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1687B1 - 탈부착식 차량 공기막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탈부착식 차량 공기막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1687B1
KR102081687B1 KR1020180113149A KR20180113149A KR102081687B1 KR 102081687 B1 KR102081687 B1 KR 102081687B1 KR 1020180113149 A KR1020180113149 A KR 1020180113149A KR 20180113149 A KR20180113149 A KR 20180113149A KR 102081687 B1 KR102081687 B1 KR 1020816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unit
vehicle
pillar
air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3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지현
Original Assignee
신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지현 filed Critical 신지현
Priority to KR1020180113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16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1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16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9/00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J1/00 - B60J7/00
    • B60J9/04Air curt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7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opening or closing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93Appurtenances
    • B60J5/0494Rain covers deployed upon opening d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6/00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power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from forces of nature, e.g. sun or wi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6/00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power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from forces of nature, e.g. sun or wind
    • B60K2016/003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power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from forces of nature, e.g. sun or wind solar power driv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9Side or rear panels
    • B60R2011/0022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6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suction c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64Connection with the article
    • B60R2011/0071Connection with the article using latches, clips, clamps, straps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90Energy harvesting concepts as power supply for auxiliaries' energy consumption, e.g. photovoltaic sun-ro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부착식 차량 공기막 형성 기술에 관한 것으로, 물기 감지 센서와 차량의 문 열림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구동 모터부, 상기 구동 모터부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분사하여 공기막을 형성하는 분사부, 및 상기 물기 감지 센서에 의하여 물기가 감지되면 상기 문 열림 감지 센서가 작동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문 열림 감지 센서에 의하여 차량의 문 열림이 감지되면 상기 구동 모터부가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 구동 모터부, 전력 제공부 및 제어부는 단일 케이스 내에 실장되어 본체를 형성하고 상기 분사부는 상기 본체에 연결되고 상기 본체와 분사부 저면에는 탈부착부가 형성되어 차량의 필러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탈부착식 차량 공기막 형성 장치{REMOVABLE VIHICLE AIR FILM FORM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탈부착식 차량 공기막 형성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나 눈 등의 물기를 감지하여 차량에 탑승 혹은 하차할 때 공기막을 형성하여 승하차자 혹은 차량 내부로 물기가 접촉 또는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탈부착식 차량 공기막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는 날씨에 관계없이 원거리를 편하게 이동할 수 있게 하는 운송수단이다.
이를 위해, 자동차는 외부 기온에 따라 차량 내부를 냉난방 하기 위한 공기조화장치를 구비하고 있을 뿐 아니라, 운전자는 선루프 또는/및 차량 윈도우를 개방하여 차량 내부의 환기도 가능하다.
그러나 현재까지 차량에 구비된 공기조화장치 및 환기 설비는 비나 눈이 오는 날씨에 대해서는 적절한 대책이 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즉, 비나 눈이 오는 날씨에서는, 차량에서의 승하차를 위해 차량의 문을 여는 경우 차량 내부로 빗물이나 눈이 유입될 수 밖에 없어 차량 내부가 쾌적한 상태로 유지되지 못하고 차량에 탑승 혹은 하차하는 순간 물기 접촉으로 불쾌감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21321(2011.03.04)호는 차량의 빗물유입방지용 공기차단막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도어 상측에 위치되도록 루프판넬의 내부에 내측분사노즐이 설치되어 에어를 방출해 에어커튼을 형성시키는 차량의 빗물유입방지용 공기차단막장치에 있어서, 차량 도어에 설치되어 사람의 출입여부를 감지하는 출입센서와, 상기 출입센서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서 사람이 출입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여 블로우 모터에 제어신호를 전달하여 공기조화장치의 공기를 차량의 빗물유입방지용 공기차단막장치에 전달하도록 제어하는 전자제어장치와, 상기 공기조화 장치와 연결된 공기 연성 공급관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조화 장치로부터의 공기를 펌핑해주는 블로우 모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28214(2006.03.29)호는 자동차의 도어를 통한 빗물 유입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루프패널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차량의 후방 쪽으로 갈수록 외경이 확대되는 원뿔 형상으로 형성된 롤러와, 상기 롤러에 감겨지는 빗물 차단막과, 상기 빗물 차단막이 감겨지는 방향으로 롤러에 회전력을 가하는 스프링과, 상기 빗물차단막의 끝단에 고정되며 자력에 의해 끌어당겨질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 탈착봉과, 상기 도어의 내측 상단에 고정 설치된 전자석과, 상기 전자석에 전류를 공급하거나 전자석에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시키는 전자석 가동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21321(2011.03.04)호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28214(2006.03.29)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비나 눈이 내리는 날씨에서 차량의 문을 열더라도 차량 내부로 빗물이나 눈의 유입이 방지되어 차량 내부를 쾌적한 상태로 유지하고 승하차자의 물기 접촉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탈부착식 차량 공기막 형성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문을 열고 승하차하는 사람의 신장(키)에 맞춰서 공기막 형성 높이 및 공기 분사 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탈부착식 차량 공기막 형성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량 내부 전력 사용을 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전력 공급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탈부착식 차량 공기막 형성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탈부착식 차량 공기막 형성 장치는 물기 감지 센서와 차량의 문 열림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구동 모터부, 상기 구동 모터부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분사하여 공기막을 형성하는 분사부, 및 상기 물기 감지 센서에 의하여 물기가 감지되면 상기 문 열림 감지 센서가 작동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문 열림 감지 센서에 의하여 차량의 문 열림이 감지되면 상기 구동 모터부가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 구동 모터부, 전력 제공부 및 제어부는 단일 케이스 내에 실장되어 본체를 형성하고 상기 분사부는 상기 본체에 연결되고 상기 본체와 분사부 저면에는 탈부착부가 형성되어 차량의 필러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분사부는 상기 차량 필라를 따라 장착되고 상기 구동 모터부에 의해 흡입되어 배출되는 공기가 이동되는 공기 통로관, 및 상기 공기 통로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벌어진 틈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공기 통로관을 따라 이동되는 공기가 상기 벌어진 틈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 배출구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공기 배출구의 벌어진 틈의 위치를 조절하여 공기막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 제공부는 태양광 패널, 상기 태양광 패널을 통해 광전변환하여 충전하고 각 구성들의 동작 전원을 제공하는 충전지, 및 상기 충전지의 방전 대비용 비상전지를 포함하고, 차량 내부의 전력과 독립적으로 전력 제공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높이 조절부에서 조절된 높이에 맞춰 공기막이 형성되도록 상기 구동 모터부의 회전력을 제어하고, 상기 문 열림 감지 센서에서 문 닫힘 상태가 감지되면 상기 구동 모터부가 정지되도록 제어하여 형성된 공기막을 제거하고, 상기 물기 감지 센서에서 물기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문 열림 감지 센서가 "오프(OFF)" 되도록 제어하여 대기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탈부착부는 차량의 필라에 흡착되는 흡착패드, 상기 흡착패드와 연결되고 필라를 잡아주는 필라잡이, 및 상기 필라잡이의 반대쪽에 위치하고 누름압에 의해 상기 흡착패드를 상기 필라에 흡착시킴과 동시에 상기 필라걸이를 잡아 당기는 결착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탈부착부는 끈 형태로 이루어져 차와 차문 사이에 끼워지도록 된 도난 방지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라잡이는 상기 흡착패드와 연결되고 단부가 수직 절곡되어 차체와 상기 필라 사이에 걸리도록 구성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식 차량 공기막 형성 장치는 비 오는 날 차량을 탑승할 때 우산을 접고 펴는 순간 발생하는 사용자 혹은 차량 내부의 빗물 접촉을 방지하여 쾌적한 탑승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식 차량 공기막 형성 장치는 공기 통로관에 형성된 공기 배출구의 벌어진 틈 간격 혹은 틈 위치를 차문을 열고 승차하거나 하차하는 사람의 신장(키)에 맞춰 조정하여 공기막 형성 높이 및 공기 분사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식 차량 공기막 형성 장치는 고무 흡착기와 필라 잡이를 통해 필요할 때마다 차량 필라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어 차 주행에 방해를 주지 않고 차량 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 비나 눈이 오는 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식 차량 공기막 형성 장치는 차량 내부 전력 사용을 하지 않고 태양광 충전지를 통해 독립적인 전력 공급을 받으며 충전 고갈시 비상전지를 투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식 차량 공기막 형성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차량 공기막 형성 장치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높이 조절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전력 제공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있는 차량 공기막 형성 장치의 탈부착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있는 차량 공기막 형성 장치의 공기막 형성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식 차량 공기막 형성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 공기막 형성 장치(100)는 센서부(110), 높이 조절부(120), 구동 모터부(130), 분사부(140), 전력 제공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센서부(110)는 물기 감지 센서(111)와 문 열림 감지 센서(113)를 포함할 수 있다.
물기 감지 센서(111)는 비나 눈과 접촉하여 물기를 감지하는 센서로서, 예를 들어, 두 전극 사이에 빗물이 맺히거나 흐르면 빗물을 통해 전류를 측정해 빗방울을 인식하는 빗물센서(Rain Sensor)에 해당할 수 있다.
문 열림 감지 센서(113)는 차량의 문이 열림을 감지하는 센서이다.
높이 조절부(120)는 공기막 형성 높이 및 공기 분사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높이 조절부(120)는 차량의 문이 열린 상태에서 차량에 탑승하거나 차량으로부터 하차하는 사람의 신장 즉, 키 높이에 맞춰 공기막 형성 높이 및 공기 분사 세기를 상·중·하의 3단계로 조절할 수 있다.
구동 모터부(130)는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하고 배출된 공기가 공기막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구동 모터부(130)는 높이 조절부(120)에 의해 조정된 높이를 확인하고 확인된 높이에 따라 회전하여 공기 분사 세기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분사부(140)는 구동 모터부(130)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높이 조절부(120)에 의해 조절된 높이로 공기막을 형성할 수 있도록 분사한다.
전력 제공부(150)는 각 구성에 필요한 동작 전원을 제공하는 수단으로, 태양광 충전방식을 통해 차량 내부 전력을 사용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전력 공급 받도록 태양광 패널(151)과 충전지(153)를 포함하고 비상 전지(16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제공부(150)는 평상시 태양광 패널(151)을 통해 충전지(153)를 충전하여 사용하고, 충전지(153) 고갈시 비상전지(155)를 투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센서부(110)로부터 제공되는 물기 감지신호, 차량의 문 열림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의 공기막 형성 기능 수행 여부를 결정한다. 만일 공기막 형성 기능을 수행하도록 결정한 경우라면 제어부(160)는 구동 모터부(130)가 동작 개시하도록 제어하여, 구동 모터부(13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분사부(140)를 통해 외부로 분사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60)는 높이 조절부(120)에 의해 설정된 공기막 형성 높이에 상응하는 세기로 공기가 배출되도록 구동 모터부(13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는 차량에 탑승하거나 차량으로부터 하차하는 사람의 키가 클수록 공기막 높이가 높아야 하므로 더 높게 더 강한 세기로 공기를 분사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차량 공기막 형성 장치(100)의 차량 설치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차량 공기막 형성 장치(100)는 차량의 필라(pillar)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필라는 차량의 지붕을 지지하고, 일체형 차체의 강성과 안전성을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이며, 일 실시예에서 차량 공기막 형성 장치(100)는 운전석 부분의 앞유리와 옆유리 위에 장착되는 프론트필라(A 필라) 영역에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프론트필라 영역뿐 아니라 뒷유리와 옆유리 사이에 있는 리어필라(C 필라) 영역에 더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차량 공기막 형성 장치(100)는 센서부(110), 구동 모터부(130), 전력 제공부(150) 및 제어부(160)가 단일 케이스 내에 실장되어 본체(200)를 형성하고, 본체(200)에 분사부(140)를 연결할 수 있다.
분사부(140)는 차량 필라를 따라 장착되고 구동 모터부(130)에 의해 흡입되어 배출되는 공기가 이동되는 공기 통로관(210)과, 공기 통로관(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벌어진 틈 형태로 형성되고 공기 통로관(210)을 따라 이동되는 공기가 벌어진 틈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 배출구(2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있는 높이 조절부(120)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공기 통로관(210)의 선단부인 본체(200)와 분사부(140)의 연결부분에 높이 조절부(120)가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높이 조절부(120)는 공기 통로관(210)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공기 배출구(220)를 위치를 조정하여 공기막 높이를 상중하의 3단계로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높이 조절부(120)는 공기 배출구(220)를 형성하는 공기 통로관(210) 상에 벌어진 틈새 간격을 조정하여 공기막 높이를 조절할 수도 있다. 높이 조절부(120)는 조절 단계를 가리키는 화살표 모양의 식별자를 포함하고 식별자를 수동 조작함에 따라 공기막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공기 통로관(210)은 속관과 겉관의 이중 관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속관과 겉관에 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벌어진 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겉관에 벌어진 틈 간격이 속관에 벌어진 틈 간격 보다 넓게 형성되고 높이 조절부(120)의 식별자 수동 조작에 따라 속관이 겉관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겉관에 형성된 벌어진 틈과 속관에 형성된 벌어진 틈을 일치하는 위치를 조정하여 상중하의 3단계로 공기막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센서부(110)의 물 감지 센서(111)로부터 물기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160)는 문 열림 감지 센서(113)를 대기상태로 변경시켜 차량 문의 상태를 감지하도록 한다. 승하차자가 차량의 문을 열면 문 열림 감지 센서(113)는 차량의 문이 열렸다는 것을 제어부(160)에 보내고 제어부(160)는 구동 모터부(130)를 작동시킨다. 구동 모터부(130)가 작동되면 외부 공기가 흡입되고 이 공기는 자동차 필라(자동차 지붕을 지탱하는 기둥)에 장착되어 있는 공기 통로관(210)을 따라 이동한다.
자동차 필라에 장착된 공기 통로관(210)에는 공기막을 형성할 수 있도록 공기 배출구(220)가 공기 통로관(210)을 따라 틈 형태로 벌어져 있고 공기는 공기 통로관(210)을 따라 이동하면서 이 공기 배출구(220)를 통해 배출되면서 공기막을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높이 조절부(120)는 공기 통로관(210)에 형성된 공기 배출구(220)의 벌어진 틈새를 조절하여 공기막 형성 높이 및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 공기막이 문을 여는 순간부터 승하차를 완료하고 문을 닫는 순간까지 비나 눈으로부터 승하차자와 차량내부를 보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60)는 다음 수학식 1을 통해 공기 배출구(220)의 높이에 따른 구동 모터부(130)의 회전력을 결정하여 공기 분사 세기를 조절하고 그에 따라 높이 조절부(120)에 의해 조절된 높이에 맞게 공기막을 형성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18094205610-pat00001
여기서, k는 비례상수로 구동 모터부(130)의 회전력에 따른 속도로부터 구해지고 P는 분사 세기, C는 외부의 압력을 의미하며 미분방정식에 의해 구해질 수 있다.
문이 닫히면 구동 모터부(130)가 구동 정지하여 공기 흡입과 배출이 중지되면서 공기막은 사라지게 된다. 이때, 물 감지 센서(111)를 통해 물기 감지가 지속되면 대기 상태를 유지하고 물기 감지가 되지 않으면 센서부(110) 작동이 꺼지게 되어 대기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도 1에 있는 전력 제공부(150)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력 제공부(150)는 태양광 패널(151), 태양광 패널(151)을 이용해 전원 충전하는 충전지(153), 및 충전지(153)의 방전시 사용하기 위한 비상전지(155)를 포함하여 차량 내부 전력을 사용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전력 공급받도록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태양광 패널(151)과 충전지(153)는 태양광선의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바꾸는 태양전지(solar battery)를 구성할 수 있다. 태양광 패널(151)은 태양광선의 입사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본체(200) 윗면에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충전지(153)는 차량 공기막 형성장치(100)의 각 구성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제공하고 태양광 패널(151)을 통해 태양광을 전기로 변환하여 전원을 충전할 수 있다. 햇빛이 약하거나 구름낀 날에는 충전시간이 오래 걸릴 수도 있기 때문에 이경우에는 비상전지(155)를 이용하여 전력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있는 차량 공기막 형성 장치(100)의 탈부착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차량 공기막 형성 장치(100)의 본체(200)와 분사부(140) 저면에는 각각 탈부착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탈부착부(300)는 흡착패드(310), 필라잡이(320), 결착 손잡이(330) 및 도난 방지끈(340)을 포함할 수 있다.
흡착패드(310)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고 차량 필라에 흡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흡착패드(310)는 빨판부와 기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기둥부들을 서로 연결하여 다수의 흡착패드(310)를 하나의 흡착판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3개의 흡착패드(310)를 한쌍으로 하여 판 형태로 형성하고 이를 본체(200)의 저면에 포함하고 분사부(140)의 공기 통로관(210)의 길이에 맞춰 다수의 흡착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흡착패드(310)는 결착 손잡이(330)를 하방을 향해 잡아당기면서 생기는 누름압에 의해 차량 필라에 흡착될 수 있다.
필라잡이(320)는 흡착패드(310)와 연결되고 단부가 'ㄱ' 형상으로 하방을 향해 수직 절곡되어 걸이부를 형성하고 걸이부가 차체와 필라 사이의 둔턱에 걸릴 수 있도록 하여 결착 손잡이(330)를 잡아당김에 따라 함께 당겨지면서 흡착패드(310)가 흡착된 상태에서 더 단단히 차량 필라를 잡을 수 있다.
결착 손잡이(330)는 필라잡이(320)와 반대측에서 흡착패드(310)와 연결되고 약간 하방을 향하면서 전방을 향해 잡아당겨 필라잡이(320)가 차량 필라를 잡으면서 흡착패드(310)가 필라에 흡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결착 손잡이(330)를 약간 상방을 향하면서 전방을 향해 잡아당기면 누름압이 해제되면서 흡착패드(310)가 필라로부터 떨어지게 되어 차량 필라에 부착시킨 차량 공기막 형성 장치(100)를 탈착시킬 수 있다.
도난 방지끈(340)은 차문을 닫을 때 차와 차문 사이에 넣어주어 차량 필라에 부착된 차량 공기막 형성 장치(100)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도 1에 있는 차량 공기막 형성장치(100)의 차량 공기막 형성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160)는 센서부(110)의 물기 감지 센서(111)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물기 감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610). 단계 S610의 판단결과 물기 감지가 되면, 제어부(160)는 비나 눈이 오는 것으로 인식하여 센서부(110)의 문 열림 감지 센서(113)의 작동을 "온(ON)"시킨다(단계 S620). 일 실시예에서 문 열림 감지 센서(113)는 물기 감지 센서(111)에 의해 물기가 감지되는 경우에만 작동 전원이 공급되게 하여 대기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센서부(110)의 문 열림 감지 센서(113)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차문 열림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630). 단계 S630의 판단결과 차문이 열렸으면, 제어부(160)는 차량에 승차하고자 혹은 차량 탑승자가 차량으로부터 하차하고자 차량의 문을 연 것으로 인식하고 공기막 형성 높이를 확인한다(단계 S640). 공기막 형성 높이는 높이조절부(120)에 의해 분사부(140)에 형성된 공기 배출구(220)의 위치를 상·중·하의 3단계로 조정하는 것에 의해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높이조절부(120)에 의해 조절된 공기막 형성 높이가 확인되면 공기막 형성 높이에 따라 구동 모터부(130)의 회전력을 확정한 후(단계 S650), 확정된 구동 모터부(130)의 회전력에 따라 구동 모터부(130)가 구동하도록 구동 모터부(130)를 "온(ON)"시킨다(단계 S660).
구동 모터부(130)가 구동함에 따라 본체(200) 내부로 외부 공기가 흡입되고(단계 S670), 흡입되는 공기가 분사부(140)의 공기 통로관(210)을 따라 이동되면서 공기 통로관(210) 상에 형성된 공기 배출구(220)로 공기가 배출되게 되어 공기막을 형성한다(단계 S680). 일 실시예에서 분사부(140)는 차량의 필러 영역에 형성되어 문의 외부 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하도록 배치되어 차문이 열린 상태에서 차와 문 사이의 공간에 공기막이 형성되어 빗물이나 눈에 의해 차량의 승하차자가 젖거나 차량 내부에 물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공기 배출을 통해 공기막을 형성한 상태에서, 제어부(160)는 단계 S630으로 돌아가 단계를 반복 체크하여 문 닫힘 상태를 판단하게 된다.
단계 S630의 판단결과 문 닫힘 상태이면, 제어부(160)는 구동모터부(130)에 공급되는 전원을 "오프(OFF)"하여 구동을 정지시킨 후(단계 S690), 단계 S610으로 돌아가 단계를 반복 체크하여 비나 눈이 계속 오는 지를 판단하게 된다.
단계 S610의 판단결과 눈이나 비가 멈추어 물기가 감지되지 않는 상태이면, 제어부(160)는 센서부(110)의 문 열림 감지 센서(113)를 "오프(OFF)"시켜 대기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후(단계 S700), 단계 S610으로 돌아가 단계를 반복 수행하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차량 공기막 형성 장치
110: 센서부
111: 물기 감지 센서 113: 문 열림 감지 센서
120: 높이 조절부 130: 구동 모터부
140: 분사부 150: 전력 제공부
151: 태양광 패널 153: 충전지
155: 비상전지 160: 제어부
200: 본체
210: 공기 통로관 220: 공기 배출구
230: 배수구
300: 탈부착부
310: 흡착패드 320: 필라잡이
330: 결착 손잡이 340: 도난 방지끈

Claims (8)

  1. 물기 감지 센서와 차량의 문 열림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구동 모터부;
    속관과 겉관의 이중 관으로 형성되며 공기가 이동되는 공기 통로관 및 상기 공기 통로관의 속관과 겉관에 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벌어진 틈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이동되는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배출구를 포함하여 상기 구동 모터부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분사하여 공기막을 형성하는 분사부;
    승하차 하는 사람의 신장(키)에 맞춰서 상기 공기막이 형성되도록 상기 공기 통로관의 속관을 겉관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시켜 상기 공기 배출구의 벌어진 틈의 위치를 조정하여 공기막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
    전력 제공부;
    상기 물기 감지 센서에 의하여 물기가 감지되면 상기 문 열림 감지 센서가 작동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문 열림 감지 센서에 의하여 차량의 문 열림이 감지되면 상기 구동 모터부가 작동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높이 조절부에 의하여 상기 공기 배출구의 위치가 조정되면 조정된 위치에 맞춰 공기 분사 세기가 조절되도록 상기 구동 모터부의 회전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 구동 모터부, 전력 제공부 및 제어부는 단일 케이스 내에 실장되어 본체를 형성하고 상기 분사부는 상기 본체에 연결되고 상기 본체와 분사부 저면에는 탈부착부가 형성되어 차량의 필라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식 차량 공기막 형성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제공부는
    태양광 패널;
    상기 태양광 패널을 통해 광전변환하여 충전하고 각 구성들의 동작 전원을 제공하는 충전지; 및
    상기 충전지의 방전 대비용 비상전지를 포함하고,
    차량 내부의 전력과 독립적으로 전력 제공이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식 차량 공기막 형성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문 열림 감지 센서에서 문 닫힘 상태가 감지되면 상기 구동 모터부가 정지되도록 제어하여 형성된 공기막을 제거하고, 상기 물기 감지 센서에서 물기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문 열림 감지 센서가 "오프(OFF)" 되도록 제어하여 대기 전력을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식 차량 공기막 형성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부는
    차량의 필라에 흡착되는 흡착패드;
    상기 흡착패드와 연결되고 필라를 잡아주는 필라잡이; 및
    상기 필라잡이의 반대쪽에 위치하고 누름압에 의해 상기 흡착패드를 상기 필라에 흡착시킴과 동시에 상기 필라잡이를 잡아 당기는 결착 손잡이를 포함하는 탈부착식 차량 공기막 형성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부는
    끈 형태로 이루어져 차와 차문 사이에 끼워지도록 된 도난 방지끈을 더 포함하는 탈부착식 차량 공기막 형성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필라잡이는
    상기 흡착패드와 연결되고 단부가 수직 절곡되어 차체와 상기 필라 사이에 걸리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식 차량 공기막 형성 장치.
KR1020180113149A 2018-09-20 2018-09-20 탈부착식 차량 공기막 형성 장치 KR1020816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3149A KR102081687B1 (ko) 2018-09-20 2018-09-20 탈부착식 차량 공기막 형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3149A KR102081687B1 (ko) 2018-09-20 2018-09-20 탈부착식 차량 공기막 형성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1687B1 true KR102081687B1 (ko) 2020-02-26

Family

ID=69637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3149A KR102081687B1 (ko) 2018-09-20 2018-09-20 탈부착식 차량 공기막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168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5971Y1 (ko) * 2001-09-03 2001-12-13 민형만 차량용 윈도우 가리개
KR20060028214A (ko) 2004-09-24 2006-03-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도어를 통한 빗물 유입 방지 장치
KR20110021321A (ko) 2009-08-26 2011-03-04 김미광 차량의 빗물유입방지용 공기차단막장치
KR20140042250A (ko) * 2012-09-28 2014-04-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차량의 에어커튼 시스템 및 방법
KR101627094B1 (ko) * 2015-05-19 2016-06-03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차량부착용 스마트 공기순환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5971Y1 (ko) * 2001-09-03 2001-12-13 민형만 차량용 윈도우 가리개
KR20060028214A (ko) 2004-09-24 2006-03-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도어를 통한 빗물 유입 방지 장치
KR20110021321A (ko) 2009-08-26 2011-03-04 김미광 차량의 빗물유입방지용 공기차단막장치
KR20140042250A (ko) * 2012-09-28 2014-04-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차량의 에어커튼 시스템 및 방법
KR101627094B1 (ko) * 2015-05-19 2016-06-03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차량부착용 스마트 공기순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123928U (zh) 新型车载太阳能空气外循环系统
GB2482601A (en) Air pressurisation system and method to avoid foreign particles entering vehicle
JP3200639U (ja) 駐停車中の車内の温度制御装置
KR20110021321A (ko) 차량의 빗물유입방지용 공기차단막장치
KR102081687B1 (ko) 탈부착식 차량 공기막 형성 장치
CN205440235U (zh) 一种可调节车内温度的机动车
CN108501668B (zh) 一种车用气帘阻隔系统及汽车
JP2009162002A (ja) ガレージ用粉塵除去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ガレージ
WO2019083131A1 (ko) 차량용 빗물받이 센서판넬 장치
KR102528023B1 (ko) 차량용 빗물 차단 장치
CN106784094A (zh) 一种太阳能车窗
CN101830263A (zh) 全封闭两轮电动车
WO2001074614A1 (fr) Ventilation d'une cabine d'automobile
KR102087730B1 (ko) 자동차용 우산
CN205044487U (zh) 汽车防积热系统
CN104827874B (zh) 一种车用智能遮雨装置
CN211641797U (zh) 一种上下车辅助装置
KR20100092070A (ko) 차량의 루프장착용 환기장치
CN205326771U (zh) 自动翻折式车用逃生天窗
CN206370432U (zh) 一种太阳能车窗
KR200486976Y1 (ko) 버스 도어용 레인 블라인드 조립체
CN108068600B (zh) 一种车用防雨置伞系统
KR200452163Y1 (ko) 도어스커프 구조
KR200336324Y1 (ko) 산소배출관로내의 응축수 제거 장치
KR102629243B1 (ko) 승객실 자동 개폐식 투어버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