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4049B1 - 풍량 배분구조를 갖는 디프로스터 - Google Patents

풍량 배분구조를 갖는 디프로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4049B1
KR102084049B1 KR1020200000965A KR20200000965A KR102084049B1 KR 102084049 B1 KR102084049 B1 KR 102084049B1 KR 1020200000965 A KR1020200000965 A KR 1020200000965A KR 20200000965 A KR20200000965 A KR 20200000965A KR 102084049 B1 KR102084049 B1 KR 1020840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ose
inlet hole
conditioning system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0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섭
이동기
곽성복
이재용
Original Assignee
덕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덕양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덕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00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40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4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40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54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using gas, e.g. hot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60H1/00564Details of ducts or cables of air 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2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HVAC devices with respect 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B60H2001/00214Devices in front of the passenger compar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풍량 배분구조를 갖는 디프로스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풍량 배분구조를 갖는 디프로스터는, 차량 공조시스템의 공기를 글라스로 안내하는 사이드호스부; 공조시스템의 공기를 크래시패드의 사이드송풍구로 안내하는 측면커넥션부; 및 공조시스템의 공기를 크래시패드의 중앙송풍구로 안내하는 통로를 형성하고, 공조시스템의 공기를 통로, 사이드호스부 및 측면커넥션부로 분배하는 중앙커넥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 공조시스템의 공기를 실내 및 글라스로 분배하는 부품 개수를 최소화하여 부품 단가를 절감하면서도, 조립 공정의 단순화를 실현하여 조립 불량률을 감소시키고, 발포 사출 기법 적용에 의한 제품 경량화를 통해 연비 향상을 달성하도록 이루어지는 풍량 배분구조를 갖는 디프로스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풍량 배분구조를 갖는 디프로스터{DEFROSTER HAVING AIR FLOW DISTRIBUTION STRUCTURE}
본 발명은 풍량 배분구조를 갖는 디프로스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공조시스템의 공기를 실내 및 글라스로 분배하는 부품 개수를 최소화하여 부품 단가를 절감하면서도, 조립 공정의 단순화를 실현하여 조립 불량률을 감소시키고, 발포 사출 기법 적용에 의한 제품 경량화를 통해 연비 향상을 달성하도록 이루어지는 풍량 배분구조를 갖는 디프로스터에 관한 것이다.
디프로스터(defroster)는 좁은 의미에서는 운전석 전면 유리창에 부착하여 서리나 빙설 등으로 시야가 흐리지 않게 이를 제거하는 장치만을 말하지만, 넓은 의미에서는 서리나 빙설을 제거하는 장치와 함께 냉난방 조절을 위한 공기통로까지 포함하는 차량 공조시스템의 풍동(wind tunnel)을 위한 장치 전체를 가리킨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521591호에는 디프로스터 및 크래시패드 조립체가 개시되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521591호는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등록된 발명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521591호는 차량의 윈드쉴드 상에 성에가 끼는 것을 방지하는데 사용되는 디프로스터에 있어서, 원드쉴드 중앙 쪽을 향하여 개구된 중앙개구부가 구비되는 중앙덕트; 차량의 측면 쪽을 향하여 중앙덕트에서 분기되는 분할덕트; 및 분할덕트에서 분기되고, 윈드쉴드 하단을 향하여 개구된 제상개구부가 구비되는 제상덕트를 포함하고, 중앙개구부와 제상개구부는 서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등록특허공보 제1521591호는, 제상개구부가 구비되는 제상덕트가 분할덕트에서 분기되도록 하고 중앙개구부와 제상개구부가 서로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크래시패드의 측면 상측 공간을 확보하여 디프로스터 이외의 수단이 크래시패드 상부면에 형성될 수 있도록 하면서 윈드쉴드 측면 하단에 발생하는 성에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521591호에서 중앙덕트와 분할덕트는 각각 제조되어 결합된다. 그리고 등록특허공보 제1521591호에는 미설명되었으나 중앙덕트와 분할덕트는 공조시스템의 공기를 실내로 분배하는 냉난방덕트와 결합된다. 냉난방덕트의 공기는 크래시패드에 형성된 송풍구를 통해 실내로 유입된다.(도 3 참조) 일반적으로, 냉난방덕트는 중앙송풍구에 연결되는 중앙덕트 1개와 양쪽 측면송풍구에 연결되는 측면덕트 2개가 개별적으로 제조되어 조립된다.
그러나 등록특허공보 제1521591호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중앙덕트, 분할덕트, 중앙덕트 및 측면덕트를 별개의 부품으로 제조한 후 스크류, 패스너 등 다수의 체결부재를 사용하여 크래시패드에 체결함에 따라, 다수의 부품 개수에 비례하여 제조공정 및 조립공장이 복잡하고, 생산인력 및 생산시간을 쉽게 단축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중앙덕트 및 측면덕트는 블로우성형(blow molding)에 의해 제조되고 있어 발포 사출 기법 적용에 의한 추가 경량화를 적용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521591호 (등록일: 2015.05.13)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공조시스템의 공기를 실내 및 글라스로 분배하는 부품 개수를 최소화하여 부품 단가를 절감하면서도, 조립 공정의 단순화를 실현하여 조립 불량률을 감소시키고, 발포 사출 기법 적용에 의한 제품 경량화를 통해 연비 향상을 달성하도록 이루어지는 풍량 배분구조를 갖는 디프로스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차량 공조시스템의 공기를 글라스로 안내하는 사이드호스부; 상기 공조시스템의 공기를 크래시패드의 사이드송풍구로 안내하는 측면커넥션부; 및 상기 공조시스템의 공기를 상기 크래시패드의 중앙송풍구로 안내하는 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공조시스템의 공기를 상기 통로, 상기 사이드호스부 및 상기 측면커넥션부로 분배하는 중앙커넥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량 배분구조를 갖는 디프로스터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중앙커넥션부는, 상기 사이드호스부 및 상기 측면커넥션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공조시스템의 공기가 유입되는 복수의 유입홀이 형성된 베이스; 및 상기 유입홀을 상기 통로, 상기 사이드호스부 및 상기 측면커넥션부와 일대일 연결하는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유입홀은 호스유입홀, 제1 커넥션유입홀 및 제2 커넥션유입홀을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호스부는, 상기 호스유입홀에서 유입된 공기를 윈드스크린으로 안내하는 전면호스부; 및 상기 전면호스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호스유입홀에서 유입된 공기를 프론트도어의 윈도우로 안내하는 측면호스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상기 베이스와 함께 상기 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커넥션유입홀과 연결된 중앙부; 상기 제2 커넥션유입홀을 상기 측면커넥션부와 연결하는 측면부; 상기 호스유입홀을 상기 사이드호스부와 연결하는 호스부; 및 상기 호스유입홀에서 유입된 공기를 상기 윈드스크린과 상기 윈도우로 분배하는 분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사이드호스부 및 상기 측면커넥션부는 각각 상부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의 상면이 상기 크래시패드의 저면과 진동융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중앙커넥션부가 공조시스템의 공기를 크래시패드의 중앙송풍구로 안내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한편, 공조시스템의 공기를 통로, 사이드호스부 및 측면커넥션부로 분배함으로써, 차량 공조시스템의 공기를 실내 및 글라스로 분배하는 부품 개수를 최소화하여 부품 단가를 절감하면서도, 조립 공정의 단순화를 실현하여 조립 불량률을 감소시키고, 발포 사출 기법 적용에 의한 제품 경량화를 통해 연비 향상을 달성하도록 이루어지는 풍량 배분구조를 갖는 디프로스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량 배분구조를 갖는 디프로스터와 대시보드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풍량 배분구조를 갖는 디프로스터의 분해사시도.
도 3의 도 1의 풍량 배분구조를 갖는 디프로스터를 저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는 도 1의 풍량 배분구조를 갖는 디프로스터의 평면도.
도 5는 도 4의 B-B 단면도.
도 6은 도 4의 A-A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풍량 배분구조를 갖는 디프로스터는, 차량 공조시스템의 공기를 실내 및 글라스로 분배하는 부품 개수를 최소화하여 부품 단가를 절감하면서도, 조립 공정의 단순화를 실현하여 조립 불량률을 감소시키고, 발포 사출 기법 적용에 의한 제품 경량화를 통해 연비 향상을 달성하도록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량 배분구조를 갖는 디프로스터와 대시보드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풍량 배분구조를 갖는 디프로스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의 도 1의 풍량 배분구조를 갖는 디프로스터를 저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풍량 배분구조를 갖는 디프로스터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B-B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A-A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량 배분구조를 갖는 디프로스터(10)는, 차량 공조시스템의 공기를 실내 및 글라스로 분배하는 부품 개수를 최소화하여 부품 단가를 절감하면서도, 조립 공정의 단순화를 실현하여 조립 불량률을 감소시키고, 발포 사출 기법 적용에 의한 제품 경량화를 통해 연비 향상을 달성하도록 이루어지며, 사이드호스부(100), 측면커넥션부(200) 및 중앙커넥션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을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풍량 배분구조를 갖는 디프로스터(10)가 장착되는 차량을 기준으로 전후좌우 방향을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크래시패드(1)의 방향을 참조하면 전후좌우 방향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래시패드(1)에는 한 쌍의 중앙송풍구(1a), 한 쌍의 사이드송풍구(1b), 상부홀(1c) 및 한 쌍의 측부홀(1d)이 형성된다.
중앙송풍구(1a)는 센터페시아(center fascia) 양쪽에서 실내로 공기를 배출하는 송풍구를 의미한다. 사이드송풍구(1b)는 크래시패드(1)의 좌우 양쪽에서 실내로 공기를 배출하는 송풍구를 의미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홀(1c)은 공기를 윈드스크린 쪽으로 배출하는 홀로서, 윈드스크린 아래쪽에 구비된다. 측부홀(1d)은 크래시패드(1)의 좌우 양쪽에서 프론트도어의 윈도우로 공기를 배출하는 홀을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커넥션부(300)는 공조시스템의 공기를 통로(301), 사이드호스부(100) 및 측면커넥션부(200)로 분배하는 구성으로서, 베이스(310) 및 커버(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베이스(310)는 공조시스템의 공기가 유입되는 복수의 유입홀이 형성된 구성으로서, 사이드호스부(100) 및 측면커넥션부(200)와 일체로 형성된다. 베이스(310)는 사이드호스부(100) 및 측면커넥션부(200)와 일체로 발포 사출성형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홀은 제1 커넥션유입홀(H1), 제2 커넥션유입홀(H2) 및 호스유입홀(H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호스유입홀(H3)은 베이스(310)의 앞쪽에 좌우로 긴 형태로 형성된다. 호스유입홀(H3)의 앞쪽에는 전면호스부(110)가 구비되고, 호스유입홀(H3)의 좌우 양쪽에는 측면호스부(120)가 구비된다.
제1 커넥션유입홀(H1)은 호스유입홀(H3)의 뒤쪽에 2개 형성된다. 한 쌍의 제1 커넥션유입홀(H1)은 서로 좌우 방향으로 이격된다. 한 쌍의 제1 커넥션유입홀(H1) 사이에는 격벽(311)이 형성된다. 격벽(311)은 한 쌍의 제1 커넥션유입홀(H1) 간 공기이동을 차단하는 부분으로, 격벽(311)의 상단부는 중앙부(321)의 하단부와 밀착된다.(도 5 참조)
제2 커넥션유입홀(H2)은 제1 커넥션유입홀(H1)의 좌우 양쪽에 각각 형성된다. 제1 커넥션유입홀(H1)과 제2 커넥션유입홀(H2) 사이에는 곡면부(312)가 형성된다. 곡면부(312)는 제2 커넥션유입홀(H2)과 제1 커넥션유입홀(H1) 간 공기이동을 차단하는 부분으로, 곡면부(312)의 상단부는 측면부(322)의 하단부와 밀착된다.(도 5 참조)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320)는 (베이스(310)와 결합되어) 유입홀을 통로(301), 사이드호스부(100) 및 측면커넥션부(200)와 일대일 연결하는 구성으로서, 중앙부(321), 측면부(322), 호스부(323) 및 분배부(3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321)는 베이스(310)와 함께 통로(301)를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한 쌍으로 구비되어 격벽(311)을 사이에 두고 베이스(310)와 함께 한 쌍의 통로(301)를 형성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커넥션유입홀(H2)과 제1 커넥션유입홀(H1) 간 공기이동은 곡면부(312)에 의해 차단된다.
크래시패드(1)에는 센터페시아(center fascia) 양쪽에서 실내로 공기를 배출하는 한 쌍의 중앙송풍구(1a)가 형성되고, 통로(301)의 후단부에는 중앙송풍구(1a)와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중앙홀(302)이 형성된다.
제1 커넥션유입홀(H1)로 유입된 공조시스템의 공기는 통로(301)에 의해 크래시패드(1)의 중앙송풍구(1a)로 안내된다. 즉, 제1 커넥션유입홀(H1)로 유입된 공기는 통로(301), 중앙홀(302)을 지나 중앙송풍구(1a)를 통과하여 실내로 배출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중앙홀(302)에는 중앙송풍구(1a)로 연결되는 노즐이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도 2,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부(322)는 제2 커넥션유입홀(H2)을 측면커넥션부(200)와 연결하는 구성으로서, 한 쌍으로 구비되어 중앙부(321)의 좌우 양쪽에서 곡면부(312)의 상단부에 밀착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커넥션유입홀(H2)로 유입된 공기는 곡면부(312)와 측면부(322)에 의해 안내되어 측면커넥션부(200) 쪽으로 유입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커넥션부(200)는 공조시스템의 공기를 크래시패드(1)의 사이드송풍구(1b)로 안내하는 구성으로서, 중앙커넥션부(300)에서 좌우 양쪽으로 연장된 형태를 형성한다. 측면커넥션부(200)의 끝단에는 사이드송풍구(1b)와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측면홀(201)이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스부(323)는 호스유입홀(H3)을 사이드호스부(100)와 연결하는 구성으로서, 전면호스부(110)의 뒤쪽에서 양쪽 측면호스부(120)의 개구부를 연결하는 벽 형태를 형성한다. 따라서, 호스유입홀(H3)을 통해 사이드호스부(100)로 유입된 공기는 호스부(323)에 의해 가로막혀 중앙부(321) 및 측면부(322) 쪽으로 누출이 차단된다.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배부(324)는 호스유입홀(H3)에서 유입된 공기를 윈드스크린과 윈도우로 분배하는 구성으로서, 호스부(323)의 앞쪽에 형성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배부(324)는 호스유입홀(H3)의 위쪽에 좌우방향으로 긴 형태로 구비된다.
분배부(324)는 전면호스부(110) 및 측면호스부(120)와 사이에 각각 공간을 형성한다. 따라서, 호스유입홀(H3)에서 유입된 공기는 전면호스부(110) 쪽과 측면호스부(120) 쪽으로 분배되어 이동하게 된다.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배부(324)의 저면에는 호스유입홀(H3)에서 유입된 공기를 전면호스부(110)의 좌우방향으로 분배하는 가이드(G)가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4,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호스부(100)는 차량 공조시스템의 공기를 글라스로 안내하는 구성으로서, 전면호스부(110) 및 측면호스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글라스는 운전석 전면의 윈드스크린(wind screen)과 프론트도어(front door)의 윈도우(window)를 포괄하는 단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4,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호스부(110)는 호스유입홀(H3)에서 유입된 공기를 윈드스크린으로 안내하는 구성으로서, 호스유입홀(H3)의 앞쪽에 배치된다. 호스유입홀(H3)로 유입된 공기는 전면호스부(110)의 상단부에서 크래시패드(1)의 상부홀(1c)을 통과하여 윈드스크린 쪽으로 배출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호스부(120)는 호스유입홀(H3)에서 유입된 공기를 양쪽 프론트도어의 윈도우로 안내하는 구성으로서, 전면호스부(110)의 좌우 양쪽에서 각각 연장된 형태를 형성한다.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스유입홀(H3)로 유입된 공기는 (윈드스크린 쪽으로 배출되거나) 측면호스부(120)의 좌우 양쪽 후단부에서 크래시패드(1)의 측부홀(1d)을 통과하여 프론트도어의 윈도우로 배출될 수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521591호에서 중앙덕트와 분할덕트는 각각 제조되어 결합된다. 그리고 등록특허공보 제1521591호에는 미설명되었으나 중앙덕트와 분할덕트는 공조시스템의 공기를 실내로 분배하는 냉난방덕트와 결합된다.
냉난방덕트의 공기는 크래시패드에 형성된 송풍구를 통해 실내로 유입된다.(도 1 참조) 일반적으로, 냉난방덕트는 중앙송풍구에 연결되는 중앙덕트 1개와 양쪽 측면송풍구에 연결되는 측면덕트 2개가 개별적으로 제조되어 조립된다.
그러나 등록특허공보 제1521591호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중앙덕트, 분할덕트, 중앙덕트 및 측면덕트를 별개의 부품으로 제조한 후 스크류, 패스너 등 다수의 체결부재를 사용하여 크래시패드에 체결함에 따라, 다수의 부품 개수에 비례하여 제조공정 및 조립공장이 복잡하고, 생산인력 및 생산시간을 쉽게 단축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중앙덕트 및 측면덕트는 블로우성형(blow molding)에 의해 제조되고 있어 발포 사출 기법 적용에 의한 추가 경량화를 적용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의 풍량 배분구조를 갖는 디프로스터(10)는, 사이드호스부(100) 및 측면커넥션부(200)가 베이스(310)와 일체로 발포 사출성형된 후, 커버(320)가 베이스(3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사이드호스부(100) 및 측면커넥션부(200)의 상부가 크래시패드(1)와 진동융착되며, 이에 따라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게 된다.
진동융착이란, 결합이 이루어질 2개의 플라스틱 모재에 압력을 가한 상태에서 좌우방향의 진동을 가함에 따라 발생되는 접촉면에서의 순간적인 마찰열로 접촉면을 용융시켜 플라스틱 모재 간의 견고한 결합을 이루는 기술을 말한다. 진동융착은 진동융착기(VIBRATION WELDER)를 통해 수행되는데, 이는 이미 상용화된 공지의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원리나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베이스(310), 사이드호스부(100) 및 측면커넥션부(200)가 상형과 하형 사이에서 일체로 사출성형되는 과정에서, 사이드호스부(100) 및 측면커넥션부(200)는 각각 상부에 개구부를 형성한다. 그리고 베이스(310)에 커버(3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사이드호스부(100) 및 측면커넥션부(200)는 개구부를 제외하고는 서로 공기의 이동이 차단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의 상면(A)은 크래시패드(1)의 저면과 진동융착된다. 개구부의 상면(A)이 크래시패드(1)의 저면과 진동융착되면, 사이드호스부(100) 및 측면커넥션부(200)는 서로 공기의 이동이 완전히 차단된다.
따라서, 호스유입홀(H3)로 유입된 공기는 크래시패드(1)의 상부홀(1c)을 통과하여 윈드스크린 쪽으로 배출되거나 측면호스부(120)의 좌우 양쪽 후단부에서 크래시패드(1)의 측부홀(1d)을 통과하여 프론트도어의 윈도우로 배출된다.
그리고 제1 커넥션유입홀(H1)로 유입된 공기는 중앙홀(302)을 지나 중앙송풍구(1a)를 통과하여 실내로 배출되며, 제2 커넥션유입홀(H2)로 유입된 공기는 측면홀(201)을 지나 사이드송풍구(1b)를 통과하여 실내로 배출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측면홀(201)에는 사이드송풍구(1b)로 연결되는 노즐이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개구부의 상면(A)에는 융착리브(미도시)가 다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융착리브는, 진동융착에 의한 순간적인 마찰열로 인해 그 단부가 용융됨으로써, 크래시패드(1)와 개구부 상면(A) 상호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하는 구성요소로서, 크래시패드(1)의 하면과 융착되는 개구부 상면(A)에서 크래시패드(1)의 하면 쪽으로 돌출되되 가늘고 긴 돌기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융착리브는 개구부 상면(A) 전체에 걸쳐 다수 개가 촘촘하게 배치되며, 개구부 상면(A)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길이로 형성된다. 이렇게 다수 개의 다양한 길이로 촘촘히 배치형성된 융착리브가 진동융착 방식으로 용융되어 크래시패드(1) 하면과 결합됨에 따라 디프로스터(10)와 크래시패드(1)는 견고한 결합력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중앙커넥션부가 공조시스템의 공기를 크래시패드의 중앙송풍구로 안내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한편, 공조시스템의 공기를 통로, 사이드호스부 및 측면커넥션부로 분배함으로써, 차량 공조시스템의 공기를 실내 및 글라스로 분배하는 부품 개수를 최소화하여 부품 단가를 절감하면서도, 조립 공정의 단순화를 실현하여 조립 불량률을 감소시키고, 발포 사출 기법 적용에 의한 제품 경량화를 통해 연비 향상을 달성하도록 이루어지는 풍량 배분구조를 갖는 디프로스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디프로스터
300 : 중앙커넥션부 100 : 사이드호스부
301 : 통로 110 : 전면호스부
302 : 중앙홀 120 : 측면호스부
310 : 베이스 200 : 측면커넥션부
311 : 격벽 201 : 측면홀
312 : 곡면부 1 : 크래시패드
H1 : 제1 커넥션유입홀 1a : 중앙송풍구
H2 : 제2 커넥션유입홀 1b : 사이드송풍구
H3 : 호스유입홀 1c : 상부홀
320 : 커버 1d : 측부홀
321 : 중앙부
322 : 측면부
323 : 호스부
324 : 분배부
G : 가이드
A : 상면

Claims (1)

  1. 차량 공조시스템의 공기를 글라스로 안내하는 사이드호스부; 상기 공조시스템의 공기를 크래시패드의 사이드송풍구로 안내하는 측면커넥션부; 및 상기 공조시스템의 공기를 상기 크래시패드의 중앙송풍구로 안내하는 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공조시스템의 공기를 상기 통로, 상기 사이드호스부 및 상기 측면커넥션부로 분배하는 중앙커넥션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커넥션부는,
    상기 사이드호스부 및 상기 측면커넥션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공조시스템의 공기가 유입되는 복수의 유입홀이 형성된 베이스; 및 상기 유입홀을 상기 통로, 상기 사이드호스부 및 상기 측면커넥션부와 일대일 연결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홀은 호스유입홀, 제1 커넥션유입홀 및 제2 커넥션유입홀을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호스부는,
    상기 호스유입홀에서 유입된 공기를 윈드스크린으로 안내하는 전면호스부; 및 상기 전면호스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호스유입홀에서 유입된 공기를 프론트도어의 윈도우로 안내하는 측면호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베이스와 함께 상기 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커넥션유입홀과 연결된 중앙부; 상기 제2 커넥션유입홀을 상기 측면커넥션부와 연결하는 측면부; 상기 호스유입홀을 상기 사이드호스부와 연결하는 호스부; 및 상기 호스유입홀에서 유입된 공기를 상기 윈드스크린과 상기 윈도우로 분배하는 분배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호스부 및 상기 측면커넥션부는 각각 상부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의 상면이 상기 크래시패드의 저면과 진동융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량 배분구조를 갖는 디프로스터.
KR1020200000965A 2020-01-03 2020-01-03 풍량 배분구조를 갖는 디프로스터 KR1020840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0965A KR102084049B1 (ko) 2020-01-03 2020-01-03 풍량 배분구조를 갖는 디프로스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0965A KR102084049B1 (ko) 2020-01-03 2020-01-03 풍량 배분구조를 갖는 디프로스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7475A Division KR102084046B1 (ko) 2018-11-26 2018-11-26 풍량 배분구조를 갖는 디프로스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4049B1 true KR102084049B1 (ko) 2020-03-04

Family

ID=69783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0965A KR102084049B1 (ko) 2020-01-03 2020-01-03 풍량 배분구조를 갖는 디프로스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404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3708B1 (ko) * 2004-08-17 2006-08-2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인스트루먼트 패널 일체형 디프로스터 덕트
JP2010100258A (ja) * 2008-10-27 2010-05-06 Mazda Motor Corp 車両の前部構造
KR101521591B1 (ko) 2014-08-14 2015-05-21 덕양산업 주식회사 디프로스터 및 크래시패드 조립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3708B1 (ko) * 2004-08-17 2006-08-2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인스트루먼트 패널 일체형 디프로스터 덕트
JP2010100258A (ja) * 2008-10-27 2010-05-06 Mazda Motor Corp 車両の前部構造
KR101521591B1 (ko) 2014-08-14 2015-05-21 덕양산업 주식회사 디프로스터 및 크래시패드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3220B1 (ko) 차량용 제상덕트의 유로구조
JP2010513127A (ja) 霜取りダクトのネットワークを備えた車両用の空調装置
US8997838B2 (en) Vehicular air conditioning apparatus
CN101659216A (zh) 汽车仪表板及其制造方法
US7093890B2 (en) Cowl grille structure with integral washer fluid channel
KR102084049B1 (ko) 풍량 배분구조를 갖는 디프로스터
US8795042B2 (en) Defroster nozzle
KR102084046B1 (ko) 풍량 배분구조를 갖는 디프로스터
JPH11348602A (ja)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のデフロスタ構造
KR20190059343A (ko) 일체형 디프로스터
JP2019099096A (ja) デフロスタノズル装置及びその組立方法
KR102193007B1 (ko) 와류방지 결합구조를 갖는 에어덕트
KR101178411B1 (ko) 자동차용 디프로스팅 시스템
JP4232126B2 (ja)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
JP6958389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03136942A (ja) 空調装置の車両搭載構造および車両搭載方法
JP4307173B2 (ja) 車両の天井用クーラーユニット
JP3994334B2 (ja) リィンフォースバー
JP4431913B2 (ja) 空気案内ダクト
JP3085302B1 (ja) デフロスタノズル
JPH11129744A (ja) 自動車用デフロスタダクト構造
JP2019127248A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14196010A (ja) ダクトの構造
JP2001039146A (ja) 空気案内ダクト
JP6901343B2 (ja) 車両の空調ダクト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