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5676A - 고순도의 dna 단편 혼합물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순도의 dna 단편 혼합물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5676A
KR20190065676A KR1020170165088A KR20170165088A KR20190065676A KR 20190065676 A KR20190065676 A KR 20190065676A KR 1020170165088 A KR1020170165088 A KR 1020170165088A KR 20170165088 A KR20170165088 A KR 20170165088A KR 20190065676 A KR20190065676 A KR 201900656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na fragment
testis
filtrate
fragment mixture
stir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5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1362B1 (ko
Inventor
김석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알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알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알팜
Priority to KR1020170165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1362B1/ko
Publication of KR20190065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56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1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13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10Processes for the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of DNA or RNA
    • C12N15/1003Extracting or separating nucleic acids from biological samples, e.g. pure separation or isolation methods; Conditions, buffers or apparatuses therefor
    • C12N15/1017Extracting or separating nucleic acids from biological samples, e.g. pure separation or isolation methods; Conditions, buffers or apparatuses therefor by filtration, e.g. using filters, frits, membr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06Preparing nucleic acids for analysis, e.g. for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assa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순도의 DNA 단편 혼합물의 제조를 위한 것으로, (a) 어류 정소를 해동하고, 혈액 및 이물질을 제거한 후 상기 해동된 정소에 정제수를 넣고 분쇄하여 정소 분쇄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의 정소 분쇄액에 파리지옥 분쇄액을 혼합한 후 교반하면서 반응시켜 여과하여 단백질 및 지방을 제거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의 여과액에 pH 4.5~8.5가 되도록 염산을 첨가하여 가열한 후 반응시키고 냉각한 후 이를 여과하여 DNA 단편 혼합물이 포함된 여과액을 얻는 분자량 저감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NA 단편 혼합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고순도의 DNA 단편 혼합물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high purity DNA fragments mixtures}
본 발명은 DNA 단편 혼합물의 제조를 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물 분쇄물을 이용하여 고순도 DNA 단편 혼합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DNA는 유전정보를 암호화하는 생체 고분자로 모든 생명체에 널리 존재하며, 인산, 4종류의 염기, 데옥시리보오스와 같은 생체 고분자들로 이루어져 있다. DNA는 고유의 물리화학적, 생물학적 특징으로 말미암아, 이에 대한 생리활성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최근에는 DNA 단편 혼합물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데, DNA 단편 혼합물은 분자량이 저감된 단편 형태의 상태로 혼합되어 존재하는 것으로, 세포의 필수 구성성분들로서 이들의 혼합물을 상처부위 등에 주입함으로써 상처 부위의 치료 및 개선 등을 목적으로 하는 의약품이나 세포활성과 관련된 주름 개선 등을 목적으로 하는 화장품, 식품첨가물, 생화학 실험재료 등 활용되는 용도가 다양하여 가치가 높아지고 있다.
종래에 이들 DNA 단편 혼합물을 분리하는 방법으로서 한국공고특허 제1993-0008087호에는 연어, 청어의 정소 등으로부터 분리추출하는 방법으로, 참치 정소로부터 프로타민 황산염을 분리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는 DNA 단편 혼합물의 분리에 목적이 있는 것이 아니라 단지 프로타민이라는 단백질의 분리추출에만 목적이 있는 방법이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390529호에는 참치의 정소로부터 한외여과막을 이용하여 핵산복합물질을 분리추출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방법들은 정소, 정액 등에 혼합되어 있는 RNA, 단백질, 지방 성분들은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없어 순도가 높은 DNA 단편 혼합물을 제조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1. 대한민국 공고특허 제1993-0008087호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390529호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단백질, 지방 등의 성분이 포함되지 않는 고순도의 DNA 단편 혼합물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a) 어류 정소를 해동하고, 혈액 및 이물질을 제거한 후 상기 해동된 정소에 정제수를 넣고 분쇄하여 정소 분쇄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의 정소 분쇄액에 파리지옥 분쇄액을 혼합한 후 교반하면서 반응시켜 여과하여 단백질 및 지방을 제거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의 여과액에 pH 4.5~8.5가 되도록 염산을 첨가하여 가열한 후 반응시키고 냉각한 후 이를 여과하여 DNA 단편 혼합물이 포함된 여과액을 얻는 분자량 저감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순도 DNA 단편 혼합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고순도 DNA 단편 혼합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파리지옥 분쇄액을 혼합한 후 교반하면서 반응시켜 여과한 여과액에 대하여 염화나트륨 수용액을 혼합한 후 가열한 다음 교반하면서 반응시킨 후 냉각한 다음 냉각된 반응액에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여 pH 10~12가 되도록 한 후 교반 및 여과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고순도 DNA 단편 혼합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어류는 연어, 송어 및 참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고순도 DNA 단편 혼합물의 제조방법은 상기 (c) 단계의 DNA 단편 혼합물이 포함된 여과액을 이소프로필 알코올 또는 에탄올을 첨가한 후 교반하여 DNA 단편 혼합물을 침전시킨 다음 침전물을 이소프로필 알코올 또는 에탄올로 세척하고 이를 탈수 및 건조하여 DNA 단편 혼합물의 분말을 수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고순도 DNA 단편 혼합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파리지옥 분쇄액과 정소 분쇄액의 반응 시간인 120 내지 60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DNA 단편 혼합물의 제조방법은 DNA 단편 이외에 다른 성분들이 상대적으로 많은 어류의 정소로부터 DNA 단편 혼합물을 고순도로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어류 정소에 포함된 단백질과 지방을 제거하는데 천연 식물 분쇄액을 이용하므로 친환경적이면서 안전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핵심적인 특징은 정소 분쇄액에 파리지옥 분쇄액을 부가하여 반응시켜 종래의 제조 방법보다 단백질과 지방 제거 효과를 높여 고순도의 DNA 단편 혼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여기서 파리지옥은 쌍떡잎식물 끈끈이귀개목 끈끈이귀개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식충식물로서 관상용 또는 교재용으로 재배하며, 잎에는 많은 선(腺)이 있어 벌레들을 유혹하며 3쌍의 감각모(感覺毛)가 있어서 그중의 어느 것에든지 벌레가 2번 닿게 되면 잎의 양면이 갑자기 닫히며, 안쪽에 돋은 선에서 산과 소화액을 분비하여 벌레를 분해·흡수하는 식충 식물이다.
상술한 파리지옥 분쇄액의 제조에 이용되는 분쇄 방법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널리 알려진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이용이 되며, 이와 같은 파리지옥 분쇄액과 정소 분쇄액의 혼합 후 교반 시간이 중요한데, 본 발명자의 다양한 실험을 통하여 연구한 결과 90분에서 ±30분 정도가 적당하며 이보다 적을 경우에는 단백질과 지방 분해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아 고순도로 제조되지 않으며 이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DNA까지 분해되어 분말로 하였을 때 제조 수율이 낮아서 생산성에서 나쁜 영향을 미친다.
또한, 본 발명은 단백질 및 지방 제거 공정을 더욱 효율적을 하여 순도를 높이기 위하여 파리지옥 분쇄액을 혼합한 후 교반하면서 반응시켜 여과한 여과액에 대하여 염화나트륨 수용액을 혼합한 후 가열한 다음 교반하면서 반응시킨 후 냉각한 다음 냉각된 반응액에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여 pH 10~12가 되도록 한 후 교반 및 여과하는 과정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면 정제수 500㎖에 200g의 염화나트륨을 녹여 염화나트륨 용액을 제조한 다음에, 상기 염화나트륨 용액 500㎖와 상기 파리지옥 분쇄액과 반응을 마친 다음 여과한 여과액을 혼합한 다음, 약 100℃로 가온한 다음에 이 온도를 유지하면서 45분 내지 75분 동안 교반하면서 반응시킨 후에 상온으로 냉각하고 상기 냉각된 반응액에 약 30% 수산화나트륨(NaOH)을 첨가하여 pH 10~12이 되도록 한 후 이를 45분 내지 75분 동안 교반시키고 여과하여 추가적으로 단백질과 지방이 더 제거된 여과액을 얻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단계를 통하여 순도가 높은 DNA 단편 혼합물을 제조하는 것은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단백질과 지방 제거 공정이 완료되면 다양한 사용 용도를 위하여 분자량 저감 공정을 진행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단백질과 지방이 더 제거된 여과액에 pH 4.5~8.5가 되도록 염산을 첨가하여 가열한 후 반응시키고 냉각한 후 이를 여과하는 방법으로 실시하게 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연어 정소로부터 고순도의 DNA 단편 혼합물의 제조>
(1) 정소 준비 공정
냉동된 정소 10g을 해동한 다음 탈혈 및 이물질을 제거하고, 정제수 400㎖을 넣어준 후, 분쇄기로 분쇄하여 정소 분쇄액을 제조하였다.
(2) 단백질 및 지방 제거 공정
파리지옥 지상부를 분쇄기로 분쇄하여 제조한 파리지옥 분쇄액 100㎖에 상기 정소 분쇄액을 혼합한 후 90분 동안 교반하면서 반응시키고 여과하여 단백질과 지방이 제거된 여과액을 얻었다.
(3) 분자량 저감 공정
상기 여과액에, pH 5.0이 되도록 염산을 첨가하여 100℃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이를 냉각한 뒤 다시 여과를 실시하여 DNA 단편 혼합물을 포함하는 여과액을 얻었다.
(4) 침전 및 건조 공정
상기 여과액에 여과액 부피 2배의 에탄올을 첨가한 다음 10분간 교반하고 원심분리한 뒤, 침전된 침전물을 회수하여 이를 70% 에탄올 수용액으로 세척한 다음진공 하에서 건조시켜 DNA 단편 혼합물의 분말을 수득하였다.
< 실시예 2. 본 발명에 따른 연어 정소로부터 고순도의 DNA 단편 혼합물의 제조>
(1) 정소 준비 공정
냉동된 정소 10g을 해동한 다음 탈혈 및 이물질을 제거하고, 정제수 400㎖을 넣어준 후, 분쇄기로 분쇄하여 정소 분쇄액을 제조하였다.
(2) 단백질 및 지방 제거 공정
파리지옥 지상부를 분쇄기로 분쇄하여 제조한 파리지옥 분쇄액 100㎖에 상기 정소 분쇄액을 혼합한 후 90분 동안 교반하면서 반응시키고 여과하였다.
이후, 정제수 500㎖에 200g의 염화나트륨을 녹여 염화나트륨 용액을 제조하였고, 상기 염화나트륨 용액 500㎖와 상상기 파리지옥 분쇄액과 반응을 마친 다음 여과한 여과액을 혼합한 다음, 10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반응시킨 후에 냉각하였다. 상기 냉각된 반응액에 30% 수산화나트륨(NaOH)을 첨가하여 pH 11.0이 되도록 한 후 이를 1시간 동안 교반시키고 여과하여 단백질과 지방이 제거된 여과액을 얻었다.
(3) 분자량 저감 공정
상기 여과액에, pH 7.0이 되도록 염산을 첨가하여 100℃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이를 냉각한 뒤 다시 여과를 실시하여 DNA 단편 혼합물을 포함하는 여과액을 얻었다.
(4) 침전 및 건조 공정
상기 여과액에 여과액 부피 2배의 에탄올을 첨가한 다음 10분간 교반하고 원심분리한 뒤, 침전된 침전물을 회수하여 이를 70% 에탄올 수용액으로 세척한 다음진공 하에서 건조시켜 DNA 단편 혼합물의 분말을 수득하였다.
< 비교예 1. 연어 정소로부터 DNA 단편 혼합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2의 단백질 및 지방제거 공정에서 정소 분쇄액과 파리지옥 분쇄액을 반응시키는 공정은 생략하고, 다른 공정은 똑같은 조건으로 진행하였다.
< 실험예 : 순도 측정>
DNA의 순도는 260nm의 흡광도 값과 280nm에서의 흡광도 값의 비율로 결정할 수 있는데, 260nm 흡광도 값/ 280nm 흡광도 값의 비율이 1.8~1.9의 값이면 순도가 높은 것으로 판정할 수 있으며, 비율이 낮으면 단백질 오염도가 높은 것으로 볼 수 있는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수득한 DNA 단편 혼합물의 분말 1mg을 증류수 10ml에 녹인 다음 TE 완충액(pH 8.0)으로 희석한 후에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260nm 흡광도 값과 280nm 흡광도 값을 구한 다음에 그 비율을 계산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냈다.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율 1.87 1.88 1.39
하기 표 1의 결과를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2는 그 비율이 1.87에서 1.88로 순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교예 1의 경우에는 1.39 정도로 낮아 순도가 본 발명에서 비하여 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5)

  1. (a) 어류 정소를 해동하고, 혈액 및 이물질을 제거한 후 상기 해동된 정소에 정제수를 넣고 분쇄하여 정소 분쇄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의 정소 분쇄액에 파리지옥 분쇄액을 혼합한 후 교반하면서 반응시켜 여과하여 단백질 및 지방을 제거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의 여과액에 pH 4.5~8.5가 되도록 염산을 첨가하여 가열한 후 반응시키고 냉각한 후 이를 여과하여 DNA 단편 혼합물이 포함된 여과액을 얻는 분자량 저감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순도 DNA 단편 혼합물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백질 및 지방을 제거하는 단계가 파리지옥 분쇄액을 혼합한 후 교반하면서 반응시켜 여과한 여과액에 대하여 염화나트륨 수용액을 혼합한 후 가열한 다음 교반하면서 반응시킨 후 냉각한 다음 냉각된 반응액에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여 pH 10~12가 되도록 한 후 교반 및 여과하는 과정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순도 DNA 단편 혼합물의 제조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어류는 연어, 송어 및 참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순도 DNA 단편 혼합물의 제조방법.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DNA 단편 혼합물이 포함된 여과액을 이소프로필 알코올 또는 에탄올을 첨가한 후 교반하여 DNA 단편 혼합물을 침전시킨 다음 침전물을 이소프로필 알코올 또는 에탄올로 세척하고 이를 탈수 및 건조하여 DNA 단편 혼합물의 분말을 수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고순도 DNA 단편 혼합물의 제조방법.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파리지옥 분쇄액과 정소 분쇄액의 반응 시간인 60 내지 120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순도 DNA 단편 혼합물의 제조방법.

KR1020170165088A 2017-12-04 2017-12-04 고순도의 dna 단편 혼합물 제조방법 KR1020113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5088A KR102011362B1 (ko) 2017-12-04 2017-12-04 고순도의 dna 단편 혼합물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5088A KR102011362B1 (ko) 2017-12-04 2017-12-04 고순도의 dna 단편 혼합물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5676A true KR20190065676A (ko) 2019-06-12
KR102011362B1 KR102011362B1 (ko) 2019-08-16

Family

ID=66845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5088A KR102011362B1 (ko) 2017-12-04 2017-12-04 고순도의 dna 단편 혼합물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136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0612B1 (ko) * 2019-08-27 2020-12-14 (주)모아캠 식물성 원료, 미생물 원료 또는 해양성 원료로부터 유래된 저분자량 dna의 제조방법
KR102531611B1 (ko) * 2022-10-12 2023-05-12 주식회사 한국비엔씨 고순도 dna 단편 혼합물의 제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8087A (ko) 1991-10-11 1993-05-21 원본미기재 보호 피복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는 방법
KR100390529B1 (ko) 2000-04-25 2003-07-04 동원산업 주식회사 참치정소로부터 핵산복합물질을 추출하는 방법 및 이방법에 의해 얻어진 핵산복합물질
KR20070099450A (ko) * 2006-03-31 2007-10-09 닛세이 바이오 카부시키 가이샤 기초화장품용 배합제 및 기초화장품
KR101739409B1 (ko) * 2011-10-21 2017-05-25 주식회사 파마리서치프로덕트 어류 정소로부터 분리된 디엔에이 단편 혼합물을 포함하는 연골 재생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8087A (ko) 1991-10-11 1993-05-21 원본미기재 보호 피복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는 방법
KR100390529B1 (ko) 2000-04-25 2003-07-04 동원산업 주식회사 참치정소로부터 핵산복합물질을 추출하는 방법 및 이방법에 의해 얻어진 핵산복합물질
KR20070099450A (ko) * 2006-03-31 2007-10-09 닛세이 바이오 카부시키 가이샤 기초화장품용 배합제 및 기초화장품
KR101739409B1 (ko) * 2011-10-21 2017-05-25 주식회사 파마리서치프로덕트 어류 정소로부터 분리된 디엔에이 단편 혼합물을 포함하는 연골 재생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MOLECULAR AND CELLULAR PROTEOMICS, vol.11,pp.1306~1319(2012)*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0612B1 (ko) * 2019-08-27 2020-12-14 (주)모아캠 식물성 원료, 미생물 원료 또는 해양성 원료로부터 유래된 저분자량 dna의 제조방법
KR102531611B1 (ko) * 2022-10-12 2023-05-12 주식회사 한국비엔씨 고순도 dna 단편 혼합물의 제조 방법
WO2024080451A1 (ko) * 2022-10-12 2024-04-18 주식회사 한국비엔씨 고순도 dna 단편 혼합물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1362B1 (ko) 2019-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101316A (ko) 고함량의 리코펜을 함유한 토마토 추출물의 제조방법
US3389133A (en) Process for isolating and purifying soluble ribonucleic acid
CN109608559A (zh) 一种从海藻中提取活性多糖的方法
KR20090079413A (ko) 어류 정액 또는 알로부터 분리된 dna 중합체단편복합체 및 그의 제조방법
US20210002200A1 (en) Method for purification of 4-hydroxyacetophenone
KR20100092925A (ko) 어류 정액 또는 알로부터 분리된 dna 중합체 단편복합체를 포함하는 세포활성 강화용 조성물, 및 얼굴 또는 피부 충진제
Clarke et al. The preparation of plant nucleic acids
KR20190065676A (ko) 고순도의 dna 단편 혼합물 제조방법
CN103493969A (zh) 一种生产大鲵多肽粉的方法
KR20170028353A (ko) 미세조류 바이오매스로부터의 가용성 단백질의 추출 방법
KR102053221B1 (ko) 고순도의 dna 단편 혼합물 제조방법
KR101706754B1 (ko) 항원성이 저감되고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 및 이의 제조방법
Zhou et al. A combined ultrasound+ membrane ultrafiltration (USN-UF) process for enhancing saccharides separation from Spirulina (Arthrospira platensis)
RU2322456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пектина
CN113265438B (zh) 一种蚕丝抗菌肽的制备方法及在祛痘化妆品的应用
JPH01275512A (ja) 可溶性卵殻膜の製法
RU2305548C1 (ru) Способ комплексной переработки плоских морских ежей
US4977091A (en) Method for preparing phosphatidylinositol from vegetable matter
JP2006225315A (ja) 地衣類からの氷結晶制御物質の製造方法
JP6876679B2 (ja) ネポジン高含有ギシギシ抽出物の製造方法及びネポジン高含有ギシギシ抽出物
RU2772334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меланина из насекомых
RU2657499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меланина из лузги подсолнечника
JPS62201560A (ja) 水分散性スピルリナ粉末の製造方法
RU2708232C1 (ru) Способ комплексной переработки продуктов жизнедеятельности galleria mellonella
RU2055079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препарата гиалуроновой кислот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