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0345B1 - 유기금속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상 치료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기금속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상 치료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0345B1
KR101490345B1 KR20130067064A KR20130067064A KR101490345B1 KR 101490345 B1 KR101490345 B1 KR 101490345B1 KR 20130067064 A KR20130067064 A KR 20130067064A KR 20130067064 A KR20130067064 A KR 20130067064A KR 101490345 B1 KR101490345 B1 KR 1014903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resent
weight
skin
t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67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4899A (ko
Inventor
이형진
오승호
김윤지
김순기
Original Assignee
이형진
오승호
김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진, 오승호, 김윤지 filed Critical 이형진
Priority to KR20130067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0345B1/ko
Publication of KR20140144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48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0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03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24Heavy metals; Compounds thereof
    • A61K33/30Zinc;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4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two or more carboxyl groups, e.g. succinic, maleic or phthal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24Heavy metals; Compounds thereof
    • A61K33/26Iron; Compounds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아연(zinc)과 철(iron)을 함유하는 유기금속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상 치료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a) 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유기산 1~3중량부를 용해시켜 용해물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용해물에 아연 및 철을 각각 1000~3000ppm 및 10000~30000ppm의 농도로 투입하여 복합체를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복합체를 50~60℃에서 48~72시간 반응시켜 반응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반응물을 수득한 후 정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된 항균제를 마련하여, 화독을 제거하는 동시에 피부재생을 조력하여 화상을 치료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기금속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상 치료제 및 그 제조방법{Burn treatment agent comprising organic metal compounds as active ingredient and method for preparing thereof}
본 발명은 화상 치료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아연(zinc)과 철(iron)을 함유하는 유기 금속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상 치료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신체에서 가장 큰 기관이고 복잡한 기관이며, 감염과 탈수를 막는 물리적인 방어망이상의 역할을 한다. 또 혈류와 땀의 증발을 조절함으로써 체온을 조절하는 데 도움을 주고, 매우 중요한 감각기관이기도 하다.
피부의 두께는 연령과 신체부위에 따라 달라지지만 평균적으로 1㎜ ~ 2㎜가 되며, 두께에 관계없이 두 개의 층으로 이루어진다. 바깥쪽의 얇은 표피(epidremis)는 그 안쪽에 위치한 좀 더 두껍고 민감한 진피(dermis)로부터 영양의 공급을 받는다. 표피의 바깥쪽은 죽은 세포들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세포들이 떨어져 나가면(각질) 그 아래쪽에서 자라나는 새로운 세포들로 대체된다.
피부의 혈관과 림프관, 신경은 진피부분에 있다. 모낭과 땀샘, 기름샘도 대부분이 결체조직인 이 층 깊숙이 자리 잡고 있다. 신체에서 가장 흔한 단백질인 콜라겐은 피부에 유연성을 주고 구조를 지탱해주며, 주로 섬유아세포의 형태로 존재한다. 진피는 상처의 수축과 흉터를 막는 역할을 한다.
화상이란 주로 열(뜨거운 물질)에 의해 피부와 피부 부속기관에 생긴 손상을 의미하며, 빛(방사선, 자외선, 적외선), 추위, 전기, 화학약품, 또는 마찰 등으로 인한 손상도 포함된다. 화상은 영향을 받은 조직, 정도, 결과로서 생기는 합병증에 따라 매우 다양하다. 근육, 뼈, 혈관, 표피가 모두 손상을 입을 수 있으며, 신경 말단이 깊이 손상되면서 고통이 수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화상은 화상의 넓이와 깊이에 따라 1도, 2도, 3도 및 4도 화상으로 나누어진다. 이러한 분류는 치료에 관한 중요한 문제로서, 이중 1도 화상은 해변가에서의 강한 태양광선을 쪼이거나 가스의 폭발 또는 뜨거운 액체에 순간적으로 접촉하였을 때 순간적으로 발생하는데, 환부는 동통과 함께 발적현상을 보이나 특별한 처치 없이도 수일 경과 하면 흔적없이 낫게 된다.
2도 화상은 환부는 역시 벌겋게 발적현상을 보이며 수포(물집)가 형성되는데 화상부위는 주위조직에 비해 약간 부풀어 오른 듯이 보이며 심한 통증을 호소하게 되며, 완치 후 경우에 따 라 반흔을 남길 수 있다.
3도 화상은 진피가 손상을 받은 경우로 피부는 건조하며 흰색 또는 타버린 듯한 검은 색으로 변하며, 피부감각을 상실한다.
마지막으로, 4도 화상은 피부의 전층과 함께 피하의 근육, 힘줄, 신경 또는 골조직까지 손상을 받은 경우이다.
이러한 화상은 화상을 입었을 때의 초기 치료가 가장 중요하므로, 이때 제대로 치료를 하지 않거나 잘못된 응급처치를 하게 되면 피부에 흉터가 남거나 치료기간이 길어지고, 기타 다른 피부질환이 동반될 수 있다.
현재 시판되고 있는 화상치료제로서는, 후시딘 산 또는 소디움 후시데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제제(상품명: 후시딘 연고, 크림, 겔 타입), 실버 설파다이아진 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제제(상품명: 실마진), β-시토스테롤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제제(상품명: 미보연고), 칼시포트리올(Calcipotriol)(상품명: 다이보넥스), 겐타마이신과 베타메타손 발레레이트의 두 성분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제제(상품명: 세레코드), 프레드니카베이트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제제(상품명: 카베이트)등이 시판되고 있다.
또한 천연물질이나 무기금속 화합물을 적용한 화상 치료제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화상 치료제에 대한 기술의 일 예가 하기 문헌 1 및 2 등에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전문 의료진에 의한 전문적인 치료를 요하지 않는 가벼운 화상뿐 아니라 3도 이상의 중화상에 있어서도 이를 용이하게 치료할 수 있는 화상 치료력이 우수한 크림 또는 연고제 형태의 화상 치료제로서, 정선한 솔방울을 수세 건조 후 밀폐 용기에 넣고 100 내지 300℃의 열을 가하여 얻은 완전히 연소시켜 수득한 탄화된 솔방울을 주성분으로 하며, 여기에 바세린 등 통상적으로 부가될 수 있는 부형제가 부가되는 화상치료제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또 하기 특허문헌 2에는 Sprague-Dawley 계통의 랫드를 이용하여 외과적 처치에 의한 화상에 대해 시험물질 구연산, 아연 및 L-아르기닌이 포함된 화상 치료용 조성물을 피부 도포에 의한 치유효과를 검증함으로써 화독을 제거하는 동시에 피부 재생을 조력하여 화상을 치료할 수 있는 화상 치료 제제로 사용할 수 있는 구연산, 아연 및 L-아르기닌을 포함하는 화상 치료용 조성물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10-0494348호(2005.05.31 등록)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10-1168981호(2012.07.20 등록)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화상치료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즉, 종래의 거즈타입의 화상치료제의 경우 환부를 외부공기와 차단시킴으로써, 회복이 지연될 수 있고, 또한 화농성 화상의 경우 거즈에 진물이나 화농성 물질이 들러붙어, 거즈를 교체할 시 환자에게 고통이 수반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종래의 화상치료제는 그 치료효과가 탁월하지 못 하다는 단점도 또한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포유 동물에 적용을 하여도 부작용이 없으면서 화상치료에 효과적인 유기금속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상 치료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치료제는 유기금속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치료제에 있어서, 상기 유기금속 화합물은 아연과 철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치료제에 있어서, 상기 아연은 산화 아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치료제에 있어서, 상기 산화 아연은 나노입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치료제에 있어서, 상기 유기금속 화합물은 약학적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1~14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치료제의 제조방법은 (a) 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유기산 1~3중량부를 용해시켜 용해물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용해물에 아연 및 철을 각각 1000~3000ppm 및 10000~30000ppm의 농도로 투입하여 복합체를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복합체를 50~60℃에서 48~72시간 반응시켜 반응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반응물을 수득한 후 정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치료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기산은 구연산(citric acid)이고, 상기 아연은 나노입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는 상술한 바와 같은 화상 치료제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고, 페이스트 연고, 크림, 밀크, 파프제, 분제, 침투 패드, 용액, 겔, 분무제, 로션 또는 현탁액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기금속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상 치료제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화독을 제거하는 동시에 피부재생을 조력하여 화상 치료는 물론, 인명 구조에 일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유기금속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상 치료제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피부에 전혀 자극이 없어 연약한 피부에 도포 및 접착 등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되더라도 피부 트러블을 야기하지 않고, 화상을 신속하게 치료하는 동시에 손상된 피부 조직이나 기타 근육 조직들의 재생을 조력하여 화상 치료가 완료되더라도 남게 되는 화상흔 등을 제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아연과 철을 함유하는 유기금속화합물에 대한 매스 스펙트럼(Mass Spectrum)을 보여주는 그래프,
도 2는 대조군(VG)과 시험군(TG)에서 일별 화상 상처 치유의 상태의 비율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3은 대조군(VG)과 시험군(TG)에서 일별 화상 상처 치유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
도 4는 대조군(VG)과 시험군(TG)에서 일별 화상 상처 치유에 따른 피부 조직 염색 평가의 조직학적 검사를 나타내는 사진,
도 5는 대조군(VG)에서 일별 화상 상처 치유를 나타내는 사진,
도 6은 시험군(TG)에서 일별 화상 상처 치유를 나타내는 사진,
도 7은 대조군(VG)과 시험군(TG)에서 H&E 염색에 의한 표피의 조직학의 사진.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 도면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화상 치료제의 특성에 대해 기술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산화아연(Zinc oxid, ZnO)은 미 FDA에서도 '일반적으로 안전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물질'로 규정하고 있다.
최근 ZnO 나노입자의 독성 대한 연구에서, ZnO 나노입자는 사람의 세포에 대해 매우 제한적인 낮은 독성을 나타내는 반면, 박테리아에서는 높은 독성(항 세균 활성)을 나타낸다는 결과가 발표되었다.
이는 ZnO 나노입자가 의약품(항생제) 소재로서의 갖추어야 할, 진핵세포(사람)와 원핵세포(병원균)에 대한 선택능이 있음을 제시하는 중요한 결과이다.
이러한 ZnO의 세균에 대한 항세균 활성의 정확한 작용 기전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알려져 있지 않지만, 최근, 그람 음성균주인 Campylobacter jejuni에 대한 ZnO의 항균 활성 연구에 의하면 ZnO는 1차적으로 병원균의 세포막에 직접 작용하여 세포막에 손상을 유발하며, 2차적으로는 손상된 세포막을 통해 유입된 ZnO가 병원균의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발함으로써,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고 최종적으로는 사멸을 초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Yanping et al, 2011).
본 출원인은 산화아연을 핵심소재로 하여, ZnO를 나노 입자화하는 기술과 나노 입자화된 ZnO의 항미생물 활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를 통해 시험물질 도출과 효과(피부 재생 효과, 항미생물 활성, 감염모델에서의 치료효과)를 입증함으로써, 새로운 항미생물 소재를 개발하였다.
즉 본 발명에서는 나노 입자화된 ZnO을 사용할 경우에 질량대비 비표면적의 증가로 용출을 극대화할 수가 있어 훨씬 소량으로도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어서 경제적인 면으로도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표피층에서 일부 진피층까지 손상시킨 실험동물 모델을 이용하였다. 표재성 2도 화상은 표피와 진피층 일부의 조직 손상을 일으킨 것으로, 표피 부속기 일부분이 진피에 남아있는 상태이며, 표피 부속기에서 상피 세포가 자라나와 상처를 치유하게 된다. 하지만 진피 손상이 심한 심재성 2도 화상의 경우 반흔이 심하게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수술적 치료가 요구되며, 전층 화상은 표피와 진피 모두 손상된 상태로 피부 이식술 등 수술적인 치료가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표재성 2도 화상 이하의 화상을 유발한 HWY/Slc hairless rat를 이용하여 시료(이하, '시험물질(Zimon-101)'이라 함)의 화상 치유력을 확인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하여 제조되는 유기금속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상 치료제를 제공한다:
(1) 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유기산 1~3중량부를 용해시켜 용해물을 형성하는 단계,
(2) 상기 용해물에 아연 및 철을 각각 1000~3000ppm 및 10000~30000ppm의 농도로 투입하여 복합체를 형성하는 단계,
(3) 상기 복합체를 50~60℃에서 48~72시간 반응시켜 반응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4) 상기 반응물의 상층액을 수득한 후 정제하는 단계.
상기 단계 (1)의 유기산은 구연산(citric acid)인 것이 바람직하다. 물에 투입되는 유기산의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반응물이 지나치게 적어져서 유효 성분으로 작용하는 유기금속화합물을 충분히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고, 3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용해도가 낮아지며, 반응시간이 너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단계 (2)의 아연과 철은 물에 용해되어 있는 유기산 분자와 반응하여 아연, 철 및 유기산 복합체를 이루게 된다. 이 경우 첨가되는 아연과 철의 함량은 각각 1000~3000ppm 및 10000~30000ppm의 농도가 바람직하며, 상기 농도 범위에서 제조된 유기금속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항균성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 단계 (3)의 반응 조건하에서 본 발명의 유기금속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반응이 완결된다. 구체적으로 반응 온도는 50~60℃에서 수행되며, 50℃ 미만의 온도에서 반응을 수행하는 경우 반응 시간이 지나치게 길어지며, 60℃를 초과하는 온도에서 반응을 수행하는 경우 반응 속도는 빨라지나 부반응이 발생하여 항균 성능에 대한 효과가 미미하다. 반응 시간은 48~72시간이며, 48시간 미만 동안 반응을 수행하는 경우 금속과 유기산이 충분한 반응을 할 수 없으며, 72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부반응이 진행되어 문제된다.
상기 단계 (4)는 단계 (3)에서 완성된 반응물을 정제하는 단계로서, 침전물로부터 상층액을 분리한 후 여과, 크로마토그래피 등의 방법으로 본 발명의 유기금속화합물이 포함된 상층액을 정제할 수 있다.
상기 단계 (1) 내지 단계 (4)를 거친 결과물에 대한 매스 스펙트럼(Mass Spectrum)의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으며, 본 발명의 유기금속화합물의 분자량이 472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유기금속화합물의 성분을 분석하여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3052104471-pat00001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따라 얻어진 유기금속화합물은 포함하는 화상 치료제는 약학적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14중량%로 포함한다.
본 발명에 다른 화상 치료제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생리식염수, 폴리에틸렌글리콜, 에탄올, 식물성 오일 및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은 아연 및 철을 함유하는 유기금속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상 치료제로서 페이스트 연고, 크림, 밀크, 파프제, 분제, 침투 패드, 용액, 겔, 분무제, 로션 또는 현탁액 형태의 제형에 적용 가능한 것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아연 및 철을 함유하는 유기금속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상 치료제의 약제학적 유효량을 개체에 투여하여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개체란 질병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을 의미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간 또는 비-인간인 영장류, 생쥐(mouse), 쥐(rat), 개, 고양이, 말, 및 소 등의 포유류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약제학적 유효량은 화상의 범위, 깊이 등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연고제, 예를 들면 페이스트, 크림 및 겔의 형태로 하는 경우에는, 통상 사용되는 기제, 안정제, 습윤제 및 보존제 등을 필요에 따라 배합할 수 있어,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성분을 혼합하여 제제화할 수 있다. 기제로서는 예를 들면 백색 바셀린, 폴리에틸렌, 파라핀, 글리세린,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글리콜, 실리콘 및 벤토나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보존제로서는 파라옥시안식향산 메틸, 파라옥시안식향산 에틸, 파라옥시안식향산 프로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첩부제(貼付劑)의 형태로 하는 경우에는, 통상의 지지체에 상기 연고, 크림, 겔 또는 페이스트 등을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도포할 수 있다. 지지체로서는 면, 스테이플 파이버(staple fiber) 및 화학섬유로 되는 직포 또는 부직포, 연질 염화비닐, 폴리에틸렌 및 폴리우레탄 등의 필름 또는 발포체 시트를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실시 예]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항균제의 제조에 대한 하나의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유기금속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5L 반응조에 물 1000ml를 투입하고, 다음으로 구연산 20g을 투입하여 용해시켰다.
구연산 수용액 내로 나노 입자화한 아연과 철을 각각 2000ppm과 20000ppm의 최종 농도가 되게 투입하고, 50℃에서 7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침전물을 여과지를 통하여 제거하고, 상층액을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한 후, 본 발명의 조성물이 10중량%의 농도가 되게 제형을 제조하였다.
2. 시험계
본 발명의 평가에 사용된 모든 동물 실험은 경기 바이오센터에서 운영하는 동물실험윤리위원회의 승인(승인번호:2012-12-0015) 후 수행하였다.
생후 6주의 HWY/Slc hairless rat 암컷을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모든 랫드는 온도 24±2℃, 습도 50±10%로 최적 환경 조건을 유지시킨 실험실에서 12hr/day 명암주기로 사육하였으며, 사료의 제한은 없었으며, 시험 전 최소 1주의 안정화 기간을 두어 순화시켰다.
3. 화상 제작 및 피부 도포
실험동물을 마취(ketamine+rompun=4:1)한 후, 직경 15㎜ ring forcep의 한쪽 단면을 이용하여 전열기(hot plate)에 550도 1분 가열 후 시험계의 등 부위에 5초간 올려놓아 원형으로 화상을 제작하였다. 총 13마리의 HWY/Slc hairless rat는 2군으로 세분(기간별 피부 조직 적출용 8마리, 화상면적 측정용 5마리)하여 1군은 대조군(이하, 'VG'로 명칭 한다), 2군은 시험군(이하, 'TG'로 명칭 한다)으로 하였다. 드레싱 및 시료 도포는 1일 간격을 원칙으로 처리하였으며, 화상의 오염과 시료의 탈락을 최소화하였으며, 화상 면적의 기간별 감소 추이를 관찰 평가한 후 안락사시켜 시험을 종료하였다.
4. 일반 증상 관찰
모든 동물에 대하여 매일 1회 일반증상 관찰을 실시하였으며, 일반증상관찰은 시험이 종료되는 시점까지 계속 실시하였다.
5. 화상 면적 측정
모든 동물에 대하여 일정한 시간(오후 02:00)에 실체 현미경(SMZ1500, Nikon Japan)을 이용하여 화상 면적을 측정하였다. 이를 통해 화상 치유 기간과 면적 감소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화상 유발 후 12일까지 측정하여 비교 평가하였다.
6. 조직병리학
실험동물을 시험물질 도포 전과, 1일, 5일, 7일, 12일 후에 기간별로 2마리씩 희생시키고, 창상부위의 피부 조직을 적출하여 10% 중성 완충포르말린(Neutral buffered formalin) 용액에 고정하였다. 그 후 파라핀(paraffin)에 포매하여 굳히고, 5㎛ 절편을 제작하였다. H&E(Hematoxylin and Eeosin)으로 염색하여 창상 부위 피부의 재상피화, 섬유아세포의 증식, 다핵구와 임파구의 침윤, 혈관생성의 정도를 관찰하였다.
7. 자료의 통계처리
시험결과는 기간별, 군별의 사진과 평균 및 표준편차(mean±S.D)로 정리한 표를 이용하여 경향을 분석하였으며, 대조군과 시험군의 비교는 통계프로그램인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를 이용하여 독립표본 T-검증(independent T-test)을 통해 p값을 측정하고, p<0.05인 경우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판정하였으며, 정규성 및 등분산 위배 시 만-휘트니 U 검증(Mann-Whitney U-test)로 검정하였다. 표시는 (p<0.05:*; p<0.01:**; p<0.001:***)와 같다.
8. 일반 증상 관찰
시험기간 중 모든 시험계에서 시험물질 투여로 인한 특이한 임상증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9. 화상 면적 (표 1 및 도 2 )
육안과 실체현미경을 이용한 화상 면적 측정 결과, 시험 물질 도포 1 일차부터 대조군(VG)과 시험군(TG, Zimon-101 도포군)과의 유의차가 나타나 화상 면적의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시험 종료 시점인 12일 측정 결과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기간별 그룹간의 화상 면적의 변화는 도 2 및 도 3과 하기의 표2로 정리하였다.
표 1은 대조군(VG)과 시험군(TG)에서 치료에 따른 일별 화상 상처 치유의 변화율(㎟)을 나타낸다(*VG로부터의 주요 차이(*:p<0.05, **:p<0.01, ***:p<0.001), 평균±S.D.).
Figure 112013052104471-pat00002
도 2는 대조군(VG)과 시험군(TG)에서 일별 화상 상처 치유의 상태의 비율을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각각의 점은 평균±S.E.이고, n=5이다.
도 3은 대조군(VG)과 시험군(TG)에서 일별 화상 상처 치유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다음에, 도 4에 따라 조직학적 평가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대조군(VG)과 시험군(TG)에서 일별 화상 상처 치유에 따른 피부 조직 염색 평가의 조직학적 검사(Hematoxylin and Eeosin(×40))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열에 의한 화상 피부 조직 염색 결과, 대조군(VG)에서는 표피층의 상피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기저층에서의 분화와 각질화가 나타났다. 교원섬유 결합조직이 창상부위의 일부분에서 관찰되며, 염증세포의 침윤과 모세혈관의 생성이 진행되는 것이 보여졌다. 그에 비해 시험군(TG, Zimon-101 도포군)에서는 화상 부위 표피층의 상피화가 대조군에 비해 빠르게 진행되었으며, 상피층에서 분화와 각질화가 활발하게 나타났다. 풍부한 교원섬유 결합조직의 관찰과 빈번한 모세혈관의 신생과 확장이 보여졌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HWY/Slc 계통의 수컷 hairless rat를 이용하여 화상 치유 능력 평가시험을 실시하였다.
표 3은 대조군(VG)과 시험군(TG)에서 각각의 래드의 화상 크기(㎟)의 변화 를 나타내고, 표 4는 대조군(VG)과 시험군(TG)에서 각각의 래드의 일별 화상 상처 치유 비율을 나타낸다.
도 5는 대조군(VG)에서 일별 화상 상처 치유를 나타내는 사진(↓Day0, 01일, 05일, 07일, 10일, 12일, →#1~#4)이고, 도 6은 시험군(TG)에서 일별 화상 상처 치유를 나타내는 사진(↓Day0, 01일, 05일, 07일, 10일, 12일, →#1~#4)이다.
도 7은 대조군(VG)과 시험군(TG)에서 H&E 염색에 의한 표피의 조직학(×40,↓#1,#2, →0일, 01일, 05일, 07일, 12일)의 사진을 나타낸다.
Figure 112013052104471-pat00003
Figure 112013052104471-pat00004
본 발명에서 사용한 hairless rat는 피부 관련 시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인위적인 열상에 의한 화상 유발 시 화상 부위의 변화 관찰이 용이하여 선택된 시험계 이다. 모든 시험계에서 일반증상 관찰 결과 특이한 증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열상에 의한 화상 치유력을 평가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① 실체현미경을 이용한 화상 면적 측정결과, 1일, 5일, 7일, 10일, 12일에 대조군(VG)에 비해 시험군(TG, Zimon-101 도포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화상 면적이 감소되는 효능이 나타났다.
② 피부 조직 염색(Hematoxylin and Eeosin stain)결과, 대조군(VG)에 비해 시험군(TG, Zimon-101 도포군)에서 피부의 재생피화가 빠르게 진행되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은 실험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본 발명은 유기금속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상 치료제로서 아연과 철을 함유하는 시험물질의 화상 치유력을 평가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HWY/Slc hairless rat는 유전적인 결함에 의해 모발 성장이 조기에 중단되고 퇴행기가 유도되어 제모 및 피부 관찰이 용이하여 본 발명의 시험에 선택하였다.
시험물질에 대한 화상 치유력을 평가하기 위해 실체현미경으로 화상 부위의 면적을 측정하였으며, 측정 기간별로 피부 조직을 염색하여 화상 부위 피부의 재상피화를 관찰하였다. 화상 면적 측정결과, 시험 물질 도포 1일 후부터 시험 종료 시까지 대조군과 비교하여 시험물질의 도포군에서 효능이 나타났으며, 조직학적 평가 결과, 대조군에 비해 시험군에서 피부의 재상 피화가 빠르게 진행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시험물질(Zimon-101) 도포군이 피부 재상피화가 신속히 진행되어, 화상 면적이 대조군에 비해 효과적으로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금속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상 치료제 및 그 제조방법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부작용이 없으면서 화상 치료를 도모할 수 있다.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산화 아연과 철을 함유하는 유기금속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상 치료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 아연은 나노입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치료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금속 화합물은 약학적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1~14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치료제.
  6. (a) 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구연산(citric acid) 1~3중량부를 용해시켜 용해물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용해물에 나노 입자화한 아연 및 철을 각각 1000~3000ppm 및 10000~30000ppm의 농도로 투입하고 유기화하여 복합체를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복합체를 50~60℃에서 48~72시간 반응시켜 반응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반응물을 수득한 후 정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치료제의 제조방법.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아연 및 철은 약학적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1~14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치료제의 제조방법.
  9. 특허청구의 범위 제6항 또는 제8항 중의 어느 한 항의 화상 치료제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고, 페이스트 연고, 크림, 밀크, 파프제, 분제, 침투 패드, 용액, 겔, 분무제, 로션 또는 현탁액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KR20130067064A 2013-06-12 2013-06-12 유기금속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상 치료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4903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7064A KR101490345B1 (ko) 2013-06-12 2013-06-12 유기금속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상 치료제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7064A KR101490345B1 (ko) 2013-06-12 2013-06-12 유기금속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상 치료제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4899A KR20140144899A (ko) 2014-12-22
KR101490345B1 true KR101490345B1 (ko) 2015-02-10

Family

ID=52591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67064A KR101490345B1 (ko) 2013-06-12 2013-06-12 유기금속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상 치료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034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8981B1 (ko) 2010-07-06 2012-07-27 박래옥 구연산, 아연 및 엘-아르기닌을 포함하는 화상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8981B1 (ko) 2010-07-06 2012-07-27 박래옥 구연산, 아연 및 엘-아르기닌을 포함하는 화상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4899A (ko) 2014-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306358B (zh) 止痒祛疤涂膜剂
JP6130441B2 (ja) 創傷、皮膚障害および脱毛を治療するための1以上のハマアズキ、ココヤシまたはモモタマナ抽出物
WO2021103581A1 (zh) 具有促进伤口愈合和/或疤痕修复功效的皮肤外用组合物
Yenilmez et al. Chitosan gel formulations containing egg yolk oil and epidermal growth factor for dermal burn treatment
Jang et al. Wound healing effect of cuttlebone extract in burn injury of rat
ASHKANI et al. Enhancement of fibroblast proliferation, vascularization and collagen synthesis in the healing process of third-degree burn wounds by topical arnebia euchroma, a herbal medicine
CN108852900A (zh) 一种含有十三肽的抗菌面膜及其制作方法
Popova et al. Fabrication of CeO2 nanoparticles embedded in polysaccharide hydrogel and their application in skin wound healing
JP2009269904A (ja) 外傷、褥瘡の治療用漢方薬組成物及びその製剤の製造方法
WO2020216283A1 (zh) 红色诺卡氏菌细胞壁骨架在治疗热损伤中的用途
KR101490345B1 (ko) 유기금속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상 치료제 및 그 제조방법
CN110200988A (zh) 一种疤痕修复剂及其制备方法
Gürtler et al. Electrospun fibers for the treatment of skin diseases
CN105726586A (zh) 银杏提取物的外用制剂、其制备方法及用途
KR20200112012A (ko) (R)-진세노사이드 Rg3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상처 치유 또는 피부재생 촉진용 조성물
KR20110139486A (ko) 꿀 및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상처 치유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Fedota et al. Local treatment of burn wounds in animals using a new nanocomponent ointment
KR101820519B1 (ko) 설글리코타이드의 피부 상처 치유 촉진 용도, 및 이를 포함하는 외용제 조성물
CN105233271B (zh) 一种防疤鲵皮胶原蛋白烧伤膏及其制备方法
CN100408091C (zh) 重组人粒细胞巨噬细胞集落刺激因子凝胶剂及其制备方法
RU2337702C2 (ru) Бальзам &#34;гайсановой&#34;, обладающий ранозаживляющим, противовоспалительным и противоожоговым действием
RU2794958C2 (ru) Композиция ранозаживляющего действия
CN114478695B (zh) 一类促进组织修复的新多肽及其应用
RU2445113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противовоспалительного и ранозаживляющего средства
RANA DEVELOPMENT OF CERAMIDE AND HONEY BASED BIODEGRADABLE DRESSING MATERIALS FOR THE APPLICATION TO BURN SK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