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0111B1 -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0111B1
KR102110111B1 KR1020160072384A KR20160072384A KR102110111B1 KR 102110111 B1 KR102110111 B1 KR 102110111B1 KR 1020160072384 A KR1020160072384 A KR 1020160072384A KR 20160072384 A KR20160072384 A KR 20160072384A KR 102110111 B1 KR102110111 B1 KR 102110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conductor
terminal
introduction
rear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2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4853A (ko
Inventor
히로유키 야마자키
Original Assignee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04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48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0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01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Abstract

(과제) 평형 도체를 손상시키지 않고 도입할 수 있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해결수단) 하우징 (30) 이, 상벽 (35) 과 하벽 (36) 그리고 양방의 측벽 (37) 으로 형성되는 주벽의 후부에서, 전방을 향해 평형 도체 (F) 의 접속 부분 (F1) 을 수용하는 수용부 (38) 를 형성하는 도입 벽부 (39) 를 갖고, 접속 부분 (F1) 에 접촉하는 단자의 접촉부가 수용부 내에 위치하고 있고, 도입 벽부 (39) 는 상벽 (35) 의 후단이 평형 도체의 폭 방향 범위에서, 하벽 (36) 의 후단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있고, 하벽 (36) 의 상면이 상벽 (35) 의 후단보다 후방에서 상방으로 노정되는 노정면 (43) 을 갖고, 노정면 (43) 이 접속부 (13A-1) 의 배열역 외에서 접속부의 상측 가장자리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고, 평형 도체를 수용부 (38) 를 향해 도입하는 과정에서 평형 도체의 선단 가장자리가 노정면 (43) 에 맞닿음 가능하게 되어 있다.

Description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ELECTRIC CONNECTOR FOR FLAT CONDUCTOR}
본 발명은,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FPC 등의 평형 도체의 길이 방향에서 선단 (先端) 측에 형성된 접속 부분과의 접촉 접속을 위한 접촉부와 회로 기판에 대한 접속을 위한 접속부를 구비한 복수의 단자와, 그 단자를 커넥터 폭 방향으로 배열 유지하는 하우징을 갖고, 그 하우징이, 상벽과 하벽 그리고 양방의 측벽으로 형성되는 주벽 (周壁) 의 후부에서, 전방을 향해 평형 도체의 접속 부분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형성하는 도입 벽부를 갖고, 접속 부분에 접촉하는 상기 단자의 접촉부가 상기 수용부 내에 위치하고 있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가 회로 기판에 장착되는 커넥터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는, 평형 도체의 길이 방향에 대해 직각인 폭 방향에서, 그 평형 도체의 선단 가장자리에 다수의 접속 부분이 미세 피치로 배치되어 있고, 각각이, 폭 방향으로 커넥터에 배열된 단자의 접촉부에 대응하여 접촉 접속한다. 따라서, 각 접속 부분을 대응되는 단자의 접촉부와 확실하게 접촉시키기 위해서는, 평형 도체의 수용부에 대한 도입시에, 평형 도체는 그 폭 방향에서 정확하게 위치하고 있어야 한다.
이 종류의 커넥터와 개시하는 특허문헌 1 에서는, 평형 도체로서의 FPC 등을 그 폭 방향에서 위치 결정하여 넣기 위한 끼워맞춤구의 입구부에 테이퍼면의 부분을 형성하고, 평형 도체가 끼워맞춤구에 대한 도입 개시시에 다소 폭 방향으로 어긋나 있어도, 그 평형 도체는 그 측부 가장자리 선단이 상기 테이퍼면을 따라 안내되어 정규의 폭 방향 위치로 유도되고, 상기 끼워맞춤구로 진입하여, 끼워맞춤구 내에서 정규 위치에서 상기 접속 부분과 접촉부가 대응하여 접촉 접속되게 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178958호
특허문헌 1 에서는, 단자는 하우징에 대해 전방과 후방 각각의 방향으로부터 장착되는 2 종의 단자를 배열 방향에서 교대로 갖고 있으며, 전방으로부터 장착되는 단자의 후단 (後端) 측에 형성된, 회로 기판에 대한 땜납 접속을 위한 접속부가, 전후 방향에서, 상기 끼워맞춤구의 후단 위치, 즉 입구단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다. 상기 접속부는, 후단 가장자리뿐만 아니라 상측 가장자리도 하우징의 부분보다 돌출되어 있고, 평형 도체를 끼워맞춤구를 향해 수평 방향, 그리고 경사 방향의 어느 방향으로부터 도입해도, 그 평형 도체의 선단은 이 접속부에 맞닿을 가능성이 높다.
평형 도체는 모재가 수지제이고, 그리고 단자는 금속으로 매우 얇기 때문에, 평형 도체가 단자의 접속부에 맞닿으면, 이 단자의 접속부에 의해 손상되기 쉽다. 평형 도체는 모재가 수지제이지만, 선단에는 회로선으로서 금속의 접속 부분이 있으며, 손상을 받으면, 평형 도체의 전단 (前端) 의 깎임에 의해 수지 분말 그리고 금속 분말이 발생하고, 이것들이 접촉 불량이나 쇼트의 원인이 되는 경우도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평형 도체의 도입 개시시, 평형 도체를 단자와의 맞닿음에 의해 손상시키지 않고, 소정 도입 위치로 안내할 수 있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는, 평형 도체의 길이 방향에서 선단측에 형성된 접속 부분과의 접촉 접속을 위한 접촉부와 회로 기판에 대한 접속을 위한 접속부를 구비한 복수의 단자와, 그 단자를 커넥터 폭 방향으로 배열 유지하는 하우징을 갖고, 그 하우징은, 상벽과 하벽 그리고 양방의 측벽으로 형성되는 주벽의 후부에서, 전방을 향해 평형 도체의 접속 부분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형성하는 도입 벽부를 갖고, 접속 부분에 접촉하는 상기 단자의 접촉부가 상기 수용부 내에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도입 벽부는 상벽의 후단이 적어도 평형 도체의 폭 방향 범위에서, 하벽의 후단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있고, 하벽의 상면이 상벽의 후단보다 후방에서 상방으로 노정 (露呈) 되는 노정면을 갖고, 그 노정면이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상기 접속부의 배열역 외에서 그 접속부의 상측 가장자리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고, 평형 도체를 수용부를 향해 도입하는 과정에서 그 평형 도체의 선단 가장자리가 상기 노정면에 맞닿음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도입 벽부를 형성하고 있는 상벽의 후단이 하벽의 후단보다 전방에 위치하여 그 하벽에 노정면을 형성하기 때문에, 수용부가 후단측에서 상방으로 개방되게 되고, 상방으로부터의 기울임 도입이 용이하고 또한 육안에 의한 도입시의 평형 도체의 위치 확인이 가능해진다.
또, 평형 도체의 도입 개시시, 특히 기울임 도입시에, 단자의 접속부가 수용부측에 배열되어 있어도, 노정면이 접속부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평형 도체의 선단 가장자리는 접속부에 맞닿지 않고 확실하게 노정면에서 안내된다. 나아가서는, 회로 기판에 대한 커넥터의 실장 후, 접속부의 회로 기판과의 땜납 접속 상태에서 상방으로부터 용이하게 육안 확인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복수의 단자는 적어도 그 일부의 단자의 접속부가 전후 방향에서 도입 벽부의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도입 벽부는, 커넥터 폭 방향의 적어도 양단측에서, 상벽의 후측 가장자리 하면에, 평형 도체를 하방을 향해 수용부의 내방으로 도입 안내하는 테이퍼면이 도입 상부 안내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평형 도체를 기울임 도입할 때, 상벽의 도입 상부 안내면에 의해 평형 도체를 수용부를 향해 원활하게 도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도입 벽부는, 측벽의 후측 가장자리 내면에, 평형 도체의 측단 (側端) 가장자리를 커넥터 폭 방향에서 내방으로 도입 안내하는 테이퍼면이 도입 측부 안내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평형 도체의 접속 부분을 수용부에 도입할 때, 그 평형 도체를 도입 측부 안내면에 의해 커넥터 폭 방향에서 안내하고, 접속 부분을 동 방향에서의 정규 위치로 가져온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도입 벽부는, 하벽의 후단이 커넥터 폭 방향에서 단자의 접속부의 배열역에서 전방으로 가라앉은 몰입부 (沒入部) 를 갖고, 그 접속부가 상기 몰입부 내에서 후방을 향해 노출되어 돌출되어 있도록 할 수 있고, 단자 접속부가 노정됨으로써 땜납 접속이 용이해진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하우징의 도입 벽부에 있어서의 상벽의 후단을 하벽의 후단보다 전방에 위치시켜 개방하는 것으로 하였기 때문에, 평형 도체의 도입, 특히 기울임 도입의 경우, 도입 조작을 하기 쉬워짐과 함께 육안 확인하면서 도입 위치 그리고 자세가 정해지고, 이것에 더하여, 노정면이, 단자 배열역 외에 있고, 단자의 접속부의 상측 가장자리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평형 도체의 선단 가장자리가 하벽의 노정부에 맞닿아 도입 안내되게 되고, 평형 도체의 접속 부분의 수용부에 대한 도입시에, 평형 도체의 선단 가장자리가 단자와 맞닿지 않아, 손상되는 경우가 없어지며, 손상을 받은 평형 도체의 전단에서의 깎임에 발생하는 수지 분말에 의한 접촉 불량, 금속 분말에 의한 쇼트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와 이것에 접속되는 평형 도체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A) 는 평형 도체의 접속 전, (B) 는 접속 후를 나타낸다.
도 2 는 도 1 의 커넥터의 주요부로서의 수용부 입구 근방을 나타내며, (A) 는 사시도, (B) 는 정면측에서 본 도 1(A) 에 있어서의 IIB-IIB 선 단면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커넥터에 대한 제 1 단자의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며, 가동 부재가 개 (開) 위치에 있고, (A), (B), (C) 의 순서로 평형 도체의 도입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4 는 도 1 커넥터에 대해, 가동 부재가 폐 (閉) 위치에 있어서의 단면도로서, (A) 는 제 1 단자, (B) 는 제 2 단자, (C) 는 고정 금구의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5 는 커넥터에 대한 평형 도체의 불완전 도입 상태를 나타내는 커넥터의 평면도로서, (A) 는 도 1 에 나타낸 평형 도체의 경우, (B) 는 다른 형태의 평형 도체의 경우이다.
도 6 은 도 1 의 커넥터의 다른 형태에 대한 주요부로서 수용부 입구 근방을 나타내며, 도 2 와 동일한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으로서, (A) 는 사시도, (B) 는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 은 본 실시형태의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이하, 커넥터) (1) 와 이것에 접속되는 평형 도체 (F) 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A) 는 평형 도체의 커넥터 (1) 에 대한 접속 전, (B) 는 접속 후를 나타내고 있다.
평형 도체 (F) 는, 커넥터 (1) 에 도입되어 커넥터의 단자와 접속되는 접속 부분 (F1) 을 그 평형 도체 (F) 의 전단부의 상면에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평형 도체의 길이 방향 (도면에서는, 접속 부분 (F1) 이 형성된 전단부만을 도시, 후방 부분은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으로 연장되는 회로선 (F2) 이 상기 단자의 수만큼 배열되어 있고, 그 회로선 (F2) 은 평형 도체 (F) 의 전단 가장자리에 근접하여 단자가 접촉 접속되는 패드 (F2A-1) 를 갖는 회로선 (F2A) 과 그 패드 (F2A-1) 후방에 패드 (F2B-1) 를 갖는 회로선 (F2B) 을 갖고, 양 회로선 (F2A, F2B) 이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평형 도체 (F) 는, 상기 접속 부분 (F1) 의 측 가장자리부에 커넥터의 고정 금구가 걸리기 위한 걸림 오목부 (F3) 가 형성되어 있고, 그 걸림 오목부 (F3) 의 가장자리부에, 상기 고정 금구의 훅부가 슬라이딩 접촉 그리고 빠짐 방지 걸림시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보강 패드 (F4) 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평형 도체 (F) 가 접속되는 커넥터 (1) 는, 단자 (10) 그리고 고정 금구 (20) 를 전기 절연재제의 하우징 (30) 으로 유지하는 커넥터 본체 (2) 와, 커넥터 본체 (2) 의 전측 가장자리측에서 가동으로 지지되어 있는 전기 절연재제의 가동 부재 (3) 를 갖고 있다.
하우징 (30) 으로 유지되어 있는 단자 (10) 는, 그 하우징 (30) 에 대해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장착되어 있는 제 1 단자 (11) 와,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장착되어 있는 제 2 단자 (16) 의 2 종으로 되어 있고, 양자는 커넥터 폭 방향 (도 1 에서 좌우 방향) 에서 교대로 위치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제 1 단자 (11) 와 제 2 단자 (16) 는, 모두 금속판의 평탄면을 유지한 채로 펀칭 가공에 의해 만들어져 있으며, 대략 가로 H 자상을 이루고, 제 1 단자 (11) 는, 도 3(A) ∼ (C) 그리고 도 4(A) 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상완부 (12), 하완부 (13), 그리고 양자를 그것들의 길이 방향 중앙 위치에서 연결하는 연결부 (14) 를 갖고 있고, 제 2 단자 (16) 는, 도 4(B) 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상완부 (17), 하완부 (18) 그리고 연결부 (19) 를 갖고 있다.
제 1 단자 (11) 의 상완부 (12) 는, 연결부 (14) 의 위치로부터 후방을 향해 하우징 (30) 의 후단 (도 3(A) 에서 좌단 (左端)) 근방까지 연장되는 접촉 아암부 (12A) 와 연결부 (14) 의 위치로부터 전방을 향해 그 연결부 (14) 와 하우징 (30) 의 전단의 중간 위치까지 연장되는 가요 아암부 (12B) 를 갖고 있다. 접촉 아암부 (12A) 의 후단에는 하향의 삼각 돌기상을 이루어, 평형 도체 (F) 의 회로선 (F2B) 의 패드 (F2B-1) 와 접촉하는 접촉부 (12A-1) 가 형성되고, 가요 아암부 (12B) 의 전단 하측 가장자리에는, 후술하는 가동 부재의 캠부가 걸어맞춰지는 오목 만곡된 수압부 (12B-1) 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단자 (11) 의 하완부 (13) 는, 연결부 (14) 의 위치로부터 후방을 향해 하우징 (30) 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위치까지 연장되는 접속 아암부 (13A) 와, 연결부 (14) 의 위치로부터 전방을 향해, 상기 상완부 (12) 의 가요 아암부 (12B) 의 전단보다 약간 전방 위치까지 연장되는 캠 지지 아암부 (13B) 를 갖고 있다. 상기 접속 아암부 (13A) 는, 그 후단부에서 하우징 (30) 외에 위치하는 접속부 (13A-1) 와, 상기 상완부 (12) 의 접촉부 (12A-1) 에 대향하는 위치에 돌기상의 지지 돌기부 (13A-2) 를 갖고 있다. 상기 접속부 (13A-1) 는, 그 하측 가장자리가 하우징 (30) 의 바닥면과 거의 동일 레벨에 있으며, 커넥터 (1) 가 회로 기판 상에 배치되었을 때에, 그 회로 기판의 대응 회로와 접면 (接面) 하게 되어 있다. 그 접속부 (13A-1) 는 대응 회로부에 대해 땜납 접속된다. 또, 지지 돌기부 (13A-2) 는 평형 도체 (F) 의 하면을 지지하지만, 그 평형 도체 (F) 가 하면에도 회로선부를 갖고 있을 때에는, 이 회로선부의 대응 패드와 접촉하는 부접촉부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하완부 (13) 의 캠 지지 아암부 (13B) 는, 그 전부 (前部) 는 직상 (直狀) 의 상측 가장자리를 이루고, 후술하는 가동 부재 (3) 에 형성된 제 1 단자용 캠부를 회동 (回動) 가능하게 지지한다. 그 캠 지지 아암부 (13B) 는 연결부 (14) 에 근접한 위치의 상측 가장자리에, 제 1 단자 (11) 의 빠짐 방지를 방지하기 위해서 하우징 (30) 에 파고들어 걸리는 걸림 돌기 (13B-3) 를 갖고 있다.
제 2 단자 (16) 는,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제 1 단자 (11) 와 동일하게, 금속판의 평탄면을 유지하고 있고, 도 4(B) 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상완부 (17), 하완부 (18) 그리고 연결부 (19) 를 갖고 대략 가로 H 자상을 이루고 있지만, 제 1 단자 (11) 와의 차이점은, 제 2 단자 (16) 가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하우징 (30) 에 장착되는 관계상, 하완부 (18) 의 캠 지지 아암부 (18B) 의 선단에 형성된 접속부 (18B-1) 가 하우징 (30) 의 전부에 위치하고 있는 것, 상완부 (17) 의 가요 아암부 (17B) 에 형성된 수압부 (17B-1) 가 깊은 오목 만곡을 이루고 있는 것, 접촉부 (17A-1) 를 갖는 상완부 (17) 의 접촉 아암부 (17A) 와, 지지 돌기부 (18A-2) 를 갖는 하완부 (18) 의 접속 아암부 (18A) 가, 제 1 단자 (11) 의 접촉 아암부 (12A) 그리고 접속 아암부 (13A) 보다 각각 짧은 것, 나아가서는, 하우징 (30) 에 파고드는 걸림 돌기 (18A-3) 가, 제 2 단자 (16) 가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하우징 (30) 에 장착되는 관계상, 연결부 (19) 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교대로 배열되어 있는 제 1 단자 (11) 와 제 2 단자 (16) 의 배열 범위의 양 외측에는, 고정 금구 (20) 가 하우징 (30) 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도 4(C) 에 보이는 바와 같이, 고정 금구 (20) 는, 제 1 단자 (11) 그리고 제 2 단자 (16) 와 동일하게 금속판의 평탄면을 유지하여 대략 가로 H 자상을 이루고, 상완부 (21) 의 걸림 아암부 (21A) 가 제 2 단자 (16) 의 상완부 (17) 의 접촉 아암부 (17A) 보다 긴 것, 걸림 아암부 (21A) 의 후단에 형성된 돌기상의 걸림부 (21A-1) 가 제 2 단자 (16) 의 접촉부 (17A-1) 보다 큰 훅상을 이루고 있는 것, 하완부 (22) 의 지지 아암부 (22A) 가 상기 걸림 아암부 (21A) 와 거의 동일 길이이고 제 2 단자 (16) 의 접속 아암부 (18A) 보다 긴 것, 그 지지 아암부 (22A) 의 후단에 돌기부를 갖고 있지 않은 것에 있어서, 제 2 단자 (16) 와 상이하지만, 그 외에는 제 2 단자 (16) 와 동일하며, 제 2 단자 (16) 의 부호에「4」를 추가한 부호를 붙임으로써,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은, 제 1 단자 (11), 제 2 단자 (16) 그리고 고정 금구 (20) 를 유지하는 하우징 (30) 은, 도 1, 도 3 그리고 도 4 로부터도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1 단자 (11), 제 2 단자 (16) 그리고 고정 금구 (20) 의 삽입 장착을 실시하기 위한 제 1 단자 수용홈 (31), 제 2 단자 수용홈 (32), 고정 금구 수용홈 (33) 이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 (30) 은, 상벽 (35), 하벽 (36) 그리고 측벽 (37) 으로 주벽을 형성하고, 제 1 단자 (11) 의 연결부 (14), 제 2 단자 (16) 의 연결부 (19) 그리고 고정 금구의 연결부 (23) 가 각각 위치하는 중간 위치보다 후방측에서, 단자 배열 방향 (도 3, 도 4 에서 지면에 대해 직각 방향) 으로, 상기 제 1 단자 수용홈 (31), 제 2 단자 수용홈 (32), 그리고 고정 금구 수용홈 (33) 을 연통시키도록 연장되어 평형 도체 (F) 의 접속 부분 (F1) 을 후방으로부터 수용하도록 후방으로 개구된 공간을 수용부 (38) 로서 형성하고 있다. 상세히 서술하면, 하우징 (30) 의 상벽 (35), 하벽 (36) 그리고 측벽 (37) 으로 형성되는 주벽의 후부 (상기 연결부 (14, 19, 23) 의 위치보다 후방 부분) 의 내부에 수용부 (38) 가 형성되고, 그 수용부 (38) 를 둘러싸는 벽이 도입 벽부 (39) 를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 (30) 은, 도 3(A) ∼ (C) 그리고 도 4(A) 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제 1 단자 수용홈 (31) 에는 제 1 단자 (11) 의 연결부 (14) 보다 전방 위치에 제 1 단자 (11) 의 걸림 돌기 (13B-3) 가 파고들어 걸리는 걸림벽 (40) 이 형성되고, 제 2 단자 수용홈 (32) 그리고 고정 금구 수용홈 (33) 에는, 도 4(B), (C) 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제 2 단자 (16) 의 연결부 (19) 그리고 고정 금구 (20) 의 연결부 (23) 의 각각보다 후방 위치에서 걸림 돌기 (18A-3) 가 파고드는 걸림벽 (41) 그리고 걸림 돌기 (22A-3) 가 파고드는 걸림벽 (42) 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 제 1 단자 (11), 제 2 단자 (16) 그리고 고정 금구 (20) 의 빠짐의 방지를 도모하고 있다.
상기 도입 벽부 (39) 를 형성하도록 상하에 쌍을 이루어 위치하는 상벽 (35) 과 하벽 (36) 중, 상벽 (35) 은 그 후단이 하벽 (36) 의 후단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있고, 바꾸어 말하면, 하벽 (36) 의 후단이 상벽 (35) 의 후단보다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그 하벽 (36) 의 후방에 대한 돌출 부분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개방된 노정면 (43) 을 형성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단자 배열 범위에서, 하벽 (36) 의 후단이 상벽 (35) 의 후단의 위치까지 전방으로 가라앉아 있고, 상기 노정면 (43) 은 단자 배열 범위에 대해 양측에 형성되어 있다. 즉 하벽 (36) 은, 상기 단자 배열 범위에서, 몰입부 (44) 가 형성되어 있다. 그 결과, 하벽 (36) 의 하우징 (30) 의 후단까지 연장되는 제 1 단자 (11) 의 접속부 (13A-1) 는, 상기 몰입부 (44) 내에 위치하여 노출되어 있다. 그 접속부 (13A-1) 는 노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단자 (11) 를 하우징에 압입할 때의 확인, 접속부 (13A-1) 에서의 땜납 접속시의 땜납을 확인할 수 있음과 함께, 땜납시에는 하우징면을 전달되는 플럭스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벽 (36) 에 상기 몰입부 (44) 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노정면 (43) 은, 도 1(A) 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몰입부 (44) 에 대해 커넥터 폭 방향의 양측의 위치, 바꾸어 말하면, 제 1 단자 (11) 의 접속부 (13A-1) 의 배열 범위의 양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노정면 (43) 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고정 금구 (20) 를 위한 고정 금구 수용홈 (33) 을 사이에 두고 2 개의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고, 커넥터 폭 방향에서 상기 고정 금구 수용홈 (33) 보다 외방에 위치하는 외방 노정면 (43A) 과, 상기 고정 금구 수용홈 (33) 보다 내방에 위치하는 내방 노정면 (43B) 을 갖고 있다. 외방 노정면 (43A) 은 내방 노정면 (43B) 보다 약간 높게 위치하고 있다. 도 2(B) 로부터도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외방 노정면 (43A) 과 내방 노정면 (43B) 사이에는 약간의 고저 단차가 있지만, 전후 방향에서 노정면 (43) 의 범위에 있어서는, 양자 모두 몰입부 (44) 에 위치하는 제 1 단자 (11) 의 접속부 (13A-1) 의 상측 가장자리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고, 그 접속부 (13A-1) 의 상측 가장자리에 대해, 외방 노정면 (43A) 은 δ1 만큼 높고, 내방 노정면 (43B) 은 δ2 (< δ1) 만큼 높게 되어 있다.
외방 노정면 (43A) 은, 평형 도체 (F) 의 수용부 (38) 에 대한 도입시, 특히 기울임 도입시에 그 평형 도체 (F) 의 전단 가장자리가 맞닿아 평형 도체 (F) 를 안내함과 함께, 평형 도체 (F) 의 전단이 제 1 단자 (11) 의 접속부 (13A-1) 의 상측 가장자리와 맞닿음·충돌하는 것을 방지한다.
외방 노정면 (43A) 보다 약간 낮은 내방 노정면 (43B) 은, 평형 도체 (F) 가 도입된 후, 가동 부재 (3) 의 폐위치에 대한 회동시에, 제 1 단자 (11) 의 접촉부 (12A-1) 그리고 제 2 단자 (16) 의 접촉부 (17A-1) 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었을 때, 그 평형 도체 (F) 의 휨을 허용함과 함께 그 평형 도체 (F) 의 하면을 지지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상기 노정면 (43) 은, 전후 방향에서 상기 접속부 (13A-1) 와 범위를 중복하고 있기 때문에, 커넥터를 전후 방향에서 대형화하지 않고 그 노정면 (43) 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벽 (36) 에 대향하는 상벽 (35) 은,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그 후단이 하벽 (36) 의 후단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있으며, 도 2(A), (B) 에 보이는 바와 같이, 그 상벽 (35) 의 후측 가장자리 하면이 수용부 (38) 에 평형 도체 (F) 를 도입하기 쉽게 안내하기 위한 도입 상부 안내면 (45) 이 테이퍼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도입 상부 안내면 (45) 은, 제 1 단자 수용홈 (31) 그리고 제 2 단자 수용홈 (32) 의 위치에서는, 중단되어 부존재로 되어 있지만, 상기 수용부 (38) 의 전체폭역, 즉 양측의 측벽 (37) 사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측벽 (37) 에는, 상벽 (35) 의 후단보다 후방 범위에서,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내측면에 평형 도체 (F) 를 커넥터 폭 방향에서 내방을 향해 정규 위치로 안내하는 도입 측부 안내면 (46) 이 형성되어 있다. 그 도입 측부 안내면 (46) 은, 도 2(A), (B) 에 보이는 바와 같이, 외방 노정면 (43A) 의 외측 가장자리에 인접하는 도입 측부 가로 안내면 (46A) 과, 그 도입 측부 가로 안내면 (46A) 의 전단 가장자리로부터 수직으로 세우는 도입 측부 세로 안내면 (46B) 을 갖고 있다. 즉, 도입 측부 가로 안내면 (46A) 이 하벽 (36) 의 후단의 위치로부터 상벽 (35) 의 후단의 위치까지 미치고 있고, 도입 측부 세로 안내면 (46B) 은, 상벽 (35) 의 후단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평형 도체 (F) 는, 폭 방향으로 어긋나 도입될 때에는, 상기 도입 측부 가로 안내면 (46A) 에 의해 정규 위치를 향해 안내된 후, 이어서 도입 측부 세로 안내면 (46B) 에 의해 안내된다.
이와 같이 후부에서 도입 벽부 (39) 를 형성하는 하우징 (30) 은, 도 1, 도 3, 도 4 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전부에서 가동 부재 (3) 를 지지하고 그 가동 부재 (3) 의 회전을 허용하기 위해서, 전방 그리고 상방으로 개방되어 절결부 (47) 가 단자 배열 범위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고, 상벽 (35) 에는, 그 절결부 (47) 의 폭 방향 가장자리부 (47A) 로부터, 제 1 단자 (11) 의 가요 아암부 (12B) 그리고 제 2 단자 (16) 의 가요 아암부 (17B) 를 넣는 홈 절결부 (48A, 48B) 가 각각 후방을 향해 연장되어 형성되고, 또 고정 금구 (20) 의 상완부 (21) 를 수용하는 홈 절결부 (48C) 가 상기 홈 절결부 (48A, 48B) 보다 길게 후방을 향해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커넥터 본체 (2) 에는, 하우징 (30) 의 상기 절결부 (47) 내에 일단측이 위치하여 그 일단측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가동 부재 (3) 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가동 부재 (3) 는, 전기 절연재로 만들어져 있으며, 도 1(A), (B) 그리고 도 3(A) ∼ (C) 에 보이는 바와 같은 세로 방향 자세의 개위치와 도 4(A) ∼ (C) 에 보이는 바와 같은 가로 방향 자세의 폐위치 사이를 회동 가능하게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가동 부재 (3) 는, 커넥터 폭 방향에서는, 상기 절결부 (47) 의 전역에 이르는 폭을 갖는 판상을 이루고 있고, 제 1 단자 (11), 제 2 단자 (16) 그리고 고정 금구 (20) 에 대응하는 위치에서의 단면이, 도 3(A) ∼ (C) 그리고 도 4(A), 도 4(B), 도 4(C) 에 각각 보이는 바와 같이, 회동 중심이 위치하는 일단측에, 상기 제 1 단자 (11) 의 가요 아암부 (12B) 의 전부, 상기 제 2 단자 (16) 의 가요 아암부 (17B) 의 전부, 상기 고정 금구 (20) 의 가요 아암부 (21B) 의 전부를 각각 넣는 홈부 (51, 52, 53) 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홈부 (51, 52, 53) 내에는, 상기 제 1 단자 (11) 의 가요 아암부 (12B) 에 형성된 수압부 (12B-1) 에 걸어맞추는 제 1 단자용 캠부 (54), 상기 제 2 단자 (16) 의 가요 아암부 (17B) 에 형성된 수압부 (17B-1) 에 걸어맞추는 제 2 단자용 캠부 (55), 상기 고정 금구 (20) 의 가요 아암부 (21B) 에 형성된 수압부 (21B-1) 에 걸어맞추는 고정 금구용 캠부 (56) 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단자용 캠부 (54) 와 제 2 단자용 캠부 (55) 는, 도 4(A), (B) 에 각각 보이는 바와 같이 가동 부재 (3) 가 폐위치에 있을 때에, 모두 세로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단자용 캠부 (54) 와 제 2 단자용 캠부 (55) 는, 가동 부재 (3) 의 회동시에 제 1 단자 (11) 의 캠 지지 아암부 (13B) 그리고 제 2 단자 (16) 의 캠 지지 아암부 (18B) 의 각각의 상측 가장자리에서 회동 지지되고, 가동 부재 (3) 가 폐위치에 왔을 때에, 제 1 단자용 캠부 (54) 의 상측 가장자리가 제 1 단자 (11) 의 수압부 (12B-1) 를 상방으로 가압하고, 제 2 단자용 캠부 (55) 의 상측 가장자리가 제 2 단자 (16) 의 수압부 (17B-1) 를 상방으로 가압한다. 상기 수압부 (12B-1, 17B-1) 가 가압되면, 제 1 단자 (11) 의 가요 아암부 (12B), 제 2 단자 (16) 의 가요 아암부 (17B) 는 각각 상방으로 휘고, 지레의 원리로 제 1 단자 (11) 의 접촉 아암부 (12A), 제 2 단자 (16) 의 접촉 아암부 (17A) 를 각각 하방으로 휘게 한다. 그 결과, 제 1 단자 (11) 의 접촉부 (12A-1), 제 2 단자 (16) 의 접촉부 (17A-1) 를 회로 기판 (F) 의 대응 패드 (F2B-1, F2A-1) 에 접압시키고 있다.
고정 금구용 캠부 (56) 는, 도 4(C) 에 보이는 바와 같이, 원형을 이루고 있으며, 고정 금구 (20) 의 하완부 (22) 의 전부를 이루는 접속 아암부 (22B) 에는 지지되어 있지 않고, 가동 부재 (3) 가 폐위치에 왔을 때에, 그 고정 금구용 캠부 (56) 가 상방으로 이동하여 고정 금구 (20) 의 수압부 (21B-1) 를 상방으로 가압한다. 수압부 (21B-1) 가 상방으로 가압되면, 제 1 단자 (11) 그리고 제 2 단자 (16) 와 동일한 원리에 의해, 후단에 형성된 훅상의 걸림부 (21A-1) 가 하방으로 휘어 변위되고, 평형 도체 (F) 의 걸림 오목부 (F3) 에 진입하여, 상기 걸림부 (21A-1) 에 의해 평형 도체 (F) 의 빠짐이 방지된다.
다음으로, 이와 같은 구성의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에 대한 평형 도체 (F) 의 접속 요령에 대해 설명한다.
평형 도체 (F) 의 커넥터에 대한 접속에 앞서, 커넥터의 가동 부재 (3) 를, 도 1(A) 그리고 도 3(A) ∼ (C) 에 보이는 바와 같이, 기립시켜 개위치에 가져온다. 제 1 단자 (11), 제 2 단자 (16), 고정 금구 (20) 는, 가동 부재 (3) 의 제 1 단자용 캠부 (54), 제 2 단자용 캠부 (55), 고정 금구용 캠부 (56) 로부터 아무런 힘을 받고 있지 않기 때문에, 제 1 단자 (11) 의 접촉 아암부 (12A), 제 2 단자 (16) 의 접촉 아암부 (17A), 고정 금구 (20) 의 걸림 아암부 (21A) 는, 하방으로 휘어 변위되어 있지 않고, 자유 상태에 있으며, 평형 도체 (F) 를 수용부 (38) 에 용이하게 도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평형 도체 (F) 는, 커넥터에 대한 도입 위치 (상하 및 가로 방향 위치) 가 정규 위치에 있고, 도입 방향이 회로 기판과 평행한 수평 방향으로 실시되는 경우에는 아무런 문제도 없고, 평형 도체 (F) 의 접속 부분 (F1) 은 상기 수용부 (38) 내에 도입된다.
평형 도체 (F) 가 정규 위치로부터 어긋나 있거나, 기울어져 도입되는 경우가 때때로 있으며, 이러한 경우, 도입을 원활하게 실시할 수 없거나, 평형 도체의 선단 가장자리가 단자에 충돌하여 손상을 받거나 하는 경향이 있지만,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에서는 이것에 대처하고 있다.
도 3(A) ∼ (C) 에 보이는 바와 같이, 평형 도체 (F) 가 기울어져 도입되고자 하면, 본 실시형태에서는, 평형 도체의 폭 방향 양단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하벽 (36) 의 노정면 (43) (외방 노정면 (43A)) 이 제 1 단자 (11) 의 접속부 (13A-1) 의 상측 가장자리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평형 도체 (F) 의 전단 가장자리가 상기 제 1 단자 (11) 의 접속부 (13A-1) 의 상측 가장자리에 충돌 혹은 맞닿지 않고 상기 노정면 (43) 에 맞닿아, 수용부 (38) 를 향해 전방으로 안내된다. 따라서, 평형 도체 (F) 는 그 전단 가장자리가 금속제인 제 1 단자 (11) 에 의해 손상을 받지 않고, 상기 노정면 (43) 을 미끄러지면서 원활하게 수용부 (38) 에 도입된다.
다음으로, 평형 도체 (F) 가 회로 기판에 대해 평행 혹은 기울어져 도입될 때에, 도입 위치가 상하 혹은 커넥터 폭 방향으로 어긋나 있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평형 도체 (F) 는, 그 전단 가장자리 혹은 전단부가 도입 상부 안내면 (45) 에 맞닿아 수용부 (38) 를 향해 하방으로 안내되고, 도입 측부 안내면 (46), 즉 도입 측부 세로 안내면 (46A) 그리고 도입 측부 가로 안내면 (46B) 에 의해 커넥터 폭 방향에서 정규 위치를 향해 안내된다.
이렇게 하여, 평형 도체 (F) 는 그 접속 부분 (F1) 이 수용부 (38) 내의 정규 위치에 그리고 정규 도입 깊이 위치까지 도입된다 (도 1(B) 참조).
다음으로, 가동 부재 (3) 를 도 1(B) 의 개위치로부터 도 4(A) ∼ (C) 에 보이는 폐위치로 회동한다. 가동 부재 (3) 가 폐위치로 가져와지면,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제 1 단자 (11) 와 제 2 단자 (16) 는 그들의 수압부 (12B-1, 17B-1) 에서 대응하는 제 1 단자용 캠부 (54), 제 2 단자용 캠부 (55) 에서 상방으로 가압되어 가요 아암부 (12B, 17B) 가 상방으로 휘는 결과, 접촉 아암부 (12A, 17A) 가 하향으로 휘고, 접촉부 (12A-1, 17A-1) 가 대응 패드 (F2B-1, F2A-1) 에 접촉함과 함께 평형 도체 (F) 를 하방으로 가압하여, 접압을 높인다. 한편, 고정 금구 (20) 는, 수압부 (21B-1) 가 고정 금구용 캠부 (56) 에서 상방으로 가압되고, 제 1 단자 (11), 제 2 단자 (16) 의 경우와 동일한 원리에 의해, 훅상의 걸림부 (21A-1) 가 하방으로 이동 변위하여 평형 도체 (F) 의 걸림 오목부 (F3) 에 진입하고, 평형 도체 (F) 의 빠짐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평형 도체 (F) 에는 그 접속 부분 (F1) 에 보강 패드 (F4) 가 형성되어 있다. 도 1(A) 에 보이는 바와 같이, 그 보강 패드 (F4) 의 후측 가장자리는 평형 도체 (F) 의 걸림 오목부 (F3) 의 바로 후방에 위치하고 있고, 전후 방향에서, 2 종의 패드 (F2A, F2B) 중 후방에 위치하는 패드 (F2B-1) 의 후단에 가까운 위치에 있고, 평형 도체 (F) 의 접속 부분 (F1) 이 정규 위치까지 수용부 (38) 내에 도입되었을 때에는, 도 1(B) 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보강 패드 (F4) 의 후측 가장자리는 하우징 (30) 상벽 (35) 의 후단과 동일한 위치에 온다. 즉, 평형 도체 (F) 가 정규 위치까지 완전하게 도입되었을 때에는, 상기 보강 패드 (F4) 는, 상벽 (35) 에 덮여 정확히 보이지 않게 된다. 상기 보강 패드 (F4) 는, 회로선 (F2) 의 패드와 동일하게 금속제로 광택이 있고, 평형 도체 (F) 가 정규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의 도입 과정에서 빛나고 있기 때문에 육안으로 보기 쉽다. 그 후, 평형 도체 (F) 가 정규 위치까지 도달하면, 이 빛나고 있던 보강 패드 (F4) 가 상벽 (35) 에 덮여 갑자기 보이지 않게 되기 때문에, 정규 위치까지의 도입된 것을 매우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평형 도체 (F) 가 불완전 도입 위치에 있을 때에는, 도 5(A) 와 같이, 보강 패드 (F4) (도 5(A) 에서는 이해하기 쉽게 보강 패드의 역에 점을 분포시켜 붙이고 있다) 의 후부분이 상벽 (35) 의 후측 가장자리로부터 비어져나와 있고, 이것을 육안으로 보는 것에 의해 불완전 도입을 발견할 수 있다. 이것은, 상벽 (35) 의 후단이 하벽 (36) 의 후단보다 전방으로 가라앉아 있음으로써 가능해졌다.
다음으로, 보강 패드 (F4) 를 도 1(A) 그리고 도 5(A) 와 같이, 평형 도체 (F) 가 정규 위치까지 완전하게 도입되었을 때에 상벽 (35) 으로 덮이고, 불완전 도입했을 때에 후방으로 비어져나와 외부로부터 보이도록 하지 않아도, 다른 패턴 형식으로서, 도 5(B) 와 같이, 정규 위치까지 도입되었을 때에 상벽 (35) 의 후단의 위치가 되는 위치로부터 후방 부분에 보강 패드 (F4) 의 육안 확인 부분 (F4-1) 을 형성하여, 불완전 도입의 경우에는, 그 육안 확인 부분 (F4-1) 의 전측 가장자리가 상벽 (35) 의 후단까지 도달하지 않은 것에 의해, 불완전 도입을 육안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입 벽부 (39) 에 형성되는 평형 도체의 안내면에 대한 다른 형태를 설명한다.
도 2(A), (B) 의 형태의, 도입 측부 안내면 (46) 에서는, 도입 측부 가로 안내면 (46A) 의 전단 위치에 도입 측부 세로 안내면 (46B) 이 형성되어 있었지만, 도 6(A), (B) 의 예에서는, 하벽 (36) 의 상면으로부터 커넥터 폭 방향 내측을 향해 하방으로 기울어지는 가로 테이퍼면의 도입 측부 가로 안내면 (46A) 과, 노정면 (43) 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 하벽 (36) 의 후단면으로부터 커넥터 폭 방향 내측을 향해 전방으로 기울어지는 세로 테이퍼면의 도입 측부 세로 안내면 (46B) 을 갖고 있다. 상기 도입 측부 가로 안내면 (46A) 과 도입 측부 세로 안내면 (46B) 은, 입구측이 되는 하벽 (36) 의 후단 근처의 위치에서 볼록 모서리부를 형성하고, 서로 교차하는 능선 (46C) 을 공유하고 있다. 따라서, 평형 도체 (F) 는, 폭 방향으로 어긋나 도입될 때에는, 상기 도입 측부 세로 안내면 (46A) 혹은, 도입 측부 가로 안내면 (46B) 에 의해 정규 위치를 향해 안내된다.
11 : (제 1) 단자
12A-1 : 접촉부
13A-1 : 접속부
16 : (제 2) 단자
17A-1 : 접촉부
30 : 하우징
35 : 상벽
36 : 하벽
37 : 측벽
38 : 수용부
39 : 도입 벽부
44 : 몰입부
45 : 도입 상부 안내면
46 : 도입 측부 안내면

Claims (5)

  1. 평형 도체의 길이 방향에서 선단측에 형성된 접속 부분과의 접촉 접속을 위한 접촉부와 회로 기판에 대한 접속을 위한 접속부를 구비한 복수의 단자와, 그 단자를 커넥터 폭 방향으로 배열 유지하는 하우징을 갖고, 그 하우징은, 상벽과 하벽 그리고 양방의 측벽으로 형성되는 주벽의 후부에서, 전방을 향해 평형 도체의 접속 부분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형성하는 도입 벽부를 갖고, 접속 부분에 접촉하는 상기 단자의 접촉부가 상기 수용부 내에 위치하고 있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도입 벽부는 상벽의 후단이 적어도 평형 도체의 폭 방향 범위에서, 하벽의 후단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있고, 하벽의 상면이 상벽의 후단보다 후방에서 상방으로 노정되는 노정면을 갖고, 그 노정면이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상기 접속부의 배열역 외에서 그 접속부의 상측 가장자리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노정면은 상벽의 후단부터 하벽의 후단까지 연장되어 있어 평형 도체의 기울임 도입 시 정규 위치를 향해 안내하고, 평형 도체를 수용부를 향해 도입하는 과정에서 그 평형 도체의 선단 가장자리가 상기 노정면에 맞닿음 가능하게 되어 있음과 함께, 도입 벽부의 측벽의 내면에, 전후 방향에서의 상벽의 후단 위치에서, 상기 노정면에 의해 안내되는 평형 도체를 커넥터 폭 방향에서 정규 위치를 향해 안내하는 수직으로 세운 도입 측부 세로 안내면이 형성되고, 상기 도입 측부 세로 안내면은 하벽의 후단보다 전방에만 형성되고, 상기 노정면이 상기 도입 측부 세로 안내면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단자는 적어도 그 일부의 단자의 접속부가 전후 방향에서 도입 벽부의 범위 내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하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도입 벽부는, 커넥터 폭 방향의 적어도 양단측에서, 상벽의 후측 가장자리 하면에, 평형 도체를 하방을 향해 수용부의 내방으로 도입 안내하는 테이퍼면이 도입 상부 안내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도입 벽부는, 측벽의 후측 가장자리 내면에, 평형 도체의 측단 가장자리를 커넥터 폭 방향에서 내방으로 도입 안내하는 테이퍼면이 도입 측부 안내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도입 벽부는, 하벽의 후단이 커넥터 폭 방향에서 단자의 접속부의 배열역에서 전방으로 가라앉은 몰입부를 갖고, 그 접속부가 상기 몰입부 내에서 후방을 향해 노출되어 돌출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KR1020160072384A 2015-07-03 2016-06-10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KR1021101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34202A JP6448136B2 (ja) 2015-07-03 2015-07-03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JP-P-2015-134202 2015-07-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853A KR20170004853A (ko) 2017-01-11
KR102110111B1 true KR102110111B1 (ko) 2020-05-13

Family

ID=57725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2384A KR102110111B1 (ko) 2015-07-03 2016-06-10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448136B2 (ko)
KR (1) KR102110111B1 (ko)
CN (1) CN106329181B (ko)
TW (1) TWI646737B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090182A (zh) 2002-08-01 2007-12-19 第一电子工业株式会社 连接器
JP2009277398A (ja) 2008-05-13 2009-11-26 Jst Mfg Co Ltd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73766B2 (ja) 2002-11-27 2008-04-09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6932648B1 (en) * 2004-08-02 2005-08-23 P-Two Industries Inc. Flexible printed circuit connector capable of prevent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JP4437982B2 (ja) * 2005-08-08 2010-03-2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
JP4429246B2 (ja) * 2005-09-30 2010-03-1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
JP4199272B2 (ja) * 2006-08-23 2008-12-1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TWM341332U (en) * 2008-05-09 2008-09-21 Cheng Ue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module
KR100996095B1 (ko) * 2008-05-28 2010-11-22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JP4817466B2 (ja) * 2009-01-22 2011-11-1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4996705B2 (ja) * 2010-02-26 2012-08-0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5580622B2 (ja) * 2010-03-01 2014-08-27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コネクタ、及び、平型電線と当該平型電線が接続されるコネクタとを有するケーブルアッセンブリ
CN201898220U (zh) * 2010-08-02 2011-07-13 矽玛科技股份有限公司 连接器
JP5999541B2 (ja) * 2011-08-24 2016-09-2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
JP5301709B2 (ja) * 2012-05-10 2013-09-25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TWM487536U (zh) * 2014-05-27 2014-10-01 Cheng Uei Prec Ind Co Ltd 軟性電路板連接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090182A (zh) 2002-08-01 2007-12-19 第一电子工业株式会社 连接器
JP2009277398A (ja) 2008-05-13 2009-11-26 Jst Mfg Co Ltd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853A (ko) 2017-01-11
JP2017016939A (ja) 2017-01-19
CN106329181B (zh) 2020-08-11
CN106329181A (zh) 2017-01-11
TWI646737B (zh) 2019-01-01
TW201707300A (zh) 2017-02-16
JP6448136B2 (ja) 2019-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8226B1 (ko)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KR101919691B1 (ko) 커넥터
JP5943774B2 (ja) コネクタ
EP2500990B1 (en) Electric connector
US8821174B2 (en) Floating connector small in size and improved in strength
CN104241951A (zh) 带引导零件的电连接器
JP2023105047A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KR101860641B1 (ko) 커넥터
CN102709751B (zh) 电连接器
JP2014146472A (ja) コネクタ
JP6761311B2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CN103811929B (zh) 电连接器
JP2007258054A (ja) 平型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2010103049A (ja) 電気コネクタ
JP2019021389A (ja) コネクタ
CN112652902A (zh) 扁平型导体用电连接器
JP7044622B2 (ja) コネクタ組立体
CN103715571A (zh) 电连接器组装体
KR102110111B1 (ko)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EP0884809B1 (en) Connector for circuit board
US10128599B2 (en) Connector
JP4545202B2 (ja) カードコネクタ
JP2007128875A (ja) 電気コネクタ
US9033714B2 (en) Connector for mounting on a board
JP2016076318A (ja) 平型導体付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