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0474B1 -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 Google Patents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0474B1
KR101990474B1 KR1020147028093A KR20147028093A KR101990474B1 KR 101990474 B1 KR101990474 B1 KR 101990474B1 KR 1020147028093 A KR1020147028093 A KR 1020147028093A KR 20147028093 A KR20147028093 A KR 20147028093A KR 101990474 B1 KR101990474 B1 KR 1019904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webbing
rotation
gear
paw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8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2721A (ko
Inventor
인수 최
사토시 스미나카
Original Assignee
아시모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시모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시모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42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27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0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04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6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 B60R22/41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with additional means for preventing locking during unwinding under predetermined conditions

Abstract

잠금 기구부가 긴급 시에 권취 드럼의 웨빙 인출 방향으로의 회전을 저지한다. 상기 잠금 기구부는 연결 기구와 회전차 부여 기구를 포함한다. 긴급 시에 연결 기구는 클러치를 록킹 기어에 연결하여, 상기 클러치와 록킹 기어를 일체적으로 웨빙 인출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폴을 래칫 기어에 걸어 맞추는 동시에, 상기 클러치에 대해 상기 록킹 기어가 웨빙 권취 방향으로 상대 회전시키고, 상기 클러치와 상기 록킹 기어의 연결을 해제한다. 상기 회전차 부여 기구는 연결된 상태의 상기 클러치와 상기 록킹 기어를 웨빙 권취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상기 클러치의 웨빙 권취 방향으로의 회전을 상기 록킹 기어의 웨빙 권취 방향으로의 회전에 대해 상대적으로 지연시킨다.

Description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RETRACTOR FOR SEAT BELT}
본 발명은 차량 충돌 등의 긴급 시에 웨빙의 인출을 방지하는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차량 충돌 등의 긴급 시에 웨빙의 인출을 방지하는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에 관해 각종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11-148388호에 개시된 웨빙 권취 장치에서는 스풀의 웨빙 인출 방향으로의 회전으로 래칫 티스의 홈의 바닥측으로 잠금 베이스의 래칫 티스에 의해 잠금 폴의 래칫 티스가 유도되면, 잠금 폴의 걸어 맞춤 핀이 링크 부재의 폴 가이드 구멍에서 가이드된 구멍으로 이동하여, 가이드된 구멍의 내주부를 압압하고, 그보다도 빨리 링크 부재를 회전운동시킨다. 그 결과, 센서 기어가 V기어에 선행해서 웨빙 인출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잠금 폴이 잠금 베이스의 래칫 티스에 걸어 맞춰져 잠금 상태가 될 때까지 W폴과 센서 기어의 맞물림이 해소되어, 엔드 록(end lock)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웨빙 권취 장치에서는 잠금 폴이 잠금 베이스의 래칫 티스에 걸어 맞춰질 때, 센서 기어를 V기어에 선행시켜 웨빙 인출 방향으로 회전시키므로, 중간 부재로서 가이드된 구멍이 형성된 링크 부재를 배치할 필요가 있어, 구조가 복잡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 잠금 폴의 걸어 맞춤 핀이 링크 부재의 폴 가이드 구멍에서 가이드된 구멍으로 이동하므로, 잠금 폴이 잠금 베이스의 래칫 티스에 걸어 맞춰져 잠금 상태가 될 때까지의 잠금 감도가 불안정하게 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간단한 구성으로 엔드 록을 해제할 수 있는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벽부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수납되어 웨빙을 권취하고, 상기 웨빙이 인출되는 경우 웨빙 인출 방향으로 회전하는 권취 드럼, 상기 권취 드럼의 일단측에 마련되어 상기 권취 드럼과 일체로 회전하는 래칫 기어 및 상기 한 쌍의 측벽부 중의 한쪽의 측벽부에서 상기 권취 드럼의 회전축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통상시에 상기 권취 드럼의 일단측에 세워 마련된 축부를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고, 긴급 시에 상기 권취 드럼의 웨빙 인출 방향으로의 회전을 저지하는 잠금 기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 기구부는 상기 축부에 대해 상대 회전 불능이고 상기 축부에 동축으로 부착된 록킹 기어, 상기 권취 드럼과 동축으로 배치되고, 회전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웨빙 인출 방향으로의 회전운동에 의해, 상기 래칫 기어에 걸어 맞춰져 상기 권취 드럼의 웨빙 인출 방향으로의 회전을 저지하는 폴을 상기 래칫 기어에 걸어 맞추도록 유도하는 클러치, 상기 클러치가 웨빙 인출 방향으로 회전운동한 경우, 상기 클러치가 통상시의 기준 회전 자세로 되도록 상기 클러치를 웨빙 권취 방향으로 회전운동 부세(힘을 부가함)하는 클러치 부세 기구, 긴급 시에 상기 클러치를 상기 록킹 기어에 연결하고, 상기 클러치와 록킹 기어를 일체적으로 웨빙 인출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폴을 상기 래칫 기어에 걸어 맞추게 하는 동시에, 상기 클러치에 대해 상기 록킹 기어가 웨빙 권취 방향으로 상대 회전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클러치와 상기 록킹 기어의 연결의 해제가 가능한 연결 기구와 연결된 상태의 상기 클러치와 상기 록킹 기어를 웨빙 권취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상기 클러치의 웨빙 권취 방향으로의 회전을 상기 록킹 기어의 웨빙 권취 방향으로의 회전에 대해 상대적으로 지연시키는 회전차 부여 기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본 발명의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에 있어서, 상기 회전차 부여 기구는 상기 클러치의 회전축에 대해 반경 방향 외측의 위치에 배치되어 돌출하도록 마련된 클러치측 돌기부와 상기 하우징 또는 상기 하우징에 대해 고정된 고정 부재에 마련되고, 상기 클러치가 웨빙 인출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클러치측 돌기부와 맞닿음 가능하게 돌출되는 고정측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클러치측 돌기부와 상기 고정측 돌기부 중의 적어도 한쪽은 상기 클러치측 돌기부와 상기 고정측 돌기부의 다른 쪽에 맞닿아 압압된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고, 상기 고정측 돌기부는 상기 폴이 상기 래칫 기어에 걸어 맞춰질 때, 상기 클러치측 돌기부가 타고 넘는 위치에 마련되고, 상기 클러치측 돌기부는 연결된 상태의 상기 클러치와 상기 록킹 기어를 웨빙 권취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상기 클러치 부세 기구에 의한 웨빙 권취 방향으로의 회전운동 부세에 의해서 상기 고정측 돌기부를 타고 넘고, 상기 웨빙 권취 방향으로의 상기 클러치의 회전은 상기 웨빙 권취 방향에서 상기 록킹 기어의 회전에 대해 상대적으로 지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본 발명의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에 있어서, 상기 잠금 기구부는 상기 한쪽의 측벽부의 상기 권취 드럼의 회전축 방향 외측에 부착되어 상기 록킹 기어와 상기 클러치를 수용하는 메커니즘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메커니즘 커버는 상기 고정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본 발명의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측 돌기부는 상기 클러치의 외주부에 마련되어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고정측 돌기부는 상기 클러치의 외주부에 대향하는 상기 메커니즘 커버의 내주면에 마련되어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본 발명의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측 돌기부는 상기 클러치의 외주부에 마련되어 회전축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고정측 돌기부는 상기 메커니즘 커버의 상기 클러치에 대향하는 내측면에 마련되어 상기 클러치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본 발명의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측 돌기부는 상기 클러치의 외주부에 마련되어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고정측 돌기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한쪽의 측벽부의 상기 권취 드럼의 회전축 방향 외측에 세워 마련되고, 상기 클러치의 외주부에 대향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본 발명의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측 돌기부는 상기 클러치의 외주부에 마련되어 회전축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고정측 돌기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한쪽의 측벽부에 마련되어 상기 권취 드럼의 회전축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본 발명의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측 돌기부는 상기 클러치와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본 발명의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에 있어서, 상기 고정측 돌기부는 상기 하우징 또는 상기 하우징에 대해 고정된 고정 부재와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본 발명의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에 있어서, 상기 잠금 기구부는 상기 폴을 상기 래칫 기어에서 이반된 방향으로 부세하는 리턴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클러치 부세 기구는 상기 폴을 통해 상기 리턴 스프링의 부세력에 의해 상기 클러치가 상기 기준 회전 자세로 되도록 상기 클러치를 웨빙 권취 방향으로 회전운동 부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에서 클러치와 록킹 기어를 연결한 상태에서 웨빙 권취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회전차 부여 기구에 의해서 록킹 기어를 클러치에 선행해서 웨빙 권취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약간의 웨빙의 권취량으로도 클러치와 록킹 기어의 연결을 확실하게 해제하여, 엔드 록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클러치와 폴의 사이에 폴을 래칫 기어에 걸어 맞추도록 유도하는 중간 부재를 마련할 필요가 없어, 폴이 래칫 기어에 걸어 맞춰지는 잠금 감도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 이러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에서는 클러치의 회전축에 대해 반경 방향 외측의 위치에 배치되어 돌출하도록 마련된 클러치측 돌기부와 하우징 또는 상기 하우징에 대해 고정된 고정 부재에 마련되어, 클러치의 웨빙 인출 방향으로의 회전시에 클러치측 돌기부와 맞닿음 가능하게 돌출된 고정측 돌기부에 의해서 회전차 부여 기구를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차 부여 기구의 간소화를 도모하며, 부품 점수의 삭감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클러치측 돌기부와 고정측 돌기부 중의 적어도 한쪽은 다른 쪽에 맞닿아 압압된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마련되므로, 폴이 래칫 기어에 걸어 맞춰질 때, 클러치측 돌기부와 고정측 돌기부 중의 적어도 한쪽이 탄성 변형되어, 원활하게 다른 쪽을 넘어갈 수 있다. 그 결과, 폴이 래칫 기어에 걸어 맞춰지는 잠금 감도에 영향을 주지 않고 회전차 부여 기구를 마련할 수 있다.
또, 클러치와 록킹 기어를 연결한 상태에서 웨빙 권취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클러치측 돌기부와 고정측 돌기부의 맞닿음에 의해 록킹 기어를 클러치에 선행해서 웨빙 권취 방향으로 확실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약간의 웨빙의 권취량으로도 클러치와 록킹 기어의 연결을 확실하게 해제하여, 엔드 록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클러치가 웨빙 권취 방향으로 회전운동하여 통상시의 회전 자세로 될 때, 클러치 부세 기구에 의한 웨빙 권취 방향으로의 회전운동 부세에 의해, 클러치측 돌기부와 고정측 돌기부 중의 한쪽이 탄성 변형되어, 원활하게 다른쪽을 타고 넘을 수 있다. 따라서, 클러치가 기준 회전 자세로 되도록, 웨빙 권취 방향으로 회전운동 부세하는 클러치 부세 기구의 소형화 및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러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에서는 고정측 돌기부가 하우징의 한쪽의 측벽부의 권취 드럼의 회전축 방향 외측에 부착되어, 록킹 기어와 클러치를 수용하는 메커니즘 커버에 마련되므로, 회전차 부여 기구의 간소화를 가일층 도모할 수 있다.
이러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에서는 클러치의 외주부에 마련되어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클러치측 돌기부와 메커니즘 커버의 클러치의 외주부에 대향하는 내주면에 마련되어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고정측 돌기부에 의해 회전차 부여 기구를 구성할 수 있고, 상기 회전차 부여 기구의 간소화를 도모하며, 부품 점수의 삭감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클러치측 돌기부와 고정측 돌기부는 반경 방향으로 돌출시켜 마련할 수 있기 때문에, 권취 드럼의 회전축 방향에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러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에서는 클러치의 외주부에 마련되어 회전축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클러치측 돌기부와 메커니즘 커버의 클러치에 대향하는 내측면에 마련되어 상기 클러치 측으로 돌출된 고정측 돌기부에 의해서 회전차 부여 기구를 구성할 수 있고, 상기 회전차 부여 기구의 간소화를 도모하고, 부품 점수의 삭감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클러치측 돌기부와 고정측 돌기부는 서로 맞닿도록 권취 드럼의 회전축 방향으로 돌출시켜 마련할 수 있으므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의 권취 드럼의 회전축 방향에서의 사이즈의 영향을 억제하면서, 권취 드럼의 회전축에 대한 반경 방향에 있어서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러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에서는 클러치의 외주부에 마련되어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클러치측 돌기부와 하우징의 한쪽의 측벽부의 권취 드럼의 회전축 방향 외측에 세워 마련되고, 클러치의 외주부에 대향하도록 세워 마련된 고정측 돌기부에 의해서 회전차 부여 기구를 구성할 수 있고, 상기 회전차 부여 기구의 간소화를 도모하며, 부품 점수의 삭감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클러치측 돌기부와 고정측 돌기부는 클러치의 회전축에 대해 반경 방향 외측에 마련할 수 있으므로, 권취 드럼의 회전축 방향에어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러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에서는 클러치의 외주부에 마련되어 회전축 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클러치측 돌기부와 하우징의 한쪽의 측벽부에 권취 드럼의 회전축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고정측 돌기부에 의해서 회전차 부여 기구를 구성할 수 있고, 상기 회전차 부여 기구의 간소화를 도모하며, 부품 점수의 삭감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클러치측 돌기부와 고정측 돌기부는 서로 맞닿도록 권취 드럼의 회전축 방향으로 돌출시켜 마련할 수 있으므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의 권취 드럼의 회전축 방향에서 사이즈의 영향을 억제하면서, 권취 드럼의 회전축에 대한 반경 방향에 있어서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러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에서는 클러치측 돌기부를 클러치와 일체적으로 형성할 수 있어, 회전차 부여 기구의 부품 점수의 삭감화 및 간소화를 가일층 도모할 수 있다.
이러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에서는 고정측 돌기부를 하우징 또는 상기 하우징에 대해 고정된 고정 부재와 일체적으로 형성할 수 있어, 회전차 부여 기구의 부품 점수의 삭감화 및 간소화를 더욱 도모할 수 있다.
이러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에서는 클러치 부세 기구는 폴을 래칫 기어로부터 이반된 방향으로 부세하는 리턴 스프링에 의해서 클러치가 기준 회전 자세로 되도록 웨빙 권취 방향으로 회전운동 부세할 수 있다. 따라서, 부품 점수를 늘리는 일 없이, 엔드 록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를 유닛별로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를 유닛별로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4는 하우징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래칫 기어, 권취 스프링 유닛 및 잠금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래칫 기어, 권취 스프링 유닛 및 잠금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스프링 케이스의 부착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스프링 케이스의 부착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잠금 유닛의 잠금 암을 포함하는 조립 단면도이다.
도 10은 잠금 유닛의 메커니즘 커버의 저면부 등의 일부를 잘라낸 일부 절결 단면도이다.
도 11은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의 권취 스프링 유닛 및 잠금 유닛을 포함하는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2는 클러치의 외측 사시도이다.
도 13은 클러치의 내측 사시도이다.
도 14는 클러치를 비스듬히 아래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5는 파일럿 레버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파일럿 레버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파일럿 레버의 통상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18은 파일럿 레버가 록킹 기어에 걸어 맞춰진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19는 잠금 유닛의 웨빙의 인출 가속도에 의한 동작 설명도(작동 전)이다.
도 20은 잠금 유닛의 웨빙의 인출 가속도에 의한 동작 설명도(작동 개시시)이다.
도 21은 잠금 유닛의 웨빙의 인출 가속도에 의한 동작 설명도(잠금 상태로의 이행시)이다.
도 22는 잠금 유닛의 웨빙의 인출 가속도에 의한 동작 설명도(잠금 상태)이다.
도 23은 잠금 유닛의 웨빙 권취 개시시의 동작 설명도(웨빙 권취 개시시)이다.
도 24는 잠금 유닛의 웨빙 권취 개시시의 동작 설명도(잠금 해제 상태로의 이행시)이다.
도 25는 잠금 유닛의 웨빙 권취 개시시의 동작 설명도(잠금 해제시)이다.
도 26은 잠금 유닛의 차체 가속도에 의한 동작 설명도(작동 전)이다.
도 27은 잠금 유닛의 차체 가속도에 의한 동작 설명도(작동 개시시)이다.
도 28은 잠금 유닛의 차체 가속도에 의한 동작 설명도(잠금 상태로의 이행시)이다.
도 29는 잠금 유닛의 차체 가속도에 의한 동작 설명도(잠금 상태)이다.
도 30은 잠금 유닛의 웨빙 권취 개시시의 동작 설명도(웨빙 권취 개시시)이다.
도 31은 잠금 유닛의 웨빙 권취 개시시의 동작 설명도(잠금 해제 상태로의 이행시)이다.
도 32는 잠금 유닛의 웨빙 권취 개시시의 동작 설명도(잠금 해제시)이다.
도 33은 잠금 유닛의 차체 가속도에 의한 동작 설명도(폴의 동기 어긋남 발생시)이다.
도 34는 잠금 유닛의 차체 가속도에 의한 동작 설명도(잠금 상태로의 이행시)이다.
도 35는 잠금 유닛의 차체 가속도에 의한 동작 설명도(잠금 상태로의 이행시)이다.
도 36은 도 35의 잠금 암을 포함하는 조립 단면도이다.
도 37은 잠금 유닛의 차체 가속도에 의한 동작 설명도(잠금 상태)이다.
도 38은 권취 드럼 유닛의 축심을 포함하는 단면도이다.
도 39는 권취 드럼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0은 권취 드럼을 래칫 기어의 부착측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41은 래칫 기어의 사시도이다.
도 42는 래칫 기어의 내측 정면도이다.
도 43은 도 38의 X1-X1 화살표 단면도이다.
도 44는 프리텐셔너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5는 프리텐셔너 유닛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6은 차량 충돌시의 폴의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7은 와이어를 인출하는 동작 설명도이다.
도 48은 와이어를 인출하는 동작 설명도이다.
도 49는 와이어를 인출하는 동작 설명도이다.
도 50은 와이어를 인출하는 동작 설명도이다.
도 51은 다른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의 잠금 유닛의 메커니즘 커버의 저면부 등의 일부를 잘라낸 일부 절결 단면도이다.
도 52는 다른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의 잠금 유닛의 메커니즘 커버의 저면부 등의 일부를 잘라낸 일부 절결 단면도이다.
도 53은 다른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의 잠금 유닛의 메커니즘 커버의 저면부 등의 일부를 잘라낸 일부 절결 단면도이다.
도 54는 다른 제4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의 잠금 유닛의 메커니즘 커버의 저면부 등의 일부를 잘라낸 일부 절결 단면도이다.
도 55는 다른 제5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의 잠금 유닛의 메커니즘 커버의 저면부 등의 일부를 잘라낸 일부 절결 단면도이다.
도 56은 다른 제6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의 클러치의 사시도이다.
도 57은 다른 제6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의 메커니즘 커버 내측 사시도이다.
도 58은 다른 제6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의 클러치측 돌기부를 포함하는 주요부 횡단면도이다.
도 59는 다른 제7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의 클러치의 사시도이다.
도 60은 다른 제7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의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61은 다른 제7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의 클러치측 돌기부를 포함하는 주요부 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에 대해 구체화한 1실시형태에 따라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하다.
[개략 구성]
먼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1)의 개략 구성에 대해 도 1 내지 도 3에 따라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1)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1)를 유닛별로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1)는 차량의 웨빙(3)을 권취하기 위한 장치이다.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1)는 하우징 유닛(5), 권취 드럼 유닛(6), 프리텐셔너 유닛(7), 권취 스프링 유닛(8)과 잠금 유닛(9)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잠금 유닛(9)은 나이래치(nylatch)(9A) 및 이것에 일체로 형성된 걸림 훅(9B)을 구비한 메커니즘 커버(71)(도 5 참조)를 포함한다. 잠금 유닛(9)는 나이래치(nylatch)(9A) 및 걸림 훅(9B)에 의해 하우징 유닛(5)을 구성하는 하우징(11)의 한쪽의 측벽부(12)에서 고정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잠금 유닛(9)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웨빙(3)의 급격한 인출이나 차량의 급격한 가속도의 변화에 반응하여 웨빙(3)의 인출을 정지하는 잠금 기구(10)를 구성한다(도 10 참조).
또, 권취 스프링 유닛(8)은 스프링 케이스(67)(도 5 참조)의 외주부로부터 돌출된 3개의 판형상의 걸림편(8A)(도 6 참조)을 통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잠금 유닛(9)의 권취 드럼 유닛(6)의 회전축 방향 외측에 고정 설치되어 있다(도 8 참조).
또, 프리텐셔너 유닛(7)은 하우징(11)의 측벽부(13)에 장착된다. 상기 측벽부(13)는 평면에서 보아 대략 사각 브래킷 형상으로 형성된 하우징(11)의 측벽부(12)에 서로 대향하여 위치하고, 프리텐셔너 유닛(7)의 권취 드럼 유닛(6)의 회전축 방향 외측으로부터 삽입 통과되는 각 나사(15)에 의해서 나사 고정된다. 또, 프리텐셔너 유닛(7)은 프리텐셔너 유닛(7)의 권취 드럼 유닛(6)의 회전축 방향 외측에서 측벽부(13)로 삽입 통과되는 스토퍼 핀(16), 상기 스토퍼 핀(16)에 측벽부(13)의 권취 드럼 유닛(6)의 회전축 방향 내측으로부터 삽입되는 푸쉬 너트(18)에 의해서 고정된다.
그리고, 웨빙(3)이 감기는 권취 드럼 유닛(6)은 하우징 유닛(5)의 측벽부(12)에 고정 설치된 잠금 유닛(9)과 측벽부(13)에 고정된 프리텐셔너 유닛(7)의 사이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된다. 또, 권취 드럼 유닛(6)은 잠금 유닛(9)의 외측에 고정 설치된 권취 스프링 유닛(8)에 의해 웨빙(3)의 권취 방향에 상시 힘이 가해지게 된다.
[하우징 유닛의 개략 구성]
다음에, 하우징 유닛(5)의 개략 구성에 대해 도 2 내지 도 4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4는 하우징 유닛(5)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 유닛(5)은 하우징(11)과, 브래킷(21)과, 프로텍터(22)와, 폴(23)과, 폴 리벳(25)과, 비틀림 코일 스프링(26)과, 센서 커버(27)와, 차량 가속도 센서(28)와, 연결 부재(32, 33)와, 리벳(61)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하우징(11)은 차체에 고정되는 뒤판부(back plate part)(31)와, 그 뒤판부(31)의 양측 가장자리부로부터 서로 대향하는 각 측벽부(12, 13)가 연장되어, 평면에서 보아 대략 'コ'형상으로 스틸재 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각 측벽부(12, 13)는 권취 드럼 유닛(6)의 회전축 방향으로 긴 가로로 긴 판형상의 각 연결 부재(32, 33)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 또, 뒤판부(31)의 중앙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경량화 및 웨빙(3)의 수용량의 규제 등이 도모되고 있다.
또, 측벽부(12)에는 권취 드럼 유닛(6)의 래칫 기어(35)가 소정 간극(예를 들면, 약 0.5㎜의 간극임)을 형성하면서 삽입되는 관통 구멍(36)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 구멍(36)의 내측 둘레 가장자리부는 권취 드럼 유닛(6)측에 중심축 방향 내측으로 소정 깊이 움푹 패이고, 권취 드럼 유닛(6)의 래칫 기어(35)에 대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이 관통 구멍(36)의 비스듬히 하측(도 4 중, 비스듬히 좌하측임)의 폴(23)의 각 걸어 맞춤 티스(23A, 23B)를 포함하는 선단(다른쪽의 단부)측의 부분(37)에 대향하는 둘레 가장자리부로부터, 상기 폴(23)의 회전운동 방향 외측에(폴(23)의 래칫 기어(35)로부터 이반되는 회전운동 방향임) 이 선단측의 부분(37)이 수용되는 깊이로 잘라내어진 절결부(38)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절결부(38)의 뒤판부(31)측의 횡측에는 폴(23)을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관통 구멍(41)이 형성되어 있다. 또, 절결부(38)의 관통 구멍(41)측의 폴(23)이 맞닿는 부분에는 상기 관통 구멍(41)과 동축에 원호형상의 안내부(38A)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스틸재 등으로 형성된 폴(23)의 안내부(38A)에 맞닿아 슬라이딩하는 부분에는 측벽부(12)의 두께 치수에 대략 동등한 높이로, 이 안내부(38A)와 동일한 곡률 반경의 원호형상으로 움푹 패인 단차부(37A)가 형성되어 있다. 또, 폴(23)의 회전운동축 방향 외측(도 4 중, 바로 앞측임)의 측면의 선단부에는 잠금 유닛(9)을 구성하는 클러치(85)의 가이드 구멍(116)(도 5, 도 10 참조)에 삽입되는 안내 핀(42)이 세워 마련되어 있다.
또, 폴(23)의 기단부(한쪽의 단부)에는 폴 리벳(25)이 삽입 통과되는 관통 구멍(43)이 형성되는 동시에, 이 관통 구멍(43)의 둘레 가장자리부로부터 측벽부(12)의 관통 구멍(41)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삽입 통과되는 원통 형상의 보스부(45)가 측벽부(12)의 두께 치수에 대략 동등한 높이로 세워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폴(23)은 보스부(45)가 측벽부(12)의 관통 구멍(41)에 하우징(11)의 내측으로부터 삽입 통과된 상태에서, 측벽부(12)의 외측으로부터 관통 구멍(43)에 끼워 넣어진 폴 리벳(25)에 의해서, 회전운동 가능하게 고정된다. 이에 따라, 폴(23)의 각 걸어 맞춤 티스(23A, 23B)와 래칫 기어(35)의 외주면에 형성된 래칫 기어부(35A)가 측벽부(12)의 외측면과 대략 동일면이 되도록 배치된다.
또, 폴 리벳(25)의 두부는 관통 구멍(41)보다 큰 외경으로 소정 두께(예를 들면, 두께 약 1.5㎜임)의 원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리턴 스프링의 일예로서 기능하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26)은 감기 수가 1감기로 폴 리벳(25)의 두부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일단측(26A)이 폴(23)의 안내 핀(42)에 장착되어 있다. 또, 비틀림 코일 스프링(26)의 선 직경은 폴 리벳(25)의 두부의 높이의 대략 절반의 치수이다(예를 들면, 두께 약 0.6㎜임). 따라서, 비틀림 코일 스프링(26)의 1감기분의 스프링 높이는 폴 리벳(25)의 두부의 높이와 대략 동일한 높이로 설정되어 있다.
또, 비틀림 코일 스프링(26)의 타단측(26B)은 측벽부(12)상을 슬라이딩 접촉 가능하게 일단측(26A)의 측벽부(12)측을 통과한 후, 측벽부(12)의 내측 방향(도 4 중, 측벽부(12)의 이면측 방향임)에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어, 측벽부(12)에 형성된 장착 구멍(46)에 삽입 통과되어 있다. 또, 이 타단측(26B)의 단부는 대략 U자형으로 절곡되어 측벽부(12)의 내측면에 맞닿아지고, 빠짐 방지부를 구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폴(23)은 비틀림 코일 스프링(26)에 의해서 절결부(38)의 안쪽 방향으로(도 3 중, 반시계 방향임) 회전운동하도록 부세되고, 각 걸어 맞춤 티스(23A, 23B)를 포함하는 선단측의 부분(37)이 절결부(38)의 안쪽측에 맞닿아진다. 따라서, 폴(23)은 비틀림 코일 스프링(26)에 의해서 래칫 기어(35)로부터 이반되는 방향으로 회전운동 부세되어 있다.
또,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벽부(12)의 관통 구멍(36)의 아래쪽(도 4 중, 하방향임)에는 관통 구멍(36)의 중심축의 아래쪽(도 4 중, 하방향임)으로부터 뒤판부(31)측의 부분에 대략 사각형의 개구부(47)가 형성되어 있다. 또, 이 개구부(47)에는 개구부(47)와 대략 동일한 단면 대략 사각형의 얕은 대략 상자체형상의 센서 커버(27)가 외측(도 4 중, 바로 앞측임)으로부터 끼워 넣어진다. 그리고, 수지제의 센서 커버(27)는 개구측 둘레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칼라부가 개구부(47)의 외측 둘레 가장자리부(도 4 중, 바로 앞측 둘레 가장자리부임)에 맞닿아지는 동시에, 센서 커버(27)의 도 4 중, 상하 방향 양 단면에 돌출 설치된 한쌍의 걸림 발톱(27A)(도 4 중, 상측 단면의 걸림 발톱(27A)을 도시하고 있음)이 개구부(47)의 도 4 중, 상하 방향 양 단부의 안쪽측에 끼워 넣어져 탄성적으로 걸어 고정된다.
또, 차량 가속도 센서(28)는 연직 방향 상측(도 4 중, 상측임)에 개방되는 대략 상자형으로 저면부에 절구형상의 탑재부가 형성된 수지제의 센서 홀더(51)와, 스틸 등의 금속으로 구형상체로 형성되어 탑재부상에 이동 가능하게 탑재된 관성 질량체(52)와, 관성 질량체(52)의 연직 방향 상측에 탑재되어 폴(23)에 대해 반대측의 단가장자리부(도 4 중, 우측 단가장자리부임)를 센서 홀더(51)에 의해서 연직 방향 상하(도 4 중, 상하 방향임)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수지제의 센서 레버(53)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차량 가속도 센서(28)를 센서 커버(27)에 끼워 넣어, 센서 홀더(51)의 센서 커버(27)내의 양 측벽부에 대향하는 양 측면부에 마련된 한쌍의 걸림 발톱(51A)(도 4 중, 한쪽의 걸림 발톱(51A)을 도시하고 있음)을 센서 커버(27)의 각 걸림 구멍(27B)에 끼워 넣어 걸어 고정시키는 것에 의해서, 차량 가속도 센서(28)가 센서 커버(27)를 통해 하우징(11)에 장착된다.
또, 측벽부(12)에는 상측 단가장자리부(도 4 중, 상측 단가장자리부임)의 양 모서리와, 관통 구멍(36)의 아래쪽(도 4 중, 하방향임)의 3개소에, 잠금 유닛(9)의 각 나이래치(9A)가 끼워 넣어져 장착되는 각 장착 구멍(55)이 형성되어 있다. 또, 측벽부(12)의 좌우 측가장자리부의 중앙부(도 4 중, 상하 방향 중앙부임)에는 잠금 유닛(9)의 각 걸림 훅(9B)이 탄성적으로 걸어 고정되는 각 걸림편(56)이 권취 드럼 유닛(6)의 회전축에 대해 직교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 측벽부(13)에는 권취 드럼 유닛(6)이 삽입 통과되는 관통 구멍(57)이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다. 또, 측벽부(13)에는 하측 단가장자리부(도 2 중, 하측 단가장자리부임)의 대략 중앙 및 연결 부재(33)측의 코너부와, 상측 단가장자리부(도 2 중, 상측 단가장자리부임)의 뒤판부(31)측의 코너부에, 각 나사(15)가 나사 고정되는 각 나사 구멍(58)이 프리텐셔너 유닛(7)측 방향으로의 버링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또, 측벽부(13)에는 상측 단가장자리부(도 2 중, 상측 단가장자리부임)의 연결 부재(32)측의 코너부에 스토퍼 핀(16)이 삽입 통과되는 관통 구멍(59)이 형성되어 있다.
또, 뒤판부(31)의 상측 단가장자리부(도 2 중, 상측 단가장자리부임)에 각 리벳(61)에 의해서 장착되는 브래킷(21)은 스틸재 등으로 형성되어, 뒤판부(31)의 상측 단가장자리부로부터 대략 직각으로 연결 부재(32)측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에, 웨빙(3)이 인출되는 뒤판부(31)의 폭 방향으로 긴 가로로 긴 관통 구멍(62)이 형성되고, 나일론 등의 합성 수지로 형성된 가로로 긴 프레임형상의 프로텍터(22)가 끼워 넣어져 있다. 또, 뒤판부(31)의 하단부(도 2 중, 하단부임)에는 차량의 체결편(도시 생략)에 장착할 때에, 볼트가 삽입 통과되는 볼트 삽입 통과 구멍(63)이 형성되어 있다.
[권취 스프링 유닛의 개략 구성]
다음에, 권취 스프링 유닛(8)의 개략 구성에 대해 도 2, 도 3, 도 5 내지 도 8, 도 11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은 래칫 기어를 포함하는 권취 스프링 유닛(8) 및 잠금 유닛(9)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스프링 케이스(67)의 장착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1)의 권취 스프링 유닛(8) 및 잠금 유닛(9)을 포함하는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2, 도 3, 도 5, 도 6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권취 스프링 유닛(8)은 나선형 스프링(65), 스프링 케이스(67) 및 스프링 샤프트(68)를 포함한다.스프링 케이스(67)는 나선형 스프링(65)의 외측단(65A)이 내측 둘레가장자리부의 저면으로부터 세워 마련된 리브(66)에 고정되는 동시에, 이 나선형 스프링(65)을 수용한다. 스프링 샤프트(68)에서, 나선형 스프링(65)의 내측단(65B)이 스프링력이 부세되는 스프링 샤프트(68)에 연결된다. 또, 스프링 케이스(67)는 잠금 유닛(9)을 구성하는 메커니즘 커버(71) 측의 단가장자리부에서 대략 전체 둘레에 걸쳐 소정 깊이(예를 들면, 깊이 약 2.5㎜)의 홈부(67A)가 형성되어 있다.
또, 스프링 케이스(67)의 메커니즘 커버(71)측의 단가장자리부에는 외주부의 3개소로부터 정면에서 보아 대략 장방형의 판형상의 각 걸림편(8A)이 메커니즘 커버(71)의 대략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 구멍(73)의 중심축(73A)에 대해 동심 형상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 각 걸림편(8A)의 관통 구멍(73)의 중심축(73A)에 대해 반경 방향 외측의 외주면은 동심원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프링 케이스(67)의 하측 단가장자리부에 위치하는 걸림편(8A)에는 관통 구멍(73)의 중심축(73A)에 대해 반시계 방향측의 단가장자리부에 연속해서 단면 사각형의 고정부(8B)가 연이어 마련되어 있다. 또, 고정부(8B)의 대략 중앙부에는 관통 구멍(73)의 중심축(73A)에 평행한 관통 구멍(8C)이 형성되는 동시에, 이 관통 구멍(8C)의 중심축(73A) 방향 외측의 단부를 막도록 고정 핀(8D)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고정 핀(8D)의 축 직경은 관통 구멍(8C)의 내경과 대략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고, 고정 핀(8D)을 소정 하중 이상으로 메커니즘 커버(71)측으로 누르는 것에 의해서, 관통 구멍(8C)내에 압입할 수 있다. 또, 고정 핀(8D)의 길이는 고정부(8B)의 두께보다 길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메커니즘 커버(71)는 외주부의 각 걸림편(8A)에 대향하는 3개소로부터, 단면 대략 직사각형의 두꺼운 판형상의 유지부(72)가 권취 스프링 유닛(8)측에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 도 5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유지부(72)의 기단부에는 관통 구멍(73)의 중심축(73A)에 대해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잘라내어져, 안쪽측 단부가 폐색된 단면이 대략 장방형인 끼워 맞춤 홈부(72A)가 형성되어 있다.
또, 각각의 끼워 맞춤 홈부(72A)에서 관통 구멍(73)의 중심축(73A)에 대해 반경 방향 외측의 저면부는 스프링 케이스(67)의 각 걸림편(8A)의 반경 방향 외측 단가장자리부보다 조금 큰 반경(예를 들면, 약 0.2㎜∼0.5㎜ 큰 반경임)의 동심원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각각의 끼워 맞춤 홈부(72A)의 중심축(73A) 방향의 폭 치수는 각 걸림편(8A)의 두께 치수와 대략 동일한 치수로 형성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각각의 걸림편(8A)은 각각의 끼워 맞춤 홈부(72A) 내에 끼워 넣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8 참조).
또, 메커니즘 커버(71)는 권취 드럼 유닛(6)의 회전축 방향 외측의 둘레가장자리부를 따라 소정 높이(예를 들면, 높이 약 2㎜임)로 세워 마련된 대략 링형상의 리브부(71A)가 마련되어 있다. 리브부(71A)는 홈부(67A)에 대응한 위치에 마련되어 있으며, 리브부(71A)의 내경 및 외경은 홈부(67A)의 내경 및 외경에 대해, 홈부(64A)에 리브부(71A)가 끼워 넣어진 상태에서 각각 소정의 간극(예를 들면, 간극 약 0.1㎜∼0.3㎜임)을 형성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또,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브부(71A)의 하측 단가장자리부에 대향하는 유지부(72)의 중심축(73A)에 대해 시계 방향측의 근방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스프링 케이스(67)를 메커니즘 커버(71)에 장착했을 때에, 고정 핀(8D)에 대향하는 위치에 단면 원형의 고정용 구멍(74)이 형성되어 있다.
이 고정용 구멍(74)의 내경은 스프링 케이스(67)의 고정 핀(8D)의 외경보다도 소정 치수(예를 들면, 약 0.1㎜∼0.3㎜임)만큼 작아지도록 형성되며, 고정 핀(8D)을 압입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다. 또, 고정용 구멍(74)의 안쪽 측, 즉 하우징(11)의 측벽부(12)측의 둘레가장자리부에는 원통 형상의 보스(75)가 세워 마련되어 있다. 원통 형상의 보스(75)의 안쪽 측은 폐쇄된다. 또, 이 원통 형상의 보스(75)의 내경은 고정용 구멍(74)과 동일한 직경의 단면 원형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고정용 구멍(74)에 대해 동축에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권취 스프링 유닛(8)을 메커니즘 커버(71)에 장착하는 장착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나선형 스프링(65)의 외측단(65A)을 스프링 케이스(67)의 내측에 세워 마련된 리브(66)에 끼워 넣어, 스프링 케이스(67)내에 수납한다. 그 후, 나선형 스프링(65)의 내측단(65B)에 스프링 샤프트(68)의 장착 홈(68C)을 끼워 넣는다.
이어서,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프링 샤프트(68)는 스프링 케이스(67)의 저면부의 대략 중심 위치에 세워 마련된 핀(69)이 저면부의 관통 구멍(68A)에 삽입되어, 저면부측이 핀(69)의 둘레가장자리부에 회전 가능하게 맞닿아진다.
또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프링 케이스(67)의 외주부의 3개소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 설치된 각 걸림편(8A)을 메커니즘 커버(71)의 유지부(72)의 정면에서 보아 시계 방향측의 단가장자리부에 대향하도록 위치시킨다. 또, 도 5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커니즘 커버(71)의 관통 구멍(73)으로부터 돌출된 록킹 기어(81)의 회전 슬리브부(93)의 선단부(93A)는 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중심축을 따라 핀(69)이 삽입되는 축 구멍(93B)이 형성되어 있다.
계속해서, 도 6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커니즘 커버(71)의 관통 구멍(73)으로부터 돌출된 록킹 기어(81)의 회전 슬리브부(93)의 선단부(93A)를 스프링 샤프트(68)의 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통 구멍(68B) 내에 끼워 넣어, 록킹 기어(81)의 회전 슬리브부(93)를 상기 스프링 샤프트(68)에 대해 상대 회전 불능으로 연결한다. 또, 동시에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프링 케이스(67)의 홈부(67A)내에 메커니즘 커버(71)의 둘레가장자리부에 세워 마련된 리브부(71A)를 끼워 넣는다.
그리고,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프링 케이스(67)를 웨빙 인출 방향, 즉 정면에서 보아 반시계 방향(도 7 중, 화살표(70) 방향임)으로 회전시켜, 스프링 케이스(67)의 각 걸림편(8A)을 메커니즘 커버(71)의 각 유지부(72)의 끼워 맞춤 홈부(72A)내에 끼워 넣어, 각 끼워 맞춤 홈부(72A)의 안쪽측에 맞닿게 한다. 이에 따라, 스프링 케이스(67)가 메커니즘 커버(71)의 관통 구멍(73)의 중심축(73A)에 대해, 반경 방향 및 축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위치 결정된다.
그 후, 이 상태에서, 스프링 케이스(67)의 고정 핀(8D)을 압압하여, 고정부(8B)의 관통 구멍(8C)과 메커니즘 커버(71)의 고정용 구멍(74)에 압입하는 것에 의해서, 권취 스프링 유닛(8)이 메커니즘 커버(71)에 대해 상대 회전 불능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권취 스프링 유닛(8)은 메커니즘 커버(71)의 권취 드럼 유닛(6)의 회전축방향 외측에 맞닿아진 상태에서 장착된다.
이에 따라, 메커니즘 커버(71)의 둘레가장자리부에 세워 마련된 리브부(71A)가 스프링 케이스(67)의 홈부(67A)에 끼워 넣어져, 스프링 케이스(67)내의 분진이나 먼지 등의 침입이 방지된다. 또,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프링 샤프트(68)에 있어서의 메커니즘 커버(71)의 저면부측이 핀(69)의 둘레가장자리부에 회전 가능하게 맞닿아진 상태에서, 스프링 샤프트(68)의 잠금 유닛(9)측의 단부와, 메커니즘 커버(71)의 대략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 구멍(73)의 배면측 둘레가장자리부의 사이에 소정 간극(예를 들면, 간극 약 0.3㎜임)이 형성되어 있다.
동시에 스프링 샤프트(68)의 통 구멍(68B)의 저면과 록킹 기어(81)의 회전 슬리브부(93)의 선단부(93A)의 사이에도 소정 간극(예를 들면, 간극 약 0.3㎜임)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스프링 샤프트(68)는 스프링 케이스(67)와 메커니즘 커버(71)의 사이에서, 소정 간극만큼 중심축(73A)의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잠금 기구의 개략 구성]
다음에, 웨빙(3)의 급격한 인출이나 차량의 급격한 가속도의 변화에 반응하여 웨빙(3)의 인출을 정지시키는 잠금 기구(10)를 구성하는 잠금 유닛(9)의 개략 구성에 대해, 도 5, 도 6, 도 9 내지 도 18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9는 잠금 유닛(9)의 잠금 암을 포함하는 조립 단면도이다. 도 10은 잠금 유닛(9)의 메커니즘 커버(71)의 저면부 등의 일부를 잘라낸 일부 절결 단면도이다. 도 12는 클러치의 외측 사시도이다. 도 13은 클러치의 내측 사시도이다. 도 14는 클러치를 비스듬히 아래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5 및 도 16은 파일럿 레버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파일럿 레버의 통상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18은 파일럿 레버가 록킹 기어에 걸어 맞춰진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5, 도 6, 도 9 내지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잠금 유닛(9)은 메커니즘 커버(71), 록킹 기어(81), 잠금 암(82), 센서 스프링(83), 클러치(85) 및 파일럿 레버(86)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잠금 유닛(9)을 구성하는 각 부재 중, 센서 스프링(83)을 제외한 부재는 합성 수지로 성형되어 있고, 서로 접촉한 경우의 부재간의 마찰 계수는 작은 것이다.
메커니즘 커버(71)는 하우징(11)의 측벽부(12) 측이 개구된 대략 원형의 저면부를 갖는 대략 상자체 형상의 메커니즘 수용부(87)를 구비하고, 록킹 기어(81)나 클러치(85) 등을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메커니즘 커버(71)는 하우징(11)에 센서 커버(27)를 통해 장착된 차량 가속도 센서(28)에 대향하는 코너부(도 6 중, 좌측 하부 코너부임)에 단면이 대략 사각형인 오목형상으로 형성된 센서 수용부(88)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메커니즘 커버(71)를 각 나이래치(9A) 및 각 걸림 훅(9B)에 의해서 측벽부(12)에 장착한 경우에는 차량 가속도 센서(28)의 센서 홀더(51)가 센서 수용부(88)에 끼워 넣어져, 센서 레버(53)가 연직 방향 상하(도 6 중, 상하 방향임)로 요동 가능하게 수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메커니즘 커버(71)의 메커니즘 수용부(87)의 하단부 대략 중앙부(도 6 중, 하단부 대략 중앙부임)에는 상기 메커니즘 수용부(87)와 센서 수용부(88)가 연통하도록 뚫어 마련된 개구부(89)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부(89)는 차량 가속도 센서(28)의 센서 레버(53)의 선단 가장자리부로부터 상방향(도 6 중, 상 방향임)을 향해 돌출 설치된 잠금 발톱(53A)의 선단부가 연직 방향 상하(도 6 중, 상하 방향임)로 진퇴 가능하게 형성된다. 통상시에 잠금 발톱(53A)의 선단부는 파일럿 레버(86)의 받이 판부(122)(도 10 참조)의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소정 값을 넘는 가속도에 의해서 관성 질량체(52)가 이동하여 센서 레버(53)가 연직 방향 상측으로 회전 운동한 경우에는 잠금 발톱(53A)은 개구부(89)를 통해 파일럿 레버(86)의 받이 판부(122)에 맞닿아, 파일럿 레버(86)를 연직 방향 상측으로 회전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27 참조).
또, 메커니즘 수용부(87)의 대략 원형의 저면부에는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 구멍(73)의 둘레가장자리부로부터 원통 형상의 지지 보스(91)가 세워 마련되어 있다. 이 지지 보스(91)의 록킹 기어(81) 측의 선단부의 외주는 전체 둘레에 걸쳐 선단 측에 소정 각도(예를 들면, 약 30°의 경사각임)로 경사진 끝이 가느다란 모따기부(91A)가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지지 보스(91)에는 록킹 기어(81)의 원판형상의 저면부(92)의 중앙부에, 메커니즘 커버(71)에 대향하는 배면측으로부터 돌출된 원통 형상의 회전 슬리브부(93)가 끼워 넣어지고, 슬라이딩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록킹 기어(81)는 원판형상의 저면부(92)의 전체 둘레로부터 클러치(85)측에 원환형상으로 세워 마련되고, 외주부에 파일럿 레버(86)에 걸어 맞춰지는 록킹 기어 티스(81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록킹 기어 티스(81A)는 록킹 기어(81)가 웨빙 인출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에만, 파일럿 레버(86)의 걸어 맞춤 발톱부(86A)와 걸어 맞춰지도록 형성되어 있다(도 16 참조).
또, 도 5, 도 6,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록킹 기어(81)의 저면부(92)의 중앙부에는 래칫 기어(35)의 록킹 기어(81)측 단면의 중앙부에 세워 마련된 슬리브부(76)가 끼워 넣어지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또, 원통 형상의 기대부(94)가 이 관통 구멍의 메커니즘 커버(71) 측의 둘레가장자리부로부터 록킹 기어 티스(81A)의 축방향 높이와 대략 동일한 높이에 세워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록킹 기어(81)의 원통 형상의 회전 슬리브부(93)는 이 원통 형상의 기대부(94)의 메커니즘 커버(71)측 단가장자리부로부터, 이 기대부(94)보다 작은 동시에, 지지 보스(91)의 내경에 대략 동등한 외경으로 메커니즘 커버(71)측에 동축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다. 또, 회전 슬리브부(93)의 메커니즘 커버(71)측 단가장자리부는 폐색되어, 단면 직사각형 형상의 선단부(93A)가 동축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기대부(94) 및 회전 슬리브부(93)의 내부에는 록킹 기어(81)의 래칫 기어(35)측 단면에 개구되어, 래칫 기어(35)의 메커니즘 커버(71)측 단면의 중앙부에 세워 마련된 슬리브부(76)가 끼워 넣어지는 단면 원형형상의 축 구멍부(94A)가 형성되어 있다. 또, 축 구멍부(94A)의 내주면에는 복수의 리브(94B)가 축 방향을 따라 반경 방향에 동일한 높이로 세워 마련되고, 래칫 기어(35)의 슬리브부(76)의 외주면에 맞닿도록 마련되어 있다. 또, 슬리브부(76)는 전체 길이 중의 기단부측의 약 절반의 부분이 원뿔대로 형성되는 동시에, 선단측의 약 절반의 부분이 원뿔대에 연속하는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회전 슬리브부(93)의 기단부의 주위에는 원형 링 형상의 리브(95)가 클러치(85)의 대략 원판형상의 판부(111)의 두께 치수에 대략 동등한 높이로 동축에 세워 마련되고, 삽입 홈(95A)이 형성되어 있다. 이 원형 링 형상의 리브(95)의 내측 둘레벽부는 지지 보스(91)의 선단부의 경사각 이상의 각도(예를 들면, 약 45°의 경사각임)로 반경 방향 외측으로 경사져 있다. 또, 원형 링 형상의 리브(95)의 내측에 형성된 삽입 홈(95A)의 저면부의 외경은 지지 보스(91)의 선단부의 외경과 대략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원형 링 형상의 리브(95)의 외경은 클러치(85)의 판부(111)의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 구멍(112)의 내경과 대략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기대부(94)의 외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클러치(85)의 관통 구멍(112)의 록킹 기어(81)측의 단가장자리부는 전체 둘레에 걸쳐 원형 링 형상의 리브(112A)가 소정 높이(예를 들면, 높이 약 0.5㎜임)로 세워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록킹 기어(81)의 원형 링 형상의 리브(95)를 클러치(85)의 관통 구멍(112)에 끼워 넣어, 원형 링 형상의 리브(112A)를 리브(95)의 외주측 기단부에 맞닿게 한 후, 회전 슬리브부(93)를 메커니즘 커버(71)의 지지 보스(91)에 삽입 통과시켜, 원형 링 형상의 리브(95)의 반경 방향 내측에 형성된 삽입 홈(95A)의 저면부에 지지 보스(91)의 선단부를 맞닿게 한다. 이것에 의해, 록킹 기어(81)의 배면측으로부터 돌출된 회전 슬리브부(93)가 대략 전체 높이에 걸쳐 지지 보스(91)에 대해 동축에 장착되어 축지지된다. 또, 록킹 기어(81)의 원형 링 형상의 리브(95)는 관통 구멍(112)에 슬라이딩 회전 가능하게 끼워 넣어지고, 클러치(85)는 록킹 기어(81)와 메커니즘 커버(71)의 사이에 일정한 회전 범위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수용된다.
또, 도 5, 도 6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록킹 기어(81)의 래칫 기어(35)측의 단면에는 4개의 단면이 원주 방향으로 긴 대략 장방형의 통형상으로 돌출된 볼록부(96)가 등중심 각도로 회전축(81B)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소정 거리(예를 들면, 거리 약 14㎜임) 떨어진 동심원상에 위치하도록 세워 마련되어 있다. 또한, 1개의 볼록부(96)는 반경 방향 외측의 둘레가장자리부가 일부 잘라내어져 있다. 또, 록킹 기어(81)의 저면부에는 원주 방향에 인접하는 1조의 볼록부(96)의 사이의 대략 중앙 위치에, 소정 내경(예를 들면, 내경 약 3.5㎜임)의 위치 결정 구멍(97)이 형성되어 있다.
또, 래칫 기어(35)는 록킹 기어(81)의 볼록부(96)와 대략 동일한 형상인 4개의 관통 구멍(98)을 구비한다. 4개의 관통 구멍(98)은 각각 록킹 기어(81)에 대향하는 단면부에서 긴 단면으로 대략 장방형으로 구성된다. 4개의 관통 구멍(98)은 등중심 각도로 회전축(81B)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소정 거리(예를 들면, 거리 약 14㎜임) 떨어진 각 볼록부(96)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 래칫 기어(35)의 록킹 기어(81)에 대향하는 단면부에는 원주 방향에 인접하는 1조의 관통 구멍(98)의 사이에 위치 결정 구멍(97)에 대향하는 위치에 위치 결정 구멍(97)의 내경에 대략 동등한 외경으로 형성된 위치결정 핀(99)이 세워 마련되어 있다. 또, 래칫 기어(35)의 회전축 방향 외측의 단면에 세워 마련된 슬리브부(76)의 높이는 록킹 기어(81)의 축 구멍부(94A)의 깊이에 대략 동등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록킹 기어(81)의 축 구멍부(94A)의 깊이는 슬리브부(76)의 선단이 회전 슬리브부(93)의 선단부(93A)의 선단보다 회전축 방향 내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래칫 기어(35)의 슬리브부(76)를 록킹 기어(81)의 축 구멍부(94A)에 끼워 넣는 동시에, 래칫 기어(35)의 위치결정 핀(99)을 록킹 기어(81)의 위치 결정 구멍(97)에 끼워 넣고, 동시에, 록킹 기어(81)의 각 볼록부(96)를 래칫 기어(35)의 각 관통 구멍(98)에 끼워 넣는다. 이에 따라, 래칫 기어(35)의 회전축 방향 외측의 단면에 록킹 기어(81)가 맞닿아진 상태에서, 래칫 기어(35)에 록킹 기어(81)가 동축에 상대 회전 불능으로 장착된다. 래칫 기어(35)의 슬리브부(76)가 록킹 기어(81)의 회전 슬리브부(93)를 통해 메커니즘 커버(71)의 지지 보스(91)내에 위치하고 축지지된다.
또, 록킹 기어(81)의 각 볼록부(96)의 외주면에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도시하지 않은 리브가 래칫 기어(35)의 회전축 방향을 따라 세워 마련되어 있다. 록킹 기어(81)의 각 볼록부(96)는 래칫 기어(35)의 각 관통 구멍(98)에 각 리브를 눌러 찌부러뜨리면서 압입되어 장착된다. 따라서, 록킹 기어(81)를 래칫 기어(35)에 덜컹거림 없이 장착할 수 있는 동시에, 록킹 기어(81)가 래칫 기어(35)에 유지되기 때문에, 조립 작업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권취 드럼 유닛(6)의 래칫 기어(35)가 록킹 기어(81)의 회전 슬리브부(93)의 선단부(93A)를 통해, 권취 스프링 유닛(8)의 스프링 샤프트(68)에 동축으로 상대 회전 불능으로 장착된다. 따라서, 권취 드럼 유닛(6)은 권취 스프링 유닛(8)을 통해 웨빙 권취 방향으로 항상 회전운동 부세된다.
또한, 각 볼록부(96)는 통 형상으로 형성했지만, 단면이 원주 방향으로 긴 대략 장방형의 속이 찬 형상으로 돌출하도록 형성해도 좋다. 또, 래칫 기어(35)의 각 볼록부(96)에 대향하는 위치에, 원주 방향으로 긴 단면이 대략 장방형인 4개의 관통 구멍(98)을 마련했지만, 이 관통 구멍(98)과 단면 형상이 동일하고, 내측 방향에 각 볼록부(96)의 높이 이상의 깊이로 움푹 패이는 4개의 오목부를 마련하도록 해도 좋다.
또, 도 5, 도 6, 도 9 내지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록킹 기어(81)의 저면부(92)의 클러치(85) 측의 면에는 기대부(94)에 인접해서 원기둥형상의 지지 보스(101)가 록킹 기어 티스(81A)보다 낮은 높이로 세워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기대부(94)를 둘러싸도록 대략 궁형으로 형성된 합성 수지제의 잠금 암(82)은 긴쪽 방향 대략 중앙부의 기대부(94)측의 단가장자리부에 형성된 관통 구멍(102)에 이 지지 보스(101)이 회전 가능하게 끼워 삽입되고, 회전운동 가능하게 축지지된다.
또, 록킹 기어(81)의 저면부(92)에는 지지 보스(101)에 대해 반경 방향 외측의 근방 위치에, 단면이 역 L자형인 탄성 걸림편(103)이 메커니즘 커버(71) 측에 세워 마련되어 있다. 이 탄성 걸림편(103)은 잠금 암(82)의 관통 구멍(102)의 횡측에 형성된 대략 부채형으로 단차부를 갖는 창부(104)에 삽입되고, 기대부(94)의 축심 주위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탄성적으로 걸어 고정된다.
또,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록킹 기어(81)는 기대부(94)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리브부에 센서 스프링(83)의 일단측이 끼워 넣어지는 스프링 지지 핀(105)이 상기 기대부(94)의 축심에 대해 직교하는 웨빙 인출 방향으로 세워 마련되어 있다. 또, 잠금 암(82)의 스프링 지지 핀(105)에 대향하는 측벽에는 센서 스프링(83)의 타단측이 끼워 넣어지는 스프링 지지 핀(106)이 세워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스프링 지지 핀(105, 106)에 센서 스프링(83)의 양단을 끼워 넣는 것에 의해, 잠금 암(82)은 지지 보스(101)의 축심에 대해 웨빙 인출 방향 측으로(도 9 중, 화살표(107) 방향임) 회전운동하도록 소정 하중으로 부세된다. 그리고, 잠금 암(82)은 클러치(85)의 클러치 기어(108)에 걸어 맞춰지는 걸어 맞춤 발톱(109)측의 단가장자리부가 록킹 기어(81)의 기대부(94)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 스토퍼(114)에 맞닿아 있다.
한편,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잠금 암(82)이 센서 스프링(83)의 부세력에 대항해서 웨빙 권취 방향(도 9 중, 화살표(107)에 대해 반대 방향임)으로 회전운동되어 클러치 기어(108)에 걸어 맞춰진 경우에는 걸어 맞춤 발톱(109)의 걸어 맞춤부와는 반대측의 단가장자리부가 록킹 기어(81)의 저면부(92)에 세워 마련된 회전 방지(115)와 소정 간극(예를 들면, 간극 약 0.3㎜임)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회전 방지(115)는 단면이 방추형이다(도 20 참조).
또, 도 5, 도 6, 도 9 내지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클러치(85)는 록킹 기어(81)와 메커니즘 커버(71)의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메커니즘 수용부(87)에 일정한 회전 범위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수용된다. 이 클러치(85)의 록킹 기어(81)측에는 관통 구멍(112)에 대해 동축에, 록킹 기어(81)의 록킹 기어 티스(81A)가 외주부에 형성된 원형 링 형상의 리브의 내주 직경보다 조금 작은 외경을 갖는 원형 링 형상의 리브부(113)가 세워 마련되어 있다.
이 리브부(113)의 내주면에는 잠금 암(82)의 걸어 맞춤 발톱(109)이 걸어 맞춰지는 클러치 기어(108)가 형성되어 있다(도 20 참조). 이 클러치 기어(108)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록킹 기어(81)가 관통 구멍(112)의 축심에 대해 웨빙 인출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에만, 잠금 암(82)의 걸어 맞춤 발톱(109)과 걸어 맞춰지도록 형성되어 있다(도 20 참조).
또, 클러치(85)의 대략 원판형상의 판부(111)의 외주부에는 리브부(113)를 둘러싸도록 원형 링 형상의 외측 리브부(117)가 세워 마련되어 있다. 또, 이 외측 리브부(117)의 래칫 기어(35)측의 단가장자리부에는 관통 구멍(112)의 중심축에 대해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래칫 기어(35) 측으로 조금 경사지도록 연장된 플랜지부(118)가 대략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또, 외측 리브부(117)의 폴(23)에 대향하는 코너부(도 9 중, 좌측 하부 코너부임)에는 외측 리브부(117)의 외주면으로부터 연직 방향 아래쪽(도 5 중, 하방향임)으로 연장된 가이드 블록부(119)가 마련되어 있다. 이 가이드 블록부(119)에는 폴(23)의 각 걸어 맞춤 티스(23A, 23B)를 포함하는 선단부의 측면에 세워 마련된 안내 핀(42)이 래칫 기어(35)측으로부터 헐겁게 끼워지는 대략 가늘고 긴 형상의 가이드 구멍(116)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 구멍(116)은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측 리브부(117)의 폴(23)에 대향하는 코너부에, 웨빙 인출 방향(도 10 중, 상하 방향임)과 대략 평행한 긴 홈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클러치(85)가 웨빙 인출 방향(도 9 중, 화살표(107) 방향임)으로 회전운동한 경우에는 안내 핀(42)이 가이드 구멍(116)을 따라 이동되고, 폴(23)의 각 걸어 맞춤 티스(23A, 23B)가 래칫 기어(35)의 래칫 기어부(35A)에 근접하도록 회전운동된다(도 20∼도 22 참조).
또, 폴(23)은 비틀림 코일 스프링(26)에 의해서 래칫 기어(35)로부터 이반된 방향으로 회전운동 부세되어 있고, 클러치(85)는 가이드 구멍(116)에 헐겹게 끼워진 폴(23)의 안내 핀(42)에 의해 부세되어 있다. 이 부세력에 의해서 클러치(85)는 가이드 구멍(116)에 있어서, 클러치(85)의 회전 반경 방향에서 가장 래칫 기어(35)으로부터 이반된 위치에 있는 단가장자리부(도 9 중, 가이드 구멍(116)의 하측 단가장자리부임)에 폴(23)의 안내 핀(42)이 맞닿는 상태의 회전 자세가 되도록 부세됨으로써, 웨빙 인출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 부세되어 있다. 따라서, 폴(23) 및 비틀림 코일 스프링(26)에 의해서 클러치 부세 기구(129)가 구성된다.
그리고, 동시에 폴(23)은 통상시에는 가이드 구멍(116)에 있어서, 클러치(85)의 반경 방향에서 가장 래칫 기어(35)로부터 이반된 위치에 있는 단가장자리부(도 9 중, 가이드 구멍(116)의 하측 단가장자리부임)에 폴(23)의 안내 핀(42)이 맞닿아 회전운동을 규제받기 때문에, 측벽부(12)에 형성된 절결부(38)의 안쪽측 근방에 위치하도록 유지되어 있다.
또, 클러치(85)의 외측 리브부(117)의 하측 단가장자리부(도 6 중, 하측 단가장자리부임)에는 가이드 블록부(119)의 래칫 기어(35)측 단면부에서 센서 수용부(88)의 위쪽(도 6 중, 상방향임)에 대향하는 부분까지, 플랜지부(118)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대략 원호형상으로 연장된 판형상의 연장부(120)가 형성되어 있다. 또, 도 9, 도 10, 도 12 내지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장부(120)의 가이드 블록부(119)에 대해 반대측의 단가장자리부의 근방 위치에는 파일럿 레버(86)의 원통 형상의 슬리브부(121)(도 15 참조)에 끼워 삽입되는 가느다란 원기둥형상의 장착 보스(123)가 외측 리브부(117)의 높이와는 대략 동일한 높이로 메커니즘 커버(71)측에 세워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도 9, 도 10,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일럿 레버(86)는 원통 형상의 슬리브부(121), 판형상의 걸어 맞춤 발톱부(86A), 박판 형상의 받이 판부(122), 박판 형상의 연결 판부(124)를 구비한다. 슬리브부(121)의 축방향 길이는 연장부(120)에 세워 마련된 장착 보스(123)의 높이와 대략 동일한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또, 판형상의 걸어 맞춤 발톱부(86A)는 록킹 기어(81)측에 선단부가 비스듬히 굴곡된 회전운동축 방향에서 보아 대략 L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판형상의 걸어 맞춤 발톱부(86A)는 파일럿 레버(86)가 자중에 의해 회전운동하여, 연직 방향 아래쪽으로의 회전 규제가 된 경우에 대략 수평이 되도록, 슬리브부(121)의 외주면으로부터 가이드 구멍(116)측에 상기 슬리브부(121)의 길이보다 짧은 폭으로 소정 길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 박판 형상의 받이 판부(122)는 걸어 맞춤 발톱부(86A)에 대향하도록 슬리브부(121)의 외주면에서 접선 방향 가이드 구멍(116) 측으로 돌출 설치되고, 선단부가 걸어 맞춤 발톱부(86A)의 선단측과 대략 평행하게 되도록 비스듬히 구부러져 있다. 또, 박판 형상의 연결 판부(124)는 걸어 맞춤 발톱부(86A)와 받이 판부(122)의 선단부를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걸어 맞춤 발톱부(86A)의 기단부의 근방에는 파일럿 레버(86)의 록킹 기어(81)측 방향으로의 회전, 즉 연직 방향 상측으로의 회전을 규제하는 상향 회전 방지부(125)가 슬리브부(121)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 상향 회전 방지부(125)는 걸어 맞춤 발톱부(86A)의 폭과 대략 동일한 폭 치수로 걸어 맞춤 발톱부(86A)의 기단부에 대해서는 대략 직각이 되도록 소정 높이(예를 들면, 높이 약 1.5㎜임)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 걸어 맞춤 발톱부(86A)의 록킹 기어(81)에 대향하는 단면부(도 15 중, 상측 단면부임)에는 선단부가 록킹 기어(81)측으로 비스듬히 굴곡된 부분에서 걸어 맞춤 발톱부(86A)의 기단부까지 리브부(86B)가 긴쪽 방향을 따라 폭 방향 대략 중앙부에 세워 마련되어 있다. 이 리브부(86B)는 걸어 맞춤 발톱부(86A)의 폭의 약 절반의 폭으로 선단부가 록킹 기어(81) 측으로 비스듬히 굴곡된 부분에서 긴쪽 방향 대략 중앙부까지 낮은 일정 높이(예를 들면, 일정 높이 약 1㎜임)로 세워 마련되고, 긴쪽 방향 대략 중앙부에서 연속해서 상향 회전 방지부(125)의 기단부까지 회전운동 축 방향에서 보아 대략 삼각형상으로 세워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걸어 맞춤 발톱부(86A)는 리브부(86B)에 의해서, 록킹 기어(81)측으로 비스듬히 굴곡된 부분에서 긴쪽 방향 대략 중앙부까지의 록킹 기어(81)측 방향으로의 구부림 강도가 선단 부분의 록킹 기어(81)측 방향으로의 구부림 강도보다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걸어 맞춤 발톱부(86A)는 리브부(86B)에 의해서, 긴쪽 방향 대략 중앙부에서 걸어 맞춤 발톱부(86A)의 슬리브부(121)측의 기단부까지의 록킹 기어(81)측 방향으로의 구부림 강도가 록킹 기어(81)측으로 비스듬히 굴곡된 부분에서 긴쪽 방향 대략 중앙부까지의 록킹 기어(81)측 방향으로의 구부림 강도보다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슬리브부(121)의 받이 판부(122)에 대해 접선 방향 반대측에는 파일럿 레버(86)의 센서 레버(53)측 방향으로의 회전, 즉 연직 방향 하측으로의 회전을 규제하는 하향 회전 방지부(126)가 슬리브부(121)의 외주면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 이 하향 회전 방지부(126)는 슬리브부(121)의 래칫 기어(35)에 대해 반대측의 단면측으로부터 받이 판부(122)의 회전축 방향의 폭보다 좁은 회전축 방향의 폭 치수로 받이 판부(122)의 기단부에 대향하도록 소정 높이(예를 들면, 높이 약 1.5㎜임)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슬리브부(121)의 받이 판부(122)의 기단부에서 하향 회전 방지부(126)의 기단부까지의 외주면에는 반경 방향 소정 깊이(예를 들면, 깊이 약 0.5㎜임)로 축방향 대략 중앙부까지 움푹 패인 단면 대략 부채형의 오목부(127)가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오목부(127)의 축방향 중앙부측의 단가장자리부에는 판형상의 볼록부(128)가 오목부(127)의 둘레 방향 전체 폭에 걸쳐, 반경 방향 외측에 소정 높이(예를 들면, 높이 약 1.5㎜임)의 동심 원호형상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 도 9, 도 10, 도 12 내지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장부(120)의 장착 보스(123)에 대향하는 단가장자리부에는 파일럿 레버 지지 블록(131)이 외측 리브부(117)와 대략 동일한 높이로 메커니즘 커버(71) 측에 돌출 설치되어 있다. 이 파일럿 레버 지지 블록(131)의 장착 보스(123)에 대향하는 내측에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측 리브부(117)의 외주면으로부터 연직 방향 아래쪽으로 연장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파일럿 레버(86)가 록킹 기어(81)측으로 회전운동되었을 때, 상향 회전 방지부(125)가 맞닿아지는 상방향 규제 단면부(132)가 형성되어 있다.
또,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일럿 레버 지지 블록(131)의 장착 보스(123)에 대향하는 내측에는 또한, 상방향 규제 단면부(132)에서 연장부(120)의 연직 방향 아래쪽측 단가장자리부까지 연장되어, 장착 보스(123)와 동축이고 또한 파일럿 레버(86)의 슬리브부(121)의 외주면의 반경보다 조금 큰(예를 들면, 약 0.1㎜ 큰) 곡률 반경의 정면에서 보아 대략 반원형상의 완만한 곡면으로 형성된 하중 받이면(133)이 마련되어 있다.
또, 도 12 및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일럿 레버 지지 블록(131)의 연직 방향 아래쪽측의 단가장자리부에는 연장부(120)측에 소정 높이 잘라내어진 단차부(135)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파일럿 레버(86)가 자중으로 회전운동되었을 때에, 하향 회전 방지부(126)가 맞닿아지는 하방향 규제 단면부(136)가 형성되어 있다. 또, 단차부(135)의 연장부(120)로부터의 높이는 하향 회전 방지부(126)보다 낮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연장부(120)의 장착 보스(123)에 대해 연직 방향 아래쪽에 대향하는 단가장자리부에는 선단부에 걸림 돌기(137A)가 형성된 단면 역 L자형의 탄성 걸림편(137)이 장착 보스(123)에 대해 반경 방향 외측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세워 마련되어 있다. 이 탄성 걸림편(137)은 파일럿 레버(86)의 슬리브부(121)의 외주면에 돌출 설치된 볼록부(128)에 대해 소정 간극(예를 들면, 약 0.3㎜의 간극임)을 형성하여 대향하는 동시에, 선단부에 형성된 걸림 돌기(137A)가 볼록부(128)보다 조금 높아지도록(예를 들면, 약 0.2㎜ 높음) 세워 마련되어 있다.
또, 도 9, 도 10, 도 12 내지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측 리브부(117)의 파일럿 레버(86)의 걸어 맞춤 발톱부(86A)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연직 방향 상하에 관통하는 개구부(138)가 둘레 방향 소정 폭으로 판부(111)의 단가장자리부보다도 내측까지 소정 치수 잘라내어져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부(138)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걸어 맞춤 발톱부(86A)가 센서 레버(53)의 잠금 발톱(53A)에 압압되어 회전운동한 경우, 개구부(138) 내에 진입해서 록킹 기어 티스(81A)에 걸어 맞춤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도 18 참조).
따라서,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일럿 레버(86)의 걸어 맞춤 발톱부(86A)는 개구부(138)에 대향시킨다. 따라서, 슬리브부(121)를 장착 보스(123)에 끼워 삽입하고, 연장부(120)에 맞닿을 때까지 압입하는 것에 의해, 탄성 걸림편(137)의 걸림 돌기(137A)가 볼록부(128)에 대해 소정 간극(예를 들면, 간극 약 0.2㎜임)을 형성하여 대향하기 때문에, 파일럿 레버(86)가 장착 보스(123)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걸림 돌기(137A)는 슬리브부(121)에 형성된 오목부(127)의 둘레면에 대해 소정 간극(예를 들면, 간극 약 0.2㎜임)을 형성해서 대향하는 동시에, 슬리브부(121)의 외주면과 파일럿 레버 지지 블록(131)의 하중 받이면(133)의 사이에는 소정 간극(139)(예를 들면, 약 0.1㎜의 간극임)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파일럿 레버(86)는 연직 방향 상하로 원활하게 회전운동한다.
또한,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일럿 레버(86)가 자중에 의해 연직 방향 하측(도 17 중, 하방향임)으로 회전운동한 경우에는 하향 회전 방지부(126)가 파일럿 레버 지지 블록(131)의 하방향 규제 단면부(136)에 맞닿아, 연직 방향 하측(도 17 중, 하방향임)으로의 회전 각도가 규제된다. 또, 통상시에는 파일럿 레버(86)의 받이 판부(122)와 센서 레버(53)의 잠금 발톱(53A)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또,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센서 레버(53)가 연직 방향 상측(도 18 중, 상방향임)으로 회전운동되어, 잠금 발톱(53A)에 의해서 파일럿 레버(86)가 연직 방향 상측으로 회전운동한 경우에는 파일럿 레버(86)의 걸어 맞춤 발톱부(86A)가 록킹 기어(81)에 맞닿아, 록킹 기어 티스(81A)에 걸어 맞춰진다. 또, 파일럿 레버(86)의 걸어 맞춤 발톱부(86A)가 록킹 기어 티스(81A)에 걸어 맞춰진 상태에서, 록킹 기어(81)가 웨빙 인출 방향(화살표(141) 방향임)으로 회전한 경우에는(도 27 참조), 걸어 맞춤 발톱부(86A)에는 장착 보스(123)측 방향(화살표(142) 방향임)의 하중이 가해진다.
이것에 의해, 걸어 맞춤 발톱부(86A)에 하중이 가해진 경우, 걸어 맞춤 발톱부(86A)의 록킹 기어(81) 측으로 비스듬히 굴곡된 선단 부분이 슬리브부(121) 측으로 탄성 변형되어 또한 회전운동된 경우에는 상기 파일럿 레버(86)의 상향 회전 방지부(125)가 파일럿 레버 지지 블록(131)의 상방향 규제 단면부(132)에 맞닿아진다. 또, 걸어 맞춤 발톱부(86A)에 가해진 하중에 의해서, 장착 보스(123)가 휜 경우에는 슬리브부(121)의 외주면이 파일럿 레버 지지 블록(131)의 하중 받이면(133)에 맞닿는다.
따라서, 걸어 맞춤 발톱부(86A)에 가해진 상기 압압 하중을 상향 회전 방지부(125) 및 슬리브부(121)을 통해 파일럿 레버 지지 블록(131)에서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파일럿 레버(86) 및 장착 보스(123)를 작게 해도, 걸어 맞춤 발톱부(86A)에 가해진 압압 하중을 지지하는 상향 회전 방지부(125), 슬리브부(121) 및 장착 보스(123)의 변형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도 6, 도 9, 도 10,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클러치(85)의 플랜지부(118)에는 가이드 블록부(119)의 관통 구멍(112)에 대해 대략 반대측에 관통 구멍(112)의 중심축에 대해 소정 중심 각도(예를 들면, 중심 각도 약 60도임)로 외측 리브부(117)까지 잘라내어진 절결부(145)가 형성되어 있다. 또, 절결부(145)의 관통 구멍(112)의 중심축에 대해 둘레 방향의 양 단부 사이에는 리브형상의 탄성 리브(146)가 한쪽의 단부에서 다른 쪽의 단부까지 플랜지부(118)의 폭보다 좁은 폭으로 관통 구멍(112)의 중심축에 대해 동심의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이 탄성 리브(146)의 둘레 방향 중앙부에는 플랜지부(118)의 외경보다 반경 방향 외측으로 소정 높이(예를 들면, 높이 약 1.2㎜임) 돌출된 단면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된 클러치측 돌기부(146A)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리브 형상의 탄성 리브(146)는 둘레 방향 중앙부에 형성된 클러치측 돌기부(146A)가 반경 방향 내측에 압압된 경우에는 클러치측 돌기부(146A)가 플랜지부(118)의 외경보다 반경 방향 내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 도 6,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커니즘 커버(71)의 메커니즘 수용부(87)의 클러치(85)의 플랜지부(118)에 대향하는 내벽부는 관통 구멍(73)의 중심축(73A)에 대해 동심 형상으로 형성되고, 플랜지부(118)와 소정 간극(예를 들면, 약 1.5㎜의 간극임)을 형성해서 대향하고 있다.
또, 메커니즘 수용부(87)의 내벽부에서 클러치(85)의 탄성 리브(146)에 대향하는 부분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클러치(85)가 웨빙 인출 방향으로 회전운동되어, 폴(23)이 래칫 기어(35)의 래칫 기어부(35A)에 걸어 맞춰지는 경우에, 클러치측 돌기부(146A)가 타고 넘어가는 위치에 리브 형상의 고정측 돌기부(148)가 중심축(73A) 방향을 따라 세워 마련되어 있다(도 22 참조). 이 고정측 돌기부(148)는 메커니즘 수용부(87)의 내벽부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소정 높이(예를 들면, 높이 약 1.2㎜임) 돌출된 단면 대략 반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클러치(85)의 절결부(145)는 가이드 블록부(119)의 관통 구멍(112)에 대해 대략 반대측의 플랜지부(118)의 부분에 한정되지 않고, 연장부(120)의 관통 구멍(112)에 대해 대략 반대측의 플랜지부(118)의 부분이나, 파일럿 레버 지지 블록(131)의 관통 구멍(112)에 대해 대략 반대측의 플랜지부(118)의 부분 등에 마련하여, 탄성 리브(146)를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또, 메커니즘 수용부(87)의 내벽부에 형성되는 고정측 돌기부(148)는 각각의 탄성 리브(146)에 대향하는 내벽부의 부분에 폴(23)이 래칫 기어(35)의 래칫 기어부(35A)에 걸어 맞춰지는 경우에, 클러치측 돌기부(146A)가 타고 넘어가는 위치에 마련하도록 해도 좋다.
다음에, 잠금 기구(10)의 동작에 대해 도 19 내지 도 37에 따라서 설명한다. 각 도면에 있어서 웨빙(3)의 인출 방향은 화살표(151) 방향이며, 웨빙(3)의 인입 방향은 화살표(152) 방향이다. 또, 각 도면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의 회전 방향이 웨빙(3)이 인출될 때의 권취 드럼 유닛(6)의 회전 방향(웨빙 인출 방향)이다. 또, 잠금 기구(10)의 동작의 설명상, 필요에 따라 도면의 일부를 잘라내어 표시하고 있다.
여기서, 잠금 기구(10)는 웨빙(3)의 급격한 인출에 대해 작동하는 "웨빙 감응식 잠금 기구"와 차량의 흔들림이나 기울기 등에 기인해서 생기는 가속도에 감응해서 작동하는 "차체 감응식 잠금 기구"의 2종류의 잠금 기구로서 동작한다. 또, "웨빙 감응식 잠금 기구" 및 "차체 감응식 잠금 기구"에서는 모두 폴(23)의 동작은 공통이다. 이 때문에, 도 19 내지 도 37에 있어서, 폴(23)과 래칫 기어(35)의 관계를 나타내는 부분에 대해서는 그 일부를 잘라낸 상태로 해서 표시하고 있다.
[웨빙 감응식 잠금 기구의 동작 설명]
먼저, "웨빙 감응식 잠금 기구"의 동작에 대해 도 19 내지 도 25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19 내지 도 25는 "웨빙 감응식 잠금 기구"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웨빙 감응식 잠금 기구"에서는 폴(23)과 래칫 기어(35)의 관계를 나타내는 부분에 부가해서, 잠금 암(82)과 클러치 기어(108)의 관계를 나타내는 부분, 및 센서 스프링(83)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부분을 잘라내어 나타내고 있다.
[잠금 동작]
우선, "웨빙 감응식 잠금 기구"의 잠금 동작에 대해 도 19 내지 도 22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잠금 암(82)은 록킹 기어(81)의 지지 보스(101)에 의해서 회전운동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웨빙(3)의 인출 가속도가 소정 가속도(예를 들면, 약 2.0G이다. 또한, 1G≒9.8m/s2로 함)를 넘은 경우에는 록킹 기어(81)의 웨빙 인출 방향(화살표(153) 방향임)으로의 회전에 대해 잠금 암(82)에 관성 지연이 생긴다.
이 때문에, 스토퍼(114)에 맞닿아 있던 잠금 암(82)은 센서 스프링(83)의 부세력에 대항해서 초기 위치를 유지하기 때문에, 상기 록킹 기어(81)에 대해 지지 보스(101)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화살표(155) 방향임)으로 회전운동되고, 회전 방지(115)의 근방까지 회전운동된다. 그 때문에, 잠금 암(82)의 걸어 맞춤 발톱(109)은 록킹 기어(81)의 회전축에 대해 반경 방향 외측으로 회전운동되어, 클러치(85)의 클러치 기어(108)에 걸어 맞춰진다.
그리고, 도 20 및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웨빙(3)의 인출이 소정 가속도를 넘어 계속된 경우에는 록킹 기어(81)가 또한 웨빙 인출 방향(화살표(153) 방향임)으로 회전되기 때문에, 잠금 암(82)의 걸어 맞춤 발톱(109)은 클러치 기어(108)에 걸어 맞춰진 상태에서, 웨빙 인출 방향(화살표(153) 방향임)으로 회전운동된다.
따라서, 잠금 암(82)에 의해서 클러치 기어(108)가 웨빙 인출 방향(화살표(156) 방향임)으로 회전운동되기 때문에, 클러치(85)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26)에 의해서 래칫 기어(35)로부터 이반된 방향으로 회전운동 부세되어 있는 폴(23)의 안내 핀(42)에 의한 부세력에 대항하여, 록킹 기어(81)의 리브(95)의 축심 주위, 즉, 회전 슬리브부(93)의 축심 주위에 웨빙 인출 방향(화살표(156) 방향임)으로 회전운동된다.
이에 따라, 클러치(85)의 웨빙 인출 방향(화살표(156) 방향임)으로의 회전운동에 따라, 폴(23)의 안내 핀(42)은 상기 클러치(85)의 가이드 구멍(116)에 의해서 안내되기 때문에, 상기 폴(23)은 비틀림 코일 스프링(26)의 부세력에 대항해서, 래칫 기어(35)측으로 회전운동된다(화살표(157) 방향임). 또, 클러치(85)의 가이드 구멍(116)에 대해 직경 방향 대략 반대측의 플랜지부(118)에, 반경 방향 내측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마련된 탄성 리브(146)의 클러치측 돌기부(146A)도 상기 클러치(85)의 회전운동에 따라, 메커니즘 커버(71)의 메커니즘 수용부(87)의 내주벽에 세워 마련된 고정측 돌기부(148)측으로 회전운동된다.
그리고,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웨빙(3)의 인출이 소정 가속도를 넘어 또한 계속된 경우에는 클러치(85)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26)에 의해서 래칫 기어(35)로부터 이반된 방향으로 회전운동 부세되어 있는 폴(23)의 안내 핀(42)에 의한 부세력에 대항해서, 웨빙 인출 방향(화살표(156) 방향임)으로 또한 회전운동된다. 이 때문에, 폴(23)의 안내 핀(42)은 상기 클러치(85)의 가이드 구멍(116)에 의해서 또한 안내되고, 상기 폴(23)은 비틀림 코일 스프링(26)의 부세력에 대항해서, 래칫 기어(35)에 걸어 맞춰진다. 이에 따라, 권취 드럼 유닛(6)의 회전이 잠겨 웨빙(3)의 인출이 잠긴다.
또, 클러치(85)의 탄성 리브(146)는 클러치측 돌기부(146A)가 메커니즘 수용부(87)의 내주벽에 세워 마련된 고정측 돌기부(148)측으로 또한 회전운동되기 때문에, 상기 고정측 돌기부(148)에 맞닿아 압압되어, 반경 방향 내측으로 탄성 변형되고, 원활하게 고정측 돌기부(148)를 타고 넘는다. 그리고, 클러치(85)는 폴(23)의 각 걸어 맞춤 티스(23A, 23B)가 래칫 기어(35)의 래칫 기어부(35A)에 맞닿아, 폴(23)의 회전운동이 정지되기 때문에, 탄성 리브(146)의 클러치측 돌기부(146A)가 고정측 돌기부(148)를 타고 넘은 위치에서, 웨빙 인출 방향(화살표(156) 방향임)으로의 회전운동이 정지된다.
또, 클러치(85)의 외주부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마련된 탄성 리브(146)의 클러치측 돌기부(146A)가 반경 방향 내측으로 탄성 변형되어, 메커니즘 수용부(87)의 내주벽에 세워 마련된 고정측 돌기부(148)를 타고 넘어, 고정측 돌기부(148)의 웨빙 인출 방향측의 측면에 맞닿거나, 또는 근접해서 위치하고 있다.
[잠금 해제 동작]
계속해서, "웨빙 감응식 잠금 기구"의 잠금 해제 동작에 대해 도 23 내지 도 25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권취 드럼 유닛(6)의 회전이 잠겨 웨빙(3)의 인출이 잠긴 후, 웨빙(3)에 가해지는 인출 방향의 인장력이 완화되어, 웨빙(3)이 약간 말려 들어간 경우에는(예를 들면, 화살표(152) 방향으로 5㎜ 정도임) 권취 스프링 유닛(8)의 부세력에 의해서, 권취 드럼 유닛(6)이 웨빙 권취 방향(화살표(158) 방향임)으로 약간 회전된다.
이에 따라, 록킹 기어(81)는 래칫 기어(35)에 대해 상대 회전 불능으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래칫 기어(35)와 일체로 되어 웨빙 권취 방향(화살표(159) 방향임)으로 약간 회전한다. 한편, 클러치(85)는 탄성 리브(146)의 클러치측 돌기부(146A)가 고정측 돌기부(148)를 타고 넘은 상태에서 맞닿기 때문에, 웨빙 권취 방향(화살표(159) 방향임)으로의 회전이 록킹 기어(81)의 회전에 대해 상대적으로 느리다.
따라서,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클러치(85)의 회전축에 대해 반경 방향 외측의 외주부에 일체 형성된 탄성 리브(146)로부터 돌출하도록 마련된 클러치측 돌기부(146A)와, 하우징(11)의 측벽부(12)에 대해 고정된 메커니즘 커버(71)의 메커니즘 수용부(87)의 내주벽에 반경 방향 내측에 세워 마련되어, 클러치(85)의 웨빙 인출 방향으로의 회전시에 클러치측 돌기부(146A)와 맞닿음 가능하게 돌출된 고정측 돌기부(148)에 의해서, 클러치(85)의 웨빙 권취 방향으로의 회전을 록킹 기어(81)의 회전에 대해 상대적으로 느리게 하는 회전차 부여 기구(149)를 구성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록킹 기어(81)가 클러치(85)의 웨빙 권취 방향으로의 회전에 대해 상대적으로 선행해서 웨빙 권취 방향으로 회전하고, 잠금 암(82)의 걸어 맞춤 발톱(109)의 걸어 맞춤측 코너부와 클러치 기어(108)의 사이에, 잠금 암(82)이 클러치 기어(108)와의 걸어 맞춤을 해제하는 회전운동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간극이 생긴다. 또, 래칫 기어(35)의 래칫 기어부(35A)와 폴(23)의 각 걸어 맞춤 티스(23A, 23B)의 사이에도 폴(23)이 래칫 기어(35)와의 걸어 맞춤을 해제하는 회전운동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간극이 생긴다.
그리고,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잠금 암(82)은 클러치 기어(108)와의 걸어 맞춤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센서 스프링(83)의 부세력에 의해서, 지지 보스(101)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화살표(161) 방향임)으로 회전운동된다. 그리고, 잠금 암(82)은 클러치 기어(108)와의 걸어 맞춤이 해제되는 동시에, 스토퍼(114)에 맞닿은 초기 위치의 상태로 돌아간다.
계속해서, 도 24 및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폴(23)은 래칫 기어(35)와의 걸어 맞춤을 해제하는 회전운동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비틀림 코일 스프링(26)에 의해서 래칫 기어(35)로부터 이반된 방향(화살표(162) 방향임)으로 회전운동하고, 래칫 기어(35)와의 걸어 맞춤이 해제된다. 또, 동시에 폴(23)의 비틀림 코일 스프링(26)의 부세력에 의한 회전운동에 따라, 폴(23)의 안내 핀(42)이 가이드 구멍(116)을 잠금 작동시와는 역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클러치(85)는 웨빙 권취 방향(화살표(163) 방향임)으로 회전운동 부세된다.
이에 따라, 클러치(85)의 탄성 리브(146)는 클러치측 돌기부(146A)가 메커니즘 수용부(87)의 내주벽에 세워 마련된 고정측 돌기부(148)에 맞닿아 압압되고, 반경 방향 내측으로 탄성 변형되어, 이 고정측 돌기부(148)를 원활하게 타고 넘는다. 그 후, 클러치(85)는 폴(23)의 비틀림 코일 스프링(26)의 부세력에 의한 회전운동에 따라, 웨빙 권취 방향(화살표(163) 방향임)으로 회전운동하고, 안내 핀(42)이 가이드 구멍(116)의 가장 래칫 기어(35)로부터 이반된 위치에 있는 단가장자리부(도 25 중, 가이드 구멍(116)의 하측 단가장자리부임)에 맞닿은 통상 상태의 기준 회전 자세로 돌아간다.
또, 폴(23)의 각 걸어 맞춤 티스(23A, 23B)와 래칫 기어(35)의 걸어 맞춤이 해제되어, 상기 폴(23)이 래칫 기어(35)로부터 이간되기 때문에, 폴(23)에 의한 권취 드럼 유닛(6)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고, 웨빙(3)의 인출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웨빙(3)의 약간의 권취량으로, 권취 드럼 유닛(6)의 회전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차체 감응식 잠금 기구의 동작 설명]
다음에, "차체 감응식 잠금 기구"의 동작에 대해 도 26 내지 도 37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26 내지 도 32는 "차체 감응식 잠금 기구"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33 내지 도 37은 "차체 감응식 잠금 기구"의 폴(23)의 동기 어긋남이 발생했을 때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차체 감응식 잠금 기구"에서는 폴(23)과 래칫 기어(35)의 관계를 나타내는 부분에 부가해서, 파일럿 레버(86)와 록킹 기어(81)의 관계를 나타내는 부분, 및 차량 가속도 센서(28)의 센서 홀더(51) 및 센서 레버(53)의 부분을 잘라내어 나타내고 있다.
[통상 잠금 동작]
우선, "차체 감응식 잠금 기구"의 통상 잠금 동작에 대해 도 26 내지 도 29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26 및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량 가속도 센서(28)의 구형상체의 관성 질량체(52)는 센서 홀더(51)의 절구형상의 저면부에 탑재되어 있기 때문에, 차체의 흔들림이나 기울기 등에 의한 가속도가 소정 가속도(예를 들면, 약 2.0G임)를 넘은 경우에는 센서 홀더(51)의 저면부를 이동하여 센서 레버(53)을 연직 방향 상측으로 회전운동시킨다.
이 때문에, 센서 레버(53)의 잠금 발톱(53A)이 클러치(85)의 연장부(120)에 세워 마련된 장착 보스(123)에 회전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는 파일럿 레버(86)의 받이 판부(122)에 맞닿아, 상기 파일럿 레버(86)를 연직 방향 상측으로 회전운동시킨다. 따라서, 파일럿 레버(86)는 장착 보스(123)의 축심 주위에 시계 방향(화살표(164) 방향임)으로 회전운동되고, 상기 파일럿 레버(86)의 걸어 맞춤 발톱부(86A)는 클러치(85)의 개구부(138)(도 10 참조)내에 진입하여, 록킹 기어(81)의 외주부에 형성된 록킹 기어 티스(81A)에 걸어 맞춰진다. 이 때, 상향 회전 방지부(125)와 파일럿 레버 지지 블록(131)의 상방향 규제 단면부(132)의 사이에는 소정 간극(예를 들면, 간극 약 0.1㎜임)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27 및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일럿 레버(86)가 록킹 기어(81)의 록킹 기어 티스(81A)에 걸어 맞춰진 상태에서 웨빙(3)이 인출된 경우에는 상기 록킹 기어(81)가 웨빙 인출 방향(화살표(165) 방향임)으로 회전운동된다. 또, 록킹 기어(81)의 웨빙 인출 방향으로의 회전은 파일럿 레버(86), 장착 보스(123) 및 파일럿 레버 지지 블록(131)을 통해 클러치(85)에 전달된다.
따라서, 록킹 기어(81)의 웨빙 인출 방향으로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클러치(85)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26)에 의해 래칫 기어(35)로부터 이반된 방향으로 회전운동 부세되어 있는 폴(23)의 안내 핀(42)에 의한 부세력에 대항해서, 록킹 기어(81)의 리브(95)의 축심 주위, 즉 회전 슬리브부(93)의 축심 주위에 웨빙 인출 방향(화살표(166) 방향임)으로 회전운동된다.
이에 따라, 클러치(85)의 웨빙 인출 방향(화살표(166) 방향임)으로의 회전운동에 따라, 폴(23)의 안내 핀(42)은 상기 클러치(85)의 가이드 구멍(116)에 안내되기 때문에, 상기 폴(23)은 래칫 기어(35) 측으로 회전운동된다(화살표(167) 방향임). 또, 클러치(85)의 가이드 구멍(116)에 대해 직경 방향 대략 반대측의 플랜지부(118)에 반경 방향 내측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마련된 탄성 리브(146)의 클러치측 돌기부(146A)도 상기 클러치(85)의 회전운동에 따라, 메커니즘 커버(71)의 메커니즘 수용부(87)의 내주벽에 세워 마련된 고정측 돌기부(148)측으로 회전운동된다.
따라서, 웨빙(3)이 계속 인출되면, 클러치(85)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26)에 의해서 래칫 기어(35)에서 이반된 방향으로 회전운동 부세되어 있는 폴(23)의 안내 핀(42)에 의한 부세력에 대항해서, 웨빙 인출 방향(화살표(166) 방향임)으로 또한 회전운동된다. 이것에 의해, 폴(23)의 안내 핀(42)은 상기 클러치(85)의 가이드 구멍(116)에 안내되고, 상기 폴(23)의 각 걸어 맞춤 티스(23A, 23B)는 래칫 기어(35)의 래칫 기어부(35A)에 걸어 맞춰진다. 이에 따라, 권취 드럼 유닛(6)의 회전이 잠겨 웨빙(3)의 인출이 잠긴다.
또, 클러치(85)의 탄성 리브(146)는 클러치측 돌기부(146A)가 메커니즘 수용부(87)의 내주벽에 세워 마련된 고정측 돌기부(148) 측으로 또한 회전운동되기 때문에, 상기 고정측 돌기부(148)에 맞닿아 압압되고, 반경 방향 내측으로 탄성 변형되어, 원활하게 고정측 돌기부(148)를 타고 넘는다. 그리고, 클러치(85)는 폴(23)의 각 걸어 맞춤 티스(23A, 23B)가 래칫 기어(35)의 래칫 기어부(35A)에 맞닿아, 폴(23)의 회전운동이 정지되기 때문에, 탄성 리브(146)의 클러치측 돌기부(146A)가 고정측 돌기부(148)를 타고 넘은 위치에서, 웨빙 인출 방향(화살표(166) 방향임)으로의 회전운동이 정지된다.
또, 클러치(85)의 외주부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마련된 탄성 리브(146)의 클러치측 돌기부(146A)가 반경 방향 내측으로 탄성 변형되고, 메커니즘 수용부(87)의 내주벽에 세워 마련된 고정측 돌기부(148)를 타고 넘어, 고정측 돌기부(148)의 웨빙 인출 방향측의 측면에 맞닿거나 또는 근접해서 위치하고 있다.
[잠금 해제 동작]
계속해서, "차체 감응식 잠금 기구"의 잠금 해제 동작에 대해 도 30 내지 도 32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권취 드럼 유닛(6)의 회전이 잠겨 웨빙(3)의 인출이 잠긴 후, 웨빙(3)에 가해지는 인출 방향의 인장력이 완화되어, 웨빙(3)이 약간 말려 들어간 경우에는(예를 들면, 화살표(152) 방향으로 5㎜ 정도임) 권취 스프링 유닛(8)의 부세력에 의해서, 권취 드럼 유닛(6)이 웨빙 권취 방향(화살표(168) 방향임)으로 약간 회전된다. 또, 이때, 차량의 가속도가 소정값 이하이면, 차량 가속도 센서(28)의 관성 질량체(52)는 센서 홀더(51)의 절구형상의 저면 중앙부에 위치하는 통상시로 돌아간다.
이에 따라, 록킹 기어(81)는 각 볼록부(96)에 의해서 래칫 기어(35)에 대해 상대 회전 불능으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래칫 기어(35)와 일체로 되어 웨빙 권취 방향(화살표(169) 방향임)으로 약간 회전된다. 한편, 클러치(85)는 탄성 리브(146)의 클러치측 돌기부(146A)가 고정측 돌기부(148)를 타고 넘은 상태에서 맞닿기 때문에, 웨빙 권취 방향(화살표(169) 방향임)으로의 회전이 록킹 기어(81)의 회전에 대해 상대적으로 느리다.
따라서, 도 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클러치(85)의 회전축에 대해 반경 방향 외측의 외주부에 일체 형성된 탄성 리브(146)로부터 돌출하도록 마련된 클러치측 돌기부(146A)와, 하우징(11)의 측벽부(12)에 대해 고정된 메커니즘 커버(71)의 메커니즘 수용부(87)의 내주벽에 반경 방향 내측으로 세워 마련되고, 클러치(85)의 웨빙 인출 방향으로의 회전시에 클러치측 돌기부(146A)와 맞닿음 가능하게 돌출된 고정측 돌기부(148)에 의해서, 클러치(85)의 웨빙 권취 방향으로의 회전을 록킹 기어(81)의 회전에 대해 상대적으로 느리게 하는 회전차 부여 기구(149)를 구성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록킹 기어(81)가 클러치(85)의 웨빙 권취 방향으로의 회전에 대해 상대적으로 선행해서 웨빙 권취 방향으로 회전하고, 파일럿 레버(86)의 걸어 맞춤 발톱부(86A)의 선단부와 록킹 기어 티스(81A)의 사이에 파일럿 레버(86)가 록킹 기어 티스(81A)와의 걸어 맞춤을 해제하는 회전운동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간극이 생긴다. 또, 래칫 기어(35)의 래칫 기어부(35A)와 폴(23)의 각 걸어 맞춤 티스(23A, 23B)의 사이에도 폴(23)이 래칫 기어(35)와의 걸어 맞춤을 해제하는 회전운동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간극이 생긴다.
그리고, 도 3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일럿 레버(86)는 걸어 맞춤 발톱부(86A)와 록킹 기어(81)의 걸어 맞춤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자중에 의해 연직 방향 아래쪽(화살표(171) 방향임)으로 회전운동된다. 그리고, 파일럿 레버(86)는 록킹 기어(81)와의 걸어 맞춤이 해제되는 동시에, 파일럿 레버(86)의 하향 회전 방지부(126)가 파일럿 레버 지지 블록(131)의 하방향 규제 단면부(136)에 맞닿은 초기 위치의 상태로 돌아간다.
계속해서, 도 31 및 도 3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폴(23)은 래칫 기어(35)와의 걸어 맞춤을 해제하는 회전운동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비틀림 코일 스프링(26)에 의해서 래칫 기어(35)로부터 이반된 방향(화살표(172) 방향임)으로 회전운동하고, 래칫 기어(35)와의 걸어 맞춤이 해제된다. 또, 동시에 폴(23)의 비틀림 코일 스프링(26)의 부세력에 의한 회전운동에 따라, 폴(23)의 안내 핀(42)이 가이드 구멍(116)을 잠금 작동시와는 역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클러치(85)는 웨빙 권취 방향(화살표(173) 방향임)으로 회전운동 부세된다.
이에 따라, 클러치(85)의 탄성 리브(146)는 클러치측 돌기부(146A)가 메커니즘 수용부(87)의 내주벽에 세워 마련된 고정측 돌기부(148)에 맞닿아 압압되고, 반경 방향 내측으로 탄성 변형되어, 이 고정측 돌기부(148)를 원활하게 타고 넘는다. 그 후, 클러치(85)는 폴(23)의 비틀림 코일 스프링(26)의 부세력에 의한 회전운동에 따라, 웨빙 권취 방향(화살표(173) 방향임)으로 회전운동하고, 안내 핀(42)이 가이드 구멍(116)의 가장 래칫 기어(35)로부터 이반된 위치에 있는 단가장자리부(도 32 중, 가이드 구멍(116)의 하측 단가장자리부임)에 맞닿은 통상 상태의 기준 회전 자세로 돌아간다.
또, 파일럿 레버(86)는 자중에 의해 차량 가속도 센서(28)측으로 회전운동되고, 받이 판부(122)가 센서 레버(53)의 잠금 발톱(53A)의 근방에 위치하는 통상 상태로 돌아간다. 그리고, 폴(23)의 각 걸어 맞춤 티스(23A, 23B)와 래칫 기어(35)의 걸어 맞춤이 해제되어, 상기 폴(23)이 래칫 기어(35)로부터 이간되기 때문에, 폴(23)에 의한 권취 드럼 유닛(6)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고, 웨빙(3)의 인출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웨빙(3)의 약간의 권취량으로 권취 드럼 유닛(6)의 회전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폴의 동기 어긋남 발생시의 잠금 동작]
여기서, "차체 감응식 잠금 기구"의 폴(23)의 동기 어긋남이 발생했을 때의 잠금 동작에 대해 도 28, 도 33 내지 도 37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28 및 도 3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일럿 레버(86)의 걸어 맞춤 발톱부(86A)가 록킹 기어(81)의 록킹 기어 티스(81A)에 걸어 맞춰진 상태에서 웨빙(3)이 인출된 경우에는 상기 록킹 기어(81)가 웨빙 인출 방향(화살표(165) 방향임)으로 회전운동된다. 또, 록킹 기어(81)의 웨빙 인출 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라, 클러치(85)가 웨빙 인출 방향(화살표(166) 방향임)으로 회전운동되는 동시에, 폴(23)이 래칫 기어(35)측으로 회전운동된다(화살표(167) 방향임).
그리고, 클러치(85)의 탄성 리브(146)는 클러치측 돌기부(146A)가 메커니즘 수용부(87)의 내주벽에 세워 마련된 고정측 돌기부(148)측으로 회전운동되기 때문에, 상기 고정측 돌기부(148)에 맞닿아 압압되어, 반경 방향 내측으로 탄성 변형되고, 원활하게 고정측 돌기부(148)를 타고 넘는다.
도 33 및 도 3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클러치(85)는 폴(23)의 각 걸어 맞춤 티스(23A, 23B)가 래칫 기어(35)의 래칫 기어부(35A)에 맞닿아, 폴(23)의 회전운동이 정지되기 때문에, 웨빙 인출 방향(화살표(166) 방향임)으로의 회전운동이 잠긴다.
한편, 폴(23)의 각 걸어 맞춤 티스(23A, 23B)와 상기 각 걸어 맞춤 티스(23A, 23B)에 걸어 맞춰지는 래칫 기어부(35A)의 각 티스의 사이에는 도 3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직 약간의 간극이 있기 때문에, 웨빙(3)의 인출이 계속된 경우에는 래칫 기어(35)는 잠금이 완료될 때까지 웨빙 인출 방향(화살표(175) 방향임)으로 회전운동한다. 또, 동시에, 록킹 기어(81)가 래칫 기어(35)와 일체적으로 회전운동하여, 록킹 기어 티스(81A)에 걸어 맞춰진 파일럿 레버(86)의 걸어 맞춤 발톱부(86A)를 압압한다.
이 때문에, 파일럿 레버(86)가 장착 보스(123)의 축심 주위에 시계 방향으로 또한 회전운동되어, 상향 회전 방지부(125)가 파일럿 레버 지지 블록(131)의 상방향 규제 단면부(132)에 맞닿아, 연직 방향 위쪽으로의 회전운동이 규제된다. 또, 동시에 장착 보스(123)가 파일럿 레버 지지 블록(131)측으로 휘어, 파일럿 레버(86)의 슬리브부(121)가 파일럿 레버 지지 블록(131)의 하중 받이면(133)에 맞닿아진다.
그리고, 도 34 내지 도 3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래칫 기어(35)는 폴(23)의 각 걸어 맞춤 티스(23A, 23B)의 선단부가 래칫 기어부(35A)의 각 티스에 맞닿아 잠금 동작이 완료될 때까지 웨빙 인출 방향(화살표(175) 방향임)으로 또한 회전운동된다. 또, 동시에 파일럿 레버(86)의 걸어 맞춤 발톱부(86A) 및 연결 판부(124)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받이 판부(122)가 록킹 기어 티스(81A)에 의해서 슬리브부(121)측 방향으로 압압되어, 슬리브부(121)측으로 탄성 변형되고,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대략 U자 형상으로 휘어진다. 이 때, 회전운동축 방향에서 보아 대략 L자형으로 형성된 걸어 맞춤 발톱부(86A)의 선단부가 주로 록킹 기어(81)측으로 비스듬히 굴곡된 부분에 있어서, 슬리브부(121)측으로 탄성 변형된다.
또, 도 3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클러치(85)의 파일럿 레버(86)가 진입하는 개구부(138)는 걸어 맞춤 발톱부(86A) 및 연결 판부(124)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받이 판부(122)가 슬리브부(121)측으로 탄성 변형되어,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대략 U자 형상으로 휘어도 맞닿지 않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또, 파일럿 레버(86)의 걸어 맞춤 발톱부(86A)의 선단부는 탄성 변형되어,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대략 U자 형상으로 휨에 따라, 록킹 기어 티스(81A)에 대해 반경 방향 외측으로(화살표(176) 방향임) 어긋나 간다.
따라서, 도 35 내지 도 3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일럿 레버(86)의 걸어 맞춤 발톱부(86A) 및 연결 판부(124)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받이 판부(122)의 슬리브부(121) 측으로의 탄성 변형이 걸어 맞춤 발톱부(86A)가 록킹 기어 티스(81A)로부터 어긋나는 탄성 변형량에 도달한 경우에는 상기 걸어 맞춤 발톱부(86A)의 선단부가 록킹 기어 티스(81A)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어긋난다.
그리고, 도 3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록킹 기어 티스(81A)로부터 어긋난 파일럿 레버(86)는 걸어 맞춤 발톱부(86A) 및 연결 판부(124)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받이 판부(122)의 탄성 변형이 해제되어, 통상 상태의 형상으로 돌아간다. 또, 파일럿 레버(86)는 걸어 맞춤 발톱부(86A)와 록킹 기어(81)의 걸어 맞춤이 해제되기 때문에, 자중에 의해 연직 방향 아래쪽(화살표(177) 방향임)으로 회전운동되고, 파일럿 레버(86)의 하향 회전 방지부(126)가 파일럿 레버 지지 블록(131)의 하방향 규제 단면부(136)에 맞닿은 초기 위치의 상태로 돌아간다.
또, 폴(23)의 각 걸어 맞춤 티스(23A, 23B)의 선단부가 래칫 기어부(35A)의 각 티스에 맞닿아 잠금 동작이 완료된다. 이에 따라, 권취 드럼 유닛(6)의 회전이 잠겨 웨빙(3)의 인출이 잠긴다.
또, 클러치(85)의 외주부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마련된 탄성 리브(146)의 클러치측 돌기부(146A)가 반경 방향 내측으로 탄성 변형되고, 메커니즘 수용부(87)의 내주벽에 세워 마련된 고정측 돌기부(148)를 타고 넘어, 고정측 돌기부(148)의 웨빙 인출 방향측의 측면에 맞닿거나, 또는 근접해서 위치하고 있다.
또한, 파일럿 레버(86)의 걸어 맞춤 발톱부(86A) 및 연결 판부(124)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받이 판부(122)의 슬리브부(121) 측으로의 탄성 변형이 걸어 맞춤 발톱부(86A)가 록킹 기어 티스(81A)로부터 어긋나는 탄성 변형량에 도달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도 클러치(85)의 외주부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마련된 탄성 리브(146)의 클러치측 돌기부(146A)가 반경 방향 내측으로 탄성 변형되어, 메커니즘 수용부(87)의 내주벽에 세워 마련된 고정측 돌기부(148)를 타고 넘어, 고정측 돌기부(148)의 웨빙 인출 방향 측의 측면에 맞닿거나, 또는 근접해서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차체 감응식 잠금 기구"의 잠금 해제 동작시에 있어서, 회전차 부여 기구(149)에 의해서 웨빙(3)의 약간의 권취량으로 파일럿 레버(86)와 록킹 기어(81)의 걸어 맞춤이 해제되는 동시에, 권취 드럼 유닛(6)의 회전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권취 드럼 유닛의 개략 구성]
다음에, 권취 드럼 유닛(6)의 개략 구성에 대해 도 2, 도 3, 도 38 내지 도 43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38은 권취 드럼 유닛(6)의 축심을 포함하는 단면도이다. 도 39는 권취 드럼 유닛(6)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0은 권취 드럼(181)을 래칫 기어(35)의 장착측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41은 래칫 기어(35)의 사시도이다. 도 42는 래칫 기어(35)의 내측 정면도이다. 도 43은 도 38의 X1-X1 화살표 단면도이다.
도 38 및 도 3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권취 드럼 유닛(6)은 권취 드럼(181)과, 토션 바(182)와, 와이어(183)와, 래칫 기어(35)로 구성되어 있다.
도 2, 도 3, 도 38 및 도 3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권취 드럼(181)은 알루미늄 다이캐스트나 아연 다이캐스트 등에 의해 형성되며, 프리텐셔너 유닛(7)측의 단면부가 폐색된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권취 드럼(181)의 축심 방향의 프리텐셔너 유닛(7)측의 단가장자리부에는 외주부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대략 직각 외측 방향(도 38 중, 좌측 방향임)으로 연장된 플랜지부(185)가 형성되어 있다. 또, 이 플랜지부(185)의 내주면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차량 충돌시에 각 클러치 폴(232)(도 44 참조)이 걸어 맞춰져 피니언 기어(215)(도 44 참조)의 회전이 전달되는 내측 티스 기어(186)가 형성되어 있다.
또, 권취 드럼(181)의 프리텐셔너 유닛(7)측의 단면부 중앙 위치에는 원통 형상의 보스(187)가 세워 마련되어 있다. 이 보스(187)는 후술하는 폴리아세탈 등의 합성 수지제에 의해 형성된 베어링(235)(도 44 참조)에 끼워 넣어지고, 보스(187)의 기단부가 베어링(235)에 맞닿아진다. 이에 따라, 권취 드럼 유닛(6)의 일단측은 베어링(235)을 통해 프리텐셔너 유닛(7)을 구성하는 피니언 기어(215)의 보스부(215D)(도 44 참조)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따라서, 권취 드럼 유닛(6)은 프리텐셔너 유닛(7)과 잠금 유닛(9)에 의해서 회전축 방향의 덜컹거림을 방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권취 드럼(181)의 내측에는 중심축을 따라 서서히 가늘게 되도록 빼기 구배가 형성된 축 구멍(181A)이 형성되어 있다. 도 38 및 도 4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축 구멍(181A) 내의 플랜지부(185)의 측단부의 내주면에는 단면 대략 사다리꼴 형상의 5개의 돌출부(188A∼188E)가 둘레 방향 일정 간격으로 반경 방향 내측에 리브형상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 토션 바(182)는 스틸재 등에 의해 형성되고, 단면 원형의 봉형상을 한 슬리브부(182C)와 이 슬리브부(182C)의 양 단부에 형성된 각 스플라인(182A, 182B)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각 돌출부(188A∼188E)는 스틸재 등에 의해 형성되는 토션 바(182)의 일단부에 형성된 스플라인(182A)의 각 돌기부의 사이에 끼워 맞춤 가능하게 돌출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 38 및 도 3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토션 바(182)의 스플라인(182A)측을 권취 드럼(181)의 축 구멍(181A)에 삽입하여 각 돌출부(188A∼188E)간에 압입하는 것에 의해서, 토션 바(182)는 권취 드럼(181)내에 상대 회전 불능으로 압입 고정된다.
또, 도 38 내지 도 4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권취 드럼(181)의 축 방향의 잠금 유닛(9)측의 단가장자리부에는 단가장자리부로부터 조금 축방향 내측의 외주면으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연장된 정면에서 보아 대략 원형의 플랜지부(189))가 형성되어 있다. 또, 이 플랜지부(189)로부터 축심 방향 외측의 부분에는 조금 외경이 가늘게 된 원통 형상의 단차부(191)가 형성되어 있다. 이 단차부(191)는 축 구멍(181A)내에 압입된 토션 바(182)의 타단측의 스플라인(182B)을 소정 간극을 형성하여 둘러싸도록 마련되어 있다.
또, 플랜지부(189)의 축방향 외측면에 형성된 정면에서 보아 대략 원형의 단차부(191)의 외주부에는 스테인리스제 등의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단면 원형의 선재형상의 와이어(183)의 일단의 굴곡부(183A)가 끼워 넣어 유지되는 유지측 굴곡로(192)가 일체 형성되어 있다.
이 유지측 굴곡로(192)는 도 39 및 도 4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렌지부(189)의 축방향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정면에서 보아 반경 방향 내측방향의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된 볼록부(193), 단차부(191)의 외주의 볼록부(193)에 대향하는 오목부(194), 이 오목부(194)의 정면에서 보아 반시계 방향측(도 40 중, 반시계 방향측임)의 단부로부터 조금 떨어진 단차부(191)의 외주면으로부터 정면에서 보아 반시계 방향으로 경사진 비스듬히 내측 방향에 형성된 홈부(195와, 단차부(191)의 오목부(194)와 홈부(195)의 사이의 외주면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또, 도 39 및 도 4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록부(193)와 오목부(194)의 반경 방향에 대해 비스듬히 경사진 홈부(195)측(도 40 중, 반시계 방향측임)의 대향면에는 유지측 굴곡로(192)의 깊이 방향을 따라 1조의 대향하는 리브(196)가 마련되어 있다. 또, 볼록부(193)와 오목부(194)의 반경 방향에 대해 비스듬히 경사진 홈부(195)에 대해 반대측(도 40 중, 시계 방향측임)의 대향면에는 반경 방향 외측의 와이어(183)의 출구측 단부와 반경 방향 내측의 안쪽측 단부에 각각 유지측 굴곡로(192)의 깊이 방향을 따라 2조의 대향하는 각각의 리브(197, 198)가 마련되어 있다.
또, 홈부(195)의 대향면에는 유지측 굴곡로(192)의 깊이 방향을 따라 1조의 대향하는 리브(199)가 마련되어 있다. 또, 도 40 및 도 4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대향하는 각 리브(196∼199)는 유지측 굴곡로(192)에 끼워 넣어지는 와이어(183)를 사이에 두고, 이 와이어(183)의 축선에 대해 직교하는 면 위에서 서로 대향하도록, 유지측 굴곡로(192)의 깊이 방향을 따라 세워 마련되어 있다. 또, 서로 대향하는 각 리브(196∼199) 간의 거리는 와이어(183)의 외경보다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리브(196∼199)의 유지측 굴곡로(192)의 저면부로부터의 높이는 와이어(183)의 외경 이상의 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39 및 도 4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와이어(183)의 일단의 굴곡부(183A)는 각 리브(196∼199)를 눌러 찌부러뜨리면서 유지측 굴곡로(192)에 끼워 넣어져 고정 유지된다. 또, 와이어(183)의 굴곡부(183A)에 연속해서 형성되는 정면에서 보아 대략 역 U자 형상의 굴곡부(183B)는 플랜지부(189)의 외주보다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와이어(183)의 굴곡부(183B))에 연속해서 형성되는 굴곡부(183C)는 단차부(191)의 외주면을 따른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와이어(183)의 굴곡부(183A)는 유지측 굴곡로(192)의 출구측 단부에서 와이어(183)의 축선 방향을 따라 배치된 2조의 각 리브(197, 198)에 의해서 협지되기 때문에, 상기 굴곡부(183A)로부터 연속하는 굴곡부(183B)의 상기 유지측 굴곡로(192)의 출구측에 대한 기울기를 대략 일정하게 할 수 있다.
또, 래칫 기어(35)는 도 38, 도 39, 도 41 및 도 4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알루미늄 다이캐스트나 아연 다이캐스트 등에 의해 형성되고, 축 단면 대략 리브형상으로 외주부에 래칫 기어부(35A)가 형성되며, 그 내측 중앙 위치에 원통 형상의 고정 보스(201)가 세워 마련되어 있다. 고정 보스(201)의 내주면에는 토션 바(182)의 타단측에 형성되는 스플라인(182B)이 압입되는 스플라인 홈(201A)이 형성되어 있다. 또, 래칫 기어부(35A)의 내주부는 권취 드럼(181)의 단차부(191)가 끼워 삽입 가능한 내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토션 바(182)의 타단측에 형성되는 스플라인(182B)의 최대 외경은 상기 토션 바(182)의 일단측에 형성되는 스플라인(182A)의 외경보다 조금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래칫 기어(35)는 래칫 기어부(35A)측 권취 드럼(181) 상의 단면부에서 전체 둘레에 걸쳐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플랜지부(189)를 구비한다. 플랜지부(189)는 상기 권취 드럼(181)의 외경보다 반경 방향 외측으로 정면에서 보아 링형상을 갖는다. 또 플랜지부(189)는 소정 중심 각도(예를 들면, 중심 각도 약 60도임)의 외주부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정면에서 보아 선단측이 좁은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플랜지부(202)의 외경은 권취 드럼(181)의 플랜지부(185)의 외경과 대략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또, 이 플랜지부(202)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정면에서 보아 선단측이 좁은 대략 사다리꼴 형상의 사다리꼴 형상부(202A)의 권취 드럼(181) 측의 내측면에는 사다리꼴 형상부(202A)로부터 회전축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와이어(183)의 정면에서 보아 대략 역 U자 형상의 굴곡부(183B)가 끼워 넣어지는 정면에서 보아 대략 산형의 볼록부(203)가 대략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다.
또, 플랜지부(202)의 권취 드럼(181) 측의 내측면에는 권취 드럼(181)의 플랜지부(189)의 외경보다 조금 큰 내경으로 세워 마련되는 동시에, 사다리꼴 형상부(202A)의 외주부를 따라 세워 마련된 정면에서 보아 대략 계란형의 플랜지부(205)가 형성되어 있다. 또, 이 플랜지부(205)의 내주부와 볼록부(203)의 외주부에 의해서, 와이어(183)가 슬라이딩 안내되어 인출되는 정면에서 보아 대략 역 U자 형상의 변형 부여 굴곡로(206)가 형성되어 있다(도 43 참조). 또, 플랜지부(205)의 외주부에는 장착된 와이어(183)를 육안 관찰할 수 있도록, 2개소에 원주 방향으로 잘라내어진 각 창부(207)가 형성되어 있다.
또, 도 41 내지 도 4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형 부여 굴곡로(206)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유지측 굴곡로(192)에 대해 상대 회전할 때(도 48 참조), 와이어(183)가 인출되는 변형 부여 굴곡로(206)의 인출측 단부에는 서로 대향하는 측면부에 각각 돌기 바의 각 리브(208, 209)가 변형 부여 굴곡로(206)의 깊이 방향을 따라 세워 마련되어 있다.
한쪽의 리브(208)는 와이어의 인출시에 유지측 굴곡로(192)가 변형 부여 굴곡로(206)에 대해 상대 회전하는 회전 방향측(도 43 중, 반시계 방향측임)과는 반대측의 측면의 인출측 단부에 세워 마련되어 있다. 또, 다른 쪽의 리브(209)는 변형 부여 굴곡로(206)의 와이어(183)를 사이에 두고 리브(208)에 대향하는 측면에 이 리브(208)보다 와이어(183)의 축선 방향 안쪽측(도 42 중, 반경 방향 외측임)에 세워 마련되어 있다.
또, 각 리브(208, 209) 간의 와이어(183)의 축선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의 거리는 와이어(183)의 외경과 대략 동일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와이어(183)가 상기 변형 부여 굴곡로(206)를 통과할 때에는 적어도 정면에서 보아 대략 산형의 볼록부(203)의 정점에서 굴곡 변형되고, 인출 저항이 발생한다. 각 리브(208, 209) 간의 와이어(183)의 축선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의 거리는 와이어(183)의 외경보다 약간 좁은 거리로 되도록 형성해도 좋다.
여기서, 와이어(183)의 래칫 기어(35) 및 권취 드럼(181)에의 장착에 대해 도 38, 도 39 및 도 43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39 및 도 4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와이어(183)의 일단측의 대략 S자 형상으로 굴곡되어 있는 굴곡부(183A)를 권취 드럼(181)의 플랜지부(189)와 단차부(191)에 형성된 유지측 굴곡로(192) 내에 각 리브(196∼199)를 찌부러뜨리면서 끼워 넣는다. 또, 와이어(183)의 굴곡부(183A)에 연속해서 형성되는 정면에서 보아 대략 역 U자 형상의 굴곡부(183B)를 플랜지부(189)의 외주보다 외측으로 돌출시킨다.
또, 와이어(183)의 굴곡부(183B)에 연속해서 형성되는 원호형상의 굴곡부(183C)를 단차부(191)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한다. 이에 따라, 와이어(183)의 일단측의 굴곡부(183A)가 권취 드럼(181)의 플랜지부(189)와 단차부(191)에 형성된 유지측 굴곡로(192) 내에 끼워 넣어져 고정 유지되는 동시에, 와이어(183)의 굴곡부(183C)가 플랜지부(189)에 대향한 상태에서 배치된다.
계속해서, 래칫 기어(35)의 권취 드럼(181)에의 장착은 우선, 권취 드럼(181)의 플랜지부(189)의 외주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와이어(183)의 정면에서 보아 대략 역 U자 형상의 굴곡부(183B)를 래칫 기어(35)의 플랜지부(202)의 사다리꼴 형상부(202A)에 마련된 볼록부(203)의 외주부에 형성된 변형 부여 굴곡로(206)내에 각 리브(208, 209)에 의해 위치 결정하면서 끼워 넣는다.
또, 동시에 래칫 기어(35)의 고정 보스(201)를 권취 드럼(181)의 단차부(191)내에 끼워 넣어, 토션 바(182)의 타단측에 형성된 스플라인(182B)을 상기 고정 보스(201)의 스플라인 홈(201A)에 압입한다. 이에 따라, 권취 드럼(181)의 플랜지부(189)와 래칫 기어(35)의 각 플랜지부(202, 205)의 사이에 와이어(183)가 배치되는 동시에, 래칫 기어(35)가 권취 드럼(181)에 장착된다.
[프리텐셔너 유닛의 개략 구성]
다음에, 프리텐셔너 유닛(7)의 개략 구성에 대해 도 2, 도 3, 도 44 및 도 45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44는 프리텐셔너 유닛(7)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5는 프리텐셔너 유닛(7)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프리텐셔너 유닛(7)은 차량 충돌시 등의 긴급 시에 권취 드럼(181)을 웨빙 권취 방향으로 회전시켜, 웨빙(3)의 느슨해짐을 제거하고, 승무원을 좌석에 확실하게 구속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44 및 도 4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리텐셔너 유닛(7)은 가스 발생 부재(211), 파이프 실린더(212), 피스톤(213), 피니언 기어(215), 클러치 기구(216), 베어링(235)을 구비하고 있다.
가스 발생 부재(211)는 화약 등의 가스 발생제를 포함하고 있으며, 도시 생략의 제어부로부터의 착화 신호에 의해 가스 발생제를 착화시켜 상기 가스 발생제의 연소로 가스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파이프 실린더(212)는 직선형상의 피스톤 안내 통부(212A))의 일단부에 가스 도입부(212B)가 연접된 L자 형상의 통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이 가스 도입부(212B)에는 가스 발생 부재(211)가 수납된다. 따라서, 가스 발생 부재(211)에 의해 발생한 가스는 가스 도입부(212B)로부터 피스톤 안내 통부(212A) 내에 도입된다. 또, 피스톤 안내 통부(212A))의 일측부에 있어서의 긴쪽 방향 중간부에는 개구부(217)가 형성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피니언 기어(215)의 피니언 기어 티스(215A)의 일부가 배치된다.
이 파이프 실린더(212)는 하우징(11)의 측벽부(13) 측의 베이스 플레이트(218)와, 외측의 커버 플레이트(221)에 의해서 협지되는 동시에, 이들 사이에서 베이스 블록(222)과 커버 플레이트(221)에 의해서 협지된 상태에서, 각 나사(15)에 의해서 측벽부(13)의 외면에 장착 고정된다.
또, 피스톤 안내 통부(212A)의 상단부에는 프리텐셔너 유닛(7)을 측면부(13)에 장착하는 동시에, 피스톤(213)의 빠짐 방지 및 파이프 실린더(212)의 빠짐 방지, 회전 방지로서 기능하는 스토퍼 핀(16)을 삽입 통과 가능한 한 쌍의 관통 구멍(212C)이 서로 대향해서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213)은 스틸재 등의 금속 부재로 형성되어, 피스톤 안내 통부(212A)의 상단측으로부터 삽입 가능한 단면 대략 장방형이고, 전체적으로 장척형상의 형상을 갖는다. 또, 피스톤(213)의 피니언 기어(215) 측의 측면에는 피니언 기어 티스(215A)에 맞물리는 랙(213A)이 형성되어 있다. 또, 피스톤(213)의 가스 발생 부재(211) 측의 단면은 피스톤 안내 통부(212A)의 단면 형상에 따른 원형 단면(213B)에 형성되어 있다. 이 원형 단면(213B)에는 고무재 등에 의해서 형성된 실링 플레이트(223)가 장착되어 있다.
이 피스톤(213)은 그 긴쪽 방향을 따라 긴 단면 직사각형형상의 관통 구멍(213C)이 형성되고, 양 측면부가 연통되어 있다. 또, 실링 플레이트(223)의 가스를 수압(受壓)하는 수압 측면으로부터 관통 구멍(213C)에 연통하는 가스 빼기 구멍(225)이 피스톤(213)과 실링 플레이트(223)에 형성되어 있다. 이 피스톤(213)은 도 4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리텐셔너 유닛(7)이 동작하기 전, 즉 가스 발생 부재(211)에 의해 가스가 발생하지 않는 통상시의 대기 상태의 경우에는 랙(213A)이 피니언 기어 티스(215A)와 비 맞물림 상태로 되는 위치까지 피스톤 안내 통부(212A)의 안쪽 측에 삽입 배치된다.
피니언 기어(215)는 스틸재 등으로 형성된 원기둥형상 부재이며, 그 외주부에는 랙(213A)에 맞물림 가능한 피니언 기어 티스(215A)가 형성되어 있다. 또, 피니언 기어 티스(215A)에서 커버 플레이트(221) 측으로 연장된 원통 형상의 지지부(215B)가 형성되어 있다. 이 지지부(215B)가 측벽부(13)에 장착되는 커버 플레이트(221)에 형성된 지지 구멍(226)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 넣어진다.
그리고, 지지부(215B)가 지지 구멍(226)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 넣어진 상태에서는 피니언 기어 티스(215A)의 일부가 피스톤 안내 통부(212A)의 개구부(217)내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4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스톤(213)이 통상시의 대기 상태로부터 피스톤 안내 통부(212A)의 선단측으로 이동하면, 랙(213A)이 피니언 기어 티스(215A)에 맞물려, 피니언 기어(215)가 웨빙 권취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 이 피니언 기어(215)의 회전은 클러치 기구(216)를 통해 권취 드럼(181)에 전달된다.
즉, 피니언 기어(215)의 축심 방향의 측벽부(13)측의 단부에는 축심 방향을 따라 돌출된 원통 형상의 보스부(215D)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보스부(215D)의 외주면에는 기단부의 외경을 갖는 6개의 돌기로 구성된 스플라인이 형성되어 있다. 이 보스부(215D)는 베이스 플레이트(218)에 형성된 관통 구멍(227)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 넣어져, 권취 드럼(181) 측에 돌출 배치된다.
또, 클러치 기구(216)는 통상시에 있어서 피니언 기어(215)에 대해 권취 드럼(181)을 자유 회전시키는 상태(클러치 폴(232)이 수납된 상태)로부터, 프리텐셔너 유닛(7)의 작동시에 있어서, 피니언 기어(215)의 회전을 권취 드럼(181)에 전달하는 상태(클러치 폴(232)이 돌출된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클러치 기구(216)는 스틸재 등으로 형성된 폴 베이스(231), 스틸재 등으로 형성된 4개의 클러치 폴(232), 폴리아세탈 등의 합성 수지로 형성되어 폴 베이스(231)의 베이스 플레이트(218)측에 맞닿아지는 대략 원형 링 형상의 폴 가이드(233), 폴리아세탈 등의 합성 수지로 형성되고 폴 베이스(231)의 권취 드럼(181)측에 맞닿아져 폴 가이드(233)와 함께 상기 폴 베이스(231) 및 각 클러치 폴(232)을 협지하는 대략 원형 링 형상의 베어링(235)으로 구성되어 있다.
폴 베이스(231)의 중앙부에는 피니언 기어(215)의 보스부(215D)가 끼워 넣어지도록 6개의 스플라인 홈이 형성된 끼워 맞춤 구멍(236)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피니언 기어(215)의 보스부(215D)가 베이스 플레이트(218) 및 폴 가이드(233)를 사이에 두고, 폴 베이스(231)의 끼워 맞춤 구멍(236)에 압입되는 것에 의해서, 폴 베이스(231)가 피니언 기어(215)에 대해 상대 회전 불능으로 장착된다. 즉, 폴 베이스(231)와 피니언 기어(215)는 일체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베어링(235)은 외주부로부터 폴 가이드(233)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탄성 걸림편(235A)에 의해서, 폴 가이드(233)의 외주부에 걸어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베어링(235)의 중앙부에는 권취 드럼(181)의 보스(187)의 외경에 대략 동등한 내경의 관통 구멍(235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관통 구멍(235B)과 동일 내경이고 또한 피니언 기어(215)의 보스부(215D)의 내측에 대략 동등한 외경의 원통 형상의 축받이부(235C)가 관통 구멍(235B)의 폴 베이스(231)측의 둘레가장자리부로부터 연속해서 돌출하도록 세워 마련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215)의 보스부(215D)가 폴 베이스(231)의 끼워 맞춤 구멍(236)에 압입된 경우, 베어링(235)의 중앙부에 세워 마련된 원통 형상의 축받이부(235C)가 보스부(215D)에 끼워 넣어진다. 또, 베어링(235)에는 권취 드럼(181)의 프리텐셔너 유닛(7)측의 단면부 중앙 위치에 세워 마련된 보스(187)가 회전 가능하게 끼워 넣어진다. 이 폴 베이스(231)에는 각 클러치 폴(232)이 수용 자세에서 지지되어 있다. 수용 자세는 각 클러치 폴(232)의 전체를 폴 베이스(231)의 외주 가장자리부내에 수납한 자세이다.
폴 가이드(233)는 대략 원형 링 형상의 부재이며, 폴 베이스(231) 및 각 클러치 폴(232)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폴 가이드(233)의 베이스 플레이트(218)측의 측면에는 4개의 위치 결정 돌기(도시 생략)가 돌출 설치되어 있고, 각 위치 결정 돌기가 베이스 플레이트(218)의 각 위치 결정 구멍(218A)에 끼워 넣어지고, 대기 상태에 있어서, 폴 가이드(233)가 베이스 플레이트(218)에 회전 불능한 상태에서 장착 고정된다.
또, 폴 가이드(233)의 폴 베이스(231) 측의 면에는 각 클러치 폴(232)에 대응해서 각 자세 변경용 돌기부(233A)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프리텐셔너 유닛(7)의 작동에 의해서 폴 베이스(231)와 폴 가이드(233)가 상대 회전하면, 각 클러치 폴(232)이 자세 변경용 돌기부(233A)에 각각 맞닿아, 수용 자세에서 걸림 자세로 자세 변경되도록 되어 있다. 걸림 자세는 클러치 폴(232)의 선단부를 폴 베이스(231)의 외주 가장자리부 바깥쪽으로 돌출시킨 자세이다.
또, 각 클러치 폴(232)이 걸림 자세로 자세 변경하면, 권취 드럼(181)에 걸어 맞춰진다. 구체적으로는 베어링(235)을 통해 클러치 기구(216)는 권취 드럼(181)의 보스(187)에 끼워 넣어지고, 권취 드럼(18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으며, 각 클러치 폴(232)이 폴 베이스(231)의 외주 가장자리부 바깥쪽으로 돌출된 경우에는 플랜지부(185)의 내주면에 형성된 내측 티스 기어(186)에 걸어 맞춤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각 클러치 폴(232)이 걸림 자세로 자세 변경하면, 각 클러치 폴(232)의 선단부가 내측 티스 기어(186)에 걸어 맞춰지고, 이에 따라, 폴 베이스(231)가 권취 드럼(181)을 회전시키게 된다. 또한, 클러치 폴(232)과 내측 티스 기어(186)의 걸어 맞춤은 권취 드럼(181)을 웨빙(3)의 권취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1방향만으로의 걸어 맞춤 구조이다.
또한, 한 번 걸어 맞춰지면, 각 클러치 폴(232)이 서로 변형을 따라 내측 티스 기어(186)에 물려 넣어지므로, 걸어 맞춤 후, 권취 드럼(181)이 웨빙 인출 방향으로 회전하면, 피니언 기어(215)를 프리텐셔너 유닛(7)이 작동할 때와 반대의 방향으로 클러치 기구(216)를 통해 회전시켜, 피스톤(213)을 작동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되누른다. 그리고, 피스톤(213)의 랙(213A)과 피니언 기어(215)의 피니언 기어 티스(215A)의 맞물림이 어긋나는 위치까지 피스톤(213)이 되눌러지면, 피니언 기어(215)는 피스톤(213)으로부터 어긋나므로, 권취 드럼(181)은 피스톤(213)에 대해 자유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프리텐셔너 유닛(7)이 작동하여 웨빙(3)을 권취하는 동작에 대해 도 45 및 도 46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46은 차량 충돌시의 폴(23)의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량 충돌시 등에 있어서, 프리텐셔너 유닛(7)의 가스 발생 부재(211)가 작동한 경우에는 발생한 가스의 압력에 의해 피스톤(213)이 피스톤 안내 통부(212A)의 선단측을 향해 이동하는 동시에, 랙(213A)과 맞물린 피니언 기어 티스(215A)를 갖는 피니언 기어(215)가 회전한다(도 45 중,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
또, 차량 충돌시 등에 있어서, 차량 가속도 센서(28)의 관성 질량체(52)가 센서 홀더(51)의 저면부를 이동해서 센서 레버(53)를 연직 방향 상측으로 회전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센서 레버(53)의 잠금 발톱(53A)이 파일럿 레버(86)를 연직 방향 상측으로 회전운동시킨다. 그리고, 파일럿 레버(86)의 걸어 맞춤 발톱부(86A)가 록킹 기어(81)의 외주부에 형성된 록킹 기어 티스(81A)에 맞닿아진다.
또한, 파일럿 레버(86)의 걸어 맞춤 발톱부(86A)와 록킹 기어 티스(81A)의 걸어 맞춤은 권취 드럼(181)을 웨빙(3)의 인출 방향으로 회전시키지 않는 방향으로 작동하는 1방향만으로의 걸어 맞춤 구조이다. 따라서, 프리텐셔너 유닛(7)이 작동하고 있을 때에, 파일럿 레버(86)의 걸어 맞춤 발톱부(86A)가 록킹 기어 티스(81A)에 맞닿아도, 권취 드럼(181)은 웨빙(3)의 권취 방향으로 원활하게 회전한다.
그리고, 도 4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니언 기어(215)가 회전하면, 상기 피니언 기어(215)와 함께 폴 베이스(231)가 회전한다. 이 때, 폴 가이드(233)에 대해 폴 베이스(231)가 상대 회전하게 되기 때문에, 폴 가이드(233)에 형성된 각 자세 변경용 돌기부(233A)가 클러치 폴(232)에 맞닿아, 각 클러치 폴(232)이 걸림 자세로 변경된다.
이에 따라, 각 클러치 폴(232)의 선단부가 권취 드럼(181)의 내측 티스 기어(186)에 걸어 맞춰져, 피스톤(213)이 피스톤 안내 통부(212A)의 선단측으로 이동하고자 하는 힘이 피니언 기어(215), 폴 베이스(231), 각 클러치 폴(232) 및 내측 티스 기어(186)를 통해 권취 드럼(181)에 전달되어, 권취 드럼(181)이 웨빙(3)의 권취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고, 웨빙(3)이 권취 드럼(181)에 권취된다.
또, 차량 충돌시 등에 있어서, 프리텐셔너 유닛(7)의 작동 후, 계속해서 웨빙(3)이 인출되고, 권취 드럼(181)이 웨빙 인출 방향으로 회전된 경우에는 파일럿 레버(86)의 걸어 맞춤 발톱부(86A)가 록킹 기어(81)의 외주부에 형성된 록킹 기어 티스(81A)에 걸어 맞춰져, 클러치(85)가 웨빙 인출 방향으로 회전운동된다. 이 때문에, 도 4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클러치(85)의 가이드 구멍(116)에 안내된 폴(23)이 래칫 기어(35)의 래칫 기어부(35A)에 걸어 맞춰진다.
따라서, 차량 충돌시 등에 있어서, 프리텐셔너 유닛(7)의 작동 후, 계속해서 웨빙(3)이 인출된 경우에는 폴(23)과 래칫 기어부(35A)의 걸어 맞춤에 의해서, 권취 드럼 유닛(6)의 래칫 기어(35)는 웨빙(3)의 인출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폴(23)과 래칫 기어부(35A)의 걸어 맞춤은 권취 드럼(181)을 웨빙(3)의 인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1방향만으로의 걸어 맞춤 구조이다.
[에너지 흡수]
다음에, 차량 충돌시 등에 프리텐셔너 유닛(7)의 작동 후, 폴(23)과 래칫 기어(35)의 래칫 기어부(35A)의 걸어 맞춤이 아직 유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승무원이 차량에 대해 상대적으로 앞측으로 이동한 경우에는 웨빙(3)에 큰 인출력이 작용한다. 그리고, 웨빙(3)에 작용하는 인출력이 미리 설정된 소정 값을 넘어 인출된 경우에는 권취 드럼(181)에 웨빙 인출 방향으로의 회전 토크가 작용한다.
따라서, 권취 드럼(181)에 작용하는 웨빙 인출 방향으로의 회전 토크에 의해서, 토션 바(182)의 권취 드럼(181)의 축 구멍(181A)의 안쪽측에 압입 고정된 스플라인(182A)측이 회전되고, 토션 바(182)의 슬리브부(182C)의 비틀림 변형이 개시된다. 이 토션 바(182)의 슬리브부(182C)의 비틀림 변형에 따라 권취 드럼(181)이 웨빙(3)의 인출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 1 에너지 흡수 기구"로서의 토션 바(182)의 비틀림 변형에 의한 충격 에너지의 흡수가 이루어진다.
또, 동시에 권취 드럼(181)이 회전된 경우에는 폴(23)과 래칫 기어(35)는 걸어 맞춰져 있기 때문에, 이 래칫 기어(35)와 권취 드럼(181)의 상호간에 있어서도 상대 회전이 생긴다. 그에 따라, 권취 드럼(181)의 회전에 따라 와이어(183)와 래칫 기어(35)의 상호간에 있어서도 상대 회전이 생기며, "제 2 에너지 흡수 기구"로서의 와이어(183)에 의한 충격 에너지의 흡수가 이루어진다.
[와이어의 인출 동작]
여기서, 와이어(183)에 의해서 충격 에너지를 흡수할 때의 상기 와이어(183)의 동작에 대해 도 43, 도 47 내지 도 50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47 내지 도 50은 와이어(183)를 인출하는 동작 설명도이다.
도 4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권취 드럼(181)과 래칫 기어(35)의 초기 상태에 있어서는 권취 드럼(181)의 유지측 굴곡로(192)를 구성하는 볼록부(193)와 오목부(194)의 와이어(183)의 출구측 단부는 플랜지부(202)의 사다리꼴 형상부(202A)에 돌출 설치된 볼록부(203)의 외주부에 형성된 변형 부여 굴곡로(206)의 인출측 단부의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와이어(183)의 대략 S자 형상의 굴곡부(183A)는 권취 드럼(181)의 볼록부(193)와 오목부(194)와 홈부(195)에 의해서 구성된 유지측 굴곡로(192)내에 끼워 넣어져 고정 유지되어 있다. 또, 와이어(183)의 굴곡부(183A)에 연속하는 정면에서 보아 대략 역 U자 형상의 굴곡부(183B)는 사다리꼴 형상부(202A)에 돌출 설치된 볼록부(203)의 외주부에 형성된 변형 부여 굴곡로(206) 내에 끼워 넣어져 있다.
또, 와이어(183)는 대략 S자 형상의 굴곡부(183A)가 유지측 굴곡로(192)를 구성하는 볼록부(193)와 오목부(194)의 서로 대향하는 측면부에 마련된 각 리브(197, 198)에 의해서 협지되어 있다. 또, 굴곡부(183A)에 연속하는 정면에서 보아 대략 역 U자 형상의 굴곡부(183B)는 볼록부(203)의 인출측 단부의 측면부에 마련된 리브(208)와 사다리꼴 형상부(202A)의 외주부에 세워 마련된 플랜지부(205)의 리브(208)보다 안쪽측에 세워 마련된 리브(209)에 의해서 변형 부여 굴곡로(206) 내에서 위치 결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유지측 굴곡로(192)의 와이어(183)의 출구측 단부와 변형 부여 굴곡로(206)의 인출측 단부가 와이어(183)를 통해 일직선형상으로 되도록 대향하고 있다. 또, 변형 부여 굴곡로(206)의 인출측 단부의 리브(208)에 대향하는 측면부와 와이어(183)의 사이에는 소정 간극(예를 들면, 간극 약 0.2㎜임)이 형성되는 동시에, 리브(209)에 대향하는 볼록부(203)의 외주면과 와이어(183)의 사이에도 소정 간극(예를 들면, 간극 약 0.2㎜임)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47 내지 도 5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웨빙(3)의 인출에 의해서 권취 드럼(181)이 웨빙 인출 방향(화살표 X2 방향임)으로 회전한 경우에는 래칫 기어(35)는 폴(23)에 의해서 회전이 저지되고(도 46 참조), 권취 드럼(181)의 회전에 따라 단차부(191)가 래칫 기어(35)의 사다리꼴 형상부(202A)에 대해 웨빙 인출 방향(화살표 X2 방향임)으로 상대 회전되어 간다.
이에 따라, 단차부(191)의 유지측 굴곡로(192)에 굴곡부(183A)가 고정 유지된 와이어(183)가 사다리꼴 형상부(202A)의 외주부에서 돌출된 플랜지부(205)와 사다리꼴 형상부(202A)의 중앙부에 돌출된 볼록부(203)에 의해서 형성되는 정면에서 보아 대략 역 U자 형상의 변형 부여 굴곡로(206)부터 순차 당겨지면서, 화살표 X3방향으로 인출되어, 단차부(191)의 외주면에 권취된다. 또한, 이때에는 와이어(183)의 인출과 동시에, 권취 드럼(181)의 회전에 따라 토션 바(182)도 비틀림 변형되어 있다.
또, 정면에서 보아 대략 역 U자 형상의 변형 부여 굴곡로(206)를 와이어(183)가 변형되면서 통과할 때, 와이어(183)는 변형 부여 굴곡로(206)의 인출측 단부의 리브(208)에 대향하는 단차부(191)의 회전 방향(화살표 X2 방향임)의 측면부와 리브(208)보다 와이어(183)의 축선 방향 안쪽측에 마련된 리브(209)에 대향하는 볼록부(203)의 외주면에 슬라이딩하면서 통과한다. 이에 따라, 볼록부(203)와 와이어(183)의 상호간에 슬라이딩 저항이 생기는 동시에, 와이어(183) 자체에 의한 굴곡 저항이 생기고, 이들 슬라이딩 저항과 굴곡 저항에 의한 인출 저항에 의해서 와이어(183)에 의한 충격 에너지의 흡수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5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권취 드럼(181)의 회전에 따라, 와이어(183)의 굴곡부(183C)의 단부가 변형 부여 굴곡로(206)로부터 이탈한 시점에서, 이 와이어(183)에 의한 충격 에너지의 흡수 작용은 종료한다. 이후는 권취 드럼(181)의 회전에 따라 토션 바(182)의 비틀림 변형에 의한 충격 에너지의 흡수만으로 된다.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1)에서 웨빙(3)의 갑작스러운 인출에 의해 잠금 암(82)이 클러치 기어(108)에 걸어 맞춰진 경우 또는 차량 가속도 센서(28)가 작동하여 파일럿 레버(86)가 록킹 기어 티스(81A)에 걸어 맞춰진 경우에는 클러치(85)가 웨빙 인출 방향으로 회전운동된다. 그 후, 폴(23)이 래칫 기어(35)의 래칫 기어부(35A)에 걸어 맞춰진 경우에는 클러치(85)의 외주부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마련된 탄성 리브(146)의 클러치측 돌기부(146A)가 반경 방향 내측으로 탄성 변형되어, 메커니즘 수용부(87)의 내주벽에 세워 마련된 고정측 돌기부(148)를 타고 넘어, 고정측 돌기부(148)의 웨빙 인출 방향측의 측면에 맞닿거나 또는 근접해서 위치하고 있다.
그 후, 권취 드럼 유닛(6)의 회전이 잠겨 웨빙(3)의 인출이 잠겨진 후, 웨빙(3)에 가해지는 인출 방향의 인장력이 완화되어 웨빙(3)이 약간 말려 들어간다. 이 경우, 권취 스프링 유닛(8)의 부세력에 의해, 권취 드럼 유닛(6)은 웨빙 권취 방향으로 약간 회전된다. 또, 록킹 기어(81)는 래칫 기어(35)와 일체로 되어 웨빙 권취 방향으로 약간 회전된다.
한편, 클러치(85)에 있어서 클러치는 탄성 리브(146)의 클러치측 돌기부(146A)가 고정측 돌기부(148)를 타고 넘은 상태에서 맞닿기 때문에, 웨빙 권취 방향으로의 회전이 록킹 기어(81)의 회전에 대해 상대적으로 지연된다. 그 결과, 록킹 기어(81)는 클러치(85)의 웨빙 권취 방향으로의 회전에 대해 상대적으로 선행해서 웨빙 권취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클러치 기어(108)에 걸어 맞춰져 있던 잠금 암(82)의 걸어 맞춤 발톱(109)의 걸어 맞춤측 코너부와 클러치 기어(108)의 사이 또는 록킹 기어 티스(81A)에 걸어 맞춰져 있던 파일럿 레버(86)의 걸어 맞춤 발톱부(86A)의 선단부와 록킹 기어 티스(81A)의 사이에서, 잠금 암(82) 또는 파일럿 레버(86)가 각각의 걸어 맞춤을 해제하는 회전운동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간극이 생긴다.
따라서, 록킹 기어(81)와 클러치(85)의 연결이 해제 가능하게 되고, 래칫 기어(35)의 래칫 기어부(35A)와 폴(23)의 각 걸어 맞춤 티스(23A, 23B)의 사이에도 폴(23)이 래칫 기어(35)와의 걸어 맞춤을 해제하는 회전운동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간극이 생겨, 래칫 기어(35)와 폴(23)의 걸어 맞춤이 해제 가능하게 된다.
그 후, 클러치(85)는 폴(23) 및 폴(23)의 비틀림 코일 스프링(26)에 의해 구성되는 클러치 부세 부재의 부세력에 의한 회전운동에 수반해서, 웨빙 권취 방향으로 회전운동하고, 통상 상태의 기준 회전 자세로 돌아간다. 동시에, 폴(23)과 래칫 기어(35)의 걸어 맞춤이 해제되어, 폴(23)이 래칫 기어(35)로부터 이간되므로, 폴(23)에 의한 권취 드럼 유닛(6)의 잠금 상태가 해제된다.
이에 따라, 클러치(85)와 록킹 기어(81)를 연결한 상태에서 웨빙 권취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클러치측 돌기부(146A)와 고정측 돌기부(148)의 맞닿음에 의해, 록킹 기어(81)를 클러치(85)에 선행해서 웨빙 권취 방향으로 확실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약간의 웨빙(3)의 권취량으로도 록킹 기어(81)와 클러치(85)의 연결을 확실하게 해제하여,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엔드 록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클러치(85)의 회전축에 대해 반경 방향 외측의 외주부에 일체 형성된 탄성 리브(146)에서 돌출하도록 마련된 클러치측 돌기부(146A)와 하우징(11)의 측벽부(12)에 대해 고정된 메커니즘 커버(71)의 메커니즘 수용부(87)의 내주벽에 반경 방향 내측으로 세워 마련되어, 클러치(85)의 웨빙 인출 방향으로의 회전시에 클러치측 돌기부(146A)와 맞닿음 가능하게 돌출되는 고정측 돌기부(148)에 의해, 클러치(85)의 웨빙 권취 방향으로의 회전을 록킹 기어(81)의 회전에 대해 상대적으로 지연시키는 회전차 부여 기구(149)를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차 부여 기구(149)의 간소화를 도모하고, 부품 점수의 삭감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탄성 리브(146) 및 클러치측 돌기부(146A)는 고정측 돌기부(148)에 맞닿아 압압된 반경 방향 내측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마련되므로, 폴(23)이 래칫 기어(35)에 걸어 맞춰질 때, 탄성 리브(146) 및 클러치측 돌기부(146A)가 탄성 변형되어, 원활하게 고정측 돌기부(148)를 타고 넘을 수 있다. 그 결과, 폴(23)이 래칫 기어(35)에 걸어 맞춰지는 잠금 감도에 영향을 주지 않고 회전차 부여 기구(149)를 마련할 수 있다.
또한, 클러치(85)가 웨빙 권취 방향으로 회전운동하여 통상시의 회전 자세가 될 때, 탄성 리브(146) 및 클러치측 돌기부(146A)가 반경 방향 내측으로 탄성 변형되어, 원활하게 고정측 돌기부(148)를 타고 넘을 수 있다. 따라서, 클러치(85)가 기준 회전 자세로 되도록 웨빙 권취 방향으로 회전운동 부세하는 폴(23) 및 비틀림 코일 스프링(26)에 의해서 구성되는 클러치 부세 기구(129)의 소형화 및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1)에서는 클러치 부세 기구(129)는 폴(23) 및 비틀림 코일 스프링(26)에 의해서 구성했지만, 클러치(85)에 웨빙 권취 방향으로 회전운동 부세하는 부세 부재를 직접 부착해서 구성하도록 해도 좋다. 예를 들면, 코일 스프링의 일단을 클러치(85)의 외측 리브부(117)의 상측 단가장자리부 등에 부착하고, 코일 스프링의 타단을 하우징(11)의 측벽부(12) 또는 측벽부(12)에 고정된 고정 부재에 부착하도록 해도 좋다.
그리고, 클러치(85)가 웨빙 인출 방향으로 회전된 경우에는 상기 코일 스프링이 압축 또는 인장되도록 함으로써, 클러치(85)가 기준 회전 자세로 되도록 웨빙 권취 방향으로 회전운동 부세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웨빙 권취 방향으로 회전운동 부세된 클러치(85)의 가이드 구멍(116)에 의해서, 폴(23)의 안내 핀(42)이 래칫 기어(35)로부터 이반된 방향으로 안내되어, 폴(23)이 래칫 기어(35)로부터 이반된 방향으로 회전운동된다. 따라서, 비틀림 코일 스프링(26)을 제거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1)에서 탄성 리브(146), 클러치측 돌기부(146A)와 고정측 돌기부(148)는 클러치(85)의 회전축에 대해 반경 방향 외측에 마련할 수 있어, 권취 드럼 유닛(6)의 회전축 방향에서의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1)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고정측 돌기부(148)를 메커니즘 커버(71)와 일체적으로 형성할 수 있어, 회전차 부여 기구(149)의 부품 점수의 삭감화 및 간소화를 더욱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각종 개량, 변형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해도 좋다. 또,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 도 1 내지 도 50에 나타내는 상기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1)의 구성 등과 동일 부호는 상기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1)의 구성 등과 동일 또는 상당 부분을 나타내는 것이다.
[다른 제1 실시형태]
(A) 다른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241)에 대해 도 51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51은 다른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241)의 잠금 유닛(9)의 메커니즘 커버(71)의 저면부 등의 일부를 잘라낸 일부 절결 단면도이다.
다른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241)의 개략 구성은 상기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1)의 구성과 대략 동일한 구성이다.
단, 도 5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클러치(242)는 클러치(85)와 대략 동일한 구성이지만, 탄성 리브(146) 대신에, 판스프링(245)이 플랜지부(118)에 형성된 절결부(145)에 부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절결부(145)의 둘레 방향 양단부에 축 방향으로 세워 마련된 각 삽입 홈부(243A, 243B)를 일체로 형성한다. 판스프링(245)는 플랜지부(118)에 대해 동심의 원호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판스프링(245)의 양단부는 각 삽입 홈부(243A, 243B)에 끼워 넣어 유지되어 있다.
또, 판스프링(245)의 축 방향의 폭은 플랜지부(118)의 축 방향의 폭보다 좁은 폭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판스프링(245)의 긴쪽 방향 중앙부에는 플랜지부(118)의 외경보다 반경 방향 외측에 소정 높이(예를 들면, 높이 약 1.2㎜임) 돌출되는 단면이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된 클러치측 돌기부(245A)가 판두께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부려져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판스프링(245)은 긴쪽 방향 중앙부에 형성된 클러치측 돌기부(245A)가 반경 방향 내측으로 압압된 경우에는 클러치측 돌기부(245A)가 플랜지부(118)의 외경보다 반경 방향 내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 메커니즘 수용부(87)의 내벽부에서 리브 형상의 고정측 돌기부(148)가 클러치(242)의 판스프링(245)에 대향하는 부분에 세워 마련되어 있다. 리브 형상의 고정측 돌기부(148)는 클러치(242)가 웨빙 인출 방향으로 회전운동되어, 폴(23)이 래칫 기어(35)의 래칫 기어부(35A)에 걸어 맞춰지는 경우 클러치측 돌기부(245A)가 타고 넘어가는 위치에 형성된다. 그러나, 판스프링(245)의 축 방향의 폭은 외측 리브부(117)의 축 방향의 폭보다 좁은 폭이 되도록 형성해도 좋다.
따라서, 폴(23)이 래칫 기어(35)의 래칫 기어부(35A)에 걸어 맞춰진 경우, 클러치(242)의 외주부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마련된 판스프링(245)의 클러치측 돌기부(245A)가 반경 방향 내측으로 탄성 변형되어, 메커니즘 수용부(87)의 내주벽에 세워 마련된 고정측 돌기부(148)를 타고 넘어, 고정측 돌기부(148)의 웨빙 인출 방향측의 측면에 맞닿거나 또는 근접해서 위치하고 있다.
그 후, 권취 드럼 유닛(6)의 회전이 잠겨 웨빙(3)의 인출이 잠겨진 후, 웨빙(3)에 가해지는 인출 방향의 인장력이 완화되어, 웨빙(3)이 약간 인입된 경우에는 권취 스프링 유닛(8)의 부세력에 의해서, 권취 드럼 유닛(6)이 웨빙 권취 방향으로 약간 회전된다. 또, 록킹 기어(81)는 래칫 기어(35)와 일체로 되어 웨빙 권취 방향으로 약간 회전된다.
한편, 클러치(242)는 판스프링(245)의 클러치측 돌기부(245A)가 고정측 돌기부(148)를 타고 넘은 상태에서 맞닿기 때문에, 웨빙 권취 방향으로의 회전이 록킹 기어(81)의 회전에 대해 상대적으로 느리다. 이에 따라, 클러치(242)와 록킹 기어(81)를 연결한 상태에서 웨빙 권취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클러치측 돌기부(245A)와 고정측 돌기부(148)의 맞닿음에 의해, 록킹 기어(81)를 클러치(242)의 웨빙 권취 방향으로의 회전에 대해 상대적으로 선행해서 웨빙 권취 방향으로 확실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약간의 웨빙(3)의 권취량으로도 록킹 기어(81)와 클러치(242)의 연결을 확실하게 해제하여, 엔드 록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클러치(242)의 회전축에 대해 반경 방향 외측의 외주부에 부착된 판스프링(245)에서 돌출하도록 구부려 형성된 클러치측 돌기부(245A)와 하우징(11)의 측벽부(12)에 대해 고정된 메커니즘 커버(71)의 메커니즘 수용부(87)의 내주벽에 반경 방향 내측으로 세워 마련되어, 클러치(242)의 웨빙 인출 방향으로의 회전시에 클러치측 돌기부(245A)와 맞닿음 가능하게 돌출된 고정측 돌기부(148)에 의해, 클러치(242)의 웨빙 권취 방향으로의 회전 개시를 록킹 기어(81)의 회전 개시에 대해 상대적으로 지연시키는 회전차 부여 기구(246)를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차 부여 기구(246)의 간소화를 도모하고, 부품 점수의 삭감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클러치(242)의 절결부(145)에 판스프링(245)를 부착하는 것에 의해, 클러치측 돌기부(245A)를 반경 방향 내측으로 탄성 변형시키는 압압 하중을 안정화시킬 수 있고, 회전차 부여 기구(246)에 의한 록킹 기어(81)와 클러치(242)의 연결의 해제를 또한 안정화하여, 엔드 록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제2 실시형태]
(B) 다른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251)에 대해 도 52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52는 다른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251)의 잠금 유닛(9)의 메커니즘 커버(252)의 저면부 등의 일부를 잘라낸 일부 절결 단면도이다.
다른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251)의 개략 구성은 상기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1)의 구성과 대략 동일한 구성이다.
단, 도 5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커니즘 커버(252)는 메커니즘 커버(71)와 대략 동일한 구성이지만, 고정측 돌기부(148) 대신에, 래칫 기어(35)의 회전축 방향에 대해 반경 방향 외측으로 팽창 돌출하는 팽창 돌출부(253)가 마련되어 있다. 또, 팽창 돌출부(253)의 반경 방향 내측에는 측벽부(12)에서 래칫 기어(35)의 회전축 방향 외측으로 대략 직각으로 구부려 일으키는 동시에, 클러치(85)의 회전운동 방향의 양 측면이 클러치(85)의 회전축 방향에 대해 대략 반경 방향을 따르도록 구부려 일으킨 고정측 돌기부(255)가 마련되어 있다.
또, 이 고정측 돌기부(255)는 클러치(85)의 회전축 방향에 대해 반경 방향 내측의 측면이 고정측 돌기부(148)의 반경 방향 내측의 단면과 대략 동일한 위치로 되도록 절곡 형성되어 있다. 또, 고정측 돌기부(255)는 클러치(85)가 웨빙 인출 방향으로 회전운동되어, 폴(23)이 래칫 기어(35)의 래칫 기어부(35A)에 걸어 맞춰지는 경우, 클러치측 돌기부(146A)가 타고 넘어가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폴(23)이 래칫 기어(35)의 래칫 기어부(35A)에 걸어 맞춰진 경우에는 클러치(85)의 외주부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마련된 탄성 리브(146)의 클러치측 돌기부(146A)가 반경 방향 내측으로 탄성 변형되어, 메커니즘 수용부(87)내에 구부려 일으켜진 고정측 돌기부(255)를 타고 넘어, 고정측 돌기부(255)의 웨빙 인출 방향측의 측면에 맞닿거나 또는 근접해서 위치하고 있다.
그 후, 권취 드럼 유닛(6)의 회전이 잠겨 웨빙(3)의 인출이 잠겨진 후, 웨빙(3)에 가해지는 인출 방향의 인장력이 완화되어, 웨빙(3)이 약간 인입된 경우에는 권취 스프링 유닛(8)의 부세력에 의해서, 권취 드럼 유닛(6)이 웨빙 권취 방향으로 약간 회전된다. 또, 록킹 기어(81)는 래칫 기어(35)와 일체로 되어 웨빙 권취 방향으로 약간 회전된다.
한편, 클러치(85)는 탄성 리브(146)의 클러치측 돌기부(146A)가 고정측 돌기부(255)를 타고 넘은 상태에서 맞닿기 때문에, 웨빙 권취 방향으로의 회전이 록킹 기어(81)의 회전에 대해 상대적으로 지연된다. 따라서, 클러치(85)와 록킹 기어(81)를 연결한 상태에서 웨빙 권취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클러치측 돌기부(146A)와 고정측 돌기부(255)의 맞닿음에 의해, 록킹 기어(81)를 클러치(85)의 웨빙 권취 방향으로의 회전에 대해 상대적으로 선행해서 웨빙 권취 방향으로 확실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약간의 웨빙(3)의 권취량으로도 록킹 기어(81)와 클러치(85)의 연결을 확실하게 해제하여, 엔드 록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클러치(85)의 회전축에 대해 반경 방향 외측의 외주부에 부착된 탄성 리브(146)로부터 돌출하도록 마련된 클러치측 돌기부(146A)와 하우징(11)의 측벽부(12)에 대해 고정된 메커니즘 커버(252)의 팽창 돌출부(253) 내에 절곡 형성되어, 클러치(85)의 웨빙 인출 방향으로의 회전시에 클러치측 돌기부(146A)와 맞닿음 가능하게 마련된 고정측 돌기부(255)에 의해, 클러치(85)의 웨빙 권취 방향으로의 회전 개시를 록킹 기어(81)의 회전 개시에 대해 상대적으로 느리게 하는 회전차 부여 기구(256)를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차 부여 기구(256)의 간소화를 도모하고, 부품 점수의 삭감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클러치(85) 대신에 다른 제1 실시형태의 클러치(242)를 부착하도록 해도 좋다. 이에 따라, 판스프링(245)의 긴쪽 방향 중앙부에 형성된 클러치측 돌기부(245A)를 반경 방향 내측으로 탄성 변형시키는 압압 하중을 안정화시킬 수 있고, 회전차 부여 기구(256)에 의한 록킹 기어(81)와 클러치(242)의 연결의 해제를 더욱 안정화하여, 엔드 록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회전차 부여 기구(256)의 기계적 수명을 비약적으로 연장할 수 있다.
[다른 제3 실시형태]
(C) 다른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261)에 대해 도 53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53은 다른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261)의 잠금 유닛(9)의 메커니즘 커버(262)의 저면부 등의 일부를 잘라낸 일부 절결 단면도이다.
다른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261)의 개략 구성은 상기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1)의 구성과 대략 동일한 구성이다.
단, 도 5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커니즘 커버(262)는 메커니즘 커버(71)와 대략 동일한 구성이지만, 고정측 돌기부(148) 대신에, 래칫 기어(35)의 회전축 방향에 대해 반경 방향 외측으로 팽창 돌출하는 팽창 돌출부(263)가 마련되어 있다. 또, 팽창 돌출부(263)의 반경 방향 내측에는 측벽부(12)로부터 래칫 기어(35)의 회전축 방향으로 대략 직각으로 세워 마련된 가느다란 원기둥형상의 고정측 돌기부(265)가 마련되어 있다.
이 고정측 돌기부(265)는 클러치(85)가 웨빙 인출 방향으로 회전운동되어, 폴(23)이 래칫 기어(35)의 래칫 기어부(35A)에 걸어 맞춰지는 경우, 클러치측 돌기부(146A)가 타고 넘어가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폴(23)이 래칫 기어(35)의 래칫 기어부(35A)에 걸어 맞춰진 경우에는 클러치(85)의 외주부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마련된 탄성 리브(146)의 클러치측 돌기부(146A)가 반경 방향 내측으로 탄성 변형되어, 메커니즘 수용부(87)내에 세워 마련된 가느다란 원기둥형상의 고정측 돌기부(265)를 타고 넘어, 고정측 돌기부(265)의 웨빙 인출 방향측의 외주면에 맞닿거나 또는 근접해서 위치하고 있다.
그 후, 권취 드럼 유닛(6)의 회전이 잠겨 웨빙(3)의 인출이 잠겨진 후, 웨빙(3)에 가해지는 인출 방향의 인장력이 완화되어, 웨빙(3)이 약간 말려 들어간다. 이 경우에 권취 스프링 유닛(8)의 부세력에 의해서, 권취 드럼 유닛(6)은 웨빙 권취 방향으로 약간 회전된다. 또, 록킹 기어(81)는 래칫 기어(35)와 일체로 되어 웨빙 권취 방향으로 약간 회전된다.
한편, 클러치(85)는 탄성 리브(146)의 클러치측 돌기부(146A)가 고정측 돌기부(265)를 타고 넘은 상태에서 맞닿기 때문에, 웨빙 권취 방향으로의 회전이 록킹 기어(81)의 회전에 대해 상대적으로 느리다. 이에 따라, 클러치(85)와 록킹 기어(81)를 연결한 상태에서 웨빙 권취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클러치측 돌기부(146A)와 고정측 돌기부(265)의 맞닿음에 의해, 록킹 기어(81)를 클러치(85)의 웨빙 권취 방향으로의 회전에 대해 상대적으로 선행해서 웨빙 권취 방향으로 확실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약간의 웨빙(3)의 권취량으로도 록킹 기어(81)와 클러치(85)의 연결을 확실하게 해제해서, 엔드 록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클러치(85)의 회전축에 대해 반경 방향 외측의 외주부에 부착된 탄성 리브(146)에서 돌출하도록 마련된 클러치측 돌기부(146A)와 하우징(11)의 측벽부(12)에 대해 고정된 메커니즘 커버(262)의 팽창 돌출부(263) 내에 세워 마련되어, 클러치(85)의 웨빙 인출 방향으로의 회전시에 클러치측 돌기부(146A)와 맞닿음 가능하게 마련된 가느다란 원기둥형상의 고정측 돌기부(265)에 의해, 클러치(85)의 웨빙 권취 방향으로의 회전 개시를 록킹 기어(81)의 회전 개시에 대해 상대적으로 느리게 하는 회전차 부여 기구(266)를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차 부여 기구(266)의 간소화를 도모하고, 부품 점수의 삭감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클러치(85) 대신에, 다른 제1 실시형태의 클러치(242)를 부착하도록 해도 좋다. 이에 따라, 판스프링(245)의 긴쪽 방향 중앙부에 형성된 클러치측 돌기부(245A)를 반경 방향 내측으로 탄성 변형시키는 압압 하중을 안정화시킬 수 있고, 회전차 부여 기구(246)에 의한 록킹 기어(81)와 클러치(242)의 연결의 해제를 더욱 안정화하여, 엔드 록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회전차 부여 기구(266)의 기계적 수명을 비약적으로 연장할 수 있다.
[다른 제4 실시형태]
(D) 다른 제4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271)에 대해 도 54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54는 다른 제 4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271)의 잠금 유닛(9)의 메커니즘 커버(275)의 저면부 등의 일부를 잘라낸 일부 절결 단면도이다.
다른 제4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271)의 개략 구성은 상기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1)의 구성과 대략 동일한 구성이다.
단, 도 5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클러치(272)는 클러치(85)와 대략 동일한 구성이지만, 탄성 리브(146) 대신에, 리브형상의 클러치측 돌기부(273)가 절결부(145)의 둘레 방향 중앙부에 회전축 방향을 따라 외측 리브부(117)상에 세워 마련되어 있다. 이 클러치측 돌기부(273)는 외측 리브부(117)의 외주면으로부터 플랜지부(118)의 외경과 대략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단면 대략 삼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메커니즘 커버(275)는 메커니즘 커버(71)와 대략 동일한 구성이지만, 고정측 돌기부(148) 대신에, 양 단부가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어 메커니즘 수용부(87)의 내주벽에 접속되도록 일체 형성된 리브형상의 탄성 리브(276)가 마련되어 있다. 또, 탄성 리브(276)는 클러치(272)의 절결부(145)에 대향하도록 마련되는 동시에, 플랜지부(118)의 외경과 대략 동일한 동심원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이 탄성 리브(276)의 둘레 방향 중앙부에는 플랜지부(118)의 외주보다 반경 방향 내측으로 소정 높이(예를 들면, 높이 약 1.2㎜임) 돌출되는 단면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된 고정측 돌기부(276A)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리브 형상의 탄성 리브(276)는 둘레 방향 중앙부에 형성된 고정측 돌기부(276A)가 반경 방향 외측으로 압압된 경우, 고정측 돌기부(276A)가 플랜지부(118)의 외경보다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클러치(272)가 웨빙 인출 방향으로 회전운동되어, 폴(23)이 래칫 기어(35)의 래칫 기어부(35A)에 걸어 맞춰지는 경우, 클러치측 돌기부(273)가 고정측 돌기부(276A)를 타고 넘어가는 위치에 리브형상의 탄성 리브(276)가 메커니즘 수용부(87)의 내주벽에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폴(23)이 래칫 기어(35)의 래칫 기어부(35A)에 걸어 맞춰진 경우에는 클러치(272)의 클러치측 돌기부(273)가 메커니즘 수용부(87)의 내주부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도록 마련된 탄성 리브(276)의 고정측 돌기부(276A)를 압압해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탄성 변형시켜, 이 고정측 돌기부(276A)를 타고 넘어, 고정측 돌기부(276A)의 웨빙 인출 방향측의 측면에 맞닿거나 또는 근접해서 위치하고 있다.
그 후, 권취 드럼 유닛(6)의 회전이 잠겨 웨빙(3)의 인출이 잠겨진 후, 웨빙(3)에 가해지는 인출 방향의 인장력이 완화되고, 웨빙(3)이 약간 말려 들어간다. 이 경우에는 권취 스프링 유닛(8)의 부세력에 의해, 권취 드럼 유닛(6)이 웨빙 권취 방향으로 약간 회전된다. 또, 록킹 기어(81)는 래칫 기어(35)와 일체로 되어 웨빙 권취 방향으로 약간 회전된다.
한편, 클러치(272)는 클러치측 돌기부(273)가 고정측 돌기부(276A)를 타고 넘은 상태에서 맞닿기 때문에, 웨빙 권취 방향으로의 회전이 록킹 기어(81)의 회전에 대해 상대적으로 느리다. 이에 따라, 클러치(272)와 록킹 기어(81)를 연결한 상태에서 웨빙 권취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클러치측 돌기부(273)와 고정측 돌기부(276A)의 맞닿음에 의해, 록킹 기어(81)를 클러치(272)의 웨빙 권취 방향으로의 회전에 대해 상대적으로 선행해서 웨빙 권취 방향으로 확실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약간의 웨빙(3)의 권취량으로도 록킹 기어(81)와 클러치(272)의 연결을 확실하게 해제하여, 엔드 록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메커니즘 수용부(87)의 내주부에 마련된 탄성 리브(276)로부터 돌출하도록 마련된 고정측 돌기부(276A)와 클러치(272)의 절결부(145)의 둘레 방향 중앙부에 마련되어, 클러치(272)의 웨빙 인출 방향으로의 회전시에 고정측 돌기부(276A)와 맞닿음 가능하게 돌출된 리브형상의 클러치측 돌기부(273)에 의해, 클러치(272)의 웨빙 권취 방향으로의 회전을 록킹 기어(81)의 회전에 대해 상대적으로 느리게 하는 회전차 부여 기구(277)를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차 부여 기구(277)의 간소화를 도모하고, 부품 점수의 삭감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클러치측 돌기부(273)의 형상을 간소화할 수 있고, 클러치(272)의 성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른 제5 실시형태]
(E) 다른 제5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281)에 대해 도 55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55는 다른 제5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281)의 잠금 유닛(9)의 메커니즘 커버(285)의 저면부 등의 일부를 잘라낸 일부 절결 단면도이다.
다른 제5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281)의 개략 구성은 상기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1)의 구성과 대략 동일한 구성이다.
단, 도 5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클러치(282)는 클러치(85)와 대략 동일한 구성이지만, 절결부(145) 및 탄성 리브(146) 대신에, 가느다란 원기둥형상의 클러치측 돌기부(283)가 플랜지부(118)로부터 판부(111)측에 세워 마련되어 있다. 또, 클러치측 돌기부(283)의 높이는 외측 리브부(117)의 높이와 대략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메커니즘 커버(285)는 메커니즘 커버(71)와 대략 동일한 구성이지만, 고정측 돌기부(148) 대신에, 판스프링(286)이 부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메커니즘 수용부(87)의 외측 리브부(117)에 대향하는 내주벽부에서 클러치(282)의 회전운동에 수반하는 클러치측 돌기부(283)의 둘레 방향의 이동 영역을 내측에 배치하도록 한 쌍의 스프링 지지부(287)가 반경 방향 내측에 세워 마련되어 있다. 또, 한 쌍의 스프링 지지부(287)는 플랜지부(118)와 축 방향으로 소정 간극을 형성하고 있다.
또, 이 한 쌍의 스프링 지지부(287)에는 둘레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면으로부터 각각 둘레 방향 내측에 각 삽입 홈부(288A, 288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메커니즘 수용부(87)의 내주벽에 대해 동심의 원호형상으로 형성된 판스프링(286)의 양 단부가 각 삽입 홈부(288A, 288B)에 끼워 넣어 유지되고, 상기 판스프링(286)은 플랜지부(118)의 외주에 대해 축 방향으로 대향하고 있다.
또, 판스프링(286)의 축 방향의 폭은 외측 리브부(117)의 축 방향의 폭보다 좁은 폭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판스프링(286)의 긴쪽 방향 중앙부에는 플랜지부(118)의 외경보다 반경 방향 내측으로 소정 높이(예를 들면, 높이 약 1.2㎜임) 돌출된 단면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된 고정측 돌기부(286A)가 판두께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구부려져 형성되어 있다. 또한, 판스프링(286)은 긴쪽 방향 중앙부에 형성된 고정측 돌기부(286A)가 반경 방향 외측으로 압압된 경우에는 고정측 돌기부(286A)가 플랜지부(118)의 외주에 대향할 때까지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탄성 변형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클러치(272)가 웨빙 인출 방향으로 회전운동되어, 폴(23)이 래칫 기어(35)의 래칫 기어부(35A)에 걸어 맞춰지는 경우, 클러치측 돌기부(283)가 고정측 돌기부(286A)를 타고 넘어가는 위치에 판스프링(286)이 메커니즘 수용부(87)의 내주벽에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폴(23)이 래칫 기어(35)의 래칫 기어부(35A)에 걸어 맞춰진 경우에는 클러치(282)의 클러치측 돌기부(283)가 메커니즘 수용부(87)의 내주벽에 부착된 판스프링(286)의 고정측 돌기부(286A)를 압압해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탄성 변형시켜, 이 고정측 돌기부(286A)를 타고 넘고, 고정측 돌기부(286A)의 웨빙 인출 방향측의 측면에 맞닿거나 또는 근접해서 위치하고 있다.
그 후, 권취 드럼 유닛(6)의 회전이 잠겨 웨빙(3)의 인출이 잠겨진 후, 웨빙(3)에 가해지는 인출 방향의 인장력이 완화되어, 웨빙(3)이 약간 말려 들어간다. 이 경우에는 권취 스프링 유닛(8)의 부세력에 의해서, 권취 드럼 유닛(6)이 웨빙 권취 방향으로 약간 회전된다. 또, 록킹 기어(81)는 래칫 기어(35)와 일체로 되어 웨빙 권취 방향으로 약간 회전된다.
한편, 클러치(282)는 클러치측 돌기부(283)가 고정측 돌기부(286A)를 타고 넘은 상태에서 맞닿기 때문에, 웨빙 권취 방향으로의 회전이 록킹 기어(81)의 회전에 대해 상대적으로 느리다. 이에 따라, 클러치(282)와 록킹 기어(81)를 연결한 상태에서 웨빙 권취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클러치측 돌기부(283)와 고정측 돌기부(286A)의 맞닿음에 의해, 록킹 기어(81)를 클러치(282)의 웨빙 권취 방향으로의 회전에 대해 상대적으로 선행해서 웨빙 권취 방향으로 확실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약간의 웨빙(3)의 권취량으로도 록킹 기어(81)와 클러치(282)의 연결을 확실하게 해제해서, 엔드 록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메커니즘 수용부(87)의 내주벽에 부착된 판스프링(286)에서 돌출하도록 구부려 형성된 고정측 돌기부(286A)와 클러치(282)의 플랜지부(118)에 세워 마련되어, 클러치(282)의 웨빙 인출 방향으로의 회전시에 고정측 돌기부(286A)와 맞닿음 가능하게 마련된 클러치측 돌기부(283)에 의해, 클러치(282)의 웨빙 권취 방향으로의 회전을 록킹 기어(81)의 회전에 대해 상대적으로 느리게 하는 회전차 부여 기구(289)를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차 부여 기구(289)의 간소화를 도모하며, 부품 점수의 삭감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281)에서 메커니즘 커버(285) 대신에, 상기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271)의 메커니즘 커버(275)를 부착하도록 해도 좋다. 이에 따라, 탄성 리브(276) 및 고정측 돌기부(276A)를 일체 형성할 수 있고, 부품 점수의 삭감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상기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271)는 메커니즘 커버(275) 대신에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281)의 메커니즘 커버(285)를 부착하도록 해도 좋다. 이에 따라, 판스프링(286)의 긴쪽 방향 중앙부에 형성된 고정측 돌기부(286A)를 반경 방향 외측으로 탄성 변형시키는 압압 하중을 안정화시킬 수 있고, 회전차 부여 기구(277)에 의한 록킹 기어(81)와 클러치(272)의 연결의 해제를 또한 안정화하여, 엔드 록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회전차 부여 기구(277)의 기계적 수명을 비약적으로 연장할 수 있다.
[다른 제6 실시형태]
(F) 다른 제6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291)에 대해 도 56 내지 도 58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56은 다른 제6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291)의 클러치(292)의 사시도이다. 도 57은 다른 제6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291)의 메커니즘 커버(297)의 내측 사시도이다. 도 58은 다른 제 6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291)의 클러치측 돌기부(293A)를 포함하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다른 제6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291)의 개략 구성은 상기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1)의 구성과 대략 동일한 구성이다.
단, 도 56 및 도 5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클러치(292)는 클러치(85)와 대략 동일한 구성이지만, 탄성 리브(146) 대신에 캔틸레버형상의 탄성 리브(293)가 플랜지부(118)에 형성된 절결부(145)에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절결부(145)의 둘레 방향 양단부에서 외측 리브부(117)의 높이보다 조금 낮은 높이까지 플랜지부(118)의 반경 방향 전폭에 걸쳐, 대략 직각으로 연장된 각 연장부(295A, 295B)가 마련되어 있다.
또, 탄성 리브(293)는 각 연장부(295A, 295B) 중, 클러치(292)의 웨빙 인출 방향측(화살표(296) 방향측임)의 연장부(295A)의 상단부에서 대략 직각으로 연장부(295B)의 근방까지 연장되어 있다. 또, 탄성 리브(293)는 외측 리브부(117)의 외주면과 소정 간극(예를 들면, 간극 약 0.5㎜임)을 형성하면서, 상기 외측 리브부(117)의 외주면과 동심 원호형상으로 연장되고, 회전축 방향 내측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또, 탄성 리브(293)의 연장부(295B)측의 선단부에는 대략 반구형상의 클러치측 돌기부(293A)가 판부(111)와 대략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회전축 방향 외측으로 돌출해서 형성되어 있다.
또, 도 57 및 도 5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커니즘 커버(297)는 메커니즘 커버(71)와 대략 동일한 구성이지만, 메커니즘 수용부(87)의 내주벽에 세워 마련된 리브형상의 고정측 돌기부(148) 대신에, 메커니즘 수용부(87)의 저면부(298)에 짧은 리브형상의 고정측 돌기부(299)가 세워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메커니즘 수용부(87)의 저면부(298)의 탄성 리브(293)에 대향하는 부분에, 클러치(292)가 웨빙 인출 방향(화살표(296) 방향임)으로 회전운동되어, 폴(23)이 래칫 기어(35)의 래칫 기어부(35A)에 걸어 맞춰지는 경우에, 클러치측 돌기부(293A)가 타고 넘어가는 위치에 짧은 리브형상의 고정측 돌기부(299)가 관통 구멍(73)의 반경 방향을 따라 세워 마련되어 있다. 또, 고정측 돌기부(299)는 메커니즘 수용부(87)의 내주벽과 클러치(292)의 외측 리브부(117)의 외주면의 각각의 사이에 소정 간극(예를 들면, 간극 약 0.5㎜임)을 형성하도록 세워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폴(23)이 래칫 기어(35)의 래칫 기어부(35A)에 걸어 맞춰진 경우에는 클러치(292)에 마련된 탄성 리브(293)의 클러치측 돌기부(293A)가 절결부(145)측으로 탄성 변형되어, 메커니즘 수용부(87)의 저면부(298)에 세워 마련된 짧은 리브형상의 고정측 돌기부(299)를 타고 넘어, 고정측 돌기부(299)의 웨빙 인출 방향측의 측벽면에 맞닿거나, 또는 근접해서 위치하고 있다.
그 후, 권취 드럼 유닛(6)의 회전이 잠겨 웨빙(3)의 인출이 잠겨진 후, 웨빙(3)에 가해지는 인출 방향의 인장력이 완화되어, 웨빙(3)이 약간 인입된다. 이 경우에는 권취 스프링 유닛(8)의 부세력에 의해서, 권취 드럼 유닛(6)이 웨빙 권취 방향으로 약간 회전된다. 또, 록킹 기어(81)는 래칫 기어(35)와 일체로 되어 웨빙 권취 방향으로 약간 회전된다.
한편, 클러치(292)에 잇어서, 클러치는 탄성 리브(293)의 클러치측 돌기부(293A)가 고정측 돌기부(299)를 타고 넘은 상태에서 맞닿기 때문에, 웨빙 권취 방향으로의 회전이 록킹 기어(81)의 회전에 대해 상대적으로 느리다. 이에 따라, 클러치(292)와 록킹 기어(81)를 연결한 상태에서 웨빙 권취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클러치측 돌기부(293A)와 고정측 돌기부(299)의 맞닿음에 의해, 록킹 기어(81)를 클러치(292)의 웨빙 권취 방향으로의 회전에 대해 상대적으로 선행해서 웨빙 권취 방향으로 확실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약간의 웨빙(3)의 권취량으로도 록킹 기어(81)와 클러치(292)의 연결을 확실하게 해제해서, 엔드 록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클러치측 돌기부(293A)는 클러치(292)의 회전축에 대해 반경 방향 외측의 외주부에 마련된 탄성 리브(293)의 선단부로부터 회전축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마련된다. 짧은 리브형상의 고정측 돌기부(299)는 하우징(11)의 측벽부(12)에 대해 고정된 메커니즘 커버(297)의 메커니즘 수용부(87) 내의 저면부(298)에 세워 마련되어, 클러치(292)가 웨빙 인출 방향으로의 회전시 클러치측 돌기부(293A)와 맞닿음 가능하게 마련된다. 클러치측 돌기부(293A)와 고정측 돌기부(299)는 클러치(292)의 웨빙 권취 방향으로의 회전을, 록킹 기어(81)의 회전에 대해 상대적으로 느리게 하는 회전차 부여 기구(300)를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차 부여 기구(300)의 간소화를 도모하며, 부품 점수의 삭감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클러치측 돌기부(293A)와 고정측 돌기부(299)는 서로 맞닿도록 권취 드럼(181)의 회전축 방향으로 돌출시켜 마련할 수 있기 때문에, 권취 드럼(181)의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의 사이즈에의 영향을 억제하면서, 권취 드럼(181)의 회전축에 대한 반경 방향에 있어서의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291)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다른 제7 실시형태]
(G) 다른 제7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301)에 대해 도 59 내지 도 61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59는 다른 제7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301)의 클러치(302)의 사시도이다. 도 60은 다른 제7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301)의 하우징(311)의 사시도이다. 도 61은 다른 제7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301)의 클러치측 돌기부(303A)를 포함하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다른 제7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301)의 개략 구성은 상기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1)의 구성과 대략 동일한 구성이다.
단, 도 59 및 도 6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클러치(302)는 클러치(85)와 대략 동일한 구성이지만, 탄성 리브(146) 대신에 캔틸레버형상의 탄성 리브(303)가 플랜지부(118)에 형성된 절결부(145)에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절결부(145)의 둘레 방향 양 단부으로부터 측벽부(12)에 형성된 대략 반구형상으로 돌출된 고정측 돌기부(305)보다 조금 높은 높이까지, 플랜지부(118)의 반경 방향 전폭에 걸쳐 대략 직각으로 연장된 각 연장부(306A, 306B)가 마련되어 있다.
또, 탄성 리브(303)는 각 연장부(306A, 306B) 중, 클러치(302)의 웨빙 인출 방향측(화살표(307) 방향측임)의 연장부(306A)의 상단부로부터 대략 직각으로 연장부(306B)의 근방까지 연장되어 있다. 또, 탄성 리브(303)는 외측 리브부(117)의 외주면과 소정 간극(예를 들면, 간극 약 0.5㎜임)을 형성하면서, 상기 외측 리브부(117)의 외주면과 동심 원호형상으로 연장되고, 회전축 방향 외측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또, 탄성 리브(303)의 연장부(306B)측의 선단부에는 대략 반구형상의 클러치측 돌기부(303A)가 플랜지부(118)와 대략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회전축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 도 60 및 도 6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커니즘 커버(308)는 메커니즘 커버(71)와 대략 동일한 구성이지만, 메커니즘 수용부(87)의 내주벽에는 리브형상의 고정측 돌기부(148)가 마련되어 있지 않다. 또, 하우징(311)은 하우징(11)과 대략 동일한 구성이지만, 메커니즘 커버(71)의 리브형상의 고정측 돌기부(148) 대신에, 측벽부(12)의 관통 구멍(36)의 둘레가장자리부에 관통 구멍(36)의 축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대략 반구형상의 고정측 돌기부(305)가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측벽부(12)의 관통 구멍(36)의 둘레가장자리부 중, 클러치(302)의 절결부(145)에 대향하는 부분에서 클러치(302)가 웨빙 인출 방향(화살표(307) 방향임)으로 회전운동되어, 폴(23)이 래칫 기어(35)의 래칫 기어부(35A)에 걸어 맞춰지는 경우, 클러치측 돌기부(303A)가 타고 넘어가는 위치에 고정측 돌기부(305)가 대략 반구형상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대략 반구형상의 고정측 돌기부(305)는 메커니즘 수용부(87)의 내주벽과, 클러치(302)의 외측 리브부(117)의 외주면의 각각의 사이에 소정 간극(예를 들면, 간극 약 0.5㎜임)을 형성해서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폴(23)이 래칫 기어(35)의 래칫 기어부(35A)에 걸어 맞춰진 경우에는 클러치(302)에 마련된 탄성 리브(303)의 클러치측 돌기부(303A)가 회전축 방향 외측으로 탄성 변형되어, 하우징(311)의 측벽부(12)에 돌출하도록 형성된 대략 반구형상의 고정측 돌기부(305)를 타고 넘어, 고정측 돌기부(305)의 웨빙 인출 방향측의 면에 맞닿거나, 또는 근접해서 위치하고 있다.
그 후, 권취 드럼 유닛(6)의 회전이 잠겨 웨빙(3)의 인출이 잠겨진 후, 웨빙(3)에 가해지는 인출 방향의 인장력이 완화되어, 웨빙(3)이 약간 말려 들어간다. 이 경우에는 권취 스프링 유닛(8)의 부세력에 의해, 권취 드럼 유닛(6)이 웨빙 권취 방향으로 약간 회전된다. 또, 록킹 기어(81)는 래칫 기어(35)와 일체로 되어 웨빙 권취 방향으로 약간 회전된다.
한편, 클러치(302)는 탄성 리브(303)의 클러치측 돌기부(303A)가 고정측 돌기부(305)를 타고 넘은 상태에서 맞닿기 때문에, 웨빙 권취 방향으로의 회전이 록킹 기어(81)의 회전에 대해 상대적으로 느리다. 이에 따라, 클러치(302)와 록킹 기어(81)를 연결한 상태에서 웨빙 권취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에, 클러치측 돌기부(303A)와 고정측 돌기부(305)의 맞닿음에 의해서, 록킹 기어(81)를 클러치(302)의 웨빙 권취 방향으로의 회전에 대해 상대적으로 선행해서 웨빙 권취 방향으로 확실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약간의 웨빙(3)의 권취량으로도 록킹 기어(81)와 클러치(302)의 연결을 확실하게 해제해서, 엔드 록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클러치(302)의 회전축에 대해 반경 방향 외측의 외주부에 마련된 탄성 리브(303)의 선단부로부터 회전축 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도록 마련된 클러치측 돌기부(303A)와 하우징(311)의 측벽부(12)에 마련되어, 클러치(302)의 웨빙 인출 방향으로의 회전시에 클러치측 돌기부(303A)와 맞닿음 가능하게 마련된 대략 반구형상의 고정측 돌기부(305)에 의해, 클러치(302)의 웨빙 권취 방향으로의 회전을, 록킹 기어(81)의 회전에 대해 상대적으로 느리게 하는 회전차 부여 기구(312)를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차 부여 기구(312)의 간소화를 도모하며, 부품 점수의 삭감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클러치측 돌기부(303A)와 고정측 돌기부(305)는 서로 맞닿도록 권취 드럼(181)의 회전축 방향으로 돌출시켜 마련할 수 있으므로, 권취 드럼(181)의 회전축 방향에서의 사이즈의 영향을 억제하면서, 권취 드럼(181)의 회전축에 대한 반경 방향에서의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301)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Claims (10)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벽부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수납되어 웨빙을 권취하고, 상기 웨빙이 인출되는 경우 웨빙 인출 방향으로 회전하는 권취 드럼,
    상기 권취 드럼의 일단측에 마련되어 상기 권취 드럼과 일체로 회전하는 래칫 기어 및
    상기 한 쌍의 측벽부 중의 한쪽의 측벽부에서 상기 권취 드럼의 회전축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통상시에 상기 권취 드럼의 일단측에 세워 마련된 축부를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고, 긴급 시에 상기 권취 드럼의 웨빙 인출 방향으로의 회전을 저지하는 잠금 기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 기구부는
    상기 축부에 대해 상대 회전 불능이고 상기 축부에 동축으로 부착된 록킹 기어,
    상기 권취 드럼과 동축으로 배치되고, 회전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웨빙 인출 방향으로의 회전운동에 의해, 상기 래칫 기어에 걸어 맞춰져 상기 권취 드럼의 웨빙 인출 방향으로의 회전을 저지하는 폴을 상기 래칫 기어에 걸어 맞추도록 유도하는 클러치,
    상기 클러치가 웨빙 인출 방향으로 회전운동한 경우, 상기 클러치가 통상시의 기준 회전 자세로 되도록 상기 클러치를 웨빙 권취 방향으로 회전운동 부세하는 클러치 부세 기구,
    긴급시에 상기 클러치를 상기 록킹 기어에 연결하고, 상기 클러치와 록킹 기어를 일체적으로 웨빙 인출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폴을 상기 래칫 기어에 걸어 맞추게 하는 동시에, 상기 클러치에 대해 상기 록킹 기어가 웨빙 권취 방향으로 상대 회전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클러치와 상기 록킹 기어의 연결의 해제가 가능한 연결 기구와
    연결된 상태의 상기 클러치와 상기 록킹 기어를 웨빙 권취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상기 클러치의 웨빙 권취 방향으로의 회전을 상기 록킹 기어의 웨빙 권취 방향으로의 회전에 대해 상대적으로 지연시키는 회전차 부여 기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차 부여 기구는
    상기 클러치의 회전축에 대해 반경 방향 외측의 위치에 배치되어 돌출하도록 마련된 클러치측 돌기부와
    상기 하우징 또는 상기 하우징에 대해 고정된 고정 부재에 마련되고, 상기 클러치가 웨빙 인출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클러치측 돌기부와 맞닿음 가능하게 돌출되는 고정측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클러치측 돌기부와 상기 고정측 돌기부 중의 적어도 한쪽은 상기 클러치측 돌기부와 상기 고정측 돌기부의 다른 쪽에 맞닿아 압압된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고,
    상기 고정측 돌기부는 상기 폴이 상기 래칫 기어에 걸어 맞춰질 때, 상기 클러치측 돌기부가 타고 넘는 위치에 마련되고,
    상기 클러치측 돌기부는 연결된 상태의 상기 클러치와 상기 록킹 기어를 웨빙 권취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상기 클러치 부세 기구에 의한 웨빙 권취 방향으로의 회전운동 부세에 의해서 상기 고정측 돌기부를 타고 넘고,
    상기 웨빙 권취 방향으로의 상기 클러치의 회전은 상기 웨빙 권취 방향에서 상기 록킹 기어의 회전에 대해 상대적으로 지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기구부는 상기 한쪽의 측벽부의 상기 권취 드럼의 회전축 방향 외측에 부착되어 상기 록킹 기어와 상기 클러치를 수용하는 메커니즘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메커니즘 커버는 상기 고정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측 돌기부는 상기 클러치의 외주부에 마련되어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고정측 돌기부는 상기 클러치의 외주부에 대향하는 상기 메커니즘 커버의 내주면에 마련되어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측 돌기부는 상기 클러치의 외주부에 마련되어 회전축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고정측 돌기부는 상기 메커니즘 커버의 상기 클러치에 대향하는 내측면에 마련되어 상기 클러치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측 돌기부는 상기 클러치의 외주부에 마련되어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고정측 돌기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한쪽의 측벽부의 상기 권취 드럼의 회전축 방향 외측에 세워 마련되고, 상기 클러치의 외주부에 대향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측 돌기부는 상기 클러치의 외주부에 마련되어 회전축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고정측 돌기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한쪽의 측벽부에 마련되어 상기 권취 드럼의 회전축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측 돌기부는 상기 클러치와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측 돌기부는 상기 하우징 또는 상기 하우징에 대해 고정된 고정 부재와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기구부는 상기 폴을 상기 래칫 기어에서 이반된 방향으로 부세하는 리턴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클러치 부세 기구는 상기 폴을 통해 상기 리턴 스프링의 부세력에 의해 상기 클러치가 상기 기준 회전 자세로 되도록 상기 클러치를 웨빙 권취 방향으로 회전운동 부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KR1020147028093A 2012-03-07 2013-02-25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KR1019904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50615 2012-03-07
JP2012050615A JP5876332B2 (ja) 2012-03-07 2012-03-07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
PCT/JP2013/054801 WO2013133071A1 (ja) 2012-03-07 2013-02-25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2721A KR20140142721A (ko) 2014-12-12
KR101990474B1 true KR101990474B1 (ko) 2019-06-18

Family

ID=49116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8093A KR101990474B1 (ko) 2012-03-07 2013-02-25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876332B2 (ko)
KR (1) KR101990474B1 (ko)
WO (1) WO20131330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06757B2 (ja) 2011-05-25 2015-04-22 タカタ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およびこれを用いたシートベルト装置
JP6041434B2 (ja) * 2012-11-20 2016-12-07 タカタ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およびこれを用いたシートベルト装置
CN104890614B (zh) * 2014-03-03 2017-11-17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安全带卷收器及汽车安全带装置
CN104192092B (zh) * 2014-07-22 2016-08-31 常州市东晨车辆部件有限公司 安全带收卷装置
JP6509634B2 (ja) * 2015-05-22 2019-05-08 芦森工業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12085A (ja) 2002-01-25 2003-07-30 Ashimori Ind Co Ltd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ー
JP2006159986A (ja) 2004-12-03 2006-06-22 Ashimori Ind Co Ltd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ー
JP2006188148A (ja) 2005-01-06 2006-07-20 Tokai Rika Co Ltd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2011148388A (ja) 2010-01-21 2011-08-04 Tokai Rika Co Ltd ウエビング巻取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78058U (ko) * 1990-11-20 1992-07-08
JP4785246B2 (ja) * 1999-12-15 2011-10-05 タカタ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装置
JP2008195085A (ja) * 2007-02-08 2008-08-28 Tokai Rika Co Ltd ウエビング巻取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12085A (ja) 2002-01-25 2003-07-30 Ashimori Ind Co Ltd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ー
JP2006159986A (ja) 2004-12-03 2006-06-22 Ashimori Ind Co Ltd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ー
JP2006188148A (ja) 2005-01-06 2006-07-20 Tokai Rika Co Ltd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2011148388A (ja) 2010-01-21 2011-08-04 Tokai Rika Co Ltd ウエビング巻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2721A (ko) 2014-12-12
WO2013133071A1 (ja) 2013-09-12
JP5876332B2 (ja) 2016-03-02
JP2013184539A (ja) 2013-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0474B1 (ko)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JP6026162B2 (ja)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
JP6250427B2 (ja)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
US20110049283A1 (en) Seatbelt retractor
KR20140142720A (ko)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US20110057066A1 (en) Seatbelt retractor
US9132803B2 (en) Seatbelt retractor
JP2013184538A (ja)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
WO2013179979A1 (ja)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
US8590824B2 (en) Seatbelt retractor
JP3996779B2 (ja)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ー
WO2013179978A1 (ja)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
WO2013061873A1 (ja)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
US9738250B2 (en) Seatbelt retractor
JP6074243B2 (ja)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
JP2006159982A (ja)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ー
JP5876333B2 (ja)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
JP2013184543A (ja)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
JP5806587B2 (ja)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
JP6155116B2 (ja)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
JP2013119309A (ja)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
JP2013184542A (ja)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
JP2013095199A (ja)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