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6698A - 밸트 컨베이어의 이송물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밸트 컨베이어의 이송물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6698A
KR20160056698A KR1020140157349A KR20140157349A KR20160056698A KR 20160056698 A KR20160056698 A KR 20160056698A KR 1020140157349 A KR1020140157349 A KR 1020140157349A KR 20140157349 A KR20140157349 A KR 20140157349A KR 20160056698 A KR20160056698 A KR 201600566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raw material
conveyor
receptacle
dust col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7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40157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56698A/ko
Publication of KR20160056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66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 B65G45/26Cleaning devices for gathering residue after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 B65G45/12Cleaning devices comprising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 B65G45/18Cleaning devices comprising 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30Methods or devices for filling or emptying bunkers, hoppers, tanks, or like container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use in particular 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or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e.g.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30Methods or devices for filling or emptying bunkers, hoppers, tanks, or like container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use in particular 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or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e.g.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65G65/32Fill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30Methods or devices for filling or emptying bunkers, hoppers, tanks, or like container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use in particular 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or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e.g.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65G65/34Emptying devices
    • B65G65/40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 B65G65/46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using screw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밸트 청소시 발생된 원료를 기계적으로 처리하여 작업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밸트 컨베이어의 리턴밸트 하부에서 리턴밸트에 부착된 원료를 제거하는 제거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제거부에 의해 제거된 원료가 포집되는 수거통과, 상기 수거통에 연결되어 수거통 내부의 원료를 이송하는 이송관, 상기 이송관에 설치되어 이송관을 통해 수거통 내부의 원료를 흡입하여 배출시키는 집진기를 포함하는 밸트 컨베이어의 이송물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밸트 컨베이어의 이송물 처리 장치{DEVICE FOR TREATING COAL DETACHED FROM BELT OF CONVEYOR}
본 발명은 밸트 컨베이어 설비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밸트 청소시 발생된 이송물을 처리하기 위한 밸트 컨베이어의 이송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에서 사용되는 코크스를 제조하기 위한 석탄 등의 원료는 밸트 컨베이어를 통해 필요한 공정으로 이송된다.
원료 이송 과정에서 밸트 표면에 부착된 원료는, 원료 이송 후 반대방향으로 진행하는 리턴밸트 쪽에 설치된 스크래퍼 등을 이용하여 리턴밸트 표면에서 제거한다.
그런데, 종래에는 이와 같이 리턴밸트에서 제거된 원료를 처리하기 곤란하여, 원료가 설비 바닥에 그대로 쌓이는 현상이 발생된다. 설비 바닥에 쌓인 원료를 제거하지 않고 장시간 방치할 경우 원료가 밸트와 접촉되면서 밸트가 사행하거나 원료가 다시 밸트나 리턴로러 등에 부착되어 설비 트러블을 일으키게 된다.
또한, 쌓인 원료가 리턴밸트와 접촉되면서 밸트 컨베이어의 구동을 방해하고, 원료와 밸트와의 마찰로 인해 화재가 발생되는 위험이 있다.
이에, 리턴밸트에서 제거되어 설비 바닥에 쌓이는 원료는 적절히 제거해 줘야 하나 작업공간이 협소하고 장비 투입이 곤란하여 종래에는 이를 전적으로 수작업에 의존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작업은 다수의 처리인력이 협소한 공간 내에서 작업해야 하므로 작업이 불편하고 힘들 뿐아니라, 작업 중에 회전체에 협착되는 등의 안전사고의 위험이 높았다.
이에, 밸트 청소시 발생된 원료를 기계적으로 처리하여 작업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된 밸트 컨베이어의 이송물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밸트 청소시 발생된 원료를 다시 밸트 상부로 이동시켜 밸트를 따라 이송시킬 수 있도록 된 밸트 컨베이어의 이송물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처리장치는, 밸트 컨베이어의 리턴밸트 하부에서 리턴밸트에 부착된 원료를 제거하는 제거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제거부에 의해 제거된 원료가 포집되는 수거통과, 상기 수거통에 연결되어 수거통 내부의 원료를 이송하는 이송관, 상기 이송관에 설치되어 이송관을 통해 수거통 내부의 원료를 흡입하여 배출시키는 집진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거통은 리턴밸트의 폭방향으로 배치되고, 일측 선단에 이송관이 연결되며, 바닥면은 리턴밸트의 폭방향을 따라 상기 이송관이 연결된 선단쪽으로 하향 경사진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집진기는 밸트 컨베이어의 상부에 배치되어 집진기로 포집된 원료를 밸트 상에 재투입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집진기는 하단의 출측에 연결되고 선단에는 출구가 형성되어 원료를 밸트 상에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과, 배출관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원료를 이송하는 이송스크류, 상기 이송스크류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이송스크류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거부는 수거통 상부에서 리턴밸트 폭방향으로 배치되며 상부에는 리턴밸트에 접하는 브러쉬 또는 스크래퍼가 더 설치된 구조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밸트 청소시 제거된 원료를 기계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되어 낙하 원료 처리를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처리 작업시 발생할 수 있는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설비바닥 위로 낙하되는 원료를 제거하여 쌓이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낙하 원료에 의한 설비 트러블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밸트에서 제거된 원료를 모아 다시 밸트 상으로 적재시켜 이송되도록 함으로써 원료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밸트 컨베이어의 이송물 처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밸트 컨베이어의 이송물 처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도 1과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밸트 컨베이어의 이송물 처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본 실시예는 원료로 코크스 제조를 위한 석탄을 이송하는 밸트 컨베이어를 예로서 설명한다. 본 장치는 석탄 외에 다양한 원료를 이송하기 위한 밸트 컨베이어에 모두 적용가능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트 컨베이어(100)는 무한궤도 형태의 밸트와, 이 밸트의 양단에 위치하여 밸트를 지지하는 밸트풀리(130)를 포함한다. 이에 상기 밸트가 밸트풀리에 감겨져 밸트풀리의 구동에 따라 이동된다.
상기 밸트는 무한궤도 밸트풀리에 걸쳐져 상하로 나뉘어져 정방향으로 이동하는 상부의 밸트와 밸트풀리를 지나면서 역방향으로 이동되는 하부의 밸트로 구분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정방향으로 이동하는 상부의 밸트를 밸트(110)라 하고, 역방향으로 이동하는 하부의 밸트를 리턴밸트(120)라 한다.
상기 리턴밸트(120) 하부에는 밸트(110) 상에 적재된 원료의 이송 후 계속 밸트에 부착되어 이동되는 원료를 리턴밸트에서 제거하기 위한 제거부(10)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거부(10)는 리턴밸트 폭방향으로 배치되며 상부에는 리턴밸트(120)에 접하는 브러쉬(12)가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브러쉬 외에 스크래퍼 역시 설치 가능하다. 이에, 리턴밸트(120)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원료는 제거부(10)의 브러쉬(12)에 의해 리턴밸트로부터 분리되어 밑으로 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경우, 브러쉬(12)를 이용하여 리턴밸트에 부착된 원료를 제거함으로써, 리턴밸트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처리장치(20)는 상기 리턴밸트(120)의 제거부(10) 아래에 배치되어 리턴밸트 청소시 제거부(10)에 의해 리턴밸트로부터 분리 제거된 원료를 처리하게 된다.
이를 위해 본 처리장치(20)는 상기 제거부(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제거부(10)에 의해 제거된 원료가 포집되는 수거통(22)과, 상기 수거통(22)에 연결되어 수거통(22) 내부의 원료를 이송하는 이송관(24), 상기 이송관(24)에 설치되어 이송관(24)을 통해 수거통(22) 내부의 원료를 흡입하여 배출시키는 집진기(26)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거통(22)은 상단이 개방된 용기 형태의 구조물로, 제거부(10)의 아래쪽에서 리턴밸트(120)의 폭방향으로 배치된다. 이하, 폭방향이라 함은 도2에서 z축 방향을 의미한다. 상기 수거통(22)은 리턴밸트의 폭방향 길이보다 충분히 큰 길이로 형성된다. 이에, 리턴밸트(120)에서 분리 낙하된 원료가 수거통(22)을 벗어나지 않고 모두 수거통(22) 내부로 들어갈 수 있게 있다. 상기 수거통(22)은 제거부(10)의 부러쉬에 의해 리턴밸트에서 분리되어 떨어지는 원료를 충분히 받을 수 있는 정도의 크기면 충분하며 그 형태나 크기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이송관(24)은 수거통(22)으로 낙하된 원료가 이송되는 파이프 구조물로, 수거통(22)의 일측 선단에 설치되어 수거통(22) 내부와 연통된다. 상기 이송관(24)은 수거통(22)에 일측 선단이 연결되고 타측 선단은 집진기(26)와 연결된다. 이에, 집진기(26)가 구동되면 이송관(24)을 통해 흡입압이 발생되어, 수거통(22) 내에 포집된 원료가 이송관(24)을 통해 흡입되어 집진기(26)로 이송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거통(22) 내에 포집된 원료가 이송관(24)을 통해 보다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상기 수거통(22)의 바닥면(23)은 리턴밸트의 폭방향을 따라 상기 이송관(24)이 연결된 선단쪽으로 하향 경사진 구조로 되어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거통(22)의 바닥면(23)은 수평면에 대해 일측으로 기울어져 경사면을 이룬다. 수거통(22)의 하향 경사진 바닥면(23)을 따라 낮은 쪽에 이송관(24)이 연결 설치된다. 이에, 수거통(22) 내부로 유입된 원료는 수거통(22)의 경사진 바닥면(23)을 따라 아래쪽으로 흘러내려가 보다 용이하게 이송관(24)으로 흡입되어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처리장치(20)는 이송관(24)을 통해 집진기(26)로 빨아들인 원료를 밸트(110) 상에 재투입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집진기(26)는 밸트(110)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이송관(24)은 리턴밸트쪽에서 밸트 상부로 연장되어 집진기(26)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집진기(26)는 하단의 출측에 배출관(30)이 설치되어, 집진기(26)로 포집된 원료가 배출관(30)을 통해 밸트(110) 상으로 재투입된다. 상기 배출관(30)은 수평으로 배치되어 일단이 집진기(26)의 하단 출측에 연결되고 타단에는 밸트(110)를 향하는 출구(34)가 형성되어, 원료를 밸트 상으로 배출한다. 상기 배출관(30) 내부에는 원료를 이송하는 이송스크류(32)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배출관(30) 외측에는 상기 이송스크류(32)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이송스크류(32)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36)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집진기 하단에 이송스크류에 의해 원료를 이송하는 배출관을 설치함으로써, 집진기를 통해 수거통 내부 원료를 흡입함과 더불어 집진기 내부 흡입압을 유지한 상태로 원료를 밸트 상에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집진기(26)로 흡입된 원료는 자중에 의해 집진기(26) 하단으로 낙하되어 집진기(26)와 연결된 배출관(30)을 통해 밸트(110) 상으로 재투입된다.
이하, 본 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원료 이송 과정에서 벨트에 부착된 원료는 밸트가 밸트풀리를 지나 역방향으로 진행하면서 리턴밸트(120)에 접하는 제거부(10)의 브러쉬(12)에 의해 분리 제거된다. 리턴벨트에서 제거된 원료는 밑으로 떨어져 제거부(10) 하부에 배치된 수거통(22) 내에 포집된다. 이와같이 리턴밸트에서 분리 제거된 원료는 모두 수거통(22)에 의해 포집되어 모아진다.
수거통(22) 내에 모아진 낙하 원료는 집진기(26)의 구동에 의해 수거통(22) 내에서 배출 처리한다. 즉, 집진기(26)가 구동되면 이송관(24)에 흡입압이 걸리게 된다. 상기 이송관(24)은 수거통(22)에 연결되어 있어서, 수거통(22) 내부로 유입된 원료는 이송관(24)을 통해 빨려들어가 이송관(24)을 따라 집진기(26)로 이송된다. 따라서, 수거통(22) 내에 포집된 원료를 집진기(26)를 통해 수거통(22)에서 배출 처리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수거통(22)으로 포집된 원료를 배출 처리함으로써, 수거통(22) 내에 원료가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수거통(22)에서 배출된 원료는 다시 밸트(110) 위로 되돌려지게 된다. 즉, 상기 집진기(26)로 배출된 원료는 자중에 의해 집진기(26) 하단으로 떨어지고 집진기(26) 하단에 설치된 배출관(30)을 통해 밸트(110) 상부로 다시 투입된다.
배출관(30)에 설치된 구동모터(36)가 회전 작동되면 배출관(30) 내에 설치된 이송스크류(32)가 회전되면서 집진기(26) 하단으로 낙하된 원료를 배출관(30) 선단으로 이송하게 된다. 이송스크류(32)에 의해 이송된 원료는 배출관(30)에 설치된 출구(34)를 통해 밸트(110) 상에 투입된다.
이와 같이, 리턴밸트에서 수거된 원료를 모아 다시 밸트 상에 적재시켜 이송되도록 함으로써 원료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 제거부 12 : 브러쉬
20 : 처리장치 22 : 수거통
23 : 바닥면 24 : 이송관
26 : 집진기 30 : 배출관
32 : 이송스크류 34 : 출구
36 : 구동모터

Claims (5)

  1. 밸트 컨베이어의 리턴밸트 하부에서 리턴밸트에 부착된 원료를 제거하는 제거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제거부에 의해 제거된 원료가 포집되는 수거통과,
    상기 수거통에 연결되어 수거통 내부의 원료를 이송하는 이송관,
    상기 이송관에 설치되어 이송관을 통해 수거통 내부의 원료를 흡입하여 배출시키는 집진기
    를 포함하는 밸트 컨베이어의 이송물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기는 밸트 컨베이어의 상부에 배치되어 집진기로 포집된 원료를 밸트 상에 재투입하는 구조의 밸트 컨베이어의 이송물 처리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통은 리턴밸트의 폭방향으로 배치되고, 일측 선단에 이송관이 연결되며, 바닥면은 리턴밸트의 폭방향을 따라 상기 이송관이 연결된 선단쪽으로 하향 경사진 구조의 밸트 컨베이어의 이송물 처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기는 하단의 출측에 연결되고 선단에는 출구가 형성되어 원료를 밸트 상에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과, 배출관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원료를 이송하는 이송스크류, 상기 이송스크류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이송스크류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더 포함하는 밸트 컨베이어의 이송물 처리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부는 수거통 상부에서 리턴밸트 폭방향으로 배치되며 상부에는 리턴밸트에 접하는 브러쉬 또는 스크래퍼가 더 설치된 구조의 밸트 컨베이어의 이송물 처리 장치.
KR1020140157349A 2014-11-12 2014-11-12 밸트 컨베이어의 이송물 처리 장치 KR201600566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7349A KR20160056698A (ko) 2014-11-12 2014-11-12 밸트 컨베이어의 이송물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7349A KR20160056698A (ko) 2014-11-12 2014-11-12 밸트 컨베이어의 이송물 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6698A true KR20160056698A (ko) 2016-05-20

Family

ID=56103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7349A KR20160056698A (ko) 2014-11-12 2014-11-12 밸트 컨베이어의 이송물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56698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71618A (zh) * 2019-07-03 2019-10-25 中交第一航务工程勘察设计院有限公司 一种回程皮带煤水清扫、物料回用装置
KR102102896B1 (ko) * 2019-06-03 2020-05-29 주식회사 한성더스트킹 리턴 벨트컨베이어의 오토 클리닝 시스템
WO2021035041A1 (en) * 2019-08-20 2021-02-25 Benetech, Inc. Enclosure and dust capture and reclamation system and assembly for a traditional roller conveyor
CN112938411A (zh) * 2021-03-05 2021-06-11 北京和瑞健盛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带式输送机余料回收装置
CN113086674A (zh) * 2021-03-24 2021-07-09 刘绮宇 一种用于锂电池回收的螺旋进料机
CN113560304A (zh) * 2021-07-23 2021-10-29 杭州科技职业技术学院 一种汽车用盘式制动器衬片生产用除尘装置
KR20220144934A (ko) 2021-04-20 2022-10-28 한일엔지니어링공업(주) 벨트에 부착된 잔류물을 제거하고 회수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잔류물 자동 처리장치
KR20220162485A (ko) * 2021-06-01 2022-12-08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석회석 이송용 벨트컨베이어의 고착분진 클링장치
KR102524228B1 (ko) 2021-12-31 2023-04-21 주식회사 마이크로원 벨트 컨베이어 잔여 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벨트 크리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집진 시스템
US11919719B2 (en) 2021-05-13 2024-03-05 Benetech, Inc. Drop and slide out idler assembly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2896B1 (ko) * 2019-06-03 2020-05-29 주식회사 한성더스트킹 리턴 벨트컨베이어의 오토 클리닝 시스템
CN110371618A (zh) * 2019-07-03 2019-10-25 中交第一航务工程勘察设计院有限公司 一种回程皮带煤水清扫、物料回用装置
US11136207B2 (en) 2019-08-20 2021-10-05 Benetech, Inc. Enclosure and dust capture and reclamation system and assembly for a traditional roller conveyor
WO2021035041A1 (en) * 2019-08-20 2021-02-25 Benetech, Inc. Enclosure and dust capture and reclamation system and assembly for a traditional roller conveyor
US11518632B2 (en) 2019-08-20 2022-12-06 Benetech, Inc. Enclosure and dust capture and reclamation system and assembly for a traditional roller conveyor
CN112938411A (zh) * 2021-03-05 2021-06-11 北京和瑞健盛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带式输送机余料回收装置
CN113086674A (zh) * 2021-03-24 2021-07-09 刘绮宇 一种用于锂电池回收的螺旋进料机
KR20220144934A (ko) 2021-04-20 2022-10-28 한일엔지니어링공업(주) 벨트에 부착된 잔류물을 제거하고 회수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잔류물 자동 처리장치
US11919719B2 (en) 2021-05-13 2024-03-05 Benetech, Inc. Drop and slide out idler assembly
KR20220162485A (ko) * 2021-06-01 2022-12-08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석회석 이송용 벨트컨베이어의 고착분진 클링장치
CN113560304A (zh) * 2021-07-23 2021-10-29 杭州科技职业技术学院 一种汽车用盘式制动器衬片生产用除尘装置
CN113560304B (zh) * 2021-07-23 2022-07-26 杭州科技职业技术学院 一种汽车用盘式制动器衬片生产用除尘装置
KR102524228B1 (ko) 2021-12-31 2023-04-21 주식회사 마이크로원 벨트 컨베이어 잔여 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벨트 크리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집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56698A (ko) 밸트 컨베이어의 이송물 처리 장치
CN101954216B (zh) 用于处理冷却润滑剂的装置
KR100673854B1 (ko) 컨베이어벨트용 클리닝장치
KR101677177B1 (ko) 이물질 제거장치
KR200402408Y1 (ko) 컨베이어벨트용 클리닝장치
JP5520264B2 (ja) 搬送穀粒中の粉塵除去方法および横送り穀粒搬送装置
KR20130110510A (ko) 벨트컨베이어용 낙광 제거장치
KR200484553Y1 (ko) 벨트 컨베이어용 잔류물 회수장치
CN113976464A (zh) 一种传动辊检测输送设备及其使用方法
JP2016153108A (ja) 穀類乾燥調製施設の乾式集塵装置
CN206203240U (zh) 一种新型防积渣的链斗输送机
CN207658614U (zh) 冰冻草莓送料收集装置
CN105936574B (zh) 一种带油污泥处理装置
KR101421781B1 (ko) 벨트 컨베이어의 누적탄 제거장치
CN214398660U (zh) 一种皮带机尾滚筒积料自清理装置
CN211140644U (zh) 一种环保型传送带清灰装置
JP4247876B2 (ja) コンベヤ用液切り装置
KR20160015562A (ko) 벨트 컨베이어용 낙탄 처리장치
CN106743348A (zh) 一种食品检测仪输送机
CN218706566U (zh) 传送带清理装置及传送装置
CN212150437U (zh) 一种饲料板式输送机
KR20130046568A (ko) 벨트 컨베이어용 청소장치
KR101899460B1 (ko) 축산폐기물 이송을 위한 컨베이어 벨트 장치
KR100983661B1 (ko) 스와프 처리설비의 필터탱크내 부유물 제거장치
CN103896028A (zh) 一种新型抛料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