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2485A - 석회석 이송용 벨트컨베이어의 고착분진 클링장치 - Google Patents

석회석 이송용 벨트컨베이어의 고착분진 클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2485A
KR20220162485A KR1020210070994A KR20210070994A KR20220162485A KR 20220162485 A KR20220162485 A KR 20220162485A KR 1020210070994 A KR1020210070994 A KR 1020210070994A KR 20210070994 A KR20210070994 A KR 20210070994A KR 20220162485 A KR20220162485 A KR 202201624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belt
limestone
belt conveyor
conveying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0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3481B1 (ko
Inventor
윤철용
현병휴
한정실
Original Assignee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주식회사 한성더스트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주식회사 한성더스트킹 filed Critical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70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3481B1/ko
Publication of KR20220162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24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3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34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 B65G45/24Cleaning devices comprising plural diverse cleaning devices
    • B08B1/002
    • B08B1/005
    • B08B1/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6Rigid blades, e.g. scrapers; Flexible blades, e.g. wipers
    • B08B1/165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20Cleaning of moving articles, e.g. of moving webs or of objects on a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08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fluent solid materials
    • B65G33/14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fluent solid materials comprising a screw or screws enclosed in a tubular 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 B65G45/12Cleaning devices comprising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 B65G45/18Cleaning devices comprising 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 B65G45/26Cleaning devices for gathering residue after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04Conveying materials in bulk pneumatically through pipes or tubes; Air sl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2Granular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석회석 이송용 벨트컨베이어의 고착분진 클링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석회석 이송용 벨트컨베이어의 고착분진 클링장치는, 분진을 이송벨트로 이송하는 벨트컨베이어와, 벨트컨베이어의 이송벨트의 출구측에 구비되어 벨트컨베이어의 상에 고착된 석회석을 분진을 1차적으로 제거하는 스크래퍼와, 벨트컨베이어의 이송벨트의 하부에 구비되고, 스크래퍼에서 미처 못한 제거되지 못한 잔류 분진을 이송벨트에서 제거하는 잔류분진제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석회석 이송용 벨트컨베이어의 고착분진 클링장치{FIXED DUST CLEANING DEVICE OF THE BULK CONVEYOR FOR TRANSPORTING LIMESTONE}
본 발명은 석회석 이송용 벨트컨베이어의 고착분진 클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벨트컨베이어를 이송하면 스크래퍼로 제거하지 못한 잔류 석회석 분진을 복귀하는 컨베이어벨트의 하측방향에 잔류분진제거부를 더 구비함으로써, 잔류된 석회석 분진을 추가적으로 수거하여 보조블로워를 통해 포집호퍼에 포집하고 사일로를 통해 재활용하도록 하는 석회석 이송용 벨트컨베이어의 고착분진 클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석탄화력발전소에서는 석탄 등의 화석연료를 연소시키기 때문에 황산화물(SOx)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황산산화물은 대기오염 및 보일러 설비등의 부식시키는 원인되고 있다.
이에 따라 석탁화력발전소에는 황산화물을 석회석 슬러지에 흡수 반응시켜 제거하고, 부산물로 석고를 발생시키는 환경오염 방지설비인 배연탈황설비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매연탈활성비는 황산화물과 반응시키는 석회석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석회석을 이용시키기 위한 벨트컨베이어가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벨트컨베이어를 이용하여 석회석을 황산물로 반응시키기 위한 장소로 이송시키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석회석을 이송시키는 켄베이어이송장치는 장기간 사용하면 컨베이어의 벨트 상에 석회석이 분진이 눌어 붙게 되고, 이러한 눌어 붙은 분진은 수분과 접촉하여 벨트컨베이어의 상에 고착되게 되어 벨트컨베이어의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벨트컨베이어에 스크랩퍼를 장착하여 고착된 분진을 제거하였으나, 이러한 스크랩퍼 만으로는 벨트컨베이어 상에 부착된 분진이 제대로 제거되지 않는 단점을 갖는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관련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748731호(2018.04.09, 발명의 명칭: 저품위 석회석으로부터 고품위 석회석 선별방법)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석회석 이송용 벨트컨베이어의 고착분진 클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벨트컨베이어를 이송하면 스크래퍼로 제거하지 못한 잔류 석회석 분진을 복귀하는 컨베이어벨트의 하측방향에 잔류분진제거부를 더 구비함으로써, 잔류된 석회석 분진을 추가적으로 수거하여 보조블로워를 통해 포집호퍼에 포집하고 사일로를 통해 재활용하도록 하는 석회석 이송용 벨트컨베이어의 고착분진 클링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석회석 이송용 벨트컨베이어의 고착분진 클링장치는, 분진을 이송벨트로 이송하는 벨트컨베이어; 상기 벨트컨베이어의 이송벨트의 출구측에 구비되어 벨트컨베이어의 상에 고착된 석회석을 분진을 1차적으로 제거하는 스크래퍼; 및 상기 벨트컨베이어의 이송벨트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스크래퍼에서 미처 제거되지 못한 잔류 분진을 이송벨트에서 제거하는 잔류분진제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잔류분진제거부는,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하부에 구비되고, 이송벨트를 이송하는 한 쌍의 이송롤러; 상기 이송벨트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이송벨트의 이송방향을 전환시키는 방향전환롤러; 및 상기 방향전환롤러을 감아 이동하는 상기 이송벨트에서 분진을 제거하고, 제거된 분리된 분진을 포집하여 재활용을 위해 이송하는 분진재활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진재활용부는, 상기 방향전환롤러의 하부에서 상기 이송벨트의 반대면에 접촉되어 상기 이송벨트에 묻어 있는 분진을 제거하는 블러쉬클리너; 및 상기 블러쉬클리너에서 분리된 분진을 포집하여 재활용을 위해 이송하는 분진포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브러쉬클리너는 상기 방향전환롤러의 크기에 대응 형성되되, 상기 이송벨트의 외측면에 부착된 분진을 상기 블러쉬클리너와의 마찰력으로 회전하면서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진포집부는, 송풍을 발생하는 송풍장치; 상기 블러쉬클러너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방향전환롤러와의 마찰력에 의해 상기 이송벨트에서 낙하하는 분진을 보관하는 하우징; 상기 송풍장치에서 발생된 송풍을 이송하여 상기 하우징으로 공급하는 공급관로; 상기 하우징에서 공급된 공기로 분진을 배출하여 이송하는 배출관로; 상기 배출관로에서 이송된 분진을 보관하는 포집호퍼; 및 상기 포집호퍼에 보관된 분진을 이송 보관하여 재활용하는 재활용보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출관로에는 배출되는 분진을 이송력을 도와주기 위한 보조블러워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재활용보관부는, 상기 개폐밸브의 개방에 의해 하강한 분진을 수평으로 안내하는 수평관로; 상기 수평관로에 설치되어 분진을 수평 이송하는 나선이송부재; 상기 나선이송부재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재; 및 상기 수평관로의 출구측에 구비되어 이송된 분진을 저장하는 사일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석회석 이송용 벨트컨베이어의 고착분진 클링장치는, 석회석 이송용 벨트컨베이어의 고착분진 클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벨트컨베이어를 이송하면 스크래퍼로 제거하지 못한 잔류 석회석 분진을 복귀하는 컨베이어벨트의 하측방향에 잔류분진제거부를 더 구비함으로써, 잔류된 석회석 분진을 추가적으로 수거하여 보조블로워를 통해 포집호퍼에 포집하고 사일로를 통해 재활용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회석 이송용 벨트컨베이어의 고착분진 클링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회석 이송용 벨트컨베이어의 고착분진 클링장치의 잔류분진제거부에서, 방향전환벨트 및 브러쉬 클리너의 상세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회석 이송용 벨트컨베이어의 고착분진 클링장치에서, 잔류분진제거부의 주요부 구성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회석 이송용 벨트컨베이어의 고착분진 클링장치에서, 잔류분진제거부의 사일로 측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회석 이송용 벨트컨베이어의 고착분진 클링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회석 이송용 벨트컨베이어의 고착분진 클링장치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회석 이송용 벨트컨베이어의 고착분진 클링장치의 잔류분진제거부에서, 방향전환벨트 및 브러쉬 클리너의 상세도이며,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회석 이송용 벨트컨베이어의 고착분진 클링장치에서, 잔류분진제거부의 주요부 구성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회석 이송용 벨트컨베이어의 고착분진 클링장치에서, 잔류분진제거부의 사일로 측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4을 참조하면, 석회석 이송용 벨트컨베이어의 고착분진 클링장치는, 벨트컨베이어(100), 스크래퍼(200) 및 잔류분진제거부(300)를 포함한다.
벨트컨베이어(100)는 석회식 분진을 이송벨트(110)에 모아서 이송하는 장치로서, 이송벨트(110)를 감아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롤러(14)와, 구동롤러(14)의 회전에 의해 이송벨트(110)를 감아주는 피동롤러(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스크래퍼(200)는 벨트컨베이어(100)의 출구축에 구비되어 벨트컨베이어(110)의 상에 고착된 석회석을 분진을 1차적으로 제거하는 구성이다.
잔류분진제거부(300)는 벨트컨베이어(100)의 이송벨트(110) 하부에 구비되고, 스크래퍼에서 미처 제거되지 못한 잔류 분진을 이송벨트에서 제거하는 구성이다.
잔류분진제거부(300)는 스크래퍼(120)에서 아무리 완벽하게 분진을 제거하더도 제거되지 않는 잔류 분진을 추가적으로 제거해야한 만하다.
즉, 화력발전에서 발생되는 황산물과의 반응을 위해 석회석을 컨베이어벨트(100)로 이송하지만, 주변의 수분을 흡수한 석회석 분진은 이송벨트(110) 상에 눌러붙어 고착화됨으로써, 쉽게 제거가 되지 않는다. 이를 제거하기 위해 이송벨트(110)의 출구측 구동롤러(120) 측에 구비된 스크래퍼(200)를 이용하여 1차적으로 제거하지만, 스크래퍼(200) 만으로는 이송벨트(110)에 늘어 부착된 분진이 쉽게 제거되지 않는 실정이다.
잔류분진제거부(200)는, 컨베이어벨트 하부에 구비되고, 이송벨트를 이송하는 한 쌍의 이송롤러(310)와, 이송벨트(310)의 하부에 구비되고, 이송벨트(310)의 이송방향을 전환시키는 방향전환롤러(320)와, 방향전환롤러(320)를 감아 이동하는 이송벨트(110)에서 분진을 제거하고, 제거된 분리된 분진을 포집하여 재활용을 위해 이송하는 분진재활용부(400)를 포함한다.
좌측의 이송롤러(310)는 수평으로 이동하는 이송벨트를 수직으로 방향으로 전환하여 이송하게 된다. 우측의 이송롤러(310)는 수직 상측으로 이동하는 이송벨트를 수평방향으로 전환하여 이송하게 된다.
방향전환롤러(320)는 180도 이상의 면적으로 이송벨트(110)가 하부로 노출되게 구성된다.
방향전환롤러(320)는 한 쌍의 이송롤러(310)의 하측 중심부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 이유는 좌측의 이송롤러(310)와 우측의 이송롤러(310) 상에 좌우 균형을 맞추기 위함이다.
분진재활용부(400)는, 방향전환롤러(320)의 하부에서 이송벨트(110)의 반대면에 접촉되어 이송벨트(110)에 묻어 있는 분진을 제거하는 블러쉬클리너(410)와, 블러쉬클리너(410)에서 분리된 분진을 포진하여 재활용을 위해 이송하는 분진포집부(420)를 포함한다.
블러쉬클리러(410)는 표면이 거칠게 형성되어 이송벨트(110)를 따라 이송하는 고착화된 분진을 제거할 수 있다.
블러쉬클리너(410)는 미도시된 동력부에 의해 방향전환롤러(320)의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로써, 블러쉬클리너(410)는 이송벨트(110) 상에 부착된 잔류된 석회석 분진을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브러쉬클리너(410)는 방향전환롤러(320)의 크기에 대응 형성되며, 이송벨트(110)의 외측면에 부착된 분진을 블러쉬클리너(410)와의 마찰력으로 회전하면서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분진포집부(420)는, 송풍을 발생하는 송풍장치(421)와, 블러쉬클러너(410)의 하부에 구비되고, 방향전환롤러(320)와의 마찰력에 의해 이송벨트(110)에서 낙하하는 분진을 보관하는 하우징(422)와, 송풍장치(421)에서 발생된 송풍을 이송하여 하우징(422)으로 공급하는 공급관로(423)와, 하우징(422)에서 공급된 공기로 분진을 배출하여 이송하는 배출관로(424)와, 배출관로(423)에서 이송된 분진을 보관하는 포집호퍼(425)와, 포집호퍼(425)에 보관된 분진을 이송 보관하여 재활용하는 재활용보관부(440)를 포함한다.
송풍장치(421)는 컴프레서가 구비된 대형 공기 공급장치이다. 하우징(422)은 방향전환롤러(32)의 상측 부위 이상을 커버하는 높이를 갖는다.
공급관로(423)은 하우징(422)의 하측부위로 진입한다. 배출관로(424)역시 하우징(422)의 하측부위에 분진을 흡입하여 배출한다.
배출관로(424)는 공급관로(423)에 비해 더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안정적인 석회석 분진의 이송 가능하도록 해준다. 특히, 공급관로(423)는 배출관로(424)보다 더 작게 형성됨으로써, 분진의 역류가 이뤄지지 않도록 해준다.
배출관로(424)에는 배출되는 분진을 이송력을 도와주기 위한 보조블러워(427)가 더 구비된다.
보조블러워(72)는 이송되는 공기의 송풍량을 늘려주어 함께 배출되는 분진이 잔류되는 것을 줄이거나 없애도록 해준다.
브러쉬클리너(410)와 보조블로워(427)는 콘트롤박스(43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특히, 컨베이어벨트(100)를 구동하는 구동롤러(120)는 스피드스위치(432)의 조작을 통해 콘트롤박스(430)에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재활용보관부(440)는, 포집호퍼(425)의 개방에 의해 하강한 분진을 수평으로 안내하는 수평관로(442)와, 수평관로(442)의 내부에 설치되어 분진을 수평 이송하는 나선이송부재(443)와, 나선이송부재(443)에 연결되어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재(444)와, 수평관로(444)의 출구측에 구비되어 이송된 분진을 저장하는 사일로(446)를 포함한다.
재활용보관부(440)는 포집호퍼(425)의 하부에 구비되어 포집호퍼(425)에 보관된 분진을 이송을 개폐하는 개폐밸브(441)를 더 포함한다.
수평관로(442)는 2개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수평관로(442)에는 나선이송부재(443)가 각각 설치된다.
사일로(446)에 저장된 분진은 재 사용을 위해 일시 보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회석 이송용 벨트컨베이어의 고착분진 클링장치는, 석회석 이송용 벨트컨베이어의 고착분진 클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벨트컨베이어를 이송하면 스크래퍼로 제거하지 못한 잔류 석회석 분진을 복귀하는 컨베이어벨트의 하측방향에 잔류분진제거부를 더 구비함으로써, 잔류된 석회석 분진을 추가적으로 수거하여 보조블로워를 통해 포집호퍼에 포집하고 사일로를 통해 재활용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벨트컨베이어 110: 이송벨트
120: 구동롤러 130: 피동풀리
200: 스크래퍼 300: 잔류분진제거부
310: 이송벨트 320: 방향전환벨트
400: 분진재활용부 410: 블러쉬클리너
420: 분진포집부 421: 송풍장치
422: 하우징 423: 공급관로
424: 배출관로 425: 포집호퍼
427: 보조블로워 430: 콘트롤박스
432: 스피드스위치 440: 재활용보관부
441: 개폐밸브 442: 수평관로
443: 나선이동부재 444: 동력부재
445: 사일로

Claims (7)

  1. 분진을 이송벨트로 이송하는 벨트컨베이어;
    상기 벨트컨베이어의 이송벨트의 출구측에 구비되어 벨트컨베이어의 상에 고착된 석회석을 분진을 1차적으로 제거하는 스크래퍼; 및
    상기 벨트컨베이어의 이송벨트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스크래퍼에서 미처 제거되지 못한 잔류 분진을 이송벨트에서 제거하는 잔류분진제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회석 이송용 벨트컨베이어의 고착분진 클링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잔류분진제거부는,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하부에 구비되고, 이송벨트를 이송하는 한 쌍의 이송롤러;
    상기 이송벨트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이송벨트의 이송방향을 전환시키는 방향전환롤러; 및
    상기 방향전환롤러을 감아 이동하는 상기 이송벨트에서 분진을 제거하고, 제거된 분리된 분진을 포집하여 재활용을 위해 이송하는 분진재활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회석 이송용 벨트컨베이어의 고착분진 클링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진재활용부는,
    상기 방향전환롤러의 하부에서 상기 이송벨트의 반대면에 접촉되어 상기 이송벨트에 묻어 있는 분진을 제거하는 블러쉬클리너; 및
    상기 블러쉬클리너에서 분리된 분진을 포집하여 재활용을 위해 이송하는 분진포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회석 이송용 벨트컨베이어의 고착분진 클링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클리너는 상기 방향전환롤러의 크기에 대응 형성되되, 상기 이송벨트의 외측면에 부착된 분진을 상기 블러쉬클리너와의 마찰력으로 회전하면서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회석 이송용 벨트컨베이어의 고착분진 클링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분진포집부는,
    송풍을 발생하는 송풍장치;
    상기 블러쉬클러너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방향전환롤러와의 마찰력에 의해 상기 이송벨트에서 낙하하는 분진을 보관하는 하우징;
    상기 송풍장치에서 발생된 송풍을 이송하여 상기 하우징으로 공급하는 공급관로;
    상기 하우징에서 공급된 공기로 분진을 배출하여 이송하는 배출관로;
    상기 배출관로에서 이송된 분진을 보관하는 포집호퍼; 및
    상기 포집호퍼에 보관된 분진을 이송 보관하여 재활용하는 재활용보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회석 이송용 벨트컨베이어의 고착분진 클링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로에는 배출되는 분진을 이송력을 도와주기 위한 보조블러워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회석 이송용 벨트컨베이어의 고착분진 클링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활용보관부는,
    상기 포집호퍼의 개방에 의해 하강한 분진을 수평으로 안내하는 수평관로;
    상기 수평관로에 설치되어 분진을 수평 이송하는 나선이송부재;
    상기 나선이송부재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재; 및
    상기 수평관로의 출구측에 구비되어 이송된 분진을 저장하는 사일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회석 이송용 벨트컨베이어의 고착분진 클링장치.
KR1020210070994A 2021-06-01 2021-06-01 석회석 이송용 벨트컨베이어의 고착분진 클링장치 KR1025234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0994A KR102523481B1 (ko) 2021-06-01 2021-06-01 석회석 이송용 벨트컨베이어의 고착분진 클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0994A KR102523481B1 (ko) 2021-06-01 2021-06-01 석회석 이송용 벨트컨베이어의 고착분진 클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2485A true KR20220162485A (ko) 2022-12-08
KR102523481B1 KR102523481B1 (ko) 2023-04-20

Family

ID=84437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0994A KR102523481B1 (ko) 2021-06-01 2021-06-01 석회석 이송용 벨트컨베이어의 고착분진 클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34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13723A (zh) * 2023-05-19 2023-08-01 山东李楼煤业有限公司 一种煤粉远距离输送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4124A (ko) * 2000-08-16 2002-02-25 이구택 벨트 컨베이어 부착광 제거장치
KR20110060019A (ko) * 2009-11-30 2011-06-08 현대제철 주식회사 이송벨트 세척장치
KR200465248Y1 (ko) * 2011-03-14 2013-02-19 주식회사 대신우레탄 컨베이어 벨트 장치
KR20160056698A (ko) * 2014-11-12 2016-05-20 주식회사 포스코 밸트 컨베이어의 이송물 처리 장치
KR200484553Y1 (ko) * 2015-10-05 2017-10-11 주식회사 대신우레탄 벨트 컨베이어용 잔류물 회수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4124A (ko) * 2000-08-16 2002-02-25 이구택 벨트 컨베이어 부착광 제거장치
KR20110060019A (ko) * 2009-11-30 2011-06-08 현대제철 주식회사 이송벨트 세척장치
KR200465248Y1 (ko) * 2011-03-14 2013-02-19 주식회사 대신우레탄 컨베이어 벨트 장치
KR20160056698A (ko) * 2014-11-12 2016-05-20 주식회사 포스코 밸트 컨베이어의 이송물 처리 장치
KR200484553Y1 (ko) * 2015-10-05 2017-10-11 주식회사 대신우레탄 벨트 컨베이어용 잔류물 회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13723A (zh) * 2023-05-19 2023-08-01 山东李楼煤业有限公司 一种煤粉远距离输送装置
CN116513723B (zh) * 2023-05-19 2023-10-13 山东李楼煤业有限公司 一种煤粉远距离输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3481B1 (ko) 2023-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3481B1 (ko) 석회석 이송용 벨트컨베이어의 고착분진 클링장치
CN110669540A (zh) 一种煤焦化工焦油渣全密封环保回收控制系统
CN113877309A (zh) 一种输送带粉尘收集处理装置
CN102818272A (zh) 一种干式输渣装置、排渣设备及排渣方法
CN211332408U (zh) 一种数控车床加工用铁屑收集装置
CN108529268B (zh) 一种皮带除尘系统
CN216259610U (zh) 一种输送带粉尘收集处理装置
CN201921562U (zh) 一种除尘脱硫系统中的排渣装置
CN116046979A (zh) 一种城镇污水管网沉积物和废气自动同步检测、异位协同处理系统及运行方法
CN206152623U (zh) 生物质烟气多级净化处理装置
CN212943077U (zh) 一种建筑施工用垃圾处理设备
CN201079793Y (zh) 高效线性移动式除尘装置
CN211035817U (zh) 一种煤焦化工焦油渣全密封环保回收控制系统
CN113713547A (zh) 一种用于烟气脱硫脱硝系统的除尘除雾装置
CN216944980U (zh) 具有物料回收功能的大倾角输送机
CN220350000U (zh) 一种硅藻土提油排渣清洁化生产装置
CN211247603U (zh) 一种袋装水泥表面清灰装置
CN213467131U (zh) 一种除尘收集装置
CN217248007U (zh) 一种新型小苏打间接多点给料装置
CN214809829U (zh) 一种落灰处理装置及其半干法脱硫反应器和反应系统
CN215796363U (zh) 一种新型刮板输送机
CN102491063A (zh) 烟尘密闭输送装置
CN210730405U (zh) 一种脱硫剂生产的除尘装置
CN219121062U (zh) 一种集灰装置及烧结机
CN214522842U (zh) 一种便于除烟的包装喷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