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6203B1 - 낙석방지책 - Google Patents

낙석방지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6203B1
KR102086203B1 KR1020170138380A KR20170138380A KR102086203B1 KR 102086203 B1 KR102086203 B1 KR 102086203B1 KR 1020170138380 A KR1020170138380 A KR 1020170138380A KR 20170138380 A KR20170138380 A KR 20170138380A KR 102086203 B1 KR102086203 B1 KR 1020862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mesh
frictional resistance
mesh member
support member
rockf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8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5600A (ko
Inventor
이종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70138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6203B1/ko
Publication of KR20190045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56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6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62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7/00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 sand drifts, side-wind effects,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Anti-dazzle arrangements ; Sight-screens for roads, e.g. to mask accident site
    • E01F7/04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e.g. avalanche preventing structures, galleries
    • E01F7/04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otecting against falling rocks, e.g. galleries, nets, rock tr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적어도 낙석 가능 지역에 시공된 복수의 지주부재; 상기 지주부재와 연계되면서 철망부재를 압박하되, 낙석시 적어도 마찰저항을 형성하는 마찰저항형 압박부; 및 상기 지주부재와 마찰저항형 압박부 사이에 압박 고정되는 철망부재를 포함하는 낙석방지책이 제공된다.
기존에 비하여 시공 기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하는 한편, 시공 비용도 절감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낙석방지책{Falling Rock Barrier}
본 발명은 도로주변에 설치하여 사면이나 또는 절개지로부터 낙하하는 낙석을 차단하는 낙석방지책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에 비하여 시공 기간을 단축하는 한편, 시공 비용도 절감 가능하게 한 낙석방지책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반암이 불량한 산악지역에 도로를 개설 또는 확장하거나, 철도, 택지 및 산업단지 등을 건설하기 위해 사면을 절개할 때나 사면의 붕괴 및 낙석 등으로 인한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된다.
이에, 도로변의 사면이나 또는 절개지 등과 같이 낙석이 우려되는 구간에는 낙석방지책을 설치하여 낙석으로부터 도로를 지나다니는 차량들을 보호해 주도록 하고 있다. 즉, 낙석방지책은 도로의 측면에 도로와 나란히 설치하는 일종의 휀스구조물일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기존 낙석방지책(1)은 일예로, 지반 콘크리트 구조물(10)에 직립되는 H형강의 지주(20), 지주(20)에 고정되는 능형망(PVC 코팅철망)(30), 및 지주(20) 사이에 연결되는 복수의 와이어로프(40)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존 낙석방지책(1)은 통상 낙석 충격에너지 50KJ을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이때 능형망(30)은 통상 인장강도 290~540Mpa인 강선을 사용하며 두께는 3.2mm 또는 4.0mm를 사용하고, 와이어로프(40)는 파단하중 1,400 ~1,600Mpa인 도금로프를 12단 정도 사용한다.
이와 같은 기존 낙석방지책(10)의 경우, 낙석이 떨어지면 능형망(30)과 와이어로프(40)를 통하여 지주(20)로 충격력이 전달되어 이들 요소 모두 충격력에 저항하는 방식으로 충격에너지를 흡수한다.
낙석은 주로 면적이 넓은 능형망(30)과 와이어로프(40)에 떨어지게 되는데 이들은 변형을 발생시키면서 충격에너지를 흡수함과 더불어 충격력을 지주(2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기존 낙석방지책(1)의 경우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능형망(30)은 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능형망에 낙석이 떨어지면 능형망을 관통하게 되므로 반드시 와이어로프(40)를 적절한 간격으로 배치하여 능형망을 보강해야 하는 것이었다.
기존 낙석방지책(1)은 능형망(30) 외에 와이어로프(40)를 별도로 반드시 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고 시공이 번거롭고, 결국 시공이 지연되고 비용도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낙석방지책의 시공기간을 단축하고 비용도 절감하는, 적어도 기존 와이어로프를 제거한 낙석방지책의 기술이 요구되는 실정이고, 예컨대 마찰저항을 이용한 낙석방지책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048940호에서는 와이어로프를 제거한 낙석 방지용 울타리 시공방법의 기술이 개시되나, 위에서 언급한 마찰 저항을 기반으로 하는 것은 아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7-0048940 A (2007.05.1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기존 낙석방지책의 와이어로프와 능형망을 고장력 철망으로 대체하면서 마찰저항형으로 구조 개선하여, 궁극적으로 시공 기간을 단축하고, 시공 비용도 절감하게 한 낙석방지책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낙석방지책은, 복수의 지주부재; 상기 지주부재와 연계되면서 철망부재를 압박하고, 낙석시 적어도 마찰저항을 형성하는 마찰저항형 압박부; 및 상기 지주부재와 상기 마찰저항형 압박부 사이에 압박 고정되는 철망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마찰저항형 압박부는, 상기 지주부재의 상,하측에 상기 철망부재의 간섭 없이 조립되는 수직대; 및 상기 수직대를 따라 간격을 두고 제공되는 복수의 고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고무부재는 상기 지주부재와 상기 수직대 사이에 개재되고서 상기 철망부재와 접촉하여, 상기 철망부재를 상기 지주부재 쪽으로 압박한다.
또한, 본 발명의 낙석방지책은, 복수의 지주부재; 상기 지주부재와 연계되면서 철망부재를 압박하고, 낙석시 적어도 마찰저항을 형성하는 마찰저항형 압박부; 및 상기 지주부재와 상기 마찰저항형 압박부 사이에 압박 고정되는 철망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마찰저항형 압박부는, 상기 지주부재의 상,하측에 상기 철망부재의 간섭 없이 조립되는 수직대; 및 상기 수직대를 따라 간격을 두고 상기 수직대의 측방으로 끼워지며, 마찰돌부를 갖춘 복수의 제1 판스프링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마찰돌부는 상기 지주부재와 상기 수직대 사이에 위치하고서 상기 철망부재와 접촉하여, 상기 철망부재를 상기 지주부재 쪽으로 압박한다.
또한, 본 발명의 낙석방지책은, 복수의 지주부재; 상기 지주부재와 연계되면서 철망부재를 압박하고, 낙석시 적어도 마찰저항을 형성하는 마찰저항형 압박부; 및 상기 지주부재와 상기 마찰저항형 압박부 사이에 압박 고정되는 철망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마찰저항형 압박부는, 상기 지주부재의 상,하측에 상기 철망부재의 간섭 없이 조립되는 수직대; 및 상기 수직대의 일측면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마찰돌부를 갖춘 복수의 제2 판스프링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마찰돌부는 상기 지주부재와 상기 수직대 사이에 위치하고서 상기 철망부재와 접촉하여, 상기 철망부재를 상기 지주부재 쪽으로 압박한다.
또한, 상기 지주부재는 지중 콘크리트 구조물에 직립되는 적어도 H형강이나 빔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철망부재는, 인장강도 1,800~2,400Mpa인 고장력 철망을 포함하되, 부식을 방지토록 도금 처리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2 판스프링부재의 마찰돌부는 적어도 원형 또는, 원형보다 마찰면적을 증대한 타원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찰저항형 압박수단인 제1,2 판스프링부재의 마찰돌부에는 마찰 저항을 높이기 위한 널링부를 포함할 할 수 있다.
삭제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기존 낙석방지책의 와이어로프와 능형망을 고장력 철망으로 대체하면서 특히, 마찰 저항형으로 구조 개선함에 따라, 능형망과 와이어로프를 기반으로 하는 기존에 비하여 시공 기간을 상당히 단축하는 한편, 시공 비용도 절감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알려진 낙석방지책을 도시한 정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낙석방지책을 도시한 정면 구성도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요부 정면도 및 측면 구성도
도 4는 도 3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3의 본 발명 낙석방지책의 마찰저항형 압박수단의 일 실시예인 고무부재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낙석방지책의 낙석시 마찰 저항력에 따른 낙석의 충격 에너지 흡수를 설명하기 위한 작동 상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 낙석방지책의 마찰저항형 압박수단의 다른 실시예인 제1 판스프링부재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 및 측면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 낙석방지책의 마찰저항형 압박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인 제2 판스프링부재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 및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1,2 판스프링부재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 낙석방지책의 마찰저항형 압박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인 마찰돌부를 포함하는 수직대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 및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이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2 내지 도 4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낙석방지책(100)을 도시하고 있다.
즉, 도 2 내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낙석방지책(100)은 구체적으로는, 적어도 낙석 가능 지역에 시공된 복수의 지주부재(110)와, 상기 지주와 연계되면서 철망을 압박하되, 낙석시 적어도 마찰저항을 형성하는 마찰저항형 압박부(130), 및 상기 지주(110)와 마찰저항형 압박부(130) 사이에 제공되는 철망부재(120)를 기반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낙석방지책(100)에서 상기 지주부재(110)는 도 2와 같이 지중에 시공된 콘크리트 구조물(112)에 직립하여 제공되는 적어도 H형강(빔)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낙석방지책(100)에서 상기 철망부재(120)는, 적어도 인장강도 1,800~2,400Mpa인 고장력 철망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기존의 도 1에서 설명한 낙석방지책(1)의 능형망(130)은 그 인장강도가 290~540Mpa 정도로 전체적으로 강도가 약하여 낙석시 쉽게 낙석이 통과하게 되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와이어로프(140)가 동시에 설치되어야 하나, 본 발명의 경우 인장강도가 1,800~2,400Mpa인 고장력 철망으로 대체하여 기존 능형망+와이어로프를 대체 가능하게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상기 지주부재(110)와 연계되면서 철망부재(120)를 압박하는 마찰저항형 압박부(130)의 경우 기존과 같이 와이어로프가 없어도 낙석방지 효과를 높이도록 하는데, 예를 들어 충격에너지 흡수율을 증가시키도록, 낙석 충격에너지의 일부를 고장력 철망부재(120)와 상기 마찰저항형 압박부(130) 간 마찰력으로 흡수하게 한 것이다.
즉, 낙석시 본 발명의 철망부재(120)와 다음에 여러 실시예들을 기반으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본 발명의 마찰저항형 압박부(139) 사이에서 마찰력이 발생하면서 적어도 낙석 충격에너지를 일부 저항하게 되어, 기존과 같이 와이어로프가 없어도 낙석방지효과가 충분하게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고장력 철망부재(120)는 일예로 50kJ에 해당하는 낙석 충격에너지가 작용할 때에도 낙석이 관통되지 않도록 충분한 강성을 갖는 것이 필요한데, 일예로 고장력 1,800~2,400Mpa 강선을 절곡하여 제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고장력 강선을 기반으로 하는 본 발명의 철망부재(120)는, 기존 능형망(도 1의 130)과 같이 철망으로 절곡하면서 PVC 코팅을 하기 어렵기 때문에 아연도금이나 알루미늄 도금된 강선으로 제작하여 부식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도 2 내지 도 4의 본 발명의 낙석방지책(100)은, 기존 낙석방지책(도 1의 1)에서 와이어로프(도 1의 40)와 능형망(도 1의 30)을 1,800~2,400Mpa의 고장력 강선을 절곡하여 제작한 고장력 철망부재(120)로 대체하기 때문에, 시공이 간편하고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기존 와이어로프(도 1의 40)는 통상 12단에서 16단으로 설치하는데 각각의 와이어로프를 낙석방지책 전 길이에 걸쳐 지주를 관통시켜 설치하는 것은 인력으로 하기 때문에 설치시간과 설치비가 증가한다.
그런데, 기존 와이어로프가 제거(생략)된, 마찰저항형 압박부(130)와 고장력 철망부재(120)를 기반으로 하는 본 발명의 낙석방지책(100)의 경우 철망부재만 설치하면 되기 때문에, 사실상 기존 능형망을 설치하는 작업환경과 마찬가지로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게 할 것이다.
다음,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주요 특징부인 마찰저항형 압박부(130)의 여러 실시예들을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먼저,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본 발명의 마찰저항형 압박부(130)는, 상기 지주부재(110)의 상,하측에 철망부재의 간섭없이 연결 고정되는 수직대(140); 및 상기 수직대(140)에 철망부재(120)를 압박토록 적당한 간격을 두고 복수개 제공되되, 낙석시 충격에너지의 적어도 일부를 철망부재와의 마찰력 형성으로 흡수하는 마찰저항형 압박수단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와 같이, 일정 폭을 갖는 수직대(140)는 상단 및 하단에 형성된 구멍(144)을 통과한 체결볼트(142)가 수직대의 내면이 철망부재(120)를 향하되, 상기 체결볼트(142)가 철망부재(120)를 통과하여 간섭하지 않는 상태에서, 콘크리트 구조물(112)에 직립되는 지주부재(110)인 H빔(형강)의 구멍(114)을 통과하여 너트(116)로서 체결된다.
따라서, 도 3 및 도 4와 같이, 본 발명의 마찰저항형 압박부(130)의 수직대(140)는 지주부재(110)의 상,하측 단부에 볼트 체결되되, 그 사이에 철망부재(120)가 배치되고,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낙석시 충격에너지의 적어도 일부를 철망부재(120) 간의 마찰력 형성으로 흡수하는 마찰저항형 압박수단들이 철망부재(120)를 압박 고정하는 것이다.
다음, 도 4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 마찰저항형 압박수단은, 상기 수직대(140)를 따라 간격을 두고 그 일측면에 조립되는, 경질(딱딱한)의 고무부재(150)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고무부재(150)는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대(140)의 후면에서 관통되는 고무부재 체결볼트(152)에 나사 체결방식으로 조립될 수 있다.
그리고,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고무부재(150)의 마찰저항형 압박수단은, 부식되지도 않게 되고, 낙석시 철망부재(120)와의 마찰 저항(도 6의 화살표)을 형성하여 낙석시 충격에너지를 낙석이 발생한 영역에서부터 순차적으로 흡수하게 되고(충격에너지에 저항하게 되고), 이를 통하여 기존의 와이어로프(도 1의 40)가 없어도 낙석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 도 7 및 도 8에서는, 본 발명 마찰저항형 압박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즉, 도 7 및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마찰저항형 압박수단은, 상기 수직대(140)를 따라 간격을 두고 끼워져 조립되되, 철망부재(120)를 실제로 압박하는 마찰돌부(162)를 포함하는 제1 판스프링부재(160)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마찰저항형 압박수단인 제1 판스프링부재(160)는 수직대(140)를 따라 적당한 간격으로 억지끼움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므로, 시공을 매우 간편하게 하고, 실제 현장에서의 마찰 저항형 압박수단의 위치 조정도 용이하게 할 것이다.
물론,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나사 등으로 상기 제1 판스프링부재와 수직대(140)를 추가로 체결하여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판스프링부재(160)의 마찰돌부(162)는 도 8과 같이, 수직대(140)가 지주부재(110)에 그 상,하단부가 볼트로 고정되면, 철망부재(120)를 압박하면서 지지하게 되고, 낙석시 상기 마찰돌부(162)는 철망부재(120)와의 마찰 저항을 형성시키게 되어, 낙석 충격에너지를 적어도 일부 저항하게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1 판스프링부재(160)의 마찰돌부(162)의 표면은 마찰 저항을 높이도록 널링부(164)가 형성될 수 있고, 이와 같은 제1 판스프링부재는 아연 등의 도금으로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 도 9 및 도 10에서는 본 발명 마찰저항형 압박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즉, 도 9 및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마찰저항형 압박수단은, 상기 수직대(140)를 따라 간격을 두고 수직대(140)의 일측면 상에 나사(176) 체결 등을 통하여 조립되되, 상기 철망부재(120)를 실제로 압박하는 마찰돌부(172)를 포함하는 제2 판스프링부재(170)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마찰저항형 압박수단인 제2 판스프링부재(170)는 제1 판스프링부재(160)와는 다르게 수직대(140)를 따라 적당한 간격으로 그 일측면에 조립되어 제공되므로, 제2 판스프링부재(170)는 압박시 탄력을 제공하여 실제 철망부재(120)를 더 탄력적으로 압박하면서, 낙석시 마찰 저항을 더 크게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과 같이, 수직대(140)를 지주부재(110)에 조립할 때 수직대(140)를 지지부재(110) 측에 더 근접시키면 제2 판스프링부재(170)는 더 압박되어 압박정도를 조정할 수 있게 할 것이다.
한편, 상기 제1 판스프링부재(160)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2 판스프링부재(170)의 마찰돌부(172)의 표면에 마찰 저항을 높이도록 널링부(164)가 형성될 수 있고, 이와 같은 제2 판스프링부재도 아연 등의 도금으로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 도 7 및 도 9와 같이, 본 발명 마찰저항형 압박수단인 제1, 2 판스프링부재(160)(170)의 마찰돌부(162)(172)는 원형 형태로 판재가 가공되어 제공될 수 있으나, 도 11과 같이, 마찰돌부는 마찰면적을 원형보다 증대시키는 타원형(162')(172')으로 제공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판재 가공 환경에서 가능한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제1,2 판스프링부재들의 마찰돌부들은 적당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마찰저항형 압박수단인 제1,2 판스프링부재(160)(170)의 마찰돌부(162)(172)에는 철망부재(120)와의 마찰 저항을 높이도록 하는 널링부(164)(174)나 기타 요철부 또는 슬릿홈 등이 제공될 수 있다.
다음, 도 12 및 도 13에서는 본 발명의 낙석방지책(100)에서 상기 마찰저항형 압박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지주부재(110)의 상,하측 단부에 조립되는 상기 수직대(140)에 일체로 제공된 마찰철부(180)를 포함하는 것이다.
즉, 수직대(140)의 마찰철부(180)는 요철 구조로서 전방으로 돌출된 마찰철부(180)가 철망부재(120)에 어느 정도 면적을 가지고 접촉되면서 압박 고정하게 된다.
따라서, 도 12 및 도 13의 본 발명의 수직대에 제공된 마찰철부(140)는 앞에서 설명한 고무부재(150)와 제1,2 판스프링부재(160)(170)의 마찰돌부(162)(172)들에 비하여, 철망부재(120)와의 접촉면적(압박면적)이 증대되므로, 낙석지역의 환경 즉, 낙석 크기가 크거나 발생 빈도가 높은 지역에 적용하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수직대(140)의 마찰철부(180)는 도 12와 같이, 별도의 부호로 구분하지 않았으나, 널링부나 돌기부 등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수직대(140)와 마찰철부(180)도 앞에서 설명한 판스프링부재와 마찬가지로 도금 등을 통하여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낙석방지책(100)의 경우 낙석시 철망부재(120)와 여러 실시예들의 마찰저항형 압박부(130) 사이에서 마찰력이 발생하면서 적어도 낙석 충격에너지를 일부 저항하게 되어, 기존과 같이 와이어로프가 없어도 낙석방지효과가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낙석방지책(100)은, 기존 낙석방지책에서 와이어로프와 능형망을 1,800~2,400Mpa의 고장력 강선을 절곡하여 제작한 고장력 철망부재(120)로 대체하기 때문에, 시공이 간편하고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본 발명의 낙석방지책 110....지주부재
120.... 철망부재 130.... 마찰저항형 압박부
140.... 수직대
150.... 마찰저항형 압박수단(고무부재)
160,170.... 마찰저항형 압박수단(제1,2 판스프링부재)
162,172.... 판스프링부재의 마찰돌부
180.... 수직대의 마찰철부

Claims (10)

  1. 복수의 지주부재;
    상기 지주부재와 연계되면서 철망부재를 압박하고, 낙석시 적어도 마찰저항을 형성하는 마찰저항형 압박부; 및
    상기 지주부재와 상기 마찰저항형 압박부 사이에 압박 고정되는 철망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마찰저항형 압박부는,
    상기 지주부재의 상,하측에 상기 철망부재의 간섭 없이 조립되는 수직대; 및
    상기 수직대를 따라 간격을 두고 제공되는 복수의 고무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고무부재는 상기 지주부재와 상기 수직대 사이에 개재되고서 상기 철망부재와 접촉하여, 상기 철망부재를 상기 지주부재 쪽으로 압박하는 낙석방지책.
  2. 복수의 지주부재;
    상기 지주부재와 연계되면서 철망부재를 압박하고, 낙석시 적어도 마찰저항을 형성하는 마찰저항형 압박부; 및
    상기 지주부재와 상기 마찰저항형 압박부 사이에 압박 고정되는 철망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마찰저항형 압박부는,
    상기 지주부재의 상,하측에 상기 철망부재의 간섭 없이 조립되는 수직대; 및
    상기 수직대를 따라 간격을 두고 상기 수직대의 측방으로 끼워지며, 마찰돌부를 갖춘 복수의 제1 판스프링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마찰돌부는 상기 지주부재와 상기 수직대 사이에 위치하고서 상기 철망부재와 접촉하여, 상기 철망부재를 상기 지주부재 쪽으로 압박하는 낙석방지책.
  3. 복수의 지주부재;
    상기 지주부재와 연계되면서 철망부재를 압박하고, 낙석시 적어도 마찰저항을 형성하는 마찰저항형 압박부; 및
    상기 지주부재와 상기 마찰저항형 압박부 사이에 압박 고정되는 철망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마찰저항형 압박부는,
    상기 지주부재의 상,하측에 상기 철망부재의 간섭 없이 조립되는 수직대; 및
    상기 수직대의 일측면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마찰돌부를 갖춘 복수의 제2 판스프링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마찰돌부는 상기 지주부재와 상기 수직대 사이에 위치하고서 상기 철망부재와 접촉하여, 상기 철망부재를 상기 지주부재 쪽으로 압박하는 낙석방지책.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부재는 지중 콘크리트 구조물에 직립되는 적어도 H형강이나 H빔을 포함하는 낙석방지책.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철망부재는, 인장강도 1,800~2,400Mpa인 고장력 철망을 포함하되, 부식을 방지토록 도금 처리된 낙석방지책.
  6. 삭제
  7. 삭제
  8.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돌부는 원형 또는, 원형보다 마찰면적을 증대한 타원형으로 제공되는 낙석방지책.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돌부는 마찰 저항을 높이기 위한 널링부를 포함하는 낙석방지책.
  10. 삭제
KR1020170138380A 2017-10-24 2017-10-24 낙석방지책 KR1020862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8380A KR102086203B1 (ko) 2017-10-24 2017-10-24 낙석방지책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8380A KR102086203B1 (ko) 2017-10-24 2017-10-24 낙석방지책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5600A KR20190045600A (ko) 2019-05-03
KR102086203B1 true KR102086203B1 (ko) 2020-03-06

Family

ID=66582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8380A KR102086203B1 (ko) 2017-10-24 2017-10-24 낙석방지책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62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7547B1 (ko) 2022-06-28 2023-03-10 주식회사 동아특수건설 낙하물 충격 흡수용 방지책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0751B1 (ko) * 2008-05-09 2008-11-26 (주)엠케이 낙석방지책의 와이어로프 고정구조
KR200456677Y1 (ko) * 2011-05-18 2011-11-10 이인자 충격 완화를 위한 암파쇄 방호벽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97096A5 (de) * 2004-06-08 2008-04-30 Fatzer Ag Schutznetz, insbesondere für einen Steinschlagschutz oder für eine Böschungssicherung.
KR100763497B1 (ko) 2005-11-07 2007-10-04 한국시설안전기술공단 낙석 방지용 울타리 시공방법
KR20090113997A (ko) * 2008-04-29 2009-11-03 (주) 금동강건 낙석방지책 겸용 와이어 가드레일
KR101141365B1 (ko) * 2009-03-20 2012-05-03 최희택 충격 흡수부재가 구비된 낙석 방지책 및 가드 케이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0751B1 (ko) * 2008-05-09 2008-11-26 (주)엠케이 낙석방지책의 와이어로프 고정구조
KR200456677Y1 (ko) * 2011-05-18 2011-11-10 이인자 충격 완화를 위한 암파쇄 방호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7547B1 (ko) 2022-06-28 2023-03-10 주식회사 동아특수건설 낙하물 충격 흡수용 방지책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5600A (ko) 2019-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27743B1 (en) Improvement in energy absorbing guard rail terminal
US20080238142A1 (en) Motor vehicle frame structure and crashbox therefor
EP3124700A1 (en) Energy dissipation device for protection systems
JP2018091096A (ja) 橋梁用制震装置
KR102086203B1 (ko) 낙석방지책
GB2396195A (en) Support for a safety line
US6234437B1 (en) Flexible support
JP3668964B2 (ja) 防護柵
KR101438557B1 (ko) 충격흡수가 용이한 낙석방지책
KR101037013B1 (ko) 와이어로프의 충격흡수용 슬라이드 조립체
KR102149111B1 (ko) 낙석 방지용 완충 장치 및 그 시공 방법
KR100855231B1 (ko) 충격흡수용 가드레일
EP1857594A1 (de) Steher für Leiteinrichtung mit Grundplatte
KR102262043B1 (ko) 낙석방지용 와이어로프 고정장치
KR102585122B1 (ko) 낙석완충장치를 구비한 낙석방지망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649684B1 (ko) 낙석 방지용 탄성 결합구
KR100888196B1 (ko) 충격흡수용 가드레일
JP6345959B2 (ja) 衝撃吸収柵
JP2019027077A (ja) 落石防護柵
JP2005282244A (ja) 防護柵
KR101958722B1 (ko) H-빔을 이용한 방음 터널에서의 빔 결합형 루프 판넬 고정장치
JP2011157715A (ja) 防護柵
KR200405982Y1 (ko) 이중 능형망 구조의 낙석방지책
KR102662125B1 (ko) 낙석방지책용 와이어 간격유지장치
JP2008144475A (ja) 防護柵支柱の地覆部への固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