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2015B1 - 이산화염소수 자동 투입 제어 및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이산화염소수 자동 투입 제어 및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2015B1
KR101302015B1 KR1020130004986A KR20130004986A KR101302015B1 KR 101302015 B1 KR101302015 B1 KR 101302015B1 KR 1020130004986 A KR1020130004986 A KR 1020130004986A KR 20130004986 A KR20130004986 A KR 20130004986A KR 101302015 B1 KR101302015 B1 KR 101302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erence value
chemical
control
chlorine dioxid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4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승모
허목
Original Assignee
(주)윈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윈스테크 filed Critical (주)윈스테크
Priority to KR1020130004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20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2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20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r application of a germicide or by oligodynamic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05Processes using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 C02F2209/008Processes using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comprising telecommunication features, e.g. modems or antenna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29Chlorine compoun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산화염소수 자동 투입 제어 및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정수장 등에 유입되는 원수에 의한 오염 특히 조류 등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위험 및 유해 성분을 실시간 감지하여 약품투입제어장치를 동작시키며, 동작시에는 중앙제어실과 동시에 관리자에게 SMS와 E-MAIL로 직접 통보함으로써 긴급한 상황에 대처할 수 있으며, 정수장에 유입되는 원수의 오염 상태를 정확하게 분석하여 설정값에 의하여 현장에서 수동이나 중앙제어실에서 원격 제어할 수 있는 이산화염소수 자동 투입 제어 및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해 정수장의 원수 유입되는 취수정에 1차적으로 유해 및 위험 성분 측정 가능한 센서를 설치하고 발생하는 위험에 1차적으로 현장에서 알람을 발생하며, 동시에 상위 현장관리실의 전달과 관리자에게 원방으로 상태를 알림으로 긴급 대처가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위험으로부터 손실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산화염소수 자동 투입 제어 및 관리시스템{Automatic supply control and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이산화염소수 자동 투입 제어 및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정수장 등에 유입되는 원수에 의한 오염 특히 조류 등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위험 및 유해 성분을 실시간 감지하여 약품투입제어장치를 동작시키며, 동작시에는 중앙제어실과 동시에 관리자에게 SMS와 E-MAIL로 직접 통보함으로써 긴급한 상황에 대처할 수 있으며, 정수장에 유입되는 원수의 오염 상태를 정확하게 분석하여 설정값에 의하여 현장에서 수동이나 중앙제어실에서 원격 제어할 수 있는 이산화염소수 자동 투입 제어 및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각 가정과 산업체에서 흘러나오는 오, 폐수 및 생활쓰레기 양이 날로 증가하고 오염의 정도가 심화되고 있으며 지구 온난화 현상 또는 기상 이변 등과 함께 저수지, 호수, 하천 등의 자연 수계와 골프장 저수조 등의 인공 수계에 유기물질, 질소, 인 등의 영양 염류가 과잉으로 공급되면 부영양화가 발생한다.
그리고 부영양화된 수계에서는 식물성 프랑크톤이나 조류가 일시에 대량으로 번식하여 적색 또는 황록색으로 변하는 적조 또는 녹조현상이 나타난다.
이러한 적조 및 녹조 현상의 발생된 상태에서 정수장의 원수는 취수정에 최초로 공급되어 정수장에서 여러 단계 공정을 거친 후에 가정으로 전달된다.
본 발명과 관계있는 이산화염소수는 대표적인 소독제의 일종으로 수처리에 있어서 피해를 최소화하면서 기존의 소독기법인 UV, 염소, 오존 등의 장단점을 보완해 줄 수 있는 소독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선진국뿐만 아니라 국내에서도 최근 이를 이용한 수처리 시스템이 늘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기존의 이산화염소는 휘발성이 큰 라디칼 형태의 가스이므로 저장성이 떨어지며, 장기간 적제 및 보관 시에는 클로라이트 등의 부산물로 변질되기 쉬우므로 보관하기 위하여 화학반응을 이용하는 이산화염소 발생기를 통하여 발생된 이산화염소(Cl0₂)를 물에 농축시키기 위하여 이첵터 블록을 이용하여 이산화염소(Cl0₂) 농축액을 얻고, 먼저 발생된 이산화염소가 먼저 배출이 되도록 빠른 흐름을 유도하는 스크류식이나 계단식 흐름을 갖는 저장탱크를 통하여 신속하게 공급하는 구조가 일반적인 형태이다.
이산화염소는 강 산화제로 물에 잘 녹고, 휘발성이 강하며 열에 의한 폭발적으로 분해하며 강력한 산화와 표백 작용을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고 농도의 농축이 어려워 약 8-10% 농도로 희석시켜 사용한다.
기체는 자외선에 의해 쉽게 분해되는 광학적 분해 작용이 있으나, 물에서는 가수 분해되지 않는다.
특히, 악취의 원인 물질인 암모니아, 유화수소, 머캡탄, 페놀 등을 산화시키거나 구조를 파괴하여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한다.
또한, 염소계의 화합물로 살균하는 경우 유기물과 반응하여 트라이할로 메테인과 같은 발암물질을 생성하나 이산화염소는 이와 같은 발암물질을 전혀 생성하지 않다고 알려져 있다.
이산화염소 발생장치 설치할 경우는 계절적인 요인의 일시적으로 발생하는 원수의 부유화 현상의 녹조 현상 제거 장치로 일 년에 사용 빈도에 비하여 설치 및 유지 관리비가 고비용이며 정확한 관리에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 들어 기술의 발달로 이산화염소(Cl0₂)수의 필요한 농도로 제조가 가능하게 되었다.
특히, 녹조 현상이 발생될 경우 먹는 물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정수장에 공급되는 원수는 취수정을 통하여 여러 공정에 거쳐 가정으로 공급되고 있다.
또한, 최근의 수 처리 약품을 투입하여 수질 목표 값을 유지하기 위한 PLC 시스템이 각광받으며, 대표적인 것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45825호인 "수 처리 약품을 투입하여 수질 목표 값을 유지하기 위한 PID 자동제어용 PLC 시스템"이 있다.
도 1은 상기 특허문헌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중앙제어실의 컴퓨터(300), 마스터PLC(302), 약품실의 현장제어PLC(304), 약품투입기(306)로 모든 자동투입 장치와 유사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특허문헌의 경우에는 중앙 제어실의 담당자가 관리자 컴퓨터에 항상 실시간 대기하고 모니터링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45825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정수장 등에 유입되는 원수에 의한 오염 특히 조류 등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위험 및 유해 성분을 실시간 감지하여 약품투입제어장치를 동작시키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동작시에는 중앙제어실과 동시에 관리자에게 SMS와 E-MAIL로 직접 통보함으로써 긴급한 상황에 대처할 수 있으며, 정수장에 유입되는 원수의 오염 상태를 정확하게 분석하여 설정값에 의하여 현장에서 수동이나 중앙제어실에서 원격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수 자동 투입 제어 및 관리시스템은,
취수정이나 응집지의 위험 및 유해 성분을 감지하는 검출센서(100)와;
약품투입제어장치에서 전송된 위험 및 유해 성분 데이터를 수신하고 현장 화면에 수치로 표시하며, 설정된 경보 단계별로 현장에 표시하며, 알람 경보를 발생하는 현장관리단말기(200)와;
검출센서로부터 획득된 감지 신호를 획득하여 위험 및 유해 성분의 종류 및 농도를 분석하며, 현장관리단말기와 유/무선으로 연결하며, 설정된 경보 단계에 따라 정량펌프, 밸브와 연동되어 제어하며, 위험 및 유해 성분 데이터와 분석된 데이터를 현장관리단말기 및 관리자단말기(800)로 전송하기 위한 약품투입제어장치(300)와;
약품투입제어장치의 제어에 따라 약품투입량을 조절하기 위한 정량펌프(400)와;
이산화염소수를 저장하기 위한 메인탱크(500)와;
약품을 저장하기 위한 약품탱크(600)와;
상기 정량펌프, 메인탱크, 약품탱크에 설치 구성되는 다수의 밸브(7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게 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을 지니는 본 발명에 따른 이산화염소수 자동 투입 제어 및 관리시스템은,
정수장의 원수 유입되는 취수정에 1차적으로 유해 및 위험 성분 측정 가능한 센서를 설치하고 발생하는 위험에 1차적으로 현장에서 알람을 발생하며, 동시에 상위 현장관리실의 전달과 관리자에게 원방으로 상태를 알림으로 긴급 대처가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위험으로부터 손실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현장관리실이나 관리 책임자로부터 제어 명령에 의하여 자동 투입 제어 장치에서 가동설비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신속 정확하게 가동설비를 동작시킴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PID 자동제어용 PLC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수 자동 투입 제어 및 관리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수 자동 투입 제어 및 관리시스템의 현장관리단말기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수 자동 투입 제어 및 관리시스템의 약품투입제어장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수 자동 투입 제어 및 관리시스템의 약품 투입량 상/하한 경보 범위 설정창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수 자동 투입 제어 및 관리시스템의 자동으로 밸브 및 정량펌프를 제어하는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수 자동 투입 제어 및 관리시스템의 관리자단말기로 sms 전송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창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수 자동 투입 제어 및 관리시스템의 관리자단말기로 이메일 전송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창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수 자동 투입 제어 및 관리시스템은,
취수정이나 응집지의 위험 및 유해 성분을 감지하는 검출센서(100)와;
약품투입제어장치에서 전송된 위험 및 유해 성분의 종류 및 농도를 기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기준값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값판단부(210)와,
상기 기준값판단부에 의해 판단 결과 기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할 경우에 경보를 발생시키기 위한 경보발생부(220)와,
상기 기준값판단부에 의해 판단 결과 기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할 경우에 위험 및 유해성분의 종류 및 유해 여부를 표시하는 표시부(230)와,
상기 설정된 기준값, 수신된 위험 및 유해 성분의 종류 및 농도를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현장관리단말기(200)와;
검출센서로부터 획득된 감지 신호를 획득하여 위험 및 유해 성분의 종류 및 농도를 분석하기 위한 종류분석부(310)와,
검출센서로부터 획득된 감지 신호가 저장되어 있는 감지신호저장부(320)와,
각각의 검출센서의 조건에 따라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센서설정변경부(330)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현장관리단말기와 유/무선으로 연결하며, 설정된 경보 단계에 따라 정량펌프, 밸브와 연동되어 제어할 수 있는 제어입출력부(340)와,
약품투입량을 조절하기 위한 정량펌프를 제어하기 위한 정량펌프제어부(350)와,
약품탱크, 메인탱크에 구성된 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밸브제어부(360)와,
위험 및 유해 성분 데이터와 분석된 데이터를 현장관리단말기 및 관리자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전송부(3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약품투입제어장치(300)와;
약품투입제어장치의 제어에 따라 약품투입량을 조절하기 위한 정량펌프(400)와;
이산화염소수를 저장하기 위한 메인탱크(500)와;
약품을 저장하기 위한 약품탱크(600)와;
상기 정량펌프, 메인탱크, 약품탱크에 설치 구성되는 다수의 밸브(7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현장관리단말기(200)는,
약품투입제어장치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원방제어유닛(2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약품투입제어장치(300)는,
현장관리단말기와 관리자단말기로 위험 및 유해 성분의 종류 및 농도 정보를 제공하여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어입출력부(340)는,
릴레이, RS 485, Analog 4 ~ 20mA, TCP/IP통신포트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어 제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이산화염소수 자동 투입 제어 및 관리시스템의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이산화염소수를 자동 공급과 관리하는 것으로서, 정수장의 취수정과 추가적으로 응집지 등에 검출센서를 설치하여 설정 값에 의한 적정량의 약품을 투입하여 경제적이고 안정적으로 공급이 가능하고 현장에서 수동으로 제어와 현장관리실에서 자동 제어가 가능하며, 장치의 상태를 관리자에게 SMS, E-MAIL 등으로 원방으로 전달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수 자동 투입 제어 및 관리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산화염소수 자동 투입 제어 및 관리시스템은,
취수정이나 응집지의 위험 및 유해 성분을 감지하는 검출센서(100)와;
약품투입제어장치에서 전송된 위험 및 유해 성분 데이터를 수신하고 현장 화면에 수치로 표시하며, 설정된 경보 단계별로 현장에 표시하며, 알람 경보를 발생하는 현장관리단말기(200)와;
검출센서로부터 획득된 감지 신호를 획득하여 위험 및 유해 성분의 종류 및 농도를 분석하며, 현장관리단말기와 유/무선으로 연결하며, 설정된 경보 단계에 따라 정량펌프, 밸브와 연동되어 제어하며, 위험 및 유해 성분 데이터와 분석된 데이터를 현장관리단말기 및 관리자단말기(800)로 전송하기 위한 약품투입제어장치(300)와;
약품투입제어장치의 제어에 따라 약품투입량을 조절하기 위한 정량펌프(400)와;
이산화염소수를 저장하기 위한 메인탱크(500)와;
약품을 저장하기 위한 약품탱크(600)와;
상기 정량펌프, 메인탱크, 약품탱크에 설치 구성되는 다수의 밸브(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검출센서(100)는 취수정이나 응집지의 위험 및 유해 성분을 감지하게 된다.
이때, 약품투입제어장치(300)는 검출센서로부터 획득된 감지 신호를 획득하여 위험 및 유해 성분의 종류 및 농도를 분석하게 되어 분석된 정보를 현장관리단말기로 전송하게 되며, 상기 현장관리단말기(200)는 약품투입제어장치에서 전송된 위험 및 유해 성분 데이터를 수신하고 현장 화면에 수치로 표시하며, 설정된 경보 단계별로 현장에 표시하며, 알람 경보를 발생하게 된다.
설정된 경보 단계는 보통, 기준치 초과, 위험 등과 같이 감지 값에 따라 관리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표시하게 된다.
또한, 상기 약품투입제어장치(300)는 정량펌프, 밸브와 연동되어 제어하게 되는데, 경보 단계에 따라 약품을 취수정에 제공하기 위하여 정량펌프를 제어하게 되고, 도면에 도시한 다수의 밸브들을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위험 및 유해 성분 데이터와 분석된 데이터를 관리자단말기(8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메인탱크, 약품탱크, 정량펌프, 다수의 밸브들을 현장에서 제어하게 되고, 각종 데이터들을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현장관리단말기로 송출하게 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수 자동 투입 제어 및 관리시스템의 현장관리단말기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현장관리단말기(200)는,
약품투입제어장치에서 전송된 위험 및 유해 성분의 종류 및 농도를 기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기준값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값판단부(210)와,
상기 기준값판단부에 의해 판단 결과 기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할 경우에 경보를 발생시키기 위한 경보발생부(220)와,
상기 기준값판단부에 의해 판단 결과 기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할 경우에 위험 및 유해성분의 종류 및 유해 여부를 표시하는 표시부(230)와,
상기 설정된 기준값, 수신된 위험 및 유해 성분의 종류 및 농도를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240)와,
약품투입제어장치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원방제어유닛(2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준값판단부(210)는 약품투입제어장치에서 전송된 위험 및 유해 성분의 종류 및 농도를 기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기준값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예를 들어, 암모니아, 유화수소, 페놀을 위험 및 유해 성분의 종류로 저장하고 기준값 농도를 설정하게 된다.
이후, 기준값판단부에 의해 약품투입제어장치에서 전송된 정보와 저장된 기준값을 비교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경보발생부는 기준값판단부에 의해 판단 결과 기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할 경우에 경보를 발생하게 된다.
상기 경보는 일반적인 알람 혹은 버저 혹은 표시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도록 처리하게 된다.
또한, 데이터저장부(240)에 일반적인 중앙제어부(미도시)의 처리에 의해 설정된 기준값, 수신된 위험 및 유해 성분의 종류 및 농도를 저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원방제어유닛(250)은 약품투입제어장치를 원격 제어하게 된다.
즉, 위험 및 유해 성분의 종류에 따라 약품탱크에 연결된 밸브를 제어하여 밸브를 오픈하여 해당 취수정에 약품을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현장관리단말기가 서버 역할을 하고, 약품투입제어장치가 클라이언트 역할을 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수 자동 투입 제어 및 관리시스템의 약품투입제어장치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약품투입제어장치(300)는,
검출센서로부터 획득된 감지 신호를 획득하여 위험 및 유해 성분의 종류 및 농도를 분석하기 위한 종류분석부(310)와,
검출센서로부터 획득된 감지 신호가 저장되어 있는 감지신호저장부(320)와,
각각의 검출센서의 조건에 따라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센서설정변경부(330)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현장관리단말기와 유/무선으로 연결하며, 설정된 경보 단계에 따라 정량펌프, 밸브와 연동되어 제어할 수 있는 제어입출력부(340)와,
약품투입량을 조절하기 위한 정량펌프를 제어하기 위한 정량펌프제어부(350)와,
약품탱크, 메인탱크에 구성된 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밸브제어부(360)와,
위험 및 유해 성분 데이터와 분석된 데이터를 현장관리단말기 및 관리자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전송부(370)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상기 종류분석부(310)는 검출센서로부터 획득된 감지 신호를 획득하여 위험 및 유해 성분의 종류 및 농도를 분석하게 되며, 약품투입제어장치와 현장관리단말기는 일반적으로 유무선통신부를 통해 서로 데이터를 교환하게 된다.
즉, 수신된 위험 및 유해 성분 데이터에 따라 위험 및 유해 성분의 종류 및 농도를 분석한다.
따라서, 상기 데이터전송부(370)는 위험 및 유해 성분 데이터와 분석된 데이터를 현장관리단말기 및 관리자단말기로 전송하게 된다.
이를 통해 현장관리단말기와 관리자단말기로 위험 및 유해 성분의 종류 및 농도 정보를 제공하여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도록 한다.
즉, 수신된 위험 및 유해 성분 데이터와 분석된 데이터를 상위 네트워크의 현장관리단말기와 동시에 관리자단말기로 SMS, E-MAIL로 전송한다.
상기 센서설정변경부(330)는 각각의 검출센서의 조건에 따라 설정을 변경하게 된다.
상기 제어입출력부(340)는,
릴레이, RS 485, Analog 4 ~ 20mA, TCP/IP통신포트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어 제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제어입출력부를 통해 정량펌프 혹은 밸브들을 제어하는 신호를 정량펌프 혹은 밸브들에 전달하게 된다.
정량펌프제어부(350)는 약품투입량을 조절하기 위한 정량펌프를 제어하게 되는데, 일반적인 중앙제어부(미도시)에 의해 기준값을 초과할 경우에 이벤트 신호를 약품투입제어장치로 전송하게 되며, 이를 정량펌프제어부 및 밸브제어부에서 획득하여 정량 펌프와 밸브들을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 5 내지 도 8을 나타내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약품 투입량 상/하한 경보 범위 설정창을 관리자에게 제공하게 되며, 관리자가 설정하게 된다.
이후, 설정된 정보는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되게 되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으로 설정하게 되면 기준값판단부에서 판단 결과에 따라 자동으로 밸브 및 정량펌프를 제어하게 된다.
도 7은 관리자단말기로 sms 전송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창을 나타낸 것이며, 도 8은 이메일 전송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창을 나타낸 것이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수 자동 투입 제어 및 관리시스템은 취수정에 유입되는 원수의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관리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내용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된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검출센서
200 : 현장관리단말기
300 : 약품투입제어장치
400 : 정량펌프
500 : 메인탱크
600 : 약품탱크
700 : 밸브

Claims (4)

  1. 이산화염소수 자동 투입 제어 및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취수정이나 응집지의 위험 및 유해 성분을 감지하는 검출센서(100)와;
    약품투입제어장치에서 전송된 위험 및 유해 성분의 종류 및 농도를 기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기준값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값판단부(210)와,
    상기 기준값판단부에 의해 판단 결과 기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할 경우에 경보를 발생시키기 위한 경보발생부(220)와,
    상기 기준값판단부에 의해 판단 결과 기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할 경우에 위험 및 유해성분의 종류 및 유해 여부를 표시하는 표시부(230)와,
    상기 설정된 기준값, 수신된 위험 및 유해 성분의 종류 및 농도를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현장관리단말기(200)와;
    검출센서로부터 획득된 감지 신호를 획득하여 위험 및 유해 성분의 종류 및 농도를 분석하기 위한 종류분석부(310)와,
    검출센서로부터 획득된 감지 신호가 저장되어 있는 감지신호저장부(320)와,
    각각의 검출센서의 조건에 따라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센서설정변경부(330)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현장관리단말기와 유/무선으로 연결하며, 설정된 경보 단계에 따라 정량펌프 혹은 밸브와 연동되어 제어할 수 있는 제어입출력부(340)와,
    약품투입량을 조절하기 위한 정량펌프를 제어하기 위한 정량펌프제어부(350)와,
    약품탱크 및 메인탱크에 구성된 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밸브제어부(360)와,
    위험 및 유해 성분 데이터와 분석된 데이터를 현장관리단말기 및 관리자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전송부(3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약품투입제어장치(300)와;
    약품투입제어장치의 제어에 따라 약품투입량을 조절하기 위한 정량펌프(400)와;
    이산화염소수를 저장하기 위한 메인탱크(500)와;
    약품을 저장하기 위한 약품탱크(600)와;
    상기 정량펌프와 메인탱크 및 약품탱크에 설치 구성되는 다수의 밸브(7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염소수 자동 투입 제어 및 관리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관리단말기(200)는,
    약품투입제어장치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원방제어유닛(2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염소수 자동 투입 제어 및 관리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약품투입제어장치(300)는,
    현장관리단말기와 관리자단말기로 위험 및 유해 성분의 종류 및 농도 정보를 제공하여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염소수 자동 투입 제어 및 관리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입출력부(340)는,
    릴레이, RS 485 통신포트, Analog 4 ~ 20mA 인터페이스, TCP/IP 통신포트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어 제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염소수 자동 투입 제어 및 관리시스템.
KR1020130004986A 2013-01-16 2013-01-16 이산화염소수 자동 투입 제어 및 관리시스템 KR1013020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4986A KR101302015B1 (ko) 2013-01-16 2013-01-16 이산화염소수 자동 투입 제어 및 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4986A KR101302015B1 (ko) 2013-01-16 2013-01-16 이산화염소수 자동 투입 제어 및 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2015B1 true KR101302015B1 (ko) 2013-08-29

Family

ID=49221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4986A KR101302015B1 (ko) 2013-01-16 2013-01-16 이산화염소수 자동 투입 제어 및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201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30419A (zh) * 2014-06-30 2014-09-10 汪传发 一种杀灭流体介质中军团菌的装置及杀灭军团菌的方法
CN106745441A (zh) * 2016-12-14 2017-05-31 山东德润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水刺无纺布工艺用水在线自动处理系统
CN109723886A (zh) * 2019-02-26 2019-05-07 东北农业大学 农用喷雾药液回流量电控调节阀
KR20200020182A (ko) 2018-08-16 2020-02-26 이준식 이산화염소수 희석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11575A (ja) 2005-10-18 2007-05-10 Sankyo System Kk 水循環システム並びにそれを実行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
KR20080102005A (ko) * 2007-05-17 2008-11-24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간이정수 관리시스템
KR100978939B1 (ko) 2010-06-01 2010-08-30 효림산업주식회사 복합오염 지하수 정화처리 원격 모니터링 및 자동제어장치
KR101075561B1 (ko) 2011-06-10 2011-10-20 조성진 유·무선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멀티 수질측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11575A (ja) 2005-10-18 2007-05-10 Sankyo System Kk 水循環システム並びにそれを実行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
KR20080102005A (ko) * 2007-05-17 2008-11-24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간이정수 관리시스템
KR100978939B1 (ko) 2010-06-01 2010-08-30 효림산업주식회사 복합오염 지하수 정화처리 원격 모니터링 및 자동제어장치
KR101075561B1 (ko) 2011-06-10 2011-10-20 조성진 유·무선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멀티 수질측정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30419A (zh) * 2014-06-30 2014-09-10 汪传发 一种杀灭流体介质中军团菌的装置及杀灭军团菌的方法
CN104030419B (zh) * 2014-06-30 2016-08-24 汪传发 一种杀灭流体介质中军团菌的装置及杀灭军团菌的方法
CN106745441A (zh) * 2016-12-14 2017-05-31 山东德润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水刺无纺布工艺用水在线自动处理系统
KR20200020182A (ko) 2018-08-16 2020-02-26 이준식 이산화염소수 희석 장치
CN109723886A (zh) * 2019-02-26 2019-05-07 东北农业大学 农用喷雾药液回流量电控调节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7232158B2 (en) 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
KR101302015B1 (ko) 이산화염소수 자동 투입 제어 및 관리시스템
KR101301072B1 (ko) 정수처리장의 수질센서 및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에 기반한 전문가 의사결정 시스템
US20130009781A1 (en) Anti-terrorism water quality monitoring system
US20040211731A1 (en) Method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chlorine levels in an aqueous medium
US9341058B2 (en) Monitoring produced water
CN208420887U (zh) 一种二次供水多通道消毒剂浓度实时监测设备
AU2021320402B2 (en) Deployable, remotely-controlled, pure hypochlorous acid manufacturing system and method
CN103576635A (zh) 水厂无人值守控制系统
CN104150652B (zh) 一种化工园区集中污水处理厂进水监控调节系统及方法
US20140277745A1 (en) Monitoring hydraulic fracturing
WO2016078195A1 (zh) 一种臭氧水溶液制取装置
Humoreanu et al. Wastewater treatment plant SCADA application
KR20220018109A (ko) 정수장 및 하수처리장의 수질관리 시스템
CN208632173U (zh) 一种智能二次供水水质安全监测与控制系统
KR102125517B1 (ko) 소규모 수도시설 통합관리시스템
DE102006060578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rzeugung und Dosierung von Chlordioxid in eine Wasserleitung
CN104102256A (zh) 一种水处理智能化运行远程控制系统的控制方法
WO2016089684A1 (en) Solid chemistry supply management system
WO2018232505A1 (en) DARK WATER QUALITY DISINFECTION AND CONTROL SYSTEM
RU2763132C1 (ru) Система мониторинга концентрации загрязняющих веществ, в том числе нефтепродуктов, в сточных водах и управления работой очистных сооружений предприятий
US11739012B1 (en) Automated chlorinator, system including the same,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and software for implementing the method of using and controlling the chlorinator and system
Craig et al. Indoor chlorine gas release in a natatorium: A case study
JP2007283218A (ja) 貯水槽水質管理システム
CN111056690A (zh) 一种用于处理手机生产废水的全自动控制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