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2027B1 - 벨트에 부착된 잔류물을 제거하고 회수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잔류물 자동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벨트에 부착된 잔류물을 제거하고 회수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잔류물 자동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2027B1
KR102492027B1 KR1020210051428A KR20210051428A KR102492027B1 KR 102492027 B1 KR102492027 B1 KR 102492027B1 KR 1020210051428 A KR1020210051428 A KR 1020210051428A KR 20210051428 A KR20210051428 A KR 20210051428A KR 102492027 B1 KR102492027 B1 KR 1024920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transfer
conveyor
residue
power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1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4934A (ko
Inventor
문풍호
Original Assignee
한일엔지니어링공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일엔지니어링공업(주) filed Critical 한일엔지니어링공업(주)
Priority to KR1020210051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2027B1/ko
Publication of KR20220144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49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2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20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 B65G45/26Cleaning devices for gathering residue after cleaning
    • B08B1/002
    • B08B1/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6Rigid blades, e.g. scrapers; Flexible blades, e.g. wipers
    • B08B1/165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20Cleaning of moving articles, e.g. of moving webs or of objects on a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9/00Conveyors comprising an impeller or a series of impellers carried by an endless traction element and arranged to move articles or materials over a supporting surface or underlying material, e.g. endless scraper conveyors
    • B65G19/14Conveyors comprising an impeller or a series of impellers carried by an endless traction element and arranged to move articles or materials over a supporting surface or underlying material, e.g. endless scraper conveyors for moving bulk material in closed conduits, e.g.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9/00Conveyors comprising an impeller or a series of impellers carried by an endless traction element and arranged to move articles or materials over a supporting surface or underlying material, e.g. endless scraper conveyors
    • B65G19/18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1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 B65G21/12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to allow adjustment of position of load-carrier or traction element as a wh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08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fluent solid materials
    • B65G33/1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fluent solid materials with non-enclosed 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24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 B65G45/12Cleaning devices comprising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 B65G45/18Cleaning devices comprising 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14Combination of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5Screw-conveyors
    • B65G2812/0505Driving means, constitutive elements or auxiliary devices
    • B65G2812/0544Houses or frames
    • B65G2812/055Connec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5Screw-conveyors
    • B65G2812/0577Screw-conveyors for bulk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crew Conveyors (AREA)

Abstract

벨트 컨베이어 장치의 벨트에 부착된 잔류물을 회수하기 위해서 복수의 컨베이어 이송장치가 서로 직교하거나 또는 교차하여 배치됨으로써 잔류물을 분리해 이송하기 위한 잔류물 자동 처리장치(1)가 개시된다. 이러한 잔류물 자동 처리장치(1)는, 벨트(330a, 330b)에 부착된 잔류물을 분리하도록 벨트(330a, 330b)에 폭방향으로 접촉하는 크리너(130)와, 벨트(330a, 330b)에 폭방향으로 설치된 스크류축(111)의 외주면에 나선방향으로 스크류(113)가 감겨진 제1의 이송유닛(110)에 의해 잔류물을 이송하는 제1의 이송컨베이어(100)와, 제1의 이송유닛(110)을 수용하는 제1의 이송컨베이어 케이싱(150)과, 구동풀리(211)와 종동풀리(212)에 감겨진 제2의 이송유닛(210)에 의해 잔류물을 이송하는 제2의 이송컨베이어(200)와, 스크류축(111) 및 구동풀리(211) 또는 종동풀리(212)와 동축으로 연결되는 동력전달축(120)과, 제2의 이송유닛(210) 및 동력전달축(120)을 수용하며 잔류물이 통과하는 제2의 이송컨베이어 케이싱(250)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복수의 구동계를 채용하는 종래와 달리, 동력전달축을 매개로 일체로 연결되어 하나의 구동계로 동작 및 제어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이송 효율이 향상되며, 구동 및 제어가 쉬워질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해지고 작업이 편리하고 유지 관리가 쉬워진다.

Description

벨트에 부착된 잔류물을 제거하고 회수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잔류물 자동 처리장치{DEVICE FOR AUTO MANAGING RESIDUE OF BELT CONVEYOR FOR COLLECTING RESIDUE REMAINED ON BELT}
본 발명은 벨트 컨베이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벨트면의 잔류물을 제거하고 이를 회수하기 위한 벨트 컨베이어용 잔류물 자동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석탄이나 곡물 기타 다양한 원료나 재료를 이송하기 위해 벨트 컨베이어 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상기 벨트 컨베이어 장치의 경우, 구동 및 종동의 벨트풀리에 벨트가 감겨져서 무한궤도 방식으로 이동되면서 이송물을 이송한다. 그런데, 벨트에 잔류물이 부착되어 쌓일 경우, 벨트가 사행하거나 트러블이 발생하여 이송 작업이 원할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벨트 컨베이어 장치의 벨트 리턴 측에 스크래핑 블레이드나 롤러 브러쉬 등을 설치하여 잔류물이 제거되도록 한다. 그런데, 벨트로부터 잔류물이 제거될 때, 잔류물의 비산이나 바닥에 쌓이게 되어 작업 환경이 열악해지므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잔류물을 회수하는 방안이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6-0056698(벨트 컨베이어의 이송물 처리 장치)로 개시된다.
상기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벨트 컨베이어(100)의 리턴벨트(120) 하부에 폭 방향으로 설치된 브러쉬(12) 또는 스크래퍼는 리턴벨트(120)에 잔류하는 원료를 분리하여 수거통(22)으로 낙하시켜 포집한다. 수거통(22)과 연결된 이송관(24)은 집진기(26)와 연결되므로, 집진기(26)는 수거통(22)에 포집된 원료를 이송관(24)을 통해 흡입하여 배출시킨다. 이송관(24)을 통한 원료의 배출은 벨트(110) 상에 재투입하게 이루어지며, 이를 위해 집진기(26)는 벨트(110)의 상부에 배치되고, 이송관(24)은 리턴벨트쪽에서 벨트 상부로 연장되어 집진기(26)와 연결된다. 집진기(26)는 하단의 출측에 배출관(30)이 설치되어, 집진기(26)로 포집된 원료가 배출관(30)을 통해 벨트(110) 상으로 재투입된다. 배출관(30)은 일단이 집진기(26)의 하단 출측에 연결되고 타단에는 벨트(110)를 향하는 출구(34)가 형성되어, 원료를 벨트 상으로 배출한다. 배출관(30) 내부에는 원료를 이송하는 이송스크류(32)가 구동모터(36)와 연결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집진기(26)로 흡입된 원료는 자중에 의해 집진기(26) 하단으로 낙하되어 집진기(26)와 연결된 배출관(30)을 통해 벨트(110) 상으로 재투입된다.
그러나, 복수의 이송유닛이 복합해 이루어진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이송물 처리 장치는 배출관(30)에 설치된 이송스크류(32)의 구동원인 구동모터(36)가 벨트 컨베이어(100)의 구동원과는 독립되므로, 구성되어진 이송유닛 간의 유기적 결합성이 부족하고 이송물 처리 장치의 운용 효율에도 한계가 있다.
한편, 복합 컨베이어 이송장치는 그 일예들이 일본국 특허공개의 JP2001-39528(2001년 02월 13일 공개), 일본국 특허의 JP5617702(2014년 09월 26일 등록) 및 미국 특허의 US 6,296,106 B1로 개시되고 있다. 상기 복합 컨베이어 이송장치의 경우, 수평 및 수직의 서로 교차하는 케이싱 내에 회전축을 설치함에 있어 회전축의 배치나 간격 조정을 통해 그 내부에서 서로 간섭을 줄이거나 청소나 세정의 편의를 도모한다.
그러나, 상기 복합 컨베이어 이송장치 또한 하나의 케이싱 내에서 여러개의 컨베이어 라인을 형성함에 있어, 각각의 회전축 또는 이송축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지 못하여 간섭의 여지가 있으며, 각각의 컨베이어 라인이 독립하여 구동되기 때문에 여전히 이송효율이 낮고 구조가 복합하여 유지 보수가 어려운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6-0056698 일본국 특허공개 JP2001-39528 일본국 특허 JP5617702 미국 특허 US 6,296,10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벨트에 부착되어 잔류하는 잔류물을 회수해서 이송을 위해 벨트에 재투입할 목적으로 복수의 이송유닛이 서로 교차하거나 직교하여 배치되는 벨트 컨베이어용 잔류물 자동 처리장치에 있어 하나의 케이싱 내에서 복수의 이송유닛이 유기적으로 결합되도록 하여 구조가 보다 간단하고 운용효율이 개선될 수 있는 벨트 컨베이어용 잔류물 자동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잔류물 자동 처리장치는, 벨트 컨베이어 장치의 벨트에 부착된 잔류물을 분리하도록 벨트에 폭방향으로 접촉하는 크리너; 상기 벨트에 폭방향으로 설치된 스크류축의 외주면에 나선방향으로 스크류가 감겨진 제1의 이송유닛에 의해 잔류물을 이송하는 제1의 이송컨베이어; 상기 스크류축과 일체로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동력전달축; 상기 제1의 이송유닛이 수용됨으로써 벨트에서 분리된 잔류물이 이송될 수 있도록 제1의 이송로를 제공하며, 상기 동력전달축이 노출될 수 있도록 개구부가 마련된 제1의 이송컨베이어 케이싱; 상기 구동풀리와 종동풀리에 감겨진 제2의 이송유닛에 의해 잔류물을 이송하고, 상기 동력전달축이 구동풀리와 종동풀리 중 어느 하나의 풀리와 일체로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제2의 이송컨베이어; 그리고 상기 제2의 이송유닛 및 동력전달축이 수용됨으로써 잔류물이 이송될 수 있도록 제2의 이송로를 제공하며, 상기 제1의 이송로와 제2의 이송로가 연통하여 잔류물이 이송될 수 있도록 개구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2의 이송로를 통해 이송된 잔류물이 벨트에 배출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제2의 이송컨베이어 케이싱;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잔류물 자동 처리장치의 경우 벨트 컨베이어 장치의 벨트에 폭방향으로 접촉된 크리너가 벨트에 부착된 잔류물을 분리해서 제1의 이송컨베이어와 제2의 이송컨베이어를 통해 비산 없이 벨트에 토출하므로 이송물의 손실을 줄이고 벨트 컨베이어 장치의 이송률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동력전달축을 매개로 제1의 이송컨베이어와 제2의 이송컨베이어가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구조가 보다 간단하고 구동 효율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벨트 컨베이어 장치에 설치된 잔류물 자동 처리장치 일측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외관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벨트 컨베이어 장치에 설치된 잔류물 자동 처리장치 타측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외관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벨트 컨베이어 장치에 설치된 잔류물 자동 처리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잔류물 자동 처리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외관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잔류물 자동 처리장치의 제2의 이송컨베이어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잔류물 자동 처리장치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 3의 A-A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우측면도이며,
도 7은 도 6에 도시한 크리너와 제1의 이송컨베이어와 제2의 이송컨베이어 간의 결합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며,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잔류물 자동 처리장치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 3의 A-A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우측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잔류물 자동 처리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외관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제2의 이송컨베이어 케이싱의 회전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로서 제1의 이송컨베이어 케이싱과 제2의 이송컨베이어 케이싱의 연결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 10의 "A" 부분의 케이싱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제2의 이송컨베이어 케이싱이 각도 회전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벨트 컨베이어용 잔류물 자동 처리장치를 설명한다. 벨트 컨베이어용 잔류물 자동 처리장치는, 벨트 컨베이어 장치의 벨트에 부착된 잔류물을 분리하도록 벨트에 폭방향으로 접촉하는 크리너; 상기 벨트에 폭방향으로 설치된 스크류축의 외주면에 나선방향으로 스크류가 감겨진 제1의 이송유닛에 의해 잔류물을 이송하는 제1의 이송컨베이어; 상기 스크류축과 일체로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동력전달축; 상기 제1의 이송유닛이 수용됨으로써 벨트에서 분리된 잔류물이 이송될 수 있도록 제1의 이송로를 제공하며, 상기 동력전달축이 노출될 수 있도록 개구부가 마련된 제1의 이송컨베이어 케이싱; 상기 구동풀리와 종동풀리에 감겨진 제2의 이송유닛에 의해 잔류물을 이송하고, 상기 동력전달축이 구동풀리와 종동풀리 중 어느 하나의 풀리와 일체로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제2의 이송컨베이어; 그리고 상기 제2의 이송유닛 및 동력전달축이 수용됨으로써 잔류물이 이송될 수 있도록 제2의 이송로를 제공하며, 상기 제1의 이송로와 제2의 이송로가 연통하여 잔류물이 이송될 수 있도록 개구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2의 이송로를 통해 이송된 잔류물이 벨트에 배출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제2의 이송컨베이어 케이싱;을 포함한다. 상기 크리너는 브러쉬 또는 스크래퍼가 벨트의 외면과 내면 중 하나 이상에 접촉하거나, 브러쉬가 상기 벨트의 외면 또는 내면에 접촉하고 스크래퍼가 다른 일면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스크래퍼는, 상기 스크류축과 연동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나선방향으로 감겨져서 벨트면과 접촉하는 크리닝 스크류가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의 이송컨베이어 케이싱과 연통하게 연결된 집진관과, 상기 집진관의 공기에서 분진을 필터링하도록 내설된 필터와, 상기 제2의 이송컨베이어 케이싱 내에 공기를 집진관으로 흡기해서 배출하는 집진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의 이송컨베이어 케이싱에는 크리너에 의해 벨트로부터 분리된 잔류물의 투입구가 마련되고, 상기 제2의 이송컨베이어 케이싱에는 잔류물의 배출관이 마련되고; 상기 제1의 이송컨베이어 케이싱의 개구부는, 상기 제1의 이송로와 제2의 이송로가 높이 차이를 가지고 제2의 이송로의 단면이 확장되도록 체인 컨베이어 케이싱에 연결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제2의 이송컨베이어 케이싱에는, 원호면으로 형성된 구름면부가 마련되며; 상기 구름면부가 스크류축 또는 동력전달축의 축선을 중심으로 각도 회전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받침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제2의 이송컨베이어 케이싱은, 상기 제1의 이송로와 연통할 수 있도록 관통공이 형성됨과 동시에 체결볼트가 고정된 연결구를 구비하며; 상기 제1의 이송컨베이어 케이싱의 개구부에는, 상기 체결볼트가 동력전달축의 축선을 중심으로 각도 회전할 수 있도록 장공의 볼트공이 마련된 연결플랜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받침프레임에는, 상기 구름면부와 구름접촉할 수 있도록 장착된 지지롤러를 구비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구에는, 원호면으로 가공된 안착면부가 마련되며; 상기 받침프레임은, 상기 연결구의 안착면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요홈이 마련되고, 상기 제2의 이송컨베이어 케이싱이 동력전달축의 축선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안내하는 가이드체를 구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벨트 컨베이어용 잔류물 자동 처리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벨트 컨베이어 장치에 설치된 잔류물 자동 처리장치 일측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외관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벨트 컨베이어 장치에 설치된 잔류물 자동 처리장치 타측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외관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벨트 컨베이어 장치에 설치된 잔류물 자동 처리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잔류물 자동 처리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외관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잔류물 자동 처리장치의 제2의 이송컨베이어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잔류물 자동 처리장치(1)는, 제1의 이송컨베이어(100)와 제2의 이송컨베이어(200)와 크리너(130)가 일체로 결합된 장치로서, 이송유닛(110, 210)과 케이싱(150, 250)을 포함한다.
본 실시 예의 이송유닛(110, 210)은, 스크류(113)의 나선운동에 따라 잔류물을 이송하기 위한 제1의 이송유닛(110), 구동풀리(211)와 종동풀리(212)에 감겨진 체인(216)의 이동에 따라 잔류물을 이송하기 위한 제2의 이송유닛(210)을 포함한다.
제1의 이송유닛(110)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의 스크류축(111)과, 스크류축(111)의 외주면에 나선방향으로 감겨지고 외향 돌출하는 형상의 스크류(113)를 포함한다. 한편, 스크류축(111)에는 동일 축선을 따라 축연결된 동력전달축(120)이 위치한다. 상기 구성의 제1의 이송유닛(110)은 벨트 컨베이어 장치(300)의 벨트(310)에 폭방향으로 설치되어서 벨트(310)에서 분리된 잔류물을 이송한다.
제2의 이송유닛(210)은, 구동풀리(211) 및 종동풀리(212)에 감겨진 이송 체인모듈(215)을 포함한다. 그리고, 이송 체인모듈(215)은 체인(216)과 이송 블레이드(217)를 포함한다. 여기서, 체인(216)은 링크 플레이트가 핀으로 연결된 것으로 구동풀리(211)와 종동풀리(212) 사이에 감겨져서 무한궤도로 움직이며, 이에 따라 체인(216)에 고정된 이송 블레이드(217)가 함께 움직이면서 잔류물을 이송시킬 수 있다. 한편, 구동풀리(211)는 구동모터(220)와 연결되어 구동휠로 기능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의 구동풀리(21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의 이송유닛(210)의 상단부에 위치하고 종동풀리(212)는 하단부에 위치한다. 그러나 구동휠로 기능하는 구동풀리(211)는 제2의 이송유닛(210)의 하단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시된 예에 따라 구동풀리(211)가 제2의 이송유닛(210)의 상단부에 위치한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종동풀리(212)는 동력전달축(120)에 장착된다. 이에 따라 구동풀리(211)와 종동풀리(212)에 이송 체인모듈(215)이 감겨진 상태에서 구동모터(220)를 구동시키면, 제1의 이송유닛(110)과 제2의 이송유닛(210)은 일체로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상기한 본 실시 예의 제1의 이송유닛(110)은 스크류 타입이고 제2의 이송유닛(210)은 컨베이어 타입이었으나, 이외에도 제1의 이송유닛(110)은 컨베이어 타입이고 제2의 이송유닛(210)은 스크류 타입일 수 있다. 또한, 컨베이어 타입의 경우 본 실시 예의 이송유닛은 풀리를 연결하는 궤도가 체인 방식이었으나, 이외에도 벨트 방식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케이싱(150, 250)은, 도시된 예의 경우 제1의 이송유닛(110)과 제2의 이송유닛(210)을 감싸 고정할 수 있도록 관체 형상이며, 잔류물의 투입과 배출을 위해 투입구(151; 도 6 참조) 및 배출관(251)을 가진다. 케이싱(150, 250)의 투입구(151)에 잔류물이 투입될 경우, 연속적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케이싱(150, 250)은 여러 부재가 상호 연결된 구조를 이루는데, 제1의 이송유닛(110)을 내장하는 케이싱을 제1의 이송컨베이어 케이싱(150)이라 하고, 제2의 이송유닛(210)을 내장하는 케이싱을 제2의 이송컨베이어 케이싱(250)으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제1의 이송컨베이어 케이싱(150)은, 도시된 예의 경우, 전체적으로 스크류(113)의 스크류축(111)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로 연장된 관체 형상이며, 그 내부로 제1의 이송유닛(110)이 수용됨으로써 잔류물이 이송될 수 있는 제1의 이송로(P1)를 제공한다. 그리고, 제1의 이송컨베이어 케이싱(150)은, 그 일측이 고정단(153)으로 막혀있고 베어링(B1)을 매개로 스크류축(111)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그 타측으로 개방된 개구부(155)가 위치한다. 또한, 상기 제1의 이송컨베이어 케이싱(150)의 상측에는 벨트(310)로부터 분리된 잔류물이 투입될 수 있도록 투입구(151)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의 이송컨베이어 케이싱(150)에 제1의 이송유닛(110)이 장착될 경우, 동력전달축(120)은 개구부(155)의 외측으로 노출되고, 투입구(151)로 이송물이 투입될 경우 제1의 이송로(P1)를 통해 개구부(155)로 배출될 수 있다.
벨트 컨베이어 장치(300)의 벨트(310)에 폭방향으로 설치된 제1의 이송유닛(110)을 수용하기 위해서 제1의 이송컨베이어 케이싱(150) 또한 벨트(310)에 폭방향으로 설치된다. 벨트(310)에 부착된 잔류물은 제1의 이송컨베이어 케이싱(150)으로 투입해 모이고, 제1의 이송유닛(110)은 제1의 이송컨베이어 케이싱(150)에 모인 잔류물을 제1의 이송로(P1)를 따라 개구부(155)로 이송해서 배출시킨다.
제2의 이송컨베이어 케이싱(250)은, 도시된 예의 경우, 전체적으로 이송 체인모듈(215)에 의해 잔류물을 이송하기 위한 길이로 연장된 함체 형상이며, 개구부(155)와 연통하는 유입구(254)가 입구측에 위치하고, 잔류물의 배출측에 잔류물을 벨트 컨베이어 장치(300)의 벨트(310)로 재입하도록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251)이 위치한다. 이에 따라 유입구(254)와 배출관(251)의 사이에 잔류물이 이송되는 제2의 이송로(P2)가 마련된다. 배출관(251)은 제2의 이송로(P2)를 통해 이송된 잔류물이 벨트(310)로 재입하는 과정에서 잔류물의 분말이 비산하지 않도록 배출단이 벨트(310)에 근접하는 것이 유리하다.
제2의 이송컨베이어 케이싱(250)은 필터(254)가 내설된 집진관(252)과 연결된다. 집진관(252)에 설치된 집진기(253)는 제2의 이송컨베이어 케이싱(250) 내에 비산하는 분진을 집진관(252)으로 흡기해서 필터(254)에 집적한다. 따라서 벨트(310)에 부착된 잔류물을 강제로 분리하는 중에 발생하는 분진은 제거하며 잔류물을 회수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잔류물 자동 처리장치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 3의 A-A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우측면도이며, 도 7은 도 6에 도시한 크리너와 제1의 이송컨베이어와 제2의 이송컨베이어 간의 결합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잔류물 자동 처리장치(1)는, 벨트(310)에 부착된 잔류물을 강제 분리하는 크리너(130)를 포함한다. 크리너(130)는 벨트 컨베이어 장치(300)의 벨트(310)에 폭방향으로 접촉하므로, 스프로킷(320a, 320b)에 무한궤도 형태로 감겨져 회전하는 벨트(310) 곳곳에 부착된 잔류물을 걸러 분리한다. 본 실시 예에서 크리너(130)에 접촉하는 벨트(310)는 이송물의 이송 후 초기 위치로 리턴하는 리턴벨트(311)이다. 참고로, 본 실시 예의 벨트 컨베이어 장치(300)는, 프레임(340)과, 벨트(310)와, 벨트(310)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330a, 330b)로 구성된다. 여기서 프레임(340)은, 스프로킷(320a, 320b)을 지지하는 스탠드(341)와, 롤러(330a, 330b)를 지지하는 베이스(342)와, 벨트(310)의 이탈을 방지하는 가드(343a, 343b)로 구성된다. 본 실시 예의 벨트 컨베이어 장치(300)는 이송물이 얹혀진 이송벨트와 초기 위치로 복귀하는 리턴벨트(311)가 상하로 위치하고, 베이스(342)는 상기 이송벨트와 리턴벨트(311) 사이에서 경계를 이루도록 위치한다. 상기 이송벨트를 지지하는 롤러(330a)는 이송벨트가 평평한 면을 이루도록 수평하게 설치될 수도 있고,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이송물의 이탈 방지를 위해 가드 기능을 하도록 벨트(330a)의 가장자리 부분이 경사지게 설치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는 3개의 롤러(330a)를 일렬로 배치하고 양단부에 위치하는 롤러는 상향 경사지게 설치해서, 롤러(330a)에 지지를 받아 회전하는 이송벨트가 오목한 형태로 이동하도록 한다.
리턴벨트(311)는 제1의 이송컨베이어 케이싱(150)의 상부를 일부 덮도록 배치되며, 리턴벨트(311)에 덮힘 없이 노출된 부분은 투입구(151)를 이룬다.
본 실시 예의 크리너(130)는 스크래퍼 타입이고, 리턴벨트(311)에 경사지게 설치된다. 또한 단부는 투입구(151)를 향하도록 되어서, 크리너(130)에 의해 리턴벨트(311)로부터 분리된 잔류물은 리턴벨트(311)의 폭방향으로 배치된 크리너(130)를 따라 이동하여 제1의 이송컨베이어 케이싱(150)의 투입구(151)에 투입된다. 투입구(151)는 잔류물의 투입 과정에서 분진이 비산하므로, 상기 분진의 확산 방지를 위해서 덮개(152)를 이용해 투입구(151)의 일부를 덮어 폐구할 수 있다.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잔류물 자동 처리장치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 3의 A-A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우측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잔류물 자동 처리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외관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잔류물 자동 처리장치(1)의 크리너(130)는 브러쉬(130b) 또는 스크래퍼(130a)가 벨트(310)의 외면과 내면 중 하나 이상에 접촉하거나, 브러쉬(130b)가 벨트(310)의 외면 또는 내면에 접촉하고 스크래퍼(130a)가 다른 일면에 접촉한다. 여기서 벨트(310)의 외면은 이송물이 얹혀지는 면이고, 내면은 스프로킷(320a, 320b)과 맞물리는 면이다. 이하에서 벨트(310)의 외면과 내면은 벨트면으로 통칭한다.
도 8의 (a)도면과 같이, 한 쌍의 스크래퍼(130a, 130a')가 리턴벨트(311)의 외면과 내면에 각각 접촉해서 외면과 내면에 부착된 잔류물을 걸러 제1의 이송컨베이어 케이싱(150)의 투입구(151)에 투입한다.
도 8의 (b)도면과 같이, 한 쌍의 브러쉬(130b, 130b')가 리턴벨트(311)의 외면과 내면에 각각 접촉해서 외면과 내면에 부착된 잔류물을 걸러 제1의 이송컨베이어 케이싱(150)의 투입구(151)에 투입한다. 브러쉬(130b, 130b')는 리턴벨트(311)의 이동에 상응하게 회전해야 하므로, 스크류축(111)과 기어 연동, 벨트 연동 또는 체인 연동한다. 본 실시 예는 브러쉬(130b, 130b')와 스크류축(111)이 체인 연동하는 구조를 이루며, 이를 위해 브러쉬(130b, 130b')의 축(131, 131') 간에는 제1체인(C1)으로 연결되고, 브러쉬(130b')의 축(131')과 스크류축(111) 간에는 제2체인(C2)으로 연결된다.
도 8의 (c)도면과 같이, 리턴벨트(311)의 외면은 브러쉬(130b)가 접촉하고, 리턴벨트(311)의 내면은 스크래퍼(130a)가 접촉한다. 브러쉬(130b)는 리턴벨트(311)의 이동에 상응하게 회전해야 하므로, 스크류축(111)과 기어 연동, 벨트 연동 또는 체인 연동한다. 본 실시 예는 브러쉬(130b)와 스크류축(111)이 체인 연동하는 구조를 이루며, 이를 위해 브러쉬(130b)의 축(131) 간에는 제1체인(C1)으로 연결된다. 본 실시 예와는 반대로 브러쉬(130b)는 리턴벨트(311)의 내면에 접촉하고 스크래퍼(130a)는 리턴벨트(311)의 외면에 접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크래퍼는 제1의 이송유닛(110)과 같이 스크류축(111)과 연동하는 회전축(131")과, 회전축(131")의 외주면에 나선방향으로 감겨져서 벨트면과 접촉하는 스크류(130c)일 수 있다. 도 9와 같이, 리턴벨트(311)의 외면은 브러쉬(130b)가 접촉하고, 리턴벨트(311)의 내면은 스크류(130c)가 접촉한다. 브러쉬(130b)와 크리닝 스크류(130c)는 리턴벨트(311)의 이동에 상응하게 회전해야 하므로, 스크류축(111)과 기어 연동, 벨트 연동 또는 체인 연동한다. 본 실시 예는 브러쉬(130b)와 회전축(131")과 스크류축(111)이 체인 연동하는 구조를 이루며, 이를 위해 브러쉬(130b)의 축(131)과 회전축(131") 간에는 제1체인(C1)으로 연결되고, 브러쉬(130b)의 축(131)과 스크류축(111) 간에는 제2체인(C2)으로 연결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잔류물 자동 처리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외관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제2의 이송컨베이어 케이싱의 회전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로서 제1의 이송컨베이어 케이싱과 제2의 이송컨베이어 케이싱의 연결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 10의 "A" 부분의 케이싱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제2의 이송컨베이어 케이싱이 각도 회전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과 도 5와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제1의 이송컨베이어 케이싱(150)과 제2의 이송컨베이어 케이싱(250)은 개구부(155)와 유입구(254)가 연통하게 연결되고, 제2의 이송컨베이어 케이싱(250)은 개구부(155)와 유입구(254)를 기준으로 회전하는 결합 구조를 이룬다. 이를 위해 제1의 이송컨베이어 케이싱(150)의 개구부(155)에는 제2의 이송컨베이어 케이싱(250)과의 연결을 위해 외향 돌출하는 원형 플랜지 타입의 연결 플랜지(156)가 마련된다. 그리고 연결플랜지(156)에는, 스크류 이송유닛(113)의 회전축(111) 또는 동력전달축(120)을 중심으로 하는 호형의 장공(156a)이 마련된다. 본 실시 예의 개구부(155)에는 돌출된 연결관(157)이 구성되고, 연결플랜지(156)는 연결관(157)의 단부에 형성된다.
한편, 제1의 이송컨베이어 케이싱(150)과의 연결측에 중공의 연결구로서 환형돌테(256)가 위치한다. 환형돌테(256)에는 체결볼트(257)가 연결플랜지(156) 측으로 돌출하도록 부착되고, 그 대향측에는 동력전달축(120)이 베어링(B2)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베어링 고정단(258)이 돌출하여 위치한다. 또한 상기 환형돌테(256)와 베어링 고정단(258) 사이에서 받침프레임(400)과 접촉하는 하측면에는 스크류축(111) 또는 동력전달축(120)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원호면으로 성형된 구름면부(259)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환형돌테(256)와 베어링 고정단(256)의 하측면의 경우, 받침프레임(400)에 안착될 경우, 스크류축(111) 또는 동력전달축(120)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환형돌테(256)의 외주면은 원호면으로 가공된 제1의 안착면부가 마련되고, 베어링 고정단(256)의 외주면 역시 원호면으로 가공된 제2의 안착면부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구동모터(220)에 동작할 수 있도록 배출관(251) 측에 베이링(B3)을 매개로 구동축(221)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베어링 장착단(258)에 베어링(B2)을 매개로 동력전달축(120)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연결 플랜지(156)와 환형돌테(256)에 밀폐링(260)을 개재시키고, 연결플랜지(156)의 장공(156a)에 체결볼트(257)를 끼운 다음 와셔(263) 및 너트(265)로 체결하면, 제1의 이송컨베이어 케이싱(150)과 체인 컨베이어(250)는 상호 결합되고 제1의 이송로(P1)와 제2의 이송로(P2)가 서로 연통하여 연결된다. 또한, 도시된 예의 경우, 연결 플랜지(156)의 내측에 제1의 이송로(P1)가 형성되어 있고, 연결플랜지(156)의 폭(t; 도 6 참조) 만큼 제2의 이송로(P2)가 제1의 이송로(P1)에 단차져서 그 만큼 아래에 위치한다. 그리고 제2의 이송컨베이어 케이싱(250)은 컨베이어 지지기구(270)로 지지되며, 지면 또는 바닥에 정치된 지지구(271a, 271b)에 보강대(273)가 힌지(275) 연결되고 있다. 여기서, 지지구(271a, 271b)는 제2의 이송컨베이어 케이싱(250)의 길이방향에서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2개가 1조를 이루고 있으며, 보강대(273)를 지지구(271a, 271b)에 바꿔 결합시킴으로써 제2의 이송컨베이어 케이싱(250)의 설치 각도가 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컨베이어 지지기구(270)는, 별도의 모터 구동에 따라 자동적으로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으나, 비용 절감의 측면에서 보다 간편하고 견고한 보강대(273)가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받침프레임(400)은 제2의 이송컨베이어 케이싱(250)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제2의 이송컨베이어 케이싱(250)이 제1의 이송컨베이어 케이싱(150)과의 관계에서 전후 또는 좌우로 움직일 경우, 동력전달축(120)의 정렬이 어긋나서 이송 체인모듈(215)이 벗겨지거나 변형 등으로 동작이 원할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받침프레임(400)의 경우, 상기 제2의 이송컨베이어 케이싱(250)의 각도 회전을 허용하나 전후 또는 좌우로 이동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받침프레임(400)은, 받침블럭(410)에서 상향 돌출하는 형상으로 그 양측에 배치된 제1의 가이드체(420)과 제2의 가이드체(430)를 가진다.
상기 제1의 가이드체(420) 및 제2의 가이드체(430)는 환형돌테(256)와 베어링 고정단(258) 사이의 폭에 상응하는 길이로 이격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의 가이드체(420)에는 환형돌테(256)의 제1의 안착면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이에 상응하는 곡면으로 성형된 제1의 안착요홈(420a)이 마련되고, 또한 상기 제2의 가이드체(430) 역시 베어링 고정단(258)의 제2의 안착면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이에 상응하는 곡면으로 성형된 제2의 안착요홈(430a)이 마련된다. 여기서, 제1의 안착요홈(420a), 제1의 안착면부의 곡률 반경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또한 상기 제2의 안착요홈(430a)과 제2의 안착면부의 곡률 반경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그리고, 상기 받침블럭(410)에는 제2의 이송컨베이어 케이싱(250)의 하중을 지지함과 동시에 각도 회전의 경우에 보다 원할히 동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2의 이송컨베이어 케이싱(250)의 구름면부(259)와 구름 접촉할 수 있는 지지롤러(440)가 장착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상기 제1의 가이드체(420)와 제2의 가이드체(430)의 사이로 제2의 이송컨베이어 케이싱(250)이 수용됨으로써, 환형돌테(256)가 제1의 안착요홈(420a)에 안착되고, 베어링 고정단(258)이 제2의 안착요홈(430a)에 안착됨과 동시에 구름면부(259)가 지지롤러(440)에 받쳐진다. 한편, 제1의 이송컨베이어 케이싱(150)의 경우, 스크류 컨베이어 지지프레임(170)으로 별도 지지되는데, 도시된 예와 같이 연결플랜지(156) 역시 원호면으로 가공하여 제1의 안착요홈(420a)에 안착되도록 할 경우, 연결플랜지(156)와 환형돌테(256)가 보다 견실하게 연결되도록 하여 동력전달축(120)의 정렬에 보다 유익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벨트 컨베이어용 잔류물 자동 처리장치(1)의 동작 및 작용효과를 살펴본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잔류물 자동 처리장치(1)의 구동을 살펴본다.
본 발명에 따른 잔류물 자동 처리장치(1)의 경우, 제1의 이송컨베이어(100)는 벨트 컨베이어 장치(300)의 벨트(310)에 폭방향으로 위치하고, 제1의 이송컨베이어 케이싱(150)에 장착된 스크류축(111)에 동력전달축(120)이 축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동력전달축(120)에 종동풀리(212)가 장착되고 있다. 즉, 상기 동력전달축(120)을 매개로 제1의 이송유닛(110)과 제2의 이송유닛(210)이 상호 일체로 연결된다. 벨트(310)에 폭방향으로 위치된 제1의 이송컨베이어 케이싱(150)은 투입구(151)가 벨트(310)의 측방으로 노출되고, 크리너(130)에 의해 벨트(310)로부터 분리된 잔류물은 투입구(151)로 유입된다.
제1의 이송컨베이어 케이싱(150)과 제2의 이송컨베이어 케이싱(250)은 연결플랜지(156)와 환형돌테(256)가 체결볼트(257)와 너트(265)로 결합됨으로써 제1의 이송로(P1)와 제2의 이송로(P2)가 상호 연통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구동모터(220)를 구동시킬 경우, 이송 체인모듈(215)으로 연결된 구동풀리(211)와 종동풀리(212)가 회전하고, 동시에 동력전달축(120) 및 스크류축(111)이 함께 회전됨으로써 스크류(113)이 동작한다. 이때, 투입구(151)에 잔류물을 투입하면, 잔류물이 스크류(113)을 따라 제1의 이송로(P1)에서 전방으로 이동하여 개구부(155) 및 연결구 즉, 환형돌테(256)를 통해 제2의 이송로(P2)로 유입된다. 그리고 제2의 이송컨베이어 케이싱(250)에서 이송 체인모듈(215)의 이송 블레이드(217)는 제2의 이송컨베이어 케이싱(250)의 바닥을 따라 이동하면서 잔류물을 배출관(251)로 이동시켜 배출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잔류물 자동 처리장치(1)는, 복수의 구동계를 채용하는 종래와 달리, 동력전달축(120)을 매개로 일체로 연결되어 하나의 구동계로 동작 및 제어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이송 효율이 향상되며, 구동 및 제어가 쉬워질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해지고 작업이 편리하고 유지 관리가 쉬워진다.
또한, 발명에 따른 잔류물 자동 처리장치(1)에 있어, 연결플랜지(156)와 환형돌테(256)에 의해 제1의 이송컨베이어 케이싱(150)과 제2의 이송컨베이어 케이싱(250)이 연결되는데, 적어도 연결플랜지(156) 또는 환형돌태(256) 폭(t) 만큼의 높이 차이로 제1의 이송로(P1)가 제2의 이송로(P2) 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단차져서 전체적으로 제2의 이송로(P2)의 단면이 확장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에 따라, 스크류(113)에 의해 제1의 이송로(P1)에서 제2의 이송로(P2)로 잔류물이 원할히 유출될 수 있고, 또한 제2의 이송로(P2)로 유입된 잔류물은 이송 체인모듈(215)에 의해 원할히 이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잔류물 자동 처리장치(1)의 경우, 잔류물의 유출입이 별도로 구획된 종래와 달리, 제1의 이송로(P1)에서 제2의 이송로(P2)로 유로가 확장되면서 직접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잔류물이 연결부측에서 막히거나 유출의 문제 또는 이물질 제거나 청소의 불편함이 저감될 수 있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잔류물 자동 처리장치(1)의 경우,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이송물의 배출 위치를 변경시킬 필요가 있는데, 이에 대해 살펴본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잔류물 자동 처리장치(1)의 경우, 제1의 이송컨베이어 케이싱(150)의 연결측에 위치한 제2의 이송컨베이어 케이싱(250)에 구름면부(259)가 마련되고, 상기 구름면부(259), 환형돌테(256) 및 베어링 고정단(258)이 원호면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받침프레임(400)에는, 전체적으로 요입된 형상이 되도록 받침블럭(410)과 가이드체(420, 430)가 배치됨과 동시에 받침블럭(410)에 지지롤러(440)가 장착됨으로써, 구름면부(259)가 가이드체(420, 430)에 수용되어 지지롤러(440)로 받쳐지면서 구름면부(259)가 회전할 경우 구름접촉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체(420, 430)에는, 환형돌테(256)와 베어링 고정단(258)에 상응하는 제1의 안착요홈(420a)과 제2의 안착요홈(430a)이 각각 마련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컨베이어 이송 장치의 체인 컨베이어 케이싱가 각도 회전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제2의 이송컨베이어 케이싱(250)의 배출관(251)의 높이를 변경시키고자 할 경우, 체결볼트(257)에서 너트(265)를 풀고, 크레인과 같은 권상 장치(미도시)로 제2의 이송컨베이어 케이싱(250)의 배출관(251) 측을 들어 올리거나 내리면, 체결볼트(257)가 연결플랜지(156)의 장공(156a)에 위치한 상태에서 받침프레임(400)에 안내되면서 각도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보다 자세히 살펴보면, 환형돌테(256)와 베어링 고정단(258)이 제1의 안착요홈(420a), 제2의 안착요홈(430a)에 안착되어 있기 때문에 각도 회전할 수 있으나 제2의 이송컨베이어 케이싱(25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고, 제2의 이송컨베이어 케이싱(250)이 가이드체(420, 430)에 안내되어 각운동할 수 있으나 동력전달축(120)의 길이 방향 또는 제2의 이송컨베이어 케이싱(250)의 폭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고, 또한 구름면부(259)가 지지롤러(440)와 구름접촉하면서 제2의 이송컨베이어 케이싱(250)의 고하중이 지지될 수 있게 되어, 결국 스크류축(111) 또는 동력전달축(120)을 중심으로 제2의 이송컨베이어 케이싱(250)이 제1의 이송컨베이어 케이싱(150)에 대해 각도 회전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동력전달축(120)의 초기 정렬 위치가 유지될 수 있어 구동풀리(211)과 종동풀리(212)의 어긋남이 방지됨으로써 고중량의 제2의 이송컨베이어(200)의 설치나 조정 작업을 하더라도 이송 체인모듈(215)의 원한할 동작을 유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잔류물 자동 처리장치는, 서로 직교하여 배치되는 스크류 타입의 제1의 이송컨베이어와 컨베이어 타입의 제2의 이송컨베이어를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동력전달축을 매개로 서로 교차하는 제1의 이송컨베이어와 제2의 이송컨베이어로서 그 형상이나 배치는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잔류물 자동 처리장치로서 설명되고 도시된 예에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 되고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상술된 형상이나 배치 또는 모양이나 부품이나 부분으로 제한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본 발명의 설명에 반하여 다른 문헌을 이용하여 제한하여 해석되어서도 안되며,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잔류물 자동 처리장치의 권리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벨트 컨베이어 장치 100. 제1의 이송컨베이어
110. 제1의 이송유닛 111. 스크류축
113. 스크류 120. 동력전달축
150. 제1의 이송컨베이어 케이싱 151. 투입구
153. 고정단 155. 개구부
156. 연결 플랜지
200. 제1의 이송컨베이어 210. 제2의 이송유닛
211, 구동풀리 212, 종동풀리
215. 이송 체인모듈 216. 체인
217. 이송 블레이드 220. 구동모터
221. 구동축 250. 제2의 이송컨베이어 케이싱
251. 배출관 256. 환형돌테
257. 체결볼트 258. 베어링 장착단
259. 구름면부 260. 밀폐링
265. 너트 270. 컨베이어 지지기구
300, 벨트 컨베이어 장치 310; 벨트
311; 리턴벨트 320a, 320b, 스프로킷
330a, 330b, 롤러 340, 프레임
341, 스탠드 342, 베이스
343, 가드 400. 받침프레임
410. 받침블럭 420. 430. 가이드체
420a, 430a. 안착요홈 440. 지지롤러
P1, P2. 이송로 B1, B2, B3. 베어링

Claims (10)

  1. 스크류축과 연동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나선방향으로 감겨져서 벨트면과 접촉하는 크리닝 스크류로 구성된 스크래퍼가, 벨트에 부착된 잔류물을 분리하도록 상기 벨트에 폭방향으로 접촉하도록 된 크리너;
    상기 벨트에 폭방향으로 설치된 스크류축의 외주면에 나선방향으로 스크류가 감겨진 제1의 이송유닛에 의해 잔류물을 이송하는 제1의 이송컨베이어;
    상기 스크류축과 일체로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동력전달축;
    상기 제1의 이송유닛이 수용됨으로써 벨트에서 분리된 잔류물이 이송될 수 있도록 제1의 이송로를 제공하며, 상기 동력전달축이 노출될 수 있도록 개구부가 마련된 제1의 이송컨베이어 케이싱;
    구동풀리와 종동풀리에 감겨진 제2의 이송유닛에 의해 잔류물을 이송하고, 상기 동력전달축이 구동풀리와 종동풀리 중 어느 하나의 풀리와 일체로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제2의 이송컨베이어; 그리고
    상기 제2의 이송유닛 및 동력전달축이 수용됨으로써 잔류물이 이송될 수 있도록 제2의 이송로를 제공하며, 상기 제1의 이송로와 제2의 이송로가 연통하여 잔류물이 이송될 수 있도록 개구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2의 이송로를 통해 이송된 잔류물이 벨트에 배출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제2의 이송컨베이어 케이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잔류물 자동 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크리너는 스크래퍼가 벨트의 외면과 내면 중 하나 이상에 접촉하거나, 브러쉬가 상기 벨트의 외면 또는 내면에 접촉하고 스크래퍼가 다른 일면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잔류물 자동 처리장치.
  3. 스크류축과 연동하는 회전축의 외주면에 감겨져서 벨트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브러쉬가, 벨트에 부착된 잔류물을 분리하도록 상기 벨트에 폭방향으로 접촉하도록 된 크리너;
    상기 벨트에 폭방향으로 설치된 스크류축의 외주면에 나선방향으로 스크류가 감겨진 제1의 이송유닛에 의해 잔류물을 이송하는 제1의 이송컨베이어;
    상기 스크류축과 일체로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동력전달축;
    상기 제1의 이송유닛이 수용됨으로써 벨트에서 분리된 잔류물이 이송될 수 있도록 제1의 이송로를 제공하며, 상기 동력전달축이 노출될 수 있도록 개구부가 마련된 제1의 이송컨베이어 케이싱;
    구동풀리와 종동풀리에 감겨진 제2의 이송유닛에 의해 잔류물을 이송하고, 상기 동력전달축이 구동풀리와 종동풀리 중 어느 하나의 풀리와 일체로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제2의 이송컨베이어; 그리고
    상기 제2의 이송유닛 및 동력전달축이 수용됨으로써 잔류물이 이송될 수 있도록 제2의 이송로를 제공하며, 상기 제1의 이송로와 제2의 이송로가 연통하여 잔류물이 이송될 수 있도록 개구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2의 이송로를 통해 이송된 잔류물이 벨트에 배출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제2의 이송컨베이어 케이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잔류물 자동 처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크리너는 브러쉬가 벨트의 외면과 내면 중 하나 이상에 접촉하거나, 스크래퍼가가 상기 벨트의 외면 또는 내면에 접촉하고 브러쉬가 다른 일면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잔류물 자동 처리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이송컨베이어 케이싱과 연통하게 연결된 집진관과, 상기 집진관의 공기에서 분진을 필터링하도록 내설된 필터와, 상기 제2의 이송컨베이어 케이싱 내에 공기를 집진관으로 흡기해서 배출하는 집진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잔류물 자동 처리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이송컨베이어 케이싱에는 크리너에 의해 벨트로부터 분리된 잔류물의 투입구가 마련되고, 상기 제2의 이송컨베이어 케이싱에는 잔류물의 배출관이 마련되고;
    상기 제1의 이송컨베이어 케이싱의 개구부는, 상기 제1의 이송로와 제2의 이송로가 높이 차이를 가지고 제2의 이송로의 단면이 확장되도록 제2의 이송컨베이어 케이싱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잔류물 자동 처리장치.
  7. 벨트 컨베이어 장치의 벨트에 부착된 잔류물을 분리하도록 벨트에 폭방향으로 접촉하는 크리너;
    상기 벨트에 폭방향으로 설치된 스크류축의 외주면에 나선방향으로 스크류가 감겨진 제1의 이송유닛에 의해 잔류물을 이송하는 제1의 이송컨베이어;
    상기 스크류축과 일체로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동력전달축;
    상기 제1의 이송유닛이 수용됨으로써 벨트에서 분리된 잔류물이 이송될 수 있도록 제1의 이송로를 제공하며, 상기 동력전달축이 노출될 수 있도록 개구부가 마련된 제1의 이송컨베이어 케이싱;
    구동풀리와 종동풀리에 감겨진 제2의 이송유닛에 의해 잔류물을 이송하고, 상기 동력전달축이 구동풀리와 종동풀리 중 어느 하나의 풀리와 일체로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제2의 이송컨베이어;
    상기 제2의 이송유닛 및 동력전달축이 수용됨으로써 잔류물이 이송될 수 있도록 제2의 이송로를 제공하며, 상기 제1의 이송로와 제2의 이송로가 연통하여 잔류물이 이송될 수 있도록 개구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2의 이송로를 통해 이송된 잔류물이 벨트에 배출되는 경로를 제공하며, 원호면으로 형성된 구름면부가 마련되는 제2의 이송컨베이어 케이싱; 그리고
    상기 구름면부가 스크류축 또는 동력전달축의 축선을 중심으로 각도 회전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받침프레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잔류물 자동 처리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이송컨베이어 케이싱은, 상기 제1의 이송로와 연통할 수 있도록 관통공이 형성됨과 동시에 체결볼트가 고정된 연결구를 구비하며;
    상기 제1의 이송컨베이어 케이싱의 개구부에는, 상기 체결볼트가 동력전달축의 축선을 중심으로 각도 회전할 수 있도록 장공의 볼트공이 마련된 연결플랜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잔류물 자동 처리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프레임에는, 상기 구름면부와 구름접촉할 수 있도록 장착된 지지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잔류물 자동 처리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에는, 원호면으로 가공된 안착면부가 마련되며;
    상기 받침프레임은, 상기 연결구의 안착면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요홈이 마련되고, 상기 제2의 이송컨베이어 케이싱이 동력전달축의 축선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안내하는 가이드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잔류물 자동 처리장치.
KR1020210051428A 2021-04-20 2021-04-20 벨트에 부착된 잔류물을 제거하고 회수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잔류물 자동 처리장치 KR1024920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1428A KR102492027B1 (ko) 2021-04-20 2021-04-20 벨트에 부착된 잔류물을 제거하고 회수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잔류물 자동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1428A KR102492027B1 (ko) 2021-04-20 2021-04-20 벨트에 부착된 잔류물을 제거하고 회수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잔류물 자동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4934A KR20220144934A (ko) 2022-10-28
KR102492027B1 true KR102492027B1 (ko) 2023-01-26

Family

ID=83835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1428A KR102492027B1 (ko) 2021-04-20 2021-04-20 벨트에 부착된 잔류물을 제거하고 회수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잔류물 자동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202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5936B2 (ja) * 1994-10-31 2000-08-14 三洋電機株式会社 動きベクトル検出回路およびそれを用いた被写体追尾カメラ装置
JP2003221129A (ja) * 2002-01-29 2003-08-05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空気浮上式ベルトコンベヤシステム
KR200331973Y1 (ko) 2003-06-23 2003-11-03 이익규 석재 이송가공장치
KR102102896B1 (ko) * 2019-06-03 2020-05-29 주식회사 한성더스트킹 리턴 벨트컨베이어의 오토 클리닝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7702B2 (ko) 1973-01-09 1981-04-23
KR20000013645A (ko) * 1998-08-11 2000-03-06 황인환 벌크화물 이송장치
EP1026106A1 (en) 1999-02-05 2000-08-09 WAM S.p.A. A screw conveyor for loose materials
JP3075936U (ja) * 2000-08-29 2001-03-16 株式会社サムスン横浜研究所 粉末体搬送装置
KR100798067B1 (ko) * 2001-11-27 2008-01-28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컨베이어 설비에서 낙광 자동 수거장치
KR20130110510A (ko) * 2012-03-29 2013-10-10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컨베이어용 낙광 제거장치
KR20150001428U (ko) * 2013-10-04 2015-04-14 (주)삼신 회송 이단 스크루 컨베이어
KR20160056698A (ko) 2014-11-12 2016-05-20 주식회사 포스코 밸트 컨베이어의 이송물 처리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5936B2 (ja) * 1994-10-31 2000-08-14 三洋電機株式会社 動きベクトル検出回路およびそれを用いた被写体追尾カメラ装置
JP2003221129A (ja) * 2002-01-29 2003-08-05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空気浮上式ベルトコンベヤシステム
KR200331973Y1 (ko) 2003-06-23 2003-11-03 이익규 석재 이송가공장치
KR102102896B1 (ko) * 2019-06-03 2020-05-29 주식회사 한성더스트킹 리턴 벨트컨베이어의 오토 클리닝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4934A (ko) 2022-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00339B2 (en) Filtration apparatus for filtering a machining fluid
KR100673854B1 (ko) 컨베이어벨트용 클리닝장치
KR102082337B1 (ko) 낙하물 제거장치를 갖는 컨베이어 이송시스템
KR101246050B1 (ko) 오수처리용 드럼스크린 장치
KR102326267B1 (ko) 컨베이어벨트 클리닝장치
US6651805B2 (en) High-gradient high-pump-head screw conveyor device
CN113413680A (zh) 一种废水净化装置
KR20200005891A (ko) 벨트 컨베이어
KR102492027B1 (ko) 벨트에 부착된 잔류물을 제거하고 회수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잔류물 자동 처리장치
JP4274497B2 (ja) 切粉搬送式濾過装置
JP3466983B2 (ja) チップコンベヤ
KR200484553Y1 (ko) 벨트 컨베이어용 잔류물 회수장치
WO2003008149A1 (en) Chip transport conveyor system
CN213864498U (zh) 一种防尘传送带
KR102016231B1 (ko) 슬러지 이송용 벨트 컨베이어
KR20190095758A (ko) 보조레이크를 갖는 제진기
KR102572881B1 (ko) 복합 컨베이어 이송장치
KR101774024B1 (ko) 프레임지지대의 오물제거가 가능한 자동 스크린제진기
CN220448784U (zh) 一种餐厨垃圾垂直输送装置
CN118023103A (zh) 一种桥式皮带传输机
CN210676128U (zh) 一种出料便捷的标准件清洗机
CN216836142U (zh) 粉尘输送装置
CN219155483U (zh) 一种传送带
KR102622540B1 (ko) 폐기물 고형연료 이송 컨베이어
CN220448921U (zh) 一种污泥输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