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4071B1 -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 구조물 체결구 - Google Patents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 구조물 체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4071B1
KR102084071B1 KR1020190143323A KR20190143323A KR102084071B1 KR 102084071 B1 KR102084071 B1 KR 102084071B1 KR 1020190143323 A KR1020190143323 A KR 1020190143323A KR 20190143323 A KR20190143323 A KR 20190143323A KR 102084071 B1 KR102084071 B1 KR 1020840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groove
insertion groove
fastening member
cubo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3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예슬
김진근
강원선
Original Assignee
강예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예슬 filed Critical 강예슬
Priority to KR1020190143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40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4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40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91Modular arrangements of similar assemblies of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08Three-dimensional corner connectors, the legs thereof being received within hollow, elongated frame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2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stackable ; stackable and linkable
    • A47B87/0276Stackable modular units, each consisting of a closed periphery

Landscapes

  • Stackable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모듈구조체와, 상기 모듈구조체의 모서리에서 후방을 향하여 소정의 깊이로 형성되는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의 후단면에 상기 삽입홈과 연통되게 형성되는 수용구와, 복수 개의 상기 모듈구조체를 적층 및 인접시킨 상태에서, 상기 삽입홈을 통하여 삽입한 뒤에 외력에 따른 회전을 통하여 상기 수용구에 삽입 체결되는 삽입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 형태의 구조체를 프레임없이 다층 다열로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모듈구조체를 구매하여 체결을 통한 수납함을 구성하며,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 형태의 구조체가 적층된 상태에서 하부의 모듈구조체를 별도의 상부 모듈구조체의 이탈없이 꺼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 구조물 체결구{Junctions for a cuboid or a cube structure}
본 발명은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 구조물 체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듈구조체를 다열 다층으로 형성시켜 상호 체결시키는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 구조물 체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구나 부품과 같은 산업용품을 보관하는 상자나, 가정에서 물건이나 옷 등의 물건을 정리하기 위한 보관함은 직육면체나 정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산업용품을 보관하는 상자나 가정에서 사용하는 물건 보관함의 경우 내부에 물건을 보관상자 내에 수납을 한 뒤 적층시켜서 거치공간을 확보하는 경우가 있었다.
또는, 산업 분야에 따라 부재를 적층시켜 고정하는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고, 이럴 경우 프레임을 필요로 하는 부재의 수량에 맞춰 미리 짜놓은 상태에서 부재를 삽입함으로서 설치를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가정에서 옷이나 장난감과 같은 물건을 보관하기 위한 보관함 또한 프레임 내에 수납함을 끼운 상태에서 밀거나 당겨 수납함 내 물건을 꺼낼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 있었다.
종래 발명에 따른 포장상자는 상부가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물건을 수납하고, 공간이 가득 차게 되면 다른 포장상자에 물건을 수납한 뒤 포장상자 위에 적층시키는 방식으로 물건을 보관하였다.
그러나, 포장상자를 적층시키는 방식으로 물건을 보관할 경우 하부에 위치하는 포장상자 내의 물건을 꺼내야 할 경우에는 상부에 형성되는 모든 포장상자를 치워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프레임 내에 다층으로 형성되는 수납함을 이용할 경우에는 물건 수납함의 수량은 정해진 상태로 제공이 되며, 물건을 추가로 수납하여야 할 경우에는 다른 제품을 구매하거나 별도의 수납상자를 구매하여 물건을 보관하여야 하는데, 이럴 경우에도 전술된 바와 같이 수납상자의 수가 늘어날 수록 적층하여 보관을 하여야 하며 하부의 수납상자를 꺼낼 때 불편함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 제10-2019-0120626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물건의 수납을 위한 수납함을 프레임없이 다층 다열로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수납함이 적층된 상태에서 아래의 모듈구조체를 별도의 상부 모듈구조체의 이탈없이 꺼낼 수 있도록 하는데도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모듈구조체와, 상기 모듈구조체의 모서리에서 후방을 향하여 소정의 깊이로 형성되는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의 후단면에 상기 삽입홈과 연통되게 형성되는 수용구와, 복수 개의 상기 모듈구조체를 적층 및 인접시킨 상태에서, 상기 삽입홈을 통하여 삽입한 뒤에 외력에 따른 회전을 통하여 상기 수용구에 삽입 체결되는 삽입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용구는, 상기 삽입홈의 후단면에 돌출형성되며, 일측에는 절개면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면과 연통하며 회전방향과 대응되도록 체결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삽입구는, 방사형으로 이루어지고 걸림턱이 일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체결홈에 삽입되는 체결단부가 형성되는 체결부재와, 상기 체결부재의 중심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외부에서 상기 체결부재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외력전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홈은, 상기 체결부재의 두께에 대응되는 제1체결홈과, 상기 체결부재가 삽입된 상태에서 후방으로 밀려들어가서 위치되는 제2체결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삽입홈은 호 형상으로 이루어져 표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외력전달부재는 전방 일측에 상기 삽입홈과 대응되게 형성되고 외주면에 숫나사산이 형성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재가 상기 제1체결홈에 삽입되며 상기 암나사산과 상기 숫나사산이 치합되며 회전을 통하여 상기 체결부재가 상기 제2체결홈 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 형태의 구조체를 프레임없이 다층 다열로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모듈구조체를 구매하여 체결을 통한 수납함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 형태의 구조체가 적층된 상태에서 하부의 모듈구조체를 별도의 상부 모듈구조체의 이탈없이 꺼낼 수 있도록 하는데도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 구조물 체결구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 구조물 체결구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 구조물 체결구의 삽입구가 장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 구조물 체결구의 삽입구가 설치되는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 구조물 체결구에 프레임이 형성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은 모듈구조체를 다열 다층으로 형성시켜 상호 결합을 통한 보관함을 형성하는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 구조물 체결구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물건의 수납을 위한 수납함을 프레임없이 다층 다열로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모듈구조체를 구매하여 체결을 통한 수납함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수납함이 적층된 상태에서 아래의 모듈구조체를 별도의 상부 모듈구조체의 이탈없이 꺼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 구조물 체결구의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 구조물 체결구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 구조물 체결구의 삽입구가 장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 구조물 체결구의 삽입구가 설치되는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 구조물 체결구에 프레임이 형성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 구조물 체결구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 구조물 체결구은 크게 모듈구조체(100), 삽입홈(200), 수용구(300) 및 삽입구(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모듈구조체(100)는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저면부, 전후측면부를 기본 구성으로 하고 추가로 탈착가능한 상면부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육면체, 더욱 바람직하게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 개의 모듈구조체(100)의 측면부가 인접하게 형성되어 복수 열을 형성하고, 모듈구조체(100)의 상면부에 다른 모듈구조체(100)의 저면부가 안착되며 복수 단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모듈구조체(100)가 복수 열, 복수 단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모듈구조체(100)를 당겨 빼내는 방향을 전방이라 하고, 모듈구조체(100)를 밀어 넣는 방향을 후방이라 한다.
상기 삽입홈(200)은 상기 모듈구조체(100)의 모서리에서 후방을 향하여 소정의 깊이로 형성되며, 이때, 상기 모듈구조체(100)의 모서리는 모듈구조체(100)의 전면부의 꼭지점 부위를 지칭한다.
그리고, 상기 수용구(300)는 상기 삽입홈(200)의 후단면에 상기 삽입홈(200)과 연통되게 형성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수용구(300)는 상기 삽입홈(200)의 후단면에 돌출형성되며, 일측에는 절개면(310)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면(310)과 연통하며 상기 삽입구(400)가 수용되어 삽입되는 중 회전을 함에 간섭이 되지 않도록 회전방향과 대응되도록 체결홈(320)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구(40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며 상기 수용구(300)에 삽입된다면 모듈구조체(100) 우측상단모서리에 형성되는 상기 삽입구(400)의 절개면(310)은 위를 향하여 형성되고, 모듈구조체(100) 우측하단모서리에 형성되는 상기 삽입구(400)의 절개면(310)은 좌측 방향을 향하여 형성되고, 모듈구조체(100) 좌측상단모서리에 형성되는 상기 삽입구(400)의 절개면(310)은 아래를 향하여 형성되고, 모듈구조체(100) 좌측하단모서리에 형성되는 상기 삽입구(400)의 절개면(310)은 우측을 향하여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삽입구(400)는 복수 개의 상기 모듈구조체(100)를 적층 및 인접시킨 상태에서, 상기 삽입홈(200)을 통하여 삽입한 뒤에 외력에 따른 회전을 통하여 상기 수용구(300)에 삽입 체결된다.
이때, 상기 삽입구(400)는 체결부재(410)와 외력전달부재(4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상기 체결부재(410)는 방사형으로 이루어지고 걸림턱(411)이 일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체결홈(320)에 삽입되는 체결단부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재(410)의 회전에 따라 상기 걸림턱(411)이 상기 절개면(310)을 통하여 체결홈(320) 내에 위치됨으로써 인접하는 복수 개의 모듈구조체(100)를 결합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외력전달부재(420)는 상기 체결부재(410)의 중심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외부에서 상기 체결부재(410)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외력전달부재(420)의 전단면에 'l' 또는 '+' 형상의 홈을 형성하여 공구를 해당 홈에 끼워넣어 회전을 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상기 외력전달부재(420)의 전방으로 손잡이를 더 형성시켜 사용자가 직접 회전을 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체결홈(320)은, 제1체결홈(321)과 제2체결홈(32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체결홈(321)은, 상기 체결부재(410)의 두께에 대응되도록 이루어져 상기 절개면(310)을 통하여 회전방향을 따라 삽입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2체결홈(322)은, 상기 제1체결홈(321)의 후방으로 연장형성되는 공간을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체결부재(410)가 상기 제1체결홈(321)에 삽입된 상태에서 후방으로 밀려들어가서 위치됨으로써 외부에서 상기 체결부재(410)를 당기지 않으면 회전이 되지 않도록 하여 체결홈(320)으로부터 체결부재(41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삽입홈(200)은 호 형상으로 이루어져 표면에 암나사산(210)이 형성되고, 상기 외력전달부재(420)는 전방 일측에 상기 삽입홈(200)과 대응되게 형성되고 외주면에 숫나사산(431)이 형성되는 결합돌기(430)가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재(410)가 상기 제1체결홈(321)에 삽입되는 중에 상기 암나사산(210)과 상기 숫나사산(431)이 치합된다. 이후 상기 외력전달부재(420)의 회전을 통하여 상기 체결부재(410)가 제1체결홈(321)에서 제2체결홈(322) 내의 위치로 이동된다.
상기 모듈구조체(100)를 전후방으로 이동시켜 이탈 및 삽입을 진행할 시 이동을 견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모듈구조체(100) 일측에는 이송홈을 형성시키고, 상기 모듈구조체(100) 타측에는 이송돌기를 형성시킴으로서 상기 이송홈에 이송돌기가 삽입된 상태에서 전후방 움직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 따른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 구조물 체결구의 사용 순서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모듈구조체(100)를 다열 다층으로 형성시키고 삽입홀 내로 삽입구(400)를 후방을 향하여 밀어넣는다.
이후, 삽입구(400)를 회전시켜 체결단부가 제1삽입홈(200)에 위치시킨 뒤 삽입홈(200)에 형성된 암나사산(210)과 외주면에 숫나사산(431)이 형성된 결합돌기(430)가 맞닿아 치합되고 회전에 따라 숫나사산(431)이 암나사산(210)을 통하여 전방으로 이동이 되고, 이를 통해 체결부재(410)가 제2체결홈(322) 상으로 이동을 하여 체결이 완료된다.
상기 숫나사산(431)과 암나사산(210)이 치합됨에 따라 삽입구(400)를 기준으로 모듈구조체(100)가 당겨지게 됨에 따라 일부의 모듈구조체(100)의 탈거가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프레임이 없이 모듈구조체(100)를 삽입구(400)를 통하여 체결함으로써 보관함을 형성하게 되나, 최외측에 형성되는 모듈구조체(100)의 외측면에 삽입홈(200), 수용구(300)가 형성된 프레임(500)을 형성시켜 삽입구(400)를 삽입홈(200)에 삽입시킨 뒤 회전을 통하여 수용구(300)에 위치시킴으로써 더욱 안정적으로 위치시키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모듈구조체(100)의 상부에 프레임(500)을 형성시킴으로써 더욱 안정적인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상기의 실시예 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포함되어야 한다.
100 : 모듈구조체
200 : 삽입홈
210 : 암나사산
300 : 수용구
310 : 절개면
320 : 체결홈
321 : 제1체결홈
322 : 제2체결홈
400 : 삽입구
410 : 체결부재
411 : 걸림턱
420 : 외력전달부재
430 : 결합돌기
431 : 숫나사산
500 : 프레임

Claims (5)

  1.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 형태의 모듈구조체;
    상기 모듈구조체의 모서리에서 후방을 향하여 소정의 깊이로 형성되는 삽입홈;
    상기 삽입홈의 후단면에 상기 삽입홈과 연통되게 형성되는 수용구;
    복수 개의 상기 모듈구조체를 적층 및 인접시킨 상태에서, 상기 삽입홈을 통하여 삽입한 뒤에 외력에 따른 회전을 통하여 상기 수용구에 삽입 체결되는 삽입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수용구는,
    상기 삽입홈의 후단면에 돌출형성되며, 일측에는 절개면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면과 연통하며 회전방향과 대응되도록 체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구는,
    방사형으로 이루어지고 걸림턱이 일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체결홈에 삽입되는 체결단부가 형성되는 체결부재와, 상기 체결부재의 중심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외부에서 상기 체결부재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외력전달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체결홈은,
    상기 체결부재의 두께에 대응되는 제1체결홈과, 상기 체결부재가 삽입된 상태에서 후방으로 밀려들어가서 위치되는 제2체결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삽입홈은 호 형상으로 이루어져 표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외력전달부재는 전방 일측에 상기 삽입홈과 대응되게 형성되고 외주면에 숫나사산이 형성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재가 상기 제1체결홈에 삽입되며 상기 암나사산과 상기 숫나사산이 치합되며 회전을 통하여 상기 체결부재가 상기 제2체결홈 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 구조물 체결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143323A 2019-11-11 2019-11-11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 구조물 체결구 KR1020840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323A KR102084071B1 (ko) 2019-11-11 2019-11-11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 구조물 체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323A KR102084071B1 (ko) 2019-11-11 2019-11-11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 구조물 체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4071B1 true KR102084071B1 (ko) 2020-03-03

Family

ID=69938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3323A KR102084071B1 (ko) 2019-11-11 2019-11-11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 구조물 체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40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6053B1 (ko) 2020-08-19 2022-02-07 주식회사 에코이 다단 적층이 가능한 조립식수납장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5496U (ko) * 1996-03-09 1997-10-13 조립식 난방패널의 수평조절장치
KR20190120626A (ko) 2018-04-16 2019-10-24 유지열 접철식 보관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5496U (ko) * 1996-03-09 1997-10-13 조립식 난방패널의 수평조절장치
KR20190120626A (ko) 2018-04-16 2019-10-24 유지열 접철식 보관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6053B1 (ko) 2020-08-19 2022-02-07 주식회사 에코이 다단 적층이 가능한 조립식수납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026158A1 (en) Stacking tower assembly
US6371365B1 (en) Display and shipping carton
US6928711B1 (en) Compact space organizational system
US10286540B2 (en) Modular interlocking containers and systems thereof
EP0537147B1 (en) Storage system
AU2014313854B2 (en) Container and method of manufacture
US11453545B2 (en) Nesting packaging design for planters
KR102084071B1 (ko)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 구조물 체결구
US20110180446A1 (en) Container for produce storage, packing & transport
US9810514B2 (en) Ammunition carrier consumer package
US20200039689A1 (en) Connectable pods
US20130068762A1 (en) Assembled Box
US20240067445A1 (en) Nesting packaging design for planters
WO2017183025A2 (en) Tilt bin storage systems
KR101638823B1 (ko) 음식 배달용 조립식 포장박스
KR102356053B1 (ko) 다단 적층이 가능한 조립식수납장
EP3512784B1 (en) Corner connector and container and transport system comprising the same
US20040129655A1 (en) Stackable container, paper holder or the like
CN213677770U (zh) 展示纸盒及展示纸盒组合件
JP3915023B2 (ja) 食品用容器
US6497323B2 (en) Method and system for storing miniatures
TWI639491B (zh) Toolbox structure
JP3779742B2 (ja) 缶状物品収納ケース
JP2022012989A (ja) 収納容器と収納具
JP2009208821A (ja) テープカートリッジの搬送ケ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