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7171A - 작업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작업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7171A
KR20220087171A KR1020200177614A KR20200177614A KR20220087171A KR 20220087171 A KR20220087171 A KR 20220087171A KR 1020200177614 A KR1020200177614 A KR 1020200177614A KR 20200177614 A KR20200177614 A KR 20200177614A KR 20220087171 A KR20220087171 A KR 202200871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ing device
support
working
cooling tube
b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7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5877B1 (ko
Inventor
김대철
김성진
고종부
장영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200177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5877B1/ko
Publication of KR20220087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71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5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58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4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or for buildings of particular shape, e.g. chimney stacks or pyl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28Manufacture of steel in the converter
    • C21C5/42Constructional features of converters
    • C21C5/46Details or accessories
    • C21C5/4646Cooling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04G3/30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suspended by flexible supporting elements, e.g. cables
    • E04G3/32Hoisting devices; Safety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01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against falling down relating to scaffo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04G2003/283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mobile horizont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tallur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 장치 및 작업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상부가 개방되는 대상체의 상부에 작업 장치를 배치시키는 과정; 상기 작업 장치의 차단부를 들어 올려 상기 작업 장치의 지지부 양쪽에 배치시키는 과정; 상기 작업 장치의 탑승부를 상기 대상체의 내부로 삽입시키는 과정; 상기 작업 장치의 지지부를 상기 대상체에 접촉시키고, 상기 차단부로 상기 대상체의 상부를 덮는 과정; 및 상기 대상체를 정비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높은 곳에 설치된 대상체를 수리하는 등의 정비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하고, 작업 위치에 따라 작업을 수행하는 탑승부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작업 장치 및 방법{Deck and work method}
본 발명은 작업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높은 곳에서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작업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로 조업은 주원료인 용선(hot metal)과 고철(Scrap)을 전로에 장입하고, 전로 내로 산소를 함유하는 가스를 취입함과 동시에 부원료를 투입하여 용선 중 불순 원소인 탄소(C), 규소(Si), 망간(Mn), 인(P), 유황(S), 티탄(Ti) 등을 슬래그로 제거하는 일련의 작업을 통칭한다.
한편, 전로 조업은 용선 중 불순물을 제거하면서 다량의 배가스를 발생시킨다. 배가스는 매우 고온으로, 배가스의 현열을 이용하여 스팀을 생산하는데 사용되며, 생산된 스팀은 필요 개소에 적절하게 사용되고 있다.
전로의 상부에는 전로의 상부에 위치하여 배가스를 집진하는 과정에서 열교환을 통해 스팀을 생산하기 위한 스커트 설비가 설치되어 있다. 스커트 설비는 전로의 상부에 설치되는 냉각 튜브와, 냉각 튜브에 냉각 매체를 공급 및 배출시키는 분배관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냉각 튜브는 200여개의 냉각관을 연결하여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제작된다.
전로 조업은 배가스를 발생시키기도 하지만, 전로 내부에 산소 함유 가스를 강력하게 분사하면서 수행되기 때문에, 용융물이나 슬래그 등의 비산물을 발생시킨다. 이에 전로의 노구와 가깝게 배치되는 냉각 튜브에 비산물이 부착되어 지금을 형성하게 된다. 냉각 튜브에 지금이 형성되면, 냉각 튜브의 냉각 능력이 저하되어 냉각관이 터지거나 갈라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 경우, 냉각관을 따라 흐르는 냉각 매체가 전로 내부로 유입되어 폭발 등과 같은 조업 사고를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다. 이에 주기적으로 냉각 튜브에 지금을 제거하거나, 냉각 튜브에 형성된 균열 등을 보수하기 위한 정비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냉각 튜브의 정비 작업은 고소에서 작업할 수 있는 작업 장치를 사용하여, 작업자를 냉각 튜브에 접근시킨다. 그런데 작업 장치에서 작업자가 작업을 할 수 있는 공간이 한정되어 있고, 추락의 위험이 높아 안전 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게다가 작업자가 작업하는 동안 크레인으로 작업대를 지지하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다른 조업에서 크레인을 필요로 하는 경우, 작업을 중단해야하기 때문에 냉각 튜브를 보수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KR 10-2122650 B JP 2014-065585 A
본 발명은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작업 장치 및 작업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대상체에서 정비 위치에 쉽게 접근할 수 있고,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작업 장치 및 작업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작업 장치는, 일부가 대상체의 상부에 접촉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지지부; 상기 대상체를 정비할 수 있는 작업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대상체의 내부로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는 탑승부; 및 상기 탑승부의 상부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대상체의 상부 일부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는 차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상체는 적어도 상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대상체를 수평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내부에 상기 탑승부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지지 몸체; 및 상기 지지 몸체를 상기 대상체에 지지시키기 위한 지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몸체는,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1측부 플레이트;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적어도 상기 제1측부 플레이트의 양쪽에 각각 연결되는 지지 프레임; 및 상기 탑승부의 일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1측부 플레이트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1하부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제1하부 플레이트와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에 연결되는 제1상부 플레이트; 및 수평방향으로 상기 제1상부 플레이트와 이격되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에 연결되는 제2상부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측부 플레이트의 폭 방향 길이는 상기 대상체의 내경보다 짧게 형성되고, 상기 제1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제2상부 플레이트는 상기 제1측부 플레이트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제1하부 플레이트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통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이송 장치에 연결하기 위한 체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 부재는 체결구, 체결 고리 및 체결 돌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탑승부는, 작업 공간을 형성하는 작업대; 및 상기 작업대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작업대와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는 승강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업대는, 상기 제1측부 플레이트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2측부 플레이트; 및 상기 제2상부 플레이트와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제2측부 플레이트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2하부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기는 상기 제2측부 플레이트와 상기 제2하부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1측부 플레이트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작업대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작업대와 접촉 가능한 가이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업대는 단열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부는 상기 대상체의 상부에 접촉 가능하고, 상기 대상체의 일부를 열고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의 양쪽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차단부는, 상기 지지부의 양쪽에 배치되는 차단부재; 상기 차단부재를 상기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차단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대상체의 면적에 대해 50% 이하의 면적을 갖는 차단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 몸체의 일부는 상기 대상체의 수평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단부재는 그물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작업 방법은, 적어도 상부가 개방되는 대상체의 상부에 작업 장치를 배치시키는 과정; 상기 작업 장치의 차단부를 들어 올려 상기 작업 장치의 지지부 양쪽에 배치시키는 과정; 상기 작업 장치의 탑승부를 상기 대상체의 내부로 삽입시키는 과정; 상기 작업 장치의 지지부를 상기 대상체에 접촉시키고, 상기 차단부로 상기 대상체의 상부를 덮는 과정; 및 상기 대상체를 정비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상체를 정비하는 과정 이전에 상기 대상체의 내부에서 정비할 작업 위치를 파악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상체의 상부에 작업 장치를 배치시키는 과정은, 상기 작업 장치를 이송 장치에 연결하는 과정; 상기 이송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작업 장치를 들어 올리는 과정; 및 상기 대상체의 상부로 상기 작업 장치를 이동시키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대상체의 상부에 작업 장치를 배치시키는 과정 이후에, 상기 이송 장치에서 상기 작업 장치를 분리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상체의 상부에 작업 장치를 배치시키는 과정은, 상기 작업 장치를 이송 장치에 연결하는 과정; 상기 이송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작업 장치를 들어 올리는 과정; 및 상기 대상체의 상부로 상기 작업 장치를 이동시키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대상체를 정비하는 과정 이전에, 상기 이송 장치를 이용하여 파악된 작업 위치로 상기 작업 장치를 회전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업 장치를 회전시키는 과정은, 상기 이송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작업 장치를 들어 올리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파악된 작업 위치에 따라 상기 탑승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상체는 전로 상부에 설치되는 중공형의 냉각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대상체를 정비하는 과정은 상기 냉각 튜브의 내부에서 상기 냉각 튜브를 수리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높은 곳에 설치된 대상체를 수리하는 등의 정비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추락 사고 등에 의한 안전 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작업 장치를 대상체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대상체를 안정적으로 정비할 수 있고, 작업자가 높은 곳에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작업 위치에 따라 작업을 수행하는 탑승부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특히, 대상체를 직접 정비하는 작업자 이외에도 작업을 감독하는 다른 작업자들이 대상체 내부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작업 장치를 대상체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대상체를 정비하기 때문에, 작업 장치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 장치의 사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작업 대상체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작업 장치를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작업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작업 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선A-A'에 따른 작업 장치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작업 장치를 구성하는 탑승부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작업 장치를 구성하는 차단부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작업 장치를 대상체에 설치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작업 위치에 따라 탑승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면은 과장될 수 있고,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대형 구조물이거나 높은 곳에 설치된 대상체를 유지 보수하는 경우, 작업자가 대상체에 접근하여 유지 보수 작업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때, 대상체는 상부 또는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되는 중공형의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작업 장치는 대상체의 상부에 지지되고, 일부가 대상체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대상체가 전로의 상부에 설치되는 후드를 냉각시키기 위한 중공의 원통형 냉각 튜브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그러나 대상체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상부가 개방된 용기, 지면으로부터 함몰되도록 형성되는 구덩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작업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작업 대상체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작업 장치를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작업 장치(200)는, 지상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높은 곳에 설치된 대상체를 수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때, 대상체는 상부 또는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중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대상체는 전로(110)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중공형으로 형성되는 냉각 튜브(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전로(110)는 내부에 용융물, 예컨대 용선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용선을 장입할 수 있는 노구(112)가 형성될 수 있다(도 1에서 114는 출강구이고, 116은 트러니언임). 냉각 튜브(120)는 내부에 전로(110)의 노구(112)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하부가 개방되어 있고, 노구(112)를 통해 배출되는 배가스를 통과시킬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될 수 있다. 냉각 튜브(120)는 전로(110)의 상부에 설치되는 후드(미도시)의 하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냉각 튜브(120)는 냉각 매체를 순환시킬 수 있는 복수 개의 냉각관을 연결하여 제작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작업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작업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선A-A'에 따른 작업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작업 장치(200)는, 일부가 냉각 튜브(120)의 내부에 삽입 가능하고, 냉각 튜브(120)의 상부에 접촉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지지부(210)와, 냉각 튜브(120)를 정비할 수 있는 작업 공간을 형성하고,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부(210)에 설치되는 탑승부(220) 및 탑승부(220)의 상부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냉각 튜브(120)의 상부 일부를 덮을 수 있도록 지지부(210)에 연결되는 차단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냉각 튜브(120) 정비 시, 작업 장치(200)는 냉각 튜브(120)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210)의 일부와 탑승부(220)는 냉각 튜브(12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지지부(210)의 일부와 차단부(230)는 냉각 튜브(120)의 상부에 안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작업 장치(200)의 형상을 기준으로, 수평방향으로 긴 쪽을 폭 방향이라 하고, 폭 방향에 수평으로 교차하는 방향을 두께 방향이라 하며, 상하방향은 높이 방향이라 한다.
지지부(210)는 냉각 튜브(120) 정비 시 작업 공간을 형성하는 탑승부(220)를 냉각 튜브(120) 내부에 배치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지지부(210)는 일부가 냉각 튜브(120) 내부에 배치되고, 일부는 냉각 튜브(120)의 상부에 배치 또는 안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210)는 내부에 탑승부(220)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지지 몸체(211)와, 지지 몸체(211)를 냉각 튜브(120)에 지지시키기 위한 지지 부재(21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210)는 작업자가 탑승부(220)로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통로 부재(218)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몸체(211)는 내부에 탑승부(220)를 수용할 수 있고, 작업자의 이동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지지 몸체(211)는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1측부 플레이트(211a)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적어도 제1측부 플레이트(211a)의 양쪽에 각각 연결되는 지지 프레임(211c) 및 탑승부(220)의 일측에 배치되도록 제1측부 플레이트(211a)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1하부 플레이트(21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측부 플레이트(211a)는 지지 몸체(211)의 측면을 형성하고, 제1하부 플레이트(211b)는 지지 몸체(211)의 바닥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1측부 플레이트(211a)는 한 쌍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제1하부 플레이트(211b)는 제1측부 플레이트(211a)의 하부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지지 몸체(211) 내부에서 탑승부(220)의 이동 경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제1하부 플레이트(211b)는 제1측부 플레이트(211a)의 하부 일부, 예컨대 통로 부재(218)가 형성되는 쪽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즉, 탑승부(220)는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지지 몸체(211) 내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지지 몸체(211)의 내부에 탑승부(22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해야 한다. 이에 제1하부 플레이트(211b)가 탑승부(220)의 일측에 배치되도록 제1하부 플레이트(211b)를 제1측부 플레이트(211a)의 하부에 연결할 수 있다. 제1하부 플레이트(211b)는 작업자가 탑승부(220)로 이동할 수 있는 바닥면을 형성할 수 있다.
지지 몸체(211)는 냉각 튜브(120)의 상부를 통해 냉각 튜브(12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고, 냉각 튜브(120)를 수평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지지 몸체(211)는 냉각 튜브(120)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냉각 튜브(120)와 접촉 또는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지지 몸체(211)의 폭 방향 길이, 즉 제1측부 플레이트(211a)의 폭 방향 길이는 냉각 튜브(120)의 직경, 예컨대 냉각 튜브(120)의 일측 내면에서 타측 내면까지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211c)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제1측부 플레이트(211a)의 양쪽에 연결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211c)은 제1측부 플레이트(211a)의 상부에 지지 부재(216)를 연결할 수 있도록 제1측부 플레이트(211a)의 상하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작업 장치(200)는 크레인 등과 같은 이송 장치를 이용하여 들어 올려져 냉각 튜브(120)에 설치되거나, 냉각 튜브(12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에 지지부(210)는 지지부(210)를 이송 장치에 연결하기 위한 체결 부재(214)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 부재(214)는 지지 프레임(211c)에 형성될 수 있으며, 체결구, 체결 고리, 체결 돌기 등과 같이 다양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작업 장치(200)를 안정적으로 들어 올릴 수 있도록 체결 부재(214)는 지지 프레임(211c)마다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정비 위치에 따라 탑승부(22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데, 탑승부(220)를 안정적으로 이동시키고, 탑승부(220)가 지지부(21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지지부(210)에 가이드 부재(219)를 설치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 부재(219)는 탑승부(220)와 접촉 가능하도록 지지부(210)의 지지 프레임(211c)에 설치될 수 있으며, 탑승부(220)가 이동하는 상하방향으로 복수 개가 이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219)는 롤러나 탑승부(220)의 일부와 맞물려지도록 형성되는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부재(216)는 제1하부 플레이트(211b)와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지지 프레임(211c)에 연결되는 제1상부 플레이트(216a) 및 수평방향으로 제1상부 플레이트(216a)와 이격되도록 지지 프레임(211c)에 연결되는 제2상부 플레이트(216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 부재(216)는 지지 몸체(211)를 냉각 튜브(120)에 지지시킬 수 있도록, 제1상부 플레이트(216a)와 제2상부 플레이트(216b)는 지지 몸체(211)보다 외측, 예컨대 냉각 튜브(120)쪽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상부 플레이트(216a)는 지지 몸체(211)를 냉각 튜브(120)에 지지시키는 동시에, 작업자가 지지 몸체(211)의 내부로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제1상부 플레이트(216a)는 제1하부 플레이트(211b)보다 작은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며, 이에 제1하부 플레이트(211b)의 타측, 예컨대 냉각 튜브(120) 쪽으로 치우쳐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작업자가 탑승부(220)로 진입하기 위한 통로 부재(218)를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통로 부재(218)는 제1상부 플레이트(216a)와 제1하부 플레이트(211b)를 연결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통로 부재(218)는 계단, 사다리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제1상부 플레이트(216a)에서 제1하부 플레이트(211b)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이동하는 동안 추락 등의 안전 사고의 발생을 방지하도록 제1상부 플레이트(216a)에는 안전 펜스(217a)를 설치할 수 있다.
제2상부 플레이트(216b)는 제1상부 플레이트(216a)와 수평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지지 프레임(211c)에 연결될 수 있고, 지지 몸체(211)가 수평을 이룰 수 있도록 제1상부 플레이트(216a)와 동일한 높이에 설치될 수 있다. 제2상부 플레이트(216b)는 냉각 튜브(120)에 지지 몸체(211)를 지지시키는 동시에, 탑승부(220)로 낙하물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탑승부(220)의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상부 플레이트(216b)의 일부에는 탑승부(220)의 내부, 예컨대 후술하는 작업대(221)의 내부를 관찰할 수 있는 투명창이나 그물체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지지 몸체(211)와 지지 부재(216)는 탑승부(220)와 차단부(23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높은 강도를 가지며, 고온에 견딜 수 있는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예컨대 지지 몸체(211)와 지지 부재(216)는 철 등과 같은 금속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탑승부(220)는 지지 몸체(211)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탑승부(220)는 냉각 튜브(120) 정비 시 작업자가 정비를 수행할 수 있는 작업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탑승부(220)는 작업 공간을 형성하는 작업대(221) 및 작업대(221)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작업대(221)와 지지부(210)에 연결되는 승강기(225)를 포함할 수 있다.
작업대(221)는 제1측부 플레이트(211a)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2측부 플레이트(221a) 및 제2상부 플레이트(216b)와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제2측부 플레이트(221a)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2하부 플레이트(221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작업대(221)는 작업자가 작업 위치를 파악하면서 냉각 튜브(120)를 정비할 수 있도록 상부 및 양쪽이 개방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작업 장치(200)는 냉각 튜브(120)의 내부에서 냉각 튜브(120)의 내면을 정비하기 위한 것으로, 적어도 냉각 튜브(120)쪽이 개방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지지부(210), 예컨대 제1하부 플레이트(211b) 쪽에서 작업대(221)로 이동할 수 있도록 폭방향으로 양쪽이 개방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정비 작업 시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작업대(221)의 양쪽에 안전 로프(미도시)를 추가로 설치할 수도 있다.
한편, 작업 장치(200)의 하부에는 고온의 전로(110)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전로(110)에서 발생하는 열에 영향을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작업대(221)에는 단열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2측부 플레이트(221a)와 제2하부 플레이트(221b)를 각각 2개의 강판을 겹쳐서 제작하며, 2개의 강판 사이에 단열재를 내장시킬 수 있다.
승강기(225)는 작업대(221)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냉각 튜브(120)는 대형 구조물이기 때문에 작업 위치는 상하방향, 예컨대 냉각 튜브(120)의 높이 방향으로 작업자의 행동 반경을 벗어난 곳에 있을 수도 있다. 이에 정비 위치에 따라 승강기(225)를 이용하여 냉각 튜브(120)의 높이 방향으로 작업대(221)를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승강기(225)는 작업대(221)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강기(225)는 작업대(221)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지지부(210)와 작업대(221)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승강기(225)는 구동축을 포함하는 실린더나, 랙, 피니언 및 모터를 포함하는 기어 조립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작업 장치를 구성하는 탑승부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의 (a)는 작업 장치(200)를 냉각 튜브(120)에 설치한 초기 상태 또는 정비 위치가 작업자의 행동 반경 내에 위치한 경우, 탑승부(220)의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작업대(221)의 하부는 지지부(210)의 하부와 동일 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5의 (b)는 작업 장치(200)를 냉각 튜브(120)에 설치하고, 정비 위치가 작업자의 행동 반경을 벗어난 경우 탑승부(220)의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예컨대 정비 위치가 초기 작업대(221)의 위치보다 아래에 있는 것으로 파악되는 경우, 승강기(225)를 이용하여 작업대(221)를 하강시킴으로써 작업자가 비교적 하부에 있는 정비 위치에서 정비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작업대(221)의 이동 거리(L)는 냉각 튜브(120)의 높이 방향 길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50 내지 100㎝, 또는 60 내지 80㎝ 정도일 수 있다.
도 5에서는 작업대(221)를 하강시키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작업 위치에 따라 작업대(221)를 상승시킬 수도 있다.
한편, 냉각 튜브(120)의 주변에는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마련된 데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냉각 튜브(120)를 정비하는 경우, 데크에서 다른 작업자가 작업 장치(200)에 직접 탑승하여 냉각 튜브(120)를 정비하는 작업자를 감독하거나 관찰할 수 있다. 이 경우, 데크에서 정비 과정을 감독하거나 관찰하는 작업자가 데크에서 냉각 튜브(120)의 내부로 추락하는 안전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차단부(230)를 이용하여 냉각 튜브(120)의 상부를 덮어서 작업자가 데크에서 냉각 튜브(120)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차단부(230)는 냉각 튜브(120)에 접촉 가능하도록 지지부(210)의 양쪽에 설치될 수 있다. 차단부(230)는 지지부(2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냉각 튜브(120)의 상부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차단부(230)는 지지부(210)의 양쪽에 배치되는 차단 부재(231)와, 차단 부재(231)를 지지부(2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연결 부재(235) 및 차단 부재(231)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부재(233)를 포함할 수 있다.
차단 부재(231)는 냉각 튜브(120)의 상부 일부를 덮을 수 있게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며, 데크에서 작업자가 냉각 튜브(120)의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차단 부재(231)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을 연결하여 제작될 수도 있고, 프레임에 그물망을 연결하여 제작될 수도 있다. 차단 부재(231)는 지지부(210)의 양쪽에 각각 연결되어, 지지부(210)를 제외한 냉각 튜브(120)의 상부를 덮을 수 있다. 따라서 차단 부재(231) 각각은 냉각 튜브(120)의 평면 면적 전체에 대해서 50% 이하의 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냉각 튜브(120)의 평면 면적은 상부에서 냉각 튜브(120)를 보았을 때 냉각 튜브(120) 전체가 차지하는 면적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차단 부재(231) 차단 부재(231)는 냉각 튜브(120)의 평면 형상을 반으로 나눈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냉각 튜브(120)가 원통형으로 형성된 경우, 냉각 튜브(120)의 평면 형상은 원형이므로, 차단 부재(231)는 반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냉각 튜브(120)에서 지지부(210)의 양쪽에 형성되는 공간을 덮을 수 있고, 지지부(2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면 차단 부재(231)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냉각 튜브(120) 정비 시, 차단 부재(231)는 냉각 튜브(120)에 지지되기 때문에 차단 부재(231)의 폭 방향 길이는 냉각 튜브(120)의 직경보다 길고, 두께 방향 길이는 냉각 튜브(120)의 반경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차단 부재(231)는 연결 부재(235)를 이용하여 지지부(210)의 제1상부 플레이트(216a)와 제2상부 플레이트(216b)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연결 부재(235)는 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베어링은 볼베어링, 오일리스 베어링(oilless bearing) 등 다양한 종류의 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는데, 고온의 작업 환경에서 잘 열화되지 않고, 급지를 필요로 하지 않는 오일리스 베어링을 연결 부재(235)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구동 부재(233)는 지지부(210)의 양쪽에 설치되는 차단 부재(231)를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도록 지지부(210)에 설치될 수 있다. 구동 부재(233)는 차단 부재(231)와 연결되도록 제2상부 플레이트(216b)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작업자가 제2상부 플레이트(216)에 구동 부재(233)를 설치하거나 수리하는 경우, 제2상부 플레이트(216)에서 작업자가 추락 등의 안전 사고의 발생을 방지하도록, 제2상부 플레이트(216b)에는 안전 펜스(217b)를 설치할 수 있다. 구동 부재(233)는 제2상부 플레이트(216b)에 설치되고 차단 부재(231)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기(233a)와, 지지 부재(216)의 양쪽에 설치되는 차단 부재(231)를 연결하는 샤프트(233d)와, 구동기(233a)에서 제공되는 동력을 샤프트(233d)에 전달하도록 구동기(233a)와 샤프트(233d)를 연결하는 제1동력전달기(233b) 및 샤프트(233d)에 전달되는 동력을 차단 부재(231)에 전달하도록 샤프트(233d)와 차단 부재(231)에 연결되는 제2동력전달기(233c)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동력전달기(233b)는 구동기(233a)와 샤프트(233d)에 각각 연결되는 휠과, 이들 휠을 연결하는 체인을 포함하는 스프로켓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동력전달기(233c)는 기어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샤프트(233d)와 차단 부재(231)는 직교하도록 배치되므로, 제2동력전달기(233c)는 차단 부재(231)를 샤프트(233d)의 회전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기어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기어 조립체는 베벨기어, 웜과 웜기어, 나사 기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작업 장치를 구성하는 탑승부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의 (a)는 구동 부재(233)를 이용하여 차단 부재(231)를 작동시키기 이전 상태로서, 차단 부재(231)가 접혀져서 지지 몸체(211)의 양쪽에 나란하게 배치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이와 같은 상태는 냉각 튜브(120)를 정비를 수행하기 이전에 대기하거나, 냉각 튜브(120)의 정비를 위해 작업 장치(200)를 이동시키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210)에 차단부(230)를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면, 작업 장치(200)가 차지하는 면적을 줄일 수 있고, 작업 장치(200)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다른 설비와 충돌하는 등 안전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6의 (b)는 구동 부재(233)를 이용하여 차단 부재(231)를 작동시킨 상태로서, 차단 부재(231)를 회전시켜 수평방향으로 배치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이때, 차단 부재(231)의 회전 범위는 구동 부재(233)에 의해 조절될 수 있으며, 지지부(210)를 냉각 튜브(120)의 상부에 안착시켰을 때 차단 부재(231)는 냉각 튜브(120)에 접촉 또는 안착될 수 있을 정도로 회전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구동 부재(233)가 지지부(210)의 양쪽에 설치되는 차단 부재(231)를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구동 부재(233)는 각각의 차단 부재(231)를 독립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지지부(210)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작업 장치를 이용하여 대상체인 냉각 튜브를 정비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작업 장치를 대상체에 설치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0은 작업 위치에 따라 탑승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작업 방법은, 적어도 상부가 개방되는 대상체의 상부에 작업 장치(200)를 배치시키는 과정과, 작업 장치(200)의 차단부(230)를 들어 올려 작업 장치(200)의 지지부(210) 양쪽에 배치시키는 과정과, 작업 장치(200)의 탑승부(220)를 대상체의 내부로 삽입시키는 과정과, 작업 장치(200)의 지지부(210)를 대상체에 접촉시키고, 차단부(230)로 대상체의 상부를 덮는 과정과, 및 작업 위치에서 대상체를 정비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대상체를 정비하는 과정 이전에 대상체의 내부에서 정비할 작업 위치를 파악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대상체가 전로(110)의 상부에 설치되는 냉각 튜브(120)인 예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대상체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먼저, 냉각 튜브(120)의 정비를 위해 전로(110)를 경동시켜 전로(110)의 노구(112)를 냉각 튜브(120)의 하부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전로(110)의 내부는 매우 고온이기 때문에, 전로(110)의 노구(112)를 통해 고온의 열기가 방출되므로, 정비를 안전하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전로(110)의 노구(112)를 냉각 튜브(120)의 하부에서 이격시켜야 한다.
전로(110)의 노구를 냉각 튜브(120)의 하부에서 이격시킨 다음, 냉각 튜브(120)의 정비를 위해 작업 장치(200)를 냉각 튜브(120)에 설치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대기 위치에 보관되어 있는 작업 장치(200)에 크레인의 이송 장치의 와이어(300)를 연결하고, 들어 올려 냉각 튜브(120) 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와이어(300)는 냉각 튜브(120)의 지지 프레임(211c)에 형성되는 체결 부재(214)에 연결될 수 있다. 작업 장치(200)를 냉각 튜브(120)쪽으로 이송하는 동안, 작업 장치(200)의 차단 부재(231)는 접혀진 상태로, 지지 몸체(211)의 제1측부 플레이트(211a)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작업 장치(200)가 냉각 튜브(120) 상부로 이송되면,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차단 부재(231)를 들어 올려 지지 몸체(211)의 양쪽에 수평방향으로 배치시킨다. 이때, 차단 부재(231)는 구동 부재(233)의 작동을 통한 회전 운동으로 들어 올려지며, 제1측부 플레이트(211a)와 교차하는 방향, 예컨대 제1측부 플레이트(211a)와 90° 정도의 사이각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후, 이송 장치를 이용하여 작업 장치(200)를 하강시켜 냉각 튜브(120) 상부에 안착시킬 수 있다. 냉각 튜브(120)의 상부에서 작업 장치(200)를 하강시키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부(220)와 지지 몸체(211)의 일부는 냉각 튜브(120) 내부로 삽입되고, 지지 부재(216)와 차단 부재(231)가 냉각 튜브(120)의 상단에 접촉하면 작업 장치(200)의 하강을 멈추고 냉각 튜브(120) 상부에 안착될 수 있다. 이때, 차단 부재(231)는 지지 몸체(211)의 양쪽에서 냉각 튜브(120)의 상부를 덮을 수 있다. 이에 작업자가 냉각 튜브(120)의 외측에 설치되는 데크에서 냉각 튜브(120) 내부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작업 장치(200)가 냉각 튜브(120)의 상부에 안착되면, 작업 장치(200)에서 이송 장치의 와이어를 분리할 수 있다.
이후, 작업자는 냉각 튜브(120)의 주변에 설치된 데크에서 작업 장치(200)의 통로 부재(218), 예컨대 계단을 통해 탑승부(220)의 작업대(221)로 진입할 수 있다.
작업자는 작업대(221)로 진입한 다음, 냉각 튜브(120)에서 정비할 작업 위치를 파악하고, 해당 작업 위치에서 냉각 튜브(120)를 정비할 수 있다. 이때, 작업 위치의 파악은 작업 장치(200)를 냉각 튜브(120)에 설치하기 이전에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파악한 작업 위치가 작업자의 행동 반경을 벗어날 수도 있다. 이 경우, 작업자가 파악된 작업 위치에서 정비를 수행할 수 있도록 작업대(221)의 높이를 조절하거나 작업 장치(2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예컨대 파악된 작업 위치가 작업대(221)보다 하부에 있는 경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기(225)를 작동시켜 작업자가 파악된 작업 위치에서 정비를 수행할 수 있도록 작업대(221)를 하강시킬 수 있다.
반면, 파악된 작업 위치가 작업대(221)에서 수평방향으로 멀리 떨어져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작업대(221)를 파악된 작업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이송 장치를 이용하여 작업 장치(2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이송 장치의 와이어(300)를 연결하고, 이송 장치를 이용하여 작업 장치(200)를 들어올린 다음, 작업 위치가 있는 쪽으로 작업대(221)를 이동시키도록 작업 장치(200)를 회전시킨 후, 작업 장치(200)를 냉각 튜브(120) 상부에 안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작업 위치에 따라 승강기(225)를 이용하여 작업대(221)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작업대(221)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작업 장치(200)를 회전시키기 위해 작업 장치(200)에 이송 장치의 와이어(300)를 다시 연결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최초 냉각 튜브(120) 상부에 작업 장치(200)를 안착시키고, 작업 장치(200)에서 와이어(300)를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작업 위치를 파악한 후, 파악된 작업 위치에 따라 작업 장치(200)를 회전시킬 수도 있다.
정비 작업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이송 장치의 와이어(300)를 작업 장치(200)에 연결하고, 작업 장치(200)에서 나올 수 있다. 이후, 이송 장치를 이용하여 작업 장치(200)를 들어 올려 냉각 튜브(120)에서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구동 부재(233)를 이용하여 차단 부재(231)를 회전시켜 지지 몸체(211)의 제1측부 플레이트(211a)와 나란하게 위치시키고, 대기 장소로 작업 장치(200)를 이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전로 설비 110: 전로
112: 노구 120: 냉각 튜브
200: 작업 장치 210: 지지부
220: 탑승부 230: 차단부
300: 와이어

Claims (22)

  1. 일부가 대상체의 상부에 접촉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지지부;
    상기 대상체를 정비할 수 있는 작업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대상체의 내부로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는 탑승부; 및
    상기 탑승부의 상부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대상체의 상부 일부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는 차단부;를 포함하는 작업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는 적어도 상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대상체를 수평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는 작업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내부에 상기 탑승부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지지 몸체; 및
    상기 지지 몸체를 상기 대상체에 지지시키기 위한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작업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지지 몸체는,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1측부 플레이트;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적어도 상기 제1측부 플레이트의 양쪽에 각각 연결되는 지지 프레임; 및
    상기 탑승부의 일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1측부 플레이트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1하부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제1하부 플레이트와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에 연결되는 제1상부 플레이트; 및
    수평방향으로 상기 제1상부 플레이트와 이격되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에 연결되는 제2상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작업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측부 플레이트의 폭 방향 길이는 상기 대상체의 내경보다 짧게 형성되고,
    상기 제1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제2상부 플레이트는 상기 제1측부 플레이트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작업 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제1하부 플레이트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통로 부재를 포함하는 작업 장치.
  7. 청구항 3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이송 장치에 연결하기 위한 체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 부재는 체결구, 체결 고리 및 체결 돌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작업 장치.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탑승부는,
    작업 공간을 형성하는 작업대; 및
    상기 작업대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작업대와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는 승강기;를 포함하는 작업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는,
    상기 제1측부 플레이트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2측부 플레이트; 및
    상기 제2상부 플레이트와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제2측부 플레이트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2하부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기는 상기 제2측부 플레이트와 상기 제2하부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1측부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작업 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작업대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작업대와 접촉 가능한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작업 장치.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는 단열재를 포함하는 작업 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대상체의 상부에 접촉 가능하고, 상기 대상체의 일부를 열고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의 양쪽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작업 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지지부의 양쪽에 배치되는 차단부재;
    상기 차단부재를 상기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차단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재;를 포함하는 작업 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대상체의 면적에 대해 50% 이하의 면적을 갖는 차단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 몸체의 일부는 상기 대상체의 수평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작업 장치.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는 그물망을 포함하는 작업 장치.
  16. 적어도 상부가 개방되는 대상체의 상부에 작업 장치를 배치시키는 과정;
    상기 작업 장치의 차단부를 들어 올려 상기 작업 장치의 지지부 양쪽에 배치시키는 과정;
    상기 작업 장치의 탑승부를 상기 대상체의 내부로 삽입시키는 과정;
    상기 작업 장치의 지지부를 상기 대상체에 접촉시키고, 상기 차단부로 상기 대상체의 상부를 덮는 과정; 및
    상기 대상체를 정비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작업 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를 정비하는 과정 이전에 상기 대상체의 내부에서 정비할 작업 위치를 파악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작업 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의 상부에 작업 장치를 배치시키는 과정은,
    상기 작업 장치를 이송 장치에 연결하는 과정;
    상기 이송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작업 장치를 들어 올리는 과정; 및
    상기 대상체의 상부로 상기 작업 장치를 이동시키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대상체의 상부에 작업 장치를 배치시키는 과정 이후에, 상기 이송 장치에서 상기 작업 장치를 분리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작업 방법.
  19.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의 상부에 작업 장치를 배치시키는 과정은,
    상기 작업 장치를 이송 장치에 연결하는 과정;
    상기 이송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작업 장치를 들어 올리는 과정; 및
    상기 대상체의 상부로 상기 작업 장치를 이동시키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대상체를 정비하는 과정 이전에, 상기 이송 장치를 이용하여 파악된 작업 위치로 상기 작업 장치를 회전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작업 방법.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작업 장치를 회전시키는 과정은,
    상기 이송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작업 장치를 들어 올리는 과정을 포함하는 작업 방법.
  21. 청구항 17 내지 2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파악된 작업 위치에 따라 상기 탑승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작업 방법.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는 전로 상부에 설치되는 중공형의 냉각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대상체를 정비하는 과정은 상기 냉각 튜브의 내부에서 상기 냉각 튜브를 수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작업 방법.
KR1020200177614A 2020-12-17 2020-12-17 작업 장치 및 방법 KR1025658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7614A KR102565877B1 (ko) 2020-12-17 2020-12-17 작업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7614A KR102565877B1 (ko) 2020-12-17 2020-12-17 작업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7171A true KR20220087171A (ko) 2022-06-24
KR102565877B1 KR102565877B1 (ko) 2023-08-10

Family

ID=82215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7614A KR102565877B1 (ko) 2020-12-17 2020-12-17 작업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5877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7458U (ja) * 2004-08-31 2005-02-03 株式会社志多組 立坑工事用作業床及びその取付装置
JP2006316543A (ja) * 2005-05-13 2006-11-24 Okuma Kasetsu Kk ケーソンの移動式足場工法
JP2011080276A (ja) * 2009-10-08 2011-04-21 Nikko Co Ltd 吊り階段の設置方法
JP2014065585A (ja) 2012-09-26 2014-04-17 Mitsubishi Nichiyu Forklift Co Ltd ピッキングリフトの転落防止装置、および該転落防止装置を備えたピッキングリフト
KR101884626B1 (ko) * 2017-09-28 2018-08-02 유남호 랙방식으로 연결되는 고소작업대
KR102122650B1 (ko) 2018-08-27 2020-06-12 현대제철 주식회사 고로 보수용 데크장치
KR102151257B1 (ko) * 2020-05-27 2020-09-02 김한기 낙하물방지망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7458B2 (ja) * 1992-06-24 2000-11-06 英明 岸田 場所打ち杭の支持力の確認と増加方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7458U (ja) * 2004-08-31 2005-02-03 株式会社志多組 立坑工事用作業床及びその取付装置
JP2006316543A (ja) * 2005-05-13 2006-11-24 Okuma Kasetsu Kk ケーソンの移動式足場工法
JP2011080276A (ja) * 2009-10-08 2011-04-21 Nikko Co Ltd 吊り階段の設置方法
JP2014065585A (ja) 2012-09-26 2014-04-17 Mitsubishi Nichiyu Forklift Co Ltd ピッキングリフトの転落防止装置、および該転落防止装置を備えたピッキングリフト
KR101884626B1 (ko) * 2017-09-28 2018-08-02 유남호 랙방식으로 연결되는 고소작업대
KR102122650B1 (ko) 2018-08-27 2020-06-12 현대제철 주식회사 고로 보수용 데크장치
KR102151257B1 (ko) * 2020-05-27 2020-09-02 김한기 낙하물방지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5877B1 (ko) 2023-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71888A (en) Soaking pit chipper
JP5719474B2 (ja) 電気炉用屋根
CN211360636U (zh) 一种钢包热修装置
KR102565877B1 (ko) 작업 장치 및 방법
CN201333513Y (zh) 钢包热整备装置
KR200228430Y1 (ko) 작업대의 사방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노체보수장치
US336776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ly melting scrap vehicles
CN115505701B (zh) 一种环保型薄壁长杆件精准淬火自动化热处理生产线
KR102359238B1 (ko) 작업장치 및 작업방법
CN201924037U (zh) 一种大型转炉炉衬上修修砌设备
KR20210090952A (ko) 스트랜드잭을 이용한 고로용 안전작업장치와 이를 이용한 고로의 개수방법
KR102573147B1 (ko) 용강래들 열간보수장치
CN112414127A (zh) 一种机械制造用金属熔炼装置
US3870570A (en) Method for conditioning metal slabs
JPH08136158A (ja) 築炉タワー設備
US3219327A (en) Heating and heat treatment furnace for metal products and ingots
JP2003105413A (ja) 高炉の残銑の除去方法
JP2808141B2 (ja) Rh炉の補修設備
US698787A (en) Steel-converter.
JP4718027B2 (ja) コークス炉燃焼室の観察補修設備
CN219264954U (zh) 一种烧结金属陶瓷用车载提升炉窑
US20230175779A1 (en) Side-supported cantilever furnace roof
KR101050201B1 (ko) 고로의 내화물 축조용 장치
CN115977363B (zh) 修复精炼炉水冷炉盖的作业台架
CN114871611B (zh) 一种焊接滑轮的自动化制备系统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