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9694B1 - 유자쌍화차 및 이를 이용한 유자쌍화차 추출액 - Google Patents

유자쌍화차 및 이를 이용한 유자쌍화차 추출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9694B1
KR102119694B1 KR1020180074961A KR20180074961A KR102119694B1 KR 102119694 B1 KR102119694 B1 KR 102119694B1 KR 1020180074961 A KR1020180074961 A KR 1020180074961A KR 20180074961 A KR20180074961 A KR 20180074961A KR 102119694 B1 KR102119694 B1 KR 1021196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tron
tea
drying
weight
tw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4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1879A (ko
Inventor
강민정
신정혜
표민정
조아로
Original Assignee
(재)남해마늘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남해마늘연구소 filed Critical (재)남해마늘연구소
Priority to KR1020180074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9694B1/ko
Publication of KR20200001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8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9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96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4Tea preparations, e.g.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163Liquid or semi-liquid tea extract preparations, e.g. gels, liquid extracts in solid capsu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18Extraction of water soluble tea constitu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ancer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4Te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육을 제거한 유자 과피와 생약재를 포함하는 유자쌍화차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생약재는 백작약 18-28중량%와, 숙지황, 황기, 당귀 및 천궁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재료 28-36중량%와, 계피, 감초, 생강 및 대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재료 12-28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유자 과피에 상기 생약재와 유자 과육을 혼합한 재료를 채워 동결건조하거나, 상기 유자 과피를 자연건조 또는 열풍건조 후 상기 생약재와 혼합하여 덖음 처리하여 제조된다.

Description

유자쌍화차 및 이를 이용한 유자쌍화차 추출액{YUJA SSANGHWA TEA AND THE EXTRAC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유자쌍화차 및 이를 이용한 유자쌍화차 추출액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자 과피와 생약재를 이용하여 동결건조, 자연건조 또는 열풍건조 방식으로 영양소의 파괴를 최소화한 유자쌍화차 및 이를 이용하여 보다 편리하게 섭취할 수 있는 유자쌍화차 추출액에 관한 것이다.
유자나무(Citrus junos)는 귤속 식물 중 내한성과 내병성이 비교적 강한 상록관목이며 동아시아 지역이 원산지와 주재배지이고, 그 열매인 유자는 종자가 많고 특유취와 강한 산미를 가져 생식 및 가공원료로서 한계가 있으며 주로 당절임차와 같은 제한된 형태로 소비된다. 그러나 최근 들어 유자가 가지는 면역력 증진효과, 미백효과, 항산화 효과, 항비만 효과, 항암 효과 및 항아토피 효과 등의 건강 기능성이 과학적으로 규명되면서 소비자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를 위한 신규 가공품의 개발과 고부가가치화가 필요한 실정이다.
유자는 다른 감귤류와는 다르게 과육뿐만 아니라 과피까지 이용할 수 있는 과실로 유자 특유의 향과 무기질, 구연산 등이 함량이 높아 주로 차, 음료 및 향료로 이용되고 있는데, 특히 성숙과는 과육에 비해 과피의 비율이 높다고 알려져 있다. 유자에는 비타민 A, B, C, 유기산 및 무기질이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특히 유자의 비타민 C는 레몬보다 3배 많은 양으로 피부미용 및 감기에 효과적이다. 또한, 유자에 함유되어 있는 헤스페리딘 및 리모닌 등의 플라보노이드 성분은 항염증, 항산화, 혈압강하, 항알러지 및 라디컬 소거능에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다.
쌍화차(ssanghwa tea, 雙和茶)는 여러 종류의 나무껍질이나 잎, 줄기, 열매, 뿌리 등을 이용해 모두 함께 넣어서 끓인 차로, 쌍화탕으로 탕약에서 유래된 것으로 한방 약재가 포함된 차는 한방 쌍화차로 널리 알려지고 있다. 이는 부족한 기운을 보충하기 위한 것으로, 진한 약성분을 내는 탕약으로서의 쌍화탕보다 가볍게 차로써 음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것으로, 몸을 따뜻하게 해주고 체력을 증진시켜 주는데 흔히 알려진 쌍화차에는 백작약, 숙지황, 당귀, 황기, 천궁, 용안육, 갈근, 감초 등의 재료를 끓여서 대추나 잣을 띄워서 마치는 겨울철의 대표적인 보양차 중 하나이다.
쌍화차에 들어가는 약재 중 백작약과 감초는 뭉친 근육과 근육의 경련으로 인한 통증을 풀어준다. 숙지황·당귀·천궁·작약은 혈액을 보충하고, 혈액순환을 도우며, 생강·계피는 혈맥을 따뜻하게 하고, 황기·대추는 기운을 도와 원기를 보충한다. 동의보감에서 쌍화탕은 심신이 피로하고 허약할 때, 큰 병을 앓고 난 후 회복을 위해, 기혈이 손상되고 허약해서 땀을 많이 흘릴 때 좋다고 기록되어 있다.
비타민이 풍부한 유자는 감기 예방, 피로회복, 소화촉진을 도와주는 효능이 있어 소화 기능을 돕고 몸이 허약하고 손발이 차고 찬 기운이 많아 추위를 잘 이겨내지 못하는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므로 한방 약재(쌍화차 재료)를 블렌딩 한 유자쌍화차(雙和茶)는 겨울철이면 면역력이 저하돼 감기에 잘 걸리는 사람들에게 효과적이다. 환절기 감기에 걸려 입맛을 잃었을 때도 좋으며 기운을 보강하고 면역력을 높여서 감기, 비염, 천식, 폐렴 등 호흡기 질환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되며, 평상시 체력이 많이 떨어지고 피로가 쉽게 가시지 않을 때 건강관리에 도움이 된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유자의 과육을 제거하고 통유자 과피 속에 여러가지 약재를 채워 제조한 종래 유자쌍화차는 자연 건조시 그 제조에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열판건조나 열풍건조 방식에 의해 건조시에는 건조 과정에서 형태가 일그러지고 색깔이 변색되어 상품 가치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고, 열판건조의 경우에는 총 페놀 화합물이나 플라보노이드 성분의 함량이 낮고 항산화 활성도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통 방식에 의해 유자쌍화차를 제조할 경우 수제 방식에 의하기 때문에 대량생산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제조에 소요되는 시간, 노동력, 비용 등이 상승하기 때문에 새로운 방식으로 유자쌍화차를 제조할 필요가 있다.
1. 한국특허등록번호: 10-1843499 (2018.03.23) 2. 한국특허등록번호: 10-1834964 (2018.02.27)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생약재와 유자 과육을 혼합한 재료를 유자 과피에 채워 동결건조함으로써 유자쌍화차의 제조 과정에서 유자 고유의 맛과, 향 및 색택을 최대한 유지토록 하면서, 총 페놀 화합물이나 플로보노이드 성분의 함량이 높고 항산화활성이 우수한 유자쌍화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자 과피를 절단하여 자연건조 또는 열풍건조 후 상기 생약재와 혼합하여 덖음 처리함으로써 유효 성분을 그대로 함유하면서도 대량생산이 가능한 유자쌍화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제조된 유자쌍화차를 보다 편리하게 음용할 수 있으면서도, 추출시 비타민 C의 파괴를 최소화하고 유효성분이 보다 잘 추출될 수 있으며, 갈변도, 항산화 활성 등이 우수한 유자쌍화차 추출액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일측면에서, 본 발명은 과육을 제거한 유자 과피와 생약재를 포함하는 유자쌍화차를 제공한다. 이때, 생약재는 백작약 20~28중량%, 숙지황, 황기, 당귀, 천궁은 각각 9~11중량%, 계피, 감초, 생강, 대추는 각각 5~7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유자 과피에 상기 생약재와 유자 과육을 혼합한 재료를 채워 동결건조하거나, 상기 유자 과피를 자연건조 또는 열풍건조 후 상기 생약재와 혼합하여 덖음 처리하여 제조된다.
상기 동결건조 방식은, 통 유자의 상단부를 수평으로 절단한 후 과육을 제거하여 유자 과피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유자 과육에서 씨를 제거한 후 분쇄하는 단계; 상기 생약재와 분쇄된 상기 유자 과육을 혼합한 후 10~15℃의 온도에서 12~48시간 방치하는 단계; 및 상기 유자 과육과 생약재를 혼합한 혼합물을 상기 유자 과피 속에 넣은 후 절단한 유자 과피 상단부로 덮고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생약재는 백작약 20~28중량%, 숙지황, 황기, 당귀, 천궁은 각각 9~11중량%, 계피, 감초, 생강, 대추는 각각 5~7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과육과 생약재는 1:1 내지 1:3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연건조 또는 열풍건조 방식은, 유자의 과육을 제거한 후 유자 과피를 채썰기하는 단계, 채썬 상기 유자 과피를 자연건조하거나 50℃ 이하에서 열풍건조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생약재를 혼합한 후 140-180℃에서 10~20분간 덖음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유자 과피는 30~40중량%이고, 생약재는 백작약 18~22중량%, 숙지황, 황기, 당귀, 천궁은 각각 7~9중량%, 계피, 감초, 생강, 대추는 각각 3~5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상기 동결건조, 또는 자연건조 또는 열풍건조에 의해 제조된 유자쌍화차에 유자쌍화차 무게 대비 15-25배의 물을 첨가한 후 80~95℃의 온도에서, 7~11시간 동안 열수추출한 유자쌍화차 추출액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생약재와 유자 과육을 유자 과피에 채워 동결건조함으로써 유자쌍화차의 제조 과정에서 유자 고유의 맛, 향 및 색택을 최대한 유지토록 하면서 총 페놀 화합물이나 플로보노이드 성분의 함량이 높고 항산화활성이 우수한 유자쌍화차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유자 과피를 절단하여 자연건조 또는 열풍건조 후상기 생약재와 혼합하여 덖음 처리함으로써 유효 성분을 그대로 함유하면서도 대량생산이 가능한 유자쌍화차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유자쌍화차를 보다 편리하게 음용할 수 있으면서도, 추출시 비타민 C의 파괴를 최소화하고 유효성분이 보다 잘 추출될 수 있으며, 갈변도, 항산화 활성 등이 우수한 유자쌍화차 추출액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건조 전의 유자쌍화차와 건조 방법을 달리한 유자쌍화차에 대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일측면에서, 본 발명은 과육을 제거한 유자 과피와 생약재를 포함하는 유자쌍화차를 제공한다.
먼저, 유자를 깨끗이 씻어 유자의 상단에서부터 1~3 cm 하단을 횡으로 절단한 다음 과육을 제거하여 항아리 모양을 만들고, 과육은 씨를 제거하여 곱게 분쇄하여 준비한다.
다음으로, 생약재와 곱게 분쇄된 유자 과육을 혼합한 후 10~15℃의 온도에서 12~48시간 유지시켜 유자의 맛과 향이 쌍화차 재료에 베이도록 한다. 유자의 과육은 타 과일에 비해 수분의 함량이 낮아 마쇄하면 점성을 가지는 젤의 상태가 된다. 이 젤 상태의 마쇄한 유자 과육에 배합비에 맞추어 혼합한 분량의 쌍화차 재료를 1:1 내지 1:3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소정 온도에서 소정 시간 방치한 후 사용하면, 자칫 버려질 수도 있는 과육을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완성된 유자쌍화차에서 유자의 향이나 특유의 상큼한 맛이 더 강하게 유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수작업으로 진행되는 공정에서는 과육을 제거한 유자의 과피 안에 생약재와 유자 과육을 혼합한 재료를 넣는다. 이때, 생약재는, 백작약, 숙지황, 황기, 당귀, 천궁, 계피, 감초, 생강, 대추 등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생약재는 백작약 20-28중량%, 숙지황, 황기, 당귀, 천궁 각각을 9-11중량%, 계피, 감초, 생강, 대추 각각을 5-7중량%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절단한 상단부를 뚜껑으로 하여 유자 과피 상단부를 덮고 실로 묶은 후 동결건조한다. 이때, 보관성을 높이기 위하여 유자를 건조할 때 유자의 특징인 노란 색택을 유지하고 형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동결건조 방법을 적용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유자쌍화차를 제조할 경우, 유자 과피만 사용하였을 때에 비해 향이 더 강하고, 동결건조로 인해 유자 특유의 노란색이 잘 유지되며, 수분이 충분히 제거됨으로 인해 부패의 위험이 없이 유통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 실시예 1> 유자쌍화차의 건조 방법 선정
적절한 건조 방법을 선정하기 위하여 열판건조, 열풍건조, 동결건조의 3가지로 나누어 건조한다. 유자쌍화차 건조 방법을 선정하기 위하여 유자를 깨끗이 씻어 유자의 상단에서부터 3 cm 하단을 횡으로 절단한 다음 과육을 제거하여 항아리 모양을 만든 후 여기에 쌍화차 재료인 백작약 10g, 숙지황, 황기, 당귀, 천궁을 각각 4g 씩 넣고 계피, 감초, 생강, 대추를 각각 2g 씩 넣어서 유자 윗부분을 닫고 실로 묶어서 마무리를 한 다음 건조한다. 즉, 유자 생과피에 비율별로 혼합한 한약재를 채워 넣은 후 내용물이 빠져나오지 않도록 실로 묶어 고정한 다음 이를 전통적인 차 제조방법인 열판건조와 열풍건조, 동결건조의 3가지로 나누어 건조한 다음 건조방법에 따른 유자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건조 전 유자쌍화차 및 각 건조 방법에 의해 건조된 유자쌍화차의 형태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다. 도 1의 a는 건조 전 유자쌍화차에 대한 사진이며, b는 열판건조한 유자쌍화차에 대한 사진이며, c는 열풍건조한 유자쌍화차에 대한 사진이며, d는 동결건조한 유자쌍화차에 대한 사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동결건조 방식에 의할 경우 건조 전 유자쌍화차의 형태를 가장 잘 유지하고 있으며, 열판건조된 유자쌍화찬의 경우 모양이 지나치게 쪼그라드는 것을 알 수 있다.
열판건조 방법을 적용할 때에는 저온의 팬에 올려 서서히 유자를 건조시키면서 건조 과정 중에 유자의 수축이나 변형이 생길 경우 형태를 잡아가면서 건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이는 일일이 수작업으로 진행되어야 하며, 저온에서 장기간 건조시켜야 충분히 저장성을 가질 정도로 건조시킬 수 있으며, 한쪽 면에서만 열을 가하게 되므로 가열되는 위치를 바꾸어 가면서 건조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건조 완료 후 유자의 색에 열에 의해 짙은 갈색으로 변조되는 단점이 있다.
열풍 건조는 유자의 변색과 영양소의 손실을 최소화하고자 60℃의 건조기에서 실시하였는데 상대적으로 단시간에 건조되는 장점이 있으나 빠른 건조로 인해 형태의 변형이 심하며 크기가 많이 수축하였으며 갈변화가 심하였다.
반면, 동결건조 방법을 적용하였을 때 약간의 수축은 있었으나 유자 고유의 색상이 변하지 않고 유지를 하고 있으며 형태의 변화도 크지 않았고 수축이 가장 적었다.
각 건조 방법에 따른 유자쌍화차의 크기 변화는 아래 표 1과 같다. 건조 전 유자쌍화차의 직경은 7.4±0.5 cm, 높이는 5.5±0.3 cm이었다.
[표 1]
Figure 112018063827267-pat00001
상기 표 1을 참조해보면, 유자쌍화차를 열판건조, 열풍건조, 동결건조를 각각 실시하여 건조한 후 크기를 측정한 결과, 열풍건조 하였을 때 직경의 감소가 가장 컸고 동결건조 하였을 때는 직경이 6.1 cm, 높이가 4.3 cm으로 열판건조와 열풍건조에 비해 크기의 감소가 적었다. 또한 열판건조시에는 다른 건조에 비해 높이가 가장 많이 줄었다.
따라서, 유자쌍화차의 색택 및 형태 등을 가장 잘 유지하는 데 가장 유리하면서도, 실을 묶는 수작업 등으로 인한 번거로움이 가장 적은 건조 방법이 동결건조임을 알 수 있다. 열판건조나 열풍건조의 경우, 건조하는 과정에서 크기 등이 줄어들므로 형태를 고정시키기 위해 계속적으로 실을 풀었다 다시 묶어주는 작업을 수행해야 하지만, 동결건조의 경우 크기가 감소하는 정도가 크지 않으므로 처음에 한 번 묶고 동결건조 후에 다시 묶어서 상품을 완성할 수 있다.
또한, 각 건조방법에 따라 페놀 화합물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항산화 활성 등을 측정하기 위하여 각 건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유자쌍화차를 그 무게의 20배에 해당하는 정제수를 넣고 80℃에서 3시간 추출하여 여과한 여액을 시료로 사용하였다.
유자쌍화차의 건조방법에 따른 페놀화합물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총 페놀 화합물의 함량 분석은 추출액의 1 mL에 Foline-Ciocalteau 시약 0.5 mL를 넣고 3분간 충분히 교반한 다음 10% Na2CO3 용액을 0.5 mL 가하여 실온의 암실에서 1시간 정치한 후 76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물질로 gallic acid (Sigma-Aldrich Co., St, Louis, MO, USA)를 사용하여 시료와 동일한 방법으로 분석하여 얻은 검량선으로부터 총 페놀 화합물의 함량을 계산하여 gallic acid equivalent (mg GAE/g)로 표기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화합물 함량 분석은 Moreno 등의 방법에 따라 시료액 1 mL에 10% aluminum nitrate 0.1 mL, 1 M potassium acetate 0.1 mL 및 80% ethanol 3.8 mL를 차례로 가한 후 혼합하여 실온의 암실에서 40분간 정치한 다음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41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Quercetin (Sigma-Aldrich Co.)을 표준물질로 하여 얻은 검량선으로부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계산하였다.
건조방법을 달리하여 제조한 유자쌍화차의 총 페놀 화합물 및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을 측정한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다.
[표 2]
Figure 112018063827267-pat00002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총 페놀 화합물은 열판건조 시료에서 800.13 mg/100 g으로 가장 낮았으며, 열풍건조한 유자쌍화차 시료에서는 1151.93 mg/100 g으로 가장 높았으며, 동결건조한 시료에서는 1021.79 mg/100 g이었다. 식물체 중에 존재하는 페놀화합물은 가열을 통해 식물 조직이 분해되거나 결합이 변형될 경우 추출액 중으로 유리되기 쉬워지므로 다른 시료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열이 시간이 많았던 열풍건조 시료에서 그 함량이 더 높게 측정된 것으로 보인다.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은 열판에서 건조하였을 때 126.47 mg/100 g으로 가장 낮았고, 열풍건조에서는 185.2 mg/100 g, 동결건조 196.07 mg/100 g으로 동결건조 하였을 때 다른 시료에 비해 함량이 더 높았다.
유자쌍화차의 건조 방법에 따른 항산화 활성의 변화
항산화 활성은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와 2,2'-azino-bis(3- ethylbenzothiazoline- 6-sulphonic acid)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을 통해 평가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DPPH에 대한 전자공여 활성으로 나타냈으며 시료의 항산화 활성이 높을수록 보라색이 탈색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에탄올로 1.5×10-4 M 농도가 되도록 조절한 DPPH 용액 100 μL와 시료 100 μL를 혼합한 다음 실온에서 20분간 반응시킨 후 52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해 시료 무첨가구에 대한 시료첨가구의 흡광도비로 계산하여 %로 나타내었다.
ABTS 라디칼 소거활성 측정을 위하여 7 mM ABTS 용액에 potassium persulfate를 2.4 mM이 되도록 용해시킨 다음 암실에서 12~16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415 nm에서 흡광도가 1.5가 되도록 증류수로 희석하였다. 이 용액 100 μL에 5,000 mg/L 농도의 추출액을 100 μL 가하여 실온에서 5분간 반응시킨 후 41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ABTS 라디칼 소거능은 시료첨가구와 무첨가구의 흡광도 비로 나타내었다.
유자쌍화차의 건조 방법에 따른 항산화 활성의 변화는 하기 표 3과 같다.
[표 3]
Figure 112018063827267-pat00003
상기 표 3을 참조하면, 유자쌍화차 추출액의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열판건조 시료에서 33.3%로 가장 낮았고, 열풍건조와 동결건조 추출액 시료는 각각 97.21% 및 89.65%로 활성이 높았으며 열풍건조는 열판건조에 비해 약 2.9배가 높았다.
DPPH 라디칼 활성은 열풍건조 유자쌍화차 추출액이 85.12%로 가장 높았고 동결건조 하였을 때는 76.99%, 열판건조 시료는 20.46%로 가장 활성이 낮았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수제방식의 유자쌍화차 건조시에는 일반적인 열판건조 방법보다는 열풍건조 방법이 유용성분의 최적 추출에 유리할 것으로 판단되며, 노란색의 색택을 선명하게 유지하고자 할 경우에는 동결건조 방법이 우수할 것으로 판단된다. 동결건조의 경우 유용성분도 충분하게 추출되면서 노란색의 색택을 선명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수제방식에 의해 유자쌍화차 제조시에는 동결건조가 적합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상기 동결건조에 의해 제조된 유자쌍화차에 유자쌍화차 무게 대비 15-25배의 물을 첨가한 후 80~95℃의 온도에서, 7~11시간 동안 열수추출한 유자쌍화차 추출액을 제공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88~92℃에서 7~11시간 열수추출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90℃에서 9시간 열수추출한다. 이러한 열수 추출 조건은 비타민 C의 소실을 최소화하고 유효성분이 적절히 추출될 수 있는 조건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유자쌍화차와 그 추출액을 제조함에 있어 유자 향미와 비타민 C가 소실되지 않는 최적의 온도 범위와 시간 등과 같은 추출 조건을 설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최적의 추출 온도 및 추출 시간에 대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하지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2> 추출 온도별 유자쌍화차 추출액의 특성
유자쌍화차의 무게 대비 20배의 물을 가하여 온도가 조절되는 약탕기에서 80, 85, 90, 95℃로 나누어 각각을 6시간씩 추출한 후 추출액의 특성을 비교 하였다.
추출 온도에 따른 고형분 함량
추출 온도에 따라 각각 제조된 유자쌍화차 추출액의 일정량을 취하여 자동굴절당도계(PR-201 α, Atago Co,, Tokyo, Japan)로 고형분 함량을 3회 반복 측정한 결과는 하기 표 4와 같았다.
[표 4]
Figure 112018063827267-pat00004
상기 표 4를 참조하면, 80℃에서 추출시 고형분 함량은 2.17 Brix로 가장 낮았고, 추출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점차 증가하여 85℃에서 추출하였을 때에는 2.60 Brix, 95℃에서 추출하였을 때는 3.0 brix로 증가하였다. 이는 추출 온도가 높을수록 원료 중으로 열과 수분의 침투가 용이해지고, 이로 인해 각종 성분의 용출이 더 용이해지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유효 성분 용출을 위해 80℃ 이상에서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온도에 따른 유자쌍화차 추출물의 갈변도
갈변도는 각각의 온도별로 추출된 유자쌍화차를 filter paper(Whatman No.2)로 여과한 후 그 여액을 spectorophotometer( Libra S35, Biochrome Ltd., England)의 420 nm, 280 nm에서 측정하여 흡광도 값으로 나타내었다. 추출 온도에 따른 유자쌍화차의 갈변도는 하기 표 5와 같다.
[표 5]
Figure 112018063827267-pat00005
상기 표 5를 참조하면, 추출 온도가 높아질수록 갈변도는 더 증가하였는데 80℃에서 추출할 때보다 95℃에서 추출하였을 때 280 nm에서는 약 1.3배, 420 nm에서는 약 1.9배 증가하였다. 따라서, 갈변도 측면에서는 적절히 높은 온도에서 열수 추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추출 온도에 따른 유자쌍화차 추출물의 총 페놀화합물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추출 온도에 따른 유자쌍화차의 총 페놀 화합물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하기 표 6과 같다.
[표 6]
Figure 112018063827267-pat00006
상기 표 6에서와 같이, 추출 온도가 높아질수록 총 페놀 화합물은 증가하는 경향으로 80℃에서 추출하였을 때 1170.53 mg/100 g이던 것이 95℃에서 추출시에는 1351.35 mg/100 g으로 약 1.2배로 더 함량이 높았다.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80℃에서 추출시 76.25 mg/100 g이던 것이 85℃에서는 129.58 mg/100 g으로 약 1.7배 증가하였고 90℃에서는 204.58 mg/100 g으로 80℃에 비해 약 2.6배가 증가하여 온도의 증가에 따른 함량의 증가 폭이 컸으나 95℃ 추출 시료의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90℃와 유사한 범위였다.
추출온도에 따른 유자쌍화차 추출물의 비타민 C 함량
비타민 C 추출을 위하여 추출액 20 mL에 5% meta-phosphoric acid 용액을 일정량 가하여 균질화 후 8,000×g에서 5분간 원심분리하여 Whatman No.2 여과지로 여과한 후 이 여액을 적절히 희석하여 2,4-dinitro-phenol hydrazin(DNP) 비색법으로 비타민 C를 정량하였다. 그 측정 결과는 하기 표 7과 같았다.
[표 7]
Figure 112018063827267-pat00007
상기 표 7을 참조하면, 비타민 C 함량은 추출온도가 높아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80℃에서 추출시에는 13.34 mg/100 g으로 가장 높다가 85℃에서 추출시에는 11.09%로 약 16.8%가 감소하였고 95℃에서 추출시에는 7.01 mg/100 g으로 80℃에서 추출시와 비교시 약 47.4%가 감소하였다. 따라서, 비타민 C 측면에서는 95℃ 이하에서 열수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온도에 따른 유자쌍화차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변화
추출온도에 따른 유자쌍화차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변화는 하기 표 8과 같았다. 여기서, 추출물은 5,000 mg/L 농도이다.
[표 8]
Figure 112018063827267-pat00008
상기 표 8을 참조하면, 유자쌍화차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은 추출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5,000 mg/L 농도의 유자 쌍화차 추출물의 ABTS 라디칼 활성은 80℃에서 추출한 시료는 78.8%의 활성을 보인 반면, 90℃에서 추출 하였을 때에는 80℃에서 추출할 때보다 약 1.18배가 증가하였고, 95℃에서는 1.23배가 증가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추출온도에 따른 큰 차이가 없었으나 추출온도가 증가할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80℃에서 추출할 때 54.39%이던 것이 95℃에서 추출하였을 때는 60.23%로 약 1.1배가 증가하였고 다른 시료에 비해 활성이 가장 높았다.
따라서, 상기 결과를 종합해볼 때, 유자쌍화차 추출물은 추출 온도가 높을수록 총 페놀화합물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높아지고 항산화 활성도 높아지지만 비타민 C 함량은 감소하므로 적정 추출온도는 80~95℃의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85~90℃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해보인다.
< 실시예 3> 추출 시간에 따른 유자쌍화차 최적 추출 방법 선정
상기 실시예 2의 결과를 종합하여볼 때 유자쌍화차의 추출을 위한 최저 온도는 85℃, 최고 온도는 90℃가 바람직하므로, 이러한 온도를 기준으로 추출시간을 3~24시간으로 달리하여 유자쌍화차를 추출한 후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추출시간에 따른 고형분 함량
추출시간을 달리한 유자쌍화차 추출물의 고형분 함량을 측정한 결과는 하기 표 9와 같았다.
[표 9]
Figure 112018063827267-pat00009
상기 표 9를 참조하면, 추출시간이 증가할수록 고형분의 함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85℃에서 24시간 추출한 경우에는 3.63 brix 였으며 90℃에서 24시간 추출시에는 4.26 brix로 추출온도와 추출시간이 증가할수록 고형분 함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추출시간에 따른 갈변도 변화
추출온도와 시간에 따른 갈변도의 변화는 하기 표 10과 같았다.
[표 10]
Figure 112018063827267-pat00010
상기 표 10을 참조하면, 역시 추출시간과 추출온도가 높아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는데 280 nm에서는 12시간 추출 후 85℃에서는 0.959 였으며 90℃에서는 1.131로 큰 차이가 없었으나 24시간 추출 후에는 85℃는 1.127 90℃에서는 1.490 였다(표 3-2). 420 nm에서는 24시간 추출 후 85℃에서는 0.233, 90℃에서는 0.458로 온도가 높고 추출시간이 증가할수록 갈변도는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추출시간에 따른 비타민 C 변화
추출시간에 따른 비타민 C의 변화는 표 11과 같았다.
[표 11]
Figure 112018063827267-pat00011
상기 표 11을 참조하면, 추출시간에 따른 비타민 C의 변화는 추출온도가 높고 추출시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이었는데 85℃에서 9시간 추출하였을 때 19.54 mg/100 g으로 다른 추출 시간에 비해 가장 높았고 24시간 후에는 2.25 mg/100 g으로 최고 함량이었던 9시간에 비해 약 88%가 감소하였다. 90℃에서 추출하였을 때는 9시간 추출 후 10.77 mg/100 g으로 다른 추출시간에 비해 가장 높았고 이후 12시간 추출 후에는 3.63 mg/100 g로 큰 폭으로 감소하였고 24시간 후에는 0.75 mg/100 g로 거의 소실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 유자쌍화차의 특징인 비타민 C 함량을 높이기 위해서는 85℃에서 추출시간은 12시간 정도로 추출하는 것이 비타민 C의 함량을 최대로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추출시간에 따른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변화
추출시간에 따른 총 페놀 화합물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하기 표 12와 같았다.
[표 12]
Figure 112018063827267-pat00012
상기 표 12를 참조하면, 추출시간이 길고 추출온도가 높을수록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는데, 총 페놀함량 함량은 추출시간이 12시간 이하에서는 추출온도에 큰 영향이 없었으나, 12시간 이상에서는 85℃에서는 1,763.19 mg/100 g, 90℃에서는 1862.29 mg/100 g으로 90℃에서 추출시 약 105.6%가 증가하였고 24시간 114.1%가 증가 하였다.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추출 3시간부터 온도에 따라 함량차이가 있었는데 90℃에서 추출할 때 85℃에서 추출할 때 보다 약 1.5배가 증가하였고 12시간 추출시에는 약 1.8배가 더 높아 추출온도에 따라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증가하였다.
추출시간에 따른 항산화 활성의 변화
추출 온도와 추출 기간에 따른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하기 표 13과 같았다.
[표 13]
Figure 112018063827267-pat00013
※추출액의 농도 5,000 mg/L 임
상기 표 13을 참조하면, DPPH 라디칼 소거활성(표 3-5)은 85℃에서 9시간까지 추출하였을 때 58.12%로 활성이 가장 높았고 이후 추출시간에 따라 감소하였다. 90℃에서 추출할 때에는 3시간 추출 후 56.75%이던 것이 9시간 추출하였을 때는 61.13%로 다른 시료에 비해 활성이 가장 높았으나 24시간 추출시에는 47.58%로 다른 조건에서 추출한 시료보다 활성이 가장 낮았다. 이러한 결과는 비타민 C와 총페놀 플라보노이드 화합물과 종합적으로 판단해 볼 때 총 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의 농도가 24시간 추출 후 가장 높았으나 비타민 C의 함량이 가장 낮아 항산화 활성에는 비타민 C가 더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측된다.
추출 온도와 추출 기간에 따른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하기 표 14와 같았다.
[표 14]
Figure 112018063827267-pat00014
※추출액의 농도 5,000 mg/L 임
상기 표 14를 참조하면, ABTS라디칼 활성은 85℃에서 추출시 5,000 mg/L의 농도에서 3시간 추출 후 82.65%의 활성이던 것이 9시간 추출 후에는 87.58%로 증가하가다 감소하였다. 90℃에서 추출하였을 때 3시간 추출 후 92.86%의 활성이던 것이 6시간 추출 후에는 96.44%로 활성이 가장 높았고 이후 24시간 후에는 80.76%로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들로부터 볼 때 유자의 비타민을 유지하고, 적정 수준의 유효성분을 함유하여 항산화활성을 높게 유지하는 유자쌍화차 추출음료 제조를 위한 적정 추출온도는 90±2℃ 추출시간은 9±2 시간이 적절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9시간 정도 추출하는 것이 적합하다.
유자쌍화차는 유자 안에 한약재를 감싼 형태로 유자의 노란색이 탈색되지 않게 건조를 잘한 최상품은 고급 포장지에 포장하여 선물로도 인기가 있다. 유자쌍화차를 제조할 때 보관성을 높이기 위해 수분을 최대한 증발시키기 위해 오랜 시간 건조하거나 건조 온도가 높으면 유자의 껍질이 지나치게 갈변화되어 외관상 기호도가 저하됨으로 인해 상품으로써 가치가 하락하게 된다. 또한, 노란색 빛이 살아 있는 상품(上品)도 선물용 용기에 포장을 하면 산소와 빛을 완전히 차단할 수 없어 보관 중에 색택을 잃게 되어 상품 가치가 하락한다. 이러한 여러 인자로 인하여 제조 및 유통 과정에서 동일한 품질을 생산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동결건조 방식으로 유자쌍화차를 제조할 경우 수제 방식이라는 한계로 인해 대량생산이 어렵고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유자쌍화차의 효능에 초점을 맞추어 기존 제품보다 효능이 증대된 대량생산 공정 조건을 확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수제방식의 유자쌍화차 제조에 있어 유자과육을 제거하고 생약재를 혼합하여 실로 묶는 공정은 수작업으로 진행되어야 함에 따라 제조 시간과 인건비가 높아지는 단점이 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유자를 슬라이스하여 다른 재료와 혼합하여 추출하는 방법으로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수제방식의 유자쌍화차 제조는 생약재를 혼합하여 실로 묶은 후 유자 과피만 건조하여 제조하는 방식으로 유자 과피만 열처리를 거칠 뿐 생약재는 유자 속에 함유되어 있어 원활히 열이 전달이 되지 않으며, 과육이 통으로 되어 있는 유자로부터 유효성분이 충분히 용출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유자를 슬라이스하여 1차 건조한 후 생약재와 비율별로 혼합하여 덖음처리 함으로써 기존의 수제 방식에 비해 공정이 단순해지고, 유자과피와 생약재가 모두 덖음 처리되고, 유자의 유효성분 용출이 유리해짐으로 인해 보다 용이하게 활성이 증가되어 대량으로 일시에 재료를 처리함으로써 대량생산이 가능한 유자 쌍화차 추출액을 완성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에,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유자의 과육을 제거한 후 유자 과피를 채썰기하는 단계, 채썬 상기 유자 과피를 자연건조하거나 50℃ 이하에서 열풍건조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단계, 및 수분이 제거된 상기 유자 과피에 생약재를 혼합한 후 140-180℃에서 10~20분간 덖음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연건조 또는 열풍건조 방식에 의해 제조된 유자쌍화차를 제공한다.
이때, 유자 과피는 30~40중량%, 생약재는 백작약 18~22중량%, 숙지황, 황기, 당귀 및 천궁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재료 28-36중량%, 계피, 감초, 생강 및 대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재료 12-28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숙지황, 황기, 당귀, 천궁은 각각 7~9중량%, 계피, 감초, 생강, 대추는 각각 3~5중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유자를 채썰기하는 단계는, 유자를 2~4등분하여 과육을 제거한 유자 과피를 5~10 mm의 두께로 채썰기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채썬 유자 과피를 자연건조 및 열풍건조로 1차 건조하는 경우, 160℃에서 10~20분간 덖음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상기 동결건조, 또는 자연건조 또는 열풍건조에 의해 제조된 유자쌍화차에 유자쌍화차 무게 대비 15-25배의 물을 첨가한 후 80~95℃의 온도에서, 7~11시간 동안 열수추출한 유자쌍화차 추출액을 제공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88~92℃에서 7~11시간 열수추출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90℃에서 9시간 열수추출한다. 이러한 열수 추출 조건은 비타민 C의 소실을 최소화하고 유효성분이 적절히 추출될 수 있는 조건이다.
< 실시예 4> 유자쌍화차 추출 형태에 따른 추출물 성분변화
대량생산 공정에 따른 유자 쌍화자 제조 방법
유자는 과육을 제거하고 과피를 5 mm 정도의 크기로 채썰기하여 2~3시간 자연풍건하여 준비하였다. 쌍화차 재료인 백작약, 숙지황, 황기, 당귀, 천궁, 계피, 감초, 생강, 대추 등은 건조된 재료를 세절하여 준비 한 후 유자 과피와 함께 160±10℃에서 15±5분간 덖음 처리하여 준비하였다. 유자와 생약재의 혼합비율은 유자 30~40%, 백작약 18~22%, 숙지황, 황기, 당귀, 천궁은 각각 7~9%, 계피, 감초, 생강, 대추는 각각 3~5%가 되도록 구성하였다. 혼합된 재료를 덖음 처리한 것과 비교실험을 위한 기존의 수제방식으로 제조한 유자쌍화차 각각에 대해 무게 대배 20배의 정제수를 가하여 90±2℃에서 9±2 시간 추출한 후 여과하여 추출액을 완성하였다.
총 페놀화합물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전통수제 방식과 개량된 덖음처리 공정을 적용하여 각각 제조한 유자쌍화차 추출액의 총 페놀화합물 및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의 함량을 분석한 결과는 하기 표 15와 같았다.
[표 15]
(mg/100 g)
Figure 112018063827267-pat00015
상기 표 15를 참조하면, 총 페놀화합물의 함량은 전통방식으로 제조된 유자쌍화차는 1051.99 mg/100 g이었으나 유자와 생약재를 혼합하여 덖음 처리하였을 때는 1350.84 mg/100 g으로 약 1.28배가 더 높았다. 전처리 공정을 달리하여 제조한 유자쌍화차의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전통방식의 유자쌍화차에서는 120.12 mg/100 g이었으며, 유자와 생약재 혼합 덖음처리 쌍화차에서는 이보다 약 1.13배 더 높은 136.63 mg/100 g이었다. 전통수제 방식으로 제조된 유자쌍화차에 비해 덖음처리 공정을 적용하였을 때 유자쌍화차 추출액 중의 유효성분인 총 페놀 화합물 및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이 더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유자쌍화차 추출물의 갈변도 변화
덖음 처리 여부에 따른 갈변화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갈변물질의 중간생성물의 최대 흡수 파장인 280 nm와 갈변물질의 최종 생성물의 최대 흡수 파장인 420 nm에서 각각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6과 같았다.
[표 16]
Figure 112018063827267-pat00016
상기 표 16을 참조하면, 280 nm에서 전통수제 방식 유자쌍화차 추출액의 흡광도는 0.626이었으나 덖음처리 유자쌍화차 추출액의 흡광도는 0.721로 높아졌다. 420 nm에서도 유사한 경향으로 유자와 생약재를 덖음 처리 하였을 때는 0.458로 덖음처리 않은 시료에 비해 갈변도는 약 1.87배가 증가하였다.
유자쌍화차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변화
유자와 생약재의 전처리 공정을 달리 한 각 추출물을 제조하여 ABTS 및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을 측정하였다. 500 mg/L의 농도에서 ABTS 및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변화를 측정한 결과는 각각 하기 표 17, 표 18과 같았다.
[표 17]
Figure 112018063827267-pat00017
상기 표 17을 참조하면, 전통방식의 수제 유자쌍화차 추출액은 37.97%로 낮은 반면 생약재와 혼합 덖음처리 한 경우에는 65.24%로 활성이 약 1.36배가 증가하여 활성이 더 높았다.
[표 18]
Figure 112018063827267-pat00018
상기 표 18을 참조하면, 각 시료의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활성(표 4-4)은 ABTS 라디칼 소거활성과 유사한 경향이었다. 5,000 mg/L의 농도에서 전통수제 방식 유자쌍화차 추출액의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54.61%였고, 덖음 처리한 유자와 생약재 혼합시료의 활성은 58.97%로 더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전통 수제방식에 의해 제조된 유자쌍화차에 비해 전통 방식에서 유자를 건조하기 위한 열처리 공정을 개량하여 응용하여 덖음처리하여 제조한 유자쌍화차에서 유효성분과 항산화활성이 더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기존의 전통수제 방식에 의한 유자쌍화차의 경우 유자 과피 속에 생약재를 넣고 묶음처리 한 후 가열판위에서 유자의 겉면의 수분만 제거하여 제조하는 방식으로는 생약재까지 열이 골고루 전달되지 않아 전반적인 유용성분이 최적으로 추출되기 어렵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바와 같이 보다 용이하게 유자쌍화차를 제조하고, 유용성분의 용출을 높이기 위해서는 유자와 생약재의 혼합 비율은 유지하되 유자를 슬라이스 한 후 생약재와 함께 덖음처리하는 것이 적합하다. 또한 이 경우 전처리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이 절감되어 유자쌍화차의 대량 생산도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 및 실험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6)

  1. 백작약, 숙지황, 황기, 당귀, 천궁, 계피, 감초, 생강 및 대추를 포함하는 생약재를 준비하는 단계;
    통 유자의 상단부를 수평으로 절단한 후 과육을 제거하여 유자 과피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유자 과육에서 씨를 제거한 후 분쇄하는 단계;
    분쇄한 상기 유자 과육과 상기 생약재를 1:1 내지 1:3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10~15℃의 온도에서 12~48시간 방치하는 단계; 및
    상기 유자 과육과 생약재를 혼합한 혼합물을 상기 유자 과피 속에 넣은 후 절단한 유자 과피 상단부로 덮고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자쌍화차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생약재는 백작약 20~28 중량%, 숙지황 9~11 중량%, 황기 9~11 중량%, 당귀 9~11 중량%, 천궁 9~11 중량%, 계피 5~7 중량%, 감초 5~7 중량%, 생강 5~7 중량% 및 대추 각각 5~7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자쌍화차의 제조방법.
  3. 제1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유자쌍화차에 유자쌍화차 무게 대비 15-25배의 물을 첨가한 후 80~95℃의 온도에서, 7~11시간 동안 열수추출한 유자쌍화차 추출액.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80074961A 2018-06-28 2018-06-28 유자쌍화차 및 이를 이용한 유자쌍화차 추출액 KR1021196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4961A KR102119694B1 (ko) 2018-06-28 2018-06-28 유자쌍화차 및 이를 이용한 유자쌍화차 추출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4961A KR102119694B1 (ko) 2018-06-28 2018-06-28 유자쌍화차 및 이를 이용한 유자쌍화차 추출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879A KR20200001879A (ko) 2020-01-07
KR102119694B1 true KR102119694B1 (ko) 2020-06-05

Family

ID=69153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4961A KR102119694B1 (ko) 2018-06-28 2018-06-28 유자쌍화차 및 이를 이용한 유자쌍화차 추출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96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7664A (ko) 2022-10-05 2024-04-12 이미숙 유자쌍화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7801B1 (ko) * 2020-10-21 2021-06-21 조숙 쌍화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30050705A (ko) 2021-10-08 2023-04-17 안수빈 벌레퇴치 방충망
KR20230051407A (ko) 2021-10-09 2023-04-18 조나현 모기 추적기
KR20240049473A (ko) 2022-10-08 2024-04-16 김종연 위치 파악 전기 파리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3499B1 (ko) * 2017-06-14 2018-03-30 강상묵 유자 및 쌍화차 분말을 이용한 티백차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0876B1 (ko) * 2006-12-04 2008-06-24 유한회사원탑무역 유자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34964B1 (ko) 2017-06-14 2018-03-07 강상묵 쌍화차용 한약재 분말이 첨가된 유자청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3499B1 (ko) * 2017-06-14 2018-03-30 강상묵 유자 및 쌍화차 분말을 이용한 티백차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 블로그에 게재된 ‘몸에 좋은 쌍화차’(2013.01.03.)*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7664A (ko) 2022-10-05 2024-04-12 이미숙 유자쌍화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879A (ko) 2020-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9694B1 (ko) 유자쌍화차 및 이를 이용한 유자쌍화차 추출액
CN102132752B (zh) 红茶的制作工艺及其制成的红茶
CN106879773B (zh) 一种百香果果皮茶的制备方法
CN104054868A (zh) 一种山楂味红茶的制备方法
CN102422944A (zh) 岩青蓝叶茶及其制作工艺
AB et al. Bioactive compounds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tea: status, global research and potentialities
CN104255973A (zh) 一种棕香型绿茶及其制备方法
CN109170024A (zh) 一种小青柑绿茶的制备方法
KR101338278B1 (ko) 전통주 및 그 제조방법
KR102121349B1 (ko) 블렌딩 차 및 이의 제조 방법
BG113684A (bg) Чаени продукти, получени от растението rosa damascena и метод за тяхното производство
KR20170114100A (ko) 비타민나무를 함유하는 커피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RU2532927C2 (ru) Напиток безалкогольный
CN109275741A (zh) 一种新型金银花茶的制备方法
KR102332253B1 (ko) 찻잎 및 꽃잎이 함유된 커피의 제조방법
KR100885376B1 (ko) 송이버섯차 제조방법
KR20170133554A (ko) 쑥을 함유하는 쑥-커피 및 그 제조방법
CN111657376A (zh) 一种柑普茶及其加工方法
KR20140050289A (ko) 타블렛 형태의 차 및 그 제조방법
KR102352902B1 (ko) 건강에 도움이 되는 컵 간식 및 그 제조방법
KR20230066939A (ko) 물에 녹여 마시며 쓴맛이 줄어드는 보이차고 제조방법
KR20110005229A (ko) 감귤나무 꽃 향차 및 이의 제조방법
RU2372802C2 (ru) Сухая смесь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безалкогольных и алкогольных напитков
CN105851284A (zh) 一种凌云白毫绿茶的制作方法
CN112120103A (zh) 一种蓝莓叶牛蒡茶的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