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083131A1 - 차량용 빗물받이 센서판넬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빗물받이 센서판넬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083131A1
WO2019083131A1 PCT/KR2018/008202 KR2018008202W WO2019083131A1 WO 2019083131 A1 WO2019083131 A1 WO 2019083131A1 KR 2018008202 W KR2018008202 W KR 2018008202W WO 2019083131 A1 WO2019083131 A1 WO 201908313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vehicle
unit
rain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0820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채은
Original Assignee
김채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049161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90046606A/ko
Application filed by 김채은 filed Critical 김채은
Publication of WO201908313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08313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r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s for ensuring comfort, stability and safety or drive control systems for propelling or retarding the vehicle
    • B60W30/14Adaptive cruise control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inwater sensor panel device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rainwater sensor panel device for a vehicle having improved ease of use.
  • the passenger when the driver opens the door and opens the umbrella in the process of getting off the vehicle, the passenger not only raises the rain, but also rainwater enters the vehicle through the opened door and rainwater flows into the seat, floor, .
  • a rainwater shielding device has been researched and developed so that passengers can avoid rainwater when getting on and off a vehicle in a rainy season.
  • a rainwater shielding device is conventionally disclosed in a form in which a roof is mounted on a roof of a vehicle and a shielding film such as a cloth connected to the door is extended to be connected between the door and the vehicle roof.
  • the rainwater shielding apparatus disclosed in the related art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for the passenger to be completely shielded from rainwater during riding because the space for shielding rainwater is limited and limited space is provided. Furthermore, when rainfall and strong wind continue due to heavy rain or strong wind, it is difficult to block the rainwater and the rainwater damper is damaged by strong wind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ain sensor panel device for a vehicle having improved usability.
  • a rainwater sensor panel device for a vehicle, the rainwater sensor panel device being disposed in a roof of a vehicle, the rainwater sensor panel device comprising: a roof panel part in which an insertion space is formed inside at least one side of the vehicle; A rainwater shielding part having a slide panel part arranged to be selectively slidable in the insertion space; A rain sensor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roof panel to detect rainwater when raining; An opening / closing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opening / closing of the vehicle door; And a controller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rain sensor to detect the opening of the vehicle door when the rain sensor is detected by the rain sensor and the rain sensor is detected to open the vehicle door.
  • the vehicle rain sensor pane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 the driving motor is automatically controlled so that the rainwater blocking portion is automatically and automatically pulled out from the roof panel portion. Therefore, the usability of the rain sensor- And it is blocked from the rainwater when getting on and off, which makes it possible to get on and off comfortably, thereby contributing to the upgrading of the vehicle.
  • a passageway which is opened for rainwater shielding through a combination of a square slide panel which is slid out in the vehicle side direction so as to cover the trajectory of trajectory when the passenger gets in and out of the car, and a combination of an enlargement blocking part spread in an arc shape on the edge of the slide panel part, So that a luxurious and compact appearance can be formed and the aesthetics can be increased.
  • the expansion barrier which is automatically spread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by the inner edge of the rainwater barrier portion drawn out from the roof panel portion, is provided with an enlarged rainwater shielding space even in the case of strong wind and heavy rainfall, Since it is folded and inserted, the usability can be remarkably improved.
  • the foldable support unit provided at a multi-stage expandable state is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lide panel unit to provide a strong supporting force to the rainwater shielding unit drawn in strong winds, and is folded when not in use, and is accommodated in the insertion space.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rainwater blocking portion is taken out in a rainwater catching sensor panel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inwater sensor panel device for a vehicle
  • FIG 3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use state of a rain sensor receiver pane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oldable support portion of the rain sensor receiver panel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aken out.
  • FIG. 5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foldable support portion of a rain sensor receiver panel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 FIG. 6 is a block diagram of a rain sensor receiver panel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rain sensor panel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rain guttersensor panel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use state of a rain sensor receiver pane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rain guttersensor panel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rainwater shielding unit is drawn out in a rainwater drainage sensor pane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rainwater shielding panel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use of the rain sensor panel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sectional view of the sensor panel device of the rain sensor modul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oldable support portion of the vehicle rain sensor panel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ain sensor panel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Block diagram.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rain sensor panel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vehicle rain sensor panel device 100 includes a roof panel unit 10, a rainwater shutoff unit 20, an opening / closing detection sensor 40, a rain sensor 50, (60).
  • the vehicle rain sensor panel device 10 is disposed in a roof of the vehicle 1 and is automatically controlled when the vehicle door 2 is opened or closed so that the occupant does not get wet with rainwater when boarding the vehicle 1 Understanding is desirable.
  • the roof panel part 10 is provided with an insertion space 11 which is opened to at least one side of both sides of the vehicle 1, and is installed on both sides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part 12 As shown in FIG.
  • the roof panel part 10 may be additionally installed and installed on the existing roof of the vehicle 1. At this time, the roof panel part 10 may be provided to cover the whole or a part of the roof of the vehicle 1. [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hat a roof of the existing vehicle is used as the roof panel part 10 as the case may be.
  • the insertion space 11 is formed in at least one side of both sides of the vehicle 1 in the roof panel part 10. At this time, the insertion space 11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vehicl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roof panel part 10 may have a predetermined height so that the insertion space 11 may be formed therein.
  • the roof panel part 10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body of the vehicle 1, such as aluminum, stainless steel, or the like, tempered glass, plastic, or the like. At this time, the roof panel part 10 may be provided in a plate-like plate and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loop shape of the vehicle 1.
  • each of the separation surfaces of the roof panel part 10 is provided in a state where the insertion space is not opened.
  • Each of the separation surfaces of the roof panel part 10 may be fastened and fixed to each other through fastening and fixing means such as a magnet, a bolt, or the like.
  • the roof panel part 10 can be install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ehicle 1 by separating the roof panel part 10 along both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the vehicle rainwater sensor panel device (100) can be improved.
  • each of the roof panel sections 10 separated to both sides of the sunroof is individually mounted to the roof of the vehicle 1 And the compatibility can be remarkably improved.
  • a bulb 40b may be provided to be used for night parking and nighttime getting on and off.
  • the front and rear cameras 40a may be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front and rear of the roof panel unit 10.
  • the bulb 40b may be automatically controlled so that the opening of the vehicle door 2 is automatically turned on when the opening / closing detection sensor 40 senses it, and automatically turned off when the vehicle door 2 is closed .
  • the front and rear cameras 40a are provided on at least one of front and rear sides of the vehicle 1, and images of front and rear sides of the vehicle 1 can be recorded when the vehicle 1 is traveling.
  • the rainwater blocking part 20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slide panel part 21 so as to be selectively slid out into the insertion space 11. That is, the rainwater blocking portion 20 preferably includes the slide panel portion 21.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lower portion of the slide panel portion 21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foldable support portion 22 extending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 the slide panel part 21 is disposed inside the roof panel part 10 and is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11 so as to be selectively slidably pulled out.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slide panel part 21 has a size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vehicle door 2. Accordingly, the sliding panel portion 21 is drawn to the upper part of the passenger's getting-on and going space formed when the vehicle door 2 is opened, thereby blocking rainwater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vehicle door 2, have.
  • the slide panel unit 21 may be formed of a flat plate or the like and may be designed and manufactured to have various shapes within a range of size to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11.
  • the slide panel unit 21 may be formed of substantially the same material as the vehicle body of the vehicle 1, and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such as tempered glass or plastic.
  • the slide panel unit 21 may be provided to cover the entire front and rear doors of the right side portion of the vehicle 1 when the slide panel portion 10 is slid out from the roof panel portion 10.
  • the slide panel part 2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understood to include a configuration for simultaneously covering the front and rear doors of the vehicle, and a configuration for individually covering the front and rear doors.
  • a rubber packing 23 may be provided on a side end of the slide panel 21 to cover the side surface of the slide panel 21. Furthermore, an obstacle detecting sensor may be further provided at a side end portion of the slide panel portion 21. [ At this time, when an obstacle is recognized in the draw-out path of the slide panel unit 21, the slide panel unit 21 may be controlled so as to stop the draw-out.
  • the slide panel part 21 may be formed in an umbrella shape in which the center side is convex upward and extend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at is, the slide panel part 21 may be inclined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vehicle 1 toward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from the center part.
  • the slide panel portion 21 may be formed such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center portion is bent at a predetermined acute angle and extends toward the front and rear sides with respect to the center portion. Accordingly, the rainwater that has falle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lide panel portion 21 can be dropped to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slide panel portion 21 and then dropped. Therefore, when the passenger gets in and out of the slide panel portion 21 in the lateral direction, the drop of the rainwater can be avoided, and the usability can be improved.
  • a rainwater flow groove through which rainwater flows can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lide panel part 21.
  • the rainwater flow grooves may be continuously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slide panel portion 21.
  • the rainwater flow grooves may be formed at a plurality of locations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 a rainwater discharge path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lide panel part 21 so that the rainwater collected in the rainwater flow grooves may be discharged.
  • the slide panel part 21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foldable support part 22 which is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lide panel part 21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and is capable of multi-step expansion.
  • the foldable support portion 22 is disposed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vehicle 1.
  • each of the foldable support portions 22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equal interval .
  • the folding support portion 22 is arranged at three positions in the lateral direction at the front portion, the rear portion, and the center portion of the slide panel portion 21.
  • the folding support portion 22 is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lide panel portion 21, and the front portion, the center portion, the rear portion of the slide panel portion 21,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the foldable support portion 22 is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lide panel portion 21.
  • the foldable support portion 22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lide panel portion 21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groove formed in the slide panel portion 21 along the transverse direction Inserted and fixed.
  • the foldable support portion 22 may be formed in a shape of a cylinder or a quadrangular column and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or carbon so that the slide panel portion 21 can be supported by the foldable support portion 22. [ .
  • the foldable support portion 22 includes a receiving groove 22b having a side surface on one side thereof and being formed in a recessed manner, and a first side surface rim bent radially inward, And a first body 22a in which the second body 22c is extended.
  • the foldable support portion 22 may include a second body 22d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22b of the first body 22a.
  • the second body 22d may include a fixing part 22e which is exposed from the second body 22d at one side thereof and extends upward to be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lide panel part 21.
  • the second body 22d may include a second latching portion 22f protruding radially outwardly from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body 22d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first latching portion 22c.
  • the first body 22a may be open to one lateral side of the vehicle 1 so that the second body 22d is disposed therein, and the receiving groove 22b may be recessed.
  • the opening of the first body 22a may be bent radially inward to extend the first latching portion 22c.
  • the slide panel unit 21 is disposed above the first body 22a.
  • the second body 22d has a smaller diameter than the first body 22a so as to be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first body 22a and substantially corresponds to the size of the receiving groove 22b Respectively.
  • One end portion of the second body 22d may be bent upward and protrude upward to form the fixing portion 22e.
  • the fixing portion 22e may be connected and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outer side of the slide panel 21.
  • the fixing part 22e is connected to and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lide panel part 21 so that when the slide panel part 21 slides out of the roof panel part 10, Can be drawn out at the same time.
  • a second latching portion 22f may be formed on the other end of the second body 22d so as to extend radially outwardly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first latching portion 22c. At this time, the second latching portion 22f may have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supporting force for supporting the slide panel portion 21 can be maintained.
  • the second body 22d is simultaneously drawn out of the slide panel 21 and the second latching portion 22f is engaged with the first latching portion 22c, the second body 22d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rst body 22a.
  • the foldable support portion 22 may be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lide panel portion 21 so as to support the slide panel portion 21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lide panel unit 21 from being damaged due to strong wind even in the case of heavy rain and heavy wind due to heavy rain and heavy wind, so that the durability of the rainwater sensor panel device 100 for a vehicle is increased .
  • the foldable support portion 22 may have a multi-stage structure having three or more stages. Even if the multi-stage structure is provided with three or more stages, a plurality of engagement portions are formed as described above, Respectively.
  • the rain sensor 50 may be disposed on the roof panel 10 to detect rainwater in the rain.
  • the rain sensor 50 may be disposed on at least one of a rim, a corner, or a central portion of the roof panel 10.
  • the rain sensor 50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ront and rear windows of the vehicle 1. That is, the rain sensor provided for automatic wiper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rainfall amount of the vehicle 1 can be used as it is.
  • the rain sensor 50 includes a light emitting unit that emits infrared rays, and the infrared rays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are reflected and moved through the reflection unit to arrive at a sensing unit that senses infrared rays.
  • the infrared rays are refracted by the rainwater having different refractive indexes in the rainy day, the movement path of the infrared rays is changed, and when the infrared rays do not reach the sensing unit, the rain sensor 50 operates as a principle that the rain sensor is currently raining.
  • the open / close detection sensor 40 is disposed on the roof panel unit 10 or on the inside of the vehicle door 2 to detect opening / closing of the vehicle door 2. At this time, the opening / closing detection sensor 40 is a limit switch. Means an apparatus for detecting whether the vehicle door 2 is opened using an ultrasonic sensor, a camera, or the like.
  • the controller 60 may include a separate power source, and the power source of the vehicle 1 may be used.
  • the control unit 60 includes a drive motor 61 connected to the interlocking means provided along the lateral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slide panel unit 21 to selectively slide the rainwater blocking unit 20 .
  • the driving motor 61 may be disposed at one side of the insertion space 11 and may be disposed in the space partitioned from the rainwater infiltrated into the insertion space 11,
  • the sliding panel unit 21 may be provided with the interlocking moving means along a lateral direction at a lower side thereof.
  • the interlocking movement means may be provided such that the rainwater blocking portion 20 is selectively drawn out and inserted from the roof panel portion 10 in correspondence with the forward rotation and the reverse rotation of the driving motor 61.
  • the interlocking movement means may have a rack-shaped rack groove formed in a lateral direction at a lower side of the slide panel portion 21 so as to be engaged with a pinion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drive motor 61.
  • the interlocking moving means may be provided with a ball screw or the like.
  • 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rain sensor panel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 the open / close detection sensor 40 detects whether the vehicle door 2 is opened or closed,
  • the drive motor 61 can be automatically controlled so as to be automatically drawn out of the roof panel portion 10 automatically.
  • the rain sensor 50 senses rainwater to detect and determine rainfall (s10). If no rainwater is detected in the rain sensor 50, step s10 of detecting and determining rainfall is repeated.
  • the opening / closing detection sensor 40 senses and determines whether the vehicle door 2 is opened (s20).
  • the opening / closing detection sensor 40 senses and determines the closed state of the vehicle door 2
  • the open / close detection sensor 40 detects and determines whether the vehicle door 2 is opened ).
  • the opening / closing detection sensor 40 senses and determines the closed state of the vehicle door 2 it may be set to return to the step s10 of detecting and discriminating the rainfall.
  • the rainwater shutoff part 20 is automatically slid out from the roof panel part 10, Is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s30).
  • the driving motor 61 is connected to the interlocking moving means provided below the slide panel unit 21 of the rainwater shutoff unit 20 to interlock with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driving motor 61, The portion 20 can be moved.
  • the opening / closing detection sensor 40 senses and determines the closed state of the vehicle door 2 (s40). If the open / close detection sensor 40 senses and determines the open state of the vehicle door 2, the open / close detection sensor 40 detects and determines the closed state of the vehicle door 2 s40.
  • the rainwater blocking portion 20 automatically slides in the insertion space 11 of the roof panel portion 10
  • the driving motor 61 is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so as to be inserted (s50).
  • the forward direction and reverse direction are described for specifying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driving motor 61.
  • the driving motor is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
  • the open / close detection sensor 40 senses whether the vehicle door 2 is open or closed, so that the rainwater blocking portion 20 can be opened / closed in the roof panel portion 10 So that the usability of the rain sensor panel device 100 for a vehicle can be remarkably improved. That is, the rainwater blocking portion 20 is automatically drawn out and inserted according to whether the vehicle door 2 is opened or closed during rainy weather, so that the passenger can be cut off from rainwater simply by opening the vehicle door 2.
  • the usability can be further improved. Furthermore, the occupant is blocked from the rainwater when getting on and off the vehicle 1, which makes it possible to make a comfortable getting on and off, thereby contributing to the upgrading of the vehicle.
  • the manual switch button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60 so as to be installed inside the vehicle 1, and when the manual switch button is depressed, And insertion may be manually operated.
  •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rainwater sensor panel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use of a rainwater sensor panel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basic configuration except for the expansion blocking unit 130 is the same as that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so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 the rain guttersensor panel device 200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n expansion cut-off part 130 provided at at least one of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rainwater cut-off part 20 .
  • the extension blocking unit 130 is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rainwater blocking unit 20, but the expansion blocking unit 130 is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rainwater blocking unit 20 And may be provided on both the front and rear sides, respectively.
  • the extension blocking part 130 includes a rotation bar 131 rotatably disposed between a rim of the rainwater blocking part 20 and a side of the vehicle with an inner edge of the rainwater blocking part 20, A foldable rainwater shielding membrane 133 connected between the rim of the rainwater shielding unit 20 and the rotation bar 131 so that the rainwater shielding unit 20 is automatically opened when the rainwater shielding unit 20 is drawn out from the roof panel unit 10, And an elastic spreading part 134 provided between the rainwater blocking part 20 and the rotation bar 131.
  • the rotation bar 131 can be rotated between the rim of the rainwater blocking portion 20 and the side portion of the vehicle with the inner edge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rainwater blocking portion 20 with the rotation axis 132.
  • the rotation bar 131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length as the lateral length of the slide panel part 21, and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or rear side of the slide panel part 21 when folded, 11 of Fig. 1).
  • the rotation bar 131 may be rotated about the rotation axis 132 when it is unfolded and moved to a position adjacent to the loop side of the vehicle 2.
  • the foldable rainwater shielding film 133 is connected between the edge of the rainwater shielding unit 20 and the rotation bar 131 so that the rainwater shielding unit 20 is automatically opened when the rainwater shielding unit 20 is drawn out from the roof panel unit 10.
  • the folding rain shielding film 133 may be made of a metal such as stainless steel, plastic, waterproof cloth, or the like.
  • the foldable rainwater shielding film 133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upport rods 131 protruding radially from the rotation shaft 132 to support the foldable rainwater shielding film 133.
  • the elastic unfolding unit 134 may be configured to allow the rainwater blocking unit 20 to be automatically opened when the rainwater blocking unit 20 is drawn out from the roof panel unit 10, And the bar 131 may be provided.
  • the elastic unfolding unit 134 may be a torsion spring having a resilient restoring force, a coil spring, or the like.
  • the elastic unfolding unit 134 may be a torsion spring provided on the rotation shaft 132.
  • the elastic unfolding unit 134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 coil spring is connected between the rainwater blocking unit 20 and the rotation bar 131, as the case may be.
  • the rotation bar 131 When the rainwater blocking portion 20 is inserted into the roof panel portion 10, the rotation bar 131 is hooked and pressed on one side edge of the roof panel portion 10. [ Accordingly, the rotary bar 131 can be rotated to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slide panel part 21 and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11 in FIG. 1).
  • the extension blocking portion 130 which is automatically opened and inserted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n the inner and outer sides of the rainwater blocking portion 20 on the rotation axis 132, 10). ≪ / RTI > Accordingly, since the rainwater shield 2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11 (see FIG. 1) when the rainwater shield 20 is inserted, the usability can be remarkably improved.
  • the rainwater sensor panel device 100 can prevent rainwater through an extended spac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art, even when rainfall is heavy and strong winds continue due to heavy rain or strong wind.
  • the slide panel portion 21 of the square is slid out in the vehicle-side direction so that the trajectory of the vehicle is covered when the passenger gets on and off the vehicle, and the extension blocking portion 130, which is extended in an arcuate shape on the rim of the slide panel portion 21,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size of the passageway that is opened for rainwater shielding through the combination of the two. As a result, a luxurious and compact appearance is formed on the rain sensor panel device for a vehicle, thereby enhancing aesthetics.
  • a motor device may be further provided to rotate the rotation bar 131 without the elastic expanding part 134 in the expansion blocking part 130 as the case may be.
  •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rain sensor receiver pane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basic configuration except for the rainwater shielding part 220 is the same as that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so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 the rain sensor panel device 300 for a vehicle includes the rainwater shielding part 220, and the rainwater shielding part 220 has a plurality of different sizes And may include multi-stage shut-off films 221a and 221b.
  • the multi-stage shielding films 221a and 221b may be formed as a plurality of stages of shielding films
  • a first shielding film 221a may be provided at least one or more than one of the first shielding film 221a and the second shielding film 221a.
  • a second inserting space into which the second blocking film 221b is inserted may be formed in the first blocking film 221a.
  • the second blocking layer 221b may be arranged to selectively slide inside the first blocking layer 221a.
  • At least one or more multi-stage foldable supports 222a and 222b may be provid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respectively, below the multi-stage barrier films 221a and 221b.
  • each of the multi-stage shut-off films 221a and 221b may be connected to the driving motor 61 through an interlocking moving means to be drawn and inserted by the driving motor 61 describ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plurality of driving motors may be provided and individually connected to each of the multi-stage shut-off films 221a and 221b.
  • a rubber packing 223 may be provided at the side end portions of each of the multi-stage shut-off films 221a and 221b or the second cut-off film 221b.
  • the roof panel portion 10 is mounted in a narrow space excluding the space in which the sun roof of the vehicle 1 is formed And the compatibility can be remarkably improved.
  •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n industry for vehicle manufacturing by providing a rain guttersensor panel device for a vehicle.

Abstract

사용편의성이 향상되도록, 본 발명은 차량의 루프에 배치되는 차량용 빗물받이 센서판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양측부 중 적어도 어느 일측으로 개구되는 삽입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는 루프판넬부; 상기 삽입공간에 선택적으로 슬라이드 인출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는 슬라이드판넬부가 구비되는 빗물차단부; 상기 루프판넬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우천시 빗물을 감지하는 레인센서; 차량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개폐감지센서; 및 상기 레인센서에 빗물이 감지됨과 동시에 상기 개폐감지센서가 상기 차량 도어의 개방을 감지시 상기 빗물차단부가 인출되도록 자동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빗물받이 센서판넬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빗물받이 센서판넬 장치
본 발명은 차량용 빗물받이 센서판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편의성이 향상되는 차량용 빗물받이 센서판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타고 내리는 동안에는 일정한 시간이 소요된다. 특히, 우천 시에는 차량에 탑승하는 과정에서 쓰고 있던 우산을 접어야 하기 때문에,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우산을 접는 순간에 신체 및 옷이 비에 젖게 된다.
또한, 차량으로부터 하차하는 과정에서도 도어를 열고 우산을 펼칠 때 탑승자는 비를 맞을 뿐 아니라, 개방된 도어를 통해 빗물이 차량 내부로 들어와 차량의 시트, 바닥 및 창문개폐 스위치나 센서 등에 빗물이 유입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승하차 시에 빗물이 차량의 실내로 유입됨에 따라 도어 및 차량의 각종 센서에 침투하여 고장을 초래하는 원인이 되어 안전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때, 차량의 시트가 젖게 되어 탑승자가 차량의 사용시 불편감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탑승자가 빈번히 승강하는 버스 등의 대중교통수단에서 여러 탑승자의 우산에서 흘러내린 빗물이 대중교통수단의 바닥면에 흘러내려 탑승자가 미끄러운 바닥면에 의해 넘어져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습기가 많은 여름철에는 침투된 빗물로 인하여 곰팡이가 발생되는 등 차량 내부로 들어온 빗물로 인하여 차량의 위생상태가 악화될 우려가 있었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우천시 차량에 승하차시 탑승자가 빗물을 피할 수 있도록 빗물 차단장치가 연구 및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빗물 차단장치는 차량의 지붕 위쪽에 장착되어 지붕이 연장되는 형태와, 도어와 연결된 천과 같은 차단막이 도어 및 차량 지붕 사이에 연결되도록 연장되는 형태가 종래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에 개시된 빗물 차단장치는 빗물을 차단해주는 공간이 협소하고 제한적인 공간만을 제공하여 탑승자가 승차시 빗물로부터 완전히 차단되기에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폭우 및 강풍으로 인해 강우량이 많고 강한 바람이 계속되는 경우에는 빗물의 차단이 어렵고 강풍에 의해 빗물 차단장치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편의성이 향상되는 차량용 빗물받이 센서판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차량의 루프에 배치되는 차량용 빗물받이 센서판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양측부 중 적어도 어느 일측으로 개구되는 삽입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는 루프판넬부; 상기 삽입공간에 선택적으로 슬라이드 인출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는 슬라이드판넬부가 구비되는 빗물차단부; 상기 루프판넬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우천시 빗물을 감지하는 레인센서; 차량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개폐감지센서; 및 상기 레인센서에 빗물이 감지됨과 동시에 상기 개폐감지센서가 상기 차량 도어의 개방을 감지시 상기 빗물차단부가 인출되도록 자동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빗물받이 센서판넬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의 차량용 빗물받이 센서판넬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레인센서에서 빗물이 감지됨과 동시에 개폐감지센서에서 차량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면 빗물차단부가 루프판넬부로부터 선택적으로 자동 슬라이드 인출되도록 구동모터가 자동 제어되므로 차량용 빗물받이 센서판넬 장치의 사용편의성이 개선되고, 승하차시 빗물로부터 차단되어 쾌적한 승하차가 가능하여 차량의 고급화에 기여할 수 있다.
둘째, 탑승자의 승하차시 동선궤적이 커버되도록 차량 측방향으로 슬라이드 인출되는 정방형의 슬라이드판넬부 및 상기 슬라이드판넬부의 테두리에 원호형으로 펼침되는 확장차단부의 조합을 통해 빗물 차단을 위해 개구되는 통로가 종래보다 최소화되므로 고급스럽고 컴팩트한 외관이 형성되어 심미성이 증대될 수 있다.
셋째, 루프판넬부에서 인출되는 빗물차단부의 내측 모서리를 회전축으로 탄성복원력에 의해 자동 펼침되는 확장차단부는 강풍 및 폭우시에도 종래에 비해 확장된 빗물 차단공간을 제공하면서도 빗물차단부가 삽입시 삽입공간으로 접철되며 삽입되므로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넷째, 다단 확장가능하게 구비되는 접이식 지지부는 슬라이드판넬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강풍시 인출된 빗물차단부에 견고한 지지력을 제공하면서도 비사용시 접이되어 삽입공간에 수용되므로 내구성 및 사용편의성이 증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빗물받이 센서판넬 장치에서 빗물차단부가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빗물받이 센서판넬 장치에서 빗물차단부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빗물받이 센서판넬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빗물받이 센서판넬 장치의 접이식 지지부가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빗물받이 센서판넬 장치의 접이식 지지부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빗물받이 센서판넬 장치의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빗물받이 센서판넬 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빗물받이 센서판넬 장치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빗물받이 센서판넬 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빗물받이 센서판넬 장치의 사시도.
본 발명의 최선의 실시 형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빗물받이 센서판넬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빗물받이 센서판넬 장치에서 빗물차단부가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빗물받이 센서판넬 장치에서 빗물차단부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빗물받이 센서판넬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빗물받이 센서판넬 장치의 접이식 지지부가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빗물받이 센서판넬 장치의 접이식 지지부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빗물받이 센서판넬 장치의 블록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빗물받이 센서판넬 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차량용 빗물받이 센서판넬 장치(100)는 루프판넬부(10), 빗물차단부(20), 개폐감지센서(40), 레인센서(50), 그리고 제어부(6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차량용 빗물받이 센서판넬 장치(10)는 차량(1)의 루프에 배치되어 우천시 탑승자가 상기 차량(1)에 승하차시 빗물에 젖지않도록 차량 도어(2)의 개폐시 자동 제어되는 장치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먼저, 상기 루프판넬부(10)에는 상기 차량(1)의 양측부 중 적어도 어느 일측으로 개구되는 삽입공간(11)이 내부에 형성되되, 중앙부(12)를 기준으로 전후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루프판넬부(10)는 상기 차량(1)의 기존에 구비된 루프 상부에 추가적으로 장착 및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루프판넬부(10)는 상기 차량(1)의 루프 전체 또는 일부분을 커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기존 차량의 루프가 상기 루프판넬부(10)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루프판넬부(10)의 내부에는 상기 차량(1)의 양측부 중 적어도 어느 일측으로 개구되는 상기 삽입공간(11)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삽입공간(11)이 상기 차량(1)의 양측에 각각 형성됨으로 도시 및 설명한다.
그리고, 상기 루프판넬부(10)는 상기 삽입공간(11)이 내부에 형성되도록 기설정된 높이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루프판넬부(10)는 상기 차량(1)의 차체와 동일한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스틸 등의 금속이나, 강화유리,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루프판넬부(10)는 평판 형상의 플레이트로 구비되어 상기 차량(1)의 루프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루프판넬부(10)는 중앙부(12)를 기준으로 전후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루프판넬부(10)의 각 분리면은 삽입공간이 개구되지 않은 형태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루프판넬부(10)의 각 상기 분리면은 자석, 볼트 등의 체결고정수단을 통해 상호 체결 및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루프판넬부(10)가 전후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분리되어 상기 차량(1)의 좌우측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만 상기 루프판넬부(10)가 설치될 수 있으므로 상기 차량용 빗물받이 센서판넬 장치(100)의 호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차량(1)의 루프 중앙부에 선택적으로 개방되는 선루프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선루프의 양측으로 분리된 각 상기 루프판넬부(10)가 상기 차량(1)의 루프에 개별로 장착 및 설치 가능하므로 호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루프판넬부(10)의 양측부에는 야간 주차 및 야간 승하차시 사용되도록 전구(40b)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루프판넬부(10)의 전방 및 후방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전후방카메라(40a)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구(40b)는 상기 차량 도어(2)의 개방을 상기 개폐감지센서(40)가 감지시 자동으로 켜짐되고, 상기 차량 도어(2)의 닫힘시 자동으로 꺼짐되도록 자동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후방카메라(40a)는 상기 차량(1)의 전방 및 후방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구비되어 주행시 상기 차량(1)의 전후방의 영상이 녹화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빗물차단부(20)에는 상기 삽입공간(11)에 선택적으로 슬라이드 인출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는 슬라이드판넬부(21)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빗물차단부(20)는 상기 슬라이드판넬부(21)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판넬부(21)의 하부에는 전후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단 확장가능한 접이식 지지부(22)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드판넬부(21)는 상기 루프판넬부(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선택적으로 슬라이드 인출되도록 상기 삽입공간(11)에 선택적으로 삽입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판넬부(21)는 상기 차량 도어(2)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판넬부(21)가 상기 차량 도어(2)의 개방시 형성되는 탑승자의 승하차 공간의 상부로 인출되어 상기 차량 도어(2)의 상부에서 빗물을 차단하므로 사용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판넬부(21)는 평판 형상의 플레이트 등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삽입공간(11) 내부에 삽입되는 크기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설계 및 제조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드판넬부(21)는 상기 차량(1)의 차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재질로 구비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강화유리, 플라스틱 등의 투명 재질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슬라이드판넬부(21)는 상기 루프판넬부(10)로부터 슬라이드 인출시 상기 차량(1)의 우측부 전방 및 후방 도어 전체를 커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슬라이드판넬부(21)는 차량의 전후방 도어를 동시에 커버하는 구성 및 전후방 도어 각각을 커버하도록 개별 구비되는 구성을 포괄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판넬부(21)의 측단부에는 상기 슬라이드판넬부(21)의 측면을 커버하도록 고무패킹(23)이 구비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슬라이드판넬부(21)의 측단부에 장애물감지센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판넬부(21)의 인출 경로에 장애물이 인식되는 경우에는 상기 슬라이드판넬부(21)가 인출이 중단되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
한편, 경우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판넬부(21)는 중앙측이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횡방향으로 연장되며 우산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슬라이드판넬부(21)는 중앙부에서 전측 및 후측으로 갈수록 상기 차량(1)의 하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판넬부(21)는 중앙부 하측이 기설정된 예각으로 절곡되어 중앙부를 기준으로 전후측으로 각각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판넬부(21)의 상면으로 떨어진 빗물이 상기 슬라이드판넬부(21)의 전측 및 후측으로 이동된 후 낙하될 수 있다. 따라서, 탑승자가 상기 슬라이드판넬부(21)의 측부방향으로 승하차시 빗물의 낙하를 피할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판넬부(21)의 상면에는 빗물이 유동되는 빗물유동홈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빗물유동홈은 상기 슬라이드판넬부(21)의 테두리에 인접한 위치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빗물유동홈은 전후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복수개소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빗물유동홈에 모인 빗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드판넬부(21) 상면의 전후방측으로 빗물배출로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판넬부(21)의 상면으로 떨어진 빗물이 상기 빗물유동홈에 모인 후 상기 빗물배출로로 유동됨에 따라 탑승자가 상기 차량(1)에 승하차시 빗물에 젖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슬라이드판넬부(21)의 하부에는 전후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횡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되, 다단 확장가능하게 구비되는 상기 접이식 지지부(22)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접이식 지지부(22)는 상기 차량(1)의 횡방향으로 배치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접이식 지지부(22)가 복수개로 구비되는 경우 각 상기 접이식 지지부(22)는 기설정된 동일 간격을 두고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접이식 지지부(22)가 상기 슬라이드판넬부(21)의 전방부, 후방부, 그리고 중앙부에 3개소 횡방향으로 배치됨으로 도시 및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접이식 지지부(22)가 상기 슬라이드판넬부(21)의 하부에 배치되되, 상기 슬라이드판넬부(21)의 전방부, 중앙부, 후방부에 횡방향으로 각각 배치되는 구성으로 도시 및 설명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상기 접이식 지지부(22)는 상기 슬라이드판넬부(21)가 상기 루프판넬부(10)로부터 슬라이드 인출시 확장 펼침되며, 상기 슬라이드판넬부(21)가 상기 루프판넬부(10)에 삽입시 수축 접힘되는 장치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이식 지지부(22)는 상기 슬라이드판넬부(21)의 하부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접이식 지지부(22)는 상기 슬라이드판넬부(21)의 하부에 횡방향을 따라 상기 접이식 지지부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홈 또는 상기 슬라이드판넬부(21) 내부에 횡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홀에 삽입 및 고정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접이식 지지부(22)는 원기둥, 사각기둥 등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슬라이드판넬부(21)가 상기 접이식 지지부(22)에 지지될 수 있도록 스테인레스 스틸, 카본 등의 재질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접이식 지지부(22)는 내부에 측부측 일면이 개구되되 함몰 형성되는 수용홈(22b)과, 개구된 일면측 테두리가 반경방향 내측으로 절곡되어 제1걸림부(22c)가 연장 형성되는 제1몸체(22a)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이식 지지부(22)는 상기 제1몸체(22a)의 상기 수용홈(22b)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제2몸체(22d)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몸체(22d)는 일측에 상기 제2몸체(22d)로부터 노출되되 상측으로 돌설 연장되어 상기 슬라이드판넬부(21)의 하면에 고정되는 고정부(22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몸체(22d)는 타측에 상기 제1걸림부(22c)에 걸림되도록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 돌설되는 제2걸림부(22f)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몸체(22a)는 상기 제2몸체(22d)가 내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차량(1)의 측방향 일측으로 개구되어 상기 수용홈(22b)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몸체(22a)의 개구된 일면측 테두리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걸림부(22c)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몸체(22a)의 상부에는 상기 슬라이드판넬부(21)가 배치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몸체(22d)는 상기 제1몸체(22a)의 내부에 선택적으로 삽입 배치되도록 상기 제1몸체(22a)보다 작은 직경으로 구비되되 상기 수용홈(22b)의 크기에 실질적으로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몸체(22d)의 일측 단부는 상측방향으로 절곡되며 연장 돌설되어 상기 고정부(22e)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22e)는 상기 슬라이드판넬부(21)의 외측부 테두리 하면측에 연결 및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부(22e)가 상기 슬라이드판넬부(21)의 하면에 연결 및 고정되므로 상기 슬라이드판넬부(21)가 상기 루프판넬부(10)로부터 슬라이드 인출시 상기 제2몸체(22d)가 동시에 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몸체(22d)의 타측 단부에는 상기 제1걸림부(22c)의 내측에 걸림되도록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 돌설되는 제2걸림부(22f)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걸림부(22f)는 상기 슬라이드판넬부(21)를 지지하는 지지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기설정된 길이로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2몸체(22d)가 상기 슬라이드판넬부(21)와 동시에 인출되되, 상기 제2걸림부(22f)가 상기 제1걸림부(22c)에 걸림됨에 따라 상기 제2몸체(22d)가 상기 제1몸체(22a)로부터 이탈됨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접이식 지지부(22)는 상기 슬라이드판넬부(21)를 지지하도록 상기 슬라이드판넬부(21)의 하부에 전후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폭우 및 강풍으로 인해 강우량이 많고 강한 바람이 계속되는 경우에도 강풍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판넬부(21)의 파손됨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차량용 빗물받이 센서판넬 장치(100)의 내구성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이식 지지부(22)는 3단 이상의 다단구조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며, 3단 이상으로 구비되는 경우에도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걸림부가 형성되어 복수개의 몸체에 상호 걸림되어 상호간 이탈이 방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레인센서(50)는 상기 루프판넬부(10)의 상부에 배치되어 우천시 빗물을 감지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레인센서(50)는 상기 루프판넬부(10)의 테두리, 모서리, 또는 중앙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상기 레인센서(50)는 상기 차량(1)의 전후방측 창문 일측에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차량(1)의 우천량에 대응되는 와이퍼 자동동작을 위해 구비된 레인센서를 그대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레인센서(50)는 적외선을 방출하는 발광부가 구비되고, 상기 발광부로부터 방출된 적외선이 반사부를 통해 반사 및 이동되어 적외선을 감지하는 감지부에 도달하게 된다. 이때, 우천시 적외선이 굴절률이 다른 빗물에 의해 굴절됨에 따라 적외선의 이동경로가 변화되어 상기 감지부에 적외선이 도달하지 못하면 상기 레인센서(50)가 현재 비가 내리고 있다고 판단을 내리는 원리로 작동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감지센서(40)는 상기 루프판넬부(10)에 테두리 또는 상기 차량 도어(2)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차량 도어(2)의 개폐를 감지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개폐감지센서(40)는 리미트스위치. 초음파센서, 카메라 등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 도어(2)의 개방 여부를 감지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레인센서(50)에 빗물이 감지됨과 동시에 상기 개폐감지센서(40)가 상기 차량 도어(2)의 개방을 감지시 상기 빗물차단부(20)가 인출되도록 자동 제어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어부(60)는 별도의 전원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차량(1)의 전원을 이용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슬라이드판넬부(21)의 하부 일측에 횡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연동이동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빗물차단부(20)를 선택적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구동모터(6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모터(61)는 상기 삽입공간(11) 일측에 배치되되, 상기 연동이동수단에 연결되되 상기 삽입공간(11)으로 스며든 빗물로부터 차단되도록 구획된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판넬부(21)의 하부 일측에는 횡방향을 따라 상기 연동이동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동이동수단은 상기 구동모터(61)의 정회전 및 역회전 동작에 대응되어 상기 빗물차단부(20)가 상기 루프판넬부(10)로부터 선택적으로 인출 및 삽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연동이동수단은 상기 슬라이드판넬부(21)의 하부 일측에 횡방향으로 래크 형태의 래크홈이 형성되어 상기 구동모터(61)에 연결된 피니언 등에 맞물림 결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연동이동수단은 볼 스크류 등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빗물받이 센서판넬 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인센서(50)에 빗물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개폐감지센서(40)가 상기 차량 도어(2)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빗물차단부(20)가 상기 루프판넬부(10)로부터 선택적으로 자동 슬라이드 인출되도록 상기 구동모터(61)가 자동 제어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레인센서(50)가 빗물을 감지하여 우천 여부를 감지 및 판별한다(s10). 여기서, 상기 레인센서(50)에 빗물이 감지되지 않으면, 우천 여부를 감지 및 판별하는 단계(s10)를 반복한다.
그리고, 상기 레인센서(50)에 빗물이 감지되면, 상기 개폐감지센서(40)가 상기 차량 도어(2)의 개방 여부를 감지 및 판단한다(s20). 여기서, 상기 개폐감지센서(40)가 상기 차량 도어(2)의 닫힘 상태를 감지 및 판단하면, 상기 개폐감지센서(40)가 상기 차량 도어(2)의 개방 여부를 감지 및 판단하는 단계(s20)를 반복한다. 물론, 상기 개폐감지센서(40)가 상기 차량 도어(2)의 닫힘 상태를 감지 및 판단하면, 우천 여부를 감지 및 판별하는 단계(s10)로 돌아가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반면, 상기 개폐감지센서(40)가 상기 차량 도어(2)의 열림 상태를 감지 및 판단하면, 상기 빗물차단부(20)가 상기 루프판넬부(10)로부터 자동 슬라이드 인출되도록 상기 구동모터(61)가 정방향으로 회전된다(s30). 이때, 상기 구동모터(61)가 상기 빗물차단부(20)의 상기 슬라이드판넬부(21) 하부에 구비된 상기 연동이동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61)의 회전 방향에 연동되어 상기 빗물차단부(20)가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폐감지센서(40)는 상기 차량 도어(2)의 닫힘 상태를 감지 및 판단한다(s40). 여기서, 상기 개폐감지센서(40)가 상기 차량 도어(2)의 열림 상태를 감지 및 판단하는 경우에는 상기 개폐감지센서(40)가 상기 차량 도어(2)의 닫힘 상태를 감지 및 판단하는 단계(s40)를 반복한다.
반면, 상기 개폐감지센서(40)가 상기 차량 도어(2)의 닫힘 상태를 감지 및 판단하면, 상기 빗물차단부(20)가 상기 루프판넬부(10)의 상기 삽입공간(11)에 자동 슬라이드 삽입되도록 상기 구동모터(61)가 역방향으로 회전된다(s50). 이때, 정방향 및 역방향이라 함은 상기 구동모터(61)의 회전방향을 특정하기 위해 서술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경우에 따라 빗물차단부의 삽입시 구동모터가 정방향 회전되고, 인출시 구동모터가 역방향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레인센서(50)에 빗물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개폐감지센서(40)가 상기 차량 도어(2)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빗물차단부(20)가 상기 루프판넬부(10)로부터 선택적으로 자동 슬라이드 인출되도록 상기 구동모터(61)가 자동 제어되므로 상기 차량용 빗물받이 센서판넬 장치(100)의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즉, 우천시 상기 차량 도어(2)의 개폐 여부에 따라 상기 빗물차단부(20)가 자동으로 인출 및 삽입되므로 탑승자는 단순히 상기 차량 도어(2)를 개방하는 동작만으로도 빗물로부터 차단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 개시된 차량 도어에 단부가 연결되어 차량 루프 및 차량 도어 사이에 롤러식으로 확장되도록 구비되는 구성 또는 부채식으로 확장되는 구성과 비교시 탑승자가 빗물차단장치를 신경쓰지 않고 차량 도어를 개방하더라도 자동 작동되므로 사용편의성이 더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탑승자가 상기 차량(1)에 승하차시 빗물로부터 차단되어 쾌적한 승하차가 가능하여 차량의 고급화에 기여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제어부(60)에는 별도의 수동 전환버튼이 연결되어 상기 차량(1)의 내부에 설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수동 전환버튼의 누름시 상기 빗물차단부(20)의 인출 및 삽입이 수동으로 조작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빗물받이 센서판넬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빗물받이 센서판넬 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확장차단부(130)를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빗물받이 센서판넬 장치(200)는 상기 빗물차단부(20)의 전후측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구비되는 확장차단부(130)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 9에서 상기 확장차단부(130)는 상기 빗물차단부(20)의 후측에 구비됨으로 도시되고 있으나, 상기 확장차단부(130)는 상기 빗물차단부(20)의 전방측에 구비될 수도 있으며 전후방측 모두에 각각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확장차단부(130)는 상기 빗물차단부(20)의 내측 모서리를 회전축(132)으로 상기 빗물차단부(20)의 테두리 및 상기 차량의 측부 사이에서 회전되는 회전바(131)와, 상기 빗물차단부(20)가 상기 루프판넬부(10)로부터 인출시 자동 펼침되도록 상기 빗물차단부(20)의 테두리와 상기 회전바(131) 사이에 연결되는 접이식 빗물차단막(133)과, 상기 빗물차단부(20) 및 상기 회전바(131)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펼침부(134)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회전바(131)는 상기 빗물차단부(20) 전후측의 내측 모서리를 회전축(132)으로 상기 빗물차단부(20)의 테두리 및 상기 차량의 측부 사이에서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바(131)는 상기 슬라이드판넬부(21)의 횡방향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접철시 상기 슬라이드판넬부(21)의 전측 또는 후측에 밀착되어 삽입공간(도 1의 11)으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바(131)는 펼침시 상기 회전축(132)을 기준으로 회전되어 상기 차량(2)의 루프 측부에 인접한 위치까지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이식 빗물차단막(133)은 상기 빗물차단부(20)가 상기 루프판넬부(10)로부터 인출시 자동 펼침되도록 상기 빗물차단부(20)의 테두리와 상기 회전바(131) 사이에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접이식 빗물차단막(133)은 스테인레스 스틸 등의 금속이나, 플라스틱, 또는 방수천 등의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접이식 빗물차단막(133)에는 상기 회전축(132)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복수개 돌설되어 상기 접이식 빗물차단막(133)이 지지되도록 지지봉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탄성펼침부(134)는 상기 빗물차단부(20)가 상기 루프판넬부(10)로부터 인출시에 상기 접이식 빗물차단막(133)이 자동 펼침되도록 상기 빗물차단부(20) 및 상기 회전바(131)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탄성펼침부(134)는 탄성복원력을 갖는 토션스프링, 코일스프링 등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회전축(132)에 구비되는 토션스프링으로 도시 및 설명된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탄성펼침부(134)는 상기 빗물차단부(20) 및 상기 회전바(131) 사이에 코일스프링이 연결되는 구성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빗물차단부(20)가 상기 루프판넬부(10)로부터 인출시 상기 탄성펼침부(134)의 상기 삽입공간(도 1의 11)에 수용된 상기 회전바(131)가 상기 탄성펼침부(134)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펼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접이식 빗물차단막(133)이 자동 펼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빗물차단부(20)가 상기 루프판넬부(10)로 삽입시 상기 회전바(131)가 상기 루프판넬부(10)의 측부 테두리 일측에 걸림 및 가압된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바(131)가 상기 슬라이드판넬부(21)의 전후측으로 회전이동되어 상기 삽입공간(도 1의 11)로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빗물차단부(20) 전후측의 내측 모서리를 회전축(132)으로 탄성복원력에 의해 자동 펼침 및 삽입되는 상기 확장차단부(130)는 상기 빗물차단부(20)가 상기 루프판넬부(10)로부터 인출시 자동 펼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종래에 비해 더 확장된 빗물 차단공간을 제공하면서도 상기 빗물차단부(20)가 삽입시 상기 삽입공간(도 1의 11)으로 삽입되므로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차량용 빗물받이 센서판넬 장치(100)는 폭우 및 강풍으로 인해 강우량이 많고 강한 바람이 계속되는 경우에도 종래에 비해 더 확장된 공간을 통해 빗물의 차단이 가능하므로 사용 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탑승자의 승하차시 동선궤적이 커버되도록 차량 측방향으로 슬라이드 인출되는 정방형의 상기 슬라이드판넬부(21) 및 상기 슬라이드판넬부(21)의 테두리에 원호형으로 펼침되는 상기 확장차단부(130)의 조합을 통해 빗물 차단을 위해 개구되는 통로의 크기가 종래보다 최소화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차량용 빗물받이 센서판넬 장치에 고급스럽고 컴팩트한 외관이 형성되어 심미성이 증대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확장차단부(130)에 상기 탄성펼침부(134)가 구비되지 않고 상기 회전바(131)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장치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빗물받이 센서판넬 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빗물차단부(220)를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빗물받이 센서판넬 장치(300)는 상기 빗물차단부(220)를 포함하되, 상기 빗물차단부(220)는 다단으로 슬라이드 인출되도록 상이한 크기로 복수개 구비되는 다단차단막(221a,221b)을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다단차단막(221a,221b)은 복수단의 차단막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삽입공간(도 1의 11)에 선택적으로 슬라이드 인출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는 제1차단막(221a)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차단막(221a) 내부에는 상기 제2차단막(221b)이 삽입되는 제2삽입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차단막(221b)은 상기 제1차단막(221a)의 내부에 선택적으로 슬라이드 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각 상기 다단차단막(221a,221b)의 하부에는 전후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단 확장가능한 접이식 지지부(222a,222b)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각 상기 다단차단막(221a,221b)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상술된 구동모터(61)에 의해 인출 및 삽입되도록 각각 연동이동수단을 통해 상기 구동모터(61)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구동모터가 구비되어 각 상기 다단차단막(221a,221b)에 개별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각 상기 다단차단막(221a,221b) 또는 상기 제2차단막(221b)의 측단부에는 고무패킹(223)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차량(1)의 루프 중앙부에 선택적으로 개방되는 선루프가 구비되는 경우에도 상기 루프판넬부(10)가 각각 상기 차량(1)의 선루프가 형성된 공간을 제외한 협소한 공간에 장착 및 설치 가능하므로 호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은 차량용 빗물받이 센서판넬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차량 제조를 위한 산업에 적용될 수 있다.

Claims (5)

  1. 차량의 루프에 배치되는 차량용 빗물받이 센서판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양측부 중 적어도 어느 일측으로 개구되는 삽입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는 루프판넬부;
    상기 삽입공간에 선택적으로 슬라이드 인출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는 슬라이드판넬부가 구비되는 빗물차단부;
    상기 루프판넬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우천시 빗물을 감지하는 레인센서;
    차량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개폐감지센서; 및
    상기 레인센서에 빗물이 감지됨과 동시에 상기 개폐감지센서가 상기 차량 도어의 개방을 감지시 상기 빗물차단부가 인출되도록 자동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빗물받이 센서판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빗물차단부의 전후측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구비되는 확장차단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확장차단부는
    상기 빗물차단부의 내측 모서리를 회전축으로 상기 빗물차단부의 테두리 및 상기 차량의 측부 사이에서 회전되는 회전바와,
    상기 빗물차단부가 상기 루프판넬부로부터 인출시 상기 빗물차단부의 테두리와 상기 회전바 사이에 자동 펼침되도록 연결되는 접이식 빗물차단막과,
    상기 빗물차단부 및 상기 회전바 사이에 배치되어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펼침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빗물받이 센서판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판넬부의 하부에는 전후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단 확장가능한 접이식 지지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빗물받이 센서판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빗물차단부는 다단으로 슬라이드 인출되도록 상이한 크기로 복수개 구비되는 다단차단막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빗물받이 센서판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판넬부의 하부에는 횡방향을 따라 연동이동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동이동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빗물차단부를 선택적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구동모터를 더 포함하되,
    상기 레인센서에 빗물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개폐감지센서가 상기 차량 도어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빗물차단부가 상기 루프판넬부로부터 선택적으로 자동 슬라이드 인출되도록 상기 구동모터가 자동 제어되고,
    상기 루프판넬부의 양측부에는 전구가 구비되며, 상기 루프판넬부의 전후방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전후방카메라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빗물받이 센서판넬 장치.
PCT/KR2018/008202 2017-10-25 2018-07-20 차량용 빗물받이 센서판넬 장치 WO2019083131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40353 2017-10-25
KR10-2017-0140353 2017-10-25
KR1020180049161A KR20190046606A (ko) 2017-10-25 2018-04-26 차량용 빗물받이 센서판넬 장치
KR10-2018-0049161 2018-04-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83131A1 true WO2019083131A1 (ko) 2019-05-02

Family

ID=66246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08202 WO2019083131A1 (ko) 2017-10-25 2018-07-20 차량용 빗물받이 센서판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9083131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48770A (zh) * 2020-11-15 2021-01-22 李兵和 一种用于雨天上下车用车辆自动遮雨装置
CN113548608A (zh) * 2021-07-21 2021-10-26 合肥方源机电有限公司 一种具有防雨功能的工程叉车警示器
CN113968298A (zh) * 2021-12-13 2022-01-25 浙江佳佳童车有限公司 一种可变型式电动童车车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2321A (ja) * 2003-10-04 2005-04-28 Tatsuo Makino 自動車用雨よけドアールーフ
KR100536389B1 (ko) * 2003-10-21 2005-12-1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빗물 차단장치
KR100676525B1 (ko) * 2005-02-04 2007-02-01 김종성 차량용 슬라이드식 비 차단장치
KR20140079948A (ko) * 2012-12-20 2014-06-30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차량용 레인 루프장치
KR101472928B1 (ko) * 2013-08-27 2014-12-16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차의 빗물가리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2321A (ja) * 2003-10-04 2005-04-28 Tatsuo Makino 自動車用雨よけドアールーフ
KR100536389B1 (ko) * 2003-10-21 2005-12-1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빗물 차단장치
KR100676525B1 (ko) * 2005-02-04 2007-02-01 김종성 차량용 슬라이드식 비 차단장치
KR20140079948A (ko) * 2012-12-20 2014-06-30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차량용 레인 루프장치
KR101472928B1 (ko) * 2013-08-27 2014-12-16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차의 빗물가리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48770A (zh) * 2020-11-15 2021-01-22 李兵和 一种用于雨天上下车用车辆自动遮雨装置
CN113548608A (zh) * 2021-07-21 2021-10-26 合肥方源机电有限公司 一种具有防雨功能的工程叉车警示器
CN113968298A (zh) * 2021-12-13 2022-01-25 浙江佳佳童车有限公司 一种可变型式电动童车车门
CN113968298B (zh) * 2021-12-13 2022-10-25 浙江佳佳童车有限公司 一种可变型式电动童车车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083131A1 (ko) 차량용 빗물받이 센서판넬 장치
KR100527124B1 (ko) 자동차용 선루프의 안전장치
US5560671A (en) Window module for mounting in flexible fabric of soft topped vehicles
KR20120072083A (ko) 버스정류장의 차양막 운용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04898B1 (ko) 전기자동차 충전장치 설치용 캐노피구조
CN107097614A (zh) 车辆上屋顶的遮阳,包括在车辆顶上具有遮阳的车辆,在车辆里防晒的方法
KR101534728B1 (ko) 차량의 커튼 제어 장치
KR20020093007A (ko) 자동차 실내 환기 장치
KR950013632B1 (ko) 승용차용 차체 커버장치
KR20130022665A (ko) 차량의 자동 우산 시스템
JPH02200518A (ja) 電動スライド式サンバイザ
KR100980951B1 (ko) 자동차용 커튼의 자동 제어 방법
CN108068600B (zh) 一种车用防雨置伞系统
KR102026403B1 (ko) 자동차 지붕에 설치되는 빗물 가림막
KR100471486B1 (ko) 자동차용 선루프의 선쉐이드 자동닫힘 장치
JPH07329566A (ja) 車両用自動サンバイザ
KR100201085B1 (ko) 차량용롤러식바이저(visor)자동개폐장치
KR200414708Y1 (ko) 차량용 차광기구
KR100633373B1 (ko) 자동차용 유리문 제어 시스템
KR200369200Y1 (ko) 자동차 출입문용 빗물 차단장치
KR200370975Y1 (ko) 차량용 우수 차단장치
KR200230834Y1 (ko) 차량용측면선바이저
KR20190136609A (ko) 자동차용 비 가림막장치
KR200289470Y1 (ko) 버스용 비막이 장치
JP2008056150A (ja) 車両用雨避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87075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87075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