외부로 인입, 인출가능하게 고정지지대(11) 보다 축소된 상하방향 너비를 가지며, 레일(13)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연장발판(22)은 이동지지대(21) 상에 복수개가 설치된다. 고정지지대(11)와 이동지지대(21)가 노벽 상부에 대응되는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연장발판(22)은 발판(12)과 함께 연속된 계단의 형태를 이루게 된다.
이동장치(23)는 본체부(10)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동지지대(21)를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장치부로, 일측부는 고정지지대(11)에 고정설치되고, 타측부는 이동지지대(21)와 연결된다. 이동장치(23)는 유·공압 실린더, 기어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길이를 신축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이동지지대(21) 중 레일(13)과의 접속부에는 바퀴(24)가 설치된다. 이동장치(23)의 신장 또는 축소 구동 시 바퀴(24)가 레일(13)을 따라 회전이동되면서 이동지지대(21)가 함께 고정지지대(11)의 내외부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다.
폴딩데크(25)는 계단을 이루는 발판(12)과 연장발판(22) 외에 작업자의 작업 공간을 추가로 제공하는 장치부로, 이동지지대(21)의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고정지지대(11)와 이동지지대(21)가 노벽 상부에 대응되는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폴딩데크(25)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폴딩데크(25)가 도 1,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을 이루게 펼쳐질 수 있다. 반대로 폴딩데크(25)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폴딩데크(25)가 도 2,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지지대(21) 측으로 접혀질 수 있다.
도 2,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연결부(30)는 축커플러(31)와 스토퍼걸림부(33)를 포함한다.
축커플러(31)는 기어조립체(3)의 회전축부(3a)에 조립되는 장치부로, 회전축부(3a)에 끼워지는 홀부(32)를 구비하여 고정지지대(11)의 상부에 고정결합된다. 스토퍼걸림부(33)는 축커플러(31)가 회전축부(3a)에 조립된 상태에서 임의로 유동되지 않게 구속하는 장치부로, 축커플러(31)의 가장자리부에 형성되고, 기어조립체(3)에 형성된 스토퍼(3b)에 걸린다.
스토퍼(3b)는 제1스토퍼부(3c), 제2스토퍼부(3d), 제3스토퍼부(3e)를 포함한 복수개가 서로 다른 방향에서 스토퍼걸림부(33)와 맞닿는다. 스토퍼걸림부(33)는 제1스토퍼부(3c), 제2스토퍼부(3d), 제3스토퍼부(3e) 각각과 맞물리는 제1걸림부(34), 제2걸림부(35), 제3걸림부(36)를 포함한다. 제1걸림부(34), 제2걸림부(35), 제3걸림부(36)는 서로 다른 방향에서 스토퍼(3b)와 맞닿음으로써 본체부(10)와 연장부(20)가 회전축부(3a)를 중심으로 다양한 각도로 기울어지더라도 안정되게 그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펜스부(40)는 펜스대(41)와 펜스결합부(42)를 포함한다.
펜스대(41)는 발판(12), 연장발판(22), 폴딩데크(25) 상에서 서거나 앉은 자세로 작업 중이거나, 이동 중인 작업자가 본체부(10)와 연장부(20)의 외부로 이탈되는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구속할 수 있는 기둥 또는 망의 형상을 가진다. 본체부(10)와 연장부(20)의 상부에는 펜스대(41)의 하부와 조립되는 펜스결합부(42)가 형성된다. 펜스결합부(42)는 펜스대(41)의 하부를 끼울 수 있게 상부가 개방된 파이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작업자는 발판(12), 연장발판(22), 폴딩데크(25) 상에서 펜스대(41)를 펜스결합부(42)에 조립하거나 펜스결합부(42)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도 2,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프팅컨택부(50)는 받침부(51)와 슬립방지부(52)를 포함한다.
받침부(51)는 리프팅수단(4)과 접촉되어 받쳐지게 되는 장치부로, 본체부(10)의 일측부 상에 리프팅수단(4)에 의해 받쳐질 수 있는 강성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슬립방지부(52)는 본 발명에 따른 고로 보수용 데크장치(1)가 리프팅수단(4)에 의해 받쳐진 상태에서 리프팅수단(4)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구속되는 장치부로, 본체부(10)의 타측부에 함몰 또는 돌출되게 형성된다.
리프팅수단(4)은 지그본체부(4a), 데크받침부(4b), 걸림부(4c)를 포함한다. 지그본체부(4a)는 도 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개소에서 로프로 홀딩될 수 있고, 고로(2)에 형성된 개방구(2a)를 통과하기 용이하도록 일측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진다. 데크받침부(4b)는 지그본체부(4a)의 일단부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고, 본 발명에 따른 고로 보수용 데크장치(1)는 데크받침부(4b)에 안착된다. 걸림부(4c)는 데크받침부(4b)와 설정 간격을 두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받침부(51)와 슬립방지부(52) 간의 이격 거리에 해당되는 간격을 두고 슬립방지부(52)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 또는 함몰되게 형성된다.
도 3 상에서 받침부(51)는 고정지지대(11)의 하단부에 위치되고, 슬립방지부(52)는 고정지지대(11)의 상단부에 하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슬립방지부(52)는 사각형 단면 형상을 가진다. 이에 따라, 고정지지대(11)는 받침부(51)에 의해 데크받침부(4b)에 받쳐진 상태에서, 슬립방지부(52)에 의해 걸림부(4c)에 걸려 상향 유동이 안정되게 구속될 뿐만 아니라, 좌우방향으로의 유동 또한 안정되게 구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로 보수용 데크장치(1)가 기울어진 상태에서도 리프팅수단(4)에 결속된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받침부(51)와 슬립방지부(52)는, 본 발명에 따른 고로 보수용 데크장치(1)가 리프팅수단(4)에 의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중에 매달린 상태에서 그 무게 중심이 일측으로 무리하게 편중되지 않도록, 고정지지대(11)의 연장방향 중간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고로 보수용 데크장치(1)는, 리프팅컨택부(50)를 이용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팅수단(4)에 매달린 상태로 고로(2)에 형성된 개방구(2a)를 통해 노내로 인입될 수 있고, 리프팅수단(4)의 로프 길이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도가 가변된 상태에서 회전연결부(30)를 기어조립체(3)의 회전축부(3a)에 조립시킬 수 있다.
회전연결부(30)를 회전축부(3a)에 조립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고로 보수용 데크장치(1)는 노내의 상부의 정위치에 배치되고, 이후 회전축부(3a)의 기울기나 방향(도 6 상의 C축을 중심으로 회전)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고로 보수용 데크장치(1)의 기울기와 방향을 다양하게 가변시킬 수 있다.
회전연결부(30)를 회전축부(3a)에 조립한 후에는 도 4,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로 보수용 데크장치(1)로부터 리프팅수단(4)을 탈거시킨다. 다음으로, 회전축부(3a)의 기울기를 조절하면서 노벽의 경사 각도에 맞추어 고로 보수용 데크장치(1)의 각도를 조정하고, 폴딩데크(25)를 펼친다. 폴딩데크(25)를 펼치는 작업은 버튼 조작 등에 의해 액추에이터를 가동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작업자는 개방구(2a)를 통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로 보수용 데크장치(1)에 탑승할 수 있고, 이동장치(23)를 신축 구동시키면서 노벽을 따라 이동지지대(21)와 폴딩데크(25)의 위치를 S1 구간, S2 구간, S3 구간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S1 구간은 이동지지대(21)를 고정지지대(11)의 외부로 인출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작업자가 이동 가능한 범위이고, S2 구간은 이동지지대(21)의 일부를 고정지지대(11)의 외부로 인출시킨 상태에서 작업자가 추가로 이동 가능한 범위이며, S3 구간은 이동지지대(21)를 고정지지대(11)의 외부로 최대로 인출시킨 상태에서 작업자가 더 추가로 이동 가능한 범위이다.
노벽의 상부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지게 기울어진 부분(도 6 상의 S1, S2 구간)과,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도 6 상의 S3 구간)이 연속하여 연결된 형상을 가지는데, 본 발명에 의하면 이러한 형상을 가지는 노벽의 어디든지 작업자가 근접하게 이동할 수 있고, 내화물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직접 내화물 교체, 보수재 스프레이 작업, 앙카 설치 등의 보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고로 보수용 데크장치(1)에 의하면, 회전연결부(30)를 고로(2) 상측의 기어조립체(3)에 조립함으로써 본체부(10)를 고로(2)의 내부의 정위치에 안정되게 배치할 수 있고, 작업자가 본체부(10)와 연장부(20)에 탑승한 상태에서 고로(2) 내벽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노벽 보수작업을 직접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로 보수용 데크장치(1)에 의하면, 본체부(10)의 내외부로 연장부(20)를 이동시키면서 작업 공간의 범위와 상하방향 위치를 조정할 수 있고, 회전축부(3a)의 회전 방향에 따라 수평방향 위치를 조정할 수 있어, 노벽 상의 작업 위치에 따라 작업자의 이동위치를 수직방향, 수평방향으로 다양하게 가변시키면서 효율적으로 노벽 보수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1 : 고로 보수용 데크장치 2 : 고로
2a : 개방구 3 : 기어조립체
3a : 회전축부 3b : 스토퍼
3c : 제1스토퍼부 3d : 제2스토퍼부
3e : 제3스토퍼부 4 : 리프팅수단
4a : 지그본체부 4b : 데크받침부
4c : 걸림부 10 : 본체부
11 : 고정지지대 12 : 발판
13 : 레일 20 : 연장부
21 : 이동지지대 22 : 연장발판
23 : 이동장치 24 : 바퀴
25 : 폴딩데크 30 : 회전연결부
31 : 축커플러 32 : 홀부
33 : 스토퍼걸림부 34 : 제1걸림부
35 : 제2걸림부 36 : 제3걸림부
40 : 안전펜스부 41 : 펜스대
42 : 펜스결합부 50 : 리프팅컨택부
51 : 받침부 52 : 슬립방지부

Claims (7)

  1. 발판이 형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이동 위치에 따라 상기 본체부와 함께 이루는 길이가 가변되는 연장부; 및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고, 고로의 상측에 설치된 기어조립체의 회전축부에 조립되는 회전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연결부는,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부에 끼워지는 홀부가 형성되는 축커플러; 및
    상기 축커플러의 가장자리부에 형성되고, 상기 축커플러의 유동이 구속되게 상기 기어조립체에 형성된 스토퍼에 걸리는 스토퍼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보수용 데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발판이 설치되는 고정지지대; 및
    상기 고정지지대 상에 상기 발판과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연장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보수용 데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본체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지지대;
    상기 이동지지대에 설치되는 연장발판;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부의 연장방향을 따라 상기 이동지지대를 이동시키는 이동장치; 및
    상기 이동지지대의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이동지지대 측으로 접혀지거나 수평을 이루게 펼쳐지는 폴딩데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보수용 데크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상기 연장부 중 적어도 일측에 난간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안전펜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보수용 데크장치.
  6. 발판이 형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이동 위치에 따라 상기 본체부와 함께 이루는 길이가 가변되는 연장부;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고, 고로의 상측에 설치된 기어조립체의 회전축부에 조립되는 회전연결부; 및
    리프팅수단에 매달려 상기 고로 내부로 인입되고 설정 각도로 기울어질 수 있게 상기 본체부 중 상기 리프팅수단과의 접촉부에 형성되는 리프팅컨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보수용 데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컨택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리프팅수단에 의해 받쳐지는 받침부; 및
    상기 본체부의 타측부에 함몰 또는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가 상기 리프팅수단에 의해 받쳐진 상태에서 상기 리프팅수단에 형성된 걸림부에 걸리는 슬립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보수용 데크장치.
KR1020180100380A 2018-08-27 2018-08-27 고로 보수용 데크장치 KR1021226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0380A KR102122650B1 (ko) 2018-08-27 2018-08-27 고로 보수용 데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0380A KR102122650B1 (ko) 2018-08-27 2018-08-27 고로 보수용 데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3895A KR20200023895A (ko) 2020-03-06
KR102122650B1 true KR102122650B1 (ko) 2020-06-12

Family

ID=69802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0380A KR102122650B1 (ko) 2018-08-27 2018-08-27 고로 보수용 데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26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7171A (ko) 2020-12-17 2022-06-24 주식회사 포스코 작업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1676B1 (ko) 2021-11-26 2024-01-30 현대로템 주식회사 고로용 보수 안전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59168A (ja) * 2011-02-02 2012-08-23 Ihi Corp 低温液体貯槽の構築方法
KR200477610Y1 (ko) * 2014-12-31 2015-07-02 강영호 패널을 이용한 발판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44302A (ja) * 1995-11-27 1997-06-03 Daiki Kogyo Kk タンク内面の点検補修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59168A (ja) * 2011-02-02 2012-08-23 Ihi Corp 低温液体貯槽の構築方法
KR200477610Y1 (ko) * 2014-12-31 2015-07-02 강영호 패널을 이용한 발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7171A (ko) 2020-12-17 2022-06-24 주식회사 포스코 작업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3895A (ko) 2020-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16545B (zh) 移动式悬臂平台及其安装方法
KR102122650B1 (ko) 고로 보수용 데크장치
CN101696604B (zh) 一种烟囱筒壁施工方法及专用电动顶升平桥
JP4796195B1 (ja) 作業用足場装置
KR20200020709A (ko) 거푸집 지지대를 위한 하강 가능한 지지 높이를 갖는 지지대 헤드
JP6893188B2 (ja) 既存構造物の解体システムおよび解体方法
JP6378550B2 (ja) 足場装置
JP4558591B2 (ja) 桟橋下面コンクリート自動はつり装置
KR20210097945A (ko) 무인 이동을 위한 자동 수평 기술을 적용한 교량 점검 차량
JP2007182281A (ja)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の制御盤点検台装置
KR102396527B1 (ko) 작업발판 인양장치
KR20190071555A (ko) 갱폼 안전도어
JP2008095373A (ja) 移動用足場およびその仮設方法
JP3640019B2 (ja) エレベーター用作業台装置
JP3864189B2 (ja) 塔状構造物解体装置とそれによる解体工法
KR20110043120A (ko) 슬라브 거푸집 해체용 하강장치
KR101800622B1 (ko) 다단 승강형 족장
CN215107203U (zh) 一种可移动支撑的电梯井施工操作平台
JP3994648B2 (ja) エレベータ装置及びその据付方法
JP4101232B2 (ja) 昇降可能な仮設足場を用いた建設物の施工方法
CN217326352U (zh) 一种登高操作架
JP2024057286A (ja) 作業用ゴンドラ装置
JP2010236327A (ja) 立坑内での発破孔形成方法及びこの方法に使用する吊り足場
JP2009067495A (ja) エレベータの据付作業用支持装置
CN113175202A (zh) 一种可移动支撑的电梯井施工操作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