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8801A - 벨트 컨베이어용 부착광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벨트 컨베이어용 부착광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8801A
KR20130098801A KR1020120020610A KR20120020610A KR20130098801A KR 20130098801 A KR20130098801 A KR 20130098801A KR 1020120020610 A KR1020120020610 A KR 1020120020610A KR 20120020610 A KR20120020610 A KR 20120020610A KR 20130098801 A KR20130098801 A KR 201300988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hute
collecting
attachment light
spr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0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7557B1 (ko
Inventor
이태연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20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7557B1/ko
Publication of KR20130098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88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7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75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02Chutes of straight form
    • B65G11/026Chutes of straight form for 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20Mean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framework or housings for guiding load-carriers, traction elements or loads supported on mov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 B65G45/12Cleaning devices comprising scrapers
    • B65G45/14Moving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 B65G45/26Cleaning devices for gathering residue after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009Common features for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18Gathering means for material falling from the convey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lt Conveyors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벨트 컨베이어용 부착광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슈트부로 이송물을 낙하시키는 상부벨트컨베이어의 부착광을 제거하는 크리너부 및 슈트부에 설치되고 부착광을 슈트부로 안내하는 부착광처리부를 포함하여, 벨트에 부착된 부착광이 슈트부로 투입됨으로써, 연원료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벨트 컨베이어용 부착광 처리장치{HANDLING DEVICE OF STICKING MATERIAL FOR BELT CONVEYOR}
본 발명은 벨트 컨베이어용 부착광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벨트 컨베이어에 부착된 부착광을 슈트로 공급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부착광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에서 쓰이는 연료나 원료와 같은 이송물은 복수개의 벨트 컨베이어에 의해 원하는 장소로 이송된다.
벨트 컨베이어의 길이가 무한대로 될 수 없기 때문에, 벨트 컨베이어와 벨트 컨베이어 사이에는 슈트(chute)가 구비된다.
슈트는 어느 하나의 벨트 컨베이어에서 이송된 이송물이 다른 하나의 벨트 컨베이어로 낙하되도록 유도하기 위해 덕트 형상을 한다.
한편,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870904호(2008.11.21 등록, 발명의 명칭: 댐퍼 장치가 구비된 벨트 컨베이어의 슈트)가 있다.
본 발명은 벨트 컨베이어에 부착된 부착광을 슈트로 공급하여 부착광의 손실을 방지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부착광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슈트부로 이송물을 낙하시키는 상부벨트컨베이어의 부착광을 제거하는 크리너부; 및 상기 슈트부에 설치되고, 상기 부착광을 상기 슈트부로 안내하는 부착광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부착광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부착광처리부는 상기 슈트부에 설치되고, 상기 크리너부에 의해 낙하되는 부착광이 저장되는 수거부; 및 상기 수거부에 내장되고, 상기 수거부에 저장된 부착광을 상기 슈트부로 이동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한다.
상기 수거부는 상기 슈트부의 외측에 결합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에 설치되어 회전되는 지지롤러; 상기 지지롤러에 안착되고, 상기 슈트부에 형성되는 수거홀에 삽입되는 수거판; 및 상기 지지판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수거판과 결합되어 상기 수거판을 이동시키는 이동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체는 길이가 가변되는 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부는 제1고정물에 양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스프라켓; 제2고정물에 양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스프라켓; 상기 제1스프라켓과 상기 제2스프라켓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상기 제1스프라켓과 상기 제2스프라켓에 감겨 무한궤도 이동되는 구동체인; 및 상기 구동체인에 결합되어 상기 수거부에 저장된 부착광을 상기 슈트부 방향으로 긁어내는 이송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거부는 상기 슈트부 방향으로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수거부에 낙하된 부착광이 경사에 의해 상기 슈트부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부착광 처리장치는 벨트에 부착된 부착광을 낙하시켜 슈트부로 재공급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부착광 처리장치는 수거부가 크리너부에 의해 낙하되는 부착광을 저장하여 부착광 손실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부착광 처리장치는 이송부가 무한궤도 이동되면서 수거부에 저장된 부착광을 슈트부로 공급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부착광 처리장치는 수거부가 이동되어 부착광을 이송부의 작업경로상에 위치시키므로, 부착광이 수거부에 잔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부착광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부착광 처리장치에서 부착광처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서 수거부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수거부가 이동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서 수거부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부착광 처리장치에서 부착광처리부의 수거부가 경사를 갖도록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부착광 처리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부착광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부착광 처리장치에서 부착광처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서 수거부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서 수거부가 이동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도 4에서 수거부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부착광 처리장치에서 부착광처리부의 수거부가 경사를 갖도록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부착광 처리장치(1)에는 크리너부(10) 및 부착광처리부(20)가 구비된다.
참고로, 상부벨트컨베이어(110)에는 벨트(111)가 무한궤도 이동되면서 이송물을 실어 나르고, 슈트부(100)는 상부벨트컨베이어(110)의 단부에 배치되어 상부벨트컨베이어(110)에서 낙하되는 이송물을 하부벨트컨베이어(120)로 안내한다.
슈트부(100)의 일측에는 낙하홀(101)이 형성되고, 상부벨트컨베이어(110)의 일단부는 낙하홀(101)에 삽입되어 이송물을 슈트부(100) 내부로 공급한다.
크리너부(10)는 슈트부(100)로 낙하되지 않고 벨트(111)에 부착된 부착광을 제거한다.
예를 들어, 크리너부(10)에는 고정물에 고정 설치되고 벨트(111)의 하방에 배치되는 설치대(11) 및 설치대(11)에 결합되고 벨트(111)에 밀착되어 부착광을 낙하시키는 패드(12)가 구비된다.
부착광처리부(20)는 슈트부(100)에 설치되고, 벨트(111)에서 낙하된 부착광을 슈트부(100)로 안내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착광처리부(20)에는 수거부(30) 및 이송부(40)가 구비된다.
수거부(30)는 슈트부(100)에 설치되고, 크리너부(10)에서 낙하되는 부착광이 저장된다.
이송부(40)는 수거부(30)에 내장되고, 수거부(30)에 저장된 부착광을 슈트부(100)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벨트(111)에 부착된 부착광이 크리너부(10)에 의해 낙하되어 수거부(30)에 저장되고, 이송부(40)에 의해 수거부(30)에 저장된 부착광이 슈트부(100)로 안내되어 하부벨트컨베이어(120)에 낙하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거부(30)에는 지지판(31), 지지롤러(32), 수거판(33) 및 이동체(34)가 구비된다.
지지판(31)은 슈트부(100)의 외측에 일단부가 결합된다. 이때, 슈트부(100)에는 수거홀(102)이 형성되고, 지지판(31)은 수거홀(102) 하방에 형성되는 슈트부(100)의 외측면에 일단부가 결합되어 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지지롤러(32)는 지지판(31)의 상측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지지롤러(32)는 지지판(31)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된다.
수거판(33)은 지지롤러(32)에 안착된다. 이러한 수거판(33)은 지지롤러(32)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되어 수거홀(102)에 삽입되거나 수거홀(102)에서 인출된다.
예를 들어, 수거판(33)은 상측과 수거홀(102) 방향으로 일측이 개방된 용기 형상을 한다.
이동체(34)는 지지판(31)에 고정 설치된다. 이러한 이동체(34)는 수거판(33)과 결합되어 수거판(33)을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체(34)로는 길이가 가변되는 실린더가 사용된다. 이러한 실린더는 유압 또는 모터의 회전방향에 따라 길이가 변화된다.
이동체(34)는 지지판(31)의 측면(33a)에 결합되고, 길이가 늘어나면 수거판(33)이 수거홀(102)을 통해 슈트부(100) 내부로 삽입된다.
이때, 지지판(31)의 측면(33a)이 이송부(40)에 근접되거나 멀어지도록 이동체(34)의 길이가 조절된다.
도 2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40)에는 제1스프라켓(41), 제2스프라켓(42), 구동모터(43), 구동체인(44) 및 이송판(45)이 구비된다.
제1스프라켓(41)은 제1고정물(51)에 양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예를 들어, 제1고정물(51)은 수거홀(102)이 형성되는 슈트부(100)이며, 제1스프라켓(41)의 회전 중심축은 제1고정물(51)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제1스프라켓(41)의 일부는 수거홀(102)을 통해 슈트부(100) 내부로 삽입된다. 그리고, 제1스프라켓(41)은 수거판(33)에 일부 삽입된다.
제2스프라켓(42)은 제2고정물(52)에 양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예를 들어, 제2고정물(52)은 수거판(33)이 사이에 배치되도록 한 쌍이 이격되고, 제2스프라켓(42)은 수거판(33)에 일부 삽입된다.
구동모터(43)는 제1스프라켓(41)과 제2스프라켓(42)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이들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구동체인(44)은 제1스프라켓(41)과 제2스프라켓(42)에 감긴다. 이때, 제1스프라켓(41)과 제2스프라켓(42)의 외주면에는 요철이 형성되어 구동체인(44)과 맞물린다.
이송판(45)은 구동체인(44)에 결합된다. 이러한 이송판(45)은 구동체인(44)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가 설치되어, 수거부(30)의 수거판(33)에 저장된 부착광을 긁어내어 슈트부(100)로 보낸다.
따라서, 구동모터(43)가 구동되면, 제1스프라켓(41) 또는 제2스프라켓(42)의 회전으로 구동체인(44)이 무한궤도 이동되고, 구동체인(44)에 결합된 이송판(45)이 수거판(33)에 저장된 부착광을 긁어내어 슈트부(100)로 이동시킨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수거부(30)는 슈트부(100) 방향으로 경사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수거부(30)의 경사에 의해 수거부(30)에 저장된 부착광이 흘러내려 슈트부(100)로 재공급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부착광 처리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부벨트컨베이어부(110)의 일단부가 슈트부(100)에 삽입되고, 상부벨트컨베이어부(110)에서 공급된 이송물은 슈트부(100)에 의해 하부벨트컨베이어부(120)에 낙하되어 이동된다.
이때, 상부벨트컨베이어부(110)의 벨트(111)에는 부착광이 부착되고, 크리너부(10)가 벨트(111)에 부착된 부착광을 제거한다.
벨트(111)에 부착된 부착광은 크리너부(10)에 의해 낙하되어 하방에 설치되는 수거판(33)에 저장되고, 수거판(33)에 내장된 이송부(40)는 무한궤도 이동되면서 이송판(45)이 수거판(33)에 저장된 부착광을 슈트부(100)로 이동시킨다.
한편, 평상시 벨트(111)에서 낙하되는 부착광의 낙하지점이 광범위하여 이동체(34)는 길이가 줄어든 상태를 유지한다(도 2와 도 3 참조).
이때, 제2스프라켓(42)과 수거판(33)의 측면(33a) 사이의 공간으로 부착광이 누적될 수 있으며, 이 지점에 누적된 부착광은 이송부(40)의 이송판(45) 이동경로 밖에 위치된다.
따라서, 주기적으로 이동체(34)의 길이가 늘어나 수거판(33)이 슈트부(100) 방향으로 이동되면, 수거판(33)의 측면(33a)이 이송부(40)에 근접되어 부착광이 이송판(45)의 이동경로에 위치된다(도 4와 도 5 참조).
이와 같이 부착광이 이송판(45)의 이동경로에 위치되면, 이송판(45)에 의해 부착광이 슈트부(100)에 투입된다.
한편, 수거부(30)는 부착광의 이동을 유도하도록 경사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도 6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부착광 처리장치(1)는 벨트(111)에 부착된 부착광을 낙하시켜 슈트부(100)로 재공급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부착광 처리장치(1)는 수거부(30)가 크리너부(10)에 의해 낙하되는 부착광을 저장하여 부착광 손실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부착광 처리장치(1)는 이송부(40)가 무한궤도 이동되면서 수거부(30)에 저장된 부착광을 슈트부(100)로 공급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부착광 처리장치(1)는 수거부(30)가 이동되어 부착광을 이송부(40)의 작업경로상에 위치시키므로, 부착광이 수거부(30)에 잔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크리너부 20 : 부착광처리부
30 : 수거부 31 : 지지판
32 : 지지롤러 33 : 수거판
34 : 이동체 40 : 이송부
41 : 제1스프라켓 42 : 제2스프라켓
43 : 구동모터 44 : 구동체인
45 : 이송판 100 : 슈트부
110 : 상부벨트컨베이어부 120 : 하부벨트컨베이어부

Claims (5)

  1. 슈트부로 이송물을 낙하시키는 상부벨트컨베이어의 부착광을 제거하는 크리너부; 및
    상기 슈트부에 설치되고, 상기 부착광을 상기 슈트부로 안내하는 부착광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부착광처리부는
    상기 슈트부에 설치되고, 상기 크리너부에 의해 낙하되는 부착광이 저장되는 수거부; 및
    상기 수거부에 내장되고, 상기 수거부에 저장된 부착광을 상기 슈트부로 이동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부착광 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부는
    상기 슈트부의 외측에 결합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에 설치되어 회전되는 지지롤러;
    상기 지지롤러에 안착되고, 상기 슈트부에 형성되는 수거홀에 삽입되는 수거판; 및
    상기 지지판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수거판과 결합되어 상기 수거판을 이동시키는 이동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부착광 처리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는 길이가 가변되는 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부착광 처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제1고정물에 양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스프라켓;
    제2고정물에 양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스프라켓;
    상기 제1스프라켓과 상기 제2스프라켓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상기 제1스프라켓과 상기 제2스프라켓에 감겨 무한궤도 이동되는 구동체인; 및
    상기 구동체인에 결합되어 상기 수거부에 저장된 부착광을 상기 슈트부 방향으로 긁어내는 이송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부착광 처리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부는 상기 슈트부 방향으로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수거부에 낙하된 부착광이 경사에 의해 상기 슈트부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부착광 처리장치.
KR1020120020610A 2012-02-28 2012-02-28 벨트 컨베이어용 부착광 처리장치 KR1013575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0610A KR101357557B1 (ko) 2012-02-28 2012-02-28 벨트 컨베이어용 부착광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0610A KR101357557B1 (ko) 2012-02-28 2012-02-28 벨트 컨베이어용 부착광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8801A true KR20130098801A (ko) 2013-09-05
KR101357557B1 KR101357557B1 (ko) 2014-02-03

Family

ID=49450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0610A KR101357557B1 (ko) 2012-02-28 2012-02-28 벨트 컨베이어용 부착광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755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66321A (zh) * 2015-12-16 2016-03-02 太原重工股份有限公司 转载设备
CN106219191A (zh) * 2016-08-26 2016-12-14 上海科大重工集团有限公司 一种环保输送机
CN108405342A (zh) * 2018-05-29 2018-08-17 湘西沃康油业科技有限公司 一种纳米超细竹纤维粘壳选籽机
CN110745494A (zh) * 2019-10-29 2020-02-04 三一汽车制造有限公司 清理装置、皮带输送机和搅拌站
KR102102896B1 (ko) * 2019-06-03 2020-05-29 주식회사 한성더스트킹 리턴 벨트컨베이어의 오토 클리닝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1630B1 (ko) * 1997-12-24 2002-07-06 이구택 배합원료처리슈트의부착광생성방지장치
KR100688123B1 (ko) * 2005-06-28 2007-03-02 태성개발(주) 건설폐기물의 선별 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100752127B1 (ko) 2006-07-06 2007-08-24 주식회사 포스코 부착광 생성 방지장치 및 방법
KR100870904B1 (ko) 2008-09-02 2008-11-28 한국산기 주식회사 댐퍼 장치가 구비된 벨트 컨베이어의 슈트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66321A (zh) * 2015-12-16 2016-03-02 太原重工股份有限公司 转载设备
CN105366321B (zh) * 2015-12-16 2018-04-24 太原重工股份有限公司 转载设备
CN106219191A (zh) * 2016-08-26 2016-12-14 上海科大重工集团有限公司 一种环保输送机
CN108405342A (zh) * 2018-05-29 2018-08-17 湘西沃康油业科技有限公司 一种纳米超细竹纤维粘壳选籽机
KR102102896B1 (ko) * 2019-06-03 2020-05-29 주식회사 한성더스트킹 리턴 벨트컨베이어의 오토 클리닝 시스템
CN110745494A (zh) * 2019-10-29 2020-02-04 三一汽车制造有限公司 清理装置、皮带输送机和搅拌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7557B1 (ko) 2014-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7557B1 (ko) 벨트 컨베이어용 부착광 처리장치
CN205685122U (zh) 一种无心磨床用龙门式自动接送料装置
JP2009008904A5 (ko)
KR20090030516A (ko) 컨베이어 리턴벨트 표면의 이물질 제거장치
JP6639613B2 (ja) 靴底の輸送機構
CN205771894U (zh) 一种滚轮输送装置
KR101355517B1 (ko) 트리퍼 장치
KR20160047941A (ko) 컨베이어 장치
KR101320660B1 (ko) 회전슈트
KR20150053469A (ko) 콘베이어 벨트 표면부 클리닝 장치
KR20140041174A (ko) 부착광 제거용 슈트
CN102862387A (zh) 一种喷墨印刷设备
KR20130046568A (ko) 벨트 컨베이어용 청소장치
KR101411848B1 (ko) 이송물 충돌 방지용 슈트
EP173627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ling metal bars in a bar cutting plant
KR20130002414A (ko) 이동슈트
KR20130088389A (ko) 이송물 낙하 조절장치
JP2007169031A (ja) スクレーパコンベア
KR20120121544A (ko) 이송벨트 클리닝 장치
KR101424456B1 (ko) 벨트 컨베이어
KR101007557B1 (ko) 운전중 정비가 가능한 컨베이어
KR101295744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
KR20160001528A (ko) 스태커 리크레이머
KR101277534B1 (ko) 빈 트리퍼
KR101377518B1 (ko) 누적광 제거용 슈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