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8126A - 창상 치료제, 욕창 치료제 또는 예방제, 화상 치료제 - Google Patents

창상 치료제, 욕창 치료제 또는 예방제, 화상 치료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8126A
KR20080058126A KR1020070022108A KR20070022108A KR20080058126A KR 20080058126 A KR20080058126 A KR 20080058126A KR 1020070022108 A KR1020070022108 A KR 1020070022108A KR 20070022108 A KR20070022108 A KR 20070022108A KR 20080058126 A KR20080058126 A KR 200800581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na
agent
molecular weight
rna
degradation produc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2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지 마츠나가
Original Assignee
닛세이 바이오 카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6344969A external-priority patent/JP5082082B2/ja
Application filed by 닛세이 바이오 카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닛세이 바이오 카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58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81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1Hydrolysed protein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5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88Compounds having three or more nucleosides or nucleo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08Peptides having 5 to 11 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genetic material which is inserted into cells of the living body to treat genetic diseases; Gene therapy
    • A61K48/00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genetic material which is inserted into cells of the living body to treat genetic diseases; Gene therapy characterised by an aspect of the 'active' part of the composition delivered, i.e. the nucleic acid deliver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2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treating wounds, ulcers, burns, scars, keloids,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11DNA or RNA fragments; Modified forms thereof; Non-coding nucleic acids having a biological activity
    • C12N15/113Non-coding nucleic acids modulating the expression of genes, e.g. antisense oligonucleotides; Antisense DNA or RNA; Triplex- forming oligonucleotides; Catalytic nucleic acids, e.g. ribozymes; Nucleic acids used in co-suppression or gene silenc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Immu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icrobi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부스럼 딱지의 형성을 억제하고, 새살 형성을 촉진하는 동시에, 알레르기 및 면역 세포에 영향을 주지 않는 창상 치료제, 욕창 치료제 또는 예방제, 화상 치료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뉴클레오프로테인 및/또는 DNA 또는 RNA를 효소분해 처리 또는 가수분해 처리하여 얻어진 분해생성물, 상기 분해생성물로부터 분리된 디옥시올리고뉴클레오티드, 디옥시모노뉴클레오티드, 올리고펩티드,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또는 모노뉴클레오티드, 또는, 상기 분해생성물 또는 화합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2종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치료제, 욕창 치료제 또는 예방제, 화상 치료제이다.
창상, 욕창, 화상, 뉴클레오프로테인, DNA, RNA

Description

창상 치료제, 욕창 치료제 또는 예방제, 화상 치료제{Wound therapeutic agent, bedsore therapeutic or preventive agent, or burn therapeutic agent}
도 1은 DNA의 뉴클레아제(nuclease) 처리품(분해생성물)의, HPLC에 의한 디옥시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분석예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 2는 뉴클레오프로테인의 뉴클레아제 처리품(분해생성물)의, HPLC에 의한 디옥시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분석예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 3은 RNA의 뉴클레아제 처리품(분해생성물)의, HPLC에 의한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분석예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 4는 상처입은 쥐(rat) 모델에 제제(製劑)를 도포한 뒤 4일 후의 사진(왼쪽:시작품 1로 구성된 콜라겐ㆍDNA 복합섬유, 오른쪽:처치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대장균 LSP를 양성 대조군(control)으로 이용하여 시작품 1의 CD69에 대한 영향을 조사한 유동세포분석법(flow cytometry)을 도시하는 도이다.
도 6은 사람의 창상 상처에 실시예 1의 제제를 도포했을 때, 창상 1일째 및 창상 8일째의 창상부의 사진을 나타내는 도이다.
본 발명은 창상 치료제, 욕창 치료제 또는 예방제, 화상 치료제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부스럼 딱지 형성을 억제하고 새살이 형성되는 것을 촉진시키는 동시에, 알레르기 및 면역 세포에 영향을 주지 않는 뉴클레오프로테인 및/또는 DNA 또는 RNA의 효소분해생성물 또는 가수분해생성물, 상기 분해생성물로부터 분리된 디옥시올리고뉴클레오티드, 디옥시모노뉴클레오티드, 올리고펩티드,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모노뉴클레오티드 또는 상기 분해생성물 또는 상기 화합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2종의 혼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창상 치료제, 욕창 치료제 또는 예방제, 화상 치료제에 관한 것이다.
창상이라는 것은 외적, 내적 요인에 의해 일어나는 체표(體表) 조직의 물리적인 손상을 의미하는데, 그 형상 및 손상을 입은 원인에 따라 절상(incised wound), 열상(裂傷), 자상(punctured wound), 교상(咬傷), 총상(銃傷), 좌창(挫創), 좌상(挫傷) 등을 들 수 있다.
예전에 창상은 상처가 화농되지 않도록 소독한 후, 가제를 대어 상처를 적시지 않도록 치료하는 것이 올바르다고 여겨졌으며, 부스럼 딱지는 상처가 나을 때 생기는 것으로 부스럼 딱지가 생기면 상처가 나은 것이라고 생각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상기 치료법은 잘못된 것으로, 상기와 같이 치료하면 오히려 상처의 치유가 늦어져 바람직하지 않다는 생각에 이르고 있다.
창상의 치료에 관해 올바르다고 생각되는 것은 하기와 같다.
1. 소독은 면역세포의 기능이나 섬유아세포(fibroblast) 증식기능을 약화시켜 상처의 치유를 늦추기 때문에 실시하지 않는다.
2. 상처에 가제를 대는 것은 상처 치료를 늦추기 때문에 실시하지 않는다.
3. 상처는 씻는 것이 낫다.
4. 부스럼 딱지는 상처가 낫지 않을 때에 생기는 것으로, 상처 치유의 대적(大敵)이다.
이상과 같은 점은, 부스럼 딱지의 형성을 억제하고 새살이 형성되는 것을 촉진시킬 수 있으면 창상 치료에 있어서 매우 유효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욕창이라는 것은, 신체의 일부가 장시간에 걸쳐 압박을 받아 피부 조직의 순환 장해가 일어나고, 발적(發赤), 종창(swelling), 짓무름, 궤양의 형성을 거쳐, 마침내는 괴사에 빠지는 질환으로, 그 발생의 요인으로서는, 1) 국소적인 요인으로, 나이 먹음에 따른 피부기능의 저하, 와병(臥病) 생활에 의한 마찰이나 스침 등, 2) 전신적인 요인으로, 뇌신경계의 질환, 영양상태의 악화, 운동능력이나 지각의 저하 등을 들 수 있다.
약제를 이용하는 욕창의 치료는, 효과가 충분하지 않거나 값이 비싸거나 또한 사용법에 따라서 반대로 치유를 방해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반드시 주된 방법이 아니며, 욕창에 이른 원인의 제거와 환자의 자연치유력에 의존한 치료법이 유효하다고 여겨져 주로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욕창 환자의 상당수는, 이미 자연치유력이 저하된 고령자 및/또는 영양상태에 문제가 있는 환자이기 때문에, 상기 치료법만으로는 반드시 충분한 치료 효과를 얻을 수 없거나, 치료를 위해 장기간을 필요로 하는 등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그런데 최근 건강에 대해 세간 일반의 관심이 고조되는 것을 반영하여, 디옥시리보핵산(DNA), 리보핵산(RNA) 또는 핵단백질을 원료 또는 유효성분으로 이용한 건강식품이 제공되고 있다. 고분자량의 핵단백질을 수 가용성(水可溶性) 및 역소화성(易消化性)으로 하기 위해, 저분자화시키는 것도 제안되고 있다(특허문헌 1).
디옥시리보핵산(DNA), 리보핵산(RNA) 또는 핵단백질이 노화방지 효과를 갖는 것은 알려져 있지만, 이들의 창상 치료효과, 욕창 치료효과 또는 예방효과, 화상 치료효과에 대해서는 아직 언급된 적이 없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4-16143호
본 발명은 부스럼 딱지의 형성을 억제하고 새살이 형성되는 것을 촉진시키는 동시에, 알레르기 및 면역세포에 영향을 주지 않는 뛰어난 창상 치료제, 욕창 치료제 또는 예방제, 화상 치료제의 제공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뉴클레오프로테인 및/또는 DNA를 효소분해 처리 또는 가수분해 처리하여 얻어진 디옥시올리고뉴클레오티드, 디옥시모노뉴클레오티드 또는 올리고펩티드를 함유하는 분해물, 또는, RNA를 효소분해 처리 또는 가수분해 처리하여 얻어진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또는 모노뉴클레오티드를 함유하는 분해물, 또는, 그러한 혼합물이 부스럼 딱지의 형성을 억제하고 새살이 형성되는 것을 촉진시키는 동시에, 알레르기 및 면역세포에 영향 을 주지 않는다는 뛰어난 효과를 갖는다는 것을 발견하였고, 이것에 의해 창상에 대한 뛰어난 치료제, 욕창에 대한 뛰어난 치료제 또는 예방제, 화상에 대한 뛰어난 치료제가 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본 발명은,
뉴클레오프로테인 및/또는 DNA를 효소분해 처리 또는 가수분해 처리로 저분자화시켜 얻어진 분자량 1000 내지 3000의 분획(分劃)을 20 내지 50% 함유하는 분해생성물 또는 상기 분해생성물로부터 분리된 디옥시올리고뉴클레오티드, 디옥시모노뉴클레오티드 또는 올리고펩티드, 또는,
RNA를 효소분해 처리 또는 가수분해 처리로 저분자화시켜 얻어진 분자량 1000 내지 3000의 분획(fraction)을 20 내지 50% 함유하는 분해생성물 또는 상기 분해생성물로부터 분리된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또는 모노뉴클레오티드, 또는,
상기 뉴클레오프로테인 및/또는 DNA 분해생성물, 상기 RNA 분해생성물, 디옥시올리고뉴클레오티드, 디옥시모노뉴클레오티드, 올리고펩티드,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및 모노뉴클레오티드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2종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치료제, 욕창 치료제 또는 예방제, 화상 치료제에 관한 것이며, 또한, 그들의 외용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뉴클레오프로테인 및/또는 DNA 또는 RNA를 효소분해 처리 또는 가수분해 처리로 저분자화시켜 얻어진 분자량 1000 내지 3000의 분획을 20 내지 50% 함유하는 분해생성물, 상기 분해생성물로부터 분리된 디옥시올리고뉴클레 오티드, 디옥시모노뉴클레오티드, 올리고펩티드,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모노뉴클레오티드, 또는 상기 분해생성물 또는 상기 화합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2종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창상 치료제, 욕창 치료제 또는 예방제, 화상 치료제는, 부스럼 딱지의 형성을 억제하고 새살이 형성되는 것을 촉진시키는 동시에, 알레르기 및 면역세포에 영향을 주지 않는 뛰어난 효과를 갖는다.
디옥시리보핵산(DNA), 리보핵산(RNA) 등과 같은 핵산은 세포의 핵 및 원형질에 존재하고, 생물의 성장과 유전에 빠뜨릴 수 없는 것으로, 핵산의 보급이 충분하지 않으면 이에 따라 세포의 신진대사가 늦어져, 조직이나 기관의 노화가 촉진되기 쉬워진다고 한다.
핵산은 간장(肝腸)에서 아미노산 등으로부터 체내에서 합성되는 이른바 디노보(de novo) 합성과, 음식 등으로부터 섭취된 핵산을 각 세포에서 재이용하는 이른바 샐비지(salvage) 합성으로 보충되는데, 표피세포 등과 같은 국소에서의 핵산의 생합성은 디노보 합성보다 샐비지 합성이 우선적이라는 것이 명확시되고 있다.
뉴클레오프로테인 및/또는 DNA 또는 RNA의 효소분해생성물 또는 가수분해생성물, 상기 분해생성물로부터 분리된 디옥시올리고뉴클레오티드, 디옥시모노뉴클레오티드, 올리고펩티드,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모노뉴클레오티드, 또는 상기 분해생성물 또는 상기 화합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2종의 혼합물이 창상에 대해 뛰어난 치료효과를 나타내는 것은, 효소분해나 가수분해 처리에 의해 분자량이 비교적 작아지기 때문에 용이하게 경피 흡수되고, 그리고 흡수된 것이 샐비지 합성에 사용되어 세포의 신진대사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새살이 형성되는 것을 촉진시키는 동시에, 부스럼 딱지의 형성을 억제하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추측된다.
상기와 같이 국소투여에서도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은, 뉴클레오프로테인 및/또는 DNA 또는 RNA의 경구투여에서, 혈관에 어떠한 장해가 있는 경우나 혈관에 압력이 가해져 혈류가 막히는 경우 등과 같은 경우, 뉴클레오프로테인 및/또는 DNA 또는 RNA가 표적(標的) 조직에 도달하지 못해 이들의 효과가 충분히 기능하지 않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과 비교해 볼 때, 유리하다.
상기와 같이, 국소투여에서 새살 형성을 촉진시키는 동시에 부스럼 딱지의 형성을 억제하는 뛰어난 효과를 나타내는 것에 의해, 창상 치료뿐만 아니라 욕창에 있어서의 치료 또는 예방, 화상에 있어서의 치료에도 유효할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욕창에서는, 부분적으로 조직이 괴사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환부에서의 혈류가 충분히 확보되기 어려운 상태이며, 또한, 나쁜 영양상태 및/또는 고령 때문에 경구투여로는 뉴클레오프로테인 및/또는 DNA 또는 RNA의 충분한 흡수를 얻는 것이 어려운 경우도 생각할 수 있기 때문에, 외용제로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은 특히 유리하다.
한편, 뉴클레오프로테인 및/또는 DNA 또는 RNA의 효소분해생성물 또는 가수분해생성물, 상기 분해생성물로부터 분리된 디옥시올리고뉴클레오티드, 디옥시모노뉴클레오티드, 올리고펩티드,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모노뉴클레오티드, 또는 상기 분해생성물 또는 상기 화합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2종의 혼합물은, 핵산에서 유래된 물질이기 때문에, 면역계에 작용하여 알레르기를 일으킬 가능성을 생각할 수 있다.
그래서, 유동세포분석법(flow cytometer)을 이용하여 마우스 임파구 세포에서의 면역 활성화 기능을 측정한 결과,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는 활성화는 인지되지 않았으며, 이것에 의해, 알레르기 및 면역세포에 영향을 주지 않는 안전성이 높은 창상 치료제, 욕창 치료제 또는 예방제, 화상 치료제가 될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발명의 창상 치료제, 욕창 치료제 또는 예방제, 화상 치료제의 유효 성분으로서, 정제품(精製品)으로서도 사용되는 디옥시올리고뉴클레오티드 또는 디옥시모노뉴클레오티드는 DNA를 효소분해 처리 또는 가수분해 처리하여 얻을 수 있고,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또는 모노뉴클레오티드는 RNA를 효소분해 처리 또는 가수분해 처리하여 얻을 수 있으며, 또한 올리고펩티드는 뉴클레오프로테인을 효소분해 처리 또는 가수분해 처리하여 각각 얻을 수 있다.
DNA 및 뉴클레오프로테인은, 예를 들면, 어류의 이리(milt)에서 추출하여 정제하는 것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상기 어류는, 예를 들면, 연어, 송어, 청어 및 대구로, 특히 연어가 바람직하다.
이하, DNA에 대해 더욱 자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창상 치료제, 욕창 치료제 또는 예방제, 화상 치료제의 제조 원료인 DNA는 다양한 형태의 것이어도 되는데, 예를 들면, 이중 사슬, 단사슬 또는 고리 형상의 DNA이어도 된다. DNA의 공급원은 동물, 식물, 미생물 등과 같은 다양한 생물이다. 수산 가공상 폐기물인 어류, 특히 연어, 송어, 청어 및 대구의 정소(이리)는 특히 DNA를 많이 포함하고 있지만, 종래 자원으로 유효하게 이용되지 않 고 대부분이 폐기처분되어 왔다. 그렇기 때문에 폐기물의 자원화라는 관점에서, 이들 정소로부터의 DNA를 이용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또한, 포유동물이나 조류, 예를 들면 소, 돼지, 닭 등의 흉선(thymus)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DNA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합성 DNA도 사용할 수 있다.
RNA는, 예를 들면, 효모로부터 얻을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맥주 효모, 토룰라(torula) 효모, 젖 효모 및 빵 효모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효모로부터 추출하여 정제하는 것에 의해 얻을 수 있다.
DNA 및 RNA를 처리하는 효소는 뉴클레아제를 예로 들 수 있는데, 특히 푸른곰팡이로부터의 뉴클레아제가 바람직하다.
올리고펩티드는 어류의 이리 등에 포함된 뉴클레오프로테인(핵단백질)을 프로테아제(protease) 및 뉴클레아제로 가수분해하여 얻을 수 있다.
상기 프로테아제는 트립신(trypsin)을 주체로 하는 것이다. 트립신은 높은 특이성을 갖는 세린(serine) 프로테아제로, 아르기닌(arginine) 및 리신(lysine)의 카르복시기(carboxyl) 측에서 펩티드 결합을 선택적으로 가수분해하므로, 아르기닌을 많이 포함하는 프로타민(protamine)의 가수분해에 적절하다. 또한, 상기 프로테아제는 트립신뿐만 아니라, 다른 프로테아제, 예를 들면 키모트립신(chymotrypsin)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양호한 프로테아제로서는, 노보자임스 재팬 주식회사(구 노보놀 디스크 바이오 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제품인 프로테아제를 들 수 있다.
상기 뉴클레아제는 디옥시리보핵산(DNA) 및 리보핵산(RNA)의 3, 5'-포스포디에스테르(phosphodiester) 결합을 가수분해하여, 올리고체 중합의 5'-뉴클레오티드 를 생성한다. 상기 뉴클레아제의 성질에 대해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어느 정도의 열안정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뉴클레아제는, 예를 들면 아마노 엔자임 주식회사(Amano Enzyme Inc.)(구 아마노 제약 주식회사), 시그마사(Sigma Corporation) 등으로부터 시판품을 입수할 수 있다.
상기 뉴클레아제를 이용한 DNA, RNA 및 뉴클레오프로테인의 가수분해 처리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반응을 실시하는 온도이다. 반응 온도는 60∼75℃의 범위 내여야만 하고, 70℃가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온도범위보다 낮은 온도에서 반응을 실시하면, DNA, RNA 및 뉴클레오프로테인의 저분자화가 충분히 진행되지 않고, 분해물이 수용성이 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온도범위보다 높은 온도에서 실시하면, 저분자화가 과도하게 진행되고, 핵단백질(뉴클레오프로테인)의 뛰어난 효과를 잃을 우려가 있다.
이상과 같이 DNA, RNA 및 뉴클레오프로테인을 뉴클레아제를 이용하여 60∼75℃에서 가수분해로 처리하는 것에 의해, 분자량이 1000 내지 3000인 분획을 20 내지 50% 함유하고, 그리고 분자량이 1000 이하인 분획을, 통상, 분자량 1000 내지 3000의 분획의 양보다 많은 양, 예를 들면 30 내지 50% 함유하는 정도까지 저분자화시킬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 수가용성 및 경피흡수성을 겸비한 DNA, RNA 및 뉴클레오프로테인 분해생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처리에 의해 얻어진 뉴클레오프로테인 분해생성물 및 DNA 분해생성물에는, 저분자화된 디옥시올리고뉴클레오티드, 디옥시모노뉴클레오티드 및 올리고펩티드가 주요한 부분 또는 대부분으로 포함되어 있으며, 저분자화가 불충분한 디옥시뉴클레오티드 등이 매우 소량 부분으로 함유되어 있다.
또한, 동일한 처리에 의해 얻어진 RNA 분해생성물에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및 모노뉴클레오티드가 주요한 부분 또는 대부분으로 포함되어 있으며, 저분자화가 불충분한 뉴클레오티드 등이 매우 소량 부분으로 함유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분해생성물에 포함되는 뉴클레오티드류(디옥시올리고뉴클레오티드, 디옥시모노뉴클레오티드,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모노뉴클레오티드)는, 거의 모두 내지 그 대부분이, 본래 나선 사슬을 갖지 않는 모노체, 완전한 단사슬의 올리고체 및 이중나선 구조를 일부에만 갖는 올리고체로 구성된다. 바꾸어 말하면, 상술한 바와 같은 저분자화가 충분히 진행되지 않은 경우를 상정(想定)했다 하더라도, 상기 분해생성물에 포함되는 뉴클레오티드류의 이중나선율이 20%를 초과하는 경우는 없다.
또한, 뉴클레오프로테인을 가수분해 처리하여 올리고펩티드를 얻기 위해서는 프로테아제 처리가,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얻기 위해서는 뉴클레아제 처리가 실시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처음에 프로테아제로 처리하고, 계속해서 뉴클레아제 처리하는 것이 작업상의 형편 및 얻어지는 최종 생성물의 품질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창상 치료제, 욕창 치료제 또는 예방제, 화상 치료제의 유효 성분으로서, 뉴클레오프로테인 및/또는 DNA를 효소분해 처리 또는 가수분해 처리하여 얻어진 분해생성물, 또는, RNA를 효소분해 처리 또는 가수분해 처리하여 얻어진 분해생성물을 그대로(정제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분해생성물 중에, 예를 들면, 아미노산 등이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창상 치료제, 욕창 치료제 또는 예방제, 화상 치료제의 유효성분으로서, 뉴클레오프로테인 및/또는 DNA 또는 RNA 분해생성물로부터 관용의 분리수단 및/또는 정제수단을 이용하여 분리ㆍ정제된 이하의 화합물: 디옥시올리고뉴클레오티드, 디옥시모노뉴클레오티드, 올리고펩티드,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및 모노뉴클레오티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뉴클레오프로테인, DNA 및 RNA의 분해생성물에 포함되거나 또는 상기 분해생성물로부터 관용의 분리수단 및/또는 정제수단을 이용하여 분리ㆍ정제된 디옥시올리고뉴클레오티드 및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사슬 길이는 2 내지 12의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해생성물 및 상기 화합물은 각각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또는, 이들 중 적어도 2종류를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상기 분해생성물이나 상기 화합물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혼합 비율을 알맞게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해생성물 및 상기 화합물로서, 사슬 길이가 2 내지 12인 상기 디옥시올리고뉴클레오티드 또는 상기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포함하고, 사슬 길이가 2 내지 12인 상기 디옥시올리고뉴클레오티드 및 상기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함유량의 합계가, 상기 분해생성물 및 상기 화합물의 전합계량에 대해 20%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해생성물이나 상기 화합물에 키토산 및/또는 콜라겐 등을 더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창상 치료제, 욕창 치료제 또는 예방제, 화상 치료제에 있어서의 유효성분(상기 분해생성물 및/또는 상기 화합물)의 농도는 알맞게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창상 치료제, 욕창 치료제 또는 예방제, 화상 치료제는, 경구제로서 투여할 수도 있지만, 외용제로서 창상, 욕창 또는 화상의 환부에 국소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욕창의 예방약으로서, 욕창이 될 가능성이 있는 곳에 국소투여하는 것에 의해 욕창이 되지 않거나 또는 되기 어렵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외용제로서는, 통상, 외용제로서 이용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연고제, 크림제, 로션제, 도찰제(liniment), 팹(pap)제, 플라스터(plaster)제, 패치(patch)제, 경고(硬膏)제, 겔(gel)제, 액제(液劑), 테이프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제형(劑型)이 연고제 또는 크림제인 경우에는, 기제(基劑)로서 유지성(油脂性) 기제 또는 유제성(乳劑性) 기제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유지성 기제로서는, 예를 들면, 탄화수소, 고급 알코올, 고급 지방산,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 글리콜류, 식물유, 동물유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지성 기제는 통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탄화수소로서는, 예를 들면, 탄소수 12∼32의 탄화수소, 다양한 탄화수소의 혼합물인 유동 파라핀, 분기(分岐) 형상 파라핀, 고형 파라핀, 백색 바셀린, 황색 바셀린, 스쿠알렌(squalene), 스쿠알란, 플라스티베이스 등을 들 수 있다. 이 들 중에서 특히 백색 바셀린을 매우 적합한 것으로 들 수 있다. 상기 탄화수소는 통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고급 알코올로서는, 예를 들면, 탄소수 12∼30의 지방족 1가 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지방족 1가 알코올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예를 들면, 라우릴알코올(lauryl alcohol), 트리데실알코올, 미리스틸알코올(myristyl alcohol), 펜타데실알코올, 세틸알코올(세탄올(cetanol)), 헥사데실알코올, 헵타데실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올레일알코올(oleyl alcohol), 노나데실알코올, 에이코실알코올, 세릴알코올, 멜리실알코올(melissyl alcohol), 세토스테아릴알코올(cetostearyl alcohol)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라우릴알코올, 세틸알코올 및 스테아릴알코올이 바람직하고, 특히 세틸알코올 및 스테아릴알코올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급 알코올은 통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고급 지방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탄소수 6∼32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카프로산(caproic acid), 에난트산(enanthic acid), 카프릴산(caprylic acid), 페라르곤산(pelargonic acid), 카프르산(capric acid), 운데실산, 라우린산(lauric acid), 트리데실산, 미리스틸산, 펜타데실산, 팔미트산(palmitic acid), 헵타데실산, 스테아린산(stearic acid), 올레인산(oleic acid), 노나데칸산, 아라킨산,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 리놀산, 리놀렌산(linolenic acid), 베헤닌산(behenic aicd), 리그노세린산(lignoceric acid), 세로틴산(cerotic acid), 헵타코산산, 몬타닌산(montanic acid), 멜리신산(melissic aicd), 라크셀산, 엘라이딘산(elaidic acid), 브라시딘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특히 팔미틴산 및 스테아린산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급 지방산은 통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면, 팔미틴산 미리스틸, 스테아린산 스테아릴, 미리스틴산 미리스틸, 리그노세린산 세릴, 세로틴산 라크세릴, 라크셀산 라크세릴 등과 같은 지방산 에스테르; 라놀린(lanolin), 밀랍(beeswax), 고래 왁스, 셸락(shellac) 왁스 등과 같은 동물로부터의 천연 왁스, 카나우바 왁스(carnauba wax), 칸데리라 왁스(candelila wax) 등과 같은 식물로부터의 천연 왁스 등의 탄소수 10∼32의 지방산과 탄소수 14∼32의 지방족 1가 알코올과의 에스테르; 글리세릴모노라우릴레이트, 글리세릴모노미리스틸레이트, 글리세릴모노올레이트,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디라우릴레이트, 글리세릴디미리스틸레이트, 글리스틸디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트리라우릴레이트, 글리세릴트리미리스틸레이트, 글리세릴트리스테아레이트 등과 같은 탄소수 10∼22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과 글리세린과의 에스테르 또는 그들의 수소 첨가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는 통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글리콜류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1, 3-부탄디올,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이용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이들 중에서, 예를 들면, 저중합도의 폴리에틸렌글리콜과 고중합도의 폴리에틸렌글리콜을 혼합하여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글리콜류는 통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식물유로서는, 예를 들면, 동백유, 피마자유, 올리브유, 카카오유, 야자유, 팜유, 마카데미아 너트유(macadamia nut oil), 콩기름, 차실유(tea seed oil), 참기름, 아몬드유, 홍화유(safflower oil), 면실유(cotton seed oil), 테레 핀유, 이들 식물유에 수소 첨가한 식물유지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식물유는 통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동물유로서는, 예를 들면, 밍크유, 노른자위 유, 스쿠알란, 스쿠알렌(squalene), 라놀린(lanoline), 상기 동물유의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동물유는 통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고급 알코올의 일부는 흡수촉진제로도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고급 알코올을 기제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흡수촉진제를 특별히 첨가할 필요가 없다.
상기 유제성 기제로서는, 예를 들면, 수중유형(oil in water, O/W) 기제, 유중수형(water in oil, W/O) 기제, 현탁형 기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수중유형 기제로서는, 계면활성제의 존재 하 또는 비존재 하에서, 상기 라놀린, 프로필렌 글리콜, 스테아릴 알코올, 바셀린, 실리콘유, 유동(流動) 파라핀,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과 같은 성분을 수상(水相) 중에 유화(emulsification), 분산시킨 기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기제는 크림 등을 조제할 때 매우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유중수형 기제로서는, 바셀린, 고급 지방족 알코올, 유동 파라핀 등과 같은 성분에,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존재 하에서 물을 가해 유화, 분산시킨 기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수중유형 기제 및 유중수형 기제는 물을 함유한 제형(劑型), 예를 들면, 물을 함유하는 액제(液劑), 로션제, 팹(pap)제, 연고제 등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현탁성 기제로서는, 물에 전분, 글리세린, 고점도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카르복시비닐폴리머(carboxy vinyl polymer) 등과 같은 현탁화제를 가해 겔상(gel phase)으로 한 수성 기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창상 치료제, 욕창 치료제 또는 예방제, 화상 치료제의 외용제는, 일반적으로 채용되고 있는 외용제의 조제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연고제 또는 크림제는, 각각의 제형에 따라 기제 원료를 혼련(roll mixing milling), 유화 또는 현탁시켜 기제를 조제한 후, 유효성분 및 각종 첨가제를 가해 혼합시키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혼합시에는 스크류 믹서(screw mixer), 호모 믹서, 반죽기(kneader), 롤 밀(roll mill) 등과 같이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혼합기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제형이 로션제인 경우에는 현탁형(懸濁型), 유제형(乳劑型) 및 용액형(溶液型) 중 어느 타입이어도 된다.
상기 현탁형 로션의 기제로서는, 아라비아고무(gum arabic), 트래거캔스고무(gum tragacanth) 등의 고무류, 메틸 셀룰로오스, 히드록시 에틸 셀룰로오스, 히드록시 에틸 전분 등과 같은 셀룰로오스류, 벤토나이트(bentonite), 비검(veegum) HV 등과 같은 점토류의 현탁제와 물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현탁형 로션 의 기제는 통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유제형 로션의 기제로서는, 물과 스테아린산, 베헤닌산, 올레인산 등과 같은 지방산, 스테아릴알코올, 세탄올, 베헤닐알코올(behenyl alcohol) 등과 같은 고급 알코올 등의 유성 물질을 유화시킨 기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제형 로션의 기제는 통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용액형 로션의 기제로서는 물, 에탄올,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등과 같은 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용액형 로션의 기제는 통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로션제는, 예를 들면, 정제수(精製水)에 다양한 기제 성분을 첨가하여 혼합, 교반(agitation)시킨 후, 유효성분 및 첨가제를 가해 혼합하고, 원하는 바에 따라 여과를 실시하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제형(劑型)이 상기 도찰제(liniment)인 경우, 그 기제로서는, 예를 들면, 올리브유, 참기름, 아몬드유, 면실유(cotton seed oil), 테레핀유 등과 같은 식물유류, 에탄올, 프로판올(propanol),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등과 같은 알코올류, 그들과 물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도찰제의 기제는 통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도찰제는 기제에 유효성분을 용해시킨 후 원하는 성분을 가해 혼합시키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제형이 상기 팹제인 경우, 그 기제로서 예를 들면, 폴리아크릴산 및 그 염(鹽),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등과 같은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 상기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을 백반(alum) 등의 다가(多價) 금속염으로 가교시킨 기제, 상기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에 방사선 조사와 같은 물리적 처리를 가해 가교시킨 기제 등과 같은 가교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팹제의 기제는 통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팹제는 유효성분, 기제 및 원하는 첨가물을 혼합하고, 가열 후 냉각시키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플라스터(plaster)제, 패치(patch)제 및 경고(硬膏)제의 경우, 부직포 등과 같은 지지체, 천연 고무, 스틸렌-부타디엔 고무(SBR), 부틸 고무, 폴리이소부틸렌, 폴리비닐알킬에테르, 폴리우레탄, 디메틸폴리실록산, 스틸렌-이소프렌-스틸렌 고무, 이소프렌 고무 등과 같은 탄성체, 아연화(亞鉛華), 산화 티탄, 실리카 등과 같은 충진제(充塡劑), 탄성체와의 상용성(相溶性)이 좋은 테르펜(terpene) 수지, 로진(rosin) 또는 그 에스테르, 페놀 수지 등의 점착 부여제, 초산비닐, 실리콘 수지, 폴리염화비닐 등의 박리(exfoliation) 처리제, 유동 파라핀, 프로세스 오일(process oil) 등의 연화제(軟化劑),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BHT) 등의 노화방지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성분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플라스터제, 패치제, 경고제 등은 용액법이나 열압법(熱壓法) 등과 같은 보통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열압식으로 할 때에는, 유효성분 및 각 성분을 롤 기계 등으로 균일하게 혼련(roll mixing milling)시키고, 열 및 압력을 가한 캘린더를 사용하여 이형지(release paper) 상에 균일한 두께가 되도록 도포하여 약물 함유층을 형성한 후, 이것을 지지체 표면에 적층, 밀착시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겔제, 액제, 테이프제 등의 경우에도, 그 기제는 통상의 외용제에 사용되고 있는 것이면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본 발명을 구체적이고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것으로, 이들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의 배합량은 전체량에 대한 중량%이다. 또한, 실시예에서 이용한 시작품 1(DNA를 효소분해 처리하여 얻어진 분해생성물을 함유하는 것)의 양은 고형(固形) 분량으로 나타낸다.
1. (디옥시)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제조
연어의 이리(milt)에서 나온 DNA에 대해, 식품첨가물로서 허가되고 있는 뉴클레아제[예를 들면, 효소 제제(製劑) 뉴클레아제「아마노」(아마노 엔자임 주식회사(Amano Enzyme Inc.)(구 아마노 제약 주식회사) 제품)]을 이용하여 한정 분해를 실시하였다. 생산된 디옥시모노뉴클레오티드와 디옥시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전기 영동장치(Electrophoresis System)로 분석하여 최적 조건을 결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65℃ 전후로 조정한 온수에 분말상 DNA-Na염을 원료로 투입하고, 교반 후 다시 70℃로 가온시키고, 원료에 대해 뉴클레아제를 0.05 내지 0.25%의 범위로 적정량을 가해 3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이어서, 85℃에서 10분간 가열하 여 뉴클레아제를 실활(失活)시킨 후, 원심분리하고 상청액(supernatant)에 스프레이 드라이법을 적용시켜 디옥시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함유하는 건조분말(분해생성물)을 얻었다.
2. (디옥시)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분석
65℃ 전후로 조정한 온수에 연어 이리에서 나온 분말상 DNA-Na염을 원료로 투입하고, 교반 후 다시 70℃로 가온시키고, 원료에 대해 효소 제제 뉴클레아제「아마노」(아마노 제약 주식회사 제품)를 0.05% 가해 3시간 동안 반응시켜 분해생성물을 얻었다. 이어서, 85℃에서 10분간 가열하여 뉴클레아제를 실활시킨 후, 분해생성물을 HPLC로 분석하였다.
도 1에 HPLC(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분해생성물인 디옥시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분석예를 나타낸다. 도 1에 있어서, 피크 26 이후가 디옥시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흡수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분해생성물 전체에 대해 31%가 디옥시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분획(分劃)이었다.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제조방법으로 얻은 디옥시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함유한 분해생성물을 시작품 1로 하였다.
3. DNA 및 뉴클레오프로테인 분해생성물(시작품 2) 또는 RNA 분해생성물(시작품 3)의 제조 및 분석
유효성분으로서, 닛세이 바이오 주식회사 제조의 DNA 및 뉴클레오프로테인을 효소분해 처리하여 얻어진 분해생성물을 함유하는 것을 시작품 2(디옥시올리고뉴클레오티드, 디옥시모노뉴클레오티드 및 올리고펩티드를 함유하는 것)로 하고, 또한, 유효성분으로서, 닛세이 바이오 주식회사 제조의 RNA를 효소분해 처리하여 얻어진 분해생성물을 함유하는 것을 시작품 3(올리고뉴클레오티드 및 모노뉴클레오티드를 함유하는 것)으로 하였다.
시작품 2 및 시작품 3의 제조방법 및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3-1. 시작품 2(DNA 및 뉴클레오프로테인 분해생성물)의 제조방법 및 분석
시작품 2는 시작품 1의 경우와 동일한 제조방법에 의해, DNA를 효소분해 처리로 저분자화시켜 얻어진 분해생성물과, 뉴클레오프로테인을 효소분해 처리로 저분자화시켜 얻어진 분해생성물을 같은 분량으로 혼합한 것이다. 각 분해생성물의 제조방법의 상세한 내용은 하기와 같다.
<DNA 분해생성물>
[제조방법]
상술한 「1. (디옥시)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제조」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를 실시하여 DNA 분해생성물을 얻었다.
[구조 및 조성]
상술한 「2. (디옥시)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분석」과 동일한 방법으로 분석을 실시하여, 분해생성물 전체에 대해 31%의 디옥시올리고뉴클레오티드(분자량 1000∼3000)의 분획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뉴클레오프로테인 분해생성물>
[제조방법]
물에 연어 이리에서 나온 뉴클레오프로테인(닛세이 바이오 주식회사 제품)을 원료로 투입하고, 50℃에서 가열 및 교반 후, 원료에 대해 효소 제제 프로테아제 「PTN」(노보자임스 재팬 주식회사 제품)를 0.065% 가해 4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다시 70℃에서 가열 및 교반시킨다. 이어서, 효소 제제 뉴클레아제「아마노」(아마노 엔자임 주식회사(Amano Enzyme Inc.) 제품)를 0.1% 가해 3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다음으로, 85℃에서 10분간 가열하여 뉴클레아제를 실활시킨 후, 원심 분리하고, 스프레이 드라이법을 적용하여 디옥시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함유한 건조분말(분해생성물)을 얻었다.
[구조 및 조성]
얻어진 상술한 분해생성물을 HPLC로 분석하였다.
도 2에 HPLC(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분해생성물인 디옥시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분석예를 나타낸다. 도 2에 있어서, 유지시간 19분에서 24분 이내의 피크(피크 1∼피크 4)를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흡수로 간주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피크 1 내지 4의 피크강도로부터 산출한 결과, 본 실시예에서는 분해생성물 전체에 대해 33.4%의 디옥시올리고뉴클레오티드(분자량 1000∼3000)의 분획이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2. 시작품 3(RNA 분해생성물)의 제조방법 및 분석
시작품 3은 시작품 1의 경우와 동일한 제조방법으로 원료 DNA 대신에 RNA를 효소분해 처리에 의해 저분자화시켜 얻어진 분해생성물로, 자세한 것은 이하와 같다.
<RNA 분해생성물>
[제조방법]
70℃ 전후로 조정한 온수에 효모에서 나온 RNA(닛세이 바이오 주식회사 제품)를 원료로 투입하고, 교반 후, 다시 70℃로 가온시키고, 원료에 대해 효소 제제 뉴클레아제 「아마노」(아마노 엔자임 주식회사 제품)를 0.05% 가해 3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이어서, 85℃에서 10분간 가열하여 뉴클레아제를 실활시킨 후, 원심 분리하고, 스프레이 드라이법을 적용하여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함유한 건조분말(분해생성물)을 얻었다.
[구조 및 조성]
얻어진 상술한 분해생성물을 HPLC로 분석하였다.
도 3에 HPLC(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분해생성물인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분석예를 나타낸다. 도 3에 있어서, 유지시간 13분에서 24분 이내의 피크(피크 2∼피크 5)를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흡수로 간주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피크 2 내지 5의 피크강도로부터 산출한 결과, 본 실시예에서는 분해생성물 전체에 대해 41.1%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분자량 1000∼3000)의 분획이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4. 상처입은 쥐(rat) 모델에 있어서의 창상의 치료효과
쥐의 피부에 펜치(pincers)로 상처를 입히고 표피 부분을 일부 제거하여 상처입은 쥐 모델을 제조하였다.
상기 상처입은 쥐 모델의 상처에 콜라겐 섬유와 시작품 1 내지 시작품 3으로 이루어진 콜라겐ㆍDNA 복합섬유를 각각 도포하였다.
도포 후, 4일째 시작품 1 내지 시작품 3으로 이루어진 콜라겐ㆍDNA 복합섬유를 각각 도포한 쥐는,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은 군(群)과 비교하였을 때, 새살 조직의 형성 촉진 작용 및 부스럼 딱지의 형성 억제가 인지되었다(도 4에 시작품 1로 이루어진 콜라겐ㆍDNA 복합섬유를 도포한 군과 처치를 하지 않은 군의 사진을 나타낸다).
또한, 도포 후 8일째에는 완전히 표피가 재생되었다.
5. 유동세포분석법(flow cytometry)
유동세포분석법(flow cytometer)을 이용하여 마우스 임파구 세포에서의 면역 활성화 기능을 측정하였다.
측정은, 시작품 1이 임파구 세포의 활성화 표시(marker)인 CD69를 활성화시키는 %를 조사하였다. 얻어진 유동세포분석법을 도 5에 나타내었다. 양성 대조군(control)으로서 대장균의 LSP를 이용하였다. 양성 대조군(control)으로 대장균의 LSP를 이용한 경우 33% 이상을 활성화시킨 것에 대해, 시작품 1은 대부분 활성화되지 않아 대조군(control)과 거의 같은 결과였다.
6. 사람에 있어서의 창상 치료효과
6-1. 각종 분해생성물을 이용한 제제의 제조
상술한 방법으로 얻어진 시작품 1(DNA 분해생성물), 시작품 2(DNA 및 뉴클레오프로테인 분해생성물) 및 시작품 3(RNA 분해생성물)을 이용하여, 제제를 하기와 같이 제조하였다. 또한, 대조군으로서 시작품 1 내지 시작품 3을 함유하지 않는 비교예 1의 제제를 제조하였다. 이들 제제의 조성을 하기 표 1로 나타낸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
시작품 1(또는 시작품 2, 3) 및 (A)성분을 혼합하고 충분히 교반시켜 용액 (A)를 얻었다. (B)성분을 가온시키고 용해시켜 용액 (B)를 얻었다. 얻어진 용액 (B)에 용액 (A)를 가하고 가온시켜 균일해지도록 충분히 교반시킨 후, 연고상(軟膏狀)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제제를 얻었다.
[비교예 1]
시작품 1 대신에 같은 양의 글리세린을 이용하여,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과 동일한 제조방법으로 비교예 1의 연고상(軟膏狀) 제제를 얻었다.
배합성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시작품 1 (DNA 분해생성물) 2.0 - - -
시작품 2 (DNA 및 뉴클레오프로테인 분해생성물) - 2.0 - -
시작품 3 (RNA 분해생성물) - - 2.0 -
농축 글리세린 - - - 2.0
(A) 성 분 트리에탄올아민 5.0 5.0 5.0 5.0
프로필렌글리콜 3.0 3.0 3.0 3.0
정제수(精製水) 40.0 40.0 40.0 40.0
(B) 성 분 백색 바셀린 15.0 15.0 15.0 15.0
스테아린산 10.0 10.0 10.0 10.0
파라핀 10.0 10.0 10.0 10.0
스테아릴알코올 10.0 10.0 10.0 10.0
정제 라놀린 5.0 5.0 5.0 5.0
6-2. 제제의 성능시험
상술한 방법으로 조제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제제와, 대조예인 비교예 1의 제제를, 창상을 입은 피시험자(자원봉사자)의 상처에 1일 1회 약 1g 각각 도포하였다.
실시예 1의 제제를 도포했을 때의, 창상 1일째 및 창상 8일째의 창상부 사진(도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도포 후 8일째에 거의 창상이 치유되었다. 또한, 실시예 2 및 실시예 3의 제제에서도 마찬가지로 도포 후 8 일째에 거의 창상이 치유되었다.
또한, 대조예(비교예 1의 제제)의 도포 부위와 비교했을 때, 확실히 상처의 치유가 빠르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그때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제제를 도포한 창상부에 있어서, 부스럼 딱지의 형성은 볼 수 없었다.
본 발명에 따른 창상 치료제, 욕창 치료제 또는 예방제, 화상 치료제는, 부스럼 딱지의 형성을 억제하고 새살이 형성되는 것을 촉진시키는 동시에, 알레르기 및 면역세포에 영향을 주지 않는 뛰어난 효과를 갖는다.

Claims (4)

  1. 뉴클레오프로테인(nucleoprotein) 및/또는 DNA를 효소분해 처리 또는 가수분해 처리로 저분자화시켜 얻어진 분자량 1000 내지 3000의 분획(分劃)을 20 내지 50% 함유하는 분해생성물 또는 상기 분해생성물로부터 분리된 디옥시올리고뉴클레오티드, 디옥시모노뉴클레오티드 또는 올리고펩티드, 또는,
    RNA를 효소분해 처리 또는 가수분해 처리에 의해 저분자화시켜 얻어진 분자량 1000 내지 3000의 분획을 20 내지 50% 함유하는 분해생성물 또는 상기 분해생성물로부터 분리된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또는 모노뉴클레오티드, 또는,
    상기 뉴클레오프로테인 및/또는 DNA 분해생성물, 상기 RNA 분해생성물, 디옥시올리고뉴클레오티드, 디옥시모노뉴클레오티드, 올리고펩티드,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및 모노뉴클레오티드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2종의 혼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創傷) 치료제.
  2. 뉴클레오프로테인 및/또는 DNA를 효소분해 처리 또는 가수분해 처리로 저분자화시켜 얻어진 분자량 1000 내지 3000의 분획을 20 내지 50% 함유하는 분해생성물 또는 상기 분해생성물로부터 분리된 디옥시올리고뉴클레오티드, 디옥시모노뉴클레오티드 또는 올리고펩티드, 또는,
    RNA를 효소분해 처리 또는 가수분해 처리로 저분자화시켜 얻어진 분자량 1000 내지 3000의 분획을 20 내지 50% 함유하는 분해생성물 또는 상기 분해생성물 로부터 분리된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또는 모노뉴클레오티드, 또는,
    상기 뉴클레오프로테인 및/또는 DNA 분해생성물, 상기 RNA 분해생성물, 디옥시올리고뉴클레오티드, 디옥시모노뉴클레오티드, 올리고펩티드,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및 모노뉴클레오티드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2종의 혼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 치료제 또는 예방제.
  3. 뉴클레오프로테인 및/또는 DNA를 효소분해 처리 또는 가수분해 처리로 저분자화시켜 얻어진 분자량 1000 내지 3000의 분획을 20 내지 50% 함유하는 분해생성물 또는 상기 분해생성물로부터 분리된 디옥시올리고뉴클레오티드, 디옥시모노뉴클레오티드 또는 올리고펩티드, 또는,
    RNA를 효소분해 처리 또는 가수분해 처리로 저분자화시켜 얻어진 분자량 1000 내지 3000의 분획을 20 내지 50% 함유하는 분해생성물 또는 상기 분해생성물로부터 분리된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또는 모노뉴클레오티드, 또는,
    상기 뉴클레오프로테인 및/또는 DNA 분해생성물, 상기 RNA 분해생성물, 디옥시올리고뉴클레오티드, 디옥시모노뉴클레오티드, 올리고펩티드,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및 모노뉴클레오티드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2종의 혼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치료제.
  4. 외용제로서 청구항 1에 따른 창상 치료제, 청구항 2에 따른 욕창 치료제 또는 예방제, 또는 청구항 3에 따른 화상 치료제.
KR1020070022108A 2006-12-21 2007-03-06 창상 치료제, 욕창 치료제 또는 예방제, 화상 치료제 KR2008005812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344969 2006-12-21
JP2006344969A JP5082082B2 (ja) 2006-01-13 2006-12-21 創傷の治療剤、褥瘡の治療剤又は予防剤或いは熱傷の治療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8126A true KR20080058126A (ko) 2008-06-25

Family

ID=39803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2108A KR20080058126A (ko) 2006-12-21 2007-03-06 창상 치료제, 욕창 치료제 또는 예방제, 화상 치료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5812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09628A2 (ko) 2017-07-07 2019-01-10 주식회사 리포바이오랩 화상 및 욕창의 완화 및 치료용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09628A2 (ko) 2017-07-07 2019-01-10 주식회사 리포바이오랩 화상 및 욕창의 완화 및 치료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ang et al. Quercetin protects against cerebral ischemia/reperfusion and oxygen glucose deprivation/reoxygenation neurotoxicity
EP1991258B1 (en) Collagenase for treating cellulite
KR102165993B1 (ko) 국소 지방 제거용 주사제 조성물
EP1908455A1 (en) Hair care preparation
EP0279984B1 (en) Pharmaceutical use of graminaceous extracts
KR20070099450A (ko) 기초화장품용 배합제 및 기초화장품
KR20180102485A (ko) 효소 처리된 무궁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CN1486179A (zh) 药物或化妆品组合物及抑制朗格汉斯细胞迁移的pkc抑制剂和mmp抑制剂的应用
KR20140139949A (ko) 난각막 성분을 포함한 시르투인 유전자 활성화제 및 그것을 이용한 조성물
KR101173546B1 (ko) 누에탈지번데기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JP2009269904A (ja) 外傷、褥瘡の治療用漢方薬組成物及びその製剤の製造方法
CN105879006A (zh) 一种治疗糖尿病足溃疡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EP1330262A1 (de) Verwendung von aus ciliaten gewonnenen enzymen als verdauungsfördernde arzneimittel
JP3290291B2 (ja) 活性酸素消去剤及びこれを含む組成物
KR20080058126A (ko) 창상 치료제, 욕창 치료제 또는 예방제, 화상 치료제
KR102303936B1 (ko) 용안육 포함 조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궤양의 치료 또는 예방용 외용조성물
KR20110139486A (ko) 꿀 및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상처 치유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JP5082082B2 (ja) 創傷の治療剤、褥瘡の治療剤又は予防剤或いは熱傷の治療剤
JP4777645B2 (ja) コラーゲン合成促進剤及びコラーゲン代謝賦活剤
CN101053657A (zh) 治疗顽固性皮肤溃疡的外用制剂
RU2209074C2 (ru) Состав для лечения ожогов
KR102113754B1 (ko) 화상 및 욕창의 완화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517928B1 (ko) 히알루로니다제 및 콜린알포세레이트를 포함하는 국소 지방 제거용 주사제 조성물
US20230127213A1 (en) A topical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combined herbs comprising longanae arillus for the treatment or alleviation of skin ulcer and the use thereof
US20230103514A1 (en) A topical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combined herbs comprising longanae arillus for the skin regeneration and the treatment or alleviation of skin wound and the us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