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6150B1 - 냉장고 캐비넷 - Google Patents

냉장고 캐비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6150B1
KR102116150B1 KR1020147024411A KR20147024411A KR102116150B1 KR 102116150 B1 KR102116150 B1 KR 102116150B1 KR 1020147024411 A KR1020147024411 A KR 1020147024411A KR 20147024411 A KR20147024411 A KR 20147024411A KR 102116150 B1 KR102116150 B1 KR 1021161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refrigerator cabinet
door panel
senso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4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5413A (ko
Inventor
디트마르 닐레스
요헨 디더리히스
미하엘 람멜
베르트란트 일레르트
블라젝 루미르
지리 가즈다
페트르 디빈
Original Assignee
쇼오트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쇼오트 아게 filed Critical 쇼오트 아게
Publication of KR20140125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54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6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61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4Show cases or show cabinets air-conditioned, refrigerated
    • A47F3/0404Cases or cabinets of the closed type
    • A47F3/0426Details
    • A47F3/043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4Door hi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2Sensors detecting door op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4Sensors detecting the presence of a pers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Freezers Or Refrigerated Show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 캐비넷(10), 특히 전방 출입 개구부(14)를 갖는 하우징(12), 상기 출입 개구부(14)용의 적어도 하나의 도어 패널(24)을 갖는 도어(16)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 패널(24)은 높이와 폭(B)을 갖고 수직 회전축(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며 회전축(A)에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된 것인, 상업적 냉장고 또는 냉동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도어 패널(24)의 움직임을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도어 패널(24)의 회동 영역이 출입 개구부(14)의 앞쪽에서 외부 영역(50)으로 전체 도어 패널 폭(B)보다 작게 돌출하는 식으로 한정하는 가이드를 제공하고, 상기 도어 패널(24)은, 수직의 축(A)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회전축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장착된다.

Description

냉장고 캐비넷{REFRIGERATION CABINET}
본 발명은 냉장고 캐비넷, 특히 전방 출입 개구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출입 개구부용의 적어도 하나의 도어 패널을 갖는 도어를 구비하고, 상기 도어 패널은 높이와 폭을 갖는 것인 상업용 냉장고 또는 냉동고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냉장고 캐비넷은 예를 들어 EP 2 345 347 A1 공보에 알려져 있다. 상기 공보에 포함된 냉장고 캐비넷은 판매 시간 동안에는 열려 있으며, 도어는 냉장 영역에 이웃하는 하우징의 측방으로 파킹 위치로 이동됨으로써 보관된다. 이런 방식으로, 폐쇄된 도어의 판매 저해 효과를 방지하지만, 동시에 에너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어는, 냉장 공간이 판매 시간 외에는 폐쇄될 수 있도록 이용 가능하다. 기본적으로 판매 시간 동안 조작할 수 있는 개방된 냉장고 캐비넷를 포함한다.
이로부터 본 발명자는 판매 시간 동안에도 출입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함으로써 에너지 비용을 더욱 절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개방은 쉽지만, 판매 저해를 나타내지 않아야 한다. 실제로, 공지된 상업용 냉장고 캐비넷은 일측에 힌지 연결되고 수직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통상의 도어들을 갖는다. 예를 들어, 이에 대해서는 미심사 특허출원 DE 10 2007 034 417 A1를 참조하라. 물론, 그러한 도어들은 냉장고 캐비넷의 내부 공간에서의 상품용 방벽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냉장고 캐비넷이 개방될 때 그 전방의 외부 공간을 막는 차단수단을 나타낸다. 통상적으로 판매 영역은 소비자가 그 주변에서 움직이고 정지한다. 이런 종류의 냉장고 캐비넷이 여러 대가 서로 이웃하여 소정 배향으로 배치되고, 소비자가 대부분 폐쇄된 도어의 앞에 장시간 서서 근접하여 제공되는 상품을 살펴보는 경우에 문제는 크게 증가된다. 소비자들은 상품에 대한 접근을 추가적으로 방지하거나 또는 그 반대로, 개방된 도어로 인해 그냥 지나가지 못하게 된다.
서두에 언급한 종류의 냉장고 캐비넷은 EP 2 525 177 A1로부터 알려져 있으며, 그 도어는 개방 시 하우징에 의해 한정된 냉장고 캐비넷의 내부 공간 또는 냉장 공간 속으로 완전히 내측으로 회전하며, 이로써, 하우징의 앞쪽에 회동 영역이 필요하지 않다. 전술한 문제점들은 이로써 해결될 수 있다. 물론, 회동 영역은 냉장 공간 속으로 이동됨으로써 유용한 냉장 공간이 극히 제한되며, 냉장고 캐비넷의 전방으로부터 상품까지의 거리가 증가되거나 이에 대응하기 위해, 도어의 폭이 상당히 제한된다. 이들 두 경우 모두 상품에 대한 방벽을 형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간을 절약하는 방식으로 개방될 수 있고 동시에, 편리하며, 상품에 접근할 때, 주변 소비자들을 위한 그리고 상품 접근을 위한 가능한 한 작은 방해물을 형성하게 되어 있는, 서두에 언급된 유형의 냉장고 캐비넷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청구항 제1항의 특징을 갖는 냉장고 캐비넷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 전술한 종류의 냉장고 캐비넷은, 도어 패널의 회동 영역이 출입 개구부 앞쪽의 외부 영역으로 도어 패널의 전체 폭보다 덜 돌출되도록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부분적으로, 대부분 또는 전체적으로 투명한 도어 패널의 이동을 제한하는 가이드를 가지며, 상기 도어 패널은, 수직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그리고 회전축에 대해 시계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장착된다.
'회동 영역'은 도어 패널이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및/또는 그 반대로 이동할 때 도어 패널이 지나가는 공간 영역으로서 이해될 것이다. '출입 개구부'는 냉장고 캐비넷의 전방 개구부의 표면을 지칭하며, 도어가 폐쇄될 때 도어 평면과 일치한다.
바람직하게는, 이것은 상기 가이드가 도어 패널의 수직 회전축을 한정하는 반경방향 베어링 또는 회전식 베어링과, 상기 회전축에 수직인 평면에 가이드 경로를 포함하고, 그 가이드 경로를 따라 반경방향 베어링 또는 회전식 베어링 또는 회전축이 도어 패널과 함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도어 패널의 회동 영역은 출입 개구부의 앞쪽에서 외부 공간 속으로 도어 패널의 전체 폭보다 적게 돌출하도록 그리고 출입 개구부 뒤쪽의 내부 공간 속으로 도어 패널의 전체 폭보다 덜 돌출하도록 상기 도어 패널이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강제적으로 또는 포지티브하게(positively) 안내되는 방식으로 실시된다.
이에 대하여, 추출된 곡선 또는 직선 경로는 가이드 경로로서 구성된다. 이것은 도어의 폐쇄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의 경로에서 그리고 그 반대로의 경로에서 회전축에 수직인 평면에서 회전축을 나타낸다. 회전 운동을 허용하는 지지 장소는 반경방향 베어링 또는 회전식 베어링으로서 지정된다.
한편으로, 도어 패널은 내부 공간으로 돌출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도어 패널은 오직 부분적으로만 돌출되기 때문에, 도어를 개방하도록 회전하는 데 냉장고 캐비넷의 전방에서 필요한 공간을 보다 작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체적인 냉장고 캐비넷의 공간 이용은 예를 들어 EP 2 345 347 A1 또는 EP 2 525 177 A1의 냉장고 캐비넷의 공간 이용보다 더 양호하며, 그 이유는 도어의 파킹을 위한 내부 공간에서 또는 냉장고 캐비넷에 측방향으로 이웃하여 추가적인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은 여러 개의 도어 패널을 갖는 냉장고 캐비넷, 특히 그러한 도어 패널을 갖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이중 패널 도어들을 갖는 냉장고 캐비넷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냉장고 캐비넷은 대체로 연속된, 투명한 정면을 형성한다. 또한, 도어들을 위한 파킹 위치는 도어 패널들의 감소된 회동 영역 때문에 생략된다. 그러므로, 내부 공간에 배치된 선반들은 수 개의 도어들 또는 도어 패널들에 대해 직선형의 전방 에지들을 갖고 일정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이것은 전체적으로 균일한 미학적으로 만족스런 인상을 준다.
도어는 도어 패널을 구동하는 구동부를 구비한 자동 도어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먼저, 도어의 감소된 회동 영역과 관련하여, 도어의 자동적인 운동은 유용하고 쉽게 제공되는데, 그것은 도어들의 개방으로 인해, 상품을 지나치거나 살펴보려는, 냉장고 캐비넷 앞에 서 있는 소비자가 더 이상 방해를 받지 않기 때문이다.
개방 이동의 끝에서 도어 패널이 내부 공간속으로 부분적으로 돌출되는 도어의 움직임과 그에 대응하는 가이드는 여러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 경로가, 회전축에 대해 시계방향으로 지향되고 반경방향 베어링 또는 회전식 베어링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선형 가이드에 의해 또는 곡선에 의해 기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 경우에 있어서,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회전-슬라이딩 도어를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딩 도어는, 전체 출입 개구부를 해제하기 위하여, 폐쇄 위치로부터 벗어나는 도어 회전과, 바람직하게는 출입 개구의 에지 영역에서, 가이드 경로를 따른 운동을 구조적으로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게 한다.
상기 회전 운동과 슬라이딩 운동은 연속적으로 또는 시간적으로 중첩되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중첩된 운동은, 단일의 구동부로 충분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 경우 조합된 회전-슬라이딩 운동은 포지티브한(positive) 기계적 결합에 의해 제공된다.
선형 가이드의 사용으로, 구동부는 예를 들어 선형 가이드를 따라 연장되는 치형 벨트 형태의 선형 구동부로서 구성될 수 있으며, 중첩된 회전 운동은 피봇 또는 힌지 조립체에 의해 포지티브하게 안내된다.
회전 구동부 또는 크랭크 구동부를 이용하여, 곡선 코스 상에서 뿐만 아니라 선형 가이드를 따르는 슬라이딩 운동은 편심적으로 관절 연결된 푸시 로드에 의해 제공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중첩된 회전 운동은 또한 복합 회전-슬라이딩 운동을 위한 자유도를 직접 제한하는 힌지 조립체에 의하거나 편심적으로 관절 연결된 수 개의 푸시 로드에 의해 포지티브하게 안내될 수 있다.
회전-슬라이딩 도어용 가이드의 경우에 감소된 회동 영역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캐비넷의 도어의 회전축은 도어 패널의 중심 영역에서, 특히 바람직하게는 도어 폭의 1/4 내지 3/4 사이에 배치되도록 오프셋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도어 패널이 명백히 감소된 범위로만 회전될 수 있게 보장한다. 도어 패널의 회동 영역이 출입 개구부(access opening) 전방의 외부 공간으로 및/또는 출입 개구부 뒤쪽의 내부 공간 속으로 도어 패널 폭의 최대 3/4 만큼 돌출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도어 패널의 중앙 영역에 배치된다'는 것은, 회전축이 도어 패널의 평면에 놓여야만 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도어 패널에 수직으로 돌출된 부분이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앙 영역에 있는 한, 상기 회전축은 또한 도어 패널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경로로서 곡선형의 경우, 가이드 경로는 원호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호 상의 가이드 경로는 회전 조인트 또는 힌지에 의해 강건하게 그리고 저비용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하였듯이, 가이드는 또한 기술적인 간편함을 이유로 직선형으로서 설계될 수 있지만, 꼭 그렇게 될 필요는 없다. 그러한 선형 가이드는 반드시 출입 개구부에 평행하게 정렬될 필요는 없다. 그러나, 공간의 최적 이용을 위하여, 출입 개구부에 사실상 평행하거나 및/또는 부분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느 경우이든, 선형 가이드는 EP 2 345 347 A1에서 알려진 냉장고 캐비넷의 경우와 달리, 파킹 위치가 아닌, 도어의 개방 운동의 일부분을 한정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출입 개구부 밑의 앞쪽에서, 하우징은 받침부(pedestal)를 포함하고, 그 받침부는 도어 패널의 적어도 회동 영역에 대응하는 깊이로 출입 개구부의 앞쪽의 외부 공간으로 돌출한다.
한편으로, 상기 받침부는 회동 영역을 특징화하는 작용을 하고, 회동 영역에 사람이 서 있거나 물체가 배치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런 식으로, 상기 받침부는 또한 도어의 유리 에지용 보호부로서 작용한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받침부는 구동부 또는 개방 메커니즘을 감추거나 은폐할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회전축을 한정하는 반경방향 베어링 또는 회전식 베어링은 예를 들어 베어링 부시 또는 롤러 베어링과 베어링 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임의의 하드웨어 또는 연결요소에 추가하여, 베어링 요소들은 도어 서스펜션의 일부를 형성한다. 도어 서스펜션은 도어 패널의 하측 에지와 상측 에지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측과 하측의 도어 서스펜션의 반경 방향 베어링 또는 회전식 베어링 중 적어도 하나는 도어의 중량에 의해 초래된 축방향의 힘을 또한 흡수한다. 제 2 도어 서스펜션은 부동식으로(floatingly)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어 패널과 냉장고 캐비넷의 하우징 사이에 기계적인 분리 수단은 상대적인 축방향 운동을 허용한다. 이에 따라 하중 하에서 냉장고 캐비넷의 하우징의 가능한 변형의 결과로서 상측과 하측의 도어 서스펜션들 사이의 거리의 임의의 변화가 평형을 이루게 하고, 도어 패널들의 저마찰 및 저마모 작동이 하우징의 과도한 보강 없이도 확보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도어는 개방 센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방 센서가 소비자에 의해 유발된 신호를 탐지하면, 개방 센서는 자동적으로 도어가 개방되게 한다. 가장 단순화된 경우에, 상기 개방 센서는 도어 또는 하우징의 접촉 센서 또는 푸시버튼일 수 있다. 유리 도어 패널인 경우에, 접촉 센서는 유리에 도입된 용량성 요소(capacitive element)로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개방 센서는 출입 개구부의 앞쪽의 외부 공간의 적어도 한 영역을 탐지하는, 광전 센서 또는 초음파 센서를 구비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런 식으로, 상기 도어는 단지 광 빔에 대한 소비자의 방해에 의해 접촉 없이도 개방될 수 있으며, 이것은 제품에 대한 접근을 더욱 용이하게 하고 촉진시킨다. 이는, 특히 광센서가 도어 패널의 앞쪽에 수직으로 바람직하게 연장된 경우 구현된다. 소비자는 도어 패널의 방향에 직감적으로 도달하기만 하면 된다.
냉장고 캐비넷은 출입 개구부 앞쪽의 탐지 영역에서 물리적인 물체 및/또는 운동을 탐지하는 존재 센서(presence sensor)를 갖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존재 센서는, 소비자가 냉장고 캐비넷에 대한 접근을 끝낼 때를 주로 인식함으로써, 도어가 자동적으로 다시 폐쇄되거나, 반대로 소비자가 냉장고 캐비넷를 향해 여전히 접근하는 한 도어가 자동으로 폐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은 존재 센서의 대부분의 탐지 공간이 도어 패널의 회동 영역과 일치하거나 적어도 도어 패널의 운동과 관련되어 소비자가 서 있는 위험 구역과 일치할 경우 최적으로 달성된다. 기본적으로, 존재 센서는 소비자와 같이 회동 영역에서 이동하는 장매물 그리고 또한 주차된 쇼핑 카트와 같이 회동 영역에서 이동하지 않는 장애물을 인식하기에 적합할 수 있다.
상기 존재 센서는 움직임 탐지기 또는 광센서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움직임 탐지기는 적외선 센서를 갖는 것이 유리하다.
대안으로, 장점과 단점이 알려져 있는 카메라(CCD) 또는 초음파 센서도 역시 이용될 수 있다.
개방 센서와 존재 센서는 하나의 장치에서 결합될 수 있으며, 그것은 폐쇄된 도어에 개방 센서로서 사용하도록 스위칭되고 개방된 도어에 존재 센서로서 사용하도록 스위칭된다.
2개의 센서들은 다른 탐지 영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도어가 의도하지 않게 자주 개방되지 않는 경우, 개방 센서의 탐지 영역은 존재 센서의 탐지 영역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고, 출입 개구부에 보다 근접하여 배치된다.
또한, 도어 패널의 회동 영역에서 물리적인 물체를 탐지하기 위해 클램핑 가드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클램핑 가드는 단독으로 도어 패널의 회동 영역을 모니터링하는 작용을 하며, 회동 영역에서 물체 또는 사람이 도어 패널에 의해 끼이는 것을 방지한다. 어떤 경우에는, 존재 센서를 더 제공하는 것이 과잉의 안전 조치로 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존재 센서는 운동 중에 도어 폐쇄 과정이 설정될 수 있는지 없는지 여부를 인식하는 작용을 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장애물이 경로 상에 있으면 폐쇄 과정을 종결하는 점에서 보통 통상적인 존재 센서와 대조적으로 다른 탐지 영역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존재 센서와 대조적으로 클램핑 가드는 도어 폐쇄 동안에 물리적인 저항을 탐지하는 작용을 하며 그러므로 도어와 접촉으로 추정한다. 더욱이, 존재 센서는 움직임 탐지기로서 설계된 경우에 움직이지 않는 물체를 탐지할 수 없으며, 이것은 클램핑 가드를 필요하게 할 수 있다. 상기 클램핑 가드는 구동 모터의 동력 소비 또는 라인 소비를 모니터링하는 수단 또는 구동축의 각도상 위치를 탐지하는 수단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방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탐지하고, 상기 신호를 탐지하면 도어를 개방하도록 구동부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도록 설정된, 개방 센서와 결합된 컨트롤러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컨트롤러는, 도어가 개방된 다음에, 선택될 수 있는 일정 시간이 경과한 다음 도어를 폐쇄하도록 구동부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컨트롤러는, 존재 센서의 신호를 탐지하고, 신호가 탐지되면, 도어가 바로 폐쇄된 경우 도어를 개방하도록 또는 도어 개방을 유지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도록 설정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하우징의 내부 영역에서 냉기 커튼을 발생하는 공기-흐름 발생기가 출입 개구부 바로 뒤쪽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여, 상품 진열을 위해 작용하지 않는 출입 개구부 뒤쪽의 자유 공간을 이중의 용도, 즉 냉기 커튼용 유동 영역 그리고 도어의 내측방향의 회동 영역으로서의 용도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간을 절약하는 방식으로 개방될 수 있고 동시에, 편리하며, 상품에 접근할 때, 주변 소비자들을 위한 그리고 상품 접근을 위한 가능한 한 작은 방해물을 형성하게 되는 것인, 서두에 언급된 유형의 냉장고 캐비넷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와 이점은 첨부한 도면과 관련된 실시예에 기초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측부로부터 폐쇄되는 도어를 구비한 냉장고 캐비넷의 단면도를 보여준다.
도 2는 상측과 하측의 도어 서스펜션의 영역의 냉장고 캐비넷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도어가 개방된, 냉장고 캐비넷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자동 도어용 제 1 가이드 디자인을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도 5는 자동 도어용의 제 2 가이드 디자인을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도 6은 자동 도어용의 제 3 가이드 디자인을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도 7a 내지 도 7d는 자동 도어용의 제 4 가이드 및 구동부 디자인의 구동 메커니즘의 평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8d는 자동 도어의 제 5 가이드 및 구동부 디자인의 구동 메커니즘의 평면도이다.
도 9a 내지 도 9d는 자동 도어의 제 5 가이드 및 구동부 디자인의 구동 메커니즘의 사시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d는 자동 도어용의 제 5 가이드 및 구동부 디자인의 상측 가이드 메커니즘의 평면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1d는 자동 도어용 제 5 가이드 및 구동부 디자인의 상측 구동 메커니즘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동일한 상측 가이드 메커니즘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캐비넷(10)의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3에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냉장고 캐비넷은 전면 출입 개구부(14)를 구비한 하우징(12)을 가지며, 상기 개구부는 도어(16)로 폐쇄되어 있다. 상기 냉장고 캐비넷(10)의 내부 공간(18)에는 수 개의 선반(20)들이 배치되어 (도시되지 않은) 냉장될 상품들을 제공하도록 배치된다. 내부 공간(18)에서 도어와 상기 선반의 전방 에지들 사이에는 빈 공간의 영역이 남아 있으며, 여기에서 냉기 커튼(22)이 도어(16) 뒤의 상측에서 바닥까지 직접 하방으로 유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빈 공간은, 도어가 개방되어 그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선반과 충돌하지 않고 돌출될 수 있는 회동 영역으로서 작용한다.
상기 도어(16)는 도어 패널(24)과 상부 도어 서스펜션(26) 및 하부 도어 서스펜션(28)을 가지며, 상기 서스펜션들은 가이드 및 구동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상기 도어 서스펜션(26, 28)은 도 1의 X와 Y에서 본 확대도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어 패널(24)은 전체 표면이 거의 투명하게 되어 있어서, 가능한 내부 공간(18)과 내부 공간의 상품들에 대한 조망이 방해를 받지 않으며, 안전 유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단일 유리판 안전유리(SSG) 또는 적층 안전유리(LSG)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어 패널은 또한 상기 안전 유리 중 하나와 결합된 다층 단열 유리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어 패널(24)은 프레임(30)을 가지며, 이 프레임은 도어 패널(24)을 둘러싸고, 매우 좁고 시각적으로 장애가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냉장고 캐비넷은 이러한 도어 패널들을 여러 개 가질 수 있으며, 특히 그러한 도어 패널을 구비하는 수 개의 2-패널 도어들을 가지며, 대체로 연속된 투명한 전방부를 형성한다. 특히, 선반의 전방 에지들과 도어(16) 사이에 남은 빈 공간과 함께, 그러한 냉장고 캐비넷은, 균일하고 미학적인 인상을 제공하는데, 그것은 이미 빈 공간이 도어 패널들의 감소된 회동 영역용으로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며 또한 선반들이 일관되게 구성되고 직선의 전방 에지를 갖도록 허용하며, 도어 파킹 위치에 의해 중단되지 않는다.
상측 및 하측 모두에, 상기 도어 패널은 U자 형상의 브라켓(32, 34)을 구비하며, 각각의 상기 브라켓은 제공된 반경방향 베어링 또는 회전식 베어링(36, 38)의 축에 연결된다. 2개의 상기 반경방향 베어링(36, 38)은 일직선으로 배치되고, 사실상 수직인 회전축(A)을 형성하며, 그 축을 중심으로 도어 패널이 전후로 회전한다. 필요에 따라, 상기 축은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수직으로부터 어느 정도 경사질 수도 있다.
다시, 각 경우의 회전식 베어링들은 선형 가이드(40, 42)와 결합된다. 보다 자세히는, 각 경우에, 상기 회전식 베어링들은 직선형의 가이드 레일로 뻗은 캐리지에 연결된다. 상기 하측의 선형 가이드(40)의 가이드 레일은 대부분의 수직방향의 힘을 흡수하도록 설정되어 도어(16)의 대부분의 하중을 지지한다. 상측의 선형 가이드(42)의 가이드 레일은 주로 수평방향의 힘을 흡수하도록 설정되고 출입 개구부(14)에 평행한 상측 단부에 대하여 도어를 안내한다.
또한, 상부의 도어 서스펜션 영역에서, 도어(16)는 구동 모터(46), 기어 및 전동수단을 기본적으로 구비한 구동부(44)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는 하부의 도어 서스펜션의 영역에 배치될 수 있음은 말할 필요도 없다. 위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같이, 예를 들어, 톱니가 형성된 벨트 또는 하나 이상의 푸시 로드와 결합된 크랭크가 구동요소로서 고려될 수 있다.
더욱이, 받침부(48)가, 도어 패널(24)의 회동 영역에 해당하는 출입 개구부(14)의 전방의 외측 공간(50) 속으로 깊이(T)만큼 돌출되어 상기 출입 개구부(14)의 전방 아래에서 하우징(12)에 배치된다. 상기 받침부(48)는 고객이 그 회동 영역에서 정지하고/정지하거나 도어에 너무 근접되는 것을 방지하고, 예를 들어 쇼핑 카트와 같은 물체가 그 앞에 파킹되지 않을 수 있게 방지한다.
냉장고 캐비넷은 또한 포토 센서 형태인 개방 센서를 더 포함하며, 이것은 도 2의 확대된 도면에서 잘 볼 수 있다. 상부 도어 서스펜션의 영역에서, 개방 센서는, 하부의 도어 서스펜션의 영역에서 대응된 미러(54)뿐만 아니라 감광 탐지기와 바람직하게는 다이오드 레이저 형태의 광원으로 구성되는 유닛(52)을 포함한다. 상기 광원은 광빔(56)을 발생시키고, 그 광빔은 외측 공간(50)의 출입 개구부(14)의 전방으로 뻗으며, 보다 자세히는 도어 패널(24)의 전방에서 수직이고, 미러(54)로 향한다. 그 광빔은 미러(54)에 의해 반사되어 유닛(52) 내의 감광 탐지기에 의해 수신된다. 이 광감 센서의 광빔이 그 전후 경로에서 방해를 받으면, 개방 센서는 개방 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광빔(56)은 용량이 큰 물체를 탐지하기 위한 폭이 좁은 레이저 빔으로 되거나 광학적으로 확장된 빔으로 될 수 있다. 상기 광빔은 보다 넓은 영역을 탐지하도록 출입 개구부에 평행한 평면에서 퍼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동시에 외측 공간(50)의 깊이로는 필요한 것보다 넓지 않다. 또한, 여러 개의 광원들과 탐지기들이 제공되어 광센서 커튼을 형성함으로써 가능한 넓은 면적에 대해 출입 개구부를 모니터링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존재 센서(58)는 상부 도어 서스펜션의 영역에서 하우징(12)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출입 개구부(14)의 전방에서 탐지 영역(60)에 있는 물리적인 물체 및/또는 움직임을 탐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존재 센서(58)는 도시된 경우에서 움직임 탐지기이다. 개방 센서의 탐지 영역과 반대로, 탐지 영역(60)은 냉장고 캐비넷의 전방에서 외측 공간(50)의 깊이로 확장되어 개방된 냉장고 캐비넷에 사람이 근접하는 움직임을 적절한 방법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특히 도어 패널의 회동 영역이 변경되지 않는 것을 확실히 하기 위하여 상기 탐지 영역은 출입 개구부 속으로, 직접 실제로는 냉장고 캐비넷(10)의 내부 공간(18) 속으로 소규모로 확장된다. 사람이 존재 센서(58)의 탐지 영역(60) 속으로 이동하면, 센서는 존재 신호를 발생시킨다.
개방 센서와 존재 센서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는 개방 센서의 개방 신호를 탐지하는 한편, 개방 신호가 탐지될 때 도어(16)를 개방하도록 구동부(44)에 제어 신호를 방출하게 설정되어 있다. 개방 후 5 내지 15 초의 선택 가능한 시간 간격 후에 도어(16)를 폐쇄하도록 구동부(44)에 제어 신호를 발생함으로써 바람직하게는 폐쇄 과정이 도입된다. 다른 한편으로, 존재 센서(58)의 존재 신호를 탐지하도록 제어부가 설정되며, 그 존재 신호를 탐지하면 도어(16)를 개방 상태로 유지하거나 또는 도어(16)가 폐쇄되는 중이면 그 폐쇄 과정을 정지시키고/정지시키거나 도어(16)를 다시 개방하도록 구동부(44)에 제어 신호를 방출한다.
또한, 물리적인 물체를 탐지하는 클램핑 가드(clamping guard)가 도어 패널(24)의 회동 영역에 제공될 수 있으며, 그것은 또한 제어부에 연결된다. 사람이나 물체가 도어의 회동 영역 속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어부는 장애물 신호를 방출함으로써 이를 표시한다. 상기 제어부는 이때 클램핑 가드의 장애물 신호를 탐지하도록 설정되어 있으며, 그 장애물 신호가 탐지되면 구동부(44)에 제어 신호를 방출하여 폐쇄 과정을 정지시키거나 및/또는 도어(16)를 다시 개방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클램핑 가드는 여분의 안전 수단을 어느 정도 제시하는데, 이는 사람이나 물체가 도어의 회동 영역으로 이동하는 것을 존재 센서가 발견하는 동안 도어가 폐쇄되지 않도록 또한 보장하기 때문이다. 물론, 클램핑 가드는 또한, 도어를 폐쇄함으로써 움직이지 않는 물체가 갇히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클램핑 가드는 전력 소비 또는 구동 모터 라인의 소비를 모니터링하는 수단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어는 도 3에서 완전히 회동되어 개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개방 위치에서 도어 패널(24)은 냉장고 캐비넷(10)에 의해 둘러싸인 내부 공간(18) 속으로 부분적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회전축(A)이 폭(B) 방향으로 도어 패널(24)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보다 자세히는, 상기 회전축은 도어 패널을 중심에서 관통하여 연장되지는 않지만, 도어 패널(24)의 중심 주변의 영역에서 연장되어 있으며, 그것은 도어 패널의 2개의 양측 단부 각각으로부터 도어 패널 폭의 1/4만큼 거리를 두고 있다.
제 1 실시예에서는, 도어 패널(62)의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의 움직임을 한정하는 가이드가 도 4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냉장고 캐비넷은 단지 2개의 측벽(64, 66)의 주변부에서 평면도로 크게 단순화되어 도시되어 있다. 라인(68)은 냉장고 캐비넷의 내측 영역(70)에서 두 개의 도어 패널(62)의 회동 영역을 경계지으며, 이에 따라 선반들의 전방 단부의 가능한 가장 외측 위치를 표시한다. 여기서, 예로서 도어 당 두 개의 도어 패널을 갖는 냉장고 캐비넷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어 패널들은 대칭적인 움직임을 수행하고 외측 벽(64, 66)에 평행하게 그리고 외측벽에 근접하게 개방 위치로 이동한다. 아래에서, 개방 이동은 단지 하나의 도어 패널에 기초하여 기술된다. 두 번째 도어 패널의 움직임은 동시에 대칭적으로 발생한다.
도어 패널(62)은 수직의 회전축(A)을 중심으로, 이 경우에, 실제로는 냉장고 캐비넷의 중앙에서 내측으로 먼저 회동한다. 심지어 상기 도어 패널이 폐쇄 위치로부터 약간 회동한 다음에, 도어 패널들은 측벽들이 동시에 중첩되는 방향으로 출입 개구부에 평행한 선형 가이드(74)를 따라 회전축을 가지며 이동되고, 개방 위치로 계속 회동 이동 가능하다. 상기 도어 패널(62)은 도어의 중심을 지향하는 단부가 곡선 경로(76)를 따라 포지티브하게 안내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예를 들어, 가이드 핀이 도어 패널에 배치되며, 대응된 원호 형상의 가이드 레일에 맞물린다. 따라서, 상기 이동은, 일측에서 회전축(A)의 선형 가이드(74)에 의해 그리고 타측에서 곡선 경로(76)에 의해 단일의 자유도로 제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캐비넷의 도어에 대한 다른 가이드 개념이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따른 실시예와 일치되게, 도어 패널(82)은 도어 패널의 중심 영역에서 수직의 회전축(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방법으로 장착되며, 상기 회전축(A)은 출입 개구부에 평행한 선형 가이드(84)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다. 그러나, 도 4에 따른 실시예와 달리, 도어 패널(82)은 냉장고 캐비넷의 중앙에서 외측으로 회동한다. 이러한 움직임은, 측벽(90)에 평행하고 이에 따라 선형의 가이드(84)에 직각인 제 2 선형 가이드(88)를 따라 외측 단부에 배치된 가이드 핀(86)에 의해 도어 패널을 안내함으로써 강제된다. 또한, 도어 패널(82)의 움직임은 이에 따라 단일의 자유도로 제한된다.
제 3 실시예의 가이드 메커니즘이 도 6에 도시되어 있지만, 단지 하나의 도어에 기초하여 설명되어 있다. 발췌된 측벽(91)이 도시되어 있다. 냉장고 캐비넷의 내부 공간(96)은 측벽의 우측에 그리고 도어 패널(92) 위에 있다. 도 6에 따른 실시예는, 냉장고 캐비넷의 도어가 회전-회동 도어(92)로서 형성되고 상기 도어는 수직의 회전축(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수직의 회전축과 함께 출입 개구부에 평행한 선형 가이드(94)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다는 점에서 위에서 설명한 두 실시예들과 공통점이 있다. 상기 도어 패널(92)은 또한 도어 패널의 측방향 외측 단부와 회동 레버(100)의 회전축(A) 사이의 회전 포인트(98)에서 관절식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레버는 냉장고 캐비넷의 하우징의 출입 개구부의 측방향 에지 영역의 회전 포인트(98) 반대쪽에 놓인 관절 포인트(101)에서 회동할 수 있도록 관절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도어 패널(92)의 회전 포인트(98)가 원형의 경로(102)에서 강제로 안내되어서, 선형 가이드(94)와 함께 조립된 도어 패널은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하나의 자유도로 그 운동이 또한 제한된다.
도 7a 내지 도 7d에 따른 실시예는 도어의 가이드와 구동부에 대한 복합적인 해결안을 보여준다. 도어 패널(104)은 이제 수직의 회전축(A)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선형 가이드(106)를 따라 이와 함께 슬라이딩할 수 있게 장착될 수 있다. 도어의 포지티브한 안내 또는 강제에 의한 안내, 즉 이 경우의 회전 및 슬라이드 운동의 커플링은 구동부의 디스크 크랭크(110)에 장착된 두 개의 강체 푸시 로드(112, 114)를 통해 수행된다. 상기 두 개의 푸시 로드들은 도어 패널(104)의 두 개의 이격된 관절 연결 포인트(116, 118)과 맞물린다. 상기 두 개의 관절 연결 포인트(116, 118)는 회전축(A)의 같은 쪽에 있으며, 그 중 하나의 관절 연결 포인트(118)는 도어 패널(104)의 평면에 있고 다른 관절 연결 포인트(116)는 분명히 도어 패널(104) 평면의 외측면에 있다. 상기 푸시 로드(112, 114)들은, 양 단부들에서, 둘레 방향으로 서로 거리를 두고 떨어져 있는, 디스크 크랭크(110)의 두 개의 크랭크 핀(120, 122)들에 관절 연결된다. 상기 디스크 크랭크(110)의 회전에 의해, 도어 패널(104)은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 회동-회전 결합 운동으로 움직인다. 외측의 회동 영역은 돌출된 원호 라인(124)에 의해 특징지워진다. 이것은, 커플링된 움직임에서, 도어가 먼저 폐쇄 위치로부터 회동하고 후속하여 개방 위치로 기본적으로 선형적으로 슬라이딩하는 것을 보여준다.
도 8a 내지 도 8d에서의 평면도와 도 9a 내지 도 9d에서의 사시도에 따른 실시예는 도어의 구동부와 가이드의 결합된 변형예의 해결책을 보여준다. 상기 도어는 두 개의 패널 도어로서 구성된다. 두 개의 도어들뿐만 아니라 구동부와 가이드가 대칭적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오직 하나의 도어에 대해서만 그 메커니즘을 설명한다.
도 7a 내지 도 7d에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도어 패널(126)은 냉장고 캐비넷의 내측 공간(128)를 향해 중앙에서 회전 개방된다. 이를 위해, 도어 패널은 수직의 회전축(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그리고 원호형의 곡선(K)을 따라 함께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다. 도어의 포지티브한 안내는, 즉 이 경우에 회전 및 슬라이딩 운동의 커플링은 아래 기술된 다수의 회전 조인트 또는 힌지 구조를 통해 수행된다.
구동 모터(130)는 두 개의 도어 패널을 위한 공통의 샤프트(132)에 대해 작용한다. 크랭크(134)는 구동 샤프트의 양측에 도입되고 푸시 로드(136)는 회전 포인트(P1)를 중심으로 관절 연결되며, 타측 단부에서 레버(138)에 작용한다. 일측에서, 레버(138)는 냉장고 캐비넷의 하우징(140)의 회전축(D1)을 중심으로 관절식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다른 쪽에서, 레버(138)는 회전축(A)을 중심으로 회전식으로 도어 패널(126)을 위한 지지부(142)에 연결된다. 상기 도어 패널(126)은 회전축(A)이 도어 패널(126)의 중앙 평면에 위치하도록 지지부(142)에 배치된다. 상기 지지부는, 다른 회전축(D2)을 링크 로드(144)의 제 1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도록 회전축(A)과 이격되어 있으며, 링크 로드의 제 2 단부가 하우징(140)에서 회전축(D3)을 중심으로 관절 연결된다. 상기 모든 회전축들은 도 8a 내지 도 8d의 도시된 예의 평면에 대해 수직이다. 대조적으로, 회전 포인트들은 두 개의 자유도를 갖는다.
도어가 개방될 때의 움직임의 세트는 아래와 같다. 푸시 로드(136)가 구동 샤프트(132)의 회전을 푸시 운동으로 변환하고, 그로 인하여 레버(138)가 회전축(D1)을 중심으로 회동한다. 상기 레버는 이에 따라 회전 조인트 또는 힌지를 형성하여 도어 패널의 회전축(A)을 원호형 곡선(K1) 상에서 안내하며, 원호형 곡선은 아래의 경우에 반시계방향으로 편향된다. 마찬가지로, 지지부(142)와 그것을 가진 도어 패널(126)은 회전축(A)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도어 패널(126)은 도 8a 내지 도 8d와 도 9a 내지 도 9d의 순서로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하여 내부 공간(128)에 대해 개방된다. 도어 패널의 회전 운동과 회전축의 슬라이딩 운동은 포지티브하게 링크 로드(144)에 의해 커플링되며 회전축(D2)의 위치에서의 지지부를 회전축(D3)을 중심으로 다른 원호형 곡선(K2) 상으로 강제한다. 도어가 폐쇄될 때, 이러한 움직임들은 반대로 이루어진다.
회동 시, 하우징의 중앙을 지향하는 에지(146)를 가진 도어 패널은 에지 곡선(S1)에 의해 구속되는 회동 영역 위를 지나고, 하우징의 에지를 지향하는 에지(148)는 에지 곡선(S2)에 의해 구속되는 회동 영역을 지난다. 도어 패널은 이에 따라 실제로 출입 개구부 뒤쪽에서 내부 공간(128)으로 개방하도록 회동하지만, 이 경우 출입 개구부의 앞쪽에서 외부 공간(150)으로의 경로를 개방하도록 또한 회동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상기 공통의 샤프트(132)는 이중 도어의 두 도어 패널들 사이에 포지티브한 기계적 커플링을 형성한다. 이러한 포지티브한 커플링은 두 도어 패널들이 동시에 개폐되게 하며 또한 이것은 수동 조작의 경우에도 적용된다. 기본적으로, 수동 조작은, 구동 모터와 관련 센서가 없는 저렴한 변형예로서 제공되거나 또는 자동 시스템에서의 긴급 작동으로 고려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d에서 평면도로 도시되고 도 9a 내지 도 9d에서 사시도로 도시된 된 구동 및 가이드 메커니즘은 바람직하게는 하부 도어 서스펜션을 형성하며, 바람직하게는 냉장고 캐비넷의 하우징의 받침부의 출입 개구부가 밑에 감춰져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을 갖는 것과 비교하여, 레버에 의해 실현되고 곡선형으로 기술된 가이드 경로를 갖는 본 실시예는, 예를 들어 받침부가 가이드 핀과 같은 가이드 요소를 위한 임의의 관통 통로 없이 폐쇄된 상부면에 구성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이로써 상기 받침부의 표면은 쉽게 보다 전체적으로 청소될 수 있다.
평면도로 도시된 도 10a 내지 도 10d, 사시도로 도시된 도 11a 내지 11d, 정면도로 도시된 도 12에서, 전술한 하부 도어 서스펜션과 상보적인 상부 도어 서스펜션이 도시되어 있으며, 상부 도어 서스펜션은 단지 활동적인 구동 요소들, 즉 구동모터, 구동 샤프트, 크랭크, 및 푸시 로드가 존재하지 않음으로써 하부 도어 서스펜션과 구별된다. 적어도 회전축(D1', D2', D3' 및 A')들의 배치와 관련하여, 상기 레버(138), 지지부(142) 및 링크 로드(144)에 상보적인 제 1 링크 암(138'), 가이드 플레이트(142') 및 제 2 링크 암(144')의 가이드 요소들은 하부 도어 서스펜션의 구성과 같아서, 동일한 작동 시퀀스를 가능하게 한다. 제 1 링크 암(138')과 제 2 링크 암(144')은, 동시에 메커니즘을 덮는 작용을 하는 냉장고 캐비넷의 하우징(152)에 다시 회전 가능하게 관절 연결된다. 가이드 플레이트(142')는 제 1 링크 암과 제 2 링크 암 사이에 현수되어 회전축(A')을 중심으로 도어 패널(126)과 동기식으로 회전한다.
정면도에서, 상부 도어 서스펜션은 가이드에 대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를 보다 잘 설명하기 위해 부분적으로만 도시되어 있다. 가이드 플레이트(142')와 제 2 링크 암(144')들이 도시된 반면, 제 1 링크 암(138')은 도면의 단순화를 위해 생략되어 있다. 도어 패널(126)의 상부 에지(153)에는 연결구(154)가 고정되고, 그 위에는 베어링 핀 또는 가이드 핀(156)이 배치된다. 상기 가이드 핀(156)은, 도어 패널과 가이드 플레이트(142') 사이의 상대적인 수평 이동이 불가능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가이드 플레이트(142')의 대응된 베어링 홀에 맞물려서 가이드 플레이트와 도어 패널을 연결한다. 가이드 플레이트(142')의 움직임은 같은 자유도, 즉 전술한 바와 동일하게 하부 지지부(142)의 것과 도어 패널(126)의 것이 결합된 회전-슬라이드 운동을 하도록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축방향 부분(156)의 수평 위치가 분명하게 결정된다. 다시 말해서, 도어는 항상 하단부와 상단부에서 동기식으로 안내된다.
실제로, 가이드 핀(156)과 도어 패널(126) 사이의 연결은 그 두 부분들 사이의 상대적인 회전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이는 회전축(A')을 중심으로 한 동기적인 회전 운동으로 인해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상기 가이드 핀(156)과 도어 패널(126) 사이의 연결이 또한 상대적인 수직 움직임을 허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 연결구는 한편으로 가이드 핀을 구비하고 다른 한편으로 베어링 홀이 형성된 가이드 플레이트를 구비함으로써 축방향의 디커플링 수단을 형성한다. 이렇게 구성된 부동 베어링은, 냉장고 캐비넷의 하중 하에 하우징의 가능한 변형에 근거한 상부 도어 서스펜션과 하부 도어 서스펜션의 어떠한 거리상의 변경도 허용함으로써, 하우징의 과도한 보강 없이도 도어 패널들의 저마찰 및 저마모 작동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10 : 냉장고 캐비넷 12 : 하우징
14 : 출입 개구부 16 : 도어
18 : 내부 공간 20 : 선반
22 : 냉기 커튼 24 : 도어 패널
26 : 상측 도어 서스펜션 28 : 하측 도어 서스펜션
30 : 프레임 32 : 브라켓
34 : 브라켓
36 : 하측 반경방향 베어링 또는 회전식 베어링
38 : 상측 반경방향 베어링 또는 회전식 베어링
40 : 하측 선형 가이드
42 : 상측 선형 가이드 44 : 구동부
46 : 구동 모터 48 : 받침부
50 : 외부 공간 52 : 광원 및 탐지장치
54 : 거울 56 : 광빔
58 : 존재 센서 60 : 존재 센서의 탐지 공간
62 : 도어 패널 64 : 측벽
66 : 측벽 68 : 내측 회동 영역의 경계선
70 : 내부영역 74 : 선형 가이드
76 : 가이드 경로 78 : 가이드 핀
82 : 도어 패널 84 : 선형 가이드
86 : 가이드 핀 88 : 선형 가이드
90 : 측벽 91 : 측벽
92 : 도어 패널 94 : 선형 가이드
96 : 내부 영역 98 : 회전 포인트
100 : 회동 레버 101 : 관절 포인트
102 : 회전 포인트의 원형 경로 104 : 도어 패널
106 : 선형 가이드 110 : 디스크 크랭크
112 : 푸시 로드 114 : 푸시 로드
116 : 관절 포인트 118 : 관절 포인트
120 : 크랭크 핀 124 : 회동 영역
126 : 도어 패널 128 : 내부 영역
130 : 구동 모터 132 : 구동 샤프트
134 : 크랭크 136 : 푸시 로드
138 : 레버 138': 제 1 링크 암
140 : 하우징 142 : 지지부
142' : 가이드 플레이트 144 : 링크 로드
144' : 제 2 링크 암
146 : 도어 에지 하우징 센터를 지목하는 도어 에지
148 : 하우징 에지를 지목하는 도어 에지
150 : 외부 공간 152 : 하우징
153 : 상부 에지 154 : 연결구
156 : 가이드 핀, 베어링 핀 A, A' : 회전 축
B : 도어 패널 폭 D1, D1' ; 회전 축
D2, D2' : 회전 축 D3, D3' : 회전축
K1 : 원호 형상의 곡선 K2 : 원호 형상의 곡선
S1 : 에지 곡선 S2 : 에지 곡선
T : 받침부 깊이

Claims (22)

  1. 전방의 출입 개구부(14)를 갖는 하우징(12),
    상기 출입 개구부(14)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도어 패널(24)을 갖는 도어(16)
    를 구비하고, 상기 도어 패널(24)은 높이(H)와 폭(B)를 갖는 것인 냉장고 캐비넷(10)에 있어서,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는, 상기 도어 패널(24)의 회동 영역이 출입 개구부(14)의 전방에서 외부 공간(50) 속으로 전체 도어 패널의 폭(B)보다 적게 돌출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의 상기 도어 패널(24)의 움직임을 한정하고, 상기 도어 패널(24)은 수직의 회전축(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그리고 회전축에 대해 시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도어(16)는 도어 패널(24)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44)를 구비한 자동 도어이고,
    상기 출입 개구부(14)의 전방 아래쪽에서, 상기 하우징(12)은 출입 개구부(14)의 앞쪽에, 적어도 도어 패널(24)의 회동 영역에 해당하는 깊이(T)만큼 외부 공간(50)으로 돌출된 받침부(4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캐비넷.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수직의 회전축(A)을 한정하는 반경방향 베어링 또는 회전식 베어링(36, 38)과, 상기 회전축(A)에 수직인 평면에서의 가이드 경로를 포함하며, 상기 반경방향 베어링 또는 회전식 베어링(36,38)은, 도어 패널(24)이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안내되어 도어 패널(24)의 회동 영역이 출입 개구부(14)의 전방에서 외부 공간(50) 속으로 도어 패널의 전체 폭(B)보다 적게 돌출하고 출입 개구부(14)의 뒤쪽의 내부 공간속으로 도어 패널의 전체 폭(B)보다 적게 돌출하도록 회전축을 따라 이동 가능한 방식으로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캐비넷.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A)은 폭(B) 방향으로 도어 패널(24)의 중앙 영역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캐비넷.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경로는 회전축(A)에 대해 시계방향으로 배향된 곡선으로 되고, 그 경로를 따라 반경방향 베어링 또는 회전식 베어링(36, 38)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캐비넷.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은 원호(K1)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캐비넷.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A)은 회전 조인트 또는 힌지에 배치되고, 원호(K1) 형상을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캐비넷.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경로는 회전축(A)에 대해 시계방향으로 배향된 선형 가이드(40, 42)에 의해 형성되며, 그 경로를 따라 반경방향 베어링 또는 회전식 베어링(36, 38)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캐비넷.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가이드(40, 42)는 출입 개구부(14)에 평행하게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캐비넷.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16)는 개방 센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캐비넷.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센서는, 출입 개구부(14)의 앞쪽의 외부 공간(50)의 적어도 한 영역을 탐지하는 광전 센서(52, 54, 56) 또는 초음파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캐비넷.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 센서(52, 54, 56)는 도어 패널(24)의 앞쪽에서 수직하게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캐비넷.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센서는 하우징(12) 또는 도어(16) 상에 접촉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캐비넷.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 개구부(14)의 앞쪽의 탐지 영역(60)에서 움직임, 물리적인 물체, 또는 양자 모두를 탐지하는 존재 센서(58)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캐비넷.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존재 센서(58)는 움직임 탐지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캐비넷.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존재 센서는 광전 센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캐비넷.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패널(24)의 회동 영역에서 물리적인 물체를 탐지하는 클램핑 가드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캐비넷.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센서와 결합된 제어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개방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탐지하고, 신호가 탐지될 때 도어(16)를 개방하도록 구동부(44)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캐비넷.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도어가 개방된 후 선택 가능한 시간이 경과한 다음에, 도어(16)를 폐쇄하도록 구동부(44)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캐비넷.
  19. 제17항에 있어서,
    출입 개구부(14)의 앞쪽의 탐지 영역(60)에서 움직임, 물리적인 물체, 또는 양자 모두를 탐지하기 위한 존재 센서(58)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존재 센서(58)로부터의 신호를 탐지하고, 신호가 탐지될 때, 도어(16)를 개방 상태로 유지하거나 또는 도어(16)가 방금 폐쇄되었으면 도어(16)를 개방하도록, 구동부(44)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캐비넷.
  2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 개구부(14)의 바로 뒤쪽에서 하우징(12)의 내부 영역(18)에 냉기 커튼(22)을 발생시키는 공기 흐름 발생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캐비넷.
  2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연속된, 투명한 정면을 형성하는 복수의 이중 패널 도어들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캐비넷.
  22. 제21항에 있어서,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서, 선반들이 수 개의 이중 패널 도어들에 대해 직선형의 전방 에지들을 갖고 일정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캐비넷.
KR1020147024411A 2012-02-16 2013-02-14 냉장고 캐비넷 KR1021161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2202392.5 2012-02-16
DE102012202392.5A DE102012202392B4 (de) 2012-02-16 2012-02-16 Kühlmöbel
PCT/EP2013/052950 WO2013120941A1 (de) 2012-02-16 2013-02-14 Kühlmöb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5413A KR20140125413A (ko) 2014-10-28
KR102116150B1 true KR102116150B1 (ko) 2020-05-28

Family

ID=47749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4411A KR102116150B1 (ko) 2012-02-16 2013-02-14 냉장고 캐비넷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0238219B2 (ko)
EP (1) EP2814360B1 (ko)
JP (2) JP6290102B2 (ko)
KR (1) KR102116150B1 (ko)
CN (1) CN104114064B (ko)
BR (1) BR112014016866A8 (ko)
DE (1) DE102012202392B4 (ko)
ES (1) ES2701784T3 (ko)
WO (1) WO2013120941A1 (ko)
ZA (1) ZA20140542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63712B (zh) * 2015-01-09 2017-12-29 郑州枫华实业有限公司 一种传动开启式展柜
US10677962B2 (en) 2015-03-06 2020-06-09 The Climate Corporation Estimating temperature values at field level based on less granular data
CN107076509B (zh) 2015-04-27 2020-09-01 Lg 电子株式会社 冰箱和用于打开冰箱门的方法
US10482525B2 (en) * 2015-08-25 2019-11-19 Keenwawa, Inc. Computer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and managing product orders
CN105466124B (zh) * 2015-12-29 2018-03-23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冰箱门体的引导组件及冰箱
JP6749105B2 (ja) * 2016-02-29 2020-09-02 シャープ株式会社 扉構造
DE102016214833A1 (de) * 2016-08-10 2018-02-15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kältegerät mit einem Kühlfach und einer das Kühlfach verschließenden Tür, deren Drehachse in Breitenrichtung verschiebbar ist
EP3341249B8 (en) * 2016-08-25 2023-08-23 Keenwawa, Inc. Computer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and managing product orders
US11176770B2 (en) 2018-03-28 2021-11-16 Keenwawa, Inc. Real-time processing and managing of product orders
DE102018131788A1 (de) * 2018-04-03 2019-10-10 Liebherr-Hausgeräte Lienz Gmbh Kühl- und/oder Gefriergerät
DE102018220145A1 (de) * 2018-11-23 2020-05-28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Verfahren und Verstellvorrichtung zum Verstellen eines Fahrzeugverstellteils mit ausgegebener Statusinformation
EP3685707B1 (en) * 2019-01-22 2024-02-28 Carrier Corporation Refrigerated sales cabine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56071A (ja) * 1999-04-14 2000-12-26 Mikishii:Kk 電動・手動兼用折戸
JP2001059380A (ja) * 1999-08-25 2001-03-06 Optex Co Ltd 自動ドア
JP2002285755A (ja) * 2001-03-23 2002-10-03 Optex Co Ltd 自動ドアの開閉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31266Y2 (ko) * 1972-02-17 1982-07-09
JPS51119919U (ko) * 1975-03-26 1976-09-29
JPS52169038U (ko) 1976-06-16 1977-12-22
JPS5730383Y2 (ko) * 1977-11-29 1982-07-02
JPS5494667U (ko) * 1977-12-17 1979-07-04
JPS5494667A (en) 1978-01-09 1979-07-26 Nippon Telegraph & Telephone Method of forming circuit
JPS5659178A (en) 1979-10-19 1981-05-22 Hitachi Ltd Refrigerating chamber
JPS5698981U (ko) * 1979-12-27 1981-08-05
JPS5698981A (en) 1980-01-10 1981-08-08 Mitsubishi Electric Corp Monitoring device for prevention of crime
JPS56133568A (en) * 1980-03-24 1981-10-19 Sanyo Electric Co Refrigerated display case
JPS596453Y2 (ja) * 1981-02-17 1984-02-28 株式会社光電製作所 方位測定アンテナ
JPH02103374A (ja) * 1988-10-11 1990-04-16 Hiroki Jufuku ショーケースあるいは収納庫の自動扉ハネ上げ機構
JPH0367979A (ja) * 1989-08-03 1991-03-22 Sanyo Electric Co Ltd 収納庫
DE3940762A1 (de) * 1989-12-09 1991-06-13 Hein Gmbh Christian Schiebetuer
WO1992013161A1 (de) * 1991-01-25 1992-08-06 Gilgen Ag Antriebsanordnung für den flügel einer schiebe-/schwenktüre oder einer falttüre
JPH07198243A (ja) * 1993-11-24 1995-08-01 Fuji Electric Co Ltd 冷凍冷蔵ショーケースのドレン排水構造
US5584189A (en) * 1995-05-03 1996-12-17 L&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Refrigerated merchandiser
US6225904B1 (en) * 1999-09-29 2001-05-01 Refrigerator Manufacturers, Inc. Automatic sliding door system for refrigerator unit
JP2002021435A (ja) * 2000-07-09 2002-01-23 Kyoei Kanamono Seisakusho:Kk 折戸用ローラー装置及びこの折戸用ローラー装置を備えた家具及びクローゼット
US6715311B1 (en) * 2002-09-18 2004-04-06 Carrier Commercial Refrigeration, Inc. Bi-folding doors for air distribution plenum
WO2004079281A2 (en) * 2003-01-14 2004-09-16 Hcr Incorporated Conditioned vestibule for a cold storage doorway
CA2462992C (en) * 2004-04-01 2006-03-21 Foodtrust Of Prince Edward Island Limited Refrigerated merchandiser
JP2005345040A (ja) * 2004-06-04 2005-12-15 Daiwa Industries Ltd 冷蔵ショーケース
US7377125B2 (en) * 2004-10-20 2008-05-27 Cold Fusion Industries, Llc Walk-in refrigerator/freezers and wine coolers for home use
CN2737903Y (zh) * 2004-11-01 2005-11-02 上海华铭智能终端设备有限公司 电机驱动滑块式扇门机构
US8047988B2 (en) * 2005-03-30 2011-11-01 Lg Electronics Inc. Avatar refrigerator
EP1754852A3 (de) * 2005-08-18 2013-05-15 Dorma GmbH + Co. KG Schiebedrehtür
DE202005015150U1 (de) * 2005-09-26 2007-02-15 Liebherr-Hausgeräte Lienz Gmbh Kühlgerät
US8099970B2 (en) * 2006-12-08 2012-01-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door open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7905101B2 (en) * 2006-12-15 2011-03-15 Hussmann Corporation Refrigerated merchandiser with glass door heat control
DE102007029188A1 (de) * 2007-06-25 2009-01-08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DE102007034417A1 (de) * 2007-07-20 2009-01-22 Albert Weiss Warenpräsentationsmöbel
CA2715757A1 (en) * 2008-02-27 2009-09-03 Sensotech Inc. Presence detector for a door assembly
DE102009026659A1 (de) * 2009-06-03 2010-12-09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Haushaltsgerät
DE102010004950A1 (de) * 2010-01-18 2011-07-21 Remis Gesellschaft für Entwicklung und Vertrieb von technischen Elementen mbH, 50829 Kühlregal mit Türvorrichtung
KR101081617B1 (ko) 2011-03-14 2011-11-09 (주)티원시스템즈 입체감을 갖는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쇼 케이스 냉장고.
ITRM20110243A1 (it) 2011-05-19 2012-11-20 Ind Scaffalature Arredamenti Isa S R L Frigorifero espositore.
DE102011103300A1 (de) * 2011-05-26 2012-11-29 Coolback Gmbh Geschlossenes Kühlrega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56071A (ja) * 1999-04-14 2000-12-26 Mikishii:Kk 電動・手動兼用折戸
JP2001059380A (ja) * 1999-08-25 2001-03-06 Optex Co Ltd 自動ドア
JP2002285755A (ja) * 2001-03-23 2002-10-03 Optex Co Ltd 自動ドアの開閉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2202392A1 (de) 2013-08-22
CN104114064A (zh) 2014-10-22
EP2814360A1 (de) 2014-12-24
JP2015513059A (ja) 2015-04-30
ZA201405427B (en) 2015-12-23
JP6290102B2 (ja) 2018-03-07
BR112014016866A8 (pt) 2017-07-04
WO2013120941A1 (de) 2013-08-22
US10238219B2 (en) 2019-03-26
EP2814360B1 (de) 2018-09-19
US20140311173A1 (en) 2014-10-23
DE102012202392B4 (de) 2015-08-27
JP2018066556A (ja) 2018-04-26
KR20140125413A (ko) 2014-10-28
CN104114064B (zh) 2018-09-28
ES2701784T3 (es) 2019-02-25
BR112014016866A2 (pt) 2017-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6150B1 (ko) 냉장고 캐비넷
US6225904B1 (en) Automatic sliding door system for refrigerator unit
RU2424753C1 (ru) Фурнитура для углового шкафа с выдвижной цельной полкой
KR20220024913A (ko) 저장 바구니 상승 수단 및 이를 구비한 냉각 기기
EP3685707B1 (en) Refrigerated sales cabinet
KR20200005120A (ko) 서랍형 냉장고
US8104852B2 (en) Refrigerator
EP2389090B1 (en) Self-closing barrier screen
JP5988498B2 (ja) 自動扉
WO2017149556A1 (en) A cabinet with pulling out and putting back shelves and mechanism thereon
EP3641593B1 (en) Cabinet with pull-out shelves and related pull-out mechanism
CN211167173U (zh) 一种运输机器人
DE202012001984U1 (de) Kühlmöbel
US20180245838A1 (en) Refrigerated cabinet
KR100520843B1 (ko) 전동식 수납가구
US11918128B2 (en) Disc for refrigeration unit and refrigeration unit
US20230099221A1 (en) Worktop Unit
WO2012063017A2 (en) Self-closing barrier screen
JP2005027812A (ja) ショーケース
JP2020084623A (ja) 自動ドア
WO2012004576A1 (en) Self-closing barrier scre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