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9818B1 - 밸런스 훈련 장치 및 밸런스 훈련 방법 - Google Patents

밸런스 훈련 장치 및 밸런스 훈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9818B1
KR102099818B1 KR1020160114908A KR20160114908A KR102099818B1 KR 102099818 B1 KR102099818 B1 KR 102099818B1 KR 1020160114908 A KR1020160114908 A KR 1020160114908A KR 20160114908 A KR20160114908 A KR 20160114908A KR 102099818 B1 KR102099818 B1 KR 1020998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verted
wheeled vehicle
balance training
reference position
attitu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4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1628A (ko
Inventor
유 사사키
마사히로 다카하시
Original Assignee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31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16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9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98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6/00Exercising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A63B1/00 - A63B25/00
    • A63B26/003Exercising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A63B1/00 - A63B25/00 for improving balance or equilibrium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16Platforms for rocking motion about a horizontal axis, e.g. axis through the middle of the platform; Balancing drums; Balancing boar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64Attachments on the trainee preventing fall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4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for locating contacts on a surface, e.g. floor mats or touch pa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60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 A63F13/65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automatically by game devices or servers from real world data, e.g. measurement in live racing competi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16Athletics, e.g. track-and-field s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1/00Motor vehicles or trailer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number of whe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four wheels in diamond patter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7/00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ssisting bal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1/00Motorcycles, engine-assisted cycles or motor scooters with one or two wheels
    • B62K11/007Automatic balancing machines with single main ground engaging wheel or coaxial wheels supporting a ri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7/00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8Control of attitude, i.e. control of roll, pitch, or yaw
    • G05D1/0891Control of attitude, i.e. control of roll, pitch, or yaw specially adapted for land vehic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G09B9/02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 G09B9/04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for teaching control of land vehicles
    • G09B9/052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for teaching control of land vehicles characterised by provision for recording or measuring trainee's performan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G09B9/02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 G09B9/04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for teaching control of land vehicles
    • G09B9/058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for teaching control of land vehicles for teaching control of cycles or motorcy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5/00Evaluating, monitoring or diagnosing in the context of a particular type of medical care
    • A61B2505/09Rehabilitation or trai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6Determining posture tran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63B2024/009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the load of the exercise apparatus being controlled in synchronism with visualising systems, e.g. hill slo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63B2024/0096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using performance related parameters for controlling electronic or video games or avata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10Positions
    • A63B2220/16Angular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20Distances or displacements
    • A63B2220/24Angular displac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70Measuring or simulating ambient conditions, e.g. weather, terrain or surface cond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2Ultra-sound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7Photo camera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3Sensors arranged on the exercise apparatus or sports impl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50Wireless data transmission, e.g. by radio transmitters or telemetr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관한 밸런스 훈련 장치는 도립 이륜차와, 도립 이륜차에 탑승하는 탑승자의 자세에 따라 변화되는 도립 이륜차의 자세를 검출하는 자세 검출부와, 검출한 도립 이륜차의 자세에 따라, 도립 이륜차가 이동하도록 도립 이륜차를 제어하는 것과, 도립 이륜차의 자세에 따르지 않고 임의의 방향으로 강제적으로 이동시키도록 도립 이륜차를 제어하는 것의 양쪽을 가능하게 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밸런스 훈련 장치는 탑승자가 도립 이륜차에 탑승하여 소정의 기준 위치에 보다 근접하도록 조작함으로써 밸런스 감각을 훈련하는 밸런스 훈련을 위한 것이다. 밸런스 훈련 장치는 도립 이륜차의 위치를 취득하는 위치 취득부를 더 구비한다. 제어부는 취득한 도립 이륜차의 위치와 기준 위치 사이의 거리가 역치 이상인 경우, 도립 이륜차를, 기준 위치로부터 당해 도립 이륜차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강제적으로 이동시키는 제어를 억제한다.

Description

밸런스 훈련 장치 및 밸런스 훈련 방법 {BALANCE TRAINING DEVICE AND BALANCE TRAINING METHOD}
본 발명은 밸런스 훈련 장치 및 밸런스 훈련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탑승자의 자세 변화에 따라 도립 상태를 유지하도록 이동하는 도립 이륜차를 이용하여, 탑승자의 밸런스 감각을 훈련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1-31669호 공보에는 동축 이륜차(도립 이륜차)에 탑승한 탑승자가 효율적으로, 신체 기능이나 밸런스 기능을 훈련하기 위한 훈련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이 훈련 시스템은 탑승자의 무게 중심 이동에 따라, 도립 상태를 유지하여 주행하는 동축 이륜차를 갖는 동축 이륜차는, 일정 또는 랜덤한 주기로, 전후 좌우로 소정 동작을 행한다. 탑승자는 소정 동작에 따르고, 동축 이륜차가 일정 범위 내에 들어가도록, 무게 중심을 전후 혹은 좌우로 이동시키는 주행 조작을 행한다. 이에 의해, 탑승자는 즐기면서, 신체 기능 및 밸런스 기능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탑승자가 도립 이륜차를 특정한 범위 내에 머무르게 하기 위해 무게 중심 이동을 하는 방향으로 잘되지 않는 방향이 있는 경우에는, 그 방향으로 도립 이륜차의 위치를 충분히 복귀시킬 수 없다. 즉, 탑승자의 무게 중심 이동이 잘되지 않는 방향과 역방향은 탑승자에 대한 과제로서 도립 이륜차가 강제적으로 행하는 이동에 있어서 탑승자가 익숙하지 않은 방향이 된다. 그로 인해, 도립 이륜차가 서서히 그 익숙하지 않은 방향으로 이동해 버려, 특정한 범위 내에서의 훈련의 계속이 곤란해져 버린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탑승자의 자세 변화에 따라 도립 상태를 유지하도록 이동하는 도립 이륜차를 이용한 밸런스 감각의 훈련에 있어서, 특정한 범위 내에서의 훈련을 보다 용이하게 계속할 수 있는 밸런스 훈련 장치 및 밸런스 훈련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관한 밸런스 훈련 장치는 도립 이륜차와, 상기 도립 이륜차에 탑승하는 탑승자의 자세에 따라 변화되는 상기 도립 이륜차의 자세를 검출하는 자세 검출부와, 상기 자세 검출부가 검출한 상기 도립 이륜차의 자세에 따라, 상기 도립 이륜차가 이동하도록 상기 도립 이륜차를 제어하는 것과, 상기 도립 이륜차의 자세에 따르지 않고 임의의 방향으로 강제적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도립 이륜차를 제어하는 것의 양쪽을 가능하게 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탑승자가 상기 도립 이륜차에 탑승하여 소정의 기준 위치에 보다 근접하도록 조작함으로써 밸런스 감각을 훈련하는 밸런스 훈련을 위한 밸런스 훈련 장치이며, 상기 도립 이륜차의 위치를 취득하는 위치 취득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 취득부가 취득한 상기 도립 이륜차의 위치와 상기 기준 위치 사이의 거리가 역치 이상인 경우, 상기 도립 이륜차를, 상기 기준 위치로부터 당해 도립 이륜차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강제적으로 이동시키는 제어를 억제하는 것이다.
이에 의하면, 탑승자가 익숙하지 않은 방향으로 도립 이륜차가 이동해 버린 경우, 그 방향을 향해 도립 이륜차가 더욱 이동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특정한 범위 내에서의 훈련을 보다 용이하게 계속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밸런스 훈련 장치에서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세 검출부가 검출한 상기 도립 이륜차의 자세에 따라, 상기 도립 이륜차가 이동하도록 상기 도립 이륜차를 제어하는 통상 모드와, 상기 도립 이륜차의 자세에 따르지 않고 임의의 방향으로 강제적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도립 이륜차를 제어하는 과제 모드를 교대로 전환하여 실행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밸런스 훈련 장치에서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 위치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로부터, 상기 기준 위치까지, 상기 탑승자가 상기 도립 이륜차를 복귀시키는 시간을 산출하고, 산출한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상기 역치를 보다 작게 하도록 해도 된다.
이에 의하면, 도립 이륜차가 기준 위치로부터 크게 이격되어 버리면, 도립 이륜차를 기준 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이 곤란한 유저라도, 보다 기준 위치에 가까운 위치에서 밸런스 훈련을 계속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밸런스 훈련 장치에서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과제 모드로서 복수의 레벨 중 어느 하나로 동작하고, 상기 레벨이 높아짐에 따라, 단위 시간당에 상기 통상 모드로부터 상기 과제 모드로 전환하는 횟수를 보다 많게 하는 제어 및 상기 레벨이 높아짐에 따라, 상기 임의의 방향으로의 이동량을 보다 크게 하는 제어 중 적어도 하나를 행하고, 상기 레벨이 높아짐에 따라, 상기 역치를 보다 크게 하도록 해도 된다.
이에 의하면, 밸런스 훈련의 레벨에 따라, 바로 과제의 부여를 억제하는 상태에 걸리지 않도록 역치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훈련자가 익숙하지 않은 방향의 과제에 대한 훈련 기회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밸런스 훈련 장치에서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립 이륜차의 자세와, 상기 도립 이륜차의 자세는 독립하여 설정되는 파라미터의 양쪽을 고려하여 결정되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임의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도립 이륜차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도립 이륜차의 자세에 따르지 않고 임의의 방향으로 강제적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도립 이륜차를 제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관한 밸런스 훈련 방법은 도립 이륜차에 탑승하는 탑승자의 자세에 따라 변화되는 상기 도립 이륜차의 자세에 따라, 상기 도립 이륜차가 이동하도록 상기 도립 이륜차를 제어하는 것과, 상기 도립 이륜차의 자세에 따르지 않고 임의의 방향으로 강제적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도립 이륜차를 제어하는 것의 양쪽을 실행하는 제어 스텝을 구비하고, 상기 탑승자가 도립 이륜차에 탑승하여 소정의 기준 위치에 보다 근접하도록 조작함으로써 밸런스 감각을 훈련하는 밸런스 훈련을 위한 밸런스 훈련 방법이며, 상기 제어 스텝은, 상기 도립 이륜차의 위치와 상기 기준 위치 사이의 거리가 역치 이상인 경우, 상기 도립 이륜차를, 상기 기준 위치로부터 당해 도립 이륜차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강제적으로 이동시키는 제어를 억제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각 형태에 의하면, 탑승자의 자세 변화에 따라 도립 상태를 유지하도록 이동하는 도립 이륜차를 이용한 밸런스 감각의 훈련에 있어서, 특정한 범위 내에서의 훈련을 보다 용이하게 계속할 수 있는 밸런스 훈련 장치 및 밸런스 훈련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목적, 이점은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닌 예로서의 부수되는 도면으로의 참조와 함께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읽음으로써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관한 밸런스 훈련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실시 형태에 관한 로데오 게임의 게임 화면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실시 형태에 관한 도립 이륜차의 외부 구성도.
도 4는 실시 형태에 관한 도립 이륜차의 내부 구성도.
도 5는 실시 형태에 관한 밸런스 훈련 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6은 실시 형태에 관한 도립 이륜차의 이동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구체적인 수치 등은 실시 형태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예시에 지나지 않고, 특별히 언급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그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기재 및 도면에서는 설명의 명확화를 위해, 당업자에게 있어서 자명한 사항 등에 대해서는, 적절히 생략 및 간략화가 이루어져 있다.
<발명의 실시 형태>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밸런스 훈련 장치(1)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런스 훈련 장치(1)는 도립 이륜차(2)와, 훈련 과제 부여 장치(3)와, 고정 부재(4)와, 현수구(5)와, 벨트(6)와, 프레임(7)을 갖는다.
도립 이륜차(2)는 훈련자(탑승자)를 태우고 이동하는 차량이다. 도립 이륜차(2)는 훈련자의 자세 변화에 따라 도립 상태를 유지하도록 이동한다. 훈련자는 표시 장치(31)에 표시되는 트레이닝 화면(게임 화면)을 참고로, 훈련 과제 부여 장치(3)에 의해 부여되는 과제를 클리어하도록 도립 이륜차(2)를 이동시킴으로써 밸런스 감각을 트레이닝한다. 훈련자로서, 예를 들어 뇌졸중에 의한 편마비 환자 등을 상정하고 있다.
훈련 과제 부여 장치(3)는 훈련자에 대해 과제를 부여하는 장치이다. 훈련 과제 부여 장치(3)는 제어 장치(30)와, 표시 장치(31)를 갖는다.
제어 장치(30)는 밸런스 훈련 장치(1)를 제어하는 정보 처리 장치이다. 제어 장치(30)는 훈련자 또는 개조자에 의해 실행이 지시된 밸런스 훈련에 있어서의 과제를 훈련자에게 부여하는 동작을 실행하도록 도립 이륜차(2)를 제어함과 함께, 그 밸런스 훈련에 대응하는 트레이닝 화면을 표시 장치(31)에 표시한다.
제어 장치(3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및 기억부를 갖고, 기억부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어 장치(30)로서의 처리를 실행한다. 즉, 제어 장치(30)의 기억부에 저장되는 프로그램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제어 장치(30)에 있어서의 처리를, CPU에 실행시키기 위한 코드를 포함한다. 또한, 기억부는, 예를 들어 이 프로그램이나, CPU에 있어서의 처리에 이용되는 각종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기억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기억 장치로서, 예를 들어 메모리 및 하드 디스크 등의 기억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임의의 기억 장치를 이용해도 된다.
제어 장치(30)는 무선 통신을 통해, 훈련자 또는 개조자가 조작하는 리모트 컨트롤러(도시하지 않음, 이하, 「리모콘」이라고도 칭함)와 통신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어 장치(30)는 훈련자 또는 개조자부터 리모콘에 대한 밸런스 훈련의 실행을 지시하는 입력에 따라 리모콘으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한다. 이 무선 신호는 밸런스 훈련의 실행을 지시하는 입력 내용을 나타낸다.
제어 장치(30)는 이 무선 신호에 따라, 밸런스 훈련의 실행을 개시한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30)는 도립 이륜차(2)가 밸런스 훈련용 동작을 개시하도록 도립 이륜차(2)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 장치(30)는 트레이닝 화면의 표시 장치(31)로의 표시를 개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장치(30)는 무선 통신을 통해 도립 이륜차(2)와 통신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어 장치(30)는 밸런스 훈련의 개시를 지시하는 무선 신호를 도립 이륜차(2)로 송신한다. 이 무선 신호에 따라, 도립 이륜차(2)는 밸런스 훈련용 동작을 개시한다. 또한, 도립 이륜차(2)는 밸런스 훈련의 실행에 따라 변화되는 도립 이륜차(2)의 위치를 나타내는 무선 신호를 제어 장치(30)로 송신한다. 제어 장치(30)는 도립 이륜차(2)로부터 수신한 무선 신호가 나타내는 도립 이륜차(2)의 위치를, 표시 장치(31)에 표시하고 있는 트레이닝 화면에 반영한다.
여기서, 도 2를 참조하여, 트레이닝 화면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밸런스 훈련 내용(게임 내용)이 로데오 게임인 예를 도시하고 있다. 트레이닝 화면에서는 도립 이륜차(2) 및 훈련자가, 플레이어가 탄 말을 본떠서 그려져 있다. 또한, 트레이닝 화면에서는 소정의 기준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반경이 다른 복수의 원이 그려져 있다.
로데오 게임의 실행 중에서는, 도립 이륜차(2)는 간헐적으로 훈련자의 조작과는 무관계로 랜덤한 이동을 행한다. 이 도립 이륜차(2)의 움직임에 대해, 훈련자가, 도립 이륜차(2)가 기준 위치에 위치하도록 자세를 변화시켜 도립 이륜차(2)를 이동시킴으로써, 훈련자의 밸런스 감각이 훈련된다. 이때, 제어 장치(30)는 트레이닝 화면에 있어서, 도립 이륜차(2)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로 말을 이동시켜 표시한다. 로데오 게임은 소정 시간 동안 실시되고, 그동안에 보다 작은 원 내에 말이 위치할수록, 득점이 보다 높게 상승한다.
표시 장치(3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 장치(30)에 의해 트레이닝 화면이 표시된다. 표시 장치(31)는,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 유기 EL 디스플레이, 또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등이다.
고정 부재(4)는 도립 이륜차(2) 및 그것을 탄 탑승자보다도 높은 위치에서, 프레임(7)의 상부 프레임 부재에 고정되어 있다. 현수구(5)는 고정 부재(4)와 탑승자에게 접속되어 있다. 현수구(5)는, 예를 들어 고무 또는 스프링 등의 탄성재를 포함하는 신축성이 있는 재질을 포함하는 끈 형상의 부재이다. 여기서, 현수구(5)는 벨트(6)를 통해 탑승자에게 접속되어 있다. 벨트(6)는 탑승자의 상반신에 장착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현수구(5)는 탑승자를 상방으로 인장하여 올리는 형태로 지지하고 있다. 이에 의해, 탑승자가 도립 이륜차(2)로부터 벗어나 버린 경우라도, 입위 자세를 유지하기 쉽게 하여, 안전성을 보다 향상시키고 있다.
계속해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도립 이륜차(2)의 외부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립 이륜차(2)는 핸들(10)과, 스텝 커버(11)와, 좌우 한 쌍의 차륜(12)을 갖는다.
도립 이륜차(2)는 핸들(10)을 파지하고 스텝 커버(11)에 탑승한 훈련자가, 도립 이륜차(2)의 전후 방향으로 하중을 작용시킨 경우에 발생하는, 도립 이륜차(2)의 전후 방향에 대한 자세의 변화에 따라, 도립 이륜차(2)의 도립 상태를 유지하도록 좌우의 차륜(12)을 회전시킨다. 즉, 도립 이륜차(2)는 훈련자가 도립 이륜차(2)의 자세를 전방으로 경사지게 하면, 도립 이륜차(2)의 도립 상태를 유지하도록 전방으로 주행하고, 훈련자가 도립 이륜차(2)의 자세를 후방으로 경사지게 하면, 도립 이륜차(2)의 도립 상태를 유지하도록 후방으로 주행하도록, 좌우의 차륜(12)을 회전시킨다.
또한, 도립 이륜차(2)는 핸들(10)을 파지하고 스텝 커버(11)에 탑승한 훈련자가, 도립 이륜차(2)의 좌우 방향으로 하중을 작용시킨 경우에 발생하는, 도립 이륜차(2)의 좌우 방향에 대한 자세의 변화에 따라, 도립 이륜차(2)가 선회 동작을 행하도록 좌우의 차륜(12)을 회전시킨다. 즉, 도립 이륜차(2)는 훈련자가 도립 이륜차(2)의 자세를 좌측으로 경사지게 하면, 도립 이륜차(2)를 좌측 방향으로 선회시키고, 훈련자가 도립 이륜차(2)의 자세를 우측으로 경사지게 하면 도립 이륜차(2)를 우측으로 선회시키도록, 좌우의 차륜(12)을 회전시킨다.
핸들(10)은 스텝 커버(11) 위에 탑승한 훈련자가 양손으로 파지 가능해지도록, 도립 이륜차(2)에 있어서 스텝 커버(11)의 전방에 설치되어 있고, 상방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훈련자가, 도립 이륜차(2)의 좌우 방향으로 작용시킨 하중에 따라 좌우 방향으로 경사진다.
스텝 커버(11)는 탑승자가 양 발의 각각을 태우는 탑승부이다. 스텝 커버(11)는 탑승자가 도립 이륜차(2)의 전후 방향으로 작용시킨 하중에 따라, 도립 이륜차(2) 전체와 함께 전후 방향으로 경사진다. 또한, 스텝 커버(11)는 탑승자가 도립 이륜차(2)의 좌우 방향으로 작용시킨 하중에 따라, 핸들(10)과 함께 좌우 방향으로 경사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립 이륜차(2)는 핸들(10)과 스텝 커버(11)를 포함하는 링크 기구를 갖는다. 이에 의해, 탑승자가 오른발에 하중을 시프트하여 자세를 좌측으로 경사지게 하면, 링크 기구를 통해 스텝 커버(11)는 좌측으로 경사지고, 이것과 연동하여 핸들(10)도 좌측으로 경사진다. 또한, 탑승자가 왼발에 하중을 시프트하여 자세를 우측으로 경사지게 하면, 링크 기구를 통해 스텝 커버(11)는 우측으로 경사지고, 이것과 연동하여 핸들(10)도 우측으로 경사진다. 링크 기구는 도립 이륜차(2)를 선회시키기 위한 조작부로서 기능한다. 또한, 핸들(10)은 스텝 커버(11)를 갖는 링크 기구와는 연결하지 않고 독립하여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차륜(12)은 도립 이륜차(2)에 있어서 스텝 커버(11)의 하방에 설치되어 있다. 차륜(12)은 도립 이륜차(2)에 있어서 좌우 대칭이 되도록 2개 설치되어 있다.
계속해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도립 이륜차(2)의 내부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립 이륜차(2)는 무선 통신 회로(20)와, 자세각 센서(21)와, 기울기각 센서(22)와, 마이크로컨트롤러(23)(이하, 「마이크로컴퓨터」라고도 칭함)와, 구동 회로(24, 25)와, 모터(26, 27)와, 회전각 센서(28, 29)를 갖는다.
무선 통신 회로(20)는 제어 장치(30)와의 사이에서 무선 신호에 의해 임의의 정보를 송수신한다. 무선 통신 회로(20)는 마이크로컴퓨터(23)로부터 출력된 정보를, 전기 신호로부터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 장치(30)로 송신한다. 무선 통신 회로(20)는 제어 장치(3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무선 신호로부터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마이크로컴퓨터(23)에 출력한다. 또한, 이 무선 신호에는 임의의 무선 통신 규격을 채용해도 된다.
자세각 센서(21)는 훈련자가 스텝 커버(11)에 대해, 도립 이륜차(2)의 전후 방향으로 하중을 작용시킴으로써 변화되는, 도립 이륜차(2)의 전후 방향의 자세각(피치축 주위의 각도)을 검출하는 센서이다. 자세각 센서(21)는 검출한 자세각을 나타내는 자세각 신호를 생성하여 마이크로컴퓨터(23)에 출력한다. 이하, 이 도립 이륜차(2)의 피치축 주위의 각도를 「피치각」이라고도 칭한다.
기울기각 센서(22)는 기울기각으로서 스텝 커버(11)의 좌우 방향의 경사각(롤축 주위의 각도)을 검출하고, 검출한 기울기각을 나타내는 기울기각 신호를 생성하여 마이크로컴퓨터(23)에 출력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스텝 커버(11)와 핸들(10)은 링크 기구에 의해 연동하고 있으므로, 기울기각 센서(22)가 검출하는 경사각은 핸들(10)의 좌우 방향의 경사각에도 상당한다.
마이크로컴퓨터(23)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도립 이륜차(2)의 도립 상태를 유지하도록 모터(26, 27)를 제어하는 ECU(Electronic Control Unit)이다. 마이크로컴퓨터(23)는 CPU 및 기억부를 갖고, 기억부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마이크로컴퓨터(23)로서의 처리를 실행한다. 즉, 마이크로컴퓨터(23)의 기억부에 저장되는 프로그램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마이크로컴퓨터(23)에 있어서의 처리를, CPU에 실행시키기 위한 코드를 포함한다. 또한, 기억부는, 예를 들어 이 프로그램이나, CPU에 있어서의 처리에 이용되는 각종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기억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기억 장치로서, 예를 들어 메모리 및 하드 디스크 등의 기억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임의의 기억 장치를 이용해도 된다.
마이크로컴퓨터(23)는 모터(26)를 제어하는 명령값을 구동 회로(24)에 출력한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23)는 모터(27)를 제어하는 명령값을 구동 회로(25)에 출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마이크로컴퓨터(23)는 자세각 센서(21)로부터 출력되는 자세각 신호가 나타내는 도립 이륜차(2)의 자세각에 기초하여, 도립 이륜차(2)의 도립 상태를 유지하도록 모터(26, 27)를 제어하는 명령값을 생성한다.
마이크로컴퓨터(23)는 자세각이 소정의 기준 자세각보다도 전방으로 경사진 각도가 되어 있는 경우, 도립 이륜차(2)를 전방으로 주행시키도록 명령값을 생성한다. 한편, 마이크로컴퓨터(23)는 자세각이 상술한 기준 자세각보다도 후방으로 경사진 각도가 되어 있는 경우, 도립 이륜차(2)를 후방으로 주행시키도록 명령값을 생성한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23)는 상술한 기준 자세각과 자세각의 차가 커짐에 따라, 도립 이륜차(2)를 보다 가속시키도록 명령값을 생성한다.
또한, 기울기각 센서(22)로부터 출력되는 기울기각 신호가 나타내는 도립 이륜차(2)의 기울기각에 기초하여, 도립 이륜차(2)가 선회하도록 모터(26, 27)를 제어하는 명령값을 생성한다.
마이크로컴퓨터(23)는 기울기각이 도립 이륜차(2)에 있어서의 소정의 기준 경사각보다도 우측으로 경사진 각도가 되어 있는 경우, 도립 이륜차(2)를 우측으로 주행시키도록 명령값을 생성한다. 한편, 마이크로컴퓨터(23)는 기울기각이 도립 이륜차(2)에 있어서의 상술한 기준 경사각보다도 좌측으로 경사진 각도가 되어 있는 경우, 도립 이륜차(2)를 좌측으로 주행시키도록 명령값을 생성한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23)는 상술한 기준 경사각과 기울기각의 차가 커짐에 따라, 도립 이륜차(2)가 보다 급선회가 되도록(보다 선회 반경이 작아지도록) 명령값을 생성한다.
구동 회로(24)는 마이크로컴퓨터(23)로부터 출력된 명령값에 기초하여, 모터(26)를 구동하는 구동 전류를 생성하여 모터(26)에 공급한다. 구동 회로(25)는 마이크로컴퓨터(23)로부터 출력된 명령값에 기초하여, 모터(27)를 구동하는 구동 전류를 생성하여 모터(27)에 공급한다.
모터(26)는 구동 회로(24)로부터 공급되는 구동 전류에 기초하여 구동된다. 모터(26)를 구동함으로써, 도립 이륜차(2)의 좌측의 차륜(12)이 회전한다. 모터(27)는 구동 회로(25)로부터 공급되는 구동 전류에 기초하여 구동된다. 모터(27)를 구동함으로써, 도립 이륜차(2)의 우측의 차륜(12)이 회전한다.
회전각 센서(28)는 모터(26)의 회전각을 검출하고, 검출한 회전각을 나타내는 회전각 신호를 생성하여 마이크로컴퓨터(23)에 출력한다. 회전각 센서(29)는 모터(27)의 회전각을 검출하고, 검출한 회전각을 나타내는 회전각 신호를 생성하여 마이크로컴퓨터(23)에 출력한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마이크로컴퓨터(23)는 상술한 밸런스 훈련용 동작에서는, 통상 모드와, 과제 모드를 교대로 전환하여 실행한다. 바꾸어 말하면, 마이크로컴퓨터(23)는 그 동작 모드로서, 통상 모드와 과제 모드를 갖는다.
통상 모드에서는, 마이크로컴퓨터(23)는 도립 이륜차(2)의 자세에 따라, 도립 이륜차(2)가 도립 상태를 유지하여 이동하도록 도립 이륜차(2)를 제어한다. 즉, 통상 모드에서는, 마이크로컴퓨터(23)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자세각 센서(21)로부터의 자세각 신호가 나타내는 자세각 및 기울기각 센서(22)로부터의 기울기각 신호가 나타내는 기울기각에 기초하여, 도립 이륜차(2)를 제어한다.
한편, 과제 모드에서는 도립 이륜차(2)의 자세에 따르지 않고, 임의의 방향으로 강제적으로 이동시키도록 도립 이륜차(2)를 제어한다. 마이크로컴퓨터(23)는 자세각 센서(21)로부터의 자세각 신호가 나타내는 자세각 및 기울기각 센서(22)로부터의 기울기각 신호가 나타내는 기울기각 중 적어도 하나를, 난수에 의해 생성한 오프셋값[도립 이륜차(2)의 자세와는 독립하여 설정되는 파라미터]을 가산함으로써 변경하고, 변경 후의 자세각 및 기울기각(을 나타내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도립 이륜차(2)를 제어한다. 또한, 오프셋값은 난수에 의해 생성한 값으로 한정되지 않고, 소정의 패턴을 이용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자세각 및 기울기각 중 어느 하나만을 변경하는 경우는, 자세각 및 기울기각의 어떤 것을 변경할지를 랜덤하게 결정해도 되고, 소정의 순서로 결정해도 된다. 또한, 자세각 및 기울기각의 양쪽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자세각 및 기울기각의 각각에 대해, 동일한 오프셋값을 가산해도 되고, 다른 오프셋값을 가산해도 된다.
이와 같이, 마이크로컴퓨터(23)는 간헐적으로, 통상 모드로부터 과제 모드로의 전환과, 과제 모드로부터 통상 모드로의 전환을 교대로 실행함으로써, 상술한 로데오 게임에 있어서의 과제로서, 훈련자의 조작과는 무관계로 랜덤한 도립 이륜차(2)의 이동을 실현한다. 여기서, 상술한 동작 모드의 전환은 일정 시간 간격으로 행해도 되고, 랜덤한 시간 간격으로 행해도 된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23)는 밸런스 훈련 개시 시에 있어서의 도립 이륜차(2)의 위치를 기준 위치로 하고, 밸런스 훈련 중에 있어서의 도립 이륜차(2)의 위치를, 회전각 센서(28)로부터 출력된 회전각 신호가 나타내는 모터(26)의 회전각과, 회전각 센서(29)로부터 출력된 회전각 신호가 나타내는 모터(27)의 회전각에 기초하여, 수시 산출한다. 이 밸런스 훈련 중에 있어서의 도립 이륜차(2)의 위치의 산출 방법으로서, 일반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임의의 방법을 이용해도 된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컴퓨터(23)는 밸런스 훈련 중의 도립 이륜차(2)의 위치를, 차륜(12)의 반경과, 밸런스 훈련 개시부터의 모터(26) 및 모터(27)의 각각의 회전각의 누적값에 기초하여 산출해도 된다.
그리고, 마이크로컴퓨터(23)는 산출한 도립 이륜차(2)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무선 통신 회로(20)를 통해 제어 장치(30)로 송신한다. 제어 장치(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이 도립 이륜차(2)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도립 이륜차(2)의 위치를 트레이닝 화면에 있어서 표시한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23)는 이와 같이 하여 산출한 밸런스 훈련 중의 도립 이륜차(2)의 위치를, 후술하는 바와 같이, 훈련자가 익숙하지 않은 방향으로의 과제의 부여를 억지하는 제어를 위해 이용한다. 즉, 밸런스 훈련 중의 도립 이륜차(2)의 위치가, 기준 위치로부터 크게 이격되어 버린 경우, 기준 위치로부터 도립 이륜차(2)가 위치하는 방향은, 과제로서 도립 이륜차(2)를 강제적으로 이동시키는 데 있어서, 훈련자가 익숙하지 않은 방향이 된다. 따라서, 마이크로컴퓨터(23)는 그 익숙하지 않은 방향으로의 도립 이륜차(2)의 강제적인 이동을 억지한다. 이에 의해, 특정한 범위 내에서의 밸런스 훈련의 계속을 가능하게 한다.
계속해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밸런스 훈련 장치(1)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마이크로컴퓨터(23)는 과제 모드를 실행하고 있는 동안, 도 5에 도시하는 처리를 반복함으로써, 훈련자가 익숙하지 않은 방향에 대한 과제의 부여를 억지하여, 특정한 범위 내에서의 밸런스 훈련의 계속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도 6에서는 기준 위치를 중심으로 한 원(40)은 로데오 게임에 있어서 득점이 가산되는 최외주원을 나타내고, 기준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원(40)보다도 반경이 큰 원(41)은 훈련자가 익숙하지 않은 방향에 대한 과제의 부여를 억지할지 여부의 기준이 되는 원이다.
마이크로컴퓨터(23)는 도립 이륜차(2)의 위치 X를 취득한다(S1). 보다 구체적으로는, 마이크로컴퓨터(23)는 회전각 센서(28)로부터 출력된 회전각 신호가 나타내는 모터(26)의 회전각과, 회전각 센서(29)로부터 출력된 회전각 신호가 나타내는 모터(27)의 회전각에 기초하여, 기준 위치 A에 대한 도립 이륜차(2)의 현재 위치 X를 산출한다.
마이크로컴퓨터(23)는 산출한 도립 이륜차(2)의 현재 위치 X의 기준 위치 A로부터의 어긋남량 P를 산출한다(S2). 바꾸어 말하면, 마이크로컴퓨터(23)는 기준 위치 A와 도립 이륜차(2)의 현재 위치 X의 거리 P를 산출한다.
마이크로컴퓨터(23)는 산출한 어긋남량 P가 소정의 역치 N보다도 작은지 여부를 판정한다(S3). 어긋남량 P가 역치 N보다도 작은 경우(S3: 예), 마이크로컴퓨터(23)는 통상의 과제를 부여한다(S4). 즉, 마이크로컴퓨터(23)는 자세각 센서(21)로부터의 자세각 신호가 나타내는 자세각 및 기울기각 센서(22)로부터의 기울기각 신호가 나타내는 기울기각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난수에 의해 생성한 오프셋값을 가산함으로써 변경하고, 변경 후의 자세각 및 기울기각에 기초하여, 도립 이륜차(2)를 제어한다.
한편, 어긋남량 P가 역치 N 이상인 경우(S3: 아니오), 마이크로컴퓨터(23)는 기준 위치 A로부터 도립 이륜차(2)의 현재 위치 X의 방향(훈련자가 익숙하지 않은 방향)으로의 과제를 제외한 과제를 부여한다(S5). 즉, 마이크로컴퓨터(23)는 과제로서, 기준 위치 A로부터 도립 이륜차(2)의 현재 위치 X의 방향으로의 도립 이륜차(2)의 강제적인 이동을 억지한다.
예를 들어, 기준 위치 A로부터 도립 이륜차(2)의 현재 위치 X의 방향이, 도립 이륜차(2)의 전방향인 경우, 마이크로컴퓨터(23)는 과제로서 도립 이륜차(2)를 강제적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부터, 도립 이륜차(2)의 전방향으로의 이동을 제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마이크로컴퓨터(23)는 자세각이 보다 전방으로 기울도록 변경되는 오프셋값의 적용을 제외하고, 자세각이 보다 후방으로 기울도록 변경되는 오프셋값만을 적용한다.
예를 들어, 기준 위치 A로부터 도립 이륜차(2)의 현재 위치 X의 방향이, 도립 이륜차(2)의 후방향인 경우, 마이크로컴퓨터(23)는 과제로서 도립 이륜차(2)를 강제적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부터, 도립 이륜차(2)의 후방향으로의 이동을 제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마이크로컴퓨터(23)는 자세각이 보다 후방으로 기울도록 변경되는 오프셋값의 적용을 제외하고, 자세각이 보다 전방으로 기울도록 변경되는 오프셋값만을 적용한다.
예를 들어, 기준 위치 A로부터 도립 이륜차(2)의 현재 위치 X의 방향이, 도립 이륜차(2)의 우측 방향인 경우, 마이크로컴퓨터(23)는 과제로서 도립 이륜차(2)를 강제적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부터, 도립 이륜차(2)의 우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마이크로컴퓨터(23)는 기울기각이 보다 우측으로 기울도록 변경되는 오프셋값의 적용을 제외하고, 기울기각이 보다 좌측으로 기울도록 변경되는 오프셋값만을 적용한다.
예를 들어, 기준 위치 A로부터 도립 이륜차(2)의 현재 위치 X의 방향이, 도립 이륜차(2)의 좌측 방향인 경우, 마이크로컴퓨터(23)는 과제로서 도립 이륜차(2)를 강제적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부터, 도립 이륜차(2)의 좌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마이크로컴퓨터(23)는 기울기각이 보다 좌측으로 기울도록 변경되는 오프셋값의 적용을 제외하고, 기울기각이 보다 우측으로 기울도록 변경되는 오프셋값만을 적용한다.
여기서, 기준 위치 A로부터 도립 이륜차(2)의 현재 위치 X의 방향이, 도립 이륜차(2)의 전후 좌우 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방향인 경우, 그 기준 위치 A로부터 도립 이륜차(2)의 현재 위치 X로의 방향의 벡터를 전후 방향의 성분과 좌우 방향의 성분으로 분해하고, 분해한 성분 중, 보다 큰 성분의 벡터가 향하는 방향을, 과제로서 도립 이륜차(2)를 강제적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부터 제외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기준 위치 A로부터 도립 이륜차(2)의 현재 위치 X의 방향으로의 과제의 부여를 억지하는(완전히 제외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그 방향으로의 과제의 부여를 억제하도록(정도를 저감하도록) 해도 된다. 여기서, 억제는 억지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컴퓨터(23)는 기준 위치 A로부터 도립 이륜차(2)의 현재 위치 X의 방향에 대해, 과제로서 도립 이륜차(2)를 강제적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량을, 다른 방향에 대해 도립 이륜차(2)를 강제적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량보다도 작게 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컴퓨터(23)는 기준 위치 A로부터 도립 이륜차(2)의 현재 위치 X의 방향에 대해서는, 다른 방향과 비교하여, 자세각 또는 기울기각에 가산하는 오프셋값을 소정의 비율 저감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23)는 기준 위치 A로부터 도립 이륜차(2)의 현재 위치 X의 방향에 대한 과제의 부여의 억제로서, 그 방향에 대해, 과제로서 도립 이륜차(2)를 강제적으로 이동시키는 빈도를, 다른 방향에 대해 도립 이륜차(2)를 강제적으로 이동시키는 빈도보다도 낮게 해도 된다.
여기서, 기준 위치 A로부터 도립 이륜차(2)의 현재 위치 X의 방향이, 도립 이륜차(2)의 전후 좌우 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방향인 경우, 그 기준 위치 A로부터 도립 이륜차(2)의 현재 위치 X의 방향의 벡터를 전후 방향의 성분과 좌우 방향의 성분으로 분해하고, 분해한 성분 중, 보다 큰 성분의 벡터가 향하는 방향으로의 과제의 부여를 억제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분해한 성분의 각각의 벡터가 향하는 방향으로의 과제의 부여를 억제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분해한 성분의 각각의 벡터가 향하는 방향으로의 과제의 부여를 억제하는 정도로서, 분해한 성분의 각각의 벡터가 커짐에 따라, 과제의 부여를 억제하는 정도를 보다 크게 하도록 하면 된다. 예를 들어, 벡터가 커짐에 따라, 오프셋값을 저감하는 비율을 크게 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벡터가 커짐에 따라, 도립 이륜차(2)를 강제적으로 이동시키는 빈도를 보다 낮게 하도록 해도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밸런스 훈련 장치(1)는 도립 이륜차(2)와, 도립 이륜차(2)에 탑승하는 탑승자의 자세에 따라 변화되는 도립 이륜차(2)의 자세를 검출하는 자세 검출부[자세각 센서(21) 및 기울기각 센서(2)에 대응]와, 자세 검출부가 검출한 도립 이륜차(2)의 자세에 따라, 도립 이륜차(2)가 이동하도록 도립 이륜차(2)를 제어하는 것과, 도립 이륜차(2)의 자세에 따르지 않고 임의의 방향으로 강제적으로 이동시키도록 도립 이륜차(2)를 제어하는 것의 양쪽을 가능하게 하는 제어부[마이크로컴퓨터(23)에 대응]를 구비한다. 밸런스 훈련 장치(1)는 탑승자가 도립 이륜차(2)에 탑승하여 소정의 기준 위치에 보다 근접하도록 조작함으로써 밸런스 감각을 훈련하는 밸런스 훈련을 위한 것이다. 밸런스 훈련 장치(1)는 도립 이륜차(2)의 위치를 취득하는 위치 취득부[마이크로컴퓨터(23)에 대응]를 더 구비한다. 제어부는 위치 취득부가 취득한 도립 이륜차(2)의 위치와 기준 위치 사이의 거리가 역치 이상인 경우, 도립 이륜차(2)를, 기준 위치로부터 당해 도립 이륜차(2)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강제적으로 이동시키는 제어를 억제하는 것이다.
이에 의하면, 탑승자가 익숙하지 않은 방향으로 도립 이륜차(2)가 이동해 버린 경우, 그 방향을 향해 도립 이륜차(2)가 더욱 이동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특정한 범위 내에서의 훈련을 보다 용이하게 계속할 수 있다.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
여기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역치 N이 미리 정해진 고정값인 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역치 N은 가변으로 해도 된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컴퓨터(23)는 기준 위치 A로부터 도립 이륜차(2)의 위치 X까지의 거리가, 소정의 거리가 된 시점부터, 도립 이륜차(2)의 위치 X가 기준 위치 A로 복귀될 때까지의 시간을 계측한다. 그리고, 마이크로컴퓨터(23)는 그 계측한 시간에 따라, 역치 N을 변경해도 된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컴퓨터(23)는 계측한 시간이 클수록, 역치 N이 보다 작아지도록 변경한다.
이에 의하면, 도립 이륜차(2)가 기준 위치로부터 크게 이격되어 버리면, 도립 이륜차(2)를 기준 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이 곤란한 유저라도, 보다 기준 위치에 가까운 위치에서 밸런스 훈련을 계속시킬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로데오 게임에 있어서, 보다 고득점을 취하기 쉽게 하여, 훈련 의욕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도립 이륜차(2)는 밸런스 훈련용 동작으로서, 복수의 레벨을 갖고 있어도 된다. 즉, 레벨이 높아짐에 따라, 밸런스 훈련의 난이도가 상승한다. 이 레벨은 밸런스 훈련의 실행을 지시할 때에, 훈련자 또는 개조자가 리모콘에 의해 지정 가능하게 하면 된다. 즉, 제어 장치(30)는 훈련자 또는 개조자부터 리모콘에 대한 밸런스 훈련의 레벨을 선택하여 실행을 지시하는 입력에 따라 리모콘으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한다. 이 무선 신호는 밸런스 훈련의 레벨을 선택함과 함께 밸런스 훈련의 실행을 지시하는 입력 내용을 나타낸다.
제어 장치(30)는 이 무선 신호에 따라, 선택된 레벨에서의 밸런스 훈련의 실행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30)는 선택된 레벨에서의 밸런스 훈련의 개시를 지시하는 무선 신호를 도립 이륜차(2)로 송신한다. 도립 이륜차(2)의 마이크로컴퓨터(23)는 무선 통신 회로(20)를 통해 수신한 이 무선 신호에 따라, 그 무선 신호로 지시된 레벨에서의 밸런스 훈련용 동작을 개시한다.
마이크로컴퓨터(23)는 선택된 레벨이 높아짐에 따라, 단위 시간당에 통상 모드로부터 과제 모드로 전환하는 횟수를 보다 많게 하는 제어 및 선택된 레벨이 높아짐에 따라, 임의의 방향으로 이동량을 보다 크게 하는 제어 중 적어도 하나를 행한다. 즉, 마이크로컴퓨터(23)는 선택된 레벨이 높아짐에 따라, 통상 모드로 전환되고 나서, 다시, 과제 모드로 전환될 때까지의 시간을 보다 짧게 한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23)는 선택된 레벨이 높아짐에 따라, 상술한 오프셋값을 보다 크게 한다. 그리고, 마이크로컴퓨터(23)는 선택된 레벨이 높아질수록, 역치 N이 보다 커지도록 변경한다.
이에 의하면, 밸런스 훈련의 레벨에 따라, 바로 과제의 부여를 억제하는 상태에 걸리지 않도록 역치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훈련자가 익숙하지 않은 방향의 과제에 대한 훈련 기회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로 한정된 것은 아니고,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마이크로컴퓨터(23)가, 회전각 센서(28, 29)로부터 출력된 회전각 신호가 나타내는 모터(26, 27)의 회전각에 기초하여, 도립 이륜차(2)의 위치를 산출함으로써, 도립 이륜차(2)의 위치를 취득하는 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밸런스 훈련 장치(1)에 있어서, 도립 이륜차(2)의 위치를, 도립 이륜차(2)의 외부에서 관측하는 센서(카메라, 적외선 센서, 또는 초음파 센서 등)를 갖도록 하고, 그 센서의 관측 결과에 기초하여, 도립 이륜차(2)의 위치를 취득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그와 같은 센서를, 도립 이륜차(2)의 상방으로부터 도립 이륜차(2)의 위치를 관측하도록 프레임(7)에 설치한다. 제어 장치(30)는 그 센서에 의해 생성된 센서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센서 데이터에 기초하여, 도립 이륜차(2)의 위치를 산출한다. 제어 장치(30)는 무선 통신에 의해, 산출한 도립 이륜차(2)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도립 이륜차(2)로 송신한다. 그리고, 도립 이륜차(2)의 마이크로컴퓨터(23)는 제어 장치(30)로부터 송신된 정보를, 무선 통신 회로(20)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한 정보가 나타내는 도립 이륜차(2)의 위치를 취득하도록 해도 된다.
이상의 본 발명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할 수 것은 명확하다.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일탈하는 것으로 간주되는 것은 아니고, 또한 모든 당업자에게 있어서 자명한 그와 같은 개량은 이하의 청구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다.

Claims (5)

  1. 도립 이륜차와,
    상기 도립 이륜차에 탑승하는 탑승자의 자세에 따라 변화되는 상기 도립 이륜차의 자세를 검출하는 자세 검출부와,
    상기 자세 검출부가 검출한 상기 도립 이륜차의 자세에 따라, 상기 도립 이륜차가 이동하도록 상기 도립 이륜차를 제어하는 것과, 상기 도립 이륜차의 자세에 따르지 않고 임의의 방향으로 강제적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도립 이륜차를 제어하는 것의 양쪽을 가능하게 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탑승자가 상기 도립 이륜차에 탑승하여 소정의 기준 위치에 보다 근접하도록 조작함으로써 밸런스 감각을 훈련하는 밸런스 훈련을 위한 밸런스 훈련 장치이며,
    상기 도립 이륜차의 위치를 취득하는 위치 취득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 취득부가 취득한 상기 도립 이륜차의 위치와 상기 기준 위치 사이의 거리가 역치 이상인 경우, 상기 도립 이륜차의 자세에 따르지 않고 임의의 방향으로 강제적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도립 이륜차를 제어할 때에, 상기 도립 이륜차를, 상기 기준 위치로부터 당해 도립 이륜차가 위치하는 방향이며, 상기 탑승자가 익숙하지 않은 방향으로 강제적으로 이동시키는 제어를 억제하는, 밸런스 훈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세 검출부가 검출한 상기 도립 이륜차의 자세에 따라, 상기 도립 이륜차가 이동하도록 상기 도립 이륜차를 제어하는 통상 모드와, 상기 도립 이륜차의 자세에 따르지 않고 임의의 방향으로 강제적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도립 이륜차를 제어하는 과제 모드를 교대로 전환하여 실행하는, 밸런스 훈련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 위치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로부터, 상기 기준 위치까지, 상기 탑승자가 상기 도립 이륜차를 복귀시키는 시간을 산출하고, 산출한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상기 역치를 보다 작게 하는, 밸런스 훈련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레벨 중 어느 하나로 동작하고, 상기 레벨이 높아짐에 따라, 단위 시간당에 상기 통상 모드로부터 상기 과제 모드로 전환하는 횟수를 보다 많게 하는 제어 및 상기 레벨이 높아짐에 따라, 상기 임의의 방향으로의 이동량을 보다 크게 하는 제어 중 적어도 하나를 행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레벨이 높아짐에 따라, 상기 역치를 보다 크게 하는, 밸런스 훈련 장치.
  5. 도립 이륜차에 탑승하는 탑승자의 자세에 따라 변화되는 상기 도립 이륜차의 자세에 따라, 상기 도립 이륜차가 이동하도록 상기 도립 이륜차를 제어하는 것과, 상기 도립 이륜차의 자세에 따르지 않고 임의의 방향으로 강제적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도립 이륜차를 제어하는 것의 양쪽을 실행하는 제어 스텝을 구비하고,
    상기 탑승자가 도립 이륜차에 탑승하여 소정의 기준 위치에 보다 근접하도록 조작함으로써 밸런스 감각을 훈련하는 밸런스 훈련을 위한 밸런스 훈련 방법이며,
    상기 제어 스텝은,
    상기 도립 이륜차의 위치와 상기 기준 위치 사이의 거리가 역치 이상인 경우, 상기 도립 이륜차의 자세에 따르지 않고 임의의 방향으로 강제적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도립 이륜차를 제어할 때에, 상기 도립 이륜차를, 상기 기준 위치로부터 당해 도립 이륜차가 위치하는 방향이며, 상기 탑승자가 익숙하지 않은 방향으로 강제적으로 이동시키는 제어를 억제하는, 밸런스 훈련 방법.
KR1020160114908A 2015-09-11 2016-09-07 밸런스 훈련 장치 및 밸런스 훈련 방법 KR1020998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80202A JP6384436B2 (ja) 2015-09-11 2015-09-11 バランス訓練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JP-P-2015-180202 2015-09-11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2964A Division KR20180079254A (ko) 2015-09-11 2018-06-25 밸런스 훈련 장치 및 밸런스 훈련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1628A KR20170031628A (ko) 2017-03-21
KR102099818B1 true KR102099818B1 (ko) 2020-04-10

Family

ID=5708304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4908A KR102099818B1 (ko) 2015-09-11 2016-09-07 밸런스 훈련 장치 및 밸런스 훈련 방법
KR1020180072964A KR20180079254A (ko) 2015-09-11 2018-06-25 밸런스 훈련 장치 및 밸런스 훈련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2964A KR20180079254A (ko) 2015-09-11 2018-06-25 밸런스 훈련 장치 및 밸런스 훈련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159872B2 (ko)
EP (1) EP3141468B1 (ko)
JP (1) JP6384436B2 (ko)
KR (2) KR102099818B1 (ko)
CN (1) CN10653087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3666B1 (ko) * 2001-02-07 2004-03-18 보령제약 주식회사 항진균 외용 제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213964A1 (de) * 2016-07-28 2018-02-01 Kuka Roboter Gmbh Hippotherapievorrichtung
CN108926813B (zh) * 2017-05-22 2020-01-21 北京大学 基于人体平衡数据的训练方法
CN107137062B (zh) * 2017-06-29 2023-04-11 桂林电子科技大学 测试人类平衡感知能力的装置及方法
CN109985352A (zh) * 2017-12-31 2019-07-09 姚前 一种休闲娱乐装置和方法
CN110021283A (zh) * 2018-01-09 2019-07-16 姚前 一种演奏、健身、娱乐装置和方法
KR102066503B1 (ko) * 2018-07-20 2020-01-15 (주)건강한친구 게이미피케이션 밸런스 운동 시스템
US11185735B2 (en) 2019-03-11 2021-11-30 Rom Technologies, Inc.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able pedal crank
US11541274B2 (en) 2019-03-11 2023-01-03 Rom Technologies, Inc.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ically actuated pedal for an exercise or rehabilitation machine
US20200289889A1 (en) 2019-03-11 2020-09-17 Rom Technologies, Inc. Bendable sensor device for monitoring joint extension and flexion
JP7099380B2 (ja) * 2019-03-15 2022-07-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バランス訓練装置、バランス訓練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バランス訓練装置の制御方法
JP7052763B2 (ja) * 2019-03-15 2022-04-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バランス訓練装置およびバランス訓練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JP7052764B2 (ja) * 2019-03-15 2022-04-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バランス訓練装置およびバランス訓練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JP7070480B2 (ja) * 2019-03-15 2022-05-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バランス訓練装置
US11904207B2 (en) 2019-05-10 2024-02-20 Rehab2Fi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 present a user interface representing a user's progress in various domains
US11433276B2 (en) 2019-05-10 2022-09-06 Rehab2Fi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 independently adjust resistance of pedals based on leg strength
US11801423B2 (en) 2019-05-10 2023-10-31 Rehab2Fi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 interact with a user of an exercise device during an exercise session
US11957960B2 (en) 2019-05-10 2024-04-16 Rehab2Fi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 adjust pedal resistance
US20200360761A1 (en) * 2019-05-14 2020-11-19 OrthoGenesys, Inc.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cycling device having pedals with independently adjustable resistance
US11071597B2 (en) 2019-10-03 2021-07-27 Rom Technologies, Inc. Telemedicine for orthopedic treatment
US11701548B2 (en) 2019-10-07 2023-07-18 Rom Technologies, Inc. Computer-implemented questionnaire for orthopedic treatment
US11923065B2 (en) 2019-10-03 2024-03-05 Rom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achine learning to detect abnormal heart rhythms of a user performing a treatment plan with an electromechanical machine
US11961603B2 (en) 2019-10-03 2024-04-16 Rom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I ML and telemedicine to perform bariatric rehabilitation via an electromechanical machine
US11101028B2 (en) 2019-10-03 2021-08-24 Rom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 monitor user characteristics during a telemedicine session
US11515028B2 (en) 2019-10-03 2022-11-29 Rom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achine learning to create optimal treatment plans based on monetary value amount generated and/or patient outcome
US11978559B2 (en) 2019-10-03 2024-05-07 Rom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ly-enabled identification of a user infection
US20210128080A1 (en) 2019-10-03 2021-05-06 Rom Technologies, Inc. Augmented reality placement of goniometer or other sensors
US11515021B2 (en) 2019-10-03 2022-11-29 Rom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to analytically optimize telehealth practice-based billing processes and revenue while enabling regulatory compliance
US11069436B2 (en) 2019-10-03 2021-07-20 Rom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telemedicine-enabled rehabilitative hardware and for encouraging rehabilitative compliance through patient-based virtual shared sessions with patient-enabled mutual encouragement across simulated social networks
US11955220B2 (en) 2019-10-03 2024-04-09 Rom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I/ML and telemedicine for invasive surgical treatment to determine a cardiac treatment plan that uses an electromechanical machine
US11955222B2 (en) 2019-10-03 2024-04-09 Rom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based on advanced metrics of actual performance of an electromechanical machine, medical procedure eligibility in order to ascertain survivability rates and measures of quality-of-life criteria
US11887717B2 (en) 2019-10-03 2024-01-30 Rom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I, machine learning and telemedicine to perform pulmonary rehabilitation via an electromechanical machine
US20210134432A1 (en) 2019-10-03 2021-05-06 Rom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dynamic treatment environments based on patient information
US20210134412A1 (en) 2019-10-03 2021-05-06 Rom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medical claims using biometric signatures
US11830601B2 (en) 2019-10-03 2023-11-28 Rom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cardiac rehabilitation among eligible users
US11756666B2 (en) 2019-10-03 2023-09-12 Rom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to enable communication detection between devices and performance of a preventative action
US11915815B2 (en) 2019-10-03 2024-02-27 Rom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achine learning and generic risk factors to improve cardiovascular health such that the need for additional cardiac interventions is mitigated
US11955221B2 (en) 2019-10-03 2024-04-09 Rom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I/ML to generate treatment plans to stimulate preferred angiogenesis
US11915816B2 (en) 2019-10-03 2024-02-27 Rom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achine learning in a telemedical environment to predict user disease states
US11955223B2 (en) 2019-10-03 2024-04-09 Rom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achine learning to provide an enhanced user interface presenting data pertaining to cardiac health, bariatric health, pulmonary health, and/or cardio-oncologic health for the purpose of performing preventative actions
US11075000B2 (en) 2019-10-03 2021-07-27 Rom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using virtual avatars associated with medical professionals during exercise sessions
US11826613B2 (en) 2019-10-21 2023-11-28 Rom Technologies, Inc. Persuasive motivation for orthopedic treatment
JP7215441B2 (ja) * 2020-02-12 2023-01-3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バランス訓練システム、そ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7215442B2 (ja) * 2020-02-12 2023-01-3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バランス訓練システム、そ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82318A (ja) * 2013-03-21 2014-09-29 Toyota Motor Corp バランス訓練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5047962A (ja) * 2013-09-02 2015-03-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倒立二輪移動体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52406A (en) * 1982-08-16 1991-10-01 Neurocom International,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movement coordination analysis
CN100459929C (zh) * 2005-11-22 2009-02-11 杨世伟 具动态干扰与生理回馈的姿势稳定度评量及训练装置
US7811217B2 (en) * 2006-04-28 2010-10-12 Larry Richard Odien Motorized apparatus and method for dynamic balancing exercise
CN201231035Y (zh) * 2008-07-22 2009-05-06 张庆军 双肩平衡减重悬挂训练装置
CN101856550B (zh) * 2009-04-07 2011-08-17 财团法人自行车暨健康科技工业研究发展中心 具主被动功能的平衡训练机
JP5413027B2 (ja) * 2009-07-30 2014-02-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移動体制御システム、そ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CN102028597B (zh) * 2009-09-28 2014-04-16 复旦大学附属华山医院 智能化多态平衡测试训练系统
JP5553431B2 (ja) * 2009-12-15 2014-07-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バランス訓練装置、及び、バランス訓練用プログラム
JP5338726B2 (ja) 2010-03-26 2013-11-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訓練システム、その訓練方法及び訓練プログラム
JP6032084B2 (ja) * 2013-03-25 2016-11-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バランス訓練システム、及びバランス訓練方法
JP6354447B2 (ja) * 2014-08-21 2018-07-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訓練システム、訓練方法及び訓練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82318A (ja) * 2013-03-21 2014-09-29 Toyota Motor Corp バランス訓練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5047962A (ja) * 2013-09-02 2015-03-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倒立二輪移動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3666B1 (ko) * 2001-02-07 2004-03-18 보령제약 주식회사 항진균 외용 제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530879A (zh) 2017-03-22
US10159872B2 (en) 2018-12-25
US20170072266A1 (en) 2017-03-16
EP3141468A1 (en) 2017-03-15
JP2017051564A (ja) 2017-03-16
EP3141468B1 (en) 2018-09-26
CN106530879B (zh) 2019-08-20
JP6384436B2 (ja) 2018-09-05
KR20170031628A (ko) 2017-03-21
KR20180079254A (ko) 2018-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9818B1 (ko) 밸런스 훈련 장치 및 밸런스 훈련 방법
JP5413027B2 (ja) 移動体制御システム、そ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TWI635986B (zh) Bicycle control device
JP5338726B2 (ja) 訓練システム、その訓練方法及び訓練プログラム
TW201700347A (zh) 自行車的變速控制裝置
JP2017178284A (ja) 運転者姿勢検出装置
EP2783959B1 (en) Inverted pendulum type vehicle
CN106379478B (zh) 基于陀螺仪的滑板车速度控制系统和实现方法
JP2008087674A (ja) 走行装置及び平行二輪車の車両制御方法
JP2011140262A (ja) 訓練システム、その訓練方法及び訓練プログラム
JP6436138B2 (ja) 倒立振子型移動体、および足関節トルク推定方法
CN106275231B (zh) 自行车的变速控制装置
EP2783958B1 (en) Inverted pendulum type vehicle
JP6350421B2 (ja) 訓練システム
JP5309874B2 (ja) 走行装置及び走行方法
JP6287807B2 (ja) 倒立移動体及びその制御方法
JP2022117218A (ja) 電動補助自転車及びモータ制御装置
CN101375819A (zh) 摇摆式运动装置
TWI755114B (zh) 傾斜車輛用即時資訊提示控制裝置
JP5472429B2 (ja) 走行装置及び走行方法
JP6699180B2 (ja) バランス訓練装置
JP6245134B2 (ja) 倒立型移動体
JP6358224B2 (ja) 倒立二輪車
JP6011372B2 (ja) 同軸二輪車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7121353A (ja) 倒立二輪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2675;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625

Effective date: 20200129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