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4305B1 - 고소작업용 발판 - Google Patents

고소작업용 발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4305B1
KR101794305B1 KR1020170050731A KR20170050731A KR101794305B1 KR 101794305 B1 KR101794305 B1 KR 101794305B1 KR 1020170050731 A KR1020170050731 A KR 1020170050731A KR 20170050731 A KR20170050731 A KR 20170050731A KR 101794305 B1 KR101794305 B1 KR 1017943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plate
plate
longitudinal direction
foot
scaff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0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동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거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거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거상
Priority to KR1020170050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43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4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43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공간의 신축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작업환경에 따른 가설 비계에 적합하게 맞춤되게 고정되도록; 작업물의 외측에 설치되는 가설 비계를 구성하는 한 쌍의 수평프레임들의 사이에 설치되어 고소작업공간의 바닥을 형성하도록 된 고소작업용 발판에 있어서; 상면에 '판(板'plate)'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진 제1상판이 구비되며 상기 제1상판의 길이방향으로 일측단에 상기 수평프레임들 중 하나의 수평프레임의 일부위가 수용되면서 끼움결합하는 제1고정홈이 형성되는 제1발판부재와; 상면에 '판(板'plate)'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진 제2상판이 구비되며 상기 제2상판의 길이방향으로 일측단에 상기 수평프레임들 중 하나의 수평프레임의 일부위가 수용되면서 끼움결합하는 제2고정홈이 형성되는 제2발판부재와; 상기 제1발판부재의 상기 제1상판의 양측하부에 상기 제1상판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교차는 방향으로 사이 간격을 가지면서 구비되며 'U' 형상으로 형성되되 서로 마주보는 면에 상기 제2상판이 관통하면서 끼움결합하는 개구를 가지며, 상기 제1상판의 길이방향으로 안내홈을 가지는 수용레일과; 상기 제2발판부재의 상기 제2상판의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안내홈에 삽입수용되어 끼움결합하는 안내레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고소작업용 발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고소작업용 발판{Apparatus for footholding safety for working height}
본 발명은, 작업자가 고도의 작업환경에서 안전하게 작업하도록 가설 비계에 설치되는 고소작업용 발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공간의 신축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작업환경에 따른 가설 비계에 적합하게 맞춤되게 고정되도록 그 폭이 신축 가능하도록 되어 사용효율이 향상됨은 물론, 구조적으로 신축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져 시공작업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특히, 시공된 상태를 확고히 유지할 수 있어, 안정성을 구현하도록 된 고소작업용 발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안전하게 올라가서 작업을 할 필요가 많은 건축, 토목, 조선소 등의 현장에서는 강관 파이프들로 다수의 지주를 세우고 지주들을 가로 또는 경사지게 연결하는 가로대와 경사대 등을 결합한 다음, 상부에 발판프레임을 수평으로 지주에 고정시킨 후 작업자의 통로 및 작업을 위한 고소발판이 설치된 가설 비계를 이용하게 된다.
즉, 각종 공사에서 높은 곳에서의 작업을 위하여 작업의 상황에 맞게 높이를 조절하여 설치되는 구조물이 가설비계 이다.
이러한 가설 비계는, 통상적으로 격자 상으로 서로 체결된 다수개의 구조프레임과, 작업자의 작업대 및 통로의 역할을 하는 고소발판이 상기 구조프레임에 체결되어 형성되며, 상기 작업발판은 발판프레임과, 발판프레임에 설치되어 구조프레임에 체결되는 걸침 고리로 구성된다.
한편, 작업물에 대한 작업환경에 따라, 작업자의 작업공간을 신축하여 작업을 더욱 안정적으로 수행하도록 된 다양한 구조의 고소발판들이 제안되고 있다.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1-0076005호(명칭: 건축공사용 슬라이드형 안전발판/2011.07.29.)에서는,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발판이 고정발판의 양쪽 레일을 따라서 고정발판의 하부로 이동될 수 있도록 고정발판에 슬라이드 발판을 결합하여 이루어진 안전발판이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1-0030257호(명칭: 확장기능을 갖는 건축공사용 케이지/2011.04.01.)에서는,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작업발판에서 측면(벽체 측 방향)으로 보조작업발판이 힌지 결합되어 작업영역을 연장하도록 된 것 공사용 케이지가 기재되어 있다.
한편,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14-0009696호(명칭: 신축이 가능한 슬라이딩 발판/2014.12.31.)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건물 구축시 외벽에 설치되어 상부로 인양되는 폼에 사용되는 발판에 있어서, 패널의 측벽과 측벽이 마주되도록 다수개 배열되어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건물의 외벽에 패널의 일단이 마주되게 구비된 패널부; 상기 패널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다수개의 패널을 연결하는 다수개의 멍에재; 상기 멍에재의 하부에 구비되어 다수개의 멍에재를 연결하는 다수개의 장선재; 및 상기 패널부의 일단에 패널부의 내부로 슬라이딩가능하게 구비되어 패널부의 일단과 건물의 외벽 사이에 형성된 이격공간을 개폐시키는 슬라이딩발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은, 양단이 길이방향으로 관통형성되되, 격벽에 의해 다수개로 형성되는 관통공을 포함하는 발판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1-0011891호(명칭: 건축 공사용 작업발판/2001.04.25.)에서는,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고정발판에 회전발판을 힌지결합하여 작업공간을 연장하도록 된 발판이 기재되어 있다.
1,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1-0076005호(2011.07.29.) 2,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1-0030257호(2011.04.01.) 3,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14-0009696호(2014.12.31.) 4,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1-0011891호(2001.04.25.)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고소작업용 발판들은, 기설치된 가설 비계에서 외부로의 신축은 제대로 이루어지나, 작업환경에 따른 가설비계의 크기에 따른 시공시에는 적합하게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가설비계의 다양한 크기에 따라 각각 맞춤되는 크기의 발판들을 각각 구비하여 시공하여야만 하는 비경제적이며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시공되는 가설비계의 크기가 작업환경에 따라 선택하지 못하고, 소소발판의 크기에 따라 설치되어야만 하는 시공상의 문제점이 있어, 작업환경에 적합한 작업공간의 구현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공간의 신축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작업환경에 따른 가설 비계에 적합하게 맞춤되게 고정되도록 그 폭이 신축 가능하도록 되어 사용효율이 향상됨은 물론, 구조적으로 신축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져 시공작업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특히, 시공된 상태를 확고히 유지할 수 있어, 안정성을 구현하도록 된 고소작업용 발판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고소작업용 발판은, 작업물의 외측에 설치되는 가설 비계를 구성하는 한 쌍의 수평프레임들의 사이에 설치되어 고소작업공간의 바닥을 형성하도록 된 고소작업용 발판에 있어서; 상면에 '판(板'plate)'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진 제1상판이 구비되며 상기 제1상판의 길이방향으로 일측단에 상기 수평프레임들 중 하나의 수평프레임의 일부위가 수용되면서 끼움결합하는 제1고정홈이 형성되는 제1발판부재와; 상면에 '판(板'plate)'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진 제2상판이 구비되며 상기 제2상판의 길이방향으로 일측단에 상기 수평프레임들 중 하나의 수평프레임의 일부위가 수용되면서 끼움결합하는 제2고정홈이 형성되는 제2발판부재와; 상기 제1발판부재의 상기 제1상판의 양측하부에 상기 제1상판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교차는 방향으로 사이 간격을 가지면서 구비되며 'U' 형상으로 형성되되 서로 마주보는 면에 상기 제2상판이 관통하면서 끼움결합하는 개구를 가지며, 상기 제1상판의 길이방향으로 안내홈을 가지는 수용레일과; 상기 제2발판부재의 상기 제2상판의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안내홈에 삽입수용되어 끼움결합하는 안내레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고소작업용 발판은, 가설비계의 수평프레임들이 각각의 단부에 고정되어 각각 시공되는 제1발판부재와 제2발판부재들이 서로 수용레일과 안내레일을 통해 끼움결합하면서 각각의 제1고정홈과 제2고정홈들의 사이 간격을 신축하여 조절하여 작업공간의 신축이 용이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환경에 따른 가설 비계에 적합하게 맞춤되게 고정되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구조적으로 신축작업이 슬라이딩 형태로 이루어져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시공작업을 안정적으로 수행되는 효과를 가진다.
이와 더불어, 제1발판부재와 제2발판부재들이 결합할 때, 제1발판부재의 내부로 제2발판부재가 전면적에 걸쳐 밀착되면서 지지되도록 결합되어 시공된 상태를 확고히 유지할 수 있어, 안정성을 구현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고소작업용 발판을 보인 개략 분리 사시 예시도.
도 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고소작업용 발판을 보인 개략 측단면 예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고소작업용 발판을 보인 개략 정단면 예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실시 예에 의한 고소작업용 발판의 사용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실시 예에 의한 고소작업용 발판을 구성하는 제1고정홈 및 제2고정홈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일부 발췌 개략 단면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고소작업용 발판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고소작업용 발판을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고소작업용 발판(1)은, 작업물(10)의 외측에 설치되는 가설 비계(100)를 구성하는 한 쌍의 수평프레임(110)들의 사이에 설치되어 고소작업공간의 바닥을 형성하는 것에 적용된다.
즉, 상기 가설비계(100)의 수평프레임(110)들을 연결하여 바닥을 형성함으로써, 작업자의 통로 및 작업공간을 구성하게 된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고소작업용 발판(1)은, 상면에 '판(板'plate)'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진 제1상판(21)이 구비되며 상기 제1상판(21)의 길이방향으로 일측단에 상기 수평프레임(110)들 중 하나의 수평프레임(110)의 일부위가 수용되면서 끼움결합하는 제1고정홈(22)이 형성되는 제1발판부재(2)와; 상면에 '판(板'plate)'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진 제2상판(31)이 구비되며 상기 제2상판(31)의 길이방향으로 일측단에 상기 수평프레임(110)들 중 나머지 수평프레임(110)의 일부위가 수용되면서 끼움결합하는 제2고정홈(32)이 형성되는 제2발판부재(3);를 가진다.
즉, 상기 제1발판부재(2)와 상기 제2발판부재(3)가 상기 수평프레임(110)들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제1상판(21)과 상기 제2상판(31)의 상면을 통해 작업공간의 바닥면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한 제1상판(21)과 상기 제2상판(3)의 상면에는, 상부로 돌출형성되어 작업자의 미끄럼을 방지하도록 된 미도시된 다수의 돌기들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상판(21)과 상기 제2상판(31)으로 유입되는 빗물 등과 같은 유입수를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하도록 된 미도시된 다수의 통공이 형성될 수도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고소작업제판부재(2)의 상기 제1상1판(21)의 양측하부에 상기 제1상판(21)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교차는 방향으로 사이 간격을 가지면서 구비되며 'U' 형상으로 형성되되 서로 마주보는 면에 상기 제2상판(31)이 관통하면서 끼움결합하는 개구(41)를 가지며, 상기 제1상판(21)의 길이방향으로 안내홈(42)을 가지는 수용레일(4)과; 상기 제2발판부재(3)의 상기 제2상판(31)의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안내홈(42)에 삽입수용되어 끼움결합하는 안내레일(5);을 가진다.
즉, 상기 가설비계(100)의 상기 수평프레임(110)들에 각각 고정되어 각각 시공되는 상기 제1발판부재(2)와 상기 제2발판부재(3)들이 서로 상기 수용레일(4)과 상기 안내레일(5)을 통해 끼움결합하면서 각각의 상기 제1고정홈(22)과 상기 제2고정홈(32)들의 사이 간격을 신축하게 된다.
이에 따라, 작업환경에 따른 가설비계(100)에 적합하게 맞춤되게 시공된다.
그리고 상기 제1발판부재(2)와 상기 제2발판부재(3)들의 신축작업이 슬라이딩 형태로 이루어져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발판부재(2)와 상기 제2발판부재(3)들이 결합할 때, 상기 제1발판부재(2)의 내부로 상기 제2발판부재(3)가 전면적에 걸쳐 밀착되면서 지지되도록 결합되어 시공된 상태가 확고히 유지된다.
한편, 본 실시 예에 의한 고소작업용 발판(1)에서, 상기 제1고정홈(22)과 상기 제2고정홈(32)은, 상기 수평프레임(110)들의 일부위를 상측방향에서 수용하도록 상기 제1상판(21)과 상기 제2상판(31)의 하측방향으로 개방된 '∩'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용레일(4)과 상기 안내레일(5)은, 상기 제1상판(21)과 상기 제2상판(31)의 양측단부의 저면에 일체로 절곡되어 각각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고소작업용 발판(1)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 예에 의한 고소작업용 발판(1)은, 도 5 및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 등과 같은 작업물(10)의 외측에 시공되는 가설비계(100)에서 작업자의 작업통로 및 작업공간을 구성하는 바닥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고소작업용 발판(1)은, 상기 제1발판부재(2)의 상기 제1고정홈(22)과 상기 제2발판부재(3)의 상기 제2고정홈(32)이 가설비계(100)의 수평프레임(110)들에 각각 끼움결합하여 고정된다.
이때, 상기 수용레일(4)과 상기 안내레일(5)을 통해 끼움결합하면서 각각의 제1고정홈(22)과 제2고정홈(32)들의 사이 간격을 신축되면서 조절된다.
이에 따라, 작업환경에 따라 시공되는 다양한 크기의 가설비계(100)들에 각각 적합하게 맞춤되면서 설치된다.
한편, 본 실시 예에 의한 고소작업용 발판(1)에서, 상기 제1발판부재(2)와 상기 제2발판부재(3)는, 체인 등과 같은 연결부재(6)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제1발판부재(2)에서 상기 제2발판부재(3)가 무단으로 완전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외부에서 충격이 인가되더라도 설치된 상태를 확고히 유지할 수 이어, 안정성이 구현하게 된다.
상기한 제1발판부재(2)와 상기 제2발판부재(3)에는, 상기 연결부재(6)의 양단부가 각각 고정되는 고정고리(61)들이 각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고정고리(61)들을 통해 상기 연결부재(6)가 상기 제1발판부재(2)와 상기 제2발판부재(3)들을 연결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6)의 길이는, 상기 제1발판부재(2)에서 상기 제2발판부재(3)가 최대한 벌어지더라도 끼움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길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발판부재(2)에 상기 제2발판부재(3)가 수용되는 최대길이보다 작은 길이를 가지도록 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 의한 고소작업용 발판(1)에서, 상기 제1발판부재(2)와 상기 제2발판부재(3)에는, 상기 제1고정홈(22)과 상기 제2고정홈(32)의 내부로 각각의 고정볼트(7)가 각각 진입하면서 나사결합하도록 된 나사공(71)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1고정홈(22)과 상기 제2고정홈(32)의 내부에 끼움결합된 상기 수평프레임(110)들을 가압하여 확고히 고정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한 고소작업용 발판(1)은, 상기 가설비계(100)의 수평프레임(110)들이 각각의 단부에 고정되어 각각 시공되는 상기 제1발판부재(2)와 상기 제2발판부재(3)들이 서로 상기 수용레일(4)과 상기 안내레일(5)을 통해 끼움결합하면서 각각의 상기 제1고정홈(22)과 상기 제2고정홈(32)들의 사이 간격을 신축하도록 된 것을 기술적 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발판 10 : 작업물
100 : 가설비계 110 : 수평프레임
2 : 제1발판부재 21 : 제1상판
22 : 제1고정홈 3 : 제2발판부재
31 : 제2상판 32 : 제2고정홈
4 : 수용레일 41 : 개구
42 : 안내홈 5 : 안내레일
6 : 연결부재 61 ; 고정고리
7 : 고정볼트 71 : 나사공

Claims (2)

  1. 작업물(10)의 외측에 설치되는 가설 비계(100)를 구성하는 한 쌍의 수평프레임(110)들의 사이에 설치되어 고소작업공간의 바닥을 형성하도록, 상면에 '판(板'plate)'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진 제1상판(21)이 구비되며 상기 제1상판(21)의 길이방향으로 일측단에 상기 수평프레임(110)들 중 하나의 수평프레임(110)의 일부위가 수용되면서 끼움결합하는 제1고정홈(22)이 형성되는 제1발판부재(2)와; 상면에 '판(板'plate)'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진 제2상판(31)이 구비되며 상기 제2상판(31)의 길이방향으로 일측단에 상기 수평프레임(110)들 중 하나의 수평프레임(110)의 일부위가 수용되면서 끼움결합하는 제2고정홈(32)이 형성되는 제2발판부재(3)와; 상기 제1발판부재(2)의 상기 제1상판(21)의 양측하부에 상기 제1상판(21)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교차는 방향으로 사이 간격을 가지면서 구비되며 'U' 형상으로 형성되되 서로 마주보는 면에 상기 제2상판(31)이 관통하면서 끼움결합하는 개구(41)를 가지며, 상기 제1상판(21)의 길이방향으로 안내홈(42)을 가지는 수용레일(4)과; 상기 제2발판부재(3)의 상기 제2상판(31)의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안내홈(42)에 삽입수용되어 끼움결합하는 안내레일(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고소작업용 발판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홈(22)과 상기 제2고정홈(32)은,
    상기 수평프레임(110)들의 일부위를 상측방향에서 수용하도록 상기 제1상판(21)과 상기 제2상판(31)의 하측방향으로 개방된 '∩'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발판부재(2)와 상기 제2발판부재(3)는,
    체인으로 이루어지는 연결부재(6)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제1발판부재(2)와 상기 제2발판부재(3)에는,
    상기 연결부재(6)의 양단부가 각각 고정되는 고정고리(61)들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1발판부재(2)와 상기 제2발판부재(3)에는,
    상기 제1고정홈(22)과 상기 제2고정홈(32)의 내부로 각각의 고정볼트(7)가 각각 진입하면서 나사결합하도록 된 나사공(71)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용 발판.
  2. 삭제
KR1020170050731A 2017-04-20 2017-04-20 고소작업용 발판 KR1017943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0731A KR101794305B1 (ko) 2017-04-20 2017-04-20 고소작업용 발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0731A KR101794305B1 (ko) 2017-04-20 2017-04-20 고소작업용 발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4305B1 true KR101794305B1 (ko) 2017-12-01

Family

ID=60921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0731A KR101794305B1 (ko) 2017-04-20 2017-04-20 고소작업용 발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430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3067A (ko) * 2018-06-20 2019-12-30 한양이엔지 주식회사 길이 가변 발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랙 모듈
KR102298233B1 (ko) * 2020-12-23 2021-09-08 김기종 고소작업용 이동식 안전 발판 및 이를 이용한 점검로 시공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1348Y1 (ko) * 2005-05-03 2005-08-01 김종선 슬라이드식 안전발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1348Y1 (ko) * 2005-05-03 2005-08-01 김종선 슬라이드식 안전발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3067A (ko) * 2018-06-20 2019-12-30 한양이엔지 주식회사 길이 가변 발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랙 모듈
KR102102933B1 (ko) * 2018-06-20 2020-04-21 한양이엔지 주식회사 길이 가변 발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랙 모듈
KR102298233B1 (ko) * 2020-12-23 2021-09-08 김기종 고소작업용 이동식 안전 발판 및 이를 이용한 점검로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86662B2 (en) Hanging scaffold support
US10415262B2 (en) Modular ledgers of an integrated construction system
US8066247B2 (en) Modular shoring assembly with length adjustable support
US20070056799A1 (en) Scaffold device
AU2019232888B2 (en) A void platform and a method for providing a platform support across a building void
BR9711314A (pt) Andaime de fachada desmontável, e processos para a montagem e desmontagem do referido andaime.
KR101794305B1 (ko) 고소작업용 발판
US20180106055A1 (en) Integrated Construction System
US11293194B2 (en) Modular ledgers of an integrated construction system
US20180258657A1 (en) Modular Posts of an Integrated Construction System
KR102014084B1 (ko) 비상대피 가능한 건축물용 난간구조
US5746289A (en) Scaffold hatch system
KR200324353Y1 (ko) 석재판넬 시공유니트
KR100559118B1 (ko) 고소 작업대
KR102102214B1 (ko) 보 테이블폼 안전난간대
KR20080005634U (ko) 상승식 가설대 발판 고정용 클램프
KR200477350Y1 (ko) 신축이 가능한 슬라이딩 발판
JPH0547704B2 (ko)
KR101702221B1 (ko) 조립식 시설구조물의 조립부재
KR101354170B1 (ko) 공동주택용 조립식 발코니 난간
JP2022177426A (ja) 仮設手摺及びその設置方法
JP3477256B2 (ja) 渡り足場構造
GB246536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tructing timber-framed buildings
JPH0644950U (ja) 建築用足場装置
KR200226705Y1 (ko) 건축 및 외벽단열마감용 작업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