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2567B1 - 콤바인 - Google Patents

콤바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2567B1
KR102112567B1 KR1020130092519A KR20130092519A KR102112567B1 KR 102112567 B1 KR102112567 B1 KR 102112567B1 KR 1020130092519 A KR1020130092519 A KR 1020130092519A KR 20130092519 A KR20130092519 A KR 20130092519A KR 102112567 B1 KR102112567 B1 KR 1021125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control
cover
engine
exhaust treatment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2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3390A (ko
Inventor
게이스케 사시마
다츠야 기타노
마사루 이케다
요오스케 사키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140063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33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2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25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7/00Undercarriages or frames specially adapted for harvesters or mowers; Mechanisms for adjusting the frame; Platfor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46Mechanical grain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92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of engine exhaust gases
    • B01D53/9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of engine exhaust gases by catalytic processes
    • B01D53/9495Controlling the catalytic proce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1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 F01N3/2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catalytic conversion ; Methods of operation or control of catalytic converters
    • F01N3/2066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CR]
    • F01N3/2073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CR] with means for generating a reducing substance from the exhaust g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in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배기 처리 장치의 설치 환경을 개선하는 것이다. 운전 조종부와, 운전 조종부의 하방에 설치된 디젤 엔진(15)과, 디젤 엔진(15)의 배기 가스를 도입하여 배기 가스의 정화 처리를 행하는 배기 처리 장치(33)가 구비되고, 배기 처리 장치(33)는, 그 일부가 평면에서 볼 때 운전 조종부의 하방 공간에 인입된 상태로 배치되고, 배기 처리 장치(33)의 상방이, 운전 조종부에 지지된 커버(36)와 운전 조종부(13)에 의해 덮여 있다.

Description

콤바인 {COMBINE}
본 발명은, 배기 처리 장치가 구비된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개시되는 콤바인에는, 디젤 엔진 등의 엔진이 원동부에 탑재되어 있다. 최근, 배출 가스 규제가 엄격해지는 경향에 있어, 콤바인에 있어서도, 배기 가스에 포함되는 입자상 물질 등의 저감을 도모하기 위해, 엔진의 배기 가스를 도입하여 배기 가스의 정화 처리를 행하는 배기 처리 장치를 장착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배기 처리 장치에는, 배기 가스 중의 입자상 물질을 여과하는 미립자 포집 필터가 구비되어 있고, 미립자 포집 필터에 의해, 배기 가스 중의 입자상 물질이 여과되어, 기체 외부로 배출되는 입자상 물질의 양이 저감된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10-213605호 공보
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는, 고온 상태로 배기 처리 장치로 도입된다. 또한, 배기 처리 장치의 미립자 포집 필터는, 계속 사용하고 있는 동안에, 입자상 물질이 막혀 기능이 저하되므로, 배기 처리 장치에는, 미립자 포집 필터에 포집된 입자상 물질을 히터 등에 의해 연소시키는 셀프 클리닝 기능이 구비되어 있는 것도 있다. 이로 인해, 배기 처리 장치는, 그 표면 온도가 비교적 고온으로 되는 것이 통상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고온으로 되는 배기 처리 장치를, 벼나 보리 등의 수확을 주로 행하는 콤바인에 단순히 설치하는 것만으로는, 콤바인의 주위에 흩어지는 건조된 볏짚 부스러기 등의 진애가 배기 처리 장치에 접촉할 우려 등이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실상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배기 처리 장치의 설치 환경을 개선한 콤바인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콤바인의 특징은, 운전 조종부와, 상기 운전 조종부의 하방에 설치된 엔진과, 상기 엔진의 배기 가스를 도입하여 상기 배기 가스의 정화 처리를 행하는 배기 처리 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배기 처리 장치는, 그 일부가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운전 조종부의 하방 공간에 인입된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배기 처리 장치의 상방이, 상기 운전 조종부에 지지된 커버와 상기 운전 조종부에 의해 덮여 있는 점에 있다.
본 특징 구성에 따르면, 배기 처리 장치는, 그 일부가 평면에서 볼 때 운전 조종부의 하방 공간에 인입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운전 조종부의 하방 공간을 이용하여 기체 횡방향으로 장소를 차지하지 않고 콤팩트하게 배기 처리 장치를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배기 처리 장치의 상방이, 운전 조종부에 지지된 커버와 운전 조종부에 의해 덮여 있다. 이로 인해, 커버와 운전 조종부에 의해, 작동 중에 고온으로 된 배기 처리 장치에, 상방으로부터 비산하는 볏짚 부스러기 등의 진애가 접촉할 가능성이 저감된다. 따라서 배기 처리 장치의 설치 환경이 개선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운전 조종부에, 운전 좌석과, 상기 운전 좌석의 측방에 설치되고, 복수의 조작구가 배치된 사이드 패널이 구비되고, 상기 배기 처리 장치는, 상기 사이드 패널의 하방 공간에 인입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사이드 패널의 측방 외부에는, 예취부로부터 탈곡 장치로 예취 곡물대를 반송하는 공급 장치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사이드 패널의 측방의 공간은, 볏짚 부스러기 등의 진애가 비산하기 쉬운 환경에 있다.
본 구성에 따르면, 배기 처리 장치는, 그 일부가 사이드 패널의 하방 공간에 인입된 상태로 배치되고, 배기 처리 장치의 상방은, 사이드 패널에 지지된 커버와 사이드 패널에 의해 덮이게 된다. 이로 인해, 커버와 사이드 패널에 의해, 작동 중에 고온으로 된 배기 처리 장치에, 상방으로부터 비산하는 볏짚 부스러기 등의 진애가 접촉할 가능성이 저감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배기 처리 장치 중 상기 운전 조종부의 하방 공간에 인입되어 있지 않은 부위에, 상기 배기 처리 장치의 상태를 검지하는 검지 수단이 설치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본 구성과 같이, 배기 처리 장치 중 운전 조종부의 하방 공간에 인입되어 있지 않은 부위에 검지 수단을 설치함으로써, 검지 수단의 메인터넌스가 행하기 쉬워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커버는, 상기 검지 수단을 상방으로부터 덮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커버가, 검지 수단을 상방으로부터 덮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배기 처리 장치와 함께 검지 수단도 상방으로부터 비산하는 볏짚 부스러기 등의 진애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커버는, 상기 커버와 상기 배기 처리 장치 사이의 공간 중, 적어도 상기 운전 조종부와는 반대측이 개방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배기 처리 장치는, 작동 시에 고온으로 되지만, 본 구성에 따르면, 커버와 배기 처리 장치 사이의 공간 중, 적어도 운전 조종부와는 반대측이 개방되도록 커버가 구성되어 있으므로, 배기 처리 장치의 열이, 커버와 배기 처리 장치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운전 조종부와는 반대측의 외기로 방출되고, 커버와 배기 처리 장치 사이의 공간에 열이 축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커버는, 상기 커버와 상기 배기 처리 장치 사이의 공간 중 적어도 기체 전후측이 개방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배기 처리 장치는, 작동 시에 고온으로 되지만, 본 구성에 따르면, 커버와 배기 처리 장치 사이의 공간 중, 적어도 기체 전후측이 개방되도록 커버가 구성되어 있으므로, 배기 처리 장치의 열이, 커버와 배기 처리 장치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기체 전후 방향측의 외기로 방출되어, 커버와 배기 처리 장치 사이의 공간에 열이 축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커버는, 상기 운전 조종부로부터 이격될수록 하방에 위치하도록 경사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커버가, 운전 조종부로부터 이격될수록 하방에 위치하도록 경사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커버의 상면에 낙하한 볏짚 부스러기 등의 진애가, 커버의 운전 조종부로부터 이격되는 측으로 자연히 낙하되어, 커버의 상면에 볏짚 부스러기 등이 퇴적되기 어렵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운전 조종부에, 기체 전후 방향을 따른 지지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지지 부재에 설치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운전 조종부에 있는 기존의 지지 부재를 배기 처리 장치의 지지 부재로서 겸용함으로써, 전용의 지지 부재를 불필요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지지 부재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넓게 안정적으로 커버를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운전 조종부에 캐빈이 구비되고, 상기 캐빈 중 상기 배기 처리 장치가 인입되어 있는 측의 측면에 창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창부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고 있으면 바람직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캐빈에 있어서의 창부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기존의 지지 부재를 배기 처리 장치의 지지 부재로서 겸용함으로써, 전용의 지지 부재를 불필요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지지 부재에 연결되고, 기체 외측으로 연장된 브래킷이 구비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브래킷에 설치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브래킷을 통해 기체 외측으로 이격된 개소에 커버를 설치할 수 있으므로, 커버의 설치 작업을 쉽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커버의 단부는, 상기 브래킷에 대해 상방으로부터 겹친 상태에서, 상하 방향의 체결구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기체 외측에 있어서, 공구 등을 사용하여 상하 방향으로 체결구의 조작을 행함으로써 커버의 설치가 가능해져, 커버의 설치 작업을 보다 쉽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배기 처리 장치는, 기체 전후 방향이 길이 방향으로 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커버는, 기체 전후 방향이 길이 방향으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본 구성이면, 기체 전후 방향이 길이 방향으로 되도록 배치된 배기 처리 장치에 맞추어, 커버도 기체 전후 방향이 길이 방향으로 되도록 배치되므로, 커버와 배기 처리 장치를 기체 횡방향으로 콤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배기 처리 장치는, 상기 엔진에 지지되고, 상기 엔진을 지지하는 기체 프레임과 상기 엔진 사이에, 기체의 진동을 완충하는 완충 기구가 구비되고, 상기 완충 기구에, 상기 엔진측 또는 상기 기체 프레임측 중 어느 한쪽에 구비된 핀 부재와, 상기 핀 부재의 둘레 방향을 덮고, 상기 엔진측 또는 상기 기체 프레임측 중 어느 다른 쪽에 구비된 보스 형상 부재와, 상기 핀 부재와 상기 보스 형상 부재 사이의 전체 둘레에 걸쳐 구비된 고무 부재가 구비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완충 기구에 있어서의 핀 부재와 보스 형상 부재 사이의 전체 둘레에 걸쳐 구비된 고무 부재에 의해, 기체 프레임에 엔진의 진동이 전달되는 것이 방지된다. 엔진으로부터의 진동은, 고무 부재에 대해서는, 핀 부재의 반경 방향의 압축력으로서 전달되어, 전단력이 고무 부재에 거의 작용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고무 부재가 끊어지기 어려운 내구성이 높은 완충 기구로 되어, 완충 기구가 오래간다. 따라서 완충 기구를 통해 엔진을 안정적으로 기체 프레임에 지지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엔진에 지지되는 배기 처리 장치에의 진동을 저감시켜, 배기 처리 장치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완충 기구는, 상기 엔진의 출력축측의 부위에 배치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엔진의 출력축측에는, 예를 들어 전동 벨트를 통해 다른 장치의 입력축이 연계되어 있으므로, 엔진의 출력측의 부위에는, 엔진의 출력축과 직교 방향으로 큰 인장력이 작용된다.
본 구성에 따르면, 이와 같이 큰 인장력이 작용하는 엔진의 출력측의 부위에, 내구성이 높은 완충 기구를 배치함으로써, 엔진을 안정적으로 기체 프레임에 지지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엔진에 지지되는 배기 처리 장치에의 진동을 저감시켜, 배기 처리 장치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운전 조종부의 기체 횡방향 반대측 또한 후방측에 탈곡 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엔진의 출력축이, 상기 탈곡 장치의 입력축에 연계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콤바인에서 특히 큰 동력이 필요해지는 탈곡 장치는, 운전 조종부의 기체 횡방향 반대측 또한 후방측에 구비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배출 처리 장치를 지지한 엔진의 출력축은, 전동 벨트를 통해 후방측의 탈곡 장치의 입력축에 연계되어 있으므로, 엔진의 출력축측의 부위에는, 엔진의 출력축과 직교 방향으로 큰 인장력이 탈곡 장치로부터 작용된다. 이와 같이 큰 인장력이 작용하는 엔진의 출력측의 부위에, 내구성이 높은 완충 기구를 배치함으로써, 엔진을 안정적으로 기체 프레임에 지지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엔진에 지지되는 배기 처리 장치에의 진동을 저감시켜, 배기 처리 장치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1은 콤바인의 전체를 도시하는 우측면도.
도 2는 콤바인의 전체를 도시하는 좌측면도.
도 3은 콤바인의 전체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4는 운전 조종부 및 원동부를 도시하는 우측면도.
도 5는 운전 조종부 및 원동부를 도시하는 좌측면도.
도 6은 운전 조종부 및 원동부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7은 운전 조종부 및 엔진 보닛의 정면 종단면도.
도 8은 운전 조종부 및 엔진 보닛의 정면 단면도.
도 9는 원동부를 도시하는 좌측면도.
도 10은 예취부의 요동 개폐를 설명하는 평면도.
도 11은 연결 배기관의 좌측면도.
도 12는 도 11에 있어서의 XⅡ-XⅡ 단면도.
도 13은 도 11에 있어서의 XⅢ-XⅢ 단면도.
도 14는 도 11에 있어서의 XⅣ-XⅣ 단면도.
도 15는 제2 이젝트 관의 사시도.
도 16은 제3 이젝트 관 및 제4 이젝트 관의 사시도.
도 17은 디젤 엔진의 평면도.
도 18은 제2 엔진 마운트의 평면 단면도.
도 19는 제2 엔진 마운트의 분해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콤바인의 전체 구성〕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콤바인은, 벼, 보리 등의 수확 작업을 행하는 것으로, 좌우 한 쌍의 크롤러 주행 장치(11)에 의해 자주(自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콤바인에는, 캐빈(12)이 장비된 승용형의 운전 조종부(13)와, 운전 좌석(14)의 하방에 위치하는 디젤 엔진(15)(「엔진」에 상당)이 장비된 원동부(16)가 기체 프레임(17)의 전단부의 기체 횡일측 단부에 설치된 주행 기체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콤바인에는, 주행 기체의 기체 프레임(17)에 운전 조종부(13)의 기체 횡타측 측방에서 연결된 예취부(18)와, 운전 조종부(13)의 기체 횡방향 반대측인 기체 횡타측 또한 후방측에 배치되어 설치된 탈곡 장치(19)와, 주행 기체의 기체 프레임(17)의 후방부측의 탈곡 장치(19)의 기체 횡일측에 배치되어 설치된 곡립 탱크(20)가 구비되어 있다.
〔예취부〕
예취부(18)에는, 기체 프레임(17)으로부터 전방으로 상하 요동 가능하게 연장된 예취부 프레임(18a)이 구비되어 있다. 예취부(18)는, 예취부 프레임(18a)이 승강 실린더(21)에 의해 요동 조작됨으로써, 예취부(18)의 전단부에 기체 횡방향으로 병설된 분초구(18b)가 지면 가까이에 하강된 하강 작업 상태와, 분초구(18b)가 지면으로부터 높게 상승된 상승 비작업 상태 사이에서 승강 조작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취부(18)를 하강 작업 상태로 하여 주행 기체를 주행시킴으로써, 예취부(18)는, 분초구(18b)에 의해 후방의 기립 장치(18c)에 예취 대상인 식립(植立) 곡물대를 도입하여 기립 처리를 행하고, 기립 처리가 행해지는 식립 곡물대를 클리퍼형의 예취날(18d)에 의해 예취 처리하여, 예취 곡물대를 공급 장치(18e)에 의해 후방으로 반송하여 탈곡 장치(19)의 안내 부재(23)에 의해 예취 곡물대를 안내하여 탈곡 피드 체인(24)에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탈곡 장치〕
탈곡 장치(19)는, 공급 장치(18e)에 의해 공급된 예취 곡물대의 밑동측을 탈곡 피드 체인(24)에 의해 기체 후방측으로 끼움 지지 반송하면서, 이삭 끝측을 급실에 공급하여 탈곡 처리를 행한다. 곡립 탱크(20)는, 탈곡 장치(19)로부터 보내지는 탈곡립을 저류하고, 저류된 탈곡립을 스크류 컨베이어로 이루어지는 오거(25)에 의한 반출을 행한다. 주행 기체에 있어서의 탈곡 장치(19)보다도 전방측 또한 운전 조종부(13)의 기체 횡방향 반대측인 기체 횡타측의 개소에는, 탈곡 피드 체인(24)의 상방측을 덮는 보호 부재(26)가 구비되어 있다.
〔운전 조종부〕
도 1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 조종부(13)는, 주행 기체에 있어서의 전방측 또한 기체 횡일측의 개소에 있어서 엔진 보닛(27)의 상방에 구비되어 있다. 운전 조종부(13)에 장비된 캐빈(12)의 내부에는, 운전 좌석(14)과, 운전 좌석(14)에 대한 전방에 배치된 프론트 패널(28)과, 운전 좌석(14)에 대한 기체 횡방향 반대측인 기체 횡타측 측방에 배치된 사이드 패널(29)이 구비되어 있다. 사이드 패널(29)에는, 주행 변속 장치(30)를 변속 조작하는 변속 레버(31)(「조작구」에 상당)와, 예취부(18)를 구동 및 정지 조작하는 예취 클러치 레버(32)(「조작구」에 상당) 등의 복수의 조작구가 요동 조작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도 2, 도 5,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 조종부(13)의 캐빈(12)의 기체 횡타측에 위치하는 사이드 패널(29)의 측면에는, 창부(34)가 형성되어 있다. 창부(34)는, 사이드 패널(29)에 있어서의 기체 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된 지지 부재(35)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지지되어 있다.
〔원동부〕
도 1, 도 2, 도 5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동부(16)에는, 엔진 보닛(27)에 내장된 상태로 디젤 엔진(15)이 구비되어 있다. 디젤 엔진(15)에는, 배기 처리 장치(33)가 지지되어 있다. 엔진 보닛(27)에는, 디젤 엔진(15)의 전방측에 위치되는 전방 벽부(27a)와, 디젤 엔진(15)의 상방에 위치하는 천장판부(39)가 구비되어 있다(특히, 도 4 참조).
도 5, 도 9,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젤 엔진(15)은, 출력축(15a) 방향이 기체 횡방향으로 되는 탑재 자세로 기체 프레임(17)에 지지되어 탑재되어 있다. 도 7,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젤 엔진(15)과 엔진 보닛(27)의 기체 횡일측 외측 단부에 구비된 흡기벽(43)과의 사이에는, 디젤 엔진(15)에 냉각수 순환 파이프(44)를 통해 접속된 엔진 냉각용의 라디에이터(45)가 기체 프레임(17)에 지지되어 구비되어 있다. 또한, 라디에이터(45)와 디젤 엔진(15) 사이에는, 디젤 엔진(15)에 대해 회전 구동 가능하게 지지된 냉각 팬(46)이 구비되어 있다. 냉각 팬(46)의 구동에 의해 디젤 엔진(15)의 공냉이 행해진다.
흡기벽(43)에는, 다수의 흡기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냉각 팬(46)이 디젤 엔진(15)에 의해 회전 구동되면, 엔진 보닛(27)의 외부의 공기가, 흡기벽(43)의 흡기 구멍으로부터 엔진 보닛(27)의 내부에 흡인되어, 디젤 엔진(15)을 냉각하는 엔진 냉각풍이 발생된다. 엔진 보닛(27)의 내부에 있어서, 이 엔진 냉각풍이, 기체 횡외측으로부터 기체 횡내측을 향해 기체 횡방향으로 유동되고, 엔진 냉각풍이 라디에이터(45)에 공급된다. 라디에이터(45)에서 엔진 냉각풍과 냉각수의 열교환이 행해진 후, 그 엔진 냉각풍이 디젤 엔진(15)에 공급된다.
도 1, 도 2, 도 4,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빈(12)의 천장부(50)의 후방 가까이에는, 천장부(50)에 있어서의 지지부(51)에 지지된 프리 에어 클리너(52)가 구비되어 있다. 운전 좌석(14)의 후방에 형성된 에어 클리너실(53)에는, 에어 클리너(54)가 구비되어 있다. 도 5, 도 7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 보닛(27)의 내부에 있어서의 디젤 엔진(15)의 상방의 전방측 부근에는 과급기(55)가 구비되어 있다. 과급기(55)는, 디젤 엔진(15)이 배출하는 배기 가스에 의해 구동된다.
엔진 보닛(27)의 외부의 공기는, 프리 에어 클리너(52)에 흡인되어 제진되고, 제진 후의 공기가, 에어 클리너(54)에 흡인되어 다시 제진된다. 이 제진 후의 공기가 과급기(55)에 흡인되어, 압축 공기가 발생되고, 이 압축 공기가, 인터쿨러(56)에 보내져 냉각 처리된 것이, 연소용 공기로서 디젤 엔진(15)에 공급된다.
〔배기 처리 장치〕
도 1 내지 도 3, 도 5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 보닛(27)의 내부에는, 디젤 엔진(15)이 배출하는 배기 가스를 정화 처리한 후 기체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된 배기 처리 장치(33)가 구비되어 있다. 배기 처리 장치(33)는, 디젤 엔진(15)의 상부에 지지체(95)를 통해 연결되어 기체 전후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는 자세로 지지되어 있다. 배기 처리 장치(33)는, 운전 좌석(14)에 대해 기체 횡타측의 예취부(18)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배기 처리 장치(33)는, 그 일부가 평면에서 볼 때 운전 조종부(13)에 있어서의 사이드 패널(29)의 창부(34)의 하방 공간에 인입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즉, 배기 처리 장치(33)는, 다른 일부가 평면에서 볼 때 운전 조종부(13)의 캐빈(12)에 있어서의 사이드 패널(29)로부터 기체 횡타측에 있는 보호 부재(26)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엔진 보닛(27)의 기체 횡타측의 측단부에 위치된 개구(27c)로부터 예취부(18)측으로 돌출되어 배치되어 있다(특히, 도 8 참조).
엔진 보닛(27)의 천장판부(39)에는, 기체 횡일측에 위치된 에어 클리너 하방부(40)와, 에어 클리너 하방부(40)의 기체 횡타측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설치된 종판부(41)와, 종판부(41)로부터 기체 횡타측으로 연장 설치된 장치 상방부(42)가 구비되어 있다(도 4 참조). 즉, 에어 클리너 하방부(40)보다도 장치 상방부(42)가 상방에 위치되어 있고, 이에 의해, 천장판부(39)에 있어서의 장치 상방부(42)의 하방에, 배기 처리 장치(33)가 인입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기 처리 장치(33)에는, 배기 처리 장치(33)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측 개소에 배기 가스 도입구(57) 및 배기 가스 배출구(58)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배기 가스 도입구(57)는, 배기 처리 장치(33)에 있어서의 기체 전방측 개소의 하면에 위치되어 있다. 배기 가스 배출구(58)는, 배기 처리 장치(33)에 있어서의 기체 후방측 개소의 기체 횡타측의 측면에 위치되어 있다. 배기 가스 도입구(57)에는, 과급기(55)에 있어서의 터빈부(55a)의 배기구로부터 연장된 디젤 엔진(15)측의 배출관(60)이 접속되어 있다. 배기 가스 배출구(58)에는, 연결 배기관(61)이 연통되어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기 처리 장치(33)의 내부에는, 배기 가스의 유동 경로의 상류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연소 촉매(62)와, 미립자 포집 필터(63)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도 3, 도 6 내지 도 8,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기 처리 장치(33) 중, 운전 조종부(13)의 사이드 패널(29)의 하방 공간에 인입되어 있지 않은 부위, 즉, 사이드 패널(29)보다도 기체 횡타측에는, 배기 처리 장치(33)의 상태를 검지하는 온도 센서(65)(「검지 수단」에 상당) 및 차압 센서(66)(「검지 수단」에 상당)가 설치되어 있다.
차압 센서(66)는, 배기 처리 장치(33)의 내부에 있어서의 미립자 포집 필터(63)의 상류측 개소와 하류측 개소의 차압을 검출하는 센서이다. 차압 센서(66)에 의해 검지된 차압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맵 데이터를 참조함으로써, 미립자 포집 필터(63)에 포집되어 있는 입자상 물질의 퇴적량이 구해진다. 배기 처리 장치(33)측의 외측 위치 중 하측 부위에 상류측 포트(66a)가 설치되고, 배기 처리 장치(33)측의 외측 위치 중 상측 부위에 하류측 포트(66b)가 설치되어 있다. 상류측 포트(66a)와 하류측 포트(66b)에는, 각각, 배기 처리 장치(33)의 기체 횡타측으로 돌출된 하네스(70)를 통해 차압 센서(66)가 접속되어 있다. 차압 센서(66)는, 배기 처리 장치(33)로부터의 액체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 배기 처리 장치(33)의 상단부보다도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온도 센서(65)는, 배기 처리 장치(33)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이다. 온도 센서(65)로서는, 상류측 온도 센서(65a)와, 중간측 온도 센서(65b)와, 하류측 온도 센서(65c)가 배치되어 있다. 상류측 온도 센서(65a)는, 연소 촉매(62)의 상류측 개소의 온도를 검지한다. 중간측 온도 센서(65b)는, 연소 촉매(62)와 미립자 포집 필터(63) 사이의 개소의 온도를 검지한다. 하류측 온도 센서(65c)는, 미립자 포집 필터(63)의 하류측 개소의 온도를 검지한다.
미립자 포집 필터(63)에 연소에 필요한 소정량 이상의 입자상 물질이 퇴적되어 있는 경우에는, 입자상 물질의 연소만으로, 배기 처리 장치(33)에 도입되는 배기 가스를 연소 촉매(62)가 활성화하는 온도까지 승온할 수 있다. 그러나 미립자 포집 필터(63)에 연소에 필요한 소정량 미만만 입자상 물질이 퇴적되어 있는 경우에는, 입자상 물질의 연소만으로는, 배기 처리 장치(33)의 내부 온도가 연소 촉매(62)의 활성화 온도까지 상승하지 않아, 별도 가열이 필요해진다. 차압 센서(66)에 의해 검지된 차압에 의해 구해진 미립자 포집 필터(63)에 입자상 물질이 연소에 필요한 소정량 미만만 퇴적되어 있는 경우나, 온도 센서(65)에 의해 검지된 내부 온도가 저하되어 있는 경우에는, 배기 처리 장치(33)의 상류측 개소에 있어서, 가연성 가스의 연소가 행해져, 배기 처리 장치(33)에 도입되는 배기 가스의 승온이 행해진다. 이때, 배기 처리 장치(33)의 배기 가스 배출구(58)로부터 배출되는 배출 가스의 온도는 600℃ 정도의 고온으로 된다.
배기 처리 장치(33)에는, 미립자 포집 필터(63)가 입자상 물질에 의해 막힘이 발생하여 정화 기능이 저하된 경우, 입자상 물질을 연소시켜, 정화 기능을 재생하는 도시하지 않은 셀프 클리닝 기구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콤바인에는, 도시하지 않은 마이크로컴퓨터가 구비되어 있고, 마이크로컴퓨터에는, 셀프 클리닝 기구를 동작시키는 제어 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제어 수단은, 차압 센서(66)에 의해 검지된 차압에 기초하여 미립자 포집 필터(63)의 막힘 발생을 감지하면, 미립자 포집 필터(63)에 있어서의 입자상 물질의 퇴적량을 추정하여, 셀프 클리닝 기구가 적절하게 동작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취부(18)는, 종축심 P 둘레로 요동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예취 작업을 행하는 작업 상태와, 곡물대의 막힘 해소 등의 메인터넌스가 가능한 개방 상태를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취부(18)를, 종축심 P 둘레로 요동시켜 개방함으로써, 온도 센서(65), 차압 센서(66), 상류측 포트(66a), 하류측 포트(66b), 하네스(70)가, 사이드 패널(29)의 하방 공간에 감추어지는 일 없이 기체 횡타측으로부터 메인터넌스를 행하기 쉬운 위치에 노출된다.
〔배기 처리 장치의 커버〕
도 2, 도 3, 도 5 내지 도 8,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기 처리 장치(33)의 상방에는, 배기 처리 장치(33)에 볏짚 부스러기 등의 진애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36)가 구비되어 있다. 커버(36)는, 배기 처리 장치(33) 중 운전 조종부(13)의 하방 공간에 인입되어 있지 않은 부분과 평면에서 볼 때 중복되도록 배치되어 있고, 배기 처리 장치(33) 중 사이드 패널(29)로부터 기체 횡타측으로 돌출된 부분의 상방을 덮고 있다. 또한, 커버(36)는, 차압 센서(66), 온도 센서(65), 하네스(70)도 상방으로부터 덮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배기 처리 장치(33)의 상방은, 커버(36) 및 운전 조종부(13)에 의해 덮여 있다. 또한, 커버(36)는, 평면에서 볼 때 보호 부재(26)와 일부가 중복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5, 도 7,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36)는, 평판을 절곡하여 형성되어 있고, 운전 조종부(13)로부터 이격될수록 하방에 위치하도록 경사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지지 부재(35)에는, 기체 횡타측으로 연장된 브래킷(72)이 구비되어 있다. 커버(36)는, 브래킷(72)을 통해 사이드 패널(29)의 지지 부재(35)에 설치되어 있다. 브래킷(72)에는, 체결구에 의해 지지 부재(35)의 기체 횡타측 단부에 설치된 세로 방향의 고정부와, 고정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상방으로 어느 정도 지지 부재(35)로부터 이격되는 연장부와, 연장부로부터 지지 부재(35)로부터 이격되는 측으로 연장된 설치부가 구비되어 있다. 커버(36)의 사이드 패널(29)측의 단부는, 브래킷(72)에 대해 상방으로부터 겹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체결구(73)를 체결함으로써 브래킷(72)의 설치부에 연결되어 있다.
커버(36)는, 커버(36)와 배기 처리 장치(33) 사이의 공간 중 운전 조종부(13)와는 반대측이 개방되어 있다. 또한, 커버(36)는, 커버(36)와 배기 처리 장치(33) 사이의 공간 중 기체 전후측이 개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기체 횡일측으로부터 기체 횡타측을 향하는 엔진 냉각풍이, 배기 처리 장치(33) 상부를 따라 유동되고, 커버(36)의 하면의 경사에 의해 유도되고, 커버(36)에 있어서의 운전 조종부(13)와는 반대측의 개방부 및 기체 전후 방향의 개방부로부터 기체 외부로 방산된다.
〔연결 배기관〕
배기 처리 장치(33)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는,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하는 연결 배기관(61)에 의해 기체 외부로 배출된다. 연결 배기관(61)은, 좌우의 크롤러 주행 장치(11)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배기 처리 장치(33)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고, 그 연장 단부는, 좌우의 크롤러 주행 장치(11)의 후단부보다도 전방측에 위치하고 있다. 연결 배기관(61)에는, 배기관(75)과, 제1 이젝트 관(76)과, 제2 이젝트 관(78)과, 제3 이젝트 관(79)과, 제4 이젝트 관(80)과, 도풍판(81)이 구비되어 있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기관(75)에는, 기단부(75a)와, 굴곡 선단부(75b)가 구비되어 있다. 기단부(75a)는, 배기 처리 장치(33)의 배기 가스 배출구(58)로부터 예취부(18)가 위치하는 기체 횡내측을 향하여 수평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굴곡 선단부(75b)는, 기단부(75a)의 연장 단부로부터 기체 횡외측 방향 또한 기체 하방 후방으로 굴곡되어 연장되어 있고, 제1 이젝트 관(76)의 입구측에 접속되어 있다. 기단부(75a)와 굴곡 선단부(75b)는, 각각 비스듬히 절단되고, 대략 직교하도록 하여 맞댐 용접되어 있다. 즉, 배기관(75)은, 배기 처리 장치(33)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을 향해 옆으로 빼서, 기단부(75a)와 굴곡 선단부(75b)의 접합부에 있어서 직각 형상으로 굴곡되어 있다. 이에 의해, 배기관(75)에 대해, 곡률이 큰 굽힘 가공을 필요로 하지 않아, 배기관(75)을 횡방향으로 콤팩트하게 할 수 있고, 탈곡 장치(19)의 안내 부재(23)와의 사이에 기체 횡방향의 클리어런스 t를 둔 상태에서 배기관(75)을 위치시킬 수 있어, 배기관(75)이, 탈곡 장치(19)의 안내 부재(23)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 도 6, 도 9,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이젝트 관(76)은, 배기관(75)에 있어서의 굴곡 선단부(75b)의 연장 단부에 입구측이 외부 끼움되어 체결구에 의해 연결되고,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배기관(75)과 제1 이젝트 관(76)의 연결부에 있어서, 제1 이젝트 관(76)의 단면적은, 배기관(75)의 단면적보다도 커지도록 되어 있다.
도 5, 도 6, 도 9, 도 11,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이젝트 관(78)은, 제1 이젝트 관(76)의 연장 단부에 입구측이 외부 끼움되어 체결구에 의해 연결되고, 하방으로 연장된 후, 후방으로 어느 정도 하방에 위치하도록 경사지는 형상으로 굴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제1 이젝트 관(76)과 제2 이젝트 관(78)의 연결부에 있어서, 제2 이젝트 관(78)의 단면적은, 제1 이젝트 관(76)의 단면적보다도 커지도록 되어 있다. 도 11,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이젝트 관(78)은, 기체 프레임(17)에 있어서의 제1 횡프레임(83)에 지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 이젝트 관(78)은, 제1 ㄷ자 형상 부재(84)와, 한 쌍의 제1 앵글 부재(85)와, 제1 ㄷ자 형상 스테이(86)를 통해, 제1 횡프레임(83)에 연결되어 있다. 제1 ㄷ자 형상 부재(84)는, 전방측이 개방되어 있고, 전단부가 제1 횡프레임(83)의 후단부의 양측면에 용착되어 있다. 한 쌍의 제1 앵글 부재(85)는, 전방부가 제1 ㄷ자 형상 부재(84)의 후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제1 ㄷ자 형상 스테이(86)는, 후방이 개방되어 있고, 한 쌍의 제1 앵글 부재(85)의 사이에 위치되고, 한 쌍의 제1 앵글 부재(85)의 후방부에 연결되어 있다.
도 5, 도 6, 도 11,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이젝트 관(79)은, 상부를 단변으로 하는 사다리꼴 형상에서 하부가 개방된 제1 상부 분할체(79a)와, 직사각 형상에서 상부가 개방된 제1 하부 분할체(79b)가 상하로 접합되어 구성되어 있다. 제3 이젝트 관(79)은, 제2 이젝트 관(78)의 연장 단부에 입구측이 외부 끼움되어 체결구에 의해 연결되고, 후방으로 어느 정도 하방에 위치하도록 경사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3 이젝트 관(79)의 단면적은, 제2 이젝트 관(78)의 단면적보다도 커지도록 되어 있다. 도 11,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이젝트 관(78)의 제1 하부 분할체(79b)의 바닥면에는, 설치판(82a)이 설치되어 있고, 제2 횡프레임(88)의 상면에는, 피설치판(82b)이 설치되어 있다. 제2 이젝트 관(78)은, 설치판(82a)을 피설치판(82b)에 체결구로 고정함으로써, 제2 횡프레임(88)에 지지되어 있다.
도 5, 도 6, 도 11, 도 14,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4 이젝트 관(80)에는, 상부를 단변으로 하는 사다리꼴 형상에서 하부가 개방된 제2 상부 분할체(80a)와, 직사각 형상에서 상부가 개방된 제2 하부 분할체(80b)가 상하로 접합되어 구성되어 있다. 제4 이젝트 관(80)은, 제3 이젝트 관(79)의 연장 단부에 입구측이 외부 끼움되어 체결구에 의해 연결되어, 후방으로 어느 정도 하방에 위치하도록 경사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4 이젝트 관(80)은, 기체 프레임(17)에 있어서의 제2 횡프레임(88)에 지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1,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이젝트 관(78)은, 제2 ㄷ자 형상 부재(89)와, 한 쌍의 제2 앵글 부재(90)와, 제2 ㄷ자 형상 스테이(91)를 통해, 제2 횡프레임(88)에 연결되어 있다. 제2 ㄷ자 형상 부재(89)는, 전방측이 개방되어 있고, 전단부가 제2 횡프레임(88)의 후단부의 양측면에 용착되어 있다. 한 쌍의 제2 앵글 부재(90)는, 전방부가 제2 ㄷ자 형상 부재(89)의 후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제2 ㄷ자 형상 스테이(91)는, 후방이 개방되어 있고, 한 쌍의 제2 앵글 부재(90)의 사이에 위치되고, 한 쌍의 제2 앵글 부재(90)의 후방부에 연결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풍판(81)은, 제4 이젝트 관(80)의 제2 상부 분할체(80a)의 후단부에 연결되어 있고, 후방으로 어느 정도 하방에 위치하도록 경사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풍판(81)에 의해, 연결 배기관(61)으로부터 기체 외부로 배기 가스가 배출될 때에, 배기 가스가 하방을 향해 배출되고, 연결 배기관(61)의 후단부의 상방에 구비된 연료 탱크(92)에 배기 가스가 분사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연결 배기관(61)을 구성함으로써, 배기관(75)과 제1 이젝트 관(76)의 간극, 제1 이젝트 관(76)과 제2 이젝트 관(77)의 간극, 제3 이젝트 관(79)과 제4 이젝트 관(80)의 간극의 4개의 간극으로부터 냉각 공기가 도입된다. 이에 의해, 배기 처리 장치(33)의 배기 가스 배출구(58)에 접속된 배기관(75)의 입구에 있어서 약 600℃ 전후의 고온으로 된 배기 가스는, 4개의 간극으로부터 도입되는 냉각 공기에 의해 순차 냉각되고, 최종적으로 소정의 온도, 예를 들어 240℃ 이하의 온도까지 냉각되어 제4 이젝트 관(80)으로부터 도풍판(81)을 통해 기체 외부로 배출된다.
〔완충 기구〕
도 7, 도 8, 도 17,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기 처리 장치(33)를 지지하고 있는 디젤 엔진(15)은 기체 프레임(17)에 지지되어 있다. 기체 프레임(17)과 디젤 엔진(15) 사이에는, 기체의 진동을 완충하는 전후 한 쌍의 제1 엔진 마운트(96)와, 전후 한 쌍의 제2 엔진 마운트(97)(「완충 기구」에 상당)가 구비되어 있다. 제2 엔진 마운트(97)는, 디젤 엔진(15)의 출력축(15a)측의 부위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엔진 마운트(97)에는, 디젤 엔진(15)측에 구비된 핀 부재(98)와, 핀 부재(98)의 둘레 방향을 덮고, 기체 프레임(17)측에 구비된 보스 형상 부재(99)와, 핀 부재(98)와 보스 형상 부재(99) 사이의 전체 둘레에 걸쳐 구비된 원통 형상의 고무 부재(100)가 구비되어 있다. 핀 부재(98)는, 디젤 엔진(15)측에 고정된 설치 부재(10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그 축 방향이 디젤 엔진(15)의 출력축(15a)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원통 형상의 고무 부재(110)는, 그 축 방향이, 디젤 엔진(15)의 출력축(15a) 방향을 따르는 자세로 배치되어 있고, 바꿔 말하면, 원통 형상의 고무 부재(110)는, 그 반경 방향이, 디젤 엔진(15)의 측면과 거의 직교하는 자세로 배치되어 있다. 보스 형상 부재(99)는, 디젤 엔진(15)의 측면에 대해 대략 직각으로 배치된 받침대부(99a)를 갖고 있고, 받침대부(99a)가 기체 프레임(17)의 상면에 체결구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 조종부(13)의 기체 횡방향 반대측 또한 후방측에 구비되어 있는 탈곡 장치(19)는, 디젤 엔진(15)의 출력축(15a)이, 탈곡 장치(19)의 입력축(19a)에 전동 벨트(19b)를 통해 연계되어 있다. 또한, 디젤 엔진(15)의 출력축(15a)은, 운전 조종부(13)의 기체 횡방향 반대측 또한 후방측에 구비되고, 예취부(18)에 연계되어 있는 주행 변속 장치(30)의 입력축(30a)에 전동 벨트(30b)를 통해 연계되어 있다.
〔배기 처리 장치의 작동 제한〕
콤바인이 보관되는 헛간 등의 옥내에서는, 고온의 배기 가스가 배출되면, 배기 가스에 의한 열기가 옥내에 축적되는 등으로 인해 바람직하지 않다. 콤바인이 헛간 등의 옥내에 있을 때는, 저속의 이동 주행을 하는 정도이므로, 디젤 엔진(15)의 회전수는 그다지 커지지 않는다. 이로 인해, 디젤 엔진(15)의 회전수가, 콤바인에서 수확 작업을 행하기 위해 필요한 소정 회전수 미만일 때, 콤바인이 헛간 등의 옥내에 있다고 간주하여, 배기 처리 장치(33)의 작동을 제한하여, 미립자 포집 필터(63)를 재생하기 위한 연소를 행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수확 작업 중에 탈곡 장치(19)를 작동시키고 있을 때의 디젤 엔진(15)의 회전수가 2650rpm이며, 탈곡 장치(19)를 작동시키기 위해 최저한 필요한 디젤 엔진(15)의 회전수가 2000rpm이라고 한다. 이 경우, 소정 회전수는, 예를 들어 2000rpm으로 되고, 디젤 엔진(15)의 회전수가 2000rpm 미만일 때는, 콤바인이 옥내에 있다고 간주하여, 배기 처리 장치(33)에 있어서 미립자 포집 필터(63)의 재생을 행하지 않는다. 이에 의해, 배기 가스에 의한 열기가 옥내에 축적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
(1)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엔진 마운트(97)가 디젤 엔진(15)의 출력축(15a)측의 부위에만 배치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2 엔진 마운트(97)가 디젤 엔진(15)의 출력축(15a)측의 부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에 더하여, 제1 엔진 마운트(96) 대신에 디젤 엔진(15)의 출력축(15a)측과는 반대측의 부위에도 제2 엔진 마운트(97)가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2)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배기 처리 장치(33) 및 커버(36)가, 기체 전후 방향이 길이 방향으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배기 처리 장치(33) 및 커버(36)를, 기체 횡방향이 길이 방향으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3)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배기 처리 장치(33) 중 운전 조종부(13)의 하방 공간에 인입되어 있지 않은 부위에, 배기 처리 장치(33)의 상태를 검지하는 온도 센서(65), 차압 센서(66)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온도 센서(65)나 차압 센서(66)가, 배기 처리 장치(33) 중 운전 조종부(13)의 하방 공간에 인입되어 있는 부위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어도 된다.
(4)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배기 처리 장치(33)의 상방을 덮는 크기의 커버(36)를 나타내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배기 처리 장치(33) 및 배기관(75)의 상방을 덮는 크기의 커버(36)이어도 된다.
(5)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완충 기구의 일례로서, 핀 부재(98)가 디젤 엔진(15)측에 구비되고, 보스 형상 부재(99)가 기체 프레임(17)측에 구비된 제2 엔진 마운트(97)를 나타내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핀 부재(98)가 기체 프레임(17)측에 구비되고, 보스 형상 부재(99)가 디젤 엔진(15)측에 구비된 완충 기구이어도 된다.
(6)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배기관(75)을, 기단부(75a)와 굴곡 선단부(75b)가 맞댐 용접됨으로써, 직각 형상으로 굴곡된 형상으로 되어 있는 예를 나타내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배기관(75)은, 옆으로 빼진 후에 하방으로 굽힘 가공됨으로써, 라운딩을 띠어 만곡된 형상으로 된 것이어도 된다.
(7)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엔진의 일례로서, 디젤 엔진(15)이 구비된 것을 나타내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가솔린 엔진 등 다른 엔진이 구비된 것이어도 된다.
12 : 캐빈
13 : 운전 조종부
14 : 운전 좌석
15 : 디젤 엔진(엔진)
15a : 출력축
17 : 기체 프레임
19 : 탈곡 장치
19a : 입력축
29 : 사이드 패널
31 : 변속 레버(조작구)
32 : 예취 클러치 레버(조작구)
33 : 배기 처리 장치
34 : 창부
35 : 지지 부재
36 : 커버
65 : 온도 센서(검지 수단)
66 : 차압 센서(검지 수단)
72 : 브래킷
97 : 제2 엔진 마운트(완충 기구)
98 : 핀 부재
99 : 보스 형상 부재
100 : 고무 부재

Claims (15)

  1. 운전 조종부와,
    상기 운전 조종부의 하방에 설치된 엔진과,
    상기 엔진의 배기 가스를 도입하여 상기 배기 가스의 정화 처리를 행하는 배기 처리 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배기 처리 장치는, 그 일부가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운전 조종부의 하방 공간에 인입된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배기 처리 장치의 상방이, 상기 운전 조종부에 지지된 커버와 상기 운전 조종부에 의해 덮여 있으며,
    상기 커버는, 상기 배기 처리 장치 중 상기 운전 조종부의 하방 공간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부분의 상방을 덮고 있는, 콤바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처리 장치 중 상기 운전 조종부의 하방 공간에 인입되어 있지 않은 부위에, 상기 배기 처리 장치의 상태를 검지하는 검지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콤바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검지 수단을 상방으로부터 덮도록 구성되어 있는, 콤바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 조종부에, 기체 전후 방향을 따른 지지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지지 부재에 설치되어 있는, 콤바인.
  5. 운전 조종부와,
    상기 운전 조종부의 하방에 설치된 엔진과,
    상기 엔진의 배기 가스를 도입하여 상기 배기 가스의 정화 처리를 행하는 배기 처리 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배기 처리 장치는, 그 일부가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운전 조종부의 하방 공간에 인입된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배기 처리 장치의 상방이, 상기 운전 조종부에 지지된 커버와 상기 운전 조종부에 의해 덮여 있으며,
    상기 운전 조종부에, 기체 전후 방향을 따른 지지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지지 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운전 조종부에 캐빈이 구비되고,
    상기 캐빈 중 상기 배기 처리 장치가 인입되어 있는 측의 측면에 창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창부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고 있는, 콤바인.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에 연결되고, 기체 외측으로 연장된 브래킷이 구비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브래킷에 설치되어 있는, 콤바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단부는, 상기 브래킷에 대해 상방으로부터 겹친 상태에서, 상하 방향의 체결구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콤바인.
  8.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 조종부에, 운전 좌석과, 상기 운전 좌석의 측방에 설치되고, 복수의 조작구가 배치된 사이드 패널이 구비되고,
    상기 배기 처리 장치는, 상기 사이드 패널의 하방 공간에 인입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콤바인.
  9.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커버와 상기 배기 처리 장치 사이의 공간 중, 적어도 상기 운전 조종부와는 반대측이 개방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콤바인.
  10.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커버와 상기 배기 처리 장치 사이의 공간 중 적어도 기체 전후측이 개방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콤바인.
  11.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운전 조종부로부터 이격될수록 하방에 위치하도록 경사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콤바인.
  12.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처리 장치는, 기체 전후 방향이 길이 방향으로 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커버는, 기체 전후 방향이 길이 방향으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콤바인.
  13.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처리 장치는, 상기 엔진에 지지되고,
    상기 엔진을 지지하는 기체 프레임과 상기 엔진 사이에, 기체의 진동을 완충하는 완충 기구가 구비되고,
    상기 완충 기구에, 상기 엔진측 또는 상기 기체 프레임측 중 어느 한쪽에 구비된 핀 부재와, 상기 핀 부재의 둘레 방향을 덮고, 상기 엔진측 또는 상기 기체 프레임측 중 어느 다른 쪽에 구비된 보스 형상 부재와, 상기 핀 부재와 상기 보스 형상 부재 사이의 전체 둘레에 걸쳐 구비된 고무 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콤바인.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기구는, 상기 엔진의 출력축측의 부위에 배치되어 있는, 콤바인.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 조종부의 후방측에 탈곡 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엔진의 출력축이, 상기 탈곡 장치의 입력축에 연계되어 있는, 콤바인.
KR1020130092519A 2012-11-15 2013-08-05 콤바인 KR1021125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251515A JP5968764B2 (ja) 2012-11-15 2012-11-15 コンバイン
JPJP-P-2012-251515 2012-11-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3390A KR20140063390A (ko) 2014-05-27
KR102112567B1 true KR102112567B1 (ko) 2020-05-20

Family

ID=50215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2519A KR102112567B1 (ko) 2012-11-15 2013-08-05 콤바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968764B2 (ko)
KR (1) KR102112567B1 (ko)
CN (1) CN203467219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38865B2 (ja) * 2014-09-25 2017-11-29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JP6335739B2 (ja) 2014-09-30 2018-05-30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JP6274576B2 (ja) * 2014-11-27 2018-02-07 井関農機株式会社 作業車輌の原動部構造
KR102656750B1 (ko) * 2015-03-04 2024-04-11 얀마 파워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콤바인
JP6523865B2 (ja) * 2015-08-21 2019-06-05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JP6516634B2 (ja) * 2015-08-31 2019-05-22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JP6484158B2 (ja) * 2015-10-16 2019-03-13 ヤンマ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6717738B2 (ja) * 2016-12-22 2020-07-01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CN108207285B (zh) * 2016-12-22 2022-05-03 株式会社久保田 联合收割机及脱粒装置
JP6842950B2 (ja) * 2017-02-28 2021-03-17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JP7080021B2 (ja) * 2017-06-21 2022-06-03 株式会社クボタ 農用作業機
JP7133934B2 (ja) * 2018-02-09 2022-09-09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JP7050515B2 (ja) * 2018-02-09 2022-04-08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WO2019156198A1 (ja) * 2018-02-09 2019-08-15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JP6707578B2 (ja) * 2018-05-31 2020-06-10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JP7018829B2 (ja) * 2018-06-19 2022-02-14 株式会社クボタ 自脱型コンバイン
JP7134134B2 (ja) * 2018-06-22 2022-09-09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JP7355787B2 (ja) * 2019-03-22 2023-10-03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JP7094324B2 (ja) * 2020-05-19 2022-07-01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JP7055167B2 (ja) * 2020-06-10 2022-04-15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9930A (ja) * 1999-01-19 2000-08-02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の刈取懸架フレ―ム
JP2012157255A (ja) * 2011-01-29 2012-08-23 Iseki & Co Ltd エンジン排気浄化装置を備えたコンバイン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4652U (ja) * 1991-11-27 1993-06-15 株式会社クボタ エンジンの支持構造
JP2571965Y2 (ja) * 1992-01-17 1998-05-20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の原動部構造
JP2008005770A (ja) * 2006-06-29 2008-01-17 Kubota Corp キャビン付きコンバイン
JP2008031955A (ja) * 2006-07-31 2008-02-14 Iseki & Co Ltd ディーゼルエンジン
JP5421623B2 (ja) 2009-03-16 2014-02-19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の運転部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9930A (ja) * 1999-01-19 2000-08-02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の刈取懸架フレ―ム
JP2012157255A (ja) * 2011-01-29 2012-08-23 Iseki & Co Ltd エンジン排気浄化装置を備えたコンバイ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968764B2 (ja) 2016-08-10
CN203467219U (zh) 2014-03-12
JP2014097037A (ja) 2014-05-29
KR20140063390A (ko) 2014-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2567B1 (ko) 콤바인
JP5908222B2 (ja) 収穫機
JP5774914B2 (ja) 収穫機
CN108135130B (zh) 联合收割机
JP6367866B2 (ja) コンバイン
JP2013138628A (ja) コンバイン
KR102101230B1 (ko) 수확기
JP2017216886A (ja) コンバイン
JP2015109879A (ja) コンバイン
KR102218515B1 (ko) 콤바인
JP6226299B2 (ja) コンバイン
JP6625159B2 (ja) 収穫機
JP6542098B2 (ja) コンバイン
JP6198147B2 (ja) 作業車輌の原動部構造
JP5667523B2 (ja) 収穫機
JP6656314B2 (ja) コンバイン
JP2018113992A5 (ko)
JP7404189B2 (ja) コンバイン
JP6440648B2 (ja) 収穫機
JP6652187B2 (ja) コンバイン
JP5673967B2 (ja) コンバイン
JP6209137B2 (ja) コンバイン
JP6652188B2 (ja) コンバイン
JP2017216884A (ja) コンバイン
JP5865474B2 (ja) 収穫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