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3754B1 - 화상 및 욕창의 완화 및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화상 및 욕창의 완화 및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13754B1 KR102113754B1 KR1020180077946A KR20180077946A KR102113754B1 KR 102113754 B1 KR102113754 B1 KR 102113754B1 KR 1020180077946 A KR1020180077946 A KR 1020180077946A KR 20180077946 A KR20180077946 A KR 20180077946A KR 102113754 B1 KR102113754 B1 KR 10211375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pf
- skin
- tissue
- acid
- treatm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2—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treating wounds, ulcers, burns, scars, keloids,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42—Respiratory system, e.g. lungs, bronchi or lung cell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2—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romatic groups, e.g. sulindac, 2-aryl-propionic acids, ethacrynic acid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66—Phosphorus compounds
- A61K31/683—Diesters of a phosphorus acid with two hydroxy compounds, e.g. phosphatidylinositol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4/00—Drug, bio-affecting and body treating compositions
- Y10S424/13—Burn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Phys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Immunology (AREA)
- Virology (AREA)
- Zo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물 허파 조직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상 및 욕창의 완화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손상에 대한 동물 허파 조직 추출물 및/또는 프로피온산의 보호 효과가 염증억제 뿐 아니라 섬유조직의 재생 및 혈관신생촉진과도 관련이 있음을 제시하여 피부 창상치유와 관련한 소재로써 유효성을 나타내며 화상 및 욕창치료와 관련되어 산업적으로 이용가능한 효과를 나타내서 이들 질환의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화상 및 욕창의 완화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욕창이란, 몸의 접촉면으로부터 받는 압박에 의해 조직의 말초 혈관이 폐색되어 조직의 괴사를 야기하는 병태로, 그 치유에는 장기간을 요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장기간, 침구 위에 누운 상태에 있는 노인이나 장기 요양 환자는 욕창(bedsore, 소위 압박 궤양)이 생기기 쉬워, 간호상 큰 문제로 되어 있다. 또한, 욕창은 인간 이외의 동물에서도 발증하는 질병으로, 예를 들어 말의 안장 욕창 (saddlesore)도 욕창의 하나이다.
욕창의 치료제로는, 브로멜라인(bromelain)(진료와 신약, 1971년, 제8권, p.967)을 함유하는 연고, 부클라데신 나트륨(bucladesine Na)[Biological & Pharmaceutical Bulletin(바이올로지칼 앤드 파마슈티칼 블레틴), 1995년, 제18권, p.1539-1543]을 함유하는 연고 등이 있지만, 상기한 치료제는 모두 출혈, 동통 등의 부작용이 알려져 있다.
아울러, 욕창용 베드, 매트리스 등을 사용하여 욕창부위에 통풍이 원활하게 되도록 하는 제품을 사용하고 있으나, 이는 예방을 위한 용품일 뿐 치료제로서 사용될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현재의 욕창치료는 대부분 환자의 자연치유력에 의존하여 치료하고 있는바, 더욱 안전한 방법의 욕창치료가 요구되고 있다.
한편, 화상이란 주로 사고에 의해 발생하며, 원인에 따라서 열에 의한 화상, 전류에 의한 화상, 화학물질에 의한 화상, 방사선에 의한 화상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화상의 중증도는 화상을 입은 넓이, 깊이, 화상을 유발한 물체의 온도와 접촉 시간, 피부 상태 등에 따라 1도, 2도, 3도 및 4도 화상으로 나누어지며, 2도 화상부터는 흉터를 남길 수 있으며 병원 치료를 요한다.
1도 화상은 피부가 붉게 되고, 따끔거리는 등의 통증을 수반한다. 피부층 중의 가장 바깥층인 표피의 손상을 가져오고, 통증과 홍반을 수반하면서 부어 오르기도 한다. 며칠 안에 증세가 없어지지만, 그 자리에 가벼운 낙설(落屑)과 색소침착이 남는 경우도 있다. 회복 후에는 반흔(흉터)가 남지 않는다. 햇볕화상(sun burn)의 경우는 가장 일반적인 1도 화상의 예이다.
2도 화상은 표피와 진피 둘 다에 영향을 미치며, 홍반, 통증, 부종, 그리고 사고 후 24시간 내에 물집을 생기게 한다. 이 화상은 또한 한선이나 모공에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자각적으로는 작열감과 통증이 심하다. 수포가 터지면 미란면을 나타내고 다량의 분비액이 나온다. 화상 입은 면적이 체표면적의 약 15% 이상에 이르는 경우에는 특히 주의를 요한다. 수 주일 내로 치유되지만 그 자리에 색소침착이나 색소탈실이 남는 일이 많다. 2차 감염을 일으키면 국소증세는 더욱 심하고 경과도 오래간다.
3도 화상은 표피, 진피, 그리고 하피까지 영향을 미쳐서 피부가 검게 되거나 반투명백색이 되고, 피부 표면 바로 아래 혈관을 응고시킨다. 이 화상부위는 무감각해지게 될 수도 있지만, 환자는 극심한 통증을 느끼며, 피부 조직과 구조가 괴사하게 되어 치료에 많은 시간이 걸리고 후에 흉터가 남게 된다. 사고 후 2주일이 지나면, 딱지가 벗겨져 궤양 면이 나타난다. 분비액이 많고, 출혈하기 쉽지만 점차 새로운 조직이 생겨 표피가 재생되어 반흔이 남고 치유된다. 피부괴사가 깊은 경우, 또는 2차 감염을 일으킨 경우, 치유가 늦어지고 반흔 표면이 불규칙해져 켈로이드가 생기거나 변형이나 운동장애가 남기도 한다. 화상 입은 면적이 신체 표면적의 10%이상에 미치는 경우에는 특히 주의를 요한다.
4도 화상은 화상 입은 부위 조직이 탄화되어 검게 변한 경우이며, 피부층 밑에 위치하는 지방층, 인대, 근막,근육, 골조직 등까지 화상을 입은 경우를 말한다. 고압 전기 화상에서 주로 발생하며, 간혹 심재성 2-3도 화상에서 균 감염이 발생한 경우 나타날 수 있다. 화상의 범위가 20% 이상인 경우 전신적인 신체 반응이 일어날 수 있는데, 과도한 수액 손실에 따른 저혈압, 쇼크, 급성 신장 기능 부전 등이 발생할 수 있고, 추후 상처 감염이나 폐렴, 패혈증, 다발성 장기 기능 부전 증후군 등이 발생하기도 한다.
화상의 치료는 가능한 빨리 초기 화상 창상을 치유하거나 화상부위를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초기 화상 환부 드레싱에서 감염 및 염증의 조절, 습윤 환경의 유지, 피부재생을 돕는 성장인자나 사이토카인의 투여, 국소적 헤파린 사용 등을 통한 심부 화상으로의 전환을 방지하는 초기 치료가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화상 및/또는 욕창 손상의 심각성을 고려할 때, 화상 및/또는 욕창 손상의 치료 또는 예방에 유용한 치료제가 개발된다면 환자의 치료, 상태 개선 및 흉터 감소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선행 특허 문헌]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8-0058126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상기의 필요성에 의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신규한 욕창 치료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신규한 화상 치료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동물 허파 조직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욕창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동물은 돼지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허파 조직 추출물은 인지질 분획인 것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인지질 분획은 도 1에 기재된 것과 같이, phosphatidylinositol; 1-Palmitoyl-2- arachidony phosphatidylcholine; 1-palmitoyl-2-linoleoyl phosphatidylcholine; 1-palmitoyl-2-palmitoleonyl phosphatidylcholine; 1-palmitoyl-2-oleoyl phosphatidylcholine; dipalmityl phosphatidylcholine;phsphatylethaolamine; sphingomyelin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이거나 이들 인지질을 전부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추가적으로 유기산 또는 그 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유기산은 프로피온산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 본 발명은 동물 허파 조직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상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동물은 돼지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허파 조직 추출물은 인지질 분획인 것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추가적으로 유기산 또는 그 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유기산은 프로피온산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욕창 치료제 또는 예방제, 화상 치료제에 있어서의 유효성분의 농도는 알맞게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욕창 치료제 또는 예방제, 화상 치료제는, 경구제로서 투여할 수도 있지만, 외용제로서 창상, 욕창 또는 화상의 환부에 국소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욕창의 예방약으로서, 욕창이 될 가능성이 있는 곳에 국소투여하는 것에 의해 욕창이 되지 않거나 또는 되기 어렵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외용제로서는, 통상, 외용제로서 이용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연고제, 크림제,로션제, 도찰제(liniment), 팹(pap)제, 플라스터(plaster)제, 패치(patch)제, 경고(硬膏)제, 겔(gel)제, 액제(液劑), 테이프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제형(劑型)이 연고제 또는 크림제인 경우에는, 기제(基劑)로서 유지성(油脂性) 기제 또는 유제성(乳劑性)기제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유지성 기제로서는, 예를 들면, 탄화수소, 고급 알코올, 고급 지방산,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 글리콜류,식물유, 동물유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지성 기제는 통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탄화수소로서는, 예를 들면, 탄소수 12∼32의 탄화수소, 다양한 탄화수소의 혼합물인 유동 파라핀, 분기(分岐) 형상 파라핀, 고형 파라핀, 백색 바셀린, 황색 바셀린, 스쿠알렌(squalene), 스쿠알란, 플라스티베이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특히 백색 바셀린을 매우 적합한 것으로 들 수 있다. 상기 탄화수소는 통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고급 알코올로서는, 예를 들면, 탄소수 12∼30의 지방족 1가 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지방족 1가 알코올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예를 들면, 라우릴알코올(lauryl alcohol), 트리데실알코올, 미리스틸알코올(myristyl alcohol), 펜타데실알코올, 세틸알코올(세탄올(cetanol)), 헥사데실알코올, 헵타데실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올레일알코올(oleyl alcohol), 노나데실알코올, 에이코실알코올, 세릴알코올, 멜리실알코올(melissyl alcohol), 세토스테아릴알코올(cetostearyl alcohol)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라우릴알코올, 세틸알코올 및 스테아릴알코올이 바람직하고, 특히 세틸알코올 및 스테아릴알코올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급 알코올은 통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고급 지방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탄소수 6∼32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예를 들면, 카프로산(caproic acid), 에난트산(enanthic acid), 카프릴산(caprylic acid), 페라르곤산(pelargonic acid), 카프르산(capric acid), 운데실산, 라우린산(lauric acid), 트리데실산, 미리스틸산, 펜타데실산, 팔미트산(palmitic acid), 헵타데실산, 스테아린산(stearic acid), 올레인산(oleic acid),노나데칸산, 아라킨산,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 리놀산, 리놀렌산(linolenic acid), 베헤닌산(behenic aicd), 리그노세린산(lignoceric acid), 세로틴산(cerotic acid), 헵타코산산, 몬타닌산(montanic acid), 멜리신산(melissic aicd), 라크셀산, 엘라이딘산(elaidic acid), 브라시딘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특히 팔미틴산 및 스테아린산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급 지방산은 통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면, 팔미틴산 미리스틸, 스테아린산 스테아릴, 미리스틴산 미리스틸,리그노세린산 세릴, 세로틴산 라크세릴, 라크셀산 라크세릴 등과 같은 지방산 에스테르; 라놀린(lanolin), 밀랍(beeswax), 고래 왁스, 셸락(shellac) 왁스 등과 같은 동물로부터의 천연 왁스, 카나우바 왁스(carnauba wax), 칸데리라 왁스(candelila wax) 등과 같은 식물로부터의 천연 왁스 등의 탄소수 10∼32의 지방산과 탄소수 14∼32의 지방족 1가 알코올과의 에스테르; 글리세릴모노라우릴레이트, 글리세릴모노미리스틸레이트, 글리세릴 모노올레이트,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디라우릴레이트, 글리세릴디미리스틸레이트, 글리스틸디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트리라우릴레이트, 글리세릴트리미리스틸레이트, 글리세릴트리스테아레이트 등과 같은 탄소 수 10∼22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과 글리세린과의 에스테르 또는 그들의 수소 첨가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는 통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글리콜류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1, 3-부탄디올,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이용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이들 중에서, 예를 들면, 저중합도의 폴리에틸렌글리콜과 고중합도의 폴리에틸렌글리콜을 혼합하여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글리콜류는 통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식물유로서는, 예를 들면, 동백유, 피마자유, 올리브유, 카카오유, 야자유, 팜유, 마카데미아 너트유(macadamia nut oil), 콩기름, 차실유(tea seed oil), 참기름, 아몬드유, 홍화유(safflower oil), 면실유(cotton seed oil), 테레 핀유, 이들 식물유에 수소 첨가한 식물유지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식물유는 통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동물유로서는, 예를 들면, 밍크유, 노른자위 유, 스쿠알란, 스쿠알렌(squalene), 라놀린(lanoline), 상기 동물유의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동물유는 통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고급 알코올의 일부는 흡수촉진제로도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고급 알코올을 기제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흡수촉진제를 특별히 첨가할 필요가 없다.
상기 유제성 기제로서는, 예를 들면, 수중유형(oil in water, O/W) 기제, 유중수형(water in oil, W/O) 기제,현탁형 기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수중유형 기제로서는, 계면활성제의 존재 하 또는 비존재 하에서, 상기 라놀린, 프로필렌 글리콜, 스테아릴 알코올, 바셀린, 실리콘유, 유동(流動) 파라핀,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과 같은 성분을 수상(水相) 중에 유화(emulsification), 분산시킨 기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기제는 크림 등을 조제할 때 매우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유중수형 기제로서는, 바셀린, 고급 지방족 알코올, 유동 파라핀 등과 같은 성분에,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존재 하에서 물을 가해 유화, 분산시킨 기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수중유형 기제 및 유중수형 기제는 물을 함유한 제형(劑型), 예를 들면, 물을 함유하는 액제(液劑), 로션제, 팹(pap)제, 연고제 등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현탁성 기제로서는, 물에 전분, 글리세린, 고점도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카르복시비닐폴리머(carboxy vinyl polymer) 등과 같은 현탁화제를 가해 겔상(gel phase)으로 한 수성 기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욕창 치료제 또는 예방제, 화상 치료제의 외용제는, 일반적으로 채용되고 있는 외용제의 조제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연고제 또는 크림제는 각각의 제형에 따라 기제 원료를 혼련(roll mixing milling), 유화 또는 현탁시켜 기제를 조제한 후, 유효성분 및 각종 첨가제를 가해 혼합시키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혼합시에는 스크류 믹서(screw mixer), 호모 믹서, 반죽기(kneader), 롤 밀(roll mill) 등과 같이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혼합기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제형이 로션제인 경우에는 현탁형(懸濁型), 유제형(乳劑型) 및 용액형(溶液型) 중 어느 타입이어도 된다.
상기 현탁형 로션의 기제로서는, 아라비아고무(gum arabic), 트래거캔스고무(gum tragacanth) 등의 고무류, 메틸 셀룰로오스, 히드록시 에틸 셀룰로오스, 히드록시 에틸 전분 등과 같은 셀룰로오스류, 벤토나이트(bentonite), 비검(veegum) HV 등과 같은 점토류의 현탁제와 물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현탁형 로션의 기제는 통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유제형 로션의 기제로서는, 물과 스테아린산, 베헤닌산, 올레인산 등과 같은 지방산, 스테아릴알코올, 세탄올, 베헤닐알코올(behenyl alcohol) 등과 같은 고급 알코올 등의 유성 물질을 유화시킨 기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제형 로션의 기제는 통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용액형 로션의 기제로서는 물, 에탄올,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등과 같은 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용액형 로션의 기제는 통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로션제는, 예를 들면, 정제수(精製水)에 다양한 기제 성분을 첨가하여 혼합, 교반(agitation)시킨 후, 유효성분 및 첨가제를 가해 혼합하고, 원하는 바에 따라 여과를 실시하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제형(劑型)이 상기 도찰제(liniment)인 경우, 그 기제로서는, 예를 들면, 올리브유, 참기름, 아몬드유, 면실유(cotton seed oil), 테레핀유 등과 같은 식물유류, 에탄올, 프로판올(propanol),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등과 같은 알코올류, 그들과 물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도찰제의 기제는 통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도찰제는 기제에 유효성분을 용해시킨 후 원하는 성분을 가해 혼합시키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제형이 상기 팹제인 경우, 그 기제로서 예를 들면, 폴리아크릴산 및 그 염(鹽),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등과 같은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 상기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을 백반(alum) 등의 다가(多價) 금속염으로 가교시킨 기제, 상기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에 방사선 조사와 같은 물리적 처리를 가해 가교시킨 기제 등과 같은 가교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팹제의 기제는 통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팹제는 유효성분, 기제 및 원하는 첨가물을 혼합하고, 가열 후 냉각시키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플라스터(plaster)제, 패치(patch)제 및 경고(硬膏)제의 경우, 부직포 등과 같은 지지체, 천연 고무, 스틸렌-부타디엔 고무(SBR), 부틸 고무, 폴리이소부틸렌, 폴리비닐알킬에테르, 폴리우레탄, 디메틸폴리실록산, 스틸렌-이소프렌-스틸렌 고무, 이소프렌 고무 등과 같은 탄성체, 아연화(亞鉛華), 산화 티탄, 실리카 등과 같은 충진제(充塡劑), 탄성체와의 상용성(相溶性)이 좋은 테르펜(terpene) 수지, 로진(rosin) 또는 그 에스테르, 페놀 수지 등의 점착 부여제, 초산비닐, 실리콘 수지, 폴리염화비닐 등의 박리(exfoliation) 처리제, 유동 파라핀,프로세스 오일(process oil) 등의 연화제(軟化劑),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BHT) 등의 노화방지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성분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플라스터제, 패치제, 경고제 등은 용액법이나 열압법(熱壓法) 등과 같은 보통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열압식으로 할 때에는, 유효성분 및 각 성분을 롤 기계 등으로 균일하게 혼련(roll mixing milling)시키고, 열 및 압력을 가한 캘린더를 사용하여 이형지(release paper) 상에 균일한 두께가 되도록 도포하여 약물 함유층을 형성한 후, 이것을 지지체 표면에 적층, 밀착시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겔제, 액제, 테이프제 등의 경우에도, 그 기제는 통상의 외용제에 사용되고 있는 것이면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원 발명의 욕창 및 화상의 치료를 위한 조성물은 동물의 허파조직을 파쇄하여 추출한 전체 인지질 분획(total phospholipid fraction)으로 DPPC 함량이 25% 이상( HPLC-ELSD를 이용하여 농도를 측정한 경우)인 것을 주성분으로 하며(그림 1), microM 농도의 유기산을 선택적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전체 인지질 분획 (Total phospholipid fraction, TPF)은 돼지 허파에서 추출하여 정제한 인지질 분획으로서 dipalmitoyl phosphatidylcholine (DPPC)을 비롯한 폐포에 존재하는 인지질 계면활성체들은 강한 극성을 띄는 머리부위(head group)을 갖고 있어서 물과 쉽게 혼합될 수 있으며, 분자 내에 짧은 포화지방산 2개를 갖고 있음으로 인하여 세제(detergent)와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단백질을 뭉치게 하는 소수성 결합 및 극성 결합 등을 동시에 방해하여 욕창환부에 누적되어 서로 뭉쳐있는 혈정 단백질들을 해리시켜 보다 작은 단위체로 만들어주고, 이들 단백질들의 혈관 재흡수, 세포에 의한 분해 및 외부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동시에 표면에 극성 지방막을 형성하도록 하여 수분증발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기대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카르복실 기(carboxyl group)을 갖는 짧은 탄소사슬의 유기산인 프로피온산 (propionic acid, propionate, Pi)은 혈장에 함유되어 삼출된 칼슘과 같은 다양한 2가 양이온들의 양방향성 이온결합을 통한 단백질들의 뭉침 현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험예에서는 욕창 치료 후보물질 TPF와 Pi를 이용하여, 마우스 동물모델 비임상 평가를 이용하여 욕창 치료 개선 및 그 기전을 기재하였다.
본 발명에서 TPF와 더불어 Pi가 첨가된 TPF의 처리가 I/R 이후에 궤양의 형성을 유의하게 억제하고 있음을 보여줬다. TPF 드레싱에 의해 상처부위의 회복 속도가 증가되었고 피부수분 손실량은 일부 TPF에 의해 개선되었으며 염증억제, 세포사멸억제, 섬유조직, 혈관의 회복 및 피부장벽개선에 기존에 욕창치료에 널리 사용되는 silver sulfadiazine보다 비슷 혹은 더 효과적임을 보였다. 특히 저농도(2%) TPF+Pi가 고농도(4%) TPF의 효과와 비슷하였고, 염증억제와 세포사멸을 줄여주는데 더 좋은 효과를 보임을 나타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화상 및 욕창치료에 대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피부 I/R손상의 TPF 및 Pi 매개 보호기작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결과는 TPF의 처리가 M1 대식세포 침윤을 억제하고, M1 대식세포의 전 염증 매개체(proinflammatory mediators)에 의해 유도된 피부염증을 억제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저농도 TPF의 처리도 Pi의 추가로 인해 고농도 TPF와 유사한 효과를 보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은 TPF 및 Pi의 처리가 I/R로 유도된 세포사멸 세포 수가 감소함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피부 I/R 후 세포사멸 세포의 phagocytosis및 clearance를 증가시켜 이들이 축적되는 것을 막아주고, 이는 I/R 욕창부위에서의 세포사멸과 괴사의 억제 및 압박궤양으로부터 TPF 및 Pi의 보호효과를 보여준다.
본 발명에서는 고농도 TPF 및 저농도 TPF+Pi처리에 의해 욕창부위의 상처회복이 촉진되고 더불어 콜라겐 함량이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진피 내 콜라겐 type I/Ⅲ 생성비율을 확인하여 TPF 및 Pi의 처리가 I/R 후 피부 욕창부위의 정상조직 회복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I/R 욕창부위의 혈관분포를 평가하여 I/R 영역의 혈관주위세포수가 대조군 마우스보다 유의하게 많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피부 I/R 손상에 대한 TPF 및 Pi의 보호 효과가 염증억제 뿐 아니라 섬유조직의 재생 및 혈관신생촉진과도 관련이 있음을 제시한다.
상기의 결과들을 종합적으로 보았을 때, 본 발명은 TPF가 욕창치유 속도를 가속화하는 동시에 항염증, 콜라겐 생성유도, 혈관생성 및 피부장벽회복을 통한 조직재생 활성에 기여하여 피부 I/R 손상에 의해 유발된 압박궤양의 형성을 억제한다고 결론을 내린다. 또한 Pi의 추가시 저농도의 TPF로도 고농도의 TPF와 유사한 효과를 보일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TPF의 지속적 치료는 욕창(decubitus) 궤양 및 다른 허혈성 궤양을 포함하여 피부 창상치유와 관련한 소재로써 유효성을 나타내며 산업적 활용이 가능함을 보여준다.
도 1은 돼지 허파 조직에서 추출한 인지질 분획을 나타내는 그림으로, 정제된 인지지 분획은 HPLC- ELSD system(Waters e2695 Waters 2424(ELSD))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컬럼은 waters Xbridge column C18 5.0μm (4.6mm*150mm)을 이용하였다. #1, phosphatidylinositol; #2, 1-Palmitoyl-2- arachidony phosphatidylcholine; #3, 1-palmitoyl-2-linoleoyl phosphatidylcholine; #4, 1-palmitoyl-2-palmitoleonyl phosphatidylcholine; #5, 1-palmitoyl-2-oleoyl phosphatidylcholine; #6, dipalmityl phosphatidylcholine; #7 & #8, phsphatylethaolamine; #9, sphingomyelin.
도 2는 피부 I/R 후 압박궤양형성에 대한 TPF와 propionate의 효과를 나타낸 그림, (A) 상처 치유 모델의 개략도. 쥐의 등 쪽 피부를 면도하고, I/R cycle을 두 번 실시한 후. 대조군(PBS)와 시험물질(SS, 4% TPF, 2% TPF+Pi)를 하루 2번 드레싱 하여 욕창 치유에 대해 20 일 동안 평가 하였다. (B) C57BL/6 마우스에서 I/R 손상 후 욕창부위의 사진. (C) C57BL/6 마우스에서 I/R 손상 후 욕창면적의 크기변화. I/R 유도 후의 마우스 궤양 크기를 100% 값으로 지정하였다.(D) C57BL/6 마우스에서 I/R 손상 후 상처부위 TEWL.(E) 시험물질 처리 후의 마우스 무게변화.
도 3은 피부 I/R에 의한 상처부위 염증반응에 대한 TPF와 propionate의 효과를 나타낸 그림, (A 및 B) C57BL/6 마우스에서 I/R 손상 4일 후 상처부위의 조직사진. (Red arrow : mast cell), Scale bar, 100μm.
도 4는 I/R 피부손상 후 침윤하는 대식세포 억제에 대한 TPF와 propionate의 효과를 나타낸 그림, (A) I/R 피부손상 후 4일 째에 침윤되는 호중구와 대식세포를 MPO 및 CD68 항체로 염색한 피부 욕창부위의 조직사진. (B) iNOS (M1 대식세포), Arg-1 (M2 대식세포) 항체로 염색한 피부 욕창부위의 조직사진.(C) I/R 후 4일에 iNOS 및 arginase-1의 발현수준 RT-PCR과 immunoblot으로 정량.(D) I/R 후 4일에 MCP-1, IL-1β, IL-6 및 TNFα의 mRNA 발현 수준 정량. Scale bar, 100μm. *p<0.05, **p<0.01
도 5는 I/R 피부손상 후 세포사멸 억제에 대한 TPF와 propionate의 효과를 나타낸 그림, (A) C57BL/6 마우스에서 I/R 손상 4일 후 H&E, TUNEL 염색을 이용한 피부 욕창부위의 조직사진.(B) I/R 손상 4일 후 피부욕창부위의 세포사멸 세포수.(C) I/R 후 4일에 Bax 및 cleaved caspase-3의 발현수준 immunoblot으로 정량. Scale bar, 100μm. *p<0.05, **p<0.01
도 6은 I/R 피부손상 후 섬유조직 회복에 대한 TPF와 propionate의 효과를 나타낸 그림, (A) C57BL/6 마우스에서 I/R 손상 12일 후 H&E, masson’s trichome, picro-sirius red, αSMA 항체 염색을 이용한 피부 욕창부위의 조직사진. (B) C57BL/6 마우스에서 I/R 손상 16일 후 H&E, picro-sirius red 염색을 이용한 피부 욕창부위의 조직사진.Scale bar, 100μm.
도 7은 I/R 피부손상 후 피부장벽 개선에 대한 TPF와 propionate의 효과를 나타낸 그림, C57BL/6 마우스에서 I/R 손상 16일 후 H&E, filaggrin, involucrin 항체 염색을 이용한 피부 욕창부위의 조직사진. Scale bar, 100μm.
도 2는 피부 I/R 후 압박궤양형성에 대한 TPF와 propionate의 효과를 나타낸 그림, (A) 상처 치유 모델의 개략도. 쥐의 등 쪽 피부를 면도하고, I/R cycle을 두 번 실시한 후. 대조군(PBS)와 시험물질(SS, 4% TPF, 2% TPF+Pi)를 하루 2번 드레싱 하여 욕창 치유에 대해 20 일 동안 평가 하였다. (B) C57BL/6 마우스에서 I/R 손상 후 욕창부위의 사진. (C) C57BL/6 마우스에서 I/R 손상 후 욕창면적의 크기변화. I/R 유도 후의 마우스 궤양 크기를 100% 값으로 지정하였다.(D) C57BL/6 마우스에서 I/R 손상 후 상처부위 TEWL.(E) 시험물질 처리 후의 마우스 무게변화.
도 3은 피부 I/R에 의한 상처부위 염증반응에 대한 TPF와 propionate의 효과를 나타낸 그림, (A 및 B) C57BL/6 마우스에서 I/R 손상 4일 후 상처부위의 조직사진. (Red arrow : mast cell), Scale bar, 100μm.
도 4는 I/R 피부손상 후 침윤하는 대식세포 억제에 대한 TPF와 propionate의 효과를 나타낸 그림, (A) I/R 피부손상 후 4일 째에 침윤되는 호중구와 대식세포를 MPO 및 CD68 항체로 염색한 피부 욕창부위의 조직사진. (B) iNOS (M1 대식세포), Arg-1 (M2 대식세포) 항체로 염색한 피부 욕창부위의 조직사진.(C) I/R 후 4일에 iNOS 및 arginase-1의 발현수준 RT-PCR과 immunoblot으로 정량.(D) I/R 후 4일에 MCP-1, IL-1β, IL-6 및 TNFα의 mRNA 발현 수준 정량. Scale bar, 100μm. *p<0.05, **p<0.01
도 5는 I/R 피부손상 후 세포사멸 억제에 대한 TPF와 propionate의 효과를 나타낸 그림, (A) C57BL/6 마우스에서 I/R 손상 4일 후 H&E, TUNEL 염색을 이용한 피부 욕창부위의 조직사진.(B) I/R 손상 4일 후 피부욕창부위의 세포사멸 세포수.(C) I/R 후 4일에 Bax 및 cleaved caspase-3의 발현수준 immunoblot으로 정량. Scale bar, 100μm. *p<0.05, **p<0.01
도 6은 I/R 피부손상 후 섬유조직 회복에 대한 TPF와 propionate의 효과를 나타낸 그림, (A) C57BL/6 마우스에서 I/R 손상 12일 후 H&E, masson’s trichome, picro-sirius red, αSMA 항체 염색을 이용한 피부 욕창부위의 조직사진. (B) C57BL/6 마우스에서 I/R 손상 16일 후 H&E, picro-sirius red 염색을 이용한 피부 욕창부위의 조직사진.Scale bar, 100μm.
도 7은 I/R 피부손상 후 피부장벽 개선에 대한 TPF와 propionate의 효과를 나타낸 그림, C57BL/6 마우스에서 I/R 손상 16일 후 H&E, filaggrin, involucrin 항체 염색을 이용한 피부 욕창부위의 조직사진. Scale bar, 100μm.
이하 비한정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의도로 기재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는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아니한다.
실시예
1:돼지
허파에서 인지질 분획의 정제
추출방법은 Moon et. al (Mol Biol Rep. 2012 39:4237-4247)이 기술한 방법을 이용하였다.
간략하게, 신선한 돼지 허파 조직에 식염수를 첨가하여 믹서로 파쇄한 후, CaCl2를 5mM 농도가 되도록 첨가하여 수용성 파쇄액 안에서 인지질의 침전을 촉진하였다. 파쇄한 시료를 원심 분리하여 침전물을 얻은 다음, 침전물을 클로로포름:메탄올(1:2) 유기용매로 녹여 내여 전체 지방 분획(total lipid fraction)을 얻었다. 얻어진 전체 지방 분획을 실리카 오픈 컬럼에 적용하여, 지방산 및 중성 지방 등을 용출시켜 제거하고 인지질 분획 (total phospholipid fraction, TPF)을 따로 모아서 얻었다. 정제된 인지질 분획은 진공회전증발기를 이용하여 농축 한 후, 섭씨 -70도씨에서 동결 건조하였다. 시료는 사용전까지 -20도씨에 보관하였다.
추출 공정에서 인지질들을 용이하게 침전시키기 위하여 CaCl2 용액을 적용하였음으로 최종 인지질 분획에 잔존 칼슘의 함량의 유무를 조사하였다. Ca2+ 검출은 Quantichrom™ Calcium Assay Kit (DICA-500, BioAssy System, USA)를 이용하였고, 유기 용매 추출 과정에서 Ca2+ 이온들이 모두 제거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조성물의 제조
상기 정제된 돼지 허파 추출 인지질 분획(TPF)을 10 microM propionate / propionic acid (pH 5.8) 용액에 혼탁하여 사용하였다. TPF의 최종 농도는 20mg/ml가 되도록 제조하였다.
실험예
:
1)시험재료
- 전체 인지질 분획(Total phospholipid fraction, TPF), Propionate (propionic acid, Pi)
2)실험
방법
시험동물
종 및 계통: C57BL/6 (Female)
공급원 및 생산자: 마우스는 (주)중앙실험동물 (서울, 한국)을 통해 생산된 품종을 공급받는다.
입수 및 시험물질 처리 : 6주령에 입수하여 7일간 적응시킨 후 magnet을 이용한 욕창을 유도 한다. 그 후 시험물질 (silver sulfadiazine, 4% TPF, 2% TPF+Pi)를 dressing으로 하루에 2번 3주 동안 처리한다.
군 구성 및 시험 디자인
시험군 | 시험물질 | 처리용량 | 처리부위 | 처리액량 | |
1 | 정상군 (비유도) | (-) | dorsal | 50μl | |
2 | 음성 대조군 | 생리식염수 | |||
3 | 양성 대조군 | Silver sulfadiazine | 10 mg/ml | ||
4 | 시험물질 1 | 4% TPF | 40 mg/ml | ||
5 | 시험물질 2 | 2% TPF+Pi | 20 mg/ml |
표 1은 군 구성 및 처리용량 설정
시험 평가 항목
욕창유도부위 회복수준 평가 : 육안평가, TEWL, 체중변화, wound size
염증반응 개선 평가 : mast cell, neutrophil, macrophage 침윤
섬유조직 회복 평가 : 콜라겐 형성 및 Ⅰ/Ⅲ 구성 비율
혈관생성 정도 평가 : αSMA 발현확인
피부장벽 개선 평가 : filaggrin, involucrin 발현확인
세포사멸 예방 평가 : apoptotic cell 확인
욕창 유사 손상 유발
Magnetic plate Ischemia/Reperfusion model (I/R).
I/R 주기 모델은 이전에 보고된 바 있다. 마우스를 마취시킨 후, 등을 면도하고. 피부를 부드럽게 당겨 놓고, 평균 중량이 2.4g 및 1,000G magnetic force (직경, 12 mm; 두께, 5 mm) 인 세라믹 자석사이에 위치하게 한다 근육을 제외한 경피, 진피조직은 자석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여, 평균 압력 2,000 mmHg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12 시간 간격으로 허혈과 관류를 반복하여 2회 반복 할 수 있도록 하고. 각 실험 일정에 맞게 평가를 진행한다.
드레싱
욕창유발 후 욕창의 발생을 육안으로 확인한 후 욕창이 발생된 부위에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욕창부위를 먼저 생리식염수로 세척하였다. 시험물질을 적신 습윤 거즈 드레싱으로 욕창부위를 덮은 후 TegadermTM (3M Health Care, St. Paul, MN, USA)을 이용해 봉합하였다. 고정을 위해 VetWrapTM (3M)으로 한번 더 감싼다. 드레싱 교환은 하루에 두 번(오전/저녁) 3주 동안 실시하였다.
피부병변 육안관찰 평가
허혈로 손상된 피부 조직의 모습을 평가하고, 산술화 하여 수치화 시킨다. 관찰 기간에 따른 병변 부위 회복을 넓이로 평가하였다. 욕창면적은 근거리 육안 사진촬영 (DSLR, Dermascope)을 하여 측정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욕창 유발 2일째에 육안으로 욕창 발생을 확인 한 후, 3주 동안 모두 10회에 걸쳐 사진촬영을 하였다. 사진이 일부 소실된 것과 육안으로 확인이 어려운 마우스는 제외하고 8마리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촬영된 욕창발생 부위는 imageJ software v1.44 (NIH, Bethesda, USA)를 이용하여 그 면적을 계산하였다.
조직병리학적 평가 (H&E,
Toluidine
blue,
Masson
’s
trichrome
, Sirius Red)
조직 손상 발생에 따른 다양한 피부조직 회복을 관찰하기 위해 욕창 유도 후 4일, 8일, 12일, 16일에 마우스로부터 피부조직을 분리한 후 10 % paraformaldehyde (PFA)로 고정시킨 후 파라핀 왁스에 삽입하였다. 조직 절편은 마이크로톰에 의해 5 μm 직렬 횡단면으로 절단되었다. 절삭된 조직은 유리 슬라이드 (Probe On PlusTM, Fisher Scientific, PA, USA)로 옮겨져 탈지, 탈수를 거쳐 H&E(피부조직변화), Toluidine blue(mast cell infiltration), Masson’s trichrome & Sirius Red (섬유조직회복) 염색을 이용하여 조직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각 염색법을 통하여 시험물질이 염증 반응 및 세포침윤의 감소와 섬유조직회복에 관여하는지 평가하였다.
면역 조직 화학 염색법
피부조직에 침윤된 염증세포를 분별하고, 피부장벽 개선을 확인하기 위한 특정 항체를 이용하여 침윤된 세포의 성격을 구별하고 피부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염증반응 개선 (MPO, CD68, iNOS, Arg-1), 피부장벽 개선 (Filaggrin, Involucrin), 혈관생성 (αSMA), 세포사멸 (TUNEL) 등 허혈 손상 유발에 관여하는 단백질 특정 마커들을 이용하여 면역 조직 화학 염색을 시행한 후 관찰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형광 이미지는 Confocal microscopy (LSM 700, ZEISS, Jena, Germany)을 사용하여 획득하였다.
Immunoblot
assay
분리된 피부조직을 PRO-PREP (iNtRON, Seongnam, Korea)에 용해시킨 후, 14,000 g에서 20분간 원심 분리하여 상층액을 실험에 사용하였다. 단백질 농도는 BCA kit (Fisher Scientific, hampton, NH, USA)를 사용하여 정량 하였다. 분리된 상층액 (총 단백질량 30 μg)을 8~12 % gel SDS-PAGE를 이용하여 전기영동으로 분리된 단백질은 PVDF membrane (Millipore, Danvers, MA, USA)에 transfer하였다. Transfer된 PVDF membrane을 5 % 탈지분유에 1시간동안 blocking 한 다음 1차 항체 (Bax, Cleaved caspase-3, GAPDH)를 membrane과 4℃에서 12시간동안 반응시키고. TBST로 washing 한 후 1차 항체에 대한 특이적 2차 항체를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Membrane 세척 후 ECL용액 (Millipore)으로 발색 후 ChemiDoc ™ XRS +System (Bio-RAD, Hercules, CA, USA)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욕창치유시 발현되는 염증성 사이토카인 변화 관찰
상처치유과정에 관여하는 염증사이토카인(MCP-1, IL-1β, IL-6, TNFα)의 유전자 발현변화를 real-time PCR을 이용하여 비교 분석한다. 총 RNA는 TRIzol (Invitrogen, Carlsbad, CA, USA)을 사용하여 분리된 피부조직으로부터 추출하였다. 전체 RNA 주형으로부터 단일 가닥 cDNA 합성은 Prime ScriptTM RT마스터 믹스 (Takara, Tokyo, Japan)로 수행하였다. 생성된 cDNA를 CFX-96 (Bio-Rad, Hercules, CA, USA)과 함께 qPCR 2x PreMIX SYBR (Enzynomics, Seoul, Korea)을 사용하여 real time PCR 실시하였다. 모든 유전자를 증폭하는데 사용된 PCR은 95℃에서 10분 간 denaturation 과정을 거친 후, 40 cycle (95℃ 10초, 60℃ 15초, 72℃ 30초) 의 조건으로 수행되었다. 발현 데이터는 ΔCt 정량화 방법을 사용하여 사이클 임계치 (Ct) 값으로 계산하였다. GAPDH를 이용하여 정량화하였다.
통계학적 유의성 검증
본 발명의 데이터는 “(평균 ± 표준편차)“로 표시하였으며, 각 데이터의 통계 분석은 정규성 분석에 따라 t-test를 시행하였다. 그룹 간 대비하여 p<0.05 수준으로 유의성을 판단하였다. (*p<0.05, **p<0.01)
상기 실험예의 결과는 하기와 같다.
마우스에서 허혈성 피부손상 (cutaneous
ischemia
/
reperfusion
-I/R) 후
욕창형성에
대한
TPF와
propionate의 보호 효과 평가
Total phospholipid fraction (TPF)의 욕창 및 피부압박궤양 (cutaneous pressure ulcer)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C57BL/6 마우스에 I/R 손상 후 형성된 욕창부위에 생리식염수, silver sulfadiazine (SS), 4% TPF, 2% TPF+Propionate(Pi)를 드레싱 한 후 상처면적을 비교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간단하고, 재현성 있고, 비 침습성인 실험용 마우스 모델을 이용하여 in vivo에서 I/R에 의한 피부압박궤양의 발병 기전을 평가하였다 (그림 2A) 4% TPF를 추가한 시험물질의 드레싱처리는 I/R 후에 피부압박궤양의 형성을 유의하게 억제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더 적은 농도인 2% TPF에 Pi를 첨가한 시험물질의 처리역시 4% TPF와 유사한 수준으로 피부압박궤양의 형성을 억제하였다. I/R에 의해 유발된 욕창 부위의 초기 욕창면적의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해 본 결과 실험군(SS, 4% TPF, 2% TPF+Pi)과 대조군(Control) 모두 면적이 비슷하게 형성되어 실험 전 욕창 크기는 동질함을 확인하였다 (그림 2B). 드레싱 처치 4일 후, 4% TPF, 2% TPF+Pi 처리 마우스의 욕창면적은 대조군 마우스의 욕창면적의 약 70 ~ 85% 수준으로 회복이 더 빠르게 진행되고 있음을 보였다 (그림 2B 및 C; SS: 93%, 4% TPF: 75%, 2% TPF+Pi: 85%). 단, 초기 욕창면적의 감소는 2% TPF+Pi를 처리한 군에서 다소 낮은 비율을 보였지만 6일 (각 25%, 26%) 이후로는 감소비율이 비슷해지는 경향을 보였다. 4% TPF로 드레싱한 마우스의 욕창면적의 크기는 드레싱 후 4일 이후에 현저하게 감소하였고, 2% TPF+Pi로 드레싱한 마우스는 6일 이후에 욕창면적이 크게 감소한 반면에 대조군 마우스의 상처봉합(wound closure) 시간은 TPF 처리 후 상처봉합 시간보다 길어 욕창의 회복속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상처부위 피부의 수분증발에 대한 피부수분손실량(Transepidermal water loss, TEWL)을 측정하였다 (그림 2D). 욕창이나 화상의 경우 각질의 기능이 손상되거나 각질이 아예 없어진 상태에서, 수분증발이 증가하게 된다. TEWL을 측정한 결과 드레싱 초기에는 그 차이는 발견하지 못하였지만 상처크기가 약 50%이상 회복된 6일 이후에는 피부수분손실량이 대조군에 비해 TPF를 드레싱한 그룹에서 전반적으로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4% TPF와 2% TPF+Pi간의 효과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각 시험물질에 대한 유해성을 확인하려 마우스의 무게를 측정한 결과 이상점은 나타나지 않았다 (그림 2E). 본 실험의 결과는 TPF가 I/R 후에 부분적으로 피부압박궤양의 형성을 보호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중에서도 욕창의 초기회복속도에 고농도(4%) TPF가 더 좋은 효과를 보였으나 이후에는 저농도(2%) TPF에 Pi가 첨가된 시험물질도 비슷한 회복속도를 보여주었고, 두 시험물질 모두 SS보다 더 좋은 효과가 있음을 보였다.
마우스에서 I/R 손상 후 상처부위의 염증 반응에 대한
TPF와
propionate의 효과
I/R 손상 4일 후 염증세포의 침윤을 관찰하기 위하여 조직학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치유가 잘 되지 않는 압박궤양과 같은 조건에서는 ROS와 여러 효소들을 가지고 있는 호중구 (neutrophil) 침윤이 고착화 되면서 만성 염증 상태에 이르게 되는데, 이러한 궤양의 치유는 염증이 제어가 된 후에 진행이 된다. 또한 비정상적인 치유의 과정은 섬유증(fibrosis)를 유발하기도 하는데 종종 이러한 섬유성병변은 비만세포(mast cell)의 증가가 관여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비만세포는 상처치유 과정 중에 증가하며 효소, 히스타민 및 여러 활성 아민(amine)으로 채워진 과립을 방출하여 염증을 일으킨다 비만세포에서 방출되는 활성 아민은 주변혈관이 새는 원인이 되고 따라서 단핵세포가 손상 부위로 신속히 이동 할 수 있게 한다. 본 실험에서는 toluidine blue 염색을 이용하여 욕창형성부위의 비만세포 침윤정도를 측정하여 염증반응의 정도를 관찰하였다 (그림 3). 대조군의 경우 I/R에 의한 피부손상 시 비만세포의 침윤이 상당히 증가하였다. 하지만 SS, 4% TPF 및 2% TPF+Pi를 처리한 그룹에서는 비만세포의 침윤정도가 상당히 감소했음을 볼 수 있다 (그림 3A 및 B). 그리고 통계적으로 2% TPF+Pi를 처리한 그룹이 비만세포의 침윤억제에 가장 좋은 효과를 보이고 있다. 이 결과들은 TPF가 염증반응을 매개하는 지방세포 침윤의 감소를 유도함으로써 염증반응을 줄여주고 있음을 보여주고 Pi의 첨가로 인해 그 효과가 증가하고 있음을 제시한다.
마우스에서 I/R 손상 후 상처부위 대식세포 침윤에 대한
TPF와
propionate의 효과
호중구(neutrophil) 및 대식세포(macrophage)는 염증 및 혈관신생을 조절하여 I/R손상에 관여한다. 본 실험에서는 피부 I/R 손상 후 호중구 및 대식세포의 침윤 및 활성에 대한 TPF 및 Pi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I/R손상 이후 드레싱 4일 후, 진피의 부종과 피하선에서의 염증세포 침윤이 조직학적으로 관찰되었다 (그림 4). 그리고 MPO와 CD68 항체를 이용하여 I/R 후 호중구와 대식세포의 침윤을 확인 한 결과 시험군 (SS, 4% TPF 및 2% TPF+Pi)를 처리한 그룹에서는 호중구와 대식세포의 수가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이는 TPF가 호중구 및 대식세포의 축적 또는 기능을 조절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저농도(2%)의 TPF와 함께 Pi의 처리는 고농도(4%)의 TPF와 비슷하거나 그 이상의 효과를 보이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림 4A 및 C). 피부 내 국소 미세환경은 classically activated macrophage (M1 대식세포)와 alternatively activated macrophage (M2 대식세포)의 발달을 촉진 시킨다 M1 대식세포는 초기 조직손상 반응에서 관촬되며, MCP-1, NO, IL-1, IL-6, IL-12 및 TNFα를 포함한 전염증성 매개체의 분비에 의한 염증을 유도한다. 반면에 M2 대식세포는 초기 및 중간단계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하는데, 염증의 해소를 유도하고 조직 복구를 촉진한다. 따라서 본 실험은 I/R 부위에서 M1 및 M2 대식세포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우리는 먼저 각 그룹별로 iNOS (M1 marker)와 Arg-1 (M2 marker) mRNA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그림 4C). I/R 유도 후 증가된 iNOS mRNA 수준은 SS, 4% TPF 및 2% TPF+Pi를 처리 한 그룹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하지만 Arg-1의 mRNA 수준은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Immunoblot assay로 확인한 iNOS 및 Arg-1 발현변화도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림 4C). 이어서 조직형광염색으로 조직 내 침윤을 확인하였다. I/R 손상 초기 M1 및 M2 대식세포는 상당히 증가되어 있다. 반면에 SS, 4% TPF 및 2% TPF+Pi를 처리하였을 시 총 iNOS+ M1대식세포의 수는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Arg-1+ M2 대식세포는 약간 감소했음을 보였다 (그림 4B). 단, iNOS 및 Arg-1 발현량의 변화를 비교해 보았을 때 욕창초기 TPF에 의한 대식세포 감소량이 M1 대식세포에 더 집중되어 보인다. 다음으로 real-time PCR을 이용하여 I/R 손상부위에서 M1 대식세포에 의해 분비될 수 있는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및 케모카인 MCP-1, IL-1β, IL-6, TNFα의 mRNA수준에 대한 TPF 및 Pi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SS, 4% TPF 및 2% TPF+Pi 드레싱은 I/R 손상으로 증가된 염증 유발성 사이토카인 및 케모카인의 mRNA수준을 유의하게 억제했다 (그림 4D). 단, 4% TPF와 2% TPF+Pi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실험을 통하여 4% TPF 및 2% TPF+Pi가 I/R 후에 유도되는 호중구 및 대식세포의 조직 내 침윤을 감소시켜주고 피부염증을 완화시킬 수 있음을 시사하고, 저농도(2%)의 TPF에 Pi의 첨가는 고농도(4%)의 TPF와 비슷한 효과를 보일 수 있음을 제시한다.
마우스에서 I/R 손상 후 세포사멸 억제에 대한
TPF와
propionate의 효과
I/R에 의해 발생된 활성산소 (reactive oxygen species, ROS)는 피부세포들의 세포사멸(apoptosis)를 유도할 수 있고, 2차 괴사 (necrosis)에 의해 유발된 염증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I/R 유도로 손상된 피부의 세포사멸에 대한 TPF 및 Pi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피부조직에 TUNEL 염색을 수행하였다. 4일차 피부조직의 I/R 유도 부위에서 4% TPF 및 2%, TPF+Pi를 드레싱한 그룹의 사멸된 세포수가 대조군마우스와 비교하여 감소된 것이 확인되었다 (그림 5A 및 B). 추가로 세포사멸에 관여하는 단백질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Bax 및 cleaved caspase-3는 세포사멸이 발생하였을 시 활성화되는 단백질로 세포사멸 마커로 사용된다. 4% TPF 및 2% TPF+Pi의 처리는 I/R 손상 시 유도된 Bax 및 cleaved caspase-3의 활성을 감소시켰다 (그림 5C). 단, 두 그룹간의 유의한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지만 저농도(2%)에 Pi의 첨가로 고농도(4%) TPF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4% TPF, 2% TPF+Pi가 피부 I/R 손상에 의해 유도된 세포사멸 세포의 형성 및 축적을 억제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마우스에서 I/R 손상 후 상처부위 섬유조직 회복과 혈관생성에 대한
TPF와
propionate의 효과
피부 I/R 손상 후 12일, 16일 째에 섬유조직의 회복에 대한 TPF 및 Pi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12일에 표피의 재생은 TPF를 처리한 모든 그룹에서 완성이 되었으나 대조군과 SS를 처리한 그룹에서는 일부 진행 중이었고, 부종과 출혈은 거의 회복되었다 (그림 6A). Masson’s trichrome 과 picro-sirius red를 통해 조직 진피 내 콜라겐의 함유 정도를 비교하였으며 이로 인해 섬유조직의 회복정도를 파악하였다. 대조군에 비해 SS, 4% TPF 및 2% TPF+Pi를 처리한 모든 그룹에서 진피의 섬유화 된 조직이 증가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정상 진피는 약 80%의 type I 콜라겐과 20%의 type Ⅲ 콜라겐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창상 후 24시간이 지나면 침투된 섬유아세포 (fibroblast)가 type I과 type Ⅲ 콜라겐을 합성, 분비하여 새로운 기질 (matrix)를 형성하기 시작한다. 육아조직 (granuloma tissue)은 정상조직보다는 type Ⅲ 콜라겐이 훨씬 증가하지만 그래도 type I 콜라겐이 주된 성분을 이루고 정상조직에 가까워질수록 type I 콜라겐의 비율이 증가하게 된다. 우리는 I/R 유도 후 진피 내 콜라겐 생성 비율을 보기위해 16일차에 picro-sirius red로 염색하였다 (그림 6B). I/R 유도 후 PBS만 처리한 대조군에서는 진피 상층부에 얇고 녹색 및 황색을 띤 type Ⅲ 콜라겐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을 볼 수 있다. 하지만 S.S., 4% TPF 및 2% TPF+Pi를 드레싱한 시험군에서는 심부에서 볼 수 있듯이 교차구성을 보이는 좀 더 두껍고 성숙된 적색, 적황색의 type I 콜라겐 섬유가 형성되어 있다. 이는 I/R에 의한 피부압박궤양의 치유과정 후반에 tissue remodeling을 촉진하면서 빠른 정상적인 피부로의 회복을 유도하고 있음을 제시한다. 단, 4% TPF 및 2% TPF+Pi간의 유의한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으나 저농도(2%)의 TPF에 Pi의 첨가로 고농도(4%) TPF의 처리와 비슷한 효능을 보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추가적으로, 피부 재생과정에서 미세혈관 밀도를 함께 관찰하기 위해 αSMA 면역염색을 한 결과 미세혈관은 주로 욕창부위 가까이에 위치한 진피 유두층과 심부에 출현하였다 (그림 6A). αSMA-양성 미세혈관 밀도는 대조군에 비해 시험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4% TPF 및 2% TPF+Pi간의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는다.
마우스에서 I/R 손상 후
피부장벽
개선에 대한
TPF와
propionate의 효과
표피층의 재생은 I/R 손상 후 16일에 모든 군에서 완전하지는 않았으나 거의 대부분 상피의 재형성이 이루어졌다. I/R유도 후 회복된 상피의 구성 및 상태확인을 위해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시행하였다. 그림 7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S.S., 4% TPF 및 2% TPF+Pi의 처리는 상피세포의 분화지표인 filaggrin과 involucrin의 발현이 대조군에 비해 증가하였다. 각질형성세포 (keratinocyte)는 유극층 (spinous layer)의 세포가 과립층 (granular layer)에서 각질층으로 최종 분화함에 따라 그 형태와 생화학적 특성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으로 표피의 보호막 기능을 획득한다. 불용성 각질화형 케라틴 (K1, K10)이 filaggrin의 활동에 의해 응집되어 케라틴 패턴이라 불리는 층상에서 막상의 구조를 형성하여 각질층의 수분유지를 유효하게 하는 기능을 하기도 한다. 세포막에서는 involucrin, loricrin등의 후기 각질화 과정에 유효한 단백질이 칼슘의존성 transglutaminase 등 다수의 효소활성에 의해 세포막의 내측에 다리를 놓아 불용성의 근연대를 형성한 후 각질형성세포를 벗겨지기 어려운 강인한 층상의 구조물로 재구성하여 보호막으로서의 기능을 완성시키기에 표피층의 재생 후 분화를 통한 이들의 발현은 정상적인 표피의 구성에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I/R 손상 후 고농도(4%) TPF, 저농도(2%) TPF+Pi 드레싱이 빠른 표피층의 재생과 더불어 각질형성세포의 분화를 유도하여 피부장벽을 개선함으로써 정상적인 피부를 회복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Claims (10)
- a)돼지 허파 조직에서 추출한 전체 인지질 분획 및 b)프로피온산 또는 그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욕창 치료용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피온산의 농도는 마이크로몰 농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 치료용 조성물.
- 포스파티딜이노시톨(phosphatidylinositol), 1-팔미토일(Palmitoyl)-2-아라키도니포스파티딜콜린(arachidony phosphatidylcholine), 1-팔미토일(palmitoyl)-2-리노레오일 포스파티딜콜린(linoleoyl phosphatidylcholine), 1-팔미토일(palmitoyl)-2-팔미토레오닐 포스파티딜콜린(palmitoleonyl phosphatidylcholine), 1-팔미토일(palmitoyl)-2-오레오닐 포스파티딜콜린(oleoyl phosphatidylcholine), 디팔미틸 포스파티딜콜린(dipalmityl phosphatidylcholine), 포스파티틸에탄올아민(phosphatidylethanolamine), 스핑고마이에린(sphingomyelin) 및 프로피온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욕창 치료용 조성물.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피온산의 농도는 마이크로몰 농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 치료용 조성물.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70086354 | 2017-07-07 | ||
KR1020170086354 | 2017-07-07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05764A KR20190005764A (ko) | 2019-01-16 |
KR102113754B1 true KR102113754B1 (ko) | 2020-05-20 |
Family
ID=64950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77946A KR102113754B1 (ko) | 2017-07-07 | 2018-07-04 | 화상 및 욕창의 완화 및 치료용 조성물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20200230179A1 (ko) |
EP (1) | EP3650032A4 (ko) |
JP (1) | JP2020526585A (ko) |
KR (1) | KR102113754B1 (ko) |
CN (1) | CN110996977A (ko) |
WO (1) | WO2019009628A2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58688A (ko) | 2022-05-12 | 2023-11-21 |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 호박씨 성분을 포함하는 욕창 예방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외용제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6174269A1 (en) * | 2015-04-30 | 2016-11-03 | University Of Bremen | A novel skin medical and cosmetic care product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IT1203873B (it) * | 1987-04-08 | 1989-02-23 | Chiesi Farma Spa | Composizioni farmaceutiche che lo surfattante polmonare naturale, contengono. metodo di preparazione e |
DE4305554C2 (de) * | 1992-12-18 | 2000-03-02 | Rhone Poulenc Rorer Gmbh | Phospholipidische Zusammensetzung |
US6172203B1 (en) * | 1996-02-07 | 2001-01-09 | Alfredo Adolfo Hager | Method for extracting and purifying pulmonary surfactant |
WO2001090304A2 (en) * | 2000-05-19 | 2001-11-29 | Human Genome Sciences, Inc. | Nucleic acids, proteins, and antibodies |
EP1661578B1 (en) * | 2003-09-03 | 2018-03-14 | Toshikazu Nakamura | Skin ulcer preventive curative agent containing human recombinant hgf |
GB0426010D0 (en) * | 2004-11-26 | 2004-12-29 | Britannia Pharmaceuticals Ltd |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organic materials |
DK1827480T3 (en) * | 2004-12-21 | 2017-01-09 | Musc Found For Res Dev | FORMATIONS AND PROCESSES FOR PROMOTING WOUND HEALING AND tissue regeneration |
KR100891595B1 (ko) * | 2005-02-28 | 2009-04-03 |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 혈액 단백질의 삼출을 감소시키는 조성물 |
KR20080058126A (ko) | 2006-12-21 | 2008-06-25 | 닛세이 바이오 카부시키 가이샤 | 창상 치료제, 욕창 치료제 또는 예방제, 화상 치료제 |
ES2628407T3 (es) * | 2008-04-01 | 2017-08-02 | Antipodean Pharmaceuticals, Inc. | Composiciones y procedimientos para el cuidado de la piel |
KR101277630B1 (ko) * | 2010-05-19 | 2013-06-21 | 주식회사 바이오피드 | 탈모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
JP6425207B2 (ja) * | 2014-10-16 | 2018-11-21 | 高田 任康 | 皮膚潰瘍の治療材 |
-
2018
- 2018-07-04 EP EP18828213.1A patent/EP3650032A4/en not_active Withdrawn
- 2018-07-04 KR KR1020180077946A patent/KR10211375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8-07-04 CN CN201880045545.0A patent/CN110996977A/zh active Pending
- 2018-07-04 JP JP2020522655A patent/JP2020526585A/ja active Pending
- 2018-07-04 US US16/628,627 patent/US20200230179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8-07-04 WO PCT/KR2018/007599 patent/WO2019009628A2/ko unknow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6174269A1 (en) * | 2015-04-30 | 2016-11-03 | University Of Bremen | A novel skin medical and cosmetic care product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58688A (ko) | 2022-05-12 | 2023-11-21 |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 호박씨 성분을 포함하는 욕창 예방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외용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9009628A3 (ko) | 2019-04-11 |
JP2020526585A (ja) | 2020-08-31 |
EP3650032A2 (en) | 2020-05-13 |
WO2019009628A2 (ko) | 2019-01-10 |
CN110996977A (zh) | 2020-04-10 |
EP3650032A4 (en) | 2021-04-14 |
US20200230179A1 (en) | 2020-07-23 |
WO2019009628A9 (ko) | 2019-05-31 |
KR20190005764A (ko) | 2019-01-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horasani et al. | Aloe versus silver sulfadiazine creams for second-degree burns: a randomized controlled study | |
ES2473577T3 (es) | Composición antioxidante que comprende galactomanano y N-acetil-ciste�na | |
JP4526042B2 (ja) | 創傷治療用外用剤 | |
JP2012532889A (ja) | 創傷治療方法及び傷跡変性方法 | |
JP6214764B2 (ja) | 創傷治癒のための脂質ナノ粒子 | |
JP2013525407A (ja) | 皮下脂肪分解によって皮下脂肪蓄積を除去するためのリン脂質含有組成物の使用 | |
KR102113754B1 (ko) | 화상 및 욕창의 완화 및 치료용 조성물 | |
JP2008255096A (ja) | 創傷治療剤および創傷治療用組成物 | |
US9173940B1 (en) | Mixture of betamethasone and tranilast with a transdermal gel for scar treatment | |
KR20110139486A (ko) | 꿀 및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상처 치유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 |
KR20230013671A (ko) | 피부 손상, 화상 및 욕창 치료를 위한 패치 및 패치 제조 방법 | |
US20180147262A1 (en) | Novel skin medical and cosmetic care product | |
US20210322418A1 (en) |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promoting wound healing in a subject suffering from ectodermal dysplasias | |
EP3082825A1 (en) | Cortexolone 17 -propionate for use in the treatment of skin wounds and/or atrophic skin disorders | |
WO2020175131A1 (ja) | 脈管異常治療用外用剤 | |
EP3079691B1 (en) |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dantrolene as ryanodine receptor antagonist for facilitating wound healing | |
KR101530574B1 (ko) | 욕창 및 화상 치료용 조성물 | |
WO2023182468A1 (ja) | 創傷治療用組成物 | |
EP4385515A1 (en) | Composition for skin repigmentation | |
JP2004339107A (ja) | 細胞外マトリックス濃縮液を利用した皮膚疾患治療剤及び皮膚疾患治療用被覆材。 | |
JP2011020973A (ja) | 難治性の皮膚潰瘍治療用の医薬組成物、及び、皮膚潰瘍予防用化粧料 | |
JP2023552515A (ja) | 創傷を治療するための組成物および方法 | |
KR101490345B1 (ko) | 유기금속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상 치료제 및 그 제조방법 | |
BR112015014673B1 (pt) | Uso do ácido acetilsalicítico para prevenir e/ou tratar feridas diabéticas | |
Ajwee et al. | The Effect of Ethosuximide and Phenobarital on Wound and Burn Heal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