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7101B1 - 이산화염소수 희석 장치 - Google Patents

이산화염소수 희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7101B1
KR102117101B1 KR1020180095572A KR20180095572A KR102117101B1 KR 102117101 B1 KR102117101 B1 KR 102117101B1 KR 1020180095572 A KR1020180095572 A KR 1020180095572A KR 20180095572 A KR20180095572 A KR 20180095572A KR 102117101 B1 KR102117101 B1 KR 1021171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lorine dioxide
dioxide water
dilution
concentration chlorin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5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0182A (ko
Inventor
이준식
오정수
손창호
Original Assignee
이준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식 filed Critical 이준식
Priority to KR1020180095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7101B1/ko
Publication of KR20200020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01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7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71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1F3/0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40Mixing liquids with liquids; Emulsifying
    • B01F15/00136
    • B01F15/00162
    • B01F15/00344
    • B01F15/0243
    • B01F15/026
    • B01F15/0283
    • B01F15/029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40Mixing liquids with liquids; Emulsifying
    • B01F23/48Mixing liquids with liquids; Emulsify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liquids
    • B01F23/483Mixing liquids with liquids; Emulsify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liquids using water for diluting a liquid ingredient, obtaining a predetermined concentration or making an aqueous solution of a concentr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1Measuring
    • B01F35/211Measuring of the operational parameters
    • B01F35/2111Flow r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1Measuring
    • B01F35/211Measuring of the operational parameters
    • B01F35/2113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2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21Control or regulation of operational parameters, e.g. level of material in the mixer, temperature or pressure
    • B01F35/2211Amount of delivered fluid during a peri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01F35/717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 B01F35/7176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using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01F35/717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 B01F35/71805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using valves, gates, orifices or op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5Discharge mechanisms
    • B01F35/754Discharge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discharging the components from the mixer
    • B01F35/7544Discharge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discharging the components from the mixer using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5Discharge mechanisms
    • B01F35/754Discharge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discharging the components from the mixer
    • B01F35/7549Discharge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discharging the components from the mixer using distributing means, e.g. manifold valves or multiple fittings for supplying the discharge components to a plurality of dispensing places
    • B01F2003/0896

Abstract

본 발명은 이산화염소수 희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고농도 이산화염소수를 희석시켜 저농도 이산화염소수를 연속적으로 정밀한 농도로 공급하도록 하는 이산화염소수 희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외부로부터 물 또는 정제수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희석수 저장부, 이산화염소수 원액이 저장된 고농도 이산화염소수 저장부, 희석액 저장부 및 고농도 이산화염소수 저장부로부터 희석수 및 고농도 이산화염소수를 각각 공급받아 희석함으로써 고농도 이산화염소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농도가 낮은 저농도 이산화염소수를 생성하는 제1,2 희석부를 구비한 멀티 희석부, 희석수 저장부에서 멀티 희석부까지의 제1 공통 배관 경로에 배치되는 희석수 펌프부 및 희석수 유량계, 제1 공통 배관 경로의 일 지점에서 서로 분기되어 각각 제1,2 희석부로 희석수를 공급하도록 하는 희석수 분기 배관 경로에 각각 배치되는 제1,2 희석수 공급 밸브부, 고농도 이산화염소수 저장부에서 멀티 희석부까지의 제2 공통 배관 경로에 배치되는 고농도 이산화염소수 펌프부 및 고농도 이산화염소수 유량계, 제2 공통 배관 경로의 일 지점에서 서로 분기되어 각각 제1,2 희석부로 고농도 이산화염소수를 공급하도록 하는 고농도 이산화염소수 분기 배관 경로에 각각 배치되는 제1,2 고농도 이산화염소수 공급 밸브부, 고농도 이산화염소수 분기 배관 경로 중 어느 하나의 분기 배관 경로상에 배치되는 고농도 이산화염소수 압력계, 제1,2 희석부에서 각각 생성되는 저농도 이산화염소수를 외부로 공급하도록 배치되는 저농도 이산화염소수 배출배관, 저농도 이산화염소수 배출배관의 경로상에 구비되어 저농도 이산화염소수를 펌핑하는 저농도 이산화염소수 펌프부, 저농도 이산화염소수 배출배관의 경로상에 배치되고, 저농도 이산화염소수 펌프부의 전단에 배치되는 제1,2 저농도 이산화염소수 공급 밸브부, 저농도 이산화염소수 배출배관의 경로상에 배치되고, 저농도 이산화염소수 펌프부의 후단에 배치되는 제3 저농도 이산화염소수 공급 밸브부, 및 펌프부, 밸브부, 압력계, 유량계를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염소수 희석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이산화염소수 희석 장치{Diluting apparatus of chlorine dioxide}
본 발명은 이산화염소수 희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농도 이산화염소수를 희석시켜 저농도 이산화염소수를 연속적으로 정밀한 농도로 공급하도록 하는 이산화염소수 희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산화염소수 제조 장치는 아염산나트륨과 황산을 이용하여 이산화염소 기체를 생성하고 이 기체를 물에 녹여 이산화염소수를 제조한다. 이때, 종래의 이산화염소수 제조 장치는 이산화염소 가스의 부식성으로 인해 부품의 손상과 가스 누출 우려가 있다. 또한, 원료 반응 후에 부산물이 생성되어 폐기물 처리가 추가적으로 필요하다. 더 나아가 정확한 농도의 이산화염소수 생산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KR 10-1839844 KR 10-1302015 KR 10-1744955 KR 실1994-0002426 JP 3029857U JP 2002-072546(출원번호) JP 2015-065575(출원번호) KR 10-1162535 KR 10-1162536 KR 10-1765735 US 6764661 KR 10-0520252 KR 10-1021983 KR 10-0761311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정밀한 농도의 저농도 이산화염소수를 연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발명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로부터 물 또는 정제수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희석수 저장부, 이산화염소수 원액이 저장된 고농도 이산화염소수 저장부, 희석액 저장부 및 고농도 이산화염소수 저장부로부터 희석수 및 고농도 이산화염소수를 각각 공급받아 희석함으로써 고농도 이산화염소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농도가 낮은 저농도 이산화염소수를 생성하는 제1,2 희석부를 구비한 멀티 희석부, 희석수 저장부에서 멀티 희석부까지의 제1 공통 배관 경로에 배치되는 희석수 펌프부 및 희석수 유량계, 제1 공통 배관 경로의 일 지점에서 서로 분기되어 각각 제1,2 희석부로 희석수를 공급하도록 하는 희석수 분기 배관 경로에 각각 배치되는 제1,2 희석수 공급 밸브부, 고농도 이산화염소수 저장부에서 멀티 희석부까지의 제2 공통 배관 경로에 배치되는 고농도 이산화염소수 펌프부 및 고농도 이산화염소수 유량계, 제2 공통 배관 경로의 일 지점에서 서로 분기되어 각각 제1,2 희석부로 고농도 이산화염소수를 공급하도록 하는 고농도 이산화염소수 분기 배관 경로에 각각 배치되는 제1,2 고농도 이산화염소수 공급 밸브부, 고농도 이산화염소수 분기 배관 경로 중 어느 하나의 분기 배관 경로상에 배치되는 고농도 이산화염소수 압력계, 제1,2 희석부에서 각각 생성되는 저농도 이산화염소수를 외부로 공급하도록 배치되는 저농도 이산화염소수 배출배관, 저농도 이산화염소수 배출배관의 경로상에 구비되어 저농도 이산화염소수를 펌핑하는 저농도 이산화염소수 펌프부, 저농도 이산화염소수 배출배관의 경로상에 배치되고, 저농도 이산화염소수 펌프부의 전단에 배치되는 제1,2 저농도 이산화염소수 공급 밸브부, 저농도 이산화염소수 배출배관의 경로상에 배치되고, 저농도 이산화염소수 펌프부의 후단에 배치되는 제3 저농도 이산화염소수 공급 밸브부, 및 펌프부, 밸브부, 압력계, 유량계를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염소수 희석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공통 배관 경로의 일 지점에서 바이패스 분기되어 고농도 이산화염소수 저장부로 고농도 이산화염소수를 회수하도록 배치되는 바이패스 배관, 및 바이패스 배관의 경로상에 배치되는 바이패스 밸브부를 더 포함하며, 제어부는 제1,2 희석부의 농도를 체크하여 기준 농도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 고농도 이산화염소수 펌프부의 동작을 오프시키고, 이와 연동되어 바이패스 밸브부를 동작시켜 고농도 이산화염소수를 바이패스 배관을 통해 회수하도록 제어하며, 또한, 재 가동시마다 1회의 회수 사이클을 가동하도록 제어함으로써 멀티 희석부의 농도를 원하는 농도로 맞추고 유지한다.
또한, 저농도 이산화염소수 배출배관의 일 지점에서 분기되어 제1 희석부로 저농도 이산화염소수를 회수하도록 배치되는 제1 회수배관, 및 저농도 이산화염소수 배출배관의 일 지점에서 분기되어 제2 희석부로 저농도 이산화염소수를 회수하도록 배치되는 제2 회수배관을 더 포함하며, 제어부는 멀티 희석부의 저농도 이산화염소수의 농도와 저농도 이산화염소수 배출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저농도 이산화염소수의 농도를 서로 비교하여 비교값이 기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제1,2 회수배관 중 어느 하나의 회수배관을 통해 저농도 이산화염소수를 회수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는 제1 희석부의 저농도 이산화염소수를 외부로 공급하는 공급 싸이클과 공급 싸이클과 연동되어 제2 희석부의 탱크에 저농도 이산화염소수를 생성하도록 하는 생성 싸이클을 교차 반복하도록 제어하며, 비교값이 기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공급 싸이클과 관련된 희석부의 탱크에 저농도 이산화염소수 배출배관을 통해 공급된 저농도 이산화염소수가 회수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고농도 이산화염소수 펌프부의 동작이 오프되면 이와 연동되어 고농도 이산화염소수 분기 배관에 남아 있는 고농도 이산화염소수가 더 이상 밖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동작하는 고농도 이산화염소부 분기 배관의 단부에 배치되는 배출 조절부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정밀한 농도의 저농도 이산화염소수를 연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이산화염소 가스의 강한 부식성으로 인한 가스 누출 우려가 없는 안전한 저농도 이산화염소수를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부산물이 발생되지 않아 유독한 부산물을 처리할 필요가 없고, 더 나아가 주기적 청소도 불필요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반응 대기 시간이 불필요해 언제든지 연속적으로 저농도 이산화염소수를 공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수 희석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출 조절부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2는 저농도 이산화염소수의 공급 펌핑으로 인해 배출 조절부가 열린 상태이고, 도 3은 저농도 이산화염소수의 펌핑이 중단되어 배출 조절부가 닫힌 상태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일실시예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부당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는 구성 전체가 본 발명의 해결 수단으로서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또한, 종래 기술 및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은 설명을 생략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생략된 구성요소(방법) 및 기능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충분히 참조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수 희석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농도 이산화염소수 원액을 희석수로 희석하여 저농도 이산화염소수를 생성하여 공급하는 장치이다. 이렇게 저농도로 희석된 이산화염소수는 치과에 공급된다. 치과에 저농도 이산화염소수를 제공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수 희석 장치는 콤팩트하게 패키지화될 필요가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수 희석 장치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희석부 저장부(200)는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거나 또는 정제수를 공급받아 저장한다. 희석수는 물 또는 정제수일 수 있다.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경우에는 물 공급부(100)와 서로 배관으로 연결 접속될 수 있다. 희석수 저장부(200)는 희석수를 저장하는 저장 탱크와 희석수의 유면을 센싱하는 유면감지센서를 포함한다. 유면감지센서는 희석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센서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농도 이산화염소수 저장부(300)는 이산화염소 기체로부터 만들어진 고농도 이산화염소수가 저장된다. 본 발명에서의 고농도 이산화염소수는 이산화염소 기체로부터 만들어진 원액의 이산화염소수를 의미한다. 또한, 후술하는 저농도 이산화염소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농도임을 의미한다. 고농도 이산화염소수 저장부(300)는 고농도 이산화염소수를 저장하는 저장 탱크와 고농도 이산화염소수의 유면을 센싱하는 유면감지센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희석부(410,420)는 각각의 제1,2 희석부(410,420), 유면감지센서, 농도측정센서를 포함한다. 필요에 따라 더 많은 희석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제1,2 희석부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1,2 희석부(410,420)는 각각의 동작 싸이클에 따라 저농도 이산화염소수를 공급하거나 생성한다. 공급 싸이클은 기 생성된 저농도 이산화염소수를 외부로 공급하는 동작 싸이클이고, 생성 싸이클은 고농도 이산화염소수를 희석수와 희석시켜 저농도 이산화염소수를 생성하는 동작 싸이클이다. 따라서 제1 희석부(410)가 공급 싸이클에 해당되면 제1 희석부의 저장 탱크로부터 기 생성된 저농도 이산화염소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고, 제2 희석부(420)가 생성 싸이클에 해당되면 제2 희석부의 저장 탱크에 저농도 이산화염소수가 만들어져 채워지는 것이다. 제1,2 희석부(410,420)는 각각 공급 싸이클과 생성 싸이클을 서로 교차 반복한다. 이에 따라 어느 하나의 희석부가 저농도 이산화염소수를 공급하는 경우에 이와 연동되어 나머지 희석부는 고농도 이산화염소수와 희석수를 혼합하여 정밀한 농도의 저농도 이산화염소수를 생성하여 채울 수 있다. 따라서 정밀한 저농도 이산화염소수를 생성할 수 있으며, 저농도 이산화염소수의 공급을 멈추지 않고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제1 희석부가 공급 싸이클에 따라 저농도 이산화염소수를 공급하면 탱크의 수위가 서서히 줄어들게 되며, 이와 연동된 제2 희석부가 생성 싸이클에 따라 저농도 이산화염소수를 생성하면 탱크의 수위가 서서히 올라간다. 제어부는 제1 희석부(410)의 탱크 수위를 감지하다가 기 설정된 수위에 도달하면 제1 희석부를 생성 싸이클로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이와 연동되어 제2 희석부(420)를 공급 싸이클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는 이러한 싸이클을 서로 교차 반복하도록 제어 한다.
멀티 희석부(410,420)에 희석수를 공급하기 위해 희석수 저장부(200)와 멀티 희석부(410,420) 사이에 제1 공통 배관(91)이 배치되어 상호간을 연결 접속한다. 제1 공통 배관(91)의 일 지점에는 제1 희석부(410)와 제2 희석부(420) 각각으로 희석수를 공급하기 위한 제1,2 희석수 분기 배관이 분기되어 연결 접속된다. 제1 공통 배관(91)의 경로상에는 희석수 펌프부(21)와 희석수 유량계(31)가 각각 배치되어 희석수를 펌핑하고 희석수의 유량을 감지한다. 희석수 펌프부와 희석수 유량계는 각각 제어부에 의해 제어된다. 제1 희석수 분기 배관의 경로상에는 제1 희석수 공급 밸브부(61)가 배치되어 제1 희석부(410)로 공급되는 희석수의 공급을 차단한다. 제2 희석수 분기 배관의 경로상에는 제2 희석수 공급 밸브부(62)가 배치되어 제2 희석부(420)로 공급되는 희석수의 공급을 차단한다. 각각의 공급 밸브부는 제어부에 의해 제어된다.
멀티 희석부(410,420)에 고농도 이산화염소수를 공급하기 위해 고농도 이산화염소수 저장부(300)와 멀티 희석부(410,420) 사이에 제2 공통 배관(92)이 배치되어 상호간을 연결 접속한다. 제2 공통 배관(92)의 일 지점에는 제1 희석부(410)와 제2 희석부(420) 각각으로 고농도 이산화염소수를 공급하기 위한 제1,2 고농도 이산화염소수 분기 배관이 분기되어 연결 접속된다. 제2 공통 배관(92)의 경로상에는 고농도 이산화염소수 펌프부(22)와 고농도 이산화염소수 유량계(32)가 각각 배치되어 고농도 이산화염소수를 멀티 희석부로 펌핑하고 고농도 이산화염소수의 유량을 감지한다. 이때, 고농도 이산화염소수 유량계(32)가 고농도 이산화염소수 펌프부(22)의 전단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농도 이산화염소수 펌프부와 고농도 이산화염소수 유량계는 각각 제어부에 의해 제어된다. 제1 고농도 이산화염소수 분기 배관의 경로상에는 제1 고농도 이산화염소수 공급 밸브부(71)가 배치되어 제1 희석부(410)로 공급되는 고농도 이산화염소수의 공급을 차단한다. 제2 고농도 이산화염소수 분기 배관의 경로상에는 제2 고농도 이산화염소수 공급 밸브부(72)가 배치되어 제2 희석부(420)로 공급되는 고농도 이산화염소수의 공급을 차단한다. 또한, 제1,2 고농도 이산화염소수 분기 배관 중 어느 한 배관의 경로상에는 고농도 이산화염소수 압력계(41)가 배치되어 분기 배관의 압력을 센싱한다. 각각의 공급 밸브부 및 압력계는 제어부에 의해 제어된다.
바이패스 배관(11)은 제2 공통 배관(92)의 일 지점에서 바이패스 분기되어 고농도 이산화염소수 저장부(300)로 고농도 이산화염소수를 회수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바이패스 배관의 경로상에는 바이패스 밸브부(51)가 배치되어 고농도 이산화염소수의 공급을 제어한다. 바이패스 배관(11)은 고농도 이산화염소수 펌프부(22)의 후단에서 연결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는 멀티 희석부의 농도가 기 설정된 농도에 미치지 못하거나 배관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된 경우 고농도 이산화염소수 펌프부(22) 및 제1,2 고농도 이산화염소수 공급 밸브부의 동작을 오프시켜 더 이상 고농도 이산화염소수가 멀티 희석부(410,420)로 공급되지 않도록 하고, 배관에 남아 있는 고농도 이산화염소수를 바이패스 배관(11)을 통해 회수시킨다. 또한, 제어부는 배관에 잔류하는 고농도 이산화염소수를 제거하여 정밀한 저농도 이산화염소수를 만들기 위해 장치의 재가동시마다 가장 먼저 바이패스 배관(11)을 통해 배관에 잔류하는 고농도 이산화염소수를 고농도 이산화염소수 저장부(300)로 회수시키는 바이패스 싸이클을 진행한다.
일예로서 제1 희석부(410)가 생성 싸이클에 들어가서 정밀한 저농도의 이산화염소수를 생성하는 경우에 정밀한 저농도 이산화염소수를 만들기 때문에 고농도 이산화염소수의 공급량이 정확해야 한다. 제어부가 고농도 이산화염소수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해 펌프부(22)와 밸브부(71)의 동작을 오프시켜도 밸브부(71) 후단의 배관 내에 존재하는 고농도 이산화염소수가 제1 희석부(410)에 공급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경우에는 정밀한 저농도 이산화염소수를 만들기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고농도 이산화염소수의 공급량을 정확하게 하기 위해 도 2 및 도 3과 같이 고농도 이산화염소수가 공급될 때에는 배관(94a)의 단부가 막히지 않아 제1 희석부(410)로 고농도 이산화염소수가 공급되고, 고농도 이산화염소수가 공급되지 않을 때에는 배관(94a)의 단부가 막혀서 잔류하는 고농도 이산화염소수가 더 이상 제1 희석부(410)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94a)의 단부에는 잔류하는 고농도 이산화염소수의 공급을 차단하도록 배출 조절부(15)가 구비된다. 배출 조절부(15)는 일예로서 탄성부(15a)와 이동부(15b)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15a)는 이동부(15a)의 양측과 배관(94a)의 양측을 서로 각각 고정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고농도 이산화염소수가 펌프부(22)에 의해 펌핑되면 고농도 이산화염소수가 배관(94a)을 따라 흐르게 된다. 유체의 압력에 의해 탄성부(15a)가 늘어나고 이에 따라 이동부(15a)가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고농도 이산화염소수가 제1 희석부(410)로 배출된다. 펌프부(22)가 동작을 멈추면 유체의 압력이 사라지고 도 3과 같이 탄성부(15a)가 복원력에 의해 원상회복됨으로써 이동부(15a)가 배관(94a) 내부로 삽입되어 고농도 이산화염소수가 더 이상 제1 희석부(410)로 배출되지 않는다. 상술한 예는 하나의 예를 들어 설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배출 조절부(15)는 다양한 구현 방법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저농도 이산화염소수 배출배관(93)은 제1,2 희석부(410,420)에서 각각 생성되는 저농도 이산화염소수를 치과 기구부(500)로 공급하도록 배치된다. 저농도 이산화염소수 펌프부(23)는 저농도 이산화염소수 배출배관(93)의 경로상에 구비되어 저농도 이산화염소수를 치과 기구부(500)로 펌핑한다. 제1,2 저농도 이산화염소수 공급 밸브부(81,82)는 저농도 이산화염소수 배출배관의 경로상에 배치되어 제1,2 희석부(410,420)에서 생성된 저농도 이산화염소수의 공급을 각각 차단한다. 제3 저농도 이산화염소수 공급 밸브부(83)는 저농도 이산화염소수 배출배관의 경로상에 배치되어 최종적으로 저농도 이산화염소수의 공급을 차단한다. 제1,2 저농도 이산화염소수 공급 밸브부(81,82)는 저농도 이산화염소수 펌프부(23)의 전단에 제1,2 희석부(410,420)와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제3 저농도 이산화염소수 공급 밸브부(83)는 저농도 이산화염소수 펌프부(23)의 후단에 배치된다.
제1 회수배관(12)은 저농도 이산화염소수 배출배관(93)의 분기점(14)에서 분기되어 제1 희석부(410)로 저농도 이산화염소수를 회수하도록 배치된다. 제2 회수배관(13)은 저농도 이산화염소수 배출배관(93)의 분기점(14)에서 분기되어 제2 희석부(420)로 저농도 이산화염소수를 회수하도록 배치된다. 제어부는 공급 싸이클에 있는 희석부의 농도(여기서 일예로서 제1 희석부(410)라 한다)와 치과 기구부(500)로 최종 공급되는 저농도 이산화염소수의 농도(분기점(14)의 후단의 일 지점에서 측정한)를 서로 비교하여 기 설정된 비교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제1 회수배관(12)에 배치된 제1 회수 밸브부(12a)를 열어 저농도 이산화염소수가 다시 제1 희석부(410)로 회수되도록 제어한다. 제2 희석부(420)가 공급 싸이클에 있다면 제어부는 제2 회수배관(13)에 배치된 제2 회수 밸브부(13a)를 열어 저농도 이산화염소수가 다시 제2 희석부(420)로 회수되도록 제어한다. 상술한 펌프부, 밸브부는 각각이 제어부에 의해 제어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 기구부(500)는 살균 또는 소독을 하기 위한 치과에 배치되는 기구부이다. 치과 기구부(500)는 저농도 이산화염소수 배출배관(93)과 연결 접속되는 배관 또는 호수로 이루어진 배관 연결부와 최종적으로 저농도 이산화염소수를 분사하는 기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배관부는 배관 또는 호수 등 액체를 공급할 수 있는 부재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종래 기술 및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은 설명을 생략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생략된 구성요소(방법) 및 기능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충분히 참조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각부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한 설명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서로 분리하여 설명하였을 뿐 필요에 따라 어느 한 구성 및 기능이 다른 구성요소로 통합되어 구현되거나, 또는 더 세분화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이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한 것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 또는 본 발명의 각 구성에 대한 결합관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11 : 바이패스 배관(바이패스 경로)
12 : 제1 회수배관(제1 회수 경로)
12a : 제1 회수 밸브부
13 : 제2 회수배관(제2 회수 경로)
13b : 제2 회수 밸브부
14 : 분기점
15 : 배출 조절부
15a : 탄성부
15b : 이동부
21 : 희석수 펌프부(물 펌프부)
22 : 고농도 이산화염소수 펌프부
23 : 저농도 이산화염소수 펌프부
31 : 희석수 유량계(물 유량계)
32 : 고농도 이산화염소수 유량계
41 : 고농도 이산화염소수 압력계
51 : 바이패스 밸브부
61 : 제1 희석수 공급 밸브부(제1 물 공급 밸브부)
62 : 제2 희석수 공급 밸브부(제2 물 공급 밸브부)
71 : 제1 고농도 이산화염소수 공급 밸브부
72 : 제2 고농도 이산화염소수 공급 밸브부
81 : 제1 저농도 이산화염소수 공급 밸브부
82 : 제2 저농도 이산화염소수 공급 밸브부
83 : 제3 저농도 이산화염소수 공급 밸브부
91 : 제1 공통 배관 경로(제1 공통 배관)
92 : 제2 공통 배관 경로(제2 공통 배관)
93 : 저농도 이산화염소수 배관 경로(배출배관)
94a : 제1 고농도 이산화염소수 분기 배관
94b : 제2 고농도 이산화염소수 분기 배관
100 : 희석수 저장부(물 또는 정제수)
200 : 물 저장부(탱크)
300 : 고농도 이산화염소수 저장부(탱크)
410 : 제1 희석부(탱크)
420 : 제2 희석부(탱크)
500 : 치과 기구부

Claims (5)

  1. 외부로부터 물 또는 정제수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희석수 저장부,
    이산화염소수 원액이 저장된 고농도 이산화염소수 저장부,
    상기 희석수 저장부 및 고농도 이산화염소수 저장부로부터 희석수 및 고농도 이산화염소수를 각각 공급받아 희석함으로써 상기 고농도 이산화염소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농도가 낮은 저농도 이산화염소수를 생성하는 제1,2 희석부를 구비한 멀티 희석부,
    상기 희석수 저장부에서 멀티 희석부까지의 제1 공통 배관 경로에 배치되는 희석수 펌프부 및 희석수 유량계,
    상기 제1 공통 배관 경로의 일 지점에서 서로 분기되어 각각 제1,2 희석부로 희석수를 공급하도록 하는 희석수 분기 배관 경로에 각각 배치되는 제1,2 희석수 공급 밸브부,
    상기 고농도 이산화염소수 저장부에서 멀티 희석부까지의 제2 공통 배관 경로에 배치되는 고농도 이산화염소수 펌프부 및 고농도 이산화염소수 유량계,
    상기 제2 공통 배관 경로의 일 지점에서 서로 분기되어 각각 제1,2 희석부로 고농도 이산화염소수를 공급하도록 하는 고농도 이산화염소수 분기 배관 경로에 각각 배치되는 제1,2 고농도 이산화염소수 공급 밸브부,
    상기 고농도 이산화염소수 분기 배관 경로 중 어느 하나의 분기 배관 경로상에 배치되는 고농도 이산화염소수 압력계,
    상기 제1,2 희석부에서 각각 생성되는 저농도 이산화염소수를 외부로 공급하도록 배치되는 저농도 이산화염소수 배출배관,
    상기 저농도 이산화염소수 배출배관의 경로상에 구비되어 상기 저농도 이산화염소수를 펌핑하는 저농도 이산화염소수 펌프부,
    상기 저농도 이산화염소수 배출배관의 경로상에 배치되고, 상기 저농도 이산화염소수 펌프부의 전단에 배치되는 제1,2 저농도 이산화염소수 공급 밸브부,
    상기 저농도 이산화염소수 배출배관의 경로상에 배치되고, 상기 저농도 이산화염소수 펌프부의 후단에 배치되는 제3 저농도 이산화염소수 공급 밸브부,
    상기 펌프부, 밸브부, 압력계, 유량계를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2 공통 배관 경로의 일 지점에서 바이패스 분기되어 상기 고농도 이산화염소수 저장부로 고농도 이산화염소수를 회수하도록 배치되는 바이패스 배관, 및
    상기 바이패스 배관의 경로상에 배치되는 바이패스 밸브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2 희석부의 농도를 체크하여 기준 농도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 상기 고농도 이산화염소수 펌프부의 동작을 오프시키고, 이와 연동되어 상기 바이패스 밸브부를 동작시켜 고농도 이산화염소수를 바이패스 배관을 통해 회수하도록 제어하며, 또한, 재 가동시마다 1회의 회수 사이클을 가동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멀티 희석부의 농도를 원하는 농도로 맞추고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염소수 희석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농도 이산화염소수 배출배관의 일 지점에서 분기되어 상기 제1 희석부로 저농도 이산화염소수를 회수하도록 배치되는 제1 회수배관, 및
    상기 저농도 이산화염소수 배출배관의 일 지점에서 분기되어 상기 제2 희석부로 저농도 이산화염소수를 회수하도록 배치되는 제2 회수배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멀티 희석부의 저농도 이산화염소수의 농도와 상기 저농도 이산화염소수 배출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저농도 이산화염소수의 농도를 서로 비교하여 비교값이 기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1,2 회수배관 중 어느 하나의 회수배관을 통해 저농도 이산화염소수를 회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염소수 희석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1 희석부의 저농도 이산화염소수를 외부로 공급하는 공급 싸이클과 상기 공급 싸이클과 연동되어 제2 희석부의 탱크에 저농도 이산화염소수를 생성하도록 하는 생성 싸이클을 교차 반복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비교값이 기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공급 싸이클과 관련된 희석부의 탱크에 저농도 이산화염소수 배출배관을 통해 공급된 저농도 이산화염소수가 회수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이산화염소수 희석 장치.
  5. 외부로부터 물 또는 정제수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희석수 저장부,
    이산화염소수 원액이 저장된 고농도 이산화염소수 저장부,
    상기 희석수 저장부 및 고농도 이산화염소수 저장부로부터 희석수 및 고농도 이산화염소수를 각각 공급받아 희석함으로써 상기 고농도 이산화염소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농도가 낮은 저농도 이산화염소수를 생성하는 제1,2 희석부를 구비한 멀티 희석부,
    상기 희석수 저장부에서 멀티 희석부까지의 제1 공통 배관 경로에 배치되는 희석수 펌프부 및 희석수 유량계,
    상기 제1 공통 배관 경로의 일 지점에서 서로 분기되어 각각 제1,2 희석부로 희석수를 공급하도록 하는 희석수 분기 배관 경로에 각각 배치되는 제1,2 희석수 공급 밸브부,
    상기 고농도 이산화염소수 저장부에서 멀티 희석부까지의 제2 공통 배관 경로에 배치되는 고농도 이산화염소수 펌프부 및 고농도 이산화염소수 유량계,
    상기 제2 공통 배관 경로의 일 지점에서 서로 분기되어 각각 제1,2 희석부로 고농도 이산화염소수를 공급하도록 하는 고농도 이산화염소수 분기 배관 경로에 각각 배치되는 제1,2 고농도 이산화염소수 공급 밸브부,
    상기 고농도 이산화염소수 분기 배관 경로 중 어느 하나의 분기 배관 경로상에 배치되는 고농도 이산화염소수 압력계,
    상기 제1,2 희석부에서 각각 생성되는 저농도 이산화염소수를 외부로 공급하도록 배치되는 저농도 이산화염소수 배출배관,
    상기 저농도 이산화염소수 배출배관의 경로상에 구비되어 상기 저농도 이산화염소수를 펌핑하는 저농도 이산화염소수 펌프부,
    상기 저농도 이산화염소수 배출배관의 경로상에 배치되고, 상기 저농도 이산화염소수 펌프부의 전단에 배치되는 제1,2 저농도 이산화염소수 공급 밸브부,
    상기 저농도 이산화염소수 배출배관의 경로상에 배치되고, 상기 저농도 이산화염소수 펌프부의 후단에 배치되는 제3 저농도 이산화염소수 공급 밸브부,
    상기 펌프부, 밸브부, 압력계, 유량계를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고농도 이산화염소수 펌프부의 동작이 오프되면 이와 연동되어 고농도 이산화염소수 분기 배관에 남아 있는 고농도 이산화염소수가 더 이상 밖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동작하는 고농도 이산화염소부 분기 배관의 단부에 배치되는 배출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염소수 희석 장치.
KR1020180095572A 2018-08-16 2018-08-16 이산화염소수 희석 장치 KR1021171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572A KR102117101B1 (ko) 2018-08-16 2018-08-16 이산화염소수 희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572A KR102117101B1 (ko) 2018-08-16 2018-08-16 이산화염소수 희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0182A KR20200020182A (ko) 2020-02-26
KR102117101B1 true KR102117101B1 (ko) 2020-05-29

Family

ID=69637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5572A KR102117101B1 (ko) 2018-08-16 2018-08-16 이산화염소수 희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71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5062B1 (ko) * 2021-11-10 2022-02-23 주식회사 투위 이산화염소수 분배장치를 포함하는 초소형 방역 겸용 청소용 전기차 관리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8573A (ja) * 2000-01-17 2001-07-24 Sanden Corp 殺菌水供給装置
KR100841084B1 (ko) * 2007-03-07 2008-06-24 세메스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제조 장치
JP2014085261A (ja) * 2012-10-25 2014-05-12 Nikkiso Co Ltd 溶液の調製装置および溶液の調製方法
JP2018103148A (ja) * 2016-12-28 2018-07-05 オルガノ株式会社 希釈液製造装置および希釈液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2426A (ko) 1992-07-16 1994-02-17 김성남 거푸집 지보공을 레일을 따라 이동케한 교량상판 시공방법
JP3029857U (ja) 1996-04-05 1996-10-11 チッソ株式会社 二酸化塩素水希釈装置
US6764661B1 (en) 2000-06-27 2004-07-20 Avantec Technologies, Inc. Device for producing an aqueous chlorine dioxide solution
JP2002072546A (ja) 2000-09-04 2002-03-12 Canon Inc 磁性トナー
TWI298423B (en) 2001-02-06 2008-07-01 Nagase & Co Ltd Developer producing equipment and method
KR100761311B1 (ko) 2005-12-08 2007-10-04 김건표 살균 소독수 자동제조장치
KR101021983B1 (ko) 2008-10-24 2011-03-16 세메스 주식회사 약액 공급 장치 및 그 방법
KR101162536B1 (ko) 2009-10-23 2012-07-05 주식회사 에코시아 THMs등이 생성되지 않는 녹색 친환경 살균소독제인 이산화염소 수용액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162535B1 (ko) 2009-10-23 2012-07-05 주식회사 에코시아 소독부산물이 생성되지 않는 친환경 살균소독제인 이산화염소수의 제조장치
RU2562858C2 (ru) 2010-01-18 2015-09-10 Акцо Нобель Кемикалз Интернэшнл Б.В.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диоксида хлора
KR101302015B1 (ko) 2013-01-16 2013-08-29 (주)윈스테크 이산화염소수 자동 투입 제어 및 관리시스템
JP2015065575A (ja) 2013-09-25 2015-04-09 小林クリエイト株式会社 通信端末装置、フィルムアンテナ、板状アンテナ
KR101839844B1 (ko) 2015-12-30 2018-03-19 주식회사 이노푸스 이산화염소의 농도 유지와 순환 기능을 가진 공기 살균 소독 및 탈취 장치 및 방법
KR101744955B1 (ko) 2016-11-28 2017-06-09 주식회사 프레시즘 이산화염소를 이용한 살균수 제조 장치에서의 센서 모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8573A (ja) * 2000-01-17 2001-07-24 Sanden Corp 殺菌水供給装置
KR100841084B1 (ko) * 2007-03-07 2008-06-24 세메스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제조 장치
JP2014085261A (ja) * 2012-10-25 2014-05-12 Nikkiso Co Ltd 溶液の調製装置および溶液の調製方法
JP2018103148A (ja) * 2016-12-28 2018-07-05 オルガノ株式会社 希釈液製造装置および希釈液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0182A (ko) 2020-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6240613A1 (en) Reverse osmosis membrane treatment system operation method and reverse osmosis membrane treatment system
JP5204392B2 (ja) 配管接続型の二酸化塩素水生成装置
KR102117101B1 (ko) 이산화염소수 희석 장치
JP2008154625A (ja) 内視鏡洗浄消毒装置、及び内視鏡洗浄消毒装置の薬剤供給制御方法
JP6667845B2 (ja) 次亜塩素酸水の生成方法および生成器
JP6477772B2 (ja) 洗浄水供給装置
JP2017074552A (ja) 中和処理装置
JP5410767B2 (ja) 次亜塩素酸水溶液の連続自動生成器
JP5190674B2 (ja) ボイラシステムの運転方法
JP5967337B1 (ja) 逆浸透膜処理システムの運転方法及び逆浸透膜処理システム
JP2010069198A (ja) 泡消火薬剤混合システム
CN107660160B (zh) 磷酸锆和氧化锆再装填器控制逻辑和操作过程算法
JP2006223690A (ja) 殺菌水生成方法及び装置
JP2006297314A (ja) 二酸化塩素発生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二酸化塩素発生装置
JP2015199024A (ja) 薬液洗浄方法、水処理システム、及び膜濾過装置
KR20150122004A (ko) 밸러스트수 처리 장치
TWM555355U (zh) 藥劑添加系統
JP2017064599A (ja) 逆浸透膜モジュールの洗浄方法
JP2014050828A (ja) 殺菌水の生成方法および装置
JP6924649B2 (ja) 送液装置、送液方法、および、薬剤添加装置
CN111517440A (zh) 碱废液中和装置
KR100904052B1 (ko) 약액 공급 장치
JP2014176781A (ja) 水に塩素成分を供給するための装置
JP5506833B2 (ja) 薬液供給装置
JP2006089332A (ja) 二酸化塩素水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