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0079B1 - 전자 부품 반전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부품 반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0079B1
KR102100079B1 KR1020190155510A KR20190155510A KR102100079B1 KR 102100079 B1 KR102100079 B1 KR 102100079B1 KR 1020190155510 A KR1020190155510 A KR 1020190155510A KR 20190155510 A KR20190155510 A KR 20190155510A KR 102100079 B1 KR102100079 B1 KR 1021000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ge
electronic component
seating portion
shaft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5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대
이기현
김민규
이상록
Original Assignee
(주)이즈미디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즈미디어 filed Critical (주)이즈미디어
Priority to KR1020190155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0079B1/ko
Priority to CN202010064540.1A priority patent/CN112850058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0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00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4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 B65G47/248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by turning over or inverting the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43/00Testing correct operation of photographic apparatu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4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 B65G47/248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by turning over or inverting them
    • B65G47/25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by turning over or inverting them about a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conveying dir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television 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부품 반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부품 반전장치는 일면에 전자부품이 흡착 지지될 수 있는 제1안착부를 구비한 제1스테이지;와, 일면에 상기 제1안착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전자부품이 흡착 지지될 수 있는 제2안착부를 구비한 제2스테이지;와, 상기 제1스테이지와 제2스테이지의 일단부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샤프트; 및 상기 제1스테이지와 제2스테이지의 일면이 밀착 또는 이격될 수 있도록 상기 샤프트를 중심으로 상기 제1스테이지와 제2스테이지를 각각 회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자 부품 반전장치{ELECTRONIC COMPONENT FLIPPING APPARATUS}
본 발명은 전자 부품 반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카메라 모듈과 같은 전자부품을 자동으로 뒤집을 수 있는 전자 부품 반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대부분의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 상에 메가픽셀급의 카메라가 장착된 제품이 출시됨에 따라 카메라 탑재형 휴대 전화 시장의 급속한 성장과 더불어 정지화상을 비롯한 동영상의 고해상도화 및 고화질화를 요구하는 소비자의 요구가 점차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내장형 카메라 모듈의 기본적인 촬영 기능 외에도 자동 초점 조절 기능이나 접사 및 광학 줌 기능 등이 복합적으로 구현될 수 있는 다기능의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가 개발되고 있다.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에 사용되는 내장형 카메라 모듈은 내부에 인쇄회로기판, 이미지 센서, 구동부 및 렌즈가 배치되어 이루어진다.
카메라모듈을 제작할 때에는 카메라모듈을 구성 부재들을 조립한 후 카메라모듈의 불량 여부에 대한 검사를 진행하는데, 보통 카메라모듈의 렌즈 부분이 상부를 향하도록 놓여진 상태에서 진행한다.
그런데 카메라모듈이 실제 사용될 때에는 카메라모듈의 렌즈 부분이 상부를 향하도록 놓여질 수도 있지만 하부나 측방을 향하도록 놓여져 사용될 수도 있으므로, 카메라모듈의 렌즈 부분이 상부를 향하도록 놓여진 상태에서 진행된 검사는 카메라모듈의 불량 여부를 완벽하게 진단할 수 없다.
따라서, 카메라모듈의 불량 여부를 정확하게 검사하기 위해서는 카메라모듈의 렌즈 부분이 향하는 방향을 다양하게 하여 검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한편, 종래에는 이러한 카메라모듈의 양면 검사를 위해, 카메라모듈의 상부면 검사 작업을 마친 후에 수작업으로 카메라모듈을 뒤집는 플립작업을 수행하여 카메라모듈의 하부면을 상측으로 위치시킨 후에 다시 검사 작업을 실시함에 따라 검사 공정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카메라모듈의 플립 공정을 수작업에 의존하는 경우, 카메라모듈이 손상되는 가능성이 높아짐에 따라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카메라 모듈을 뒤집는 작업을 실시함에 있어, 손상을 최소화 하면서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모듈을 자동으로 플립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67060(2012년07월30일)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카메라 모듈과 같은 전자부품을 자동으로 뒤집을 수 있는 전자 부품 반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전자부품을 지지하는 제1스테이지와 제2스테이지의 절첩이 제1스테이지와 제2스테이지를 지지하는 베이스의 하부 영역에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제1스테이지와 제2스테이지의 절첩 영역과 전자부품을 로딩/언로딩하는 피커의 이동 영역이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커의 이동 동선을 최소화할 수 있어 공정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전자 부품 반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일면에 전자부품이 흡착 지지될 수 있는 제1안착부를 구비한 제1스테이지;와, 일면에 상기 제1안착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전자부품이 흡착 지지될 수 있는 제2안착부를 구비한 제2스테이지;와, 상기 제1스테이지와 제2스테이지의 일단부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샤프트; 및 상기 제1스테이지와 제2스테이지의 일면이 밀착 또는 이격될 수 있도록 상기 샤프트를 중심으로 상기 제1스테이지와 제2스테이지를 각각 회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전자 부품 반전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샤프트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승강기구와, 상기 제1스테이지와 제2스테이지의 타단부를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승강기구는 상기 샤프트에 연결되는 승강블록과, 상기 승강블록의 상하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가이드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레일과, 상기 제1스테이지와 제2스테이지의 타단부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안내레일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이동블록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승강기구는 상기 승강블록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제2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스테이지 및 제2스테이지를 절첩 가능한 상태로 지지하고, 수평하게 배치되는 플레이트 상에 상기 제1스테이지와 제2스테이지의 절첩을 위한 관통부가 형성된 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안착부과 제2안착부에는 전자부품을 흡착할 수 있는 흡착공이 각각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안착부의 흡착공과 제2안착부의 흡착공은 상기 제1안착부와 제2안착부 사이에서 전자부품을 전달하기 위해 흡착력이 교대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과 같은 전자부품을 자동으로 뒤집을 수 있는 전자 부품 반전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전자부품을 지지하는 제1스테이지와 제2스테이지의 절첩이 제1스테이지와 제2스테이지를 지지하는 베이스의 하부 영역에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제1스테이지와 제2스테이지의 절첩 영역과 전자부품을 로딩/언로딩하는 피커의 이동 영역이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커의 이동 동선을 최소화할 수 있어 공정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전자 부품 반전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 부품 반전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 부품 반전장치의 평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 부품 반전장치의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 부품 반전장치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 부품 반전장치에 따른 스테이지의 절첩 작용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 부품 반전장치에 따른 승강블록의 승강 작용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발명의 명칭]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 부품 반전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 부품 반전장치의 평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 부품 반전장치의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 부품 반전장치의 측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 부품 반전장치는 베이스(110), 제1스테이지(120), 제2스테이지(130), 샤프트(140), 구동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110)는 제1스테이지(120) 및 제2스테이지(130)를 절첩 가능한 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평하게 배치되는 플레이트(111) 상에 상기 제1스테이지(120)와 제2스테이지(130)의 절첩을 위한 관통부가 마련된다.
상기 제1스테이지(120)는 전자부품(M)의 일면을 흡착 지지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일면에는 카메라모듈과 같은 전자부품(M)이 흡착될 수 있는 제1안착부(121)가 마련되고, 일단부에는 상기 샤프트(14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결합부(122)가 마련되고, 타단부 양측에는 후술할 제1이동블록(154b)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연결돌기(123)가 마련된다.
한편, 상기 제1안착부(121)에는 전자부품(M)의 일면이 안정적으로 흡착 지지될 수 있도록 다수의 흡착공(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부품(M)은 전원 및 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는 회로부가 마련된 카메라모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제1안착부(121)는 전자부품(M) 및 회로부를 흡착 지지할 수 있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자부품(M)이 카메라모듈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반도체 칩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제2스테이지(130)는 전자부품(M)의 타면을 흡착 지지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제1스테이지(120)의 일면과 마주하는 일면에는 전자부품(M)이 안착될 수 있는 제1안착부(121)가 마련되고, 일단부에는 상기 샤프트(14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결합부(132)가 마련되고, 타단부 양측에는 후술할 제1이동블록(154b)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연결돌기(133)가 마련된다. 이때, 상기 제2결합부(132)는 제1결합부(122)와 동일 축선상에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1결합부(122)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2안착부(122)에는 전자부품(M)의 타면이 안정적으로 흡착 지지될 수 있도록 다수의 흡착공이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안착부(121)의 흡착공과 제2안착부(131)의 흡착공은 상기 제1안착부(121)와 제2안착부(131) 사이에서 전자부품(M)을 전달하기 위해 흡착력이 교대로 제공된다. 즉, 제1안착부(121)의 흡착공에 흡착력이 인가된 상태에서는 제2안착부(131)의 흡착공에는 흡착력이 해제되고, 제2안착부(131)의 흡착공에 흡착력이 인가된 상태에서는 제1안착부(121)의 흡착공에는 흡착력이 해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스테이지(120)의 제1안착부(121)와 제2스테이지(130)의 제2안착부(131) 사이에서 전자부품(M)을 전달하는 동시에, 전자부품(M)을 안정적으로 흡착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결합부(122)와 샤프트(140)의 연결부위, 상기 제2결합부(132)와 샤프트(140)의 연결부위와, 상기 제1연결돌기(123)와 제1이동블록(154b)의 연결부위 및 제2연결돌기(133)와 제1이동블록(154b)의 연결부위에는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한 부시나 베어링 등이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140)는 상기 제1스테이지(120)의 제1결합부(122)와 제2스테이지(130)의 제2결합부(132)에 삽입되어 상기 제1스테이지(120)와 제2스테이지(130)의 일단부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으로서, 양단부가 제2결합부(132)의 양측으로 돌출될 수 있는 길이로 설정된다.
상기 구동부(150)는 상기 제1스테이지(120)와 제2스테이지(130)의 일면이 밀착 또는 이격될 수 있도록 상기 샤프트(140)를 중심으로 상기 제1스테이지(120)와 제2스테이지(130)를 각각 회동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샤프트(140)를 상하로 승강시킬 수 있는 승강기구와 상기 제1스테이지(120)와 제2스테이지(130)의 타단부를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가이드(154)를 포함한다.
상기 승강기구는 상기 샤프트(140)에 고정되는 승강블록(151)과, 상기 승강블록(151)의 상하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액추에이터(152)와 상기 액추에이터(152)의 구동력을 승강블록(151)에 전달하여 승강블록(151)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동력전달부(153) 및 상기 승강블록(151)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제2가이드(155)를 포함한다.
상기 승강블록(151)은 상기 샤프트(14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단부 양측에는 상기 샤프트(140)의 양단부가 고정될 수 있는 고정부(151a)가 마련된다.
상기 액추에이터(152)는 상기 승강블록(151)의 승강 위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회전 제어가 가능한 스테핑 모터나, 서보 모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153)는 상기 액추에이터(152)의 구동축에 연결되는 구동풀리(153a)와, 상기 구동풀리(153a)의 하부로 이격 배치되는 아이들축에 연결되는 종동풀리(153b) 및 상기 구동풀리(153a)와 종동풀리(153b)에 권취되는 벨트를 포함하며, 상기 벨트는 위치제어의 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타이밍 벨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동력전달부(153)가 한 쌍의 풀리와 벨트로 구성된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볼스크류와 볼너트 등과 같이 액추에이터(152)의 회전운동을 직선 왕복운동으로 전환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액추에이터(152)가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직선 왕복운동이 가능한 리니어 모터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직선 왕복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동력전달부(153)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제2가이드(155)는 상기 승강블록(151)의 이동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2안내레일(155a)과, 상기 승강블록(151)에 고정되고 상기 제2안내레일(155a)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제2이동블록(155b)을 포함하며, 상기 승강블록(151)의 안정적인 승강을 위해 복수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스테이지(120)와 제2스테이지(130)는 일단부가 상하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타단부가 좌우로 이동하면서, 제1스테이지(120)의 일면과 제2스테이지(130)의 일면이 서로 밀착하는 완전히 접힌 상태가 되거나, 제1스테이지(120)의 일면과 제2스테이지(130)의 일면이 나란하게 배치되는 완전히 펼쳐진 상태가 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스테이지(120)와 제2스테이지(130)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샤프트(140)가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절첩이 이루어지고, 제1스테이지(120)와 제2스테이지(130)의 타단부는 좌우로 수평이동하므로, 제1스테이지(120)와 제2스테이지(130)의 상측에서 전자부품(M)을 로딩/언로딩하는 피커의 이동 영역과 제1스테이지(120)와 제2스테이지(130)의 절첩 영역이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피커의 동선을 최소화할 수 있어 공정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스테이지(120)와 제2스테이지(130)의 일단부의 상하 이동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가이드(155)에 의해 안내되고, 제1스테이지(120)와 제2스테이지(130)의 타단부의 좌우 이동은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가이드(154)에 의해 안내되므로, 제1스테이지(120)와 제2스테이지(130)가 반복적으로 절첩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정합불량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10)에는 상기 제1스테이지(120)와 제2스테이지(130)가 완전히 접힌 상태와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의 승강블록(151)의 승강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센서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액추에이터(152)는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구동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154)는 상기 제1스테이지(120)와 제2스테이지(130)의 타단부의 좌우 이동을 안내하는 것으로서, 상기 베이스(110)의 개구부(112) 양측에서 상기 제1스테이지(120)와 제2스테이지(130)의 절첩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제1안내레일(154a)과, 상기 제1스테이지(120)의 제1연결돌기(123)와 제2스테이지(130)의 제2연결돌기(133)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1안내레일(154a)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복수의 제1이동블록(154b)을 포함한다.
지금부터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 부품 반전장치의 제1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 부품 반전장치에 따른 스테이지의 절첩 작용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 부품 반전장치에 따른 승강블록의 승강 작용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먼저,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1스테이지(120)와 제2스테이지(130)의 일단부는 제1결합부(122)와 제2결합부(132)가 샤프트(14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샤프트(140)는 승강블록(151)에 고정되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스테이지(120)와 제2스테이지(130)의 타단부는 각각 제1이동블록(154b)에 연결되고, 제1이동블록(154b)은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제1안내레일(154a)을 따라 좌우로 슬라이딩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제1스테이지(120)와 제2스테이지(130)가 완전히 접히거나 펼쳐지는 작동이 이루어진다.
이때, 제1스테이지(120)의 제1안착부(121)에 안착된 전자부품(M)은 제2스테이지(130)의 제2안착부(131)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180도 뒤집히므로, 전자부품(M)의 양면을 검사하는 공정 등에 적용할 수 있다.
즉, 도 5의 (a)와 같이 승강블록(151)이 상측으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제1스테이지(120)의 일면과 제2스테이지(130)의 일면이 나란하게 배치되어 완전히 펼쳐진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스테이지(120)의 상측에 배치되는 피커가 전자부품(M)을 제1스테이지(120)의 일면에 마련된 제1안착부(121)로 로딩할 수 있으며, 제1안착부(121)에 로딩된 전자부품(M)은 일면이 제1안착부(121)에 흡착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5의 (b)와 같이, 승강블록(151)을 하강시키면, 승강블록(151)에 고정된 샤프트(140)와 함께 제1스테이지(120)와 제2스테이지(130)의 일단부가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1스테이지(120)와 제2스테이지(130)의 타단부에 연결된 제1이동블록(154b)이 제1안내레일(154a)을 따라 좌우로 슬라이딩하면서 제1스테이지(120)와 제2스테이지(130)의 타단부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스테이지(120)와 제2스테이지(130)의 일면이 서로 밀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스테이지(120)와 제2스테이지(130)가 완전히 접힌 상태에서는, 상기 제1스테이지(120)의 제1안착부(121)에 안착된 전자부품(M)의 타면이 제2스테이지(130)의 제2안착부(131)에 밀착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제2안착부(131)에 흡착력을 인가하고, 제2안착부(131)에 전자부품(M)이 흡착된 후에는 제1안착부(121)에 인가되었던 흡착력을 해제함으로써, 전자부품(M)을 제1안착부(121)에서 제2안착부(131)로 전달할 수 있다.
이어, 도 5의 (c)와 같이 승강블록(151)을 상승시키면, 승강블록(151)에 고정된 샤프트(140)와 함께 제1스테이지(120)와 제2스테이지(130)의 일단부가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1스테이지(120)와 제2스테이지(130)의 타단부에 연결된 제1이동블록(154b)이 제1안내레일(154a)을 따라 좌우로 슬라이딩하면서 제1스테이지(120)와 제2스테이지(130)의 타단부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스테이지(120)와 제2스테이지(130)의 일면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완전히 펼쳐진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2스테이지(130)의 상측에 배치되는 피커가 제2안착부(131)에 안착된 전자부품(M)을 언로딩할 수 있으며, 전자부품(M)이 피커에 의해 언로딩되기에 앞서 제2안착부(131)에 인가되는 흡착력이 해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스테이지(120)와 제2스테이지(130)가 절첩동작은 베이스(110)의 플레이트(111) 하부 영역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1스테이지(120)와 제2스테이지(130)의 상측에서 전자부품(M)을 로딩/언로딩하는 피커의 이동 영역과 제1스테이지(120)와 제2스테이지(130)의 절첩 영역이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피커의 동선을 최소화할 수 있어 공정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제1스테이지(120)와 제2스테이지(130)가 하나의 샤프트(140)에 의해 연결되어 회동하므로, 제1스테이지(120)와 제2스테이지(130)의 결합위치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어 정합불량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1스테이지(120)와 제2스테이지(130)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절첩되므로, 제1스테이지(120)와 제2스테이지(130) 중 어느 하나가 움직이는 구조에 비해 상대적으로 절첩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승강블록(151)의 승강작용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이격 배치된 구동풀리(153a)와 종동풀리(153b)에 벨트가 권취되고, 승강블록(151)의 일측 단부가 상기 벨트에 고정된 상태에서, 액추에이터(152)의 정,역 회전에 의해 승강블록(151)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즉, 도 6의 (a)와 같이 승강블록(151)이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1스테이지(120)와 제2스테이지(130)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가 되고, 도 6의 (b)와 같이 승강블록(151)이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1스테이지(120)와 제2스테이지(130)가 완전히 접힌 펼쳐진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승강블록(151)에는 제2이동블록(155b)이 고정되고, 제2이동블록(155b)은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제2가이드(155)의 제2안내레일(155a)을 따라 슬라이딩하게 되므로, 상기 승강블록(151)의 상하 이동은 제2가이드(155)에 의해 안내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승강블록(151)의 이동위치는 승강블록(151)의 최상단 위치와 최하단 위치를 각각 감지하는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감지센서의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액추에이터(152)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승강블록(151)이 일정한 영역 내에서만 승강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10:베이스, 111:플레이트, 112:개구부,
120:제1스테이지, 121:제1안착부, 122:제1결합부,
123:제1연결돌기, 130:제2스테이지, 131:제2안착부,
132:제1결합부, 133:제1연결돌기, 140:샤프트,
150:구동부, 151:승강블록, 151a:고정부,
152:액추에이터, 153:동력전달부, 153a:구동풀리,
153b:종동풀리, 154:제1가이드, 154a:제1안내레일,
154b:제1이동블록, 155:제2가이드, 155a:제2안내레일,
155b:제2이동블록, M:전자부품

Claims (8)

  1. 삭제
  2. 일면에 전자부품이 흡착 지지될 수 있는 제1안착부를 구비한 제1스테이지;
    일면에 상기 제1안착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전자부품이 흡착 지지될 수 있는 제2안착부를 구비한 제2스테이지;
    상기 제1스테이지와 제2스테이지의 일단부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샤프트; 및
    상기 제1스테이지와 제2스테이지의 일면이 밀착 또는 이격될 수 있도록 상기 샤프트를 중심으로 상기 제1스테이지와 제2스테이지를 각각 회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샤프트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승강기구와, 상기 제1스테이지와 제2스테이지의 타단부를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부품 반전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구는 상기 샤프트에 연결되는 승강블록과, 상기 승강블록의 상하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부품 반전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레일과, 상기 제1스테이지와 제2스테이지의 타단부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안내레일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이동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부품 반전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구는 상기 승강블록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제2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부품 반전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테이지 및 제2스테이지를 절첩 가능한 상태로 지지하고, 수평하게 배치되는 플레이트 상에 상기 제1스테이지와 제2스테이지의 절첩을 위한 관통부가 형성된 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부품 반전장치.
  7. 제 2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안착부과 제2안착부에는 전자부품을 흡착할 수 있는 흡착공이 각각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부품 반전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안착부의 흡착공과 제2안착부의 흡착공은 상기 제1안착부와 제2안착부 사이에서 전자부품을 전달하기 위해 흡착력이 교대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부품 반전장치.
KR1020190155510A 2019-11-28 2019-11-28 전자 부품 반전장치 KR1021000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510A KR102100079B1 (ko) 2019-11-28 2019-11-28 전자 부품 반전장치
CN202010064540.1A CN112850058B (zh) 2019-11-28 2020-01-20 电子零部件翻转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510A KR102100079B1 (ko) 2019-11-28 2019-11-28 전자 부품 반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0079B1 true KR102100079B1 (ko) 2020-04-13

Family

ID=70224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5510A KR102100079B1 (ko) 2019-11-28 2019-11-28 전자 부품 반전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00079B1 (ko)
CN (1) CN112850058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75751A (zh) * 2020-12-17 2021-03-12 河南卫华重型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平行四杆式起重机π形梁翻转工装
CN113458630A (zh) * 2021-04-30 2021-10-01 武汉华工激光工程有限责任公司 翻面机构、ic载板加工设备以及翻面方法
CN114313920A (zh) * 2021-11-24 2022-04-12 安徽尚佰智能家居有限公司 一种多工位木门传送智能翻转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72383B (zh) * 2021-09-23 2023-10-27 珠海奇川精密设备有限公司 双面贴膜设备及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7060B1 (ko) 2012-05-30 2012-07-30 주식회사 엠피에스 카메라 모듈 표시용 플립장치
KR101594965B1 (ko) * 2010-09-10 2016-02-18 한미반도체 주식회사 반도체 패키지 싱귤레이션 장치
KR101637403B1 (ko) * 2014-12-30 2016-07-07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카메라 모듈 테스트 소켓
KR20180065177A (ko) * 2016-12-07 2018-06-18 한미반도체 주식회사 렌즈유닛 검사 시스템
KR20180092772A (ko) * 2017-02-10 2018-08-20 주식회사 고영테크놀러지 검사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검사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116967Y (zh) * 2007-11-28 2008-09-17 比亚迪股份有限公司 双摄像模组的测试装置
CN104192346B (zh) * 2014-08-21 2016-04-06 苏州赛腾精密电子股份有限公司 双面定位翻转机构
CN205526502U (zh) * 2016-01-14 2016-08-31 深圳市新昂慧科技有限公司 双工位ic翻面机
CN106423760A (zh) * 2016-11-16 2017-02-22 练孙祥 一种微型陶瓷雾化片批量自动刷胶机
JP6814295B2 (ja) * 2017-07-21 2021-01-13 株式会社Fuji 部品供給装置および作業システム
CN208560906U (zh) * 2018-03-28 2019-03-01 中国商用飞机有限责任公司 一种真空吸附翻转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4965B1 (ko) * 2010-09-10 2016-02-18 한미반도체 주식회사 반도체 패키지 싱귤레이션 장치
KR101167060B1 (ko) 2012-05-30 2012-07-30 주식회사 엠피에스 카메라 모듈 표시용 플립장치
KR101637403B1 (ko) * 2014-12-30 2016-07-07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카메라 모듈 테스트 소켓
KR20180065177A (ko) * 2016-12-07 2018-06-18 한미반도체 주식회사 렌즈유닛 검사 시스템
KR20180092772A (ko) * 2017-02-10 2018-08-20 주식회사 고영테크놀러지 검사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검사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75751A (zh) * 2020-12-17 2021-03-12 河南卫华重型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平行四杆式起重机π形梁翻转工装
CN113458630A (zh) * 2021-04-30 2021-10-01 武汉华工激光工程有限责任公司 翻面机构、ic载板加工设备以及翻面方法
CN113458630B (zh) * 2021-04-30 2023-03-10 武汉华工激光工程有限责任公司 翻面机构、ic载板加工设备以及翻面方法
CN114313920A (zh) * 2021-11-24 2022-04-12 安徽尚佰智能家居有限公司 一种多工位木门传送智能翻转装置
CN114313920B (zh) * 2021-11-24 2024-03-26 安徽尚佰智能家居有限公司 一种多工位木门传送智能翻转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850058A (zh) 2021-05-28
CN112850058B (zh) 2022-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0079B1 (ko) 전자 부품 반전장치
JP5367176B2 (ja) カメラモジュール検査および焦点調整装置
TWI490477B (zh) 電子零件檢查方法及用於該方法中之裝置
JP5490052B2 (ja) 表示装置の検査装置及び検査方法
KR100598277B1 (ko) 표시 패널의 검사 장치 및 검사 방법
KR101073604B1 (ko) 카메라 모듈 검사 및 초점 조정장치
KR101144593B1 (ko) 반도체 검사용 웨이퍼 프로버 및 검사방법
KR100947041B1 (ko) 카메라 모듈 검사 및 초점 조정장치
KR100534023B1 (ko) 카메라모듈 검사장치
US6132161A (en) Chip supplying apparatus performing stable blue-film-expansion operation
KR20120050857A (ko) 광학검사장치
KR100676239B1 (ko) 기판 검사장치 및 그 방법
JP6706353B2 (ja) 部品搭載装置および吸着ノズルの検査方法
WO2018223791A1 (zh) 显示面板的光学补偿方法及系统
KR102231146B1 (ko) 이송툴모듈, 니들핀 조립체, 및 그를 가지는 소자핸들러
KR20140141153A (ko) 패널 검사 장치 및 방법
WO2013114778A1 (ja) 光学部品検査装置
KR101967372B1 (ko) 검사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검사 방법
KR100551994B1 (ko) 콤팩트 카메라 모듈용 핸들러 및 그의 작동방법
KR20140032659A (ko) 기판 검사 장치 및 기판 검사 방법
KR102490592B1 (ko) 반도체 소자 이송 장치
KR102368254B1 (ko) 모듈 ic 테스트핸들러 및 테스트방법
KR101528607B1 (ko) 디스플레이 패널 이송장치
JPH05109849A (ja) 基板外観検査装置
KR101258548B1 (ko)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