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7060B1 - 카메라 모듈 표시용 플립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표시용 플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7060B1
KR101167060B1 KR1020120057095A KR20120057095A KR101167060B1 KR 101167060 B1 KR101167060 B1 KR 101167060B1 KR 1020120057095 A KR1020120057095 A KR 1020120057095A KR 20120057095 A KR20120057095 A KR 20120057095A KR 101167060 B1 KR101167060 B1 KR 101167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camera module
support
adsorption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7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피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피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피에스
Priority to KR1020120057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70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7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7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04Pick-and-place heads or apparatus, e.g. with jaws
    • H05K13/0408Incorporating a pick-up too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17Feeding with belts or tap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 표시용 플립 장치에 관한 것으로, 카메라 모듈의 라벨 부착과 마킹을 실시하는 표시 공정에서 카메라 모듈이 일측으로 이송되는 컨베이어의 상부에 설치되어 카메라 모듈을 뒤집는 카메라 모듈 표시용 플립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의 한쪽 측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카메라 모듈이 이동되는 일측과 타측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설치된 이송부, 상기 이송부의 상기 컨베이어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부의 작동으로 일측과 타측방향으로 이송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이송부에 지지된 상태에서 하부에서 상부로 이송되도록 설치된 지지 이송부, 및 상기 컨베이어로 이송되는 상기 카메라 모듈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 이송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카메라 모듈의 상부에서 상하로 이송되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을 흡착 회전시켜 플립된 상태에서 표시 공정을 실시하고, 표시 공정 후에 원위치로 회전되어 흡착력이 해제되면 상기 컨베이어 공급되는 원위치로 안치되도록 설치된 흡착 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 표시용 플립장치 {Flip apparatus for displaying camera moule}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 표시용 플립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는 카메라 모듈 제작 시에 라벨의 부착이나 마킹과 같은 표시 작업 공정에서 공급되는 카메라 모듈을 이동 상에서 자동으로 뒤집어 다른 면에 표시 작업을 실시한 후에 원위치로 공급하여 이동되도록 설치되어 양면에 표시 작업을 실시하는 속도를 향상시키는 카메라 모듈 표시용 플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대부분의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 상에 메가픽셀급의 카메라가 장착된 제품이 출시됨에 따라 카메라 탑재형 휴대 전화 시장의 급속한 성장과 더불어 정지화상을 비롯한 동영상의 고해상도화 및 고화질화를 요구하는 소비자의 요구가 점차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내장형 카메라 모듈의 기본적인 촬영 기능 외에도 자동 초점 조절 기능이나 접사 및 광학 줌 기능 등이 복합적으로 구현될 수 있는 다기능의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가 개발되고 있다.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에 사용되는 내장형 카메라 모듈의 자동 초점(Auto Focusing)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카메라 렌즈와 이를 구동하기 위한 액츄에이터를 구비하는데, 이러한 카메라 렌즈 구동 방식은 보이스 코일 모터 방식, 스테핑 모터 방식, 초음파 모터 방식이 있다. 이 중, 보이스 코일 모터(Voice Coil Motor) 방식은 영구 자석과 코일로 구성되고 코일에 흐르는 전류와 영구 자석에 의한 자기장으로 직선 운동을 구현하는 간단한 구동 원리로서 미세 조정이 가능하고 긴 수명을 가진다는 장점을 가지므로 내장형 카메라 모듈로 주로 사용되고 있는 방식이다.
일반적으로 카메라 모듈은 카메라 렌즈, 카메라 하우징, 하우징 커버 및 회로 배선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카메라 모듈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회로 패턴이 인쇄된 회로 기판에 이미지 센서를 실장하는 공정, 회로 기판 위에 접착 물질을 디스펜싱하는 공정, 회로 기판 위에 카메라 하우징을 어태칭하는 공정, 카메라 하우징에 카메라 렌즈를 결합하는 공정, 회로 기판과 회로 배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공정, 카메라 하우징 위에 접착 물질을 디스펜싱하는 공정, 카메라 하우징 위에 하우징 커버를 어태칭하는 공정, 카메라 모듈과 데이터를 교환하는 단자를 솔더링하는 공정, 카메라 모듈의 디스펜싱 부분을 가열하여 경화하는 공정, 카메라 모듈에 표시하는 공정 등이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술된는 표시 공정은 생산을 마친 카메라 모듈에 제품 정보, 생산 라인, 공정, 제조 일시, 제조 과정 등을 표시하는 마킹 공정이나, 각종 부품의 위치를 표시하고 노출된 부품을 보호하도록 표시 수단이 스티커 붙이는 라벨링 공정이 포함된다. 표시 공정은 카메라 모듈의 제품 정보, 생산 라인, 공정, 제조 일시, 제조 과정을 표시하여 카메라 모듈의 종류와 형태를 외부에서 신속하게 인식하여 공급할 수 있고, 공급 시에 제품을 보호하며, 조립 시에 정확한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고, 불량이 발생하게 되면 카메라 모듈의 표시된 정보를 추적하여 불량의 발생되는 요인을 제거하여 불량을 관리함으로써, 생산성이 증대될 수 있다.
이런, 표시 공정은 공급되는 카메라 모듈의 상부면 뿐만 아니라 하부면에도 작업을 실시함에 따라 상부면에 표시 작업을 마친 후에는 수작업으로 뒤집는 플립 작업을 수행하여 하부면을 상부면에 위치시킨 후에 다시 표시 작업을 실시하여야 함에 따라 표시 작업에 따른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수작업으로 플립 작업 수행 시에 카메라 모듈의 본체나 라벨 및 마킹되는 면이 접촉에 의해 손상되는 가능성이 높아짐에 따라 제조가 완료되어 제작 비용이 모두 소요된 카메라 모듈에 직접적인 기능의 부가가 없는 표시 장치에서 손상으로 인한 불량이 발생됨으로써,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카메라 모듈의 양면에 표시 작업을 실시함에 있어, 손상을 최소화 하면서 속도를 향상시키도록 자동으로 플립되는 장치의 개발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카메라 모듈의 제작 시 마킹 및 라벨링하는 표시 작업 위치에서 이송되는 컨베이어의 상부로 양면으로 표시 작업을 실시하도록 공압으로 흡착하여 회전에 의해 뒤집는 작동을 실시하여 카메라 모듈의 손상을 최소화 하면서 표시 작업 속도가 향상되는 카메라 모듈 표시용 플립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표시용 플립 장치는 카메라 모듈의 라벨 부착과 마킹을 실시하는 표시 공정에서 카메라 모듈이 일측으로 이송되는 컨베이어의 상부에 설치되어 카메라 모듈을 뒤집는 카메라 모듈 표시용 플립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의 한쪽 측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카메라 모듈이 이동되는 일측과 타측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설치된 이송부, 상기 이송부의 상기 컨베이어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부의 작동으로 일측과 타측방향으로 이송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이송부에 지지된 상태에서 하부에서 상부로 이송되도록 설치된 지지 이송부, 및 상기 컨베이어로 이송되는 상기 카메라 모듈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 이송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카메라 모듈의 상부에서 상하로 이송되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을 흡착 회전시켜 플립된 상태에서 표시 공정을 실시하고, 표시 공정 후에 원위치로 회전되어 흡착력이 해제되면 상기 컨베이어 공급되는 원위치로 안치되도록 설치된 흡착 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컨베이어의 한쪽 측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카메라 모듈의 이송 방향인 일측으로 배치되어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되는 것을 가이드하는 레일 형태로 설치된 이송 레일, 상기 이송 레일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 레일 상에서 일측과 타측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컨베이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하로 이송되는 상기 지지 이송부가 지지되는 위치에 설치된 이송 프레임, 상기 이송 프레임의 상기 컨베이어 방향으로 일측과 타측에 상부와 하부로 각각 돌출되도록 삽입 배치되어 있으며, 중앙에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어 상기 지지 이송부가 상하로 이송되는 것을 안내하도록 삽입되는 지지공을 가지는 상하 지지체, 및 상기 이송 프레임과 상기 이송 레일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 프레임이 상기 이송 레일 상에서 일측과 타측으로 이송되는 동력을 제공하는 이송 작동 장치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 이송부는, 상기 이송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부의 상부에서 상하로 이동되도록 설치된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부의 하부에 지지되도록 위치하여 상기 지지 프레임과 연결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동력이 제공되도록 설치된 상하 이송 장치,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한쪽 측면에서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흡착 회전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상하 이송 장치의 작동으로 상기 지지 프레임과 함께 이동되면서 상기 흡착 회전부가 상하로 이동되도록 설치된 지지 브라켓, 및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하부 방향에 바형태로 일측과 타측에 각각 돌출되어 상기 이송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상하 이송 장치로 작동 시에 상하로 이송되는 상기 지지 프레임이 지지되어 유동이 방지되도록 설치된 상하 지지바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흡착 회전부는, 상기 카메라 모듈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일측으로 공급되도록 배열된 상기 카메라 모듈의 복수 위치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일측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 흡착 몸체, 상기 흡착 몸체의 삽입되어 하부 방향으로 복수 위치에 각각 돌출 배치되어 있으며, 복수의 상기 카메라 모듈의 상부에 각각 위치하여 흡착 압력이 제공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카메라 모듈의 상부를 흡착하여 함께 이송되도록 설치된 흡착 노즐체, 상기 흡착 몸체의 한쪽 측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흡착 몸체와 함께 상하로 이동되고, 회전되도록 설치된 흡착 지지 브라켓, 상기 흡착 지지 브라켓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흡착 몸체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된 흡착 상하 이송 장치, 상기 흡착 상하 이송 장치의 한쪽 측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흡착 상하 이송 장치의 한쪽 측면을 지지한 상태로 함께 회전되도록 설치된 흡착 이송 브라켓, 상기 흡착 이송 브라켓의 한쪽 측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흡착 이송 브라켓과 상기 지지 이송부 사이에서 위치하여 상기 흡착 이송 브라켓과 함께 회전되도록 설치된 회전 브라켓, 및 상기 지지 이송부의 한쪽 측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 이송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 브라켓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 브라켓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여 상기 흡착 몸체를 회전시키도록 설치된 흡착 회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는 것ㅇ르 특징으로 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표시용 플립 장치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 제작 시에 각종 정보를 표시하면서 카메라 모듈의 주요 부분을 보호하는 라벨링 및 마킹 작업되도록 이송되는 위치에 카메라 모듈을 뒤집는 플립 작업을 자동으로 실시함에 따라 카메라 모듈의 양면에 표시 작업 속도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을 뒤집는 플립 작업 시에 공압으로 개별적으로 흡착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이동하고, 흡착 압력을 제거하면 원위치로 복귀됨에 따라 플립 작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손상을 최소화 하여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표시용 플립 장치가 표시 장치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카메라 모듈 표시용 플립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카메라 모듈 표시용 플립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도 1의 카메라 모듈 표시용 플립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도 1의 카메라 모듈 표시용 플립 장치의 주요 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카메라 모듈 표시용 플립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7은 도 5의 카메라 모듈 표시용 플립 장치의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 평면도.
도 8은 도 5의 카메라 모듈 표시용 플립 장치의 지지 이송부의 작동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 측면도.
도 9는 도 5의 카메라 모듈 표시용 플립 장치의 흡착 상하 이송 장치의 작동으로 흡착 몸체가 상하로 이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 측면도.
도 10은 도 5의 카메라 모듈 표시용 플립 장치의 회전되어 플립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카메라 모듈 표시용 플립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표시용 플립 장치가 표시 장치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카메라 모듈 표시용 플립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카메라 모듈 표시용 플립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카메라 모듈 표시용 플립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카메라 모듈 표시용 플립 장치의 주요 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카메라 모듈 표시용 플립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7은 도 5의 카메라 모듈 표시용 플립 장치의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5의 카메라 모듈 표시용 플립 장치의 지지 이송부의 작동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 측면도이며, 도 9는 도 5의 카메라 모듈 표시용 플립 장치의 흡착 상하 이송 장치의 작동으로 흡착 몸체가 상하로 이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 측면도이고, 도 10은 도 5의 카메라 모듈 표시용 플립 장치의 회전되어 플립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표시용 플립 장치(100)는 카메라 모듈의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마킹 장치(20)와 카메라 모듈의 부품의 위치를 식별하면서 부품을 보호하도록 라벨을 부착하는 라벨링 장치(10)를 통해서 카메라 모듈에 표시 작업을 실시하기 위해서 컨베이어(30)를 통해서 공급되는 카메라 모듈의 이송 위치에서 하부면에도 표시 작업을 실시하도록 자동으로 뒤집는 장치이다. 즉, 카메라 모듈 표시용 플립 장치(100)는 표시 작업을 위해서 컨베이어(30)를 통해서 일측으로 공급 이동되는 카메라 모듈의 상부면에 표시 작업을 실시한 후에 하부면에 표시 작업을 실시하도록 흡착에 의해 하부면이 상부에 위치하도록 뒤집는 장치이다.
카메라 모듈 표시용 플립 장치(100)는 컨베이어(30)의 한쪽 측면에서 일측과 타측으로 이송되도록 설치된 이송부(110), 지지 이송부(120), 및 흡착 회전부(130)를 포함한다.
이송부(110)는 컨베이어(30)의 한쪽 측면에 배치되어 일측과 타측을 이동되도록 지지하는 이송 레일(111), 이송 프레임(112), 상하 지지체(113), 및 이송 작동 장치(115)를 포함한다. 이송 레일(111)은 컨베이어(30)의 한쪽 측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카메라 모듈의 이송 방향인 일측으로 배치되어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되는 것을 가이드하는 레일 형태로 설치된다. 이송 레일(111)은 일측과 타측으로 이송 프레임(112)이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 형태로 구비된다.
이송 프레임(112)은 이송 레일(111)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송 레일(111) 상에서 일측과 타측으로 이동되면서 컨베이어(30)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하로 이송되는 지지 이송부(120)가 지지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이송 프레임(112)은 상하로 이동되는 지지 이송부(120)를 지지하도록 구비되어 이송 레일(111) 상에서 일측과 타측으로 이동되도록 설치된다.
상하 지지체(113)는 이송 프레임(112)의 컨베이어 방향으로 일측과 타측에 상부와 하부로 각각 돌출되도록 삽입 배치되어 있으며, 중앙에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어 지지 이송부(120)가 상하로 이송되는 것을 안내하도록 삽입되는 지지공(114)을 가진다. 상하 지지체(113)는 이동 프레임(112)의 일측과 타측에 한쌍으로 컨베이어 방향으로 삽입 설치되어 지지공에 지지 이송부(120)가 삽입된 상태로 상하로 이동되는 것을 안내하도록 원통형태로 구비되어 있다.
이송 작동 장치(115)는 이송 프레임(112)과 이송 레일(111)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송 프레임(112)이 이송 레일(111) 상에서 일측과 타측으로 이송되는 동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된다. 이송 작동 장치(115)는 작동에 의해 이송 프레임(112)이 이송 레일(111) 상에서 일측과 타측으로 이동되도록 설치된다.
지지 이송부(120)는 이송 프레임(112)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지지 프레임(121), 상하 이송 장치(122). 지지 브라켓(123), 및 상하 지지바(124)를 포함한다. 지지 프레임(121)은 이송 프레임(112)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송 프레임(112)의 상부에서 상하로 이동되도록 설치된다.
상하 이송 장치(122)는 지지 프레임(121)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송 프레임(112)의 하부에 지지되도록 위치하여 지지 프레임(121)과 연결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동력이 제공되도록 설치된다. 상하 이송 장치(122)는 이송 프레임(112)의 하부에 지지되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지지 프레임(121)과 연결되어 작동에 의해 지지 프레임(121)을 상하로 이송시키도록 설치된다. 상하 이송 장치(122)는 컨베이어(30) 한쪽 측면 위치에서 이동되는 카메라 모듈의 상부에 위치한 흡착 회전부(130)를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설치된다.
지지 브라켓(123)은 지지 프레임(121)의 한쪽 측면에서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흡착 회전부(130)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구비되고, 상하 이송 장치(122)의 작동으로 지지 프레임(121)과 함께 이동되면서 흡착 회전부(130)가 상하로 이동되도록 설치된다.
상하 지지바(124)는 지지 프레임(121)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지지 프레임(121)의 하부 방향에 바형태로 일측과 타측에 각각 돌출되어 상하 지지체(113)의 지지공(114)에 각각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 이송 장치(122)로 작동 시에 상하로 이송되는 지지 프레임(121)이 지지되어 유동이 방지되도록 설치된다. 상하 지지바(124)는 지지 프레임(121)의 하부에 일측과 타측에 각각 돌출되어 상하 지지체(113)의 지지공(114)에 삽입된 상태로 상하로 이동되도록 구비되어 상하 이송 장치(122)로 상하로 이동되는 지지 프레임(121)의 유동이 방지되도록 설치된다.
흡착 회전부(130)는 카메라 모듈의 상부에 배치된 흡착 몸체(131), 흡착 노즐체(132), 흡착 지지 브라켓(133), 흡착 상하 이송 장치(134), 흡착 이송 브라켓(135), 회전 브라켓(136), 및 흡착 회전 장치(137)를 포함한다. 흡착 몸체(131)는 카메라 모듈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일측으로 공급되도록 배열된 카메라 모듈의 복수 위치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일측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다. 흡착 몸체(131)는 복수의 흡착 노즐체(132)가 설치되어 복수의 카메라 모듈이 흡착되도록 일측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카메라 모듈 상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흡착 노즐체(132)는 흡착 몸체(131)의 삽입되어 하부 방향으로 복수 위치에 각각 돌출 배치되어 있으며, 복수의 카메라 모듈의 상부에 각각 위치하여 흡착 압력이 제공되도록 구비되어 카메라 모듈의 상부를 흡착하여 함께 이송되도록 설치된다. 흡착 노즐체(132)는 컨베이어(30)를 통해서 공급되는 카메라 모듈을 뒤집는 플립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 제공된 흡착 압력으로 상하로 이동되면서 회전되는 카메라 모듈을 흡착 고정시키도록 설치되고, 한번의 작동으로 복수의 카메라 모듈을 흡착시키도록 흡착 몸체(131)에 복수 위치로 설치된다.
흡착 지지 브라켓(133)은 흡착 몸체(131)의 한쪽 측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흡착 몸체(131)와 함께 상하로 이동되고, 회전되도록 설치된다. 흡착 지지 브라켓(133)은 흡착 몸체(131)의 한쪽 측면에 구비되어 카메라 모듈의 흡착 노즐체(132)로 흡착된 상태에서 상하 이동 및 회전되는 흡착 몸체(131)가 흡착 상하 이송 장치(134)와 연결되는 위치에 돌출 설치된다.
흡착 상하 이송 장치(134)는 흡착 지지 브라켓(133)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흡착 몸체(131)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된다. 흡착 상하 이송 장치(134)는 흡착 지지 브라켓(133)과 연결되도록 상부에 배치되어 카메라 모듈의 상부에서 접근시키도록 흡착 몸체(131)를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설치된다. 흡착 노즐체(132)가 복수의 위치에 설치된 흡착 몸체(131)는 이송부(110)의 작동으로 카메라 모듈 위치로 이동되고, 지지 이송부(120)의 작동으로 카메라 모듈의 상부에 위치한 후에 흡착 상하 이송 장치(134)의 작동에 의해 카메라 모듈에 흡착 노즐체(132)가 접촉되면서 흡착되도록 설치된다.
흡착 이송 브라켓(135)은 흡착 상하 이송 장치(134)의 한쪽 측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흡착 상하 이송 장치(134)의 한쪽 측면을 지지한 상태로 함께 회전되도록 설치된다. 흡착 이송 브라켓(135)은 흡착 상하 이송 장치(134)가 함께 회전되도록 지지되어 흡착 노즐체(132)로 흡착한 상태에서 카메라 모듈이 회전에 의해 플립되도록 흡착 상하 이송 장치(134)를 지지하도록 설치된다.
회전 브라켓(136)은 흡착 이송 브라켓(135)의 한쪽 측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흡착 이송 브라켓(135)과 지지 이송부(120) 사이에서 위치하여 흡착 이송 브라켓(135)과 함께 회전되도록 설치된다. 회전 브라켓(136)은 흡착 이송 브라켓(135)과 흡착 회전 장치(137)가 연결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흡착 회전 장치(137)의 작동에 의해 흡착 이송 브라켓(135)이 회전함으로써, 흡착 노즐체(132)에 카메라 모듈이 흡착된 상태에서 회전되어 뒤집는 플립 작업을 실시하도록 설치된다.
흡착 회전 장치(137)는 지지 브라켓(123)의 한쪽 측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지지 브라켓(12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에서 회전 브라켓(136)에 연결되어 회전 브라켓(136)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여 흡착 몸체(131)를 회전시키도록 설치된다. 흡착 회전 장치(137)는 이송부(110)의 작동으로 컨베이어(30)로 이동되는 카메라 모듈의 상부에 흡착 몸체(131)를 위치한 상태에서 지지 이송부(120)의 작동으로 카메라 모듈이 뒤집는 플립 작업 위치까지 하강된다. 플립 작업 위치에 흡착 몸체(131)가 위치하면 흡착 상하 이송 장치(134)의 작동으로 흡착 몸체(131)를 하강시켜 흡착 노즐체(132)가 카메라 모듈의 접촉되어 흡착 압력의 공급으로 흡착 고정된다. 흡착 고정된 상태에서 흡착 상하 이송 장치(134)의 작동으로 플립되는 위치로 상승한 후에 흡착 회전 장치(137)를 작동하여 회전에 의해 카메라 모듈의 하부면이 상부 방향으로 향하도록 플립 작업을 실시하여 상부에 위치한 카메라 모듈의 하부면에 마킹 또는 라벨링 작업을 실시한다. 표시 작업을 마치면 다시 회전되어 상하로 이동되면서 카메라 모듈을 컨베이어(30)로 이동한 상태에서 흡착 압력을 제거하여 원위치로 복귀시켜 카메라 모듈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표시 작업을 수행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카메라 모듈을 뒤집는 플립 작업을 자동으로 실시하여 카메라 모듈의 상하부면에 각각 표시하는 표시 작업의 속도를 향상시키고, 흡착에 의해 회전 이동함에 따라 카메라 모듈의 손상을 최소화하도록 구비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라벨링 장치 20 : 마킹 장치
30 : 컨베이어 100 : 플립 장치
110 : 이송부 111 : 이송 레일체
112 : 이송 프레임 113 : 상하 지지체
114 : 지지공 115 : 이송 작동 장치
120 : 지지 이송부 121 : 지지 프레임
122 : 상하 이송 장치 123 : 지지 브라켓
124 : 상하 지지바 130 : 흡착 회전부
131 : 흡착 몸체 132 : 흡착 노즐체
133 : 흡착 지지 브라켓 134 : 흡착 상하 이송 장치
135 : 흡착 이송 브라켓 136 : 회전 브라켓
137 : 흡착 회전 장치

Claims (4)

  1. 카메라 모듈의 라벨 부착과 마킹을 실시하는 표시 공정에서 카메라 모듈이 일측으로 이송되는 컨베이어의 상부에 설치되어 카메라 모듈을 뒤집는 카메라 모듈 표시용 플립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의 한쪽 측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카메라 모듈이 이동되는 일측과 타측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설치된 이송부,
    상기 이송부의 상기 컨베이어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부의 작동으로 일측과 타측방향으로 이송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이송부에 지지된 상태에서 하부에서 상부로 이송되도록 설치된 지지 이송부, 및
    상기 컨베이어로 이송되는 상기 카메라 모듈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 이송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카메라 모듈의 상부에서 상하로 이송되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을 흡착 회전시켜 플립된 상태에서 표시 공정을 실시하고, 표시 공정 후에 원위치로 회전되어 흡착력이 해제되면 상기 컨베이어 공급되는 원위치로 안치되도록 설치된 흡착 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표시용 플립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컨베이어의 한쪽 측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카메라 모듈의 이송 방향인 일측으로 배치되어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되는 것을 가이드하는 레일 형태로 설치된 이송 레일,
    상기 이송 레일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 레일 상에서 일측과 타측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컨베이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하로 이송되는 상기 지지 이송부가 지지되는 위치에 설치된 이송 프레임,
    상기 이송 프레임의 상기 컨베이어 방향으로 일측과 타측에 상부와 하부로 각각 돌출되도록 삽입 배치되어 있으며, 중앙에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어 상기 지지 이송부가 상하로 이송되는 것을 안내하도록 삽입되는 지지공을 가지는 상하 지지체, 및
    상기 이송 프레임과 상기 이송 레일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 프레임이 상기 이송 레일 상에서 일측과 타측으로 이송되는 동력을 제공하는 이송 작동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표시용 플립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이송부는,
    상기 이송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부의 상부에서 상하로 이동되도록 설치된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부의 하부에 지지되도록 위치하여 상기 지지 프레임과 연결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동력이 제공되도록 설치된 상하 이송 장치,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한쪽 측면에서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흡착 회전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상하 이송 장치의 작동으로 상기 지지 프레임과 함께 이동되면서 상기 흡착 회전부가 상하로 이동되도록 설치된 지지 브라켓, 및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하부 방향에 바형태로 일측과 타측에 각각 돌출되어 상기 이송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상하 이송 장치로 작동 시에 상하로 이송되는 상기 지지 프레임이 지지되어 유동이 방지되도록 설치된 상하 지지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표시용 플립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 회전부는,
    상기 카메라 모듈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일측으로 공급되도록 배열된 상기 카메라 모듈의 복수 위치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일측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 흡착 몸체,
    상기 흡착 몸체의 삽입되어 하부 방향으로 복수 위치에 각각 돌출 배치되어 있으며, 복수의 상기 카메라 모듈의 상부에 각각 위치하여 흡착 압력이 제공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카메라 모듈의 상부를 흡착하여 함께 이송되도록 설치된 흡착 노즐체,
    상기 흡착 몸체의 한쪽 측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흡착 몸체와 함께 상하로 이동되고, 회전되도록 설치된 흡착 지지 브라켓,
    상기 흡착 지지 브라켓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흡착 몸체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된 흡착 상하 이송 장치,
    상기 흡착 상하 이송 장치의 한쪽 측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흡착 상하 이송 장치의 한쪽 측면을 지지한 상태로 함께 회전되도록 설치된 흡착 이송 브라켓,
    상기 흡착 이송 브라켓의 한쪽 측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흡착 이송 브라켓과 상기 지지 이송부 사이에서 위치하여 상기 흡착 이송 브라켓과 함께 회전되도록 설치된 회전 브라켓, 및
    상기 지지 이송부의 한쪽 측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 이송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 브라켓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 브라켓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여 상기 흡착 몸체를 회전시키도록 설치된 흡착 회전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표시용 플립 장치.
KR1020120057095A 2012-05-30 2012-05-30 카메라 모듈 표시용 플립장치 KR101167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7095A KR101167060B1 (ko) 2012-05-30 2012-05-30 카메라 모듈 표시용 플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7095A KR101167060B1 (ko) 2012-05-30 2012-05-30 카메라 모듈 표시용 플립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7060B1 true KR101167060B1 (ko) 2012-07-30

Family

ID=46717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7095A KR101167060B1 (ko) 2012-05-30 2012-05-30 카메라 모듈 표시용 플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70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0079B1 (ko) 2019-11-28 2020-04-13 (주)이즈미디어 전자 부품 반전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4520B1 (ko) 2007-06-29 2008-10-23 (주)에이앤아이 카메라모듈 제조 시스템 및 그 제조방법
KR101138663B1 (ko) 2011-11-14 2012-04-20 주식회사 엠피에스 카메라 하우징 공급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4520B1 (ko) 2007-06-29 2008-10-23 (주)에이앤아이 카메라모듈 제조 시스템 및 그 제조방법
KR101138663B1 (ko) 2011-11-14 2012-04-20 주식회사 엠피에스 카메라 하우징 공급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0079B1 (ko) 2019-11-28 2020-04-13 (주)이즈미디어 전자 부품 반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73439A (zh) 基板作业机械
KR20100009208A (ko) 박리 및 안착 통합 장치와,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의제조방법
CN104550158A (zh) 全自动lcd端子清洗机
TWI451819B (zh) Installation device and installation method of electronic parts
KR101056143B1 (ko) 피씨비 기판 레이저 양면 마킹장치
CN104409578B (zh) 一种自动化led灯珠返修装置
CN103906369A (zh) 电路基板生产线用的电子元件安装设备
KR101167060B1 (ko) 카메라 모듈 표시용 플립장치
CN204685612U (zh) 全自动lcd端子清洗机
KR101228456B1 (ko) 카메라 모듈 제조용 연성 인쇄회로기판 접합 장치
CN114522851A (zh) 一种应用于遮光涂布工艺上的点胶设备
KR101166669B1 (ko) 카메라 모듈용 솔더링 장치
KR20110033527A (ko) 편광필름 세정 이송 장치
CN109436494B (zh) 笔记本电脑logo条组装设备
CN114367419B (zh) 一种点胶载台装置
JP2007196521A (ja) パターン形成装置
JP2004001547A (ja) スクリーン版自動交換装置
CN217043248U (zh) 一种应用于遮光涂布工艺上的点胶设备
KR101165608B1 (ko) 카메라 모듈용 디스펜싱 장치
CN206122843U (zh) 双工位恒温锡焊系统
CN205204222U (zh) 一种运输模块
KR101138663B1 (ko) 카메라 하우징 공급 장치
CN111299088A (zh) 一种点胶机构及显示屏生产线
JP6254450B2 (ja) 部品供給装置
KR102064720B1 (ko) 기판 본딩 접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