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2948B1 - 접철식 보관함 - Google Patents

접철식 보관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2948B1
KR102102948B1 KR1020180044035A KR20180044035A KR102102948B1 KR 102102948 B1 KR102102948 B1 KR 102102948B1 KR 1020180044035 A KR1020180044035 A KR 1020180044035A KR 20180044035 A KR20180044035 A KR 20180044035A KR 102102948 B1 KR102102948 B1 KR 1021029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s
side plates
bottom plate
rear lower
storage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4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0626A (ko
Inventor
유지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아이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아이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아이엘
Priority to KR1020180044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2948B1/ko
Publication of KR20190120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06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2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29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3/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enabling folding of the cabinet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 A47B2220/0069Hinges

Landscapes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철식 보관함에 관한 것으로
바닥판;
상기 바닥판과 결합하는 전후측판은 각각 전후하측판과 전후상측판으로 구성되되,
상기 바닥판의 장방향 모서리부에 각각 힌지 결합하는 상기 전후하측판의 일단부;
상기 전후하측판의 타단부와 각각 힌지결합하는 상기 전후상측판의 일단부;
상기 전후상측판의 타단부와 힌지결합하는 상부테두리부의 장방향 모서리부;
상기 상부테두리부의 단방향의 모서리부와 각각 힌지결합하는 좌우측판;
상기 좌우측판은 각각 일체형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테두리부와 상기 바닥판을 이격시키면서 상기 전후하측판과 상기 전후상측판을 펼친 후에 상기 좌우측판을 하방향인 직각방향으로 펼치면서 상기 전후하측판과 상기 전후상측판을 모서리에서 일직선으로 지지하여 물건을 보관하는 보관함을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보관함을 접고 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보관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접철식 보관함{Foldable storage}
본 발명은 보관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옷가지를 넣어 저장할 수도 있고, 정리 상자 자체를 접어 보관할 수도 있는 정리 상자에 관한 것이다.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종래 발명에 따른 포장상자는 육면체 형상으로서, 각각 윗면과 아랫면을 형성하는 상부 덮개(10) 및 하부 덮개(20), 그리고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네 면으로 이루어진 몸체(30)로 이루어진다.
몸체부(30)는 상부 및 하부 내주면에 단턱부(31, 34)가 각각 구비된다. 몸체(30)의 단턱부(31, 34)는 상부 덮개(10)에 구비된 단턱부(11) 및 하부 덮개(20)에 구비된 단턱부(21)에 맞추어지도록 이루어짐으로써, 몸체부(30)와 상부 덮개(10) 및 하부 덮개(20)가 연결될 수 있다.
하부 덮개(20)에는 포장상자에 포장되는 물건의 형상에 상응하는 물건 삽입홈(23)이 구비되어, 포장되는 물건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몸체부(30)의 네 면 중 두 개의 면은 한 쌍의 제 1 벽체(33)로 이루어지고, 다른 두 개의 면은 제 2 벽체(32)로 이루어진다.
한 쌍의 제 1 벽체(33)는 힌지부(35)에 의하여 연결된다. 제 1 벽체(33)와 제 2 벽체(32) 역시 동일한 힌지부(35)에 의하여 연결된다. 이와 같이 벽체들(32, 33)의 연결이 동일한 힌지부(35)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상하부가 개방된 상태로 구성되어있고 물건을 담는 보관함으로 사용하기 위하여는 적어도 한측면은 별도의 부착도구가 존재하여야 하는 것이다.
1.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10-2013-0102327(2013.09.17) 2.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10-2011-0036292(2011.04.07) 3.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10-2015-0083717(2015.07.20)
상자는 필요할 때 구입하나 필요없을 때에는 보관에 문제가 있게 되는 것을 해결하는 것이다.
불필요할때에 상자를 접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때에 손쉽게 상자를 펴고 접는 것이다.
상자를 반복하여 접고 펴는 경우에도 강도면에서 완전하여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다.
바닥판;
상기 바닥판과 결합하는 전후측판은 각각 전후하측판과 전후상측판으로 구성되되,
상기 바닥판의 장방향 모서리부에 각각 힌지 결합하는 상기 전후하측판의 일단부;
상기 전후하측판의 타단부와 각각 힌지결합하는 상기 전후상측판의 일단부;
상기 전후상측판의 타단부와 힌지결합하는 상부테두리부의 장방향 모서리부;
상기 상부테두리부의 단방향의 모서리부와 각각 힌지결합하는 좌우측판;
상기 좌우측판은 각각 일체형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테두리부와 상기 바닥판을 이격시키면서 상기 전후하측판과 상기 전후상측판을 펼친 후에 상기 좌우측판을 하방향인 직각방향으로 펼치면서 상기 전후하측판과 상기 전후상측판을 모서리에서 일직선으로 지지하여 물건을 보관하는 보관함을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보관함을 접고 펴는 것으로 접철식 보관함을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전후상측판, 상기 전후하측판 및 상기 좌우측판이 힌지결합으로 인한 회전시 90도 까지 회전하도록 상기 상부테두리부와 상기 바닥판은 상하부로 블럭부를 구성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좌우측판과 상기 전후상측판 및 상기 전후하측판과 결합하기 위하여 홈부와 돌기부를 각각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좌우측판에는 수직방향의 좌우모서리부에 상하로 홈부를 구성하고, 상기 전후상측판과 상기 전후하측판에는 각각 돌기부를 구성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바닥판의 단방향 바닥판에는 블러킹부를 구성하여 상기 좌우측판의 단부가 삽입되어 결합이 해제되지 않도록 구성하고 상기 바닥판의 블럭부에는 돌기부를 구성하여 상기 좌우측판의 단부와 결합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전후하측판의 일단부에는 관통홀을 구성하고 상기 바닥판의 상기 블럭부에는 기억자형 돌기부를 구성하여 상기 보관함을 접고 펼때에 상기 힌지부의 결합과 함께 결합력을 더해주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바닥판과 상기 전후하측판의 일단부와 결합하는 힌지결합부는 블럭부의 하부에 구성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테두리부의 장방향의 모서리부와 상기 전후상측판의 일단부와 결합하는 힌지결합부는 상기 테두리부 블럭부의 상부에 구성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테두리부의 단방향의 모서리부와 상기 좌우측판과의 힌지결합부는 상기 테두리부 블럭부의 상부에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테두리부의 길이방향의 길이는 상기 좌우측판의 하방향으로 길이의 2배이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첫째 효과로는 상자는 필요할 때 구입하나 필요없을 때에는 보관에 문제가 있게 되는 것을 해결하는 것으로 원래의 상자보다 1/5정도로 부피를 줄일 수있는 것이다.
두번째효과로는 불필요할 때에 상자를 접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때에 손쉽게 상자를 펴고 접는 것이다.
세번째 효과로는 상자를 반복하여 접고 펴는 경우에도 강도면에서 완전하여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제1도는 접철식 보관함을 펼쳤을 때의 구성을 보이는 도이다.
제2a도는 제1도의 내부를 보이는 도이다.
제2b도는 좌우측판과 전후측판과의 결합구성을 보이는 도이다.
제2c도는 좌우측판과 바닥판의 결합구성을 보이는 도이다.
제2d도는 좌우측판과 결합할 바닥판의 구성도를 보이는 도이다.
제2e도는 좌우측판의 홈부를 보이는 도이다.
제2f도는 전후상측판 및 전후 하측판의 기억자돌기와 바닥판의 단축의 블럭부를 보이는 도이다.
제2g도는 바닥판의 장축의 기억자돌기를 보이는 도이다.
제2h도는 좌우측판이 삽입되는 삽입돌기와 바닥판의 단축의 블럭부를 보이는 도이다.
제3도는 제2도의 상자를 접을 때의 초기 구성인 좌우측판을 상부로 접는 것을 보이는 도이다.
제4도는 제3도의 상자를 접을 때의 중기 구성을 보이는 도이다.
제5도는 좌우측판을 상부로 완전히 들어올리고 전후측판의 중앙힌지부를 접는 것을 보이는 도이다.
제6a도 및 제6b도는 완전히 접었을 때의 구성을 보이는 도이다.
제7도는 종래의 기술을 보이는 도이다.
도면을 중심으로 자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이하에서는 도1과 도2a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바닥판(400)
상기 바닥판(400)과 결합하는 전후측판(200)은 각각 전후하측판(220)과 전후상측판(210)으로 구성되되,
상기 바닥판(400)의 장방향 모서리부에 각각 힌지 결합하는 상기 전후하측판의 일단부(225), 상기 전후하측판의 타단부(226)와 각각 힌지결합하는 상기 전후상측판의 일단부(215);
상기 전후상측판의 타단부(216)와 힌지결합하는 상부테두리부의 장방향 모서리부(120), 상기 상부테두리부의 단방향의 모서리부(130)와 각각 힌지결합하는 좌우측판(300),상기 좌우측판은 각각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전후측판은 1/2로 나누어 상측판과 하측판으로 구분되는 것이나 좌우측판은 각각 한판으로 구성하는 것이 비교적 바람직하다. 좌우측판 각각이 전후상측판과 전후하측판을 지지하는 역활을 하는 것이다.
상기 상부테두리부(100)와 상기 바닥판(400)을 이격시키면서 상기 전후하측판(220)과 상기 전후상측판(210)을 펼친 후에 상기 좌측판(310)과 우측판(320)을 하방향인 직각방향으로 펼치면서 상기 전후하측판(220)과 상기 전후상측판(210)을 모서리에서 일직선으로 지지하여 물건을 보관하는 접철식 보관함을 구성하는 것이다.
도2b 내지 도2d에 의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상기 좌우측판(300:310,320)과 상기 전후상측판(210)및 상기 전후하측판(220)과 결합하기 위하여 홈부(314,324)와 제1기억자 돌기부(214,224)를 각각 구성한다.
상기 좌우측판(300:310,320)에는 수직방향의 좌우모서리부에 상하로 홈부(314,324)를 구성하고, 상기 전후상측판(210)과 상기 전후하측판(220)에는 각각 제1기억자돌기부(214,224)를 구성한다.
상기 바닥판(400)의 단방향 바닥판에는 블러킹부인 제1블러킹부(414a),제2블러킹부(414b) 및 제3블러킹부(414c)를 구성하여 상기 좌우측판(310,320)의 단부가 삽입되어 결합이 해제되지 않도록 구성하고 상기 바닥판의 블럭부에는 제1삽입돌기(416a) 및 제2삽입돌기(416b)를 구성하여 상기 좌우측판(310,320)의 단부와 결합하도록 구성한 것이다.상기 좌우측판의 하단부의 요부와 결합하여 상부로 힘을 가할 때 바닥판과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도2c 및 도2d에 의하면 상기 단방향바닥판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상기 제1블러킹부,상기 제1삽입돌기 ,상기 제2 블러킹부, 상기 제2 삽입돌기 ,상기 제3 블러킹부의 순으로 배치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전후하측판(220)의 일단부에는 관통홀과 핀을 구성하고 상기 바닥판(400)의 상기 블럭부에는 제2기억자돌기부(412)를 구성하여 상기 보관함을 접고 펼때에 상기 힌지부의 결합과 함께 결합력을 더해주도록 구성한다.
상기 바닥판(400)과 상기 전후하측판(220)의 일단부와 결합하는 힌지결합부는 블럭부의 하부에 구성하여 힌지결합으로 인한 회전시 90도 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함으로 상자를 직육면체의 틀을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테두리부의 장방향의 모서리부(120)와 상기 전후상측판(210)의 일단부와 결합하는 힌지결합부는 상기 테두리부 블럭부의 상부에 구성하는 것이 좋다.
상기 테두리부의 단방향의 모서리부(130)와 상기 좌우측판(310,320)과의 힌지결합부는 상기 테두리부 블럭부의 상부에 구성한다.
상기 테두리부(100)의 길이방향의 길이는 상기 좌우측판의 하방향으로 길이의 2배이상으로 구성하는 것이 접고 펴는데 유리하다.
상기 전후상측판(210), 상기 전후하측판(220) 및 상기 좌우측판(310,320)이 힌지결합으로 인한 회전시 90도 까지 회전하도록 상기 상부테두리부(100)와 상기 바닥판(400)은 상하부로 블럭부(420)로 구성한다.
도2e 내지 도2h를 중심으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2e 및 도2f에서 보관함을 만들때에는 좌우측판의 홈부(314)는 전후상측판의 제1기억자돌기부(214)와 결합하고 좌우측판의 홈부(324)는 전후하측판의 제1기억자돌기부(224)와 결합한다.
도2g에서는 바닥판의 제2기억자돌기부(412)는 전후하측판의 일단부와 결합되어있다.
도2h는 바닥판의 단축의 블럭부(420)과 좌우측판에 결합되는 제1삽입돌기(416a) 및 제2삽입돌기(416b)를 보이는 것이다.
도3 내지 도6b를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상기 도면은 상자를 접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3과 도4는 좌우측판을 안쪽으로 들어올린다.
상부테두리부(100)까지 평행하게 좌우측판을 완전히 들어올린 도면은 도5에 도시되어있다.
도5는 전후상측판(210)과 전후하측판(220)을 접는 과정을 보이는 도이다.
도6a와 도6b는 완전히 접은 상태를 보이는 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상부테두리부 111,211:힌지부
120:상부테두리부의 장방향모서리부 130:상부테두리부의 단방향모서리부
200:전후측판 210:전후상측판 220:전후하측판
222:기억자돌기 212:니은자홈 214,224:제1기억자돌기부
215:전후상측판의 일단부 216:전후상측판의 타단부
225:전후하측판의 일단부 226:전후하측판의 타단부
300:좌우측판 310:좌측판 312,322:손잡이부 314,324:홈부
320:우측판 400:바닥판 412:제2기억자돌기부
414a:제1블러킹부` 414b:제2블러킹부 414c:제3블러킹부
416a:제1삽입돌기 416b:제2삽입돌기 420:블럭부

Claims (10)

  1. 바닥판;
    상기 바닥판과 결합하는 전후측판은 각각 전후하측판과 전후상측판으로 구성되되,
    상기 바닥판의 장방향 모서리부에 각각 힌지 결합하는 상기 전후하측판의 일단부;
    상기 전후하측판의 타단부와 각각 힌지결합하는 상기 전후상측판의 일단부;
    상기 전후상측판의 타단부와 힌지결합하는 상부테두리부의 장방향 모서리부;
    상기 상부테두리부의 단방향의 모서리부와 각각 힌지결합하는 좌우측판;
    상기 좌우측판은 각각 일체형으로 구성되며,
    상기 좌우측판과 상기 전후상측판 및 상기 전후하측판과 결합하기 위하여 홈부와 돌기부를 각각 구성하되,
    상기 좌우측판에는 수직방향의 좌우모서리부에 상하로 두개의 홈부를 구성하고, 상기 전후상측판과 상기 전후하측판의 좌우모서리부에는 상기 두개의 홈부에 대응하여 제1기억자돌기부를 각각 구성하여 상기 좌우측판과 상기 전후상측판 및 상기 전후하측판이 내부에 물건을 삽입할 경우에 외부의 방향으로 밀려나지 않도록 구성하며
    상기 전후하측판의 일단부에는 관통홀과 핀을 구성하고 이에 대응되는 상기 바닥판의 블럭부에는 제2기억자돌기부를 구성하여 보관함을 접고 펼때에 힌지부의 결합과 함께 결합력을 더해주도록 구성하고,
    상기 바닥판과 상기 전후하측판의 일단부와 결합하는 힌지결합부는 상기 블럭부의 하부에 구성하며,
    상부테두리부의 장방향의 모서리부와 상기 전후상측판의 일단부와 결합하는 힌지결합부는 상기 상부테두리부의 블럭부의 하부에 구성하고,
    상기 상부테두리부의 단방향의 모서리부와 상기 좌우측판과의 힌지결합부는 상기 상부테두리부의 블럭부의 하부에 구성하며,
    상기 전후상측판, 상기 전후하측판 및 상기 좌우측판이 힌지결합으로 인한 회전시 90도 까지 회전하도록 상기 상부테두리부와 상기 바닥판의 테두리부인 블럭부를 구성하고,
    상기 좌우측판의 하단부가 접촉하는 상기 바닥판의 단방향 바닥판에는 제1블러킹부,제2블러킹부,제3블러킹부를 구성하여 상기 좌우측판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결합이 해제되지 않도록 구성하고 상기 바닥판의 상기 블럭부에는 제1삽입돌기 및 제2삽입돌기를 구성하여 상기 좌우측판의 하단부의 요부와 결합하여 상부로 힘을 가할 때 바닥판과 이탈되지 않도록 하되,
    상기 단방향바닥판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상기 제1블러킹부,상기 제1삽입돌기 ,상기 제2 블러킹부, 상기 제2 삽입돌기 ,상기 제3 블러킹부의 순으로 배치구성하며,
    상기 상부테두리부와 상기 바닥판을 이격시키면서 상기 전후하측판과 상기 전후상측판을 펼친 후에 상기 좌우측판을 하방향인 직각방향으로 펼치면서 상기 전후하측판과 상기 전후상측판을 모서리에서 일직선으로 지지하여 물건을 보관하는 보관함을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보관함을 접고 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보관함.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의 길이방향의 길이는 상기 좌우측판의 하방향으로 길이의 2배이상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보관함.




KR1020180044035A 2018-04-16 2018-04-16 접철식 보관함 KR1021029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035A KR102102948B1 (ko) 2018-04-16 2018-04-16 접철식 보관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035A KR102102948B1 (ko) 2018-04-16 2018-04-16 접철식 보관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0626A KR20190120626A (ko) 2019-10-24
KR102102948B1 true KR102102948B1 (ko) 2020-05-29

Family

ID=68423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4035A KR102102948B1 (ko) 2018-04-16 2018-04-16 접철식 보관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29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4071B1 (ko) 2019-11-11 2020-03-03 강예슬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 구조물 체결구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7636U (ko) * 2008-01-24 2009-07-29 홍상훈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한 접철식 바구니
KR101032674B1 (ko) 2009-10-01 2011-05-06 박승순 절첩식 보관함
KR20110054085A (ko) * 2009-11-17 2011-05-25 조중현 접이식 욕조
KR101346222B1 (ko) 2012-03-07 2014-01-10 구태창 파지가 용이한 접철식 보관함
KR102105158B1 (ko) 2014-01-10 2020-04-28 이피에스코리아 주식회사 힌지부를 포함하는 접이식 포장상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0626A (ko) 2019-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254786A (en) Folding carrying case
JP3981226B2 (ja) コンテナ
US20050121448A1 (en) Collapsible plastic container with locking feature
ATE342842T1 (de) Zusammenklappbarer behälter
KR102102948B1 (ko) 접철식 보관함
KR101179611B1 (ko) 절첩형 발포수지 포장상자
KR200457548Y1 (ko) 절첩식 상자
JP4121517B2 (ja) コンテナのスタック構造
KR102206253B1 (ko) 밀폐 기능의 접이식 뚜껑을 갖는 식품 보관 용기
JPH11147526A (ja) 折り畳みコンテナ
JP3927062B2 (ja) 折り畳みコンテナー
JP4601431B2 (ja) 折り畳みコンテナー
JP7249011B2 (ja) 容器および容器台車セット
KR20170106625A (ko) 접이식 다용도함
JP2002114223A (ja) 折り畳み式コンテナ
JP2023025591A (ja) 運搬用容器及び嵩上げフレーム
JP2004099085A (ja) 折り畳みコンテナー
KR200406280Y1 (ko) 포장박스
JP4142864B2 (ja) 折り畳みコンテナー
JP4261116B2 (ja) 折り畳みコンテナー
JP2002370736A (ja) 折り畳みコンテナ
KR200364734Y1 (ko) 피자 포장용 상자
KR200210767Y1 (ko) 포장용상자
KR20230053826A (ko) 포장용 박스
KR200268110Y1 (ko) 쓰레기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