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4292B1 - 플럭스 회수 장치, 납땜 장치 및 플럭스 제거 방법 - Google Patents

플럭스 회수 장치, 납땜 장치 및 플럭스 제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4292B1
KR102114292B1 KR1020200028047A KR20200028047A KR102114292B1 KR 102114292 B1 KR102114292 B1 KR 102114292B1 KR 1020200028047 A KR1020200028047 A KR 1020200028047A KR 20200028047 A KR20200028047 A KR 20200028047A KR 102114292 B1 KR102114292 B1 KR 1021142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x
water
connection port
recovery device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8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츠토무 히야마
Original Assignee
센주긴조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센주긴조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센주긴조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4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42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00Tools, devices, or special appurtenances for 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methods
    • B23K3/08Auxiliary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3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conden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38Removing components of undefined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00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 B23K1/20Preliminary treatment of work or areas to be soldered, e.g. in respect of a galvanic coating
    • B23K1/203Fluxing, i.e. applying flux onto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00Tools, devices, or special appurtenances for 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meth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47/00Details relating to the separation of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2247/04Regenerating the washing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45Gas separation or purification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36Electric or electronic devices
    • B23K2101/42Printed circui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lectric Connection Of Electric Components To Printed Circuit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과제] 배관 내부의 플럭스를 제거할 수 있는 플럭스 회수 장치 및 플럭스의 제거 방법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본 발명에 관련된 플럭스 회수 장치(200)는, 플럭스 성분을 포함하는 혼합 기체로부터 플럭스를 회수하는 플럭스 회수 장치(200)로서, 물을 이용하여 혼합 기체로부터 플럭스를 분리하여, 플럭스를 포함하는 물을 배출하는, 분리부(400)와, 플럭스를 포함하는 물이 유입하는 제 2 접속구(540), 제 2 접속구(540)보다 하류측에 위치하여 중력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직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사부(580), 경사부(580)보다 상류측에 위치하는 제 1 접속구(520)를 가지는 배관(500)과, 제 1 접속구(520)로부터 물을 공급하는 펌프(220)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플럭스 회수 장치, 납땜 장치 및 플럭스 제거 방법{FLUX RECOVERY DEVICE, SOLDERING DEVICE AND METHOD FOR REMOVING FLUX}
본 발명은, 플럭스 회수 장치, 납땜 장치 및 플럭스 제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회로 기판으로의 전자 부품의 납땜을 행할 경우에는, 리플로우로(爐)나 분류(噴流) 납땜 장치 등의 납땜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납땜을 행할 때에는 회로 기판의 납땜 개소에 플럭스가 도포된다. 플럭스는, 납땜되는 금속 표면의 산화막을 제거하고, 또한 납땜 공정에 있어서의 가열 처리 시에 금속 표면이 재산화하는 것을 방지한다. 플럭스는 주로, 로진, 칙소제, 활성제 등의 고형 성분이 용제에 의해 용해되어 이루어진다. 플럭스를 회로 기판에 도포할 경우, 예를 들면 리플로우로를 이용할 경우는, 플럭스와 땜납 분말을 혼합하여 페이스트상(狀)으로 한 솔더 페이스트가 이용되고, 분류 납땜 장치를 이용할 경우는, 플럭서에 의해 기판에 직접 플럭스가 도포된다.
솔더 페이스트로서, 또는 플럭서에 의해 도포된 플럭스는, 납땜 전의 예비 가열부에 있어서, 플럭스 성분 중의 특히 용제가 기화하여 플럭스 흄이 된다. 또한 납땜을 행하는 본 가열부에 있어서는, 플럭스 성분 중의 특히 로진 등의 고형 성분이 기화하여 플럭스 흄이 되고, 장치 내에 부유한다. 이들 플럭스 흄은, 장치 내의 비교적 온도가 낮은 부분, 예를 들면 회로 기판을 반송하는 체인 컨베이어 등에 접하면 식혀져 결로되고, 더 온도가 떨어지면 점착성이 있는 고형물이 된다. 이 고형물이, 장치 내의 각 부에 부착이나 퇴적함으로써, 납땜 장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예를 들면 체인 컨베이어에 대량으로 부착된 경우에는, 회로 기판이 컨베이어로부터 떨어지지 않고 컨베이어의 스프로킷에 말려들어가서 회로 기판이 파손된다. 또한, 반송 중의 회로 기판 상에 부착되면, 회로 기판이 오손(汚損)된다. 그 때문에, 납땜 장치 내의 대기 분위기나 질소 등의 불활성 분위기와, 플럭스 성분과의 혼합 기체로부터, 플럭스 성분을 분리하여 제거하는 플럭스 회수 장치가 이용된다.
여기서, 플럭스 회수 장치의 일례가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플럭스 회수 장치는, 혼합 기체에 물을 살수하는 제 1 살수부와, 혼합 기체로부터 플럭스 성분을 분리하는 분리부를 구비한다. 또한, 분리부는, 상측부에 혼합 기체를 도입하는 도입부와, 상부에 개구부를 가지고, 하부에 원뿔부를 가진 플럭스 성분 분리용의 통 형상체와, 통 형상체의 개구부에 계합(engaging)된 덮개부를 구비한다. 그리고, 덮개부는 원반 형상의 본체부를 가지고, 소정의 길이를 가진 배기용의 원통부가 본체부를 관통하는 형태로 마련되어 있다. 또한, 원뿔부는 배수구를 가진다.
이 플럭스 회수 장치에 의하면, 통 형상체의 접선 방향으로부터 도입부로 혼합 기체가 들어가면, 혼합 기체는, 물과 혼합된 상태로 선회류가 된다. 그리고, 혼합 기체에 포함되는 플럭스는, 분리부 내에 공급된 물에 의해 냉각된다. 이에 의해, 플럭스의 대부분이 액화, 고형화를 시작함과 함께, 플럭스는, 살수된 수분으로 피복된다. 즉, 플럭스는, 물과 섞여, 플럭스를 포함하는 물이 되고, 혼합 기체로부터 제거된다. 그 후, 선회류로부터 플럭스를 포함하는 물이 분리되어, 배수구로부터 배수된다. 또한, 원통부로부터, 플럭스가 제거된 기체가 흡출된다. 이 때문에, 이 플럭스 회수 장치는, 혼합 기체로부터 플럭스를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이 플럭스 회수 장치는, 분리부로부터 회수되는 플럭스를 포함하는 물을 정화하는 물 정화 장치를 더 구비한다. 이 물 정화 장치는 분리부의 배수구에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플럭스를 포함하는 물은, 분리부로부터 물 정화 장치로 옮겨진다. 그리고, 플럭스를 포함하는 물은, 물 정화 장치에 의해 정화되고, 플럭스를 포함하는 물로부터 플럭스는 제거된다.
일본특허 제5761466호 공보
상술한 바와 같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플럭스 회수 장치는, 혼합 기체에 포함되는 플럭스 성분을 물에 의해 냉각함으로써, 플럭스의 대부분을 액화, 고형화시키고 있다. 이 때문에, 배수구로부터 배수되는 플럭스를 포함하는 물에는, 액화, 고형화된 플럭스가 많이 포함된다. 특히 플럭스는, 저온에서 매우 점성이 높은 액체가 된다.
또한, 플럭스를 포함하는 물이, 분리부로부터 물 정화 장치로 흐를 때에, 분리부와 물 정화 장치의 사이를 연결하는 배관의 내부를 흐르게 된다. 여기서, 분리부와 물 정화 장치의 사이를 연결하는 배관은, 설계 사양을 감안하여, 플럭스 회수 장치를 구성하는 각 부품의 배치에 따라, 다양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배관이 중력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경우, 액화하여 고점성이 된 플럭스는, 중력을 이용함으로써, 간신히 배관 내부를 하류 방향을 향해 흐를 수 있다. 그러나, 배관이 중력 방향 이외로 연장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플럭스가 배관의 내벽에 부착되어, 배관을 막아 버릴 우려가 있다. 특히, 배관이 수평 방향이나 수평 방향에 가까운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될 경우에, 내벽에 부착된 플럭스가 배관을 막아 버리는 문제는 현저하게 나타나 왔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과제를 감안하여, 배관 내부의 플럭스를 제거할 수 있는 플럭스 회수 장치 및 플럭스의 제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형태 1)
형태 1에 관련된 플럭스 회수 장치는, 플럭스 성분을 포함하는 혼합 기체로부터 플럭스를 회수하는 플럭스 회수 장치로서, 물을 이용하여 상기 혼합 기체로부터 플럭스를 분리하여, 플럭스를 포함하는 물을 배출하는, 분리부와, 상기 플럭스를 포함하는 물이 유입하는 제 2 접속구, 상기 제 2 접속구보다 하류측에 위치하여 중력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직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보다 상류측에 위치하는 제 1 접속구를 가지는 배관과, 상기 제 1 접속구로부터 물을 공급하는 펌프를 구비한다.
형태 1에 관련된 플럭스 회수 장치에서는, 경사부에 플럭스가 부착된 경우라도, 펌프가 공급한 물이 경사부를 흐르기 때문에, 이 부착된 플럭스를 떠내려가게 할 수 있다. 즉, 이 플럭스 회수 장치는, 배관 내부의 플럭스를 제거할 수 있다.
(형태 2)
형태 2에 관련된 플럭스 회수 장치에 의하면, 형태 1에 기재된 플럭스 회수 장치에 있어서, 상기 펌프에 의해 상기 제 1 접속구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압력은, 상기 제 2 접속구로부터 유입하는 상기 플럭스를 포함하는 물의 압력보다 높다.
형태 2에 관련된 플럭스 회수 장치는, 제 2 접속구로부터 유입하는 플럭스를 포함하는 물의 압력보다 높은 압력을 경사부에 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 플럭스 회수 장치는, 제 2 접속구로부터 유입하는 물의 압력으로 떠내려가게 할 수 없는 플럭스를, 보다 높은 수압으로 떠내려가게 할 수 있다.
(형태 3)
형태 3에 관련된 플럭스 회수 장치에 의하면, 형태 1 또는 형태 2에 기재된 플럭스 회수 장치에 있어서, 상기 펌프에 의해 상기 제 1 접속구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압력과, 상기 경사부의 하류측의 압력과의 압력차는, 0.1MPa 이상이다.
형태 3에 관련된 플럭스 회수 장치는, 0.1MPa 이상의 압력으로, 경사부에 부착되어 있는 플럭스를 떠내려가게 할 수 있다.
(형태 4)
형태 4에 관련된 플럭스 회수 장치에 의하면, 형태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플럭스 회수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직선 배관부를 가지고, 상기 제 1 접속구가 형성된 위치로부터 상기 직선 배관부의 하류 단부까지의 사이에서는, 상기 배관은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펌프로부터 공급된 물은 상기 직선 배관부를 향해 분사된다.
형태 4에 관련된 플럭스 회수 장치에서는, 펌프로부터 공급된 물이 직선 배관부를 향해 분사되기 때문에, 분사의 기세를 이용하여, 직선 배관부에 부착된 플럭스를 흐르게 할 수 있다.
(형태 5)
형태 5에 관련된 플럭스 회수 장치에 의하면, 형태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플럭스 회수 장치에 있어서, 상기 펌프는, 추가로 상기 분리부에 물을 공급한다.
형태 5에 관련된 플럭스 회수 장치는, 분리부에 물을 공급하는 펌프와, 제 1 접속구에 물을 공급하는 펌프를 공유화할 수 있다.
(형태 6)
형태 6에 관련된 플럭스 회수 장치는, 형태 5에 기재된 플럭스 회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가 배출한 상기 플럭스를 포함하는 물이 공급되고, 상기 플럭스를 포함하는 물로부터, 플럭스를 분리하여, 플럭스를 회수하는, 정화 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펌프는, 상기 정화 장치에 의해 상기 플럭스를 포함하는 물로부터 분리된 물을, 상기 제 1 접속구 및 상기 분리부에 공급한다.
형태 6에 관련된 플럭스 회수 장치에 의하면, 정화 장치로 정화된 물을 플럭스의 제거에 이용할 수 있다. 즉, 플럭스 회수 장치는, 경사부에 부착된 플럭스의 제거에 이용하는 물을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급수원을 새롭게 구비할 필요가 없다.
(형태 7)
형태 7에 관련된 플럭스 회수 장치는, 형태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플럭스 회수 장치에 있어서, 상기 펌프의 상기 제 1 접속구로의 물의 공급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한다.
형태 7에 관련된 플럭스 회수 장치에 의하면, 제어부가 행하는 제어에 따라, 자동적으로 플럭스를 제거할 수 있다.
(형태 8)
형태 8에 관련된 플럭스 회수 장치에 의하면, 형태 7에 기재된 플럭스 회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소정 시간의 경과마다, 상기 물의 공급의 제어를 행한다.
형태 8에 관련된 플럭스 회수 장치는, 소정 시간의 경과마다, 플럭스를 제거할 수 있다.
(형태 9)
형태 9에 관련된 납땜 장치는, 땜납 처리부와, 상기 땜납 처리부에서 발생하는 플럭스 성분을 포함하는 혼합 기체로부터 플럭스를 회수하는, 청구항 1 내지 8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플럭스 회수 장치를 구비한다.
형태 9에 관련된 납땜 장치는, 형태 1과 마찬가지로, 배관 내부의 플럭스를 제거할 수 있다.
(형태 10)
형태 10에 관련된 플럭스 제거 방법은, 물을 이용하여 플럭스 성분을 포함하는 혼합 기체로부터 플럭스를 분리하여, 플럭스를 포함하는 물을 배출하는 공정과, 제 2 접속구, 상기 제 2 접속구보다 하류측에 위치하여 중력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직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보다 상류측에 위치하는 제 1 접속구를 가지는 배관의, 상기 제 2 접속구로부터, 상기 플럭스를 포함하는 물이 유입하는 공정과, 상기 제 1 접속구에 물을 공급하는 공정을 가진다.
형태 10에 관련된 플럭스 제거 방법에 의하면, 경사부에, 플럭스가 부착된 경우라도, 제 1 접속구로부터 공급하는 물이 경사부를 흐르기 때문에, 이 부착된 플럭스를 떠내려가게 할 수 있다. 즉, 이 플럭스 제거 방법은, 배관 내부의 플럭스를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배관 내부의 플럭스를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플럭스 회수 장치를 구비하는 납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나타낸, 분리부 및 정화조를 접속하는 배관 부분을 상세하게 나타낸 구조도이다.
도 3은,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플럭스 회수 장치의 배관의 부분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도면에 있어서, 동일 또는 상당하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실시형태]
<구성>
(전체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플럭스 회수 장치를 구비하는 납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납땜 장치(100)는, 땜납 처리부(120) 및 플럭스 회수 장치(200)를 구비한다. 납땜 장치(100)는, 일례로서, 기판에 전자 부품을 납땜하는 장치이다.
이하, 납땜 장치(100)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하여 나누어 설명한다.
땜납 처리부(120)는, 일례로서, 회로 기판에 전자 부품을 납땜하는 처리나, 회로 기판을 예열하는 처리 등의, 납땜에 관한 처리를 행한다. 땜납 처리부(120)에서는, 납땜을 원활하게 행하기 위하여, 플럭스가 도포된 회로 기판이 이용되고 있다. 이 때문에, 납땜 처리나 회로 기판의 예열에 의해, 플럭스가 기화하여, 땜납 처리부(120)의 내부를 부유한다. 즉, 땜납 처리부(120)의 내부는, 플럭스 성분을 포함하는 혼합 기체에 의해 채워진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혼합 기체란, 땜납 처리 시에 발생하는 기체 상태로 된 플럭스와, 땜납 처리부(120) 내에 처음부터 존재한 기체가 혼재한 기체를 말한다.
플럭스 회수 장치(200)는, 플럭스 성분을 포함하는 혼합 기체로부터 플럭스를 회수하는 장치이다. 플럭스 회수 장치(200)는, 땜납 처리부(120)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플럭스 회수 장치(200)는, 땜납 처리부(120)의 내부의 혼합 기체로부터, 플럭스를 회수하고, 플럭스가 회수된 기체를 땜납 처리부(120)에 공급할 수 있다. 플럭스 회수 장치(200)는, 일례로서, 분리부(400), 배관(500), 정화 장치(600), 펌프(220), 밸브(240), 제어부(260), 급수 탱크(280), 칠러 유닛(300), 결로 장치(320) 및 송풍기(340)를 구비한다.
분리부(400)는, 땜납 처리부(120)와 유체 연통하고 있어, 땜납 처리부(120)로부터 혼합 기체를 흡입할 수 있다. 또한, 분리부(400)는, 기지(旣知)의 방법에 의해, 흡입한 혼합 기체로부터 플럭스를 분리하는 기능을 가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분리부(400)는, 혼합 기체에 물을 혼합한다. 이에 의해, 혼합 기체에 포함되는 플럭스는 물에 의해 냉각된다. 냉각된 플럭스는, 액화 또는 고형화한다. 이에 의해, 혼합 기체에 포함되어 있던 플럭스가 분리되어, 혼합 기체로부터 플럭스가 제거된다. 또한, 액화 또는 고형화한 플럭스는, 플럭스의 분리에 이용된 물에 피복되어, 분리부(400)로부터 배출된다. 이 때문에, 분리부(400)로부터 배관(500)으로, 플럭스를 포함하는 물이 배출된다.
결로 장치(320)는, 분리부(400)와 유체 연통되어 있어, 분리부(400)에서 플럭스가 제거된 기체가 분리부(400)로부터 공급된다. 분리부(400)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물을 이용하여 혼합 기체로부터 플럭스를 분리한다. 이 때문에, 분리부(400)에서 플럭스가 제거된 기체에는, 수증기가 많이 포함된다. 결로 장치(320)는, 플럭스가 제거된 기체로부터 수증기를 제거하는 기능을 가진다. 또한, 결로 장치(320)는, 플럭스가 제거된 기체로부터 수증기를 제거한 후에, 이 수증기가 제거된 기체를 송풍기(340)에 공급한다.
송풍기(340)는, 결로 장치(320)와 유체 연통되어 있다. 그리고, 송풍기(340)는, 수증기가 제거된 기체를 결로 장치(320)로부터 흡인하고, 이 수증기가 제거된 기체를 땜납 처리부(120)에 송풍하는 기능을 가진다.
배관(500)은, 분리부(400)와 정화 장치(600)의 정화조(620)를 접속하고 있다. 배관(500)은, 분리부(400)가 배출한 플럭스를 포함하는 물을, 정화조(620)에 공급하는 기능을 가진다. 또한, 배관(500)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정화 장치(600)는, 일례로서, 정화조(620) 및 오존 발생기(640)를 가진다. 정화 장치(600)는, 공급된 플럭스를 포함하는 물을, 정화조(620)에 수용한다. 또한, 정화조(620)에는, 오존 발생기(640)가 오존의 기포를 공급하고 있다. 이에 의해, 정화 장치(600)는 오존을 이용하여 플럭스를 분해한다. 그 후, 정화 장치(600)는, 플럭스의 분해물을 포함하는 물에 필터를 통과시킨다. 이에 의해, 분해물은 필터에 흡착되므로, 정화 장치(600)는, 플럭스를 포함하는 물을 정화할 수 있다.
또한, 정화 장치(600)는, 펌프(220)를 개재하여, 분리부(400)와 유체 연통하고 있다. 이에 의해, 펌프(220)는, 정화 장치(600)에서 정화된 물을 분리부(400)에 공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물은, 분리부(400), 배관(500), 정화 장치(600), 펌프(220)의 순서로 흐를 수 있다. 또한, 펌프(220)는, 정화 장치(600)에 의해 정화된 물을, 분리부(400) 외에, 배관(500)의 제 1 접속구(520)에도 공급한다. 펌프(220)와 제 1 접속구(520)의 사이에는, 밸브(240)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밸브(240)가 조정됨으로써, 펌프(220)로부터 제 1 접속구(520)에 공급되는 물의 유량이 변화한다.
제어부(260)는, 소정 시간의 경과마다, 제 1 접속구(520)로의 물의 공급의 제어를 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260)는, 소정 시간의 경과마다, 밸브(240)의 개방을 제어한다.
칠러 유닛(300)은, 정화 장치(600)에 장착되어 있다. 칠러 유닛(300)은, 정화 장치(600)에서 정화된 물을 냉각하여, 다시 정화 장치(600)에 되돌릴 수 있다.
급수 탱크(280)는, 물의 순환에 있어서 부족한 물을 정화조(620)에 공급한다.
(배관의 구성)
다음에, 도 2를 참조하여, 배관(500)의 보다 상세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분리부(400) 및 정화조(620)를 접속하는 배관(500)의 부분을 상세하게 나타낸 구조도이다. 도 2을 참조하면, 배관(500)은, 제 1 접속구(520), 제 2 접속구(540), 제 3 접속구(560) 및 경사부(580)를 가진다. 제 2 접속구(540)는, 분리부(400)와 접속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2 접속구(540)에는 플럭스를 포함하는 물이 유입한다. 또한, 경사부(580)는, 제 2 접속구(540)보다 하류측에 위치하여 중력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직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배관이 어떤 방향으로 연장된다란, 당해 배관의 중심선이 어떤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 때문에, 경사부(580)는, 중심선이 연직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관(500)의 부분이다. 또한, 경사부(580)는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직선 배관부(582)를 가진다. 또한, 제 1 접속구(520)는, 경사부(580)보다 상류측에 위치하고, 전술의 펌프(220)와 밸브(240)를 개재하여 유체 연통하고 있다(도 1 참조). 그리고, 제 1 접속구(520)가 형성된 위치로부터 직선 배관부(582)의 하류 단부(584)까지의 사이에서는, 배관(500)은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고, 펌프(220)로부터 공급된 물은 경사부(580)의 직선 배관부(582)를 향해 분사된다. 또한, 펌프(220)에 의해 제 1 접속구(520)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압력은, 제 2 접속구(540)로부터 유입하는 플럭스를 포함하는 물의 압력보다 높아지도록, 펌프(220)가 공급하는 물의 수압이 설정되어 있다. 또한, 펌프(220)에 의해 제 1 접속구(520)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압력과, 경사부(580)의 하류측의 압력과의 압력차는, 0.1MPa 이상이 되도록, 펌프(220)가 공급하는 물의 수압이 설정되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제 1 지점을 흐른 물이, 제 1 지점을 흐른 후에 제 2 지점을 흐르는 경우에 있어서, 제 1 지점은 제 2 지점의 상류측으로 정의되고, 제 2 지점은 제 1 지점의 하류측으로 정의된다.
<플럭스 제거 방법>
다음에, 플럭스 회수 장치(200)의 플럭스 제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플럭스 회수 장치(200)의 플럭스 제거 방법을 설명함에 있어서, 먼저 제거되는 플럭스가 배관(500)의 내벽에 부착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혼합 기체로부터 플럭스를 회수할 경우, 분리부(400)는, 물을 이용하여 혼합 기체로부터 플럭스를 분리한다. 그 후, 분리부(400)는, 플럭스를 포함하는 물을 배관(500)에 배출한다. 그리고, 플럭스를 포함하는 물은, 배관(500)의 제 2 접속구(540)로부터 배관(500)의 내부에 유입하고, 경사부(580)를 지나 정화 장치(600)로 흐른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플럭스는, 저온에서 점성이 높은 액체가 된다. 이 때문에, 플럭스를 포함하는 물이, 중력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관을 흐를 경우에는, 배관의 내벽에 부착되기 어렵지만, 중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관의 내부를 흐를 경우에는, 플럭스가 배관의 벽면에 부착될 우려가 있다. 즉, 플럭스는, 경사부(580)에 부착될 우려가 있다(도 2 참조).
다음에, 경사부(580)에 부착된 플럭스(502)의 제거 방법을 설명한다.
플럭스 회수 장치(200)에서는, 제어부(260)가, 소정 시간의 경과마다, 밸브(240)의 개방을 제어한다(도 1 참조). 이에 의해, 펌프(220)가 공급하는 물이, 제 1 접속구(520)로부터 공급된다(도 2 참조). 그리고, 이 공급된 물은, 경사부(580)를 향해 흐른다. 이 때문에, 경사부(580)에 부착된 플럭스(502)는, 공급된 물의 수압에 의해 떠내려가게 된다. 즉, 플럭스 회수 장치(200)는, 경사부(580)에 부착된 플럭스(502)를 제거할 수 있다.
<작용·효과>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플럭스 회수 장치(200)의 작용·효과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제 1 효과)
플럭스 회수 장치(2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경사부(580)의 상류측에, 펌프(220)와 접속되어 있는 제 1 접속구(520)를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플럭스 회수 장치(200)는, 펌프(220)가 공급하는 물을 제 1 접속구(520)로부터 흐르게 함으로써, 경사부(580)에 부착된 플럭스(502)를 떠내려가게 할 수 있다. 특히, 플럭스 회수 장치(200)에서는, 펌프(220)에 의해 제 1 접속구(520)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압력은, 제 2 접속구(540)로부터 유입하는 플럭스를 포함하는 물의 압력보다 높다. 이 때문에, 제 1 접속구(520)로부터 공급되는 물은, 제 2 접속구(540)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수압으로 흐르게 할 수 없는 플럭스(502)를 떠내려가게 할 수 있다.
(제 2 효과)
또한, 플럭스 회수 장치(200)에서는, 제 1 접속구(520)가 형성된 위치로부터 직선 배관부(582)의 하류 단부(584)까지의 사이는, 배관(500)은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고, 공급된 물은 직선 배관부(582)를 향해 분사된다. 이 때문에, 분사의 기세를 이용하여, 직선 배관부(582)에 부착된 플럭스(502)를 흐르게 할 수 있다.
(제 3 효과)
또한, 플럭스 회수 장치(200)에서는, 펌프(220)는, 분리부(400)에 물을 공급하는 것 외에, 제 1 접속구(520)에도 물을 공급한다. 이 때문에, 플럭스 회수 장치(200)는, 경사부(580)에 부착된 플럭스(502)를 제거하기 위하여, 펌프(220)에 추가하여, 별도의 펌프를 새롭게 구비할 필요가 없다.
(제 4 효과)
또한, 플럭스 회수 장치(200)에서는, 정화 장치(600)가 정화한 물이, 펌프(220)에 의해, 제 1 접속구(520)에 공급된다. 이 때문에, 플럭스 회수 장치(200)는, 기존의 설비인 정화 장치(600)를, 제 1 접속구(520)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원으로 하고 있다. 즉, 플럭스 회수 장치(200)는, 정화 장치(600)에 추가하여, 경사부(580)에 부착된 플럭스(502)의 제거에 이용할 물을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급수원을 구비할 필요가 없다.
(제 5 효과)
또한, 제어부(260)는, 소정 시간의 경과마다, 밸브(240)의 개방을 제어한다. 이 때문에, 플럭스 회수 장치(200)는, 소정 시간의 경과마다, 플럭스(502)를 제거할 수 있다. 즉, 플럭스 회수 장치(200)는, 부착된 플럭스(502)가 시간과 함께 성장하여 배관(500)을 막기 전에, 플럭스(502)를 제거할 수 있다. 즉, 플럭스 회수 장치(200)는, 배관(500)의 막힘을 억제할 수 있다.
<변형례>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플럭스 회수 장치(200)의 변형례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제 1 변형례)
플럭스 회수 장치(200)에서는, 펌프(220)가, 분리부(400)와 함께, 제 1 접속구(520)에도 물을 공급하고 있다. 그러나, 플럭스 회수 장치(200)는, 펌프(220)에 추가하여, 분리부(400)에 물을 공급하지 않고 제 1 접속구(520)에 물을 공급하는 별도의 펌프를 구비해도 된다. 펌프(220)가 반드시 제 1 접속구(520)에 물을 공급하지 않더라도, 별도의 펌프가 제 1 접속구(520)에 물을 공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제 2 변형례)
또한, 플럭스 회수 장치(200)에서는, 정화 장치(600)에서 정화된 물이, 제 1 접속구(520)에 공급되었지만, 플럭스 회수 장치(200)는, 정화 장치(600)에 추가하여, 별도의 급수원을 구비하고, 이 별도의 급수원이, 제 1 접속구(520)에 물을 공급해도 된다. 정화 장치(600)가 반드시 제 1 접속구(520)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원이 되지 않더라도, 플럭스 회수 장치(200)는, 별도의 급수원으로, 제 1 접속구(520)에 물을 공급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제 3 변형례)
또한, 플럭스 회수 장치(200)는, 밸브(240) 및 제어부(260)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제 1 접속구(520)로부터, 상시 물이 분사되고 있어도, 경사부(580)에 부착된 플럭스를 제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제 4 변형례)
또한, 플럭스 회수 장치(200)는, 제어부(260)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밸브(240)가 수동으로 개폐되어도, 플럭스 회수 장치(200)는, 경사부(580)에 부착된 플럭스를 제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제 5 변형례)
또한, 플럭스 회수 장치(200)는, 배관(500)과 분리부(400)의 사이에 다른 배관 등을 구비해도 된다. 제 2 접속구(540)로부터 플럭스를 포함하는 물이 유입하면, 배관(500)은, 이 유입한 물을 정화 장치(600)에 흐르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제 6 변형례)
또한, 배관(500)은, 상술한 제 1 접속구(520), 제 2 접속구(540) 및 제 3 접속구(560) 이외의 접속구를 가져도 된다.
(제 7 변형례)
또한, 플럭스 회수 장치(200)에서는, 제어부(260)는, 소정 시간의 경과마다, 물의 공급의 제어를 행하고 있었다. 그러나, 제어부(260)가 물의 공급의 제어를 행하는 트리거는, 소정 시간의 경과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어부(260)는, 장치의 기동 시나, 플럭스 회수 장치(200)에 소정의 조작이 행해졌을 때 등을 트리거로 하여, 물의 공급을 제어해도 된다.
[제 2 실시형태]
<구성>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플럭스 회수 장치는, 제 1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플럭스 회수 장치(200)와, 분리부(400)와 정화조(620)를 연결하는 배관의 부분의 구성이 상이하다. 도 3은,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플럭스 회수 장치의 배관의 부분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플럭스 회수 장치(700)는, 분리부(400)와 정화 장치(600)를 접속하는 배관(800)을 구비한다. 또한, 배관(800)은, 제 1 접속구(820), 제 2 접속구(840), 제 3 접속구(860), 제 1 경사부(882), 제 2 경사부(884), 제 1 만곡부(886), 제 2 만곡부(887) 및 수직부(888)를 가진다. 또한, 제 1 경사부(882) 및 제 2 경사부(884)는, 간단히 경사부라고 부를 수 있다.
배관(800)의, 제 1 접속구(820)가 형성된 위치로부터 제 1 만곡부(886)까지의 사이는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러나, 배관(800)은, 제 1 만곡부(886)에서 만곡하면, 수직선 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후, 제 2 만곡부(887)에서 다시 만곡한다. 여기서, 배관(800)의 수직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관(500)의 부분을 수직부(888)라고 부른다. 이 때문에, 제 1 경사부(882)와 제 2 경사부(884)의 사이에 수직부(888)가 존재하고, 수직부(888)는, 제 1 경사부(882)와 제 2 경사부(884)를 분할하고 있다. 또한, 제 2 접속구(840)는 분리부(400)와 접속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2 접속구(840)에는 플럭스를 포함하는 물이 유입한다. 또한, 제 1 경사부(882) 및 제 2 경사부(884)는, 제 2 접속구(840)보다 하류측에 위치하고, 각각 중력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직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 1 접속구(820)는, 제 1 경사부(882) 및 제 2 경사부(884)보다 상류측에 위치하고, 펌프(220)와 밸브(240)를 개재하여 유체 연통하고 있다(도 1 참조). 또한, 펌프(220)에 의해 제 1 접속구(820)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압력은, 제 2 접속구(840)로부터 유입하는 플럭스를 포함하는 물의 압력보다 높아지도록, 펌프(220)가 공급하는 물의 수압이 설정되어 있다. 또한, 펌프(220)에 의해 제 1 접속구(820)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압력과, 제 2 접속구(840)의 하류측의 압력과의 압력차는, 0.1MPa 이상이 되도록, 펌프(220)가 공급하는 물의 수압이 설정되어 있다.
<작용·효과>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플럭스 회수 장치(700)의 작용·효과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제 1 효과)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플럭스 회수 장치(700)는, 공급되는 물의 압력을 이용하여, 제 1 경사부(882)에 부착된 플럭스(802)를 떠내려가게 할 수 있다.
(제 2 효과)
제 2 경사부(884)는, 제 1 경사부(882)와 달리, 상류에 제 1 만곡부(886), 제 2 만곡부(887) 및 수직부(888)가 존재하기 때문에, 제 2 경사부(884)에는 제 1 접속구(820)로부터 분사된 물이 직접 닿지 않는다. 그러나, 플럭스 회수 장치(700)는, 펌프(220)가 공급하는 물의 수압을 이용함으로써, 제 2 만곡부(887)에 부착된 플럭스(804)를 떠내려가게 할 수 있다. 즉, 플럭스 회수 장치(700)는, 제 1 접속구(820)로부터 분사된 물이 직접 닿지 않는 위치에 있는 플럭스도 떠내려가게 할 수 있다.
<변형례>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플럭스 회수 장치(700)의 변형례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제 1 변형례)
배관(500)은, 제 1 경사부(882) 및 제 2 경사부(884)의 2개의 경사부를 가졌지만, 3개 이상의 경사부를 가져도 된다. 펌프(220)에 의해, 가장 하류측의 경사부에 부착되어 있는 플럭스를 떠내려가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와 그에 관련된 각 변형례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상술한 각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님은 말할 필요도 없다. 본 발명은,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 개량할 수 있고, 본 발명에 그 등가물은 포함된다. 또한, 상술한 과제의 적어도 일부를 해결할 수 있는 범위, 또는 효과의 적어도 일부를 가지는 범위에 있어서, 특허 청구의 범위 및 명세서에 기재된 각 구성 요소의 임의의 조합, 또는 생략이 가능하다.
100 : 납땜 장치
120 : 땜납 처리부
200 : 플럭스 회수 장치
220 : 펌프
240 : 밸브
260 : 제어부
280 : 급수 탱크
300 : 칠러 유닛
320 : 결로 장치
340 : 송풍기
400 : 분리부
500 : 배관
520 : 제 1 접속구
540 : 제 2 접속구
560 : 제 3 접속구
580 : 경사부
582 : 직선 배관부
584 : 하류 단부
600 : 정화 장치
620 : 정화조
640 : 오존 발생기
700 : 플럭스 회수 장치
800 : 배관
820 : 제 1 접속구
840 : 제 2 접속구
860 : 제 3 접속구
882 : 제 1 경사부
884 : 제 2 경사부
886 : 제 1 만곡부
887 : 제 2 만곡부
888 : 수직부

Claims (10)

  1. 플럭스 성분을 포함하는 혼합 기체로부터 플럭스를 회수하는 플럭스 회수 장치로서,
    물을 이용하여 상기 혼합 기체로부터 플럭스를 분리하여, 플럭스를 포함하는 물을 배출하는, 분리부와,
    상기 플럭스를 포함하는 물이 유입하는 제 2 접속구, 상기 제 2 접속구보다 하류측에 위치하여 중력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직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보다 상류측에 위치하는 제 1 접속구를 가지는 배관과,
    상기 제 1 접속구로부터 물을 공급하는 펌프를 구비하는, 플럭스 회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에 의해 상기 제 1 접속구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압력은, 상기 제 2 접속구로부터 유입하는 상기 플럭스를 포함하는 물의 압력보다 높은, 플럭스 회수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에 의해 상기 제 1 접속구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압력과, 상기 경사부의 하류측의 압력과의 압력차는, 0.1MPa 이상인, 플럭스 회수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직선 배관부를 가지고,
    상기 제 1 접속구가 형성된 위치로부터 상기 직선 배관부의 하류 단부까지의 사이에서는, 상기 배관은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펌프로부터 공급된 물은 상기 직선 배관부를 향해 분사되는, 플럭스 회수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는, 추가로 상기 분리부에 물을 공급하는, 플럭스 회수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가 배출한 상기 플럭스를 포함하는 물이 공급되고, 상기 플럭스를 포함하는 물로부터, 플럭스를 분리하여, 플럭스를 회수하는, 정화 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펌프는, 상기 정화 장치에 의해 상기 플럭스를 포함하는 물로부터 분리된 물을, 상기 제 1 접속구 및 상기 분리부에 공급하는, 플럭스 회수 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의 상기 제 1 접속구로의 물의 공급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플럭스 회수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소정 시간의 경과마다, 상기 물의 공급의 제어를 행하는, 플럭스 회수 장치.
  9. 땜납 처리부와,
    상기 땜납 처리부에서 발생하는 플럭스 성분을 포함하는 혼합 기체로부터 플럭스를 회수하는,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플럭스 회수 장치를 구비하는, 납땜 장치.
  10. 물을 이용하여 플럭스 성분을 포함하는 혼합 기체로부터 플럭스를 분리하여, 플럭스를 포함하는 물을 배출하는 공정과,
    제 2 접속구, 상기 제 2 접속구보다 하류측에 위치하여 중력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직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보다 상류측에 위치하는 제 1 접속구를 가지는 배관의, 상기 제 2 접속구로부터, 상기 플럭스를 포함하는 물이 유입하는 공정과,
    상기 제 1 접속구에 물을 공급하는 공정을 가지는 플럭스 제거 방법.
KR1020200028047A 2019-03-08 2020-03-06 플럭스 회수 장치, 납땜 장치 및 플럭스 제거 방법 KR1021142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042406 2019-03-08
JP2019042406A JP6624410B1 (ja) 2019-03-08 2019-03-08 フラックス回収装置、はんだ付け装置及びフラックス除去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4292B1 true KR102114292B1 (ko) 2020-05-22

Family

ID=69100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8047A KR102114292B1 (ko) 2019-03-08 2020-03-06 플럭스 회수 장치, 납땜 장치 및 플럭스 제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792607B2 (ko)
EP (1) EP3705168B1 (ko)
JP (1) JP6624410B1 (ko)
KR (1) KR102114292B1 (ko)
CN (1) CN111408216A (ko)
HU (1) HUE057219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7698A (ko) 2021-06-14 2022-1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유체 공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 처리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61466B2 (ko) 1978-01-05 1982-12-24 Toyota Motor Co Ltd
JPH0324410B2 (ko) * 1985-07-15 1991-04-03 Roonu Puuran Supeshiarite Shimiiku
KR20020081592A (ko) * 1998-06-10 2002-10-28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땜납 분말, 플럭스, 땜납 페이스트, 납땜 방법, 납땜된회로기판, 및 납땜된 접합물
WO2015064142A1 (ja) * 2013-10-31 2015-05-07 千住金属工業株式会社 フラックス回収装置及びはんだ付け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7534A (ja) * 2001-01-17 2002-08-0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半田付け装置
JP2006339375A (ja) * 2005-06-01 2006-12-14 Yokota Technica:Kk リフロー半田付け装置及びフラックス回収装置
JP2007053158A (ja) * 2005-08-16 2007-03-01 Yokota Technica:Kk リフロー半田付け装置及びフラックス除去装置
JP5366395B2 (ja) * 2007-12-21 2013-12-11 株式会社タムラ製作所 フラックス回収装置
WO2010076559A2 (en) * 2008-12-29 2010-07-08 Tate & Lyle Technology Limited Molten salt treatment system and process
KR20110037396A (ko) * 2009-10-06 2011-04-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배기 시스템용 선택적 촉매 환원 장치
CN104998491B (zh) * 2015-07-23 2016-12-28 北京石油化工工程有限公司 一种悬浮床加氢的热高压分离器
JP6649602B2 (ja) * 2015-10-09 2020-02-19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の排気浄化装置
CN106076014A (zh) * 2016-07-28 2016-11-09 平湖拓伟思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焊接烟气回收净化装置
CN109395568A (zh) * 2018-12-17 2019-03-01 新疆天富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低水耗湿法脱硫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61466B2 (ko) 1978-01-05 1982-12-24 Toyota Motor Co Ltd
JPH0324410B2 (ko) * 1985-07-15 1991-04-03 Roonu Puuran Supeshiarite Shimiiku
KR20020081592A (ko) * 1998-06-10 2002-10-28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땜납 분말, 플럭스, 땜납 페이스트, 납땜 방법, 납땜된회로기판, 및 납땜된 접합물
WO2015064142A1 (ja) * 2013-10-31 2015-05-07 千住金属工業株式会社 フラックス回収装置及びはんだ付け装置
KR20160065989A (ko) * 2013-10-31 2016-06-09 센주긴조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플럭스 회수 장치 및 납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142292A (ja) 2020-09-10
EP3705168A1 (en) 2020-09-09
EP3705168B1 (en) 2021-10-13
HUE057219T2 (hu) 2022-04-28
JP6624410B1 (ja) 2019-12-25
US20200282355A1 (en) 2020-09-10
US10792607B2 (en) 2020-10-06
CN111408216A (zh) 2020-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21171B2 (en) Processing method for high-temperature exhaust gas
US9744613B2 (en) Flux recovery device and soldering device
KR102114292B1 (ko) 플럭스 회수 장치, 납땜 장치 및 플럭스 제거 방법
US11896926B2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flux removal from furnace process gas
US20100012709A1 (en) Reflow furnace
WO2011071041A1 (ja) リフロー炉
FI88727C (fi) Foerfarande och anlaeggning foer rening av smaelta, som jaemte en eller flera foeroreningar innehaoller vaesentligen laettmetall, i synnerhet aluminium
JP2007053158A (ja) リフロー半田付け装置及びフラックス除去装置
EP3950202A1 (en) Condensation device, flux recovery device, soldering device, water vapor eliminating method, flux recovery method and solder processing method
JP2004195478A (ja) 加熱炉装置
JP6688831B2 (ja) 搬送加熱装置
JP2004197975A (ja) 加熱炉装置
JPH10322012A (ja) リフロー装置
SU1708524A1 (ru) Установка дл получени металлического порошка из расплава
JP2020065977A (ja) 混合液体の気化分離方法及び気化分離装置、並びに気化されて分離された液体の回収装置
JP2000340938A (ja) はんだ付け方法およびはんだ付け装置
WO2013150498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y filtering process gas
JPH0598341A (ja) 溶融金属の清浄化方法
JP2005171270A (ja) 硫黄濾別残渣の脱水装置
JP2000133928A (ja) 半田付け装置
JPH0566513B2 (ko)
JPH0313520A (ja) 真空精錬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