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7610Y1 - 패널을 이용한 발판 - Google Patents

패널을 이용한 발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7610Y1
KR200477610Y1 KR2020140009697U KR20140009697U KR200477610Y1 KR 200477610 Y1 KR200477610 Y1 KR 200477610Y1 KR 2020140009697 U KR2020140009697 U KR 2020140009697U KR 20140009697 U KR20140009697 U KR 20140009697U KR 200477610 Y1 KR200477610 Y1 KR 2004776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wall
building
sliding hole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96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영호
Original Assignee
강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영호 filed Critical 강영호
Priority to KR20201400096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76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76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7610Y1/ko
Priority to PCT/KR2015/013761 priority patent/WO201610847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패널을 이용한 발판에 따르면, 건물 구축시 외벽에 설치되어 상부로 인양되는 폼에 사용되는 건축물 공사용 발판에 있어서, 패널의 측벽과 측벽이 마주되도록 다수개 배열되어 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건물의 외벽에 패널의 일단이 마주되게 구비된 패널부; 상기 패널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다수개의 패널을 연결하는 다수개의 멍에재; 상기 멍에재의 하부에 구비되어 다수개의 멍에재를 연결하는 다수개의 장선재; 및 상기 패널부의 상부 외측에 상기 패널이 구비되어 이루어진 낙하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은, 양단이 길이방향으로 관통형성되되, 격벽에 의해 다수개로 형성되는 관통공과, 상기 측벽에 형성되되, 외측면이 개구되며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슬라이딩공을 포함한다.
본 고안의 효과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의 재질로 이루어진 패널을 이용하여 패널부, 낙하방지부를 제작할 수 있으므로써, 크기를 규격화하여 대량생산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가볍고, 일정한 성능을 갖어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재활용이 가능하여 자재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패널을 이용한 발판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패널을 이용한 발판{A scaffold of a construction work}
본 고안은 패널을 이용한 발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자가 안전하게 보행 및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발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건설현장에서는 건축 구조물을 완성하는 동안 작업자의 통행 및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건축물의 외측으로 작업자가 지지할 수 있도록 갱폼 또는 클라이밍 폼에 발판을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발판은 상면이 평편한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건축물의 벽체 외부로 설치되는 강선재질의 지지 프레임(비계)에 고정되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발판은, 주로 나무판재 또는 금속판재 들이 가공된 것으로 이루어지며, 고층의 건축 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운반이 용이하도록 경량화를 구현해야 하고, 일정한 내구성을 가지어 변형 또는 파손 되지 않아야 한다.
이에 따라, 특히, 고층의 건축 구조물을 시공할 경우에, 나무재질의 발판이 적용될 경우에는, 내구성이 약하여 파손 및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그 무게가 무거워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하지 않고 기타 제반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을 가진다.
그리고, 금속재질의 발판이 적용되는 경우에는, 내구성이 좋아 변형 및 파손될 우려가 없으나, 못 또는 나사못 등을 이용하여 발판과 멍에재를 고정해야 하는 클라이밍 폼 시스템 상 체결이 어려우며, 그 무게가 무거워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하지 않으며, 규격으로 가공, 생산되기 때문에 현장여건에 대응하는 변형이 어려워 사용에 불편한 문제점을 가진다.
따라서, 고층 건축 구조물을 시공할 때, 나무재질 및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발판은 비적합하고 작업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0559118호(명칭: 고소 작업대)에서는,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커버와 철망, 발판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상측에 철망이 위치하고, 철망 상측으로 커버가 결속부재에 의해 밀착 결합하는 판넬 형태로 이루어진 발판이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한국실용신안공개번호 제20-2000-0016465호(명칭: 공사건물의 모서리용 안전발판)에서는,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다수의 통공이 구비되는 금속판체로 구성된 판넬 형태의 발판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한국특허공개번호 제10-2011-0069978호(명칭: 직선 구간용 족장)에서는,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전후면에 각각 결합돌기와 결합홈을 형성되어, 결합돌기와 결합홈에 의해 다수 개가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판넬 형태의 발판이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0228269호(명칭: 경량패널의 구성과 시공방법)에서는,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외부강판의 양측 끝단부를 상부로 절곡되도록 한 상태에서 일측은 내측방향으로 절곡시켜 "ㄱ"자 형상을 갖도록 하는 제1절곡부를 형성하고, 타측에는 다른 경량패널에 갖추어진 제1절곡부가 요입되어 결합될수 있도록 하는 제2절곡부를 형성하며, 상기 외부강판과 단열재 사이에 외부강판으로 내리쬐는 태양열이 투과되지 않고 반사될수 있도록 하는 열반사필름이 적층된 형태로 이루어진 발판이 기재되어 있다.
더불어, 최근에는 고층건물 건축시 클라이밍 폼을 이용한다. 클라이밍 폼을 인양시 간섭을 피하기 위해 발판 사이에 틈이 형성되어야 하는데, 그 틈을 사용하지 않을 시 덮어둘 수 있도록 덮개가 더 설치된다. 이로 인해 클라이밍 폼의 인양시 덮개를 열어두고, 인양이 마무리되면 공구의 낙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덮개를 덮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발판에는 캔틸레버 구간이 형성되어 보강재를 통해 발판의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으나, 자재 투입비용 및 클라이밍 폼의 중량이 상승되고, 작업시간 증가되는 등 공사비용이 더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의 목적은,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의 재질로 이루어진 패널을 이용하여 패널부, 낙하방지부를 제작할 수 있으므로써, 크기를 규격화하여 대량생산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가볍고, 일정한 성능을 갖어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재활용이 가능하여 자재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패널을 이용한 발판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패널들을 앵글로 연결하여 일체화시키고, 패널부에 낙하방지부와 틈폐쇄부재를 조립함으로써, 폼에 설치가 용이하고, 그에 따른 작업이 단순해지며, 작업의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패널을 이용한 발판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패널을 이용한 발판에 따르면, 건물 구축시 외벽에 설치되어 상부로 인양되는 폼에 사용되는 건축물 공사용 발판에 있어서, 패널의 측벽과 측벽이 마주되도록 다수개 배열되어 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건물의 외벽에 패널의 일단이 마주되게 구비된 패널부; 상기 패널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다수개의 패널을 연결하는 다수개의 멍에재; 상기 멍에재의 하부에 구비되어 다수개의 멍에재를 연결하는 다수개의 장선재; 및 상기 패널부의 상부 외측에 상기 패널이 구비되어 이루어진 낙하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은, 양단이 길이방향으로 관통형성되되, 격벽에 의해 다수개로 형성되는 관통공과, 상기 측벽에 형성되되, 외측면이 개구되며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슬라이딩공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낙하방지부는, 일측이 개구되어 상기 패널의 타단에 형성된 관통공의 외벽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측면에 돌출되어 상기 슬라이딩공에 끼워져 슬라이딩되는 제1돌출부가 형성된 제1앵글 및 상기 패널부의 타단 상부에 측벽이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패널의 슬라이딩공이 제1앵글의 제1돌출부에 결합되어 상기 패널부의 타단측으로 물품이 낙하되지 않도록 하는 제1낙하방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낙하방지부는, 내측면에 돌출되어 상기 슬라이딩공에 끼워져 슬라이딩되는 제2돌출부가 형성되고, 상측면에 돌출되어 상기 슬라이딩공에 끼워져 슬라이딩되는 제3돌출부가 형성된 제2앵글 및 상기 패널부의 양측 상부에 패널의 측벽이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패널의 슬라이딩공이 제2앵글의 제3돌출부에 결합되어, 상기 패널부의 양측으로 물품이 낙하되지 않도록 하는 제2낙하방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패널부가 다수의 패널이 배열되며 이루어질 때 상기 다수의 패널 중 서로 인접한 패널 측벽 사이에 발생되는 제1틈 또는 상기 패널부의 일단과 건물 외벽 사이에 발생되는 제2틈 중 어느 하나의 틈 사이에 구비되는 틈폐쇄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틈폐쇄부재(16)는, 상기 슬라이딩공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제4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4돌출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틈 또는 제2틈을 폐쇄시키는 폐쇄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앵글은, 상기 삽입공이 상기 패널의 일단에 형성된 관통공의 외벽에 삽입되어 상기 패널부의 일단에 구비되며, 외측면에 상기 제4돌출부가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양쪽에 돌출되어, 상기 패널의 측벽 사이에 형성된 패널의 슬라이딩공에 각각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제5돌출부가 형성된 제3앵글;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패널부를 이루는 패널과 패널은, 측벽에 형성된 슬라이딩공에 상기 제3앵글의 돌출부가 각각 삽입되어 슬라이딩됨에 따라 일체로 연결되어 분리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의 효과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의 재질로 이루어진 패널을 이용하여 패널부, 낙하방지부를 제작할 수 있으므로써, 크기를 규격화하여 대량생산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가볍고, 일정한 성능을 갖어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재활용이 가능하여 자재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패널을 이용한 발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효과는, 패널들을 앵글로 연결하여 일체화시키고, 패널부에 낙하방지부와 틈폐쇄부재를 조립함으로써, 폼에 설치가 용이하고, 그에 따른 작업이 단순해지며, 작업의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패널을 이용한 발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패널을 이용한 발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패널을 이용한 발판을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패널을 이용한 발판의 패널부에 제1앵글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패널을 이용한 발판의 제1낙하방지부가 제1앵글에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패널을 이용한 발판의 패널부에 제2앵글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패널을 이용한 발판의 제2낙하방지부가 제2앵글에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정단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패널을 이용한 발판의 패널 사이에 형성되는 제1틈에 제3앵글이 구비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정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패널을 이용한 발판의 건물 외벽과 패널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2틈에 제3앵글이 구비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9의 측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패널을 이용한 발판의 패널 사이마다 제3앵글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정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패널을 이용한 발판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 및 도 1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패널을 이용한 발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8 내지 2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패널을 이용한 발판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패널을 이용한 발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패널을 이용한 발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패널을 이용한 발판을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패널을 이용한 발판은, 건물 구축시 외벽에 설치되어 상부로 인양되는 폼에 사용되는 건축물 공사용 발판에 관한 것이다.
이때, 폼은 갱폼(gang form) 또는 클라이밍 폼(climbing form)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외에, 건물 외벽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지지하며 이동할 수 있도록 건축구조물을 말한다.
패널부(1)는, 패널(2)의 측벽과 측벽이 마주되도록 다수개 배열되어 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건물의 외벽에 패널(2)의 일단이 마주되게 구비된다.
여기서, 패널(2)은, 양단이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관통공(3)이 형성된다. 또한, 관통공(3)은 격벽(4)에 의해 다수개로 형성된다.
패널(2)의 측벽에는, 외측면이 개구되며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공(5)이 형성된다. 또한, 슬라이딩공(5)은 패널(2)의 측벽 상하에 한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딩공(5)은 외측면이 개구되어 '├'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슬라이딩공(5)의 내부 상하 폭 길이는 외측면이 개구된 입구의 상하 폭 길이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는, 슬라이딩공(5)에 결합되는 후술할 제2앵글(12) 내지 제3앵글(21)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결합 또는 분리되되 길이방향에 대한 직각방향으로는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패널(2)은 가로, 세로, 길이의 크기를 200mm, 40~50mm, Nmm로 할 수 있으며 크기를 규격화하여 대량생산이 가능하다. 더불어, 패널(2)은 가볍고, 일정한 성능을 갖었으며, 재활용이 가능하여 설계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패널(2)의 상측면과 하측면에는, 요철을 형성시켜 마찰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격벽(4)이 형성된 부분은 식별이 용이하도록 돌출부의 형상을 달리 하거나, 다른 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멍에재(6)는, 패널부(1)의 하부에 구비되어 다수개의 패널(2)을 연결하고, 다수의 패널(2)이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장선재(7)는, 멍에재(6)의 하부에 구비되어 다수개의 멍에재(6)를 연결하고, 다수의 멍에재(6)가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 멍에재(6)와 장선재(7)는 다수개로 이루어진다.
낙하방지부는, 패널부(1)의 상부 외측에 패널(2)이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즉, 낙하방지부는, 패널부(1)의 상부 외측에 구비되어 패널부(1)에서 건설장비와 같은 물품이 떨어지지 않도록 물품의 낙하를 방지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패널을 이용한 발판의 패널부에 제1앵글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패널을 이용한 발판의 제1낙하방지부가 제1앵글에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측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낙하방지부는, 제1앵글(8) 및 제1낙하방지부(11)를 포함한다.
제1앵글(8)은, 일측이 개구되어 패널(2)의 타단에 형성된 관통공(3)의 외벽이 삽입되는 삽입공(10)이 형성된다. 즉, 제1앵글(8)은 'ㄷ'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제1앵글(8)의 일측과 타측 사이의 폭길이는 패널(2)의 측벽 폭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된다.
또한, 제1앵글(8)은, 상측면에 돌출되어 슬라이딩공(5)에 끼워져 슬라이딩되는 제1돌출부(9)가 형성된다.
이때, 제1돌출부(9)는 슬라이딩공(5)의 정단면적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후술할 제2돌출부(13) 내지 제5돌출부(22)도 슬라이딩공(5)의 정단면적 형상('├'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된다.
이때, 제1돌출부(9)는 2개로 형성되고, 후술할 제1낙하방지부(11)의 패널(2) 측벽에 형성된 2개의 슬라이딩공(5)에 각각 결합된다. 이는, 제1앵글(8)과 제1낙하방지부(11)의 패널(2)과의 결합력을 증대시켜, 제1낙하방지부(11)의 패널(2)이 패널부(1)의 외측 또는 내측방향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패널부(1)의 패널(2)에 결합된 제1앵글(8)은 고정용 부재(23)(예: 스크류형 피스, 볼트, 못 등)의 체결에 의해 고정된다.
제1낙하방지부(11)는, 제1앵글(8)의 제1돌출부(9)에 패널(2)의 슬라이딩공(5)이 슬라이딩되며다수개의 제1앵글(8)에 결합된 패널(2)로 이루어진다.
즉, 제1낙하방지부(11)는, 패널부(1)의 타단 상부에 측벽이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패널(2)의 슬라이딩공(5)이 제1앵글(8)의 제1돌출부(9)에 결합되어 패널부(1)의 타단측으로 물품이 낙하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제1앵글(8)과, 제1낙하방지부(11)의 패널(2)과의 모서리부분 즉, 패널(2)의 슬라이딩공(5)과 제1돌출부(9)를 관통하도록 고정용 부재(23)가 체결되어 제1앵글(8)에 제1낙하방지부(11)의 패널(2)이 고정된다.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패널을 이용한 발판의 패널부에 제2앵글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패널을 이용한 발판의 제2낙하방지부가 제2앵글에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정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낙하방지부는, 제2앵글(12)과 제2낙하방지부(15)를 포함한다.
제2앵글(12)은, 내측면에 돌출되어 슬라이딩공(5)에 끼워져 슬라이딩되는 제2돌출부(13)가 형성되고, 상측면에 돌출되어 슬라이딩공(5)에 끼워져 슬라이딩되는 제3돌출부(14)가 형성된다.
여기서, 제2앵글(12)은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의 내측면에 제2돌출부(13)가 형성되되, 1개 이상으로 형성된다.
즉, 제2앵글(12)은, 패널부(1)의 양측에 구비된 패널(2)의 슬라이디공에 슬라이딩되며 끼워지며, 상술한 고정용 부재(23)로 체결고정된다.
또한, 제3돌출부(14)는 후술할 제2낙하방지부(15)의 패널(2)에 형성된 슬라이딩공(5)에 끼워져 슬라이딩된다. 더불어, 제3돌출부(14)는, 제2낙하방지부(15) 패널(2)의 슬라이딩공(5) 2개에 각각 결합되어 한 쪽으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2개로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3돌출부(14)가 형성된 제2앵글(12)의 상부의 폭길이는, 제2낙하방지부(15) 패널(2)의 폭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패널부(1)의 패널(2)에 결합된 제2앵글(12)은 고정용 부재(23)(예: 스크류형 피스, 볼트, 못 등)의 체결에 의해 고정된다.
제2낙하방지부(15)는, 제2앵글(12)의 제3돌출부(14)에 패널(2)의 슬라이딩공(5)이 슬라이딩되며 다수개의 제2앵글(12)에 결합된 패널(2)로 이루어진다.
즉, 제2낙하방지부(15)는, 패널부(1)의 양측 상부에 측벽이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패널(2)의 슬라이딩공(5)이 제2앵글(12)의 제3돌출부(14)에 결합되어 패널부(1)의 양측으로 물품이 낙하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제2앵글(12)과, 제2낙하방지부(15)의 패널(2)과의 모서리부분 즉, 패널(2)의 슬라이딩공(5)과 제3돌출부(14)를 관통하도록 고정용 부재(23)가 체결되어 제2앵글(12)에 제2낙하방지부(15)의 패널(2)이 고정된다.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패널을 이용한 발판의 패널 사이에 형성되는 제1틈에 제3앵글이 구비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정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패널을 이용한 발판의 건물 외벽과 패널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2틈에 제3앵글이 구비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9의 측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패널을 이용한 발판은, 틈폐쇄부재(16)를 더 포함한다.
틈폐쇄부재(16)는, 패널부(1)가 다수의 패널(2)이 배열되며 이루어질 때 다수의 패널(2) 중 서로 인접한 패널(2) 측벽 사이에 발생되는 제1틈(17) 또는 패널부(1)의 일단과 건물 외벽 사이에 발생되는 제2틈(18) 중 어느 하나의 틈 사이에 구비된다.
여기서, 제1틈(17)과 제2틈(18)은, 클라이밍 폼 설치시, 인양될 때 간섭을 피하기 위해 약 50mm의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틈이다.
특히, 틈폐쇄부재(16)는, 제1틈(17)에 적어도 하나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틈폐쇄부재(16)는, 슬라이딩공(5)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제4돌출부(19)가 형성되고, 제4돌출부(19)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제1틈(17) 또는 제2틈(18)을 폐쇄시키는 폐쇄부(20)가 형성된다.
이때, 틈폐쇄부재(16)는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져, 클라이밍 폼의 인양 시, 틈폐쇄부재(16)를 분리하지 않아도 되어, 별도의 작업이 필요없어 작업이 원활해진다.
한편, 제1앵글(8)은, 삽입공(10)이 패널(2)의 일단에 형성된 관통공(3)의 외벽에 삽입되어 패널부(1)의 일단에 구비되며, 외측면에 틈폐쇄부재(16)의 제4돌출부(19)가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공(5)이 형성된다.
이때, 제1앵글(8)의 제2돌출부(13)가 관통공(3)의 내부에 위치되게 패널부(1)의 일단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도 1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패널을 이용한 발판의 패널 사이마다 제3앵글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정단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패널을 이용한 발판은, 제3앵글(21)을 더 포함한다.
제3앵글(21)은, 상기 패널(2)의 측벽 사이에 형성된 패널(2)의 슬라이딩공(5)에 각각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제5돌출부(22)가 양쪽에 돌출형성된다. 이때, 제3앵글(21)은 'H'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패널부(1)를 이루는 패널(2)과 패널(2)은, 측벽에 형성된 슬라이딩공(5)에 제3앵글(21)의 제5돌출부(22)가 각각 삽입되어 슬라이딩됨에 따라 일체로 연결되어 분리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패널부(1)의 캔틸레버(cantilever) 부분에 하중이 발생하더라도, 제3앵글(21)이 패널부(1)의 패널(2)과 패널(2)을 일체로 연결하고 있기 때문에 하중을 분산시켜 하나의 패널(2)이 처지게 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더불어, 제3앵글(21)을 이용함으로써, 종래의 나무발판 보강방식에 비해 투입자재 및 중량 감소 등에 의해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도 1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패널을 이용한 발판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 및 도 1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패널을 이용한 발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8 내지 2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패널을 이용한 발판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5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패널을 이용한 발판은, 코어선행 공사기법이 적용되는 건축물의 공사에서 벽체(W)의 외부로 연장 형성된 연장 철골에 따른 벽체(W)와 패널부(1)의 사이의 이격 공간을 가변적으로 개폐하여 작업자의 추락 등과 같은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함과 동시에 폼의 인양시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보조판(26)을 신축할 수 있는 발판이다.
본 고안에 따른 패널을 이용한 발판은, 패널부(1), 멍에재(6), 장선재(7), 슬라이딩발판부(24)를 포함한다.
먼저, 패널부(1)는, 패널(2)의 측벽과 측벽이 마주되도록 다수개 배열되어 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건물의 벽체(W)에 패널(2)의 일단이 마주되게 구비된다.
여기서, 패널(2)은, 양단이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관통공(3)이 형성된다. 또한, 관통공(3)은 격벽(4)에 의해 다수개로 형성된다.
멍에재(6)는, 패널부(1)의 하부에 구비되어 다수개의 패널(2)을 연결하며, 다수개로 이루어진다.
장선재(7)는, 멍에재(6)의 하부에 구비되어 다수개의 멍에재(6)를 연결하며, 다수개로 이루어진다.
슬라이딩발판부(24)는, 패널부(1)의 일단에 패널부(1)의 내부로 슬라이딩가능하게 구비되어 패널부(1)의 일단과 건물의 벽체(W) 사이에 형성된 이격공간을 개폐시킨다.
이에 따라, 추가자재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공사기간을 단축하여 원활한 공사가 진행될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딩발판부(24)는, 슬라이딩바(25), 보조판(26) 및 외력가압부(27)를 포함한다.
슬라이딩바(25)는, 관통공(3)으로 일단이 삽입되어 슬라이딩된다.
이때, 슬라이딩바(25)는, 다수개로 이루어지며 일정간격 이격되어 관통공(3)에 각각 삽입된다.
또한, 다수개의 슬라이딩바(25) 타단들은, 후술할 보조판(26)의 일측 하측면과 결합된다.
그리고, 슬라이딩바(25)의 길이는, 이격공간으로 신장된 상태에서 패널부(1)의 일단으로 노출된 슬라이딩바(25)의 길이보다 패널(2)의 관통공(3)에 삽입된 길이가 더 길도록 일정길이를 갖으며 형성된다.
이는, 작업자가 슬라이딩발판부(24)를 지지하였을 때 발생되는 하중에 대해서 안전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보조판(26)은, 슬라이딩바(25)의 타단에 일측이 결합되고, 이격공간으로 신장되면 이격공간을 폐쇄시키며 슬라이딩바(25)의 상부를 덮는다.
즉, 보조판(26)은, 슬라이딩의 상부에 구비되어, 다수개의 슬라이딩바(25) 사이마다 형성되는 공간부를 연결하며 폐쇄시킨다.
또한, 보조판(26)은, 슬라이딩바(25)의 타단에 결합된 일측(보조판(26)의 하측면 일측)과 결합되지 않은 중간부 경계부분이 절곡가능하게 형성되어 슬라이딩바(25)가 관통공(3)의 내부로 슬라이딩되어 이격공간이 개방되면 패널부(1)의 상측면과 보조판(26)의 하측면이 맞닿도록 배치된다.
즉, 슬라이딩바(25)가 관통공(3)의 내부로 슬라이딩되면 보조판(26)이 패널부(1)의 상부로 올라오게 되고, 슬라이딩바(25)가 관통공(3)의 외부로 슬라이딩되어 신장되면 보조판(26)이 신장된 슬라이딩바(25)의 상부에 올라오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보조판(26)의 두께는, 관통공(3)의 내부 상측면 또는 하측면과 패널(2)의 외측면 사이의 두께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보조판(26)이 신장된 슬라이딩바(25)의 상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보조판(26)의 상측면과 패널부(1)의 상측면이 평행하도록 두께를 갖음으로써, 작업자가 이동할 때 걸림턱이 없이 안전한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더불어, 이격공간을 폐쇄시키는 보조판(26)의 폭은, 이격공간으로 신장된 상태에서 패널부(1)의 일단으로 노출된 슬라이딩바(25)의 길이와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보조판(26)과 패널부(1)의 일단 사이에 틈이 발생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또한, 틈이 발생되지 않도록 폭을 갖음으로써, 장비가 떨어지지 않도록 하여, 작업이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외력가압부(27)는, 보조판(26)의 타측에 결합되어 보조판(26)을 들어올려 잡아당기거나, 밀어내어 슬라이딩바(25)가 관통공(3)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외력을 가한다.
이때, 외력가압부(27)는, 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8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외력가입부를 작업자가 위로 잡아당기면 보조판(26)의 타측이 들어올려지되 패널부(1)의 상측면보다 더 높이 들어올려지고, 그 상태에서 패널부(1)의 타단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슬라이딩바(25)가 슬라이딩되며 축소된다. 이에 따라 보조판(26)은 패널부(1)의 상부로 이동되여 이격공간이 개방된다. 그리고 폼이 인양됨에 따라 철근(C)으로부터 간섭없이 일체로 인양된다.
그리고, 작업자는 보조판(26)을 건물의 벽체(W)를 향하며 밀게 되면 슬라이딩바(25)가 신장되면서 보조판(26)에 의해 이격공간이 폐쇄된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패널부 2: 패널
3: 관통공 4: 격벽
5: 슬라이딩공 6: 멍에재
7: 장선재 8: 제1앵글
9: 제1돌출부 10: 삽입공
11: 제1낙하방지부 12: 제2앵글
13: 제2돌출부 14: 제3돌출부
15: 제2낙하방지부 16: 틈폐쇄부재
17: 제1틈 18: 제2틈
19: 제4돌출부 20: 폐쇄부
21: 제3앵글 22: 제5돌출부
23: 고정용 부재 24: 슬라이딩발판부
25: 슬라이딩바 26: 보조판
27: 외력가압부 C: 철근
W: 벽체

Claims (5)

  1. 삭제
  2. 건물 구축시 외벽에 설치되어 상부로 인양되는 폼에 사용되는 건축물 공사용 발판에 있어서,
    패널의 측벽과 측벽이 마주되도록 다수개 배열되어 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건물의 외벽에 패널의 일단이 마주되게 구비된 패널부;
    상기 패널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다수개의 패널을 연결하는 다수개의 멍에재;
    상기 멍에재의 하부에 구비되어 다수개의 멍에재를 연결하는 다수개의 장선재; 및
    상기 패널부의 상부 외측에 상기 패널이 구비되어 이루어진 낙하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은, 양단이 길이방향으로 관통형성되되, 격벽에 의해 다수개로 형성되는 관통공과, 상기 측벽에 형성되되, 외측면이 개구되며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슬라이딩공을 포함하고,
    상기 낙하방지부는,
    일측이 개구되어 상기 패널의 타단에 형성된 관통공의 외벽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측면에 돌출되어 상기 슬라이딩공에 끼워져 슬라이딩되는 제1돌출부가 형성된 제1앵글 및
    상기 패널부의 타단 상부에 측벽이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패널의 슬라이딩공이 제1앵글의 제1돌출부에 결합되어 상기 패널부의 타단측으로 물품이 낙하되지 않도록 하는 제1낙하방지부를 포함하는 패널을 이용한 발판.
  3. 건물 구축시 외벽에 설치되어 상부로 인양되는 폼에 사용되는 건축물 공사용 발판에 있어서,
    패널의 측벽과 측벽이 마주되도록 다수개 배열되어 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건물의 외벽에 패널의 일단이 마주되게 구비된 패널부;
    상기 패널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다수개의 패널을 연결하는 다수개의 멍에재;
    상기 멍에재의 하부에 구비되어 다수개의 멍에재를 연결하는 다수개의 장선재; 및
    상기 패널부의 상부 외측에 상기 패널이 구비되어 이루어진 낙하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은, 양단이 길이방향으로 관통형성되되, 격벽에 의해 다수개로 형성되는 관통공과, 상기 측벽에 형성되되, 외측면이 개구되며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슬라이딩공을 포함하고,
    상기 낙하방지부는,
    내측면에 돌출되어 상기 슬라이딩공에 끼워져 슬라이딩되는 제2돌출부가 형성되고, 상측면에 돌출되어 상기 슬라이딩공에 끼워져 슬라이딩되는 제3돌출부가 형성된 제2앵글 및
    상기 패널부의 양측 상부에 패널의 측벽이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패널의 슬라이딩공이 제2앵글의 제3돌출부에 결합되어, 상기 패널부의 양측으로 물품이 낙하되지 않도록 하는 제2낙하방지부를 포함하는 패널을 이용한 발판.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가 다수의 패널이 배열되며 이루어질 때 상기 다수의 패널 중 서로 인접한 패널 측벽 사이에 발생되는 제1틈 또는 상기 패널부의 일단과 건물 외벽 사이에 발생되는 제2틈 중 어느 하나의 틈 사이에 구비되는 틈폐쇄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틈폐쇄부재는, 상기 슬라이딩공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제4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4돌출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틈 또는 제2틈을 폐쇄시키는 폐쇄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앵글은, 상기 삽입공이 상기 패널의 일단에 형성된 관통공의 외벽에 삽입되어 상기 패널부의 일단에 구비되며, 외측면에 상기 제4돌출부가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을 이용한 발판.
  5. 건물 구축시 외벽에 설치되어 상부로 인양되는 폼에 사용되는 건축물 공사용 발판에 있어서,
    패널의 측벽과 측벽이 마주되도록 다수개 배열되어 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건물의 외벽에 패널의 일단이 마주되게 구비된 패널부;
    상기 패널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다수개의 패널을 연결하는 다수개의 멍에재;
    상기 멍에재의 하부에 구비되어 다수개의 멍에재를 연결하는 다수개의 장선재; 및
    상기 패널부의 상부 외측에 상기 패널이 구비되어 이루어진 낙하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은, 양단이 길이방향으로 관통형성되되, 격벽에 의해 다수개로 형성되는 관통공과, 상기 측벽에 형성되되, 외측면이 개구되며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슬라이딩공을 포함하고,
    양쪽에 돌출되어, 상기 패널의 측벽 사이에 형성된 패널의 슬라이딩공에 각각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제5돌출부가 형성된 제3앵글;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패널부를 이루는 패널과 패널은, 측벽에 형성된 슬라이딩공에 상기 제3앵글의 돌출부가 각각 삽입되어 슬라이딩됨에 따라 일체로 연결되어 분리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을 이용한 발판.
KR2020140009697U 2014-12-31 2014-12-31 패널을 이용한 발판 KR2004776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9697U KR200477610Y1 (ko) 2014-12-31 2014-12-31 패널을 이용한 발판
PCT/KR2015/013761 WO2016108475A1 (ko) 2014-12-31 2015-12-15 패널을 이용한 발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9697U KR200477610Y1 (ko) 2014-12-31 2014-12-31 패널을 이용한 발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7610Y1 true KR200477610Y1 (ko) 2015-07-02

Family

ID=53795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9697U KR200477610Y1 (ko) 2014-12-31 2014-12-31 패널을 이용한 발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77610Y1 (ko)
WO (1) WO201610847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68992A (zh) * 2019-01-25 2019-06-11 天长市华利机械实业有限公司 一种用于脚手架的踏板调节器及其使用方法
KR20200023895A (ko) * 2018-08-27 2020-03-06 현대제철 주식회사 고로 보수용 데크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4579Y1 (ko) * 2003-01-29 2003-05-27 이강록 갱폼용 안전발판
KR100777937B1 (ko) * 2006-06-19 2007-11-22 이명래 외벽마감공사용 가이드 브라켓
KR200447684Y1 (ko) * 2009-01-28 2010-02-11 (주) 미도랜드 블록형 데크 조립체
KR101113442B1 (ko) * 2011-06-07 2012-02-29 (주)세화디엔씨 목재 데크용 신축 연결구조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06618A5 (ko) * 1976-12-01 1978-11-15 Bruno Solan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4579Y1 (ko) * 2003-01-29 2003-05-27 이강록 갱폼용 안전발판
KR100777937B1 (ko) * 2006-06-19 2007-11-22 이명래 외벽마감공사용 가이드 브라켓
KR200447684Y1 (ko) * 2009-01-28 2010-02-11 (주) 미도랜드 블록형 데크 조립체
KR101113442B1 (ko) * 2011-06-07 2012-02-29 (주)세화디엔씨 목재 데크용 신축 연결구조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3895A (ko) * 2018-08-27 2020-03-06 현대제철 주식회사 고로 보수용 데크장치
KR102122650B1 (ko) * 2018-08-27 2020-06-12 현대제철 주식회사 고로 보수용 데크장치
CN109868992A (zh) * 2019-01-25 2019-06-11 天长市华利机械实业有限公司 一种用于脚手架的踏板调节器及其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08475A1 (ko) 2016-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2551B1 (ko) 해체가 용이한 슬라브 거푸집 지지바
KR200477610Y1 (ko) 패널을 이용한 발판
JP4108103B2 (ja) 簡易間仕切り構造
KR102386310B1 (ko) 작업 계단
KR200477350Y1 (ko) 신축이 가능한 슬라이딩 발판
JP4945428B2 (ja) 補強構造
KR101794305B1 (ko) 고소작업용 발판
KR101079991B1 (ko) 차수막, 벽체패널과 프레임 부재를 이용한 벽체마감 장치 및 설치방법
KR102344554B1 (ko) 프레임 구조물 체결 구조
KR101612376B1 (ko) 중간 연결재를 이용한 데크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JP2010229654A (ja) 組立用階段
JP3987952B2 (ja) 耐震壁、壁構築用ブロック、既存建物の耐震補強方法
JP7117523B2 (ja) 壁下地装置
JP4919126B2 (ja) 構造用部材及びその組立方法
JP6920827B2 (ja) 方立及び方立の連結方法
JP3947479B2 (ja) 木造建物用壁構成材
JP7223897B1 (ja) ユニット家具
JP7010486B2 (ja) 耐力壁及び水平構面
KR20120032094A (ko) 조립식 거푸집 문틀
KR102157418B1 (ko) H빔을 포함하는 목재데크 결합 시스템
JP2002021225A (ja) 間仕切壁
TWI686531B (zh) 用於建築物外部的幕牆施工系統、施工方法及其臨時避風雨屏障系統
JP2024052017A (ja) 仮設階段設置部用仮設床
KR20080033672A (ko) 조립식 바닥재
JP3883970B2 (ja) 軸組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