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8688A - 호박씨 성분을 포함하는 욕창 예방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외용제 - Google Patents

호박씨 성분을 포함하는 욕창 예방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외용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8688A
KR20230158688A KR1020220058101A KR20220058101A KR20230158688A KR 20230158688 A KR20230158688 A KR 20230158688A KR 1020220058101 A KR1020220058101 A KR 1020220058101A KR 20220058101 A KR20220058101 A KR 20220058101A KR 20230158688 A KR20230158688 A KR 202301586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kin
extract
bedsores
composition
preve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8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숙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058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8688A/ko
Publication of KR202301586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868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2Cucurbitaceae (Cucumber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5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 A61K31/197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the amino and the carboxyl groups being attached to the same acyclic carbon chain, e.g. gamma-aminobutyric acid [GABA], beta-alanine, epsilon-aminocaproic acid or pantothenic acid
    • A61K31/198Alpha-amino acids, e.g. alanine or edetic acid [ED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2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treating wounds, ulcers, burns, scars, keloid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욕창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조성물에 의하는 경우, 천연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부작용의 문제가 적으면서도 혈액순환 개선, 피부 조직재생 개선 효과를 통해 욕창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면서도 환부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악취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욕창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호박씨 성분을 포함하는 욕창 예방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외용제{COMPOSITION FOR PREVENTING BEDSORES CONTAINING PUMPKIN SEED COMPONENT AND EXTERNAL PREPARATION CONTAINING SAME}
본 발명은 호박씨 성분을 포함하는 욕창 예방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외용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호박 중 호박씨의 성분을 포함함으로써 부작용의 문제가 없으면서도 욕창 예방 또는 치료 효과가 우수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외용제를 제공할 수 있다.
욕창이란, 몸의 접촉면으로부터 받는 압박에 의해 조직의 말초 혈관이 폐색되어 조직의 괴사를 야기하는 병태로, 그 치유에는 장기간을 요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장기간 침구 위에 누운 상태에 있는 노인이나 장기 요양 환자는 욕창(bedsore, 소위 압박 궤양)이 생기기 쉬워, 간호상 큰 문제로 되어 있다. 또한, 욕창은 인간 이외의 동물에서도 발증하는 질병으로, 예를 들어 말의 안장 욕창 (saddlesore)도 욕창의 하나이다.
이와 같이, 욕창은 장기간 누워있는 환자들에게 흔하게 나타나며 욕창 그 자체는 큰 문제가 되지 않을 수 있으나, 욕창의 가장 심각한 합병증은 욕창 부위에 균이 침투하여 전신에 퍼지는 패혈증이며, 욕창이 패혈증의 원인이 될 때 사망률은 60%에 이른다는 연구결과도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패혈증으로 진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욕창을 조기에 치료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욕창의 치료제로는, 브로멜라인(bromelain)(진료와 신약, 1971년, 제8권, p.967)을 함유하는 연고, 부클라데신 나트륨(bucladesine Na)[Biological & Pharmaceutical Bulletin(바이올로지칼 앤드 파마슈티칼 블레틴), 1995년, 제18권, p.1539-1543]을 함유하는 연고 등이 있지만, 상기한 치료제는 모두 출혈, 동통 등의 부작용이 알려져 있다.
약제에 의한 욕창의 치료와 관련된 추가적인 선행기술로는 국내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597332호에 슈크로스, 락토스, 젤라틴, 펙틴, 카라기난, 한천, 트라가칸트, 알기네이트, 셀룰로즈 에테르, 개질된 전분, 덱스트란, 폴리비닐피롤리돈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분말 기재와 하나 이상의 1-하이드록시-2-피리돈을 포함하는, 하지 괴저, 욕창 궤양, 또는 하지 괴저와 욕창 궤양 둘 다를 치료하기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고 또 국내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864384호에 히드록시프롤린의 N-아실화 유도체 또는 그 염을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15중량% 함유하는 욕창의 예방제 또는 치료제를 개시하고 있다.
그리고 천연물로부터 유래된 욕창의 예방 및 치료제와 관련된 선행기술은 흔치 않으며, 국내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8-0071385호에 왕느릅나무피(Ulmus macrocarpa Hance)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난치성 상처 및 궤양의 예방 및 치료용 피부외용 약학조성물을 개시하고 있고, 국내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1-0119117호에 규산염 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욕창 치료제를 개시하고 있다.
이에,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의 욕창 완화 또는 치료에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하고, 기존의 선행 특허에 비해 보다 더 우수한 욕창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나타내고자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KR 10-2113754 B1 KR 10-1974752 B1
본 발명의 목적은 호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욕창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천연 추출물을 기반으로 하는 욕창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부작용의 문제가 없으면서도 혈액순환 개선 및 조직 재생 개선을 통해 욕창 예방 또는 치료 효과가 우수한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창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호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호박은 호박꽃, 호박잎, 호박껍질, 호박과육, 호박씨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다.
상기 호박 추출물은 L-아르기닌(L-arginine)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혈액순환 개선 및 피부 조직재생 개선을 통해 욕창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추출물은 물, C1 내지 C6의 저급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욕창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약학 조성물의 제형은 크림, 젤, 패치, 분무제, 에멀젼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용제, 현탁제로부터 선택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당업계에서 조추출물(crude extract)로 통용되는 의미를 갖지만, 광의적으로는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분획(fractionation)한 분획물도 포함한다. 즉,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얻은 것뿐만 아니라, 여기에 정제과정을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얻은 것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추출물을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여과막을 통과시켜 얻은 분획,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이란 하기의 천연 추출물의 효능 또는 활성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중,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기존의 욕창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연고, 도포제,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보다 더 우수한 치료 또는 예방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 하기와 같은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욕창"이란 decubitus ulcer, bedsore, pressure sore 등으로 불리며, 특히 압박 궤양이라고도 불린다. 욕창은 혈액순환 장애로 인한 조직의 괴사로 생긴 궤양인 것으로, 지속적이거나 반복적인 압박이 주로 뼈의 돌출부에 가해짐으로써 혈액순환 장애로 인한 조직 괴사로 생긴 궤양인 것이다.
상기 욕창은 지속적이거나 반복적인 압박에 의해 조직에 산소 공급이 부족해지면, 처음에는 피부가 벌겋게 부어오르나, 이 압력이 지속되면 혈액순환 장애가 생겨 조직에 돌이킬 수 없는 변화가 나타나며 상세하게는 물집이 생기거나 피부가 벗져지며 피부 밑 지방이 괴사되어 딱딱해지며, 가느다란 혈관은 혈전 형성으로 막히게 된다. 이와 같이 괴사되어 죽은 피부는 딱딱해지고 근육세포 또한 괴사가 진행되어 괴사된 조직이 떨어져 나가면 그 자리에 큰 궤양 형태가 되며 궤양은 얕은 층보다 깊은 층에서 더 널찍하게 형성되기도 한다.
이러한 욕창을 예방을 위해, 환자의 누워있는 체위를 적어도 2시간에 한번씩 바꾸어 줌으로써 일정 부위에 가해지는 지속적인 압박을 제거해 줌으로써 욕창 유발을 예방할 수 있으나, 추가적으로 혈액순환을 개선 또는 욕창이 발생한 경우 보다 더 빠른 시일 내의 욕창 치료를 위한 연고 또는 도포가 가능한 조성물을 도포함으로써 욕창을 예방하거나 치료를 통하여 욕창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을 예방하거나, 욕창의 치유 과정을 빠르게 함으로써 욕창으로 인한 환자의 고통을 보다 줄여줄 수 있다.
이에, 본원발명에서는 호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욕창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창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호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상기 호박(Cucurbita spp.)은 박과의 덩굴성 한해살이풀로, 열대 및 남아메리카 원산이며 널리 재배한다. 덩굴의 단면이 오각형이고 털이 있으며 덩굴손으로 감으면서 다른 물체에 붙어 올라가지만 개량종은 덩굴성이 아닌 것도 있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길며 심장형 또는 신장형이고 가장자리가 얕게 5개로 갈라진다. 꽃은 1가화이며 6월부터 서리가 내릴 때까지 계속 핀다. 수꽃은 대가 길고 암꽃은 대가 짧다. 화관은 끝이 5개로 갈라지고 황색이며 하위씨방이다. 열매는 매우 크고 품종에 따라 크기, 형태, 색깔이 다르다. 열매를 식용하고 어린 순도 먹는다.
호박은 과채류 중에서는 녹말 함량이 가장 많아 감자, 고구마, 콩에 이어 칼로리가 높아 전시에는 대용식으로 재배가 많다. 그러나 보통은 조리용으로 이용되는데 숙과는 다량의 비타민 A를 함유하고 약간의 비타민 B 및 C를 함유하여 비타민원으로서 매우 중요하다.
상기 호박은 호박꽃, 호박잎, 호박껍질, 호박과육, 호박씨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호박꽃은 노란색을 띄며 1가화로서 6월부터 서리가 내릴 때 까지 계속 피고 잎겨드랑이에 1개씩 달리며, 수 꽃은 꽃대가 길며 꽃받침통이 얕고 열편의 기부가 꽃부리에 붙어 있으며, 암꽃은 꽃대가 짧고 밑부분에 긴 씨방이 있으며, 꽃받침열편이 다소 잎같이 된다.
호박잎은 초록색을 띄며, 잎은 어긋나기하고 엽병이 길며, 심장형 또는 콩팥모양이고, 가장자리가 5개로 얕게 갈라지며 열편에 톱니가 있다.
호박 열매는 크고 많은 변종이 있으며, 모양과 빛깔도 종류에 따라 다르고, 많은 종자(씨)가 들어 있으며 종자(씨)는 편평하고 맛이 좋다. 열매는 익으면 바깥면이 짙은 황갈색을 띈다.
상기와 같이, 호박꽃, 호박잎, 호박껍질, 호박과육, 호박씨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으로 선택되는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호박의 종자인 '호박씨'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호박 추출물은 L-아르기닌(L-arginine)을 포함한다.
호박은 아미노산인 아르기닌 함량이 많아 신장을 강화하고 이뇨작용을 돕는 역할을 하여 신장환자에게 효과적일 뿐 아니라, 고혈압이나 동맥경화증을 예방하는 등 혈관 건강에도 도움이 된다.
상기 아르기닌(Arginine)은 아미노산의 일종으로, 준 필수 아미노산이다. 아르기닌은 구조에 따라 L-아르기닌과 D-아르기닌의 두 유형으로 나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아미노산을 말할 때 명칭 앞에 L 또는 D를 붙이지 않으며, 이는 인체에 필요한 20가지 아미노산 중 19가지가 L-아르기닌인 것으로, 편의상 L을 붙이지 않고 부르기도 한다.
L-아르기닌은 혈관 이완을 통해 혈행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혈관 특히 동맥의 생리적인 조절에 관여하는 요인 중 혈관 이완 물질과 수축 물질 간의 균형은 매우 중요하며, 혈관 평활근의 수축은 세포 내 유리 칼슘이온 농도에 의해 조절되고 혈관 수축 물질은 세포내 칼슘이온의 농도를 증가시키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아르기닌은 간에서 대사되어 NOS에 의해 분해되어 산화질소(NO, Nitric Oxide)로 변형된다. NO는 soluble guanylyl cyclase(sGC)를 활성화 시켜 cGMP 생성을 촉진시키고, 이는 최종적으로 근원섬유를 둘러싸고 있는 근 섬유 내 막 모양의 구조인 근소포체(sarcoplasmic reticulum)로부터 칼슘이온의 유리를 억제하고, 세포 외부의 칼슘이온 투과성을 떨어뜨려 세포 내 칼슘이온의 농도를 감소시킴으로써 혈관 확장(이완)을 통해 혈행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상기 혈행 개선은 곧 혈관 건강을 개선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원발명의 욕창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유효 구성인 호박 추출물은 L-아르기닌을 포함함으로써 상기의 혈행 개선에 도움을 주어 욕창의 원인인 혈액순환 장애를 예방하거나 개선함으로써 욕창 유발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혈액순환 개선 및 피부 조직재생 개선을 통해 욕창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혈액순환(blood circulation)은 혈액이 체내를 일정한 방향으로 유동하는 현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심장의 수축운동에 의해 순환하는 혈액은 호흡에 의한 산소나 이산화탄소를 운반하거나, 영양 또는 노폐물 등을 운반한다.
보다 상세히, 심장(우심실)에서 나온 혈액은 혈관(폐동맥)을 통해 폐로 이동하여 가스 교환으로 이산화탄소를 내놓고 산소를 얻게 된다. 산소를 얻은 혈액은 다시 혈관(폐정맥)을 통해 심장(좌심방)으로 들어가며, 산소를 포함하는 혈액은 심장의 좌심실에 나와 동맥을 통해 몸 곳곳으로 전달되며 모세혈관을 통해 손끝 또는 발끝까지 전달된다. 상기 모세혈관은 각 기관들에 필요한 물질을 배분하거나 받는, 물질 교환이 일어나며, 혈액은 각 기관으로 산소와 영양소를 제공하게 되고, 각 기관은 혈액으로 이산화탄소와 노폐물을 배출한다. 물질교환이 끝난 혈액은 정맥을 통해 심장(우심방)으로 향한다.
이와 같이, 혈액 순환은 몸 곳곳의 모세혈관을 통해 세포 각각에 산소 및 영양분을 공급하고, 세포에서 만들어낸 노폐물을 제거하게 된다.
그런데, 이 혈액의 흐름에 방해가 되면, 체내에 여러 증상 또는 질환이 유발하게 된다.
혈액순환에 장애가 생기는 경우, 부종, 저림, 수족냉증, 치매, 만성피로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상기 부종은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않아 몸이 붓는 현상으로 장시간 같은 자세로 일하는 사람에게 주로 나타나는 증상이다. 특히 하체 부종은 혈액이 다리 끝으로 몰리면서 순환에 문제가 생긴 것을 말하며, 혈액이 저류하게 되는 경우 혈관 확장으로 인해 피부에 멍이 든 것과 같이 푸르게 보일 수 있다.
상기 저림은 손과 발에 혈액순환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발생하는 것으로, 손과 발에 산소와 영양분이 제대로 공급되지 않아 손, 발의 기능이 떨어져 나타나는 증상이다. 혈액순환 장애와 더불어 혈관 내 나쁜 콜레스테롤이 쌓이게 되는 경우 손발 저림 증상이 보다 더 심하게 나타날 수 있다.
상기 수족냉증은 손과 발이 차가워지는 증상을 의미하며, 혈관 자체가 수축되어 심장에 가장 멀리 있는 말초조직에 혈액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발생하는 것이다. 혈류가 정상속도인 경우 체온은 최적의 상태를 유지하나, 정상속도보다 느려지는 경우 우리 몸 중 손과 발은 눈에 띄게 체온이 떨어지게 된다.
상기 치매는 뇌의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않아, 뇌세포의 대사에 영향이 있거나 노폐물이 쌓여 뇌세포가 손상됨으로써 발생 위험이 높아지기도 한다.
상기 만성피로는 근육이 원활한 에너지 공급을 받지 못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혈액순환 장애로 인해 영양분 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계단을 오르거나 조금이라도 힘든 운동을 하는 경우에 통증과 피로를 느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혈액순환 장애로 인해, 부종, 저림, 수족냉증, 치매, 만성피로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신체 일부에 지속적이거나 반복적인 압박에 의해 혈액순환 장애가 유발되는 경우 욕창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에, 본원발명에서는 호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욕창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혈액순환 장애가 유발될 것으로 예상되는 부위에 본원발명의 조성물을 도포하거나 사용함으로써 혈액순환 장애를 개선하여 이로인해 발생되는 욕창을 포함하는 질환을 예방 또는 개선할 수 있다.
한편, 상처의 치유는 다양한 면역 및 생물학적 시스템에 의해 일어나며 4가지의 연속적인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첫번째 과정은 피부가 손상을 입은 후 즉각적으로 일어나며, 주로 지혈작용과 일시적인 상처 매트릭스를 만들어 상처를 치유한다. 상기 상처 매트릭스는 피브린(fibrin)과 피브로넥틴(fibronectin)을 포함하고 있어서 백혈구(leukocytes), 각질세포(keratinocytes), 섬유아세포(fibroblasts) 등의 이동을 위한 발판을 마련해준다. 혈소판과 백혈구는 다음 단계를 위해 사이토카인과 성장인자를 방출한다.
상처가 발생하여 나타나는 출혈이 멈추게 되면, 염증세포가 상처 부위로 이동하게 되고 두번째 단계인 염증단계가 시작된다. 염증단계는 호중구(neutrophils), 대식세포(macrophages) 그리고 림프구(lymphocytes)가 상처부위에 도달하며, 호중구와 대식세포는 손상된 조직의 잔해물을 제거하면서 단백질분해효소(protease)와 활성산소(ROS, reactive oxygen species)를 생산하여 침입할 수 있는 미생물을 제거한다. 또한, 사이토카인을 분비하여 염증반응을 촉진한다.
이를 통해 상처부위의 출혈 및 청소가 완료되면 세번째 단계인 증식단계로 넘어간다. 상기 증식단계에서는 손상입은 조직의 복구 과정이 일어나게 되며, 호중구와 대식세포에 의해 방출된 성장 인자 PDGF(platelet-derived growth factor)가 상처부위로의 섬유아세포의 증식 및 이동을 촉진하며, 기존에 있었던 혈관으로부터 새로운 혈관이 생성되는 혈관 신생(angiogenesis) 과정이 일어나고, 이는 기존의 혈관 내피 세포에 있는 자신의 receptor에 결합함으로써 시작될 수 있다. 신생된 혈관은 상처 부위에 영양분 및 산소를 공급함으로써 치유를 촉진하게 된다. 상기의 섬유아세포와 신생혈관은 상처 매트릭스로 이동하여 빈공간을 채우게 되고, 이 결과 육아조직(granulation tissue)가 형성된다. 육아조직은 증식단계가 끝나갈 즈음에 생성되며 섬유아세포, 혈관 이외에 과립성 백혈구(granulocytes), 대식세포, 섬유아세포에 의해 만들어진 3형 콜라겐 다발(type III)로 구성되어 있다.
이후, 마지막이자 네번째 단계인 재형성단계에서는 상처부위 수축과 콜라겐 재형성 과정이 일어난다. 상처부위 수축은 근육섬유아세포(myofibroblast)에 의해 이루어지며, 이는 육아조직에 있는 일부의 섬유아세포가 분화된 세포이다. 앞서 세번째 단계인 증식단계에서는 3형 콜라겐 다발(type III)이 상처부위를 대부분 이루고 있으나, 네번째 단계인 재형성단계에서는 좀 더 정교하게 조직화되고 평행한 구조를 나타내는 1형 콜라겐 다발로 바뀌게 된다. 이와 같이 상처부위의 수축과 콜라겐 재형성과정으로 인해 흉터(scar)가 만들어지고 탄성(tension)이 부여됨으로써 상처 치유가 이루어진다.
위와 같은 4단계의 상처 치유 단계는 수 시간의 지혈단계와 이후 2-3일간의 염증단계와 조직재생 구축을 위한 증식의 단계가 2-3일 후부터 시작되어 2주 내지 6주동안 진행되고, 이후 상처의 안정화 과정을 거치는데 이때 단계별로 여러 성장인자와 세포들이 출현하여 조직 재생을 위한 세포외기질 등이 합성되어 상처 치유가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상처 치유 과정 중 어느 한 단계가 지연이 되어 일정 기간 내 치유가 되지 않는 경우를 '만성 상처' 또는 '만성 창상'이라고 한다.
보통 만성 상처는 염증단계가 지연되어 나타나는 것으로 상처감염, 조직의 산소포화도의 저하, 이물질, 혈종 등이 원인이 되거나, 당뇨, 영양결핍, 면역저하 스테로이드 등 장기간 약물 투약 등이 원인이 되기도 한다.
만성 상처는 보통 피부와 피하조직 이상 깊이의 궤양 형태로 발현하는데 압박궤양이라고 불리는 욕창, 당뇨족부궤양, 정맥궤양이 흔하며, 홍반성 난창이나 scleroderma와 같은 난치성 자가면역질환에서 면역계 이상으로 말단혈관염에 의한 궤양, 방사성 궤양, 암성궤양 등이 만성 상처 또는 만성 창상에 해당한다.
이에, 창상 치유를 위한 과정 중 염증단계 이후의 증식단계에서 일어나는 손상입은 조직의 복구 과정과 재형성단계에서 일어나는 상처부위 수축과 콜라겐 재형성 과정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욕창의 완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본원발명의 호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욕창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통해 상처 부위의 조직 재생이 원활이 이루어짐으로써 욕창 치료가 가능할 수 있다.
즉, 본원발명의 호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욕창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상기 기재한 바와 같이 혈액순환 또는 피부 조직재생을 개선함으로써 욕창을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다.
보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조성물은 혈액순환 개선 및 피부 조직재생 개선 뿐 아니라 악취 개선 효과 또한 나타낼 수 있다.
욕창 환자의 경우, 주로 뇌졸중, 뇌손상, 척수손상 등으로 의식이 없거나 혼자 움직이지 못하는 사람, 영양장애, 배설장애 등을 가진 사람인 경우가 많고, 피부 재생력이 더디고 상처회복이 느린 노인인 경우가 대다수이다.
노인 욕창 환자인 경우, 환자의 세척이 쉽지 않거나, 욕창 환부로부터 발생하는 악취를 개선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환자로부터 욕창이 발생하기 쉬운 부위 또는 욕창이 발생한 부위에 본원발명의 욕창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도포함으로써 욕창 예방 또는 치료 효과와 더불어 악취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어 상처 치유와 악취를 개선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물, C1 내지 C6의 저급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된다.
구체적으로,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천연물을 분쇄하는 단계;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상기 분쇄물을 침출시키는 단계; 시료를 침출 후 건조시키는 단계; 건조된 시료를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재 침출 시키는 단계; 시료를 침출 후 건조시키는 단계; 물을 이용하여 침출시키는 단계; 및 침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천연 추출물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 천연 추출물은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분획을 실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 용매는 시료의 중량 기준으로 2 내지 50배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2 내지 20배이다. 추출을 위해 시료는 추출 용매에서 침출을 위해 1 내지 72 시간 동안 방치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24 내지 48시간 동안 방치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용매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환류 추출법, 침출법, 발효법 및 포제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추출법으로 수득하는 것을 포함한다.
초음파 추출법은 30 내지 50℃, 0.5 내지 2.5시간 동안 반응을 진행하며, 추출용매는 물 또는 50 내지 10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에 의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40 내지 50℃, 1 내지 2.5시간 동안 추출하며, 추출용매로 물 또는 70 내지 8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에 의한 것이다.
환류 추출법은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100mL기준으로, 천연물의 분쇄물 10 내지 30g, 환류 시간 1 내지 3시간 및 50 내지 10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또는 물에 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100Ml 또는 물 100mL 기준으로, 천연물의 분쇄물 10 내지 20g, 환류 시간 1 내지 2시간 및 70 내지 90%의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또는 물에 의한 것이다.
침출법은 15 내지 30℃, 24 내지 72시간 동안 진행하며, 추출 용매로 물 또는 50 내지 10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을 이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20 내지 25℃, 30 내지 54시간 동안 진행하며, 추출 용매는 물 또는 70 내지 8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에 의한 것이다.
추출 후, 추출물은 새로운 분획 용매를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분획할 수 있다. 분획시 사용하는 분획 용매는 상기 용매는 물, 헥산, 부탄올, 에틸아세트산, 에틸 아세테이트,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메틸렌클로라이드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욕창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호박 추출물 이외에 좁은잎천선과나무 추출물, 흰털냉초 추출물, 돌단풍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좁은잎천선과나무(Ficus erecta var. sieboldii)는 쌍떡잎식물 쐐기풀목 뽕나무과의 낙엽활엽 관목으로, 가는잎천선과나무라고도 한다. 바닷가 산기슭에서 자라며 높이 2∼4m이다. 나무껍질은 잿빛이 섞인 흰색이며 어두운 갈색 피목이 있고 털이 없다. 잎은 어긋나고 천선과나무보다 좁은 바소꼴이며 길이 10∼20cm이다. 끝부분이 뾰족하고 가장자리는 밋밋하거나 거친 톱니가 난다. 곁맥은 5∼6쌍이고 잎자루는 길이 1∼4cm이다. 꽃은 암수딴그루로 5∼6월에 잎겨드랑이에 1개씩 달려 핀다. 주머니 모양의 화낭(花囊)은 달걀을 거꾸로 세워놓은 모양인데, 3개의 포가 있고 많은 꽃이 들어 있다. 지름 약 15mm로, 자란 뒤에 열매가 되어 가을에 어두운 자줏빛으로 익는다. 번식은 꺾꽂이로 한다. 관상용으로 심고 어린 잎과 열매는 먹는다. 한국(제주도, 전라남도)과 일본, 타이완에 분포한다.
흰털냉초(Veronicastrum sibiricum (L.) Pennell for. albiflora Yamaz.)는 산지의 습윤한 곳에서 자라는 현삼과 여러해살이풀로, 한국(제주를 제외한 전역), 일본, 만주, 중국, 아무르, 우수리, 사할린, 시베리아 지역에 분포해있다. 종자로 번식하며, 쌍자엽 잎을 포함하며 3 내지 8개씩 여러 층으로 윤생하며 엽병이 없고 긴 타원형 또는 타원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 6 내지 17cm, 너비 2 내지 4cm로서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다. 줄기는 높이 50 내지 90cm이고 총생하며, 꽃은 7 내지 8월에 피며 총상화서는 원줄기 끝에 달리고 밑에서부터 꽃이 백색으로 피어 올라간다. 꽃받침은 5개로 ƒˆ게 갈라지며 열편 끝이 뾰족한 피침형이고 화관은 통형이며 길이 7 내지 8mm로서 끝이 얕게 4개로 갈라지고 백색이며 화통 안쪽에 털이 밀생한다. 수술은 2개로서 길게 밖으로 나오고 수술대는 자주색이며 밑부분에 털이 있고 자방은 2실로서 중축태좌(中軸胎座)에 많은 배주(胚珠)가 달리며 암술대는 수술대와 길이가 거의 같고 밖으로 길게 나오며 백색이고 털이 없다. 삭과는 끝이 뾰족한 넓은 난형이며 밑부분에 꽃받침이 달려 있다.
돌단풍(Mukdenia rossii)은 쌍떡잎식물 장미목 범의귀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돌나리라고도 한다. 물가의 바위 틈에서 자란다. 뿌리줄기는 굵고 줄기는 가로 뻗고 살이 졌으며 짧고 비늘조각 모양의 막질(膜質:얇은 종이처럼 반투명한 것)로 된 포(苞)가 붙으며 꽃줄기는 곧게 선다. 높이는 30cm 정도이다. 잎은 모여나고 잎자루가 길며 손바닥 모양이고 5∼7개로 깊게 갈라진다. 잎 양면에 털은 없고 윤이 나며 톱니가 있다. 꽃은 보통 백색이고 엷은 홍색이며 5월에 핀다. 원뿔형의 취산꽃차례를 이루며 꽃대가 짧다. 꽃받침조각은 6개이고 긴 달걀모양이며 끝이 뾰족하다. 화관(花冠)은 지름 1.2∼1.5cm이고 꽃잎은 5∼6개이며 달걀모양 바소꼴 로 끝이 날카롭고 꽃받침조각보다 짧으며 꽃이 필 때 꽃받침과 함께 뒤로 젖혀진다. 수술은 6개이고 꽃잎보다 조금 짧다. 삭과(殼果)는 달걀모양이다. 어린 잎은 식용하며 관상용으로 심는다. 강원도, 경기도, 평안북도, 함경남도, 만주 등지에 분포한다.
상기의 천연 추출물을 복합으로 사용하는 경우, 각 구성 성분 간의 혼합 작용으로 인해 혈액순환 개선 및 피부 조직재생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좁은잎천선과나무 추출물, 흰털냉초 추출물 및 돌단풍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함에 따라, 호박 추출물만을 포함하는 경우에 비해 보다 더 우수한 혈액순환, 피부 조직재생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욕창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호박 추출물 특유의 향으로 인해 감소될 수 있는 기호도를 향상시킬 수 있어 기능성 및 기호성 모두 우수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욕창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호박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좁은잎천선과나무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부, 흰털냉초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부 및 돌단풍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복합 추출물로 사용 시, 우수한 욕창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 동시에, 기호도(향)가 우수한 조성물 제공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욕창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화합물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의 투여량은 투여경로, 질병의 정도, 성별, 체중, 나이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용어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이란 의학적 치료 또는 예방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질환의 중증도, 약물의 활성, 환자의 연령, 체중, 건강, 성별, 환자의 약물에 대한 민감도, 사용된 본 발명 조성물의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사용된 본 발명의 조성물과 배합 또는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단독으로 투여하거나 공지된 면역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 약학 조성물의 제형은 크림, 젤, 패치, 분무제, 에멀젼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용제, 현탁제로부터 선택되는 것이다.
상기 의약품의 제조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의 함량은 약제의 형태에 따라 다르며, 투여량 또한 치료되는 대상의 종류, 투여경로, 체중, 성별, 나이, 질환의 정도에 따라 통상의 기술자의 수준에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그 제형은 이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기술자의 수준에서 용이하게 변경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욕창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의하면 호박 추출물을 포함함으로써 부작용의 문제가 없으면서도 혈액순환 개선 또는 피부 조직재생 개선 효과를 통해 욕창 예방 또는 치료 효과가 우수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욕창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크림, 젤, 패치, 분무제, 에멀젼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용제, 현탁제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으로 제공될 수 있어 사용성이 우수하면서도 욕창의 치료 또는 예방 효과가 우수한 약학 조성물로의 제공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조예 1 : 호박 추출물의 제조]
호박씨 추출물(PD)의 제조
호박의 씨를 세척 및 건조하고 분쇄한 뒤, 상기 분쇄된 분말 100g을 추출 용매인 에탄올 2L에 넣고 25℃ 에서 18시간동안 120rpm으로 진탕 혼합하였다.
이를 통해 얻은 호박씨 추출액은 Whatman No.2 여과지로 여과하였고, 진공회전농축기(N-1000S)를 사용하여 용매가 제거된 호박씨 추출물의 분말을 획득하였다. 호박씨 추출물의 분말을 디메틸설폭사이드(dimethyl sulfoxide, DMSO)에 녹여 100mg/ml의 원액을 제조한 후 4℃에서 보관하였다. 원액은 생리식염수를 사용하여 원하는 농도로 희석시켜 실험을 진행하였다.
기타 추출물(PF, PL, PS, PP)의 제조
상기 호박씨 추출물(PD)의 제조방법과 동일하게 호박씨의 꽃, 잎, 껍질 및 과육 각각의 추출물인 호박 꽃 추출물(PF), 호박 잎 추출물(PL), 호박 껍질 추출물(PS) 및 호박 과육 추출물(PP)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 호박 추출물의 욕창 예방 또는 치료 효과]
1. 혈액순환 개선
1-1. 실험동물 준비
건강한 수컷 백서(Sprague-Dawley, 몸무게 약 250 ~ 300 g)의 흉부대동맥(혈관)을 분리한 후 그 절편을 organ chamber에 안정화시킨 후에 실험을 진행하였다. 고정된 혈관은 tension을 증가시켜 1.2 g의 optimum tension에 도달하도록 하여 안정화시킨다.
혈관의 상태는 1×10-6M의 Phenylephrine으로 수축을 유도하고 평형에 도달하는 시간인 5분 후 1×10-6M의 아세틸콜린(Acetylcholine)을 처리하여 이완효과가 85% 이상 나왔을 때 내피세포가 정상적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보고, 본 실험에 사용하였다.
1-2. 실험내용
혈관 평활근의 긴장도는 여러 중요 인자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그 중 신경전달물질인 nitric oxide (NO)는 내피세포에서 L-아르기닌으로부터 산화질소 합성효소(NOS)에 의해 생성된다. 생성된 NO는 soluble guanulate cyclase(sGC)를 활성화시키고 cGMP의 생성을 증가시켜 신호전달체계를 통해 혈관 평활근을 이완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험예 1에서는, 비특이적인 산화질소 억제제인 NG-nitro-L-arginine 메틸에스테르(LNAME) (1 x 10-4M)와 세포질 sGC억제제인 ODQ (1 x 10-5M)를 전처리하여 호박 추출물의 혈관 이완 효과를 확인하였다.
(1) 호박 추출물의 혈관 이완 효과와 혈관내피세포 유래 산화 질소계의 연관성
호박 추출물의 혈관 이완 효과가 혈관내피세포 유래 산화 질소계와 관련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비특이적인 산화질소 억제제인 L-NAME (1 x 10-4 M)을 전 처리하고 호박 추출물의 혈관 이완 효과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Relative Relaxation(%)
PD(씨) -2.41±1.4
PF(꽃) -9.84±1.2
PL(잎) -10.23±1.4
PS(껍질) -14.55±1.3
PP(과육) -18.29±1.5
(단위 : %)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본원발명의 호박 추출물의 혈관 이완 효과는 L-NAME에 의해 현저하게 억제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2) 호박 추출물의 혈관 이완 효과와 cGMP 연관성 측정
호박 추출물의 혈관 이완 효과가 cGMP와 관련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세포질 guanylate cyclase 억제제인 ODQ (1 x 10-5M)를 전 처리한 후 혈관 이완 효과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Relative Relaxation(%)
PD(씨) -4.24±1.3
PF(꽃) -8.92±1.2
PL(잎) -14.78±1.2
PS(껍질) -18.66±1.3
PP(과육) -24.43±1.2
(단위 : %)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본원발명의 호박 추출물의 혈관 이완 효과는 현저하게 억제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실험 (1) 및 (2)는 호박 추출물을 처리하여 혈관 이완 효과를 살펴보기에 앞서, L-NAME과 ODQ를 처리하였을 때 혈관 이완 효과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NO-cGMP 경로를 통한 혈관 이완 기전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3) 호박 추출물의 혈관평활근에서의 혈관 이완 효과
Kreb's 용액에서 유지된 백서 혈관 평활근에서 1×10-6M의 Phenylephrine으로 수축을 유도한 이후 호박 추출물(PD, PF, PL, PS, PP)을 처리하였다.
1분 30초씩 관찰하여 혈관의 긴장도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유발한 수축력을 100 %로 가정한 후 호박 추출물의 각 투여군의 이완율(%)을 산출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Relative Relaxation(%)
PD(씨) 90.24±2.2
PF(꽃) 85.77±2.1
PL(잎) 64.15±1.8
PS(껍질) 72.69±2.1
PP(과육) 61.48±2.0
(단위 : %)
상기 표 3을 참조하면, 본원발명의 호박 추출물을 처리함으로써 약 60% 이상의 혈관 이완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호박씨 추출물의 경우 약 90% 정도로 호박 추출물 중에서 가장 우수한 혈관 이완율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4) 호박 추출물의 혈관내피세포 의존성 측정
혈관내피세포(vascular endothelial cell)는 중배엽 기원이며, 혈관 내강이 배접하여 내막을 구성하는 한 층의 세포를 말한다. 내막 박리에 의해, 아세틸콜린에 의한 혈관 이완 현상이 소실되는 것이 제시된 이후 이것의 기능적 중요성이 주목을 받게 되었다. 이러한 이완을 매개하는 내피세포 유래 평활근 이완 인자나 혈관수축작용을 하는 엔도텔린 등의 생산에 의한 혈관긴장성 조절 외에 혈관 내 혈액응고의 조절과 혈관투과성 조절, 물질교환, 백혈구 세포와의 상호작용에 의한 생체방어 등 다채로운 기능을 보유하고 있다.
호박 추출물의 혈관 이완 효과가 혈관내피세포에 의존적인지를 밝히기 위하여, 혈관내피세포를 제거한 후 호박 추출물의 혈관 이완 효과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Relative Relaxation(%)
PD(씨) -3.84±1.2
PF(꽃) -6.78±1.0
PL(잎) -5.41±1.0
PS(껍질) -4.63±1.1
PP(과육) -7.21±1.2
(단위 : %)
상기 표 4를 참조하면, 호박 추출물의 혈관 이완 효과는 완전히 억제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로부터 호박 추출물의 혈관 이완 효과가 혈관내피세포에 의존적인 것을 확인하였다.
즉, 호박 추출물은 혈관평활근에서 혈관을 이완하는 효능과 NO-cGMP경로를 조절함으로써 혈관을 이완하는 효능을 갖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로 인해 호박 추출물은 혈액 순환 장애를 개선할 수 있으며, 그 중에서 특히 호박씨 추출물의 우수한 혈관 이완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피부 조직재생 개선
본 발명 조성물의 피부 조직재생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섬유아세포의 증식 효과 및 상처 재생 효과를 확인하였다.
2-1. 섬유아세포 증식 효과
섬유아세포 세포 배양
섬유아세포 CCD986SK 세포주를 37℃, 5%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배양 용기의 85 내지 90%의 면적만큼의 배 양도를 보이면, 트립신 처리로 세포를 탈착시켜 계수 후, 5 X 103 cells/cm2으로 계대배양하였다. 세포 배양에는 10% 소태아혈청(FBS, GIBCO, Cat. No., 26140-079, USA), 100 U/ml 페니실린 및 100 ug/ml 스트렙토마이신이 첨가된 De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DMEM, GIBCO, Cat. No. 11995-065, USA)을 사용하였다. 계대배양을 위하여 75 T-플라스크(NUNC, Cat. No. 156499, Danmark)를 사용하였으며, 섬유아세포 증식능 관련 실험을 위해 서는 96 well plate (NUNC, Cat. No., 142475, Danmark)를 사용하였다.
섬유아세포 증식능 시험
호박 추출물의 장기간 사용 시에도 자극 없이 피부조직 재생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섬유아세포에 대한 세포 증식효과를 조사하였다.
상기 2-1에서 배양된 CCD986SK 세포를 96 well plate에 5 X 103 cells/well씩 동일하게 heamacytometer를 이용하여 계수한 후 분주하였다. 10% FBS를 함유하는 DMEM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여 배양용기 표면적의 25 내지 30%만큼 배양되면, 10ug/ml 의 호박 추출물(PD, PF, PL, PS, PP)이 각각 함유된 FBS-free DMEM으로 교체하여 24시간 동안 추가로 배양하였다. 이어서,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 tetrazolium bromide (MTT, Sigma M5655, USA) 용액(2.5 mg/ml)을 20 ul 첨가하고 3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세포 배양액을 전부 버리고, 200 ul의 디메틸 설폭사이드(DMSO, Sigma D2650, USA)를 각 well 당 200ul 처리하여 교반한 후, 100 ul씩 96 well로 취하여 효소결합면역흡착검사(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로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세포증식률은 수학식 1을 사용하여 계산하였고, 세포 독성 정도는 순수한 물을 사용한 대조군의 흡광 광도를 기준으로 백분율로 표시하여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1]
세포증식률(%) = (시험군의 흡광도/대조군의 흡광도) X 100
대조군 PD PF PL PS PP
세포증식률(%) 100 147.48 130.24 128.46 122.31 119.72
(단위 : %)
상기 표 5를 참조하면, 호박 추출물의 경우 호박씨, 호박꽃, 호박잎, 호박껍질 및 호박과육 모두 대조군에 비해 우수한 세포증식률을 나타내는 것을 통해 호박 추출물에 의해 섬유아세포 증식을 촉진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호박씨 추출물의 경우 가장 우수한 정도의 세포 증식률을 나타냄으로써 호박의 여러 구성 중 호박씨의 경우 피부조직 재생 개선 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2-2. 상처 재생 효과
세포의 배양에는 10% 소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FBS, GIBCO, Cat.No.26140-079, USA), 100 U/ml 페니실린 및 100 ug/ml 스트렙토마이신이 첨가된 De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DMEM, GIBCO, Cat.No.11995-065, USA)을 사용하였다. 계대배양을 위하여 75 T-플라스크(NUNC, Cat. No. 156499, Danmark)를 사용하였으며, 세포 독성 시험을 위해서는 96 well plate (NUNC, Cat.No.142475, Danmark)를 사용하였다.
인간 피부구성세포인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 세포주 HaCaT를 37℃, 5%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배양용기의 85 내지 90%의 면적만큼의 배양도를 보이면, 트립신 처리로 세포를 탈착시키고, 계수 후 5 X 103 cells/cm2으로 계대배양하였다.
인간 각질형성세포주를 6 well plate에 2 X 105 cells/well 씩 동일하게 hemocytometer를 이용하여 계수한 후 분주하였다. 10% FBS를 함유하는 DMEM에서 48시간 배양하여 배양용기 표면적의 90 내지 100%만큼 배양되면, 각 세포에 날카로운 도구를 활용하여 십자형의 상처를 냈다. 그 후, FBS-free DMEM에 5ug/ml 호박 추출물이 함유된 배양배지로 교체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고, 현미경을 통하여 상처 재생 정도를 확인하고,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실험의 비교를 위해 상처만 낸 세포를 대조군으로 하였으며, 십자형의 상처를 낸 직후 상처 사이의 면적을 기준으로 호박 추출물의 처리에 따른 상처 재생 정도를 비교하여 하기에 표 6으로 나타내었다.
대조군 PD PF PL PS PP
상처재생정도(%) 0 87.8 61.5 72.7 76.3 68.5
(단위 : %)
상기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호박 추출물을 처리한 실험군 모두에서 상처 재생능이 대조군(무처리군)에 비해 현저하게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호박씨 추출물의 가장 우수한 상처 재생 정도를 나타내었으며, 이외의 다른 추출물의 경우에도 유의미한 정도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는 호박 추출물이 피부 재생활성을 나타내어 상처 치유 기능이 있는 유효 성분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호박씨, 호박꽃, 호박잎, 호박껍질 및 호박과육 중 호박씨의 경우 상처 재생 정도가 87.8%를 나타내어 호박부위 중 가장 우수한 조직 재생능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3. 탈취 효과(악취 개선)
욕창이 주로 발생하는 환자 또는 사람의 경우 대다수 노인에 해당하는 점을 고려하여, 본원발명의 조성물에 의해 노인성 냄새의 주요 원인이 되는 알데하이드 물질인 노네날 제거 효과를 나타내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탈취 효과 실험을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25㎕의 트랜스-2-노네날(trans-2-nonenal)에 노인성 냄새 제거용 조성물을 475㎕ 처리해 준 뒤 3시간 교반시키고, 에탄올을 5ml 처리한 후 펠링솔루션I 150㎕, 펠링솔루션II 150 ㎕(동량 혼합)에 첨가하여 60℃의 조건으로 15분 반응시킨 뒤에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험의 객관적인 비교를 위해 순수 에탄올만을 처리하여 대조군으로 두었으며, 트랜스-2-노네날만을 처리한 양성 대조군으로 하였으며, 양성대조군 대비 흡광정도를 계산하여 트랜스-2-노네날 농도를 백분율로 표시하여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대조군 양성
대조군
PD PF PL PS PP
노네날 농도(%) 0 100 23.2 66.4 58.1 55.9 42.7
(단위 : %)
상기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원발명의 호박 추출물을 처리함으로써 노네날로부터 나타나는 냄새를 제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호박 추출물 중에서도 호박씨 추출물을 처리함으로써 그 효과가 가장 우수하게 나타나는 것을 통해 호박씨 추출물의 노네날 제거 효과가 가장 높음을 확인하였다.
4. 욕창 개선 효과
4-1. 말의 안장 욕창 개선 효과
본원발명 호박 추출물의 욕창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욕창의 하나인 말의 안장 욕창(saddle sore)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안장 욕창에 의해 환부에 피사가 발생되어 있는 말(그룹당 5마리씩으로 하고
그룹당 한 그룹씩 호박 추출물(PD, PF, PL, PS, PP)을 살포 또는 도포)의 안장 욕창 부위에 3주일간 매일 1회씩 살포 또는 도포하였다. 이때, 상기 호박 추출물은 환부 1㎠당 15mg에 해당하는 양으로 매일 1회씩 살포 또는 도포하고, 그 환부를 육안 관찰하였다. 대조군은 안장 욕창을 치료하지 않고 방치한 말로 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8과 같다.
기간 구분
대조군 PD PF PL PS PP
1주 후 환부 면적이 감소하지 않음 환부 면적이 40% 감소함. 환부 면적이 20% 감소함. 환부 면적이 25% 감소함. 환부 면적이 20% 감소함. 환부 면적이 10% 감소함.
2주 후 환부 면적이 증가함 환부 면적이 80% 감소함. 환부 면적이 60% 감소함. 환부 면적이 65% 감소함. 환부 면적이 55% 감소함. 환부 면적이 45% 감소함.
3주 후 환부 면적이 증가함 환부가 95%이상 개선되어 털이 자라기 시작함. 환부 면적이 90%이상 감소함. 환부 면적이 90%이상 감소함. 환부 면적이 80%이상 감소함. 환부 면적이 70%이상 감소함.
상기 표 8을 참조하면, 본원발명의 호박 추출물을 처리한 말의 안장 욕창 환부 면적은 감소하였으며, 3주 후 환부 면적이 70% 이상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호박씨 추출물의 경우 환부 면적이 1주차에 40% 이상 감소하였으며 2주차엔 80%, 3주차에는 95%이상 감소되면서 오히려 털이 자라기 시작함에 따라 본원발명의 호박씨 추출물에 의해 욕창 개선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제조예 2 : 기타 추출물의 제조]
1. 천연 추출물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의 호박 추출물의 제조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고, 원재료만 교체하여 좁은잎천선과나무 추출물(NE), 흰털냉초 추출물(SE) 및 돌단풍 추출물(ME)을 제조하였다.
2. 복합 추출물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호박 추출물(PD, PF, PL, PS, PP)에 좁은잎천선과나무 추출물(NE), 흰털냉초 추출물(SE) 및 돌단풍 추출물(ME)을 하기 표 9와 같이 혼합하여 복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험예 1에서 가장 우수한 평가를 받은 호박씨 추출물에 천연 추출물(NE, SE, ME)을 혼합하여 M1 내지 M8을 제조하였으며, 혼합에 따른 효과 차이를 위해 호박씨 추출물 이외의 다른 호박 추출물을 혼합하여 M9 내지 M12를 제조하였다.
M1 M2 M3 M4 M5 M6 M7 M8 M9 M10 M11 M12
PD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 - - -
PF - - - - - - - - 100 - - -
PL - - - - - - - - - 100 - -
PS - - - - - - - - - - 100 -
PP - - - - - - - - - - - 100
NE 20 - - 1 10 20 30 40 20 20 20 20
SE - 20 - 1 10 20 30 40 20 20 20 20
ME - - 20 1 10 20 30 40 20 20 20 20
(단위 : 중량부)
[실험예 2 : 복합 추출물의 욕창 예방 또는 치료 효과]
본원발명의 상기 호박씨 추출물(PD), 호박꽃 추출물(PF), 호박잎 추출물(PL). 호박껍질 추출물(PS), 호박과육 추출물(PP)에 천연 추출물인 좁은잎천선과나무 추출물(NE), 흰털냉초 추출물(SE) 및 돌단풍 추출물(ME)을 더 포함하는 복합 추출물 M1 내지 M12에 의해 욕창 예방을 위한 혈행 개선, 조직재생 및 악취 개선 활성의 증진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실험예 1에 나타난 실험방법과 동일하게 진행하여 하기 표 10에 종합적으로 나타내었다. 실험의 객관적인 비교를 위해 호박씨 추출물(PD)를 지수 3으로 고정하여 상대적인 비교를 통해 지수 1 내지 10으로 평가하였으며, 상기 그 지수는 숫자가 높을수록 우수한 것이다.
PD M1 M2 M3 M4 M5 M6 M7 M8 M9 M10 M11 M12
혈액순환 개선 3 5.5 5.3 5.2 7.5 9.2 9.5 9.4 7.8 6.9 7.0 6.8 8.0
조직재생 개선 3 4.8 4.5 4.2 7.0 9.0 9.1 9.0 7.4 5.9 6.6 6.9 6.2
악취개선 3 3.9 4.2 4.6 7.2 9.4 9.5 9.5 7.6 6.2 6.8 6.6 7.1
말의 안장 욕창 개선 3 4.3 4.5 4.5 7.3 9.3 9.6 9.6 7.8 5.8 5.6 6.2 6.7
(단위 : 지수)
상기 표 10을 참조하면, 호박씨 추출물 만을 포함하는 PD에 비해 좁은잎천선과나무 추출물, 흰털냉초 추출물 및 돌단풍 추출물을 각각 포함하는 M1 내지 M3의 경우 혈액순환, 조직재생, 악취개선 및 말의 안장 욕창 개선 효과가 소폭 더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천연 추출물을 혼합함에 따른 결과인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연 추출물을 각각 포함하는 M1 내지 M3에 비해 천연 추출물 3종을 모두 포함하는 M4 내지 M8의 경우 그 효과가 보다 더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호박씨 추출물에 3종의 천연 추출물을 더 포함함으로써 나타나는 것으로 천연 추출물 유효 성분의 혼합에 따라 복합 구성에 의해 효과에 있어서도 우수한 정도의 상승 효과를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호박씨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좁은잎천선과나무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부, 흰털냉초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부 및 돌단풍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M5 내지 M7의 경우 그 효과가 가장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한편, 호박씨 이외의 호박꽃, 호박잎, 호박껍질 및 호박과육의 천연 추출물 혼합에 따른 효과상 차이는 호박씨에 천연 추출물 3종을 포함하는 M6에 비해 호박꽃, 호박잎, 호박껍질, 호박과육을 각각 포함하는 M9 내지 M12의 경우에도 혈액순환, 조직재생, 악취 개선 및 말의 안장 욕창 개선에 대한 부분에 있어서 호박씨 단일 추출물에 비해 향상된 실험 효과를 나타내었으나, 이는 호박씨 추출물에 좁은잎천선과나무 추출물, 흰털냉초 추출물 및 돌단풍 추출물을 바람직한 중량부로 포함하는 M6에 비해 낮은 정도의 활성을 나타냄에 따라,
호박 추출물 중에서도 호박씨 추출물의 욕창 예방 또는 치료 효과가 우수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호박씨 추출물에 좁은잎천선과나무 추출물, 흰털냉초 추출물 및 돌단풍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경우 그 효과가 보다 더 향상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 욕창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욕창환자 환부 개선 효과]
상기 실험예 2에서 우수한 실험 결과를 나타낸 복합 추출물 M5 내지 M7을 포함하는 연고를 제조하여 이를 욕창 환자의 환부에 도포함으로써 욕창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추가적인 실험을 진행하였다.
연고
연고 1
복합 추출물(M5) ............... 20 중량%
에센셜 오일 ................... 10 중량%
보습제 ........................ 70 중량%
연고 2
복합 추출물(M6) ............... 20 중량%
에센셜 오일 ................... 10 중량%
보습제 ........................ 70 중량%
연고 3
복합 추출물(M7)................ 20 중량%
에센셜 오일 ................... 10 중량%
보습제 ........................ 70 중량%
실험내용
구체적으로, 가벼운 욕창이 발병한 환자 12명을 각 4명씩 세 그룹으로 나누고, 그룹별 연고 조성을 다르게 하여 1주일간 매일 1회씩 살포 또는 도포하였다. 이때, 연고는 환부 1㎠당 15mg에 해당하는 양으로 매일 1회씩 살포 또는 도포하고, 그 환부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 상기 복합 추출물 M5 내지 M7을 각각 포함하는 연고 1 내지 3을 도포한 세 그룹 모두 도포한 지 2일차부터 욕창 부위의 회복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7일 째 되는 날의 욕창 환부의 크기는 60% 이상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본원발명의 욕창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의해 욕창이 발생될 것으로 예상되거나 이미 욕창이 발생된 부위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가 우수하며, 이를 포함하는 연고, 외용제 등으로 제조하여 혈액 순환 개선, 피부 조직 재생, 악취 개선 효과를 통해 욕창 예방 또는 치료용 제품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7)

  1. 호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욕창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박은 호박꽃, 호박잎, 호박껍질, 호박과육, 호박씨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욕창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박 추출물은 L-아르기닌(L-arginine)을 포함하는
    욕창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혈액순환 개선 및 피부 조직재생 개선을 통해 욕창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
    욕창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C1 내지 C6의 저급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되는 것인
    욕창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욕창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의 제형은 크림, 젤, 패치, 분무제, 에멀젼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용제, 현탁제로부터 선택될 수 있는
    욕창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0220058101A 2022-05-12 2022-05-12 호박씨 성분을 포함하는 욕창 예방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외용제 KR202301586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8101A KR20230158688A (ko) 2022-05-12 2022-05-12 호박씨 성분을 포함하는 욕창 예방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외용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8101A KR20230158688A (ko) 2022-05-12 2022-05-12 호박씨 성분을 포함하는 욕창 예방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외용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8688A true KR20230158688A (ko) 2023-11-21

Family

ID=88981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8101A KR20230158688A (ko) 2022-05-12 2022-05-12 호박씨 성분을 포함하는 욕창 예방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외용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8688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4752B1 (ko) 2017-12-31 2019-09-05 황혜미 욕창 치료용 크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2113754B1 (ko) 2017-07-07 2020-05-20 주식회사 리포바이오메드 화상 및 욕창의 완화 및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3754B1 (ko) 2017-07-07 2020-05-20 주식회사 리포바이오메드 화상 및 욕창의 완화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974752B1 (ko) 2017-12-31 2019-09-05 황혜미 욕창 치료용 크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5004B1 (ko) 약용 잎을 활용한 쌈 발효법 및 이를 활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868050B1 (ko) 약용 꽃을 활용한 쌈 발효법 및 이를 활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544532B1 (ko) 백수오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00513738A (ja) 抗増殖製剤
CN110519997B (zh) 通过辣木叶提取物和杜仲提取物的复合物的抗生、抗氧化、抗炎、抑制牙周骨损失和再生牙周骨缓解牙龈炎和牙周炎的方法
KR101828584B1 (ko) 참여로, 가래나무, 도깨비 부채 및 모과나무의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미백용 조성물
US20130071501A1 (en) Extract of stewartia koreana and use thereof
KR20160087112A (ko) 꽃차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87113A (ko) 꽃을 함유하는 화장품
KR101189108B1 (ko) 황칠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남성 성기능 개선용 조성물
KR20170121532A (ko) 갱년기 증상 또는 골다공증 개선용 조성물
KR100949482B1 (ko) 주목과 뽕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당뇨 또는 고혈압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964603B1 (ko) 주목과 뽕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당뇨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30158688A (ko) 호박씨 성분을 포함하는 욕창 예방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외용제
KR101544000B1 (ko)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0850503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성기능 개선용조성물
KR102051417B1 (ko) 튼살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46521B1 (ko) 복합생약추출물(oca-ⅰ) 또는 이의분말(oca-ⅱ)을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KR102193317B1 (ko) 비만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
KR20200025245A (ko) 복합 한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행 개선용 제제
KR102429214B1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CN107929372A (zh) 治疗甲癣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KR102411893B1 (ko) 밤나무 총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지 분비 억제용 조성물
Khanpara et al. A review on medicinal activities of mulberry weed
KR102157138B1 (ko) 노간주 추출물을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