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9486A - 꿀 및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상처 치유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꿀 및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상처 치유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9486A
KR20110139486A KR1020100059607A KR20100059607A KR20110139486A KR 20110139486 A KR20110139486 A KR 20110139486A KR 1020100059607 A KR1020100059607 A KR 1020100059607A KR 20100059607 A KR20100059607 A KR 20100059607A KR 20110139486 A KR20110139486 A KR 201101394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ney
bee venom
composition
skin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9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미
이광길
여주홍
박관규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1020100059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39486A/ko
Publication of KR20110139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94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3Arthrop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3Arthropods
    • A61K35/64Insects, e.g. bees, wasps or fleas
    • A61K35/644Beeswax; Propolis; Royal jelly; Hone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6Ointments; Bases therefor; Other semi-solid forms, e.g. creams, sticks, ge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처 치유용 피부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꿀 및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상처 치유용 피부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꿀 및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상처 치유용 피부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보습, 항균 및 세포 재생효능이 뛰어나, 상처 치유능력이 우수하므로 상처 치유용 피부외용제 제조에 효과적이다.

Description

꿀 및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상처 치유용 피부외용제 조성물{Skin external composition for wound healing comprising honey and bee venom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상처 치유용 피부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꿀 및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상처 치유용 피부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꿀은 고대 이집트, 페르시아, 중국 등지에서 오래 전부터 영양식품 또는 의약품으로 사용되어 왔던 기록들이 있으며, 변비 완화제 및 기생충 치료제로서의 작용, 상처, 화상, 궤양 등의 외상이나 인후염 및 염증 등에 대한 항염작용, 항균작용, 항산화 효과 등이 과학적으로 입증되고 있다. 꿀은 약 17%의 수분과 80%의 당류, 미량의 호정, 단백질 등으로 이루어졌다. 특히 주성분인 당류는 전화당으로 포도당과 과당(프락토오스, fructose)이며, 보습력과 항균력을 유지하는데 주요 역할을 한다.
봉독이란 벌의 독액을 말하며 최근에는 주사제의 형태로 정제하여 봉침, 봉약침요법 등의 이름으로 불리며 한의학의 고유 치료방법으로 이용되고 있다. 봉독을 이용한 치료법은 기원전 2000년경에 이집트 파피루스 문서에 벌침이나 죽은 벌을 아픈 곳에 문질러 치료한 기록이 남아있을 정도로 오래된 것이다.
봉독은 Peptide component, Enzyme, Non peptide component로 분류할 수 있는 다양한 물질들로 구성되어있다. Peptide component는 동결 건조된 봉독의 50-60%를 차지한다. 대표적인 Peptide component인 멜리틴(Melittin)은 26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폴리펩티드이며 Ⅰ과 Ⅱ의 두 가지 형태가 존재하는데 봉독에는 둘 다 들어있고 봉독 총량의 40-50%를 차지하지만 독성이 강하지는 않다. 용혈작용, 효소작용 및 항염작용을 한다. 그리고 아파민(Apamin)은 마른 봉독의 2-3%에 지나지 않지만 신경독 작용 때문에 널리 알려져 있다. Non peptide component로는 히스타민(Histamin), 도파민(Dopamine), 노르에피네프린(Norepinephrine) 등이 있다.
봉독의 성분 및 효능은 다음과 같이 알려져 있다.
① 면역계 질환의 치료 : 대부분의 면역성 질환의 치료에 봉독은 효과를 보이는데 이는 봉독이 포유동물의 면역계를 자극해서 질병과 성공적으로 싸울 수 있게 한다. 봉독의 주된 두 가지 면역 작용은 유기체의 생체계를 자극하는 것이고 다음 순서로는 생체의 방어력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② 항염증 작용 : 봉독의 주성분들이 염증 억제에 매우 유효하게 작용한다. 특히 관절염의 경우 멜리틴과 아파민을 주입했을 경우 현저하게 부종이 억제 되었다. 단백효소 억제제와 아돌라민 처리에도 부종이 15-40 % 억제되었다.
③ 신경독 효과 : 벌에 쏘이면 통증과 염증을 유발하는데 이를 유발하는 물질들은 포유동물에 있어서는 희피반응 즉 진통제를 개발하는데 있어 효과적으로 사용된다. 특히 봉독 속의 아파민의 작용에 의해서 진통작용을 하는데 각종 신경통, 관절염 및 류마티스성 관절염, 통풍, 근육통 등에 진통작용이 강하고 치료효과도 높다.
④ 용혈작용 : 봉침의 작용 중에서 가장 뛰어난 효과중의 하나가 용혈작용이다. 멜리틴, 포스포리파아제등의 작용에 의해서 타박상, 내출혈 등의 어혈을 흡수 배설 시키고 조직의 새로운 혈액과 산소 및 영양을 공급하여 치료와 용혈작용을 한다.
⑤ 혈관확장작용 : 히스타민성 물질의 작용으로 모세혈관, 소동맥, 소정맥 특히 내장 혈관을 확장시키는데 효과가 크다. 따라서 냉증, 동상, 근육통 등의 질환을 치료한다.
⑥ 혈압강하작용 : 히스타민성 물질의 작용에 의해서 혈압을 내리게 하는 강력한 작용을 한다. 특히 2억 5천만분의 1의 농도에서도 혈압강하작용이 있으며, 본태성고혈압 등의 치료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⑦ 자율신경조절작용 : 인체에 스트레스를 계속 받게 되면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의 자율신경에 난조가 와서 이것이 많은 병의 원인이 된다. 이 자율신경을 정상화 하는데 필요한 물질인 카테콜안미과 아세칠콜린이 봉독 속에 함유되어 있으며 이 물질은 뇌세포 전달물질이 때문에 심신증 갱년기 장애 스트레스성 질환 치료에 효과적이다.
봉독에 대한 기존 연구들을 살펴보면 국내외 모두 관절염 등 염증질환에 대한 논문이 많았고 또 유의한 효능을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고 관절염 이외에도 항암효과, 면역요법, 종양 등에 대하여 보고되어 있으며, 특히 봉독이 기억력이나 척수나 뇌의 신경세포 활성을 높일 수 있음에 대해서 이미 보고되어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8-0021340(2008.03.07)호에는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츠하이머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봉독은 축산 분야에서는 돼지의 유방염의 치료에도 시도된 바 있으며, 이러한 기술의 일례로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1999-5477(1999.02.19)호에는 생봉독을 이용한 돼지의 유방염 치료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처(wound)란 창상이라고도 하며 외부에서 가해진 힘에 의해 신체조직의 정상적 구조의 연속성이 파괴된 상태로서, 생체 내부 또는 외부 표면을 이루는 조직, 예를 들면 피부, 근육, 신경 조직, 뼈, 연조직, 내부기관 또는 혈관조직이 분단 또는 파괴된 병리학적 상태를 포괄한다.
일반적으로 수술, 사고, 화상, 찰과상, 자상, 부스럼, 피부염 등의 각종 질환으로 인하여 피부에 상처가 발생하게 되면 상처의 특성에 따라 살균제와 수렴제가 혼합된 약제를 상처부위에 도포하여 치료를 하고 있다. 즉, 점막이나 피부의 상처에 얇은 막을 만들어 보호하고, 혈관을 수축하고 체액의 분비를 억제하며 상처에 존재하는 세균을 살균시켜 상처를 건조시킴으로서 자연히 치유되도록 유도하는 약제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외피용 약제들은 쉽게 건조되어 상처 주위의 피부를 수축시키게 되므로 완전한 치료 후에도 흉터를 남기게 되고 치료에 장시간이 소요되고 약물의 투과가 만족스럽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국소 투여된 피브로넥틴(혈장에서 발견되는 당단백질)이 각막 창상(Nishida, Larch Opthalmology 101:1046 (1983)) 및 다리 창상(Wysocki et al. Arch. Dermatol. 124:175 (1988))의 치료 속도를 증가시키는데 유용한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들은 일부 환자에 대해 부분적인 창상 완화를 제공하지만, 치료 기간이 길고 치료에 대한 반응이 최적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수술 후 또는 외상 후 치료법에 있어서 의학적 위험성이 적고 감염을 막아주며 동시에 세포 재생을 촉진시키는 등 치료 이점이 많은 상처 치료용 조성물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처의 세균 감염을 억제하는 항균활성이 우수하며, 상처부위 조직 재생을 촉진하는 조성물에 관하여 연구하던 중 꿀과 봉독의 혼합물을 상처에 적용하면 세균의 감염을 막아주며, 상처 조직 재생이 촉진되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꿀 및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상처 치유용 피부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꿀 및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상처 치유용 피부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꿀 및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상처 치유용 피부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꿀 및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처(wound)란 창상이라고도 하며 외부에서 가해진 힘에 의해 신체조직의 정상적 구조의 연속성이 파괴된 상태로서, 생체 내부 또는 외부 표면을 이루는 조직, 예를 들면 피부, 근육, 신경 조직, 뼈, 연조직, 내부기관 또는 혈관조직이 분단 또는 파괴된 병리학적 상태를 포괄한다. 상처의 예로는, 이들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좌상(contusion or bruise), 비-치유 외상성 창상, 방사선조사에 의한 조직의 파괴, 찰과상(abrasion), 골괴저, 열상(laceration), 결출상(avulsion), 관통상(penetrated wound), 총상(gunshot wound), 절상, 화상, 동상, 피부궤양, 피부 건조, 피부각화증, 갈라짐, 터짐, 피부염, 피부사상균증에 의한 통증, 수술상, 혈관질환 창상, 각막창상 등의 창상, 욕창, 와창, 당뇨성 피부미란과 같은 당뇨병 및 순환불량에 관련된 상태, 만성궤양, 성형수술 후 봉합부위, 척추상해성 창상, 부인과적 창상, 화학적 창상 및 여드름을 포함하며 개체의 어떠한 부분에 대한 손상이 포함된다.
꿀은 꿀벌이 여러 식물의 꽃으로부터 수집한 화밀과 화분을 그들의 식량으로 전환하여 저장한 것으로, 2개의 단당류, 즉 글루코오스(glucose)와 프락토오스(과당, fructose), 탄수화물, 무기질, 식물성 색소, 효소 및 화분 등을 함유하고 있다. 꿀의 성분 중 80% 이상은 글루코오스(glucose), 프락토오스(fructose) 등의 단당류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 중 꿀은 그 종류에 제한이 없으며, 예를 들어 유채꿀, 아카시아꿀, 밤꿀, 잡꿀, 싸리꿀일 수 있다.
봉독(bee venom)이란 벌의 독액을 말한다. 봉독은 꿀벌의 독낭에 들어있는 약 40여 가지의 다양한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는 복합체로써 enzyme, peptides, non peptides, phygiologicaly active amine으로 구성되어 있다. 봉독은 예로부터 자연 치료법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특히 각종 염증성 질환과 통증성 질환에 활용되어 왔다.
본 발명의 봉독 채취 대상인 벌은 특별히 그 종류가 제한되지 아니하나 바람직하게는 꿀벌(Apis mellifera)일 수 있다.
본 발명 조성물의 꿀 또는 봉독은 직접 채취하거나 상업적으로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가공 없이 그대로 사용하거나 희석, 농축, 분획 등 가공공정을 거쳐 일부 성분을 추출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꿀은 가공 전 꿀 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희석, 농축, 정제 과정을 거친 추출, 분획물도 포함한다. 예컨대, 여과지 또는 원심분리를 이용한 침전물 분리,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탈색과정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 조성물의 꿀 도는 봉독에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꿀은 증류수로 희석하여 이온교환수지컬럼으로 과당을 분리제거 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봉독은 증류수로 용해하여 원심분리로 고형성분을 제거하고 동결건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꿀은 바람직하게는 꿀의 전체 조성 중 과당 비율이 10중량% 내지 30중량%로 조절된 것 일 수 있다. 과당 비율 조절을 통해 끈적임을 줄여 피부착용감을 개선할 수 있다. 다만 과당비율을 지나치게 내리는 경우 보습력 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구성하는 꿀과 봉독의 비율을 특별히 한정되지 아니하나 바람직하게는 봉독 1 중량부 당 꿀 1,000,000 내지 100,000,000 중량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과당 비율 조절을 통해 끈적임을 줄여 피부착용감이 개선되었으며, 보습력이 우수하며, 각종 병원균에 대한 항균력이 우수하다. 또한 피부세포 증식, 콜라겐 합성 촉진 및 상피세포 성장인자인 EGF 발현 촉진효과가 뛰어나다. 또한 자외선에 의해 유도되는 광노화 촉진효소인 MMP(Matrix metalloproteinases)-1 및 MMP-3의 발현억제력 및 상처 치료 후 반흔 형성에 관여하는 VEGF의 발현억제력도 뛰어나다.
이러한 본 발명의 효과는 꿀 또는 봉독을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에 비하여 우수하다.
본 발명의 이러한 효과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입증되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증류수로 희석하여 이온교환수지컬럼을 이용하여 과당을 제거한 꿀과 봉독을 증류수로 용해 후 불순물, 고형분등을 제거한 후 동결건조 한 정제된 봉독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서는 꿀 및 봉독을 함유한 본 발명의 조성물이 도포된 드레싱을 제조하여 보습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꿀과 봉독이 함유된 드레싱의 경우 꿀 또는 봉독만 함유된 드레싱에 비하여 보습효과가 더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실시예 2 참조).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서는 제조된 드레싱의 항균력을 측정하였다. 다양한 균에 대한 억제환 생성력을 측정한 결과 본 발명의 꿀과 봉독이 모두 함유된 드레싱의 경우 꿀 또는 봉독만 함유된 드레싱에 비하여 항균력이 더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실시예 3 참조).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서는 제조된 드레싱의 피부세포 재생 및 콜라겐 합성 촉진 효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꿀과 봉독이 모두 함유된 드레싱의 경우 꿀 또는 봉독만 함유된 드레싱에 비하여 콜라겐 합성 증가 및 세포증식효과가 더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실시예 4 참조).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서는 피부 화상 모델을 대상으로 제조된 드레싱의 피부세포 재생 및 콜라겐 합성량 측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꿀과 봉독이 모두 함유된 드레싱의 경우 꿀 또는 봉독만 함유된 드레싱에 비하여 피부 화상 모델에서 콜라겐 합성 증가 및 세포증식효과가 더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광노화 촉진 효소인 MMP-1 및 MMP-2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피세포성장인자인 EGF의 발현을 증가시키며, 상처 치료 후 반흔 형성에 관여하는 VEGF의 발현을 억제하는 효과도 꿀 또는 봉독만 함유된 드레싱에 비하여 매우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실시예 5 참조).
이와 같이 꿀 및 봉독의 혼합물은 보습력, 항균활성, 피부세포재생력 등 상처 치유 능력이 우수하므로 상처 치유용 피부외용제 조성물의 유용한 성분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처 치유용 피부외용제 조성물에 함유되는 꿀의 함량은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전체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99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01 내지 50 중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함량이 0.001 중량% 미만에서는 목적하는 상처치유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99 중량% 초과하는 경우 사용량만큼의 효과가 없다.
본 발명의 상처 치유용 피부외용제 조성물에 함유되는 봉독의 함량은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전체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0.000001 내지 1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01 내지 1 중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함량이 0.000001 중량% 미만에서는 목적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10 중량% 초과하는 경우 독성에 의한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은 꿀 및 봉독을 함유하거나 꿀 및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제, 유화제, 보습제, 증점제, 계면활성제, 방부제, 기능성 생리 활성성분, 킬레이트제, 산화방지제, 항균제, 향료 및 용매 등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유제로는 피부외용제의 구성성분으로 통상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성분들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아보카드유, 아마인유, 아몬드유, 백랍, 들기름, 올리브유, 카카오 기름, 판야 왁스, 비자나무유, 카르나바 왁스, 간유, 칸테릴라 왁스, 우지, 우각지, 우골지, 경화 우지, 살구씨 기름, 고래왁스, 경화유, 소맥 배아유, 참기름, 쌀 배아유, 쌀겨유, 사탕수수 왁스, 산다화유, 샤플라워유, 쉐버터, 뽕나무유, 계피유, 조조바 왁스, 셸락 왁스, 터틀유, 대두유, 차실유, 동백나무유, 달맞이꽃유, 옥수수유, 돼지기름, 유채씨 기름, 일본 오동나무유, 쌀겨왁스, 배아유, 마지, 살구기름, 팜유, 팜핵유, 피마자유, 경화피마자유, 피마자유 지방산 메틸에스테르, 해바라기기름, 포도기름, 월계수 왁스, 호호바 오일, 마카데미아너트유, 밀랍, 밍크유, 면실유, 면왁스, 목랍, 목랍핵유, 몬탄왁스, 야자유, 경화야자유, 트리야자유 지방산 글리세라이드, 양기름, 낙화생유, 라놀린, 액상 라놀린, 환원 라놀린, 라놀린 알콜, 경질 라놀린, 아세트산 라놀린, 라놀린 지방산 이소프로필, 라우린산 헥실, POE 라놀린 알콜 에테르, POE 라놀린 알콜 아세테이트, 라놀린 지방산 폴리에틸렌글리콜, POE 수소첨가 라놀린 알콜 에테르, 난황유, 라우릴알콜, 미리스틸알콜, 팔미틸알콜, 스테아릴알콜, 베헤닐알콜, 헥사데실알콜, 올레일알콜, 이소스테아릴알콜, 헥실도데칸올, 옥틸도데칸올, 세토스테아릴알콜, 2-데실테트라데시놀, 콜레스테롤, 피토스테롤, POE 콜레스테롤 에테르, 모노스테아릴글리세린 에테르(베틸알콜), 모노올레일글리세릴 에테르(셀라킬알콜) 등; 에스테르유로서는 아디핀산 디이소부틸, 아디핀산 2-헥실데실, 아디핀산 디-2-헵틸운데실, 모노이소스테아린산 N-알킬글리콜, 이소스테아린산 이소세틸, 트리이소스테아린산 트리메틸올프로판, 디-2-에틸헥산산 에틸렌글리콜, 2-에틸헥산산 세틸, 트리-2-에틸헥산산 트리메틸올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 펜타에리트리틸, 옥탄산 세틸, 옥틸도데실검 에스테르, 올레인산 올레일, 올레일산 옥틸도데실, 올레인산 데실, 이소노난산 이소노닐, 디카프린산 네오펜틸글리콜, 구연산 트리에틸, 숙신산 2-에틸헥실, 아세트산 아밀, 아세트산 에틸, 아세트산 부틸, 스테아린산이소세틸, 스테아린산 부틸, 세바신산 디이소프로필, 세바신산디-2-에틸헥실, 락트산 세틸, 락트산 미리스틸, 팔미틴산 이소프로필, 디펜타에리트리틸 지방산 에스테르, 미리스틴산 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 옥틸도데실, 미리스틴산 2-헥실데실, 미리스틴산 미리스틸, 디메틸옥탄산 헥실데실, 라우린산 에틸, 라우린산 헥실, N-라우로일-L-글루타민산-2-옥틸도데실에스테르, 말산디이소스테아릴 등; 글리세라이드유로서는 아세토글리세릴, 트리이소옥탄산 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린산 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틴산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릴, 디-2-헵틸운데칸산 글리세릴, 트리미리스틴산 글리세릴, 미리스틴산 이소스테아린산디글리세릴 등일 수 있다.
상기 유화제로는 통상적으로 당 분야에서 사용하는 유화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비이온성 실리콘계 계면활성제, 예를 들어 분기(分岐) 실리콘형 폴리글리세릴 변성 실리콘, 분지 실리콘형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가교형 폴리글리세릴 변성 실리콘, 당(糖)변성 실리콘, 글리세릴 변성 실리콘 중 1 종류 이상을 배합할 수 있다.
상기 보습제로서는 예를 들어 소르비톨, 말토스, 말티톨 등의 당 알콜, 포도당, 수크로스, 젖당, 라피노스, 트레할로스, 크실리톨 등의 당질,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트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콜레스테롤, 시토스테롤, 피토스테롤, 라노스테롤, 1,3-부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디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및 이의 염, 콘드로이친 황산 및 이의 염, 피롤리돈 카본산염, 폴리옥시에틸렌메틸글루코시드, 폴리옥시프로필렌메틸글루코시드, 에틸글루코시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증점제로서는 아라비아고무, 트라가칸트, 아라비노갈락탄, 로커스트빈검(카로브검), 구아검, 카라야검, 카라기난, 펙틴, 한천, 쿠인스시드(마르멜로), 전분(쌀, 옥수수, 감자, 밀), 알게콜로이드, 트란트검, 로커스트빈검 등의 식물계 고분자, 크산탄검, 덱스트란, 숙시노글루칸, 풀루란 등의 미생물계 고분자, 콜라겐, 카제인, 알부민, 젤라틴 등의 동물성 단백질계 고분자, 카르복시메틸전분, 메틸히드록시프로필전분 등의 전분계 고분자, 메틸셀룰로스, 에틸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니트로셀룰로스, 셀룰로스황산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나트륨, 결정셀룰로스 등의 셀룰로스계 고분자, 알긴산 나트륨, 알긴산 프로필렌글리콜에스테르 등의 알긴산염(alginate) 또는 알긴산계 고분자, 폴리비닐메틸에테르, 폴리비닐피롤리돈, 카르복시비닐폴리머 등의 비닐계 고분자,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의 폴리옥시에틸렌계 고분자,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계 고분자,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폴리에틸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산 아미드 등의 아크릴계 고분자, 폴리에틸렌이민, 양이온 폴리머, 벤토나이트, 규산 알루미늄마그네슘, 라포나이트, 스멕타이트, 사포나이트, 헥토라이트, 무수 규산 등의 무기계 증점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방부제로서는, 예를 들면 안식향산, 살리실산, 파라옥시안식향산 에스테르(메틸파라벤, 에틸파라벤, 부틸파라벤 등), 솔빈산, 파라크롤메타크레졸, 헥사클로로펜, 염화벤잘코늄, 염화크롤헥시딘, 트리클로로카르바닐리드, 감광소, 페녹시에탄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항균제로서는 안식향산, 살리실산, 석탄산, 소르빈산, 파라옥시 안식향산 알킬에스테르, 파라클로르메타크레졸, 헥사클로로펜, 염화벤잘코늄, 염화클로르헥시딘, 트리클로로카르바닐리드, 트리크로산, 감광소, 페녹시에탄올 등이 있다.
상기 생리 활성 성분으로서는 피부에 도포한 경우에 피부에 어떤 생리활성을 주는 물질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항염증제, 노화방지제, 자외선 방어제, 수렴제, 항산화제, 발모제, 육모제, 보습제, 혈행촉진제, 항균제, 살균제, 건조제, 냉감제, 온감제, 비타민류, 아미노산, 창상 치유 촉진제, 자극완화제, 진통제, 세포부활제, 효소 성분 등을 들 수 있다.
용매의 예로서는 정제수, 미네랄워터, 해양심층수 등의 물 이외에, 경질 유동 이소파라핀, 에테르류, LPG, N-메틸피롤리돈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 조성물은 상처 치유를 촉진하는 피부외용제로서 크림, 젤, 드레싱제,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경피 흡수제, 분말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또는 카타플라스마제의 피부외용제 형태의 약학조성물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제형은 모든 제약 화학에 일반적으로 공지된 처방서인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15th Edition, 1975,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ennsylvania 18042(Chapter 87: Blaug, Seymour)에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유효성분은 1일 0.00001 내지 100 ㎎/㎏으로, 바람직하게는 0.0001 내지 10 ㎎/㎏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꿀 및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상처 치유용 피부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보습, 항균 및 세포 재생효능이 뛰어나, 상처 치유능력이 우수하므로 상처 치유용 피부외용제 제조에 효과적이다.
도 1은 이온교환수지컬럼에 대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 함유되는 꿀의 글루코오스와 프락토오스(과당)의 온도별 분배계수를 측정한 결과 그래프 이다.
도 2는 본 발명 조성물의 세포재생 촉진효과를 측정한 결과 그래프이다(Y축은 무처리군의 세포 재생률을 100%로 하여 계산한 상대적인 세포 재생율 수치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콜라겐 생성량 증가 효과를 측정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자외선으로 피부화상을 유도한 피부세포에서의 세포재생 촉진효과를 측정한 결과 그래프이다(UVA: 320 ~ 380nm 파장의 자외선, UVB: 280 ~ 350nm 파장의 자외선, Y축은 무처리군의 세포 재생률을 100%로 하여 계산한 상대적인 세포 재생율 수치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자외선으로 피부화상을 유도한 피부세포에서의 콜라겐 생성량 증가 효과를 측정한 결과 그래프이다(UVA: 320 ~ 380nm 파장의 자외선, UVB: 280 ~ 350nm 파장의 자외선).
도 6은 자외선으로 피부화상을 유도한 피부세포에서 증가되는 MMP-1 및 MMP-3의 발현이 본 발명 조성물에 의해 억제되는 효과를 측정한 결과 그래프이다(UVB: 280 ~ 350nm 파장의 자외선).
도 7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자외선으로 피부화상을 유도한 피부세포에서의 상피세포 성장 인자인 EGF(eipdermal growth factor) 발현량 증가 효과를 측정한 결과 그래프이다(UVB: 280 ~ 350nm 파장의 자외선).
도 8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자외선으로 피부화상을 유도한 피부세포에서의 혈관내피성장인자인 VEGF(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발현량 감소 효과를 측정한 결과 그래프이다(UVB: 280 ~ 350nm 파장의 자외선).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피부외용제 조성물용 꿀 및 봉독 준비
서양종꿀벌(Apis meliffera L.)로부터 봉독 채집장치를 이용하여 봉독을 채집하고, 채집한 건조 봉독을 선행기술(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58814호)에 따라 정제하였다. 구체적으로 채집된 봉독을 50배의 3차 증류수에 용해시킨 후 15분간 원심분리(4℃, 3000g)하여 상등액을 취하였다. 수득한 상등액을 구멍의 크기(pore size)가 8um인 여과지로 여과한 후 여과된 액을 동결건조하여 순수한 봉독을 수득하였다.
꿀은 국내산 꿀(잡꿀, 밤꿀 또는 아카시아꿀)을 양봉농가에서 직접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꿀에 증류수를 첨가하여 5% 꿀 희석용액을 만든 후, 이온교환수지컴럼을 5℃, 40℃ 교대로 가열하면서 과당(fructose, 프락토오스)을 분리하여 제거하였다.
컬럼은 이온교환수지컬럼으로 DIAION FRK-01로 스티렌계의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이며, 이온교환은 Ca2+형태로 하고 교환용량은 Na+이온 1.9 mequiv/ml이고 수분함량은 43-53%이며, 입자크기는 70-100 mesh 정도이고, 4% crosslinking되어 있는 일본 미쓰비시 제품을 사용하였다.
먼저 컬럼의 온도를 10, 20, 30 및 40℃로 유지하면서 꿀을 주입하고 automatic fraction collector로 분획물을 수득하였다. 각 분획물의 글루코오스와 과당의 농도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이 분배계수를 측정하였다. tracer로 0.5M의 CaCl2를 사용하여 컬럼의 void volume(Vo)을 측정하고, 글루코오스 또는 과당이 최고 농도로 검출 될 때까지의 유출량(effluent volume)을 측정하여 retention volume(Vr)으로 하였다. 글루코오스 농도는 glucose analyzer(YSI, 미국)를 사용하여 측정하고, 글루코오스와 과당의 전체 당량은 표준시료의 농도 변화에 따른 굴절률 변화를 이용하여 굴절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과당의 농도는 전체 당량에서 글루코오스를 감하여 계산하였다. 분배계수는 하기와 같은 식으로 계산하였다.
분배계수(distribution coefficient)=(Vr-Vo)/Vo
분배계수 측정 결과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글루코오스의 경우 온도에 따른 분배계수의 변화가 없으나, 과당의 경우 20℃이하에서 분배계수가 급격히 올라가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컬럼의 온도를 주기적으로 변화시키면서 분획물을 수득하는 경우 과당의 농도가 낮은 꿀을 획득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Jacket에 냉수와 온수를 교대로 순환시켜 컬럼의 온도를 주기적으로 변화시키면서 상기 분배계수 측정과 동일한 방법으로 꿀을 분리하였다. 분획물을 분석하여 과당 함량이 20% 이하인 분획을 선택하여 회수하였다.
<실시예 2>
꿀 및 봉독 함유 드레싱 제조 및 보습력 측정
과당 함량이 20%로 조절된 꿀과 봉독, 알긴산 나트륨(sodium alginate)을 다양한 비율과 온도로 드레싱을 제조하여 보습력 측정하였다. 50 내지 60℃의 물에 10 ± 2.5 g의 꿀, 1 ± 0.5 ug의 봉독, 1 g의 알긴산 나트륨을 넣고 혼합 후 가열 또는 풍건하여 dressing을 제조하였다.
dressing에 일정량의 수분을 준 후 무게를 측정하고 시간 경과를 두고 무게를 측정하여 수분 손실량을 측정하였다.
유체처리능은 SMTL(Surgical Materials Testing Lab, 영국) 시험법에 따라, 무게를 알고 있는 dressing을 paddington 컵에 넣고 20 ml의 용액(142 mM NaCl2 + 2.5 mM CaCl2)을 첨가한 후 37℃에 24시간 동안 보관한다. Dressing이 들어있는 paddington컵을 실온으로 옮긴 후 무게를 측정하여 수분 손실량을 구하고 보관 전dressing 무게에서 수분 손실량을 제한 양을 유체처리능으로 하였다.
수분 손실량 측정 후 컵 바닥에 남아있는 용액을 제거한 후 15분 동안 방치한 후 다시 무게를 측정하여 dressing에 함수된 용액의 무게를 구하는 방법으로 흡수성을 측정하였다.
모든 자료는 SAS(SAS enterprise guide 3.0)의 Duncan's t-test를 이용하여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보습력 측정 결과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꿀 또는 봉독을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보다 꿀과 봉독을 모두 함유한 드레싱에서 보습효과가 더 좋게 나타났다.
보습력 측정 결과
수분 손실량(g/10cm2)
Moisture Vapour Loss
흡수성(g/10cm2)
Absorbency
유체처리능(g/10cm2)
Fluid Handling Capacity
꿀(10g) 0.36 2.96 2.31
봉독(1ug) 1.31 1.79 1.88
꿀(10g) + 봉독(1ug) 0.23 3.1 3.32
< 실시예 3>
꿀 및 봉독 함유 드레싱의 항균력 측정
상처, 화상 및 수술 후 치료 기간 중에 쉽게 감염되기 쉬운 병원균은 Staphylococcus aureus , Pseudomonas aeruginosa , Escherichia coli , Coagulase staphylococci , Coliform bacilli 등이다. 이러한 균에 대한 꿀, 봉독 그리고 꿀과 봉독이 포함된 드레싱의 항균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예 2>에서 제조된 드레싱을 균이 배양된 배지위에 올려놓아 생성되는 억제환(inhibition zone)의 크기를 구하여 항균효과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꿀과 봉독이 모두 포함된 드레싱의 경우 항균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항균력 측정 결과
세균 종류 억제환(Inhibition zone) (mm)
꿀(10g) 봉독(1ug) 꿀(10g)+ 봉독(1ug)
Staphylococcus aureus 10.3 19.5 20.7
Pseudomonas aeruginosa 9.5 12.5 13.5
Escherichia coli 10.3 20.1 22.7
Coagulase staphylococci 9.1 14.5 15.3
Coliform bacilli 8.5 13.5 14.2
< 실시예 4>
꿀 및 봉독 함유 드레싱의 피부세포 재생 및 피부세포 성장인자 촉진 효능 측정
본 발명의 꿀 및 봉독 함유 드레싱의 피부세포 재생 및 피부세포 성장인자 촉진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1차 배양 피부세포인 Human Dermal Fibroblast (HDF)에서 꿀 및 봉독에 의한 피부세포 재생율 실험을 실시하였다.
세포배양용 24 well plate에 <실시예 2>에서 제조된 드레싱을 멸균상태로 깔아주었다. 그 위에 HDF 세포를 1 × 105개 cell/ml의 농도로 주입하여 3일 동안 배양한 후 세포증식정도 및 콜라겐 합성량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세포 재생 정도를 확인하였다. 이때 세포증식효과는 MTT(methylthiazol-2-yl-2.5-diphenyl tetrazolium bromide) assay와 Diff quick stain을 이용한 세포염색 후 현미경으로 확인하였으며, 콜라겐 합성량은 collagen assay kit(SircolTM Soluble collagen assay, Biodye Science, 영국)를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모든 자료는 SAS(SAS enterprise guide 3.0)의 Duncan's t-test를 이용하여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꿀 및 봉독을 함유한 드레싱을 사용한 경우가 꿀 또는 봉독만으로 제조된 드레싱을 사용한 경우보다 세포 재생이 촉진되고, 콜라겐의 합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세포의 형태적인 모양에 있어서도 정상적으로 생장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 실시예 5>
피부 화상 모델에서 꿀 및 봉독 함유 드레싱의 피부세포 재생 효능 측정
<5-1> 피부 화상 모델 제작 및 세포증식정도 , 콜라겐 합성량 측정
본 발명의 꿀 및 봉독 함유 드레싱의 피부세포 재생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1차 배양 피부세포인 Human Dermal Fibroblast (HDF)로 피부 화상 모델을 만들어 세포 재생 실험을 하였다.
세포배양 24 well plate에 본 발명의 드레싱을 멸균상태로 깔아주었다. 그 위에 HDF 세포를 1 × 105개 cell/ml의 농도로 세포를 주입하여 3일 동안 배양하여 세포를 안정화 시킨 후 자외선을 조사하여 피부화상을 유도하였다. 자외선은 피부화상과 주름생성의 원인인 UVA(ultraviolet A: 320 ~ 380 nm)(630 mJ/cm2)와 UVB(280 ~ 350 nm)(100 mJ/cm2)를 사용하여, 30분간 조사하였다. 이후 새로운 배지로 교환 한 후 하루 동안 배양 한 후 세포증식정도 및 콜라겐 합성량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세포 재생 정도를 확인하였다.
세포증식효과와 콜라겐 합성량 측정은 <실시예 4>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시행하였다.
그 결과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봉독과 꿀이 함유된 드레싱을 사용한 군이 세포 재생과 콜라겐 합성이 촉진되어 자외선 UVA와 UVB 조사로 인한 손상으로부터 세포가 더 빠르게 회복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5-2> MMP -1, MMP -3, EGF VEGF 발현량 측정
본 발명 조성물의 MMP-1, MMP-3, EGF 및 VEGF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Matrix metalloproteinases-1(MMP-1) 및 MMP-3은 광노화의 주요 인자로 교원섬유(콜라겐) 분해 및 새로운 교원섬유의 생성을 억제하여 진피의 손상을 유발한다. EGF(epidermal growth factor)는 상피세포 성장인자로 상처 조직의 새로운 세포 생성 및 콜라겐 생성을 가속화 한다. VEGF(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는 혈관내피성장인자로 내피세포에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강력한 혈관생성인자이다. VEGF는 상처 치료 후 반흔 형성에 관여하며, 최근 연구에 의하면 자외선에 의해 유도된 피부 손상을 촉진하는 것으로 밝혀졌다(Hirakawa S. and Fujii S. et. al. Blood. 2005 Mar 15;105(6):2392-2399).
상피 세포 성장인자인 EGF(epidermal growth factor)의 발현량은 EGF ELISA kit(abcam, 영국)를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또한 자외선 조사에 의해 증가된 광노화 주요 인자인 MMP(Matrix metalloproteinases)-1 과 MMP-3 발현을 억제하는지 여부를 ELISA kit(abcam, 영국)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상처 치료 후 반흔 형성에 관여하는 VEGF 발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VEGF ELISA kit(abcam, 영국)를 사용하여 발현량을 측정하였다. 모든 자료는 SAS(SAS enterprise guide 3.0)의 Duncan's t-test를 이용하여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도 6] 내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봉독과 꿀이 함유된 드레싱을 사용한 군이 UVB에 의한 광노화 촉진 효소인 MMP-1과 MMP-3의 생성을 크게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피세포 성장인자인 EGF의 발현을 촉진하며, 상처 치료 후 반흔 형성에 관여하는 VEGF의 발현은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효과는 봉독 또는 벌꿀을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에 비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을 사용한 경우 더욱 크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로서 본 발명의 조성물의 상처 치유 효능이 봉독 또는 벌꿀을 단독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월등히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꿀 및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상처 치유용 피부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보습, 항균 및 세포 재생효능이 뛰어나, 상처 치유능력이 우수하므로 상처 치유용 피부외용제 제조에 효과적이어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

Claims (3)

  1. 꿀 및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상처 치유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꿀과 봉독의 비율은 봉독 1 중량부 당 꿀 1,000,000 내지 100,000,00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꿀은 꿀의 전체 조성 중 과당 비율이 10중량% 내지 30중량%로 조절된 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100059607A 2010-06-23 2010-06-23 꿀 및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상처 치유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1101394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9607A KR20110139486A (ko) 2010-06-23 2010-06-23 꿀 및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상처 치유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9607A KR20110139486A (ko) 2010-06-23 2010-06-23 꿀 및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상처 치유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9486A true KR20110139486A (ko) 2011-12-29

Family

ID=45504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9607A KR20110139486A (ko) 2010-06-23 2010-06-23 꿀 및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상처 치유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3948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3167A (ko) * 2014-10-10 2016-04-21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활성아민 함유 봉독의 분리 방법 및 그의 식품 조성물
KR20190084887A (ko) 2018-01-08 2019-07-1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염증제어를 위한 조성물
KR102024167B1 (ko) * 2019-01-18 2019-09-23 한국정제봉독협동조합 봉독(벌독)을 포함하는 피부온도 감응성 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팩
WO2023171852A1 (ko) * 2022-03-11 2023-09-14 한국한의약진흥원 등검은말벌독에 함유된 세로토닌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3167A (ko) * 2014-10-10 2016-04-21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활성아민 함유 봉독의 분리 방법 및 그의 식품 조성물
KR20190084887A (ko) 2018-01-08 2019-07-1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염증제어를 위한 조성물
KR102024167B1 (ko) * 2019-01-18 2019-09-23 한국정제봉독협동조합 봉독(벌독)을 포함하는 피부온도 감응성 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팩
WO2023171852A1 (ko) * 2022-03-11 2023-09-14 한국한의약진흥원 등검은말벌독에 함유된 세로토닌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411960A (zh) 一种具有抑制痤疮功效的面膜及其制备方法
CA2891602C (en) Composition comprising an orthosilicate and its use for tissue regeneration
US7879343B2 (en) Burn treatment method and composition
CN100455311C (zh) 一种用于烧、烫伤治疗及祛痘产品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JP2013060455A (ja) ハチ毒を有効成分とする組成物
US6391323B1 (en)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burns, sunburns, abrasions, ulcers and cutaneous irritation
CN107670027B (zh) 治疗皮肤病况的组合物和方法
CN102266406B (zh) 一种治疗烧烫伤的中药膏及制备方法
KR20110139486A (ko) 꿀 및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상처 치유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JP2009269904A (ja) 外傷、褥瘡の治療用漢方薬組成物及びその製剤の製造方法
US20140348873A1 (en) Urea-Silicone Gel for Hyperkeratosis Treatment
CN104474536A (zh) 仙鹤草鲜药治疗创伤伤口制剂
RU2416425C1 (ru) Масло противопролежневое
CN106822321B (zh) 伤科黄水在制备治疗毛周角化症的药物中的应用
CN114931611A (zh) 一种治疗烧烫伤、创伤病症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374537B1 (ko) 곰보배추를 이용한 화상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679391B1 (ko) 피뿌리풀 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상처를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및 개체의 상처를 치료하는 방법
CN107961232A (zh) 药物调配物和其用途
CN108815403A (zh) 一种外用给药的治疗皮肤组织受损的竹栀五黄液、用途
RU2329822C1 (ru) Антисептическое, противовоспалительное, болеутоляющее средство
RU2128990C1 (ru) Мазь противовоспалительная и ранозаживляющая &#34;вундэхил&#34;
KR102641917B1 (ko) Dna 단편 혼합물 및 키토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RU2355411C1 (ru) Ранозаживляющая мазь
CN1539463A (zh) 多功能皮肤护理保健液
CN116785229A (zh) 一种伤口护理软膏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