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3521B1 - 퀵 커넥터 - Google Patents

퀵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3521B1
KR102093521B1 KR1020140004482A KR20140004482A KR102093521B1 KR 102093521 B1 KR102093521 B1 KR 102093521B1 KR 1020140004482 A KR1020140004482 A KR 1020140004482A KR 20140004482 A KR20140004482 A KR 20140004482A KR 102093521 B1 KR102093521 B1 KR 1020935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er
verification
male member
bor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4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2260A (ko
Inventor
이리스 바르텔
알렉산더 볼
한스 옌센
리차드 엠 페페
성화 추
Original Assignee
테이 아우토모티브 (풀다프뤼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이 아우토모티브 (풀다프뤼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테이 아우토모티브 (풀다프뤼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40092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22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3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35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16L37/13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using an axially movable slee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841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transversally slidable locking member surrounding the tub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flexible hooks
    • F16L37/0985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flexible hooks the flexible hook extending radially inwardly from an outer part and engaging a bead, recess or the like on an inner pa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201/0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 F16L2201/10Indicators for correct coup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 본체, 수형 부재, 리테이너 및 검증 요소를 갖는 유체 라인 내에 해제 가능한 연결을 생성하기 위한 퀵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 본체는 관통 보어를 포함하고, 여기서 리테이너에 의해 관통 보어 내에 삽입된 수형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관통 보어 내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리테이너는 바람직하게는 환형 링을 포함하고, 검증 요소는 환형 본체를 포함한다. 환형 링 및 환형 본체는 각각 수형 부재가 리테이너와 함께 관통 보어 내에 고정되면, 개방 위치로부터 검증 위치로 관통 보어와 관련하여 축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

Description

퀵 커넥터{QUICK 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 본체, 수형 부재(male member), 리테이너(retainer) 및 검증 요소(verification element)를 갖는 유체 라인 내에 해제 가능한 연결을 형성하기 위한 퀵 커넥터(quick connector)에 관한 것이다.
전술된 유형의 퀵 커넥터는 실제로부터 기본적으로 공지되어 있다. 이 퀵 커넥터는 초기에 커넥터 본체 내에 리테이너로 수형 부재를 고정하기 위해 자체로 입증되어 있다. 게다가, 리테이너에 의한 커넥터 본체 내의 수형 부재의 적절한 고정이 제공되는 검증 요소가 제공될 수도 있다. 이러한 퀵 커넥터는 예를 들어 EP 1 719 944 B1호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말굽형 보유 요소가 커넥터 본체 내에 수형 부재를 유지하고, 여기서 수형 부재의 반경방향 업셋부(upset)가 제어 요소와 접촉할 때, 마찬가지로 말굽형 제어 요소가 단지 이어서 커넥터 본체의 관통 보어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EP 1 719 944 B1호에 따른 퀵 커넥터는 일반적으로 자체로 실용적인 것으로 입증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퀵 커넥터의 조립을 간단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초의 기술적인 문제점은 높은 신뢰성, 간단한 장착 및 높은 안정성에 의해 특징화되는 서두에 설명된 유형의 퀵 커넥터를 제안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교시는 커넥터 본체, 수형 부재, 리테이너 및 검증 요소를 갖는 유체 라인 내에 해제 가능한 연결을 형성하기 위한 퀵 커넥터를 제공하고, 관통 보어 내로 도입되는 수형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해제 가능한 연결로 리테이너에 의해 관통 보어 내에 유지될 수 있고, 리테이너는 링을 포함하고, 상기 검증 요소는 환형 본체를 포함하고, 링 및 환형 본체는 수형 부재 및/또는 커넥터 본체 주위에 원주방향으로 연장되고, 검증 요소는 수형 부재가 관통 보어 내에 리테이너에 의해 고정될 때, 개방 위치로부터 검증 위치로 관통 보어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퀵 커넥터는 예를 들어, 특히 차량의 내연기관의 유체 라인 시스템에 사용된다. 퀵 커넥터가 브레이크 파이프 시스템, 연료 라인 시스템 및/또는 요소 용액 도관 시스템에 사용되는 것이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다.
커넥터 본체는 적합하게는 적어도 2개의 개별 부분, 즉 헤드 요소 및 밀봉 요소에 의해 형성된다. 헤드 요소의 부분은 커넥터 본체의 밀봉 요소 내에 삽입되는 것이 추천된다. 적어도 커넥터 본체의 밀봉 요소는 전기 전도성 재료, 특히 전기 전도성 플라스틱(ESD 플라스틱)으로 유리하게 제조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체 커넥터 본체는 전도성 재료로 제조된다. 관통 보어는 커넥터 본체의 바람직하게는 헤드 단부 수형 부재 입구 포트(입구 개구)로부터 바람직하게는 밀봉 요소측 출구 포트(출구 개구)로 연장하는 것이 추천된다. 관통 보어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입구 포트로부터 출구 포트로 연장하는 종축 또는 중심축을 갖는 것이 추천된다. 적합하게는, 출구 포트는 헤드 요소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밀봉 요소의 일 단부에 배열된다.
헤드 요소가 바람직하게는 밀봉 요소에 해제 가능하게 래치 결합되는 것이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헤드 요소와 밀봉 요소 사이의 연결부는 각각 액체에 의해 투과될 수 있거나 유체 기밀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헤드 요소는 유체 기밀 방식으로 밀봉 요소에 연결되는 것이 기본적으로 가능하다.
적합하게는, 헤드 요소는 밀봉측 상보형 연결 요소와 협동하는 연결 요소를 갖는다. 헤드 요소와 밀봉 요소 사이에 잠금 연결을 생성하기 위해, 헤드 요소의 바람직하게는 원통형 또는 실질적으로 원통형 부분이 밀봉 요소의 관통 보어 내에 삽입되다. 밀봉 요소 내에 삽입되는 헤드의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연결 요소 또는 연결 요소들을 지지하는 삽입 섹션으로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밀봉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개구를 포함하고, 이 연결 개구 내에는 헤드측 연결 돌출부가 밀봉 요소의 헤드 요소를 고정하기 위해 결합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밀봉 요소의 벽은 2개, 바람직하게는 4개의 연결 개구를 갖는다. 연결 개구는 바람직하게는 밀봉 요소의 유리하게는 원통형 벽 내에 등간격으로 배열된다. 일 입증된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연결 개구는 단지 하나의 헤드측 연결 요소만이 할당된다. 관통 보어의 중심축의 방향에서 연결 돌출부 및 연결 돌기를 변위시킴으로써, 밀봉 요소로부터 헤드 요소를 분리하고 이를 관통 보어의 밀봉 요소측으로부터 유리하게 제거하는 것이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가능하다.
커넥터 본체 내의, 바람직하게는 밀봉 요소 내의 관통 보어는 밀봉 섹션을 갖고, 이 밀봉 섹션 내에는 적어도 하나의 밀봉 요소가 보유된다는 것이 자체로 입증되어 있다. 예를 들어, 밀봉 요소는 2개의 환형 밀봉부에 의해 형성되고, 이들 환형 밀봉부 사이에는 환형링이 스페이서(중간 요소)로 배열된다.
수형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유동 채널을 갖는 유리하게는 원통형 튜브로서 형성되고, 조립된 상태에서 유동 채널의 종축은 바람직하게는 관통 보어의 중심축과 정렬되거나 대략적으로 정렬된다. 수형 부재는 환형 반경방향 업셋부를 포함하고, 이 반경방향 업셋부는 바람직하게는 원통형 밀봉면 상으로 돌출되는 것이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다. 달리 말하면, 반경방향 업셋부는 유동 채널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수형 요소의 밀봉면 또는 표면 상에 배열되는 팽윤부(bulge)로서 형성된다. 조립된 상태에서, 수형 부재는 관통 보어 내에 삽입되고,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퀵 커넥터의 밀봉 요소는 수형 부재의 밀봉면에 대해 유체 기밀하게 놓인다. 실시예에 따르면, 수형 부재는 원추형 또는 구형 쉘(shell) 세그먼트형 면 단부를 갖는 삽입 단부를 포함한다. 이 방식으로, 수형 부재는 관통 보어 내에 및/또는 O-링 밀봉부로서 바람직하게 형성되는 밀봉 요소 내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조립된 상태라는 것은 수형 부재가 커넥터 본체 내에 삽입되고 커넥터 본체가 리테이너로 고정되는 것을 의미하고, 여기서 커넥터 본체는 바람직하게는 밀봉 요소에 연결되는 헤드 요소에 의해 형성된다. 더욱이, 퀵 커넥터의 조립된 상태에서, 검증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검증 위치에 있다.
검증 요소는 수형 부재가 커넥터 본체 내에 리테이너에 의해 유지될 때, 관통 보어에 대해 축방향으로만 개방 위치로부터 검증 위치로 해제 가능하게 변위될 수 있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개방 위치는 축방향 변위 경로의 출구 개구측 단부이고, 이 변위 경로를 따라, 검증 요소가 개방 위치로부터 검증 위치로 변위될 수 있다. 검증 위치는 축방향 변위 경로의 입구 개구측 단부이다.
검증 위치에 있을 때, 검증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해제 가능하게 리테이너에 유리하게 연결된다. 이 방식으로, 수형 부재와 커넥터 본체 사이의 적절한 연결이 신뢰적이고 내구적으로 제공되는 것이 보장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검증 요소는 리테이너에 해제 불가능하게 연결된 검증 위치에 있다.
개방 위치에서 및/또는 검증 위치에서, 검증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해제 가능하게 리테이너로 잠금되는 것이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검증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커플링 요소를 포함하고, 이 커플링 요소는 검증 요소의 개방 위치에서 리테이너의 상보형 커플링 요소와 협동한다. 이 방식으로, 본 발명의 부분으로서, 개방 위치에 있을 때, 검증 요소는 리테이너로 래치 결합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커플링 요소는 커플링 돌출부로서 형성되고, 여기서 상보형 커플링 요소는 커플링 개구로서 형성되고, 검증 요소의 개방 위치에서, 커플링 돌출부는 커플링 개구 내에 배열된다. 유리하게는, 리테이너 상보형 커플링 요소와 검증 요소 커플링 요소의 상호 작용은 회전에 대해 보호된 견고한 연결을 제공하고, 이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검증 요소의 개방 위치에서 리테이너에 대한 검증 요소의 회전은 방지되거나 배제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검증 요소는 2개, 바람직하게는 단지 2개의 커플링 요소를 포함하고, 이 커플링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리테이너의 환형 본체에 대각선으로 배열된다. 각각의 커플링 요소는 적합하게는 커플링 개구가 할당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보적 커플링 요소는 반원형일 수 있다.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검증 요소 및/또는 리테이너는 커넥터 본체 상에 구속되어 유지된다. 검증 요소의 환형 본체는 바람직하게는 타원형 단면을 바람직하게 포함한다. 리테이너의 링은 바람직하게는 타원형 단면을 갖는다. 퀵 커넥터의 조립된 상태에서, 커넥터 본체, 바람직하게는 헤드 요소는 링에 의해 규정된 내부 공간 내에 그리고 환형 본체에 의해 규정된 내부 공간 내에 배열되는 것이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다. 기본적으로, 환형 본체 및/또는 링은 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것이 가능하고, 여기서 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의 코너는 라운딩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환형 본체 및/또는 링은 원형이다.
퀵 커넥터의 사전 조립된 상태를 생성하기 위해, 커넥터 본체의 헤드 요소는 리테이너의 링의 내부 공간 내로 그리고 검증 요소의 환형 본체의 내부 공간 내로 도입되어 바람직하게는 환형 본체 및 링이 각각 헤드 요소로 원주방향으로 연장되게 되는 것이 추천된다. 바람직하게는, 링 본체 및 링을 지지하는 헤드 요소는 이어서 밀봉 요소에 연결되어 사전 조립된 상태를 형성한다. 사전 조립된 상태에서, 수형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커넥터 본체 내에 배열되거나 커넥터 본체 내에 고정되지 않는다. 사전 조립된 상태에서, 특히 바람직하게는 조립된 상태에서, 리테이너 및/또는 검증 요소는 축방향 또는 반경방향에서 커넥터 본체로부터 멀어지게 압박될 수 없도록 하는 것이 유리하게 보장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리테이너는 커넥터 본체 상의 헤드 요소의 입구 포트와 검증 요소 사이에 배열된다.
유리하게는, 커넥터 본체 및 바람직하게는 헤드 요소는 입력 개구 주위로 원주방향으로 연장하는 칼라를 갖고, 여기서 실시예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헤드측 칼라는 입구 포트의 방향에서 또는 축방향에서 커넥터 본체로부터 리테이너 및/또는 검증 요소를 잡아당기는 것을 방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칼라는 영역 내의 헤드 요소보다 큰 단면적을 갖고, 이 영역에는 조립된 및/또는 사전 조립된 상태에서, 리테이너 및/또는 검증 요소가 배열된다. 조립된 상태 및 사전 조립된 상태에서, 헤드 요소측 칼라는 바람직하게는 리테이너 및/또는 검증 요소를 완전히 또는 본질적으로 완전히 덮는다. 칼라가 타원형이거나 또는 대략적으로 타원형이고, 칼라의 단면 영역에는 수형 부재의 삽입 개구가 배열되어 있는 것이 본 발명 내에 있다. 밀봉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검증 요소 및/또는 리테이너가 축방향으로 그리고 출구 포트의 방향으로 커넥터 본체를 잡아당겨 제거할 수 없도록 헤드 요소보다 큰 원주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검증 요소의 개방 위치에서, 커플링 요소는 관통 보어 내로 반경방향으로 돌출하고, 여기서 커플링 요소 내로의 수형 부재의 삽입시에, 커플링 요소는 커플링 요소가 커플링 개구 외부로 가압될 수 있고 검증 요소가 개방 위치로부터 검증 위치로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이러한 방식으로 관통 보어의 종축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수형 부재의 반경방향 업셋부에 의해 멀어지게 가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검증 요소측 커플링 요소 또는 각각 검증 요소측 커플링 요소들은 리테이너측 스프링 아암(상승 아암) 상에 또는 각각의 경우에 리테이너측 스프링 아암(상승 아암) 상에 각각 놓인다. 바람직하게는, 업셋부는 검증 요소측 커플링 요소 또는 검증 요소측 커플링 요소들 각각이 반경방향으로 관통 방향의 종축으로부터 멀어지게 압박되는 조건으로, 수형 부재 상에, 바람직하게는 단지 리테이너측 상승 아암 또는 리테이너측 상승 아암들 각각 상에 작용하여, 검증 요소가 개방 위치로부터 검증 위치로 축방향으로 압박될 수 있게 된다. 상승 아암 또는 상승 아암들은 각각 리테이너와 함께 일체형 부분으로서 유리하게 형성된다. 검증 요소측 커플링 요소는 상승 아암 상에 직접 놓이고, 또는 검증 요소측 커플링 요소들은 각각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승 아암 상에 각각 놓여,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형 부재의 반경방향 업셋부가 상승 아암 또는 상승 아암들 각각을 경유하여 커플링 요소 또는 커플링 요소들 각각에 대해서만 가압되게 되는 것이 추천된다. 상승 아암 또는 상승 아암들은 각각 관통 보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상승 아암/아암들 상에서 상승 아암/아암들의 표면에 대해 놓이는 것이 추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형 부재의 반경방향 업셋부는 검증 요소의 커플링 요소 또는 커플링 요소들 각각에 대해 직접 가압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수형 부재의 반경방향 업셋부는 단지 상승 아암 또는 상승 아암들 각각을 경유하여, 검증 요소측 커플링 요소에 대해 또는 검증 요소측 커플링 요소들 각각에 대해 압력을 인가한다. 커플링 요소는 반경방향 업셋부에 의해 멀어지게 가압되고, 그 결과, 검증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변형되고, 검증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개방 위치로부터 검증 위치로 가역적으로 변위될 수 있는 것이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잇다.
유리하게는, 커플링 요소는 이러한 경사 접촉면을 포함하여, 수형 부재의 반경방향 업셋부가 경사진 압력면 상에 접촉하고 이에 의해 관통 보어의 종축으로부터 멀어지게 커플링 요소를 압박할 때 검증 요소가 입구 포트로부터 멀어지게 압박되게 된다. 가압 경사면은 관통 보어의 종축에 대해 경사져서 배향되고, 경사 접촉면은 관통 보어의 종축의 방향에서 입구 포트측 단부로부터 시작하여 출구측 단부를 향해 연장한다. 반경방향 업셋부를 구비한 수형 부재가 예를 들어 리테이너와 검증 요소와 사전 조립된 커넥터 본체 내로 도입되면, 수형 부재의 반경방향 업셋부는 출구 포트의 방향에서 관통 보어의 입구 포트 내에 먼저 삽입되어야 한다. 입구 포트로부터 시작하여 출구 포트를 향한 수형 부재의 이동은 본 발명에 있어서 삽입 방향으로서 지정된다. 삽입 방향에서 입구 포트 내로 수형 부재의 삽입 후에, 반경방향 업셋부는 바람직하게는 초기에 출구 포트를, 바람직하게는 그 직후에 리테이너를 통과한다. 일단 반경방향 업셋부가 삽입 방향에서 리테이너를 지나 이동하면, 반경방향 업셋부는 유리하게는 검증 요소의 경사 접촉면을 타격한다. 수형 부재의 반경방향 업셋부에 의한 경사 접촉면 상의 힘의 인가에 의해, 검증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출구 포트의 방향에서 축방향으로 변위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커플링 요소는 관통 보어의 종축으로부터 멀어지게 반경방향으로 압박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테이너는 커플링 요소 리셉터클(receptacle)을 포함하고, 이 리셉터클은 바람직하게는 관통 보어에 말단에 있는 리테이너의 단지 하나의 표면 상에만 개방적으로 형성되고, 커플링 요소의 검증 위치에서, 검증 요소측 커플링 요소는 리셉터클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적합하게는, 검증 요소는 커플링 요소가 시프트 위치로 변위될 때, 단지 또는 배타적으로 개방 위치로부터 검증 위치로 변위 가능하다. 검증 요소의 커플링 요소는, 수형 부재의 반경방향 업셋부가 경사진 접촉면 상에 반경방향으로 접촉하고 커플링 요소가 관통 보어의 종축으로부터 멀어지게 압박될 때, 시프트 위치에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커플링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경우에, 관통 보어의 종축에 교차 방향으로 배향된 입구 개구 단부에 하나의 전방면을 포함하고, 상기 전방면은 검증 요소가 개방 위치에 위치될 때 상보형 커플링 요소 상에 형성된 차단면과 접촉하게 되는 것이 가능하고, 입구 개구를 향해 수형 부재의 삽입 방향에 대향하여 변위되게 된다. 커플링 요소측 전방면이 상보형 커플링 요소의 차단면과 접촉하게 되자마자, 입구 개구를 향한 검증 요소의 추가의 축방향 변위가 더 이상 가능하지 않다. 리테이너의 상승 아암 또는 상승 아암들 상에 각각 작용함으로써, 커플링 요소 또는 커플링 요소들은 각각 반경방향에서 수형 부재로부터 멀어지게 압박되어, 검증 요소측 전방면 또는 검증 요소측 전방면들이 각각 리테이너측 차단면 또는 리테이너측 차단면들 각각(변위 위치)으로부터 해제되게 된다. 검증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수형 부재의 삽입 방향에 대향하여, 변위 위치로부터 검증 위치로 변위될 수 있고, 여기서 검증 위치에 있을 때, 커플링 요소 또는 커플링 요소들은 각각 상보형 커플링 요소 또는 상보형 커플링 요소들 각각과 위치가 잠금된다. 바람직하게는 입구 포트의 방향에서 관통 보어의 종축에 평행한 검증 요소의 축방향 변위에 의해, 커플링 요소는 리테이너측 커플링 요소 리셉터클에 전달되는 것이 추천된다. 검증 위치에서, 검증 요소는 리테이너로 해제 불가능하게 잠금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검증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2개의 커플링 돌출부를 포함하고, 커플링 돌출부는 관통 보어의 직경 또는 중심의 방향으로 설정된 서로로부터의 거리를 갖고, 이 거리는 수형 부재의 반경방향 업셋부의 직경보다 작아, 검증 요소의 검증 위치에서 수형 부재는 매번 리테이너 및 검증 요소에 의해 커플링 요소 내에 고정되게 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형 부재와 검증 요소측 커플링 요소 또는 검증 요소측 커플링 요소들 각각 사이에 배치된 리테이너의 상승 아암은 간격을 나타내고, 상기 간격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반경방향 업셋부의 직경(외경)보다 작다. 유리하게는, 상승 아암은 서로 대각선으로 대향하여 리테이너에 연결되고, 여기서 각각의 상승 아암은 단지 하나의 커플링 아암이 할당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유리하게는, 수형 부재는 리테이너 및 검증 요소에 의해 커플링 요소의 관통 보어 내에 중복적으로 유지된다. 예를 들어, 기계적 손상에 기인하여, 리테이너가 커플링 요소 내에 수형 부재를 더 이상 고정할 수 없으면, 커플링 돌출부(들)를 갖는 검증 요소는 커플링 요소의 관통 보어 내의 수형 부재의 고정을 인계받는다. 검증 요소가 검증 위치 내에 배치될 때 검증 요소측 커플링 요소가 각각 리테이너측 커플링 리셉터클 내에 수용되고, 이 방식으로 리테이너의 상보형 커플링 요소가 수형 부재에 대해 가압되는 것이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다. 수형 부재가 리테이너의 기능성에 독립적으로 삽입 방향에 대향하여 이동하면, 업셋부는 상보형 커플링 요소의 차단면(이하, 잠금면)과 접촉하게 되어, 그 결과 관통 보어 외부로 잡아당겨질 수 없는 것이 이 방식으로 보장된다.
리테이너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보유 요소를 갖고, 이 보유 요소는 조립된 상태에서 수형 부재의 반경방향 업셋부와 협동하고, 이 보유 요소에 의해 수형 부재가 커넥터 본체 내에 고정될 수 있다. 보유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커넥터 본체 내에 수형 부재를 고정하기 위해, 커넥터 본체 내에, 바람직하게는 커넥터 본체의 헤드 요소 내에 배열된 리세스를 통해 연장한다. 바람직하게는, 보유 요소 및 보유 요소와 연관된 리세스는 회전 방지 안전성을 제공하고, 이에 의해 커넥터 본체에 대한 리테이너의 회전이 배제된다. 리테이너는 2개, 바람직하게는 단지 2개의 정지 보유 요소를 포함하고, 여기서 각각의 보유 요소는 커넥터 본체 내의 또는 커넥터 본체의 헤드 요소 내의 리세스와 연관된다는 것이 추천된다. 퀵 커넥터의 조립된 상태에서, 보유 요소는 리세스를 통해 연장하고, 수형 부재가 커넥터 본체 내에 고정되는 이러한 방식으로 수형 부재의 반경방향 업셋부와 상호 작용하는 것이 추천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2개의 보유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서로에 대해 대향하여, 또는 리테이너 상에 또는 링 상에 대각선으로 배열된다. 링 또는 리테이너 상의 위치와는 별개로, 보유 요소는 적합하게는 동일한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디자인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보유 요소(들)는 리테이너의 링에 연결되어 보유 요소 또는 보유 요소들이 관통 보어의 중심축에 반경방향으로 지향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링 상에 스프링 장착되게 된다. 유리하게는, 스프링력은 보유 요소 또는 보유 요소들 상에 작용하고, 이 스프링력에 의해 보유 요소는 관통 보어의 중심축의 방향으로 압박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보유 요소에서, 커플링 요소 리셉터클이 형성되고, 커플링 요소 리셉터클의 개구는 관통 보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보유 요소의 단부면 내에 형성된다.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플링 요소의 수는 링에 연결된 보유 요소의 수에 대응한다.
유리하게는, 보유 요소 또는 각각의 보유 요소는 관통 보어의 중심축에 경사져서 배향되는 안내면을 포함하고, 이 안내면은 관통 보어 내로의 수형 부재의 삽입시에, 보유 부재가 관통 보어에 대해 반경방향 외향으로 반경방향 업셋부에 의해 가압될 수 있는 이러한 방식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안내면은 바람직하게는 퀵 커넥터의 조립된 상태에서, 경사지게 내향으로 반경방향으로 또는 중심축 및 관통 보어의 출구 포트의 방향으로, 안내면의 개구측 단부로부터 안내면의 출구 포트측 단부로 연장한다. 조립된 상태를 생성하기 위해, 수형 부재는 적합하게는 리테이너 및 검증 요소를 구비하는 커넥터 본체 내로, 또는 사전 조립된 커넥터 본체 내로 도입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삽입 중에 수형 부재의 반경방향 업셋부는 안내면 또는 안내면들과 접촉하게 되어 보유 요소 또는 보유 요소들이 관통 보어의 중심축으로부터 멀어지게 반경방향으로 외향으로 가압되게 된다. 일단 부재의 반경방향 업셋부가 축방향으로 보유 요소 또는 보유 요소들을 지나 적합하게 이동되면, 보유 요소 또는 보유 요소들은 바람직하게는 스프링력에 의해 작용되고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중심축의 방향으로 반경방향 내향으로 가압된다. 보유 요소의 잠금면(들)은 관통 보어의 종축에 횡단하여 적합하게 배향되는 수형 부재의 반경방향 업셋부의 지지면 상에 안착된다. 잠금면(들)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관통 보어의 중심축에 횡단하여 배향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보유 요소(들)는 보유 요소(들)의 안내면이 링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리테이너의 내부 공간(내부 링) 내로 돌출하도록 리테이너에 연결된다. 보유 요소(들)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링으로부터 시작하여 링에 의해 규정된 내부 공간 내로만 연장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보유 요소 또는 각각의 보유 요소는 접촉면을 포함하고, 이 접촉면에 의해 퀵 커넥터의 조립된 상태에서, 보유 요소 또는 각각의 보유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커넥터 본체의 입구 포트와 반경방향 업셋부 사이에 배열된 수형 부재의 밀봉면의 섹션 상에 놓인다. 접촉면은 수형 부재의 밀봉면의 곡률에 대응하는 곡률을 적합하게 갖는다. 더 바람직하게는, 보유 요소(들)는 수형 부재의 원주의 단지 일부 상에 놓인다.
실시예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보유 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유지 요소는 잠금 요소를 포함하고, 이 잠금 요소는 조립된 상태에서 관통 보어의 중심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방향에서 변위 또는 변형에 대해 보유 요소를 고정한다. 바람직하게는, 리테이너에 연결된 각각의 보유 요소는 하나의 잠금 요소를 포함한다. 퀵 커넥터가 일체화되는 유체 시스템 내의 압력에 의해, 수형 부재는 헤드 요소 또는 커넥터 본체의 칼라의 방향으로 압박되는 것이 가능하다. 유리하게는, 수형 부재의 리테이너는 유체 시스템 내의 압력에 의해 칼라에 대해 가압된다. 각각의 보유 요소의 잠금 요소는 유리하게는 커넥터 본체와 협동한다. 커넥터 본체, 특히 헤드측 칼라는 바람직하게는 유체 시스템의 압축 중에, 보유 요소(들)가 반경방향 외향으로 또는 중심축으로부터 이동하는 것을 적합하게 방지하고, 이에 의해 수형 부재는 커넥터 본체 내에 신뢰적으로 고정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잠금 부재는 잠금 돌출부로서 형성되고, 조립된 상태에서, 잠금 돌출부는 커넥터 본체의, 바람직하게는 헤드 요소 또는 칼라의 관통 보어측 환형면 상에 놓인다. 실시예에 따르면, 잠금 돌출부는 칼라 지향면 또는 보유의 단부면 위에 있다. 헤드 요소 또는 칼라의 관통 보어측 링 표면 상의 보유 요소의 잠금 돌출부의 놓임은 유리하게는 보유 요소가 관통 보어의 중심축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배제한다.
리테이너는 적절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중심축에 바람직하게 지향된 액추에이터의 힘은 보유 요소가 관통 보어의 중심축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리테이너를 변형할 수 있다. 작동 장치는 유리하게는 핸들 플레이트로서 또는 가압 플레이트로서 형성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리테이너는 2개, 특히 단지 2개의 작동 장치를 갖고, 이 작동 장치들은 서로 대향하게 또는 링 상에 또는 리테이너 상에 대각선으로 배열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작동 장치는 링에 연결되어, 작동 장치를 상호 연결하는 할선(secant)이 링에 연결되는 보유 요소를 상호 연결하는 다른 할선에 수직으로 배향되게 된다. 힘이 바람직하게는 반경방향 내향으로 또는 관통 보어의 중심축의 방향으로 액추에이터(들) 상에 인가되면, 링에 의해 형성된 리테이너는 변형되어, 바람직하게는 편평하게 가압되어, 액추에이터와 중심축 사이의 거리가 특히 바람직하게 감소되게 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리테이너의 보유 요소들 사이의 거리는, 작동 수단이 힘에 의해 작용되고 리테이너가 편평하게 가압될 때, 적어도 수형 부재의 반경방향 업셋부의 직경만큼 크다.
실시예에 따르면, 검증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편평한 잠금 요소를 포함하고, 이 잠금 요소는 검증 위치에서 및/또는 개방 위치에서 관통 보어의 측에서 리테이너측 작동 요소에 결합하고 리테이너로 검증 요소와 결합하여, 퀵 커넥터의 조립된 상태에서, 리테이너가 단지 검증 요소와 함께 변형 가능하게 된다. 퀵 커넥터의 조립된 상태에서, 편평한 잠금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리테이너측 액추에이터 상에서 관통 보어측 상에 그 적어도 섹션이 위치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검증 요소는 2개, 특히 바람직하게는 단지 2개의 편평한 잠금 요소를 갖고, 여기서 퀵 커넥터의 조립된 상태에서, 편평한 잠금 요소는 잠금 요소와 연관된 작동 요소에 대해 지지된다.
리테이너가 작동 장치(들)에 압력에 의해 변형될 때, 검증 위치에 위치된 검증 요소가 변형되거나 규정 가능한 것이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다. 링에 연결된 보유 요소(들)는 바람직하게는 링의 변형에 의해, 반경방향 외향으로 또는 중심축으로부터 이동되어, 보유 요소측 커플링 요소 리셉터클 내에 보유된 검증 요소의 커플링 요소가 또한 반경방향 외향으로 또는 관통 보어의 중심축으로부터 이동되고 수형 부재의 반경방향 업셋부가 해제되게 된다. 반경방향 업셋부는 이어서 칼라의 방향에서 보유 요소(들)를 지나 삽입의 방향에 대해 활주할 수 있다.
조립된 상태에서, 리테이너는 리테이너의 잠금 요소가 커넥터 본체로부터, 특히 칼라의 환형면으로부터 탈착 가능하고 바람직하게는 해제된 상태가 될 수 있도록 축방향으로, 커넥터 본체의 칼라에 대해 또는 입구 포트에 대해 활주할 수 있다. 적합하게는, 단지 잠금 요소의 해제된 상태에서만, 작동 수단 상에 힘을 인가함으로써 보유 요소(들)의 반경방향 변위는 단지 보유 요소(들)가 수형 부재의 반경방향 업셋부를 해제하도록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조립된 상태에서, 리테이너는 바람직하게는 검증 요소가 리테이너에 부착된 상태로, 삽입 방향에서 축방향으로 밀봉 요소 또는 출구 포트의 방향에서 칼라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퀵 커넥터가 유리한 높은 신뢰성 및 놀랍게도 용이한 조립에 의해 특징화되는 발견에 기초한다. 리테이너 및 검증 요소의 모두는 링으로서 형성되기 때문에, 리테이너 및/또는 검증 요소의 미제어된 손실이 걱정되지 않는다. 리테이너 및 검증 요소와 연계하여 커넥터 본체의 형성은 또한 관통 보어의 종축과 관련하여, 단지 관통 보어에 대해 축방향으로 정렬되는 조립 단계만이 요구되는 것을 또한 보장한다. 본 발명의 퀵 커넥터에서, 커넥터 본체의 관통 본체와 관련하여 반경방향에서의 보유 요소의 삽입은 제외될 수 있다는 사실로, 본 발명의 퀵 커넥터는 예를 들어 한손으로 공간적으로 극단적으로 크램핑된 조건에서 임의의 문제 없이 또한 설치될 수 있다. 커넥터 본체와 수형 부재 사이의 적절한 연결의 검출은 단지 한손으로만 또한 유리한 방식으로 결정될 수 있고, 검증 요소는 개방 위치로부터 검증 위치로 전달된다. 커넥터 본체 내로의 검증 요소의 삽입을 요구하는 높은 정밀도는 놀랍게도 간단한 방식으로 본 발명의 퀵 커넥터에 의해 회피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퀵 커넥터는 수형 부재의 향상된 안내에 의해 특징화되고, 이는 유리하게는 퀵 커넥터의 안정성 및 강인성을 반영한다. 더욱이, 본 발명의 퀵 커넥터, 특히 ESD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는 커넥터 본체는 또한 정전하를 방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검증 요소의 본 발명의 디자인 및 부착은 또한 커넥터 본체 내의 반경방향 업셋부를 갖고 형성된 수형 부재의 중복적인 고정이 성취되는 것을 보장한다. 예를 들어 파괴에 의해 수형 부재를 위한 1차 보유 요소로서 리테이너가 고장나더라도, 수형 부재는 여전히 검증 요소에 의해 커넥터 본체의 관통 보어 내에 신뢰적으로 유지된다.
본 발명이 이제 단지 일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조립된 상태의 본 발명에 따른 퀵 커넥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퀵 커넥터의 리테이너 및 검증 요소의 사시도.
도 3은 제1 작동 위치에서 퀵 커넥터를 통한 단면도.
도 4는 제2 작동 위치에서 도 3의 퀵 커넥터를 통한 단면도.
도 5는 제3 작동 위치에서 도 3의 퀵 커넥터를 통한 단면도.
도 6은 제4 작동 위치에서 도 4의 퀵 커넥터를 통한 단면도.
도 7은 제5 작동 위치에서 도 3의 퀵 커넥터를 통한 단면도.
도 8은 제1 작동 위치에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퀵 커넥터를 통한 단면도.
도 9는 제2 작동 위치에서 도 8에 따른 퀵 커넥터를 통한 단면도.
도 10은 제3 작동 위치에서 도 8에 따른 퀵 커넥터를 통한 단면도.
도 11은 제4 작동 위치에서 도 8에 따른 퀵 커넥터를 통한 단면도.
도 12는 제5 작동 위치에서 도 8에 따른 퀵 커넥터를 통한 단면도.
도 1은 자동차의 유체 라인 내에 해제 가능한 연결을 생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퀵 커넥터(1)를 도시하고 있다. 퀵 커넥터(1)는 헤드 요소(3) 및 밀봉 요소(4)에 의해 형성되는 커넥터 본체(2)를 갖는다. 헤드 요소(3) 주위에는 커넥터 본체(2) 내에 관형 수형 부재(7)를 고정하는 링(5)으로서 구성된 리테이너가 연장되어 있다. 수형 부재(7)는 수형 부재(7)의 밀봉면(9) 상에 돌출하는 반경방향 업셋부(8)를 갖는다. 더욱이, 도 1의 퀵 커넥터(1)는 검증 위치에서 도 1에 따라 배열된 검증 요소(10)를 갖고, 이 방식으로 수형 부재(7)가 퀵 커넥터(1)의 헤드 요소(3) 또는 커넥터 본체(2) 내에 리테이너(6)에 의해 적절하게 유지되어 있는지를 지시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커넥터 본체(2)는 입구 포트(12)로부터 커넥터 본체(2) 내의 출구 포트(13)로 연장하는 관통 보어(11)를 갖는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입구 포트(12)는 헤드 요소(3)의 단부면(14) 내에 배열되고, 반면 출구 포트(13)는 밀봉 요소(4)의 후방 단부측에 배열된다. 도 1의 부분 섹션에는, 밀봉 요소(4) 내에 밀봉 조립체(16)가 배열되어 있고, 이 밀봉 조립체는 2개의 O-링 밀봉부(17) 및 O-링 밀봉부(17) 사이에 배열된 중간 요소(18)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또한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따르면, 밀봉 조립체(16)는 수형 부재(7)의 밀봉면(9)에 대해 커넥터 본체(2)를 밀봉한다.
도 2는 퀵 커넥터의 리테이너(6) 및 검증 요소(10)를 도시하고 있다. 리테이너(6)는 2개의 보유 부재(19) 및 2개의 파지 플레이트(20)를 갖는다. 2개의 보유 요소(19) 및 2개의 파지 플레이트(20)는 리테이너(6)의 링(5) 상에 대각선으로 각각 배열된다. 보유 요소(19)는 잠금면(21)을 각각 갖는 데, 이 잠금면에 의해 조립 상태에서 리테이너(6)는 도 1의 반경방향 업셋부(8)의 입구 포트측 단부면(22) 상에 접촉한다. 더욱이, 보유 요소(19)는 실시예에 따라 만곡되어 있는 접촉면(23)을 각각 갖고, 수형 부재(7) 또는 밀봉면(9)과 동일한 곡률을 갖는다. 조립된 상태에서, 접촉면(23)은 수형 부재(7)의 밀봉면(9)에 대해 놓인다. 도 1 및 도 2는 안내면(24)의 입구 포트측 단부로부터 시작하여 관통 보어(11)의 중심축 또는 종축의 방향으로 경사져서 안내면(24)의 출구 포트측 단부를 향하는 각형성된 안내면(24)을 각각 갖고, 출구 포트(13)의 방향으로 배향된다.
도 2에는, 검증 요소(10)가 검증 요소(10)의 환형 본체(10a) 상에 대각선으로 배열되고 커플링 돌출부(15)로서 형성되는 2개의 커플링 요소(15)를 갖는 것이 또한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커플링 돌출부(15)는 각각 보유 요소(19) 내에 도입된 커플링 개구(26)를 통해 통과되어, 커플링 돌출부(15)가 보유 요소(19)를 통해 커넥터 본체(2)의 관통 보어(11) 내로 연장하게 된다. 관통 보어(11) 내로 연장하는 커플링 돌출부(15)의 섹션은 경사진 가압면(27)을 갖는다. 가압면(27)은 관통 보어(11)의 출구 포트(13) 및 종축(25) 또는 중심축의 방향으로 그 입구 포트측 단부로부터 출구 포트측 단부로 대각선으로 연장한다. 게다가, 도 2에는, 검증 요소가 커플링 본체 또는 관통 보어의 측에서 파지 플레이트(20) 상에 대해 안착되는 편평한 잠금 요소(34)를 갖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도 2에서, 리테이너(6)의 링(5)이 타원형인 것을 볼 수 있다. 파지 플레이트(20)를 가압함으로써, 리테이너(6)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조립된 상태로부터 시작하여, 접촉면(23) 사이의 거리가 증가되도록 변형될 수 있다. 보유 요소(19)의 2개의 접촉면(23) 사이의 거리는 수형 부재(7) 또는 수형 부재(7)의 반경방향 업셋부(8)가 보유 요소(19)를 지나 커넥터 본체(2)의 입구 포트(12)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따라서 수형 부재(7)가 커넥터 부재(2)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증가될 수 있다.
도 3은 수형 부재(7)가 리테이너(6) 및 환형 본체(10a)로서 형성되는 검증 요소(10)와 함께, 커넥터 본체(2) 내로 도입될 수 있어 수형 부재(7)가 중심축(25)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되게 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안전 커플링 요소의 가압 돌출부(15)의 경사면(27)은 커넥터 본체(2)의 관통 보어(11) 내로 리테이너(6)의 링(5)에 연결되는 보유 요소(19)의 커플링 개구(26)를 통해 돌출한다. 도 2 및 도 3에 따르면, 검증 요소(10)는 커플링 돌출부(15)가 커플링 구멍(26)을 통해 관통 보어(11) 내로 연장되는 개방 위치에 있다. 이 방식으로, 검증 요소(10)가 퀵 커넥터의 커넥터 본체(2) 및 헤드 요소(3)를 지나 중심축(25)에 대해 축방향으로만 변위되는 것이 보장된다. 도 3에는, 보유 요소(19)가 각각 후방 개구(28)를 갖고, 이 후방 개구로부터 커플링 요소 리셉터클(29)이 보유 요소(19)의 접촉면(23)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또한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기초하여, 수형 부재(7)가 커넥터 본체(2)의 관통 보어(11) 내로 더 변위되면, 반경방향 업셋부(8)는 보유 요소(19)의 안내면(24)과 접촉하게 된다. 이 때문에, 보유 요소(19)는 중심축(25)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가압 이격되어 반경방향 업셋부(8)가 보유 요소(19) 사이로 활주될 수 있게 된다. 이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4에는, 반경방향 업셋부(8)가 검증 요소(10)의 경사면(27)에 대해 안착되고 관통 보어(11)의 종축(25)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커플링 돌출부(15)를 멀어지게 압박하는 것이 또한 도시되어 있다. 반경방향 업셋부(8)가 보유 요소(19)를 통과하자마자, 보유 요소(19)는 복원되어 스프링 장전되어, 보유 요소(19)의 잠금면(21)이 반경방향 업셋부(8)의 입구 포트측 단부면(22)에 대해 안착되고 커넥터 본체(2) 내에 수형 부재(7)를 고정하고, 이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수형 부재(7)의 반경방향 업셋부(8)에 의해, 검증 요소(10)의 경사 접촉면(27)은 중심축(25)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외부로 가압되는 데, 이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종축(25)으로부터 멀어지게 반경방향 외향으로의 경사 접촉면(27)의 변위는 커플링 돌출부(15)가 반경방향으로 중심축(25)으로부터 멀어지게 압박되는 것을 야기한다. 입구 포트(12)의 방향에서 검증 요소(10)의 축방향 변위에 기인하여, 도 4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보유 요소(19)의 밀봉 요소측 밀봉 경사부(30)를 지나 커플링 돌출부(15)를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변위 경로(V)의 입구 포트측 단부에서, 스프링 장전되어 있는 커플링 돌출부(15)가 보유 요소측 커플링 요소 리셉터클(29) 내로 활주되는 데, 이는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도 7은 검증 요소(10)가 커넥터 본체(2) 또는 헤드 요소(3)의 입구 포트(12)의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는 검증 위치에 검증 요소(10)를 도시하고 있다. 검증 요소(10)의 검증 위치 및 개방 위치는 축방향 변위의 극단 위치이고, 여기서 검증 위치는 축방향 변위 경로(V)의 입구 포트측 단부이고, 개방 위치는 축방향 변위(V)의 출구 포트측 단부이다.
도 1 내지 도 7은 수형 부재(7)가 커넥터 본체(2) 내로 완전히 삽입될 때, 검증 요소가 단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개방 위치로부터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검증 위치로 변위될 수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고, 여기서 반경방향 업셋부(8)는 커넥터 본체(2) 내에 리테이너(6)의 보유 요소(19)에 의해 유지된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개방 위치로부터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검증 위치로 검증 요소(10)의 변위는 수형 부재(7)와 커넥터 본체(2) 사이의 적절하게 설정된 연결의 용이한 검출을 허용한다. 도 7에는, 커플링 돌출부(15) 사이의 반경방향 거리(A)가 이 거리(A)가 수형 부재(7)의 반경방향 업셋부(8)의 직경보다 작도록 구성되는 것이 또한 도시되어 있다. 이는 리테이너(6)의 고장의 경우에, 보유 요소(19) 및/또는 커플링 돌출부(15)가 반경방향 업셋부(8)의 입구 포트측 단부면(22)에 접촉하여 커넥터 본체(2) 내에 수형 부재(7)를 중복적으로 고정하는 것이 보장되는 것을 보증한다.
더욱이, 도 3 및 도 7은 검증 요소(10)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개방 위치 및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검증 위치의 모두에서 리테이너(6)로 잠금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도시되어 있지 않은 유체 시스템 상에 인가된 힘으로, 수형 부재(7)가 입구 포트(12)의 방향으로 압박되는 것을 또한 도시하고 있다. 이에 의해, 수형 부재(7)의 반경방향 업셋부(8)는 리테이너의 보유 요소(19) 상에 작용하여, 이에 의해 리테이너가 입구 포트(12)가 배열되어 있는 헤드 요소(3)의 칼라(31)에 대해 가압된다.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보유 요소(19)는 잠금 돌출부(32)를 각각 갖고, 여기서 잠금 돌출부(32)는 헤드 요소(3)의 관통 보어측 환형면(33) 또는 칼라(31)에 대해 놓인다. 이 방식으로, 리테이너(6) 및 검증 요소(10)에 의해 형성된 집합체의 비의도된 변형이 방지되는 것이 보장되고, 이 비의도된 변형은 수형 부재(7)의 부주의한 해제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퀵 커넥터(1')의 다른 실시예가 도 8 내지 도 12에 도시되어 있다. 동일한 도면 부호가 이에 의해 퀵 커넥터(1) 및 퀵 커넥터(1')의 동일한 구성 요소 또는 부분에 대해 도 1 내지 도 7 뿐만 아니라 도 8 내지 도 12에 사용된다. 도 8 내지 도 12에는, 리테이너(6)가 서로 대각선으로 대향하는 측면에서 리테이너(6)에 연결되고 관통 보어(11)의 측면에 위치되는 상승 아암(35)을 갖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도 8 내지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2개의 상승 아암(35)은 검증 요소(10)의 커플링 돌기(15)에 각각 할당되고, 여기서 커플링 돌출부(15)는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검증 요소(10)의 개방 위치에서 리테이너(6)의 상승 아암(35)에 대해 놓인다. 퀵 커넥터(1')의 사전 조립된 상태가 도 8에 도시되어 있고, 여기서 커넥터 본체(2)의 헤드 요소(3)는 후방 리테이너(6)와 검증 요소(10) 내에 삽입되고, 밀봉 요소(4)에 잠금되는 데, 여기서 리테이너(6)는 헤드 요소(3)의 칼라(3)에 대해 놓인다. 수형 부재(7)는 단지 도 8에 따라 관통 보어(11) 내에 삽입되어, 수형 부재(7)의 반경방향 업셋부(8)가 후방 리테이너(6)의 삽입면(24) 상에 아직 작용하지 않게 된다. 수형 부재(7)가 삽입 방향으로 또는 입구 개구(12)로부터 커넥터 본체(2) 내의 관통 보어(11)의 종축(25)을 따라 출구 포트(13)를 향해 각각 더 압박되면, 업셋부(8)는 후방 리테이너(6)의 삽이면(24)과 접촉하게 된다. 그 결과, 후방 리테이너(6)는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팽창된다.
도 9에서, 후방 리테이너(6)의 보유 요소(19)의 접촉면(23)은 업셋부(8)의 외부에 위치되고, 업셋부(8)에 대해 놓인다. 후방 리테이너(6)의 팽창의 결과로서, 검증 요소(10)는 마찬가지로 팽창되고, 여기서 도 8 및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개방 위치로부터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검증 위치로의 검증 요소(10)의 변위는 불가능한 데, 이는 검증 요소측 커플링 돌출부(15)가 리테이너측 잠금면(차단면)(21)을 지나 입구 개구(12)를 향해 이동될 수 없기 때문이다.
출구 포트(13)를 향한 수형 부재(7)의 추가의 삽입은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되어 있고, 여기서 도 10에서, 리테이너(6)의 보유 요소(19) 뿐만 아니라 상승 아암(35)은 업셋부에 대해 놓인다. 리테이너(6)의 접촉면(23)은 아직 도 10에 따른 수형 부재(7)의 밀봉면(9)에 대해 놓여 있지 않기 때문에, 도 10에 따른 리테이너(6)는 아직 팽창되지 않고, 입구 개구(12)를 향한 검증 요소(10)의 변위는 잠금면(21)에 대해 안착되는 커플링 돌출부(15)에 의해 방지되다. 수형 부재(7)가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위치로부터 시작하여 도 11에 따라 출구 포트(13)를 향해 더 변위되면, 보유 요소(19)의 접촉면(23)은 수형 부재(7)의 밀봉면(9)과 접촉하게 되고, 상승 아암(35)은 업셋부(8)에 의해 서로로부터 멀어지게 압박된다. 검증 요소(10)의 전위 위치 또는 변위 위치는 각각 도 11에 도시되어 있고, 변위 위치에서, 상승 아암(35)은 커플링 돌출부(15)가 리테이너(6)의 잠금면(21)을 지나 활주할 수 있는 방식으로, 업셋부(8)에 의해 검증 요소(10)의 커플링 돌출부(커플링 요소)를 멀어지게 압박한다. 검증 요소(10)는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변위 위치로부터 시작하여, 헤드 요소(3)의 입구 개구(12)를 향해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잠금 위치로 변위될 수 있고, 여기서 검증 요소(10)의 커플링 돌출부(15)는 리테이너측 커플링 요소 리셉터클(29) 내의 스프링으로서 작용한다.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검증 요소(10)의 잠금 위치에서, 커넥터 본체로부터의 수형 부재(7)의 제거는 리테이너(6) 및 검증 요소(10)의 모두에 의해 차단된다. 다른 퀵 커넥터(1')에 따른 커넥터 본체(2)와 수형 부재(7) 사이의 연결의 해제는 퀵 커넥터(1)에 따른 수형 부재(7)와 커넥터 본체(2) 사이의 연결의 분리와 유사한 방식으로 발생한다.
바람직하게는, 도 8 내지 도 12에 따른 실시예에 따르면, 리테이너(6) 상에 스프링 장전된 방식으로 지지된 상승 아암(35)은 후방 리테이너(6)에 스프링 장전 방식으로 연결된 보유 요소(19)보다 낮은 복원력을 나타낸다. 이 방식으로, 바람직하게는 그리고 도 8 내지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리테이너(6)에 대한 상승 아암(35)의 가압에 의해, 수형 부재(7)의 업셋부(8)를 통해, 단지 상승 아암만이 변형되거나 외향 압박되고, 후방 리테이너(6)의 보유 요소(19)는 수형 부재에 대해 안착되고, 또는 바람직하게는 도 11에 따르면 수형 부재(7)의 원통형 밀봉면(9)에 대해 안착된다.
1: 퀵 커넥터 2: 커넥터 본체
3: 헤드 요소 4: 밀봉 요소
5: 링 6: 리테이너
7: 수형 부재 8: 반경방향 업셋부
9: 밀봉면 11: 관통 보어
12: 입구 포트 13: 출구 포트
16: 밀봉 조립체 17: O-링 밀봉부
18: 중간 요소 19: 보유 요소
20: 파지 플레이트 21: 잠금면
23: 접촉면 25: 종축
26: 커플링 개구 27: 가압면

Claims (16)

  1. 커넥터 본체(2), 수형 부재(7), 리테이너(6) 및 검증 요소(10)를 갖는 유체 라인 내에 해제 가능한 연결부를 형성하기 위한 퀵 커넥터로서,
    상기 커넥터 본체(2)는 관통 보어(11)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 보어(11) 내로 도입되는 수형 부재(7)는 리테이너(6)에 의해 관통 보어(11) 내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고,
    상기 리테이너(6)는 링(5)을 포함하고,
    상기 검증 요소(10)는 환형 본체(10a)를 포함하고,
    상기 링(5) 및 환형 본체(10a)는 수형 부재(7) 또는 커넥터 본체(2) 또는 양자 모두의 주위에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검증 요소(10)는, 수형 부재(7)가 리테이너(6)에 의해 관통 보어(11) 내에 고정될 때, 개방 위치에서 검증 위치로 관통 보어(11)에 대해 축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고,
    검증 요소측 커플링 요소가 커플링 돌출부(15)로서 구성되고, 반원형의 상보적 커플링 요소가 커플링 개구(26)로서 구성되며, 상기 커플링 돌출부(15)는 검증 요소(10)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커플링 개구(26) 내에 배치되는, 퀵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 위치에서, 검증 요소(10)는 리테이너(6)에 연결되거나 리테이너(6)와 일체로 형성되는, 퀵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위치 또는 검증 위치 또는 두 위치 모두에서, 검증 요소(10)는 리테이너(6)와 해제 가능하게 잠금되는, 퀵 커넥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 요소(10) 또는 리테이너(6) 또는 양자 모두는 커넥터 본체(2) 상에 구속되어 유지되는, 퀵 커넥터.
  5. 커넥터 본체(2), 수형 부재(7), 리테이너(6) 및 검증 요소(10)를 갖는 유체 라인 내에 해제 가능한 연결부를 형성하기 위한 퀵 커넥터로서,
    상기 커넥터 본체(2)는 관통 보어(11)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 보어(11) 내로 도입되는 수형 부재(7)는 리테이너(6)에 의해 관통 보어(11) 내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고,
    상기 리테이너(6)는 링(5)을 포함하고,
    상기 검증 요소(10)는 환형 본체(10a)를 포함하고,
    상기 링(5) 및 환형 본체(10a)는 수형 부재(7) 또는 커넥터 본체(2) 또는 양자 모두의 주위에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검증 요소(10)는, 수형 부재(7)가 리테이너(6)에 의해 관통 보어(11) 내에 고정될 때, 개방 위치에서 검증 위치로 관통 보어(11)에 대해 축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고,
    상승 아암(35) 또는 상승 아암들(35)이 각각 리테이너(6) 상에 형성되고,
    검증 요소측 커플링 요소가 상승 아암(35)에 대해 안착되거나, 검증 요소측 커플링 요소들은 각각 상승 아암(35)에 대해 안착되며,
    상기 수형 부재(7)의 반경방향 업셋부(8)가 단지 상승 아암(35) 또는 상승 아암들(35) 각각을 통해 커플링 요소 또는 커플링 요소들 각각에 대해 가압되는, 퀵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 위치에서, 검증 요소(10)는 리테이너(6)에 연결되거나 리테이너(6)와 일체로 형성되는, 퀵 커넥터.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위치 또는 검증 위치 또는 두 위치 모두에서, 검증 요소(10)는 리테이너(6)와 해제 가능하게 잠금되는, 퀵 커넥터.
  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 요소(10) 또는 리테이너(6) 또는 양자 모두는 커넥터 본체(2) 상에 구속되어 유지되는, 퀵 커넥터.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 요소(10)는 커플링 돌출부(15)를 포함하고, 상기 커플링 돌출부(15)는 검증 요소(10)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관통 보어(11) 내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거나 또는 리테이너측 상승 아암(35)에 대해 안착되고,
    상기 커플링 돌출부(15)는, 수형 부재(7)의 업셋부(8)에 의한 커넥터 본체(2) 내로의 수형 부재(7)의 삽입 중에, 반경방향에서 관통 보어(11)의 종축(25)으로부터 멀어지게 압박될 수 있으며,
    상기 커플링 돌출부(15)는 커플링 개구(26) 외부로 압박될 수 있거나, 관통 보어로부터 멀어지게 압박될 수 있어, 검증 요소(10)가 개방 위치에서 검증 위치로 축방향으로 활주할 수 있는, 퀵 커넥터.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요소는 대각선의 가압면(27)을 포함하며,
    상기 대각선의 가압면(27)은, 수형 부재(7)의 업셋부(8)가 대각선의 가압면(27)에 대해 놓일 때, 검증 요소(10)가 입구 개구(12)로부터 멀어지게 압박됨으로써, 커플링 요소가 관통 보어(11)의 종축(25)으로부터 멀어지게 압박되도록 구성되는, 퀵 커넥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6)는 커플링 리셉터클(29)을 포함하고, 상기 커플링 리셉터클(29)은 관통 보어(1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리테이너(6)의 표면 상에서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검증 요소측 커플링 요소는 검증 위치에 있을 때 커플링 리셉터클(29) 내에 수용될 수 있는, 퀵 커넥터.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 요소(10)는 커플링 돌출부(15)로서 구성된 2개의 커플링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커플링 돌출부(15)는 관통 보어(11)의 직경(25) 방향으로 설정된 서로에 대한 간격을 나타내며,
    상기 간격은 수형 부재(7)의 업셋부(8)의 직경보다 작아, 검증 요소(10)가 검증 위치에 있을 때 수형 부재(7)가 리테이너(6)와 검증 요소(10) 양자 모두에 의해 커플링 요소(2) 상에 고정되는, 퀵 커넥터.
  13. 제1항, 제2항, 제5항, 제6항 및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6)는 적어도 하나의 보유 요소(19)를 포함하고, 상기 보유 요소(19)는 조립 상태에 있을 때 수형 부재(7)의 업셋부(8)와 함께 작용하며, 상기 보유 요소(19)에 의해 수형 부재가 커넥터 본체(2) 내에 고정될 수 있는, 퀵 커넥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요소(19)는, 커넥터 본체(2) 내에 수형 부재(7)를 고정하기 위해, 커넥터 본체(2) 내에 배치된 구멍을 통과하는, 퀵 커넥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는 적어도 하나의 작동 수단(20)을 포함하며,
    상기 작동 수단(20)에 의한 힘의 인가에 의해, 리테이너(6)가 변형될 수 있어, 보유 요소(19)가 반경방향으로 관통 보어(11)의 중심축(25)으로부터 멀어지게 이동될 수 있고, 수형 부재(7) 또는 수형 부재(7)의 업셋부(8)가 각각 해제되거나 해제될 수 있는, 퀵 커넥터.
  16. 제1항, 제2항, 제5항, 제6항 및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6) 또는 검증 요소(10) 또는 양자 모두는 가역적으로 변형 가능한 또는 가요성인 재료로 제조되는, 퀵 커넥터.
KR1020140004482A 2013-01-15 2014-01-14 퀵 커넥터 KR1020935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752787P 2013-01-15 2013-01-15
US61/752,787 2013-01-15
US201361760864P 2013-02-05 2013-02-05
US61/760,864 2013-02-05
EP13192083.7 2013-11-08
EP13192083.7A EP2754941B1 (de) 2013-01-15 2013-11-08 Schnellkuppl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2260A KR20140092260A (ko) 2014-07-23
KR102093521B1 true KR102093521B1 (ko) 2020-03-26

Family

ID=49554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4482A KR102093521B1 (ko) 2013-01-15 2014-01-14 퀵 커넥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890887B2 (ko)
EP (4) EP2754941B1 (ko)
JP (1) JP6506500B2 (ko)
KR (1) KR102093521B1 (ko)
CN (1) CN103925438B (ko)
DE (1) DE202013012885U1 (ko)
PL (1) PL3591277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94499B2 (en) * 2013-10-03 2018-10-09 Nobel Plastiques Quick-connect clip-on connector
US9151424B2 (en) * 2013-10-24 2015-10-06 Caterpillar Inc. Connector for connecting hose coupler to drain knob
DE102014107655A1 (de) * 2014-05-30 2015-12-03 Voss Automotive Gmbh "Steckverbinder für Fluidleitungen mit innenliegender Adapterhülse"
US10648601B2 (en) 2014-06-10 2020-05-12 Kohler Co. Quick connect system for a fluid coupling
US10105527B2 (en) * 2014-07-29 2018-10-23 Colder Products Company Bayonet coupling assembly
KR101719973B1 (ko) * 2015-07-14 2017-03-27 주식회사 우진 자동으로 체결 및 분리가능한 퀵 커플러 장치
FR3044382B1 (fr) * 2015-11-30 2017-12-08 A Raymond Et Cie Raccord tubulaire rapide avec bague secable pour connexion fluidique securisee
KR101714313B1 (ko) * 2016-04-18 2017-03-22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 유체통로용 퀵 커넥터
CN105782614B (zh) * 2016-04-28 2018-03-06 苏州富强科技有限公司 插拔式的密封快速接头
US10502353B2 (en) * 2016-05-27 2019-12-10 Kohler Co. Quick connect release system for a fluid coupling
US10415733B2 (en) * 2016-08-17 2019-09-17 Cooper-Standard Automotive Inc. Quick connector
JP6644992B2 (ja) * 2016-10-28 2020-02-12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クイックコネクター
US10816121B2 (en) 2017-05-09 2020-10-27 Martinrea International US Inc. Quick connect coupling with verifier
DE102017208643B4 (de) * 2017-05-22 2021-03-04 Aft Automotive Gmbh Kupplungselement zum Verbinden einer ersten fluidführenden Leitung mit einer zweiten fluidführenden Leitung sowie Kupplungsanordnung
EP3413405B1 (de) * 2017-06-08 2019-03-13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Verbinder
DE102017211793A1 (de) 2017-07-10 2019-01-10 Gustav Magenwirth Gmbh & Co. Kg Hydraulikleitungsanschluss für eine hydraulische Bremse lenkergeführter Fahrzeuge, Hydraulikleitungsanschluss- und Hydraulikkomponentenbefestigungsvorrichtung für eine hydraulische Betätigungsvorrichtung lenkergeführter Fahrzeuge, Lenkeranordnung für ein lenkergeführtes Fahrzeug und hydraulische Bremse für ein lenkergeführtes Fahrzeug
US11199281B2 (en) * 2018-01-31 2021-12-14 A. Raymond Et Cie. Dual-latch quick connector
DE102018107507A1 (de) * 2018-03-28 2019-10-02 Voss Automotive Gmbh "Anschlussvorrichtung für Medienleitungen"
CN108317320A (zh) * 2018-04-04 2018-07-24 辽宁壮龙无人机科技有限公司 接头组件及燃油供给管路
DE202018104672U1 (de) * 2018-08-14 2019-11-15 Wema System As Leitungsadapter und Leitungsaufbau
JP6953472B2 (ja) * 2019-04-26 2021-10-27 Ckd株式会社 マニホールド
EP3736481B1 (en) * 2019-05-07 2022-01-19 A. Raymond et Cie Quick connector assembly with verification tab
FR3098888B1 (fr) * 2019-07-15 2023-01-06 A Raymond Et Cie DISPOSITIF DE RACCORDEMENT fluidique COMPACT ET DEMONTABLE
US11796099B2 (en) * 2019-08-22 2023-10-24 Cooper-Standard Automotive Inc. Connector having a pilot with an indicator
CN114555999A (zh) * 2019-10-10 2022-05-27 欧梯克瑞士公司 由塑料制成的快速连接器
EP4060217A1 (en) * 2021-03-18 2022-09-21 Hanil Tube Corporation Quick connector with retainer and verifier
US11852270B2 (en) 2021-07-30 2023-12-26 Raytheon Company Compact, blind-mate fluid fitting
DE102021132818A1 (de) 2021-12-13 2023-06-15 Odelo Gmbh Fahrzeugleuchte mit ESD Schutz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73062A (en) * 1973-11-30 1975-03-25 Jerry Lynn Johnson Air hose quick coupler
JPH0724716Y2 (ja) * 1989-03-31 1995-06-05 マルヤス工業株式会社 配管用継手
US5211427A (en) 1990-12-22 1993-05-18 Usui Kokusai Sangyo Kaisha Ltd. Piping connector
US5178424A (en) * 1991-07-01 1993-01-12 Itt Corporation Pop-off quick connect indicator
US5303963A (en) * 1992-03-27 1994-04-19 Bundy Corporation Tube coupling with secondary retainer clip
FR2715454B1 (fr) * 1994-01-26 1996-04-12 Caillau Ets Connexion rapide.
US5499848A (en) * 1994-09-26 1996-03-19 Bundy Corporation Connection verifier for a quick connector coupling
US5568946A (en) 1994-12-14 1996-10-29 Itt Corporation Squeeze-to-release quick connector with snap-in retainer
JP3113170B2 (ja) 1994-12-28 2000-11-27 株式会社東郷製作所 コネクタ
FR2729454A1 (fr) * 1995-01-16 1996-07-19 Staubli Sa Ets Raccord rapide de securite pour la jonction amovible de canalisations
US5628531A (en) * 1995-04-26 1997-05-13 Bundy Corporation Quick connector with secondary latch
DE19515849B4 (de) * 1995-04-29 2006-07-06 Voss Automotive Gmbh Steckkupplung für Druckmittel-Leitungen
JPH08312864A (ja) * 1995-05-23 1996-11-26 Maruyasu Kogyo Kk 配管用継手
US6007107A (en) 1996-07-12 1999-12-28 Container Technology, Inc. Fluid coupling for matching delivery and supply lines irrespective of the relative rotational positions of the coupling members
US5873610A (en) * 1996-12-19 1999-02-23 Itt Automotive, Inc. Female connector member for large tolerance male member endforms
US6155612A (en) 1997-11-17 2000-12-05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Hybrid quick connector
JP3321061B2 (ja) 1997-12-19 2002-09-03 株式会社東郷製作所 コネクタ
DE19822574C1 (de) * 1998-05-20 1999-10-14 Raymond A & Cie Lösbare Schnellkupplung mit automatischer Montageanzeige
DE10024303B4 (de) 2000-05-17 2005-09-08 Rasmussen Gmbh Aufnahme-Kupplungsvorrichtung einer Steckkupplung und Steckkupplung mit der Aufnahme-Kupplungsvorrichtung
DE10126205C1 (de) * 2001-05-30 2002-04-04 Raymond A & Cie Lösbare Steckkupplung mit Schutzhülse
JP4055004B2 (ja) * 2002-09-30 2008-03-05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用回り止め具
JP4264937B2 (ja) * 2003-07-09 2009-05-20 Smc株式会社 チャック及び管継手
DE502004008357D1 (de) 2004-11-08 2008-12-11 Kulm Holding Ag Schnellkupplung
JP2006194432A (ja) * 2004-12-17 2006-07-27 Tokai Rubber Ind Ltd 燃料輸送用の配管部材
JP2006313010A (ja) * 2005-04-04 2006-11-16 Denso Corp 配管継手装置
ES2349016T3 (es) 2005-05-03 2010-12-21 Ti Group Automotive Systems, L.L.C. Conectador rapido.
US7497480B2 (en) * 2006-04-07 2009-03-03 Ti Group Automotive Systems, Llc Hybrid quick connector
FR2900456B1 (fr) * 2006-04-28 2008-06-27 Legris Sa Raccord a double verrouillage
US7900972B2 (en) * 2007-03-29 2011-03-08 King Yuan Wang Fluid connector for garden use
FR2921998B1 (fr) * 2007-10-08 2012-03-16 Staubli Sa Ets Element femelle de raccord et raccord comprenant un tel element femelle
US7757704B2 (en) * 2007-12-26 2010-07-20 Taiwan Vertex Production Corp. Coupling assembly with a core unit therein
DE102008013565A1 (de) * 2008-03-11 2009-09-17 A. Kayser Automotive Systems Gmbh Einsteckkupplung
DE102009033943A1 (de) * 2009-07-14 2011-01-20 Aft Inh. Dirk Kramer E.K. Steckkupplung
DE102011005220A1 (de) * 2011-03-08 2012-09-13 Fränkische Industrial Pipes GmbH & Co. KG Verbindungsanordnung
US8366154B2 (en) * 2011-06-15 2013-02-05 Wang Cheng-An Water pipe connector
DE102012106925A1 (de) * 2012-07-30 2014-06-12 Contitech Schlauch Gmbh Schnellverbindungsanordnung zur lösbaren Verbindung einer Medienleitung mit einem Stutzen
EP2728236B1 (de) 2012-11-05 2017-04-19 TI Automotive (Fuldabrück) GmbH Schnellkuppl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54941B1 (de) 2019-09-04
EP3839317A1 (de) 2021-06-23
EP2754941A3 (de) 2016-10-12
EP3591277B1 (de) 2021-02-17
US9890887B2 (en) 2018-02-13
KR20140092260A (ko) 2014-07-23
EP3399220A1 (de) 2018-11-07
CN103925438A (zh) 2014-07-16
EP3839317B1 (de) 2024-05-22
DE202013012885U1 (de) 2021-02-18
JP2014137141A (ja) 2014-07-28
JP6506500B2 (ja) 2019-04-24
US20140197629A1 (en) 2014-07-17
EP3591277A1 (de) 2020-01-08
CN103925438B (zh) 2017-01-04
EP3399220B1 (de) 2019-05-15
PL3591277T3 (pl) 2021-10-25
EP2754941A2 (de) 2014-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3521B1 (ko) 퀵 커넥터
JP6388764B2 (ja) クイックコネクタ結合部
EP3521676B1 (en) Dual-latch quick connector
US9599267B2 (en) Quick connection arrangement for detachably connecting a medium line to a connecting piece
US10816121B2 (en) Quick connect coupling with verifier
US5586792A (en) Quick connector with integral release mechanism
US20050258646A1 (en) Quick connector
JP5289804B2 (ja) 高圧用のクイックコネクタ
US7891380B2 (en) Protective cap for quick connector
TWI439626B (zh) 管接頭
US20030102667A1 (en) Plug connection
US9464743B2 (en) Bias release cartridge
US20140326223A1 (en) Fluid line coupling
EP3904746B1 (en) Quick connector
JPH08178143A (ja) 目視接続確認可能なクイック・コネクタ継手
KR20170075659A (ko) 퀵 커넥터용 소켓 요소와 소켓 요소를 구비하는 퀵 커넥터
US8827321B2 (en) Pipe coupling device
US8128130B2 (en) Plug-in hose coupling
US7731240B2 (en) Pipe coupling
ES2467927T3 (es) Espiga de verificación
JP4348589B2 (ja) 安全離脱装置付き連結具
WO2007126056A1 (ja) 管継手
JPS6124891A (ja) 切離し式流体装置
EP2626611B1 (en) Coupling system for connecting a pressure tube to a valve body
JP2022152601A (ja) 継手接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