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6677Y1 - 충격 완화를 위한 암파쇄 방호벽 - Google Patents
충격 완화를 위한 암파쇄 방호벽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56677Y1 KR200456677Y1 KR2020110004303U KR20110004303U KR200456677Y1 KR 200456677 Y1 KR200456677 Y1 KR 200456677Y1 KR 2020110004303 U KR2020110004303 U KR 2020110004303U KR 20110004303 U KR20110004303 U KR 20110004303U KR 200456677 Y1 KR200456677 Y1 KR 20045667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otection panel
- reinforcing plate
- panel
- protection
- support beam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7/00—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 sand drifts, side-wind effects,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Anti-dazzle arrangements ; Sight-screens for roads, e.g. to mask accident site
- E01F7/04—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e.g. avalanche preventing structures, galleries
- E01F7/04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otecting against falling rocks, e.g. galleries, nets, rock trap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56/00—Fences
- Y10S256/01—Compensator, spring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56/00—Fences
- Y10S256/04—Board faste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암파쇄 방호벽에 관한 것으로, 보강 플레이트를 통해 지주빔과 방호 패널의 결합력을 강화함과 동시에 인접한 방호 패널을 서로 연결함으로써, 암석 낙하와 같은 외부 충격이나 하중이 방호벽에 작용하더라도 방호 패널이 지주빔으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안정적인 구조를 유지할 수 있고, 별도의 탄성 패드가 보강 플레이트와 방호 패널 사이와 같은 여러 마찰 부위에 삽입 개재됨으로써, 외부 충격이나 하중 또는 진동을 완화시킬 수 있어 전체적으로 안전한 구조를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손상 방지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별도의 작업 공구 없이도 작업자의 단순 회전 조작을 통해 방호 패널과 보강 플레이트를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립 작업이 용이하며 더욱 신속하게 설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암파쇄 방호벽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충격 완화를 위한 암파쇄 방호벽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보강 플레이트를 통해 지주빔과 방호 패널의 결합력을 강화함과 동시에 인접한 방호 패널을 서로 연결함으로써, 암석 낙하와 같은 외부 충격이나 하중이 방호벽에 작용하더라도 방호 패널이 지주빔으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안정적인 구조를 유지할 수 있고, 별도의 탄성 패드가 보강 플레이트와 방호 패널 사이와 같은 여러 마찰 부위에 삽입 개재됨으로써, 외부 충격이나 하중 또는 진동을 완화시킬 수 있어 전체적으로 안전한 구조를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손상 방지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별도의 작업 공구 없이도 작업자의 단순 회전 조작을 통해 방호 패널과 보강 플레이트를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립 작업이 용이하며 더욱 신속하게 설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암파쇄 방호벽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산이 70% 이상을 차지하는 지역이라 대부분 산을 절개하여 도로를 개설하게 되고, 산을 절개하여 도로를 개설하는 경우, 도로가 시공되는 주변에 비탈면을 형성하여 녹화 구조를 구성하게 된다.
이러한 비탈면의 녹화 구조는 주변 환경과 친화적인 구조를 제공함은 물론, 유사시 폭우에 의하여 비탈면이 붕괴되어 도로를 점유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인데, 이러한 비탈면은 산을 절개하여 형성되었기 때문에, 많은 암석이 비탈면 표층 내부에 위치하고 있어 이후 도로 확장 공시시에 주변의 암석 등으로 인해 작업에 어려움이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암파쇄 방호벽은 도로를 확장할 경우 암절취 작업으로 낙하하는 암석과 토사로부터 통행 차량을 보호하기 위하여 절토부에 설치되는 임시구조물이다.
이러한 방호벽은 암파쇄 작업 또는 토사의 제거 작업 시에 암반이나 토사가 흘러 내려와 도로의 경우 도로를 지나는 차량의 피해를 막고, 하측에서의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암파쇄 방호벽은 통상 H빔들을 일정 간격으로 세우고, 그 H 빔들 사이에 목재 패널을 적층 삽입하는 방식으로 구성되는데, 목재 패널은 자재의 구입 및 시공이 용이한 장점이 있으나, 품질 균일성이 떨어지고, 내구성이 약하여 암반이 낙하하거나 비로 인하여 토사가 갑자기 심하게 흘러내리는 경우에는 일부분이 파손되어 하측에서의 안전을 보장할 수 없는 결점이 있다.
또한, 암파쇄 및 토사의 제거 후에는 H빔을 제거하고 목재 패널을 수거해서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함에도 불구하고, 목재 패널은 반복 사용이 어려워 건축 폐기물로 처리해야 하고, 이에 따라 환경 문제를 야기시키며 폐기물 처리 비용이 추가로 요구된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목재 패널 대신 철강재로 제작된 방호 패널이 적용되기도 하는데, 이 경우에도 H빔과 방호 패널의 결합력이 약하여 암석 낙하에 의한 외부 충격이나 하중에 의해 방호 패널이 H빔으로부터 이탈하여 암석이나 토사가 도로로 흘러내림으로써 대형 사고를 유발하는 문제가 되고 있다.
본 고안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보강 플레이트를 통해 지주빔과 방호 패널의 결합력을 강화함과 동시에 인접한 방호 패널을 서로 연결함으로써, 암석 낙하와 같은 외부 충격이나 하중이 방호벽에 작용하더라도 방호 패널이 지주빔으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안정적인 구조를 유지할 수 있는 암파쇄 방호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별도의 탄성 패드가 보강 플레이트와 방호 패널 사이와 같은 여러 마찰 부위에 삽입 개재됨으로써, 외부 충격이나 하중 또는 진동을 완화시킬 수 있어 전체적으로 안전한 구조를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손상 방지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암파쇄 방호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별도의 작업 공구 없이도 작업자의 단순 회전 조작을 통해 방호 패널과 보강 플레이트를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립 작업이 용이하며 더욱 신속하게 설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암파쇄 방호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지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매립 설치되는 다수개의 지주빔; 상호 인접하는 상기 지주빔 사이에 배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적층 설치되는 다수개의 방호 패널; 및 상기 방호 패널과 상기 지주빔이 상호 압착 결합되도록 상기 지주빔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위치한 상기 방호 패널에 양측단부가 각각 결합되는 보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파쇄 방호벽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지주빔은 H빔으로 적용되고, 상기 방호 패널은 상기 지주빔의 플랜지부 내측면에 압착되고, 상기 보강 플레이트는 중심부가 상기 지주빔의 플랜지부 외측면에 압착되며, 상기 방호 패널과 상기 보강 플레이트 사이에는 별도의 탄성 패드가 삽입 개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주빔의 플랜지부 내측면과 상기 방호 패널 사이와, 상기 지주빔의 플랜지부 외측면과 상기 보강 플레이트 사이에는 각각 별도의 탄성 패드가 삽입 개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호 패널과 상기 보강 플레이트는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상호 압착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호 패널 및 보강 플레이트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일단부에는 상기 방호 패널의 외측면과 맞물림되도록 걸림 블록이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원형 플랜지가 형성되며, 상기 원형 플랜지의 외주면에는 일측에 경사면이 형성되는 고정 블록이 형성되는 작동 로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 플레이트의 외측면에는 상기 원형 플랜지가 삽입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의 내주면에는 상기 원형 플랜지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고정 블록이 경사면을 따라 상기 보강 플레이트의 두께 방향으로 이동하며 맞물림되도록 경사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방호 패널 및 보강 플레이트는 상기 작동 로드의 회전 조작에 따라 상기 고정 블록과 경사 돌출부가 맞물림됨으로써 상호 압착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호 패널은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는 다수개가 결합되어 하나의 방호 패널 모듈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보강 플레이트는 상기 방호 패널 모듈의 최상단 및 최하단에 위치한 방호 패널에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호 인접하는 상기 지주빔 사이에는 상하 방향으로 상호 인접하는 상기 방호 패널 모듈을 동시에 보강 지지할 수 있도록 별도의 보강빔이 경사진 방향으로 장착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보강 플레이트를 통해 지주빔과 방호 패널의 결합력을 강화함과 동시에 인접한 방호 패널을 서로 연결함으로써, 암석 낙하와 같은 외부 충격이나 하중이 방호벽에 작용하더라도 방호 패널이 지주빔으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안정적인 구조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별도의 탄성 패드가 보강 플레이트와 방호 패널 사이와 같은 여러 마찰 부위에 삽입 개재됨으로써, 외부 충격이나 하중 또는 진동을 완화시킬 수 있어 전체적으로 안전한 구조를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손상 방지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별도의 작업 공구 없이도 작업자의 단순 회전 조작을 통해 방호 패널과 보강 플레이트를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립 작업이 용이하며 더욱 신속하게 설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파쇄 방호벽의 설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파쇄 방호벽의 보강 플레이트에 대한 결합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파쇄 방호벽의 보강 플레이트에 대한 결합 구조의 또 다른 태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파쇄 방호벽의 작동 로드에 대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파쇄 방호벽의 작동 로드에 대한 동작 원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파쇄 방호벽의 작동 로드에 대한 동작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암파쇄 방호벽의 설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파쇄 방호벽의 보강 플레이트에 대한 결합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파쇄 방호벽의 보강 플레이트에 대한 결합 구조의 또 다른 태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파쇄 방호벽의 작동 로드에 대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파쇄 방호벽의 작동 로드에 대한 동작 원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파쇄 방호벽의 작동 로드에 대한 동작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암파쇄 방호벽의 설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파쇄 방호벽의 설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파쇄 방호벽의 보강 플레이트에 대한 결합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파쇄 방호벽의 보강 플레이트에 대한 결합 구조의 또 다른 태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파쇄 방호벽은 지면(E)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매립 설치되는 다수개의 지주빔(100)과, 상호 인접하는 지주빔(100)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적층 설치되는 다수개의 방호 패널(200)과, 방호 패널(200)과 지주빔(100)의 결합력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보강 플레이트(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주빔(100)은 도로를 따라 도로의 가장자리에 일정 간격마다 설치되며, 일반적인 형태로서 H빔이 사용된다. 방호 패널(200)은 이러한 지주빔(100) 사이사이에 배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적층 설치되는데, 암석에 대한 방호 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는 정도의 강성을 갖도록 철강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호 패널(200)은 단순 평판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이와 달리 "ㄷ"자 형강으로 적용될 수도 있는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도 7 참조).
보강 플레이트(300)는 평판형의 단순 플레이트로서 양측단부가 각각 지주빔(100)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위치한 방호 패널(200)과 결합되는데, 방호 패널(200)이 별도로 지주빔(100)과 결합되지 않고 단순히 보강 플레이트(300)와 결합하더라도, 방호 패널(200)과 지주빔(100)이 상호 압착되며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보강 플레이트(300)는 방호 패널(200)과 지주빔(100)의 결합력을 강화함과 동시에 방호 패널(200)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충분한 강성을 갖도록 방호 패널(200)과 마찬가지로 철강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빔(100)은 H빔으로 적용되어 2개의 플랜지부(110)와 2개의 플랜지부(110)를 연결하는 웹부(120)를 갖는 형태로 형성되며, 방호 패널(200)은 양단부가 이러한 지주빔(100)의 플랜지부(110) 내측면에 접촉 압착하는 형태로 상호 인접하는 지주빔(100) 사이에 배치된다. 보강 플레이트(300)는 중심부가 지주빔(100)의 플랜지부(110) 외측면에 접촉 압착되며, 양측단부가 지주빔(100)의 양측에 위치하는 방호 패널(200)과 각각 결합된다.
따라서, 지주빔(100)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위치하는 방호 패널(200)은 보강 플레이트(300)를 통해 서로 연결되며, 또한 각 방호 패널(200)은 지주빔(100)의 플랜지부(110)를 사이에 두고 플랜지부(110)의 양측면에 접촉하며 결합되기 때문에, 방호 패널(200)과 보강 플레이트(300)가 서로 결합함에 따라 방호 패널(200)과 지주빔(100)은 서로 압착하며 결합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보강 플레이트(300)를 통해 지주빔(100)과 방호 패널(200)의 결합력이 강화됨으로써, 암석 낙하와 같은 외부 충격이나 하중이 방호벽에 작용하더라도 방호 패널(200)이 지주빔(100)으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안정적인 구조를 유지하게 되므로, 도로 확장 공사 작업을 더욱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보강 플레이트(300)를 통해 지주빔(100)을 기준으로 양측에 위치한 방호 패널(200)이 서로 연결되기 때문에, 어느 한 지점의 방호 패널(200)에 외부 충격이나 하중이 작용하더라도 이러한 충격 및 하중이 서로 연결된 전체 방호 패널(200)로 전달되어 분산되므로 더욱 안정적으로 외부 충격이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아울러, 지주빔(100)과 방호 패널(200)을 별도의 체결구를 통해 연결 결합하지 않더라도 방호 패널(200)과 보강 플레이트(300)의 결합을 통해 지주빔(100)과 방호 패널(200)을 서로 압착된 상태로 공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고가인 지주빔(100)에 방호 패널(200)과의 체결을 위한 별도의 체결홀을 가공할 필요가 없어 지주빔(100)의 손상을 방지하고, 이에 따라 지주빔(100)의 재활용이 가능하며, 체결홀을 가공하지 않음으로써 제작 공정이 더욱 단순해져 전체적으로 방호벽 시공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호 패널(200)과 보강 플레이트(300) 사이에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탄성 재질의 탄성 패드(500)가 삽입 개재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이나 하중 또는 진동 등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빔(100)의 플랜지부(110) 내측면과 방호 패널(200) 사이에도 탄성 패드(500)가 삽입 개재될 수 있으며, 아울러 지주빔(100)의 플랜지부(110) 외측면과 보강 플레이트(300) 사이에도 탄성 패드(500)가 삽입 개재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 패드(500)에 의해 방호 패널(200)과 지주빔(100)과의 압착력이 더욱 강화되고, 철강재 간의 상호 마찰 및 진동이 방지되어 제품 손상이 방지되며, 외부 충격이나 하중 또는 진동 등이 완화된다. 즉, 암파쇄 방호벽 주변 도로에는 차량이 통행할 뿐만 아니라 암파쇄 공정 등 도로 확장을 위한 여러가지 작업 공정이 이루어지므로, 각종 충격이나 진동이 방호벽에 전달되며, 특히 암석의 낙하로 인한 충격 및 하중이 방호벽에 크게 전달되는데,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 패드(500)가 각 마찰 부위에 삽입 개재됨으로서, 이러한 충격이나 하중 또는 진동을 완화되어 전체적으로 방호벽의 구조가 안전하게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방호 패널(200)과 보강 플레이트(300)는 지주빔(100)의 플랜지부(110)를 압착하도록 결합되기 때문에,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호 패널(200)과 보강 플레이트(300)를 관통하는 별도의 볼트(P1) 및 너트(P2)를 통해 상호 압착되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체결 수단은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작동 로드를 통해서도 가능할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파쇄 방호벽의 작동 로드에 대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파쇄 방호벽의 작동 로드에 대한 동작 원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파쇄 방호벽의 작동 로드에 대한 동작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작동 로드(600)는 별도의 작업 공구 없이도 방호 패널(200)과 보강 플레이트(300)를 결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로서,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호 패널(200)과 보강 플레이트(300)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일단부에는 방호 패널(200)의 외측면과 맞물림되도록 걸림 블록(620)이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원형 플랜지(610)가 형성된다. 원형 플랜지(610)의 외주면에는 일측에 경사면(T)이 형성되는 고정 블록(630)이 형성되며, 원형 플랜지(610)의 외측 평면에는 외부로 돌출되는 별도의 손잡이봉(64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의 회전 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작동 로드(600)에 대응하여 보강 플레이트(300)의 외측면에는 원형 플랜지(610)가 삽입 수용되는 수용홈(310)이 형성되고, 수용홈(310)의 내주면에는 일측에 경사면(T)이 형성되는 경사 돌출부(312)가 고정 블록(630)과 맞물림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물론, 수용홈(310)의 중심부에는 작동 로드(600)가 관통할 수 있도록 관통홀(311)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작동 로드(600) 및 원형 플랜지(610)가 회전하면, 도 5의 (a)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플랜지(610)에 형성된 고정 블록(630)의 경사면(T)이 수용홈(310)에 형성된 경사 돌출부(312)의 경사면(T)을 따라 이동하며 고정 블록(630)과 경사 돌출부(312)가 맞물림된다. 이 과정에서 작동 로드(600)는 보강 플레이트(300)의 두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도 6의 (a) 상태에서 (b) 상태로 작동 로드(600)가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작동 로드(600)의 걸림 블록(620)이 방호 패널(200)을 압착하며 보강 플레이트(300)와 방호 패널(200)이 상호 압착 결합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파쇄 방호벽은 별도의 작업 공구 없이도 작업자가 단순히 손잡이봉(640)을 회전 조작함으로써, 방호 패널(200)과 보강 플레이트(300)를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어, 조립 작업이 용이하며 더욱 신속하게 방호벽 설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암파쇄 방호벽의 설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암파쇄 방호벽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는 다수개의 방호 패널(200)이 서로 결합되어 하나의 방호 패널 모듈(20)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방호 패널 모듈(20)을 이루는 방호 패널(200)은 가용접 상태로 접합될 수도 있고, 별도의 체결구를 이용하여 결합될 수도 있으며, 끼워맞춤 구조 등을 통해 맞물림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호 패널(200)이 "ㄷ"자 형강으로 적용되고, 방호 패널(200)의 양단에서 각각 볼트(P1)와 너트(P2)를 이용하여 상하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수개의 방호 패널(200)이 서로 결합되어 하나의 방호 패널 모듈(20)을 이루게 되면, 방호 패널(200)을 방호 패널 모듈(20) 단위로 지주빔(100) 사이에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신속하고 용이하게 설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보강 플레이트(300)는 각 방호 패널 모듈(20)의 최상단 및 최하단에 위치한 방호 패널(200)에만 결합되도록 장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적층된 5개의 방호 패널(200)이 하나의 방호 패널 모듈(20)을 이룰 수 있으며, 이때, 가장 하층에 위치한 첫번째 방호 패널(200)과 가장 상부에 위치한 다섯번째 방호 패널(200)에만 보강 플레이트(300)가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는 하나의 방호 패널 모듈(20)이 일체로 결합된 형태로 구성되기 때문에, 그 구조상 각각의 방호 패널(200)에 모두 보강 플레이트(300)를 결합하지 않더라도 하나의 방호 패널 모듈(20)로서 충분한 구조적인 안정성을 나타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 방호 패널 모듈(20) 단위로 설치 작업을 하게 되면, 방호 패널(200)을 적층하는 작업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강 플레이트(300)의 체결 개소 또한 감소하므로 더욱 신속하게 설치 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방호 패널 모듈(20) 단위로 설치 작업을 수행한 경우,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방호 패널 모듈(20)을 동시에 보강 지지할 수 있도록 별도의 보강빔(400)이 서로 인접하는 지주빔(100) 사이에 경사진 방향으로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보강빔(400)에 의해 상하 인접한 방호 패널 모듈(20)이 동시에 보강 지지되기 때문에, 어느 하나의 방호 패널 모듈(20)에 충격이나 하중이 집중되더라도 이는 보강빔(400)을 통해 인접한 다른 방호 패널 모듈(20)로 전달되어 분산되므로 더욱 안정적인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이때, 보강빔(400)은 방호 패널 모듈(20)의 도로측 방향에 위치하도록 장착될 수도 있고, 이와 달리 방호 패널 모듈(20)의 암파쇄 절개면 방향에 위치하도록 장착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지주빔 110: 플랜지부
200: 방호 패널 300: 보강 플레이트
400: 보강빔 500: 탄성 패드
600: 작동 로드 610: 원형 플랜지
630: 고정 블록
200: 방호 패널 300: 보강 플레이트
400: 보강빔 500: 탄성 패드
600: 작동 로드 610: 원형 플랜지
630: 고정 블록
Claims (7)
- 지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매립 설치되는 다수개의 지주빔;
상호 인접하는 상기 지주빔 사이에 배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적층 설치되는 다수개의 방호 패널; 및
상기 방호 패널과 상기 지주빔이 상호 압착 결합되도록 상기 지주빔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위치한 상기 방호 패널에 양측단부가 각각 결합되는 보강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지주빔은 H빔으로 적용되고, 상기 방호 패널은 상기 지주빔의 플랜지부 내측면에 압착되고, 상기 보강 플레이트는 중심부가 상기 지주빔의 플랜지부 외측면에 압착되며, 상기 방호 패널과 상기 보강 플레이트 사이에는 별도의 탄성 패드가 삽입 개재되며, 상기 지주빔의 플랜지부 내측면과 상기 방호 패널 사이와, 상기 지주빔의 플랜지부 외측면과 상기 보강 플레이트 사이에는 각각 별도의 탄성 패드가 삽입 개재되고,
상기 방호 패널 및 보강 플레이트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일단부에는 상기 방호 패널의 외측면과 맞물림되도록 걸림 블록이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원형 플랜지가 형성되며, 상기 원형 플랜지의 외주면에는 일측에 경사면이 형성되는 고정 블록이 형성되는 작동 로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 플레이트의 외측면에는 상기 원형 플랜지가 삽입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의 내주면에는 상기 원형 플랜지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고정 블록이 경사면을 따라 상기 보강 플레이트의 두께 방향으로 이동하며 맞물림되도록 경사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방호 패널 및 보강 플레이트는 상기 작동 로드의 회전 조작에 따라 상기 고정 블록과 경사 돌출부가 맞물림됨으로써 상호 압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파쇄 방호벽.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호 패널과 상기 보강 플레이트는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상호 압착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파쇄 방호벽.
- 삭제
-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방호 패널은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는 다수개가 결합되어 하나의 방호 패널 모듈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보강 플레이트는 상기 방호 패널 모듈의 최상단 및 최하단에 위치한 방호 패널에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파쇄 방호벽.
- 제 6 항에 있어서,
상호 인접하는 상기 지주빔 사이에는 상하 방향으로 상호 인접하는 상기 방호 패널 모듈을 동시에 보강 지지할 수 있도록 별도의 보강빔이 경사진 방향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파쇄 방호벽.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10004303U KR200456677Y1 (ko) | 2011-05-18 | 2011-05-18 | 충격 완화를 위한 암파쇄 방호벽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10004303U KR200456677Y1 (ko) | 2011-05-18 | 2011-05-18 | 충격 완화를 위한 암파쇄 방호벽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56677Y1 true KR200456677Y1 (ko) | 2011-11-10 |
Family
ID=53676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10004303U KR200456677Y1 (ko) | 2011-05-18 | 2011-05-18 | 충격 완화를 위한 암파쇄 방호벽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56677Y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18955B1 (ko) | 2014-04-15 | 2014-07-21 | 주식회사 신웅 | 암파쇄 방호시설용 충격흡수형 클립 |
KR101558933B1 (ko) * | 2013-11-11 | 2015-10-12 |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 플랜트모듈의 이음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플랜트구조물 |
KR101778060B1 (ko) * | 2017-02-08 | 2017-09-13 | 박광춘 | 외장판넬 지지파이프 연결브라켓트 |
KR20190045600A (ko) * | 2017-10-24 | 2019-05-03 | 주식회사 포스코 | 낙석방지책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75692B1 (ko) * | 2002-09-14 | 2005-03-10 | 주식회사 지엔에프 | 방음판 고정용 록킹장치 |
-
2011
- 2011-05-18 KR KR2020110004303U patent/KR200456677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75692B1 (ko) * | 2002-09-14 | 2005-03-10 | 주식회사 지엔에프 | 방음판 고정용 록킹장치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58933B1 (ko) * | 2013-11-11 | 2015-10-12 |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 플랜트모듈의 이음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플랜트구조물 |
KR101418955B1 (ko) | 2014-04-15 | 2014-07-21 | 주식회사 신웅 | 암파쇄 방호시설용 충격흡수형 클립 |
KR101778060B1 (ko) * | 2017-02-08 | 2017-09-13 | 박광춘 | 외장판넬 지지파이프 연결브라켓트 |
KR20190045600A (ko) * | 2017-10-24 | 2019-05-03 | 주식회사 포스코 | 낙석방지책 |
KR102086203B1 (ko) * | 2017-10-24 | 2020-03-06 | 주식회사 포스코 | 낙석방지책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56677Y1 (ko) | 충격 완화를 위한 암파쇄 방호벽 | |
KR102081865B1 (ko) | 충격 흡수용 가변 지주부를 구비하는 터널형 낙석 방호시설 | |
KR101626257B1 (ko) | 다이크 설치용 지주 보강구조 | |
KR101198826B1 (ko) | 충격흡수 보강 방호울타리 | |
KR101648183B1 (ko) | 보조 지주를 갖는 가드레일 구조물 및 그 설치방법 | |
JP5835371B2 (ja) | 剛性防護柵の補強構造 | |
KR102503112B1 (ko) | 암파쇄 방호시설 | |
JP5118930B2 (ja) | 落石防護壁 | |
JP4310812B1 (ja) | 防護柵の補強方法 | |
KR101995451B1 (ko) | 지진응답 감쇠기능을 갖는 자재 및 이를 이용한 건물의 기초 구조물 | |
KR101253579B1 (ko) | 가드레일 지주 보강 구조체 | |
KR100926726B1 (ko) | 충격흡수가 용이한 토류판 | |
KR20110070424A (ko) | 긴장장치를 구비하는 철골지붕시스템 | |
KR102636632B1 (ko) | 조립식 펜스 어셈블리 | |
KR20150031868A (ko) | 파단 기능의 지주를 갖는 가드레일의 충격흡수장치 | |
KR200271972Y1 (ko) | 합성 골판틀을 이용한 도로의 낙석 방지시설 | |
KR200307184Y1 (ko) | 암파쇄 방호장치 | |
KR200281806Y1 (ko) | 충격흡수 및 높이조절이 가능한 도로 가드레일 | |
KR200304428Y1 (ko) | 암파쇄 방호장치 | |
JP2017150268A (ja) | シェッド | |
KR100488624B1 (ko) | 소음/충격 완화 및 볼트/너트 풀림방지 수단을 구비한신축 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 |
KR100526112B1 (ko) | 도로용 가이드레일을 이용한 토류방지벽 | |
KR200309029Y1 (ko) | 암파쇄 방호장치 | |
KR101022246B1 (ko) | 충격 흡수를 위한 완충 구조를 구비한 도로용 가드레일 | |
KR20200041097A (ko) | 충격 흡수 분산식 암파쇄 방호벽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829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