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2896B1 - 리턴 벨트컨베이어의 오토 클리닝 시스템 - Google Patents

리턴 벨트컨베이어의 오토 클리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2896B1
KR102102896B1 KR1020190065610A KR20190065610A KR102102896B1 KR 102102896 B1 KR102102896 B1 KR 102102896B1 KR 1020190065610 A KR1020190065610 A KR 1020190065610A KR 20190065610 A KR20190065610 A KR 20190065610A KR 102102896 B1 KR102102896 B1 KR 1021028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conveyor
coal
return
cleaning housing
clea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5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경채
이광호
신성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성더스트킹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성더스트킹,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성더스트킹
Priority to KR1020190065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28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2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28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 B65G45/24Cleaning devices comprising plural diverse clea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20Arrangements of several outlets along elongated bodies, e.g. perforated pipes or troughs, e.g. spray booms; Outlet elements therefor
    • B08B1/002
    • B08B1/005
    • B08B1/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6Rigid blades, e.g. scrapers; Flexible blades, e.g. wipers
    • B08B1/165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20Cleaning of moving articles, e.g. of moving webs or of objects on a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B08B15/02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using chambers or hoods covering the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 B65G45/12Cleaning devices comprising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 B65G45/18Cleaning devices comprising 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 B65G45/26Cleaning devices for gathering residue after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4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석탄 화력발전소의 석탄 이송설비인 리턴 벨트컨베이어에 눌러붙은 잔탄을 제거하여 낙하시킴과 동시에 낙하된 낙탄을 드라이브 슈트로 이동시켜 자동으로 회수할 수 있도록 한 리턴 벨트컨베이어의 오토 클리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석탄을 공급하는 드라이브 슈트로 석탄을 적재하여 이송시키는 벨트컨베이어의 순환동작 중에 리턴 벨트컨베이어의 표면에 눌어붙은 잔탄을 크리너 및 브러시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제거하는 동시에 베이비 컨베이어 상으로 낙하시키고, 낙하된 낙탄을 베이비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다시 드라이브 슈트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바닥의 낙탄 방지를 위한 잔탄의 제거 뿐만 아니라 낙탄의 회수가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리턴 벨트컨베이어의 오토 클리닝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리턴 벨트컨베이어의 오토 클리닝 시스템{AUTO-CLEANING SYSTEM FOR RETURN BELT CONVEYER}
본 발명은 리턴 벨트컨베이어의 오토 클리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석탄 화력발전소의 석탄 이송설비인 리턴 벨트컨베이어에 눌어붙은 다양한 형상의 잔탄을 용이하게 제거하여 낙하시키는 동시에 낙하된 낙탄을 드라이브 슈트로 이송시켜 회수되도록 한 리턴 벨트컨베이어의 오토 클리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석탄 화력발전소의 발전공정은 석탄을 보일러의 노(Furnace) 내로 투입하여 연소시키는 과정과, 연소에 따라 물을 증기화시키는 과정 및 증기화된 수증기로 터빈을 회전시켜 발전을 행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진행된다.
이러한 석탄 화력발전소에는 각 발전공정 간에 석탄을 이송시키기 위하여 벨트컨베이어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 벨트컨베이어는 발전용 원료인 석탄을 적재하여 소정의 위치로 이송시키는 순환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석탄 화력발전소에서 발전용 원료인 석탄을 이송시키는 과정이 반복적으로 진행됨에 따라 리턴 벨트컨베이어의 외표면에 잔탄이 눌어붙거나 리턴 벨트컨베이어의 아래쪽 바닥으로 낙하하는 낙탄 등이 다량으로 발생하여 결국에는 리턴 벨트컨베이어의 순환동작 및 석탄이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과 현장 환경오염 및 낙탄제거 작업 등의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상기 리턴 벨트컨베이어에 별도의 클리너 및 브러시 등을 설치하여 리턴 벨트컨베이어의 외표면에 눌어붙은 잔탄을 제거하고, 또한 리턴 벨트컨베이어의 아래쪽으로 낙하된 낙탄을 제거하는 별도의 처리장치의 설비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리턴 벨트컨베이어에 눌어붙은 잔탄을 제거하는 클리닝 설비로서 드라이브 풀리 밀착형과 에어 분사형 등이 적용되고 있고, 낙탄을 처리하는 설비로는 스크래퍼 체인컨베이어 등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클리닝 설비 및 낙탄처리 설비는 리턴 벨트컨베이어 외표면과의 밀착이 불량할 뿐만 아니라 잦은 고장 내지 고착이나 마모 등의 요인과 석탄 종류의 변동과 계절적 장애요인으로 인하여 리턴 벨트컨베이어 외표면에 눌어붙은 잔탄을 제대로 제거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낙탄 방지효과가 미흡하여 리턴 벨트컨베이어의 전 이동구간에 걸쳐 낙탄이 여전히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고, 이로 인하여 낙탄 회수처리를 위한 별도의 설비 운영 및 제거에 인력동원이 필요하여 설비의 유지 및 관리에 어려움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운전효율성이 향상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리턴 벨트컨베이어의 외표면에 눌어붙어 있는 잔탄을 용이하게 제거함과 함께 낙탄을 자동으로 회수하여 리턴 벨트컨베이어에서 발생하는 낙탄을 예방할 수 있는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605754호(공고일자 2016년03월23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석탄을 공급하는 드라이브 슈트로 석탄을 적재하여 이송시키는 벨트컨베이어의 순환동작 중에 리턴 벨트컨베이어의 외표면에 눌어붙은 잔탄을 크리너와 브러시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제거하는 동시에 베이비 컨베이어 상으로 낙하시키고, 낙하된 낙탄을 베이비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드라이브 슈트로 다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여 잔탄의 제거 뿐만 아니라 낙탄의 회수가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리턴 벨트컨베이어의 오토 클리닝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석탄을 공급하는 드라이브 슈트로 석탄을 적재하여 이송시키는 벨트컨베이어의 하부 리턴 순환구간에 설치되는 클리닝 하우징과, 상기 클리닝 하우징의 일측 입구 및 타측 출구에 장착되어 리턴 벨트컨베이어의 텐션을 유지시키고 클리닝 하우징 내부공기를 차폐시키는 기능의 실링 쿠션롤러와, 상기 클리닝 하우징의 일측 내벽에 장착되어 리턴 벨트컨베이어의 외표면에 눌어붙은 잔탄을 1차 제거하는 복수개의 크리너와, 상기 클리닝 하우징의 타측 내벽에 장착되어 리턴 벨트컨베이어의 외표면에 남은 잔탄을 2차 제거하는 복수개의 브러시 및 상기 클리닝 하우징의 내부 바닥에 순환가능하게 장착되어 리턴 벨트컨베이어로부터 제거되어 낙하시킨 낙탄을 적재하여 상기 드라이브 슈트로 이송시키는 베이비 컨베이어로 구성된 리턴 벨트컨베이어의 오토 클리닝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클리닝 하우징의 바닥층에는 베이비 컨베이어 벨트의 마찰력을 감소시키고 클리닝 하우징 내부의 습분제거로 설비고착을 방지하며 석탄분진이 후드쪽으로 유입되게 하는 에어 공급장치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에어 공급장치는 클리닝 하우징의 바닥층 내부로 연결되는 에어라인과, 클리닝 하우징의 바닥판에 형성되어 클리닝 하우징의 상부로 에어를 분출시키는 다수의 노즐로 구성되며, 상기 노즐은 "T"형 단면 구조를 갖는 몸체부와, 몸체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수직경로 및 수평경로로 구성되되 수평경로의 끝단부는 석탄분진의 유입방지를 위해 하방향으로 꺽어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 해결 수단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르면 석탄을 적재하여 이송시키는 벨트컨베이어의 순환 이동 중에 지정된 한 곳에서 리턴 벨트컨베이어의 외표면에 눌어붙은 잔탄을 복수의 크리너 및 브러시로 제거하여 베이비 컨베이어 상에 낙하시키고, 낙하된 낙탄을 베이비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드라이브 슈트로 다시 자동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리턴 벨트컨베이어의 잔탄을 용이하게 제거할 뿐만 아니라 낙탄의 회수가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르면 리턴 벨트컨베이어에 눌어붙은 잔탄을 제거하는 과정과, 제거된 잔탄을 회수시키는 과정이 낙탄 발생 전에 자동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기존에 낙탄 회수처리를 위한 별도의 설비운영 및 인력동원이 불필요하게 되어 설비의 유지 및 관리에 어려움이 해소됨과 함께 현장 환경오염 방지와 운영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턴 벨트컨베이어의 오토 클리닝 시스템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턴 벨트컨베이어의 오토 클리닝 시스템을 도시한 외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턴 벨트컨베이어의 오토 클리닝 시스템의 브러시가 리턴 벨트컨베이어에 밀착되는 간격을 조절하는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리턴 벨트컨베이어의 오토 클리닝 시스템의 브러시에 끼인 잔탄을 제거하는 브러시 클리너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리턴 벨트컨베이어의 오토 클리닝 시스템의 베이비 컨베이어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리턴 벨트컨베이어의 오토 클리닝 시스템의 클리닝 하우징이 테이크업 장치형으로 적용된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리턴 벨트컨베이어의 오토 클리닝 시스템의 클리닝 하우징이 플루다이징 블러워 장치형으로 적용된 예를 도시한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석탄 화력발전소에서 발전을 하기 위해 연소시키는 석탄을 벨트컨베이어에 의해 이송시키는 경우에 벨트컨베이어의 리턴부의 외표면에 눌어붙은 잔탄을 지정된 장소에서 자동화 설비로 용이하게 제거하여 낙하시킴과 동시에 별도의 장치에 의해 낙하된 낙탄을 드라이브 슈트로 이송시켜 회수함으로써 사전에 낙탄을 방지한다는 점이 그 발명의 주안점이다.
본 발명에서, 리턴 벨트컨베이어는 석탄이 적재되는 상부 로딩부(100a)와 적재된 석탄을 이송하고 순환하는 하부 리턴부(100b)로 이루어진 벨트컨베이어(100)에서 하부 리턴부(100b)를 포함하는 순환구간의 벨트컨베이어를 의미한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턴 벨트컨베이어의 오토 클리닝 시스템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턴 벨트컨베이어의 오토 클리닝 시스템을 도시한 외관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석탄 화력발전소의 소정 위치에는 석탄을 이송시키기 위한 벨트컨베이어(100)가 배치되며, 이 벨트컨베이어(100)는 발전용 연료인 석탄을 적재하여 일정한 장소로 이송시키는 로딩부(100a)와, 석탄을 이송시킨 후에 리턴하는 리턴부(100b)로 이루어져 계속적으로 순환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이러한 벨트컨베이어(100)는 일 예로서 석탄 화력발전소에서 발전을 하기 위해 연소시키는 석탄을 공급하는 단계의 드라이브 슈트(200)로 석탄을 적재하여 이송시킨다.
여기에서, 상기 벨트컨베이어(100)의 하부 순환구간, 즉 드라이브 슈트(200)와 인접되는 위치의 벨트컨베어어(100)의 리턴부(100b)에는 소정 체적의 클리닝 하우징(10)이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벨트컨베이어(100)는 하부 순환구간, 즉 벨트컨베이어(100)의 로딩부(100a)와 리턴부(100b)에서 드라이브 슈트(200)로 석탄을 낙하시킨 후 클리닝 하우징(10)을 통과하는 순환동작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클리닝 하우징(20)의 일측 입구와 타측 출구에는 벨트컨베이어(100)의 리턴부(100b)의 텐션을 유지시키고 클리닝 하우징(10) 내부의 공기를 차폐시키는 실링 쿠션롤러(20)가 장착된다.
이때, 상기 클리닝 하우징(10)의 일측 내벽에는 벨트컨베이어(100)의 리턴부(100b)의 외표면에 눌어붙은 잔탄을 1차로 제거하여 낙하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크리너(30)가 장착된다.
상기 복수개의 크리너(30)는 클리닝 하우징(10)의 일측 바깥쪽 벽면에 장착되어 벨트컨베이어(100)의 리턴부(100b)의 외표면에 눌어붙은 비교적 큰 크기의 잔탄을 긁어서 제거하는 제1 크리너(31)와, 클리닝 하우징(10)의 일측 내벽면에 장착되어 벨트컨베이어(100)의 리턴부(100b)의 외표면에 눌어붙은 잔탄을 차례로 긁어서 제거하는 제2 내지 제4 크리너(32,33,34)로 구성된다.
이렇게 상기 복수개의 크리너(30)에 의하여 벨트컨베이어(100)의 리턴부(100b)의 외표면에 눌어붙은 잔탄이 제거되어도 벨트컨베이어(100)의 리턴부(100b)의 외표면에는 미세한 가루상태의 잔탄이 여전히 눌어붙어 남아 있게 된다.
이에, 상기 클리닝 하우징(10)의 타측 내벽에는 벨트컨베이어(100)의 리턴부(100b)의 외표면에 눌어붙어 남아 있는 잔탄을 2차로 제거하여 낙하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브러시(40)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복수개의 크리너(30)와 브러시(40)는 벨트컨베이어(100)의 리턴부(100b)의 외표면에 눌어붙어 남아 있는 잔탄을 긁어주고, 밀어내고, 두드리고, 털어내고, 닦아주는 등의 각기 다른 기능을 가지는 제1 내지 제4 크리너(31,32,33.34) 및 제1 내지 제3 브러시(41,42,43)를 바람직하게는 설치개소의 잔탄 성향에 따라 모양과 수량을 순차적으로 배열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크리너(30)와 브러시(40)가 벨트컨베이어(100)의 리턴부(100b)의 외표면에 눌어붙은 잔탄을 용이하게 제거하기 위해서는 벨트컨베이어(100)의 리턴부(100b)의 외표면에 대한 크리너(30)와 브러시(40)의 밀착 간격이 정확한 간격으로 조절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첨부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리닝 하우징(10)의 내벽에 구동모터와 동축으로 연결된 브러시(40)를 받쳐주는 받침대(12)가 승강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클리닝 하우징(10)의 바닥면과 받침대(12) 사이에는 회전핸들(13)에 의하여 승강하는 스크류 잭(14)이 장착된다.
이에, 작업자가 스크류 잭(14)의 회전핸들(13)을 조작하면 스크류 잭(14)이 승강하는 동시에 받침대(12)가 승강하게 되고, 받침대(12) 상의 브러시(40) 및 구동모터가 승강하게 됨으로써, 벨트컨베이어(100)의 리턴부(100b)의 외표면에 대한 브러시(40)의 밀착 간격이 적정한 간격으로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일측 및 타측 내벽에 장착된 모든 크리너와 브러시에 적용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브러시(40)가 벨트컨베이어(100)의 리턴부(100b)의 외표면에 눌어붙은 잔탄을 제거하는 동작 중에 미세한 가루상태의 잔탄이 브러시(40)의 각 모 사이에 끼어 브러시(40)의 잔탄 제거의 작동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개의 브러시(40)의 하부에는 브러시(40)가 통과되면서 브러시(40)에 끼여 있는 잔탄을 제거하기 위한 브러시 빗(70)이 배치된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브러시 빗(70)은 브러시(40)의 각 모가 마찰을 하며 통과가능하도록 다수의 바늘상태로 이루어진 마찰판(71)과, 클리닝 하우징(10)의 바닥과 마찰판(71)의 하단부 간에 연결되어 마찰판(71)을 지지하는 지지대(72)로 구성된다.
이에, 상기 브러시(40)가 벨트컨베이어(100)의 리턴부(100b)의 외표면에 대한 잔탄을 제거한 후 브러시 빗(70)의 마찰판(71)을 통과할 때 브러시(40)에 끼인 잔탄이 용이하게 제거됨으로써, 상기 브러시(40)가 항상 벨트컨베이어(100)의 리턴부(100b)의 외표면에 눌어붙은 잔탄을 제거할 수 있는 상태, 즉 부러시(40)의 각 모 사이에 잔탄이 제거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클리닝 하우징(10)의 내부 바닥에는 리턴 벨트컨베이어(100)로부터 제거되어 떨어진 낙탄을 적재하여 상기 석탄을 공급하는 드라이브 슈트(200)로 이송시키는 베이비 컨베이어(50)가 모터구동에 의하여 순환 이송가능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클리닝 하우징(10)의 일측 내벽에 장착된 복수개의 크리너(30)가 벨트컨베이어(100)의 리턴부(100b)의 외표면에 눌어붙은 잔탄을 1차로 제거하는 동시에 1차 제거된 잔탄이 낙하하여 상기 베이비 컨베이어(50) 상에 낙탄으로서 안착하여 적재되고, 이와 함께 상기 클리닝 하우징(10)의 타측 내벽에 장착된 복수개의 브러시(40)가 회전구동하면서 리턴 벨트컨베이어(100)의 외표면에 남은 잔탄을 2차로 제거하는 동시에 2차 제거된 잔탄이 낙하하여 상기 베이비 컨베이어(50) 상에 낙탄으로서 안착하여 적재되게 된다.
이어서, 상기 베이비 컨베이어(50) 상에 안착되어 적재된 낙탄은 베이비 컨베이어(50)의 순환이동에 의하여 상기 드라이브 슈트(200)로 다시 이송된다.
이와 같이, 석탄을 적재하여 이송시키는 벨트컨베이어(100)의 순환이동 중에 지정된 한 곳에서 벨트컨베이어(100)의 리턴부(100b)의 표면에 눌어붙은 잔탄을 복수의 크리너(30) 및 브러시(40)로 제거하여 베이비 컨베이어(50) 상으로 낙하시키고, 낙하된 낙탄을 베이비 컨베이어(50)를 이용하여 드라이브 슈트(200)로 자동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벨트콘베이어(100)의 리턴부(100b)의 표면에 눌어붙은 잔탄이 용이하게 제거되어 낙하됨과 동시에 낙하된 낙탄의 회수가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클리닝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잔탄의 제거 및 낙하로 인한 미세한 석탄분진이 다량으로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클리닝 하우징(10)의 내부 환경을 청결한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석탄분진을 흡입하여 제거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클리닝 하우징(10)의 상부에는 잔탄의 제거 및 낙하로 인한 석탄분진을 흡입하기 위한 후드(11)가 연결되고, 이 후드(11)는 흡입력을 제공하는 더스트 콜렉터(도시 생략)와 연결된다.
한편, 상기 클리닝 하우징(10)의 바닥층에는 석탄분진이 후드(11)쪽으로 유입되도록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에어 공급장치(60)가 장착된다. 이러한 에어 공급장치(60)는 베이비 컨베이어(50)의 벨트의 구동을 용이하도록 온풍을 공급하여 벨트를 부상시켜 마찰력을 줄여 주는 기능을 하는데, 배출되는 온풍은 클리닝 하우징(10)의 내부의 수분을 제거하여 설비의 고착을 방지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에어 공급장치(60)는 에어 컴프레셔로부터 클리닝 하우징(10)의 바닥층 내부로 연결되는 에어라인(62)과, 클리닝 하우징(10)의 바닥판에 형성되어 클리닝 하우징(10)의 상부로 에어를 분출시키는 다수의 노즐(64)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에어 공급장치(60)의 에어라인(62)으로 에어가 공급된 후 노즐(64)을 통해 클리닝 하우징(10)의 상부쪽으로 분출됨으로써, 베이비 컨베이어(50)의 벨트의 마찰력을 감소시키고, 클리닝 하우징(10)의 내부의 습분 제거로 섧비의 고착을 방지하며, 내부의 석탄분진을 상부에 장착된 후드(11)를 통해 외부의 더스트 콜렉터로 포집되도록 함으로써, 석탄분진이 없는 청결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노즐(64)은 "T"형 단면 구조를 갖는 몸체부(64-1)와, 몸체부(64-1)의 내부에 형성되는 수직경로(64-2) 및 수평경로(64-3)로 구성되되 수평경로(64-3)의 끝단부는 석탄분진의 유입방지를 위해 하방향으로 꺽어지게 형성됨으로써, 미세한 석탄분진이 노즐(64)의 수평경로(64-3) 및 수직경로(64-2)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노즐(64)의 막힘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클리닝 하우징(10)을 상하방향의 세로형 구조인 테이크업 장치형으로 적용할 수 있다.
첨부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리턴 벨트컨베이어의 오토 클리닝 시스템의 클리닝 하우징(10)이 테이크업 장치형으로 적용된 예를 나타낸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리닝 하우징(10)이 상하방향으로 길다란 테이크업 장치형 클리닝 하우징(10-1)으로 구비되어 벨트컨베이어(100)의 리턴부(100b)의 테이크업 풀리(15)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위와 마찬가지로, 상기 테이크업 장치형 클리닝 하우징(10-1)의 일측 내벽에는 벨트컨베이어(100)의 리턴부(100b)의 외표면에 눌어붙은 잔탄을 1차로 제거하여 낙하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크리너(30)가 장착되고, 상기 테이크업 장치형 클리닝 하우징(10-1)의 타측 내벽에는 벨트컨베이어(100)의 리턴부(100b)의 외표면에 남아 있는 잔탄을 2차로 제거하여 낙하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브러시(40)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상기 테이크업 장치형 클리닝 하우징(10-1)의 하단부에는 집탄호퍼(17)가 장착되고, 집탄호퍼(17)의 하부 배출구에는 집탄을 드라이브 슈트(200)로 이송시키는 스크류 컨베이어(18)가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테이크업 장치형 클리닝 하우징(10)의 일측 내벽에 장착된 복수개의 크리너(30)가 벨트컨베이어(100)의 리턴부(100b)의 외표면에 눌어붙은 잔탄을 1차로 제거하는 동시에 1차 제거된 잔탄이 낙하하여 상기 집탄호퍼(17)에 낙탄으로서 수집되고, 이와 함께 상기 클리닝 하우징(10)의 타측 내벽에 장착된 복수개의 브러시(40)가 회전구동하면서 벨트컨베이어(100)의 리턴부(100b)의 외표면에 남아 있는 잔탄을 2차로 제거하는 동시에 2차 제거된 잔탄이 낙하하여 상기 집탄호퍼(17)에 낙탄으로서 수집된다.
이어서, 상기 집탄호퍼(17)에 수집된 낙탄은 스크류 컨베이어(18)에 의하여 석탄을 공급하는 드라이브 슈트(200)로 다시 이송된다.
이와 같이, 상기 클리닝 하우징(10)을 테이크업 장치형 클리닝 하우징(10-1)으로 적용한 경우에도 벨트컨베이어(100)의 리턴부(100b)의 외표면에 눌어붙은 잔탄을 복수의 크리너(30) 및 브러시(40)로 제거하여 집탄호퍼(17)로 낙하시키고, 낙하된 낙탄을 스크류 컨베이어(18)를 이용하여 석탄을 공급하는 드라이브 슈트(200)로 자동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벨트컨베이어(100)의 리턴부(100b)의 외표면에 눌러붙은 잔탄을 용이하게 제거함과 동시에 낙탄의 회수가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또 다른 실시예로서 클리닝 하우징(10)을 플루다이징 블로워 장치형으로 적용할 수 있다.
첨부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리턴 벨트컨베이어의 오토 클리닝 시스템의 클리닝 하우징(10)이 플루다이징 블로워 장치형으로 적용된 예를 나타낸다. 여기에서 플루다이징 블로워 장치형은 벨트컨베이어(100)의 리턴부(100b)로부터 제거된 잔탄과 분진을 유동형상으로 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루다이징 블로워 장치형의 클리닝 하우징(10-2)은 가로방향으로 구비되어 소형구조로 할 수 있으며, 상기 플루다이징 블로워 장치형 클리닝 하우징(10-2)의 바닥층에는 플루다이징 피더(81)로 바닥판을 형성하고, 상기 플루다이징 피더(81)은 에어라인(82)에 의하여 블로워(80)과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벨트컨베이어(100)의 리턴부(100b)의 표면에 눌어붙은 잔탄을 복수의 크리너(30) 및 브러시(40)로 제거하면 제거된 잔탄이 플루다이징 피더(81) 위로 떨어지게 되는데, 이때 떨어지는 잔탄과 분진은 플루다이징 피더(81)에서 블로워(80)로부터 공급되는 에어에 의해 후드(11)쪽으로 불어 올리지게 되며, 불어 올려진 잔탄과 분진은 후드(11)에서 더스트 콜렉터의 흡입력으로 흡입되게 되어 더스트 콜렉터의 호퍼로 포집되게 된다.
한편, 상기 블로워(80)와 에어라인(82)로 연결된 플루다이징 피더(81)의 구조는 도 5에 도시된 에어 공급장치(60)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실시예는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발명의 권리범위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고 할 것이다.
10 : 클리닝 하우징 10-1 : 테이크업형 클리닝 하우징
11 : 후드 12 : 받침대
13 : 회전핸들 14 : 스크류 잭
15 : 테이크업 풀리 16 : 웨이트
17 : 집탄호퍼 18 : 스크류 컨베이어
20 : 실링 쿠션롤러 30 : 크리너
31 : 제1 크리너 32 : 제2 크리너
33 : 제3 크리어 34 : 제4 크리너
40 : 브러시 41 : 제1 브러시
42 : 제2 브러시 43 : 제3 브러시
50 : 베이비 컨베이어 60 : 에어 공급장치
62 : 에어라인 64 : 노즐
64-1 : 몸체부 64-2 : 수직경로
64-3 : 수평경로 70 : 브러시 빗
71 : 마찰판 72 : 지지대
80 : 블로워 81 : 플루다이징 피더
100 : 벨트컨베이어 200 : 드라이브 슈트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석탄을 공급하는 드라이브 슈트(200)로 석탄을 적재하여 이송시키는 벨트컨베이어(100)의 하부 순환 구간인 리턴부(100b)에 설치되는 클리닝 하우징(10)과, 상기 클리닝 하우징(10)의 일측 입구 및 타측 출구에 장착되어 벨트컨베이어(100)의 리턴부(100b)의 텐션유지와 클리닝 하우징(10)의 내부 공기를 차폐시키는 기능의 실링 쿠션롤러(20)와, 상기 클리닝 하우징(10)의 일측 내벽에 장착되어 벨트컨베이어(100)의 리턴부(100b)의 외표면에 눌어붙은 잔탄을 1차 제거하는 복수개의 크리너(30)와, 상기 클리닝 하우징(10)의 타측 내벽에 장착되어 벨트컨베이어(100)의 리턴부(100b)의 외표면에 남은 잔탄을 2차 제거하는 복수개의 브러시(40) 및 상기 클리닝 하우징(10)의 내부 바닥에 순환가능하게 장착되어 벨트컨베이어(100)의 리턴부(100b)로부터 제거되어 낙하시킨 낙탄을 적재하여 상기 드라이브 슈트(200)로 이송시키는 베이비 컨베이어(50)로 구성된 리턴 벨트컨베이어의 오토 클리닝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하우징(10)의 바닥층에는 베이비 컨베이어(50) 벨트의 마찰력을 감소시키고 클리닝 하우징(10) 내부의 습분제거로 설비고착을 방지하며 석탄분진이 후드(11)쪽으로 유입되게 하는 에어 공급장치(60)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턴 벨트컨베이어의 오토 클리닝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에어 공급장치(60)는 클리닝 하우징(10)의 바닥층 내부로 연결되는 에어라인(62)과, 클리닝 하우징(60)의 바닥판에 형성되어 클리닝 하우징(10)의 상부로 에어를 분출시키는 다수의 노즐(6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턴 벨트컨베이어의 오토 클리닝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노즐(64)은 "T"형 단면 구조를 갖는 몸체부(64-1)와, 몸체부(64-1) 내부에 형성되는 수직경로(64-2) 및 수평경로(64-3)로 구성되되 수평경로(64-3)의 끝단부는 석탄분진의 유입방지를 위해 하방향으로 꺽어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턴 벨트컨베이어의 오토 클리닝 시스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90065610A 2019-06-03 2019-06-03 리턴 벨트컨베이어의 오토 클리닝 시스템 KR1021028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610A KR102102896B1 (ko) 2019-06-03 2019-06-03 리턴 벨트컨베이어의 오토 클리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610A KR102102896B1 (ko) 2019-06-03 2019-06-03 리턴 벨트컨베이어의 오토 클리닝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2896B1 true KR102102896B1 (ko) 2020-05-29

Family

ID=70911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5610A KR102102896B1 (ko) 2019-06-03 2019-06-03 리턴 벨트컨베이어의 오토 클리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2896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74875A (zh) * 2020-06-19 2020-09-18 蚌埠联玺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清洁式输送装置
CN112090563A (zh) * 2020-09-02 2020-12-18 冒俊 一种矿山煤炭开采洗煤工艺
CN112108439A (zh) * 2020-09-16 2020-12-22 南京业恒达智能系统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选煤厂卫生清洁的智能冲洗系统
CN112794024A (zh) * 2020-12-31 2021-05-14 中铁六局集团公司交通工程分公司 一种基于盾构施工的皮带清扫机及其使用方法
CN112850020A (zh) * 2021-01-14 2021-05-28 拉萨纳龙建筑材料有限公司 一种用于混凝土集料进给装置及方法
CN113636301A (zh) * 2021-07-14 2021-11-12 安徽金星钛白(集团)有限公司 带有清理机构的钛白粉皮带输送装置
KR20220144934A (ko) * 2021-04-20 2022-10-28 한일엔지니어링공업(주) 벨트에 부착된 잔류물을 제거하고 회수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잔류물 자동 처리장치
CN115504190A (zh) * 2022-06-30 2022-12-23 平湖光明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控制的运输用多级带式调速节能输送装置
CN116835271A (zh) * 2023-05-24 2023-10-03 江苏德力重工有限公司 一种带式物料输送机用振动清扫器
KR102669616B1 (ko) 2021-10-20 2024-05-24 김양호 벨트컨베이어용 집진 기구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5139A (ja) * 1994-03-22 1996-09-03 Osaka Shosen Mitsui Senpaku Kk ベルトクリーナ
KR100673854B1 (ko) * 2005-08-31 2007-01-24 주식회사 디앤씨엔텍 컨베이어벨트용 클리닝장치
KR20130098801A (ko) * 2012-02-28 2013-09-05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 컨베이어용 부착광 처리장치
KR101605754B1 (ko) 2014-12-24 2016-03-23 주식회사 포스코 낙탄 처리장치
KR20160056698A (ko) * 2014-11-12 2016-05-20 주식회사 포스코 밸트 컨베이어의 이송물 처리 장치
KR20170073096A (ko) * 2015-12-18 2017-06-28 주식회사 엘지화학 스키드 컨베이어용 청소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키드 컨베이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5139A (ja) * 1994-03-22 1996-09-03 Osaka Shosen Mitsui Senpaku Kk ベルトクリーナ
KR100673854B1 (ko) * 2005-08-31 2007-01-24 주식회사 디앤씨엔텍 컨베이어벨트용 클리닝장치
KR20130098801A (ko) * 2012-02-28 2013-09-05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 컨베이어용 부착광 처리장치
KR20160056698A (ko) * 2014-11-12 2016-05-20 주식회사 포스코 밸트 컨베이어의 이송물 처리 장치
KR101605754B1 (ko) 2014-12-24 2016-03-23 주식회사 포스코 낙탄 처리장치
KR20170073096A (ko) * 2015-12-18 2017-06-28 주식회사 엘지화학 스키드 컨베이어용 청소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키드 컨베이어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74875A (zh) * 2020-06-19 2020-09-18 蚌埠联玺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清洁式输送装置
CN112090563A (zh) * 2020-09-02 2020-12-18 冒俊 一种矿山煤炭开采洗煤工艺
CN112108439B (zh) * 2020-09-16 2022-04-05 南京业恒达智能系统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选煤厂卫生清洁的智能冲洗系统
CN112108439A (zh) * 2020-09-16 2020-12-22 南京业恒达智能系统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选煤厂卫生清洁的智能冲洗系统
CN112794024A (zh) * 2020-12-31 2021-05-14 中铁六局集团公司交通工程分公司 一种基于盾构施工的皮带清扫机及其使用方法
CN112850020A (zh) * 2021-01-14 2021-05-28 拉萨纳龙建筑材料有限公司 一种用于混凝土集料进给装置及方法
KR20220144934A (ko) * 2021-04-20 2022-10-28 한일엔지니어링공업(주) 벨트에 부착된 잔류물을 제거하고 회수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잔류물 자동 처리장치
KR102492027B1 (ko) * 2021-04-20 2023-01-26 한일엔지니어링공업(주) 벨트에 부착된 잔류물을 제거하고 회수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잔류물 자동 처리장치
CN113636301A (zh) * 2021-07-14 2021-11-12 安徽金星钛白(集团)有限公司 带有清理机构的钛白粉皮带输送装置
KR102669616B1 (ko) 2021-10-20 2024-05-24 김양호 벨트컨베이어용 집진 기구
CN115504190A (zh) * 2022-06-30 2022-12-23 平湖光明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控制的运输用多级带式调速节能输送装置
CN115504190B (zh) * 2022-06-30 2023-10-13 平湖光明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控制的运输用多级带式调速节能输送装置
CN116835271A (zh) * 2023-05-24 2023-10-03 江苏德力重工有限公司 一种带式物料输送机用振动清扫器
CN116835271B (zh) * 2023-05-24 2024-01-30 郴州市山腾实业有限责任公司 一种带式物料输送机用振动清扫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2896B1 (ko) 리턴 벨트컨베이어의 오토 클리닝 시스템
CN107413678B (zh) 一种红枣智能精选设备
KR101015999B1 (ko) 양송이버섯 이물질 제거장치
KR101677177B1 (ko) 이물질 제거장치
KR20160056698A (ko) 밸트 컨베이어의 이송물 처리 장치
KR20090030516A (ko) 컨베이어 리턴벨트 표면의 이물질 제거장치
KR101351954B1 (ko) 벨트 표면의 분진 제거 장치
CN212399257U (zh) 一种隔音效果以及打磨工件效果出色的抛丸机
KR20090021668A (ko) 컨베이어 벨트의 세척장치
CN219620171U (zh) 一种光伏输送带的自动清洁装置
KR200484553Y1 (ko) 벨트 컨베이어용 잔류물 회수장치
KR101105357B1 (ko) 이송벨트의 이물질 제거장치
JP3330526B2 (ja) 果菜洗浄装置
CN209566303U (zh) 一种陶瓷工业用清灰装钵一体化装置
KR102322432B1 (ko) 메시컨베이어가 장착된 리턴 벨트컨베이어의 클리닝 시스템
CN211865815U (zh) 一种方便废料收集的滚筒筛
CN110526599B (zh) 一种石灰生产工艺
CN210365572U (zh) 一种用于稻谷生产线的带式输送机
CN112042977A (zh) 一种饲料生产用快速除尘冷却装置
CN215247410U (zh) 一种皮带运输自动除尘系统
CN114029867B (zh) 一种风力发电机塔筒外壁专用抛丸机
CN212971241U (zh) 一种带有鸡蛋清洗功能的分拣台
CN116494141B (zh) 高温高压耐磨耐腐离心泵生产用抛丸机
CN215556829U (zh) 一种袋装水泥输送带的清灰装置
CN219859160U (zh) 干熄焦用皮带机下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