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2083A - 버스정류장의 차양막 운용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버스정류장의 차양막 운용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72083A KR20120072083A KR1020100133865A KR20100133865A KR20120072083A KR 20120072083 A KR20120072083 A KR 20120072083A KR 1020100133865 A KR1020100133865 A KR 1020100133865A KR 20100133865 A KR20100133865 A KR 20100133865A KR 20120072083 A KR20120072083 A KR 2012007208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nshade
- awning
- variable
- vehicle
- bus stop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04H1/1211—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16—Roof structures with movable roof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버스정류장의 차양막 운용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스정류장의 차양막 운용 시스템은, 버스정류장의 차양막 상부에 설치되어 탑승구측으로 확장되는 가변 차양막; 가변 차양막을 이동 시키는 차양막 구동부; 비가 내리는 것을 감지하는 우적 감지부; 버스정류장에 진입하는 소정의 차량을 감지하는 차량 감지부; 및 우적 감지부 및 차량 감지부에서 수신되는 신호를 참조하여 차양막 구동부를 제어하여 가변 차양막을 이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버스정류장의 차양막 운용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스정류장은 버스에 타고 내리는 승객을 위해 버스가 정차하는 대기소로 버스가 해당위치에 정차함을 알리는 표지판과 노선도가 표시되고, 대기중인 승객이 바람, 햇볕, 눈이나 비 등을 피할 수 있도록 벽부 및 차양막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버스정류장은 우천시 승객들이 비를 피하고자 우산을 펴고 있으면 우산으로 인해 한정된 공간이 비좁아지고, 서로 우산에 치이거나 빗물이 튀겨 다른 승객의 이용에 불편함을 주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고자 종래에는 버스정류장의 차양막을 도로와 평행한 방향으로 수동 확장하여 버스 정류장의 영역을 늘리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종래와 같이 버스정류장을 수동 확장하여 영역을 넓힌다 하더라도 버스정류장과 버스간에는 상당한 승차간격이 있으므로 우천시 버스에 탑승하거나 하차하는 승객이 내리는 비에 그대로 노출되는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따라서, 우천시 버스에 탑승 및 하차하는 승객들이 줄을 서는 동안 비를 맞거나 비를 피해 우산을 펴고 접음으로써 한정된 버스정류장 공간이 혼잡해지고 탑승시간 간지연 및 질서가 유지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우천시 비로부터 승객을 보호하고 승하차질서를 유지하기 위한 버스정류장의 차양막 운용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버스정류장의 차양막 운용 시스템은,
버스정류장의 차양막 상부에 설치되어 탑승구측으로 확장되는 가변 차양막;상기 가변 차양막을 이동 시키는 차양막 구동부; 비가 내리는 것을 감지하는 우적 감지부; 상기 버스정류장에 진입하는 소정의 차량을 감지하는 차량 감지부; 및 상기 우적 감지부 및 상기 차량 감지부에서 수신되는 신호를 참조하여 상기 상기 차양막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가변 차양막을 이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에, 상기 차양막과 가변 차양막을 연결하여 상기 가변 차양막이 상기 탑승구측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양막 구동부는, 상기 차양막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단부에 연결된 회전기어의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전동 모터; 및 상기 가변 차양막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기어를 통해 발생되는 회전동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가변 차양막을 탑승구측 길이방향으로 이동하거나 복귀시키는 렉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차양막의 상부에 상기 탑승구측 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 및 상기 가이드 레일에 대응되는 상기 가변 차양막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과 접촉되는 복수의 볼리테이너를 포함하는 가이드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 감지부는, 상기 버스정류장의 일정거리에 진입하는 차량 및 정차중인 차량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 하는 초음파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비가 내리는 상태에서 상기 버스정류장에 소정의 차량이 접근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변차양막이 상기 탑승구측으로 확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비가 내리는 것이 감지되지 않거나 상기 버스정류장에 차량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가변 차양막이 상기 차양막의 상부 위치로 복귀되도록 상기 차양막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버스정류장의 차양막 운용 방법은,
a) 비가 내리는 강우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b) 상기 강우상태가 감지된 상태에서 버스정류장 진입지점의 일정거리에 진입하는 소정의 차량을 감지하는 단계; c) 가변 차양막이 확장되도록 차양막 구동부를 구동하여 버스정류장 차양막의 상부에 설치되는 가변 차양막을 탑승구측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단계; 및 d) 상기 차량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차양막 구동부를 구동하여 상기 가변 차양막의 위치를 복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c) 단계는, 상기 차양막 구동부의 전동 모터에서 발생되는 제1 방향의 회전력이 상기 가변 차양막에 구비된 렉기어에 전달되어 제1 직선운동으로 변동되는 단계; 및 상기 가변 차양막이 상기 제1 직선운동에 따라 가이드부를 통해 슬라이딩 되어 상기 탑승구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d) 단계는, 상기 차양막 구동부의 전동 모터에서 발생되는 제2 방향의 회전력이 상기 가변 차양막에 구비된 렉기어에 전달되어 제2 직선운동으로 변동되는 단계; 및 상기 가변 차양막이 상기 제2 직선운동에 따라 가이드부를 통해 슬라이딩 되어 상기 차양막의 상부 위치로 복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양막 운용 시스템은 우천시 차양막을 자동으로 확장함으로써 버스에 승차 및 하차하는 승객을 빗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승객이 버스정류장내에서 우산을 펴거나 접을 필요가 없으므로 혼잡을 예방하고 질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스정류장의 차양막 운용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양막의 길이 가변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 차양막의 슬라이딩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스정류장의 차양막 운용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양막의 길이 가변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 차양막의 슬라이딩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스정류장의 차양막 운용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스정류장의 차양막 운용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스정류장의 차양막 운용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다.
첨부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스정류장의 차양막 운용 시스템(100)은 버스정류장의 차양막(110) 상부에 설치되어 탑승구측으로 확장되는 가변 차양막(120), 엑추에이터(Actuator)를 이용하여 상기 가변 차양막(120)을 상기 탑승구측으로 이동 시키는 차양막 구동부(130), 비가 내리는 것을 감지하는 우적 감지부(140), 버스정류장에 진입하는 차량을 감지하는 차량 감지부(150) 및 비가 내리는 상태에서 상기 차량의 도착을 감지하면 상기 가변 차양막(120)이 확장되도록 차양막 구동부(130)를 제어하는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차양막(110)은 버스정류장에 설치되는 지지 프레임과 벽면상에 고정 설치되는 기본 차양막으로 탑승구 반대측으로 일정한 기울기를 갖고 설치된다. 이 때, 차양막(110)이 도로반대쪽으로 기울기를 갖는 것은 차양막(110)에 내리는 비가 탑승구측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가변 차양막(120)은 차양막(110)상에서 탑승구측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차양막을 확장할 수 있도록 가이드부(170)를 통해 연결되고 차양막 구동부(130)의 구동력으로 작동한다.
한편, 도 2 및 도 3을 통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양막의 가이드부와 슬라이딩 구조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양막의 길이 가변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 차양막의 슬라이딩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첨부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부(170)는 적어도 하나의 레일시스템으로 구성되며, 차양막(110)의 상부에 탑승구측 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171)과 이에 대응되게 가변 차양막(120)의 하부에 설치되는 가이드 블록(172)을 포함한다.
가이드 레일(171)은 상부면 중앙으로부터 차양막(110)의 일부를 관통하는 형태로 체결되는 제1 체결부재(171-1)를 통해 차양막(110)에 결합된다.
가이드 블록(172)은 하부면의 좌우로부터 가변 차양막(120)의 일부를 관통하는 형태로 체결되는 제2 체결부재(172-1)를 통해 가변 차양막(120)에 결합된다. 이 때, 각 체결부재(171-1, 171-2)는 예컨대 볼트와 너트 등과 같은 체결부재로 이루어 질 수 있다.
가이드 블록(172)은 가이드 레일(171)과 접촉되는 좌우측에 볼리테이너(172)를 포함하여 가변 차양막(120)의 하중으로 인한 부하와 피로도를 줄이면서 가이드 레일(171)을 용이하게 슬라이딩 할 수 있다.
차양막 구동부(130)는 전동 모터(131) 및 렉기어(132)를 포함한다.
전동 모터(131)는 차양막(120)의 상부에 구비되어 제어부(160)의 제어신호에 따라 단부에 연결된 회전기어를 통해 회전동력을 발생시킨다.
렉기어(132)는 가변 차양막(120)이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기어를 통해 발생되는 회전동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가변 차양막(120)을 탑승구측 방향으로 확장 이동시키거나 복귀시킨다.
이 밖에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양막 구동부(130)는 회전기어가 구비된 전동모터(131)와 렉기어(132)에 한정되지 않으며, 가변 차양막(120)을 탑승구측 방향으로 전후 슬라이딩시킬 수 있는 다양한 엑추에이터가 적용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우적 감지부(140)는 차양막(110)의 상면에서 비가 내리는 것을 감지하는 센서로 비가 내리는 강우상태를 감지하여 제어부(160)로 전달한다.
차량 감지부(150)는 버스정류장에 차량이 도착하는 것을 감지하여 제어부(160)로 전달한다.
예컨대, 차량 감지부(150)는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 센서를 포함하며 버스정류장 진입지점의 일정거리에 진입하는 차량 및 정차중인 차량을 감지도 하도록 설치하여 차량의 도착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차량 감지부(150)는 공지된 RFID 등을 이용하여 버스를 인지하거나, 버스 노선정보 및 버스의 위치정보 등을 인지하여 해당 버스 정류장에 소정의 버스가 근접하는 경우 해당 신호를 제어부(160)로 전달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제어부(160)는 버스정류장의 차양막 운용을 위한 전반적인 동작을 위해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60)는 우적 감지부(140)로부터 비가 내리는 것을 감지한 강우상태정보를 수신한 상태에서 차량이 도착하는 경우 가변 차양막(120)이 탑승구측 방향으로 확장되도록 구동 명령을 차양막 구동부(130)로 전달하여 그 동작을 제어한다. 반면, 비가 내리는 것이 감지되지 않거나 버스정류장에 차량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가변 차양막(120)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도록 차양막 구동부(130)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60)는 강우상태정보를 수신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외부에서의 조작이 가능한 별도의 스위치를 더 구성하여 가변 차양막(12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우천시뿐 아니라 태양의 완만한 고도로 인한 햇볕이 버스정류장내로 직접 비춰지는 것을 차양막 확장을 통해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도 4를 통해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스정류장의 차양막 운용 시스템의 구성으로 차양막을 운용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스정류장의 차양막 운용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첨부된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양막 운용 시스템(100)은 차양막(1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우적 감지부(140)를 통해 비가 내리는 강우상태를 감지한다(S101; 예).
그리고, 강우상태가 감지된 상태에서 버스정류장 진입지점의 일정거리에 진입하는 차량을 감시하고, 차량이 진입하는 것을 감지하면(S102; 예), 차양막 구동부(130)를 구동하여(S103), 가변 차양막(120)을 탑승구측의 길이방향으로 확장한다(S104).
이 때, 차양막 운용 시스템(100)의 차양막 구동부(130)가 전동 모터(131)의 선단에 연결된 회전기어를 회전시키는 제1 방향의 회전력이 가변 차양막(120)에 구비된 렉기어(132)에 전달되어 제1 직선운동(전진)으로 변동된다. 그리고, 가변 차양막(120)이 상기 제1 직선운동에 따라 가이드부(170)를 통해 슬라이딩 되어 탑승구측 방향으로 이동 확장된다.
차양막 운용 시스템(100)은 정차중인 차량을 감지시 가변 차양막(120)의 확장상태를 유지하고(S105; 예), 차량이 출발하여 더 이상 차량 정차 정보가 감지되지 않으면(S105; 아니오), 차양막 구동부(130)를 구동하여(S106), 가변 차양막(120)을 차양막(110)과 겹쳐지는 본래의 위치로 복귀시킨다(S107).
이 때, 차양막 운용 시스템(100)의 차양막 구동부(130)가 전동 모터(131)의 선단에 연결된 회전기어를 회전시키는 제2 방향의 회전력이 가변 차양막(120)에 구비된 렉기어(132)에 전달되어 제2 직선운동(후진)으로 변동된다. 그리고, 가변 차양막(120)이 상기 제2 직선운동에 따라 가이드부(170)를 통해 슬라이딩 되어 본래의 위치로 복귀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차양막 운용 시스템(100)은 강우상태 및 버스정류장에 차량이 도착하는 것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차양막을 확장함으로써 우천시 버스에 승하차하는 승객을 빗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양막의 확장으로 인해 우천시에도 버스정류장내에서 우산을 펴거나 접을 필요가 없으므로 승하차시의 혼잡을 예방하고 승하차 질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차양막 운용 시스템
110: 차양막
120: 가변 차양막
130: 차양막 구동부
140: 우적 감지부
150: 차량 감지부
160: 제어부
170: 가이드부
110: 차양막
120: 가변 차양막
130: 차양막 구동부
140: 우적 감지부
150: 차량 감지부
160: 제어부
170: 가이드부
Claims (10)
- 버스정류장의 차양막 상부에 설치되어 탑승구측으로 확장되는 가변 차양막;
상기 가변 차양막을 이동 시키는 차양막 구동부;
비가 내리는 것을 감지하는 우적 감지부;
상기 버스정류장에 진입하는 소정의 차량을 감지하는 차량 감지부; 및
상기 우적 감지부 및 상기 차량 감지부에서 수신되는 신호를 참조하여 상기 상기 차양막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가변 차양막을 이동시키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버스정류장의 차양막 운용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막과 가변 차양막을 연결하여 상기 가변 차양막이 상기 탑승구측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버스정류장의 차양막 운용 시스템.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막 구동부는,
상기 차양막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단부에 연결된 회전기어의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전동 모터; 및
상기 가변 차양막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기어를 통해 발생되는 회전동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가변 차양막을 탑승구측 길이방향으로 이동하거나 복귀시키는 렉기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정류장의 차양막 운용 시스템.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차양막의 상부에 상기 탑승구측 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 및
상기 가이드 레일에 대응되는 상기 가변 차양막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과 접촉되는 복수의 볼리테이너를 포함하는 가이드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정류장의 차양막 운용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감지부는,
상기 버스정류장의 일정거리에 진입하는 차량 및 정차중인 차량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 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정류장의 차양막 운용 시스템. -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비가 내리는 상태에서 상기 버스정류장에 소정의 차량이 접근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변차양막이 상기 탑승구측으로 확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정류장의 차양막 운용 시스템. -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비가 내리는 것이 감지되지 않거나 상기 버스정류장에 차량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가변 차양막이 상기 차양막의 상부 위치로 복귀되도록 상기 차양막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정류장의 차양막 운용 시스템. - a) 비가 내리는 강우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b) 상기 강우상태가 감지된 상태에서 버스정류장 진입지점의 일정거리에 진입하는 소정의 차량을 감지하는 단계;
c) 가변 차양막이 확장되도록 차양막 구동부를 구동하여 버스정류장 차양막의 상부에 설치되는 가변 차양막을 탑승구측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단계; 및
d) 상기 차량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차양막 구동부를 구동하여 상기 가변 차양막의 위치를 복귀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버스정류장의 차양막 운용 방법.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차양막 구동부의 전동 모터에서 발생되는 제1 방향의 회전력이 상기 가변 차양막에 구비된 렉기어에 전달되어 제1 직선운동으로 변동되는 단계; 및
상기 가변 차양막이 상기 제1 직선운동에 따라 가이드부를 통해 슬라이딩 되어 상기 탑승구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정류장의 차양막 운용 방법. -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차양막 구동부의 전동 모터에서 발생되는 제2 방향의 회전력이 상기 가변 차양막에 구비된 렉기어에 전달되어 제2 직선운동으로 변동되는 단계; 및
상기 가변 차양막이 상기 제2 직선운동에 따라 가이드부를 통해 슬라이딩 되어 상기 차양막의 상부 위치로 복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정류장의 차양막 운용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33865A KR101206252B1 (ko) | 2010-12-23 | 2010-12-23 | 버스정류장의 차양막 운용 시스템 및 그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33865A KR101206252B1 (ko) | 2010-12-23 | 2010-12-23 | 버스정류장의 차양막 운용 시스템 및 그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72083A true KR20120072083A (ko) | 2012-07-03 |
KR101206252B1 KR101206252B1 (ko) | 2012-11-28 |
Family
ID=46706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33865A KR101206252B1 (ko) | 2010-12-23 | 2010-12-23 | 버스정류장의 차양막 운용 시스템 및 그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06252B1 (ko)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859367A (zh) * | 2017-10-11 | 2018-03-30 | 深圳市晓控通信科技有限公司 | 一种具有挡雨和座椅收纳功能的智能型公交站台 |
CN107939076A (zh) * | 2017-12-11 | 2018-04-20 | 江苏飞视文化发展有限公司 | 一种车站广告展牌自动遮阳棚工作方法 |
CN107939152A (zh) * | 2017-12-11 | 2018-04-20 | 江苏飞视文化发展有限公司 | 一种车站广告展牌自动遮阳设备 |
CN108104511A (zh) * | 2017-12-13 | 2018-06-01 | 安徽电气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用于公交站台的翻转式遮阳挡雨装置 |
CN109610889A (zh) * | 2018-12-10 | 2019-04-12 | 林雯臻 | 一种多功能伸缩式太阳能供电公交车候车棚 |
CN110984633A (zh) * | 2020-01-03 | 2020-04-10 | 新昌冰银智能技术有限公司 | 一种智能公交车站 |
CN111962918A (zh) * | 2020-08-31 | 2020-11-20 | 安徽引航人广告标识有限公司 | 一种用于公交站台的伸缩式雨棚及其使用方法 |
JP2021028459A (ja) * | 2019-08-09 | 2021-02-25 | 方小剛 | 拡大と延長可能な雨避けバス停 |
KR102287195B1 (ko) * | 2020-07-14 | 2021-08-09 | 주식회사 에코시티솔루션즈 | 스마트 버스 쉘터 시스템 |
KR102462722B1 (ko) * | 2021-06-10 | 2022-11-03 | 주식회사 협신산업 | 전기 자동차 충전기용 가변형 캐노피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179371A (zh) * | 2014-09-11 | 2014-12-03 | 重庆博巨玻璃钢有限公司 | 一种带有活动可收折雨棚装置的公交站亭 |
KR101824909B1 (ko) * | 2017-08-30 | 2018-02-02 | 주식회사 대상디자인 | 도로시설물의 확장형 차양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18926B1 (ko) | 2005-10-28 | 2006-09-05 | 주식회사 길평 | 확장 가능하고 수납기능을 가지며 차량도착 감지기능을가진 버스 정류장 |
KR100920492B1 (ko) | 2008-02-15 | 2009-10-20 | 주식회사거암 | 이동 차양막판을 구비한 케노피 구조물 |
KR100938665B1 (ko) | 2008-02-15 | 2010-01-25 | 주식회사거암 | 노천 거리 지붕 구조물 |
-
2010
- 2010-12-23 KR KR1020100133865A patent/KR10120625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859367A (zh) * | 2017-10-11 | 2018-03-30 | 深圳市晓控通信科技有限公司 | 一种具有挡雨和座椅收纳功能的智能型公交站台 |
CN107939076A (zh) * | 2017-12-11 | 2018-04-20 | 江苏飞视文化发展有限公司 | 一种车站广告展牌自动遮阳棚工作方法 |
CN107939152A (zh) * | 2017-12-11 | 2018-04-20 | 江苏飞视文化发展有限公司 | 一种车站广告展牌自动遮阳设备 |
CN108104511A (zh) * | 2017-12-13 | 2018-06-01 | 安徽电气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用于公交站台的翻转式遮阳挡雨装置 |
CN109610889A (zh) * | 2018-12-10 | 2019-04-12 | 林雯臻 | 一种多功能伸缩式太阳能供电公交车候车棚 |
JP2021028459A (ja) * | 2019-08-09 | 2021-02-25 | 方小剛 | 拡大と延長可能な雨避けバス停 |
CN110984633A (zh) * | 2020-01-03 | 2020-04-10 | 新昌冰银智能技术有限公司 | 一种智能公交车站 |
CN110984633B (zh) * | 2020-01-03 | 2021-02-09 | 深圳昌恩智能股份有限公司 | 一种智能公交车站 |
KR102287195B1 (ko) * | 2020-07-14 | 2021-08-09 | 주식회사 에코시티솔루션즈 | 스마트 버스 쉘터 시스템 |
CN111962918A (zh) * | 2020-08-31 | 2020-11-20 | 安徽引航人广告标识有限公司 | 一种用于公交站台的伸缩式雨棚及其使用方法 |
CN111962918B (zh) * | 2020-08-31 | 2021-11-23 | 安徽引航人广告标识有限公司 | 一种用于公交站台的伸缩式雨棚及其使用方法 |
KR102462722B1 (ko) * | 2021-06-10 | 2022-11-03 | 주식회사 협신산업 | 전기 자동차 충전기용 가변형 캐노피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06252B1 (ko) | 2012-11-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06252B1 (ko) | 버스정류장의 차양막 운용 시스템 및 그 방법 | |
KR100527124B1 (ko) | 자동차용 선루프의 안전장치 | |
EP3655588B1 (en) | Device with electrical or pneumatic actuation of a folding mechanism for encouragement of reduction of vehicle speed | |
KR102103490B1 (ko) | 차양구조물이 설치된 버스승강장 | |
CN106004380A (zh) | 一种天窗控制系统 | |
US8756863B2 (en) | Scheme for operating an electric window lifter | |
WO2007058452A1 (en) | A rainwater control apparatus for preventing from flowing into vehicle | |
KR102304898B1 (ko) | 전기자동차 충전장치 설치용 캐노피구조 | |
KR102398112B1 (ko) | 차량용 빗물 차단장치 | |
WO2019083131A1 (ko) | 차량용 빗물받이 센서판넬 장치 | |
KR100536389B1 (ko) | 차량의 빗물 차단장치 | |
EP1777090A3 (fr) | Dispositif d'occultation d'un pavillon vitré d'un véhicule automobile, équipé de palettes pare-soleil, et véhicule automobile correspondant | |
JP2009234554A (ja) | 自動車乗り降り時の雨濡れを防止する拡縮式雨除け傘 | |
US11214131B2 (en) | Vehicle integrated rain guard | |
KR20170136216A (ko) | 전동식 루프 비 막이 장치 | |
CN114991537A (zh) | 一种城市大脑用交通站台 | |
KR950013632B1 (ko) | 승용차용 차체 커버장치 | |
KR102304457B1 (ko) | 차량용 하이브리드 빗물 어닝 장치, 그리고 차량용 하이브리드 빗물 어닝 제어 시스템 | |
KR200452163Y1 (ko) | 도어스커프 구조 | |
KR102580298B1 (ko) | 버스 비막이 장치 | |
CN115139761A (zh) | 一种汽车挡雨装置及汽车 | |
KR102645129B1 (ko) | 회전형 그늘막 | |
TWM522872U (zh) | 車用遮雨裝置及具有遮雨裝置的車 | |
CN221873778U (zh) | 车门以及车辆 | |
KR100201085B1 (ko) | 차량용롤러식바이저(visor)자동개폐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