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9223B1 - 그렘린-1에 대한 항체 - Google Patents

그렘린-1에 대한 항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9223B1
KR102119223B1 KR1020130028123A KR20130028123A KR102119223B1 KR 102119223 B1 KR102119223 B1 KR 102119223B1 KR 1020130028123 A KR1020130028123 A KR 1020130028123A KR 20130028123 A KR20130028123 A KR 20130028123A KR 102119223 B1 KR102119223 B1 KR 1021192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cer
gremlin
antibody
ser
ce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8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5541A (ko
Inventor
정준호
김민수
김현기
윤수민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김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김현기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30105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55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9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9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ulcers, gastritis or reflux esophagitis, e.g. antacids, inhibitors of acid secretion, mucosal protect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5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6Antiasthm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12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kidne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6Antipsori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4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baldness or alopec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uscular or neuromu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61P37/06Immunosuppressants, e.g. drugs for graft rej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06Antianaem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2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growth factors ; against growth regul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6/2863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against receptors for growth factors, growth regul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2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taxonomic origin
    • C07K2317/21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taxonomic origin from primates, e.g. ma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2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taxonomic origin
    • C07K2317/24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taxonomic origin containing regions, domains or residues from different species, e.g. chimeric, humanized or veneere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5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immunoglobulin fragments
    • C07K2317/56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immunoglobulin fragments variable (Fv) region, i.e. VH and/or VL
    • C07K2317/565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CDR]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6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non-natural combinations of immunoglobulin fragments
    • C07K2317/62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non-natural combinations of immunoglobulin fragments comprising only variable region components
    • C07K2317/622Single chain antibody (scFv)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7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effect upon binding to a cell or to an anti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7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effect upon binding to a cell or to an antigen
    • C07K2317/73Inducing cell death, e.g. apoptosis, necrosis or inhibition of cell prolife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7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effect upon binding to a cell or to an antigen
    • C07K2317/76Antagonist effect on antigen, e.g. neutralization or inhibition of bind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iochemistry (AREA)
  • Pulmo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Transplantation (AREA)
  • Card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Diabete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형성 단백질(BMP) 또는 혈관내피성장인자 수용체-2(VEGFR2)에 비의존적인 방식으로 그렘린-1을 억제함으로써 암에 대해 치료 효과를 갖는, 그렘린-1에 대한 항체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항체는 그렘린-1에 의존하는 세포 이동성(cell migration), 세포 침윤성(cell invasion) 및 세포 증식(cell proliferation)을 억제함으로써 암 또는 면역질환을 치료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그렘린-1에 대한 항체{ANTIBODIES AGAINST GREMLIN-1}
본 발명은 그렘린-1(gremlin-1)에 대한 항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골형성 단백질(BMP) 또는 혈관내피성장인자 수용체-2(VEGFR2)에 비의존적인 방식으로 그렘린-1을 억제함으로써 암에 대해 치료 효과를 갖는, 그렘린-1에 대한 항체에 관한 것이다.
그렘린-1(gremlin-1, 20.7 kDa)은 골형성 단백질(BMP)의 길항제로서, 시스테인 풍부 영역, 시스테인 매듭 모티프(cysteine knot motif), 및 TGF-β 수퍼패밀리의 구성원과 공통된 구조를 갖는 184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단백질이다. 상기 단백질은 진화적으로 보존되어 있으며 인간 그렘린 유전자(GREM1)는 염색체 15q13-q15 상에 위치한다(Topol LZ et al ., (1997) Mol . Cell Biol ., 17: 4801-4810; Topol LZ et al ., Cytogenet Cell Genet ., 89: 79-84). 그렘린-1은 분비 단백질로서 세가지 아형(isoform)이 보고되었다(Topol LZ et al., J. Biol . Chem ., 275: 8785-8793). 아형 1은 가장 흔한 아형이며, 아형 2 및 3은 각각 아미노산 39-79 및 10-79가 결실되어 있다.
그렘린-1은 BMP-2, BMP-4 및 BMP-7과 이종이량체(heterodimer)를 형성함으로써 BMP가 세포 표면상의 수용체에 결합하는 것을 억제한다(Stanley E et al ., (1998) Mech . Dev ., 77: 173-184; Merino R et al ., (1999) Development, 126: 5515-5522; Lappin DW et al ., (2000) Curr . Opin . Nephrol . Hypertens ., 9: 469-472). 또한, 그렘린-1은 폐, 팔다리, 및 신장 발달 과정 뿐만 아니라 신경 능선 세포(neural crest cell) 분화 과정에서 BMP를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Lu MM et al ., (2001) Dev . Dyn ., 222: 667-680; Shi W et al ., (2001) Am . J. Physiol . Lung Cell Mol . Physiol ., 280: L1030-1039). 그렘린-1은 가용성 리간드에 대해 길항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세포 내에서 BMP-4 전구 단백질과 상호작용하여 배아 폐에서 BMP-4 매개 신호전달 활성을 하향조절한다(Sun J et al ., (2006) J. Biol. Chem ., 281: 29349-29356). 또한, 그렘린-1은 분비된 축색돌기 안내 단백질(axonal guidance protein)의 하나인 슬릿 단백질(Slit protein)과 상호작용하며, 단핵구 주화성(chemotaxis)의 억제제로서 작용한다(Chen B et al ., (2004) J. Immunol., 173: 5914-5917). 최근에는 그렘린-1이 BMP-비의존성 방식으로 혈관내피 성장인자 수용체-2(VEGFR2)에 결합하여 혈관형성을 조절한다는 것이 보고되었다(Mitola S et al ., (2010) Blood, 116: 3677-3680). 그렘린-1은 자궁 경관, 자궁 내막, 폐, 난소, 신장, 유방, 대장, 및 췌장의 암종을 포함한 다양한 인간 종양에서 과발현되지만(Namkoong H et al ., (2006) BMC Cancer, 6: 74; Sha G et al ., (2009) Fertil Steril ., 91: 350-358), 종양형성에서의 그 역할은 상세하게 연구되지 않았다.
본 발명자들은 그렘린-1의 종양 관련 특성을 연구하던 중, 그렘린-1이 BMP나 VEGFR2와 무관하게 암세포와 직접 상호작용을 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그렘린-1을 억제할 수 있는 항체를 개발하는데 이르렀다.
본 발명은 골형성 단백질(BMP) 또는 혈관내피성장인자 수용체-2(VEGFR2)에 비의존적인 방식으로 그렘린-1을 억제함으로써 암 또는 면역질환에 대해 치료 효과를 갖는, 그렘린-1에 대한 항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항체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를 포함하는 암 또는 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항체 또는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암 또는 면역질환의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항체를 포함하는 암 또는 면역질환의 진단용 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그렘린-1에 대한 항체는 그렘린-1이 골형성 단백질(BMP) 또는 혈관내피성장인자 수용체-2(VEGFR2)에 비의존적인 방식으로 암세포에 결합하는 것을 억제하는 바, 그렘린-1에 의해 매개되는 각종 암 또는 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2차 항체, 그렘린-1 단독, 및 그렘린-1과 본 발명에 따른 항체 또는 대조군 항체와의 조합을 4종의 암세포(A549, HeLa, A172 및 A431)와 반응시킨 후, 유세포분석법으로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2A는 그렘린-1을 HUVEC 세포와 반응시킨 후, 유세포분석법으로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2B는 그렘린-1을 HUVEC, A549 및 HeLa 세포와 반응시킨 후, VEGFR2 mRNA 및 단백질 발현을 RT-PCR로 측정한 결과이다.
도 2C는 그렘린-1을 HUVEC, A549 및 HeLa 세포와 반응시킨 후, VEGFR2 mRNA 및 단백질 발현을 면역블롯 분석으로 측정한 결과이다.
도 3A는 BMP2, BMP4 및 BMP7에 그렘린-1 단독, 본 발명에 따른 항체 단독 및 이들의 조합을 반응시켜 BMP에 결합된 그렘린-1의 양을 효소 면역 분석으로 측정한 결과이다.
도 3B는 A549 세포와 그렘린-1을 반응시키고, 여기에 10배 몰 과량의 BMP-2, BMP-4 및 BMP-7을 가한 후, 유세포분석법으로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4A는 A549 세포를 그렘린-1과 반응시킨 후, 크리스탈 바이올렛으로 염색하여 촬영한 세포의 이미지이다.
도 4B는 A549 세포를 그렘린-1과 반응시킨 후, E-카드헤린(E-cadherin)의 발현을 면역블롯 분석으로 측정한 것이다.
도 4C는 A549 세포를 그렘린-1과 반응시킨 후, E-카드헤린(E-cadherin)의 발현을 면역형광 염색으로 측정한 것이다.
도 4D는 A549 세포를 그렘린-1 단독, 및 그렘린-1과 본 발명에 따른 항체 또는 대조군 항체와의 조합과 반응시킨 후, 세포의 이동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5A는 그렘린-1-A549 세포주, 공(mock)-A549 세포주에서의 그렘린-1 mRNA 및 단백질 발현을 RT-PCR 및 웨스턴 블롯에 의해 측정한 것이다.
도 5B는 그렘린-1-A549 세포주, 공(mock)-A549 세포주 및 본 발명에 따른 항체 및 대조군 항체를 처리한 그렘린-1-A549 세포주에서의 E-카드헤린의 발현량을 면역블롯 분석 방법에 따라 측정한 것이다.
도 5C는 공-A549 세포주 및 그렘린-1-A549 세포주에서 침윤된 세포의 수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5D는 그렘린-1-A549 세포주, 공(mock)-A549 세포주 및 본 발명에 따른 항체 및 대조군 항체를 처리한 그렘린-1-A549 세포주에서의 세포 이동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5E는 그렘린-1-A549 세포주, 공(mock)-A549 세포주 및 본 발명에 따른 항체를 처리한 그렘린-1-A549 세포주의 세포 성장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5F는 그렘린-1-A549 세포주 및 공(mock)-A549 세포주를 누드 마우스에 주사한 후 형성된 종양 부피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6a 내지 6i는 면역조직화학 염색법을 이용하여 정상 조직 및 암 조직(피부, 유방, 림프절, 폐, 간, 식도, 위, 결장, 직장, 신장, 방광, 전립선, 고환, 자궁경, 자궁내막 및 갑상선 암 조직)을 본 발명에 따른 항체(O-13)와 반응시켜 그렘린-1의 발현량을 비교한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그렘린-1에 대한 항체를 제공한다. 상기 항체는 골형성 단백질(BMP) 또는 혈관내피성장인자 수용체-2(VEGFR2)에 비의존적인 방식으로 그렘린-1을 억제함으로써 암에 대해 치료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항체는 면역 항체, 키메라 항체, 인간 항체 또는 인간화 항체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그렘린-1에 대한 항체는 예를 들어 파아지-디스플레이 기술을 응용하여 선별할 수 있다. 즉, 필라멘트(filamentous) 파아지 표피 단백질을 발현하는 유전자에 목적하는 항체를 발현하는 유전자를 융합시키고, 상기 융합된 항체가 박테리오 파아지 입자의 표면에 노출된 항체-파아지 형태의 바이러스 입자를 생성시킨 다음, 바이오패닝(biopanning) 기법을 응용하여 파아지 라이브러리로부터 원하는 항체를 선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파아지-디스플레이 기술을 통해 다수의 효과가 우수한 항체들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중 효과가 매우 뛰어난 7종의 항체를 수득하였다.
상기 항체는 경쇄불변영역, 중쇄불변영역, 경쇄가변영역 및 중쇄가변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경쇄가변영역과 중쇄가변영역이 각각 하기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항체일 수 있다:
(1)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가변영역을 포함하는 항체;
(2) 서열번호 3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4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가변영역을 포함하는 항체;
(3) 서열번호 5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6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가변영역을 포함하는 항체;
(4) 서열번호 7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8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가변영역을 포함하는 항체;
(5) 서열번호 9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10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가변영역을 포함하는 항체;
(6) 서열번호 1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12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가변영역을 포함하는 항체; 및
(7) 서열번호 13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14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가변영역을 포함하는 항체.
본 발명에서 상기 (1) 내지 (7)의 항체를 각각 R-80, R-88, O-1, O-13, O-26, J-1 및 O-13(인간화) 항체로 명명하였다.
상기 항체의 경쇄가변영역 및 중쇄가변영역은 인간 또는 토끼의 것일 수 있다. 상기 항체의 경쇄가변영역 및 중쇄가변영역은 각각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둘이 조합되어 사용되거나, 본 기술분야에 공지된 경쇄불변영역 및 중쇄불변영역과 각각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의 단편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경쇄가변영역 및 중쇄가변영역은 공지의 방법에 따라 scFv(single-chain variable fragment)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가변영역의 경우, 1 내지 22번째 아미노산은 프레임워크 영역(FR1)이고, 23 내지 33번째 아미노산은 상보성 결정영역1(CDR1)이며, 34 내지 48번째 아미노산은 FR2이고, 49 내지 55번째 아미노산은 CDR2이며, 56 내지 87번째 아미노산은 FR3이고, 88 내지 100번째 아미노산은 CDR3이며, 101 내지 110번째 아미노산은 FR4이다.
또한,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가변영역의 경우, 1 내지 24번째 아미노산은 FR1이고, 25 내지 34번째 아미노산은 CDR1이며, 35 내지 48번째 아미노산은 FR2이고, 49 내지 64번째 아미노산은 CDR2이며, 65 내지 95번째 아미노산은 FR3이고, 96 내지 105번째 아미노산은 CDR3이며, 106 내지 116번째 아미노산은 FR4이다.
또한, 서열번호 3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가변영역의 경우, 1 내지 22번째 아미노산은 FR1이고, 23 내지 33번째 아미노산은 CDR1이며, 34 내지 48번째 아미노산은 FR2이고, 49 내지 55번째 아미노산은 CDR2이며, 56 내지 87번째 아미노산은 FR3이고, 88 내지 100번째 아미노산은 CDR3이며, 101 내지 110번째 아미노산은 FR4이다.
또한, 서열번호 4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가변영역의 경우, 1 내지 24번째 아미노산은 FR1이고, 25 내지 34번째 아미노산은 CDR1이며, 35 내지 48번째 아미노산은 FR2이고, 49 내지 64번째 아미노산은 CDR2이며, 65 내지 95번째 아미노산은 FR3이고, 96 내지 109번째 아미노산은 CDR3이며, 110 내지 120번째 아미노산은 FR4이다.
또한, 서열번호 5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가변영역의 경우, 1 내지 22번째 아미노산은 FR1이고, 23 내지 35번째 아미노산은 CDR1이며, 36 내지 50번째 아미노산은 FR2이고, 51 내지 57번째 아미노산은 CDR2이며, 58 내지 89번째 아미노산은 FR3이고, 90 내지 100번째 아미노산은 CDR3이며, 101 내지 110번째 아미노산은 FR4이다.
또한, 서열번호 6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가변영역의 경우, 1 내지 25번째 아미노산은 FR1이고, 26 내지 35번째 아미노산은 CDR1이며, 36 내지 49번째 아미노산은 FR2이고, 50 내지 66번째 아미노산은 CDR2이며, 67 내지 98번째 아미노산은 FR3이고, 99 내지 110번째 아미노산은 CDR3이며, 111 내지 122번째 아미노산은 FR4이다.
또한, 서열번호 7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가변영역의 경우, 1 내지 22번째 아미노산은 FR1이고, 23 내지 35번째 아미노산은 CDR1이며, 36 내지 50번째 아미노산은 FR2이고, 51 내지 57번째 아미노산은 CDR2이며, 58 내지 89번째 아미노산은 FR3이고, 90 내지 100번째 아미노산은 CDR3이며, 101 내지 110번째 아미노산은 FR4이다.
또한, 서열번호 8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가변영역의 경우, 1 내지 25번째 아미노산은 FR1이고, 26 내지 35번째 아미노산은 CDR1이며, 36 내지 49번째 아미노산은 FR2이고, 50 내지 66번째 아미노산은 CDR2이며, 67 내지 98번째 아미노산은 FR3이고, 99 내지 110번째 아미노산은 CDR3이며, 111 내지 121번째 아미노산은 FR4이다.
또한, 서열번호 9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가변영역의 경우, 1 내지 22번째 아미노산은 FR1이고, 23 내지 35번째 아미노산은 CDR1이며, 36 내지 50번째 아미노산은 FR2이고, 51 내지 57번째 아미노산은 CDR2이며, 58 내지 89번째 아미노산은 FR3이고, 90 내지 100번째 아미노산은 CDR3이며, 101 내지 110번째 아미노산은 FR4이다.
또한, 서열번호 10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가변영역의 경우, 1 내지 25번째 아미노산은 FR1이고, 26 내지 35번째 아미노산은 CDR1이며, 36 내지 49번째 아미노산은 FR2이고, 50 내지 66번째 아미노산은 CDR2이며, 67 내지 98번째 아미노산은 FR3이고, 99 내지 110번째 아미노산은 CDR3이며, 111 내지 121번째 아미노산은 FR4이다.
또한, 서열번호 1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가변영역의 경우, 1 내지 23번째 아미노산은 FR1이고, 24 내지 34번째 아미노산은 CDR1이며, 35 내지 49번째 아미노산은 FR2이고, 50 내지 56번째 아미노산은 CDR2이며, 57 내지 88번째 아미노산은 FR3이고, 89 내지 97번째 아미노산은 CDR3이며, 98 내지 107번째 아미노산은 FR4이다.
또한, 서열번호 12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가변영역의 경우, 1 내지 30번째 아미노산은 FR1이고, 31 내지 35번째 아미노산은 CDR1이며, 36 내지 49번째 아미노산은 FR2이고, 50 내지 66번째 아미노산은 CDR2이며, 67 내지 98번째 아미노산은 FR3이고, 99 내지 110번째 아미노산은 CDR3이며, 111 내지 121번째 아미노산은 FR4이다.
또한, 서열번호 13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가변영역의 경우, 1 내지 23번째 아미노산은 FR1이고, 24 내지 36번째 아미노산은 CDR1이며, 37 내지 51번째 아미노산은 FR2이고, 52 내지 58번째 아미노산은 CDR2이며, 59 내지 90번째 아미노산은 FR3이고, 91 내지 101번째 아미노산은 CDR3이며, 102 내지 111번째 아미노산은 FR4이다.
또한, 서열번호 14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가변영역의 경우, 1 내지 25번째 아미노산은 FR1이고, 26 내지 35번째 아미노산은 CDR1이며, 36 내지 49번째 아미노산은 FR2이고, 50 내지 66번째 아미노산은 CDR2이며, 67 내지 98번째 아미노산은 FR3이고, 99 내지 110번째 아미노산은 CDR3이며, 111 내지 121번째 아미노산은 FR4이다.
상기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번호 15의 염기 서열에 의해 코딩될 수 있으며,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번호 16의 염기 서열에 의해 코딩될 수 있고, 서열번호 3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번호 17의 염기 서열에 의해 코딩될 수 있으며, 서열번호 4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번호 18의 염기 서열에 의해 코딩될 수 있고, 서열번호 5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번호 19의 염기 서열에 의해 코딩될 수 있으며, 서열번호 6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번호 20의 염기 서열에 의해 코딩될 수 있고, 서열번호 7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번호 21의 염기 서열에 의해 코딩될 수 있으며, 서열번호 8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번호 22의 염기 서열에 의해 코딩될 수 있고, 서열번호 9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번호 23의 염기 서열에 의해 코딩될 수 있으며, 서열번호 10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번호 24의 염기 서열에 의해 코딩될 수 있고, 서열번호 11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번호 25의 염기 서열에 의해 코딩될 수 있으며, 서열번호 12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번호 26의 염기 서열에 의해 코딩될 수 있고, 서열번호 13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번호 27의 염기 서열에 의해 코딩될 수 있으며, 서열번호 14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번호 28의 염기 서열에 의해 코딩될 수 있다.
종래 그렘린-1이 암 조직에서 발현된다는 것이 알려져 있으나, 그 구체적인 역할은 아직 규명되지 않았다. 그렘린-1은 골형성 단백질(BMP) 길항제로서 알려져 있을 뿐만 아니라, 그렘린-1이 혈관내피 성장인자 수용체-2(VEGFR2)에 결합하여 혈관형성을 조절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므로, 그렘린-1이 BMP나 VEGFR2를 통해 암과 관련되어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하지만, 놀랍게도 본 발명은 그렘린-1이 BMP나 VEGFR2에 비의존적으로, 즉 이들에 의해 매개되지 않고, 암세포와 직접 결합하여 세포 이동, 침윤, 및 증식을 유도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그렘린-1은 E-카드헤린(E-cadherin)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암세포의 성장을 유도한다.
상기 세포 이동, 침윤 및 증식 등은 전술한 그렘린-1에 대한 항체에 의해 억제된다. 따라서, 그렘린-1 항체는 BMP나 VEGFR2에 비의존적으로 그렘린-1을 억제함으로써, 즉 그렘린-1이 암세포에 직접 결합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암에 대한 치료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항체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를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첨가제는 담체, 부형제 또는 기타 첨가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약학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제형의 제조에 있어서, 상기 항체를 담체와 함께 혼합 또는 희석하거나, 용기 형태의 담체 내에 봉입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담체가 희석제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항체에 대한 담체, 부형제 또는 매질(medium)로 작용하는 고형, 반고형 또는 액상의 물질일 수 있다. 따라서, 제형은 정제, 환제, 분제, 새세이, 엘릭시르, 현탁제, 유제, 용액제, 시럽제, 에어로졸, 연질 또는 경질 젤라틴 캅셀제, 멸균 주사제, 멸균 분제 등의 형태일 수 있다. 적합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의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형은 충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포유동물에 투여된 후 항체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당업계에 잘 알려진 방법을 사용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체 조성물은 상기 항체와 함께 인터페론, 항-HBV 단일클론 항체, 항-HBV 폴리클로날 항체, 뉴클레오사이드 유사체, DNA 폴리머라제 저해제, siRNA 제제 또는 치료백신을 항바이러스제로서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체 또는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 예를 들어 인간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에게 투여함으로써 암을 치료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항체의 투여량은 처리되는 대상, 질병 또는 상태의 심각도, 투여의 속도 및 처방 의사의 판단에 따른다.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항체는 포유동물에 대해 하루 0.001 내지 10 mg/kg(체중), 바람직하게는 0.005 내지 1 mg/kg(체중)의 양으로 1일 1회 또는 분할하여 비경구적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있어서, 상기 언급된 범위보다 적은 투여량이 보다 적합할 수 있고, 해로운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으면서도 보다 많은 양의 사용될 수도 있으며, 보다 많은 투여량의 경우는 하루에 걸쳐 수회의 적은 분량으로 분배될 수도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항체 또는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암의 치료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항체는 골형성 단백질(BMP) 또는 혈관내피성장인자 수용체-2(VEGFR2)에 비의존적인 방식으로 그렘린-1을 억제함으로써 암을 치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암의 예로는 전립선암, 췌장암, 폐암, 비소세포 폐암, 위암, 간암, 신장암, 난소암, 대장암, 직장암, 유방암, 갑상선암, 피부암, 골암, 기저세포암, 편평세포암, 비인두암, 방광암, 자궁암, 피부암, 식도암 및 두경부암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항체는 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그렘린-1이 면역질환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이 여러 문헌을 통해 입증되었다(Mezzano S, et al. (2007) Expression of gremlin, a bone morphogenetic protein antagonist, in glomerular crescents of pauci-immune glomerulonephritis. Nephrology, dialysis, transplantation: official publication of the European Dialysis and Transplant Association - European Renal Association 22(7):1882-1890).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그렘린-1을 억제하는 항체는 면역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면역질환의 예로는 류머티스성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 전신성 경피증(Progressive systemic sclerosis, Scleroderma), 전신 홍반성 낭창(lupus), 아토피 피부염, 원형탈모증(alopecia areata), 건선(乾癬), 천포창, 천식, 아프타구내염, 만성 갑상선염, 후천성 재생불량성 빈혈, 일차성 간경변, 궤양성 대장염, 베체트병(Behcet's disease), 크론병, 규소 폐증, 석면 폐증, IgA 신장질환, 연쇄상구균감염후 사구체신염(PSGN), 쇼그렌 증후군(Sjogren Syndrome), 길리안-바레 증후군(Guilian-Barre syndrome), 피부근염(dermatomyositis), 다발성 근염(polymyositis), 다발성 경화증(multiple sclerosis), 자가면역성 용혈성 빈혈(Autoimmune hemolytic anemia), 자가면역성 뇌척수염, 중증 근무력증(Myasthenia gravis), 그레이브병(Grave's disease), 결절성 다발성 동맥염(Polyarteritis nodosa), 강직성 척추염(Ankylosing spondylitis), 섬유조직염 (Fibromyalgia syndrome) 및 측두동맥염(Temporal arteritis)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항체를 포함하는 암 또는 면역질환 진단용 키트를 제공한다. 상기 키트는 본 발명에 따른 항체 이외에 면역조직화학 염색법을 위한 통상의 시약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포함될 수 있는 구성요소로는 FITC 시약, 항원 복구액(antigen retrieval solution), 대조군 항체, HRP-결합된 중합체, DAB 용액(3-3'-diaminobezidine tetrachloride), 메이어 헤마톡실린 용액(Mayer's hematoxylin solution)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키트는 정상 조직과 진단을 위한 조직에 표지된 본 발명에 따른 항체를 반응시키고, 이를 염색하여 현미경으로 관찰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항체와 반응한 조직을 암 또는 면역질환에 걸린 또는 위험성이 있는 조직으로 진단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특정 구체예를 설명한다.
이하에 기재하는 구체예는 예시적인 목적으로 기술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그렘린 -1의 발현 및 정제
<1-1> 세포 배양
A549, HeLa, A172, 및 A431 세포는 한국세포주은행(서울, 대한민국)으로부터 입수하였고, 인간 제대 정맥 내피 세포(HUVEC)는 인비트로겐(Carlsbad, CA)으로부터 입수하였다. 한편, A549, A172 및 A431 세포는 10% FBS(GIBCO, Grand Island, NY)가 보충된 RPMI-1640 배지(Welgene, 대한민국)에서, HeLa 세포는 10% FBS가 보충된 MEM 배지(Welgene)에서, 그리고 HUVEC는 내피세포 성장 배지-2(EGM-2, Lonza, Walkersville, MD)에서 배양하였다.
<1-2> 그렘린 -1 발현 벡터의 제조 및 형질감염
문헌[Namkoong H et al., (2006) BMC Cancer 6: 74]의 방법을 참조하여, 인간 자궁 조직 cDNA 라이브러리로부터 그렘린 cDNA를 증폭시켜 수득하였다. 이후, 하기 PCR 프라이머를 사용한 PCR을 통해 상기 그렘린 cDNA의 5' 및 3' 말단에 HindIII 및 XhoI 제한효소 부위를 도입하였다.
5'-CCC AAG CTT ATG AGC CGC ACA GCC TAC AC-3' (서열번호 29)
5'-CCG CTC GAG ATC CAA ATC GAT GGA TAT GC-3' (서열번호 30)
상기 PCR 산물을 HindIII 및 XhoI으로 절단한 다음, pcDNA3.1/myc-His 벡터(인비트로겐) 내로 라이게이션하여 그렘린-1 발현 벡터를 제조하였다.
한편, 형질감염 1일 전, A549 세포(5.0×105 세포)를 플레이트에 도말하여 70% 컨플루언시(confluency)에 도달하게 하였다. 이후, 상기 제조된 그렘린-1 발현 벡터를 리포펙타민 2000 시약(인비트로겐)을 이용하여 제조사의 지침에 따라 A549 세포에 형질감염시켰다. 상기 형질감염된 세포를 1.0 mg/ml의 항생제 G418(인비트로겐)을 사용하여 선별하였다. 상기 선별된 그렘린-1 발현 세포주를 '그렘린-1-A549' 세포주로 명명하였다.
전술한 방식대로, 그렘린-1이 삽입되지 않은 pcDNA3.1/myc-His 벡터 단독으로 A549 세포를 형질감염시켜 '공(mock)-A549' 세포주를 수득하였다.
<1-3> 그렘린 -1의 발현 및 정제
그렘린-1 및 인간 IgG-Fc 융합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를 문헌[Park S et al., (2010) Clin Chim Acta 411: 1238-1242]에 기재된 방식대로 오버랩핑 PCR(overlapping PCR)을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PCR에 사용된 그렘린-1 및 IgG-Fc에 대한 링커 프라이머 서열은 하기와 같다:
(1) 그렘린-1
F: 5'-GGC CCC ACC GGC CCC ATC CAA ATC GAT-3' (서열번호 31)
R: 5'-GGG GCC GGT GGG GCC TCG GGT GGC GGT GGC-3' (서열번호 32)
(2) IgG-Fc
F: 5'-AAG CTT GTG GCC CAG GCG GCC ATG AGC CGC ACA GCC TAC-3' (서열번호 33)
R: 5'-GGA TCC TCA TTT TGG CGG GGA CAG GGA GAG-3' (서열번호 34)
상기 PCR 산물을 HindIII 및 BamHI으로 절단하여 pCEP4 발현 벡터(인비트로겐) 내로 클로닝하여, 그렘린-1-Fc 융합 단백질을 발현하는 벡터를 제조하였다.
한편, HEK293F 세포(인비트로겐)를 GIBCO FreeStyleTM 293 발현 배지(인비트로겐)에 0.1×106 내지 2.0×106 세포/ml의 세포 밀도로 배양한 후, 통기구멍 마개가 있는 1회용 엘렌마이어 조직 배양 플라스크(Corning Inc.)로 옮겨 오비탈 교반 배양기(orbital shaking incubator; 37℃, 8% CO2, Minitron, INFORSHT, Switzerland) 상에서 135 rpm으로 교반하면서 배양하였다. 형질감염 1일전, 상기 세포 배양물에 신선한 배지를 첨가하여 1.0×106 세포/ml의 밀도로 희석하고, 2.0×106 세포/ml의 밀도에 도달할 때까지 배양하였다. 이후, 상기 HEK293 세포를 리포펙타민 2000(인비트로겐)을 이용하여 전술한 그렘린-1 및 인간 IgG-Fc 융합 단백질을 발현하는 벡터로 형질감염시켰다. 형질감염된 세포를 다시 오비탈 교반 배양기에서 배양하고, 형질 감염 3일째에 배양 상등액을 회수하였다. 이후, 문헌[Park S et al., (2010) Clin Chim Acta 411: 1238-1242]에 기술된 과정에 따라 단백질 A 친화성 겔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그렘린-1-Fc 융합 단백질을 정제하였다.
실시예 2: 그렘린 -1 항체의 생성
<2-1> 면역화
5 μg의 그렘린-1-Fc를 2 mL의 인산완충식염수(PBS)와 혼합하여, 37℃에서 30분간 배양하여, 이를 2% 스쿠알렌 중에 독소가 제거된 내독소인 MPL(monophosphorylate lipid A species) 및 마이코박테리아(mycobacteria)의 세포벽 성분인 TDW 및 CWS를 함유하는 유중수 유화액인 보조제(Sigma, St. Louis, Mo)에 유화시킨 다음, 뉴질랜드 흰 토끼에 주입하였다. 면역화를 3주마다 3회 수행하였다. 면역화된 토끼의 항체 역가(titer)를 이차 항체로서 호스래디쉬 퍼옥시다아제(HRP)-컨쥬케이트된 마우스 항-토끼 IgG 다클론 항체(Pierce Chemical Co., Rockford, IL)를 사용하여 효소 결합 면역흡착 분석(ELISA)에 의해 결정하였다.
상기 면역화된 토끼의 비장 및 골수로부터 TRI 시약(Invitrogen)을 이용하여 총 RNA를 수득하였다. 추출된 비장 및 골수를 균질기를 이용하여 50% 아웃풋(output)에서 1분 동안 TRI 시약 중에서 균질화하고 실온에서 5분간 배양하였다. 균질화된 시료를 4℃에서 10분간 2,500g에서 원심분리하였다. 상등액을 50 mL 원심분리 튜브로 옮기고 각 상등액에 3 mL의 1-브로모-3-클로로-프로판(BCP, Sigma)을 첨가하였다. 이후, 상기 혼합물을 15초간 볼텍싱(vortexing)하고, 실온에서 15분간 배양하였다. 혼합물을 4℃에서 15분간 17,000g에서 원심분리하고, 무색의 상층 수성상을 새로운 50 mL 튜브로 옮겼다. 이후, 15 mL의 이소프로판올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10분간 배양하였다. 4℃에서 15분간 17,500g에서 원심분리한 후, 상등액을 조심스럽게 제거하고, 펠렛을 재현탁시키지 않고 30 mL의 75% 에탄올로 세척하였다. 펠렛을 10분간 다시 원심분리하고 상등액을 제거한 후, 펠렛을 실온에서 공기건조시켰다. 이후, 펠렛을 RNase가 없는 물에 용해시키고, -80℃에 보관하였다. 260 nm에서 광학 밀도를 측정하여 RNA 농도를 결정하고(40 ng/μL RNA가 OD260=1을 생성함), 순도를 OD260/OD280의 비율에 의해 계산하였다(통상적으로 1.6 내지 1.9의 범위임).
<2-2> 총 RNA 로부터 제1가닥 cDNA 합성
올리고(dT) 프라이밍(priming)을 갖는 제1가닥 cDNA 합성 키트에 대한 수퍼스크립트(SuperscriptTM) III 시스템(Invitrogen)을 이용하여 제1가닥 cDNA를 합성하였다. 상기 분리된 5 μg의 총 RNA를 1 μL의 0.5 μg/μL 올리고(dT), 1 μL의 10 mM dNTP 및 디에틸 피로카보네이트(DEPC)-처리된 물과 혼합하여 최종 부피를 10 μL로 조정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65℃에서 5분간 배양하고 얼음에서 냉각시켰다. 상기 RNA 시료에 2 μL의 10x 반응 완충액, 4 μL의 25 mM MgCl2, 2 μL의 100 mM 디티오트레이톨(DTT), 1 μL의 RNase OUT(Ribonuclease Inhibitor) 및 1 μL의 Superscript III 역전사효소를 첨가하고 50℃에서 50분간 배양하였다. 85℃에서 5분간 배양한 후, 얼음에서 냉각시켜 반응을 종료하였다. 이후, 1 μL의 RNase H를 첨가하고 37℃에서 20분간 배양하였다. 상기 제1가닥 cDNA를 -20℃에서 보관하였다.
<2-3> 1차 PCR
토끼의 비장 및 골수로부터 얻은 제1가닥 cDNA에 대하여 Expand High Fidelity PCR 시스템(Roche Molecular Systems, IN, USA)을 이용한 30 사이클의 PCR을 수행하였다. 토끼 VL(9×Vk 및 1×Vλ) 코딩 서열 증폭을 위한 10개의 프라이머 조합 및 토끼 VH 코딩 서열(표 1)의 증폭을 위한 4개의 조합을 함께 사용하였다. 각 반응에서, 1 μL의 cDNA를 60 pmol의 각 프라이머, 10 μL의 10× 반응 완충액, 8 μL의 2.5 mm dNTP(Promega, Madison, WI), 0.5 μL의 Taq DNA 중합효소, 및 물과 혼합하여 최종 부피를 100 μL로 조정하였다. 하기 조건에서 PCR을 수행하였다: 94℃에서 15초, 56℃에서 30초 및 72℃에서 90초의 30사이클 후, 72℃에서 10분간 최종 연장. 약 350 bp의 길이를 갖는 단편을 1.5% 아가로스 겔에 로딩하여 전기영동한 후, QIAEX II 겔 추출 키트(QIAGEN, Valencia, CA)를 이용하여 정제하였다. 정제된 PCR 산물을 OD 260 nm에서 판독하여 정량하였다(1 OD 단위= 50 μg/mL).
<2-4> 2차 PCR
2차 PCR에서, 1차 VL 산물을 오버랩 연장 PCR에 의해 1차 VH 산물과 무작위로 연결시켰다(표 2). 긴 링커 단쇄 단편에 대하여 적어도 10회의 반응을 수행하였다. 각 반응에서, 100 ng의 정제된 경쇄 산물 및 중쇄 산물을 60 pmol의 각 프라이머, 10 μL의 10× 반응 완충액, 8 μL의 2.5 mM dNTP(Promega), 0.5 μL의 Taq DNA 중합효소, 및 물과 혼합하여 최종 부피 100 μL로 조정하였다. 하기 조건 하에서 PCR을 수행하였다: 94℃에서 15초, 56℃에서 30초 및 72℃에서 2분의 20사이클 후, 72℃에서 10분간 최종 연장. 약 700 bp 크기의 단편을 1.5% 아가로스 겔에 로딩하여 전기영동한 후, QIAEX II 겔 추출 키트(QIAGEN, Valencia, CA)를 이용하여 정제하였다. 정제된 PCR 산물을 OD 260 nm에서 판독하여 정량하였다(1 OD 단위= 50 μg/mL).
<2-5> 정제된 오버랩 연장 산물 및 벡터 DNA 의 제한효소 처리
PCR 산물 및 pComb3x 벡터(The Scripps Research Institute)를 클로닝을 위해 SfiI 제한 효소로 처리하였다. 10 μg의 정제된 오버랩 PCR 산물을 360 유닛의 SfiI(μg DNA 당 16 유닛, Roche Molecular Systems), 20 μL의 10× 반응 완충액 M, 및 물과 혼합하여 최종 부피를 200 μL로 조정하였다. 20 μg의 pComb3x 벡터를 120 유닛의 SfiI(μg DNA 당 6 유닛, Roche Molecular Systems), 20 μL의 10× 반응 완충액 M, 및 물과 혼합하여 최종 부피를 200 μL로 조정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50℃에서 5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약 700 bp 길이를 갖는 절단된 삽입물을 1% 아가로스 겔에서 정제하고, 약 3,400 bp의 길이를 갖는 벡터 DNA 및 pComb3x 벡터내에 함유되어 있는 약 1,600 bp의 길이를 갖는 단편을 0.6% 아가로스 겔에서 정제하였다.
<2-6> 처리된 오버랩 PCR 산물과 벡터 DNA 라이게이션 ( ligation )
고효율 라이게이션 및 형질전환을 위한 벡터 및 삽입물의 적합성을 평가하기 위해, 소규모 라이게이션을 수행하였다. 벡터 DNA의 SfiI 처리물만을 함유하는 라이게이션 반응을 5% 미만의 라이브러리 사이즈인 백그라운드 라이게이션에 대해 평가하였다. 라이게이션을 위해, 140 ng의 SfiI-처리되고 정제된 벡터 DNA 및 70 ng의 SfiI-처리되고 정제된 PCR 산물 또는 stuffer DNA, 4 μL의 5× 라이게이즈 완충액, 1 μL의 T4 라이게이즈(Invitrogen), 및 물을 혼합하여 총 부피를 20 μL로 조정하였다. 상기 라이게이션 혼합물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상기 라이게이션된 산물 1 μL를 0.2 cm 큐벳 및 유전자 진동기(Gene pulser; Bio-Rad Laboratories, Hercules, CA)를 이용하여 2.5 kV, 25 μF 및 200 Ω에서 전기천공법에 의해 50 μL의 ER2738 일렉트로컴피턴트 세포(NEB) 내로 형질전환시켰다. 상기 세포를 3 mL의 SB 배지에 재현탁시키고, 225-250 rpm으로 교반하면서 37℃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형질전환체 총 수를 LB+카베니실린 플레이트 상에 1 μL, 10 μL 및 100 μL를 도말하여 결정하였다. 이상적으로는, 최종 라이브러리 크기는 벡터 DNA μg에 대하여 적어도 108 집락 형성 단위(cfu)가 되어야 하며, 5% 백그라운드 라이게이션 미만이어야 한다.
<2-7> 일렉트로컴피턴트 대장균의 제조
대장균 ER2738 균주를 15 mL의 SB가 담긴 50 mL의 폴리프로필렌 튜브에서 배양하고 250 rpm으로 교반하면서 37℃에서 밤새 성장시켰다. 다음날, 2.5 mL의 배양물을 500 mL의 SB, 10 mL의 20%(w/v) 글루코스 및 5 mL의 1M MgCl2가 담긴 2 L 플라스크 내로 희석시키고, 600 nm에서의 OD가 0.8~0.9에 도달할 때까지 37℃에서 250 rpm으로 교반하였다. 이후, 배양물을 미리냉각한 500 mL 원심분리 병에 넣고, 4℃에서 20분간 3,000g에서 원심분리하였다. 상등액을 제거하고, 펠렛을 미리냉각한 30 mL의 10%(v/v) 글리세롤에 재현탁시켰다. 재현탁된 펠렛을 원심분리하고, 글리세롤로 3회 세척한 후, 5 mL의 10% 글리세롤에 재현탁하여 -80℃에서 보관하였다.
<2-8> 헬퍼 파아지의 제조
<2-7>에서 제조된 10 μL의 ER2738 현탁액을 10 mL의 SB 배지에 접종하고 37℃에서 1시간 동안 250 rpm으로 교반하였다. 새롭게 제조된 플레이트로부터 얻은 단일 헬퍼 파아지 플라크를 피펫 팁을 이용하여 배양물 내로 옮겼다. 상기 감염된 10 mL 배양물을 카나마이신이 함유된 미리가열한(37℃) SB 배지 500 mL가 담긴 2 L 엘렌마이어 플라스크로 옮겨 최종 농도를 70 μg/mL로 조정한 후, 37℃에서 밤새 250 rpm으로 교반하였다. 다음날, 배양물을 2,500g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하고, 상등액을 수조에서 70℃에서 20분간 배양하였다. 2,500g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등액을 새로운 50 mL 폴리프로필렌 튜브로 옮겨 4℃에서 보관하였다.
<2-9> 라이브러리 라이게이션 및 형질전환
1.4 μg의 SfiI-절단 pComb3x, 700 ng의 <2-5>에서 얻은 SfiI-절단 PCR 산물, 40 μL의 5x 라이게이즈 완충액, 10 μL의 T4 DNA 라이게이즈, 및 물(최종 부피를 200 μL로 맞춤)을 이용하여 라이브러리 라이게이션을 수행하였다. 상기 라이게이션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배양한 후, -80℃에서 밤새 에탄올로 침전시켰다. 마이크로원심분리기에서 최고 속도로 4℃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등액을 제거하고, 펠렛을 1 mL의 70%(v/v) 에탄올로 세척하고 건조시켰다. 펠렛을 15 μL의 물에 용해시켰다. 상기 라이게이션된 라이브러리 샘플을 300 μL의 일렉트로컴피턴트 대장균 내로 형질전환시키고, 5 mL의 SB 배지에서 37℃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물에 100 mL의 미리가온시킨 SB 배지 및 3 μL의 100 mg/mL 카베니실린을 첨가하였다. 50 μg/mL의 카베니실린을 함유하는 LB 배지에 상기 배양물 0.1 μL, 1 μL 및 10 μL를 도말하여 라이브러리 크기를 결정하였다. 배양물을 250 rpm으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배양물에 4.5 μL의 100 mg/mL 카베니실린을 첨가하여 1 시간 더 교반하였다. 상기 배양물에 2 mL의 VCSM13 헬퍼 파아지, 183 mL의 미리가온된 SB 및 92.5 μL의 100 mg/mL 카베니실린을 첨가하여 300 rpm 및 37℃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배양물에 280 μL의 50 mg/mL의 카나마이신을 첨가하고 상기 배양물을 300 rpm 및 37℃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다음날, 배양물을 3,000g에서 4℃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상등액을 500 mL 원심분리병으로 옮기고, 이후 8 g의 폴리에틸렌 글리콜(PEG)-8000 및 6 g의 NaCl을 첨가하였다. 얼음에서 30분간 보관한 후, 상등액을 15,000g 및 4℃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상등액을 버리고, 파아지 펠렛을 1% BSA를 함유하는 트리스-완충 식염수(TBS)에 재현탁시켰다.
<2-10> 고정화된 항원 상에서의 라이브러리 패닝
파라마그네틱 비드(Dynal Biotech, Lake Success, NY)를 이용하여 바이오패닝을 수행하였다. 3 μg의 그렘린-1을 실온에서 20시간 동안 1×107 비드와 결합시켰다. 상기 비드를 PBS로 4회 세척하고 블로킹 완충액과 함께 실온에서 1시간동안 배양하였다. 그렘린-1과 결합한 비드를 <2-9>에서 수득한 scFv를 디스플레이하는 파아지와 함께 실온에서 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상기 세척 단계를 1차에서는 3회에서 이후 4차에서는 10회로 증가시켰다. 결합된 파아지를 50 μL의 0.1 M 글리신/HCl (pH 2.2)를 이용하여 용출시키고, 3 μL의 2M Tris-Cl(pH 9.1)에 의해 중화시켰다. 이러한 파아지-함유 상등액을 사용하여 ER2738을 감염시키고, 파아지미드를 밤새 증폭을 위해 헬퍼 파아지 VCSM13를 이용하여 레스큐(rescue)하였다. 다음날, <2-9>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PEG-8000 및 NaCl을 첨가하여 파아지를 제조하였다. 또한, 상기 파아지로 감염된 배양물을 50 μg/mL의 카베니실린을 함유하는 LB 플레이트 상에 도말하여 투입(input) 및 생산(output) 파아지 역가를 결정하였다.
<2-11> 파아지 ELISA 에 의한 클론의 선별
추가 분석을 위해 선택된 개별 클론으로부터 scFv 결합을 확인하기 위하여, 정제된 재조합 그렘린-1에 대하여 scFv를 디스플레이하는 파아지를 이용하여 ELISA를 수행하였다. 그렘린-1으로 코팅된 마이크로타이터 플레이트를 PBS 중의 3% BSA를 이용하여 37℃에서 1시간 동안 블로킹하였다. 이후, 파아지 상등액을 PBS 중의 6% BSA와 동일하게 혼합하고 37℃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0.05% PBST로 세척한 후, 플레이트를 HRP-결합된 항-M13 항체(1:5000 희석, Pierce Chemical Co.)와 함께 배양하였다. 색상 반응을 위해, 2,2'-아지노-비스(3-에틸벤조티아졸린-6-설폰산, ABTS) 기질 용액(Amresco, Solon, OH)를 사용하였다.
scFv 단편을 전장 IgG로 전환시키고 과발현시켰다. 본 발명에 따른 항체(O-13)의 특이성을 웨스턴 블롯 분석을 이용하여 결정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항체(O-13)의 특이성을 결정하기 위해, pcDNA3.1/myc-His-그렘린-1으로 형질감염된 HEK293F 세포의 배양 상등액을 SDS-PAGE로 분리하였다. 블롯을 100 ng/mL의 본 발명에 따른 항체(O-13)과 4℃에서 밤새 배양한 후, HRP-결합된 항-인간 IgG(Fc 특이적, 1:1000 희석; Pierce Chemical Co.)과 함께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블롯을 제조사의 지침에 따라 향상된 화학발광 시스템(Pierce)을 이용하여 시각화하였다. 겔을 제조사의 지침에 따라 쿠마시 브릴리언트 블루 G-250(Sigma)를 이용하여 시각화하였다.
상기 과정을 통해 수득한 7종의 항체를 각각 R-80, R-88, O-1, O-13, O-26, J-1 및 O-13(인간화) 항체로 명명하였고, 아미노산 및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서열 분석 결과, 상기 R-80 항체는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가변영역을 포함하고 있었고, R-88 항체는 서열번호 3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4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가변영역을 포함하고 있었으며, O-1 항체는 서열번호 5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6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가변영역을 포함하고 있었고, O-13 항체는 서열번호 7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8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가변영역을 포함하고 있었으며, O-26 항체는 서열번호 9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10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가변영역을 포함하고 있었고, J-1 항체는 서열번호 1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12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가변영역을 포함하고 있었으며, O-13(인간화) 항체는 서열번호 13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14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가변영역을 포함하고 있었다.
예비 실험을 통해, 상기 항체 중 가장 효과가 우수한 O-13 항체를 이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3: 그렘린 -1의 암세포와의 상호작용 분석
그렘린-1이 암세포와 직접 상호작용하는지 살펴보기 위해, 그렘린-1을 4종의 암세포(A549, HeLa, A172 및 A431)와 함께 배양한 후, 유세포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부착세포를 트립신으로 처리하고 인산 완충 식염수(PBS) 중의 1%(w/v) BSA로 세척하였다. 현탁 세포를 500×g에서 2분간 원심분리하여 회수하고 PBS 중의 1%(w/v) BSA로 세척하였다. 모든 세포를 PBS 중의 1%(w/v) BSA로 100 nM의 최종 농도의 His-tag을 갖는 그렘린-1(R&D Systems, Minneapolis, MN)과 함께 37℃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리고 나서 세포를 PBS 중의 1%(w/v) BSA로 2회 세척하고, 5 μg/ml의 최종 농도의 FITC-결합된 His 항체(Abcam, Cambridge, UK)와 함께 어두운 곳에서 37℃에서 30분간 배양하였다. 이후, 세포를 PBS 중의 1%(w/v) BSA로 2회 세척하고, FACSCanto II 유세포분석기(BD Biosciences, San Jose, CA) 상에서 분석하기 전에 500 μL의 PBS에 재현탁시켰다.
한편, 그렘린-1 항체(O-13)의 중화 효능을 분석하기 위해, 세포를 His-tag을 갖는 그렘린-1 100 nM 및 PBS 중의 1%(w/v) BSA 중의 10 μM의 본 발명에 따른 항체(O-13)과 함께 37℃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FITC-결합된 His 항체(Abcam)로 탐침시켰다.
A549 세포를 1 μM의 BMP-2, BMP-4, 또는 BMP-7 (R&D Systems, Minneapolis, MN) 및 100 nM의 그렘린-1-Fc로 동시에 처리하고, 37℃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세포를 FITC-결합된 IgG-Fc 특이적 항체(5 μg/ml, 인비트로겐)로 탐침시켰다. 그리고 나서, 세포를 FACSCanto II 유세포분석기 상에서 분석하였다.
상기 실험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렘린-1은 암세포주와 직접 상호작용하였으며, 이는 그렘린-1 항체에 의해 억제되었다.
실시예 4: 그렘린 -1과 암세포와의 상호작용에 대한 VEGFR2 의 영향
그렘린-1과 세포주의 상호작용이 그렘린-1의 유일하게 알려진 세포 표면 수용체인 VEGFR2에 의해 매개되는지 여부를 평가하였다.
<4-1> 유세포분석법
그렘린-1이 HUVEC와 결합하는지 여부를 실시예 3과 동일한 과정에 따라 유세포분석법에 의해 분석하였다. 상기 결과를 도 2A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렘린-1은 HUVEC과 결합하지 않았다. HUVEC가 VEGFR2를 발현하므로, 그렘린-1이 HUVEC와 결합하지 않는다는 것은 그렘린-1이 VEGFR2와 무관하게 암세포에 결합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4-2> RT - PCR
A549 세포, HeLa 세포, 및 HUVEC 세포에서의 VEGFR2 mRNA 및 단백질 발현을 RT-PCR 및 면역블롯 분석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RT-PCR을 위해, TRizol 시약(인비트로겐)을 이용하여 제조사의 지침에 따라 A549 세포, HeLa 세포, 및 HUVEC로부터 총 RNA를 분리하였다. 이후, 상기 RNA로부터 수퍼스크립트(Superscript®) III 제1-가닥(First-Strand) 합성 시스템(Invitrogen)을 이용하여 cDNA를 합성하였다. 하기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2720 Thermal Cycler(Applied Biosystems, Foster City, CA)에서 RT-PCR을 수행하였다. RT-PCR은 94℃에서 30초, 56℃에서 30초, 및 72℃에서 1분간 35 사이클로 수행하였다.
(1) VEGFR-2
F: 5'-TGATCGGAAATGACACTGGA-3' (서열번호 35)
R: 5'- TGCTTCACAGAAGACCATGC-3' (서열번호 36)
(2) 그렘린-1
F: 5'-AACAGTCGCACCATCATCAA-3' (서열번호 37)
R: 5'-AATTTCTTGGGCTTGCAGAA-3' (서열번호 38)
(3) GAPDH
F: 5'-AGGTGAAGGTCGGAGTCAACG-3' (서열번호 39)
R: 5'-AGGGGTCATTGATGGCAACA-3' (서열번호 40)
상기 RT-PCR 결과를 도 2B에 나타내었다. 도 2B에서 보는 바와 같이, HUVEC 세포에서는 VEGFR2이 존재하지만, A549 및 HeLa 세포에서는 VEGFR2가 검출되지 않았다. 실시예 3에서 그렘린-1이 암세포와 상호작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VEGFR2 mRNA가 검출되지 않았다는 사실은 그렘린-1과 암세포와의 상호작용이 VEGFR2에 의해 매개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4-3> 면역블롯 분석
HUVEC, A549 세포, 및 HeLa 세포를 프로테아제 억제제 칵테일(Sigma-Aldrich, St. Louis, MO)을 함유하는 차가운 용해 완충액[50 mM Tris-HCl (pH 7.4), 150 mM NaCl, 2 mM EDTA, 1% Triton-X 100, 0.1% SDS, 1 mM PMSF]에 용해시킨 후, 문헌[Lee MS et al., (2008) Hybridoma (Larchmt) 27: 18-24]에 기재된 과정에 따라 웨스턴 블롯을 수행하였다. 이때, 일차 항체로서 VEGFR-2 (1:1,000 희석; Cell Signaling Technology, Danvers, MA), 및 β-액틴(1:10,000 희석; Applied Biological Materials, Richmond, BC) 항체를 사용하였고, 이차 항체로서 호스래디쉬 퍼옥시다아제(horseradish peroxidase, HRP)-결합된 항-마우스 IgG(1:1,000 희석; Pierce Chemical Co., Rockford, IL) 또는 HRP-결합된 항-토끼 IgG(1:1,000 희석; Pierce Chemical Co.)를 사용하였다. 블롯을 증강된 화학발광 시스템(Pierce)를 이용하여 제조사의 지침에 따라 시각화하였다.
상기 면역블롯 분석 실험결과를 도 2C에 나타내었다. 도 2C에서 보는 바와 같이, HUVEC 세포와 달리 A549 및 HeLa 세포는 VEGFR2를 발현하지 않았다. 상기 결과 역시 그렘린-1과 암세포와의 상호작용이 VEGFR2에 의해 매개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실시예 5: 그렘린 -1과 암세포와의 상호작용에 대한 BMP 의 영향
그렘린-1은 BMP-2, BMP-4 및 BMP-7에 특이적으로 결합하여 이들의 활성을 억제하는 BMP 길항제이다. BMP는 많은 조직의 형태형성 및 항상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다기능성 성장 인자이다. 또한 BMP-2, BMP-4 및 BMP-7은 유방암 및 전립선암을 포함한 다양한 암에서 흔히 과발현된다(Singh A et al., (2010) Cytokine Growth Factor Rev 21: 299-313; Chen D et al., (2004) Growth Factors 22: 233-241; Bobinac D et al., (2005) Croat Med J 46: 389-396). BMP-4는 BCC 세포의 증식을 감소시키며 그렘린-1의 첨가는 BMP-4의 항-증식 효과를 간접적으로 감소시킨다는 것이 보고되었다(Sneddon JB et al., (2006) Proc Natl Acad Sci U S A 103: 14842-14847). 이에, BMP가 그렘린-1과 암세포와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5-1> 효소 면역 분석
우선, 그렘린-1이 BMP와 결합하는지 여부를 살펴보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효소 면역분석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마이크로타이터 플레이트(Corning Costar Corp., Cambridge, MA)를 100 nM의 BMP-2, BMP-4, 또는 BMP-7(R&D Systems)로 코팅하고 PBS 중의 1%(w/v) 탈지유로 블로킹하였다. 이후, 각 웰에 그렘린-1-Fc(10 nM) 단독 및 그렘린-1-Fc(10 nM)와 500 nM의 본 발명에 따른 항체(O-13)의 조합을 첨가하였다. 세척 후, 플레이트를 HRP-결합된 IgG-Fc 특이적 항체(1:5,000 희석; Pierce Chemical Co.)와 함께 배양하였다. 그리고 나서, 문헌[Chung J et al., (2004) FASEB J 18: 361-363]에 따라, 2,2'-아지노-비스(3-에틸벤조티아졸린-6-설폰산(ABTS) 기질 용액(Amresco, Solon, OH)을 사용하여 발색 반응(coloring reaction)시키고, 405 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결과를 도 3A에 나타내었다. 도 3A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렘린-1은 BMP-7을 제외한 BMP-2 및 BMP-4와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본 발명에 따른 항체(O-13)는 그렘린-1과 BMP-2 또는 BMP-4와의 상호작용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5-2> 유세포 분석
A549 세포와 그렘린-1을 반응시키고, 여기에 10배 몰 과량의 BMP-2, BMP-4 및 BMP-7을 가한 후, 실시예 3과 동일한 방식으로 유세포분석을 수행하였다. 상기 결과를 도 3B에 나타내었다. 도 3B에서 보는 바와 같이, BMP의 존재는 그렘린-1의 A549 세포와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들 결과는 그렘린-1에 A549 세포와 BMP의 상호작용을 매개하는 2개의 별개의 모티프가 존재함을 암시한다.
실시예 6: 그렘린 -1 및 이의 항체가 암세포의 분산 및 이동에 미치는 효과 분석
<6-1> 세포 분산 분석
그렘린-1 처리시 암세포의 형태를 살펴보기 위하여, A549 세포를 크리스탈 바이올렛 염색법으로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A549 세포를 24-웰 플레이트(1.0×104 세포/웰)에 도말하고, 100 nM의 His-tag을 갖는 그렘린-1으로 3일간 처리하였다. 배지를 제거하고 세포를 PBS로 세척한 다음, PBS 중의 4% 파라포름알데하이드로 10분간 고정시켰다. 세포를 증류수 중의 0.05% 크리스탈 바이올렛으로 30분간 염색하였다. 문헌[Li XL et al., (2009) Cancer Chemother Pharmacol 64: 1097-1104]에 개시된 방법에 따라, 염색 용액을 제거하고 세포를 PBS로 3회 세척하였다. Leica DFL290 카메라(Leica Microsystems, Wetzlar, Germany)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얻고, 이를 Leica application suite 소프트웨어(Leica Microsystem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상기 촬영된 이미지를 도 4A에 나타내었다. 도 4A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렘린-1으로 처리된 A549 세포는 세포 형태가 섬유아세포와 비슷하였으며, 세포가 분산된 것으로 나타났다.
<6-2> E- 카드헤린 발현 변화 분석
E-카드헤린(E-cadherin)의 하향조절은 상피 중간엽 세포이행(epithelial-mesenchymal transition, EMT)과 관련이 있으며, 암 진행시 E-카드헤린 및 EMT의 억제가 공통적으로 관찰된다(Perl AK et al., (1998) Nature 392: 190-193). 이에, 면역블롯 분석 및 면역형광염색을 통해 그렘린-1 처리에 따른 E-카드헤린의 발현 변화를 살펴보았다.
면역블롯 분석의 경우, A549 세포(1.0×105 세포/웰)를 60-mm 디쉬 상에 도말하고 50% 컨플루언시까지 성장시켰다. 상기 세포를 100 nM의 His-tag를 갖는 그렘린-1으로 3일간 처리하였다. 상기 세포를 프로테아제 억제제 칵테일(Sigma-Aldrich, St. Louis, MO)을 함유하는 차가운 용해 완충액[50 mM Tris-HCl (pH 7.4), 150 mM NaCl, 2 mM EDTA, 1% Triton-X 100, 0.1% SDS, 1 mM PMSF]에 용해시킨 후, 문헌[Lee MS et al., (2008) Hybridoma (Larchmt) 27: 18-24]에 기재된 과정에 따라 웨스턴 블롯을 수행하였다. 이때, 일차 항체로서 E-카드헤린 (1:1,000 희석; Abcam) 및 β-액틴(1:10,000 희석; Applied Biological Materials, Richmond, BC) 항체를 사용하였고, 이차 항체로서 호스래디쉬 퍼옥시다아제(horseradish peroxidase, HRP)-결합된 항-마우스 IgG(1:1,000 희석; Pierce Chemical Co., Rockford, IL) 또는 HRP-결합된 항-토끼 IgG(1:1,000 희석; Pierce Chemical Co.)를 사용하였다. 상기 블롯을 증강된 화학발광 시스템(Pierce)를 이용하여 제조사의 지침에 따라 시각화하였다.
상기 결과를 도 4B에 나타내었다. 도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렘린-1으로 처리된 A549 세포에서 E-카드헤린(E-cadherin)의 발현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또한, 면역형광염색의 경우, A549 세포(1.0×105 세포/웰)를 폴리 L-라이신(100 μg/ml, 시그마)으로 코팅된 유리 커버슬릿 상에 도말하고 50% 컨플루언시까지 성장시켰다. 세포를 100 nM의 His-tag을 갖는 그렘린-1으로 3일간 처리하고, PBS로 세척한 다음, PBS 중의 4% 파라포름알데하이드로 상온에서 30분간 고정시켰다. 고정된 세포를 PBS 중의 0.2% 트리톤 X-100(PBST)로 상온에서 10분간 투과시킨 다음, PBST 중의 1% 젤라틴으로 상온에서 블로킹하였다. E-카드헤린 항체(Abcam) 이후에 알렉사(Alexa) 488-결합된 이차 항체(인비트로겐)를 이용하여 면역형광 염색을 수행하였다. 핵은 DAPI(1:1,000 희석; Invitrogen)로 염색하였고, 액틴 필라멘트는 로다민-팔로이딘(rhodamine-phalloidin; 1:1,000 희석; Invitrogen)을 이용하여 염색하였다. 커버 슬릿을 색바램-방지제(anti-fading agent)를 갖는 수용성 마운팅 배지(aqueous mounting medium)을 이용하여 유리 슬라이드 상에 올렸다. 이후, LSM 5 PASCAL 레이저 스캐닝 현미경(Carl Zeiss, Germany)을 이용하여 영상을 얻고 이를 LSM 5 PASCAL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상기 결과를 도 4C에 나타내었다. 도 4C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렘린-1으로 처리된 A549 세포에서 E-카드헤린(E-cadherin)의 발현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6-3> 세포 이동 분석
세포의 이동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하기와 같이 세포이동분석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세포를 웰당 1.0 × 105 세포의 밀도로 24-웰 플레이트에 도말하였다. 피펫 팁으로 스크래칭하여 상처를 생성하였다. 탈착된 세포를 제거하기 위해 배지로 세척한 후, 상기 배양물에 100 nM의 His-tag을 갖는 그렘린-1을 24시간 동안 첨가하였다. 곧바로 그리고 24시간 후 Leica DFL290 카메라(Leica Microsystems)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분석하였다. 스크래치에 의해 형성된 면적을 통해 세포가 이동한 거리를 24시간째에 상처 폭을 측정하고 개시 시점의 상처 폭으로부터 이를 뺌으로써 결정하였다. 그리고 나서 상기 얻어진 값을 종래 기술된 대로 처리되지 않은 세포의 이동 거리를 100%로 설정하여, % 이동으로써 표현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항체(O-13)의 중화효능을 결정하기 위해, 상처난 세포를 His-tag을 갖는 그렘린-1 단독 또는 10 μM의 본 발명에 따른 항체(O-13)(또는 10 μM 대조군 항체)와 함께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전술한 대로 거리를 결정하였다.
동일한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공-형질감염된 A549 세포 및 그렘린-1 형질감염된 A549 세포를 도말하고 상처를 내었다. 공-A549 세포는 아무런 처리 없이 배양한 반면, 그렘린-1-A549 세포는 10 μM의 본 발명에 따른 항체(O-13) 또는 대조군 항체의 존재하에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전술한 대로 거리를 결정하였다. 결과는 3번의 독립적인 실험의 대표값이다.
상기 측정 결과를 도 4D에 나타내었다. 도 4D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램린-1으로 처리한 경우 A549 세포의 이동이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며, 이는 중화 항체의 첨가시 완전히 사라졌다.
상기 결과들은 그렘린-1이 암세포의 분산 및 이동을 유도하며, 이를 그렘린-1 항체를 사용하여 억제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실시예 7: 그렘린 - 1으로 형질감염된 A6549 세포의 특성 규명
<7-1> 그렘린 -1 mRNA 및 단백질 발현량 측정
실시예 <1-2>에서 제조된 '그렘린-1-A549' 세포주 및 '공(mock)-A549' 세포주에 대하여, 그렘린-1 전사체 및 단백질의 수치 변화를 전술한 RT-PCR 및 웨스턴 블롯에 의해 확인하였다.
상기 실험 결과를 도 5A에 나타내었다. 도 5A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공(mock)-A549 세포주에서는 그렘린-1 mRNA 및 단백질이 발현되지 않은 반면, 그렘린-1-A549 세포주에서는 그 수치가 급격히 증가하였다.
<7-2> E- 카드헤린 발현량 측정
또한, 하기와 같이 면역블롯 분석 방법에 따라 E-카드헤린의 발현량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그렘린-1-A549 세포 및 공-A549 세포(1.0 × 105 세포/웰)를 60-mm 디쉬 상에 도말하여 50% 컨플루언시까지 성장시켰다. 공-A549 세포를 처리없이 배양하고, 그렘린-1-A549 세포를 10 μM의 본 발명에 따른 항체(O-13) 또는 대조군 항체(Palivizumab, Synagis, Abbott Laboratories, Abbott Park, IL)의 존재 하에 24시간동안 배양하였다. 세포를 용해시키고, 실시예 6에 기재된 면역블롯 분석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상기 결과를 도 5B에 나타내었다. 도 5B에서 보는 바와 같이, E-카드헤린 발현은 공-A549 세포와 비교하여 그렘린-1-A549 세포에서 감소하였으며, 중화 항체를 첨가한 경우 약간 증가하였다.
<7-3> 세포 침윤 분석
ECM 코팅된 안쪽 챔버(Chemicon, Temecula, CA)를 이용하여 제조사의 지침에 따라 세포 침윤 분석을 수행하였다. 공-A549 세포 및 그렘린-1-A549 세포(3.0×105 세포/웰)를 300 μL의 무혈청 배지에 현탁시켰다. 플레이트의 바닥 웰에 10% FBS를 함유하는 완전 배지(500 μL)를 첨가하였다. 세포를 48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비-이동 세포를 없애고, PBS로 세척하였다. 막을 PBS 중의 4% 파라포름알데하이드로 고정시키고 크리스탈 바이올렛 염색 용액(Chemicon)으로 염색하였다. Leica DFL290 카메라(Leica Microsystems)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얻고 이를 Leica application suite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동된 세포를 웰당 4개의 별도의 필드에서 계수하였다. 그리고 나서, 얻어진 값을 공-A549 세포의 세포수를 100%로 설정하여 % 침윤으로써 표현하였다.
상기 결과를 도 5C에 나타내었다. 도 5C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공-A549 세포와 비교하여 그렘린-1-A549가 훨씬 많이 이동하였다.
<7-4> 세포 이동 분석
실시예 6에 기재된 방법대로, 세포 이동 분석을 수행하였다. 공-A549 세포 및 그렘린-1-A549 세포를 도말하고 상처를 내었다. 공-A549 세포는 아무런 처리 없이 배양하고, 그렘린-1-A549 세포는 10 μM의 본 발명에 따른 항체(O-13) 또는 대조군 항체의 존재 하에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전술한 대로 거리를 결정하였다.
상기 측정 결과를 도 5D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5D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렘린-1-A549 세포는 공-A549 세포와 비교하여 증가된 이동을 나타내었고, 이러한 증가된 이동은 본 발명에 따른 항체(O-13)의 첨가시 현저히 억제되었다.
<7-5> 세포 증식 분석
그렘린-1이 세포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세포 증식 분석을 수행하였다. 상기 분석은 CellTiter 96 Aqueous One Solution Cell Proliferation Assay(Promega, Madison, WI)를 이용하여 10% FBS가 첨가된 RPMI-1640 배지에서 96-웰 플레이트에서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공-A549 세포 및 그렘린-1-A549 세포를 웰 당 1,000 세포의 밀도로 도말하였다. 24시간 후, 세포를 무혈청 배지로 2회 세척하고 3 μM의 본 발명에 따른 항체(O-13)가 함유되거나 함유되지 않은 완전 배지 100 μL에서 배양하였다. 세포 증식을 492 nm 필터를 갖는 96 웰 플레이트에 대해 Labsystems Multiskan Ascent Photometric plate reader (Thermo Labsystems, Franklin, MA)를 이용하여 결정하였다. 실험은 3회 반복하였다.
상기 측정 결과를 도 5E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5E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렘린-1-A549 세포는 공-A549 세포와 비교하여 더 높은 성장 속도를 나타내었으며, 상기 증가된 성장 속도는 본 발명에 따른 항체(O-13)의 첨가에 의해 억제되었다.
<7-6> 종양 성장 분석
종양형성에 대한 그렘린-1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하기와 같이 그렘린-1-A549 세포 또는 공-A549 세포를 누드 마우스 내로 피하로 주사한 후, 종양 부피를 측정하였다.
모든 동물 실험은 실험동물 자원 서울대 협회 및 사용 위원회(Permit number: SNU-11-0207)의 승인을 받았다. 그렘린-1-A549 세포 및 공-A549 세포(1.0×106 세포/마우스)를 4 내지 6주령의 암컷 무흉선 누드 마우스(각 처리군 당 7마리)의 오른쪽 옆구리에 피하내로 주사하였다. 종양 형성 및 크기를 종양의 길이 및 폭을 캘리퍼스로 측정하여 매주 평가한 후, 하기 식을 이용하여 종양 부피를 계산하였다(Tomayko MM et al., (1989) Cancer Chemother Pharmacol 24: 148-154):
종양 부피 = (길이×폭×높이)/2
상기 측정 결과를 도 5F에 나타내었다. 그렘린-1-A549 세포를 주사한 마우스에서의 종양 부피는 공-A549 세포를 주사한 마우스보다 더 급격하게 증가되었으며, 주사 후 14주에 대략 500 mm3의 종양 크기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 결과는 그렘린-1의 발현 증가가 종양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실시예 8: 그렘린 -1 항체를 이용한 암 진단
면역조직화학 염색법을 이용하여 정상 조직 및 암 조직(피부, 유방, 림프절, 폐, 간, 식도, 위, 결장, 직장, 신장, 방광, 전립선, 고환, 자궁경, 자궁내막 및 갑상선 암 조직)을 본 발명에 따른 항체(O-13)와 반응시켜 그렘린-1의 발현량을 비교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항체(O-13)(2 mg/ml) 0.5 ml을 FITC 시약과 혼합하여 제조사의 지침에 따라 항체를 FITC로 라벨링하였다(Pierce FITC antibody labeling kit, 53027). 정상 조직 및 암 조직을 고정시킨 조직 배열 슬라이드(Tissue array slide; superbiochip BC8)에 대해 제조사의 지침에 따라 파라핀 제거 작업을 수행하였다. 상기 슬라이드를 항원 복구액(antigen retrieval solution; TE pH 9.0)이 담겨있는 유리병(glass jar)에 넣은 후, 압력 쿠커(pressure cooker)에서 30분 동안 가열하였다. 슬라이드를 꺼내 60~65℃로 식히고, 증류수로 세척하고, 차가운 95% 에탄올에 10분간 담궈둔 다음, 흐르는 물로 10분간 세척하였다. 이후, 제조사의 지침에 따라 Thermo Ultra-vision LP detection system(Thermo)을 이용하여 조직 슬라이드에 상기 FITC로 라벨링된 항체를 반응시켰다. 상기 항체는 1:75로 사용하였고, 항-FITC 마우스 IgG(LS bio)는 1:200으로 사용하였다. 이후, HRP-결합된 중합체(Labvision)를 15분간 처리한 후, DAB 용액을 1분간 처리하였다. 메이어 헤마톡실린 용액(Mayer’s hematoxylin solution)으로 반대염색한 다음, 현미경으로 4x, 200x, 400x 순서로 관찰하였다. 상기 실험에서 IgGkappa 항체를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상기 실험결과를 도 6a 내지 6i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항체는 정상 조직과 비교하여 피부, 유방, 림프절, 폐, 간, 식도, 위, 결장, 직장, 신장, 방광, 전립선, 고환, 자궁경, 자궁내막 및 갑상선 암 조직에서 강한 반응성을 나타내었다. 이는 다양한 암 조직에서 그렘린-1이 분포하고 있으며 과발현됨을 보여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그렘린-1에 대한 항체를 이용하여 암 또는 면역질환을 진단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110> SNU R&DB FOUNDATION KIM, Hyun Kee <120> Antibodies against gremlin-1 <130> FPD201303-0018 <150> US 61/611,285 <151> 2012-03-15 <160> 40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11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ight chain variable region of R-80 antibody <400> 1 Glu Leu Val Leu Thr Gln Ser Pro Ser Val Gln Val Asn Leu Gly Gln 1 5 10 15 Thr Val Ser Leu Thr Cys Thr Ala Asp Thr Leu Ser Arg Ser Tyr Ala 20 25 30 Ser Trp Tyr Gln Gln Lys Pro Gly Gln Ala Pro Val Leu Leu Ile Tyr 35 40 45 Arg Asp Thr Ser Arg Pro Ser Gly Val Pro Asp Arg Phe Ser Gly Ser 50 55 60 Ser Ser Gly Asn Thr Ala Thr Leu Thr Ile Ser Gly Ala Gln Ala Gly 65 70 75 80 Asp Glu Ala Asp Tyr Tyr Cys Ala Thr Ser Asp Gly Ser Gly Ser Ser 85 90 95 Tyr Gln Phe Val Phe Gly Gly Gly Thr Gln Leu Thr Val Thr 100 105 110 <210> 2 <211> 11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eavy chain variable region of R-80 antibody <400> 2 Lys Ser Val Glu Glu Ser Gly Gly Arg Leu Val Thr Pro Gly Thr Pro 1 5 10 15 Leu Thr Leu Thr Cys Thr Val Ser Gly Phe Ser Leu Ser Arg Tyr Ala 20 25 30 Met Gly Trp Val Arg Gln Ala Pro Gly Lys Gly Leu Glu Tyr Ile Gly 35 40 45 Ile Ile Asn Pro Asn Thr Gly Ala Tyr Tyr Ala Ser Trp Ala Lys Gly 50 55 60 Arg Phe Thr Ile Ser Lys Thr Ser Ser Thr Thr Val Asp Leu Lys Ile 65 70 75 80 Thr Ser Pro Thr Thr Glu Asp Thr Ala Thr Tyr Phe Cys Ala Arg Tyr 85 90 95 Ala Gly Gly Asn Arg Val Phe Lys Leu Trp Gly Pro Gly Thr Leu Val 100 105 110 Thr Val Ser Ser 115 <210> 3 <211> 11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ight chain variable region of R-88 antibody <400> 3 Glu Leu Val Leu Thr Gln Ser Pro Ser Val Gln Val Asn Leu Gly Gln 1 5 10 15 Thr Val Ser Leu Thr Cys Thr Ala Asp Thr Leu Ser Arg Arg Tyr Ala 20 25 30 Ser Trp Tyr Gln Gln Lys Pro Gly Gln Ala Pro Val Leu Leu Ile Tyr 35 40 45 Arg Asp Thr Ser Arg Pro Ser Gly Val Pro Asp Arg Phe Ser Gly Ser 50 55 60 Ser Ser Gly Asn Thr Ala Thr Leu Thr Ile Ser Gly Ala Gln Ala Gly 65 70 75 80 Asp Glu Ala Asp Tyr Tyr Cys Ala Thr Ser Asp Gly Ser Gly Ser Ser 85 90 95 Tyr Gln Phe Val Phe Gly Gly Gly Thr Gln Leu Thr Val Thr 100 105 110 <210> 4 <211> 12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eavy chain variable region of R-88 antibody <400> 4 Gln Ser Val Glu Glu Ser Gly Gly Arg Leu Val Thr Pro Gly Thr Pro 1 5 10 15 Leu Thr Leu Thr Cys Thr Val Ser Gly Phe Ser Leu Ser Ser Tyr Ala 20 25 30 Met Ser Trp Val Arg Gln Ala Pro Gly Lys Gly Leu Glu Trp Ile Gly 35 40 45 Leu Ile Ser Ser Ser Gly Ser Ala Tyr Tyr Ala Ser Trp Ala Lys Gly 50 55 60 Arg Phe Thr Ile Ser Asn Pro Ser Ser Thr Thr Val Asp Leu Lys Ile 65 70 75 80 Thr Ser Pro Thr Thr Glu Asp Thr Ala Thr Tyr Phe Cys Ala Arg Tyr 85 90 95 Leu Tyr Glu Ser Asp Gly Tyr Val Asn Ala Leu Asp Leu Trp Gly Pro 100 105 110 Gly Thr Leu Val Thr Val Ser Ser 115 120 <210> 5 <211> 11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ight chain variable region of O-1 antibody <400> 5 Gln Ser Val Leu Thr Gln Pro Pro Ser Ala Ser Gly Thr Pro Gly Gln 1 5 10 15 Arg Val Thr Ile Ser Cys Thr Gly Ser Ser Ser Asn Ile Gly Ser Asn 20 25 30 Ser Val Thr Trp Tyr Gln Gln Leu Pro Gly Thr Ala Pro Lys Leu Leu 35 40 45 Ile Tyr Asp Asp Ser Lys Arg Pro Ser Gly Val Pro Asp Arg Phe Ser 50 55 60 Gly Ser Lys Ser Gly Thr Ser Ala Ser Leu Ala Ile Ser Gly Leu Arg 65 70 75 80 Ser Glu Asp Glu Ala Asp Tyr Tyr Cys Gly Ala Trp Asp Asp Ser Leu 85 90 95 Ser Gly Tyr Val Phe Gly Gly Gly Thr Lys Leu Thr Val Leu 100 105 110 <210> 6 <211> 12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eavy chain variable region of O-1 antibody <400> 6 Glu Val Gln Leu Leu Glu Ser Gly Gly Gly Leu Val Gln Pro Gly Gly 1 5 10 15 Ser Leu Arg Leu Ser Cys Ala Ala Ser Gly Phe Thr Phe Ser Ser Tyr 20 25 30 Asp Met Ser Trp Val Arg Gln Ala Pro Gly Lys Gly Leu Glu Trp Val 35 40 45 Ser Ala Ile Ser Tyr Asp Asn Gly Asn Thr Tyr Tyr Ala Asp Ser Val 50 55 60 Lys Gly Arg Phe Thr Ile Ser Arg Asp Asn Ser Lys Asn Thr Leu Tyr 65 70 75 80 Leu Gln Met Asn Ser Leu Arg Ala Glu Asp Thr Ala Val Tyr Tyr Cys 85 90 95 Ala Arg Asp Gly Met Trp Asn Glu Val Ser Ala Phe Asp Tyr Trp Gly 100 105 110 Gln Gly Thr Leu Val Thr Val Ser Ser 115 120 <210> 7 <211> 11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1 <400> 7 Gln Ser Val Leu Thr Gln Pro Pro Ser Ala Ser Gly Thr Pro Gly Gln 1 5 10 15 Arg Val Thr Ile Ser Cys Ser Gly Ser Ser Ser Asn Ile Gly Ser Asn 20 25 30 Asp Val Asn Trp Tyr Gln Gln Leu Pro Gly Thr Ala Pro Lys Leu Leu 35 40 45 Ile Tyr Tyr Asp Ser Lys Arg Pro Ser Gly Val Pro Asp Arg Phe Ser 50 55 60 Gly Ser Lys Ser Gly Thr Ser Ala Ser Leu Ala Ile Ser Gly Leu Arg 65 70 75 80 Ser Glu Asp Glu Ala Asp Tyr Tyr Cys Ala Thr Trp Asp Asp Ser Leu 85 90 95 Ser Ala Tyr Val Phe Gly Gly Gly Thr Lys Leu Thr Val Leu 100 105 110 <210> 8 <211> 12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eavy chain variable region of O-13 antibody <400> 8 Glu Val Gln Leu Leu Glu Ser Gly Gly Gly Leu Val Gln Pro Gly Gly 1 5 10 15 Ser Leu Arg Leu Ser Cys Ala Ala Ser Gly Phe Thr Phe Ser Ser Tyr 20 25 30 Asp Met Ser Trp Val Arg Gln Ala Pro Gly Lys Gly Leu Glu Trp Val 35 40 45 Ser Ala Ile Ser Tyr Asp Asn Gly Asn Thr Tyr Tyr Ala Asp Ser Val 50 55 60 Lys Gly Arg Phe Thr Ile Ser Arg Asp Asn Ser Lys Asn Thr Leu Tyr 65 70 75 80 Leu Gln Met Asn Ser Leu Arg Ala Glu Asp Thr Ala Val Tyr Tyr Cys 85 90 95 Ala Lys Asp Gly Tyr His Asn Glu Ile Ala Pro Phe Asp Tyr Trp Gly 100 105 110 Gln Gly Thr Leu Val Thr Val Ser Ser 115 120 <210> 9 <211> 11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ight chain variable region of O-26 antibody <400> 9 Gln Ser Val Leu Thr Gln Pro Pro Ser Ala Ser Gly Thr Pro Gly Gln 1 5 10 15 Arg Val Thr Ile Ser Cys Thr Gly Ser Ser Ser Asn Ile Gly Ser Asn 20 25 30 Asp Val Thr Trp Tyr Gln Gln Leu Pro Gly Thr Ala Pro Lys Leu Leu 35 40 45 Ile Tyr Ser Asp Ser His Arg Pro Ser Gly Val Pro Asp Arg Phe Ser 50 55 60 Gly Ser Lys Ser Gly Thr Ser Ala Ser Leu Ala Ile Ser Gly Leu Arg 65 70 75 80 Ser Glu Asp Glu Ala Asp Tyr Tyr Cys Ala Ala Trp Asp Asp Ser Leu 85 90 95 Ser Gly Tyr Val Phe Gly Gly Gly Thr Lys Leu Thr Val Leu 100 105 110 <210> 10 <211> 12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eavy chain variable region of O-26 antibody <400> 10 Glu Val Gln Leu Leu Glu Ser Gly Gly Gly Leu Val Gln Pro Gly Gly 1 5 10 15 Ser Leu Arg Leu Ser Cys Ala Ala Ser Gly Phe Thr Phe Ser Ser Tyr 20 25 30 Asp Met Ser Trp Val Arg Gln Ala Pro Gly Lys Gly Leu Glu Trp Val 35 40 45 Ser Ala Ile Ser Tyr Asp Asn Gly Asn Thr Tyr Tyr Ala Asp Ser Val 50 55 60 Lys Gly Arg Phe Thr Ile Ser Arg Asp Asn Ser Lys Asn Thr Leu Tyr 65 70 75 80 Leu Gln Met Asn Ser Leu Arg Ala Glu Asp Thr Ala Val Tyr Tyr Cys 85 90 95 Ala Lys Asp Gly Leu Glu Asn Glu Thr Ala Gly Phe Asp Tyr Trp Gly 100 105 110 Gln Gly Thr Leu Val Thr Val Ser Ser 115 120 <210> 11 <211> 10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ight chain variable region of J-1 antibody <400> 11 Asp Ile Gln Met Thr Gln Ser Pro Ser Ser Leu Ser Ala Ser Val Gly 1 5 10 15 Asp Arg Val Thr Ile Thr Cys Arg Ala Ser Gln Asp Val Asn Thr Ala 20 25 30 Val Ala Trp Tyr Gln Gln Lys Pro Gly Lys Ala Pro Lys Leu Leu Ile 35 40 45 Tyr Ser Ala Ser Phe Leu Tyr Ser Gly Val Pro Ser Arg Phe Ser Gly 50 55 60 Ser Arg Ser Gly Thr Asp Phe Thr Leu Thr Ile Ser Ser Leu Gln Pro 65 70 75 80 Glu Asp Phe Ala Thr Tyr Tyr Cys Gln Gln His Tyr Thr Thr Pro Pro 85 90 95 Thr Phe Gly Gln Gly Thr Lys Val Glu Ile Lys 100 105 <210> 12 <211> 12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eavy chain variable region of J-1 antibody <400> 12 Glu Val Gln Leu Val Glu Ser Gly Gly Gly Leu Val Gln Pro Gly Gly 1 5 10 15 Ser Leu Arg Leu Ser Cys Ala Ala Ser Gly Phe Asn Ile Lys Asp Thr 20 25 30 Tyr Ile His Trp Val Arg Gln Ala Pro Gly Lys Gly Leu Glu Trp Val 35 40 45 Ala Arg Ile Tyr Pro Thr Asn Gly Tyr Thr Arg Tyr Ala Asp Ser Val 50 55 60 Lys Gly Arg Phe Thr Ile Ser Ala Asp Thr Ser Lys Asn Thr Ala Tyr 65 70 75 80 Leu Gln Met Asn Ser Leu Arg Ala Glu Asp Thr Ala Val Tyr Tyr Cys 85 90 95 Ser Arg Gly Val Gly Lys Ser Arg His Gln Arg Phe Asp Tyr Trp Gly 100 105 110 Gln Gly Thr Leu Val Thr Val Ser Ser 115 120 <210> 13 <211> 11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ight chain variable region of O-13(humanized) antibody <400> 13 Asp Ile Gln Met Thr Gln Ser Pro Ser Ser Leu Ser Ala Ser Val Gly 1 5 10 15 Asp Arg Val Thr Ile Thr Cys Ser Gly Ser Ser Ser Asn Ile Gly Ser 20 25 30 Asn Asp Val Asn Trp Tyr Gln Gln Lys Pro Gly Lys Ala Pro Lys Leu 35 40 45 Leu Ile Tyr Tyr Asp Ser Lys Arg Pro Ser Gly Val Pro Ser Arg Phe 50 55 60 Ser Gly Ser Arg Ser Gly Thr Asp Phe Thr Leu Thr Ile Ser Ser Leu 65 70 75 80 Gln Pro Glu Asp Phe Ala Thr Tyr Tyr Cys Ala Thr Trp Asp Asp Ser 85 90 95 Leu Ser Ala Tyr Val Phe Gly Gln Gly Thr Lys Val Glu Ile Lys 100 105 110 <210> 14 <211> 12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eavy chain variable region of O-13(humanized) antibody <400> 14 Glu Val Gln Leu Val Glu Ser Gly Gly Gly Leu Val Gln Pro Gly Gly 1 5 10 15 Ser Leu Arg Leu Ser Cys Ala Ala Ser Gly Phe Thr Phe Ser Ser Tyr 20 25 30 Asp Met Ser Trp Val Arg Gln Ala Pro Gly Lys Gly Leu Glu Trp Val 35 40 45 Ala Ala Ile Ser Tyr Asp Asn Gly Asn Thr Tyr Tyr Ala Asp Ser Val 50 55 60 Lys Gly Arg Phe Thr Ile Ser Ala Asp Thr Ser Lys Asn Thr Ala Tyr 65 70 75 80 Leu Gln Met Asn Ser Leu Arg Ala Glu Asp Thr Ala Val Tyr Tyr Cys 85 90 95 Ser Arg Asp Gly Tyr His Asn Glu Ile Ala Pro Phe Asp Tyr Trp Gly 100 105 110 Gln Gly Thr Leu Val Thr Val Ser Ser 115 120 <210> 15 <211> 33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ight chain variable region of R-80 antibody <400> 15 gagctcgtgc tgactcagtc gccctcagtg caggtgaact tgggacagac ggtctccctc 60 acatgcactg cagatacact gagcagaagt tatgcttcct ggtaccagca gaagccaggc 120 caggcccctg tgctgctcat ctacagggat accagtcggc cctcaggggt ccctgaccgg 180 ttctctggct ccagctcagg gaacacggcc accctgacca tcagtggggc ccaggctggg 240 gacgaggctg actactattg tgctacaagc gatggcagtg gcagcagcta tcagtttgtg 300 ttcggcggag ggacccagct gaccgtcaca 330 <210> 16 <211> 34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eavy chain variable region of R-80 antibody <400> 16 aagtcggtgg aggagtccgg gggtcgcctg gtcacgcctg ggacacccct gacactcacc 60 tgcacagtct ctggattctc cctcagtagg tatgcaatgg gctgggtccg ccaggctcca 120 gggaaggggc tggaatacat cggaatcatt aatcctaata ctggcgcata ctacgcgagc 180 tgggcaaaag gccgattcac catctccaaa acctcgtcga ccacggtgga tctgaaaatc 240 accagtccga caaccgaaga cacggccacc tatttctgcg ccagatatgc tggtggtaat 300 cgggttttta aattgtgggg cccaggcacc ctggtcaccg tctcctca 348 <210> 17 <211> 33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ight chain variable region of R-88 antibody <400> 17 gagctcgtgc tgactcagtc gccctcagtg caggtgaact tgggacagac ggtctccctc 60 acatgcactg cagatacact gagcagaagg tatgcttcct ggtaccagca gaagccaggc 120 caggcccctg tgctgctcat ctacagggat accagtcggc cctcaggggt ccctgaccgc 180 ttctctggct ccagctcagg gaacacggcc accctgacca tcagtggggc ccaggctggg 240 gacgaggctg actactattg tgctacaagc gatggcagtg gcagcagcta tcagtttgtg 300 ttcggcggag ggacccagct gaccgtcaca 330 <210> 18 <211> 36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eavy chain variable region of R-88 antibody <400> 18 cagtcggtgg aggagtccgg gggtcgcctg gtcacgcctg ggacacccct gacactcacc 60 tgcacagtct ctggattctc cctcagtagc tatgcaatga gttgggtccg ccaggctcca 120 gggaaggggc tggaatggat cggactcatt agtagtagtg gtagcgcata ctacgcgagc 180 tgggcgaaag gccgattcac catctccaac ccctcgtcga ccacggtgga tctcaaaatc 240 accagtccga caaccgagga cacggccacc tatttctgcg ccagatacct ttacgagagt 300 gatggttatg ttaatgccct tgacttgtgg ggcccaggca ccctggtcac cgtctcctca 360 360 <210> 19 <211> 33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ight chain variable region of O-1 antibody <400> 19 cagtctgtgc tgactcagcc accctcagcg tctgggaccc ccgggcagag ggtcaccatc 60 tcttgtactg gctcttcatc taatattggc agtaattctg tcacctggta ccagcagctc 120 ccaggaacgg cccccaaact cctcatctat gatgatagta agcggccaag cggggtccct 180 gaccgattct ctggctccaa gtctggcacc tcagcctccc tggccatcag tgggctccgg 240 tccgaggatg aggctgatta ttactgtggt gcttgggatg atagcctgag tggttatgtc 300 ttcggcggag gcaccaagct gacggtccta 330 <210> 20 <211> 36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eavy chain variable region of O-1 antibody <400> 20 gaggtgcagc tgttggagtc tgggggaggc ttggtacagc ctggggggtc cctgagactc 60 tcctgtgcag cctctggatt cacctttagc agttatgata tgagctgggt ccgccaggct 120 ccagggaagg ggctggagtg ggtctcagcg atctcttatg ataatggtaa tacatattac 180 gctgattctg taaaaggtcg gttcaccatc tccagagaca attccaagaa cacgctgtat 240 ctgcaaatga acagcctgag agccgaggac acggccgtgt attactgtgc gagagatggt 300 atgtggaatg aggttagtgc gttcgactac tggggccagg gtacactggt caccgtgagc 360 tca 363 <210> 21 <211> 33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ight chain variable region of O-13 antibody <400> 21 cagtctgtgc tgactcagcc accctcagcg tctgggaccc ccgggcagag ggtcaccatc 60 tcttgtagtg gctcttcatc taatattggc agtaatgatg tcaactggta ccagcagctc 120 ccaggaacgg cccccaaact cctcatctat tatgatagta agcggccaag cggggtccct 180 gaccgattct ctggctccaa gtctggcacc tcagcctccc tggccatcag tgggctccgg 240 tccgaggatg aggctgatta ttactgtgct acttgggatg atagcctgag tgcttatgtc 300 ttcggcggag gcaccaagct gacggtccta 330 <210> 22 <211> 36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eavy chain variable region of O-13 antibody <400> 22 gaggtgcagc tgttggagtc tgggggaggc ttggtacagc ctggggggtc cctgagactc 60 tcctgtgcag cctctggatt cacctttagc agttatgata tgagctgggt ccgccaggct 120 ccagggaagg ggctggagtg ggtctcagcg atctcttatg ataatggtaa tacatattac 180 gctgattctg taaaaggtcg gttcaccatc tccagagaca attccaagaa cacgctgtat 240 ctgcaaatga acagcctgag agccgaggac acggccgtgt attactgtgc gaaagatggt 300 tatcataatg agattgctcc gttcgactac tggggccagg gtacactggt caccgtgagc 360 tca 363 <210> 23 <211> 33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ight chain variable region of O-26 antibody <400> 23 cagtctgtgc tgactcagcc accctcagcg tctgggaccc ccgggcagag ggtcaccatc 60 tcttgtactg gctcttcatc taatattggc agtaatgatg tcacctggta ccagcagctc 120 ccaggaacgg cccccaaact cctcatctat tctgatagtc atcggccaag cggggtccct 180 gaccgattct ctggctccaa gtctggcacc tcagcctccc tggccatcag tgggctccgg 240 tccgaggatg aggctgatta ttactgtgct gcttgggatg atagcctgag tggttatgtc 300 ttcggcggag gcaccaagct gacggtccta 330 <210> 24 <211> 36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eavy chain variable region of O-26 antibody <400> 24 gaggtgcagc tgttggagtc tgggggaggc ttggtacagc ctggggggtc cctgagactc 60 tcctgtgcag cctctggatt cacctttagc agttatgata tgagctgggt ccgccaggct 120 ccagggaagg ggctggagtg ggtctcagcg atctcttatg ataatggtaa tacatattac 180 gctgattctg taaaaggtcg gttcaccatc tccagagaca attccaagaa cacgctgtat 240 ctgcaaatga acagcctgag agccgaggac acggccgtgt attactgtgc gaaagatggt 300 cttgagaatg agacggctgg gttcgactac tggggccagg gtacactggt caccgtgagc 360 tca 363 <210> 25 <211> 3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ight chain variable region of J-1 antibody <400> 25 gacatccaga tgacccagtc cccctcctcc ctgtccgcct ccgtgggcga ccgcgtgacc 60 atcacctgca gagcatcaca agatgtaaat acagcagtag catggtacca gcagaagccc 120 ggcaaggccc ccaagctgct gatctactca gcatcatttt tatattcagg cgtgccctcc 180 cgcttctccg gctcccgctc cggcaccgac ttcaccctga ccatctcctc cctgcagccc 240 gaggacttcg ccacctacta ctgccaacaa cattatacaa caccaccaac cttcggccag 300 ggcaccaagg tggagatcaa g 321 <210> 26 <211> 36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eavy chain variable region of J-1 antibody <400> 26 gaggtgcagc tggtggagtc cggcggcggc ctggtgcagc ccggcggctc cctgcgcctg 60 tcctgcgccg cctccggttt taatattaaa gatacatata ttcattgggt gcgccaggcc 120 cccggcaagg gcctggagtg ggtggccaga atttatccaa caaatggtta tacaagatat 180 gcagattcag taaaaggtcg cttcaccatc tccgccgaca cctccaagaa caccgcctac 240 ctgcagatga actccctgcg cgccgaggac accgccgtgt actactgctc ccgcggtgtt 300 ggtaaatctc gtcatcagcg tttcgactac tggggccagg gcaccctggt gaccgtgtcc 360 tcc 363 <210> 27 <211> 33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ight chain variable region of O-13(humanized) antibody <400> 27 gacatccaga tgacccagtc cccctcctcg ctgagcgcct ccgtgggcga ccgggtgacc 60 atcacctgca gtggctcttc atctaatatt ggcagtaatg atgtcaactg gtatcagcag 120 aagcctggca aggcgcctaa gctgctgatc tactatgata gtaagcggcc aagcggcgtg 180 ccttcccggt tctccggatc ccggtccggc accgacttca ccctgaccat ctcctccctg 240 caacctgagg acttcgccac ctactactgc gctacttggg atgatagcct gagtgcttat 300 gtcttcggcc agggtaccaa ggtggagatc aag 333 <210> 28 <211> 36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eavy chain variable region of O-13(humanized) antibody <400> 28 gaggtgcagc tggtggagtc tggcggcgga ctggtgcagc ctggcggaag cttgcggctg 60 tcctgcgccg cctccggatt cacctttagc agttatgata tgagctgggt gcggcaggcc 120 cctggcaagg gcctcgagtg ggtggccgcg atctcttatg ataatggtaa tacatattac 180 gctgattctg taaaaggtcg gttcaccatc tccgccgaca cctccaagaa caccgcctac 240 ctgcagatga actccctgcg ggccgaggac accgccgtgt actactgctc cagagatggt 300 tatcataatg agattgctcc gttcgactac tggggccagg gcacactagt gaccgtgtcc 360 tcc 363 <210> 29 <211> 2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for PCR <400> 29 cccaagctta tgagccgcac agcctacac 29 <210> 30 <211> 2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for PCR <400> 30 ccgctcgaga tccaaatcga tggatatgc 29 <210> 31 <211> 2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for PCR (Gremlin-1) <400> 31 ggccccaccg gccccatcca aatcgat 27 <210> 32 <211> 3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for PCR (Gremlin-1) <400> 32 ggggccggtg gggcctcggg tggcggtggc 30 <210> 33 <211> 3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for PCR (IgG-Fc) <400> 33 aagcttgtgg cccaggcggc catgagccgc acagcctac 39 <210> 34 <211> 3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for PCR (IgG-Fc) <400> 34 ggatcctcat tttggcgggg acagggagag 30 <210> 35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for PCR (VEGFR-2) <400> 35 tgatcggaaa tgacactgga 20 <210> 36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for PCR (VEGFR-2) <400> 36 tgcttcacag aagaccatgc 20 <210> 37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for PCR (Gremlin-1) <400> 37 aacagtcgca ccatcatcaa 20 <210> 38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for PCR (Gremlin-1) <400> 38 aatttcttgg gcttgcagaa 20 <210> 39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for PCR (GAPDH) <400> 39 aggtgaaggt cggagtcaac g 21 <210> 40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for PCR (GAPDH) <400> 40 aggggtcatt gatggcaaca 20

Claims (16)

  1. 경쇄가변영역 및 중쇄가변영역을 포함하는 그렘린-1에 대한 항체로서,
    상기 경쇄가변영역은 서열번호 7의 아미노산 서열 중 23 내지 35번째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지는 CDR1, 51 내지 57번째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지는 CDR2, 및 90 내지 100번째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지는 CDR3로 포함하고,
    상기 중쇄가변영역은 서열번호 8의 아미노산 서열 중 26 내지 35번째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지는 CDR1, 50 내지 66번째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지는 CDR2, 및 99 내지 110번째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지는 CDR3로 포함하며,
    상기 항체는 골형성 단백질(BMP) 또는 혈관내피성장인자 수용체-2(VEGFR2)에 비의존적인 그렘린-1을 억제하는 것인,
    그렘린-1에 대한 항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가 키메라 항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렘린-1에 대한 항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가 경쇄불변영역, 중쇄불변영역, 경쇄가변영역 및 중쇄가변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경쇄가변영역은 서열번호 7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고,
    상기 중쇄가변영역은 서열번호 8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그렘린-1에 대한 항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의 경쇄불변영역 및 중쇄불변영역이 인간 또는 토끼의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렘린-1에 대한 항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가 그렘린-1이 암세포에 직접 결합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렘린-1에 대한 항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가 그렘린-1에 의존하는 세포 이동성(cell migration), 세포 침윤성(Cell invasion) 및 세포 증식(Cell proliferation)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가 그렘린-1에 의존하는 E-카드헤린(E-cadherin)의 발현을 저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체.
  9.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항체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암 또는 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암이 전립선암, 췌장암, 폐암, 비소세포 폐암, 위암, 간암, 신장암, 난소암, 대장암, 직장암, 유방암, 갑상선암, 피부암, 골암, 기저세포암, 편평세포암, 비인두암, 방광암, 자궁암, 피부암, 식도암 및 두경부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질환이 류머티스성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 전신성 경피증(Progressive systemic sclerosis, Scleroderma), 전신 홍반성 낭창(lupus), 아토피 피부염, 원형탈모증(alopecia areata), 건선(乾癬), 천포창, 천식, 아프타구내염, 만성 갑상선염, 후천성 재생불량성 빈혈, 일차성 간경변, 궤양성 대장염, 베체트병(Behcet's disease), 크론병, 규소 폐증, 석면 폐증, IgA 신장질환, 연쇄상구균감염후 사구체신염(PSGN), 쇼그렌 증후군(Sjogren Syndrome), 길리안-바레 증후군(Guilian-Barre syndrome), 피부근염(dermatomyositis), 다발성 근염(polymyositis), 다발성 경화증(multiple sclerosis), 자가면역성 용혈성 빈혈(Autoimmune hemolytic anemia), 자가면역성 뇌척수염, 중증 근무력증(Myasthenia gravis), 그레이브병(Grave's disease), 결절성 다발성 동맥염(Polyarteritis nodosa), 강직성 척추염(Ankylosing spondylitis), 섬유조직염 (Fibromyalgia syndrome) 및 측두동맥염(Temporal arteritis)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12.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항체를 포함하는 암 진단용 키트.
  13. 삭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암이 전립선암, 췌장암, 폐암, 비소세포 폐암, 위암, 간암, 신장암, 난소암, 대장암, 직장암, 유방암, 갑상선암, 피부암, 골암, 기저세포암, 편평세포암, 비인두암, 방광암, 자궁암, 피부암, 식도암 및 두경부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15. 삭제
  16. 삭제
KR1020130028123A 2012-03-15 2013-03-15 그렘린-1에 대한 항체 KR1021192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611285P 2012-03-15 2012-03-15
US61/611,285 2012-03-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5541A KR20130105541A (ko) 2013-09-25
KR102119223B1 true KR102119223B1 (ko) 2020-06-05

Family

ID=49161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8123A KR102119223B1 (ko) 2012-03-15 2013-03-15 그렘린-1에 대한 항체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631011B2 (ko)
EP (1) EP2826790B1 (ko)
JP (1) JP6339063B2 (ko)
KR (1) KR102119223B1 (ko)
CN (1) CN104321342B (ko)
AU (1) AU2013232855B2 (ko)
ES (1) ES2720617T3 (ko)
TR (1) TR201905395T4 (ko)
WO (1) WO20131376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898620T3 (es) * 2013-03-14 2022-03-08 Regeneron Pharma Anticuerpos humanos contra GREM 1
DE202014007202U1 (de) 2014-09-03 2014-11-24 Lg Electronics Inc. Wäschebehandlungsvorrichtung
CN106399316B (zh) * 2016-08-26 2019-03-01 西安交通大学第一附属医院 用于识别Gremlin-1的核酸适配子及其应用
GB201621635D0 (en) * 2016-12-19 2017-02-01 Ucb Biopharma Sprl Crystal structure
JP7033601B2 (ja) * 2017-01-05 2022-03-10 コリア リサーチ インスティチュート オブ バイオサイエンス アンド バイオテクノロジー 抗コチニンキメラ抗原受容体を発現するナチュラルキラー細胞
GB201802486D0 (en) * 2018-02-15 2018-04-04 Ucb Biopharma Sprl Methods
MX2020013808A (es) * 2018-06-18 2021-05-27 UCB Biopharma SRL Antagonista de gremlina-1 para la prevencion y el tratamiento del cancer.
CN111308074B (zh) * 2019-12-12 2022-11-01 中山大学附属第三医院 检测肝细胞癌诊断标志物及筛查或辅助诊断产品中的应用
AU2021366287A1 (en) * 2020-10-20 2023-04-13 Kantonsspital St. Gallen Antibodies or antigen-binding fragments specifically binding to Gremlin-1 and uses thereof
KR20230132544A (ko) * 2021-01-18 2023-09-15 쑤저우 트랜스센타 테라퓨틱스 컴퍼니 리미티드 신규한 항-그렘린1 항체
BR112023018204A2 (pt) * 2021-03-11 2023-10-24 Univ Shanghai Jiaotong Método de tratamento de doenças usando antagonistas de gremlin1
GB202205200D0 (en) * 2022-04-08 2022-05-25 Ucb Biopharma Sprl Combination with chemotherap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29082A2 (en) * 2003-09-24 2005-03-31 Progenika Biopharma, S.A. Methods for the in vitro diagnosis and in vitro prognosis of cancer of the pancreas and for the development of drugs against cancer of the pancreas and/or pancreatitis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217152T2 (de) * 2001-10-31 2007-10-31 Alcon Inc. Knochen-morphogene proteine (bmp), bmp-rezeptoren und bmp-bindungsproteine und ihre verwendung bei der diagnose und behandlung des glaukoms
WO2006006948A2 (en) * 2002-11-14 2006-01-19 Dharmacon,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SELECTING siRNA OF IMPROVED FUNCTIONALITY
KR100556660B1 (ko) 2003-11-11 2006-03-10 국립암센터 Hgf의 중화가능 에피토프 및 이에 결합하는 중화 항체
CN1901930B (zh) 2003-12-03 2012-05-30 斯克利普斯研究院 整合蛋白αⅡbβ3特异性抗体和肽
KR100664588B1 (ko) 2004-12-28 2007-01-04 김현기 인간 원암유전자 및 이에 의해 코드되는 단백질
KR100664590B1 (ko) 2004-12-28 2007-01-04 김현기 인간 원암 유전자, 이에 의해 코드되는 단백질, 이를포함하는 발현벡터 및 이 벡터로 형질전환된 세포
KR100689275B1 (ko) 2005-03-30 2007-03-08 김현기 인간 원암유전자 trg 및 이에 의해 코드되는 단백질
KR100689274B1 (ko) 2005-03-30 2007-03-08 김현기 인간 원암 유전자, 이에 의해 코드되는 단백질
US20090203041A1 (en) * 2006-04-21 2009-08-13 Wei Shi Bmp4 inhibitors
EP2021373A4 (en) 2006-05-31 2010-06-02 Hanwa Chemical Corp MONOCLONAL ANTIBODY VCAM-1 SPECIFIC
US20100172902A1 (en) 2006-05-31 2010-07-08 Hanwha Chemical Corporation Method for treating a vcam-1 mediated disease
KR100786759B1 (ko) 2006-07-07 2007-12-18 김현기 Hccr-1을 포함하는 유방암 예후 마커 및 비만 유도조성물
KR100829972B1 (ko) 2006-07-14 2008-05-16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항-hgf/sf 인간화 항체 및 이의 제조방법
CN101517081A (zh) * 2006-08-24 2009-08-26 爱尔康研究有限公司 RNAi介导的Gremlin抑制用于治疗眼内压相关的状况
US8008448B2 (en) 2007-03-14 2011-08-30 National Cancer Center Cotinine neutralizing antibody
US8383349B2 (en) * 2007-03-16 2013-02-26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Bone morphogenetic protein antagonist and uses thereof
KR101648960B1 (ko) 2011-04-15 2016-08-2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접합 물질과 코티닌과의 접합체에 항-코티닌 항체가 결합된 복합체 및 이의 용도
ES2898620T3 (es) * 2013-03-14 2022-03-08 Regeneron Pharma Anticuerpos humanos contra GREM 1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29082A2 (en) * 2003-09-24 2005-03-31 Progenika Biopharma, S.A. Methods for the in vitro diagnosis and in vitro prognosis of cancer of the pancreas and for the development of drugs against cancer of the pancreas and/or pancreatiti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37686A1 (ko) 2013-09-19
JP2015512894A (ja) 2015-04-30
AU2013232855A1 (en) 2014-10-02
AU2013232855B2 (en) 2016-10-27
CN104321342B (zh) 2017-12-22
US20150158938A1 (en) 2015-06-11
US9631011B2 (en) 2017-04-25
KR20130105541A (ko) 2013-09-25
EP2826790A1 (en) 2015-01-21
ES2720617T3 (es) 2019-07-23
TR201905395T4 (tr) 2019-05-21
CN104321342A (zh) 2015-01-28
EP2826790A4 (en) 2015-11-25
JP6339063B2 (ja) 2018-06-06
EP2826790B1 (en) 2019-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9223B1 (ko) 그렘린-1에 대한 항체
KR102551365B1 (ko) 항-ror1 항체 및 그 용도
CN107973854B (zh) Pdl1单克隆抗体及其应用
CN111499747B (zh) 一种抗cd73单克隆抗体及其应用
CN117098561A (zh) Ccr8抗体及其应用
KR20180122456A (ko)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바이러스의 외막 당단백질에 결합하는 항체 및 이의 용도
CN113508139B (zh) 结合人lag-3的抗体、其制备方法和用途
US20210122818A1 (en) Humanized anti-bag3 antibodies
CN114096563A (zh) 与b7-h3特异性结合的抗体及其用途
EP2949675B1 (en) Humanized anti-hmgb1 antibody or antigen-binding fragment thereof
CN114401992A (zh) 结合igsf11(vsig3)的igc2的抗体及其用途
JP2024511137A (ja) Cd47およびpd-l1を標的とする二重特異性抗体ならびにその使用方法
US9403909B2 (en) Anti-MST1R antibodies and uses thereof
JP7454044B2 (ja) Cd47を標的とする抗体及びその使用
CN112876563B (zh) 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2839963B (zh) 新型癌症免疫治疗抗体组合物
KR20220087457A (ko) Lif에 특이적인 결합 분자 및 이의 용도
CN116635418A (zh) 抗igsf1抗体及其用途
RU2804490C2 (ru) Новые композиции антител для иммунотерапии рака
CN117480245A (zh) 靶向源自溶瘤病毒的蛋白的嵌合抗原受体、表达其的免疫细胞及两者的用途
CN117362433A (zh) 分离的抗原结合蛋白及其用途
CN114656565A (zh) 一种抗pd-l1抗体及其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