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9450A - 기초화장품용 배합제 및 기초화장품 - Google Patents

기초화장품용 배합제 및 기초화장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9450A
KR20070099450A KR1020070031896A KR20070031896A KR20070099450A KR 20070099450 A KR20070099450 A KR 20070099450A KR 1020070031896 A KR1020070031896 A KR 1020070031896A KR 20070031896 A KR20070031896 A KR 20070031896A KR 20070099450 A KR20070099450 A KR 200700994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ople
reasonable amount
dna
prototype
nucleoprote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1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3628B1 (ko
Inventor
마사지 마츠나가
후미토 요시다
타카오 모리
Original Assignee
닛세이 바이오 카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세이 바이오 카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닛세이 바이오 카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99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94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3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36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6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Zo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초화장품용 배합제 및 기초화장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뉴클레오프로테인 및/또는 DNA 또는 RNA의 효소 또는 가수분해생성물, 상기 분해생성물로부터 분리된 디옥시올리고뉴클레오티드, 디옥시모노뉴클레오티드, 올리고펩티드,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모노뉴클레오티드, 또는 상기 분해생성물 또는 화합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2종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초화장품용 배합제 및 상기 배합제를 함유하는 기초화장품이다. 디옥시올리고뉴클레오티드 등과 같은 유효성분은 분자량이 비교적 작기 때문에 경피적으로 흡수되기 쉽고, 또한 그들은 경피적으로 흡수되었을 때 세포 활성화 작용 및 혈액순환 촉진 작용을 갖기 때문에, 안면의 표피에 적용시킬 경우, 피부 거침, 기미, 주근깨, 주름 등을 방지하는 효과 및 피부 미백 효과가 우수하다.
뉴클레오프로테인, DNA, RNA, 배합제, 기초화장품

Description

기초화장품용 배합제 및 기초화장품{Compounding ingredients for basic cosmetics and basic cosmetics}
도 1은 DNA의 뉴클레아제(nuclease) 처리품(분해생성물)의, HPLC에 의한 디옥시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분석예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 2는 뉴클레오프로테인의 뉴클레아제 처리품(분해생성물)의, HPLC에 의한 디옥시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분석예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 3은 RNA의 뉴클레아제 처리품(분해생성물)의, HPLC에 의한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분석예를 도시하는 도이다.
본 발명은 기초화장품용 배합제 및 기초화장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세포 활성화 효과 및 혈액순환 촉진 효과를 갖는, 뉴클레오프로테인 및/또는 DNA 또는 RNA의 효소분해생성물 또는 가수분해생성물, 상기 분해생성물로부터 분리된 디옥시올리고뉴클레오티드, 디옥시모노뉴클레오티드, 올리고펩티드,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모노뉴클레오티드 또는 상기 분해생성물 또는 상기 화합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2종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초화장품용 배합제 및 상기 기초 화장품용 배합제를 함유하는 기초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피부 거침, 기미, 주근깨, 주름 등은, 나이 먹음에 따른 여성호르몬의 균형의 영향, 일광(日光)으로부터의 자외선의 자극, 체내의 과산화물의 농도가 높아지는 것에 의해 표피에 끼치는 악영향, 피지의 과잉분비, 표피로의 혈류량의 저하, 영양불량, 정신적인 스트레스 등 여러 가지 것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것이라고 생각되고 있다.
얼굴의 피부 거침, 기미, 주근깨, 주름 등이 사람들의 미용상의 중대한 관심거리라는 것은, 요즘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남성을 대상으로 하는 기초화장품의 제품 수가 증가하는 것에도 나타나 있다. 타인에게 주는 첫인상에 있어서 얼굴이 큰 요소라는 점에서,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곱고 탄력이 있는 피부(아름다운 피부)나 하얗고 투명한 피부(미백)를 가지고 싶다고 간절히 바라는 사람이 많으며, 그 때문에, 피부 거침, 기미, 주근깨, 주름 등을 개선시키는 기초화장품에 관한 일반 사람들의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종래의 화장품에서 '기초화장품'의 범주에 있는 제품에 있어서는, 글리세린 등과 같은 보습제나 기름성분을 넣음으로써 피부의 보습효과를 높여 고운 피부로 만드는 것이 많이 시도되어 왔다. 최근에는 피부로의 미백효과를 위해 멜라닌 생성을 제어하는 작용을 갖는 L-아스코르빈산 및 그 유도체나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 유도체를 함유하는 화장품이 등장하고 있다.
그런데 최근 건강에 대해 세간 일반의 관심이 고조되는 것을 반영하여, 디옥시리보핵산(DNA), 리보핵산(RNA) 또는 핵단백질을 원료 또는 유효성분으로 이용한 건강식품이 제공되고 있다. 고분자량의 핵단백질을 수 가용성(水可溶性) 및 역소화성(易消化性)으로 하기 위해, 저분자화시키는 것도 제안되고 있다(특허문헌 1).
디옥시리보핵산(DNA), 리보핵산(RNA) 또는 핵단백질이 노화방지 효과를 갖는다는 것은 알려져 있지만, 이들을 기초화장품에 적용시키는 시도는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4-16143호
피부 거침, 기미, 주근깨, 주름 등의 피부 트러블의 원인은 안면 피부의 노화, 혈액순환 불량, 자외선의 영향, 스트레스 등 다양하지만, 피부세포의 신진대사가 저하되어 새로운 세포의 재생 기능이 떨어지는 것이 직접적인 원인이다.
종래의 기초화장품은 피부세포의 신진대사의 메커니즘에 작용하여 기능을 발휘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피부 표면상의 효과를 추구하는 것에 불과했다. 그렇기 때문에 피부 거침, 기미, 주근깨, 주름, 미백 등에 대해 충분하다고 할 수 있을 만큼의 효과는 얻을 수 없었다.
또한, 상술한 멜라닌 생성을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 L-아스코르빈산 및 그 유도체에 있어서는 안정적이지 않고 자외선 염증 방지 효과가 불충분하며, 하이드로퀴논 유도체는 안정성에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화합물이 갖는 멜라닌 생합성 제어 효과나 멜라닌 표백 작용을, 화장품의 유효성분으로써 직접적으로 추구하는 것은 어렵다.
즉, 세포 활성화 및 혈액순환 촉진에 의해 새로운 세포의 재생을 촉진시켜, 피부 거침, 기미, 주근깨, 주름 등을 방지하는, 피부 미백효과가 높은 제품이 요구되고 있으나, 종래의 기초화장품에서의 그 효과는 아직 충분치 않다.
그렇기 때문에, 세포 자체를 활성화시켜 활기 있는 피부로 만드는 새로운 기초화장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피부 거침, 기미, 주근깨, 주름 등의 방지 효과, 피부 미백 효과를 갖는 새로운 기초화장품을 얻을 수 있도록 예의 연구한 결과, 뉴클레오프로테인 및/또는 DNA를 효소분해 처리 또는 가수분해 처리하여 얻어진 디옥시올리고뉴클레오티드, 디옥시모노뉴클레오티드 또는 올리고펩티드를 함유하는 분해생성물, 또는, RNA를 효소분해 처리 또는 가수분해 처리하여 얻어진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또는 모노뉴클레오티드를 함유하는 분해생성물, 또는, 그러한 혼합물에 피부 거침, 기미, 주근깨, 주름 등의 뛰어난 방지 효과 및 피부 미백 효과가 있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본 발명의 기초화장품용 배합제는,
뉴클레오프로테인 및/또는 DNA를 효소분해 처리 또는 가수분해 처리로 저분자화시켜 얻어진 분자량 1000 내지 3000의 분획을 20 내지 50% 함유하는 분해생성물, 또는, 상기 분해생성물로부터 분리된 디옥시올리고뉴클레오티드, 디옥시모노뉴클레오티드 또는 올리고펩티드, 또는,
RNA를 효소분해 처리 또는 가수분해 처리로 저분자화시켜 얻어진 분자량 1000 내지 3000의 분획을 20 내지 50% 함유하는 분해생성물, 또는, 상기 분해생성 물로부터 분리된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또는 모노뉴클레오티드, 또는,
상기 뉴클레오프로테인 및/또는 DNA 분해생성물, 상기 RNA 분해생성물, 디옥시올리고뉴클레오티드, 디옥시모노뉴클레오티드, 올리고펩티드,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및 모노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2종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초화장품용 배합제의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뉴클레오프로테인 및 DNA는 연어, 송어, 청어, 가다랭이 및 대구 등과 같은 어류의 이리(milt)로부터 얻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RNA는 효모로부터 얻을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맥주 효모, 토룰라(torula) 효모, 젖 효모 및 빵 효모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효모로부터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초화장품은 상기 기초화장용 배합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초화장품은 로션, 유액, 크림, 젤, 젤리, 에센스, 립 크림, 팩 또는 마스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
본 발명의 기초화장품용 배합제의 유효성분으로, 정제품(refined product)으로도 사용되는 디옥시올리고뉴클레오티드 또는 디옥시모노뉴클레오티드는 DNA를 효소분해 처리 또는 가수분해 처리하여 얻을 수 있고,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또는 모노뉴클레오티드는 RNA를 효소분해 처리 또는 가수분해 처리하여 얻을 수 있으며, 또 한 올리고펩티드는 뉴클레오프로테인을 효소분해 처리 또는 가수분해 처리하여 얻을 수 있다.
DNA 및 뉴클레오프로테인은 예를 들면, 어류의 이리(milt)에서 추출하여 정제하는 것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상기 어류는 그 예로써 연어, 송어, 청어, 가다랭이 및 대구를 들 수 있으며, 특히 연어가 바람직하다.
이하에 DNA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초화장품용 배합제의 제조 원료인 DNA는 다양한 형태의 것이어도 되는데, 예를 들면, 이중 사슬, 단사슬 또는 고리 형상의 DNA이어도 된다. DNA의 공급원은 동물, 식물, 미생물 등과 같은 다양한 생물이다. 수산 가공상 폐기물인 어류, 특히 연어, 송어, 청어, 가다랭이 및 대구의 정소(이리)는 특히 DNA를 많이 포함하고 있지만, 종래 자원으로 유효하게 이용되지 않고 대부분이 폐기 처분되어 왔다. 그렇기 때문에 폐기물의 자원화라는 관점에서, 이들 정소에서 추출한 DNA를 이용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또한, 포유동물이나 조류, 예를 들면 돼지, 닭 등의 흉선(thymus)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DNA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합성 DNA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어류 이리로부터 DNA를 얻기 위해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5-245394호에 기재되어 있는 추출ㆍ정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어류의 이리를 굵직굵직하게 분쇄시키고, 분쇄된 어류 이리에 DNA가 분해되지 않는 조건 하에서 단백질 분해 효소(프로테아제) 처리를 실시한 후, 효소처리한 용액을 여과시킨다. 그리고 분획 분자량이 2,000∼1,000,000 인 중공사(中空絲) 막을 이용하여 여과액에 투석(dialysis) 처리를 실시하는 것에 의해, 분해된 단백질 및 이온류를 제거하는 동시에 DNA를 농축시킨다. 또한, 투석 처리를 실시한 용액에서 DNA염으로 침전시키거나 또는 용액을 농축시켜, 이들 침전물 또는 농축물을 회수한다.
상기 방법으로 얻어진 DNA염을 건조시킨 분말상(粉末狀) DNA염을 본 발명의 기초화장품용 배합제의 제조원료로 이용할 수 있다.
어류 이리로부터 DNA를 얻는 것은 이 방법으로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방법을 이용하여도 된다.
RNA는 효모로부터 얻을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맥주 효모, 토룰라(torula) 효모, 젖 효모 및 빵 효모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효모에서 추출하여 정제하는 것에 의해 얻을 수 있다.
DNA 및 RNA를 처리하는 효소는 뉴클레아제(nuclease)를 예로 들 수 있는데, 특히 푸른곰팡이로부터의 뉴클레아제가 바람직하다.
올리고펩티드는 어류의 이리 등에 함유된 뉴클레오프로테인(핵단백질)을 프로테아제로 가수분해하여 얻을 수 있다.
상기 프로테아제는 트립신(trypsin)을 주체로 하는 것이다. 트립신은 높은 특이성을 갖는 세린(serine) 프로테아제로, 아르기닌(arginine) 및 리신(lysine)의 카르복시기(carboxyl) 측에서 펩티드 결합을 선택적으로 가수분해하므로, 아르기닌을 많이 포함하는 프로타민(protamine)의 가수분해에 적합하다. 또한, 상기 프로테아제는 트립신뿐만 아니라, 다른 프로테아제, 예를 들면 키모트립신(chymotrypsin)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양호한 프로테아제로서는, 노보자임스 재팬 주식회사(구 노보놀 디스크 바이오 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제품인 프로테아제를 들 수 있다.
상기 뉴클레아제는 디옥시리보핵산(DNA) 및 리보핵산(RNA)의 3, 5'-포스포디에스테르(phosphodiester) 결합을 가수분해하여, 올리고체 중합의 5'-(디옥시)뉴클레오티드를 생성한다. 상기 뉴클레아제의 성질에 대해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어느 정도의 열안정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뉴클레아제는, 예를 들면 아마노 엔자임 주식회사(Amano Enzyme Inc.)(구 아마노 제약 주식회사), 시그마사(Sigma Corporation) 등으로부터 시판품을 입수할 수 있다.
상기 뉴클레아제를 이용한 DNA, RNA 및 뉴클레오프로테인의 가수분해 처리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반응을 실시하는 온도이다. 반응온도는 60∼75℃의 범위 내여야만 하고, 70℃가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온도범위보다 낮은 온도에서 반응을 실시하면, DNA, RNA 및 뉴클레오프로테인의 저분자화가 충분히 진행되지 않아, 분해물이 수용성이 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온도범위보다 높은 온도에서 실시하면, 저분자화가 과도하게 진행되어, 핵단백질(뉴클레오프로테인)의 뛰어난 효과를 잃을 우려가 있다.
이상과 같이 DNA, RNA 및 뉴클레오프로테인을 뉴클레아제를 이용하여 60∼75℃에서 가수분해로 처리하는 것에 의해, 분자량이 1000 내지 3000인 분획을 20 내지 50% 함유하고, 그리고 분자량이 1000 이하인 분획을, 통상, 분자량 1000 내지 3000의 분획의 양보다 많은 양, 예를 들면 30 내지 50% 함유하는 정도까지 저분자화시킬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 수가용성 및 경피흡수성을 겸비한 DNA, RNA 및 뉴 클레오프로테인 분해생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처리에 의해 얻어진 뉴클레오프로테인 분해생성물 및 DNA 분해생성물에는, 저분자화된 디옥시올리고뉴클레오티드, 디옥시모노뉴클레오티드 및 올리고펩티드가 주요한 부분 또는 대부분으로 포함되어 있으며, 저분자화가 불충분한 디옥시뉴클레오티드 등이 매우 소량 부분으로 함유되어 있다.
또한, 동일한 처리에 의해 얻어진 RNA 분해생성물에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및 모노뉴클레오티드가 주요한 부분 또는 대부분으로 포함되어 있으며, 그리고 저분자화가 불충분한 뉴클레오티드 등이 매우 소량 부분으로 함유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분해생성물에 포함되는 뉴클레오티드류(디옥시올리고뉴클레오티드, 디옥시모노뉴클레오티드,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모노뉴클레오티드)는, 거의 모두 내지 그 대부분이, 본래 나선 사슬을 갖지 않는 모노체, 완전한 단사슬의 올리고체 및 이중나선 구조를 일부에만 갖는 올리고체로 구성된다. 바꾸어 말하면, 상술한 바와 같은 저분자화가 충분히 진행되지 않은 경우를 상정(想定)했다 하더라도, 상기 분해생성물에 포함되는 뉴클레오티드류의 이중나선율이 20%를 초과하는 경우는 없다.
또한, 뉴클레오프로테인을 가수분해 처리하여 올리고펩티드를 얻기 위해서는 프로테아제 처리가,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얻기 위해서는 뉴클레아제 처리가 실시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처음에 프로테아제로 처리하고, 이어서 뉴클레아제 처리하는 것이 작업상의 형편 및 얻어지는 최종 생성물의 품질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기초화장품용 배합제의 유효성분으로서, 뉴클레오프로테인 및/또는 DNA를 효소분해 처리 또는 가수분해 처리하여 얻어진 분해생성물, 또는, RNA를 효소분해 처리 또는 가수분해 처리하여 얻어진 분해생성물을 그대로(정제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분해생성물 중에, 예를 들면, 아미노산 등이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초화장품용 배합제의 유효성분으로서, 뉴클레오프로테인 및/또는 DNA 또는 RNA 분해생성물로부터 관용의 분리수단 및/또는 정제수단을 이용하여 분리시킨 이하의 화합물: 디옥시올리고뉴클레오티드, 디옥시모노뉴클레오티드, 올리고펩티드,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및 모노뉴클레오티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뉴클레오프로테인, DNA 및 RNA의 분해생성물에 포함되거나 또는 상기 분해생성물로부터 관용의 분리수단 및/또는 정제수단을 이용하여 분리ㆍ정제된 디옥시올리고뉴클레오티드 및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사슬 길이는 2 내지 12의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해생성물 및 상기 화합물은 각각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또는, 이들 화합물 또는 적어도 2종류를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상기 분해생성물이나 상기 화합물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혼합 비율을 알맞게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해생성물 및 상기 화합물로서, 사슬 길이가 2 내지 12인 상기 디옥시올리고뉴클레오티드 또는 상기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포함하고, 사슬 길이가 2 내지 12인 상기 디옥시올리고뉴클레오티드 및 상기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함유량의 합계가, 상기 분해생성물 및 상기 화합물의 전 합계량 에 대해 20%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해생성물이나 상기 화합물을 다시 기초화장품용 배합제의 관용의 첨가성분과 소정의 비율로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초화장품용 배합제에 있어서의 유효성분(상기 분해생성물 및/또는 상기 화합물)의 농도는 알맞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초화장품은 상기 기초화장품용 배합제를 함유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기초화장품이 취할 수 있는 제형(劑型)은 피부에 적용가능한 제형이면 알맞게 선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기초화장품은 로션, 유액, 크림, 젤, 젤리, 에센스, 립 크림, 팩 또는 마스크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기초화장품에는, 상기 기초화장용 배합제뿐만 아니라 기존의 기초화장품에 배합될 수 있는 공지의 성분을 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향료나 보습제 등을 단독 또는 조합하여 배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초화장품에는, 약제 성분으로서, 비타민 E 또는 그 유도체, 예를 들면, 비타민 E 아세테이트; 아세틸콜린(acetylcholine) 유도체 등과 같은 혈관 확장제; 세파란틴(cepharanthin) 등과 같은 피부기능 항진제; 글리시르레틴산(glycyrrhetinic acid) 또는 그 유도체; 에스트라디올(estradiol), 에스트론(estrone) 등과 같은 여성호르몬제; 세린(serine), 메티오닌(methionine), 아르기닌(arginine) 등과 같은 아미노산류; 비타민 A, 비타민 B1, 비타민 B6, 비오 틴(biotin), 판토텐산(pantothenic acid) 또는 그 유도체 등과 같은 비타민류를 단독 또는 조합하여 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초화장품에는, 필요에 따라 통상 화장품이나 의약품 등의 피부 외용제에 이용되는 첨가제, 예를 들면, 유분, 방부제, 계면활성제, 분산 안정제, 증점제(增粘劑), 습윤제,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pH 조정제, 정제수(purified water) 및 알코올 등을 단독 또는 조합하여 배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본 발명을 구체적이고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설명만을 위한 것으로, 이들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의 배합량은 전체량에 대한 중량%이다. 또한, 실시예에서 이용한 시작품(trial product) 1 내지 시작품 3(DNA염, DNA 및 뉴클레오프로테인, 또는 RNA를, 효소분해 처리하여 얻어진 분해생성물을 각각 함유하는 것)의 양은 고형 분량으로 나타낸다.
1. (디옥시)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제조
연어 이리에서 추출한 DNA에 대해, 식품첨가물로서 허가되고 있는 뉴클레아제[예를 들면, 효소 제제(製劑) 뉴클레아제「아마노」(아마노 엔자임 주식회사(Amano Enzyme Inc.)(구 아마노 제약 주식회사) 제품)]을 이용하여 한정 분해를 실시하였다. 생산된 디옥시모노뉴클레오티드와 디옥시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전기 영동장치(Electrophoresis System)로 분석하여 최적 조건을 결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65℃ 전후로 조정한 온수에 분말상 DNA-Na염을 원료로 투입하고, 교반(agitation) 후 다시 70℃로 가온시키고, 원료에 대해 뉴클레아제를 0.05 내지 0.25%의 범위로 적정량을 가해 3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이어서, 85℃에서 10분간 가열하여 뉴클레아제를 실활(失活)시킨 후, 원심분리하고 상청액(supernatant)에 스프레이 드라이법을 적용시켜 디옥시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함유하는 건조분말(분해생성물)을 얻었다.
2. (디옥시)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분석
65℃ 전후로 조정한 온수에 연어 이리로부터 추출한 분말상 DNA-Na염을 원료로 투입하고, 교반 후 다시 70℃로 가온시키고, 원료에 대해 효소 제제 뉴클레아제「아마노」(아마노 엔자임 주식회사(Amano Enzyme Inc.)(구 아마노 제약 주식회사) 제품)를 0.05% 가해 3시간 동안 반응시켜 분해생성물을 얻었다. 이어서, 85℃에서 10분간 가열하여 뉴클레아제를 실활시킨 후, 분해생성물을 HPLC로 분석하였다.
도 1에 HPLC(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분해생성물인 디옥시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분석예를 도시한다. 도 1에 있어서, 5'-디옥시모노뉴클레오티드 및 3'-디옥시모노뉴클레오티드는 피크 20까지 용출되고 있어, 이후의 비교적 큰 피크, 즉 피크 26 이후를 디옥시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흡수로 간주할 수 있다. 또한, 피크 41 이후는 분자량이 3000을 초과하는 분해생성물의 흡수로 간주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피크 26 내지 41의 피크 강도로부터 산출한 결과, 본 예에서는 분해생성물 전체에 대해, 31%의 디옥시올리고뉴클레오티드(분자량 1000∼3000)의 분획이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 (디옥시)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이용한 기초화장품의 제조
상기 제조방법에서 얻은 디옥시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한 건조 분말(분해생성물)을 시작품 1로 하고, 이 시작품 1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초화장품을 하기와 같이 제조하였다. 또한, 대조예로서 시작품 1을 함유하지 않는 기초화장품을 제조하였다. 이들의 조성을 하기 표 1에 정리하여 나타낸다.
[실시예 1]
95% 에탄올에 정제수를 가하고, 이것에 폴리옥시에틸렌(25몰) 경화 피마자유 에테르,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을 가해 교반시킨 후, 시작품 1을 가해 교반 용해하여, 투명 액상(液狀)의 실시예 1의 기초화장품을 얻었다.
[비교예 1]
시작품 1 대신 같은 양의 글리세린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제조방법으로 비교예 1의 기초화장품을 얻었다.
4. 혈류량 측정시험
실시예 1의 기초화장품과 비교예 1의 기초화장품을 각각 사람의 팔 윗부분에 10㎕ 도포하고, 도포 1시간 후, 레이저 도플러(Laser Doppler)계로 혈류량을 측정하였다. 시험결과의 판정은 하기의 판정기준에 의해 실시하였다.
++ : 비교예에 비해 혈류량이 매우 증가하였다(현저한 효과).
+ : 비교예에 비해 혈류량이 증가하였다(효과 있음).
± : 비교예에 비해 혈류량이 약간 증가하였다(약간 효과 있음).
- : 비교예에 비해 혈류량이 동일하거나 그 이하였다(효과 없음).
결과를 하기 표 1에 정리하여 나타낸다.
5. 피부 거침의 개선시험
하지에 거친 피부를 갖는 중노년 여성 10명을 피시험대상으로 하여, 실시예 1의 기초화장품과 비교예 1의 기초화장품을 각각 좌우 하지의 다른 곳에, 입욕 후 약 1g/1회/1일 도포하였다.
시험 실시 전과 1개월 후의 도포한 부위의 피부상태에 의해, 이하의 판정 기준을 이용하여, 피부의 박리(剝離) 상태와 수분 상태의 관점에서 시험결과의 판정을 실시하였다.
5-1. 피부 박리(desquamation)의 판정기준 및 유효성의 판단
시험 실시 전후의 피부의 박리 상태를 이하의 판정기준으로 판단하였다.
0: 박리되지 않음
1: 가벼운 정도의 박리
2: 중간 정도의 박리
3: 심한 정도의 박리
상기 판정에 의해, 시험 실시 후의 판정이 실시 전보다 1단계 개선된 것을 '약간 효과 있음'이라고 하고, 2단계 이상 개선된 것을 '효과 있음'이라고 하며, 같은 정도 또는 악화된 것은 '효과 없음'이라고 하였다.
5-2. 수분 상태의 판정기준
1개월 후의 피부의 수분 상태(보습성)를 보습계로 측정하여, 하기 기준에 의해 판정을 실시하였다.
<수분 상태의 판정기준>
++ : 도포한 부분의 보습성이 시험실시 전보다 5% 이상 증가하였다(현저한 효과).
+ : 도포한 부분의 보습성이 시험실시 전보다 2∼5% 증가하였다(효과 있음).
± : 도포한 부분의 보습성이 시험실시 전보다 0∼2% 증가하였다(약간 효과 있음).
- : 도포한 부분의 보습성이 시험실시 전과 동일하거나 그 이하였다(효과 없음).
결과를 하기 표 1에 정리하여 나타낸다.
6. 테스트에 의한 평가시험
중노년 여성을 대상으로 하여 단순 맹검(single blind)으로 실시예 1의 기초화장품 및 비교예 1의 기초화장품의 평가시험을 실시하였다. 또한, 각 화장품의 피시험자는 10명씩으로 하였다. 평가는 피시험자에 대한 앙케이트로, 「매끄러움」, 「피부결의 섬세함」, 「미백의 상태」, 「피부의 탄력성」, 「기미, 주근깨의 개선」의 5항목을, 사용 전과 1개월 사용 후 대답을 얻었다.
얻어진 답변으로부터, 시험결과의 판정은 하기 판정기준에 의해 실시하였다.
++ : 사용 전에 비해 개선되었다(효과 있음).
+ : 사용 전에 비해 약간 개선되었다(약간 효과 있음).
± : 사용 전에 비해 동일하거나 그 이하였다(효과 없음).
결과를 하기 표 1에 정리하여 나타낸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기초화장품의 조성 및 평가시험결과
배합성분 실시예 1 비교예 1
시작품 1 (DNA염 분해생성물) 2.0 -
농축 글리세린 2.0 4.0
폴리옥시에틸렌(25몰) 경화 피마자유 에테르 2.0 2.0
프로필렌 글리콜 5.0 5.0
95% 에틸 알코올 1.0 1.0
정제수 잔여 잔여
혈류량 측정시험 ++ (기준)
피부거침 개선 피부 박리(剝離) 효과 있음 9명 0명
약간 효과 있음 1명 3명
효과 없음 0명 7명
보습성 ++ ±∼-
테스트에 의한 평가시험 매끄러움 ++ 8명 0명
2명 3명
± 0명 7명
피부결의 섬세함 ++ 7명 0명
3명 2명
± 0명 8명
미백의 상태 ++ 2명 0명
5명 0명
± 3명 10명
피부의 탄력성 ++ 8명 0명
2명 1명
± 0명 9명
기미, 주근깨의 개선 ++ 1명 0명
3명 0명
± 6명 10명
7. DNA 및 뉴클레오프로테인 분해생성물(시작품 2) 또는 RNA 분해생성물(시작품 3)의 제조 및 분석
유효성분으로서 닛세이 바이오 주식회사 제품인 DNA 및 뉴클레오프로테인을 효소분해 처리하여 얻어진 분해생성물을 함유하는 것을 시작품 2(디옥시올리고뉴클레오티드, 디옥시모노뉴클레오티드 및 올리고펩티드를 함유하는 것)로 하고, 또한, 유효성분으로서 닛세이 바이오 주식회사 제품인 RNA를 효소분해 처리하여 얻어진 분해생성물을 함유하는 것을 시작품 3(올리고뉴클레오티드 및 모노뉴클레오티드를 함유하는 것)으로 하였다.
시작품 2 및 시작품 3의 제조방법 및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7-1. 시작품 2(DNA 및 뉴클레오프로테인 분해생성물)의 제조방법 및 분석
시작품 2는 시작품 1의 경우와 동일한 제조방법으로 DNA를 효소분해 처리로 저분자화시켜 얻어진 분해생성물과, 뉴클레오프로테인을 효소분해 처리로 저분자화시켜 얻어진 분해생성물을 같은 양으로 혼합한 것이다. 각 분해생성물의 상세한 제조방법은 하기와 같다.
<DNA 분해생성물>
[제조방법]
상술한 「1. (디옥시)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제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를 실시하여, DNA 분해생성물을 얻었다.
[구조 및 조성]
상술한 「2. (디옥시)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분석」과 같은 방법으로 분석을 실시하여, 분해생성물 전체에 대해, 31%의 디옥시올리고뉴클레오티드(분자량 1000∼3000)의 분획이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뉴클레오프로테인 분해생성물>
[제조방법]
물에 연어의 이리에서 추출한 뉴클레오프로테인(닛세이 바이오 주식회사 제품)을 원료로 투입하고, 50℃에서 가열, 교반시킨 후, 원료에 대해 효소 제제 프로테아제 「PTN」(노보자임스 재팬 주식회사 제품)을 0.065% 가해 4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다시 70℃에서 가열, 교반시킨다. 계속해서, 효소 제제 뉴클레아제 「아마노」(아마노 엔자임 주식회사 제품)를 0.1% 가해 3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이어서, 85℃에서 10분간 가열하여 뉴클레아제를 실활(失活)시킨 후, 원심분리하고 스프레이 드라이법을 적용시켜 디옥시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함유하는 건조분말(분해생성물)을 얻었다.
[구조 및 조성]
얻어진 상술한 분해생성물을 HPLC로 분석하였다.
도 2에 HPLC(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분해생성물 디옥시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분석예를 도시한다. 도 2에 있어서, 유지 시간 19분부터 24분 이내의 피크(피크 1∼피크 4)를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흡수로 간주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피크 1 내지 4의 피크 강도로부터 산출한 결과, 본 예에서는 분해생성물 전체에 대해, 33.4%의 디옥시올리고뉴클레오티드(분자량 1000∼3000)의 분획이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7-2. 시작품 3(RNA 분해생성물)의 제조방법 및 분석
시작품 3은 시작품 1의 경우와 동일한 제조방법으로 원료 DNA 대신 RNA를 효소분해 처리로 저분자화시켜 얻어진 분해생성물로, 상세한 내용은 하기와 같다.
<RNA 분해생성물>
[제조방법]
70℃ 전후로 조정한 온수에 효모에서 추출한 RNA(닛세이 바이오 주식회사 제품)를 원료로 투입하고, 교반 후 다시 70℃로 가온시키고, 원료에 대해 효소 제제 뉴클레아제「아마노」(아마노 엔자임 주식회사(Amano Enzyme Inc.) 제품)를 0.05% 가해 3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이어서, 85℃에서 10분간 가열하여 뉴클레아제를 실활시킨 후, 원심분리하고 스프레이 드라이법을 적용시켜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함유하는 건조분말(분해생성물)을 얻었다.
[구조 및 조성]
얻어진 상술한 분해생성물을 HPLC로 분석하였다.
도 3에 HPLC(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분해생성물인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분석예를 도시한다. 도 3에 있어서, 유지 시간 13분부터 24분 이내의 피크(피크 2∼피크 5)를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흡수로 간주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피크 2 내지 5의 피크 강도로부터 산출한 결과, 본 예에서는 분해생성물 전체에 대해, 41.1%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분자량 1000∼3000)의 분획이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8. 각종 기초화장품의 제조
상술한 방법으로 얻어진 시작품 2(DNA 및 뉴클레오프로테인 분해생성물) 및 시작품 3(RNA 분해생성물)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기초화장품을 하기와 같이 제조하였다. 또한, 대조예로서 시작품 2 및 시작품 3을 함유하지 않는 비교예의 기초화장품을 제조하였다. 이들 화장품의 조성을 하기 표 2∼5에 정리하여 나타낸다.
또한, 이하의 기초화장품에 사용한 제품의 입수 원료를 괄호 내에 나타낸다.
8-1. 젤 상(狀) 기초화장품
실시예 2(실시예 2-1∼2-3):
정제수에 교반시키면서 Pemulen TR-1(닛코 케미칼즈 주식회사(Nikko Chemicals Co., Ltd.))를 서서히 가해 충분히 분산시키고, 이어서 Ultrez-10(닛코 케미칼즈 주식회사)를 교반 분산시킨 것에, 농축 글리세린을 가해 젤 기재(基材)를 제조하였다. 별도로 레시놀 WS-50(닛코 케미칼즈 주식회사), 호호바유, 스쿠알렌, 리얼커브 SR-1000(LIALCARB: 닛코 케미칼즈 주식회사), AMITER MA-HD(일본 에멀젼 주식회사(Nihon-Emulsion Co., Ltd.)) 및 로즈힙유를 가열 용해 혼합하여, 유성 성분을 제조하였다. 또한, 별도로 세라리피드 W-2(닛코 케미칼즈 주식회사), 1,3-부틸렌 글리콜(BG), 디프로필렌 글리콜(DPG) 및 2-페녹시 에탄올을 가해 과열 교반 혼합(300rpm, 80℃, 5분간 유지)하고, 정제수를 가해 충분히 교반시킨 후, 상기 유성 성분을 합치고 충분히 혼합시켜 배합 성분 원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젤 기재 및 배합 성분 원액을 혼합시키고, 이것에 에탄올을 가한 후, 18% 수산화나트륨을 가해 중화(neutralization) 교반 혼합하였다. 이것에, 정제수와 혼합한 시작품 2, 시작품 3 및 시작품 2와 시작품 3의 같은 양 혼합물(시작품 4) 각각을 용해시켜, 실시예 2-1, 실시예 2-2 및 실시예 2-3의 기초화장품을 얻었다.
비교예 2:
시작품 2 및 시작품 3 대신 농축 글리세린을 2중량% 추가하여, 합계 7중량%를 첨가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1, 실시예 2-2 및 실시예 2-3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예 2의 기초화장품을 얻었다.
8-2. 유액상(乳液狀) 기초화장품
실시예 3(실시예 3-1∼3-3):
정제수에 농축 글리세린을 가하고 70℃에서 가열 조정하였다. 별도로, 세틸알코올, 밀랍(beeswax), 바셀린, 스쿠알렌 및 디메틸 폴리실록산에, 모노올레인산 에스테르 및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린산 에스테르를 가하고 70℃에서 가열하였다. 이것을 먼저 조정한 수상(水相)에 가한 후 예비 유화(emulsification)를 실시하였다. 또한, 퀸스 시드(quince seed) 추출액 및 에탄올을 가하여 교반시킨 후, 호모 믹서로 유화 입자를 균일하게 하였다.
이 유액상 액체가 40℃가 되었을 때, 정제수와 혼합한 시작품 2, 시작품 3 및 시작품 2와 시작품 3의 같은 양 혼합물(시작품 4) 각각을 용해시키고, 다시 교반시킨 후, 탈기(脫氣), 여과, 냉각시켜 실시예 3-1, 실시예 3-2 및 실시예 3-3의 유액상의 기초화장품을 얻었다.
비교예 3:
시작품 2 및 시작품 3 대신 농축 글리세린을 2중량% 추가하여 합계 10중량%를 첨가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1, 실시예 3-2 및 실시예 3-3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예 3의 기초화장품을 얻었다.
8-3. 로션상 기초화장품(화장수)
실시예 4(실시예 4-1∼4-3):
정제수에 1,3-부틸렌 글리콜, 농축 글리세린, 완충제, 갈색 방지제를 실온에서 용해시켰다. 또한, 에탄올에 올레일알코올(oleyl alcohol), 솔비탄 모노라우린산 에스테르 및 정제수와 혼합한 시작품 2, 시작품 3 및 시작품 2와 시작품 3의 같은 양 혼합물(시작품 4) 각각을 용해시켰다. 이들을 혼합 교반시켜 실시예 4-1, 실시예 4-2 및 실시예 4-3의 로션상의 기초화장품을 얻었다.
비교예 4:
시작품 2 및 시작품 3 대신 농축 글리세린을 2중량% 추가하여 합계 6중량%를 첨가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1, 실시예 4-2 및 실시예 4-3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예 4의 기초화장품을 얻었다.
8-4. 크림상 기초화장품
실시예 5(실시예 5-1∼5-3):
정제수에 1,3-부틸렌 글리콜, 펜틸렌 글리콜, 농축 글리세린, 폴리 쿼터늄(poly quaternium)을 순차적으로 용해시키고, 80℃까지 가열하여 수상으로 하였다. 한편, 스테아린산 폴리글리세릴, 스테아릴 알코올, 베헤닐 알코올(Behenyl Alcohol), 바틸 알코올(Bathyl alcohol), 팔미틴산(palmitic acid) 세틸, 스테아린산 글리세린, 크로다란 SWL(크로다 재팬 주식회사(Croda Japan KK)), 팔미틴산 이소프로필, 스쿠알렌, 미리스틴산(myristic acid) 옥틸 도데실, 마카데미아 너트유(macadamia nut oil), 트리옥타노인, 디메티콘(dimethicone)을 혼합한 후, 85℃에서 가열 교반시켜 유상(油相)으로 하였다. 수상에 유상을 주입하여 교반시킨 후(300rpm), 고점도용 호모 믹서(4000rpm)로 유화(emulsification)시켰다. 이 유화상 물질이 40℃가 되었을 때, 정제수에 수산화나트륨, 구연산나트륨 및 정제수와 혼합한 시작품 2, 시작품 3 및 시작품 2와 시작품 3의 같은 양 혼합물(시작품 4) 각각을 용해시킨 것을 혼합 교반시켜 실시예 5-1, 실시예 5-2 및 실시예 5-3의 크림상의 기초화장품을 얻었다.
비교예 5:
시작품 2 및 시작품 3 대신 농축 글리세린을 2중량% 추가하여 합계 7중량%를 첨가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1, 실시예 5-2 및 실시예 5-3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예 5의 크림상의 기초화장품을 얻었다.
9. 기초화장품(젤, 유액, 로션, 크림)의 성능시험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5 및 비교예 2 내지 5의 기초화장품에 대해, 각각 상기 혈류량 측정시험, 피부 거침 개선시험, 테스트에 의한 평가시험을 실시예 1 및 비교예 1과 동일한 조건에서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2 내지 표 5에 정리하여 나타낸다.
실시예 2 및 비교예 2의 젤상 기초화장품의 조성 및 평가시험 결과
배합성분 실시예 2-1 실시예 2-2 실시예 2-3 비교예 2
시작품 2 2.0 없음 1.0 없음
시작품 3 없음 2.0 1.0 없음
농축 글리세린 5.0 5.0 5.0 7.0
Ultrez-10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레시놀 WS-50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Pemulen TR-1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1,3-부틸렌 글리콜(BG)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디프로필렌 글리콜(DPG)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18% 수산화나트륨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스쿠알렌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리얼커브 (LIALCARB)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호호바유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세라리피드 W-2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AMITER MA-HD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로즈힙유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정제수 잔여량 잔여량 잔여량 잔여량
혈류량 측정시험 ++ ++ ++ (기준)
피부 거침 개선 피부 박리 효과 있음 9명 5명 6명 0명
약간 효과 있음 1명 3명 3명 2명
효과 없음 0명 2명 1명 8명
보습성 ++ ++ ++ ±∼-
테스트에 의한 평가시험 매끄러움 ++ 8명 6명 7명 0명
2명 2명 2명 2명
± 0명 2명 1명 8명
피부결의 섬세함 ++ 7명 3명 3명 0명
1명 5명 5명 1명
± 2명 2명 2명 9명
미백의 상태 ++ 2명 0명 2명 0명
5명 1명 5명 0명
± 3명 9명 3명 10명
피부의 탄력성 ++ 8명 6명 6명 0명
2명 2명 3명 1명
± 0명 2명 1명 9명
기미, 주근깨의 개선 ++ 1명 0명 1명 0명
4명 2명 3명 0명
± 5명 8명 6명 10명
실시예 3 및 비교예 3의 유액상 기초화장품의 조성 및 평가시험 결과
배합성분 실시예 3-1 실시예 3-2 실시예 3-3 비교예 3
시작품 2 2.0 없음 1.0 없음
시작품 3 없음 2.0 1.0 없음
농축 글리세린 8.0 8.0 8.0 10.0
세틸 알코올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밀랍(beeswax)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바셀린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디메틸 폴리실록산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에탄올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스쿠알렌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모노올레인산 에스테르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린산 에스테르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퀸스 시드(quince seed) 추출액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정제수 잔여량 잔여량 잔여량 잔여량
혈류량 측정시험 ++ ++ ++ (기준)
피부 거침 개선 피부 박리 효과 있음 9명 5명 6명 0명
약간 효과 있음 1명 3명 2명 3명
효과 없음 0명 2명 2명 7명
보습성 ++ ++ ++ ±∼-
테스트에 의한 평가시험 매끄러움 ++ 8명 6명 6명 0명
2명 3명 4명 3명
± 0명 1명 0명 7명
피부결의 섬세함 ++ 7명 3명 4명 0명
3명 4명 4명 2명
± 0명 3명 2명 8명
미백의 상태 ++ 2명 1명 1명 0명
5명 3명 6명 0명
± 3명 6명 3명 10명
피부의 탄력성 ++ 8명 5명 8명 0명
2명 3명 2명 1명
± 0명 2명 0명 9명
기미, 주근깨의 개선 ++ 1명 0명 0명 0명
3명 2명 3명 0명
± 6명 8명 7명 10명
실시예 4 및 비교예 4의 로션상 기초화장품의 조성 및 평가시험 결과
배합성분 실시예 4-1 실시예 4-2 실시예 4-3 비교예 4
시작품 2 2.0 없음 1.0 없음
시작품 3 없음 2.0 1.0 없음
농축 글리세린 4.0 4.0 4.0 6.0
1,3-부틸렌 글리콜(BG)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완충제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갈색 방지제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에탄올 10.0 10.0 10.0 10.0
올레일알코올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솔비탄 모노라우린산 에스테르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정제수 잔여량 잔여량 잔여량 잔여량
혈류량 측정시험 ++ ++ ++ (기준)
피부 거침 개선 피부 박리 효과 있음 10명 6명 7명 0명
약간 효과 있음 0명 3명 3명 4명
효과 없음 0명 1명 0명 6명
보습성 ++ ++ ++ ±∼-
테스트에 의한 평가시험 매끄러움 ++ 6명 4명 6명 0명
3명 4명 2명 2명
± 1명 2명 2명 8명
피부결의 섬세함 ++ 8명 4명 7명 0명
2명 3명 2명 3명
± 0명 3명 1명 7명
미백의 상태 ++ 3명 1명 2명 0명
5명 4명 6명 2명
± 2명 5명 2명 8명
피부의 탄력성 ++ 6명 2명 6명 0명
3명 4명 1명 0명
± 1명 4명 3명 10명
기미, 주근깨의 개선 ++ 3명 1명 3명 0명
3명 1명 3명 0명
± 4명 8명 4명 10명
실시예 5 및 비교예 5의 크림상 기초화장품의 조성 및 평가시험 결과
배합성분 실시예 5-1 실시예 5-2 실시예 5-3 비교예 5
시작품 2 2.0 없음 1.0 없음
시작품 3 없음 2.0 1.0 없음
농축 글리세린 5.0 5.0 5.0 7.0
1,3-부틸렌 글리콜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펜틸렌 글리콜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폴리 쿼터늄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스테아린산 폴리글리세릴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스테아릴 알코올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베헤닐 알코올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바틸 알코올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팔미틴산 세틸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스테아린산 글리세린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크로다란 SWL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팔미틴산 이소프로필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스쿠알렌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미리스틴산 옥틸 도데실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마카데미아 너트유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트리옥타노인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디메티콘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수산화나트륨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구연산나트륨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정제수 잔여량 잔여량 잔여량 잔여량
혈류량 측정시험 ++ ++ ++ (기준)
피부 거침 개선 피부 박리 효과 있음 10명 7명 8명 0명
약간 효과 있음 0명 2명 2명 3명
효과 없음 0명 1명 0명 7명
보습성 ++ ++ ++ ±∼-
테스트에 의한 평가시험 매끄러움 ++ 10명 6명 7명 5명
0명 4명 3명 3명
± 0명 0명 0명 2명
피부결의 섬세함 ++ 9명 8명 8명 4명
1명 2명 2명 4명
± 0명 0명 0명 2명
미백의 상태 ++ 5명 2명 4명 0명
3명 4명 4명 3명
± 2명 4명 2명 7명
피부의 탄력성 ++ 10명 4명 6명 0명
0명 4명 3명 0명
± 0명 2명 1명 10명
기미, 주근깨의 개선 ++ 5명 1명 3명 0명
5명 3명 2명 0명
± 0명 6명 5명 10명
표 1 및 표 2 내지 표 5에 나타난 결과로부터, 하기와 같은 것을 알 수 있었다.
(1)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5에 따른 화장품의 혈류량 측정시험의 평가가 ++[비교예에 비해 혈류량이 매우 증가됨(현저한 효과)]라는 점에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에 따른 화장품의 유효성분이 사람의 피부로부터 침투되어 혈류량을 현저하게 증가시킨다는 사실을 분명히 알 수 있었다.
(2)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5에 따른 화장품의 피부 거침 개선시험에서, 시작품 1, 시작품 2 및 시작품 2를 함유하는 시작품 4를 포함하고 있는 화장품은 모두 현저한 유효성을 갖고 있었으며, 시작품 3을 포함하고 있는 화장품에서도 유효성이 확인되었다. 또한, 대조예로서, 도포하지 않았던 좌측 하지에는 피부 거침의 개선이 거의 인지되지 않아, 시작품 1 내지 시작품 4를 포함한 화장품의 유효성이 분명해졌다.
(3) 표 1에 나타낸 시험결과에 있어서, 시작품 1(DNA 분해생성물)을 포함한 화장품으로 화장품 테스트를 실시한 평가시험에서는, 특히 「매끄러움」, 「피부결의 섬세함」, 「피부의 탄력성」에 있어서 현저한 개선 효과가 인정된다는 평가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4) 표 2 내지 표 5에 나타낸 동일한 화장품에서의 시험결과 비교에 있어서, 시작품 2 내지 시작품 4를 포함한 화장품 테스트에 의한 평가시험은, 모든 형태의 화장품에서 시작품 2>시작품 4>시작품 3>비교예의 순위로 우수하였다.
또한, 시작품 2 내지 시작품 4를 포함한 각 화장품에 있어서, 특히 「매끄러움」, 「피부결의 섬세함」, 「피부의 탄력성」의 점에서 현저한 개선 효과가 인정된다는 평가를 얻을 수 있었다.
(5) 한편,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5에서의 테스트에 의한 평가시험에서, 「미백 효과」, 「기미, 주근깨의 개선」은 일부 피시험자에게서 인지되었지만, 피부의 신진대사 등을 고려하면 좀 더 장기간의 사용이 필요하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에서는, 유효성분으로서 시작품 1(DNA염 분해생성물), 시작품 2(DNA 및 뉴클레오프로테인 분해생성물), 시작품 3(RNA 분해생성물) 및 시작품 4(시작품 2와 시작품 3의 혼합물)를 사용하였지만, 시작품 1 내지 시작품 4 대신 이들로부터 분리ㆍ정제된 디옥시올리고뉴클레오티드, 디옥시모노뉴클레오티드, 올리고펩티드, 올리고 뉴클레오티드 또는 모노뉴클레오티드를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하여도, 시작품 1 내지 시작품 4를 사용한 경우와 동일한 효과가 인정되었다.
즉, 본 실시예로부터, 디옥시올리고뉴클레오티드, 디옥시모노뉴클레오티드, 올리고펩티드,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또는 모노뉴클레오티드를 함유하는 기초화장품용 배합제 및 상기 기초화장품용 배합제를 함유하는 기초화장품은, 혈류량의 증가, 피부 거침 개선효과, 피부의 매끄러움, 피부결의 섬세함, 피부의 탄력성을 개선시키는 효과를 갖는다는 것이 인정되었다.
이하에, 상기 시작품 1 내지 시작품 4를 이용한 기초화장품의 처방예를 실시예 6 내지 실시예 8로 나타낸다. 또한, 여기에 기재된 「시작품(류(類))」란, 시작품 1 내지 시작품 3을 각각 단독으로, 또는 시작품 2 및 시작품 3의 같은 양 혼합물(시작품 4)로부터 선택된다는 것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모든 실시예에 있어서 혈류량의 증가, 피부 거침 개선효과, 피부의 매끄러움, 피부결의 섬세함, 피부의 탄력성을 개선시키는 효과를 갖는다는 것이 인정되었다.
실시예 6: 립 크림
립 크림 처방
배합성분 배합량(중량%)
고형 파라핀 10.0
피마자유 20.4
라놀린(lanoline) 14.0
밀랍(beeswax) 5.0
칸데리라 왁스(candelila wax) 12.0
카르나우바 왁스(carnauba wax) 7.0
2-에틸헥산산 세틸 18.0
미리스틴산 이소프로필 12.0
시작품(류) 1.5
향료 0.1
<제조방법>
상기 배합성분 중 향료 이외의 성분을 혼합, 용해하고, 향료를 가해 교반 혼합시킨 후, 틀에 부어 넣고 냉각시켜 립 크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콜드 크림(cold cream)
콜드 크림 처방
배합성분 배합량(중량%)
고형 파라핀 5.0
밀랍(beeswax) 10.0
바셀린 15.0
유동 파라핀 41.0
글리세린 모노스테아린산 에스테르 2.0
폴리옥시에틸렌(20몰) 솔비탄 모노라우린산 에스테르 2.0
시작품(류) 1.0
비누분말 0.1
향료 적당량
방부제 적당량
산화방지제 적당량
정제수 잔여량
<제조방법>
정제수에 시작품(류), 비누 분말을 가하여 가열 용해시킨 후 70℃로 유지하였다(수상(水相)). 다른 성분을 혼합하여 가열 융해시킨 후 70℃로 유지하였다(유상(油相)). 수상에 유상을 교반시키면서 서서히 가하고, 종료 후, 호모 믹서로 균일하게 유화시켰다. 유화 후 잘 교반시키면서 30℃까지 냉각시켜 콜드 크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8: 클레이 팩(clay pack)
클레이 팩 처방
배합성분 배합량(중량%)
시작품(류) 1.0
카올린(kaolin) 25.0
에탄올 5.0
1,3-부틸렌글리콜 10.0
글리세린 5.0
세스퀴스 스테아린산 PEG-20 세틸 글루코오스 4.0
산탄검(xanthan gum) 0.1
방부제 적당량
정제수 잔여량
<제조방법>
1,3-부틸렌 글리콜, 글리세린, 세스퀴스 스테아린산 PEG-20 세틸 글루코오스, 산탄검(xanthan gum), 방부제, 정제수를 혼합ㆍ교반시켜 전체를 균일하게 하였다.
이것을 호모 믹서로 교반시키면서, 시작품(류) 및 카올린을 가해 전체를 균일하게 하고, 다시 에탄올을 가한 후 교반ㆍ혼합시켜 클레이 팩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기초화장품용 배합제는 뉴클레오프로테인 및/또는 DNA 또는 RNA를 효소분해 처리 또는 가수분해 처리로 저분자화시켜 얻어진 분자량 1000 내지 3000의 분획을 20 내지 50% 함유하는 분해생성물, 상기 분해생성물로부터 분리된 디옥시올리고뉴클레오티드, 디옥시모노뉴클레오티드, 올리고펩티드,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및 모노뉴클레오티드, 또는 상기 분해생성물 또는 상기 화합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2종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이다. 상기 디옥시올리고뉴클레오티드 등은 분자량이 비교적 작기 때문에 경피적(經皮的)으로 흡수되고 쉽고, 또한 그들은 경피적으로 흡수되었을 때 세포 활성화 작용 및 혈액순환 촉진 작용을 갖는다. 따라서, 안면의 표피에 적용시킬 경우, 피부 거침, 기미, 주근깨, 주름 등을 우수하게 방지하고, 피부 미백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기초화장품은 상기 기초화장용 배합제를 함유하여 이루어져 있으므로, 안면의 표피에 적용시켰을 경우에 상기 기초화장품 배합제가 갖는, 피부 거침, 기미, 주근깨, 주름 등의 뛰어난 방지 효과 및 피부 미백 효과를 갖는다.

Claims (5)

  1. 뉴클레오프로테인 및/또는 DNA를 효소분해 처리 또는 가수분해 처리로 저분자화해 얻어진 분자량 1000 내지 3000의 분획(fraction)을 20 내지 50% 함유하는 분해생성물, 또는, 상기 분해생성물로부터 분리된 디옥시올리고뉴클레오티드, 디옥시모노뉴클레오티드 또는 올리고펩티드, 또는,
    RNA를 효소분해 처리 또는 가수분해 처리로 저분자화시켜 얻어진 분자량 1000 내지 3000의 분획을 20 내지 50% 함유하는 분해생성물, 또는, 상기 분해생성물로부터 분리된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또는 모노뉴클레오티드, 또는,
    상기 뉴클레오프로테인 및/또는 DNA 분해생성물, 상기 RNA 분해생성물, 디옥시올리고뉴클레오티드, 디옥시모노뉴클레오티드, 올리고펩티드, 올리고 뉴클레오티드 및 모노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2종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화장품용 배합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뉴클레오프로테인 및 DNA는 연어, 송어, 청어, 가다랭이 및 대구와 같은 어류의 이리(milt)로부터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화장품용 배합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NA는 맥주 효모, 토룰라(torula) 효모, 젖 효모 및 빵 효모로 이루어 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효모로부터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화장품용 배합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기초화장품용 배합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화장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화장품이 로션, 유액, 크림, 젤, 젤리, 에센스, 립 크림, 팩 또는 마스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화장품.
KR1020070031896A 2006-03-31 2007-03-30 기초화장품용 배합제 및 기초화장품 KR1013536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98131 2006-03-31
JPJP-P-2006-00098131 2006-03-31
JP2006344970A JP5025253B2 (ja) 2006-03-31 2006-12-21 基礎化粧品用配合剤及び基礎化粧品
JPJP-P-2006-00344970 2006-12-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9450A true KR20070099450A (ko) 2007-10-09
KR101353628B1 KR101353628B1 (ko) 2014-01-20

Family

ID=38762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1896A KR101353628B1 (ko) 2006-03-31 2007-03-30 기초화장품용 배합제 및 기초화장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025253B2 (ko)
KR (1) KR10135362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5676A (ko) * 2017-12-04 2019-06-12 주식회사 비알팜 고순도의 dna 단편 혼합물 제조방법
KR102084003B1 (ko) * 2018-10-22 2020-03-03 에스케이바이오랜드 주식회사 저분자 기능성 생물소재와 포접된 유산균 뉴클레오티드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큐비솜
KR20200044934A (ko) * 2018-07-24 2020-04-29 제네틱바이오랩 가부시키가이샤 피부의 항노화용제 및 항노화 관련 유전자 발현 조절용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25254B2 (ja) * 2006-08-09 2012-09-12 日生バイオ株式会社 皮溝密度を改良する化粧品用配合剤及び化粧品
FR3043695B1 (fr) 2015-11-17 2019-10-25 ISP Investments LLC. Procede d'obtention d'un extrait aqueux enrichi en petits arn a partir d'une matiere vegetal et extraits issus du procede
KR101904702B1 (ko) * 2018-07-30 2018-11-21 트러스메틱스주식회사 면역 증강용 기능성 건강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7015064B2 (ja) * 2019-08-05 2022-02-02 日生バイオ株式会社 角栓除去剤
WO2022191339A1 (ko) * 2021-03-08 2022-09-15 주식회사 노아바이오텍 송어에서 분리된 pdrn과 난포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46895B1 (ko) * 2021-05-28 2022-01-04 주식회사 노아바이오텍 Pdrn추출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324293A1 (fr) * 1975-04-29 1977-04-15 Orlane Produit cosmetique stimulant le metabolisme de la peau et procede de preparation dudit produit cosmetique
IT1222701B (it) * 1987-09-23 1990-09-12 Crinos Industria Farmaco Composizione ad uso topico avente attivita' tricogena,antiforfora ed antiseborroica
IT1232318B (it) * 1989-09-07 1992-01-28 Crinos Industria Farmaco Composizioni ad uso topico contenenti acidi nucleici depolimerizzati per la cosmesi della pelle e del corpo.
JPH0931093A (ja) * 1995-07-22 1997-02-04 Nippon Suisan Kaisha Ltd 魚類白子由来の水溶性に優れたdna塩類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19911053B4 (de) * 1999-03-12 2004-10-28 Biotec Asa Kosmetische und/oder pharmazeutische Zubereitungen
FR2804960B1 (fr) * 2000-02-11 2005-06-24 Lvmh Rech Nouveaux oligonucleotides et utilisation d'oligonucleotides modulant l'expression de la tyrosinase et de la tyrosinase- related-protein 1 comme agents depigmentants
GB2381451A (en) * 2001-11-01 2003-05-07 New Technology Res Ltd Pharmaco-dietary preparation having nutrition-supplementing and nutrition-enhancing effect
JP3978716B2 (ja) * 2002-04-18 2007-09-19 日生バイオ株式会社 遺伝子酸化損傷抑制剤
JP2004016143A (ja) * 2002-06-18 2004-01-22 Ls Corporation:Kk 水溶性核タンパク質分解物の製造方法
JP2004016142A (ja) * 2002-06-18 2004-01-22 Ls Corporation:Kk コラーゲンと水溶性核タンパク質分解物を含有する配合物
BR0305435A (pt) * 2002-07-10 2005-01-11 Oreal Utilização de pelo menos um fragmento polinucleotìdico, de pelo menos um marcador e de uma combinação de pelo menos dois fragmentos polinucleotìdicos, processo para o diagnóstico de uma predisposição ao encanecimento precoce em um indivìduo, e, kit
JP2005245394A (ja) * 2004-03-08 2005-09-15 Nissei Bio Kk 魚類白子からの二本鎖dnaの抽出・精製方法
JP4599518B2 (ja) * 2005-06-13 2010-12-15 日生バイオ株式会社 毛髪手入れ用製剤
FR2890074B1 (fr) * 2005-09-01 2007-11-23 Lvmh Rech Nouveaux oligonucleotides anti-genes specifiques de la tyrosinase comme agents depigmentant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5676A (ko) * 2017-12-04 2019-06-12 주식회사 비알팜 고순도의 dna 단편 혼합물 제조방법
KR20200044934A (ko) * 2018-07-24 2020-04-29 제네틱바이오랩 가부시키가이샤 피부의 항노화용제 및 항노화 관련 유전자 발현 조절용제
US11554092B2 (en) * 2018-07-24 2023-01-17 Genetic Bio-Lab Co., Ltd. Anti-aging agent for skin and anti-aging-related gene expression regulator
KR102084003B1 (ko) * 2018-10-22 2020-03-03 에스케이바이오랜드 주식회사 저분자 기능성 생물소재와 포접된 유산균 뉴클레오티드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큐비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025253B2 (ja) 2012-09-12
JP2007291062A (ja) 2007-11-08
KR101353628B1 (ko) 2014-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3628B1 (ko) 기초화장품용 배합제 및 기초화장품
KR20080015066A (ko) 모발 손질용 제제
EP1938867A2 (en) Compounding ingredients for basic cosmetics and basic cosmetics
KR101450681B1 (ko) 화장료
JP5025254B2 (ja) 皮溝密度を改良する化粧品用配合剤及び化粧品
CN101172095A (zh) 含有蜂王浆的蛋白水解物的化妆材料
JPH09291011A (ja) 外用に適する組成物
KR101810226B1 (ko) 연어 유래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US20080153741A1 (en) Compounding ingredients for cosmetic formulation for improving skinditch density and cosmetic
KR100796904B1 (ko) 안정화된 비타민 c 또는 비타민 c 유도체의 복합체를함유하는 발모제 조성물
KR100837879B1 (ko) 녹용에서 추출한 콜라겐을 함유하는 기능성 강화 화장료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4599518B2 (ja) 毛髪手入れ用製剤
JPH10114670A (ja) 外用に適する組成物
JPH11240817A (ja) 美容パック
FR2807321A1 (fr) Nouvel actif, composition le renfermant et utilisation en cosmetique, dermocosmetique, dermopharmacie ou pharmacie ou sur des supports tisses ou non tisses
KR101853927B1 (ko) 피부 각질 제거, 가려움증 개선, 및 두피 비듬 개선 효과가 우수한 연어 비늘의 효소 가수 분해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5171752B2 (ja) 皮膚外用剤
JP2009249366A (ja) 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及び老化防止用皮膚外用剤
JP4698934B2 (ja) 皮膚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
JP2004035431A (ja) 皮膚外用剤
JP5527917B2 (ja) アルギナーゼ活性促進剤及びそ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JPH0525846B2 (ko)
JP2963136B2 (ja) 化粧料
WO2020162842A1 (en) Gel based formulation for the treatment of the dark circles under eyes
JP2001010943A (ja) 皮膚外用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