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3176B1 -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 Google Patents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3176B1
KR102083176B1 KR1020157003890A KR20157003890A KR102083176B1 KR 102083176 B1 KR102083176 B1 KR 102083176B1 KR 1020157003890 A KR1020157003890 A KR 1020157003890A KR 20157003890 A KR20157003890 A KR 20157003890A KR 102083176 B1 KR102083176 B1 KR 1020831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drum
locking
gear
boss
webb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3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8076A (ko
Inventor
타카요시 이지리
Original Assignee
아시모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시모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시모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38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80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3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31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41Belt retractors, e.g. reels comprising energy-absorb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6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6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 B60R22/405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responsive to belt movement and vehicle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022/3402Retractor casings; Mounting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상기 잠금 부재는 잠금 티스가 마련된 밀폐 원통 형상부와 상기 밀폐 원통 형상부의 내측에 마련되고, 상기 밀폐 원통 형상부의 축 방향을 따라 상기 권취 드럼에 대향하고 상기 권취 드럼의 일단부 측에 형성된 끼워 맞춤 구멍에 삽입되는 고정 보스를 구비한다. 또 스토퍼 기구는 내주면이 상기 고정 보스에 장착되고, 상기 끼워 맞춤 구멍에 상대 회전 불능으로 되도록 외주면이 상기 끼워 맞춤 구멍에 끼워 맞추어진 링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링 부재는 상기 고정 보스에 대해 상대 회전에 의해 상기 권취 드럼의 축 방향으로 상기 고정 보스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 또한 상기 링 부재의 상기 고정 보스에 대한 이동 범위에서 상기 권취 드럼의 회전축 방향 외측에서의 이동 한계는 상기 밀폐 원통 형상부의 회전축 방향 내측에 마련된다.
또한, 링 부재의 고정 보스에 대한 이동 범위에서 권취 드럼의 회전축 방향 외측에서의 이동 한계가 밀폐 원통 형상부의 회전축 방향 내측에 마련되어 있다.

Description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SEATBELT RETRACTOR}
본 발명은 차량 충돌시 등의 긴급 시에 웨빙의 인출을 방지하는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차량 충돌시 등의 긴급 시에 웨빙의 인출을 방지하는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에 관해, 특히 차량 충돌시 등의 긴급 시에 탑승자에 가해지는 에너지의 흡수를 실행하는 동시에, 최종적으로 탑승자를 웨빙으로 확실하게 구속하도록 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에 관해 각종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6-240618호에 개시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에서 스토퍼(Stopper) 기구는 래칫 휠과 권취 드럼을 상대 회전 불능으로 체결되고, 래칫 휠의 원통부에 나사 결합 기구를 통해 외부 끼움 나사 결합된 링 부재를 갖는다. 상기 래치 휠은 스핀들 축의 스플라인 축부에 상대 회전 불능으로 연결된다. 이 링 부재는 권취 드럼의 끼워 맞춤 구멍에 내부 끼움되고, 권취 드럼에 대해 상대 회전 불능이고 또한 권취 드럼의 축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이 나사 결합 기구는 링 부재의 내주에 형성된 암나사부와 래칫 휠의 원통부의 외주에 형성된 암나사부에 나사 결합된 수나사부로 이루어지고, 링 부재가 통부에 대해 상대 회전하면 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링 부재는 링 부재가 원통부에 대해 회전할 대 권취 드럼의 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후, 상기 링 부재의 축 방향 외측 단면은 래칫 휠의 가이드부의 회전축 방향 내측 단면에 맞닿고, 링 부재와 원통부가 일체화되며 상대 회전 불능으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에서, 가이드부, 기어부 및 원통부가 래칫 휠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기어부는 외주부에 형성된 래칫 기어를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기어부보다 소경이고 기어부의 축심 방향 권취 드럼 측에 마련된다. 상기 원통부는 상기 가이드부보다 소경이고 가이드부로부터 축심 방향 권취 드럼 측으로 연장되어 외주에 수나사부가 형성된다. 상기 수나사부가 형성된 원통부는 기어부에 대해 축심 방향 권취 드럼 측으로 떨어진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링 부재의 원통부에 대해 상대 회전하는 축심 방향으로의 이동량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이동량에 해당하는 원통부의 길이만큼 스토퍼 기구를 축심 방향 권취 드럼 측으로 크게 할 필요가 있다. 한편, 스토퍼 기구를 축심 방향 권취 드럼측으로 크게 하면, 권취 드럼의 우측 칼라 형상부보다 웨빙 측에 권취 드럼의 끼워 맞춤 구멍이 깊어지고, 권취 드럼의 웨빙 삽입통과 개구로부터 삽입통과되는 웨빙과의 간섭이 발생하며, 웨빙의 권취 드럼으로의 장착이 곤란하게 된다. 이를 피하기 위해서는 스토퍼 기구를 축심 방향 권취 드럼과 반대 측으로 크게 할 필요가 있다. 그 결과,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의 축심 방향의 소형화가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잠금 부재와 권취 드럼을 상대 회전 불능으로 체결하는 스토퍼 기구의 축심 방향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는 웨빙이 감겨지는 권취 드럼, 상기 권취 드럼의 일단부에 근접 배치되어, 상기 권취 드럼에 대해 상대 회전 불능으로 결합된 잠금 부재를 갖는 잠금 기구, 상기 권취 드럼과 상기 잠금 부재의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권취 드럼과 상기 잠금 부재의 상대 회전에 의한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는 에너지 흡수 기구, 상기 권취 드럼이 상기 잠금 부재에 대해 설정 회전수로 회전 때, 상기 잠금 부재와 상기 권취 드럼 사이의 상대 회전을 정지시키는 스토퍼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 부재는 긴급 시에 웨빙 인출 방향으로의 회전을 저지하고, 상기 잠금 부재가 웨빙 인출 방향으로의 회전을 저지한 상태에서 상기 웨빙의 인출력이 소정값을 넘은 경우, 상기 권취 드럼은 상기 잠금 부재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되고, 상기 잠금 부재는 상기 권취 드럼에 대향하는 내측의 저면에 의해서 밀폐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외주에 잠금 티스가 형성되고, 상기 권취 드럼과 동심의 밀폐 원통 형상부와, 상기 밀폐 원통 형상부의 축방향을 따라, 권취 드럼을 향해 상기 권취 드럼과 동심으로 상기 내측의 저면에 세워 마련되고, 상기 권취 드럼의 일단부 측에 형성된 끼워 맞춤 구멍에 삽입되는 고정 보스를 구비하고, 상기 권취 드럼의 일단부에는 상기 권취 드럼의 회전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밀폐 원통 형상부에 삽입되는 동시에 상기 끼워 맞춤 구멍이 형성된 단차부가 마련되고, 상기 스토퍼 기구는 상기 고정 보스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외부끼움 나사결합되는 동시에 상기 권취 드럼에 대해 상대 회전 불능이고 또한 상기 권취 드럼의 회전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끼워 맞춤 구멍에 내부끼움되고, 상기 잠금 부재에 대한 상기 권취 드럼의 상대 회전에 의해 상기 고정 보스에 대해 상대 회전함에 의해 상기 고정 보스의 기단부측으로 이동 가능한 링형상의 링 부재를 갖고, 상기 잠금 부재에 대한 상기 권취 드럼의 상대 회전수가 상기 설정 회전수에 도달했을 때에, 상기 링 부재가 상기 고정 보스의 기단부에 맞닿아 이동이 저지됨으로써 상기 잠금 부재와 상기 권취 드럼이 상대 회전 불능으로 체결되고, 상기 고정 보스의 기단부는 상기 권취 드럼의 축 방향에서 상기 밀폐 원통 형상부의 내측이고 또한 상기 밀폐 원통 형상부의 잠금 티스의 반경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에 있어서, 상기 잠금 부재는 상기 밀폐 원통 형상부를 갖는 래칫 기어 부재와 상기 래칫 기어 부재에 상대 회전 불능으로 상기 래칫 기어 부재에 장착되고, 상기 고정 보스가 중앙부에 마련된 고정 부재를 구비한 구비하도록 하여도 좋다.
삭제
삭제
삭제
또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에 있어서, 상기 끼워 맞춤 구멍은 상기 권취 드럼의 축 방향에서 최대 깊이의 위치가 상기 권취 드럼의 일단부의 외주면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플랜지부의 위치에 근접하도록 마련되도록 하여도 좋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에 있어서, 상기 래칫 기어 부재는 상기 밀폐 원통 형상부의 내측의 저면에 관통 구멍이 형성된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관통 구멍의 적어도 일부에 끼워 넣어지도록 상기 결합부에 장착되도록 하여도 좋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관통 구멍의 내주면에서 상기 권취 드럼의 회전축에 대해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된 복수의 장착편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고정 보스의 기단부에서 상기 권취 드럼의 회전축에 대해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칼라 형상부를 구비하고, 상기 칼라 형상부는 반경 방향 외측 둘레가장자리부에 상기 복수의 장착편이 각각 끼워 넣어지는 복수의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칼라 형상부를 상기 결합부에 장착했을 때, 상기 복수의 오목부에 상기 복수의 장착편이 끼워 넣어진 상태에서, 상기 고정 부재가 상기 래칫 기어 부재에 상대 회전 불능으로 장착되도록 하여도 좋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에 있어서, 상기 래칫 기어 부재는 상기 결합부에 세워 마련된 복수의 핀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칼라 형상부의 외주부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핀이 끼워 넣어지는 복수의 절결부를 구비하여도 좋다. 또, 상기 복수의 핀의 두부는 상기 복수의 절결부에 끼워 넣어졌을 때 상기 절결부에서 돌출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복수의 핀이 상기 복수의 절결부에 끼워 넣어진 후, 상기 복수 핀의 두부를 상기 칼라 형상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소성 변형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래칫 기어 부재에 장착 고정되도록 하여도 좋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에 있어서, 상기 칼라 형상부는 상기 권취 드럼에 대해 축 방향 단부에서 상기 고정 부재 상에 마련되고, 상기 칼라 형상부는 상기 칼라 형상부가 상기 래칫 기어 부재의 상기 권취 드럼의 회전축 방향에서의 상기 권취 드럼과는 반대측의 단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결합부에 장착되도록 하여도 좋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래칫 기어 부재보다 고강도의 재료로 형성되어 있도록 하여도 좋다.
삭제
또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흡수 기구는 상기 권취 드럼에 끼워 삽입되어 축 방향 일단 측이 상기 권취 드럼의 타단부에 상대 회전 불능으로 결합되고, 축 방향 타단 측이 상기 고정 보스에 상대 회전 불능으로 결합된 토션 바를 포함하고, 상기 토션 바는 상기 권취 드럼과 상기 잠금 부재 사이의 상대 회전에 의한 비틀림 변형에 의해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도록 하여도 좋다.
삭제
이러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에서, 상기 잠금 부재는 잠금 티스가 마련된 밀폐 원통 형상부와 상기 밀폐 원통 형상부의 내측에 마련되고, 상기 밀폐 원통 형상부의 축 방향을 따라 상기 권취 드럼에 대향하고 상기 권취 드럼의 일단부 측에 형성된 끼워 맞춤 구멍에 삽입되는 고정 보스를 구비한다. 또 상기 스토퍼 기구는 내주면이 상기 고정 보스에 장착되고, 상기 끼워 맞춤 구멍에 상대 회전 불능으로 되도록 외주면이 상기 끼워 맞춤 구멍에 끼워 맞추어진 링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링 부재는 상기 고정 보스에 대해 상대 회전에 의해 상기 권취 드럼의 축 방향으로 상기 고정 보스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 또한상기 링 부재의 상기 고정 보스에 대한 이동 범위에서 상기 권취 드럼의 회전축 방향 외측에서의 이동 한계는 상기 밀폐 원통 형상부의 회전축 방향 내측에 마련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권취 드럼의 축 방향에서 밀폐 원통 형상부의 내측이고 또한 밀폐 원통 형상부의 잠금 티스의 반경 방향 내측에 고정 보스의 기단부를 위치시킴으로써, 잠금 부재에 대한 권취 드럼의 상대 회전수가 설정 회전수에 도달했을 때에, 링 부재가 고정 보스의 기단부에 맞닿아 이동이 저지되기 때문에, 고정 보스와 링 부재에 의해서 구성되는 잠금 부재와 권취 드럼을 상대 회전 불능으로 체결하는 스토퍼 기구의 축심 방향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는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의 축심 방향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권취 드럼의 축 방향에서 밀폐 원통 형상부의 내측이고 또한 밀폐 원통 형상부의 잠금 티스의 반경 방향 내측에 고정 보스의 기단부를 배치하는 것에 의해,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의 축심 방향의 치수로의 영향을 억제하면서, 링 부재의 이동량을 확보하여, 잠금 부재에 대한 권취 드럼의 설정 회전수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에서, 상기 잠금 부재는 상기 밀폐 원통 형상부를 갖는 래칫 기어 부재와 상기 래칫 기어 부재에 상대 회전 불능으로 상기 래칫 기어 부재에 장착되고, 상기 고정 보스가 중앙부에 마련된 고정 부재를 구비한다. 따라서, 래칫 기어 부재와 고정 부재를 각각 개별적으로 가공할 수 있기 때문에, 밀폐 원통 형상부와 고정 보스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래칫 기어 부재와 고정 부재를 다른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고정 보스의 기계적 강도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재료 및 제조 방법의 설계 자유도를 늘릴 수 있는 동시에, 잠금 부재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러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에서, 상기 링 부재의 외측 주변 면은 상기 링 부재가 상기 끼워 맞춤 구멍에 대해 축심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상기 끼워 맞춤 구멍에 끼워진다. 따라서, 잠금 부재가 권취 드럼에 대해 상대 회전할 때, 링 부재의 축심 방향으로의 이동을 허용할 수 있다. 또한, 잠금 부재에 대한 권취 드럼의 설정 회전수의 설정 자유도를 늘릴 수 있다.
이러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에서, 상기 스토퍼 기구는 상기 링 부재를 상기 고정 보스의 기단부에 맞닿게 하는 것에 의해 상기 잠금 부재와 상기 권취 드럼 사이의 상대 회전을 정지시킨다. 따라서, 스토퍼 기구의 체결 강도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이러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에서, 상기 고정 보스의 삽입을 허용하는 끼워 맞춤 구멍은 상기 권취 드럼의 일단부에서 축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대략 원통 형상의 단차부에 형성되고, 상기 단차부는 상기 래칫 기어 부재의 상기 밀폐 원통 형상부에 삽입된다. 이것에 의해,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의 축심 방향의 치수로의 영향을 억제하면서, 권취 드럼 끼워 맞춤 구멍을 마련할 수 있고, 링 부재의 이동량을 확보하여, 잠금 부재에 대한 권취 드럼의 설정 회전수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에서, 권취 드럼의 회전축 방향에서의 끼워 맞춤 구멍의 최대 깊이의 위치가 권취 드럼의 일단부의 외주면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플랜지부의 위치에 근접하도록 마련되어 권취 드럼으로의 웨빙의 장착에 영향을 주지 않고, 끼워 맞춤 구멍을 권취 드럼의 일단부에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단차부 및 권취 드럼의 일단부의 외주면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플랜지부의 외경에 대해, 끼워 맞춤 구멍의 크기를 권취 드럼에의 웨빙의 장착을 고려하지 않는다. 즉, 끼워 맞춤 구멍의 크기는 강도면 등을 고려한 후에, 가능한 한 크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링 부재의 외경을 크게 할 수 있으므로, 링 부재의 강도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 링 부재의 박형화가 가능하게 되므로, 스토퍼 기구의 축심 방향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고, 더 나아가서는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의 축심 방향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고정 보스의 외경을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스토퍼 기구의 기계적 강도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이러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에서, 고정 부재는 관통 구멍의 적어도 일부에 끼워 넣게 하여 결합부에 장착할 수 있고, 고정 부재가 장착되는 결합부의 축 방향 치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러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에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고정 보스의 기단부에서 상기 권취 드럼의 회전축에 대해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칼라 형상부를 구비한다. 그리고, 이 칼라 형상부의 반경 방향 외측 둘레가장자리부에 형성된 복수의 오목부에 래칫 기어 부재의 결합부에 마련된 복수의 장착편을 끼워 넣는 것에 의해서, 고정 부재를 래칫 기어 부재에 대해 상대 회전 불능으로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래칫 기어 부재에 고정 부재를 상대 회전 불능으로 장착하는 구조의 간이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에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복수의 핀이 상기 복수의 절결부에 끼워 넣어진 후, 상기 복수 핀의 두부를 상기 칼라 형상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소성 변형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래칫 기어 부재에 장착 고정된다. 따라서, 래칫 기어 부재에 고정 부재를 장착하는 구조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고, 잠금 부재의 축심 방향의 가일층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핀을 소성 변형시키는 것에 의해, 래칫 기어 부재와 고정 부재를 용이하게 일체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잠금 부재의 조립 작업의 효율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에서, 고정 부재에서의 권취 드럼의 회전축 방향 단부에 마련된 칼라 형상부가 결합부에 장착된 경우에는 상기 칼라 형상부가 상기 래칫 기어 부재의 권취 드럼의 회전축 방향에서의 상기 권취 드럼과는 반대측의 단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한다. 따라서, 잠금 부재의 회전축 방향 외측 단면부의 박형화를 도모하여, 링 부재의 이동량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는 동시에, 잠금 부재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러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에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래칫 기어 부재보다 고강도의 재료로 형성된다. 따라서, 스토퍼 기구의 기계적 강도를 용이하게 확보하면서, 설계의 최적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잠금 부재의 경량화 및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삭제
이러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에서, 권취 드럼에 끼워 삽입되어 축 방향 일단 측이 상기 권취 드럼의 타단부에 상대 회전 불능으로 결합되고, 축 방향 타단측이 고정 보스에 상대 회전 불능으로 결합된 토션 바의 비틀림 변형에 의해 충격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고, 에너지 흡수 기구의 구조의 간이화를 도모할 수 있다.
삭제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의 외관 사시도 이다.
도 2는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를 유닛별로 분해한 사시도 이다.
도 3은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를 유닛별로 분해한 사시도 이다.
도 4는 하우징 유닛의 분해 사시도 이다.
도 5는 권취 드럼 유닛의 한쪽측 단면도이다.
도 6은 권취 드럼 유닛의 분해 사시도 이다.
도 7은 권취 드럼 유닛의 분해 사시도 이다.
도 8은 권취 드럼을 잠금 기어의 장착 측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9는 잠금 기어에 스토퍼 너트를 외부 끼움 나사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내측 사시도 이다.
도 10은 잠금 기어의 외측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5의 X1-X1 화살표에 표시된 선에 따라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2는 잠금 유닛의 분해 사시도 이다.
도 13은 잠금 유닛의 분해 사시도 이다.
도 14는 잠금 기어와 록킹 기어를 연결한 상태를 나타내는 내측 사시도 이다.
도 15는 잠금 유닛의 메커니즘 커버의 저면부 등의 일부를 잘라낸 일부 절결 단면도이다.
도 16은 권취 스프링 유닛의 분해 사시도 이다.
도 17은 권취 스프링 유닛의 분해 사시도 이다.
도 18은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의 통상 상태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19는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의 스토퍼 기구가 잠금 기어와 권취 드럼을 체결한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20은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의 권취 드럼 유닛의 분해 사시도 이다.
도 21은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의 권취 드럼 유닛의 분해 사시도 이다.
도 22는 와이어를 인출하는 동작 설명도 이다.
도 23은 와이어를 인출하는 동작 설명도 이다.
도 24는 와이어를 인출하는 동작 설명도 이다.
도 25는 와이어를 인출하는 동작 설명도 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에 대해 구체화한 제1 실시형태 및 제2 실시형태에 의거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다.
< 실시 예 1 >
[개략 구성]
먼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1)의 개략 구성에 대해 도 1 내지 도 3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1)의 외관 사시도 이다. 도 2 및 도 3은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1)를 유닛별로 분해한 사시도 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1)는 차량의 웨빙(3)을 권취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1)는 하우징 유닛(5), 권취 드럼 유닛(6), 잠금 유닛(7)과 권취 스프링 유닛(8)을 구비한다.
잠금 유닛(7)은 나이래치(7A)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 메커니즘 커버(11)를 구비한다. 상기 잠금 유닛(7)은 하우징(12)의 한쪽의 측벽부(13)에 형성된 각 장착 구멍(15)에 고정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12)은 하우징 유닛(5)을 구성하는 평면에서 보아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잠금 유닛(7)은 웨빙(3)의 급격한 인출이나 차량의 급격한 가속도의 변화에 반응하여 웨빙(3)의 인출을 정지시키는 잠금 기구(10)(도 15 참조)를 구성한다.
또, 권취 스프링 유닛(8)은 나이래치(8A)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 스프링 케이스(16)를 구비한다. 상기 권취 스프링 유닛(8)은 하우징(12)의 측벽부(13)에 서로 대향하는 다른 쪽의 측벽부(17)에 형성된 각 장착 구멍(18)에 고정 설치되어 있다. 웨빙(3)이 감겨지는 권취 드럼 유닛(6)은 하우징 유닛(5)의 측벽부(13)에 고정 설치된 잠금 유닛(7)과 측벽부(17)에 고정된 권취 스프링 유닛(8)의 사이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된다. 또, 권취 드럼 유닛(6)은 측벽부(17)의 외측에 고정 설치된 권취 스프링 유닛(8)에 의해 웨빙(3)의 권취 방향으로 상시 힘이 가해져 있다.
[하우징 유닛의 개략 구성]
다음에, 하우징 유닛(5)의 개략 구성에 대해 도 2 내지 도 4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하우징 유닛(5)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유닛(5)은 하우징(12), 프로텍터(21), 폴(23), 폴 리벳(25), 비틀림 코일 스프링(26), 센서 커버(27), 차량 가속도 센서(28)와 연결 부재(32,33)를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12)은 차체에 고정되는 배판부(31)와 서로 대향하고 상기 배판부(31)의 양측 가장자리부에서 연장하는 측벽부(13,17)를 구비한다. 상기 측벽부(13,17)는 평면에서 보아 대략 U자 형상으로 스틸재 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각 측벽부(13,17)는 권취 드럼 유닛(6)의 회전축 방향으로 긴 가로로 긴 가느다란 판 형상의 각 연결 부재(32,33)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 또, 배판부(31)의 중앙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경량화 및 웨빙(3)의 수용량의 규제 등이 도모되어 있다.
또, 측벽부(13)에는 권취 드럼 유닛(6)의 잠금 기어(35)가 소정 간극(예를 들면, 약 0.5㎜의 간극임)을 형성하면서 삽입되는 관통 구멍(36)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 구멍(36)의 내측 둘레가장자리부는 권취 드럼 유닛(6) 측에 중심축 방향 내측에 소정 깊이 움푹 패여, 권취 드럼 유닛(6)의 잠금 기어(35)에 대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측벽부(13)에는 상단 가장자리부(도 4 중, 상측 단부임)의 양 모서리와 관통 구멍(36)의 아래쪽(도 4 중, 아래 방향임)의 3개소에, 잠금 유닛(7)의 각 나이래치(7A)가 끼워 넣어져 장착되는 각 장착 구멍(1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 구멍(36)의 비스듬히 하측(도 4 중, 비스듬한 좌측 하측임)에서 절결부(38)는 상기 폴(23)의 회전운동 방향 외측에(폴(23)의 잠금 기어(35)로부터 이반되는 방향임)서 절결되어 있다. 상기 절결부(38)는 폴(23)의 각 걸어 맞춤 티스(23A, 23B)를 포함하는 선단 측의 부분에 대향하는 둘레가장자리부에서 이 선단측의 부분이 수용되는 깊이로 잘라 내어진다. 이 절결부(38)의 배판부(31) 측의 횡측에는 폴(23)을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관통 구멍(41)이 형성되어 있다. 또, 절결부(38)의 관통 구멍(41) 측의 폴(23)이 맞닿는 부분에는 상기 관통 구멍(41)과 동축에 원호형상의 안내부(38A)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스틸재 등으로 형성된 폴(23)의 안내부(38A)에 맞닿아 슬라이딩하는 부분에는 측벽부(13)의 두께 치수에 대략 동등한 높이에서, 이 안내부(38A)와 동일한 곡률 반경의 원호형상으로 움푹 패인 단차부(37)가 형성되어 있다. 또, 폴(23)의 회전운동 축 방향 외측(도 4 중, 바로 앞측임)의 측면의 선단부에는 잠금 유닛(7)을 구성하는 클러치(95)의 가이드 구멍(131)(도 12 참조)에 삽입되는 안내 핀(42)이 세워 마련되어 있다.
또, 폴(23)의 기단부(한쪽의 단부)에는 폴 리벳(25)이 삽입 통과되는 관통 구멍(43)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 구멍(43)은 둘레가장자리부로부터 측벽부(13)의 관통 구멍(41)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삽입 통과되는 원통 형상의 보스부(45)가 측벽부(13)의 두께 치수에 대략 동등한 높이로 세워 마련되어 있다. 또 폴(23)은 보스부(45)가 측벽부(13)의 관통 구멍(41)에 하우징(12)의 내측으로부터 삽입통과된 상태에서, 측벽부(13)의 외측에서 관통 구멍(43)으로 끼워 넣어진 폴 리벳(25)에 의해 회전운동 가능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폴(23)의 각 걸어 맞춤 티스(23A, 23B)와 잠금 기어(35)의 외주면에 마련된 래칫 기어 티스(65A)(도 5 참조)가 측벽부(13)의 외측면과 대략 동일면이 되도록 배치된다.
또, 폴 리벳(25)의 두부는 관통 구멍(41)보다 큰 외경으로 소정 두께(예를 들면, 두께 약 1.5㎜임)의 원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리턴 스프링의 일예로서 기능하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26)은 감기 수가 1이고 폴 리벳(25)의 두부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일단측(26A)이 폴(23)의 안내 핀(42)에 장착되어 있다. 또, 비틀림 코일 스프링(26)의 선 직경은 폴 리벳(25)의 두부의 높이의 대략 절반의 치수이다(예를 들면, 두께 약 0.6㎜임). 따라서, 비틀림 코일 스프링(26)의 1감기분의 스프링 높이는 폴 리벳(25)의 두부의 높이와 대략 동일한 높이로 설정되어 있다.
또, 비틀림 코일 스프링(26)의 타단측(26B)은 측벽부(13) 상을 슬라이딩 접촉 가능하게 일단측(26A)의 측벽부(13) 측을 통과한 후, 측벽부(13)의 내측 방향(도 4 중, 측벽부(13)의 이면측 방향임)에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어, 측벽부(13)에 형성된 장착 구멍(46)에 삽입 통과되어 있다. 또, 이 타단측(26B)의 단부는 대략 U자형으로 절곡되어 측벽부(13)의 내측면에 맞닿아지고, 빠짐 방지부를 구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폴(23)은 비틀림 코일 스프링(26)에 의해서 절결부(38)의 안쪽 측 방향으로(도 3 중, 반시계 방향임) 회전운동하도록 힘이 가해지고, 각 걸어 맞춤 티스(23A, 23B)를 포함하는 선단측의 부분이 절결부(38)의 안쪽측에 맞닿아진다. 따라서, 폴(23)은 비틀림 코일 스프링(26)에 의해서 잠금 기어(35)로부터 이반된 방향으로 회전운동 힘이 가해져 있다.
또,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부(13)의 관통 구멍(36)의 아래쪽(도 4 중, 아래 방향임)에는 대략 사각형의 개구부(4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구부(47)는 관통 구멍(36)의 중심축의 아래쪽(도 4 중, 아래 방향임)에서 배판부(31) 측을 향해 개구되어 있다. 센서 커버(27)는 상기 개구부(47)에 끼워 넣어진다. 상기 센서 커버(27)는 개구부(47)와 대략 동일한 단면 대략 사각형의 얕은 대략 상자체 형상이고 외측(도 4 중, 바로 앞측임)에서 끼워 맞추어진다. 그리고, 상기 센서 커버(27)는 수지재로 이루어지고, 개구측 둘레가장자리부에 형성된 칼라부가 개구부(47)의 외측 둘레가장자리부(도 4 중, 바로 앞측 둘레가장자리부임)에 맞닿아진다. 동시에, 상기 센서 커버(27)의 도 4 중, 상하 방향 양 단면에 돌출 설치된 한 쌍의 걸림 발톱(27A)(도 4 중, 상측 단면의 걸림 발톱(27A)을 도시하고 있음)이 개구부(47)의 도 4 중, 상하 방향 양단부의 안쪽 측에 끼워 넣어져 탄성적으로 걸어 고정된다.
또, 차량 가속도 센서(28)는 센서 홀더(51), 관성 질량체(52)와 센서 레버(5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센서 홀더(51)는 수지재로서, 수직 방향 상측(도 4 중, 상측임)에 개방되는 대략 상자형이고 저면부에 절구형상의 탑재부가 형성된다. 상기 관성 질량체(52)는 스틸 등의 금속으로 구형상체로 형성되어 탑재부 상에 이동 가능하게 탑재된다. 상기 센서 레버(53)는 수지재로서 관성 질량체(52)의 연직방향 상측에 탑재된다. 상기 센서 홀더(51)는 폴(23)에 대해 반대 측의 단가장자리부(도 4 중, 우측 단부임)에서 연직 방향 상하(도 4 중, 상하 방향임)으로 요동 가능하게 센서 레버(53)를 지지한다.
상기 센서 홀더(51)는 센서 커버(27) 내의 양 측벽부에 대향하는 양 측면부에 마련된 한 쌍의 걸림 발톱(51A)(도 4 중, 한쪽의 걸림 발톱(51A)을 도시하고 있음)을 구비한다. 차량 가속도 센서(28)는 한 쌍의 걸림 발톱(51A)가 센서 커버(27)의 각 걸림 구멍(27B)에 끼워 넣는 것에 의해 센서 커버(27)에 끼워 맞추어진다. 그 결과 차량 가속도 센서(28)가 센서 커버(27)를 통해 하우징(12)에 장착된다.
또, 측벽부(13)에는 상단가장자리부(도 4 중, 상측 단부임)의 양 모서리와 관통 구멍(36)의 아래쪽(도 4 중, 아래 방향임)의 3개소에, 잠금 유닛(7)의 각 나이래치(7A)가 끼워 넣어져 장착되는 각 장착 구멍(15)이 형성되어 있다. 또, 배판부(31)의 하단부(도 2 중, 하단부임)에는 차량의 체결편(도시 생략)에 장착할 때에 볼트가 삽입 통과되는 볼트 삽입통과 구멍(55)이 형성되어 있다.
또, 측벽부(17)에는 권취 드럼 유닛(6)이 삽입 통과되는 관통 구멍(57)이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다. 또, 측벽부(17)에는 상단부(도 4 중, 상측 단부임)의 양 모서리와 하단부(도 4 중, 하측 단부임)의 배판부(31) 측의 코너부의 3개소에 권취 스프링 유닛(8)의 각 나이래치(8A)가 끼워 넣어져 장착되는 장착 구멍(18)이 형성되어 있다.
또, 배판부(31)의 상단 가장자리부(도 4 중,상측 단가장자리부임)에 장착되는 가로로 긴 틀형상의 프로텍터(21)는 나일론 등의 합성 수지로 형성되어, 웨빙(3)이 인출되는 평면에서 보아 가로로 긴 사각형의 관통 구멍(21A)이 형성되어 있다. 이 프로텍터(21)는 서로 대향하는 각 측벽부(13,17)의 사이에 배치하도록 배판부(31)에 맞닿게 하면서 밀어넣는 것에 의해서, 프로텍터(21)의 걸어 맞춤 돌기(21B)가 배판부(31)에 형성된 개구부의 상단 가장자리부에 탄성적으로 걸려 고정되어 있다.
[권취 드럼 유닛의 개략 구성]
다음에, 권취 드럼 유닛(6)의 개략 구성에 대해, 도 2, 도 3, 도 5 내지 도 11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권취 드럼 유닛(6)의 한쪽측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권취 드럼 유닛(6)의 분해 사시도 이다. 도 8은 권취 드럼(61)을 잠금 기어(35)의 장착측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9는 잠금 기어(35)에 스토퍼 너트(63)를 외부 끼움 나사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내측 사시도 이다. 도 10은 잠금 기어(35)의 외측 사시도 이다. 도 11은 도 5의 X1-X1 화살표에 표시된 선에 따라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 드럼 유닛(6)은 권취 드럼(61), 토션 바(62), 스토퍼 너트(63), 잠금 기어(35)로 구성되어 있다. 또, 잠금 기어(35)는 대략 원통 형상의 래칫 기어(65)와 래칫 기어(65) 내에 끼워 넣어져 회전축 방향 외측 단가장자리부에 고정되는 래칫 베이스(66)로 구성되어 있다.
도 2, 도 3,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 드럼(61)은 알루미늄 다이캐스트나 아연 다이캐스트 등에 의해 형성되어, 권취 스프링 유닛(8)측의 단면부가 폐색된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권취 드럼(61)의 축심 방향의 권취 스프링 유닛(8) 측의 단가장자리부에는 외주부에서 직경 방향으로 연장된 정면에서 보아 원형의 권취 스프링측 플랜지부(67)이 형성되어 있다.
또, 권취 스프링측 플랜지부(67)의 축 방향 외측 단면의 중심 위치에는 기단부가 소정 높이(예를 들면, 높이 약 3㎜임)의 단면 원형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스프링 샤프트(151)(도 16 참조)에 끼워 넣어지는 축부가 단면 직사각형형상으로 형성된 샤프트(68)가 세워 마련되어 있다. 또, 권취 스프링측 플랜지부(67)의 축 방향 외측 단면에는 대략 원형 형상의 리브부(69)가 권취 드럼 유닛(6)을 하우징(12) 내에 장착한 경우에, 측벽부(17)보다 축 방향 외측까지 도달하도록 동축에 세워 마련되어 있다. 또, 원형 형상의 리브부(69)의 축 방향 외측의 단가장자리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전체 둘레에 걸쳐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정면에서 보아 원형 형상의 외측 플랜지(71)가 마련되어 있다.
또, 권취 드럼(61)의 내측에는 중심축을 따라 서서히 가늘어지도록 빼기 구배가 형성된 축 구멍(61A)이 형성되어 있다. 또,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축 구멍(61A) 내의 권취 스프링측 플랜지부(67) 측 단부의 내주면에는 단면이 대략 사다리꼴 형상인 5개의 돌출부(72A∼72E)가 둘레 방향 일정 간격으로 반경 방향 내측에 리브 형상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 토션 바(62)는 스틸재 등에 의해 형성되고, 단면이 원형의 봉 형상인 축부(62C)와 이 축부(62C)의 양단부에 형성된 연결부(62A, 62B)로 구성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6개의 돌기부(73)는 권취 드럼(61)에의 삽입측에서 토션 바(62)의 단부에 형성된 연결부(62A) 상에서 축 방향 소정 길이(예를 들면, 축 방향 약 6㎜의 길이임)의 원기둥의 외주면에서 돌출된다. 상기 6개의 돌기부(73)는 약 60도의 동일 중심 각도마다 각각 단면이 이등변 사다리꼴 형상이며 원주 방향으로 소정 간격(예를 들면, 중심 각도 약 30도의 간격임)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또, 각 돌기부(73)의 최외경은 축 구멍(61A) 내의 권취 스프링측 플랜지부(67) 측 단부의 내경에 대략 동등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토션 바(62)의 잠금 기어(35)에의 삽입측 단부에 마련된 연결부(62B)는 축 방향 소정 길이(예를 들면, 축 방향 약 5㎜의 길이임)의 원기둥의 외주면에서 약 60도의 동일 중심 각도마다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인 6개의 볼록부(75)가 원주 방향으로 연속하도록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 각 볼록부(75)의 최외경은 각 돌기부(73)의 최외경과 대략 동일한 직경이 되도록 형성되고, 각 볼록부(75)의 반경 방향의 높이는 각 돌기부(73)의 반경 방향의 높이와 대략 동일한 높이에 형성되어 있다.
또,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 구멍(61A) 내의 각 돌출부(72A∼72E)는 토션 바(62)의 권취 드럼(61)에의 삽입측 단부에 형성된 연결부(62A)의 각 돌기부(73)의 사이에 끼워 맞춤 가능하게 돌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션 바(62)의 연결부(62A) 측을 권취 드럼(61)의 축 구멍(61A)에 삽입해서 각 돌출부(72A∼72E) 사이에 압입하는 것에 의해서, 토션 바(62)는 권취 드럼(61) 내에 상대 회전 불능으로 압입 고정된다.
또,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 드럼(61)의 축 방향의 잠금 유닛(7) 측의 단가장자리부에는 단가장자리부에서 조금 축 방향 내측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정면에서 보아 대략 원형의 잠금 유닛측 플랜지부(76)가 형성되어 있다. 또, 권취 스프링측 플랜지부(67)와 잠금 유닛측 플랜지부(76)의 사이의 외주면에는 웨빙(3)이 삽입 통과되는 대략 슬릿 형상의 웨빙 삽입통과 구멍(74)이 축 방향 전체 폭에 걸쳐 권취 드럼(61)의 회전축에 대해 평행하게 관통해서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잠금 유닛측 플랜지부(76)로부터 축심 방향 외측의 부분에는 조금 외경이 가늘어진 원통 형상의 단차부(77)가 회전축 방향 외측으로 돌출 설치되고, 스토퍼 너트(63)가 내부 끼움되는 끼워 맞춤 구멍(77B)이 축 구멍(61A)과 동축에 형성되어 있다. 이 끼워 맞춤 구멍(77B)은 축 구멍(61A)의 내경보다 큰 스토퍼 너트(63)의 외경과 대략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끼워 맞춤 구멍(77B)의 내주면에는 스토퍼 너트(63)의 외주면으로부터 약 60도의 동일 중심 각도마다 축 방향을 따라 돌출된 각형의 각 스플라인(63A)이 끼워 넣어지는 스플라인형상의 6개의 홈부(77A)가 전체 깊이에 걸쳐, 약 60도의 동일 중심 각도마다 형성되어 있다.
또한, 끼워 맞춤 구멍(77B)의 축 방향 깊이는 권취 드럼(61)의 회전축 방향에서의 최대 깊이의 위치가 잠금 유닛측 플랜지부(76)의 위치에 근접하도록 마련되어 있고, 웨빙 삽입통과 구멍(74)의 잠금 유닛(7) 측의 단가장자리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끼워 맞춤 구멍(77B)의 축 방향 깊이는 잠금 기어(35)를 구성하는 래칫 베이스(66)에 세워 마련된 고정 보스(78)의 높이와 대략 동일한 치수로 형성되고, 스토퍼 너트(63)의 축 방향 두께보다 소정 치수(예를 들면, 약 3㎜임) 크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단차부(77)는 축 구멍(61A) 내에 압입된 토션 바(62)의 잠금 기어(35) 측의 연결부(62B)를 둘러싸도록 마련되어 있다.
또,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기어(35)를 구성하는 대략 원통 형상의 래칫 기어(65)는 알루미늄 다이캐스트나 아연 다이캐스트 등에 의해 형성되고, 축 단면 대략 링 형상이고, 외주부에 폴(23)이 걸어 맞춰지는 래칫 기어 티스(65A)가 형성되어 있다. 또, 래칫 기어 티스(65A)의 내주부는 권취 드럼(61)의 단차부(77)를 끼워 삽입 가능한 내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래칫 기어 티스(65A)와 폴(23)의 걸어 맞춤은 권취 드럼(61)을 웨빙 인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일방향만으로의 걸어 맞춤 구조이다.
또, 래칫 기어(65)는 래칫 기어(65)의 전체 둘레에 걸쳐, 래칫 기어 티스(65A)의 권취 드럼(61) 측의 단면부에 형성된 플랜지부(81)를 구비한다. 상기 플랜지부(81)는 상기 권취 드럼(61)의 잠금 유닛측 플랜지부(76)의 외경보다 반경 방향 외측으로 정면에서 보아 링 형상으로 연장되고, 외주 가장자리부의 반경 방향 조금 내측의 부분으로부터, 대략 전체 둘레에 걸쳐 대략 직각 외측 방향(도 7 중, 좌측 방향임)으로 연장된다.
또, 도 6, 도 7,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칫 기어(65)의 잠금 유닛(7) 측의 단부(도 6 중, 우측 단가장자리부임)에서 대략 평판형상의 6개의 장착편(82)이 둘레 방향으로 소정 간격(예를 들면, 중심 각도 약 15도의 간격임)을 두고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6개의 장착편(82)의 각각은 내주면으로부터 약 60도의 동일 중심 각도마다 정면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반경 방향 내측의 양 코너부가 반경 방향 대략 중앙부까지 모따기되어 있다.
또한, 각 장착편(82)은 반경 방향 내측 단부에서 반경 방향 대략 중앙부까지 축 내측면에서 권취 드럼(61) 측 상에 형성된 단차부(82A)를 구비한다. 상기 단차부(82A)는 각 장착편(82)의 축 방향 두께의 절반의 깊이에서,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형상으로 움푹 패여 있다. 또한, 각 장착편(82)의 권취 드럼(61)측의 축 방향 내측면에는 대략 중앙부에 소정 직경(예를 들면, 직경 약 3㎜임)의 원주형상의 코킹 핀(82B)이 단차부(82A)를 반경 방향에 걸치도록 세워 마련되어 있다.
또,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코킹 핀(82B)의 선단부는 회전축에 대해 반경 방향 외측의 약 반주 부분이 모따기되어 있다. 또, 각 코킹 핀(82B)의 기단부에는 단차부(82A)에 대해 반경 방향 외측의 약 반주 부분의 둘레가장자리부에, 대략 반원호 형상으로 소정 깊이(예를 들면, 깊이 약 0.7㎜임) 움푹 패인 오목부(82C)가 형성되어 있다.
또, 도 5 내지 도 7, 도 9,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기어(35)를 구성하는 래칫 베이스(66)는 스틸재 등에 의해 형성되고, 대략 원판형상의 베이스부(66A), 원통 형상의 고정 보스(78)와 원기둥형상의 축부(83)를 구비한다. 상기 고정 보스(78)는 베이스부(66A)의 권취 드럼(61) 측의 회전축 방향 내측면의 중앙부에 세워 마련된다. 상기 축부(83)는 베이스부(66A)의 회전축 방향 외측면의 중심 위치에 세워 마련된다.
대략 원판형상의 베이스부(66A)는 고정 보스(78)의 기단부로부터 권취 드럼(61)의 회전축에 대해 반경 방향 외측에 전체 둘레에 걸쳐 돌출된 정면에서 보아 대략 링 형상의 칼라 형상부(66B)를 형성하고 있다. 이 칼라 형상부(66B)의 외주면의 반경은 래칫 기어(65)의 각 장착편(82)에 형성된 단차부(82A)의 회전축에 대해 반경 방향 외측의 내주면의 반경과 대략 동일한 반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칼라 형상부(66B)의 두께는 각 장착편(82)의 기단부의 두께와 대략 동일한 두께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또, 칼라 형상부(66B)의 회전축 방향 외측면의 둘레가장자리부에는 약 60도의 동일 중심 각도마다 각 장착편(82)의 단차부(82A)가 끼워 넣어지는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움푹 패인 6개의 오목부(85)가 형성되어 있다.
또, 각 오목부(85)회전축 방향의 깊이는 각 장착편(82)의 단차부(82A)의 두께에 대략 동등한 깊이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또, 칼라 형상부(66B)의 외주면에는 절결부(86)가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절결부(86)는 상기 외주면의 각 오목부(85)의 둘레 방향 중앙부에 상당하는 위치에, 각 장착편(82)에 세워 마련된 코킹 핀(82B)의 외경에 대략 동등한 직경으로 반경 방향 내측에 반원 원호형상으로 잘라 내어진다.
또, 래칫 베이스(66)의 원통 형상의 고정 보스(78)는 외주면의 축 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 스토퍼 너트(63)의 암나사부(63B)가 나사 결합되는 수나사부(78A)가 형성되어 있다. 또, 고정 보스(78)의 내주면에는 토션 바(62)의 잠금 기어(35)에 삽입측 단부에 마련된 연결부(62B)와 비슷한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 끼워 맞춤 오목부(78B)가 마련된다. 상기 연결부(62B)는 끼워 맞춤 오목부(78B)에 압입된다.
상기 래칫 베이스(66)의 래칫 기어(65)로의 장착은 도 6, 도 7,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다. 먼저, 래칫 베이스(66)의 칼라 형상부(66B)의 외주부에 형성된 각 절결부(86)를 래칫 기어(65)의 각 장착편(82)의 코킹 핀(82B)에 대향시키면서, 베이스부(66A)의 축 방향 외측면에 세워 마련된 축부(83)를 래칫 기어(65) 내(도 6 중, 우측 방향임)에 삽입 통과한다.
그리고, 칼라 형상부(66B)의 외주부에 형성된 각 절결부(86)를 각 코킹 핀(82B)의 외주면에 맞닿게 하면서, 칼라 형상부(66B)의 각 오목부(85)에 각 장착편(82)의 단차부(82A)를 끼워 넣어 맞닿게 한다. 그 후, 각 코킹 핀(82B)의 두부를 그 기단부의 오목부(82C) 및 서로 대향하는 절결부(86)의 둘레가장자리부, 주로 칼라 형상부(66B)의 절결부(86)의 둘레가장자리부로 확대하도록 소성 변형시킨다. 이에 따라, 래칫 베이스(66)가 래칫 기어(65)의 내측에 상대 회전 불능으로 장착되는 동시에, 권취 드럼(61) 측에 탈락 불능으로 고정되어, 잠금 기어(35)가 구성된다.
따라서, 래칫 기어(65)의 각 장착편(82)의 둘레가장자리부에 의해서, 래칫 베이스(66)의 베이스부(66A)가 끼워 맞춰지는 관통 구멍(87)이 형성된다. 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보스(78)의 수나사부(78A)는 기단부측의 부분이 래칫 기어(65)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또,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칫 베이스(66)의 베이스부(66A)의 회전축 방향 외측면과 래칫 기어(65)의 각 장착편(82)의 회전축 방향 외측면이 대략 동일 면상에 위치한다. 또, 래칫 베이스(66)의 칼라 형상부(66B)의 회전축 방향 내측면과 래칫 기어(65)의 각 장착편(82)의 내주부측의 회전축 방향 내측면이 대략 동일 면상에 위치한다.
또, 6개의 관통 구멍(89)은 래칫 베이스(66)의 칼라 형상부(66B)의 외주면, 래칫 기어(65)의 각 장착편(82)의 기단부 측의 둘레 방향 양 측면부와 래칫 기어(65)의 잠금 유닛(7) 측의 단가장자리부의 내주면에 형성된다. 6개의 관통 구멍(89)은 단면이 직사각형이며, 래칫 기어 티스(65A)에 대해 반경 방향 내측의 근방에 약 60도의 동일 중심 각도마다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상에 형성된다.
여기서, 축 단면이 링 형상으로 형성된 스토퍼 너트(63)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보스(78)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부(78A)에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부(63B)가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또, 스토퍼 너트(63)의 외주면에는 약 60도의 동일 중심 각도마다 축 방향을 따라 돌출된 각형의 각 스플라인(63A)이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 스토퍼 너트(63)의 축 방향 두께는 고정 보스(78)의 축 방향 전체 길이보다 소정 길이(예를 들면, 약 3㎜임)만큼 짧은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또, 스토퍼 너트(63)의 암나사부(63B)와 고정 보스(78)의 수나사부(78A)는 정 나사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차량 충돌시 등의 긴급 시, 잠금 기어(35)에 대해 권취 드럼(61)이 웨빙 인출 방향으로 상대 회전한 경우에는 스토퍼 너트(63)는 고정 보스(78)의 기단부측으로 이동하여, 칼라 형상부(66B)에 맞닿음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도 19 참조). 따라서, 스토퍼 너트(63)의 회전축 방향 외측으로의 이동 한계는 칼라 형상부(66B)에 맞닿는 위치이며, 래칫 기어(65)의 반경 방향 내측의 위치이다.
따라서, 끼워 맞춤 구멍(77B)에 내부 끼움된 스토퍼 너트(63)와 고정 보스(78)는 차량 충돌시 등의 긴급 시, 잠금 기어(35)에 대한 권취 드럼(61)의 웨빙 인출 방향으로의 상대 회전수가 설정 회전수(예를 들면, 약 1.5회전)에 도달했을 때, 상기 잠금 기어(35)와 상기 권취 드럼(61)을 상대 회전 불능으로 체결하는 스토퍼 기구(88)를 구성한다.
상기 권취 드럼(61)으로의 잠금 기어(35)의 장착은 우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기어(35)의 고정 보스(78)의 수나사부(78A)에 스토퍼 너트(63)의 암나사부(63B)를 나사 결합한다. 즉, 스토퍼 기구(88)를 구성하는 스토퍼 너트(63)를 고정 보스(78)에 대해 외부 끼움 나사 결합한다. 그리고, 스토퍼 너트(63)를 회전시켜, 고정 보스(78)와 스토퍼 너트(63)의 각각의 축 방향 권취 드럼(61) 측의 단면을 대략 동일 면상에 위치하도록 한다.
그리고, 도 5 내지 도 7,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 너트(63)의 외주면에 돌출 설치된 각 스플라인(63A)을 단차부(77)의 끼워 맞춤 구멍(77B)의 내주면에 형성된 각 홈부(77A)에 끼워 넣으면서, 토션 바(62)의 잠금 기어(35)에의 삽입측 단부에 마련된 연결부(62B)를 고정 보스(78)의 끼워 맞춤 오목부(78B) 내에 압입하다. 따라서, 잠금 기어(35)가 토션 바(62)를 통해 권취 드럼(61)에 대해 상대 회전 불능으로 장착된다. 또, 스토퍼 기구(88)를 구성하는 스토퍼 너트(63)가 단차부(77)의 끼워 맞춤 구멍(77B)에 대해 상대 회전 불능 또한 회전축 방향 외측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내부에 끼워진다.
또한, 리브를 홈부(77A)의 긴 쪽 방향을 따라 돌출시켜 마련하도록 해도 좋다. 상기 리브는 각 홈부(77A)의 권취 드럼(61)의 회전축에 대해 반경 방향 외측의 내벽면에서 스플라인(63A) 측으로 스토퍼 너트(63)의 끼워 맞춤 구멍(77B)에 대한 회전축 방향 외측으로의 상대 이동을 방해하지 않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해도 좋다.따라서, 스토퍼 너트(63)의 스플라인(63A)을 각 홈부(77A)에 끼워 넣었을 때, 리브가 스플라인(63A)에 접촉하게 함으로써, 스토퍼 너트(63)가 고정 보스(78)에 대해 덜컹거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잠금 유닛의 개략 구성]
다음에, 웨빙(3)의 급격한 인출이나 차량의 급격한 가속도의 변화에 반응하여 웨빙(3)의 인출을 정지하는 잠금 기구(10)를 구성하는 잠금 유닛(7)의 개략 구성에 대해 도 2, 도 3, 도 12 내지 도 15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2 및 도 13은 잠금 유닛(7)의 분해 사시도 이다. 도 14는 잠금 기어(35)와 록킹 기어(91)를 연결한 상태를 나타내는 내측 사시도 이다. 도 15는 잠금 유닛(7)의 메커니즘 커버(11)의 저면부 등의 일부를 잘라낸 일부 절결 단면도이다.
도 2, 도 3,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유닛(7)은 메커니즘 커버(11), 록킹 기어(91), 잠금 암(92), 센서 스프링(93), 클러치(95) 및 파일럿 레버(96)를 구비한다. 또한,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잠금 유닛(7)을 구성하는 각 부재 중, 센서 스프링(93)을 제외한 부재는 합성 수지로 성형되어 있으며, 서로 접촉한 경우의 부재 간의 마찰 계수는 작은 것이다.
메커니즘 커버(11)는 하우징(12)의 측벽부(13) 측이 개구된 대략 원형이고 대략 균일한 두께로 형성된 저면부(97)를 갖는 대략 상자체 형상의 메커니즘 수용부(98)가 형성되고, 록킹 기어(91)나 클러치(95) 등을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메커니즘 커버(11)는 메커니즘 수용부(98)에 연속하는 센서 수용부(99)를 구비한다. 상기 센서 수용부(99)는 하우징(12)에 센서 커버(27)를 통해 장착된 차량 가속도 센서(28)에 대향하는 코너부(도 13 중, 좌부 하측 코너부임)에 단면이 대략 사각형인 오목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메카니즘 커버(11)를 각 나이래치(7A)에 의해서 측벽부(13)에 장착했을 때에는 차량 가속도 센서(28)의 센서 홀더(51)가 센서 수용부(99)에 끼워 넣어져, 센서 레버(53)가 연직 방향 상하(도 13 중, 상하 방향임)으로 요동 가능하게 수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메커니즘 커버(11)의 메커니즘 수용부(98)의 하단부 대략 중앙부(도 13 중, 하단부 대략 중앙부임)에는 상기 메커니즘 수용부(98)와 센서 수용부(99)가 연통하도록 뚫어 마련된 개구부(101)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부(101)는 차량 가속도 센서(28)의 센서 레버(53)의 선단 가장자리부로부터 위 방향(도 13 중, 위 방향임)을 향해 돌출 설치된 잠금 발톱(53A)의 선단부가 연직 방향 상하(도 13 중, 상하 방향임)로 진퇴 가능하게 형성된다. 통상시에는 잠금 발톱(53A)의 선단부는 파일럿 레버(96)의 받이판부(102)의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소정값을 넘는 가속도에 의해서 관성 질량체(52)가 이동하여 센서 레버(53)가 연직 방향 상측으로 회전운동한 경우, 상기 잠금 발톱(53A)은 개구부(101)를 통해 파일럿 레버(96)의 받이판부(102)에 맞닿아, 파일럿 레버(96)를 연직 방향 상측으로 회전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메커니즘 수용부(98)의 대략 원형의 저면부(97)에는 중앙부에 원통 형상의 지지 보스(103)가 세워 마련되어 있다. 이 지지 보스(103)의 록킹 기어(91) 측의 선단부의 외주는 전체 둘레에 걸쳐 선단 측에 소정 각도(예를 들면, 약 30°의 경사각임)로 경사진 끝이 가느다란 모따기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지지 보스(103)에는 록킹 기어(91)의 원판형상의 저면부(105)의 중앙부에 메카니즘 커버(11)에 대향하는 배면측으로부터 돌출된 원통 형상의 회전축부(106)가 끼워 넣어지고, 슬라이딩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록킹 기어(91)는 원판형상의 저면부(105)의 전체 둘레로부터 클러치(95) 측으로 원형 형상으로 세워 마련되고, 외주부에 파일럿 레버(96)에 걸어 맞춰지는 록킹 기어 티스(91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록킹 기어 티스(91A)는 록킹 기어(91)가 웨빙 인출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에만, 파일럿 레버(96)의 걸어 맞춤 발톱부(96A)에 걸어 맞춰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록킹 기어(91)의 저면부(105)의 중앙부에는 잠금 기어(35)의 록킹 기어(91) 측 단면의 중앙부에 세워 마련된 축부(83)가 끼워 넣어지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또, 원통 형상의 기대부(107)가 이 관통 구멍의 메커니즘 커버(11) 측의 둘레가장자리부에서 록킹 기어 티스(91A)의 축 방향 높이와 대략 동일한 높이로 세워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록킹 기어(91)의 원통 형상의 회전축부(106)는 이 원통형상의 기대부(107)의 메커니즘 커버(11) 측 단가장자리부에서 이 기대부(107)보다 작은 외경이고 또한 지지 보스(103)의 내경에 대략 동등한 외경으로 메커니즘 커버(11) 측에 동축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기대부(107) 및 회전축부(106)의 내부에는 록킹 기어(91)의 잠금 기어(35)측 단면에 개구되어, 잠금 기어(35)의 메커니즘 커버(11)측 단면의 중앙부에 세워 마련된 축부(83)가 끼워 넣어지는 단면 원형형상의 축 구멍부(106A)가 형성되어 있다. 또, 축 구멍부(106A)의 내주면에는 복수의 리브(106B)가 축 방향을 따라 반경 방향으로 동일한 높이에서 세워 마련되고, 잠금 기어(35)의 원기둥형상의 축부(83)의 외주면에 맞닿도록 마련되어 있다.
또, 회전축부(106)의 기단부의 주위에는 원형 형상의 리브(108)가 클러치(95)의 대략 원판형상의 판부(109)의 두께 치수에 대략 동등한 높이에서 동축에 세워 마련되어, 지지 보스(103)가 삽입되는 삽입 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 원형 형상의 리브(108)의 내측 둘레 벽부는 지지 보스(103)의 선단부의 경사각 이상의 각도(예를 들면, 약 45°의 경사각임)로 반경 방향 외측으로 경사져 있다. 또, 원형 형상의 리브(108)의 내측에 형성된 삽입 홈의 저면부의 외경은 지지 보스(103)의 선단부의 외경과 대략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원형 형상의 리브(108)의 외경은 클러치(95)의 판부(109)의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 구멍(111)의 내경과 대략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기대부(107)의 외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클러치(95)의 관통 구멍(111)의 록킹 기어(91) 측의 단가장자리부에는 전체 둘레에 걸쳐 원형 형상의 리브(111A)가 소정 높이(예를 들면, 높이 약 0.5㎜임)로 세워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록킹 기어(91)의 원형 형상의 리브(108)를 클러치(95)의 관통 구멍(111)에 끼워 넣어, 원형 형상의 리브(111A)를 리브(108)의 외주측 기단부에 맞닿게 한 후, 회전축부(106)를 메커니즘 커버(11)의 지지 보스(103)에 삽입 통과시킨다. 그리고, 원형 형상의 리브(108)의 반경 방향 내측에 형성된 삽입 홈의 저면부에 지지 보스(103)의 선단부를 맞닿게 하는 것에 의해, 록킹 기어(91)의 배면측으로부터 돌출된 회전축부(106)가 대략 전체 높이에 걸쳐 지지 보스(103)에 대해 동축에 장착되어 축 지지된다. 또, 록킹 기어(91)의 원형 형상의 리브(108)는 관통 구멍(111)에 슬라이딩 회전 가능하게 끼워 넣어지고, 클러치(95)는 록킹 기어(91)와 메커니즘 커버(11)의 사이에 일정한 회전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수용된다.
또, 록킹 기어(91)의 잠금 기어(35) 측의 단면에 6개의 볼록부(112)가 잠금 기어(35)의 잠금 유닛(7) 측의 단면부에 형성된 6개의 관통 구멍(89)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6개의 볼록부(112)는 각 관통 구멍(89)과 대략 동일한 형상의 원주 방향으로 긴 대략 장방형의 단면으로 형성된다. 6개의 볼록부(112)는 사각 기둥형상으로 돌출되고, 약 60도의 동일 중심 각도마다 동심원상에 위치하도록 세워 마련되어 있다. 또, 잠금 기어(35)의 회전축 방향 외측의 단면에 세워 마련된 축부(83)의 높이는 록킹 기어(91)의 축 구멍부(106A)의 길이에 대략 동등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기어(35)의 축부(83)를 록킹 기어(91)의 축 구멍부(106A)에 끼워 넣는 동시에, 록킹 기어(91)의 각 볼록부(112)를 잠금 기어(35)의 각 관통 구멍(89)에 끼워 넣는다. 그 결과, 잠금 기어(35)의 회전축 방향 외측의 단면에 록킹 기어(91)가 맞닿아진 상태에서, 잠금 기어(35)에 록킹 기어(91)가 동축으로 상대 회전 불능으로 장착된다. 잠금 기어(35)의 축부(83)는 록킹 기어(91)의 회전축부(106)를 통해 메커니즘 커버(11)의 지지 보스(103) 내에 위치하여 축지지 된다. 또, 잠금 기어(35)의 축부(83)의 선단부와 회전축부(106)의 메커니즘 커버(11) 측의 단가장자리부는 대략 동일 면상에 위치하고 있다.
또, 도 12, 도 13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기둥형상의 지지 보스(113)는 록킹 기어(91)의 저면부(105)의 클러치(95) 측의 면에서 돌출된다. 원기둥형상의 지지 보스(113)는 기대부(107)에 인접해서 록킹 기어 티스(91A)보다 낮은 높이에서 세워 마련되어 있다. 합성 수지제의 잠금 암(92)은 기대부(107)를 둘러싸도록 대략 궁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잠금 암(92)에 있어서, 긴쪽 방향 대략 중앙부의 기대부(107) 측의 단가장자리부에 관통 구멍(115)이 형성되고, 지지 보스(113)가 관통 구멍(115)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 삽입되어 잠금 암(92)이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된다.
또, 록킹 기어(91)의 저면부(105)에는 지지 보스(113)에 대해 반경 방향 외측의 근방 위치에, 탄성 걸림편(116)이 메커니즘 커버(11) 측에 세워 마련되어 있다. 탄성 걸림편(116)은 단면이 역 L자형이다. 상기 탄성 걸림편(116)은 잠금 암(92)의 관통 구멍(115)의 횡측에 형성된 창부(117)에 삽입되고, 기대부(107)의 축심 주위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탄성적으로 걸어 고정된다. 상기 창부(117)는 대략 부채형이고 단차부를 갖는다.
또,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 기어(91)에 있어서, 스프링 지지 핀(118)이 기대부(107)의 외주면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리브부에 세워 마련되어 있다. 센서 스프링(93)의 일단측이 스프링 지지 핀(118)에 끼워 넣어진다. 스프링 지지 핀(118)은 상기 기대부(107)의 축심에 대해 직교하는 웨빙 인출 방향으로 돌출된다. 또, 잠금 암(92)의 스프링 지지 핀(118)에 대향하는 측벽에는 센서 스프링(93)의 타단측이 끼워 넣어지는 스프링 지지 핀(119)이 세워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도 13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스프링 지지 핀(118,119)에 센서 스프링(93)의 양단을 끼워 넣는 것에 의해서, 잠금 암(92)은 지지 보스(113)의 축심에 대해 웨빙 인출 방향 측(도 15 중, 반시계 방향임)으로 회전운동하도록 소정 하중으로 힘이 가해진다. 그리고, 잠금 암(92)은 클러치(95)의 클러치 기어(121)에 걸어 맞춰지는 걸어 맞춤 발톱(122) 측의 단가장자리부가 록킹 기어(91)의 기대부(107)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 스토퍼(123)에 맞닿아 있다.
한편,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잠금 암(92)이 센서 스프링(93)의 부세력에 대항해서 웨빙 권취 방향(도 15 중, 시계 방향임)으로 회전운동하여 클러치 기어(121)에 걸어 맞춰진 경우에는 걸어 맞춤 발톱(122)의 걸어 맞춤부와는 반대측의 단가장자리부가 록킹 기어(91)의 저면부(105)에 세워 마련된 회전 방지(125)와 소정 간극(예를 들면, 간극 약 0.3㎜임)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 방지(125)는 단면이 방추 형상 이다.
또, 도 12, 도 13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러치(95)는 록킹 기어(91)와 메커니즘 커버(11)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메커니즘 수용부(98)에 일정한 회전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수용된다. 이 클러치(95)의 록킹 기어(91) 측에는 원형 형상의 리브부(126)가 마련된다. 상기 원형 형상의 리브부(126)는 관통 구멍(111)에 대해 동축에 형성되고, 록킹 기어(91)의 록킹 기어 티스(91A)가 외주부에 형성된 원형 형상의 리브의 내주 직경보다 조금 작은 외경을 갖는다.
상기 리브부(126)의 내주면에는 잠금 암(92)의 걸어 맞춤 발톱(122)이 걸어 맞춰지는 클러치 기어(121)가 형성되어 있다. 이 클러치 기어(121)는 록킹 기어(91)가 관통 구멍(111)의 축심에 대해 웨빙 인출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에만, 잠금 암(92)의 걸어 맞춤 발톱(122)과 걸어 맞춰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클러치(95)의 대략 원판형상의 판부(109)의 외주부에는 리브부(126)를 둘러싸도록 원형 형상의 외측 리브부(127)가 세워 마련되어 있다. 또, 이 외측 리브부(127)의 잠금 기어(35) 측의 단가장자리부에는 관통 구멍(111)의 중심축에 대해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잠금 기어(35)측으로 조금 경사지도록 연장된 플랜지부(128)가 대략 전체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또, 외측 리브부(127)은 폴(23)에 대향하는 부분(도 12 중, 좌측 하부 코너부임)으로 연장된 가이드 블록부(129)를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 블록부(129)는 외측 리브부(127)의 외주면에서 수직 방향 하향(도 12 중, 아래 방향임)으로 연장된다. 이 가이드 블록부(129)에는 폴(23)의 각 걸어 맞춤 티스(23A, 23B)를 포함하는 선단부의 측면에 세워 마련된 안내 핀(42)이 잠금 기어(35) 측으로부터 헐겁게 끼워지는 대략 가늘고 긴 형상의 가이드 구멍(131)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 구멍(131)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러치(95)의 폴(23)에 대향하는 코너부에 웨빙 인출 방향(도 15 중, 상하 방향임)과 대략 평행한 긴 홈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클러치(95)가 웨빙 인출 방향(도 15 중, 반시계 방향임)으로 회전운동한 경우에는 안내 핀(42)이 가이드 구멍(131)을 따라 이동되고, 폴(23)의 각 걸어 맞춤 티스(23A, 23B)가 잠금 기어(35)의 래칫 기어 티스(65A)에 근접하도록 회전운동한다.
또, 폴(23)은 비틀림 코일 스프링(26)에 의해서 잠금 기어(35)로부터 이반된 방향으로 회전운동 힘이 가해져 있고, 클러치(95)는 가이드 구멍(131)에 헐겁게 끼워진 폴(23)의 안내 핀(42)에 의해 힘이 가해져 있다. 이 부세력에 의해서 클러치(95)는 가이드 구멍(131)에 있어서, 클러치(95)의 회전 반경 방향에서 가장 잠금 기어(35)로부터 이반되는 위치에 있는 단가장자리부(도 15 중, 가이드 구멍(131)의 하측 단가장자리부임)에, 폴(23)의 안내 핀(42)이 맞닿는 상태의 회전 자세가 되도록 힘이 가해짐으로써, 웨빙 인출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 힘이 가해져 있다. 따라서, 폴(23) 및 비틀림 코일 스프링(26)에 의해서 클러치 부세 기구(132)가 구성된다.
동시에 폴(23)은 통상시에는 가이드 구멍(131)에 있어서, 클러치(95)의 반경 방향에서 가장 잠금 기어(35)로부터 이반된 위치에 있는 단가장자리부(도 15 중, 가이드 구멍(131)의 하측 단가장자리부임)에 폴(23)의 안내 핀(42)이 맞닿아 회전운동을 규제받기 때문에, 측벽부(13)에 형성된 절결부(38)의 안쪽 측 근방에 위치하도록 유지되어 있다.
또, 연장부(133)는 판 형상으로서 클러치(95)의 외측 리브부(127)의 하단 가장자리부(도 13 중, 하단 가장자리부임) 상에서 플랜지부(128)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대략 원호형상으로 연장된다. 상기 연장부(133)는 가이드 블록부(129)의 잠금 기어(35) 측 단면부에서 센서 수용부(99)의 위쪽(도 13 중, 위 방향임)에 대향하는 부분까지 연장된다. 또, 도 12, 도 13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133)의 가이드 블록부(129)에 대해 반대 측의 단가장자리부의 근방 위치에는 장착 보스(136)가 외측 리브부(127)의 높이와 대략 동일한 높이로 메커니즘 커버(11) 측에 세워 마련되어 있다. 장착 보스(136)는 가느다란 원기둥형상으로 파일럿 레버(96)의 원통 형상의 축부(135)에 끼워 삽입된다.
여기서, 도 12, 도 13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럿 레버(96)는 원통형상의 축부(135), 판형상의 걸어 맞춤 발톱부(96A)와 박판형상의 받이판부(102)와, 박판형상의 연결판부(137)로 구성되어 있다. 축부(135)의 축 방향 길이는 연장부(133)에 세워 마련된 장착 보스(136)의 높이와 대략 동일한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또, 판형상의 걸어 맞춤 발톱부(96A)는 록킹 기어(91) 측에 선단부가 비스듬히 굴곡된 회전운동 축 방향에서 보아 대략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판형상의 걸어 맞춤 발톱부(96A)는 파일럿 레버(96)가 자중에 의해 회전운동하여, 연직 방향 아래쪽으로 회전 규제가 이루어진 경우에, 대략 수평이 되도록, 축부(135)의 외주면으로부터 가이드 구멍(131) 측에 상기 축부(135)의 길이보다 짧은 폭으로 소정 길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 박판 형상의 받이판부(102)는 걸어 맞춤 발톱부(96A)에 대향하도록 축부(135)의 외주면으로부터 접선 방향 가이드 구멍(131) 측에 돌출 설치되고, 선단부가 걸어 맞춤 발톱부(96A)의 선단측과 대략 평행하게 되도록 비스듬히 구부러져 있다. 또, 박판 형상의 연결판부(137)는 걸어 맞춤 발톱부(96A)와 받이판부(102)의 선단부를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걸어 맞춤 발톱부(96A)의 기단부의 근방에는 파일럿 레버(96)의 록킹 기어(91)측 방향으로의 회전, 즉 연직 방향 상측으로의 회전을 규제하는 위 방향 회전 방지부(138)가 축부(135)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 위 방향 회전 방지부(138)는 걸어 맞춤 발톱부(96A)의 폭과 대략 동일한 폭 치수로, 걸어 맞춤 발톱부(96A)의 기단부에 대해 대략 직각으로 되도록 소정 높이(예를 들면, 높이 약 1.5㎜임)로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133)의 장착 장착(136)에 대향하는 단가장자리부에는 파일럿 레버 지지 블록(141)이 외측 리브부(127)와 대략 동일한 높이로 메커니즘 커버(11) 측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 파일럿 레버 지지 블록(141)의 장착 보스(136)에 대향하는 내측면은 장착 보스(136)와 동축이고 또한 파일럿 레버(96)의 축부(135)의 외주면의 반경보다 조금 큰(예를 들면, 약 0.1㎜ 큼) 곡률 반경의 정면에서 보아 대략 반원형형상의 매끄러운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리브부(127)의 파일럿 레버(96)의 걸어 맞춤 발톱부(96A)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연직 방향 상하로 관통하는 개구부(142)가 둘레 방향 소정 폭으로 판부(109)의 단가장자리부보다 내측까지 소정 치수 잘라내어져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부(142)는 걸어 맞춤 발톱부(96A)가 센서 레버(53)의 잠금 발톱(53A)에 압압되어 회전운동한 경우, 개구부(142) 내에 진입해서 록킹 기어 티스(91A)에 걸어 맞춤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럿 레버(96)가 자중에 의해 연직 방향 하측(도 15 중, 아래 방향임)으로 회전운동한 경우에는 아래 방향 회전 방지부(139)가 파일럿 레버 지지 블록(141)에 맞닿아, 연직 방향 하측(도 15 중, 아래 방향임)으로의 회전 각도가 규제된다. 또, 통상시에는 파일럿 레버(96)의 받이판부(102)와 센서 레버(53)의 잠금 발톱(53A)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또, 센서 레버(53)가 연직 방향 상측(도 15 중, 위 방향임)으로 회전운동하여 잠금 발톱(53A)에 의해 파일럿 레버(96)가 연직 방향 상측으로 회전운동한 경우, 파일럿 레버(96)의 걸어 맞춤 발톱부(96A)가 록킹 기어(91)에 맞닿아, 록킹 기어 티스(91A)에 걸어 맞춰진다. 또, 파일럿 레버(96)의 걸어 맞춤 발톱부(96A)가 록킹 기어 티스(91A)에 걸어 맞춰진 상태에서, 록킹 기어(91)가 웨빙 인출 방향(도 15 중, 반시계 방향임)으로 회전한 경우에는 걸어 맞춤 발톱부(96A)에는 장착 보스(136)측 방향의 하중이 가해진다.
상기 걸어 맞춤 발톱부(96A)에 가해진 하중에 의해, 걸어 맞춤 발톱부(96A)의 록킹 기어(91) 측으로 비스듬히 굴곡된 선단 부분이 축부(135) 측으로 탄성 변형하고 또한 회전운동한 경우에는 상기 파일럿 레버(96)의 위 방향 회전 방지부(138)가 파일럿 레버 지지 블록(141)에 맞닿아진다. 또, 걸어 맞춤 발톱부(96A)에 가해진 하중에 의해, 장착 보스(136)가 휜 경우에는 축부(135)의 외주면이 파일럿 레버 지지 블록(141)의 내측면에 맞닿는다. 따라서, 걸어 맞춤 발톱부(96A)에 가해진 상기 압압 하중을 위 방향 회전 방지부(138) 및 축부(135)를 통해 파일럿 레버 지지 블록(141)에서 지지할 수 있다.
[잠금 기구의 동작]
다음에, 잠금 기구(10)의 동작에 대해 도 15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5에 있어서 웨빙(3)의 인출 방향은 화살표 '143' 방향이다. 또, 도 15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의 회전 방향이 웨빙(3)이 인출될 때의 권취 드럼 유닛(6)회전 방향(웨빙 인출 방향)이다. 또, 잠금 기구(10)의 동작의 설명 상, 필요에 따라 도면의 일부를 잘라내어 표시하고 있다.
여기서, 잠금 기구(10)는 웨빙(3)의 급격한 인출에 대해 작동하는 "웨빙 감응식 잠금 기구"와 차량의 흔들림이나 기울기 등에 기인해서 생기는 가속도에 감응해서 작동한다. 또, "차체 감응식 잠금 기구"와의 2종류의 잠금 기구로서 동작한다. "웨빙 감응식 잠금 기구" 및 "차체 감응식 잠금 기구"에서 폴(23)의 동작은 공통이다. 따라서, 도 15에 있어서, 폴(23)과 잠금 기어(35)의 관계를 나타내는 부분에 대해서는 그 일부를 잘라낸 상태로 해서 표시하고 있다. 또, 잠금 암(92)과 클러치 기어(121)의 관계를 나타내는 부분 및 센서 스프링(93)을 나타내는 부분을 잘라내어 나타내고 있다.
[웨빙 감응식 잠금 기구의 동작 설명]
먼저, "웨빙 감응식 잠금 기구"의 잠금 동작에 대해 도 15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암(92)은 록킹 기어(91)의 지지 보스(113)에 의해서 회전운동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웨빙(3)의 인출 가속도가 소정 가속도(예를 들면, 약 2.0G이다. 또한, 1G≒ 9.8m/s2로 함)를 넘은 경우에는 록킹 기어(91)의 웨빙 인출 방향으로의 회전에 대해 잠금 암(92)에 관성 지연이 생긴다.
그 결과, 스토퍼(123)에 맞닿아 있던 잠금 암(92)은 센서 스프링(93)의 부세력에 대항해서 초기 위치를 유지하므로, 상기 록킹 기어(91)에 대해 지지 보스(113)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운동하고, 회전 방지(125)의 근방까지 회전운동한다. 따라서, 잠금 암(92)의 걸어 맞춤 발톱(122)은 록킹 기어(91)의 회전축에 대해 반경 방향 외측으로 회전운동하여 클러치(95)의 클러치 기어(121)에 걸어 맞춘다.
그리고, 웨빙(3)의 인출이 소정 가속도를 넘어 계속된 경우에는 록킹 기어(91)가 또한 웨빙 인출 방향(반시계 방향임)으로 회전하므로, 잠금 암(92)의 걸어 맞춤 발톱(122)은 클러치 기어(121)에 걸어 맞춰진 상태에서 웨빙 인출 방향으로 회전운동한다.
따라서, 잠금 암(92)에 의해서 클러치 기어(121)가 웨빙 인출 방향으로 회전운동하므로, 클러치(95)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26)에 의해서 잠금 기어(35)에서 이반된 방향으로 회전운동 힘이 가해져 있는 폴(23)의 안내 핀(42)에 의한 부세력에 대항해서, 록킹 기어(91)의 리브(108)의 축심 주위, 즉 회전축부(106)의 축심 주위에 웨빙 인출 방향으로 회전운동한다.
이에 따라, 웨빙(3)의 인출이 소정 가속도를 넘어 또한 계속된 경우, 클러치(95)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26)에 의해 잠금 기어(35)에서 이반된 방향으로 회전운동 힘이 가해져 있는 폴(23)의 안내 핀(42)에 의한 부세력에 대항해서, 웨빙 인출 방향으로 또한 회전운동한다. 따라서, 폴(23)의 안내 핀(42)은 상기 클러치(95)의 가이드 구멍(131)에 의해서 안내되고, 상기 폴(23)은 비틀림 코일 스프링(26)의 부세력에 대항해서, 잠금 기어(35)의 래칫 기어 티스(65A)에 걸어 맞춰진다. 이에 따라, 권취 드럼 유닛(6)의 회전이 잠겨 웨빙(3)의 인출이 잠긴다.
[차체 감응식 잠금 기구의 동작 설명]
다음에, "차체 감응식 잠금 기구"의 잠금 동작에 대해 도 15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가속도 센서(28)의 구상체의 관성 질량체(52)는 센서 홀더(51)의 절구형상의 저면부에 탑재되어 있기 때문에, 차체의 흔들림이나 기울기 등에 의한 가속도가 소정 가속도(예를 들면, 약 2.0G임)를 넘은 경우에는 센서 홀더(51)의 저면부를 이동하여 센서 레버(53)를 연직 방향 상측으로 회전운동시킨다.
이 때문에, 센서 레버(53)의 잠금 발톱(53A)이 클러치(95)의 연장부(133)에 세워 마련된 장착 보스(136)에 회전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는 파일럿 레버(96)의 받이판부(102)가 맞닿아, 상기 파일럿 레버(96)를 수직 방향 상측으로 회전운동시킨다. 따라서, 파일럿 레버(96)는 장착 보스(136)의 축심 주위에 시계 방향으로 회전운동되고, 상기 파일럿 레버(96)의 걸어 맞춤 발톱부(96A)는 클러치(95)의 개구부(142)내에 진입하여, 록킹 기어(91)의 외주부에 형성된 록킹 기어 티스(91A)에 걸어 맞춰진다. 이때, 위 방향 회전 방지부(138)와 파일럿 레버 지지 블록(141)의 사이에는 소정 간극(예를 들면 간극 약 0.1㎜임)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파일럿 레버(96)가 록킹 기어(91)의 록킹 기어 티스(91A)에 걸어 맞춰진 상태에서 웨빙(3)이 인출된 경우, 상기 록킹 기어(91)는 웨빙 인출 방향(반시계 방향임)으로 회전운동한다. 또, 록킹 기어(91)의 웨빙 인출 방향으로의 회전은 파일럿 레버(96), 장착 보스(136) 및 파일럿 레버 지지 블록(141)을 통해 클러치(95)에 전달된다.
따라서, 록킹 기어(91)의 웨빙 인출 방향으로의 회전에 수반해서, 상기 클러치(95)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26)에 의해서 잠금 기어(35)로부터 이반된 방향으로 회전운동 힘이 가해져 있는 폴(23)의 안내 핀(42)에 의한 부세력에 대항하여, 록킹 기어(91)의 리브(108)의 축심 주위, 즉 회전축부(106)의 축심 주위에 웨빙 인출 방향으로 회전운동한다.
이에 따라, 웨빙(3)의 인출이 또한 계속된 경우, 클러치(95)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26)에 의해서 잠금 기어(35)에서 이반된 방향으로 회전운동 힘이 가해져 있는 폴(23)의 안내 핀(42)에 의한 부세력에 대항해서, 웨빙 인출 방향으로 또한 회전운동한다. 이것에 의해, 폴(23)의 안내 핀(42)은 상기 클러치(95)의 가이드 구멍(131)에 안내되어, 상기 폴(23)의 각 걸어 맞춤 티스(23A, 23B)는 잠금 기어(35)의 래칫 기어 티스(65A)에 걸어 맞춰진다. 이에 따라, 권취 드럼 유닛(6)의 회전이 잠겨 웨빙(3)의 인출이 잠긴다.
[권취 스프링 유닛의 개략 구성]
다음에, 권취 스프링 유닛(8)의 개략 구성에 대해 도 2, 도 3, 도 16 및 도 17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6 및 도 17은 권취 스프링 유닛(8)의 분해 사시도 이다.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 스프링 유닛(8)은 나선형 스프링(147), 스프링 케이스(16), 스프링 샤프트(151)와 스프링 시트(152)를 구비한다. 상기 스프링 케이스(16)는 나선형 스프링(147)의 외측단(147A)이 내측 둘레가장자리부의 저면으로부터 세워 마련된 리브(148)에 고정되고 나선형 스프링(147)을 수용한다. 상기 스프링 샤프트(151)는 나선형 스프링(147)의 내측단(147B)이 장착 홈(151C)에 끼워 넣어지고 스프링력이 가해진다. 상기 스프링 시트(152)는 스프링 케이스(16)에 장착되어 나선형 스프링(147)을 덮는 대략 평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핀(153)은 스프링 케이스(16)의 저면부(16A)의 대략 중심 위치에 세워 마련된다. 상기 핀(153)이 스프링 샤프트(151)의 저면부의 관통 구멍(151A)에 삽입되어 저면부(16A) 측에서 스프링 샤프트(15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또, 스프링 시트(152)의 중앙부에는 대략 원통 형상의 보스부(152A) 마련된다. 원통 형상의 보스부(152A)의 기단측의 내주부에 원형형상의 단차부(152B)가 형성되고 스프링 샤프트(151)의 스프링 시트(152) 측의 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 스프링 시트(152)는 외주부의 3개소에 마련된 각 걸림 돌기(155)를 구비한다. 상기 걸림 돌기(155)는 스프링 케이스(16)의 개방 측 둘레가장자리부에 마련된 각 걸림 구멍(156)에 탄성적으로 거는 것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다.
또, 권취 드럼 유닛(6)의 샤프트(68)는 단면 원형의 기단부가 스프링 시트(152)의 중앙부에 마련된 대략 원통 형상의 보스부(152A)에 끼워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동시에, 단면 대략 직사각형형상으로 형성된 선단부가 스프링 샤프트(151)의 단면 대략 직사각형형상으로 형성된 통 구멍(151B) 내에 끼워 삽입되어, 상기 스프링 샤프트(151)에 대해 상대 회전 불능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스프링 샤프트(151)를 통해 나선형 스프링(147)의 부세력이 권취 드럼 유닛(6)에 웨빙(3)의 권취 방향으로 회전운동하도록 상시 힘을 가하는 구조로 된다.
또, 스프링 시트(152)의 측벽부(17) 측의 면에는 링 형상의 리브(157)가 세워 마련되어 있다. 상기 리브(157)는 권취 드럼 유닛(6)의 단가장자리부에 형성된 외측 플랜지(71)의 외주부를 덮도록 형성된다. 이 리브(157)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방사상으로 복수의 보강 리브(158)가 외주부까지 세워 마련되어 있다. 또, 이 복수의 보강 리브(158) 중, 하우징(12)의 측벽부(17)에 형성된 관통 구멍(57)의 하측 둘레가장자리부에 대향하는 각 보강 리브(158)의 상단부에는 위치 결정부(158A)가 형성되어 있다. 위치 결정부(158A)는 리브(157)의 외주면으로부터 관통 구멍(57)의 내주면에 대향하는 위치까지 측벽부(17)의 두께에 대략 동등한 높이로 돌출되어 있다.
스프링 시트(152)의 리브(157)의 외측에는 한 쌍의 원통 형상의 위치 결정 보스(159)가 세워 마련되어 있다. 또, 하우징(12)의 측벽부(17)에 형성된 관통 구멍(57)의 상측 둘레가장자리부에는 각 위치 결정 보스(159)가 끼워 넣어지는 한 쌍의 위치 결정 구멍(161)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잠금 유닛(7) 및 권취 스프링 유닛(8)의 하우징(12)의 각 측벽부(13,17)에의 장착에 대해 도 18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8은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1)의 통상 상태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우선, 측벽부(13) 상에 잠금 유닛(7)의 장착에 대해 도 18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유닛(7)은 각 나이래치(7A)에 의해서 측벽부(13)의 각 장착 구멍(15)에 회전축 방향 외측으로부터 장착된다. 또, 록킹 기어(91)의 축 구멍부(106A)에 잠금 기어(35)의 축부(83)가 끼워 넣어지는 동시에, 록킹 기어(91)의 각 볼록부(112)가 잠금 기어(35)의 래칫 기어(65)와 래칫 베이스(66)에 의해서 형성된 각 관통 구멍(89)에 끼워 넣어진다.
따라서, 잠금 기어(35)의 회전축 방향 외측의 단면에 록킹 기어(91)가 맞닿아진 상태에서, 상기 록킹 기어(91)가 잠금 기어(35)에 동축으로 상대 회전 불능으로 장착된다. 또, 록킹 기어(91)의 회전축부(106)는 메커니즘 커버(11)의 지지 보스(103)에 끼워 넣어져, 회전축부(106)의 기단부가 지지 보스(103)의 선단부에 맞닿아진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스토퍼 기구(88)를 구성하는 스토퍼 너트(63)는 고정 보스(78)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부(78A)에 암나사부(63B)가 외부 끼움 나사 결합되어, 고정 보스(78)의 축 방향 축받이 구멍(61A) 측의 안쪽 측 단부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스토퍼 너트(63)와 래칫 베이스(66)의 칼라 형상부(66B)의 사이에는 소정 간극(예를 들면 간극 약 3㎜임)이 형성되어 있다.
계속해서, 하우징(12)의 측벽부(17) 상에 권취 스프링 유닛(8)의 장착에 대해 도 18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 스프링 유닛(8)은 하우징(12)의 측벽부(17)에 형성된 한 쌍의 위치 결정 구멍(161)에 각 위치 결정 보스(159)를 끼워 넣으면서, 스프링 케이스(16)의 각 나이래치(8A)에 의해서 측벽부(17)의 각 장착 구멍(18)에 회전축 방향 외측으로부터 장착된다. 또, 스프링 시트(152)의 보스부(152A)에 권취 드럼(61)의 샤프트(68)가 끼워 삽입되는 동시에, 샤프트(68)의 단면이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선단부가 스프링 샤프트(151)의 단면이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원통 구멍(151B)에 끼워 삽입되어, 상기 스프링 샤프트(151)에 대해 상대 회전 불능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스프링 시트(152)의 보스부(152A)의 선단부가 권취 드럼(61)의 권취 스프링측 플랜지부(67)에 맞닿아진 상태에서, 권취 드럼(61)의 샤프트(68)의 원기둥형상의 기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 스프링 샤프트(151)를 통해 나선형 스프링(147)의 부세력이 권취 드럼 유닛(6)에 웨빙 권취 방향으로 회전운동하도록 상시 힘을 가한다. 또한, 각 보강 리브(158)의 위치 결정부(158A)는 측벽부(17)의 내측면과 대략 동일한 높이로 되도록 관통 구멍(57) 내에 끼워 넣어진다.
[스토퍼 기구의 작용]
다음에, 차량 충돌시 등의 긴급 시에 있어서의 스토퍼 기구(88)의 작용에 대해 도 11, 도 18 및 도 19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9는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1)의 스토퍼 기구(88)가 잠금 기어(35)와 권취 드럼(61)을 체결한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차량 충돌시 등의 긴급 시에는 차량 가속도 센서(28)의 관성 질량체(52)가 센서 홀더(51)의 저면부를 이동하여 센서 레버(53)를 연직 방향 상측으로 회전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상기와 같이, 센서 레버(53)의 잠금 발톱(53A)이 파일럿 레버(96)를 연직 방향 상측으로 회전운동시킨다. 그리고, 파일럿 레버(96)의 걸어 맞춤 발톱부(96A)이 록킹 기어(91)의 외주부에 형성된 록킹 기어 티스(91A)에 맞닿아진다.
그리고, 웨빙(3)이 인출되고(도 19 중, 화살표 '163' 방향임), 권취 드럼(61)이 웨빙 인출 방향으로 회전된 경우에는 파일럿 레버(96)의 걸어 맞춤 발톱부(96A)이 록킹 기어(91)의 외주부에 형성된 록킹 기어 티스(91A)에 걸어 맞춰져, 클러치(95)가 웨빙 인출 방향으로 회전운동한다. 이 때문에, 상기 클러치(95)의 가이드 구멍(131)에 안내된 폴(23)이 잠금 기어(35)의 래칫 기어 티스(65A)에 걸어 맞춰진다.
따라서, 차량 충돌시 등에 있어서, 웨빙(3)이 인출된 경우에는 폴(23)과 래칫 기어 티스(65A)의 걸어 맞춤에 의해서, 권취 드럼 유닛(6)의 잠금 기어(35)는 웨빙(3)의 인출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폴(23)과 래칫 기어 티스(65A)의 걸어 맞춤은 권취 드럼(61)을 웨빙 인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일 방향만으로의 걸어 맞춤 구조이다.
계속해서, 폴(23)과 잠금 기어(35)의 래칫 기어 티스(65A)의 걸어 맞춤이 아직 유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탑승자이 차량에 대해 상대적으로 앞 측으로 이동한 경우에는 웨빙(3)에 큰 인출 하중이 작용한다. 그리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빙(3)에 작용하는 인출 하중이 미리 설정된 소정값(예를 들면, 약 4KN임)을 넘어 인출된 경우에는 권취 드럼(61)에 웨빙 인출 방향(화살표 '165' 방향임)으로의 회전 토크가 작용한다.
잠금 기어(35)가 폴(23)에 의해서 회전이 저지되므로, 잠금 기어(35)의 끼워 맞춤 오목부(78B)에 압입된 토션 바(62)의 연결부(62B)는 웨빙 인출 방향으로의 회전이 저지된다. 따라서, 권취 드럼(61)에 작용하는 웨빙 인출 방향으로의 회전 토크에 의해, 토션 바(62)의 권취 드럼(61)의 축 구멍(61A)의 안쪽 측에 압입 고정된 연결부(62A) 측이 회전되고, 토션 바(62)의 축부(62C)의 비틀림 변형이 시작된다. 상기 토션 바(62)의 축부(62C)의 비틀린 변형에 수반해서 권취 드럼(61)이 웨빙 인출 방향으로 회전하고, 토션 바(62)의 비틀림 변형에 의한 충격 에너지의 흡수가 이루어진다.
또 동시에, 권취 드럼(61)이 회전된 경우에는 폴(23)과 잠금 기어(35)는 걸어 맞춰져 있으므로, 상기 잠금 기어(35)와 권취 드럼(61)의 상호 간에 있어서도 상대 회전이 생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스플라인(63A)이 끼워 맞춤 구멍(77B)의 내주면에 형성된 각 홈부(77A)에 끼워 넣어져 있으므로, 스토퍼 너트(63)는 권취 드럼(61)과 함께 웨빙 인출 방향(화살표 '165' 방향임)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스토퍼 너트(63)와 잠금 기어(35)의 고정 보스(78)와의 상호 간에 있어서도 상대 회전이 생기기 때문에, 고정 보스(78)의 수나사부(78A)에 나사 결합하는 스토퍼 너트(63)는 도 18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상기 고정 보스(78)의 기단부 측, 즉 권취 드럼(61)회전축 방향 외측(도 19 중, 화살표 '167' 방향임)으로 각 홈부(77A)를 따라 이동한다.
그리고, 토션 바(62)의 축부(62C)의 비틀림 변형량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설정 회전수(예를 들면, 약 1.5회전임)에 도달한 경우에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 너트(63)가 잠금 기어(35)의 고정 보스(78)의 기단부에 형성된 칼라 형상부(66B)에 맞닿는다. 이것에 의해, 상기 스토퍼 너트(63)와 고정 보스(78)는 상대 회전 불능으로 체결된다. 따라서, 잠금 기어(35)와 권취 드럼(61)은 스토퍼 기구(88)를 구성하는 끼워 맞춤 구멍(77B)에 내부 끼움된 스토퍼 너트(63)와 고정 보스(78)를 통해 상대 회전 불능으로 체결되고, 웨빙(3)의 인출이 잠긴다.
이에 따라, 차량 충돌시 등의 긴급 시에 웨빙(3)에 큰 인출 하중이 작용하고, 탑승자의 운동 에너지를 흡수하기 위해 토션 바(62)가 복수 회전 비틀림 변형하는 경우에도, 스토퍼 기구(88)는 잠금 기어(35)와 권취 드럼(61)이 상대 회전 불능으로 체결된다. 잠금 기어(35)와 권취 드럼(61)이 체결되는 것에 의해, 토션 바(62)의 비틀림 변형도 종료하고, 스토퍼 기구(88)는 토션 바(62)의 비틀림 변형량이 허용 가능한 회전수를 넘어 축부(62C)가 파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스토퍼 너트(63)가 잠금 기어(35)의 고정 보스(78)의 기단부에 형성된 칼라 형상부(66B)에 맞닿을 때까지의 토션 바(62)의 축부(62C)의 비틀림 변형량의 설정 회전수를 적절히 설정하는 것에 의해, 탑승자를 웨빙(3)으로 확실하게 구속하여, 스티어링 휠이나 프론트 유리 또는 앞부 좌석 등에 2차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여, 탑승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토션 바(62)가 비틀림 변형을 시작하는 웨빙(3)의 인출 하중의 소정값은 토션 바(62)의 길이, 직경, 재료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또, 스토퍼 너트(63)가 잠금 기어(35)의 칼라 형상부(66B)에 맞닿을 때까지의 토션 바(62)의 축부(62C)의 비틀림 변형량의 설정 회전수는 고정 보스(78)의 수나사부(78)의 길이나 스토퍼 너트(63)와 칼라 형상부(66B)의 간극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또, 스토퍼 기구(88)에 있어서, 고정 보스(78)의 수나사부(78A)와 스토퍼 너트(63)의 암나사부(63B)를 역 나사로 형성해도 좋다. 그리고, 토션 바(62)의 축부(62C)가 비틀림 변형되어, 잠금 기어(35)와 권취 드럼(61)의 상호 간에 있어서 상대 회전이 생긴 경우에는 스토퍼 너트(63)가 축 방향 내측으로 이동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그리고, 토션 바(62)의 축부(62C)의 비틀림 변형량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설정 회전수(예를 들면, 약 1.5회전임)에 도달한 경우에는 스토퍼 너트(63)의 각 스플라인(63A)이 각 홈부(77A)의 축 방향 안쪽측 단면에 맞닿고, 혹은 스토퍼 너트(63)가 끼워 맞춤 구멍(77B)의 축 방향 안쪽측 단면에 맞닿아, 스토퍼 너트(63)와 고정 보스(78)가 상대 회전 불능으로 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에 따라, 잠금 기어(35)와 권취 드럼(61)은 스토퍼 기구(88)를 구성하는 끼워 맞춤 구멍(77B)에 내부 끼움된 스토퍼 너트(63)와 고정 보스(78)를 통해 상대 회전 불능으로 체결되고, 웨빙(3)의 인출이 잠긴다.
또, 스토퍼 기구(88)에 있어서, 스토퍼 너트(63)를 권취 드럼(61)의 끼워 맞춤 구멍(77B)에 축 방향으로 이동 불능으로 장착하는 동시에, 잠금 기어(35)와 권취 드럼(61)의 사이에 축 방향의 간극를 마련하도록 해도 좋다. 상기 잠금 기어(35)와 권취 드럼(61)의 상호 간에 있어서 상대 회전이 생긴 경우에는 스토퍼 너트(63)가 권취 드럼(61)과 함께 축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그리고, 토션 바(62)의 축부(62C)의 비틀림 변형량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설정 회전수(예를 들면, 약 1.5회전임)에 도달한 경우, 스토퍼 너트(63)가 잠금 기어(35)의 고정 보스(78)의 기단부에 형성된 칼라 형상부(66B)에 맞닿아, 또는 권취 드럼(61)이 잠금 기어(35)에 맞닿아, 스토퍼 너트(63)와 고정 보스(78)가 상대 회전 불능으로 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에 따라, 잠금 기어(35)와 권취 드럼(61)은 스토퍼 기구(88)를 구성하는 끼워 맞춤 구멍(77B)에 내부 끼움된 스토퍼 너트(63)와 고정 보스(78)를 통해 상대 회전 불능으로 체결되고, 웨빙(3)의 인출이 잠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1)에서, 잠금 기어(35)는 외주면 래칫 기어 티스(65A)가 형성된 단면이 대략 링 형상인 래칫 기어(65)와 래칫 기어(65) 내에 끼워 넣어져 회전축 방향 외측 단가장자리부를 막도록 고정되는 래칫 베이스(66)를 구비한다.
또, 래칫 베이스(66)는 대략 원판형상의 베이스부(66A)와 권취 드럼(61) 내측에서 베이스부(66A)의 중앙에 장착된 원통 형상의 고정 보스(78)로 형성된다. 고정 보스(78)는 외주면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된 수나사부(78A)와 내측에 끼워 맞춤 오목부(78B)를 구비한다. 원판 형상의 베이스부(66A)는 고정 보스(78)의 기단부로부터 권취 드럼(61)의 회전축에 대해 반경 방향 외측에 전체 둘레에 걸쳐 돌출된 정면에서 보아 대략 링 형상의 칼라 형상부(66B)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래칫 기어(65)와 래칫 베이스(66)를 개별로 가공할 수 있기 때문에, 래칫 기어(65)의 래칫 기어 티스(65A)와 래칫 베이스(66)의 고정 보스(78)를 각각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 래칫 기어(65)와 래칫 베이스(66)를 개별로 가공할 수 있으므로, 래칫 기어(65)를 알루미늄 다이캐스트나 아연 다이캐스트 등에 의해 형성하고, 래칫 베이스(66)를 스틸재 등으로 형성하여, 다른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 보스(78)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부(78A)의 강도를 용이하게 확보하면서, 재료 및 제조 방법의 설계 자유도를 늘릴 수 있는 동시에, 잠금 기어(35)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토션 바(62)의 연결부(62B)가 상대 회전 불능으로 결합되는 고정 보스(78)를 래칫 기어(65)보다 고강도의 재료로 형성할 수 있고, 스토퍼 기구(88)의 체결 강도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설계의 최적화를 도모하여 제조 비용의 삭감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래칫 기어(65)와 래칫 베이스(66)를 별도의 부품으로 함으로써, 래칫 기어 티스(65A)와 고정 보스(78)의 수나사부(78A)을 개별로 가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래칫 기어(65)와 고정 보스(78)를 회전축 방향으로 떨어뜨려 배치하는 것을 회피하여, 고정 보스(78)에서 수나사부(78A)의 기단부가 래칫 기어(65)의 회전축 방향 내측에 배치된 잠금 기어(35)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스토퍼 너트(63)와 고정 보스(78)에 의해서 구성된 스토퍼 기구(88)의 축심 방향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고,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1)의 권취 드럼 유닛(6)의 회전축 방향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래칫 베이스(66)의 래칫 기어(65)에의 장착은 칼라 형상부(66B)의 외주부에 형성된 각 절결부(86)를 각 코킹 핀(82B)의 외주면에 맞닿게 하면서, 베이스부(66A)를 래칫 기어(65)의 관통 구멍(87)에 끼워 넣고, 칼라 형상부(66B)의 각 오목부(85)에 각 장착편(82)의 단차부(82A)를 끼워 넣어 맞닿게 한다. 그 후, 각 코킹 핀(82B)의 두부를 그 기단부의 오목부(82C) 및 서로 대향하는 절결부(86)의 둘레가장자리부로 확대되도록 소성 변형시킨다. 이것에 의해, 래칫 베이스(66)가 래칫 기어(65)의 내측에 상대 회전 불능으로 장착된다. 래칫 베이스(66)와 래칫 기어(65)의 일체화는 권취 드럼(61) 측에 탈락불능으로 고정되어, 잠금 기어(35)가 구성된다.
이에 따라, 래칫 베이스(66)는 각 오목부(85)에 래칫 기어(65)의 각 장착편(82)을 끼워 넣어 각 코킹 핀(82B)의 두부를 소성 변형시키는 것에 의해 래칫 기어(65)에 고정 장착된다. 따라서, 래칫 기어(65)에 래칫 베이스(66)를 장착하는 구조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고, 잠금 기어(35)의 축심 방향의 가일층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래칫 기어(65)와 래칫 베이스(66)를 용이하게 일체화할 수 있게 되고, 잠금 기어(35)의 조립 작업의 효율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래칫 베이스(66)의 평판형상의 베이스부(66A)가 래칫 기어(65)의 관통 구멍(87)에 끼워 맞춰져, 칼라 형상부(66B)의 각 오목부(85)에 각 장착편(82)의 단차부(82A)를 끼워 넣어 맞닿은 경우에는 이 베이스부(66A)의 권취 드럼(61)의 회전축 방향 외측면이 래칫 기어(65)의 회전축 방향 외측 단면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래칫 베이스(66)의 베이스부(66A)를 가능한 한 크게 하여, 잠금 기어(35)의 회전축 방향 외측 단면부의 대부분을 베이스부(66A)에 의해 형성함으로써, 잠금 기어(35)의 회전축 방향 외측 단면부의 박형화를 도모한다. 이것에 의해, 스토퍼 너트(63)의 이동량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고, 잠금 기어(35)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다. 또, 외주면에 수나사부(78A)가 형성된 고정 보스(78)의 기단부가 래칫 기어(65)의 내측에 위치하므로, 스토퍼 기구(88)의 축심 방향의 가일층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고정 보스(78)의 수나사부(78A)에 외부 끼움 나사 결합된 스토퍼 너트(63)는 권취 드럼(61)에 끼워 맞추어지고, 스토퍼 너트(63)의 외주면에 돌출 설치된 각 스플라인(63A)이 권취 드럼(61)의 단차부(77)의 내주면에 형성된 각 홈부(77A) 내에 내부 끼움되어 있다. 이에 따라, 차량 충돌시 등의 긴급 시에, 잠금 기어(35)와 권취 드럼(61)의 상호 간에 있어서 상대 회전할 때에, 스토퍼 너트(63)에 회전축 방향 외측으로 이동을 허용할 수 있다. 스토퍼 너트(63)가 회전을 허용할 때 잠금 기어(35)에 대한 권취 드럼(61)의 설정 회전수의 설정 자유도를 늘릴 수 있다.
또, 고정 보스(78) 상에 장착된 스토퍼 너트(63)는 래칫 기어(65)의 내측에 배치하고, 고정 보스(78)의 회전축 방향에 따른 스토퍼 너트(63)의 외측으로의 이동 이 래칫 기어(65)의 내측으로 제한된다. 이것에 의해,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1)의 축심 방향의 치수로의 영향을 억제하고, 스토퍼 너트(63)의 이동량을 확보하여, 잠금 기어(35)에 대한 권취 드럼(61)의 설정 회전수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 스토퍼 기구(88)는 스토퍼 너트(63)를 고정 보스(78)의 기단부에 형성된 칼라 형상부(66B)에 맞닿게 하는 것에 의해, 잠금 기어(35)와 권취 드럼(61)을 상대 회전 불능으로 체결하기 때문에, 체결 강도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 고정 보스(78)가 삽입되는 끼워 맞춤 구멍(77B)는 단차부(77) 내에 형성된다. 상기 단차부(77)는 대략 원통 형상이고, 권취 드럼(61)의 일단부에서 축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여 래칫 기어(65)의 래칫 기어 티스(65A)의 내측에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1)의 축심 방향의 치수에의 영향을 억제하면서, 권취 드럼(61)에 끼워 맞춤 구멍(77B)을 마련할 수 있는 동시에, 스토퍼 너트(63)의 이동량을 확보하여, 잠금 기어(35)에 대한 권취 드럼(61)의 설정 회전수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탑승자의 앞부 좌석과의 2차 충돌을 피하기 위해, 앞부 좌석과의 사이에서 허용되는 웨빙(3)의 인출량이 적은 경우에는 잠금 기어(35)에 대한 권취 드럼(61)의 설정 회전수를 최대 1.5회전으로 설정할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 보스(78)가 삽입되는 끼워 맞춤 구멍(77B)을 대략 원통 형상의 단차부(77) 내에 용이하게 마련할 수 있다. 따라서, 권취 드럼(61)의 일단부에서 회전축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단차부(77)의 축 방향의 치수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고,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1)의 축심 방향의 치수에의 영향을 억제하면서, 스토퍼 너트(63)의 이동량을 용이하게 확보하여, 스토퍼 기구(88)를 마련할 수 있다.
또, 단차부(77)의 끼워 맞춤 구멍(77B)의 축 방향 깊이는 권취 드럼(61)의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의 최대 깊이의 위치가 잠금 유닛측 플랜지부(76)의 위치에 근접하도록 마련되어 있고, 웨빙 삽입통과 구멍(74)의 잠금 유닛(7)측의 단가장자리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권취 드럼(61)에의 웨빙(3)의 장착에 영향을 주지 않고, 끼워 맞춤 구멍(77B)을 권취 드럼(61)의 잠금 유닛(7) 측의 단부에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단차부(77) 및 권취 드럼(61)의 일단부의 외주면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잠금 유닛 측 플랜지부(76)의 외경에 대해, 권취 드럼(61)에 웨빙(3)을 장착하는 영향을 고려하지 않고, 끼워 맞춤 구멍(77B)의 크기를 가능한 한 크게 할 수 있다. 즉, 끼워 맞춤 구멍(77B)의 크기는 기계적 강도 등을 고려한 후에 가능한 한 크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토퍼 너트(63)의 외경을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스토퍼 너트(63)의 강도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 스토퍼 너트(63)의 박형화가 가능하게 되므로, 스토퍼 기구(88)의 축심 방향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고, 더 나아가서는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1)의 축심 방향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고정 보스(78)의 외경을 크게 할 수 있으므로, 스토퍼 기구(88)의 기계적 강도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래칫 베이스(66)의 각 오목부(85)에 래칫 기어(65)의 각 장착편(82)을 끼워 넣는다. 그 후, 각 코킹 핀(82B)을 코킹한다. 이것에 의해, 6개의 단면이 직사각형인 관통 구멍(89)이 래칫 기어 티스(65A)에 대해 직경 방향 내측의 근방에 약 60도의 동일 중심 각도마다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상에 형성된다. 그리고, 잠금 기어(35)의 축부(83)를 록킹 기어(91)의 축 구멍부(106A)에 끼워 넣는 동시에, 록킹 기어(91)의 잠금 기어(35) 측의 단면에 사각기둥형상으로 세워 마련된 6개의 볼록부(112)를 각 관통 구멍(89)에 끼워 넣는다.
이에 따라, 잠금 기어(35)의 회전축 방향 외측의 단면에 록킹 기어(91)에 맞닿아진 상태에서, 잠금 기어(35)에 록킹 기어(91)가 동축으로 상대 회전 불능으로 장착된다. 또, 잠금 기어(35)의 축부(83)가 록킹 기어(91)의 회전축부(106)를 통해 메커니즘 커버(11)의 지지 보스(103) 내에 위치해서 축 지지된다.
따라서, 잠금 기어(35)의 회전축 방향 외측의 단면에 잠금 유닛(7)을 구성하는 록킹 기어(91)가 맞닿아지기 때문에, 잠금 기어(35)와 록킹 기어(91)의 사이에 간극을 마련할 필요가 없어지고, 잠금 기구(10)를 구성하는 잠금 유닛(7)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잠금 유닛(7)은 록킹 기어(91)와 클러치(95)의 사이와 클러치(95)와 메커니즘 커버(11)의 저면부(97)의 사이에 회전축 방향의 간극을 마련하면 좋다. 따라서, 상기 잠금 유닛(7) 내에 장착되는 회전축 방향의 소정 간극의 개소를 적게 하여 잠금 유닛(7)의 두께를 용이하게 박형화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는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1)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 차량 충돌시 등의 긴급 시, 잠금 기어(35)와 권취 드럼(61)의 상호 간에서 상대 회전할 때, 스토퍼 너트(63)가 고정 보스(78)의 기단부에 맞닿아, 잠금 기어(35)와 권취 드럼(61)이 상대 회전 불능으로 체결될 때까지 토션 바(62)의 축부(62C)가 비틀림 변형하여 충격 에너지를 흡수한다. 이에 따라, 차량 충돌시 등의 긴급 시에, 웨빙(3)의 인출이 잠길 때까지 토션 바(62)의 축부(62C)의 비틀림 변형에 의해 충격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고, 충격 에너지 흡수 기구의 구조의 간이화를 도모할 수 있다.
< 실시 예 2 >
다음에,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171)에 대해 도 20 내지 도 25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상기 도 1 내지 도 19에 나타내는 제1 실시형태와 관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1)의 구성 등과 동일 부호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1)의 구성 등과 동일 또는 상당 부분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171)의 개략 구성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1)와 대략 동일한 구성이다. 단,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171)는 권취 드럼 유닛(6) 대신에 도 20 및 도 21에 나타내는 권취 드럼 유닛(172)이 마련되어 있는 점에서 다르다.
[권취 드럼 유닛의 개략 구성]
먼저, 권취 드럼 유닛(172)의 개략 구성에 대해 도 20 내지 도 22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20 및 도 21는 권취 드럼 유닛(172)의 분해 사시도 이다. 도 22는 권취 드럼 유닛(172)의 와이어(173)를 포함하는 회전축에 대해 수직인 단면도이며, 와이어(173)를 인출하는 동작 설명도이다.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 드럼 유닛(172)의 구성은 토션 바(62), 스토퍼 너트(63), 래칫 베이스(66)가 마련된 권취 드럼 유닛(6)과 대략 동일한 구성이다. 단, 권취 드럼 유닛(172)은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기 위한 스테인리스제 등의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단면이 원형인 선재 형상의 와이어(173)를 구비한다. 따라서, 권취 드럼 유닛(172)은 권취 드럼(61) 대신에 권취 드럼(175) 및 래칫 기어(176)를 구비한다. 또, 잠금 기어(35) 대신에 권취 드럼 유닛(172)은 래칫 베이스(66)와 래칫 기어(176)로 구성되는 잠금 기어(177)를 구비한다.
권취 드럼(175)의 구성은 권취 드럼(61)과 대략 동일한 구성이지만, 잠금 유닛측 플랜지부(76)에서 회전축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원통 형상의 단차부(181)와 축 구멍(61A)과 동축에 형성되어 스토퍼 너트(63)가 내부 끼움되는 끼워 맞춤 구멍(77B)이 다른 구조이다. 또, 끼워 맞춤 구멍(77B)의 내주면에는 스플라인 형상을 갖는 6개의 홈부(77A)가 전체 깊이에 걸쳐, 약 60도의 동일 중심 각도마다 형성되어 있다. 6개의 홈부(77A)의 각각에서 스토퍼 너트(63)의 외주면에서 약 60도의 동일 중심 각도마다 축 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각형의 각 스플라인(63A)이 끼워 넣어진다.
또, 도 20 및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차부(181)의 외주면에는 와이어(173)의 일단의 굴곡부(173A)가 끼워 넣어 유지되는 유지측 굴곡로(182)가 일체 형성되어 있다. 이 유지측 굴곡로(182)는 잠금 유닛측 플랜지부(76)의 축 방향 외측면에서 돌출되는 정면에서 보아 반경 방향 내측 방향의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된 볼록부(183), 단차부(181)의 외주면으로부터 볼록부(183)에 대향하는 끼워 맞춤 구멍(77B)의 내주면에 도달하는 오목부(184), 이 오목부(184)의 정면에서 보아 반시계 방향 측(도 22 중, 반시계 방향측임)의 단부에서 조금 떨어진 단차부(181)의 외주면으로부터 정면에서 보아 반시계 방향으로 경사진 비스듬히 내측 방향에 형성된 홈부(185), 단차부(181)의 오목부(184)와 홈부(185) 사이의 외주면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또, 볼록부(183)와 오목부(184)의 반경 방향에 대해 비스듬히 경사진 각 대향면에는 유지측 굴곡로(182)의 깊이 방향을 따라 한 쌍의 서로 대향하는 가느다란 리브가 세워 마련된다. 즉, 한 쌍의 서로 대향하는 가느다란 리브는 둘레 방향 홈부(185) 측의 대향면에 마련되고, 홈부(185)에 대해 둘레 방향 반대 측의 대향면에는 2조의 서로 대향하는 가느다란 리브가 마련되어 있다. 또, 서로 대향하는 리브간의 거리는 와이어(173)의 외경보다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리브의 유지측 굴곡로(182)의 저면부로부터의 높이는 와이어(173)의 외경 이상의 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와이어(173)의 일단의 굴곡부(173A)는 각 리브를 밀어 찌그러뜨리면서 유지측 굴곡로(182)에 끼워 넣어져 고정 유지된다. 또, 와이어(173)는 굴곡부(173A)에 연속해서 형성되는 정면에서 보아 대략 역 U자 형상의 굴곡부(173B)는 잠금 유닛 측 플랜지부(76)의 외주보다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와이어(173)의 굴곡부(173B)에 연속해서 형성되는 굴곡부(173C)는 단차부(181)의 외주면을 따른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20 내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칫 기어(176)는 래칫 기어(65)와 대략 동일한 구성이지만, 플랜지부(81)의 외주부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정면에서 보아 선단측이 좁은 소정 중심 각도(예를 들면, 중심 각도 약 60도임)의 대략 사다리꼴형상으로 연장된 사다리꼴 형상부(187)가 형성된 것이 다르다. 이 사다리꼴 형상부(187)의 권취 드럼(175) 측의 내측면에는 사다리꼴 형상부(187)에서 회전축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대략 산형의 볼록부(188)가 대략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다. 와이어(173)의 정면에서 보아 대략 역 U자 형상의 굴곡부(173B)가 볼록부(188)에 끼워 넣어진다.
또, 플랜지부(81)의 권취 드럼(175) 측의 내측면에는 사다리꼴 형상부(187)의 외주 가장자리부를 따라 대략 직각 외측 방향(도 20 중, 좌측 방향임)으로 연장된 플랜지부(189)가 형성되어 있다. 또, 이 플랜지부(189)의 내주부와 볼록부(188)의 외주부는 정면에서 보아 대략 역 U자 형상의 변형 부여 굴곡로(191)를 형성한다(도 22 참조). 와이어(173)는 변형 부여 굴곡로(191)를 통해 안내되어 인출된다.
권취 드럼(175) 및 잠금 기어(177)에의 와이어(173) 장착에 대해 도 20 내지 도 22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20 내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173)의 일단측의 대략 S자 형상으로 굴곡되어 있는 굴곡부(173A)를 권취 드럼(175)의 잠금 유닛 측 플랜지부(76)와 단차부(181)에 형성된 유지측 굴곡로(182) 내에 끼워 넣는다. 또, 와이어(173)의 굴곡부(173A)가 유지측 굴곡로(182)에 삽입될 때 각 리브를 찌부러진다. 굴곡부(173A)에 연속해서 형성되는 정면에서 보아 대략 역 U자 형상의 굴곡부(173B)는 잠금 유닛측 플랜지부(76)의 외주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또, 와이어(173)의 굴곡부(173B)에 연속해서 형성되는 원호형상의 굴곡부(173C)를 단차부(181)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한다. 이에 따라, 와이어(173)의 일단측의 굴곡부(173A)가 권취 드럼(175)의 잠금 유닛측 플랜지부(76)와 단차부(181)에 형성된 유지측 굴곡로(182) 내에 끼워 넣어져 고정 유지되는 동시에, 와이어(173)의 굴곡부(173C)가 잠금 유닛측 플랜지부(76)에 대향한 상태에서 배치된다.
한편, 잠금 기어(177)의 조립은 우선, 래칫 베이스(66)의 칼라 형상부(66B)의 외주부에 형성된 각 절결부(86)를 래칫 기어(176)의 각 장착편(82)의 코킹 핀(82B)에 대향시키면서, 베이스부(66A)의 축 방향 외측면에 세워 마련된 축부(83)를 래칫 기어(176)내(도 20 중, 우측 방향임)에 삽입 통과시킨다.
다음에, 칼라 형상부(66B)의 외주부에 형성된 각 절결부(86)를 각 코킹 핀(82B)의 외주면에 맞닿게 하면서, 칼라 형상부(66B)의 각 오목부(85)에 각 장착편(82)의 단차부(82A)를 끼워 넣어 맞닿는다. 그 후, 각 코킹 핀(82B)의 두부를 그 기단부의 오목부(82C) 및 서로 대향하는 절결부(86)의 둘레가장자리부, 주로 칼라 형상부(66B)의 절결부(86)의 둘레가장자리부에 확대되도록 소성 변형시킨다. 이에 따라, 래칫 베이스(66)가 래칫 기어(176)의 내측에 상대 회전 불능으로 장착된다. 래칫 베이스(66)와 래칫 기어(176)의 일체화가 권취 드럼(175) 측으로 탈락 불능으로 고정되어, 잠금 기어(177)가 구성된다.
따라서, 래칫 기어(176)의 각 장착편(82)의 둘레가장자리부에 의해서, 래칫 베이스(66)의 베이스부(66A)가 끼워 맞춰지는 관통 구멍(87)이 형성된다. 또,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보스(78)의 수나사부(78A)는 기단부측의 부분이 래칫 기어(176)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계속해서, 잠금 기어(177)의 고정 보스(78)의 수나사부(78A)에 스토퍼 너트(63)의 암나사부(63B)를 나사 결합한다. 즉, 스토퍼 기구(88)를 구성하는 스토퍼 너트(63)를 고정 보스(78)에 대해 외부 끼움 나사 결합한다. 그리고, 스토퍼 너트(63)를 회전시켜, 고정 보스(78)와 스토퍼 너트(63)의 각각의 축 방향 권취 드럼(175)측의 단면을 대략 동일 면상에 위치하도록 한다.
다음에, 스토퍼 너트(63)의 외주면에 돌출 설치된 각 스플라인(63A)을 단차부(181)의 끼워 맞춤 구멍(77B)의 내주면에 형성된 각 홈부(77A)에 끼워 넣으면서, 토션 바(62)의 잠금 기어(177)에의 삽입측 단부에 마련된 연결부(62B)를 고정 보스(78)의 끼워 맞춤 오목부(78B)내에 압입한다. 또, 동시에 권취 드럼(175)의 잠금 유닛측 플랜지부(76)의 외주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와이어(173)의 정면에서 보아 대략 역 U자 형상의 굴곡부(173B)를 잠금 기어(177)의 플랜지부(81)의 사다리꼴형상부(187)에 마련된 볼록부(188)의 외주부에 형성된 변형 부여 굴곡로(191) 내에 끼워 넣는다.
이에 따라, 권취 드럼(175)의 잠금 유닛측 플랜지부(76)와 잠금 기어(177)의 사이에 와이어(173)가 배치되는 동시에, 잠금 기어(177)가 토션 바(62)를 통해 권취 드럼(175)에 대해 상대 회전 불능으로 장착된다. 또, 스토퍼 기구(88)를 구성하는 스토퍼 너트(63)가 단차부(181)의 끼워 맞춤 구멍(77B)에 대해 상대 회전 불능 이고 회전축 방향 외측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내부 끼움된다.
[에너지 흡수]
상기와 같이, 차량 충돌시 등의 긴급 시, 웨빙(3)이 인출된 경우에는 폴(23)과 래칫 기어 티스(65A)의 걸어 맞춤에 의해, 권취 드럼 유닛(172)의 잠금 기어(177)는 웨빙(3)의 인출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폴(23)과 래칫 기어 티스(65A)와의 걸어 맞춤은 권취 드럼(175)을 웨빙 인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일 방향만으로의 걸어 맞춤 구조이다.
계속해서, 폴(23)의 잠금 기어(177)의 래칫 기어 티스(65A)의 걸어 맞춤이 아직 유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탑승자가 차량에 대해 상대적으로 앞측으로 이동한 경우에는 웨빙(3)에 큰 인출 하중이 작용한다. 그리고,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빙(3)에 작용하는 인출 하중이 미리 설정된 소정값인 임계값(예를 들면, 인출 하중의 임계값은 약 4KN임)을 넘어 인출된 경우, 권취 드럼(175)에 웨빙 인출 방향(화살표 '192' 방향임)으로 회전 토크가 작용한다.
그리고, 잠금 기어(177)는 폴(23)에 의해서 회전이 저지되므로, 잠금 기어(177)의 끼워 맞춤 오목부(78)에 압입된 토션 바(62)의 연결부(62B)는 웨빙 인출 방향으로의 회전이 저지된다. 따라서, 권취 드럼(175)에 작용하는 웨빙 인출 방향으로 회전 토크에 의해, 토션 바(62)의 권취 드럼(175)의 축 구멍(61A)의 안쪽 측에 압입 고정된 연결부(62A) 측이 회전되고, 토션 바(62)의 축부(62C)의 비틀림 변형이 시작된다. 이 토션 바(62)의 축부(62C)의 비틀림 변형에 수반해서 권취 드럼(175)이 웨빙 인출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1 에너지 흡수 기구"로서의 토션 바(62)의 비틀림 변형에 의한 충격 에너지의 흡수가 이루어진다.
또 동시에, 권취 드럼(175)이 회전된 경우에는 폴(23)과 잠금 기어(177)가 걸어 맞춰져 있으므로, 상기 잠금 기어(177)와 권취 드럼(175)의 상호 간에서도 상대 회전이 생긴다. 그것에 의해, 권취 드럼(175)의 회전에 수반해서 와이어(173)와 잠금 기어(177)의 상호 간에서도 상대 회전이 생겨 "제2 에너지 흡수 기구"로서의 와이어(173)에 의한 충격 에너지의 흡수가 이루어진다.
[와이어의 인출 동작]
여기서, 와이어(173)에 의해서 충격 에너지를 흡수할 때의 상기 와이어(173)의 동작에 대해 도 22 내지 도 25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23 내지 도 25는 와이어(173)를 인출하는 동작 설명도 이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 드럼(175)과 잠금 기어(177)의 초기 상태에 서 권취 드럼(175)의 유지측 굴곡로(182)를 구성하는 볼록부(183)와 오목부(184)의 와이어(173)이 출구측 단부는 플랜지부(81)의 사다리꼴 형상부(187)에 돌출 설치된 볼록부(188)의 외주부에 형성된 변형 부여 굴곡로(191)의 인출측 단부의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와이어(173)의 대략 S자 형상의 굴곡부(173A)는 권취 드럼(175)의 볼록부(183)와 오목부(184)와 홈부(185)에 의해 구성된 유지측 굴곡로(182) 내에 끼워 넣어져 고정 유지되어 있다. 또, 와이어(173)의 굴곡부(173A)에 연속하는 정면에서 보아 대략 역 U자 형상의 굴곡부(173B)는 사다리꼴 형상부(187)에 돌출 설치된 볼록부(188)의 외주부에 형성된 변형 부여 굴곡로(191) 내에 끼워 넣어져 있다. 이에 따라, 유지측 굴곡로(182)의 와이어(173)의 출구 측 단부와 변형 부여 굴곡로(191)의 인출 측 단부가 와이어(173)를 통해 대략 일직선형상으로 되도록 대향하고 있다.
그리고, 도 22 내지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빙(3)의 인출에 의해서 권취 드럼(175)이 웨빙 인출 방향(화살표 '192' 방향임)으로 회전한 경우, 잠금 기어(177)는 폴(23)에 의해서 회전이 저지되고, 권취 드럼(175)의 회전에 수반해서 단차부(181)가 잠금 기어(177)의 사다리꼴 형상부(187)에 대해 웨빙 인출 방향(화살표 '192' 방향임)으로 상대 회전되어 간다.
이에 따라, 단차부(181)의 유지측 굴곡로(182)에 굴곡부(173A)가 고정 유지된 와이어(173)는 먼저 화살표 '193' 방향으로 인출되고, 사다리꼴 형상부(187)의 외주부에서 돌출되는 플랜지부(189)와 사다리꼴 형상부(187)의 중앙부에 돌출되는 볼록부(188)에 의해 형성되는 정면에서 보아 대략 역 U자 형상의 변형 부여 굴곡로(191)에 의해 주어진 변형의 영향을 받고, 결국 단차부(181)의 외주면에 권취된다.
또한, 이때에는 와이어(173)의 인출과 동시에, 권취 드럼(175)의 회전에 수반해서 토션 바(62)도 비틀림 변형되어 있다. 또, 동시에 권취 드럼(175)이 회전된 경우, 폴(23)과 잠금 기어(177)가 걸어 맞춰져 있으므로, 상기 잠금 기어(177)와 권취 드럼(175)의 상호 간에 있어서도 상대 회전이 생긴다. 그것에 의해, 스토퍼 너트(63)는 각 스플라인(63A)이 끼워 맞춤 구멍(77B)의 내주면에 형성된 각 홈부(77A)에 끼워 넣어져 있기 때문에, 권취 드럼(175)과 함께 웨빙 인출 방향(화살표 '192' 방향임)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스토퍼 너트(63)와 잠금 기어(177)의 고정 보스(78)의 상호 간에 있어서도 상대 회전이 생기므로, 고정 보스(78)의 수나사부(78A)에 나사 결합되는 스토퍼 너트(63)는 상기 고정 보스(78)의 기단부측, 즉 권취 드럼(175)의 회전축 방향 외측(도 20 중, 우측 방향임)으로 각 홈부(77A)를 따라 이동한다.
또, 정면에서 보아 대략 역 U자 형상의 변형 부여 굴곡로(191)를 와이어(173)가 변형되면서 통과할 때, 와이어(173)는 변형 부여 굴곡로(191)의 인출 측 단부의 단차부(181)의 회전 방향(화살표 '192' 방향임) 측의 측면부와 볼록부(188)의 외주면으로 슬라이딩하면서 통과한다. 이것에 의해, 볼록부(188)와 와이어(173)의 상호 간에 슬라이딩 저항이 생기는 동시에, 와이어(173) 자체에 의한 굴곡 저항이 생긴다. 따라서, 이들 슬라이딩 저항과 굴곡 저항에 의한 인출 저항에 의해 와이어(173)에 의한 충격 에너지의 흡수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 드럼(175)의 회전에 수반해서, 와이어(173)의 굴곡부(173C)의 단부가 변형 부여 굴곡로(191)로부터 이탈한 시점에서, 상기 와이어(173)에 의한 충격 에너지의 흡수 작용은 종료한다. 이후는 권취 드럼(175)의 회전에 수반해서 토션 바(62)의 비틀림 변형에 의한 충격 에너지의 흡수로만 된다.
또, 토션 바(62)의 축부(62C)의 비틀림 변형량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설정 회전수(예를 들면, 약 1.5회전임)에 도달한 경우, 스토퍼 너트(63)가 잠금 기어(177)의 고정 보스(78)의 상단부에 형성된 칼라 형상부(66B)에 맞닿아, 스토퍼 너트(63)와 고정 보스(78)가 상대 회전 불능으로 체결된다. 이에 따라, 잠금 기어(177)와 권취 드럼(175)은 스토퍼 기구(88)를 구성하는 스토퍼 너트(63)와 고정 보스(78)를 통해 상대 회전 불능으로 체결되고, 웨빙(3)의 인출이 잠긴다.
이것에 의해, 차량 충돌시 등의 긴급 시에 웨빙(3)에 큰 인출 하중이 작용했을 때, 탑승자의 운동 에너지를 흡수하기 위해, 토션 바(62)가 복수 회전 비틀림 변형되는 경우에도 스토퍼 기구(88)는 잠금 기어(177)와 권취 드럼(175)이 상대 회전 불능으로 체결한다. 잠금 기어(177)와 권취 드럼(175)의 체결에 의해 토션 바(62)의 비틀림 변형도 종료하므로, 스토퍼 기구(88)는 비틀림 변형량이 허용 가능한 회전수를 넘어 축부(62C)가 파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스토퍼 너트(63)가 잠금 기어(177)의 고정 보스(78)의 기단부에 형성된 칼라 형상부(66B)에 맞닿을 때까지 토션 바(62)의 축부(62C)의 비틀림 변형량의 설정 회전수를 적절하게 설정하는 것에 의해, 탑승자를 웨빙(3)으로 구속하여 스티어링 휠이나 프론트 유리 또는 앞부 좌석 등에 2차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여, 탑승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기어(177)에 대한 권취 드럼(175)의 상대 회전에 수반해서, 와이어(173)의 굴곡부(173C)의 단부가 변형 부여 굴곡로(191)로부터 이탈한 시점, 혹은 이탈하기 조금 전의 시점에서, 스토퍼 너트(63)가 잠금 기어(177)의 고정 보스(78)의 기단부에 형성된 칼라 형상부(66B)에 맞닿아, 스토퍼 너트(63)와 고정 보스(78)가 상대 회전 불능으로 체결되도록 해도 좋다.
이에 따라, 와이어(173)의 인출 저항과 토션 바(62)의 비틀림 변형에 의한 충격 에너지의 흡수가 동시에 실행되어 있는 상태에서 웨빙(3)의 인출이 잠기기 때문에, 탑승자를 웨빙(3)으로 구속하여 스티어링 휠이나 프론트 유리 또는 앞부 좌석 등에 2차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여, 탑승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사다리꼴 형상부(187)를 권취 드럼(175)의 잠금 유닛측 플랜지부(76)에 형성하고, 변형 부여 굴곡로(191)를 권취 드럼(175) 측에 마련하는 동시에, 볼록부(183), 오목부(184), 홈부(185)를 잠금 기어(177) 측에 형성하여 유지측 굴곡로(182)를 잠금 기어(177) 측에 마련하고, 잠금 기어(177) 측에서 와이어(173)를 유지시켜도 좋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잠금 기어(177)와 권취 드럼(175)의 상호 간에서의 상대 회전에 의해, 권취 드럼(175)의 회전에 수반해서 와이어(173)와 권취 드럼(175)의 상호 간에서도 상대 회전이 생겨, "제2 에너지 흡수 기구"로서의 와이어(173)에 의한 충격 에너지의 흡수가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171)에서, 와이어(173)의 일단측의 대략 S자 형상으로 굴곡되어 있는 굴곡부(173A)가 권취 드럼(175)의 잠금 유닛측 플랜지부(76)와 단차부(181)에 형성된 유지측 굴곡로(182)에 끼워 넣어 유지되어 있다. 또, 와이어(173)의 굴곡부(173A)에 연속해서 형성되는 정면에서 보아 대략 역 U자 형상의 굴곡부(173B)가 잠금 기어(177)의 플랜지부(81)의 사다리꼴 형상부(187)에 형성된 변형 부여 굴곡로(191) 내에 배치된다.
그리고, 차량 충돌시 등의 긴급 시, 잠금 기어(177)와 권취 드럼(175)의 상호간에 있어서 상대 회전할 때, 스토퍼 너트(63)가 고정 보스(78)의 기단부에 맞닿아, 잠금 기어(177)와 권취 드럼(175)이 상대 회전 불능으로 체결될 때까지 와이어(173)의 인출 저항과 토션 바(62)의 비틀림 변형에 의해서 충격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1)가 갖는 효과에 부가해서, 차량 충돌시 등의 긴급 시, 웨빙(3)의 인출이 잠길 때까지 와이어(173)의 인출 저항과 토션 바(62)의 축부(62C)의 비틀림 변형에 의해 충격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어, 충격 에너지 흡수 기구의 구조의 간이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토션 바(62)의 축부(62C)의 비틀림 변형량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설정 회전수(예를 들면, 약 1.5회전임)를 가변 설정하는 것에 의해, 와이어(173)의 인출 저항과 토션 바(62)의 비틀림 변형에 의한 충격 에너지의 흡수가 동시에 실행되고 있는 상태, 토션 바(62)의 비틀림 변형에 의한 충격 에너지의 흡수만이 실행되고 있는 상태 등의 임의의 시점에서 웨빙(3)의 인출을 잠그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실시형태 및 제2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각종 개량, 변형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해도 좋다.
(A) 예를 들면, 래칫 기어(65) 또는/및 래칫 기어(176)의 각 장착편(82)의 기단부로부터 반경 방향 중앙부까지 양측가장자리부를 둘레 방향에 접속해서, 각 관통 구멍(89)을 형성하지 않도록 해도 좋다. 또, 래칫 베이스(66)의 축부(83)의 선단측을 단면 직사각형으로 형성해도 좋다. 또한, 록킹 기어(91)의 6개의 볼록부(112)를 생략하고, 축 구멍부(106A)를 축부(83)가 끼워 넣어지는 단면 직사각형으로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이에 따라, 래칫 기어(65) 또는/및 래칫 기어(176)의 각 장착편(82)의 기단부의 둘레 방향 양측가장자리부가 둘레 방향에 접속다. 이것에 의해, 래칫 기어(65) 또는/및 래칫 기어(176)의 기계적 강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잠금 기어(35) 또는/및 잠금 기어(177)의 회전축 방향 외측의 단면에 잠금 유닛(7)을 구성하는 록킹 기어(91)가 맞닿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잠금 기어(35) 또는/및 잠금 기어(177)와 록킹 기어(91)의 사이에 간극을 마련할 필요가 없어지고, 잠금 기구(10)를 구성하는 잠금 유닛(7)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B) 또, 예를 들면 잠금 기어(35) 또는/및 잠금 기어(177)를 알루미늄재와 스틸재 등의 금속재로부터 깍아냄 등에 의해서 일체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실시형태 또는/및 제2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C) 예를 들면, 제2 실시형태에 관한 권취 드럼 유닛(172)에 있어서, 토션 바(62)를 마련하지 않도록 해도 좋다. 그리고, 이 경우에는 잠금 기어(177)에 대한 권취 드럼(175)의 상대 회전에 수반해서, 와이어(173)의 굴곡부(173C)의 단부가 변형 부여 굴곡로(191)에서 이탈한 시점 또는 이탈하기 조금 전의 시점에서, 스토퍼 너트(63)가 잠금 기어(177)의 고정 보스(78)의 기단부에 형성된 칼라 형상부(66B)가 맞닿아, 스토퍼 너트(63)와 고정 보스(78)가 상대 회전 불능으로 체결되도록 해도 좋다.
이에 따라, 와이어(173)의 인출 저항에 인한 충격 에너지의 흡수가 실행되어 있는 상태에서 웨빙(3)의 인출이 잠기므로, 탑승자를 웨빙(3)으로 구속하여, 스티어링 휠이나 프론트 유리 또는 앞부 좌석 등에 2차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여, 탑승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Claims (14)

  1. 웨빙이 감겨지는 권취 드럼,
    상기 권취 드럼의 일단부에 근접 배치되어, 상기 권취 드럼에 대해 상대 회전 불능으로 결합된 잠금 부재를 갖는 잠금 기구,
    상기 권취 드럼과 상기 잠금 부재의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권취 드럼과 상기 잠금 부재의 상대 회전에 의한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는 에너지 흡수 기구,
    상기 권취 드럼이 상기 잠금 부재에 대해 설정 회전수로 회전 때, 상기 잠금 부재와 상기 권취 드럼 사이의 상대 회전을 정지시키는 스토퍼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 부재는 긴급 시에 웨빙 인출 방향으로의 회전을 저지하고, 상기 잠금 부재가 웨빙 인출 방향으로의 회전을 저지한 상태에서 상기 웨빙의 인출력이 소정값을 넘은 경우, 상기 권취 드럼은 상기 잠금 부재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되고,
    상기 잠금 부재는
    상기 권취 드럼에 대향하는 내측의 저면에 의해서 밀폐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외주에 잠금 티스가 형성되고, 상기 권취 드럼과 동심의 밀폐 원통 형상부와,
    상기 밀폐 원통 형상부의 축방향을 따라, 권취 드럼을 향해 상기 권취 드럼과 동심으로 상기 내측의 저면에 세워 마련되고, 상기 권취 드럼의 일단부 측에 형성된 끼워 맞춤 구멍에 삽입되는 고정 보스를 구비하고,
    상기 권취 드럼의 일단부에는 상기 권취 드럼의 회전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밀폐 원통 형상부에 삽입되는 동시에 상기 끼워 맞춤 구멍이 형성된 단차부가 마련되고,
    상기 스토퍼 기구는 상기 고정 보스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외부끼움 나사결합되는 동시에 상기 권취 드럼에 대해 상대 회전 불능이고 또한 상기 권취 드럼의 회전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끼워 맞춤 구멍에 내부끼움되고, 상기 잠금 부재에 대한 상기 권취 드럼의 상대 회전에 의해 상기 고정 보스에 대해 상대 회전함에 의해 상기 고정 보스의 기단부측으로 이동 가능한 링형상의 링 부재를 갖고,
    상기 잠금 부재에 대한 상기 권취 드럼의 상대 회전수가 상기 설정 회전수에 도달했을 때에, 상기 링 부재가 상기 고정 보스의 기단부에 맞닿아 이동이 저지됨으로써 상기 잠금 부재와 상기 권취 드럼이 상대 회전 불능으로 체결되고,
    상기 고정 보스의 기단부는 상기 권취 드럼의 축 방향에서 상기 밀폐 원통 형상부의 내측이고 또한 상기 밀폐 원통 형상부의 잠금 티스의 반경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부재는
    상기 밀폐 원통 형상부를 갖는 래칫 기어 부재와
    상기 래칫 기어 부재에 상대 회전 불능으로 상기 래칫 기어 부재에 장착되고, 상기 고정 보스가 중앙부에 마련된 고정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워 맞춤 구멍은 상기 권취 드럼의 축 방향에서 최대 깊이의 위치가 상기 권취 드럼의 일단부의 외주면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플랜지부의 위치에 근접하도록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래칫 기어 부재는 상기 밀폐 원통 형상부의 내측의 저면에 관통 구멍이 형성된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관통 구멍의 적어도 일부에 끼워 넣어지도록 상기 결합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관통 구멍의 내주면에서 상기 권취 드럼의 회전축에 대해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된 복수의 장착편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고정 보스의 기단부에서 상기 권취 드럼의 회전축에 대해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칼라 형상부를 구비하고,
    상기 칼라 형상부는 반경 방향 외측 둘레가장자리부에 상기 복수의 장착편이 각각 끼워 넣어지는 복수의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칼라 형상부를 상기 결합부에 장착했을 때, 상기 복수의 오목부에 상기 복수의 장착편이 끼워 넣어진 상태에서, 상기 고정 부재가 상기 래칫 기어 부재에 상대 회전 불능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래칫 기어 부재는 상기 결합부에 세워 마련된 복수의 핀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칼라 형상부의 외주부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핀이 끼워 넣어지는 복수의 절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핀의 두부는 상기 복수의 절결부에 끼워 넣어졌을 때 상기 절결부에서 돌출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복수의 핀이 상기 복수의 절결부에 끼워 넣어진 후, 상기 복수의 핀의 두부를 상기 칼라 형상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소성 변형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래칫 기어 부재에 장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 형상부는 상기 권취 드럼에 대해 축 방향 단부에서 상기 고정 부재 상에 마련되고,
    상기 칼라 형상부는 상기 칼라 형상부가 상기 래칫 기어 부재의 상기 권취 드럼의 회전축 방향에서의 상기 권취 드럼과는 반대측의 단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결합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래칫 기어 부재보다 고강도의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12. 삭제
  13. 제1항 및 제2항 및 제6항 내지 제1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흡수 기구는 상기 권취 드럼에 끼워 삽입되어 축 방향 일단 측이 상기 권취 드럼의 타단부에 상대 회전 불능으로 결합되고, 축 방향 타단 측이 상기 고정 보스에 상대 회전 불능으로 결합된 토션 바를 포함하고, 상기 토션 바는 상기 권취 드럼과 상기 잠금 부재 사이의 상대 회전에 의한 비틀림 변형에 의해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14. 삭제
KR1020157003890A 2012-07-13 2013-07-03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KR1020831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57421 2012-07-13
JP2012157421A JP6026162B2 (ja) 2012-07-13 2012-07-13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
PCT/JP2013/068259 WO2014010487A1 (ja) 2012-07-13 2013-07-03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8076A KR20150038076A (ko) 2015-04-08
KR102083176B1 true KR102083176B1 (ko) 2020-04-14

Family

ID=49915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3890A KR102083176B1 (ko) 2012-07-13 2013-07-03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688237B2 (ko)
JP (1) JP6026162B2 (ko)
KR (1) KR102083176B1 (ko)
DE (1) DE112013003523B4 (ko)
WO (1) WO20140104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50427B2 (ja) * 2013-02-12 2017-12-20 芦森工業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
JP2015150902A (ja) * 2014-02-10 2015-08-24 芦森工業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
JP6433696B2 (ja) 2014-06-27 2018-12-05 Joyson Safety Systems Japan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及びシートベルト装置
JP2016101793A (ja) * 2014-11-27 2016-06-02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ェビング巻取装置
DE102016104614B4 (de) * 2016-03-14 2018-04-05 Autoliv Development Ab Gurtaufroller mit einer Kraftbegrenzungseinrichtung
CN108015136B (zh) * 2017-11-06 2019-02-22 安徽福瑞尔铝业科技有限公司 一种铝合金板材卷圆机
JP6933988B2 (ja) * 2018-02-16 2021-09-08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ェビング巻取装置
US10625709B2 (en) 2018-09-17 2020-04-21 Autoliv Asp, Inc. Seat belt retractor assembly
JP7151364B2 (ja) * 2018-10-17 2022-10-12 Joyson Safety Systems Japan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US11059451B2 (en) 2019-03-15 2021-07-13 Autoliv Asp, Inc. Seat belt retractor with auxiliary spool locking system
JP2022069979A (ja) * 2020-10-26 2022-05-12 芦森工業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
CN115139970B (zh) * 2021-03-30 2023-10-13 比亚迪股份有限公司 安全带卷绕轴机构、安全带卷绕装置和车辆
CN113119905A (zh) * 2021-05-31 2021-07-16 延锋汽车智能安全系统有限责任公司 安全带卷收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40618A (ja) * 2006-06-16 2006-09-14 Ashimori Ind Co Ltd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JP2010089528A (ja) * 2008-10-03 2010-04-22 Autoliv Development Ab シートベルト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52779B2 (ja) * 1997-11-28 2003-09-29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回転量制限装置及び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3836971B2 (ja) * 1998-02-05 2006-10-25 芦森工業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DE10141915C1 (de) * 2001-08-28 2002-12-12 Autoliv Dev Gurtaufroller mit mechanisch schaltbarem Kraftbegrenzer
US7152824B2 (en) * 2003-04-15 2006-12-26 Takata Corporation Seat belt retractor and seat belt device equipped with the same
JP5411667B2 (ja) 2009-11-20 2014-02-12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40618A (ja) * 2006-06-16 2006-09-14 Ashimori Ind Co Ltd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JP2010089528A (ja) * 2008-10-03 2010-04-22 Autoliv Development Ab シートベルト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13003523B4 (de) 2023-01-19
KR20150038076A (ko) 2015-04-08
US9688237B2 (en) 2017-06-27
JP2014019207A (ja) 2014-02-03
JP6026162B2 (ja) 2016-11-16
WO2014010487A1 (ja) 2014-01-16
US20150158457A1 (en) 2015-06-11
DE112013003523T5 (de) 2015-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3176B1 (ko)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US8827196B2 (en) Seatbelt retractor
KR102083177B1 (ko)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US20130341452A1 (en) Seatbelt retractor
US20110057066A1 (en) Seatbelt retractor
US9132803B2 (en) Seatbelt retractor
US8540178B2 (en) Seatbelt retractor
US8590824B2 (en) Seatbelt retractor
KR20140142720A (ko)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US20150108263A1 (en) Seatbelt retractor
KR101990474B1 (ko)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US20130240655A1 (en) Webbing retractor
US10106116B2 (en) Acceleration sensor and seat belt retractor
US9688242B2 (en) Seatbelt retractor
US20130233958A1 (en) Webbing retractor
KR102386889B1 (ko) 시트벨트용 리트랙터
WO2013061873A1 (ja)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
WO2013179978A1 (ja)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
JP6074243B2 (ja)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
WO2013061877A1 (ja)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
JP5806587B2 (ja)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
JP6155116B2 (ja)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
JP5876333B2 (ja)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
JP2013184543A (ja)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
JP2013095199A (ja)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